하 출 입 시 설 형태 및 특징 제2차 시기 : 건물 4면 중앙에 각각 1개소씩 존재 - 남, 서, 북면의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지의 흔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전면과 측면의 중앙칸에 위치 - 동서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 유인 계단우석( 階 段 隅 石 ) 받침지대석이 발견 - 계단너비는 동측면에서 발견된 계단우석 지대석의 크기와 위치를 근거로 약 2.06m - 면석과 갑석의 형태와 규모는 확인 불가능 - 초석 상면으로터 지대석 상면까지의 높이가 0.6m이므로 이보다 낮은 기단이 마련되었을 것이며 계단은 우석의 3매( 枚 )1( 組 )의 립식 우석으로 확인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특이사항 단판연화문E형 및 귀면문 수막새 - 종루지 창건 건물 기단토 내에서 다수 발견 제2차 시기 건물지는 경루지 제2차 건물지의 규모와 형식이 동일 제1차 시기와 제2차 시기의 초석 적심석 이외의 적심석이 건물지 남쪽 중앙과 동쪽 중앙에 각각 2개씩 확인 - 남쪽 중앙의 2개 : 직경 0.9m, 초석적심석 간격은 약 3m, 남북방향으로 위치하였으며 종루가 세워지기 이전에 설치된 적심석으로 가람이 1차로 성되었을 당시의 남회랑지 초석 적심석으로 확인 - 동쪽 중앙의 2개 : 상면 직경 1.2m, 초석적심석 간격 약 3m로 동회랑지로터 종루로 연결되었던 회랑 초석적심석으로 확인되었으며 설치시기는 제1차 종루가 세워질 때 함께 세워진 것으로 확인 F- E- D- C- B- A- 1 2 3 4 5 6 도면 11 _ 종루지 평면도 및 단면도 황룡사지 133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선으로터 서쪽으로 61.5m 이격 탑지의 동서중심선으로터 남쪽으로 28.48m 이격 탑 전방 서쪽에 추정종루지의 대칭 위치 건물방향 남향 규 모 제2차 시기 : 동서 17.75m, 남북 17.75m 하 기 단 기 단 토 축방법 A토층 시굴(동서방향) - 건물외의 토층: 와편이 섞인 흑색식토가 0.72m 두께, 그 다음층은 와편이 섞인 황색점질토, 그 하에 1.06m 두께의 적갈색점질토가 남쪽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깔려 있었으며 그 다음 토층은 적갈색사질토, 잔자갈이 섞인 암갈색점질토 - 건물내의 토층: 외쪽의 적갈색점질토층 위에 같은 적갈색점토층이 2.12m 두께로 깔리고 그 밑에서는 흑회색니토, 그 다음은 자갈이 섞인 회색니토 - 건물기초의 축토는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초석 적심석은 독립 기초공법으로 이루어짐 134 Ⅱ-1. 한국_신라
기 단 토 축방법 B토층 시굴(남북방향) - 제1차 시기의 초석 적심석 2개소와 제2차 건물지의 초석 적심석 1개소 확인 - A토층 시굴에서 나타난 토층과 동일 - 제1차 시기 초석적심석(B6) 위에서 제2차 시기 초석적심석(B6)이 황색점토와 섞인 상태로 노출 - 제2차 시기 초석적심석(B6)은 윗분이 유실되었으나 제1차시기의 적심석 상를 약간 들어내고 다시 적심을 놓았던 흔적이 보였으며 2차 적심석의 깊이는 약 0.9m C토층시굴 - 제1차 시기의 초석 적심석 2개소가 확인 기 단 외장형태 및 축방법 제1차 시기 - 기단 관련 유가 확인되지 않음 제2차 시기 : 기단의 높이는 추정 0.78m, 면석과 갑석이 갖추어진 가식 기단 - 지대석이 원위치에서 확인 - 동면 : 계단을 중심으로 지대석이 북쪽으로 8개, 남쪽으로 2개가 원위치에서 확인 남쪽의 것은 길이 1.75m과 2.03m - 서면 : 남단의 일를 제외하고 지대석이 제위치에서 확인, 길이 0.9~1.69m - 남면 : 7개의 지대석이 계단지를 중심으로 동쪽에 3개, 서쪽에 4개 확인 지대석 길이는 1.36~1.87m, 너비는 0.12~0.27m, 높이는 약 0.3m 내외 전면에 1단의 몰딩이 있어 상면에 면석을 세우게 되었으며 지대석끼리 맞댄이음 - 북면 : 계단지를 중심으로 동쪽에서 5개가 원위치에서 확인 지대석 길이는 0.9~2.27m, 너비 0.24m 내외, 높이 0.3m 내외, 외면에 1단의 몰딩 특이사항 - 하 개 수 제1차 시기 : 적심석만 확인 제2차 시기 : 2개소 규 모 각 변 길이 1.12 0.99m 높이 0.69m 각 변 길이 1.27 1.06m 높이 0.66m 형 태 방형초석 무주좌 초 석 설치 방법 및 특징 제1차 시기 - A시굴에서 나타난 초석 적심석의 경우 깊이는 표면으로터 2.7m 내외, 상면의 직경은 1.81~2.57m - 적심층 내의 축석공법은 큰 돌이 밑으로 들어가 있고 이들 큰 돌로터 상쪽은 작은 돌과 큰 돌을 적당히 섞어가면서 수평으로 쌓아올리고 적갈색의 점토를 돌 사이사이에 넣어가면서 적심층을 형성 - 외진주 초석 적심석 : 모두 줄기초로 하였는데 너비는 2.12~2.42m, 상에만 초석을 안정시키기 위해 원형으로 적심 을 설치 - 줄기초는 남쪽과 서쪽의 잔존상태가 양호하였는데 남면 중앙과 서면 중앙에 줄기초가 단절된 상태로 노출 - 남면에서는 1.66m, 서면에서는 0.45m의 간격으로 절단된 분은 정면과 측면의 어칸 중앙(출입로 추측) - 내진주 초석 적심석 : 독립기초공법으로 덩이를 파고 원형으로 적심을 쌓아올려 초석을 안정시키는 방법 줄기초의 설치목적 - 직경이 넓은 적심석을 설치할 때 주칸이 작은 경우 적심석은 서로 연접되기 마련이므로 독립된 적심석 덩이를 파서 결국 접속되게 하는 모순을 없애기 위해 통째로 줄기초를 설치 - 온통기초의 수법을 외진에서만 사용하는 간소화방법 - 지상체 자체가 독립기초방식과는 전혀 다른 시설로서 기둥을 중심에 두고 건물 내외면에 토장( 土 墻 )이나 석장( 石 墻 )을 쌓아올렸을 가능성 초 석 설치 방법 및 특징 제2차 시기 - 제1차 시기의 건물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재축한 것으로 확인 - 남쪽 초석과 동쪽 초석은 제1차 시기의 남쪽과 동쪽 초석 적심석을 그대로 사용하여 위에 초석을 배열 - 서쪽의 초석렬은 제1차 시기의 초석 적심석렬보다 동으로 1.5m 정도 이동하여 정면의 크기가 축소 - 북쪽의 초석렬은 제1차 시기의 초석 적심석렬보다 북으로 이동하여 측면의 크기가 확장 - F2초석: 방형으로 1.12 0.99m, 높이 0.69m이었으며 상면은 잘 다듬었고 동쪽과 남쪽 일에 몰딩을 가공하였으나 주좌는 없음 - F6초석: 방형으로 1.27 1.06m, 높이 0.66m이었으며 상면은 잘 다듬었고 동쪽은 1단의 몰딩이 있었으나 주좌로 보기는 곤란 황룡사지 135
하 평 면 출 입 시 설 규 모 형태 및 특징 형태 및 특징 제1차 시기: 5 5칸 제2차 시기: 5 5칸 주칸간격 위 치 협 칸 어 칸 퇴 칸 전면 제1차 2.54/3.07 3.79 2.74/2.64 제2차 2.64/2.58 2.87 2.55/2.61 측면 제1차 2.24/2.59 2.54 2.84/3.09 제2차 2.88/2.64 2.87 2.61/2.55 제1차 시기 - 외진초석렬 안에는 내진초석렬이 외진초석렬에 일치되게 배열 - 서편의 적심석이 동편의 것보다 양호한 상태로 잔존 - 정면 주칸은 적심석 간격으로 보아 어칸>협칸>퇴칸의 크기, 측면 주칸은 어칸 협칸 퇴칸 제2차 시기 - 서쪽의 북쪽의 초석렬이 제1차 시기의 것으로터 각각 동과 북으로 이동하여 제1차 시기 건물평면으로터 제2차 시기의 건물 중심이 동북방향으로 0.6m 정도 이동 - 동서 주칸의 크기는 제1차 시기의 건물지보다 1.5m 정도 축소 - 남북 주칸의 크기는 제1차 시기의 건물지보다 약 0.23m 확장 제2차 건물지 - 사면 중앙에 계단을 설치하였는데 남면을 제외한 3면에서 계단석재가 확인 - 북면: 양측 우석받침석과 디딤석 2개 발견, 계단의 너비는 외연너비 2.42m 기단 외연에서 계단 북단까지의 거리는 1.12m 계단 우석 지대석은 길이 0.54m, 너비 0.39m, 높이 0.36m이며 앞쪽에 직경 0.14m, 깊이 6cm의 원형 멍이 뚫 려 있어 석주를 꼽을 수 있도록 함 계단 디딤석은 길이 1.6m, 너비 0.25m, 높이 0.19m로 디딤석은 모두 5단이었을 것으로 추정 - 동면: 우석받침석 2개와 디딤석 1개 확인 우석받침석은 다른 건물지의 것을 재사용한 재로 길이 0.9m, 너비 0.48m, 높이 0.3m 내외, 상면은 정다듬 디딤석은 최하단에 위치한 것으로 길이 1.6m, 너비 0.84m, 높이 0.3m 계단의 너비는 2.54m, 기단선으로터의 거리는 0.9m - 서면: 계단유 4개가 잔존하였는데 모두 재사용된 재 우석 받침석은 남쪽의 것이 길이 0.84m, 너비 0.39m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합 C2 - 경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군 속에서 출토 귀면파편 1점 - 경루지 앞 표토 아래 70cm에서 출토. 크기는 7 6.3cm 특이사항 - 사진 30 _ 경루지 전경(동에서) 사진 31 _ 경루지 1차 건물지 적심석(북에서) 136 Ⅱ-1. 한국_신라
F- E- D- C- B- A- 1 2 3 4 5 6 도면 9 _ 경루지 평면도 및 단면도 사진 32 _ 경루지 서북모서리 지대석 사진 33 _ 경루지 북측 계단 황룡사지 137
<중문지> 위 치 기 단 회랑 남쪽 중앙 목탑지의 심초석 중심으로터 49.64m 남쪽에 위치 규 모 동서 26.7m, 남북 12.6m 기 단 토 축방법 외장형태 및 축방법 건물방향 남향 제3차 중문 - 적심상면으로터 약 1m 파내어 적갈색의 사질토와 냇돌로 층을 두어 다졌으며 이 양측면에 연결되는 회랑의 적심도 같은 기법으로 다졌으나 여기서는 황갈색의 점질토를 사용 기단 세 모서리분에 남아있는 지대석은 평면상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으며 외면으로 밑 분을 돌출시켜 턱을 가공 특이사항 - 하 하 초 석 평 면 개 수 설치 방법 및 특징 규 모 형태 및 특징 21개 - 동 서측면에 각 5개 - 북측면에 4개, 남측면에 5개 - 서측 인왕상 대좌 옆에 3개 규 모 한 변 길이 : 1m 내외(0.9~1.3m) 두께 0.5~0.6m 형 태 방형초석, 방형 원형 고막이주좌 제1차 중문 - 중건 중문지의 남변 주칸과 북변의 주칸 또 문비주( 門 扉 柱 )의 주칸 사이 중앙에는 5칸을 이루었던 초석적심보다 앞서는 적심이 놓여 후대의 적심석에 의하여 침식된 흔적 제4차 중문 - 초석의 대분은 사각주좌를 둔 방형 초석이었으나 원형주좌를 가공한 것도 존재 - 원형주좌를 가진 초석은 다른 곳으로터 이동되었거나 방형주좌 초석을 변형시킨 것으로 추정 - 모서리에 있는 초석 중 고막이형을 나타낸 초석도 확인 - 주좌는 입면으로 보아 중심측으로 약간 경사져 운두 약 7cm되게 가공, 주좌의 너비는 0.8~1m - 초석 하에서만 기단지표로터 약 2.4m 깊이로 파내려가서 직경 0.1~0.25m되는 냇돌과 점토층을 번갈아 쌓아 판축하고 주초가 놓이는 분은 바닥으로터 약 1.8m되는 깊이에 냇돌로 적심을 형성하였는데 평면 원형이며 직경 약 2.5~3m 제1차 중문: 3 2칸 위 치 퇴 칸 어칸협칸 퇴 칸 제2차 중문: 4 2칸 제3차 중문: 4 2칸 주칸간격 전 면 4.7 4.7 4.7 제4차 중문: 5 4칸 - 중앙 2칸은 남북 2칸으로 하여 문을 설치 측 면 - 2.1 - 제1차 중문 - 제2차 중문지 북변 주칸 사이에 약 0.3m 낮은 위치에 또다른 적심렬이 나와 이와 대응하는 유로서 전면 3칸, 측면 2칸인 건물지가 나오고 이 양측에 단랑의 회랑지가 연결되고 있어 또다른 문지로 판단 - 문지와 남단랑의 간격은 동, 서 약 1.6m(적심거리)였으며 동서 중심축의 차이는 약 1m로 역시 중문지가 남쪽으로 물러나 위치 - 3칸 중문 중심선의 위치는 5칸 중문 중심선에서 약 12.3m 북쪽에 위치하고 평면으로 보아 남북 축선이 모두 건물 중앙에 일치하도록 배열 제2차 중문 - 중문에 연결되어 있는 남회랑 북변 적심에 거의 붙어서 또다른 적심이 보이는데 이 적심을 맞추어 동서로 뻗은 복랑의 회랑지를 볼 수 있었고 회랑의 중문쪽 서단은 거의 4칸 중문의 회랑 서단과 남북으로 비슷한 선상에 놓이게 되므로 4칸의 또다른 중문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적심은 1~2개만이 확인 - 정면 4칸의 중문지는 전자의 4칸 중문지 중심선에서 북으로 약 5.8m 떨어져 그 중심를 이룸 - 중문지에 동서중심축과 양측 회랑의 중심축 사이에는 약 0.7m의 차를 두고 중문이 남쪽으로 위치 - 중문 동변과 연결되는 회랑지와의 주심 거리는 약 3.7m, 중문서변과 연결되는 주심거리 3.3m로 추산 제3차 중문 - 전면 4칸, 측면 2칸이 되고 이에 대응하는 회랑이 동서로 축을 맞추어 연결되어 이 중문변과 그 회랑변의 주칸이 4.2m - 4칸의 중문이 5칸으로 확장되면서 양측에 연결된 회랑을 1칸 줄였거나 회랑 장방향의 주칸거리를 줄여 중문으로터 물려 세워진 것으로 추정 제4차 중문 - 전면의 주칸은 중간에 놓인 초석이 이동하여 정확한 추정은 곤란하나 4.72~4.8m 정도로 산정되어 어칸과 협칸이 동일한 4.7m로 추정 - 동 서측면 주칸거리 2~2.22m 출입시설 형태 및 특징 전면 어칸을 벗어난 양 협칸 앞에는 계단지로 보이는 유가 노출되었고 후면에는 어칸에 1개의 계단지만이 노출 138 Ⅱ-1. 한국_신라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특이사항 인왕상 대좌 - 제4차 중문 시 평면이 확장되면서 시설 - 정면으로 보아 협칸 중심에 놓였고 남북주칸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1/3되는 위치 - 평면상 동서장방형으로 놓인 거대한 대좌, 장변 길이 2m, 단변 길이 1.3m, 높이 0.82m, 지표에서 약 0.3m 높이로 노출 - 대좌 중앙는 각각 2개씩의 네모형으로 뚫린 촉멍이 가공되었는데 깊이는 약 0.26m, 한 변 0.18m 회랑 접속 - 동서 양측에 접해 있는 회랑의 단는 중심과 주심거리가 각각 다르게 놓여 동측이 약 3.75m, 서측이 약 6m - 회랑은 측면으로 보아 2칸의 복랑을 이루고 있었으며 중심 주열은 중문지에 중심주열과 같은 선상에 있는 것으로 추정 - 도면 10 _ 중문지 변천도 사진 34_ 중문지 전경(서남에서) 사진 35 _ 제1차 중문지 초석 적심석 황룡사지 139
사진 36 _ 제3 4차 중문지 초석 적심석 사진 37 _ 제4차 중문지 초석 적심석 단면 사진 38 _ 중문지 남측 동계단지 사진 39 _ 중문지 인왕상 좌대(동측) <동서회랑지> 위 치 동회랑지 - 제4차 남회랑지 북변으로터 북으로 주심거리 약 7.2m 떨어져 시작 - 회랑의 북변은 강당 동측 제2차 건물지 남변과 주심거리 약 4.75m - 복랑 북변 중심선과 가람중심 남북축선과의 거리 약 84m - 남변중심선과 가람중심축선과의 거리 약 84.8m 동측 동회랑지(1) - 중문쪽에서터 약 17칸이 시작되는 곳에서 동회랑과 연결되어 동측남회랑 북변에서 주칸거리 약 7.4m 북편 형태 동회랑지 : 복랑 규 모 - 하 기 단 기 단 토 축방법 외장형태 및 축방법 - - 140 Ⅱ-1. 한국_신라
기 단 특이사항 동회랑지 - 건물지 주위로 기단장대석이 군데군데 남아있거나 기단석을 놓았던 흔적이 남아있어 가람내측의 주심선과 기단외변과의 거리는 약 1.7m, 가람 외측으로는 약 2.4m가 되어 외로 더 넓게 성 - 이 외기단 밖으로 또하나의 석렬이 약 0.3m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배수로로 추측 - 회랑의 중앙칸, 즉 16번째 칸에는 약 0.4m 간격이 있어 기단을 동서로 분리하게 되어있어 배수시설로 추측 장대석 중에는 석탑에 사용한 기단석재로 보이는 재가 3개 노출, 길이는 각각 1.3m, 1.14m, 1.03m였으며 통일신라 때로 추측이 되는 안상과 탱주, 몰딩 등이 각, 기단석의 높이는 약 0.25m - 남으로터 13번째 칸에는 당초 우물로 사용했다가 돌로 덮여있는 유도 노출 - 건물지 내에서는 전( 塼 )과 돌로 쌓아 만든 불아궁이 자리가 무질서하게 놓여 있었으나 건물과의 상관관계는 파악 곤란 개 수 - 규 모 동회랑지 한 변 약 0.7~0.9m, 두께 0.3~0.4m 형 태 동회랑지 방형초석, 방형 원형 고막 이주좌 장방형 또는 정형에 상면만 가공 하 초 석 설치 방법 및 특징 동회랑지 - 회랑의 남단에서터 북으로 5번째 칸에 신방석과 양쪽에 문기둥 초석, 기둥 사이 중심선에서 약 1.7m 북쪽으로 형태가 일정치 않은 거대한 화강석이 땅 속 깊이 뿌리를 박아 세워져 있었는데 화강암이 위치하는 범위는 약 1~1.8m, 높이 약 1.5m로 신방석과 연관이 되었던 유로 추측이 되지만 복랑초석 상면에서 신방초석 상면은 10cm 낮으므로 복랑보다 시대가 빠른 것으로 추측 - 바닥에는 장방형 전으로 쌓았던 고막이벽의 일로 생각되는 유가 노출되었는데 복랑과 연관 짓기 어려운 위치에 놓여 있어 그 전대( 前 代 )의 유로 판단 - 배열된 초석은 원형주좌와 사각주좌를 가진 초석과 고막이를 표현한 초석 등 여러 종류가 혼용되고 있어 다른 곳의 재를 재사용한 것으로 추측 - 원형주좌 초석도 남회랑지의 것과 같은 고식( 古 式 )의 것도 있고 통일신라기의 몰딩을 한 전형적인 형식도 있음 - 또한 특수형으로 원형주좌를 높이 10cm 이상 높게 깎아 만든 초석도 있었고 몰딩 주좌를 한 초석에서도 기둥이 세워질 자리를 다시 한번 비스듬히 높인 것도 확인 - 초석적심성은 남회랑 제4차 개축분에서와 같이 낮게 파서 흑색 식토와 냇돌로 다져 만든 방법 사용, 서벽을 따라 놓여진 초석은 당초 유였던 승방의 적심 축기가 중복된 경우도 존재 동측 동회랑지 - 복랑지 적심의 형성은 4차 중문지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최종의 회랑 초석적심과 같은 기법 - 지반을 얇게 파서 식토와 냇돌을 혼합하여 다진 것으로 보아 최종 가람의 복랑지임을 추측 평 면 규 모 동회랑지 - 남북 길이 128.1m, 남북 31칸이며 주칸거리는 4.13m, 동서 너비는 2칸이며 9.1m 동측 동회랑지(2) - 단랑으로 금당 옆을 지나 북쪽을 뻗어 원 강당지 기단을 약간 벗어나 강당 동편 최초의 건물지에서 연결되고 금당 측면 남쪽 협칸에 맞추어 측면과도 연결 - 총 길이는 127.5m, 32칸으로 1칸의 주칸거리는 평균 약 4m - 금당지 연결에서는 주칸거리가 약간 축소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남회랑 동단 승방지와의 연결에서도 확인 형태 및 특징 - 출입시설 형태 및 특징 -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동회랑지 - 사찰 창건 전의 원지반이었던 동회랑지 아래의 흑색니토층에서 유개식 고배5 출토 - 기단 내에서 각호( 角 壺 ) 1이 출토되어 의식적으로 매장한 것으로 판단 - 동회랑지 남편에서 표토 아래 0.21m에서 철제집게 1점 출토. 현대에 함석공이 사용하는 집게와 유사하며 벌어져 있는 상태로 출토 되었으며 크기 32.5 20cm - 동회랑 북편 표토 아래 0.5m에서 철제원판이 출토. 중앙에 장방형의 멍이 있고 주위에 못 멍 3곳이 확인되었는데 한 곳에는 못 이 박혀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크기는 5.6 0.1cm - 동회랑지 북편 표토 아래 0.6m에서 타원형 문징 3점 출토. 양면에 문양이 없는 골석제 서회랑지 - 사지의 원지반이었던 흑색 니토층에서 대형 경질토기 동체 파편들과 함께 대족( 臺 足 ) 출토 - 서회랑지 근처의 교란된 웅덩이 속에서 대호( 大 壺 )가 출토되었는데 연 상면에 月 三 十 日 造 得 林 家 入 명문이 잔존 - 서회랑지 표토 아래 0.24m에서 소형의 금동여래입상이 출토. 총 높이 5cm의 소형입불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 황룡사지 141
출토유물 및 특 징 특이사항 - 서회랑지 표토 아래 0.28m에서 출토된 보상화문 장식가 출토. 예리한 칼로 음각하였으며 4개의 멍을 뚫고 중앙에는 큰 멍을 뚫어 다른 물건에 착시킨 것으로 추정. 크기 4.4 0.1cm - 서회랑 북편 표토 아래 0.47m에서 철제환 1점 출토. 철판을 둥글게 만들어 다른 물건에 사용한 것으로 식되었으나 상태는 양호 크기 7.1 1.3cm - 서회랑 북편 표토 아래 0.47m에서 철제원판이 출토. 중앙에는 멍이 뚫려 있으며 용도 미상. 크기 8.3 0.2cm - 서회랑 남편 표토 아래 0.3m에서 석제 용기 파편이 출토. 파수가 착되었으며 손잡이 쪽으로 가늘어짐. 크기는 9.8 3.9cm 통로시설이 3차 남회랑지와 동승방지 사이에 전면 1칸, 측면 2칸 건물지가 발견 : 4.2m의 단칸 통로시설로 추정 동회랑지 하 추정 승방지 - 동회랑지 하에 다른 적심의 배열이 노출 : 고막이벽과 신방석 등과 관계 있는 유로서 승방지로 추측 - 동회랑 남단에서터 북으로 주심거리 약 1.5m 떨어져 남북축을 따라 뻗고 있는데 총길이 115m, 21칸이고 북측으로 강당 동측건 물지와의 사이에는 口 자 유와 중복이 되어 유 위로 더 확장되었는지 파악 불가 - 승방지 북단에서 口 자 외벽 남단까지의 거리는 약 2.5m, 口 자 유는 1칸으로 남북 외변단이 약9.4m, 북편 외벽단에서 강당 동 측 제1차 유와의 간격은 약 3.7m - 승방지가 연결되는 口 자 유와의 관계, 강당 동측건물지와 口 자 유와의 관계는 파악이 곤란 - 승방지 횡단 토층사에 의하면 현 초석 상면으로터 약 1.6m 지표 하에서 적색 사질토로 기단 축기를 한 후에 다시 초석적심 밑에 만 깊이 1.2m, 표면 직경 1.4m로 파서 적색 사질토와 냇돌을 층층이 다져 축기 성 - 승방지는 남북 평균 약 5.5m, 동서 중앙칸이 약 6.7m, 양 협칸이 각각 2.5m로서 전체 너비는 주심거리 11.7m - 口 자형 유를 제외한 승방지와 복랑은 승방지가 전시대의 것이고 복랑지는 후대의 것으로 판단되며 이 분은 단 2차례에 걸쳐 건물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확인 - 복랑지와 승방지는 남북 주칸 거리를 달리하고 있지만 승방 3칸의 길이를 복랑 4칸으로 분할하여 주칸을 정하고 승방 서변 적심렬 선 상에 복랑 서변 초석렬을 맞추었으며 복랑 동면 초석렬은 승방 동편 내진열상에 일치. 이 승방지는 남단에서 단랑과 연결 사진 40 _ 동회랑지 전경 사진 41 _ 동회랑지 내(서에서) 사진 42 _ 동회랑지 동측 지대석(북에서) 사진 43 _ 동회랑지 내 배수로(동에서) 142 Ⅱ-1. 한국_신라
도면 11 _ 동회랑지 평면도 및 단면도 도면 12 _ 서회랑지 평면도 및 단면도 황룡사지 143
사진 44 _ 서회랑지 전경 사진 45 _ 서회랑지 내(동에서) 사진 46 _ 동회랑지 출토 각호( 角 壺 ) 사진 47 _ 서회랑지 출토 금동여래입상 도면 13 _ 서회랑지 출토 대족( 臺 足 ) 실측도 <남회랑지> 위 치 동측 남회랑지(1): 제3,4차 회랑지 - 제3차 중문지 동변으로터 주심거리 약 4.2m 동편 - 제4차 중문지 동변에서 주칸거리 약 3.8m 동편 동측 남회랑지(2): 제2차 회랑지 - 제2차 중문지와 연결되는 회랑지로 가람 중심축선에서 약 13.5m 동편 동측 남회랑지(3): 제1차 회랑지 - 동측 남회랑지(2)의 북변에서 북쪽으로 주칸거리 2.9m 북편 - 제1차 중문지 동변에서 동쪽으로 주심거리 약 1.6m 서측 남회랑지(1): 제3, 4차 회랑지 - 제4차 중문지 서변으로터 주심거리 약 5.9m 서측 남회랑지(2): 제2차 회랑지 - 제2차 중문지 서변에서 주심거리 약 3.4m 서쪽으로 떨어져 시작 형태 동측 남회랑지(1) : 복랑 동측 남회랑지(2) : 복랑 동측 남회랑지(3) : 단랑 규 모 - 하 기 단 기 단 토 축방법 외장형태 및 축방법 동측 남회랑지(1) - 초석 상면으로터 약 1.5m 깊이로 파내려가 황갈색점질토와 냇돌을 층층이 다져 쌓은 견고한 축기로 제3차 가람의 회랑지 형성 동측 남회랑지(3) - 황갈색 혹은 적갈색의 점질토와 냇돌을 층층이 쌓아 다진 축기로 동서 승방지의 축기방식과 유사 동측 남회랑지(1) - 동쪽끝에는 동변 주초에서 1.2m 외에 기단우석과 장대기단석이 일렬 잔존 - 회랑의 남쪽과 북쪽에도 기단석을 놓았던 자리로 추정되는 흔적 확인 특이사항 - 초 석 개 수 동측 남회랑지: 23개 서측 남회랑지: 2개 규 모 남회랑지 주좌 상면 직경 40cm, 높이 3cm 내외 형 태 남회랑지 방형초석, 원형주좌 144 Ⅱ-1. 한국_신라
하 초 석 평 면 설치 방법 및 특징 규 모 형태 및 특징 동측 남회랑지(1) - 원형주좌를 가진 방형의 초석으로 운두가 높지 않은 방형석재는 윗분만 정사각형으로 다듬어 그 위에 주좌를 앉히는 형식 - 주좌는 상면 직경이 약 0.4m 내외의 것이 많았고 모서리는 약간 굴리는 듯하여 경사지게 깎음. 주좌의 높이는 약 3cm 내외였고 고식( 古 式 )의 형태 동측 남회랑지(1) - 제3차 중문 동서축에 맞추어 동으로 25칸(회랑 주칸의 총 길이 약 101.6m) - 제4차 중문 이축 시 중문과 연결되는 회랑 분을 개축하여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동변에서 주칸거리 약 3.8m 동쪽으로 떨어져 회랑이 시작되어 회랑의 주칸 총 길이는 제3차 중문지와 연결되는 것보다 약 1.8m 축소 - 동서 주칸거리 약 4.12m이나 개축된 분의 주칸거리는 2.96~3.1m - 남북 주칸거리는 3.6m로 전체 7.2m 동측 남회랑지(2) - 동측 남회랑지(1)의 북변 분에 이보다 너비가 좁은 또다른 복랑지가 노출 - 동측 남회랑지(2)의 복랑지 남변은 동측 남회랑지(1) 북변에서 주심거리 30cm로 거의 중복 - 동서 18칸(총 길이 69.5m)으로 1칸의 주칸은 평균 4m내외 - 마지막 칸에서는 칸 길이를 좁혀 북으로 뻗은 동승방지 내진 초석렬에 단를 일치 - 남북 주칸거리는 약 2.65m로 전체 5.3m - 제2차 중문지와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되나 유가 교란되어 연결관계 확인 곤란 동측 남회랑지(3) - 동서 총 길이 70.2m, 동서 18칸으로 동승방지에 연결 - 동서 주칸거리는 평균 약 4m, 남북 주칸거리는 약 3.2m - 제1차 중문지 동변에서 동측으로 제6칸째 북변으로터 북으로 뻗은 단랑이 연결되어 이 분의 주칸은 약 3.2m로 줄여 단랑 너비에 맞춤 서측 남회랑지(1) - 동서 길이 약 136.8m, 34칸으로 1칸의 주칸거리는 동서 약 4.2m - 동측단에서 24칸째터는 주칸거리가 축소되어 평균 약 3.85m - 주칸이 줄어드는 분 서쪽에서는 전후대( 前 後 代 )의 적심석이 중복 또는 혼재되어 이 분에서 제3차 가람과 제4차 가람의 복랑을 개축한 것으로 추정 - 제4차 가람의 복랑은 제3차 가람 복랑 서단에서 서쪽으로 전체 길이를 약 1.5m 연장하여 서측 남회랑 복랑의 길이는 동측 남회랑 길이보다 35.3m 길게 연장 서측 남회랑지(3) - 서측남회랑 1차 가람에서도 동측에서와 같이 단랑이 놓여 동서로 뻗다가 중간에서 북으로 연결되어 강당 서측건물지까지 연장 - 초석 및 적심 성기법도 시대에 따라 동측 남회랑지와 유사 남회랑의 비대칭 평면 - 서측 남회랑 복랑의 길이가 동측 남회랑 길이보다 35.3m 연장되어 중문을 중심으로 비대칭 - 서측 남회랑 북쪽, 서회랑 외곽에 많이 세워진 건물을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추정 남회랑과 동 서회랑 혹은 동서승방과의 관계 - 남회랑과 서회랑 혹은 서승방지 남단과 연결되는 위치는 동회랑에서 연결되는 위치에 가람중심을 축으로 대칭 출입시설 형태 및 특징 - 기타시설 - 남회랑지 - 동측 남회랑지 1차 건물지 아래의 사지축토층 속에서 대족 6 출토 - 동측 남회랑지 동쪽 끝분에 인접한 교란된 웅덩이 속에서 대호 4 출토 - 서측 남회랑지의 기단 내 초석 가까이에서 소호( 小 口 壺 )가 출토. 의식적으로 매장하였던 것으로 판단 - 남회랑지 동편 표토 아래 0.3m에서 철제문장식C 출토. 삼각형의 긴 철판이며 넓은 면에 정으로 막음한 흔적 잔존. 크기 9.1 4.3cm - 남회랑 서편 표토 아래 0.25~0.3m 깊이에서 경질인 골석제 항아리가 출토. 연는 내반하고 둥글게 처리하였으며 동체에서 출토유물 기저까지의 경사는 급하게 내려오며 어깨 분은 2의 세선( 細 線 )을 돌아가며 음각하였고 동체에는 불에 그을린 흔적이 남아 있 및 특 징 음. 크기는 15.2 9cm - 남회랑 동편 끝 표토 아래 0.4m에서 골석제 파편이 출토되었는데 1점은 방형이며 다른 1점은 턱이 나와 있는 형태이다. 용도는 전 ( 塼 )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 크기 17.5 12 7.3cm, 23 12.5 8cm - 청동제 정 16점 회랑 내곽에서 출토. 크기는 대개 1.5~9cm 정도이며 소형못은 못대가리가 반형이며 대형은 방형으로 방형의 것은 수막새에 사용하였을 가능성 - 골석제개( 滑 石 製 蓋 ) 15점 출토. 골석제 뚜껑은 주로 동, 서, 남회랑 근 표토 아래 0.4~0.5m에서 출토 특이사항 - 황룡사지 145
도면 14 _ 서측남회랑지 평면도 및 단면도 146 Ⅱ-1. 한국_신라 도면 15 _ 동측남회랑지 평면도 및 단면도
사진 48 _ 동측남회랑지 전경(동에서) 사진 49 _ 동측남회랑지(1) (3차 건물지) 단면 사진 50 _ 동측남회랑지(2) (2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서에서) 사진 51 _ 동측남회랑지(3)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52 _ 서측남회랑지 전경(동에서) 사진 53 _ 서측남회랑지(1) (3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단면 사진 54 _ 서측남회랑지(2) (2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서에서) 사진 55 _ 서측남회랑지 출토 치미편 황룡사지 147
1-12. 신라 사천왕사지 四 天 王 寺 址 위 치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935-2번지 일대 입 지 낭산 남쪽에 형성된 단상의 평탄 대지 창 건 문무왕19년(679) 연 혁 三 國 史 記 卷 第 七 新 羅 本 紀 七 文 武 王 下 十 九 年 春 正 月 中 侍 春 長 病 免 舒 弗 邯 天 存 爲 中 侍 二 月 發 使 略 耽 羅 國 重 修 宮 闕 頗 極 壯 麗 夏 四 月 熒 惑 守 羽 林 六 月 太 白 入 月 流 星 犯 參 大 星 秋 八 月 太 白 入 月 角 干 天 存 卒 創 造 東 宮 始 定 內 外 諸 門 額 號 四 天 王 寺 成 增 築 南 山 城 19년 봄 정월에 중시 춘장이 병으로 면직하고, 서불한 천존을 중시로 삼았다 가을 8월에 금성이 달의 분야에 들어갔다. 각간 천존이 죽었다. 동궁을 처음으로 짓고, 비로소 안팎 여러 문의 편액을 정했다. 사천왕사가 이룩되었으며, 남산성을 더 늘려 쌓았다. 三 國 遺 事 卷 第 二 奇 異 文 武 王 法 敏 朗 曰 以 彩 帛 假 構 宜 矣 乃 以 彩 帛 營 寺 草 構 五 方 神 像 以 瑜 伽 明 僧 十 二 員 明 朗 爲 上 首 作 文 豆 婁 秘 密 之 法 時 唐 羅 兵 未 交 接 風 濤 怒 起 唐 舡 皆 沒 於 水 後 改 創 寺 名 四 天 王 寺 至 今 不 墜 壇 席 ( 國 史 大 改 創 在 調 露 元 年 己 卯 이에 채백으로 절을 짓고 풀로 5방의 신상을 만들며 유가의 명승 열두 분으로서명랑을 우두머리로 삼아 문두루의 비밀법을 지었다. 그때 당나라 군사와 신라 군사가 접전하기 전에 바람과 물결이 사납게 일어나서 당나라 배가 모두 물에 침몰되었다. 그 후에 절을 고쳐 짓고 이 름을 사천왕사라 하니, 지금까지 단석이 없어지지 않았다. 국사( 國 史 ) 에는 이 절을 고쳐 지음이 로원년 기묘에 있었다 했다. 배치형식 사 2탑 1금당식(동 서목탑) 기관(사자) 기 간 결 과 출토유물 보고서(참고문헌) 2006 서탑지 서익랑지 서회랑지 와전류 등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06, 年 報 제17호. 2007 금당지 서탑지 서회랑지 치미, 녹유연와 등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07, 年 報 제18호. 국립경주문화재 연소 2008 2009 금당지 동익랑지, 동회랑지 남회랑지 금당지, 동 서단석지, 강당지 등 녹유소상, 와전류 등 금동불상, 수정제 장식품 등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08, 年 報 제19호.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08, 신라 호국의 염원 四 天 王 寺.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09, 年 報 제20호. 국립경주문화재연소 국립경주박물관, 2009, 四 天 王 寺. 2010 금당지, 강당지, 동귀 북편 건물지 등 가릉빈가 수막새 등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10, 年 報 제21호. 2011 동 서귀, 석교지 등 이수 등 국립경주문화재연소, 2011, 年 報 제22호. 비 고 三 國 遺 事 신라 불교 공인(527) 이전의 前 佛 時 代 七 處 伽 藍 의 한 곳으로 기록 三 國 史 記 직관의 四 天 王 寺 成 典 관청명 기록이 있어 成 典 寺 院 으로 확인 문두루비법 등이 행해진 기록에 의해 밀교사찰 성격으로 추정 현재 사역 내에는 금당지, 동 서목탑지, 추정 동 서단석지와 발굴사로 확인된 회랑지, 익랑지, 석등지 위치 사역 외곽에는 머리가 없어진 동 서 귀와 당간지주 1기 위치 강당지는 동 서 단석지의 북쪽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일제강점기에 사역을 가로지르는 철도의 가설로 인해 파괴됨. 발굴사를 통해 강당지 일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어 사천왕사의 전체 가람배치 추정이 가능 148 Ⅱ-1. 한국_신라
강당지 (추정)서단석지 (추정)동단석지 금당지 회랑지 서탑지 동탑지 중문지 건물지 건물지 도면 1 _ 유배치도 서귀 석교 동귀 <강당지> 위 치 금당지 중심에서 북쪽으로 약 36m 이격 건물방향 남향 규 모 - 기 단 토 - 축방법 기 단 외장형태 및 남측면 : 판판한 돌+무문전(혼합기단) 축방법 특이사항 동쪽은 철로로 인해 유실되어 일(약 2.07m)만 확인, 서쪽은 비교적 온전한 모습으로 확인 개 수 - 규 모 - 형 태 - 하 초 석 설치 방법 적심석 6개소 확인 및 특징 - 서측면으로터 전면 전열 4개소 후열 2개소 확인(후열의 적심석 크기가 전열보다 큼) 전면 7칸 위 치 퇴 칸 어칸협칸 퇴 칸 평 면 규 모 양쪽 퇴칸과 중앙 분에 계단시설이 있는 주칸간격 정 면 - - - 건물지로 추정 측 면 - - - 형태 및 특징 - 출입시설 형태 및 특징 강당지 계단 기초시설 - 강당지 중앙에 길이 1.94m, 너비 0.94m의 장방형 기초시설 확인되어 중심 계단으로 추정 강당지 계단 관련시설 - 중심 3열, 4열 적심석 사이에 보상화문전(2가지 형식, 32 32 6.5cm) 5장을 깔고 주변을 무문전으로 마감처리한 시설이 확인되어 계단 관련 시설로 추정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 특이사항 - 사천왕사지 149
사진 1 _ 강당지 전경 <단석지> 위 치 기 단 동단석지 : 금당지 중심에서 북쪽으로 20m, 동으로 20.6m 서단석지 : 금당지 중심에서 북쪽으로 20m, 서로 20.6m 동단석지 : 5.4 5.4m, 높이 0.9m 규 모 서단석지 : 5.4 5.4m, 높이 0.9m 기 단 토 축방법 외장형태 및 축방법 건물방향 남향 초석 중심에서 외곽으로 1.1m 떨어진 지점에서 생토층 위에 있는 암회색토를 굴광하여 풍화암반이 섞인 명갈색토와 적갈색점질토를 성토하여 성 서단석지 - 초석 중심으로터 외곽으로 2.35m 지점(건물지 중심으로터는 4.8m 떨어진 곳)에서 할석을 얇게 깨어서 만든 석렬이 후대 교란된 북쪽을 제외하고 모두 확인 : 단석지의 기단 기초로 추정 하 초 석 특이사항 개 수 설치 방법 및 특징 평 면 규 모 출 입 시 설 형태 및 특징 서단석지 북서모서리에서 보상화문전을 돌려서 방형으로 획한 공간이 확인되었는데 문양면은 모두 밖으로 향하고 있으며, 내에는 주칠이 되어 있고 완이 출토 동단석지 : 12개 서단석지 : 12개 규 모 - 형 태 방형초석 방형주좌 원공( 圓 孔 ) 초석 중앙에는 직경 22cm, 깊이 23cm의 원공이 있고 이 주변에 약 55cm 크기의 방형을 이중으로 모각 - 방형모각은 다시 초석의 네 귀퉁이로 연결 초석의 측면에는 고막이 분도 잔존 : 고막이의 너비는 약 30cm 원공 초석 외에 단석지 표토를 제거하자 서단석지에서는 방형초석(45 37cm) 2기, 동단석지에서는 방형초석 1기 (40 41cm) 확인 동단석지 : 3 3칸 서단석지 : 3 3칸 주칸간격 위 치 퇴 칸 어 칸 퇴 칸 전 면 1.5 1.5 - 측 면 1.5 1.5 - 서단석지 - 초석 간격 : 1.5m 서단석지 - 기단 기초로 추정되는 석렬의 남측면에서 남북 1.6m, 동서 2.3m 범위로 할석을 장방형으로 만든 시설이 확인되어 계단 또는 출입 시설로 추측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특이사항 후지시마 가이지로( 藤 島 亥 治 郞 )는 이 건물을 종루와 경루로 추정하였고 장충식은 三 國 遺 事 에 근거하여 단석( 壇 席 ) 으로 추정 灌 頂 經 卷 7 伏 魔 封 印 大 神 呪 經 에서 문두루법에 사용하는 원목의 크기를 높이 7 分, 너비 7 分 이라고 한 점과 초석 원공 직경과의 관련 가능성 - 150 Ⅱ-1. 한국_신라
사진 2 _ 동단석지 전경 사진 3 _ 서단석지 전경 사진 4 _ 서단석지 출토 보상화문전 사진 5 _ 서단석지 보상화문전 획 방형시설 내 출토 토기 <문지> 위 치 하 기 단 초 석 평 면 금당지 중심에서 남으로 약 44.6m 건물방향 남향 - 남회랑보다 1칸 남쪽으로 돌출하여 위치 규 모 - 기 단 토 - 축방법 외장형태 및 - 축방법 특이사항 - 개 수 - 규 모 - 형 태 방형초석 설치 방법 및 특징 문지 아래에서 원형 주좌를 갖는 방형 초석이 1기 확인되어 위치로 보아 문지 초석으로 추정 규 모 3 2칸 주칸간격 형태 및 특징 - 출입시설 형태 및 특징 -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 특이사항 - 위 치 협 칸 어 칸 퇴 칸 전 면 2.9 3.7 - 측 면 3.1 - - 사천왕사지 151
<회랑지 익랑지> 위 치 동 서회랑지 : 동 서탑의 심초석에서 각각 약 19m 남회랑지 : 금당지의 중심에서 약 44.6m 남쪽 익랑지 : 금당지 좌우에서 회랑과 직각으로 연결 건물방 향 남향 기 단 규 모 - 기 단 토 - 축방법 외장형태 및 축방법 동회랑지 - 돌을 편평하게 깐 다음 그 위에 무문전이 놓인 상태 서회랑지 - 후대 교란되어 무문전은 확인되지 않으나 열을 맞춰 돌로 기단 마무리 동 서익랑지 - 너비 2m의 돌과 무문전으로 획한 공간이 확인, 익랑지의 적심열과 너비가 같아 익랑지로 통하는 작은 문이었을 가능성 하 초 석 익랑과 회랑이 만나는 지점에서 동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잔존 거리 약 5.2m 정도의 배수로 확인 - 바닥에 판석을 깔고 양 옆으로 전을 쌓아 올린 형태, 회랑 안쪽 공간에 고인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설로 추정 특이사항 - 배수와 ㄴ 자형으로 연결되는 분에 가로 1.11m, 세로 0.68m, 최대 두께 0.43m의 대석이 확인 동회랑지와 남회랑지가 만나는 지점 외곽에서 방형의 적심군이 확인 개 수 - 규 모 - 형 태 방형초석 설치 방법 및 특징 회랑지 - 초석은 모두 결실되었지만 적심석의 잔존상태 양호 익랑지 - 초석은 모두 결실되었으나 적심석은 잔존상태 양호 - 금당지 서편에서 작은 원형주좌 방형 초석이 확인되어 익랑의 초석일 가능성 평 면 규 모 동회랑지 : 북편 철로에 의해 일 결실, 동익랑지의 남편으로만 적심이 양호한 상태로 확인 서회랑지 : 잔존 유 1 28칸, 주칸거리는 각각 2.6m, 3.0m의 단랑, 잔존 남북거리는 80m 남회랑지 : 문지 동편으로 도리칸 13칸, 보칸 1칸의 적심 확인, 서편은 교란되어 결실 익랑지 : 9 1칸 - 주칸 거리는 약 2.6m 등간격, 동서 길이는 약 24m 형태 및 특징 - 출입시설 형태 및 특징 - 기타시설 - 출토유물 및 특 징 - 특이사항 주 칸 간 격 위 치 협 칸 어 칸 퇴 칸 전 면 - - - 측 면 - - - 익랑지는 금당지의 동서계단과 열을 같이 하고 있는데 금당지의 계단이 후대에 축소되었던 것으로 추정한다면, 익랑이 금당 초창과 동시에 축되었는지, 중수될 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검토 필요 무문전과 이형와 시설 - 서익랑지와 서회랑지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남쪽으로 약 17m 지점의 서회랑지 적심 사이에서 무문전과 이형화를 이용하여 만든 특수시설이 확인 - 무문전(26 18cm)을 횡으로 6열, 종으로 5열을 놓고 그 위에 다양한 크기의 이형와(직사각형)로 무문전 끝분에 맞춰 두르고, 그 뒤에 다시 이형와를 덧대어서 마무리 152 Ⅱ-1. 한국_신라
사진 6 _ 서익랑지 전경 사진 7 _ 서회랑지 서익랑지 전경 사진 8 _ 익랑지 적심시설 사진 10 _ 동익랑지 추정 계단 사진 9 _ 동회랑지 전경(북에서) 사진 11 _ 서회랑지 내 무문전 이형와 출토상태 사천왕사지 153
1-13. 신라 감은사지 感 恩 寺 址 위 치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1번지 일대 입 지 연대산에서 서남쪽으로 뻗은 지맥의 산기슭 창 건 신문왕 원년(682) 연 혁 배치형식 사 비 고 三 國 遺 事 卷 第 2 孝 善 第 2 萬 波 息 笛 條 - 신라 신문왕 원년(682) 第 三 十 一 神 文 大 王 諱 政 明 金 氏 開 耀 元 年 辛 巳 七 月 七 日 卽 位 爲 聖 考 文 武 大 王 創 感 恩 寺 於 東 海 邊 ( 寺 中 記 云 文 武 王 欲 鎭 倭 兵 故 始 創 此 寺 木 畢 而 崩 爲 海 龍 其 子 神 文 立 開 耀 二 年 畢 排 金 堂 石 切 下 東 向 開 一 穴 乃 龍 之 入 寺 旋 繞 之 備 蓋 遺 詔 之 葬 骨 處 名 大 王 岩 寺 名 感 恩 寺 後 見 龍 現 形 處 名 利 見 臺 ) 제31대 신문대왕의 위는 정명이며 성은 김씨로서 개요 원년 신사 7월 7일에 즉위하였다. 아버지 문무대왕을 위하여 동해변에 감은사를 창건하였다. 사중기에는 이렇게 말하였다. 문무왕이 왜병을 진압하려고 하여 이 사찰을 짓다가 마치지 못하고 붕어하여 해룡이 되었는데, 그 아들 신문왕이 즉위하여 개요 2년에 공사를 마쳤다. 금당 밑에 섬돌을 파고 동쪽으로 향하도록 하나의 멍을 내었으니 이 멍으로 용이 금당으로 들어와서 서리게 하였다. 대개 왕이 내린 유소로써 뼈를 묻은 곳을 대왕암 이라 하였고, 절의 이름을 감은사 라 하였다. 뒤에 용의 현형을 본 곳을 이견대 라 이름 지었다. 三 國 史 記 망제를 지낸 기사(777, 864년) 三 國 史 記 卷 第 38 雜 志 第 7 職 官 上 感 恩 寺 成 典 景 德 王 改 爲 修 營 感 恩 寺 使 院 後 復 故 衿 荷 臣 一 人 景 德 王 改 爲 檢 校 使 惠 恭 王 復 稱 衿 荷 臣 哀 莊 王 改 爲 令 上 堂 一 人 景 德 王 改 爲 副 使 惠 恭 王 復 稱 上 堂 哀 莊 王 改 爲 卿 ( 一 云 省 卿 置 赤 位 ) 赤 位 一 人 景 德 王 改 爲 判 官 後 復 稱 赤 位 靑 位 一 人 景 德 王 改 爲 錄 使 後 復 稱 靑 位 史 二 人 景 德 王 改 爲 典 後 復 稱 史 경덕왕 때 수영 감은사 사원으로 고쳤는데, 후에 다시 원래대로 하였다. 금하신은 1인을 두었으며, 동왕 시에 고쳐서 상당 1인을두었 으며, 경덕왕이 사로 하였다가 혜공왕이 다시 금하신으로 호칭을 바꾸었고, 애장왕 때에 이르러서는 영으로 고쳤다. 적위 1인을 두었 으며, 경덕왕이 고쳐 판관으로 삼았다가 후에 다시 적위로 칭하였다. 청위 1인을 두었으며, 경덕왕이 고쳐 녹사로 삼았다가 후에 다시 청위로 불렀다. 사는 2인을 두었으며, 경덕왕이 고쳐 전으로 삼았다가 뒤에 다시 사로 불렀다. 2탑 1금당식(동 서석탑) 기관(사자) 기 간 결 과 출토유물 보고서(참고문헌) 1979 금당, 강당지 사 암수막새 등 월성군 국립경주문화재연소, 1997, 1979 가람 중심와 회랑외곽 암수막새 등 感 恩 寺 發 掘 調 査 報 告 書. 문화재연소 1980 동 중금당지 정밀사 암수막새 등 출입시설 성 - 릉 말단에 위치하며 대종천에 석축을 쌓고 사찰로 올라오도록 계단을 만듦 도면 1 _ 창건 가람배치도 도면 2 _ 1차 중건 가람배치도 도면 3 _ 2차 중건 가람배치도 154 Ⅱ-1. 한국_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