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과 ( 水果 ) ( 삼종 ( 三種 )) 1. 우미감한능청열해주소번치제혈 ( 藕味甘寒能淸熱解酒消煩治諸血 ) 우 ( 藕 ) 는미감 ( 味甘 ) 성한 ( 性寒 ) 하다. 능 ( 能 ) 히청열 ( 淸熱 ) 해주 ( 解酒 ) 소번 ( 消煩 ) 하고, 제혈 ( 諸血 ) 을다스린다. 연순 1[ 마디 ( 節 )] 는여러가지혈증 ( 血症 ) 을주치 ( 主治 ) 한다. 2[ 꽃술 ( 예 ( 蘂 ))] 은약성 ( 藥性 ) 이색온 ( 濇溫 ) 하다. 청심 ( 淸心 ) 고정 ( 固精 ) 하며, 혈붕 ( 血崩 ) 과토혈 ( 吐血 ) 을다스린다. 3[ 꽃송이 ( 방 ( 房 ))] 는파혈 ( 破血 ) 과포의부하 ( 胞衣不下 ) 를다스린다. 4[ 잎 ( 엽 ( 葉 ))] 은혈창복통 ( 血脹腹痛 ) 을다스린다.( 본초 ( 本草 )). * 포의부하 ( 胞衣不下 ) : 식포 ( 息胞 ) 라고도한다. 포 ( 胞 ) 포의 ( 胞衣 ) 는태반 ( 胎盤 ) 을말함. 식포 ( 息胞 ) 는태아 ( 胎兒 ) 가만출 ( 娩出 ) 된후 ( 後 ), 비교적오랜時間이 지나도태반 ( 胎盤 ) 이자동만출 ( 自動娩出 ) 되지않는것을말함. 환자 ( 患者 ) 가대 개는출혈증상 ( 出血症狀 ) 을수반 ( 隨伴 ) 하므로, 빨리태반 ( 胎盤 ) 을배출 ( 排出 ) 시켜야한다. 그렇지않으면출혈 ( 出血 ) 이과다 ( 過多 ) 하여허탈 ( 虛脫 ) 이된다. 본병 ( 本病 ) 은대개, 분만후 ( 分娩後 ) 에원기 ( 元氣 ) 가대허 ( 大虛 ) 하므로, 계속 ( 繼續 ) 해서배출 ( 排出 ) 할힘이없거나, 혹 ( 或 ) 은출산시 ( 出産時 ) 에외사 ( 外邪 ) 를감수 ( 感受 ) 하여기혈 ( 氣血 ) 이응체 ( 凝滯 ) 된소치 ( 所致 ) 이다. 2. 연육미감건비위지사삽정양심기 ( 蓮肉味甘健脾胃止瀉澀精養心氣 ) 연육 ( 蓮肉 ) 은미감 ( 味甘 ) 하다. 비 ( 脾 ) 와위 ( 胃 ) 를튼튼히하며, 지사 ( 止瀉 ) 하 고삽정 ( 澀精 ) 하고, 심기 ( 心氣 ) 를기른다. 연밥 1 십이경 ( 十二經 ) 의혈맥 ( 血脈 ) 을보 ( 補 ) 한다. 2 수침 ( 水沉 ) 한것을석 련 ( 石蓮 ) 이라고한다. 3[ 의 ( 薏 )] 는곧연실 ( 連實 ) 속의알맹이인데, 혈병 ( 血病 ) 을다스린다.( 본초 ( 本草 )). 1
3. 검실미감능익정요슬습비산동병 ( 芡實味甘能益精腰膝濕痺酸疼幷 ) 검실 ( 芡實 ) 은미감 ( 味甘 ) 하다. 능 ( 能 ) 히정력 ( 精力 ) 을보익 ( 補益 ) 하며, 허리와 무릎의습비 ( 濕痺 ) 산동 ( 酸疼 ) 을아울러다스린다. 가시연밥 1 일명 ( 一名 ) 계두실 ( 鷄頭實 ) 이다. 2 소아 ( 小兒 ) 가많이먹으면크 지않는다.( 본초 ( 本草 )). 마맥도 ( 麻麥稻 ) ( 구종 ( 九種 )) 1. 호마인감정종창숙보허손근력강 ( 胡麻仁甘疔腫瘡熟補虛損筋力强 ) 호마인 ( 胡麻仁 ) 은미감 ( 味甘 ) 하다. 부스럼과종창 ( 腫瘡 ) 을다스리며, 익힌것 은허손 ( 虛損 ) 을보 ( 補 ) 하여근력 ( 筋力 ) 을튼튼하게한다. 검은참깨 1 일명 ( 一名 ) 거승 ( 巨勝 ) 이다. 2[ 잎 ( 엽 ( 葉 ))] 은청양 ( 靑蘘 ) 이라고 하는데, 풍한습비 ( 風寒濕痺 ) 를다스린다.( 본초 ( 本草 )). 2. 마유성냉선해독능제백병무불족 ( 麻油性冷善解毒能除百病無不足 ) 마유 ( 麻油 ) 는성냉 ( 性冷 ) 하다. 해독 ( 解毒 ) 을잘하며, 능 ( 能 ) 히여러가지병 ( 病 ) 을다스림에있어서부족함이없다. 참기름 1 깨는온 ( 溫 ) 하고, 그기름은한 ( 寒 ) 하다.( 본초 ( 本草 )). 3. 화마미감수가설하유최생윤장결 ( 火麻味甘溲可泄下乳催生潤膓結 ) 화마 ( 火麻 )( 화마인 ( 火麻仁 )) 는미감 ( 味甘 ) 하다. 소변 ( 小便 ) 을설하 ( 泄下 ) 하며, 젖을내리고, 생기 ( 生氣 ) 를돋우고, 장결 ( 膓結 ) 을윤활 ( 潤滑 ) 하게한다. 2
삼씨 1 일명 ( 一名 ) 대마 ( 大麻 ) 이다. 2[ 뿌리 ( 근 ( 根 ))] 는어혈 ( 瘀血 ) 과석림 ( 石淋 ) 을다스린다.( 본초 ( 本草 )). 4. 소맥미한제번열지갈이수양간혈 ( 小麥微寒除煩熱止渴利溲養肝血 ) 소맥 ( 小麥 ) 은성미한 ( 性微寒 ) 하다. 번열 ( 煩熱 ) 을제거 ( 除去 ) 하며, 지갈 ( 止渴 ) 하고, 리뇨 ( 利尿 ) 하고, 간혈 ( 肝血 ) 을기른다. 밀 1소음태양 ( 少陰太陽 ) 으로들어간다. 2맥 ( 麥 ) 은량 ( 凉 ) 하고, 면 ( 麵 ) 은열 ( 熱 ) 하다. 3[ 부소맥 ( 浮少麥 )] 卽밀깜부기는제열 ( 除熱 ) 하고지한 ( 止汗 ) 한다. 4[ 면 ( 麵 )] 은보기 ( 補氣 ) 소옹 ( 消癰 ) 산혈 ( 散血 ) 하며, 나복 ( 蘿葍 ) 을기 ( 忌 ) 한다.( 본초 ( 本草 )). 5. 대맥함온능보허익기조중설가제 ( 大麥鹹溫能補虛益氣調中泄可除 ) 대맥 ( 大麥 ) 은미함 ( 味鹹 ) 성온 ( 性溫 ) 하다. 능 ( 能 ) 히허 ( 虛 ) 를보 ( 補 ) 하며, 익 기 ( 益氣 ) 조중 ( 調中 ) 하여설사 ( 泄瀉 ) 를제거 ( 除去 ) 할수있다. 보리 1 일명 ( 一名 ) 모맥 ( 牟麥 ) 이다. 6. 교맥감한연오장익기동병유상당 ( 蕎麥甘寒鍊五臟益氣動病類相當 ) 교맥 ( 蕎麥 ) 은미감 ( 味甘 ) 성한 ( 性寒 ) 하다. 오장 ( 五臟 ) 의재적물 ( 滓積物 ) 을이 기며, 기 ( 氣 ) 를보익 ( 補益 ) 하나, 다른병 ( 病 ) 들을발동 ( 發動 ) 시키는예 ( 例 ) 가상 당히있다. 메밀 1오래먹으면풍 ( 風 ) 이동 ( 動 ) 한다. 2[ 면 ( 麵 )] 은여러가지창병 ( 瘡病 ) 을일으킨다. 사탕수 ( 砂糖水 )( 설탕물 ) 로조복 ( 調服 ) 하면리질 ( 痢疾 ) 을다스리고, 초초 ( 炒焦 ) 해서더운물로조복 ( 調服 ) 하면교장사 ( 絞腸沙 )( 교장사 ( 絞腸痧 ), 즉건곽란 ( 乾霍亂 )) 를다스린다. 3메밀의독 ( 毒 ) 을풀려면무우를찧어서그즙 ( 汁 ) 3
을마시면되는데, 무우가없으면무우씨를갈아서물로마신다.( 본초 ( 本草 )). 7. 나미감한구반열역능보익곽병철 ( 糯米甘寒久反熱亦能補益霍並輟 ) 나미 ( 糯米 ) 는미감 ( 味甘 ) 성한 ( 性寒 ) 하다. 오래된것은반대 ( 反對 ) 로성열 ( 性 熱 ) 하다. 능 ( 能 ) 히보중익기 ( 補中益氣 ) 하며, 곽란 ( 霍亂 ) 도아울러다스린다. 찹쌀 1 일명 ( 一名 ) 나도미 ( 糯稻米 ) 이다. 2 비 ( 脾 ) 의곡식 ( 穀食 ) 이다. 3 제경 락 ( 諸經絡 ) 이옹색 ( 壅塞 ) 하여사지 ( 四肢 ) 가불수 ( 不遂 ) 한데와발풍동기 ( 發風動 氣 ) 하는데는많이먹으면안된다. 4[ 미감 ( 米泔 )] 은쌀뜨물인데지갈 ( 止渴 ) 해 독 ( 解毒 ) 한다.( 본초 ( 本草 )). 8. 갱미감평화위주장골익양갈사유 ( 粳米甘平和胃主壯骨益陽渴瀉愈 ) 갱미 ( 粳米 )( 경미 ) 는미감 ( 味甘 ) 성평 ( 性平 ) 하다. 화위 ( 和胃 ) 를주 ( 主 ) 로하며, 장골 ( 壯骨 ) 익양 ( 益陽 ) 하고, 갈증 ( 渴症 ) 설사 ( 泄瀉 ) 를낫게한다. 멥쌀 1 수태음 ( 手太陰 ) 소음 ( 少陰 ) 으로들어간다. 2[ 밥 ( 飯 )] 은뜨거울때 종독 ( 腫毒 ) 에붙인다. 3[ 쌀뜨물 ( 석이감 ( 淅二泔 ))] 은지갈 ( 止渴 ) 하고리소편 ( 利 小便 ) 한다.( 본초 ( 本草 )). 9. 임자신온보정수윤폐하기갈수지 ( 荏子辛溫補精髓潤肺下氣渴嗽止 ) 임자 ( 荏子 ) 는미신 ( 味辛 ) 성온 ( 性溫 ) 하다. 정수 ( 精髓 ) 를보 ( 補 ) 하며, 윤폐하기 ( 潤肺下氣 ) 하고, 갈증 ( 渴症 ) 과해수 ( 咳嗽 ) 를멎게한다. 들깨 4
직속 ( 稷粟 ) ( 팔종 ( 八種 )) 1. 직미감냉능보익과수발냉압단석 ( 稷米甘冷能補益過雖發冷壓丹石 ) 稷米는味甘性冷하다. 能히補中益氣하는데, 過用하면冷이發하나丹石毒을 누른다. 피쌀 1 一名粢脾穀 ( 자비곡 ) 이다.( 本草 ). 2. 서미감온종보익구식령인차번극 ( 黍米甘溫縱補益久食令人且煩劇 ) 서미 ( 黍米 ) 는미감 ( 味甘 ) 성온 ( 性溫 ) 하다. 보중익기 ( 補中益氣 ) 를하지만, 오래 먹으면열번 ( 熱煩 ) 이극심 ( 劇甚 ) 해지기도한다. 기장쌀 1 기장쌀은폐 ( 肺 ) 의곡식 ( 穀食 ) 이다.( 본초 ( 本草 )). 3. 옥촉서평능개위치임편의근엽미 ( 玉蜀黍平能開胃治淋偏宜根葉味 ) 옥촉서 ( 玉蜀黍 ) 는성평 ( 性平 ) 하다. 능 ( 能 ) 히개위 ( 開胃 ) 하며림력 ( 淋瀝 ) 을다 스리는데, 뿌리와잎도약미 ( 藥味 ) 로쓰기에좋다. 옥수수 4. 황량감평제번갈익기지곽토사알 ( 黃粱甘平除煩渴益氣止霍吐瀉閼 ) 황량 ( 黃粱 ) 은미감 ( 味甘 ) 성평 ( 性平 ) 하다. 번갈 ( 煩渴 ) 을없애며, 익기 ( 益氣 ) 지곽 ( 止霍 ) 하고, 구토 ( 嘔吐 ) 설사 ( 泄瀉 ) 를막는다. 5
누런좁쌀 1 청량 ( 靑粱 ) 이나백량 ( 白粱 ) 보다는낫다.( 본초 ( 本草 )). 5. 청량미한지설리이수소갈열위비 ( 靑粱微寒止泄痢利溲消渴熱胃痺 ) 청량 ( 靑粱 ) 은성미한 ( 性微寒 ) 하다. 설사 ( 泄瀉 ) 와리질 ( 痢疾 ) 을멎게하며, 이 수 ( 利溲 ) 소갈 ( 消渴 ) 하고, 열중위비 ( 熱中胃痺 ) 를다스린다. 청정미 6. 속미함한능익기이수양신치열위 ( 粟米鹹寒能益氣利溲養腎治熱胃 ) 속미 ( 粟米 ) 는미함 ( 味鹹 ) 성한 ( 性寒 ) 하다. 능 ( 能 ) 히익기 ( 益氣 ) 하며이수 ( 利溲 ) 양신 ( 養腎 ) 하고, 열위 ( 熱胃 ) 를다스린다. 좁쌀 7. 출촉감온능온중삽장지곽여서동 ( 秫薥甘溫能溫中澀膓止霍與黍同 ) 출촉 ( 秫薥 ) 은미감 ( 味甘 ) 성온 ( 性溫 ) 하다. 능 ( 能 ) 히복중 ( 腹中 ) 을따뜻하게하 며, 장 ( 膓 ) 을수렴 ( 收斂 ) 하고, 곽란 ( 霍亂 ) 을멈추는능력 ( 能力 ) 은서미 ( 黍米 )( 기 장쌀 ) 와같다. 수수 1 공효 ( 功效 ) 는서미 ( 黍米 )( 기장쌀 ) 와같다. 8. 의이미감제습비치폐옹위구련류 ( 薏苡味甘除濕痺治肺癰痿拘攣類 ) 의이인 ( 薏苡仁 ) 은미감 ( 味甘 ) 하다. 습비 ( 濕痺 ) 를없애며, 폐옹위 ( 肺癰痿 ) 와구 련 ( 拘攣 ) 따위를다스린다. 6
율무쌀 1 토 ( 土 ) 에속 ( 屬 ) 하는양명약 ( 陽明藥 ) 이다. 2 리수 ( 利水 ) 하고살충 ( 殺蟲 ) 하며, 몸을가볍게하고, 장기 ( 瘴氣 ) 를이겨낸다. 3[ 뿌리 ( 근 ( 根 ))] 은삼 충 ( 三蟲 ) 을내리며, 황달 ( 黃疸 ) 을다스리고, 타태 ( 墮胎 ) 한다.( 본초 ( 本草 )). 장기 ( 瘴氣 ) : 장독 ( 瘴毒 ), 산람장기 ( 山嵐瘴氣 ) 라고도한다. 중국 ( 中國 ) 남방 ( 南方 ) 의산림간 ( 山林間 ) 의습열 ( 濕熱 ) 이증울 ( 蒸鬱 ) 해서생기는일종 ( 一種 ) 의병 사 ( 病邪 ) 이며, 자연 ( 自然 ) 의역병원 ( 疫病源 ) 의성질 ( 性質 ) 의류 ( 類 ) 이다. 통상 ( 通常 ) 은대개학질 ( 瘧疾 ) 을말한다. 숙두 ( 菽豆 ) ( 사종 ( 四種 )) 1. 대두감평중가공보장난위구신중 ( 大豆甘平中可鞏補臟煖胃久身重 ) 대두 ( 大豆 ) 는미감 ( 味甘 ) 성평 ( 性平 ) 하다. 중초 ( 中焦 ) 를튼튼하게하며, 장 ( 臟 ) 을보 ( 補 ) 하고, 위 ( 胃 ) 를따뜻하게하나, 오래먹으면몸이무거워진다. 흰콩 1 생것은성평 ( 性平 ) 하며, 초열 ( 炒熱 ) 해서검게된것은백약 ( 百藥 ) 의 독 ( 毒 ) 을푼다. 2신 ( 腎 ) 의곡식 ( 穀食 ) 이다. 3소아 ( 小兒 ) 가콩을초 ( 炒 ) 해서돼지고기 ( 저육 ( 猪肉 )) 를함께먹으면반드시기 ( 氣 ) 가옹 ( 壅 ) 해져서십중팔구 ( 十中八九 ) 는죽게된다. 십세 ( 十歲 ) 이상 ( 以上 ) 은외 ( 畏 ) 하지않는다. 4노두 ( 櫓豆 ) 는작은검은콩이다. 5이것은웅흑두 ( 雄黑豆 ) 이다. 속칭 ( 俗稱 ) 쥐눈이콩인데, 풍비 ( 風痺 ) 와산후 ( 産後 ) 랭혈 ( 冷血 ) 을다스린다. 초초 ( 炒焦 ) 해서뜨거울때에술에넣어마신다.( 본초 ( 本草 )). 2. 대두황권치근련소수창만슬통전 ( 大豆黃卷治筋攣消水脹滿膝痛痊 ) 대두황권 ( 大豆黃卷 ) 은근육 ( 筋肉 ) 의경련 ( 痙攣 ) 을다스리며, 수창만 ( 水脹滿 ) 을 7
삭히고, 슬통 ( 膝痛 ) 을낫게한다. 콩나물 ( 검정콩을발아 ( 發芽 ) 한것 ) 일반 ( 一般 ) 으로약용 ( 藥用 ) 하는것은콩나물을건조 ( 乾燥 ) 한것이아니요, 갯완두 ( 豌豆 ) 의눈아 ( 嫩芽 ) 전부 ( 全部 ) 를건조 ( 乾燥 ) 한것이다. 그러나중국 ( 中國 ) 에서는흑두 ( 黑豆 ) 의발아 ( 發芽 ) 로대두황권 ( 大豆黃卷 ) 을대용 ( 代用 ) 하였다. 예 ( 例 ) 로중국 ( 中國 ) 의사관 ( 謝觀 ) 은 대두황권 ( 大豆黃卷 ) 은흑두 ( 黑豆 ) 를발아 ( 發芽 ) 한것이다. 마황수 ( 麻黃水 ) 로발아 ( 發芽 ) 한것은발표 ( 發表 ) 에장 ( 長 ) 하고청수 ( 淸水 ) 에침 ( 浸 ) 하여발아 ( 發芽 ) 한것은습열 ( 濕熱 ) 에장 ( 長 ) 하다 고하였다.( 신씨본초학 ( 申氏本草學 )). 3. 적두산평종만수배농소갈병이수 ( 赤豆酸平腫滿收排膿消渴並利溲 ) 적두 ( 赤豆 ) 는미산 ( 味酸 ) 성평 ( 性平 ) 하다. 수종 ( 水腫 ) 창만 ( 脹滿 ) 을거두며, 배농 ( 排膿 ) 소갈 ( 消渴 ) 하고, 이수 ( 利溲 ) 도한다. 붉은팥 4. 녹두기한해백독병치번갈제열속 ( 菉豆氣寒解百毒並治煩渴諸熱屬 ) 녹두 ( 菉豆 ) 는기한 ( 氣寒 ) 하다. 백독 ( 百毒 ) 을풀며, 아울러번갈 ( 煩渴 ) 과여러 가지열 ( 熱 ) 을다스린다. 녹두 ( 綠豆 ) 1 가루 ( 분 ( 粉 ) 는백약독 ( 百藥毒 ) 을풀며, 두창 ( 痘瘡 ) 과습란 ( 濕爛 ) 에는이녹두 ( 菉豆 ) 가루를바른다. 2[ 껍질 ( 피 ( 皮 ))] 은해열 ( 解熱 ) 하고퇴예 ( 退 瞖 ) 시킨다.( 본초 ( 本草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