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JHHBE_2008_v15n2_99.hwp

Similar documents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1..

서론 34 2

012임수진


서론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歯1.PDF

Lumbar spin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Jkafm093.hwp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김범수

590호(01-11)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

hwp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A Problem for Government STAGE 6: Policy Termination STAGE 1: Agenda Setting STAGE 5: Policy Change STAGE 2: Policy Formulation STAGE 4: Policy Evalua

Jksvs019(8-15).hwp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Æ÷Àå82š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

DBPIA-NURIMEDIA

09È«¼®¿µ 5~152s

황지웅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노인의학 PDF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노영남

<35BFCFBCBA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untitled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12이문규

DBPIA-NURIMEDIA

( )Jksc057.hwp

Kinematic analysis of success strategy of YANG Hak Seon technique Joo-Ho Song 1, Jong-Hoon Park 2, & Jin-Sun Kim 3 * 1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04_이근원_21~27.hwp

歯5-2-13(전미희외).PDF

( )Jkstro011.hwp

03-ÀÌÁ¦Çö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보고서_pdf로.hwp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 )Kju269.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04조남훈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30 ~ 43 / 31 절한 식사요법이 필요하다 국내의 복막투석 식사요법 지침서에서는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량과 식생활에 대한 지침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식사요법 지침들이 어렵고 까다로워서 환자들이 이해하기

00내지1번2번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09김정식.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세란봄호(2010).qxd

(

γ

04-다시_고속철도61~80p

hwp


(01) hwp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13.12 ①초점

Jkbcs016(92-97).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1-16 DOI: * A Study on Good School

歯14.양돈규.hwp

Rheu-suppl hwp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다문화 가정의 부모

Jkcs022(89-113).hwp

Transcription:

가정간호학회지제 15 권제 2 호, 2008 년 12 월 J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Vol.15 No.2, 99-105, December, 2008 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평가 김경례 1) 김미예 2) 김광숙 3) 서론연구의필요성 최근만성퇴행성질환의증가와인구의노령화및각종사고와재해로인하여거동불편인구가증가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함에따라가정에서치료받는가정간호서비스대상자가증가하게되었다. 가정간호는질병이나고통또는만성질환및상해로인한장기간의불구제한이있는개인이최적의건강획득, 활동및독립성을유지하기위하여가정에서제공받을수있는의료서비스이며가정간호대상자는주로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암등의만성퇴행성질환자로 65세이상환자가전체방문수의 72% 로대부분을차지하고있다 (Ryu, 2006). 가정간호대상자중가장많은뇌혈관질환자들은질환특성상인지기능의감소, 의식의소실및운동근육기능의저하로연하곤란을나타내는경우가많아섭취량의감소로영양불량이초래되고있으며, 암환자의약 40~80% 에서영양불량이생겨수술부위의회복지연, 전해질및수분불균형, 내분비장애및면역기능저하등이발생하고있다 (Sung, 2002). 또한장기간와상상태즉, 침상안정으로인해초래되는생리적변화로영양불량상태를악화시키고탈수가단독으로발생될수있으나흔히영양불량을동반하며혈류량감소로말초순환을방해하여조직에산소와영양소공급을감소시켜서피부궤양을초래한다 (Davalos et al., 1996; Kim, 2004). 가정간호대상자의대부분을차지하는 60세이상의노인에서가장흔하면서도간과하기쉬운임상적문제는영양불량으로중년층에비해영양불량에빠질위험이많다 (Park & Yoo, 2000). 특히가정전문간호사는가정을방문하여단독으로환자의영양상태를평가하여독자적으로영양관리를수행해야하는상황에직면하게되므로가정전문간호사들에의한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관리는보다과학적인방법으로이루어져야한다. 우리나라에서환자의영양상태평가및영양관리에관한연구는만성신부전증환자및투석환자, 암환자등을대상으로는많이이루어졌으나가정간호대상자에대한연구는매우제한적으로시도되어 Kim(2004) 이가정간호대상자에게적용할수있는영양상태평가도구를개발한연구가확인될뿐이다. 외국에서도가정간호에초점을맞춘예를찾아보기어려우며다만간호요양원에서거주하고있는대상자들의키와팔둘레측정을통한체질량지수 (BMI) 추정 (Nygaard, 2008), 간호요양원노인환자들을대상으로물리적인측정 ( 키, 몸무게, BMI), 혈청검사 ( 혈색소, 총단백질, 일부민, 콜레스테롤 ), 체성분 (fat mass, fat-free mass, total body water), 질소균형 (nitrogen balance) 을조사하여이들간의상관관계를파악한연구 (Kimyagarov, Shavi, & Levenkron, 2007) 를확인할수있다. 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관리를효과적으로수행하기위해서는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를객관적인도구로평가하고, 대상자의영양상태에영향을미치는요소를확인하는작업이선행되어야한다. 영양평가에사용되는바람직한영양지표는 주요어 : 가정간호, 영양 1) 이대목동병원가정간호사업소가정전문간호사, 2) 이대목동병원간호부간호사 3) 연세대학교간호대학조교수, 간호정책연구소 ( 교신저자 E-mail: gskim@yuhs.ac) 투고일 : 2008 년 10 월 21 일심사완료일 : 2008 년 12 월 12 일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99

김경례외 특수성과민감성을갖추어야하며한가지영양지표만으로모든환자들의영양상태를정확하게파악할수없기때문에병력, 식사력, 신체증후등주관적인지표들과함께신체계측, 생화학자료등의객관적지표들을종합적으로사용해야한다 (Kim, 2000). Kim(2004) 이개발한영양상태평가도구는신체계측 ( 상완위근육둘레, 상완삼두근피부두겹두께 ), 식이섭취 ( 식이섭취유형, 식욕, 오심 구토 설사, 단백질군섭취, 야채 과일섭취 ), 임상조사 ( 피부및외모, 부종 ) 등포괄적인영역으로구성되어있다. 여기에영양상태를반영하는생화학적지표인혈청알부민농도를함께확인한다면보다타당한영양상태평가가될것이다. 만성질환을가지거나전체적으로기능이저하된노인을장기적으로간호해야하는가정전문간호사에게대상자의영양상태를평가하고관리하는것은중요한역할영역중하나이므로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를다양한방법으로평가하고영양상태와관련된요소를확인하는것은의미있는일이다. 연구목적본연구는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를평가하고그들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를비교하고자시도되었으며이와함께평가도구를사용한영양상태구분에따라영양관련생화학적지표에차이가있는지를확인하고자하였다. 구체적인연구목적은다음과같다. 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를평가한다. 가정간호대상자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의차이를비교한다. 영양상태평가결과에따른그룹간혈청알부민농도를비교한다. 연구방법연구설계 본연구는가정간호대상자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를비교하고평가도구를사용한영양상태구분에따른영양관련생리적지표의차이를확인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본연구의대상은의료기관가정간호서비스를제공받고있는환자로서서울시에위치한일개대학병원가정간호사업소를편의추출하고해당사업소에 2007년 3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등록된가정간호대상자전수를연구대상자로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첫가정방문시기에이루어졌으며퇴원후 1~2 주기간에방문하여신체계측영역과임상조사는가정전문간호사의측정, 시진및촉진을통해시행하였다. 식이섭취영역은의사소통이가능한환자의경우에는직접문진을통해, 의사소통이불가능한환자의경우에는주간호제공자를통해자료를수집하였다. 신체계측영역인대상자의상완위근육둘레및피부두겹두께의측정은연구자가직접줄자와캘리퍼 (caliper) 를사용하여각각 3회측정하여그평균치를구하였다. 영양상태를반영하는생화학적검사인알부민수치는퇴원시의자료를확인하였다. 따라서알부민측정과가정전문간호사에의한영양평가시기는 1~2주의차이가있었다. 의사소통이가능한대상자에게는직접, 의사소통이불가능한대상자는보호자에게연구의목적, 수집할자료의내용, 자료의비밀유지등에대해설명하고연구참여에동의한대상자로부터자료를수집하였으며총 81명의자료를최종분석에사용하였다. 연구도구 영양상태 Kim(2004) 은환자영양평가에대한국내외문헌고찰을통해영양평가영역과항목, 지표를도출하고이에대한전문가내용타당도와임상타당도를검증하였으며혈청알부민과총임파구수분류에따른도구의민감도와특이도를고려하여최종항목을선정하는과정을통해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평가도구를개발하였다. 본연구에서는 Kim(2004) 이개발한신체계측 2항목, 식이섭취 7항목, 임상조사 2항목으로구성된총 11항목의영양상태평가도구를그대로사용하였다. 신체계측영역중상완위근육둘레는 70percentile 이상이면 Level Ⅰ, 70percentile 미만이면 Level II로, 상완삼두근피부두겹두께는 30percentile 이상 Level Ⅰ, 30percentile 미만이면 Level II로평가하였다. 식이섭취영역은죽 밥 상업용제품을섭취하는 Level Ⅰ, 정맥영양 미음 물 금식의 Level II로식이섭취유형을나누고, 식욕이있거나식이섭취량에변화가없으면 Level Ⅰ, 그렇지않으면 Level II로, 오심 구토 설사가없으면 Level Ⅰ, 있으면 Level II로, 하루에적어도한번이상단백질군섭취하면 Level Ⅰ, 전혀섭취안하면 Level II로, 하루에적어도한번이상야채 과일섭취하면 Level Ⅰ, 전혀섭취안하면 Level II로평가하였다. 임상조사영역은피부색이균일하고건강한모습이면 Level Ⅰ, 몹시야윈모습으로피부가창백하고건조하며거칠면 Level II로, 부종이없으면 Level Ⅰ, 부종이있으면 Level II로평가하였다 <Table 1>. 총 11개항목의영양상태평가도구에따라 Level Ⅰ, Level Ⅱ로분류하여 Level Ⅱ가 4개이하로평가된경우는영양상태양호, Level Ⅱ가 5개이상으로평가된경우는영양불량으 100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평가 <Table 1> Components of nutrition screening tool used for the patients in home care services 문제영역과항목신체계측 식이섭취 : 지난 1 주동안 임상조사 수준 Level Ⅰ Level Ⅱ MAMC 1) (cm) 70percentile <70percentile TSF 2) (mm) 30percentile <30percentile 식이섭취유형 연식 / 일반식 / 조제용포뮬라 ( 상업용 ) 정맥영양 / 유동식 / 물 / 금식 식욕 있음 없음 식이량 섭취변화없음 섭취변화있음 ( 감소 ) 오심 / 구토 없음 있음 설사 없음 있음 단백질군섭취 한번이상섭취 / 하루 전혀섭취안함 야채, 과일섭취 ( 비타민, 무기질 한번이상섭취 / 하루 전혀섭취안함 보조식품사용 ) 전체적인외모 피부색이균일하고건강한모습 몹시야윈모습으로피부가 창백하고건조하며거침 부종 없음 있음 최종영양상태평가수준분류 문제수준 문제사정 양호 환자영양이양호한상태환자식사지침을가족에게교육한상태 Level Ⅱ가 4개이하로평가된경우 영양불량 환자가영양불량의위험이있는상태가정전문간호사의영양관리가필요한상태 Level Ⅱ가 5개이상으로평가된경우 1) MAMC: Mild Arm Muscle Circumference ( 상완위근육둘레 ) 2) TSF: Triceps Skin Fold thickness ( 상완삼두근피부두겹두께 ) Source: Kim, K. R. (2004). Development of a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home care centers. J Korean Acad Nurs, 34(6), 1014-1024. 로평가한다. 자료분석수집된자료는 SPSS/PC 15.0 For Windows 프로그램을이용하여다음과같이분석하였다. 대상자의특성과영양상태항목별분포는실수, 백분율, 평균및표준편차등의기술적통계방법을사용하였다. 대상자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의차이는 χ 2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로분석하였다. 영양상태평가결과에따른그룹간혈청알부민농도의비교는 t-test로분석하였다. 질환이 4명 (4.9%), 내분비계질환이 2명 (2.5%), 욕창및피부질환이 2명 (2.5%) 이었다. 대상자중 65명 (81.3%) 이절대적와상상태였으며부분와상상태는 9명 (11.3%), 정상거동을하고있는경우는 6명 (7.5%) 이었다. 절대적와상상태는하루종일침상에서생활하고일상생활활동에서전적으로도움이필요한경우이고, 부분와상상태는실내생활은도움을필요로하고낮에도주로침상에서생활하지만휠체어로이동이가능한경우이다. 대상자의영양관련생리적지표인혈청알부민농도는평균 3.29(±.63)g/dl이었으며최소 1.9부터최대 4.7을나타내었다 <Table 2>. 대상자의영양상태 연구결과대상자의일반적특성 대상자의연령은평균 68.6세이었고, 대상자의연령범위는최소 19세부터최대 100세까지분포하였다. 성분포는남성이 35명 (43.2%), 여성이 46명 (56.8%) 이었고, 진단명은신경계질환이 54.3%(44명 ) 로가장많았고, 비뇨생식기계 17.3%(14명 ), 암 9.9%(8명 ), 호흡기계 8.6%(7명 ) 의순이었다. 또한순환기계 영양상태를평가하는각항목에따른분포를살펴보면 <Table 3> 과같다. 11개항목중영양상태평가가상대적으로낮음을의미하는 Level Ⅱ에분포된비율이가장높은항목은식욕에관한것이었으며, Level Ⅱ에분포된비율이가장낮은항목은설사증상에관한것이었다. 11개항목중문제수준 Level II에서 5개이상의항목이선택되어영양불량으로평가된대상자는 27명 (33.3%), Level II에서 5개미만의항목이선택되어영양상태양호로평가된대상자는 54명 (66.7%) 이었다 <Table 5>.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101

김경례외 <Table 2>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81 Characteristics Category n(%) Mean±SD Age 59 19(23.5) 68.59±14.19 60-69 21(25.9) 70-79 24(29.6) 80 17(21.0) Sex Male 35(43.2) Female 46(56.8) Major medical diagnosis Neurology 44(54.3) Uro-genital system 14(17.3) Cancer 8( 9.9) Respiratory system 7( 8.6) Cardiovascular system 4( 4.9) Endocrine system 2( 2.5) Decubitus ulcer and dermatology 2( 2.5) Mobility* Absolute bed-ridden 65(81.3) Partial bed-ridden 9(11.3) Normal activity 6( 7.5) Serum albumin(g/dl) 3.29±.63 * Excluded no response <Table 3> Distributions of level by each item in nutrition screening N=81 Screening item Level Ⅰ Level Ⅱ n(%) n(%) MAMC(cm) 69(85.2) 12(14.8) TSF(mm) 61(75.3) 20(24.7) Diet type 67(82.7) 14(17.3) Appetite 30(37.0) 51(63.0) Amount of diet 55(67.9) 26(32.1) Nausea/vomiting 72(88.9) 9(11.1) Diarrhea 77(95.1) 4( 4.9) Intake of protein food 44(54.3) 37(45.7)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36(44.4) 45(55.6) General feature 50(61.7) 31(38.3) Edema 58(71.6) 23(28.4) 대상자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비교대상자의특성별영양상태분포의차이를분석한결과는 <Table 4> 와같다. 양호또는불량으로구분하는영양상태는주요진단범주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χ 2 =19.799, p<.001). 비뇨생식기계질환이주요진단명인대상자 14명모두가영양상태가양호한것으로평가되었으며신경계질환을주요진단명으로가진대상자는 70.5% (31명) 가영양상태가양호하였다. 한편, 암환자에서는 8명중 7명 (87.5%) 이영양상태가불량한것으로평가되었다. 대상자의연령, 성별, 와상상태여부에따른영양상태분포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절대적와상상태인대상자 63.1%(41명 ) 가 <Table 4> Difference in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N=81 Nutritional status Variables Category Good n(%) Poor n(%) X 2 p Age 59 12(63.2) 7(36.8) 60-69 17(81.0) 4(19.0) 70-79 16(66.7) 8(33.3) 3.475.324 80 9(52.9) 8(47.1) Sex Male 23(65.7) 12(34.3) Female 31(67.4) 15(32.6).025.874 Major Neurology 31(70.5) 13(29.5) medical Uro-genital system 14(100.0) 0( 0.0) diagnosis 1) Cancer 1( 12.5) 7(87.5) 19.799.000 Respiratory system 4( 57.1) 3(42.9) Others 4( 50.0) 4(50.0) Mobility* 1) Absolute bed-ridden 41( 63.1) 24(36.9) Others 13( 86.7) 2(13.3) 3.092.125 * Excluded no response, 1) Fisher's exact test 102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평가 영양상태가양호한것으로평가된것에비해서부분와상상태또는정상거동을하고있는대상자에서는 86.7%(13명 ) 가영양상태가양호한것으로평가되어약간의차이를나타내었으나통계적으로유의하지는않았다 <Table 4>. 영양상태구분에따른혈청알부민농도 대상자의영양상태를영양상태평가도구 11개항목의문제수준에해당하는지표에체크하여문제수준 Level II에서체크된항목의개수에따라영양불량, 영양양호로분류한후영양상태에따른혈청알부민농도의차이를분석하였다. 영양상태양호로평가된 54명 (66.7%) 과영양불량으로평가된 27명 (33.3%) 의혈청알부민농도를비교한결과영양상태가양호로평가된대상자가영양불량으로평가된대상자보다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높았다 (t=11.38, p<.001)<table 5>. <Table 5> Difference in serum albumin level according to nutritional status N=81 Nutritional Serum albumin n(%) status Mean±SD t p Good 54(66.7) 3.62±0.47 Poor 27(33.3) 2.64±0.31 11.38.000 논 의 가정간호대상자는노인이많은비율을차지하며만성질환을가진경우가많아가정전문간호사는이들의영양상태를평가하고관리하는역할을수행해야한다. 본연구는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를평가하고그들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를확인하고평가도구를사용한영양상태구분에따라영양관련생리적지표에차이가있는지를규명하기위해수행되었다. 본연구대상자의질환별분포를보면, 신경계질환 (54.3%), 비뇨생식기계 (17.3%), 암 (9.9%), 호흡기계 (8.6%), 순환기계 (4.9%), 그리고내분비계질환과욕창및피부질환이각각 2.5% 로분포하고있다. 우리나라 148개가정간호사업소의다빈도상병을분석한 Ryu(2006) 의연구에서뇌혈관질환 (27.9%), 고혈압 (6.4%), 당뇨 (4.3%), 위암및폐암 (4.0%), 욕창성궤양 (3.3%) 의분포를보인것과빈도면에서는다소차이가있으나그구성면에서는본연구대상자의주요진단명이가정간호대상자의다빈도질환을포함하고있었다. 연구대상자 81명중영양불량으로평가된대상자는 27명 (33.3%) 이었고, 영양상태양호로평가된대상자는 54명 (66.7%) 이었다. Kim(2004) 의연구에서가정간호대상자 68명의영양상태를평가한결과 45.6% 에서영양불량으로평가된것보다는영양상태가양호하였다. 이는 Kim(2004) 은자료수집 을첫가정방문시로제한하지않았으나본연구에서는영양상태를첫가정방문시에실시함으로써가정에서의식이섭취부족등앞으로발생할수있는영양불량요인의영향을아직덜받은시기이기때문으로판단된다. 가정간호대상자외에입원환자의영양상태를평가한 Davalos 등 (1996) 의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입원한 104명의환자의입원시 16.3% 였던영양불량비율이입원 1주후에 26.4%, 2주후에는 35% 로증가하였으며상완삼두근피부두겹두께 (TSF: triceps skinfold thickness) 와혈청알부민농도가입원 1주후에유의하게감소하였음을확인하였다. 또한, Yang, Choi와 Kim(1997) 이일주일이상입원하고있는내과환자의영양상태를평가한연구에서도체중과체질량지수 (BMI), 무지방체질량 (LBM), 피하지방두께가입원시보다입원 1주후에유의하게감소하였고체중과복부의피하지방두께는입원 2주후에도계속감소하였음을보고하면서입원후에신체계측을반영한영양상태가나빠짐을보고하였다. 즉, 입원시점부터환자의영양상태변화가나타나며퇴원후에도이러한양상은계속될수있으므로가정간호대상자뿐아니라입원환자의영양상태평가및영양관리가중요함을알수있다. 본연구에서는병원퇴원후가정간호첫방문시점에주로자료수집이이루어져가정간호서비스기간에따른, 또는만성질환을가진환자의퇴원후기간에따른영양상태의변화를확인하기는어려웠다. 따라서가정간호서비스기간을세분화하여조사하거나, 종단적조사를통해환자의가정간호서비스기간에따른영양상태의변화를확인하는연구가필요하다. 대상자의주요질환별영양상태를비교한결과, 암환자 8명중 7명 (87.5%) 이영양상태불량군으로평가되어다른질환그룹에비해영양상태가나쁜것으로평가되었다. 이미여러연구 (Shon, Han, & Kim, 2003; Shike, 1996; Kubrak & Jensen, 2007) 에서암환자의영양상태취약성과영양관리의중요성에대해서조사된바있다. Kubrak와 Jensen(2007) 은암환자영양에관한여러연구들을종합한결과암환자의 20~80% 가영양불량 (malnutrition) 을경험한다고주장한바있는데, 본연구에서는더높은비율을나타내었다. 암환자는미각의변화및식욕부진, 신진대사의변화로인한영양소흡수감소, 정서적인불안정, 직접적인영양섭취부족등으로인하여영양상태가나빠지는것으로설명되고있다 (Costa, 1977; Shike, 1996). 암환자가병원에입원한상황에서는전문가에의해영양관리를받을수있으나가정에서는지속적인영양관리가어려운점을감안할때, 암환자를대상으로한가정전문간호사의영양관리가강조되어야할것이다. 와상상태여부에따른대상자의영양상태분포차이가통계적으로유의하지는않았으나절대적와상상태인대상자가부분와상상태또는정상거동을하고있는대상자에비해서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103

김경례외 영양상태가양호한비율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와상상태여부에따른혈청알부민수치를비교한추가분석에서는절대적와상상태그룹에서의알부민 (3.22±.58) 이부분와상상태또는정상거동그룹 (3.69±.63) 에비하여유의하게낮았다 (t=-2.76, p=.007). Davalos 등 (1996) 과 Yang, Choi와 Kim (1997) 의연구에서입원기간이길어질수록영양상태가나빠진결과와함께고려할때, 활동수준의저하가환자의영양상태를악화시키는것을알수있다. 이는만성질환의경과에따라영양관리의중요성이계속적으로증가함을제시하는것이다. 문진과시진, 측정을활용한영양상태평가결과를대상자의영양관련생화학적지표인혈청알부민농도와비교한결과, 영양상태양호로평가된그룹에서의알부민수치가영양불량으로평가된그룹에비하여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았다. 추가분석으로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혈청알부민의정도를확인한결과, 주요진단범주와와상상태여부에따른알부민수치에유의한차이가있었다. 암환자의혈청알부민 (2.58±.73) 이비뇨생식기계질환자 (3.73±.49) 나신경계질환자 (3.31±.55) 의알부민농도에비해유의하게낮았으며와상상태여부에따른혈청알부민농도에서도차이를보였다. 영양상태를반영하는생화학적지표는다양하며그중혈청알부민의유용성에대해서는몇몇연구들에서주장된바있다 (Davalos et al., 1996; Kwon, Jang, Jeon, & Cho; 1997). Kwon 등 (1997) 은노인환자의예후와관련된영양지표연구에서혈청알부민, 총임파구수, 혈색소치, 혈청포타슘치등이환자의퇴원후재입원까지의기간과관련을보인다고하였고혈청일부민이낮은군에서높은군에비해사망률이낮고평균재원기간또한짧다고보고하였다. 본연구에서영양평가도구를이용한영양상태와대상자의혈청알부민정도의비교에서일치된결과를나타냄으로써영양상태평가도구의타당성을확인할수있었다. 즉, Kim(2004) 의영양상태평가도구는가정간호사가실무에적용하기에적절한방법이라고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가정전문간호사들이문진과시진, 측정을활용한영양상태평가를통해대상자의영양상태를방문시에주기적으로판단하고그결과에따른영양관리를빠른시일에적용하는데활용할수있을것이다. 결론및제언결론 본연구는가정간호대상자의특성에따른영양상태를비교하고평가도구를사용한영양상태구분에따른영양관련생리적지표의차이를확인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 구대상은일대학병원가정간호사업소에 2007년 3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등록된가정간호대상자 81명으로하였으며 Kim(2004) 이개발한영양상태평가도구를이용하여연구자가첫가정방문시에직접영양상태를평가하고동일한대상자의영양상태를반영하는생화학적지표중하나인혈청알부민농도를퇴원시이루어진혈액검사결과를통해확인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대상자의연령은평균 68.6세이었고, 성분포는남성이 35 명 (43.2%), 여성이 46명 (56.8%) 이었다. 주요진단명은신경계질환이 54.3%(44명 ) 로가장많았고, 비뇨생식기계 17.3% (14명), 암 9.9%(8명 ), 호흡기계 8.6%(7명 ) 의순이었다. 대상자중 65명 (81.3%) 이절대적와상상태였으며부분와상상태는 9명 (11.3%), 정상거동을하고있는경우는 6명 (7.5%) 이었다. 대상자의혈청알부민농도는평균 3.29(±.63)g/dl이었다. 영양상태를평가하는 11개항목중영양상태평가가상대적으로낮음을의미하는 Level Ⅱ에분포된비율이가장높은항목은식욕에관한것이었으며, 문제수준 Level II에서 5 개이상의항목이선택되어영양불량으로평가된대상자는 27명 (33.3%), Level II에서 5개미만의항목이선택되어영양상태양호로평가된대상자는 54명 (66.7%) 이었다. 대상자의특성별영양상태분포의차이를분석한결과, 주요진단범주 (χ 2 =19.799, p<.001) 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비뇨생식기계질환또는신경계질환을주요진단명으로가진대상자가상대적으로영양상태가양호하였으며암환자는영양상태가불량한것으로평가되었다. 영양상태양호로평가된그룹과영양불량으로평가된그룹의혈청알부민농도를비교한결과, 영양상태가양호로평가된대상자가영양불량으로평가된대상자보다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높았다 (t=11.38, p<.001). 제언본연구는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를평가하고이를대상자의특성에따라분석함으로써향후대상자의영양중재계획에기여할수있다는의의가있다. 그러나혈청알부민농도검사와영양상태평가가동일한시점에이루어지지않고 1~2주동안의기간차이가있었다는점과연구대상자의수가적어연구결과를일반화하는데제한점이있다. 이러한제한점과연구결과를토대로다음과같은제언을하고자한다. 첫째, 대상자의영양상태평가와생화학적측정을동일한시점에하면서보다다양한생화학적지표를포함한연구를제언한다. 104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가정간호대상자의영양상태평가 둘째, 가정간호대상자의입원중특성까지도함께고려한영양상태평가연구를제언한다. 셋째, 더많은대상자를이용한반복연구를가정간호대상자뿐만아니라보건소방문건강관리, 병원임상현장에서도시도하기를제언한다. References Costa, G. (1977). Cachexia, the metabolic component of neoplastic diseases. Cancer Res, 37, 2327-2335. Davalos, A., Ricart, W., Gonzalez-Huix, F., Soler, S., Marrugat, J., Molins, A., Suner, R., & Genis, D. (1996). Effect of malnutrition after acute stroke on clinical outcome. Stroke, 27(6), 1028-1032. Kim, K. R. (2004). Development of a nutritional assessment tool for home care centers. J Korean Acad Nurs, 34(6), 1014-1024. Kim, Y. H. (2000). Clinical nutrition guide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Seoul: Kwangmoonkag. Kimyagarov, S., Shavi, A., & Levenkron, S. (2007). Nutritional status assessment in nursing home elderly residents. Harefuah, 146(10), 759-761, 814. Kubrak, C., & Jensen, L. (2007). Critical evaluation of nutrition screening tools recommended for oncology patients. Cancer Nurs, 30(5), E1-E6. Kwon, O. S., Jang, H. S., Jeon, S. A., & Cho, H. S. (1997). Nutritional indicators related to the prognosis in elderly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18(8), 14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Handbook for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 Seoul: Author. Nygaard, H. A. (2008). Measuring body mass index (BMI) in nursing home residents: The usefulness of measurement of arm span. Scand J Prim Health Care, 26, 46-49. Park, H. S., & Yoo, H, J. (2000). Nutritional therapy for common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J Korean Geriatr Soc., 4(1), 1-11. Ryu, H. S. (2006). Current status of costs and utilizations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nursing care in Korea. J Korean Acad Nurs, 36(7), 1193-1203. Shike, C. (1996). Nutrition therapy for the cancer patient. Hematol Oncol Clin North Am, 10(1), 221-234. Shon, S. K., Han, Y. I., & Kim, K. H. (2003).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 with gastric cancer. J Research Institute of Wholistic Nursing Science: Kosin University, 2, 45-55. Sung, M. K. (2002). Cancer patient's nutrition management. Korean Home Care Nursing Association Symposium, Seoul: KNA. Yang, Y. H., Choi, S., & Kim, E. K. (1997).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of general medical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J Korean Acad Nurs, 27(1), 49-60. Nutritional Assessment of Patients Receiving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Kim, Kyoung Rye 1) Kim, Mi Ye 2) Kim, Gwang Suk 3) 1) Home Care Service Center, Ewha Wome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2) RN, Ewha Wome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3)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Environments & Systems, Nursing Polic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Purpose: We evaluated patient nutritional status in a home care setting. Method: We recruited 81 patients who received in-home care using a screening sheet. The level of nutrition-related serum marker (albumin) was checked via medical records and data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s, and χ 2 -test. Results: Nutritional status varied according to the primary medical diagnosis. Poor nutritional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ncer patients than in other diseases. Serum album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alnutrition group than the good nutrition group. Conclusions: Nutrition screening can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in home care patients.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nutritional status when assessing patient health. Key words : Home care services, Nutrition assessment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Gwang Suk Department of Nursing Environments & Systems,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250 Seongsanno, Seodaemun-gu, Seoul 120-752, Korea Tel: 82-2-2228-3342 Fax: 82-2-392-5440 E-mail: gskim@yuhs.ac 가정간호학회지 15(2), 2008 년 12 월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