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말소리와음성과학제3권제4호 (2011) pp. 45~53 한국인영어학습자와영어원어민이발화한영어약화모음에관한연구 A Study on English Reduced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신승훈윤남희윤규철 ABSTRACT Flemming and Johnson (2007) claim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the mid central vowel [ə] and the high central vowel [ɨ] in that [ə] occurs in an unstressed word-final position while [ɨ] appears elsewhere. Compared to English counterparts, Korean [ə] and [ɨ] are full vowels and they have phonemic contra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coustic quality of two English reduced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terms of their two formant frequencies. Sixteen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d six native speakers of English produced four types of English words and two types of Korean words with different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pattern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duced the two reduced vowels of English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differently in Korean and English words. Keywords: English, reduced vowels, Korean learners of English, native speakers of English 1. 서론 Flemming & Johnson(2007) 에따르면현대미국영어의약화모음은단어내모음의위치에따라두가지로구분할수있다. 하나는어말에위치하여약화되어나타나는 [ə] 이고, 다른하나는어두나어중에위치해약화되어나타나는 [ɨ] 이다. 어말에서나타나는 [ə] 는 [ɨ] 에비해조금길게나타나며접미사가붙어어근의끝이아니더라도그소리가유지된다. 반면에어두나어중에서실현되는 [ɨ] 는어말에실현되는 [ə] 에비해비교적약하고짧게발음되는모음이다. 두가지약화모음은모음삼각도의중앙근처에위치한다는점에서는동일하나, [ɨ] 를조음하는경우에는혀의위치가 [ə] 보다더높은곳에위치하는것에서차이를보인다. 1) 영남대학교영어영문학과, kyoon@ynu.ac.kr, 교신저자이연구는제 1 저자와교신저자가제 2 저자의석사학위논문 ( 윤남희, 2010) 을공동지도하여얻은결과에기초한것이다. 접수일자 : 2011 년 11 월 3 일수정일자 : 2011 년 12 월 1 일게재결정 : 2011 년 12 월 19 일 1.1 영어 [ə] 와 [ɨ] 비교 Flemming과 Johnson(2007) 은약화모음의의문점을규명하기위하여영어의두가지약화모음이각각나타나는환경과음성적차이점에관하여연구하였다. 그들은 Trager과 Bloch (1941) 의연구에서사용된바있는 Rosa's vs. roses 와같은최소대립쌍과비슷한자료들을활용하여두가지약화모음 [ə] 와 [ɨ] 의분포차이에대한몇가지의결론을도출해냈다. 첫째, 그들은약화모음 [ə] 와다른약화모음 [ɨ] 가음성적으로차이가있다는것을규명해냈다. 두가지약화모음은모음삼각도의중앙근처에위치한다는점에서는동일하나구강내에서실현이되는혀의높이로구분되어 [ɨ] 가모음삼각도의가장중간에위치하는 [ə] 보다더높은곳에서실현된다고하였다. 이로써약화모음 [ə] 가구강내에서혀의위쪽에서실현이된다고한 Kondo (2000) 와 Van Bergem (1994) 의연구가틀렸다는것을증명하였으며, 또한혀의위쪽에서실현이되는모음은또다른하나의약화모음 [ɨ] 이라는것을알아냈다. 둘째, 두가지약화모음은각각나타나는환경이다르다는것을알아냈다. 그들의연구에따르면약화모음 [ə] 는어근의끝 (stem-final) 에서실현이되고, 다른약화모음 [ɨ] 는어두나어중과같은약화모음 [ə] 이일어나지않는위치에서실현이된다
46 말소리와음성과학제 3 권제 4 호 (2011) 는것을밝혀내었다. 이런변별적분포는약화모음을음운체계내에서최소한의노력으로발화하고자하는데기인하는것으로볼수있다 (Flemming & Johnson, 2007). 셋째, 강세받지않는음절이어중에나타나더라도약화모음 [ə] 이실현된다. Flemming 과 Johnson(2007) 의두번째이론에따르면어중에강세받지않는음절이있을때 [ɨ] 로실현이되어야하지만 Rosa's와같이어근끝에서 [ə] 로실현이되면굴절어미가붙어도약화모음의소리가변화하지않기에 roses에약화모음 [ɨ] 와 Rosa's에약화모음 [ə] 이최소대립쌍이되는것이다 (Choi, 2008). Flemming 과 Johnson(2007) 은두가지약화모음의음성적차이를구분하기위하여각모음의제1 포먼트 (F1), 제2 포먼트 (F2) 값을비교분석하였는데, 연구에의하면남성, 여성의 F1, F2 값은음성적으로서로다르게실현되었다고한다. 1.2 한국어 [ə] 와 [ɨ] 비교 < 그림 1> 은한국어모음을혀의앞뒤, 혀의높낮이에따라구분해놓은자료이다 ( 양순임, 2003). 한국어모음사각도는영어모음의조음위치와한국어모음의조음위치를비교하기위해사용하기로한다. 의두가지모음 [ə] 와 [ɨ] 의음성적차이및단어내에모음이나타나는위치로나눈세가지유형에따른실현양상의차이를알아보고자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영어학습자가영어단어를통해발화한약화모음 [ə], [ɨ] 와이와가장유사한한국어모음 [ə], [ɨ] 를한국어단어를통해발화했을때의차이점을비교분석해보고자한다. 2. 연구방법본실험에참여한피실험자들은총 22명의한국인과미국인으로구성되어있다. 모음의포먼트스펙트로그램을분석할때연령과성별이중요요소이므로, 구성비율을맞추어한국인남성 8명과여성 8명, 미국인남성 3명과여성 3명씩으로하였다. 한국인은모두영남대학교학생으로연령대는 20대중반으로구성되었고, 원어민은모두미국출신으로 4년제대학이상을졸업하였으며현재영남대학교외국어교육원의강사들로구성되었다. 한국인들의영어수준은따로구별하지않았으나, 대체로중간정도의수준을지닌것으로판단된다. 국적과성별에대한피실험자들의평균연령에대한정보는 < 표 1> 과같다. 그림 1. 한국어모음사각도 Figure 1. Vowel space of Korean 표 1. 피실험자들에관한정보 Table 1. Age of experimental subjects 국적 인원 ( 명 ) 남여소계 평균나이 한국인 8 8 16 25 미국인 3 3 6 33 표 2. 녹음에사용된영어단어들 Table 2. Target English words used for recording < 그림 1> 에서보면영어모음 [ɨ] 와동일한위치에한국어 [ɨ] 가있고, 영어의다른약화모음 [ə] 이나타나는위치와동일하게한국어 [ə] 가있으므로한국인영어학습자가한국어모음 [ɨ], [ə] 를각각이에상응하는영어의약화모음 [ɨ], [ə] 와비슷하다고인지하는경향이있다. 본논문에서는한국인영어학습자가한국어의음운환경에없는모음을발화할때음성적으로모국어의음운환경과비슷한소리가있으면그소리로대체하는경향이있다고주장한연구 ( 한양구, 이숙향, 2002) 를근거로하여, 영어의약화모음인 [ə] 와 [ɨ] 가한국어의음운환경에서가장가까운 [ə], [ɨ] 와어떤음향적인차이를보이는지연구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본논문은미국인화자들과한국인화자들의모음의특성을 F1, F2 값을측정하여모음들사이에실제로차이가있는지알아보고, 국적에따른모음의실현양상을알아보고자한다. 또한한국어 유형 형태적환경 근접음 단어 IPA mázes 1 어중 치찰음 + bóxes 굴절접사 júdges [ɨ] búshes 2 어중 sófas 모음 + vódkas 굴절접사 sódas [ə] álphas 3 어말 sófa 모음 + vódka 굴절접사 sóda 없음 àlpha [ə] 4 어중 suggést 설정음, suspénd 비설정음 + compáre 굴절접사없음 próbable [ɨ]
한국인영어학습자와영어원어민이발화한영어약화모음에관한연구 47 실험을위한단어를선정하기전에 Flemming 과 Johnson(2007) 이제시한자료에따라어말에서 [ə] 가실현되는경우, 어두나어중에서 [ɨ] 가실현되는경우두가지를네가지의세부적인유형으로설정하였다. 실험을위하여설정된각음성, 형태적유형별나눈자료목록은 < 표 2> 와같다. 유형1은치찰음 ([s, z, ʃ, ʧ, ʤ]) 뒤에강세를받지않는모음이 [ɨ] 로실현되는경우이다. 유형2는어말에강세받지않는모음이 [ə] 로실현이되는데굴절접사가붙어어말이아니더라도 [ə] 로소리가유지되는경우이다. 유형3은유형2와같은단어로어말에강세받지않는모음이나타나 [ə] 로실현이되는경우이다. 유형2와유형3은굴절접사의유무에따라발음에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해같은단어를사용하였다. 유형4는어중에강세받지않는음절에 [ɨ] 이나타나는경우로나누었다. 한국어모음실험자료는 [ə] 와 [ɨ] 가 (1) 어두, (2) 어중그리고 (3) 어말에가포함이되어있는단어로세가지유형으로설정하였다. 실험을위하여설정된유형별목록과실험자료목록은아래와같다. 한국어의경우영어와동일한형태적유형의단어를찾기어려워, 음절의위치가어디에있느냐를기준으로나누었다. 표 3. 녹음에사용된한국어단어들 Table 3. Target Korean words used for recording 모음 유형 단어 1. 어두 어미, 업보 [ə] 2. 어중 굿거리, 무허가 3. 어말 잡어, 부업 1. 어두 그네, 그림 [ɨ] 2. 어중 고드름, 나그네 3. 어말 그릇, 두릅 본실험에서는 Type별단어들을영어의경우 Say again 이라는문장을사용하여발화하도록하였고, 한국어의경우 이것은 입니다. 라는문장의빈칸에넣고 1차와 2차로나누어 2번씩자연스럽게발화하도록하였다. 본실험에서는모음의 F1, F2 값을프랏 (Boersma, 2001) 으로측정하여분석하였다. 남성과여성의구성비율은같았다. 총 24개의실험단어들을 16명의한국인피실험자와 6명의원어민피실험자들에게실험을의식한발음을피하기위해사전에실험내용에대해설명하지않았다. 녹음은 Senheiser PC 166 헤드셋마이크와 Sony PCM-D50레코더로 44,100Hz의표본주파수와 16bit의양자화를사용하여 wav 파일형식으로조용한방에서개인별로실시하였다. 분석을위하여화자별로녹음한것을프랏에서텍스트그리드파일을생성하였다. 이텍스트그리드는 < 그림 2> 에서보듯총 8개의층으로구성되어있는데, 각층별로해당화자의발화녹음에대한모든정보가기록되어있다. 기록하는방식은프랏스크립트를작성하여화자의국적, 성별, 형태적환경, 단어, 녹 음문장, 제1 포먼트와제2 포먼트, 포먼트측정에사용된단어등의정보를반자동으로입력하는방식을택하였다. 포먼트측정을위해서는두번반복한발화중에서녹음상태가양호한것을선택하였다. 또한포먼트측정은성별에따라프랏에서추천하는파라미터를사용하여모음의중간부분에서스크립트를이용하여자동으로측정하였다. 그림 2. 화자별로생성된텍스트그리드파일의예 Figure 2. A sample TextGrid file for one speaker 위에서얻은자료를바탕으로통계분석을시행하였는데성별이포함되는경우를제외하고는남성들의자료를기반으로분석을시행하였다. 단일요소에대한두집단의차이를보기위해서 t-검정을시행하고둘이상의요소에대한차이를보기위해서분산분석 (ANOVA) 를시행하였다. 또한두개의포먼트값을바탕으로국적이나형태적유형별로집단간의차이를시각적으로알아보기위하여산점도 (scatter plot) 를활용하였다. 3. 실험결과 3.1 영어약화모음 [ə] 와 [ɨ] 의실현양상및비교 < 그림 3> 과 < 그림 4> 는실험에참가한미국인남성피실험자가실현한두가지약화모음의스펙트로그램의예를보여주고있다. 선택된구간의두모음에서보듯이, F1과 F2의위치가육안으로보아도서로다르다는것을쉽게알수있다. 그림 3. 미국인남성의약화모음 [ɨ] 스펙트로그램 Figure 3. Spectrogram of [ɨ] by an American male speaker
48 말소리와음성과학제 3 권제 4 호 (2011) 그림 4. 미국인남성의약화모음 [ə] 스펙트로그램 Figure 4. Spectrogram of [ə] by an American male speaker 국적과성별에상관없이실험에참여한모든피실험자들이선행연구에서제시되었던포먼트값과비교하여음향적차이를나타내는지알아보기위하여두약화모음에대한 F1, F2의평균값과표준편차를구했고그결과는 < 표 4> 와같다. F1 F2 표 4. 모든피실험자의약화모음별 F1, F2 평균값 Table 4. Mean F1 and F2 values of reduced vowels by all speakers 모음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ə] 176 670 111 [ɨ] 176 475 107 [ə] 176 1463 256 [ɨ] 176 1693 438 표에서보듯이전체평균값은 F1 의경우약화모음 [ə] 가, F2 의경우는 [ɨ] 가더높은것을알수있었다. 두모음집단간의 F1 값이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해 t- 검정을실시하였는데, 결과는아래 < 표 5> 와같다. 표 5. 모든피실험자의모음별 F1, F2 값 t- 검정결과 Table 5. t-test result for F1 and F2 values of all speakers F t 자유도 p-value ( 양쪽 ) 평균차 F1 1.062-16.59 350 0.000* -194.69 F2 2.915 5.946 350 0.000* 230.39 t-검정결과두다른약화모음의 F1 값이유의수준.05에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나두약화모음의 F1 값이다른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 F2 값도유의수준.05에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나본실험에참여한피실험자들이두약화모음을다르게실현한것으로나타났다. 이번에는피실험자들의국적과녹음단어들의형태적유형에따라영어약화모음에있어어떠한차이가있는지살펴보기로한다. 국적별로네가지형태적유형의 F1, F2 값이어떤연관성이있는지알아보기위하여우선남성들의 F1 평균값과표준편차를살펴보았다. 표 6. 국적과유형에따른 F1 평균값 Table 6. Mean F1 values by nationality and types 화자국적 영어유형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1: 어중 [ɨ] 64 411 67 한국 2: 어중 [ə] 64 672 95 3: 어말 [ə] 64 706 113 4: 어중 [ɨ] 64 564 106 1: 어중 [ɨ] 24 436 55 미국 2: 어중 [ə] 24 558 102 3: 어말 [ə] 24 681 78 4: 어중 [ɨ] 24 467 88 표에서보는바와같이국적에따른 F1 평균값순위는한국인피실험자와미국인피실험자모두유형3> 유형2> 유형4> 유형 1의순으로높게나타났으며같은양상을보였다. 유형 3과 2, 유형 4와 1은같은모음을나타내므로서로유사한패턴을보임을알수있다. 이를통해 sofas와같은단어의어말에위치한 [ə] 인유형3의경우모든화자들이구강내에서혀의높이가가장낮은저모음으로실현하였다는것을알수있으며, mazes 와같이어중에위치한 [ɨ] 모음인유형1이실험자료중구강내에서혀의높이가가장높은고모음으로실현이된것으로나타났다. 국적과유형을기준으로 F1, F2를분산분석을시행한결과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F1(Wilks'λ[3.84]=13.066, p<.05), F2(Wilks'λ[3.84]=8.615, p<.05). < 그림 5> 의산점도 ( 원은 95% 자료포함을나타냄 ) 를통해남성들의자료를비교해보면, 미국인남성들보다한국인남성들의경우혀의높낮이범위가상대적으로더큰것을알수있다. 아래의표는 F2의평균값과표준편차를보여주고있다. 표 7. 국적과유형에따른 F2 평균값 Table 7. Mean F2 values by nationality and types 화자국적 영어유형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1: 어중 [ɨ] 64 2063 252 한국 2: 어중 [ə] 64 1478 246 3: 어말 [ə] 64 1402 238 4: 어중 [ɨ] 64 1344 281 1: 어중 [ɨ] 24 1845 225 미국 2: 어중 [ə] 24 1588 295 3: 어말 [ə] 24 1459 255 4: 어중 [ɨ] 24 1429 447
한국인영어학습자와영어원어민이발화한영어약화모음에관한연구 49 그림 5. 한국인과미국인남성들의유형 1 과 2 의포먼트산점도 Figure 5. Formant scatter plot for types 1 and 2 by Korean and American male speakers 그림 7. 한국인과미국인남성들의유형 1 과 4 의포먼트산점도 Figure 7. Formant scatter plot for types 1 and 4 by Korean and American male speakers 그림 6. 한국인과미국인남성들의유형 1 과 3 의포먼트산점도 Figure 6. Formant scatter plot for types 1 and 3 by Korean and American male speakers 3.2 한국어모음 [ə] 와 [ɨ] 의실현양상및비교 한국어모음 [ə] 와 [ɨ] 의차이를 F1, F2의평균값을통해비교해보았다. 표 8. 한국어모음 [ə], [ɨ] 의 F1, F2 평균값 Table 8. Mean F1 and F2 values for Korean [ə] and [ɨ] F1 F2 모음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ə] 96 577 102 [ɨ] 96 427 58 [ə] 96 1060 117 [ɨ] 96 1609 246 < 표 7> 에서와같이 F2의경우, 한국인피실험자와미국인피실험자모두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의순으로높게나타나, 유형1이혀가비교적앞부분에위치한것을알수있고, 유형4의경우혀가상대적으로뒤에위치한것을알수있다. < 표 6> 에서와는달리, F2의경우는같은 [ɨ] 모음인유형 1과 4는다소다른패턴을보이는것을알수있다. 이는 < 그림 6> 과 < 그림 7> 의산점도를비교하여보면유형 4의경우그범위가상대적으로상당히넓은것을볼수있는데, suggest 같은단어내부에 [ɨ] 모음이있는유형 4는, mazes와같이굴절접사로인해 [ɨ] 모음이생기는경우와다른실현양상을보인다는것을알수있다. 표에서보듯이한국어 [ɨ] 보다 [ə] 가 F1 평균값이높고 F2 평균값이낮은것을통해한국어 [ɨ] 가 [ə] 보다구강내혀의높이가더높고, 혀가더뒤쪽에서조음이되는것을알수있다. 아래표는두모음간의 F1, F2 값이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해실시한 t-검정결과이다. 표 9. 한국어모음별 F1 값 t- 검정결과 Table 9. t-test result for F1 values of Korean vowels F t 자유도 p-value ( 양쪽 ) 평균차 F1 3.139-12.34 190 0.000* -148.14 F2 4.679 19.94 190 0.000* 552.28 t-검정결과두다른한국어모음의 F1 값이유의수준.05에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나 [ə] 와 [ɨ] 의 F1 값이다른것으로조사되었다. 또한 [ə] 와 [ɨ] 의 F2 값도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나다른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통해한국어의모음 [ə] 와 [ɨ] 는구강내에서조음되는위치가다르다는것을알수있다.
50 말소리와음성과학제 3 권제 4 호 (2011) 그림 8. 한국인남성들이실현한한국어모음들의산점도 Figure 8. Formant scatter plot of Korean vowels by Korean male speakers 표 10. 한국어모음의성별과유형따른 F1 평균값 Table 10. Mean F1 values of Korean vowels by sex and types 모음 성별 유형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1: 어두 16 529 59 남성 2: 어중 16 501 56 [ə] 3: 어말 16 484 55 1: 어두 16 684 85 여성 2: 어중 16 624 82 3: 어말 16 634 82 1: 어두 16 379 38 남성 2: 어중 16 426 56 [ɨ] 3: 어말 16 399 26 1: 어두 16 423 48 여성 2: 어중 16 482 67 3: 어말 16 455 40 그림 9. 한국인여성들이실현한한국어모음들의산점도 Figure 9. Formant scatter plot of Korean vowels by Korean female speakers 한국어모음 [ɨ] 의 F1 평균값의경우, 남성피실험자와여성피실험자모두유형2> 유형3> 유형1의순으로높게나타나서로같은양상을보였다. 남성여성모두어중에서실현되는유형2 가실험자료중구강내에서가장낮게실현이되었으며, 어두에서실현되는유형1이구강내에서가장높게실현된것으로나타났다. 반면에한국어모음 [ə] 는남성의경우유형1> 유형 2> 유형3의순으로어두에서실현되는유형1이구강내에서가장낮게실현이되었으며, 어말에서실현되는유형3이구강내에서가장높게실현되었다. 여성의경우는유형1 > 유형3> 유형2의순이었다. 성별과유형에따른 F2 평균값과표준편차를나타낸표는아래와같다. 표 11. 한국어모음의성별과유형에따른 F2 평균값 Table 11. Mean F2 values of Korean vowels by sex and types < 그림 8> 과 < 그림 9> 는한국인남성들과여성들이실현한한국어모음 [ə] 와 [ɨ] 의포먼트산점도를나타내고있다. t-검정결과에서와같이한국인들은두모음의조음위치를구별하여발음하였음을알수있다. 두다른모음이성별과세가지형태적유형에따라어떠한차이가있는지살펴보자. 아래의표는한국인이실현한한국어모음의성별과유형에따른 F1 평균값과표준편차를나타내고있다. < 표 10> 에서보는바와같이한국인이실현한한국어모음 [ə] 의성별과형태적유형에따른 F1 평균값순위는남성피실험자와여성피실험자모두유형1> 유형2> 유형3의순으로높게나타났으며같은양상을보였다. 어두에서 [ə] 가실현된유형1 이실험자료중구강내에서가장낮게실현이되었으며어말에서 [ə] 가실현된유형3이구강내에서가장높게실현된것으로나타났다. 모음 성별 유형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1: 어두 16 985 100 남성 2: 어중 16 1017 107 [ə] 3: 어말 16 1009 109 1: 어두 16 1092 114 여성 2: 어중 16 1143 104 3: 어말 16 1098 61 1: 어두 16 1505 118 남성 2: 어중 16 1463 101 [ɨ] 3: 어말 16 1385 153 1: 어두 16 1847 271 여성 2: 어중 16 1783 163 3: 어말 16 1671 227 모음 [ə] 의경우 F2 평균값순위는남성피실험자와여성피실험자모두유형2> 유형3> 유형1의순으로높게나타나같은양상을보였다. 또한, 한국어모음 [ɨ] 의경우는남성피실험자와여성피실험자모두유형1> 유형2> 유형3의순으로높게나타나같은양상을보였다.
한국인영어학습자와영어원어민이발화한영어약화모음에관한연구 51 성별과유형을기준으로분산분석을시행한결과성별과유형에따른 F1, F2 값은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한국어 [ə] 의경우 F1(Wilks'λ [2.29]=0.272, p>.05), F2(Wilks'λ[2.29]=0.681, p>.05) 는유의미하지않았고, 한국어 [ɨ] 의경우도 F1(Wilks'λ [2.29]=0.949, p>.05), F2(Wilks'λ [2.29]=0.159 p>.05) 는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한국인남성피실험자의 F1, F2 값을산점도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우선한국어 [ə] 와 [ɨ] 모음을형태적유형별로포먼트산점도를그리면 < 그림 10> 과 < 그림 11> 과같다. 그림에서보듯이두모음모두유형별로영역이상당히겹치는것을볼수있어통계결과를뒷받침해주고있다. 계상남성의경우만을유형별로살펴보기로하자. < 그림 12> 에서와같이, 한국어모음의경우두모음은서로다른모음영역에서실현되지만, 형태적유형의관점에서보았을때에는어두, 어중, 어말의경우가구분되지않고있는것을볼수있다. 그림 12. 한국인남성들이실현한한국어두모음의형태적유형별포먼트산점도 ( 왼쪽위에서시계방향으로유형 1, 유형 2, 유형 3) Figure 12. Formant scatter plots of Korean vowels by types produced by Korean male speakers 그림 10. 한국인남성들이실현한한국어모음 [ə] 의형태적유형별포먼트산점도 Figure 10. Formant scatter plot of Korean [ə] by types produced by Korean male speakers 3.3 한국인이실현한영어 [ə] 와한국어 [ə] 의언어별비교 그림 11. 한국인남성들이실현한한국어모음 [ɨ] 의형태적유형별포먼트산점도 Figure 11. Formant scatter plot of Korean [ɨ] by types produced by Korean male speakers 이번에는한국인이실현한영어약화모음 [ə], [ɨ] 가한국어모음 [ə], [ɨ] 와음성적으로비슷한지 F1, F2 값을 t-검정으로비교분석하였다. 표 12. 한국인이실현한영어와한국어모음별 F1, F2 값 Table 12. F1 and F2 values of Korean and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F1 F2 모음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영어 [ə] 128 689 106 한국어 [ə] 96 576 102 영어 [ə] 128 1440 244 한국어 [ə] 96 1057 114 여성의경우도포먼트값의차이가있기는하지만, 남성의경우와마찬가지로상당히겹치는것을볼수있는데, 지면관 표에서보듯이, F1, F2 값은영어의약화모음 [ə] 가한국어 [ə] 보다더높은것으로나타났다. 즉영어 [ə] 가한국어 [ə] 보다구강내에서혀의높이가더낮고더전방으로조음되는것을알수있다. 두모음집단간의 F1, F2 값이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지알아보기위해실시한 t-검정결과는아래와같다. t-검정결과영어 [ə] 와한국어 [ə] 의 F1과 F2 값이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나두언어의모음이서로다르게실현된것으로조사되었고, 이는실험에참여한한
52 말소리와음성과학제 3 권제 4 호 (2011) 국인피실험자들이영어 [ə] 와한국어 [ə] 을다르게실현한것을나타낸다. 그림 13. 한국인남성들이실현한모음 [ə] 의산점도 Figure 13. Formant scatter plot of [ə] by Korean male speakers 표 13. 한국인이실현한영어와한국어모음별 F1, F2 값의 t- 검정결과 Table 13. t-test result for F1 and F2 values of Korean and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F t 자유도 p-value ( 양쪽 ) 평균차 F1 1.069-8.067 222 0.000* -113.672 F2 4.602-15.615 222 0.000* -383.020 3.4 한국인이실현한영어 [ɨ] 와한국어 [ɨ] 의언어별비교 한국인피실험자가실현한영어약화모음 [ɨ] 가한국어모음 [ɨ] 와음성적으로비슷한지 F1, F2 값을 t-검정으로비교분석하기위하여아래의 < 표 14> 에영어와한국어의모음별포먼트평균값을나타내었고, t-검정결과는 < 표 15> 에제시하였다. 그림 14. 한국인남성들이실현한모음 [ɨ] 의산점도 Figure 14. Formant scatter plot of [ɨ] by Korean male speakers 표 14. 한국인이실현한영어와한국어모음별 F1, F2 평균값 Table 14. F1 and F2 values of Korean and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F1 F2 모음 개수 평균 (Hz) 표준편차 영어 [ɨ] 128 485 117 한국어 [ɨ] 96 427 58 영어 [ɨ] 128 1715 449 한국어 [ɨ] 96 1609 246 표 15. 한국인이실현한영어와한국어모음별 F1, F2 값의 t- 검정결과 Table 15. t-test result for F1 and F2 values of Korean and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F t 자유도 p-value ( 양쪽 ) 평균차 F1 4.117-4.752 222 0.000* -57.518 F2 3.322-2.223 222 0.027* -106.171 t-검정결과영어 [ɨ] 와한국어 [ɨ] 의 F1, F2 값이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나두언어의모음이서로다른것으로조사되었다. 따라서실험에참여한한국인피실험자들이영어 [ɨ] 와한국어 [ɨ] 을서로다르게실현한것으로나타났다. 한국인남성들이영어단어와한국어단어에있는두모음을실현한양상을포먼트산점도를통해보면다음과같다. 통계를통해알수있었고또 < 그림 13> 과 < 그림 14> 에서보듯, 한국인남성들은한국어단어와영어단어에서두모음을서로다르게발음하였음을알수있으나, [ɨ] 모음의경우중첩되는부분이비교적넓다는것을알수있다. 4. 결론본논문은한국어화자가, 영어모음 [ə] 와 [ɨ] 그리고이와가장유사한한국어모음 [ə] 와 [ɨ] 를각각영어와한국어의다양한환경에서어떻게발화하며, 영어원어민이발화한 [ə] 와 [ɨ] 와어떤유사점과차이점이있는지를알아보는데그목적이있었다. 이를위하여원어민 6명과한국인 16명으로구성된피험자들이발화한영어단어와한국어단어의모음포먼트를측정하였다. 측정결과우선국적과성별에상관없이모든화자들이두모음을서로다르게발화하고있음이밝혀졌다. 또한영어유형에따른차이를살펴볼경우, 한국인과미국인모두형태론적환경에따라모음의실현양상이서로유사한패턴을보였지만, 유형별로는국적별로통계적인차이를보이고있음을알수있었다. 즉, 한국인들과미국인들은두모음 [ə] 와 [ɨ] 를유형별로다르게발화하고있었다.
한국인영어학습자와영어원어민이발화한영어약화모음에관한연구 53 한국어화자들이서로다르게실현하고있는한국어두모음 [ə] 와 [ɨ] 은형태론적환경에서통계적으로별다른차이를보이지않았다. 또한영어단어와한국어단어에있는두모음 [ə] 와 [ɨ] 를한국어화자들은서로다르게실현하고있었지만, 영어원어민들의발음과는격차가있었음이밝혀졌다. 이러한결과는한국인들이영어를배우는데에도활용할가치가있는발견이라고할수있을것이다. 하지만, 한국어화자들의영어수준이단계별로통제되지않았고실험에참여한화자들의수가충분하지는못해이를감안한해석이필요할것이다. 참고문헌 Boersma, Paul (2001). Praat, a system for doing phonetics by computer, Glot International, Vol. 5(9/10), 341-345. Choi, T. H. (2008). Reduced Vowels of the American English Revisited,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Vol. 33(4), 953-971. Flemming, E. and Johnson, S. (2007). Rosa s and roses: Reduced Vowels in American Engl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Vol. 37(1), 83-96. Han, Yang-Ku & Lee, Sook-Hyang (2002).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English vowel production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Malsori, Vol. 44, 15-32. ( 한양구이숙향 (2002). 한국어모국어화자의영어모음발성에관한실험음성학적연구, 말소리, 제44호, 15-32.) Kondo, Y. (2000). Production of Schwa by Japaneses Speakers of English: An Acoustic Study of Shiefs in Coarticulatory Strategies from L1 to L2, In M. B. Broe & Pierrehumbert (eds.)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V: Acquisition and the lexicon, 29-3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Trager, G. L. and Bloch, B. (1941). The Syllabic Phonemes of English, Language, Vol. 17, 223-246. Van Bergem, D. R. (1994). A Model of Coarticulatory Effects on the Schwa, Speech Communication, Vol. 14, 143-162. Yang, Sun Im (2003). Teaching Korean vowel perception and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lingualism, Vol. 23, 187-209. ( 양순임 (2003). 한국어모음의인지및발음교육방안, 이중언어학, 제23호, 187-209.) Yoon, Nam-Hee. (2010). Realizations of English reduced vowels by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Master 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윤남희 (2010). 영어약화모음에대한실현양상 : 한국인영어학습자와원어민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영어영문학과.) 신승훈 (Shin, Seung-Hoon) 영남대학교영어영문학과경상북도경산시대동 214-1 Tel: 053-810-2130 Email: sshin@ynu.ac.kr 윤남희 (Yoon, Nam-Hee) 영남대학교영어영문학과경상북도경산시대동 214-1 Tel: 053-810-2130 Email: namhee1043@naver.com 윤규철 (Yoon, Kyuchul) 영남대학교영어영문학과경상북도경산시대동 214-1 Tel: 053-810-2130 Email: kyoon@y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