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Part. 01 중의 중약 제2기 국의대사 발간사 018 중의 이비인후과의 개척자 간쭈왕 幹 祖 望 006 제2기 국의대사 선정과정 034 중의 남과 男 科, 중의 체질학 창시자 왕치 王 琦 008 제2기 국의대사 30인 명단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신계내과학(1).indd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S. Y. Ryu et al 15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본 연구의 대상은 東 醫 壽 世 保 元 辛 丑 本 新 定 太 陰 人 病 應 用 要 藥 二 十 四 方 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 의 저서인 北 韓 保 健 省 간행 東 武 遺 稿, 東 醫

4최종-『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_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hwp

<40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12DBABBB9AE34C2F7C6EDC1FD2E687770>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328C3D6C1BE292E687770>

<C3CAC1A DC1DFB1B92E68777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Jkafm093.hwp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Microsoft Word - ¹®¼�3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ok.

untitled

토픽 31호( ).hwp

hwp

DRSRDH_2008_v22n5_1147.hwp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32C2F7B1B3C1A4292E687770>

- 2 -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3120B1E8B1D9BFEC2D31C2F7C6EDC1FD DB1B3C1A4BFCFB7E E292E687770>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3(2)-10-이승호(대황)

³»Áö_10-6

CR hwp

동합니다. 손, 발의 작은 관절이나 고관절은 잘 침범하지 않으며 항염증제로 즉각적으로 증상 이 소실됩니다. 심근염은 소아 환자의 40~80% 정도에서 나타나며, 단순히 심장박동이 약간 빠 른 빈맥에서부터 심하게는 심장에 침범되어 심부전까지 나타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untitled

(지도6)_(5단원 156~185)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32322D33C8A32DBEC8C0CCBAF1C0CEC8C4B0FAC7D0C8B8C1F62E687770>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Jksvs019(8-15).hwp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½Ç°ú¸Ó¸®¸»¸ñÂ÷ÆDZÇ(1-5)¿Ï

26권 4호-11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3035B1E8BFECC7FC2E687770>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한의학(漢醫學) - 1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01¸é¼öÁ¤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71 논문( ).hwp

[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醫藥分業 實施에 따른 院外 電子處方傳達시스템 構築 方案

LEE Kyung-Lock : The Publication of Hyangyakjipseongbang and the Chosŏnization of the Chinese medicine 다. 경험방을 두루 채집한다는 것은 고려시대 향약의 전통 지식을 최대한 계 승하겠다는

1. 경영대학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01.내지완완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hwp

2002report hwp

빈면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4 Çмú_±â¼ú±â»ç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152*220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연구노트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Microsoft Word - BRHCCMLSDNIQ.doc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DBPIA-NURIMEDIA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¾Æµ¿ÇÐ´ë º»¹®.hwp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닥터큐3.indd

<C0CEC5CDB3DD20B1B3BEE7B0ADC1C220BBFDC8B0BCD3C0C720C7D1C0C7C7D020315B315D2E32B0AD2E687770>

º´¹«Ã»Ã¥-»ç³ªÀÌ·Î

구 분

338 T. K. Kang et al 多 發 하므로 足 太 陽 經 第 二 線 을 取 穴 하여 先 瀉 血 하여 壓 痛 點 을 消 失 하도록 해야 된다고 하였다. 수근관절 염좌에 대한 선행 연구로는 이 등 11) 의 수근관절 염좌 환자의 임상연구가 있고, 권 등 10) 의

Transcription:

중의약 계승과 창신의 상징 中 國 제2기 國 醫 大 師 명로중의의 귀중한 학술 사상과 의술의 소실 방지 계승을 위해 지정된 명의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 BEIJING TRADITIONAL MEDICIN RESEARCH INSTITUTE

CONTENTS Part. 01 중의 중약 016 004 제2기 국의대사 발간사 018 중의 이비인후과의 개척자 간쭈왕 幹 祖 望 006 제2기 국의대사 선정과정 034 중의 남과 男 科, 중의 체질학 창시자 왕치 王 琦 008 제2기 국의대사 30인 명단 050 060 중의 문헌학의 태산북두 쑨광룽 孫 光 榮 노년성 질환 및 전염병 중의치료 대가 류즈밍 劉 志 明 072 국학 國 學 과 국의 國 醫 의 결합, 중의 종류 치료의 명인 류상이 劉 尚 義 086 중의뇌병 腦 病, 중의면역학 전문가 만가생불 萬 家 生 佛 류쭈이 劉 祖 貽 108 중의 부인과를 현대화의 길로 이끌어온 최초의 여성 국의대사 류민루 劉 敏 如 122 중의 신장병학의 선구자 장다닝 張 大 寧 134 평맥변증 平 脈 辨 證 학술대표인 정전중의 精 典 中 醫 리스마오 李 士 懋 152 중의경전과 임상의 융회관통 融 會 貫 通 리진융 李 今 庸 170 폐의 치료는 온법을 떠날 수 없다. 현대 중의 폐병 치료의 설계자 홍광샹 洪 廣 祥 184 정기운약 正 氣 運 藥 학설 과 약력판정공식 을 제기한 현대 중의 방제학의 비조 돤푸진 段 富 津 202 신안의학 新 安 醫 學 서씨내과 전승인 쉬징스 徐 經 世 212 중의약관리국 설립의 산파, 말초혈관질환 치료의 대가 탕쭈쉬엔 唐 祖 宣 230 중의 부인과 전문가 송자관음 送 子 觀 音 샤구이청 夏 桂 成 242 풍사 風 邪 이론을 정립한 폐질환 중의치료의 대가 차오언샹 晁 恩 祥 254 중의 피부과의 독립을 제창하고 실현한 쉬안궈웨이 禤 國 維 268 중의와 중약의 의약원융 醫 藥 圓 融 을 제창한 국약태두 國 藥 泰 鬥 진스위안 金 世 元 중국 제2기 국의대사 는 한국한의학연구원 북경사무소와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가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이 발표한 제2기 국의대사 후보자 주요 성취 소개 을 기본 텍스트로 하고, 국의대사 관련 도서와 논문,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획득한 자료의 내용을 종합하여 번역, 정리하였습니다. 참고자료 목록은 책 뒷부분에 수록해 두었습니다. 1. 중국 인명표기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이전은 우리 한자 발음대로, 그 이후는 현대 중국어 발음대로 표기하였습니다. 2. 직역( 直 譯 )위주로 번역하였으며 문장의 뜻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 의역도 일부 결합하였습니다.

Part. 02 서의출신 중의사 278 280 292 304 312 실험과 검증을 통한 중의 과학화, 중서의결합 심혈관내과 전문가 롼스이 阮 士 怡 청궁의안 淸 宮 醫 案 을 정리한 중서의 결합 심뇌혈관병 대가 천커지 陳 可 冀 만성신장병 중서의결합 치료의 대표 의가 정신 鄭 新 중서의결합 외과의 개척자 상더쥔 尚 德 俊 Part. 03 침구, 추나편 324 326 338 352 362 378 석씨상과 4대 전승인, 중의상과 명의 스양산 石 仰 山 성뇌개규 醒 腦 開 竅 침법의 창시자, 귀수신침 鬼 手 神 針 스쉐민 石 學 敏 중의정골과 중의골상학의 백미 류바이링 劉 柏 齡 대약 對 藥 을 정리하고 대혈 對 穴 이론을 창시한 뤼징산 呂 景 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중국 침구 대표성 전승인 궈청제 郭 誠 傑 Part. 04 민족의 392 394 404 412 위구르의약 초대 국의대사 바헤이 위쑤푸 巴 黑 玉 素 甫 장의약의 전승과 창신을 주도해온 시장 西 藏 장의의원 명예원장 잔두이 占 堆 몽고의학 기초이론과 의학사를 정립한 온침술의 대가 지거무더 吉 格 木 德 421 참고문헌

004 중국 제2기 국의대사 발간사 중국은 최근들어 중의약( 中 醫 藥 ) 중심의 표준화 선점 사업 추진 등 중의약 표준화, 세계화를 위하여 국가 차원의 활발한 활동 뿐 만 아니라 대내적으로도 중의약 기초연구의 지원 확대, 중의약 산업 및 교육 육성 방안 발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의약 지원 정책을 실시 하고 있습니다. 그와 더불어 중의약의 우수성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중국 내 중의 임상과 학술발전에 큰 공로를 세운 중의대가( 中 醫 大 家 )를 선정하여 국의대사( 國 醫 大 師 ) 칭호를 부여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09년에 제1기 국의대사 30인을, 2014년 7월에 제2기 국의대사 30인을 선정 발표하였 습니다. 선정된 국의대사의 학술 사상과 임상 의술은 가감없이 중국내 후학들에 의해 회자되고 응용, 활용되면서 중의약의 우수성을 계승 발전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최고의 중의대가를 국가 차원 에서 선정하여 발표하는 만큼 국민들의 중의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신뢰가 견고해지는 등 중의약에 대한 긍정적인 홍보 파급효과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005 본 서적은 제2기 국의대사로 선정된 30인의 학술 사상과 주요 연구 내용, 대표 경험방 및 임상 사례 등을 수집 조사하여 수록한 것으로, 한의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임상가에는 연구 아이디어 창출, 임상 응용 등 여러 방면에서 도움이 되고, 한창 수학 중인 한의대생들에게는 중국 중의약 대가들의 사상과 경험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끝으로 中 國 제2기 國 醫 大 師 발간을 주관한 한국한의학연구원 북경사무소와 방대한 양의 자료 조사와 번역을 함께 해 준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 연구원들의 노고에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2014년 12월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이 혜 정

006 중국 제2기 국의대사 선정과정 중국의 국의대사 선정제도는 명로중의 名 老 中 醫 의 귀중한 학술 사상과 의술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이를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제도이다. 선정기관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 중의약관리국 3개 기관이며, 국의대사로 선정되면 성부급 선진공작자 와 노동모범 에 준하는 대우(명예칭호와 특별수당)를 받게 된다. 선정기관에 서는 매 5년마다 각 직할시와 성 省 으로 부터 국의대사 후보를 추천받아, 다방 면의 검증을 거쳐 당대 중국 최고의 중의사 30명을 선발한다. 국의대사의 주요 선정 기준은 의덕, 임상경력 및 해당영역에서의 업적이며, 선정과정은 공개, 공평, 공정을 원칙으로 2심 3공시 (2번 심사하고 3번 공시함) 제도를 통해 결정된다. 2009년 30인의 제1기 국의대사 가 발표된 후, 국의대사 칭호는 신중국수립 이후 중의약계의 가장 큰 명예가 되었고, 중의계의 덕예겸비를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다. 지난 5년 동안 1기 국의대사들은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 없이 내놓으며 중의약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고 이러한 희생을 바탕으로 중의약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제고되었고 전승과 창신이 한 단계 전진하였다. 제2기 국의대사 선정은 2013년 10월 시작되었으며, 중국 전역에서 총 133명의 후보가 추천되었다. 2014년 6월, 31개 성시와 신장 新 疆 생산건설병단 등 7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국의대사 선정, 표창 지도소위원회 는 2차에 걸친 심사를 통해 최종대상자를 30인으로 압축하고 명단을 발표하였고, 이들은 일정 기간의 공시를 거쳐 제2기 국의대사로 확정되었다.

007 제2기 국의대사의 구성상 특징은, 첫째, 30인 가운데 3인의 민족의(장의티베트의, 몽고의, 위구르의)와 1인의 여성 중의사가 포함되었다. 둘째, 30인의 평균연령은 81세이고 연령범위는 68세에서 102세까지이다. 셋째, 전공범위가 확대되어 내과, 외과, 부인과, 이비인후과, 골상과, 침구과, 중약 및 민족의학(장의, 몽고의, 위구르의)을 포함하게 되었다. 넷째, 22개 지역단위(성, 시, 자치구)에서 국의대사가 배출되어 1기의 17개 지역단위보다 대폭 확대되었다. 특히 베이징, 상하이에서 추천한 국의대사의 수가 현저히 줄고 성, 자치구에서 추천한 국의대사의 비중이 커졌다. 다섯째, 4인의 서의사 출신 중의사와 2인의 원사가 포함되었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2기 국의대사 선정과정에서는 임상경력 기준을 1기의 55년에서 50년으로 줄여서 비교적 느슨하게 적용하고, 그 대신 기층 및 임상 일선에서의 공적 을 중시하였다. 이는 1기 국의대사의 경우, 상당수의 후보자가 도제제도를 거쳐 10대에 임상을 시작 했지만, 2기 국의대사는 정규 학교과정을 마친 후 20대 중반에 임상을 시작한 의가 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이었다. 국의대사가 확정된 이후 가장 논란이 되었던 것은, 베이징에서 추천한 후보 가운데 예상외로 많은 수의 후보가 탈락된 것과 서의 출신 중의가 4인이나 포함된 것이다. 이는 중의약의 전국적 발전 과 중서의결합 이라는 정책 방향을 확고히 하려는 의도가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첫 번째 여성 국의대사와 위구르의 국의대사, 1인의 중약사가 포함된 것도 화제가 되었다. 이는 중의약의 내함과 외연을 확대 하려는 목적의식이 작용한 결정으로 보이며, 조선의 국의대사가 배출될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국의대사가 선정되면 중의약계에서는 한바탕 찬사와 비평의 말잔치가 벌어지고 그 과정에서 늘 국의대사 무용론이 등장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국의대사로 선정된 인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그들의 의론, 의화가 널리 알려지면서 논쟁은 잠잠해진다. 2기 국의대사까지 중국 중의약의 의덕과 의술을 대표하는 60인의 의가가 선정 되었다. 5년 후, 그 자리에 오를 의사가 지금 어디에서 어떤 환자를 돌보고 또, 무엇을 연구하고 있을지 궁금하다.

제2기 국의대사 선정은 2013년 10월 시작되었으며, 중국 전역에서 총 133명의 후보가 추천되었다. 2014년 6월, 31개 성시와 신장 新 疆 생산건설병단 등 7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국의대사 선정, 표창 지도소위원회 는 2차에 걸친 심사를 통해 최종대상자를 30인으로 압축하고 명단을 발표하였고, 이들은 일정 기간의 공시를 거쳐 제2기 국의대사로 확정되었다.

중국 제2기 국의대사 30인

010 01 중의 / 중약 01 간쭈왕 幹 祖 望 중의 이비인후과 - 중의 이비인후과의 개척자 - 점막병증 변증법, 십강변증 十 綱 辨 證 창립 02 왕치 王 琦 중의 남과, 내분비과, 내과 - 중의 체질학, 남과학 창시 - 중의 복진법 중건 重 建, 중의 장상학 확립 03 쑨광룽 孫 光 榮 중의 내과, 중의 문헌학 - 삼각약물조합 角 藥 을 통한 의난잡병 치료 - 중의약 과학화 및 세계화에 공헌 04 류즈밍 劉 志 明 중의 내과, 전염병과 - 뇌혈관 질환, 노년성 질환, 전염병 중의치료 및 예방 - 종간신론치 從 肝 腎 論 治 현훈팔법 眩 暈 八 法 창립 05 류상이 劉 尚 義 중의 종류과 - 악성 종양 중의 변증론치 창립, 신장 치료를 중심으로 내상잡병 치료 - 다양한 학과와 중의학 교차접목

011 06 류쭈이 劉 祖 貽 중의 내과, 뇌병 및 면역과 - 중의 뇌병 변증론치 체계 육인변치 六 因 辨 治 완성 - 면역 관련 질환 치료원칙 확립 07 류민루 劉 敏 如 중의 부인과 - 택기론치 擇 期 論 治 를 활용한 부인과 질환의 체계적 치료 - 중의 부인과 관련 신약개발 08 장다닝 張 大 寧 중의 신장병과 - 중의 신장병 개념 및 변증론치 기본규율 확립 및 규범화 - 심-신축 심계통학설 心 腎 軸 心 系 統 學 說, 신허혈어론과 보신활혈법 등 신이론 제시 09 리스마오 李 士 懋 중의 내과, 심혈관내과 - 맥진 脈 診 을 중심으로 한 진단과 변증 - 온병학 이론과 한법 汗 法 을 활용한 의난잡병 치료 10 리진융 李 今 庸 중의 내과, 문헌학 - 중의경전 연구 및 교육 - 140여 병종에 대한 증형분류

012 11 홍광샹 洪 廣 祥 중의 내과, 호흡과 - 온법을 이용한 만성폐질환의 치료 - 중의 호흡기계통 질환 신약개발 12 돤푸진 段 富 津 중의 내과, 방제학 - 방제학, 중약학 이론 기초 확립 - 암, 비증, 위완통, 현훈 등 의난잡병에 대한 방제의 운용 13 쉬징스 徐 經 世 중의 내과, 소화과, 내분비과 - 서씨내과 이론 정립 - 의난잡병 치료의 새로운 관점 제시 14 탕주쉬엔 唐 祖 宣 중의 내과, 혈관, 내분비과 - 주요 말초혈관 질환 치료 방안 제시 - 혈전병 치료제 개발 15 샤구이청 夏 桂 成 중의 부인과 - 심-신-자궁 3축 학설 창립 - 생체리듬에 따른 부인과 질병 치료 원칙 제시

013 16 차오언샹 晁 恩 祥 중의 내과, 호흡과 - SARS, 신종플루 등 전염병의 치료 - 호흡기계통 상견 질병에 대한 중의진료지침 제정에 공헌 17 쉬안궈웨이 禤 國 維 중의 피부과 - 중의약을 이용한 난치성 피부질환 치료 - 피부과 질환 치료 중의 신약 개발 18 진스위안 金 世 元 중약과 - 현대 중약학, 감별학, 포제학, 제조학의 이론적 기초 확립 - 중성약 임상 사용 변증론치 02 서의출신 중의사 19 롼스이 阮 士 怡 중의 심혈관내과, 서의 출신 중의사 - 중 서의 결합 심혈관 질환 치료 - 중의사상을 응용한 다수의 신약 개발 20 천커지 陳 可 冀 중의 심혈관내과 - 심혈관 질환 중서의결합 치료 신이론 창립 - 병증결합 病 證 結 合 임상 진료 모델 창시

014 21 정신 鄭 新 중의 신장병과, 응급의학과, 심혈관과 - 신장의 치미병 治 未 病 학술사상 제창 - 중서의 결합 신장병 치료 및 신약 개발 22 샹더쥔 尚 德 俊 중서의결합 외과, 혈관과 - 중서의 결합 혈관질환(ASO,TAO 등) 치료 - 중국 최초로 외과 영역에서 변증론치 규칙정리 03 침구, 추나편 23 스앙산 石 仰 山 중의 상과 傷 科 - 석씨상과 삼십이자 三 十 二 字 치병사상 확립 - 상과 내상 상용 인경약대 引 經 藥 對 정리 24 스쉐민 石 學 敏 중의 침구과 - 종합 중풍치료법 석씨중풍치료요법 개발 - 성뇌개규 醒 腦 開 竅 침법 발명 25 류바이링 劉 柏 齡 중의 골상과 - 중의 골상 수법 정리 및 증상에 따른 수기 매뉴얼 확립 - 관절, 연조직, 뼈 질환 치료 내/외 치법 확립

015 26 뤼징산 呂 景 山 중의 침구과 - 대약 對 藥, 대혈 對 穴 이론 창립 - 무통침법, 동보행침법 同 步 行 針 法 개발 27 궈청제 郭 誠 傑 중의 침구과 - 유벽 乳 癖 의 네 가지 변증분형 제시 - 유벽 침구치료 방안 제시 04 민족의 28 빠헤이 위쑤푸 巴 黑 玉 素 甫 위구르족 민족의 - 위구르의학 집대성 및 위구르의학 신약개발 - 이상흑담질 사상 정리 및 활용 29 잔두이 占 堆 장족(티베트) 민족의 - 장의약 집대성 및 장약 신약개발 - 중국 내 장의약 보급과 발전에 기여 30 지거무더 吉 格 木 德 몽고족 민족의 - 내몽고의학 기초이론 정리 및 몽고의학사 정리 - 몽고의약 신약개발과 온침술 임상활용

016 國 醫 大 師 2

017 중의 중약 018 중의 이비인후과의 개척자 간쭈왕 幹 祖 望 170 폐의 치료는 온법을 떠날 수 없다. 현대 중의 폐병 치료의 설계자 034 050 중의 남과 男 科, 중의 체질학 창시자 왕치 王 琦 중의 문헌학의 태산북두 쑨광룽 孫 光 榮 184 홍광샹 洪 廣 祥 정기운약 正 氣 運 藥 학설 과 약력판정공식 을 제기한 현대 중의 방제학의 비조 돤푸진 段 富 津 060 노년성 질환 및 전염병 중의치료 대가 류즈밍 劉 志 明 202 신안의학 新 安 醫 學 서씨내과 전승인 쉬징스 徐 經 世 072 국학 國 學 과 국의 國 醫 의 결합, 중의 종류 치료의 명인 류상이 劉 尚 義 212 중의약관리국 설립의 산파, 말초혈관질환 치료의 대가 탕쭈쉬엔 唐 祖 宣 086 중의뇌병 腦 病, 중의면역학 전문가 만가생불 萬 家 生 佛 류쭈이 劉 祖 貽 230 중의 부인과 전문가 송자관음 送 子 觀 音 샤구이청 夏 桂 成 108 122 134 중의 부인과를 현대화의 길로 이끌어온 최초의 여성 국의대사 류민루 劉 敏 如 중의 신장병학의 선구자 장다닝 張 大 寧 평맥변증 平 脈 辨 證 학술대표인 정전중의 精 典 中 醫 리스마오 李 士 懋 242 254 268 풍사 風 邪 이론을 정립한 폐질환 중의치료의 대가 차오언샹 晁 恩 祥 중의 피부과의 독립을 제창하고 실현한 쉬안궈웨이 禤 國 維 중의와 중약의 의약원융 醫 藥 圓 融 을 제창한 국약태두 國 藥 泰 鬥 진스위안 金 世 元 152 중의경전과 임상의 융회관통 融 會 貫 通 리진융 李 今 庸

018 幹 祖 望 간쭈왕 중의 이비인후과의 개척자 약력 1912년 상하이시 上 海 市 진산구 金 山 區 출생 1956년 장쑤성중의원 江 蘇 省 中 醫 院 (현 난징중의약대학 부속병원)에서 근무 1972년 장쑤성중의원에 전국 최초로 중의이비인후과 설치 1987년 중화중의약학회 이비인후과 분회를 설립하고 초대 주임 역임 현 장쑤성중의원 연구소, 성 省 중의원, 난징중의약대학 교수 수상경력 1985년 장쑤성 江 蘇 省 정부 우수교사상 1996년 제1회 전국노중의약전문가 학술경험 계승사업 지도교사 2006년 중화중의약학회 중의약전승 특별공로상 2005년 과학기술부 명로중의 학술사상 및 임증경험 전승연구 100명 에 선정 2011년 장쑤성 江 蘇 省 의사종신명예상 수상 2014년 제2기 국의대사 대표저서 및 논문 저서 1956년 중의이비인후과학 中 醫 耳 鼻 咽 喉 科 學, 인민위생출판사 1983년 간교 우씨후과 幹 校 尤 氏 喉 科, 강소과기출판사 1985년 중의이비인후과학 中 醫 耳 鼻 咽 喉 科 學,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89년 중의후과학 中 醫 喉 科 學, 광명일보출판사 1992년 간쭈왕 중의오관과 경험집 幹 祖 望 中 醫 五 官 科 經 驗 集, 강소과학기술출판사 1999년 간씨 이비인후구강과학 幹 氏 耳 鼻 咽 喉 口 腔 科 學, 강소과학기술출판사 1999년 간쭈왕 이비인후과 의안선수 幹 祖 望 耳 鼻 咽 喉 科 醫 案 選 粹, 인민위생출판사 2012년 간쭈왕 의화 幹 祖 望 醫 話, 인민위생출판사

2 019 간쭈왕 幹 祖 望 생년월일 출생지 민족 전공 소속 1912년 9월 상하이시 上 海 市 진산구 金 山 區 한족 중의 이비인후과 난징 南 京 중의약대학 교수 논문 이비인후과 경방 운용의 몇 가지 경험, 강소중의잡지, 1983 중의의 이명, 난청에 대한 인식과 대처, 중급의간, 1984 몇 종류의 후과질병에 대한 나의 인식과 경험, 상해중의약잡지, 1958 과민성비염의 변증시치, 강소의약, 1976 후원성 喉 源 性 해소 증치, 중의잡지, 1992 후원성 喉 源 性 해소 병인학 조사 및 병리생리학기초, 요녕중의잡지, 1995 만성비염 비분비물 SigA함량과 기허의 상관성연구, 중국중서의결합이비인후과잡지, 1999 과학기술적 성과 업적요약 전국 최초로 중의 이비인후과 전문 진료를 시작하고, 전문교재인 중의이비인후과학 中 醫 耳 鼻 喉 科 學 집필한 중의이비인후과의 개척자 1980년부터 6회에 걸쳐 100여명의 중의이비인후과 전문가를 양성 1999년 중의이비인후과 이론체계를 정리한 간씨 중의 이비인후구강과학 幹 氏 中 醫 耳 鼻 咽 喉 口 腔 科 學 출판 사진 四 診 방법에 사진 查 診 을 추가한 오진 五 診 체계와 십강변증 十 綱 辨 證 을 제안 이비인후과의 주요 증상인 점막병증을 변증하는 십변 十 辨 체계 완성 신약개발 신약개발(짱수성중의원 江 蘇 省 中 醫 院 의 원내 중성약) - 비연합제 鼻 淵 合 劑 - 삼매함편 蔘 梅 含 片 - 환청환 還 聽 丸 비연합제 鼻 淵 合 劑, 삼매함편 蔘 梅 含 片, 환청환 還 聽 丸 등 신약 개발 다체증 多 涕 症 과 후원성해소 喉 源 性 咳 嗽 개념을 도입하고 치법을 제시

020 생애 Biography 간쭈왕 幹 祖 望 선생은 1912년 상하이시 上 海 市 진산현 金 山 縣 에서 태어났다. 5세부터 강남의 유명한 남사사자 南 社 四 子 ( 邵 力 子, 柳 亞 子, 姚 石 子, 姚 蓬 子 )중 하나인 한학자 요석자 姚 石 子 에게서 17세까지 13년간 사서오경 四 書 五 經, 이소 離 騷, 사기 史 記, 당송 8대가의 문장 등 한학을 공부했으나, 우연한 기회에 중의를 공부하게 되었다. 당시 그는 그림에 소질에 있어 상하이 미술전문학교에 입학하게 되었고, 친구인 루씨 陸 氏 는 부친의 바람으로 저장성 浙 江 省 자산현 嘉 善 縣 의 명의 중따오셩 鍾 道 生 에게서 중의를 공부하게 되어 있었다. 중의학에 전혀 관심이 없던 친구는, 서로 전공을 바꿔서 한학을 공부했던 간쭈왕이 중의를 공부하고 자신이 미술을 공부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하여 간쭈왕은 1929년 (17세)부터 외과 外 科 와 후과 喉 科 질병을 잘 고치는 명의 중따오셩에게서 4년간 중의를 공부한다. 1933년(21세)부터 상하이 진산현 金 山 縣 과 송장현 松 江 縣 등지에서 환자를 보기 시작한 간 선생은 1951년 상하이 송장현 청샹 제4 연합진료소 城 廂 第 四 聯 合 診 所 에 중국에서 처음으로 중의이비인후과 를 개설하였다. 그는 1952년, 베이징에서 현대 이비인후과 검사 방법을 공부하였다. 1956년 장쑤성중의원 江 蘇 省 中 醫 院 (현 난징 중의약대학 부속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중국 최초로 중의이비 인후과학 中 醫 耳 鼻 咽 喉 科 學 을 집필하고 상하이의 신중의약 新 中 醫 藥 잡지에 이를 연재한다. 1972년 장쑤성중의원에 전국 최초로 의원 내에 중의이비인후과 를 설치하였으며, 간 선생의 노력으로 이 병원은 현재 위생부의 중의이비인후과 중점 병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그는 병원에 상음병 嗓 音 病, 과민성비염 過 敏 性 鼻 炎 전문클리닉을 개설했으며 자신의 경험방을 이용한 비연합제 鼻 淵 合 劑, 삼매함편 蔘 梅 含 片, 환청환 還 聽 丸 등 신약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선생은 1980년 부터 5년간 6회에 걸쳐 진수반을 통해 100여명의 중의이비인후과 전문가를 양성 하였으며, 1985년에는 중의약대학 정규교재인 중의이비인후과학 中 醫 耳 鼻 咽 喉 科 學 을 집필하였고, 1987년에 중화중의약학회 이비인후과 분회를 설립하고 초대 주임을 맡았다. 학술사상을 살펴보면, 그는 전통적인 사진 四 診 방법에 사진 查 診 (검사) 을 추가한 오진 五 診 체계와 팔강변증체계에서 음양 陰 陽 을 빼고 표본 標 本 과 체용 體 用 을

2 021 추가한 십강변증 十 綱 辨 證 을 제안하였고, 이비인후과의 주요 증상인 점막병증을 변증하는 십변 十 辨 즉, 변색택 辨 色 澤, 변동통 辨 疼 痛, 변종창 辨 腫 脹, 변종괴 辨 腫 塊, 변반점 辨 斑 點, 변궤란 辨 潰 爛, 변가막 辨 假 膜, 변양 辨 癢, 변농혈 辨 膿 血, 변기미 辨 氣 味 의 변증체계를 완성하였다. 또한 백출은 인후로 가지 않는다 白 朮 不 入 喉 科 는 통념을 깬 건비익기법 健 脾 益 氣 法 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비위학설, 후 喉 의 생리기능을 정리한 상음학설 嗓 音 學 說, 병인이 질병을 초래하는 중간 과정에 중개증 中 介 證 이 존재한다는 중개증 中 介 證 학설, 온양법 溫 陽 法 을 이용한 과민성 비염치료, 이병 耳 病 은 신 腎 을 치료하고 비병 鼻 病 은 폐 肺 를 치료한다. 는 통념을 깬 이롱치폐 耳 聾 治 肺, 비색치심 鼻 塞 治 心 학설을 제창하였다. 폐실폐허증 肺 實 肺 虛 證 을 실음 失 音 의 원인으로 보고 금실불명, 금파불명 金 實 不 鳴, 金 破 不 鳴 론으로 치료하던 기존 치법의 한계를 넘어 소담화어법 消 痰 化 瘀 法 을 이용하여 실음을 치료하고, 장부보사 臟 腑 補 瀉 의 방법으로 사리 瀉 離 ( 淸 心 火 ), 전감 填 坎 ( 補 腎 水 ), 벌진 伐 震 ( 平 肝 陽 ), 윤태 潤 兌 ( 潤 肺 燥 ) 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체증 多 涕 症 과 후원성해소 喉 源 性 咳 嗽 라는 병종 개념을 도입하여 이 병종을 교재에 싣기도 하였다. 간 선생은 30여수의 경방(상한처방)을 이용한 풍부한 이비인후과 질병 치료경험을 정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보비승양청인탕 補 脾 升 陽 淸 咽 湯, 탈민탕 脫 敏 湯, 단청삼갑산 丹 靑 三 甲 散, 오미자합제 五 味 子 合 劑 등 많은 경험방을 창안하였다. 그는 400여 편의 논문과 의서를 저술했는데, 주요 저서로는 중의이비인후과학 中 醫 耳 鼻 咽 喉 科 學, 남경 현존 중의서목 초고 南 京 現 存 中 醫 書 目 初 稿, 간교 우씨 후과 幹 校 尤 氏 喉 科, 중의 후과학 中 醫 喉 科 學, 간쭈왕 중의오관과 경험집 幹 祖 望 中 醫 五 官 科 經 驗 集, 손사막 평전 孫 思 邈 評 傳, 간쭈왕 의화 幹 祖 望 醫 話, 간씨 이비인후구강과학 幹 氏 耳 鼻 咽 喉 口 腔 科 學, 간쭈왕 이비인후과 의안선수 幹 祖 望 耳 鼻 咽 喉 科 醫 案 選 粹 등이 있다. 1985년 장쑤성 江 蘇 省 정부로부터 우수교사상 을 수상하였고, 1996년 제1회 전국 노중의약전문가 학술경험 계승사업 지도교사로 선정되었으며, 2003년 중화중의약 학회 종신이사로 추대되었고, 2005년에는 과학기술부의 명로중의 학술사상 및 임증경험 전승연구 대상 100명의 중의학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06년

022 중화중의약학회 중의약전승 특별공로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장쑤성 江 蘇 省 의사 종신명예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 제2기 국의대사 로 선정되었다. 학술사상과 임상사로( 思 路 ) 1. 진단과 변증 1) 오진학설 五 診 學 說 이비인후과 질병은 오관 五 官 에 특징적인 병증이 나타나는데, 전통적인 사진 四 診 방법만으로는 종종 진단에 한계가 있다. 간 선생은 광학, 음향, 전자, 화학 등 현대의학의 검사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사진 查 診 을 추가하여 망 望, 문 聞, 문 問, 절 切, 사 查 의 오진 五 診 체계를 확립하였는데, 이는 오진을 통해 기존 사진 四 診 의 한계를 극복하여 중의진단의 수준을 제고하자는 의도에서였다. 단, 검사 결과는 중의적으로 해석하여 중의진단의 특색을 유지하였다. 예를 들어, 과거 의가 들은 금실불명 金 實 不 鳴, 금파불명 金 破 不 鳴 을 성음시아(실음) 聲 音 嘶 啞 의 병기 病 機 로 인식하였지만, 사진 查 診 을 해보면 이것은 실제로는 성대결절, 성대폴립 등으로 인한 것으로, 이는 폐실폐허증 肺 實 肺 虛 證 에 속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소담화어법 消 痰 化 瘀 法 으로 치료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2) 십강변증 十 綱 辨 證 음양 陰 陽, 표리 表 裏, 한열 寒 熱, 허실 虛 實 의 팔강변증 八 綱 辨 證 은 중의 변증 강령이다. 그러나 간 선생은 이를 다르게 이해하였다. 소문 素 問 음양응상대론 陰 陽 應 象 大 論 에서 서술하는 음양에 대해, 간 선생은 음 陰 과 양 陽 2강은 너무 추상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대응할 방법이 없어 다른 6강과 같이 배열해서는 안된다. 고 생각한 것이다. 한편 급즉치표 急 則 治 標, 완즉치본 緩 則 治 本 은 복잡한 상황에서 주차선후 主 次 先 後 를 파악하는 준칙이고, 체병 體 病 은 수술을 고려하고 용병 用 病 은 약치 藥 治 를 견지하므로, 변증 시 명확한 체용 體 用 의 분별은 치법을 확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간 선생은 음양을 뺀 6강에 표본 標 本 과 체용 體 用 을 더한 표리 表 裏, 한열 寒 熱, 허실 虛 實, 표본 標 本, 체용 體 用 의 십강변증 十 綱 辨 證 을 주장하였다.

2 023 표본 標 本 에 대해서 간 선생은 중병 重 病, 구병 久 病 은 본이고 경병 輕 病 과 폭병 暴 病 은 표이며, 병의 주 主 는 본이고 차 次 는 표이며, 만성병 慢 性 病 과 급성병 急 性 病 이 동시에 존재할 때 만성은 본이고 급성은 표이며, 신병 新 病 과 구병 舊 病 이 동시에 존재할 때 구병은 본이고 신병은 표라고 파악하였다. 사람과 병의 관계 에서 사람은 본이고 병은 표이며, 병인에 있어서 내인 內 因 은 본이고 외인 外 因 은 표로 보았다. 체용 體 用 은 본체 本 體 와 작용 作 用 을 가리키는 것임으로, 질병에 있어서는 기능성 질병 과 기질성 질병 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과도하게 목을 사용하여 성대의 충혈수종 充 血 水 腫 이 발생하면, 용 用 의 병증에 속해 중약을 복용 하는 것이 좋은 치료 방안이지만, 성대결절은 체 體 의 병증에 속하므로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3) 점막병증 粘 膜 病 證 십변 十 辨 점막의 병변은 이비인후과 진료에서 주요한 증상이며 이것의 변증은 매우 중요하다. 간 선생은 오랜 경험을 토대로 점막병증 십변 十 辨 즉, 변색택 辨 色 澤, 변동통 辨 疼 痛, 변종창 辨 腫 脹, 변종괴 辨 腫 塊, 변반점 辨 斑 點, 변궤란 辨 潰 爛, 변가막 辨 假 膜, 변양 辨 癢, 변농혈 辨 膿 血, 변기미 辨 氣 味 의 변증체계를 완성했다. 변궤란 辨 潰 爛 을 예로 들면, 궤란 潰 爛 이 혀에 있으면 대개 심화상염 心 火 上 炎 혹은 심비적 열 心 脾 積 熱 이며, 입술 唇, 뺨 頰, 입천정 齶, 잇몸 齦 등에 있으면 대개 위화 胃 火 와 비허 脾 虛 에 속한다. 새로운 궤란은 화열 火 熱 로 인해 발생할 때가 많고 오래된 궤란은 비허 脾 虛, 습탁 濕 濁, 습열상증 濕 熱 上 蒸 에 속한다. 궤란의 색이 황 黃 이면 열 熱 증이고 백 白 또는 회 灰 이면 허 虛 증이다. 궤양주위에 충혈이 있으면 열 熱 이고 담 淡 하면 한 寒 이다. 변반점 辨 斑 點 의 경우, 반점이 홍색과 백색이 같이 존재하면서 홍색이 두드러지면 열 熱 에 속하고, 미란 糜 爛 이 같이 존재할 때는 습탁상증 濕 濁 上 蒸 에 속하며 각질화가 진행되었다면 어혈 瘀 血 에 속한다. 비색 鼻 塞 변증에서, 만약 비갑개가 비대하고 점막이 담홍 淡 紅 하며 수축이 양호 하면 대부분 풍한습폐 風 寒 襲 肺 증이고, 점막이 선홍 鮮 紅 이면 풍열범폐 風 熱 犯 肺 증이며, 점막이 자암 紫 暗 이고 수축이 불량하면 어류 瘀 留 이고, 점막이 담백 淡 白 하고 비대가 뚜렷하지 않으면 기혈양허 氣 血 兩 虛 이며, 점막이 창백 蒼 白 하고 재채기와 맑은 콧물이 동반되면 대부분 폐한위허 肺 寒 衛 虛 증으로 변증한다.

024 중의 중약 4) 상음학설嗓音學說 간 선생은 후喉는 오속五屬이 있다. 무형無形의 기氣로 논하면, 심心은 음성 音聲의 주主이고, 폐肺는 음성의 문門이며, 비脾는 음성의 본本이고, 신腎은 음성의 근根이다. 유형有形의 질質로 논하면, 성대聲帶는 간肝에 속하고 폐기 肺氣의 지원으로 떨리며, 가성대(false vocal cord)는 비脾에 속하고 기혈氣血의 유양濡養으로 움직이며, 후두개와 피열은 양명陽明에 속하며 윤상피열관절 (cricoarytenoid joint)은 간신肝腎에 속한다., 음조音調는 족궐음足厥陰에 속하고 간기肝氣의 강겁剛怯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며, 음량音量은 태음太陰에 속하고 폐肺의 강약強弱에 의해 대소가 구별되며, 음색音色은 족소음足少陰에 속하고 신腎의 성쇠盛衰에 의해 윤고潤枯가 나타나며, 음역音域은 족태음足太陰에 속하고 비脾의 영휴盈虧에 의해 넓고 좁음이 정해진다. 간강肝剛, 신성腎盛, 비영脾盈 하면 단전丹田의 기가 충만하여 소리가 우렁차다 는 내용으로 상음학설嗓音學 說을 제시하여 중의적 후喉의 생리이론을 밝혀냈다. 2. 병인병기 : 중개증中介症 학설學說 간 선생은 치병致病요인이 질병을 초래하기까지에는, 필연적 으로 일련의 과정이 존재하고, 이 과정에 증證 이 생성되고 병病 이 출현한다고 생각했다. 간 선생은 이 과정을 중개증中介症 이라 명명하고 중개증 가설 을 제시하였다. 중개증은 증證 의 범주에 속하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증證 과는 다른 질병 병리과 정의 추상적 개념이다. 중개증은 병인病因과 증후證候표현 사이의 중간매개로서 간 선생은 병사病邪가 인체장부에 미치는 영향정도에 따라 3부류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으로 외감육음外感六淫의 직접적인 치병致病을 1급 중개증, 내상칠정內傷 七情의 치병致病증후와 육음의 치병이 이뤄진 후 전화轉化하여 발생하는 증후 (예: 풍생조風生燥, 한생열寒生熱) 그리고 계속적인 치병요인(담음, 어혈)에 의한 치병致病을 2급 중개증, 병세가 위독한 임종할 즈음의 증후(예:독입심포毒入心包, 대한망양大汗亡陽, 기수혈탈氣隨血脫 등)를 3급 중개증으로 분류하였다.

중의약 계승과 창신의 상징 ; 중국 제2기 국의대사 025 이 분류는 동태분석과 병인병기病因病機에서 치법견방용약治法遣方用藥까지의 통일성을 강조한 것으로, 치료 시 1급 중개증은 거사祛邪위주로 치료하고, 2급 중개 증은 장부기능의 조화調和위주로 치료하며, 3급 중개증은 긴급치료하도록 하여 임상용약에 있어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3. 치법 1) 이비인후과 4대 치법(공攻, 화和, 보補, 창搶) 간 선생은 이비인후과의 치법을 공, 화, 보, 창 4법으로 분류하였다. 공攻 법은 거사祛邪법으로 유사무허有邪無虛의 상황에서 사용하는 구사해표驅邪解表, 통부 공하通腑攻下, 거한온중祛寒溫中, 청열해독淸熱解毒, 이습화탁利濕化濁, 소담 消痰, 청장부화淸臟腑火 등의 방법을 포함한다. 화和 법은 장부의 음양기혈진액陰陽 氣血津液을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무사무허無邪無虛 혹은 유사유허有邪有虛의 승강문란升降紊亂,간위불화肝胃不和등에서사용하는조화기기調和氣機,승발청양 升發淸陽,선통개규宣通開竅,치영리혈治營理血,이기산결利氣散結,산삽수렴酸澀 收斂,치본제담治本制痰,치비제습治脾制濕,개육울開六鬱,완장조緩藏躁등의방법 이다. 보補 법은 수보修補하는 방법으로 무사유허無邪有虛의 상황에서 사용하는 보기혈補氣血, 보폐補肺, 보신補腎, 보심補心, 보비補脾, 양진養津 등의 방법이다. 창搶 은 창구搶救의 방법으로 심각한 유사유허有邪有虛의 상황에서 사용하는 겁담해질劫痰解窒, 해독호심解毒護心, 회양고탈回陽固脫 등의 치료법이다. 2) 이비인후과 비위학설 간 선생은 이동원李東垣의 비위학설이 이비인후과에서 매우 실용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만성인염은 종비론치從脾論治 (비장으로부터 논치함)해야 한다는 관점을 견지했으며, 실제로 보중익기탕으로 만성인염을 치료하여 백출은 인후로 들어가지 않는다白朮不入喉科 라는 통념을 깨고, 건비익기법健脾益氣法 으로 비염, 중이염 등을 치료하였다. 보중익기탕과 삼령백출산의 합방으로 만들어 진 그의 만성인염치료 경험방 보비승양청인탕補脾升陽淸咽湯 을 통해 그의 학 술사상을 엿볼 수 있다.

026 3) 온양법 溫 陽 法 을 이용한 과민성비염 치료 고대에는 과민성비염에 대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간 선생은 환자의 콧물이 청희 淸 稀 하고 추울 때 가중되는 특징을 근거로 온양보신법 溫 陽 補 腎 法 으로 과민 성비염을 치료하였다. 훗날 이 방법은 과민성비염 중의치료에서 가장 상용하는 방법이 되었다. 4) 이롱치폐 耳 聾 治 肺, 비색치심 鼻 塞 治 心 이병 耳 病 은 신 腎 을 치료하고, 비병 鼻 病 은 폐 肺 를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간 선생은 일부 이롱 耳 聾 환자에게 코막힘과 콧물이 동반될 때 삼요탕 三 拗 湯 을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는데, 이것은 왕맹영 王 孟 英 이 온열경위 溫 熱 經 緯 에서 밝힌 이롱치폐 耳 聾 治 肺 에 부합하는 것이다. 또한 심경 心 經 으로 들어가는 활혈화어약 活 血 化 瘀 藥 을 사용하여 만성비후성비염을 치료하였는데 이것은 유완소 劉 完 素 가 소문병기기의보명집 素 問 病 機 氣 宜 保 命 集 에서 주장한 비색치심 鼻 塞 治 心 의 관점과 부합하는 것으로 새로운 치법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5) 상용 인경약 간 선생은 인경약을 즐겨 사용하는데 이병 耳 病 에는 주로 고정차, 하고초를 사용하고, 비병 鼻 病 에는 신이화 辛 夷 花, 백지 白 芷 를 사용하며, 인병 咽 病 에는 마발 馬 勃 을 사용하고, 후병 喉 病 에는 사간 射 幹 을 사용하며, 길경은 인 咽 과 후 喉 모두에게 사용하고, 구강에는 승마 升 麻 를 사용한다. 6) 사리전감 瀉 離 填 坎, 벌진윤태 伐 震 潤 兌 간 선생은 간양 肝 陽 은 쉽게 항진하고, 폐음 肺 陰 은 쉽게 허 虛 하며, 심화 心 火 는 쉽게 왕성해지고, 신수 腎 水 는 쉽게 휴 虧 하므로 청심화 淸 心 火, 보신수 補 腎 水, 평간양 平 肝 陽, 윤폐조 潤 肺 燥 하는 것이 장부보사 補 瀉 의 상용법이라 하였다. 그리고 심 心, 신 腎, 간 肝, 폐 肺 를 각각 8괘의 이 離, 감 坎, 진 震, 태 兌 에 대응시켜 사리 瀉 離, 전감 填 坎, 벌진 伐 震, 윤태 潤 兌 로 4법을 명명하였다.

2 027 4. 후원성해소 喉 源 性 咳 嗽 와 다체증 多 涕 症 간 선생은 후원성해소 喉 源 性 咳 嗽, 다체증 多 涕 症 이라는 새로운 질병 개념을 제시하고 이 병종을 교재에 실었다. 그는 인후질병이 해소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이를 후원성해소 라 명명했다. 후원성해소의 주요증상은 마치 개미가 기어 다니는 듯 인부 咽 部 가 간지럽고 이물감이 있으며 마른기침을 한다. 인후의 가려움으로 기침이 유발되고 기침을 해도 개운하지 않으며 연속적으로 기침하며 가래가 없고 오래토록 낫지 않는다. 기침할 때 기침이 성문 聲 門 의 위쪽에서 시작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매일 수차례 기침을 하고, 심하면 한 시간 내에도 수차례 하는 등이다. 이는 보통 내과의 기침과 다르며, 중의의 건해 乾 咳, 창해 嗆 咳 와 비슷하다. 치료는 소풍 疏 風, 청폐 淸 肺, 윤조 潤 燥 법을 이용하고 삼요탕 三 拗 湯 가미방으로 치료한다. 다체증 多 症 은 아동이나 노약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콧물량이 많아서 코를 풀어도 멈추지 않고, 아동의 콧물은 대개가 황탁 黃 濁 하고 백색 白 色 이 적으며, 노인은 청희 淸 稀 하다. 식사할 때 콧물량이 더 증가한다. 아동은 대개가 실증임으로 사백산 瀉 白 散 과 창이자산 蒼 耳 子 散 을 합방하여 치료하고, 노인은 대개가 비신양허 脾 腎 陽 虛 하여 폐비 肺 脾 를 온양 溫 養 하지 못해 발생하므로 숙천환 縮 泉 丸 을 주로 사용한다. 5. 경방의 이용 1 계지탕 : 과민성비염, 재채기, 맑은 콧물과 분비물, 점막에 창백한 수종, 혈액 검사에서 호산성과립구(eosinophil granulocyte)증가, 설태는 박 薄 하고 맥은 부 浮 하며, 기온이 내려갈 때 증상이 악화되면 계지탕을 사용한다. 2 계지거작약가부자탕 桂 枝 去 芍 藥 加 附 子 湯 : 심각한 폐한 肺 寒 에 의해 초래된 다체증 多 涕 症, 과민성비염, 코막힘에 본 처방을 사용하여 폐기 肺 氣 를 조절하고 원양 元 陽 을 진작시킨다. 3 소건중탕, 황기건중탕 : 맑은 콧물이 멈추지 않는 만성비염, 다체증, 과민성 비염의 허한형 虛 寒 型 에 속하는 경우에는 그 원인이 대개 위기불고 衛 氣 不 固,

028 중기부족 中 氣 不 足, 양기부진 陽 氣 不 振 이다. 이때는 소건중탕이 특효방제이며, 약효를 더 강화하려면 황기건중탕을 사용한다. 4 갈근금련탕 葛 根 芩 連 湯 : 만성비전정염은 사실 대수롭지 않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잘 낫지 않는다. 본 처방은 해독청리 解 毒 淸 裏 하여 이 병에 효과가 아주 좋다. 5 백호탕, 백호가인삼탕 : 백호탕은 급성인염 咽 炎 으로 표증이 없고 열이 있으며 인부 咽 部 통증, 입냄새, 구건, 구갈 더불어 작열 灼 熱, 이물감, 변비, 인후점막의 미만성충혈 등이 있을 때 사용한다. 백호가인삼탕은 만성인염의 건조진고 乾 燥 津 枯, 충혈과 코피에 사용한다. 6 감초건강탕 : 한폐실음 寒 閉 失 音, 한폐후풍 寒 閉 喉 風 은 한사 寒 邪 가 폐경 肺 經 에 직중 直 中 해서 발생한다. 이때는 허한 虛 寒 증상, 백태 白 苔, 맥침세 沉 細 외 특별한 다른 증상은 없다. 온중거한 溫 中 去 寒 하는 감초건강탕으로 치료한다. 7 마행석감탕 : 이 처방은 후풍 喉 風 즉, 급성후염 喉 炎 에 효과가 아주 좋다. 이 밖에 인백후 咽 白 喉 에도 사용하는데 이때는 반드시 용량을 늘려야 한다. 8 계지가갈근탕 : 전염성 단핵구증가성 후두염에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9 오령산 : 급만성 카타르성 중이염, 급성 화농성 중이염에서 열증이 이미 사라진 후 농성 膿 性 분비물이 많을 때 본 처방을 사용한다. 두통이 없고 하얀 콧물이 많으며 코막힘이 심하지 않으면서 후각이 둔감한 부비동염에도 상용하며, 습탁 내증 濕 濁 內 蒸 에 의한 구강병에도 사용한다. 10 진무탕 : 비병 鼻 病 에는 양기쇠약 陽 氣 衰 弱 증이 많이 나타난다. 물 같은 콧물이 끊임없이 나오고 코점막이 창백할 때 본 처방을 사용한다. 재발성 구강염이 오래 동안 낫지 않는 경우 대개가 중주허랭 中 州 虛 冷 에 속하는데 이때 본 처방을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대량의 코피로 인해 망양 亡 陽 증이 나타날 때 본 처방 으로 온양 溫 陽 할 때는 반드시 대량의 인삼을 가미한다. 11 치자백피탕 : 급성인후염은 오래되었다 할지라도 대개가 실증이다. 심한 통증, 소작감 燒 灼 感, 건조, 갈증 혹은 가려움, 변비가 있고 설태가 박황 薄 黃 이며, 미만성 충혈이 있고 인두 후벽에 림프여포증식이 있을 때 본 처방을 사용한다. 12 선복대자탕 : 본 처방은 보기평간 補 氣 平 肝, 화담강역 化 痰 降 逆 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히스테리성 인후 이물감의 치료에 사용한다. 반하후박탕도 있지만 이 증상을 치료함에 있어서 강역 降 逆 하는 기능은 본 처방이 훨씬 낫다.

2 029 13 감초탕, 길경탕 : 가장 유명한 후과 喉 科 상용처방으로 다른 약재들과 같이 배오 하여 사용한다. 14 사역탕 : 대량의 코피로 기수혈탈 氣 隨 血 脫, 양기고진 陽 氣 告 盡 이 있을 때 사용 한다. 인삼을 가미한다. 15 죽엽석고탕 : 재발성 구강염은 일반적으로 중토허약 中 土 虛 弱, 비기부진 脾 氣 不 振 과 동시에 심열, 폐열, 위열 등 오지 五 志 의 화 火 가 존재하여, 허실 虛 實 이 같이 나타나는 사례가 가장 많다. 이런 종류의 구강염에 죽엽석고탕이 가장 적합 하다. 16 이중탕 : 중궁허랭 中 宮 虛 冷 에 의해 발생하는 재발성 구강염에 본 방이 적합하다. 17 방기황기탕 : 카타르성 중이염의 분비물은 중의의 관점에서 패진부액 敗 津 腐 液 의 담 痰 이라고 할 수 있다. 만성기에 접어들면 필연적으로 허증이 동반되며, 담의 정체, 기기허체 氣 機 虛 滯, 규 竅 의 조색옹체 阻 塞 壅 滯 등이 필연적으로 나타 난다. 처방에서 방기는 담과 결기옹종 結 氣 壅 腫 을 없애고 구규 九 竅 를 이롭게 하는 작용 이 있기 때문에 본 처방은 만성카타르성 중이염에 가장 적합하다. 18 계지부자탕 : 이 처방은 한성 寒 性 턱관절염, 음증 陰 證 악골골수염 頜 骨 骨 髓 炎 초기의 치료에 적합하다. 19 백합지모탕, 백합지황탕 : 만성비염, 만성인염, 만성후염에 걸린 환자가 조 燥 증이 심할 때 사용한다. 허화 虛 火 를 동반할 때는 백합지모탕, 위화 胃 火 를 동반할 때는 백합지황탕을 사용한다. 20 감초사심탕 : 베체트병이나 재발성구강염에 사용한다. 산조인탕 : 만성인염, 건조성인염, 비염, 위축성인염 그리고 일부 이롱 耳 聾, 이명, 메니에르병 특히 도한 盜 汗 과 실면 失 眠 등을 동반할 때 적합한 처방이다. 사간마황탕 : 인후가 먼저 가렵고 그 다음 기침을 유발하는 특징을 가진 인후염에 의한 해소 咳 嗽 를 치료한다. 원방에서 사간, 마황, 자완, 반하, 관동화를 사용하며, 오미자와 세신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력대조환 : 코막힘 위주의 만성비염을 치료하는 전용 처방이다. 실증에 사용 하면 효과가 좋다. 허인 虛 人 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맥문동탕 : 만성인염, 인부 咽 部 반사민감 反 射 敏 感 이 있을 때, 분비물의 자극에 의해 오심, 구토가 발생하면 사용한다. 만성인염에서 오심, 구토가 뚜렷하지 않을 때는 반하를 뺀다.

030 택사탕 : 초기 카타르성 중이염에서 현훈 眩 暈 이 있을 때 본 처방을 가감하여 사용한다. 황토탕 : 장기적, 반복적으로 코피가 나고 출혈량은 많지 않으며 점막이 창백 하고, 몸이 차고, 허리가 시큰하며 소변이 잦고 권태롭다. 심할 때 여명설사 또는 부종이 있다. 맥이 침지미약 沉 遲 微 弱 하고 설은 박태 薄 苔 이며 설질이 수담 瘦 淡 할 때는 황토탕이 적합하다. 복룡간을 구하기 어려울 때는 적석지로 대체한다. 사심탕 : 이비인후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화농성의 급성염증을 치료한다. 계지복령환 : 성대폴립의 소산제 消 散 劑 로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곤포, 해조, 와릉자, 모자고, 감초, 길경 등의 소담약 消 痰 藥 을 반드시 가미한다. 반하후박탕 : 매핵기에 사용하지만 효과가 안정적이지 못하다. 감맥대조탕 : 히스테리성 인후 이물감 외에 환청증, 환각증, 히스테리성 실음 失 音 과 실청 失 聽 에도 효과가 있다. 국의대사 경험방 1. 보비승양청인탕 補 脾 升 陽 淸 咽 湯 조성 태자삼(당삼)10g, 백출10g, 복령10g, 진피10g, 감초3g, 백편두10g, 산약12g, 승마3g, 길경6g 용법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2회복용 공효 보비익기승양 補 脾 益 氣 升 陽 주치 만성인염의 비허음화증 脾 虛 陰 火 證 방해 본 처방은 보중익기탕과 삼령백출산을 합방한 것으로 보비익기 補 脾 益 氣, 승양 升 陽, 생진 生 津 한다. 시호는 승양 升 陽 의 기능이 있지만 겁간 劫 肝 의 폐해가 있어서 길경으로 대체하였다. 비위 脾 胃 는 후천지본 後 天 之 本 으로 기혈생화지원 氣 血 生 化 之 源 이며 비 脾 는 기육사지 肌 肉 四 肢 를 주관하고 동시에 승청강탁 升 淸 降 濁 하는 특징이 있다. 간 선생은 인 咽 의 점막 또한 기육 肌 肉 의 일부이며 인후는 진액의 자양이 필요하다 라고 생각하였다. 만약 비기가 건강하고 왕성하면 생진 유원 生 津 有 源 하며 정미 精 微 의 운화가 정상이고 산정상승 散 精 上 承 하여 인후 咽 喉 가 유윤 濡 潤 된다. 그러나 비위가 허약하면 생화핍원 生 化 乏 源 하여 정미가 상승 하지 못하고 구건 口 乾, 인후미통 咽 燥 微 痛, 인후 이물감 등이 출현한다. 그래서

2 031 본 처방은 건비익기 健 脾 益 氣 위주로 조성되었으며, 이동원 李 東 垣 의 비위학설이 이비인후과에서 매우 실용가치가 있다고 주장한 간 선생의 학술사상을 잘 드러낸 처방이라 하겠다. 가감 심화항성 心 火 亢 盛 에는 죽엽, 백모근, 등심초, 생지 등을 가미하고, 비허 습성 脾 虛 濕 盛 에는 곽향, 패란, 창출, 신곡, 맥아, 비허담성 脾 虛 痰 盛 에는 패모, 천죽 황, 소자, 폐음허 肺 陰 虛 를 동반할 때는 숙지, 사삼, 백합, 현삼, 이지환, 기울 氣 鬱 을 동반할 때는 소경 蘇 梗, 불수, 지각, 어체 瘀 滯 를 동반할 때는 당귀미, 택란엽, 도인, 홍화, 공노엽, 기허가 있고 환자가 위약할 때는 황기, 방풍, 여두의 등을 가미 한다. 하모, 여, 44세 임상사례 1년 전 부터 인부 咽 部 가 불편하고 지금까지 낫지 않는다. 인부에서 비인강까지 건조통증, 소작감 燒 灼 感, 화랄감 火 辣 感, 이물감이 있다. 마른음식을 잘 삼키지 못 한다. 가래는 많지 않으나 잘 뱉어지지 않는다. 아침에는 온수를 마시고, 오후에는 목은 건조하지만 물 마시기를 싫어한다. 새벽에 위창통 胃 脹 痛 이 있고 수면이 좋지 않으며 꿈을 많이 꾼다. 평소 찬바람을 싫어하고 기온이 내려가면 양측 무릎관절이 아프다. 인부의 충혈은 뚜렷하지 않으며 소혈관 小 血 管 이 확장되어 있다. 인후벽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비인 鼻 咽 에 다른 병변은 없다. 설태는 박백 薄 白 하고 설질은 반눈 胖 嫩 하며 치흔이 있고 맥은 세현 細 弦 하다. 진단 간 선생은 본 환자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선천적으로 약한 사람으로 인묘 시 寅 卯 時 에 위창통이 있는데, 이것은 동방목왕 東 方 木 旺 으로 목극토 木 克 土 한 것이 다. 종기 宗 氣 가 채워지기 어렵고 위기불고 衛 氣 不 固 하므로 추위를 탄다. 비토 脾 土 가 쇠약하여 청양 淸 陽 이 하함 下 陷 함으로서 정미를 올려 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인후부 에 건조통증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하면 물을 찾기 마련인데 오후에는 물 마 시기를 거절하는 것으로 보아, 이는 진정한 진액고갈과는 다른 상황이다. 설질의 반눈 과 치흔으로 보아 비허 脾 虛 가 틀림없다. 이동원의 치토 治 土 법을 따른다. 처방 : 당삼10g, 복령10g, 산약10g, 백편두10g, 백출6g, 길경6g, 불수6g, 승마3g,

032 감초3g. 7첩을 처방하였다. 재진 때 모든 증상이 뚜렷하게 호전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원방을 가감하여 35첩을 복용하고 나았다. 2. 탈민탕 脫 敏 湯 조성 자초10g, 천초 茜 草 10g, 묵한련10g, 선태3g, 지룡10g 용법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2회 복용 공효 양혈소풍 涼 血 疏 風, 탈민지체 脫 敏 止 嚏 주치 일반 과민성비염의 상용처방. 그러나 중증이나 병증이 복잡한 경우에는 약력이 부족함. 방해 이 처방은 과민성비염의 어열 瘀 熱 을 치료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천초는 양혈 지혈 涼 血 止 血, 행혈거어 行 血 祛 瘀 하고, 자초는 청열해독 淸 熱 解 毒, 양혈투진 涼 血 透 疹 하여 소양 瘙 癢 을 다스리며, 한련초는 양혈지혈 涼 血 止 血, 자보간신 滋 補 肝 腎 한다. 이들은 혈분으로 들어가 양혈해독 涼 血 解 毒, 화어지혈 化 瘀 止 血 하고, 비염 의 가려움증을 제거한다. 선태는 소풍 疏 風 하고 지룡은 진정 鎮 靜 작용이 있다. 유모, 남, 38세, 보일러공, 1983년 2월 14일 초진 임상사례 수 년간 비염이 있어 창이자산, 옥병풍산, 청금화담탕 淸 金 化 痰 湯 등으로 치료를 받았으나 잠시 효과가 있는 듯하다 다시 재발하였다. 비강이 매우 간지럽고 코막 힘이 있으며 재채기가 심하고 콧물이 멈추지 않는다. 콧물은 황색 黃 色 이며 가끔 자색 紫 色 의 혈사 血 絲 가 섞여 나오고 약간 악취가 난다. 후각이 감퇴하였고 이마 에 자통 刺 痛 이 있으며 목소리가 낮고 탁하다. 비점막에 암홍 暗 紅 의 수종이 있다. 좌측 Little's area에 미란이 산재한다. 설은 자홍 紫 紅 이며 설태는 박윤황 薄 潤 黃 하 고 맥은 약간 삭 數 하다. 진단 과민체질로 고온환경에서 근무하면서 양열 陽 熱 의 기 氣 를 받아 유발된 것 으로 폐경 肺 經 의 어열 瘀 熱 이 비규 鼻 竅 를 공격한 것이다. 경악전서 景 嶽 全 書 에도 폐에 열이 있으면 콧물이 나온다 肺 熱 則 鼻 涕 出 고 하였다. 청폐탈민 淸 肺

2 033 脫 敏 법으로 치료해야 하며 탈민탕 脫 敏 湯 에 청폐 淸 肺 효능의 약재를 가미한다. 처방 : 천초, 자초, 한련초, 황금, 산치자, 상백피, 위피 猬 皮, 비파엽, 벽옥산 각 10g을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5일간 복용한 후 모든 증상이 호전되었다. 재채기가 감소하고 Little's area의 미란이 축소되었으며 설태는 박 薄 하다. 폐열이 제거되었지만 정기가 부족한 증상이다. 탈민탕에 옥병풍산을 합 방하였다. 천초, 자초, 한련초, 가자육, 생황기 각 10g, 백출, 방풍 각 6g 을 10첩 처방하였다. 모든 증상이 치료되었다. 재발을 막기 위해 다시 옥 병풍산을 5g씩 매일 3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3. 단청삼갑산 丹 靑 三 甲 散 조성 삼릉6g, 아출6g, 천산갑10g, 토별충10g, 선태3g, 별갑10g, 곤포10g, 해조10g, 도인10g, 홍화10g, 적설초10g 용법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2회로 나눠 복용 공효 파기소어 破 氣 消 瘀, 공견화담 攻 堅 化 痰 주치 성문 聲 門 의 만성병, 성대의 오랜 수종이나 종창 방해 삼릉, 아출은 탕기파혈 蕩 氣 破 血, 준맹공견 峻 猛 攻 堅 한다. 토별충 역시 파 혈적 破 血 積, 공견결 攻 堅 結 한다. 별갑은 산결파어 散 結 破 瘀 한다. 이들의 공효는 유사하지만 충류약이 식물약보다 약효가 강하다. 천산갑을 더해 통경찬락 通 經 竄 絡 하게 하였다. 곤포, 해조는 소담퇴종연견 消 痰 退 腫 軟 堅 한다. 도인, 홍화, 적설 초는 활혈화어 活 血 化 瘀 한다. 선태를 소량 사용하여 약물의 가벼운 성질을 빌어 양성개음 揚 聲 開 音 하도록 하였다. 가감 기체 氣 滯 가 심할 때는 구향충, 지각을 가미하고, 혈어 血 瘀 가 심한 때는 오 령지, 왕불유행을 더하며, 완담 頑 痰 이 심한 때는 백개자, 내복자, 천패모를 가미 한다. 충혈이 심한 때는 포공영, 금은화, 중루를 더한다.

034 王 琦 왕치 중의 남과 男 科, 중의 체질학 창시자 약력 1943년 장수성 江 蘇 省 가오유시 高 郵 市 에서 출생 장수 1962년 장수 가오유시 인민의원에서 임상시작 1977년 전국중의연구반 졸업 1978년 중의과학원 1기 중의석사생반 입학 1980년 제1회 중의연구원 중의내과 연구생과정 졸업 1994년 2001년 중국중의약보사 부사장 겸 부주편 2003년 중화중의약학회 중의체질분회 주임위원 2009년 중화중의약학회 중의 체질분류와 판정 작성 발표 2011년 국가중의약관리국 중의체질학파 대표인물 제2, 3, 4기 전국 노중의약전문가 학술경험 계승사업 지도교사, 중국의사협회 이사, 베이징중의약대학 종신교수, 영국 황실의학회 회원, 국제중의체질연구소 주석 등 역임. 수상경력 2005년 중화중의약학회 저작상 1등상 2007년 국가과학진보상 2등상 국가중의약관리국 전국우수중의 임상인재 연구항목 우수 지도교사 2011년 베이징시 과학기술상 1등상, 중화중의약학회 기술발명상 1등상 베이징중의약신화전승( 3+3 공정) 공헌상 2013년 중국 과협 전국 우수과학기술자, 중화중의약학회 이시진 의약 창신상 2014년 제 2기 국의대사 대표저서 및 논문 저서 1988년 중의 남과학 中 醫 男 科 學, 천진과기출판사 1994년 중의 복진 中 醫 腹 診, 학원출판사 1995년 중의 체질학 中 醫 體 質 學, 인민위생출판사

2 035 왕치 王 琦 생년월일 출생지 민족 전공 소속 1943년 2월생 장수성 江 蘇 省 가오유시 高 郵 市 한족 중의내과, 남과, 중의 체질학 베이징 北 京 중의약대학 1997년 왕치 남과학 王 琦 男 科 學, 하남과학기술출판사 중의 장상학 中 醫 臟 象 學, 인민위생출판사 2005년 고등중의학원 창신교재 중의체질학 中 醫 體 質 學, 인민위생출판사 2006년 중의 내과 임증비요 中 醫 內 科 臨 證 備 要, 중의고적출판사 2007년 중의 치미병 해독 中 醫 治 未 病 解 讀, 중국중의약출판사 2010년 9종 체질 사용 수첩/명의 양생 전해 九 種 體 質 使 用 手 冊 / 名 醫 養 生 全 解, 북방부녀아동출판사 2012년 중의 경전 연구와 임상 中 醫 經 典 研 究 與 臨 床, 중국중의약출판사 논문 폐창 肺 脹 병기와 익기활혈화담법의 운용, 중국의약학보, 1995 중의 체질이론체계의 건립, 제7회 중의체질학회 연례토론회논문집, 2009 변체 辨 體 론치에 대한 논의와 변체-변병-변증 진료모델의 건립, 중의약학술발전대회논문집 2005 만성전립선염환자의 중의 체질학 특징 연구, 북경중의약대학학보, 2009 대사증후군 체질요소 병례-대조연구, 중국강복이론과 실천, 2007 기관지효천 진료 사로 연구토론, 중의약통보, 2012 2012년 7월까지, 저자 혹은 공동저자로 참가하여 출판한 저서 76부, 국내외 핵심학술기간지 학술논문 480편, SCI논문 15편 발표

036 과학기술적 성과 업적요약 중의 치미병, 중의 원창사유 제창 중의 체질학, 중의 남과학 男 科 學 창시, 중의 체질분류와 판정 정리 중의 복진 腹 診 중건 重 建, 중의 장상학 확립 소간익양교낭 疏 肝 益 陽 膠 囊, 황정찬육교낭 黃 精 贊 育 膠 囊 등 남과 전용 신약개발 및 발명특허 6개항 획득 국가급 연구프로젝트 10항목, 부서급 연구프로젝트 6항목 수행 특허 및 신약개발 특허발명특허 6건 1 양위 치료 약물 - 발명명칭 : 一 種 治 療 陽 痿 的 藥 物 - 특허신청일 : 1996년 9월 16일(신청번호 96109801.5) - 특허 공고일 : 1998년 3월 25일(공고번호 CN 1176799A) 2 남성 불임증 치료 약물 - 발명명칭 : 一 種 治 療 男 性 不 育 症 的 藥 物 - 특허신청일 : 1996년 9월 16일(신청번호 96109671.3) - 특허 공고일 : 1998년 3월 25일(공고번호 CN 1176794A) 3 변비치료약물과 그 포장 - 발명명칭 : 一 種 治 療 便 秘 的 藥 物 及 含 有 該 藥 物 的 藥 袋 - 특허신청일 : 1996년 9월 16일(신청번호 96109663.2) - 특허 공고일 : 1998년 3월 25일(공고번호 CN 1176793A) 4 항피로 남성 보건차 및 그 제조법 - 발명명칭 : 一 種 抗 疲 勞 男 士 保 健 茶 及 其 制 備 方 - 특허신청일 : 2002년 12월 11일(신청번호 02155380.7) - 특허 공고일 : 2003년 9월 10일(공고번호 CN 1440666A) 5 남성 강장영양주 - 발명명칭 : 一 種 男 士 強 壯 營 養 酒 - 특허신청일 : 2002년 12월 27일(신청번호 02159232.2) - 특허 공고일 : 2003년 6월 18일(공고번호 CN 1424392A)

2 037 6 아건강상태에 작용하는 중약제제와 그 제조법 - 발명명칭 : 一 種 幹 預 亞 健 康 的 中 藥 制 劑 及 其 制 備 方 法 - 특허신청일 : 2002년 12월 27일(신청번호 02159230.6) - 특허 공고일 : 2003년 6월 18일(공고번호 CN 1424103A) 신약개발 1 황정찬육교낭 黃 精 贊 育 膠 囊 - 주요성분 : 하수오, 황정, 구기자, 토사자, 오미자, 숙지황 등 - 적응증 :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풀리는 증상, 음낭조습, 정자 수 및 활동력 감소 - 효능 : 보신전정, 청열이습 - 제약회사 : 상해신아약업한강유한공사 2 소간익양교낭 疏 肝 益 陽 膠 囊 - 주요성분 : 질려, 시호, 봉방, 지룡, 수질, 구양충, 토사자, 오미자 등 - 적응증 : 간울신허, 간울신어와 어혈로 인한 발기부진 - 효능 : 소간해울, 활혈보신 - 제약회사 : 상해뇌충상약업유한공사

038 생애 Biography 왕치 王 琦 선생은 1943년 2월 장수 江 蘇 까오요우 高 郵 에서 출 생하였다. 1961년 임상을 시작하였고, 1980년 중의연구원 중의 내과 연구생 과정 을 졸업한 후, 주임의사, 박사생 지도교수, 제 2, 3, 4기 전국 노중의약전문가 학술 경험 계승사업 지도교사, 제1기 중의약전승 박사후 협력 지도교수, 국가 973 계 획 수석과학자 등을 역임하였으며, 국무원 정부특별수당수급전문가, 중국 과협 우 수과학기술자 등에 선임되었다. 왕 선생은 과민성 질병과 대사성 질병 및 남성과 질병의 치료에 뛰어난 능력을 발 휘해왔다. 학술방면에서는 체질변증-질병변증-증상변증 및 주병주방 主 病 主 方 의 진료모델을 제출하였고 44개 의난병의 주방 主 方 을 정리하여 출판하였다. 중의 체질학과 중의남과학 中 醫 男 科 學 을 창시하였고 소실위기의 중의 복진 腹 診 을 재건하였다. 왕 선생은 중의 체질학 연구 성과를 기초로 중의체질분류와 판정표준 을 제정하 였고, 중화중의약학회는 이 표준을 전국 173개 치미병 센터 에서 응용할 것을 결 정하였다. 왕 선생이 창조한 체질 변식법은 국가 기본공공위생 서비스규범 및 그 항목에 납입되었으며, 위생부의 의료개혁심화 관련 문건에 포함되었다. 이로써 중 의약은 국가공공위생서비스체계로 공식적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왕 선생을 대표 로 하는 중의 체질학파 는 국가중의약관리국 당대 중의 학술유파 로 지정되었고 왕치 명로중의 체질학술유파 연구 프로젝트는 베이징시 자연과학기금의 지원을 받았다. 국가중의약관리국과 베이징시는 왕치 명의전승연구실 을 설립하였다. 왕 선생은 중의약문화를 전파하고 중국의 의술와 학술사상을 세계에 보급하여 중 의약의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왕 선생은 많은 국가 지도자 와 외국 귀빈들에게 중의치료를 실시하였으며, 22개국의 초청에 응하여 강의, 진 료하였다. 중의체질학 은 일본, 한국 등에서 여러 차례 번역, 출판되었고 중의 체질측정표 는 영문, 일어, 한국어판으로 번역, 보급되고 있다. 학술연구방면에서, 왕 선생은 다수의 중대 과학연구항목을 담당하여 많은 성과를 낳았다. 그 중에는 국가급 프로젝트 10개(973항목 2건, 국가자연과학기금중점항목

2 039 1건 포함), 부서급 항목 6건, 국가급 2등상 1건, 성급1, 2등상 13건이 포함되어 있 다. 이외에도 6건의 발명특허를 획득하였으며, 저자 혹은 공동저자로 참가하여 76 부의 서적을 출판하였고, 국내외 핵심학술기간지에 학술논문 480편, SCI논문 15 편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 제2기 국의대사로 선정되었다. 학술사상과 임상사로( 思 路 ) 1. 중의 체질학 왕 선생은 1970년대에 체질학설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1982년 체질관련 이론서 중의체질학 을 공동저술하여 중의 체질학의 토대를 세 웠고, 1995년 더욱 발전된 내용의 중의체질학 을 저술하여 학과의 개념, 체질의 정의와 원리, 체질 유형 및 이론체계를 수립하였고 중의 체질 연구 수준을 한 단 계 높였다. 이로써 중의 체질학은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게 되었다. 특히 과민체질 과 비만체질에 대한 왕 선생의 연구는 세계적 수준에 이르렀으며 관련 논문과 저 서가 계속적으로 출판되고 있다. 2009년 중의 체질 측정표 및 중의 체질 분류 와 판정 이 발표되었고, 2010년 중국인 9종 체질의 비밀해제 등의 저서가 연속 적으로 출판되면서 중의 체질학은 더욱 완전해졌다. 중의 체질학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치병구본 治 病 求 本, 체질위본 體 質 爲 本, 병증위표 病 症 爲 標 체질의 치료학적 의의는 치병구본 의 체현이다. 체질은 체질성 질병의 발생 과 발전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질병, 증후의 발생은 체질과 관계되지 않는 것이 없다. 병증의 원인도 체질에서 유래한다. 그러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질병의 치료 는 치본 이라 할 수 있고 이는 체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장경악은 경악전서 景 岳 全 書 44권 卷 열집 烈 集 에서 사람과 증상의 변별에 있어 사람이 본이고 증 상이 표이다. 증은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르고 치료의 승패는 사람에 달려있다. 고로 사람이 우선이고 증은 그 다음이다. 고 하였다.

040 2) 치미병을 중시하여, 체질의 편향을 조정한다. 미병선방 未 病 先 防, 기병방변 旣 病 防 變, 병후방복 病 後 防 復 은 모두 치 미병 에 속하는 치료원칙이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증에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혹은 병에서 시작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럴 때는 사고를 확 장하여 체질 이라는 각도에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 체질 은 병과 증이 발생하는 배경이자 중요한 물질적 기초이다. 체질은 매 개체의 특정 질병요소에 대한 감응성과 질병의 경향성을 결정하고, 증후의 형성과 변화 및 질 병의 발생과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체질의 편향 상태를 개선하 면 질병의 발생, 발전을 예방할 수 있다. 3) 체질가분 體 質 可 分, 체병상관 體 病 相 關, 체질가조 體 質 可 調 유전요소의 다양성과 후천요소의 복잡성으로 인해 체질은 분명한 개체적 차 이를 나타내며, 같은 개체라도 서로 다른 단계의 체질 특징은 동태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왕 선생은 고전 문헌의 체질 관련 기록과 근, 현대의가의 체질에 대한 서 술 및 유행병학 조사를 결합하여 체질을 9종의 기본유형으로 나누었다. 체질과 질병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체질이 다르면 질병 유발요인에 대한 감수성 이 다르며, 체질은 질병의 경향성, 발병과 귀속의 표현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양허체질은 한증이 발생하기 쉽고 발병 후에도 한화 寒 化 되기 쉽다. 이와 반 대로 음허체질은 열증이 발생하기 쉽고 발병 후에 쉽게 열화가 진행된다. 노인들 은 휴손, 소아는 외감질병이 발생하기 쉽다. 체질은 안정성과 동시에 가변성을 지닌다. 적절한 간여치료를 통하면 체질의 편향 을 조정할 수 있으며 체질의 치우침을 조정하면 근본적인 차원에서 질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왕 선생은 담습 痰 濕 체질에 화담거습방 化 痰 祛 濕 方 을 사용한 임 상실험연구를 통해 체질은 조정할 수 있다는 이론을 증명하였다. 4) 변체 辨 體 -변병 辨 病 -변증 辨 證 진료모델 중의학은 예로부터 사람에 따라 적절하게 조치를 취한다는 인인제의 因 人 制 宜 의 개체화 진료사상을 강조해왔다. 또한 최근 의학모델과 건강에 대한 관념이

2 041 변화함에 따라 대중의 의학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여 체질적 특징에 따라 발 병규율을 찾는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체질 유형에 따라 개체화 진단 및 예방치료 를 진행하는 것이 유효한 치료방법이자 의학모델이 되었다. 체질, 질병, 치료가 밀 접하게 관계있다는 사실로부터 변체-변병-변증 진료모델 이 성립하였다. 변체-변병-변증 진료모델 은 체질과 질병, 증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료하 는 일종의 임상진료모델이다. 변체와 변병, 병증 3자는 차이가 있으면서도 긴밀하 게 연결되어 있다. 본 진료모델을 구체적으로 운용할 때는, 질병 예방을 체질 조정 보다 중시하거나 혹은 질병 치료를 체질 조절보다 먼저 하거나 또는 치병과 체질 조절을 동시에 하는 등 상황에 맞는 다양한 대처가 필요하다. 2. 중의 남과학 男 科 學 왕 선생은 중의 남과학의 창시인이다. 그는 최초의 중의 남과 학 전문서적인 중의 남과학 을 저술하여 남과를 독립된 임상학과로 분리하였으 며, 남과 발전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중화 중의 남과학, 왕치 남과학 등 다수의 전문서적을 저술하였다. 왕 선생이 창안한 양위 陽 痿 종간론치 從 肝 論 治 등의 이론으로 남과 중의 질병 진료에 중대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왕 선생은 남성 성기능장애, 남성불임, 전립선질병 등에 풍부한 임상경험을 지니고 있으며 발기 기능 장애를 치료하는 국가신약 소간익양교낭 과 남성 불임 치료제인 황정찬육 교낭 을 개발하여 발명특허를 획득하기도 하였다. 1) 양위 종간론치 양위는 남성의 상견병이고 발병률이 무척 높은 질병이다. 왕 선생은 종간론 치, 종어론치 등 새로운 이론을 제출하여 남과의 임상사로( 思 路 )를 확장하고 치 료 효과를 크게 높였다. 양위는 신장 에서부터 치료를 시작할 수도 있고 간장 으로 부터 치료에 착수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신장으로부터 시작하는 온신보양법이 대세를 이루었다. 그

042 러나 왕 선생은 신 에서 치료할 수 있는 환자의 비율이 전체의 1/10에 불과하고, 다수의 환자는 간 에서부터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왕 선생이 임상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25-45세의 신체 건장한 환자들에게는 온신보양법에 따른 치료를 진 행하더라도 효과가 미미하고 도리어 구설생창 口 舌 生 瘡, 치은출혈 牙 齦 出 血, 구 조인건 口 燥 咽 乾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유형 의 양위는 대다수가 울증 鬱 症 으로 인해 발병하거나 울증을 겸하는 간기울결, 간 기횡역, 간담습열, 간락혈어 등 공통적인 병인병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맥상으로 보더라도 종근 宗 筋 은 간경이 지나가는 부위에 있으므르, 만약 간맥 이 정상적으로 운행한다면 기혈이 조달되고 종근이 충윤 沖 潤 된다. 이에 왕 선생 은 전통적인 사유의 온신보양법의 한계를 돌파하는 양위 종간론치, 조화기혈, 충윤종근 등의 새로운 이론을 제출하였다. 왕 선생이 양위에 상용하는 소간익 양방 疏 肝 益 陽 方 은 간울기체형 양위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된 처방이며, 시호, 지 각, 백작약, 백지, 오공, 노봉방, 백질려, 자감초로 조성되어 있다. 소간익양방의 공효는 소간통락 疏 肝 通 絡, 기위흥양 起 痿 興 陽 이며 적응증은 간울기체로 인한 양 위, 조루 등이다. 2) 남성불임은 보신익정 補 腎 益 精, 활혈화어 活 血 化 瘀 에 청습열 淸 濕 熱 을 겸하여 치료해야 한다. 남성불임은 일반적으로 신정휴소 腎 精 虧 少 로 인식되어왔다. 왕 선생은 현 대에는 환경오염, 방사선복사, 화학물질의 침해, 병원체감염 등 과거에는 없던 여 러 원인이 정자의 질량 저하를 조성하며 그것이 임신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파 악하였다. 그래서 남성 불임증은 신허 腎 虛 뿐만 아니라 습 濕, 열 熱, 어 瘀, 독 毒, 충 蟲 도 주요한 요인이며, 보신익정, 활혈화어, 청습열법을 함께 사용해서 치료해 야 임상효과가 높아진다고 주장하였다.

2 043 3. 방제에 대한 사상 : 경방론 經 方 論, 활방론 活 方 論, 주병주방론 主 病 主 方 論 1) 경방론 왕 선생은 경방을 중시하며, 임상 처방은 주로 경방을 가감화재 加 減 化 載 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회충을 없애는 경방인 오매환 烏 梅 丸 으로 오래된 설사와 만 성결장염을 치료하고, 담삼이수 淡 滲 利 水 하는 저령탕으로 요로결석, 혈뇨를 치료 하며, 화해소양 和 解 少 陽, 청열소비 淸 熱 消 痺 의 공효를 지닌 소시호탕으로 변비를 치료하여 좋은 효과를 거두는 등이다. 왕 선생은 자신의 저서 방약활용론 에서 중경의 처방은 하나의 방제가 여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경전에 기 록된 그대로만 처방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경방의 응용은 병기가 핵심이다. 병 기를 틀어쥐면 하나로 보고 열을 알 수 있다. 고 하여, 경방사용에 있어서 병기에 근거하고 문자에 구속되지 않을 것을 주장하였다. 2) 활방론(방제활용론) 왕 선생은 경방 뿐만 아니라 명방 名 方, 전문방 專 方, 소방 小 方, 자의방 自 擬 方 을 사용할 때도 그 이유를 분명히 하여 원칙을 지키면서 융통성 있게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예를 들면, 삼자양친탕은 원래 노인의 담옹기체 痰 壅 氣 滯, 해 소기천 咳 嗽 氣 喘 등의 증상에 사용하는데, 삼자양친탕은 이기화담 理 氣 化 痰 의 공 능도 있으므로 담습 체질의 비만, 고혈지질 등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원활혈탕은 원래 상처로 인한 손상, 옆구리의 악성 종류 등으로 심한 통증이 있 을 때 사용하는 데, 활혈거어 活 血 祛 瘀, 서간통락 舒 肝 通 絡 공능이 있으므로 만성 전립선염의 골반 통증에 사용해도 효과가 좋다는 등이다. 왕 선생은 방약 활용 론 에서 경방과 시방이 모두 장점이 있으므로 어느 하나를 고집할 필요가 없고, 변증용방 辨 證 用 方 과 전병전방 專 病 專 方 은 물과 불과 같이 서로 배척할 필요가 없 으며, 복방 複 方 과 단방 單 方 은 좋은 것을 선택하여 따르면 되는 것이니 이것이 두 껍고 저것이 얇다고 할 필요가 없다. 치법과 방약의 활용은 모두 철저한 이해와 깨 달음에 달려있다. 고 강조하였다.

044 3) 주병주방론 왕 선생은 주병주방론을 주장한다. 그는 청대의 명의 서대춘 徐 大 春 의 저서 난대궤범 蘭 臺 軌 範 서 序 의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병명을 알 아야 하고, 병명을 안 다음에는 그것이 어떻게 발생하였고 원인과 병증이 어떻게 다른 가를 변별한 다음 치법을 고려해야 한다. 하나의 병에는 반드시 주방 主 方 이 있고, 하나의 병은 반드시 하나의 주약 主 藥 이 있다. 는 가르침을 따른다. 임상에 서 왕 선생은 성기능장애 치료에 소간익양교낭, 정자소약증 精 子 少 弱 症 에는 황 정찬육교낭, 단순성비만과 이상지질혈증에는 화담거습방 등을 주병주방으로 사 용한다. 4. 사승교육 왕 선생은 사승교육은 국가가 전국 명로중의약 전문가들의 귀중한 학술경험을 보호하기 위해 채택한 긴급조치 라고 생각하고 중의약 전승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나아가 좋은 학술계승인과 새로운 세대의 명의를 육성 하기 위한 구체적 요구를 제출하였다. 1 기본공 基 本 功 을 갖추어야 한다 : 학술계승인은 마땅히 경전에 두루 능통하고, 의사문철 醫 史 文 哲 을 섭렵하고 힘껏 수련하여 자신만의 재능을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각과를 두루 이해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가져야한다. 2 독창성을 가져야 하고 규율을 파악해야한다 : 독자적인 학술경험을 쌓고 학술 사상과 그 속의 규율을 파악해야 하며, 성실히 임상에 임해야 하고 임상에 정 통해야 한다. 3 계승은 4요 要 를 실천해야 한다 : 마음은 (스승과) 가까이에 두고, 발은 바삐 따 라다녀야 하며, 공부는 깊게 파야하고 기술은 정확하게 전승해야 한다.

중의약 계승과 창신의 상징 ; 중국 제2기 국의대사 국의대사 경험방 045 1. 체질변증 임상사례 1) 치병겸조체治病兼調體 - 질병 치료와 체질 조절을 겸한다. 임상사례 황모, 남성, 33세, 뇨빈尿頻 3주 초진 2004년 7월 7일. 환자는 어려서부터 체질이 허약하여 평소에도 숨이 가쁘고 활기가 없으며 감기에 자주 걸렸다. 최근 3주일 간 소변이 잦아지고 스스로 제어할 수 없어 심하면 30분 간격마다 한 번씩 화장실에 들른다. 야뇨횟수도 늘어나 숙면을 취할 수 없으며 과 로하면 제 증상이 가중된다. 설질은 담痰하고, 태는 박황薄黃하며 맥은 세細하다. 일찍이 모 병원에서 만성전립선염으로 진단받았다. 변증 환자는 기허체질氣虛體質에 속한다. 기허하여 청양清陽이 상승되지 못해 서 뇨빈이 야기된 것이며, 치료는 익기승함益氣升陷, 보중고삽補中固澀, 조체調 體를 법으로 한다. 처방 : 보중익기탕 가미방 - 황기15g, 백출10g, 당삼15g, 시호6g, 승마10g, 진피 6g, 당귀10g, 토사자15g, 보골지10g. 14첩. 수전복水煎服 2진 2004년 7월 21일 뇨빈 증상이 명확히 개선되었다. 환자는 낮 시간에는 배뇨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야 뇨는 하루 1~2회로 줄어들었다. 설은 담홍淡紅하고 태는 중황中黃하며 맥은 세 약細弱하다. 처방 : 보중익기탕 가미 - 황기10g, 백출10g, 당삼10g, 당귀10g, 진피6g, 승마6g, 시호6g, 토사자10g, 익지인10g, 자감초6g. 14첩. 수전복 3진 2004년 8월 4일 상기 처방을 복용 후 환자의 제증상이 명확히 개선되었다. 최근 들어 직업상 스트 레스가 많아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 가끔씩 야뇨가 있다. 맥은 약弱하고 소력少

046 力 하다. 모 병원에서 진행한 소변검사, 전립선액 검사에서 모두 정상으로 나왔다. 지속적으로 조체법 調 體 法 을 운용하여 약효를 공고히 하였다. 처방 : 당삼15g, 황기15g, 산약12g, 백출10g, 진피10g, 승마6g, 당귀10g, 炙 감초 6g. 12첩. 수전복 해설 환자는 중년남성으로 전립선염의 진단을 받았다. 내경 에서 이르길 중기 가 부족하면 대소변이 그 때문에 변한다 中 氣 不 足, 溲 便 爲 之 變 고 하였다. 환자는 어 려부터 허약했으므로 기허체질에 속한다. 환자의 뇨빈 尿 頻 은은 천성적으로 기가 허 하고 여기에 과로가 더해져 원기불고 元 氣 不 固 로 인해 야기된 것이다. 따라서 보중 익기탕을 주방으로 삼고, 익기조체법으로 치본하면 제 증상이 자연스럽게 치유된다. 2) 조체방병 調 體 防 病 - 체질 조절을 통해 병을 예방한다. 엽모, 남성, 43세 임상사례 전신이 무겁고 움직이기 싫은 아건강 상태의 환자에게 치미병 개념에 따라 조리 방을 처방. 초진 2003년 11월 12일. 환자는 숙면을 취하지 못하며, 꿈을 많이 꾸고 깨어나면 머리가 몽롱하다고 호소해왔 다. 각 종 검사에서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의 자각 증상은 전신이 무거워 움직이기 싫으며 가슴이 답답한 등이다. 설태는 황니 黃 膩 하고 맥은 현활 弦 滑 하다. 변증 환자는 담습체질 痰 濕 體 質 에 속한다. 습탁곤조 濕 濁 困 阻 하여 청양 清 陽 이 불달 不 達 하여 상기 자각증상이 생긴 것이다. 따라서 화담거습 化 痰 祛 濕 법으로 체 질을 조절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병을 예방한다. 처방 : 화담거습방 化 痰 祛 濕 方 (왕치 경험방) 가감. 택사15g, 복령15g, 炒 백출15g, 制 창출10g, 패란15g, 하엽10g, 의이인30g, 동과피15g, 백개자10g, 내복자 10g, 해조15g. 14첩. 수전복 水 煎 服

중의약 계승과 창신의 상징 ; 중국 제2기 국의대사 047 2진 2004년 1월 7일 전신의 불편한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꿈이 많고 머리가 몽롱한 증상이 개선 되었다. 가슴이 답답하다. 설질은 홍紅하고 태는 중황니中黃膩하며 맥은 활滑하다. 상기처방에 통초6g을 더해 14첩을 처방하였다. 3진 2004년 3월 3일 상기처방을 복용한 후 몸이 가벼워졌고 정신상태도 양호하다. 근 2개월동안 지속 적으로 약물을 복용해 왔는데 체중이 감량되는 효과도 있었다. 태는 박니薄膩하고 맥은 활滑하다. 계속해서 상기치법을 운용해 약효를 공고히 하였다. 처방 : 복령15g, 택사10g, 백출10g, 의이인15g, 패란10g, 동과피15g, 하엽10g, 내 복자10g, 해조10g, 통초10g. 21첩. 수전복 해설 환자는 담습체질로서 담습곤조痰濕困阻가 청양清陽이 퍼지는 것을 방해 하기 때문에 이것이 오래되어 치료시기를 놓치면 흉비 등의 만성질환을 얻을 가 능성이 높다. 따라서 체질조절을 통해 체질상태의 변화를 꾀하는 동시에 향후 발 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해야 한다. 담습체질의 형성은 다수가 비허습체脾虛濕 滯하여 담탁痰濁이 내생內生한 것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경험방인 화담거습방을 가감 운용하여 건비삼습健脾滲濕, 화담행체化痰行滯한다. 방 중에서 복령, 택사, 동과피는 담삼이습淡滲利濕하고, 백출, 의이인, 패란, 하 엽은 건비제습健脾除濕하며, 창출, 내복자는 조습화담燥濕化痰하고, 백개자 해 조는 거지소담去脂消痰한다. 제 약재의 합용으로 상하분소上下分消하고 내운중 주內運中州하니 담습체질이 조절되며 제 증이 사라진다. 3) 치병선조체治病先調體 - 치료에 앞서 체질을 조절한다. 임상사례 장모, 남성, 8세, 과민성 체질의 환아, 비색鼻塞 4년 초진 2004년 6월 9일 환자는 2살 때 과민성효천이 발작하였고 모병원에서 치료 후 호전되었다. 4살에

048 코 막힘이 시작되었고 현재에 이르렀다. 환자는 양쪽 비강이 막혀있고 때때로 재 채기를 하며 눈 가장자리와 왼쪽 콧구멍이 간지럽다. 식사, 수면, 대소변은 정상이 다. 설은 홍 紅 하고 설근 舌 根 부분의 태가 황니 黃 膩 하며 맥은 활삭 滑 數 하다. 환자 의 부친이 과민성비염 병력이 있다. 변증 환자는 특품체질 特 稟 體 質 에 속하며 체질조절을 위주로 치료한다. 처방 : 옥병풍산합마행석감탕 玉 屏 風 散 合 麻 杏 石 甘 湯 가감. 황기10g, 백출8g, 방풍6g, 炙 승마6g, 행인10g, 석고( 先 煎 )20g, 炙 감초3g, 선태6g, 황금10g, 세신3g. 14첩. 수전복 水 煎 服 2진 2004년 6월 23일 코 막힘 증상이 개선되었다. 잠자리에 들기 전 코 막힘 증상이 심하다. 상기 처방 에서 로로통10g을 더해 14첩 처방하였다. 3진 2004년 7월 8일 코 막힘, 코 간지럼증 등 제 증상이 발작하지 않았으며 환자 스스로 불편함을 느끼 지 않았다. 설은 담홍 淡 紅 하고 태는 박백 薄 白 하며 맥은 현 弦 하다. 과민강교낭 過 敏 康 膠 囊 (경험방)을 처방하여 효과를 공고히 했다. 이 후 과민강교낭을 구입해 지 속적으로 복용했으며 1년이 지난 후에도 제증상이 발작하지 않았다. 해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제 증상은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환자는 특 품체질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과민성비염에 대해 서의학은 과민원 過 敏 源 의 치료를 위주로 대증치료를 겸하는데 치료 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할 때가 많다. 과 민성질환은 다수가 체질로 인해 야기된 것이며 체질을 다스리면 제 증상이 스스로 치료된다. 따라서 부정고표 扶 正 固 表, 청선폐열 清 宣 肺 熱 법으로 체질을 조절하였 으며 약물복용 1개월 만에 제 증상이 사라졌다.

2 049 2. 남과 男 科 임상사례 발기부전 탕모, 남성, 50세, 발기부전 2년 여 임상사례 초진 2001년 9월 4일 환자는 지난 2년 간 음경의 발기강도가 지속적으로 약해져왔다. 현재의 음경발기 각도는 80 미만이며 손으로 음경을 받쳐도 질 진입이 불가하다. 성욕하락, 건망, 완 민불적 脘 悶 不 適, 비만 등 증상이 있다. 10여 년간 일일 평균 0.5kg의 고량주를 음 용했으며 흡연량은 20개피/일 정도이다. 고혈압, 관상동맥성 심장병, 당뇨병 등의 병력은 없다. 설은 암홍 暗 紅 하고 태는 후니 厚 膩 하며 맥은 현활 弦 滑 하다. 검사 - 혈액검사 : CHOL 8.5mmol/L, TG 3.5mmol/L. - 음경 도플러검사 : 약물주입 후 음경심동맥의 혈류량에 현저한 증가가 없음. 진단 - 서의진단 : 동맥성 발기부전 - 중의진단 : 양위 陽 痿. 담어조체 痰 瘀 阻 滯 처방 : 炒 창출10, 백출10, 진피6, 복령20, 法 반하10, 향부10, 택사20, 갈근20, 지구 자10, 단삼15, 炙 수질3, 해합각 海 蛤 殼 20. 14첩. 수전복 水 煎 服 재진 2001년 9월 26일 환자의 음경발기강도가 명확하게 증가하였고 성욕도 증가하였다. 음경을 손으로 받치지 않고 질 진입에 성공하였고 4분 후 사정했다. 완민증상도 개선되었다. 효과 가 좋으면 처방을 고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상기처방을 34첩 처방하였다. 34 첩 복용 후 음경발기에 어떤 문제도 없으며 기타 제 증상 역시 사라졌다. 혈액검사 는 CHOL 4.8mmol/L, TG 1.5mmol/L로 정상수치를 나타냈으며, 음경 도플러 검사 에서는 약물주입 후 음경심동맥의 혈류량에 현저한 증가가 있었다.

050 孫 光 榮 쑨광룽 중의 문헌학의 태산북두 약력 1941년 후난성 湖 南 省 류양시 瀏 陽 市 출생 1964년 아버지를 따라 의학에 입문 1978년 유명 중의약학자 리충푸 李 聰 甫 에게 사사받음 1980년 후난성 중의약연구소에서 의고문, 중의문헌학 연구생 지도 1982년 국가중의약관리국 제1기 중의고서연구 중장경 정리연구 1998년 중의약 원격교육 추진 2000년 퇴직 후 베이징중의약대학 원격교육학원 부원장 역임 수상경력 국가 자학성재 自 學 成 才 상 국가 중의약 과학기술 진보상 2등상 성급 省 級 중의약 과학기술 진보상 1등상 전국 우수과학도서상 2등상 아태지역 경제무역 박람회 금상 중화중의약학회 제1차 중국중의약 과학보급도서 저작상 2014년 제2기 국의대사 대표저서 및 논문 저서 1990년 염증의 중의변치 炎 症 的 中 醫 辨 治, 중의약과학기술출판사 2002년 중국역대 명의명술 中 國 曆 代 名 醫 名 術, 중의고적출판사 2008년 중장경교주 中 藏 經 校 注, 중장경어역 中 藏 經 語 譯, 학원출판사 2011년 중화경전 양생명언록 中 華 經 典 養 生 名 言 錄, 중국중의약출판사 2014년 쑨 선생 중장경 석역 孫 光 榮 釋 譯 中 藏 經, 중국중의약출판사

2 051 쑨광룽 孫 光 榮 생년월일 출생지 민족 전공 소속 1941년 11월 후난성 湖 南 省 류양시 瀏 陽 市 한족 중의고전문헌연구, 의난잡병 베이징 北 京 중의약대학 원정 遠 程 교육학원(원격교육학원) 논문 중장경 맥학이론 탐구분석, 중국중의약현대원격교육, 2012 중의약문화 건설 기본 문제에 대한 사고, 제12차 전국중의약문화학술연구토론회 논문집, 2009 명로중의 학술경험 전승체계와 방법 토론, 중의약계속교육신론2013, 2013 중의약문화 과학보급의 취지, 원칙, 내용과 요령, 2010년 전국중의약과학보급고급논단논 문집, 2010 기혈중화 氣 血 中 和 백병소 百 病 消, 중국중의약현대원정교육, 2012 중의문헌연구의 현황과 대책, 호남중의약도보, 1995 현시 縣 市 기층 중의 임상 인재 배양에 대한 사고, 중의약관리잡지, 2012 과학기술적 성과 업적요약 중의학 원격교육 실시방안과 전망 제시 2013년 타이완과의 중의약 협력교류 방안 제시 및 사업 추진 건의 국가 10 5 발전계획 과학기술항목 : 명로중의 학술사상 경험전승연구 의 연구책임자로 중의약 전승사업에 공헌 중의약 특색우세와 중의약 사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중의약 사업발전이 국가전략에 편입 되는데 기여 6법 六 法, 4유 四 有, 4강 四 強 정리 등 문헌연구 중의임상의 5대 특색, 6대 우세를 정리하고 중의약문화의 핵심이념을 제시

052 생애 Biography 쑨광룽 孫 光 榮 선생은 1941년 후난성 湖 南 省 류양시 瀏 陽 市 의 중의세가 출신으로, 5살 때부터 탕두가결 湯 頭 歌 訣 등을 익히며 자랐다. 쑨 선 생은 가전의학을 전수받고( 師 承 學 位 ) 명로중의 리충푸 선생에게서 단계학파 와 동원학파 의 의학을 배웠다. 1958년부터 임상활동을 시작하였다. 55년간의 임 상연구와 함께 중의약문헌 연구 및 중의약문화 연구, 중의 연구생교육, 중의원격 교육, 전국 우수중의 임상인재육성 등 중의약 문헌, 문화연구와 후진양성에 매 진해왔다. 쑨 선생은 중의문헌학 연구 분야의 학술대표이자 권위자이다. 16년 간 연구생을 대상으로 의고문 醫 古 文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중장경 中 藏 經 연구에도 조예가 깊다. 그는 중의학계에서 문헌연구와 임상연구가 주를 이루고, 실험연구가 적은 것에 대해 중의약의 특색이 체현될 수 있는 과학적인 연구방법의 보급이 절실히 필요하고, 증거에 기반한 중의약학의 실험연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 고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왔다. 쑨 선생은 대의정성 大 醫 精 誠 의 정신을 특별히 강조하였으며 오랫동안 임상일 선에서 환자를 돌보았다. 비위병, 혈액병, 신경성질환, 암 등 의난잡병의 치료에 능하며, 그가 개발한 안신정지탕 安 神 定 志 湯 은 중국의 우주선 선저우10호( 神 舟 十 號 )의 비행사들에게 보급되었다. 학술사상을 보면, 그는 정기와 사기, 기혈의 관계를 중시하는 중화 中 和 이론으로 조기혈 調 氣 血, 평승강 平 升 降, 형출입 衡 出 入, 달중화 達 中 和 의 임상사고를 강 조한다. 그 밖에 중의고서 연구를 통하여 육법 六 法 을 정리하고, 중의약 문헌연 구의 사유 四 有 원칙과 사강 四 強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중의임상의 5대 특색과 6대 우세점을 제출하였다. 중의약교육 방면에서 쑨 선생은 현재까지 56명의 연구 생을 배출했고, 전국우수 중의임상인재 교육사업을 통해 천여 명의 주임의사 교육 을 담당하는 등 많은 공헌을 하였다. 쑨 선생은 현재, 국가중의약관리국 중의약문화 건설 및 과학기술보급 전문위원 회 위원, 계속교육위원회 위원, 중화중의약학회 상무이사, 전국 제5차, 북경시 제

2 053 4차 노중의약전문가 학술경험 전승사업 지도교사, 베이징동인당 중의대사 작업실 고문을 역임하고 있다. 쑨 선생은 중국역대명의명술 中 國 曆 代 名 醫 名 術, 중장경교주 中 藏 經 校 注, 중 장경어역 中 藏 經 語 譯 등 전문서적 23권과 158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국가 중의약 과학기술 진보상 2등상, 성급 省 級 중의약 과학기술 진보상 1등상, 전국 우수과학 도서상 2등상, 아태지역 경제무역 박람회 금상, 중화중의약학회 제1차 중국중의 약 과학보급도서 저작상 등을 수상했다. 그가 편찬한 중화경전 양생명언록 中 華 經 典 養 生 名 言 錄 은 국가신문출판부 등으로 부터 15개 대표과학기술보급 작품 의 하나로 지정되기도 했다. 학술사상과 임상사로( 思 路 ) 1. 중화 中 和 이론과 중화학파 중화 中 和 이론은 쑨 선생의 학술사상이 함축된 이론이다. 중 화 中 和 란 인체가 음양평형의 안정을 이루려는 기본적인 태세 態 勢 를 뜻함과 동시 에 중의가 방약 方 藥 으로 진료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경지를 뜻한다. 예를 들어 음양 평형 陰 陽 平 衡 이 인체의 안정적인 상태를 뜻하는 철학적인 개념이라면, 중화 中 和 란 건강한 인체의 안정적인 정기신 精 氣 神 의 구체적 묘사라 할 수 있다. 따라 서 중화 中 和 를 통해 기혈 단계 및 심리 단계에서 인체의 생리, 병리를 더욱 잘 설명할 수 있다. 쑨 선생의 중화이론을 연구하는 중화학파 中 和 學 派 는 여러 방면에서 특별한 학 술관점을 가지고 있다. 중화학파에서는 양생의 핵심을 상선 上 善, 중화 中 和, 하 창 下 暢 으로 보며, 임상의 기본원칙으로 자비위본 慈 悲 爲 本, 인애위선 仁 愛 爲 先, 일시동인 一 視 同 仁, 중화내근 中 和 乃 根 을 강조한다. 또한 임상 사변에서는 조기 혈 調 氣 血, 평승강 平 升 降, 형출입 衡 出 入, 달중화 達 中 和 를 강조하고, 처방에서 대약 對 藥 과 삼각약물조합( 角 藥 ) 을 즐겨 사용한다. 대표적인 방제는 조기활혈 억사탕 調 氣 活 血 抑 邪 湯 이 있으며 용약의 특징은 삼각약물조합을 중심으로 유기 적인 가감을 하는 것이다. 조기활혈억사탕 調 氣 活 血 抑 邪 湯 은 당삼(또는 인삼, 태

054 자삼, 서양삼), 황기, 단삼으로 이루어진 방제로 기혈을 중시하는 중화학파의 거의 모든 처방에서 응용된다. 방제 중, 인삼, 황기는 부정익기 扶 正 益 氣 하고, 단삼은 이혈 理 血 한다. 단삼은 전남본초 滇 南 本 草 에 일미로써 사물탕의 보혈효과를 가 진다. 고 기록되어 있으며 중화학파 기혈치료의 핵심약재로 사용된다. 쑨 선생은 기혈의 중화를 중시하며 치료를 잘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정체 整 體 와 외부환경의 관계로부터 질병을 이해하여 전체적인 사고를 가져야 하고, 대항성 對 抗 性 사유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항성 사유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 하여 병을 치료하거나, 질병에 걸린 장부나 사지를 떼어내어 치료하는 단순한 사 유방식을 가리키는데, 이는 중화를 고려하지 않은 사유방식이다. 따라서 치료에 있어서 조정 調 整, 조화 調 和, 조리 調 理 의 조 調 를 중시하여 음양과 기혈, 기기 氣 機 의 승강출입 升 降 出 入 을 조절한다는 사고를 가져야 한다. 2. 삼각약물조합(각약 角 藥 )의 임상사용 쑨 선생의 처방에는 3가지 약물을 조합하여 응용하는 삼각약 물조합이 많이 사용된다. 삼각약물조합은 두 가지 약을 함께 사용하는 대약 對 藥 과 마찬가지로 약물의 조합으로 서로의 효과를 증대하거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 를 내는 조합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변증론치의 기초 위에서 약물의 기미 氣 味, 성능 性 能, 귀경 歸 經, 칠정 七 情 의 배오원칙을 따라 체계적으로 배합하여 3가지 약 물이 균형을 이루어 약효를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삼각약물조합은 중약학과 방 제학의 경계에 있는 방법이라고 하는 의가들도 있다. 쑨 선생이 자주 사용하는 약 물조합은 다음과 같다. 1 생쇄삼, 황기, 단삼 : 세 약물을 함께 사용하면 보기건비 補 氣 健 脾, 양혈활혈 養 血 活 血 하는 효과를 낸다. 이 삼각약물조합은 쑨 선생의 거의 모든 처방에서 사 용되는데 중기혈 重 氣 血, 조기혈 調 氣 血, 창기혈 暢 氣 血 등 기혈을 중시하는 그의 학술사상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쑨 선생은 매번 세 약물의 사용량 을 조절해가면서 사용하지만 한 가지 약물의 사용량이 15g을 넘는 일은 드물다.

2 055 2 복신, 炒 산조인, 炙 원지 : 세 약물을 배오하면 안신녕심 安 神 寧 心 하는 효과가 강해지고 건비익신 健 脾 益 腎, 소종거담 消 腫 祛 痰 하는 효과가 생긴다. 일반적인 사용량은 각 10g정도이다. 3 두충, 구기자, 산수유육 : 세 약은 모두 보간신 補 肝 腎, 장요익정 壯 腰 益 精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함께 사용하면 음중유양 陰 中 有 陽, 양중유음 陽 中 有 陰 하 고 동정결합 動 靜 結 合 하여 효과가 강해진다. 상용양은 각각 12g정도이다. 4 대황, 부자, 세신 : 대황부자탕 大 黃 附 子 湯 을 구성하는 조합으로 온양산한 溫 陽 散 寒, 사결행체 瀉 結 行 滯 하는 효과가 있다. 한적이실 寒 積 裏 實 로 인한 복통, 변 비, 옆구리의 통증, 발열, 수족궐역 手 足 厥 逆 에 사용한다. 쑨 선생은 평상시에 소제량을 처방하고, 부자 등 성질이 강한 약을 사용할 때 매우 신중하여 일반적 으로는 10g이하로 사용한다. 이는 오늘날의 많은 중의사들이 몇 십 그램 이상의 부자를 사용하는 것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5 여정자, 묵한련, 천화분 : 여정자와 묵한련은 이지환 二 至 丸 을 구성하는 약물로 양음익정 養 陰 益 精, 양혈지혈 涼 血 止 血 한다. 이지환은 보신양음 補 腎 養 陰 하면 서도 자니 滋 膩 하지 않기 때문에 평보간신 平 補 肝 腎 의 대표적 방제이다. 여기에 천화분으로 청열생진 清 熱 生 津 하면 자음제열 滋 陰 除 熱 작용이 더욱 강해진다. 6 방풍, 황기, 백출 : 옥병풍산을 구성하는 약물 조합이다. 익기고표지한 益 氣 固 表 止 汗 하는 작용이 있다. 군약 君 藥 인 황기에 방풍을 더하면 고표 固 表 하나 사 기를 남기지 않고, 방풍은 황기가 더해져 거사 祛 邪 하나 정기 正 氣 를 상하지 않 게 한다. 본 조합은 보중유산 補 中 有 散, 산중유보 散 中 有 補 하여 기허 감기를 치 료할 시에 반드시 사용되는 삼각약물조합이다. 7 국화, 백지, 천궁 : 세 약을 함께 사용하면 거풍지통명목 祛 風 止 痛 明 目 하는 작 용이 강화된다. 쑨 선생은 본 조합을 고혈압, 심리질환 등에 주로 사용하며 특히 신경성 질환에 효과가 좋다고 말한다. 각 약물의 사용량은 10g이하이다. 8 황련, 향유, 후박 : 황련향유음 黃 連 香 薷 飲 을 구성하는 조합으로 청서화습 清 暑 化 濕 하는 효과가 있어 더위 먹었을 때, 복통에 묽은 설사를 동반할 때, 오심이 있을 때 사용한다. 세 약을 함께 사용하면 조습제만 燥 濕 除 滿, 행기지구 行 氣 止 嘔 효과가 강해진다. 9 황백, 창출, 우슬 : 삼묘환 三 妙 丸 을 구성하는 약들로, 함께 사용하면 청열조습거 풍 清 熱 燥 濕 祛 風 하고 보간신 補 肝 腎 하는 작용이 있다. 주로 하초 下 焦 의 습열 濕

056 熱 을 치료하기 때문에 다리의 저림 및 통증, 하지의 무력감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 다. 황백과 창출을 함께 사용하면 청열조습 清 熱 燥 濕 작용이 강해지고, 여기에 우 슬이 더하여 인약하행 引 藥 下 行 하면 하초의 청열조습 清 熱 燥 濕 을 없앨 수 있다. 3. 의난잡병 용약원칙 쑨 선생의 방약 특징 가운데 하나는 약미 藥 味 와 사용량이 비 교적 적다는 것이다. 약재의 사용량이 7-8g인 경우가 많으며, 생감초는 5g, 사인은 4g, 지각은 6g, 등심초는 3g이 상용양이다. 이러한 용약 특징은 의난잡병을 치료할 때 조음양 調 陰 陽, 화기혈 和 氣 血 을 중시하는 그의 학술사상과 관계가 깊다. 쑨 선 생은 이러한 방법을 의자 醫 者 의 왕도 王 道 라고 강조하며 처방을 할 때는 뚜렷한 군신좌사 君 臣 佐 使 와 적절량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쑨 선생은 병이 나으면 약의 사용을 즉시 멈추고(중병즉지 中 病 即 止 ), 남발하여 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중시한다. 약미가 많은 처방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 주고 약재자원을 아끼는 효과도 고려한 것이다. 쑨 선생은 의난잡병을 치료함에 있어 먼저 음양과 기혈의 승강출입 升 降 出 入 을 살 피고 기혈이 동적평형상태 인 중화 中 和 를 이루게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 氣, 혈 血, 담 痰, 습 濕, 식 食 등으로 인한 적취 積 聚, 징가 癥 瘕, 비괴 痞 塊 등의 병증을 단순한 활혈화어 活 血 化 瘀 법으로 치료하는 것은 나무에서 물고기를 찾는 것과 다 를 바 없다고 하며, 소문 素 問 -지진요대론 至 真 要 大 論 에서 명시한 견자소지 堅 者 消 之, 결자산지 結 者 散 之 치법에 따라 인인 因 人, 인시 因 時, 인지 因 地 를 고려 한 논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4. 암증 癌 症 용약 경험 암은 인체의 정기가 쇠약한 상태에서 장부의 음양실조 陰 陽 失 調, 육음칠정 六 淫 七 情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치료 시에는 전신과 국부,

2 057 치표 治 標 와 치본 治 本 을 함께 고려하되 부정 扶 正 과 고본 固 本 을 우선시해야한다. 부정 扶 正 치료는 인삼, 황기류의 약물을 군약으로 써서 보중익기 補 中 益 氣 하는 것 이 중심인데, 특히 익기 益 氣 와 양음 養 陰 작용이 함께 있는 서양삼을 사용하면 암 증 癌 症 에서 나타나는 기음양허 氣 陰 兩 虛 를 치료하는데 더욱 효과가 좋다. 여기에 여정자, 한련초, 천화분 등을 좌약 佐 藥 으로 사용하여 자신양음 滋 腎 養 陰 하고, 별 갑으로 연견 軟 堅 하며, 회 淮 산약, 生 의이인, 초삼선 등의 약재를 써서 건비익기개 위 健 脾 益 氣 開 胃 한다. 보기혈 補 氣 血, 자간신 滋 肝 腎, 건비위 健 脾 胃 로 전체적으 로 장부기능을 조절하고 체내평형을 개선하면, 자가면역기능이 증가되어 병리산 물을 없애고 암의 발전을 억제할 수 있다. 암의 발전과 전이는 사기 邪 氣 의 창궐 猖 撅 과 반드시 관계가 있다. 쌓여서 발생한 질병은 정기가 부족한 후에 사기가 머문 것 임으로 정기와 동시에 사기를 고려해 야 한다. 만약 환자가 정기 正 氣 가 허약 虛 弱 한 증 證 을 보이더라도, 직장암으로 대 변에 농혈 膿 血 이 있고 복통, 복창이 나타나면 습열온결 濕 熱 蘊 結, 기체불창 氣 滯 不 暢 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청열화습 清 熱 化 濕, 해독거사 解 毒 祛 邪 로 치료해야 한 다. 이때 온보고삽 溫 補 固 澀, 자니양음 滋 膩 養 陰 만 하면 사기의 출로를 막고 사기 를 인체 내부에 머무르게 하는 역효과가 생길 수도 있다. 쑨 선생은 백화사설초, 반 지련, 포공영, 嫩 용규, 土 패모, 격산소 등으로 청열해독 清 熱 解 毒, 연견산결 軟 堅 散 結 하고 보정익기 補 正 益 氣 하는 약을 보조적으로 결합하여 치료한다. 만약 암환자의 전형적인 증상이 점액질의 농혈변 膿 血 便 이면, 이는 사독체류 邪 毒 滯 留 가 오래 되어 뭉쳐서 장을 막고 열로 변화하여 혈락 血 絡 을 상하게 한 것이 다. 이러한 병증은 공보겸시 攻 補 兼 施 의 기초 위에 화어지혈법 化 瘀 止 血 法 을 결 합하여 치료한다. 상용약은 괴화 炭, 포황 炭, 지유 炭 이다. 청열양혈지혈 清 熱 涼 血 止 血 할 때는 대계, 선학초를 사용한다. 쑨 선생은 암증 치료에서 내외겸시 內 外 兼 施 를 강조하며, 적절한 외치법을 사용하 면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쑨 선생이 자주 사용하는 외치약은 동물약 을 이용한 활유액 蛞 蝓 液 으로 직장암에 보류관장하면 효과가 좋다. 매일 신선한 활 유 10마리를 갈아서 면보로 봉한 뒤 즙을 짜서 주사기 등으로 20~30ml를 뽑은 후

058 윤활액을 바른 항문을 통해 직장으로 천천히 주사한다. 통점에 닿을 때 까지 주사 한 후 약솜으로 항문을 막고 1~2시간 보류한다. 국의대사 경험방 1. 조기활혈억사탕 調 氣 活 血 抑 邪 湯 조성 서양삼12g 生 황기12g, 紫 단삼7g 용법 매일 1첩씩 물에 달여서 하루 2회 내복한다. 공효 조기활혈억사 調 氣 活 血 抑 邪 주치 기혈에 문제가 있는 내과질병, 부인과 종양, 심뇌혈관 질병 등 의난잡병 방해 인삼류, 황기는 보중익기 補 中 益 氣 하고 단삼은 이혈활혈 理 血 活 血 한다. 인삼류 약재로는 당삼, 인삼, 서양삼 등이 있는데 환자의 병증에 따라 선택하여 사 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익기 益 氣 와 양음 養 陰 작용이 함께 있는 서양삼 西 洋 參 을 사용하면 암증 癌 症 에서 나타나는 기음양허 氣 陰 兩 虛 를 치료하는데 좋다. 가감 본 방은 기혈 중심으로 처방이 구성되어 있으며 가감이 비교적 자유롭다. 병증에 따라 인삼류의 종류를 바꾸고 변증에 맞는 약을 더하여 사용한다. 임상사례 자궁근종 시모, 여성, 38세, 자궁근종 2년 초진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근종이 발견되었고 골반강에 복수가 찬 것으로 나타 났다. 우측 난소의 장축은 3.0cm, 좌측 난소의 장축은 2.8cm이다. 자궁 후방의 액 체성 음영의 두께는 1.8cm이다. 환자는 마른 체형에 얼굴이 푸석하다. 꿈이 많고 월경주기는 정상이며 생리혈은 진하다. 설질은 붉고 가장자리에 치흔 齒 痕 이 있으 며 설태는 박 薄 하고 맥은 세삽 細 澀 하다. 변증 음혈휴허 陰 血 虧 虛, 어독내결 瘀 毒 內 結 증에 속하므로 자음양혈 滋 陰 養 血, 해독산결이습 解 毒 散 結 利 濕, 양정종자 養 精 種 子 법으로 치료하였다.

2 059 처방 : 서양삼12g, 生 황기12g, 紫 단삼7g, 산자고10g, 묘조초10g, 生 의이인15g, 검실15g, 정력자10g, 川 두충12g, 계내금6g, 복신15g, 산조인15g, 아교주 12g, 생지황10g, 백작약10g, 生 감초5g. 7첩. 2진 일주일 복용 후 병세가 안정되었다. 변은 묽고, 대하는 진하면서 약간 붉다. 꿈을 많이 꾼다. 설질은 붉고 치흔이 있으며 설태는 소 少, 맥은 세삽 細 澀 하다. 상 기 처방에서 두충, 계내금, 아교주, 생지황, 백작약을 제하고 炒 광곡15g, 차전자 10g, 하수오15g, 生 용치15g을 가미하여 처방하였다. 3진 환자의 병세가 많이 안정되었다. 설질은 담 淡 하고 가장자리에 치흔이 있 으며 화박태 花 剝 苔 가 있었다. 맥은 세삽 細 澀 하다. 상기 처방에서 복신, 산조인, 焦 광곡, 生 용치를 제하고 아교주10g, 별갑15g, 로로통10g, 계내금6g을 가미하여 14첩 처방하였다. 해설 자궁근종은 중의의 징가 癥 瘕 에 속하며 유형의 실사 實 邪 가 자궁에서 뭉 친 것이며, 골반강의 복수는 중의의 복통, 담음, 징가 에 속한다. 본 사례는 음 혈휴허 陰 血 虧 虛 증에 속하되, 실과 허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표본겸치 標 本 兼 治 로 치료하였다. 처방에서 산자고, 묘조초는 해독산결 解 毒 散 結 하여 뭉친 사기를 푸 는 작용을 하고 생의이인, 검실은 보비거습 補 脾 祛 濕 의 작용을 한다. 정력자, 차 전자는 이수삼습 利 水 滲 濕 하고 아교주, 하수오는 익신양혈전정 益 腎 養 血 填 精 한 다. 전체적으로 자음양혈 滋 陰 養 血, 해독산결이습 解 毒 散 結 利 濕, 양정종자 養 精 種 子 하여 징가를 치료한다.

060 劉 志 明 류즈밍 노년성 질환 및 전염병 중의치료 대가 약력 1927년 후난성 湖 南 省 샹탄시 湘 潭 市 출생 1954년 중국중의과학원 준비작업, 중국중의과학원 의료과학연구 연구원 1960년 B형 뇌염의 중의치료 디스토마 예방치료, 소아 바이러스성 폐렴의 중의 예방치료 등 다수 항목의 임상연구 주도 1976년 박사생 지도교수 2003년 제3,4,5회 전국 노중의약전문가 학술경험 계승사업 지도교사로 선정 중국중의과학원 자원연구원, 학술위원회 위원, 학위위원회 위원, 중국중의약학회 부 회장, 제1차 중의약전승 박사후 합작지도교수, 베이징중의약대학, 중국중의과학원 연구생부 객좌교수 등 역임 수상경력 2005년 중국중의과학원 건립50주년 특출공헌상 2006년 중화중의약학회 중의약전승 특별공헌상 2007년 중국중의과학원 중의약과학기술진보상 3등상 2008년 중국중의과학원 광안먼 廣 安 門 의원 연도 특수의료서비스상 2008년 베이징시 위생국 수도국의명사 2010년 베이징 중의약학회 중의약공작 60년 특수공헌상 2011년 베이징시 중의약관리국 베이징 중의약 신화전승 薪 火 傳 承 공헌상 2014년 제2기 국의대사 대표저서 및 논문 저서 1960년 중의내과학간편 中 醫 內 科 學 簡 編, 인민위생출판사 1980년 의화의론회요 醫 話 醫 論 薈 要, 인민위생출판사 1989년 중의학 中 醫 學, 연경함수의학원 燕 京 函 授 醫 學 院

2 061 류즈밍 劉 志 明 생년월일 출생지 민족 전공 소속 1927년 10월 후난성 湖 南 省 샹탄시 湘 潭 市 한족 중의 내과잡병, 전염병 중국중의과학원 논문 소아폐렴의 중의 인식 및 치료원칙, 중의잡지, 1962 만성신염증치, 중의잡지, 1986 비증증치 痹 證 證 治, 중의잡지,1989 관심병 변증론치 인식 및 경험, 중국의약학보,1994 완만성 부정맥의 통양활혈법 치료 임상대조관찰, 중국중의기초의학잡지, 2003 동기능부전증후군의 강심복맥합제 치료 임상연구, 중국회의, 2005 중서의결합치료가 만성심부전에 미치는 영향, 중서의결합심뇌혈관병잡지, 2010 과학기술적 성과 업적요약 노년성 질환 중의치료 관점 제시 흉비(관상동맥질환) 종신론치 從 腎 論 治 임상사로( 思 路 ) 제시 종간신론치 從 肝 腎 論 治 현훈팔법 眩 暈 八 法 제시 B형 뇌염의 중의치료, 디스토마 예방치료 등 전국범위의 전염병 임상연구 주도 특허 및 신약개발 관심병 심교통 치료 중약조합물 및 그 용도 ( 一 種 用 於 治 療 冠 心 病 心 絞 痛 的 中 藥 組 合 物 及 其 用 途 ) - 특허번호:CN102988696B - 특허발표일:2014.08.20. 서맥성 부정맥 동기능부전증후군 치료 약물 ( 用 於 治 療 緩 慢 性 心 律 失 常 病 態 竇 房 結 綜 合 征 的 藥 物 ) - 특허번호:CN101822729B - 특허발표일:2012.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