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폰종류와소음환경이실험실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의청취음량에미치는영향 김건우 정재윤 서명환 단국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교신저자서명환단국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충청남도천안시안서동산 16-5번지 e-mail: drmung@naver.com tel: 041-550-6469 배경및목적 : 최근휴대용음향기기의사용이증가하면서청소년들에대한소음성난청의가능성이증가하고있다. 소음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를사용할경우에평소보다더큰소리를듣게되어문제가될수있다. 따라서이번연구에서는이어폰타입과소음환경이선호청취크기에미치는영향을연구하였으며, 나아가청력손상의가능성이적은이어폰종류가어떤것인지를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 이번연구에서는 2 가지의독립적인변수를사용하였다. 하나는이어폰타입으로총 3 가지 (ear-bud, ear-canal and on-the-ear) 를사용하였고, 다른하나는소음환경이며총 3 가지 ( 조용한환경, 찻길소음, 대화소음 ) 를사용하였다. 25 명의건강한성인남녀를대상으로하였으며, 피험자들은각각다른이어폰타입과소음환경에서같은노래를들었다. 피험자들은본인이가장편안하게느끼는볼륨으로음악을듣게하였으며, 이때고막에도달하는음압을실이측정으로측정하였다. 결과 : 조용한환경에서 Ear-bud 이어폰과 Ear-canal 이어폰은비슷한선호청취크기를보였으나, 찻길소음과대화소음에서는 Ear-canal 이어폰이가장작은선호청취크기를보였다. On-the-ear 이어폰은모든소음환경에서가장큰선호청취크기를보였다. 조용한환경에서의선호청취크기가가장작았으며, 대화소음에서가장큰선호청취크기를보였다. 논의및결론 : Ear-canal 이어폰이가장편안하면서, 작은선호청취크기를나타낸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408-415. 핵심어 : 휴대용음향기기, 소음성난청, 선호청취크기, 이어폰, 소음환경 Ⅰ. 서론 최근우리나라에서도 MP3 player를비롯한휴대용음향기기의사용량및판매량크게증가하였다. 이에따라휴대용음향기기에의한소음성난청의위험성도증가하고있다. 특히, 십대청소년및젊은연령층은휴대용음향기기사용시큰음량으로음악을듣거나, 기기를장시간을사용하는경우가있어소음성난청의위험이더높은것으로추정되고있다 (Chung et al., 2005; Danhauer et al., 2009). 또한, 음향기기사용자는 75~100 db정도의음량으로노래를든는다고하며, 이에따른소음성난청의가능성이있다고한다 (Kageyama, 1999). 최근의조사 (Zogby, 2006) 에의하면, 미국십대청소년의 99% 이상에서휴대폰을비롯한휴대용음향기기를소유하고있으며, 휴대 용음향기기를사용하는십대청소년중에 51% 정도가청력저하, 티비나라디오의볼륨을올리는것, 대화시이해를못하는것, 이명등의네가지증상중에서최소 1가지증상을호소한다고한다. 또, Chung et al. (2005) 의연구에의하면, 휴대용음향기기사용으로소음성난청이의심되는십대청소년들은소리왜곡, 이명, 청각과민, 난청등의증상을호소한다고한다. 소음, 진동관리법시행규칙에의하면낮시간동안일반주거지역은평균적으로 55 db A, 상업지역은 65 db A로소음진동기준을정하고있으며, 서울특별시맑은환경본부에의한 2009년소음환경측정자료에의하면, 서울시민은평균적으로주거지역에서 60 db A, 상업지역에서 70 db A 정도의소리에노출되고있어규제기준을넘고있다. 일반적으로소 게재신청일 : 2011 년 7 월 18 일 최종수정일 : 2011 년 9 월 1 일 게재확정일 : 2011 년 9 월 6 일 c 2011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408
김건우 정재윤 서명환 / 이어폰종류와소음환경이실험실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의청취음량에미치는영향 음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를사용하는경우는조용한환경에서보다더큰음량으로음악을듣게된다. 따라서휴대용음향기기를사용시에주변환경이시끄러울경우에소음성난청및이과적증상이나타날가능성이더높아지며, 이는소음환경이청취음량에영향을미쳤기때문이다. 최근시장에서유통되고있는이어폰들은형태및기능이다양해졌다. 이어폰의종류에따라외부소음을차단하는정도나고막으로부터수신기까지의거리등여러가지특성이다를수있다. 이러한이어폰의특성에따라청취자의소음노출정도, 소음성난청의발생과연관성을가질것이다. 휴대용음향기기에대하여가장흔히권장하는내용은기기를사용하지말거나사용하더라도음량을최소로줄여서사용하라는내용이다. 그러나이러한권고는사실상음악청취를못하도록지시하는내용이기때문에음악청취를좋아하는청소년들에게설득력이약하다. 청력을보호하면서도음악을청취할수있는보다현실적이고, 실행가능한의학적권고가필요하다. 그러나아직까지이에대한연구가많지않아, 과학적사실에기반하여휴대용음향기기사용에대해상담을진행하기가쉽지않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소음환경과이어폰종류에따라청취자가얼마나큰음량으로음악을청취하며, 이때고막에전달되는음압의크기가유해한수준인지알아보고자하였다. 궁극적으로청력손상의가능성이적은이어폰종류가어떤것인지를알아보고자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5명의건강한성인을대상으로연구를진행하였다. 평균연령은 27.0±1.8세였고, 남녀비는 15:10 이었다. 피험자들은모두이과적질환의병력이없었으며, 순음청력검사에서 6분법 [(500 Hz 청력 +1 khz 청력 2+2 khz 청력 2+4 khz 청력 )/6] 으로 20 db HL (Hearing level) 이하의정상청력을가지고있었다. 피험자들은모두휴대용음향기기를사용한경험이있었고, 비교적능숙하게음향기기와이어폰을사용할수있는젊은성인이었다. 2. 선호청취크기 (preferred listening levels: PPLs) 본연구에서는기존에타연구자들에의해발표된, 선호청취크기를핵심분석지표로사용하였다 (Hodgetts, Rieger, & Szarko, 2007). 선호청취크기는개인이음악을청취할때에가장편안하다고느끼고, 휴대용음향기기사용시주로음악을청취하는음량의크기를의미한다. 피험자들에게미리녹음한음악을들려주고, 다양한소음환경에서피험자가원하는대로음향기기의음량을조절할수있도록하였다. 피험자가더이상음량조절이필요치않고쾌적하게음악을청취할수있다고느낀시점에보청기피팅에사용되는실이측정 [Real ear measurement (REM, Aurical plus, GN Otometrics, Copenhagen, Denmark)] 를이용하여순간적으로고막에전달되는음압의크기 [ db SPL (Sound pressure level)] 를측정하였다. 주파수별로측정된음압의크기는대표값을얻기위해 250 Hz, 500 Hz, 1 khz, 2 khz, 4 khz, 8 khz의평균음압크기를산출하였다. 3. 휴대용음향기기와재생음악휴대용음향기기로는 CD player (SL-S130, Panasonic, Tokyo, Japan) 을사용하였다. 피험자에게들려준음악은 소녀시대 의 Gee (The first mini album, 2009, SM Entertainment, Seoul, Korea) 를사용하였다. 이음악을선택한이유는, 첫째피험자모두에게익숙한음악이었으며, 둘째곡전반적으로음량의변화가작아서선호청취크기를선택하기용이한장점이있었다. 피험자는실이측정 (REM) 의 probe microphone 을이주에서부터고막쪽으로 1cm 부위에위치시킨후이경을통해서고막앞에위치한것을확인하였다. 이후각각의이어폰을통하여위의음악을청취하였으며, 환경소음은방에설치된별도의스피커를통해들려주었다. 피험자는 3가지서로다른소음환경에서서로다른 3가지이어폰을이용하여동일한음악을청취하였다. 이때피험자는음악재생이후첫번째 Gee 음이반복되는지점 ( 노래시작후약 20초 ) 까지원하는데로 CD player의음량을조절할수있도록하였다. 정해진재생구간이지난이후에는음량을조절을하지않고청취하도록하였으며, 이때순간적으로고막에전달되는소리에너지의양을실이측정 409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408-415 을통해측정하였다. 피험자는이어폰의종류, 소음환경의종류에따라총 9번의실험을반복하였으며실험의순서는임의적으로구성하였다. 4. 이어폰종류 본연구에서는현재우리나라에서가장많이사용되는 3가지형태의이어폰을사용하였다. Ear-bud 이어폰 (603, Cosy, China, 110 db / mw, 16Ω, 50mW ) 은이어폰을이개강에넣는형태로이주와대이주사이에이어폰을걸쳐떨어지지않도록고정하는구조이다 (< 그림 -1-A> 참조 ). Ear-canal 이어폰 (MDR-Ex51, 100 db / mw, 16Ω, 100mW, Sony, Tokyo, Japan) 은고무마개가외이도안으로삽입되는형태로, 외이도가고무마개로완전히막혀외부소음이내이로전달되는것을차단하는효과가있다 (< 그림 -1-B> 참조 ). On-theear 이어폰 (BH-205, Bluebay, 108 db / mw, 20Ω, 500mW, Seoul, Korea) 은귀걸이형으로이어폰을귀외측에올려놓는형태로, 귀바퀴뒤에위치하는클립에의해귀에고정되는이어폰이다 (< 그림 -1-C> 참조 ). 각이어폰에따른결과의차이가음향학적인재생능력의차이때문이아니라는점을확인하기위해우선실험에앞서 3가지이어폰의주파수반응곡선을확인하였다. 입력신호는주파수별로음압이동일한백색잡음을이용하였으며, 이때실제이어폰이재생해내는반응은실이측정 (REM) 을통해확인하였다. < 그림 -2> 에서나타난바와같이세가지이어폰모두고음역으로갈수록반응이점차작아졌으나, 저주파수와중간영역주파수에서는적절한재생능력이있는것으로판단되었다. 따라서세가지이어폰의주파수반응곡선에큰차이가없는것으로판단하였다. < 그림 - 1> 세가지종류의이어폰 5. 소음환경세가지종류의소음환경에서선호청취크기를측정하였다. 세가지소음환경은조용한환경 (Quiet), 찻길소음 (Street noise), 대화소음 (Talking noise) 으로정하였으며, 찻길소음과대화소음은전자녹음기 (ICD-SX68, Sony, Tokyo, Japan) 로녹음을하였다. 녹음을하는동시에음압측정기 (NL-05A, Rion, Tokyo, Japan) 를사용하여소음의실제크기를순간적으로측정하였다. 소리의크기를측정하는 db sound pressure level은주파수별사람의청각민감도를방영하지못하기때문에, 사람이잘듣는 4000 khz 주변주파수소리에는높은가중치를주어사람귀에맞추어정량화한수치인dB A 를사용하였다. 조용한환경은이중방음벽으로제작된청력검사용방음실안의환경을의미하며, 이환경에서실제측정된소음은음압측정기의측정가능최저한계인 25 db A 미 < 그림 - 2> 이어폰종류에따른주파수반응곡선 410
김건우 정재윤 서명환 / 이어폰종류와소음환경이실험실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의청취음량에미치는영향 만으로관측되었다. 찻길소음은 2009년 8월주말오후 1시에대표적인서울의도로인세종로, 세종문화회관앞찻길에서녹음하였고, 이때측정된찻길소음은 70 db A로 2009년평균서울시소음환경인 70 db A과강도가비슷하게녹음하였다. 대화소음은 2009년 8월주말오후 2시에서울시청역플렛폼에서기차가들어오지않는시점에약 100 여명의사람이서로대화하는소음을녹음하였고, 이때측정된대화소음은 70 db A로측정되었다. 녹음된소음은방음실내에서재생하였으며, 재생음량이녹음당시와비슷한크기가되도록음압측정기를이용하여녹음시와동일한음량 (70 db A) 으로재생하였다. 녹음된소음은외장형스피커 (SMS-A40, Samsung, Seoul, Korea) 를사용하여재생하였다. < 표 -1 > 소음환경과이어폰종류에따른선호청취정도결과 평균 ( db SPL) 표준편차 조용한환경 ; ear-canal 60.3 10.3 조용한환경 ; ear-bud 64.1 12.0 조용한환경 ; on-the ear 67.3 10.2 찻길소음 ; ear-canal 66.5 9.1 찻길소음 ; ear-bud 70.0 10.4 찻길소음 ; on-the ear 73.9 8.4 대화소음 ; ear-canal 67.9 8.5 대화소음 ; ear-bud 72.5 10.3 대화소음 ; on-the ear 77.5 7.9 6. 분석방법피험자들은연구이전에연구방법및목적에대하여개괄적인이해를할수있도록설명을들었다. 그러나연구결과에영향을줄수있는구체적인연구방법과예상결과를피험자들이이해하지못하도록연구의최종목표를소음이음악청취를방해하는지알아보는실험이라는잘못된정보를제공하여피험자의예상에따른오류를방지하였다통계분석은 SPSS 12.0을이용하여각각이어폰종류및소음환경에따라짝지어대응표본 t-test를사용하였다. 세가지의이어폰을사용하였기때문에집단간차이를보기위해 Bonferroni 사후검정을실시하였으며이를고려하여 P-value (0.05 / 3 = 0.017) 값이 0.017 이하인경우의미있는차이로간주하였다. 1. 이어폰종류에따른선호청취크기의차이 < 그림 -3> 은동일한소음환경에서이어폰종류에따른선호청취크기의차이를나타낸것이다. 조용한환경에서 Ear-canal 이어폰의선호청취크기는 On-theear 이어폰의선호청취크기보다유의하게작았다 (p < 0.001). 그러나 Ear-canal 이어폰과 Ear-bud 이어폰은차이가없었다. 찻길소음환경에서 Ear-canal 이어폰의선호청취크기는 On-the-ear 이어폰의선호청취크기보다유의하게작았다 (p < 0.001). 또한, Ear-bud 이어폰의선호청취크기도 On-the-ear 이어폰의선호청취크기보다유의하게작았다 (p =0.003). 대화소음환경에서선호청취크기는 Ear-canal, Ear-bud, On-the-ear 이어폰순으로유의하게커졌다 (Ear-canal & Ear-bud, p = 0.008; Ear-canal & On-the-ear, p < 0.001; Ear-bud & On-the-ear, p < 0.001). Ⅲ. 결과 이어폰종류와소음환경에따른선호청취크기를 < 표1> 로나타냈다. 조용환환경에서 ear-canal 이어폰이 60.3 ± 12.9 db SPL로가장작은선호청취크기를나타냈으며, 대화소음에서 on-the ear 이어폰이 77.5 ± 11.2 db SPL로가장큰선호청취크기를나타냈다. < 그림 - 3> 이어폰종류에따른선호청취음량 (PLLs) 411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408-415 2. 소음환경에따른선호청취크기의차이 < 그림 -4> 는동일한이어폰종류에서소음환경에따른선호청취크기의차이를나타낸것이다. Ear-bud 이어폰에서선호청취크기는조용한환경, 찻길소음, 대화소음순으로유의하게커졌다 ( 조용한환경과찻길소음, p < 0.0001; 찻길소음과대화소음, p < 0.0001; 조용한환경과대화소음, p < 0.0001). 이는 Ear-canal 이어폰과 on-the ear 이어폰에서도동일하게조용한환경, 찻길소음, 대화소음순으로선호청취크기가유의하게커졌다 [ear-canal 이어폰 ( 조용한환경과찻길소음, p < 0.0001; 찻길소음과대화소음, p < 0.0001; 조용한환경과대화소음, p < 0.0001), on-the ear 이어폰 ( 조용한환경과찻길소음, p < 0.0001; 찻길소음과대화소음, p < 0.0001; 조용한환경과대화소음, p < 0.0001)]. < 그림 - 4> 소음환경에따른선호청취음량 (PLLs) Ⅳ. 논의및결론 휴대용음향기기로인한소음성난청은공장근로자의직업적소음성난청과는다른몇가지특수성이있다. 첫째, 직업적소음은업무를수행하기위해근로자가원치않는경우에도소음에지속적으로노출된다. 반면, 휴대용음향기기사용자들은음악청취의즐거움을위해소음노출을스스로선택한것이다. 따라서직업적소음은과도한소리에너지가내이에전달되지않도록소리에너지를최대한차단하는것이주된해결책인반면, 휴대용음향기기로인한소음성난청은소리에너지의단순한차단이해결책이될수없다. 청취자가작은음량을선택하더라도음악청취의즐거움이저해되지않도록유도하는것이가장현실적인해결방안이다. 저자들은이러한방안중, 이어폰 의형태에초점을맞추어본연구를진행하였다. 둘째, 소음의유해정도를평가하는경우, 직업적소음은작업환경에서발생하는소음의음압을비교적객관적으로분석하는것이가능하다. 음향기기로인한소음의유해정도는청취자가스스로선택한음량이라는주관적요소가개입하게된다. 즉동일한휴대용음향기기로동일한음악을청취하는경우에도청취자별로만족스러운청취음량이서로다를수있고이로인해소음이유해한정도도서로달라지게된다. 이러한관점에서선호청취크기가본연구를수행하기에적절한평가지표이다. 선호청취크기는청취자가선택한만족스러운청취음량이라는주관적인요소가반영되면서도, 고막에전달되는음압의크기를실이측정을통해정량적인값 ( db SPL) 으로측정하기때문이다. 셋째, 직업적소음은특정한장소의특정한장비로인한소음이문제가되는반면, 휴대용음향기기는다양한소음환경에서청취자가음향기기를사용한다. 소음환경에따라청취자가선택하는음량이영향을받을수있으므로휴대용음향기기로인한유해성을평가하고자하는경우, 다양한소음환경의영향을고려할필요가있다. 이에본연구에서는조용한환경, 찻길소음, 대화소음과같은다양한환경에서실험을진행하였다. Hodgetts, Rieger & Szarko (2007) 의기존연구에서는 earbud 이어폰이 over-the-ear 이어폰보다유의하게더높은선호청취크기를나타났으며, 모든이어폰종류에서소음환경 ( 찻길소음, 대화소음 ) 에서조용한환경보다더높은선호청취크기를나타났다. 또한, 이어폰종류와소음환경이유의하게관련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 earcanal 이어폰이가장작은선호청취크기를보였으며, 반면에 on-the-ear 이어폰이가장높은선호청취크기를보였다. 이는기존의연구에서사용된 over-the-ear 이어폰과이번연구에서사용된 on-the-ear 이어폰의차이때문에발생하였을것으로생각되며, 소음환경에서선호청취크기가커지는것은동일하게나타났다. 본연구에서군에따른평균값은모두 80 db SPL 을넘지않았지만, 개개인으로봤을경우에최대 90 db SPL에가까운음압의크기를나타냈다. 특히, Onthe-ear 이어폰은착용하고소음환경에노출되었을경우에 16% 에서 85 db SPL보다큰소리로음악을청취하였다. 미국산업안전보건기준에따르면 1일 8시간작업을기준으로 85dB이상의소음을규제하고 412
김건우 정재윤 서명환 / 이어폰종류와소음환경이실험실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의청취음량에미치는영향 있으며, 3dB이증가하면노동시간을반으로줄이고있다 (Choi et al., 2008). 다른연구에의하면개인용음향기기를하루에 1~3시간사용하는사람이 46.7% 이며, 3시간이상사용하는사람은 14.1% 에해당하였다 (Kim et al., 2009). 본연구의피험자들이평균적으로하루에 3시간정도음향기기를사용한다고가정했을때 88dB이상의소음에노출되면내이에유해하게작용할것이다. 게다가연구에서측정된음압은고막바로앞에서측정한세기이므로일반적인공장환경에서측정되는소음의크기와동일하여도귀에더유해하게작용할것이다. 또한본연구에서사용된소음환경보다시끄러운환경에서휴대용음향기기를사용한다면더큰소음에노출될가능성이있다. 반면, Earcanal 이어폰이세가지소음환경에서모두 On-theear 이어폰보다선호청취크기가유의하게작았으며, 대화소음환경에서는 Ear-bud 이어폰보다선호청취크기가유의하게작았다. 이런결과가나타난이유는 Ear-canal 이어폰의고무마개가외이도를완전히막아외부소음의유입을차단하기때문이다. 외부소음이차단되면그자체만으로도실이측정 (REM) 에서측정되는음압이낮아지고, 청취자가듣고자하는음악의신호대잡음비율이높아지기때문에작은음량으로도음악을선명하게즐길수있다. 또다른요소는 Ear-canal 이어폰의수신기가다른이어폰에비하여고막에가까이위치한다는점이다. 보청기연구에서알려진바와같이수신기가고막에서가까울수록소리의왜곡이줄어들고신호의감쇄를줄일수있다 (Chung, 2004). 따라서청취자는음량이작아도청취하고자하는음악을명료하게인지할수있을것이다. 그러나외부소음을차단하는 Ear-canal 이어폰의특성이오히려단점으로작용할수도있다. 동일한소리에너지가이어폰에서재생되는경우, 외이도가완전히막혀있다면소리에너지의유출이차단되기때문에내이에전달되는소리에너지는더커지게된다 (Tsai et al., 2005). 따라서이경우 Ear-canal 이어폰이오히려가장유해한이어폰이될수도있다. 그러나청취자는일반적으로음악의종류와소음환경에맞추어가장편안하고안락한청취음량으로기기의볼륨을조정하게된다. 실제본연구결과피험자들은 Ear-canal 이어폰을사용하는경우기기의볼륨을낮추는결과를얻을수있었다. 그러나헤비메탈음악애호가와같이큰음량을선호하는특수한부류의청취자는선호청취크기가일반적인청취자와다르기때 문에 Ear-canal 이어폰이오히려유해할수도있다. Ear-canal 이어폰의두번째단점은외부소음차단으로인한교통사고의위험성이다. 차량이나지하철좌석에착석한경우는문제가없지만, 차도를보행하는경우 Ear-canal 이어폰은차량접근을인지하기어렵게만들수있다. 따라서자전거를타거나보행중에는 Ear-canal 이어폰은사용하지않기를권장한다. 본연구에서는이상과같은안전문제는연구목표에서배제하였으며, 오직소음성난청의유해정도만을분석하였다. 그러나청소년들에게건강하면서도안전한음악청취방법을권고하기위해서는, 향후교통사고안전부분에대한추가적인연구도필요할것이다. 소음환경에따른선호청취크기는이어폰의종류와상관없이조용한환경, 찻길소음, 대화소음순으로선호청취크기가유의하게커졌다. 조용한환경에서선호청취크기가작은것은비교적쉽게이해할수있는결과이지만찻길소음과대화소음의경우는소음의크기가동일하게 70 db A임에도선호청취크기에차이가있었던점은흥미로운결과이다. 저자들은그이유가두소음의음향학적특성차이때문으로추정하였다. 찻길소음은주로차량이빠른속도로주행하는소리로구성되어있는반면, 대화소음은사람의육성이기때문에실험에서사용한음악의육성과음향학적으로유사할가능성이높다. 따라서찻길소음에서는신호대잡음비율이낮아도음악을비교적명료하게인지할수있는반면, 대화소음에서는신호대잡음의비율이높아야만음악을명료하게청취할수있었을것으로추정하였다. 이번연구의제한점을몇가지가있었다. 첫번째는개인에따라음악적기호와음량선호수준이다르기때문에선호청취크기에영향을주는점이다. 개인의선호도에따른영향을최소화하기위해저자들은대중적이며, 음의높낮이변화가적은노래를선정하였다. 사전에피험자의음악적기호와음량선호수준을고려하여연구를진행하였다면, 더의미있는연구가진행되었을것이다. 두번째로모든피험자의고막에동일한위치에 probe microphone 이있어야한다는점이다. 저자들은실험을진행할때 probe microphone 의끝에서 1cm 되는곳에표시하여이주앞에위치하게한후동일한위치에 probe microphone 이고막앞에놓을수있도록노력하였고, 이를실험전에이경을통해확인하였다. 하지만, 피험자의외이도구조및 413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408-415 길이가각각다르기때문에피험자에따라동일한위치에 probe microphone 을놓는것은한계가있었다. 세번째로연구에서사용된선호청취크기의크기가실제로고막에미치는유해수준을반영할수있는지에대한평가를별도로시행하지는않았다. 만약전향적인실험을통해동일한크기의음악을지속적으로듣게하면서피험자의청력이나빠지는것을확인하였다면연구의학문적가치는높아지겠지만, 윤리적으로문제가될수있었다. 대신저자들은고막바로앞에서측정된음압의크기를측정함으로써소음수준이유해한수준인지아닌지를간접적으로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연구를통해 Ear-canal 이어폰은다른이어폰들에비해보다작은음량으로동일한만족도의음악청취가가능한것으로나타났다. Ear-canal 이어폰을사용할경우소음환경에서 On-the-ear 이어폰보다 10dB SPL 정도의소음노출감소효과를얻을수있었다. 반면, On-the-ear 이어폰은대화소음 환경에서최대 90dB SPL에달하는음압이귀에전달될수있으므로, 사용시주의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또한, 모든이어폰종류에서소음환경 ( 찻길소음, 대화소음 ) 에서조용한환경보다더큰음압이귀에전달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참고문헌 Choi, C. H., Chen, K., Vasquez-Weldon, A., Jackson, R. L., Floyd, R. A., & Kopke, R. D. (2008). Effectiveness of 4-hydroxy phenyl N-tert-butylnitrone (4-OHPB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oxidant drugs in the treatment of acute acoustic trauma in chinchilla.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4(9), 1772-1784. Chung, J. H., Des Roches, C. M., Meunier, J., & Eavey, R. D. (2005). Evalua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young people using a web-based survey technique. Pediatrics, 115(4), 861-867. Chung, K. (2004). Challenges and recent developments in hearing aids. Part II. Feedback and occlusion effect reduction strategies, laser shell manufacturing processes, and other signal processing technologies. Trends in Amplification, 8(4), 125-164. Danhauer, J. L., Johnson, C. E., Byrd, A., DeGood, L., Meuel, C., Pecile, A., & Koch, L. L. (2009). Survey of college students on ipod use and hearing healt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20(1), 5-27; quiz 83-24. Hodgetts, W. E., Rieger, J. M., & Szarko, R. A. (2007). The effects of listening environment and earphone style on preferred listening levels of normal hearing adults using an MP3 player. Ear and Hearing, 28(3), 290-297. Kageyama, T. (1999). Loudness in listening to music with portable headphone stereo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8(2), 423. Kim, M. G., Hong, S. M., Shim, H. J., Kim, Y. D., Cha, C. I., & Yeo, S. G. (2009). Hearing threshold of Korean adolescent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ersonal music players. Yonsei Medical Journal, 50(6), 771-776. Tsai, V., Ostroff, J., Korman, M., & Chen, J. M. (2005). Boneconduction hearing and the occlusion effect in otosclerosis and normal controls. Otology and Neurotology, 26(6), 1138-1142. Zogby, J. (2006). Survey of teens and adult about the use of personal electronic devices and head phones. Available from: www.asha.org/uploadedfiles/about/news/atitbtot/ zogby_survey2006. 414
Kim, Jung & Suh / Effects of Earphone Style and Noise Environment on Listening Levels when Using Portable Music Players in the Laboratory ABSTRACT Effects of Earphone Style and Noise Environment on Listening Levels when Using Portable Music Players in the Laboratory Kun Woo Kim Jae Yun Jung Myung-Whan Suh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onan, Korea Correspondence to Myung-Whan Suh,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6-5, An seo-dong, cheonan, Korea e-mail: drmung@naver.com tel: +82 41 550 6469 Background & Objectives: Recently, the widespread use of portable listening devices (PLD) has increased concern about juvenile noise-induced hearing loss. When a PLD is used in noisy environments, the user will listen to louder music than usual.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arphone style on preferred listening levels (PPLs). Furthermore, we assessed which type of earphone is least damaging to the inner ear. Methods: There were two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earphone style (ear-bud, ear-canal, and on-the-ear) and noise environment (quiet, street noise, and talking noise). Twenty-five participants listened to the same song with different earphone styles in different noise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controlled the PLD volume switch as they wished, and the PPL was recorded with the Real Ear Measurement system. Results: In the quiet environment, the ear-bud earphone and ear-canal earphone had similar PLL values. However, in the street noise and talking noise environments, the ear-canal earphone had the lowest PLL and the on-the-ear earphone had the highest PLL. The PLL was lowest in the quiet environment and highest in the talking noise environment. Discussion & Conclusions: The ear-canal earphone style seems to be the best earphone style for providing comfortable music listening with the lowest sound pressure leve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1;16:408-415) Key Words: portable listening devices, noise-induced hearing loss, preferred listening level, earphone, noise environments REFERENCES Choi, C. H., Chen, K., Vasquez-Weldon, A., Jackson, R. L., Floyd, R. A., & Kopke, R. D. (2008). Effectiveness of 4-hydroxy phenyl N-tert-butylnitrone (4-OHPB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oxidant drugs in the treatment of acute acoustic trauma in chinchilla.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4(9), 1772-1784. Chung, J. H., Des Roches, C. M., Meunier, J., & Eavey, R. D. (2005). Evalua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young people using a web-based survey technique. Pediatrics, 115(4), 861-867. Chung, K. (2004). Challenges and recent developments in hearing aids. Part II. Feedback and occlusion effect reduction strategies, laser shell manufacturing processes, and other signal processing technologies. Trends in Amplification, 8(4), 125-164. Danhauer, J. L., Johnson, C. E., Byrd, A., DeGood, L., Meuel, C., Pecile, A., & Koch, L. L. (2009). Survey of college students on ipod use and hearing healt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20(1), 5-27; quiz 83-24. Hodgetts, W. E., Rieger, J. M., & Szarko, R. A. (2007). The effects of listening environment and earphone style on preferred listening levels of normal hearing adults using an MP3 player. Ear and Hearing, 28(3), 290-297. Kageyama, T. (1999). Loudness in listening to music with portable headphone stereo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8(2), 423. Kim, M. G., Hong, S. M., Shim, H. J., Kim, Y. D., Cha, C. I., & Yeo, S. G. (2009). Hearing threshold of Korean adolescent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ersonal music players. Yonsei Medical Journal, 50(6), 771-776. Tsai, V., Ostroff, J., Korman, M., & Chen, J. M. (2005). Boneconduction hearing and the occlusion effect in otosclerosis and normal controls. Otology and Neurotology, 26(6), 1138-1142. Zogby, J. (2006). Survey of teens and adult about the use of personal electronic devices and head phones. Available from: www.asha.org/uploadedfiles/about/news/atitbtot/ zogby_survey2006. Received July 18, 2011 Final revision received September 1, 2011 Accepted September 6, 2011. c 2011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