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14; 47(4): 221 ~ 228 http://dx.doi.org/1.4163/jnh.14.47.4.221 pissn 2288-3886 / eissn 2288-3959 Research Article 유자씨유의지방산분석및 Nitric Oxide 생성, 지방축적능, 렙틴분비조절효과 * 김태우 1** 김경곤 2** 강윤환 1** 김대중 1 최면 1,2 강원대학교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지역혁신센터, 1 강원대학교생명건강공학과 2 Fatty acid analysis and regulatory effect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oil on nitric oxide producti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Kim, Tae Woo 1** Kim, Kyoung Kon 2** Kang, Yun Hwan 1** Kim, Dae Jung 1 Choe, Myeon 1,2 1 Well-being Bioproducts RIC,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71, Korea 2 Department of Bio-Health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 -71, Korea ABSTRACT Purpose: Citron seed oil (CSO) has been reported to have high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composition and other biologically activities of CSO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SO, which may be beneficial to vascular disease and obesity. Methods: We investigated the oil composition of CSO using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and cytotoxicity was confirmed by Cell Counting Kit- 8 (CCK-8) assay.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was measured using Griess reagent, and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in 3T3-L1 cells were measured by Oil-Red O staining and commercial ELISA kit, respectively. Results: GC-MS analysis indicated that CSO contains several components, including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 palmitoleic acid, and arachidic acid. In physiological activity analysis, CSO did not induce cytotoxic effects in HUVECs and 3T3-L1 cells. Further, CSO significantly induced nitric oxide and leptin secretion as well as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Conclusion: CSO increased NO release,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induced leptin secretion, suggesting it may be useful for the management of vessels and weight gain.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CSO, our results show that the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SO are sufficient for its use as functional edible oil. KEY WORDS: citron seed oil, fatty acid composition, nitric oxide, leptin, lipid accumulation. 서론 유자 Citrus junos 는 특유의 향미로 인해 전통적으로 차류 등의 기호식품으로 널리 애용되어왔으며 비타민 함유량이 풍부하고 다양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민간에서는 감기치료제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과피 추출물에서 - 와 - - γ 를 통한 항비만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과피로부터 추출한 에서 가 확인되었다 또한 유자과피의 정유로부터 분리된 은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우수한 기능성 천연소재인 유자의 제품화과정에서 총 중량의 약 에 이르는 유자씨를 대부분 폐기하는 실정이며 그 활용을 위한 연구는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 - - - - : **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 - - -
222 / 유자씨유의분석및효능평가 유자씨 에 대한 연구로는 일반성분분석에서 지방의 함량이 약 로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 수분 조회분 으로 보고되었고 유자씨유의 지방산은 로 와 - 가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보고되었다 는 상처치료 면역 및 염증 질환과 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는 항염증작용이 잘 알려져 있다 유자씨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등 과 에 의한 유자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등 에 의한 항암효과 등 에 의한 항노화 및 미백효과 등 에 의한 유자씨유의 항산화 효과 등이 있다 근대의 서구화된 식생활과 외식산업의 발전은 전통적인 식사량을 감소시키고 고열량 식사와 인공 감미료 사용을 증가시켜 현대인들의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 및 비만 등의 만성대사질환 발생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건강증진 효능물질을 포함한 천연식품의 개발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식용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가정용 식용유의 주를 이루던 대두유를 대신해 건강기능성이 강조된 홍화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등이 증가하는 추세다 또한 단백질 탄수화물과 함께 대 영양소로 알려진 지방의 섭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현대인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자 인체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산의 발굴과 기능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는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혈관이완 인자이며 혈관이완 기전이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서구식생활에의한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자이다 - 은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며 분화가 완료된 세포에서는 지방의 합성과 분해에 관련되는 다양한 메커니즘의 연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세포모델을 이용한 지방축적 저해효과의 관찰은 소재의 항비만효과 평가하는 대표적인 in vitro 연구방법이다 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주요 호르몬 중 하나로 혈중농도는 체지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순환계를 통해 뇌로 운반되면 시상하부 신경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그로인해 음식섭취를 줄이고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의 분비촉진이 과체중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자씨유 의 지방산을 분석하고 내피세포와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의 및 의 분비 증가와 지방축적 억제효능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개발 및 응용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유자씨유 (CSO) 제조유자씨유 는 유자씨 에 - 을 혼합 후 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고 그대로 시간 침지 시킨 후 μ 로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확보하였다 CSO 의 3T3-L1 세포에대한독성 의 세포독성은 - 를 통해 확인하였다 내피 세포의 분비량 측정을 위한 - 과 지방축적과 분비량 측정을 위한 - 의 분화 전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 으로부터 분양 받아 각각 에 로 분주한 후 시간 부착시킨다 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를 의 농도로 처 리하여 시간 동안 에서 배양 하였다 시간 후 배양중 인 배지 μ 에 - 를 μ 씩 가해주고 시 간 동안 에서 배양한 후 로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 다 대조군 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세포독성을 비교 하였다 CSO 의지방산분석 GC 분석용시료준비 분석을 위한 샘플의 화는 등 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을 - 에 칭량하고 을 가한 뒤 약 의 히팅블록에서 분간 가열한다 식물성 유지에는 트 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이 적어 비누화로 메틸레이션을 촉진시 킨다 가열된 시료를 의 수욕상에서 분간 냉각된 시료에 촉매역할을 위해 - 을 가한 후 하여 충분히 혼합 하고 약 히팅블록에서 약 분간 가열한다 이후 수욕상에서 분간 방치하여 완전히 냉각 시킨다 냉각 된 에 와 효과적인 층 분리를 유도하기위 해 를 가하고 이후 충분히 하여 분간 방치한 뒤 상층액을 회수하고 를 이 용하여 여과 탈수 한 뒤 로 분석 하였다 분석방법 시료 중 지방산의 분석은 식품공전의 일반분석법 중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14; 47(4): 221 ~ 228 / 223 Table 1. Analysis condition of GC and GC/MSD Column Item GC Supelco SP-25 (US) (1 m.25 mm I.D,. μm film) Condition GC/MSD Supelco SP-25 (US) (1 m.25 mm I.D,. μm film) Detector FID, 2 - Oven 1 (3 min) 3 /min 2 ( min) 1 (3 min) 3 /min 2 (15 min) Injector 225 2 Split ratio 1 : 1 1 : 1 Injection volume 1 μl.2 μl Mobile phase He,.8 ml/min He,.75 ml/min 지방산 에 기초하여 를 이용하여 지방 산을 분석하였다 지방산 표준용액은 지방산메틸에스터 혼합 종 표준품 - 을 에 녹여 조제하였다 지 방산의 정량을 위해 를 이용하 였으며 지방산 종의 머무름 순서를 확인하기 위해 를 이용하였다 는 의 을 기준으로 지방산의 종류를 지방산 함량은 내부표준 물질 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분석조건은 과 같다 HUVECs 의 Nitric oxide (NO) 측정 의 분비량은 를 이용하여 등 의 방법에 따라 확인하였다 을 - 에 로 μ 씩 분주하고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농도별로 제조 한 와 -α 를 세포에 처리한 후 시간 동안 에서 배양 하였다 시간 후 배양중인 배지 μ 에 동량의 시약을 넣어 분간 반응시킨 후 - 를 이용하 여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T3-L1 지방축적측정 - 세포 분화 및 지방축적 측정은 등의 방법을 이 용하여 수행하였다 - 세포는 을 포함 하는 배지에 과 μ 을 첨가하여 에서 배양 유지하였다 - 지방전구세포 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위해 에 의 세포를 분주하여 세포가 충분히 밀집되게 배양하였고 일 후 - - - μ μ 과 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분 화를 개시한 다음 μ 및 를 포함하 는 배지로 교환하여 일 동안 분화를 진행시켰다 그 이후로는 만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함으 로써 세포 내 지방축적에 의해 지방방울 을 형성 하는 지방세포로 분화시켰으며 지방축적양은 를 사 용하여 확인하였다 3T3-L1 의 Leptin 분비량측정지방세포에서 분비되어 배지에 함유된 렙틴의 양은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방법은 - 에서 제공하는 을 따랐다 항체 가 부착되어 있는 에 배지 μ 씩을 넣 어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 로 차례 세척한 후 μ 의 - 을 넣 고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한 후 다시 - 로 번 세척하 였다 각 에 μ 의 - 를 넣고 분 동안 빛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에서 반응시킨다 이 반응은 당 μ 의 를 첨가함으로써 종료 시킨다 반응 종료 후 - 로 에서 값을 측정하였다 분 비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내었다 통계처리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회 반복 실험값을 ± 로 표시하였고 두 그룹간의 차이는 - - 로 분석하였으며 두 그룹 이상 비교는 - 후에 에 의해 < 수준에서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224 / 유자씨유의분석및효능평가 결 CSO 의세포독성 는 를 용매로 하여 본 실 Cell viability (% of control) Cell viability (% of control) A B 1 1 1 1 1 1 1 CSO.1 mg/ml CSO.5 mg/ml CSO.1 mg/ml CSO.2 mg/ml CSO.4 mg/ml 과 Control DMSO CSO CSO.1 mg/ml CSO.5 mg/ml CSO.1 mg/ml CSO.2 mg/ml CSO.4 mg/ml Control DMSO CSO Fig. 1.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citron seed oil (CSO) o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and 3T3-L1 cell growth. A: Cytotoxicity of CSO on HUVECs. B: Cytotoxicity of CSO on 3T3-L1. Cell vi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CCK-8 assay kit. Each bar is the Mean ± S.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 험에 사용되었으므로 의 - 세포에서의 독성실험 은 용매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과 - 세포에 그리고 을 농도에 따라 처리 하였으며 최고농도인 에서 독성이 관찰되었다 그러 나 처리농도에 따라 배지에 처리되는 용매만을 단독 처리한 군에서도 독성실 험과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험에서 관찰된 의 세포독성이 성분이 아닌 의 농도에 따른 것 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실험에서는 농도 이하에서 수행하였다 CSO 의 fatty acid 구성분석 에 함유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와 에 정 리한 바와 같다 분석결과 가 확인되었다 CSO 처리에의한 HUVECs 의 nitric oxide (NO) 분비량 는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혈관이완 인자 이며 혈관이완 기전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처 리가 에서 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배지내 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α 의 처리에 의해 의 방출이 대비 약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관찰하였으며 -α 와 함께 를 처리한 경우 -α 단독처리군 대비 에서 에서 소폭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다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 분비 증가효과가 관찰되었다 과 에서 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지만 Fig. 2. GC chromatograms and MS fragments of individual fatty acids extracted from citron seed oil (CSO). 1: undecanoic acid, 2: palmitic acid, 3: palmitoleic acid, 4: stearic acid, 5: oleic acid, 6: Unknown, 7: linoleic acid, 8: arachidic acid, 9: linolenic acid.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14; 47(4): 221 ~ 228 / 225 Table 2. Fatty acid profiles of citron seed oil (CSO) Peak # Name (acid methyl esters) Ret time (min) 1 Undecanoic acid methyl ester 1) 29.115 33.35 3.27 2 Palmitic acid methyl ester 41.618 195.51 19.16 3 Palmitoleic acid methyl ester 43.268 6.3.62 4 Stearic acid methyl ester 45.898 38.33 3.76 5 Oleic acid methyl ester 47.341 326.72 32.1 6 Unknown 47.5 45.71 4.48 7 Linoleic acid methyl ester 49.365 346.9 33.99 8 Arachidic acid methyl ester 49.839 2.69.26 9 Linolenic acid methyl ester 51.613.91 2.5 1) Undecanoic acid (C 11 :, 29.65 min) was used as a internal standard. Area Area % Nitric oxide secretion (% of control) 1 b # a ** a a b lipid accumulation (% of control) CSO.5 mg/ml CSO.1 mg/ml ** Control TNF-α TNF-α + CSO CSO.1 mg/ml CSO.5 mg/ml CSO.1 mg/ml Fig. 3. Effect of citron seed oil (CSO) on nitric oxide (NO) secretion in HUVACs. Reductions of NO by TNF-α were recovered by CSO (.1 mg/ml) treatment.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D.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 p <.5, * : p <.1 as compared to the TNF-α (1 ng/ml), different letters on the bars (a and b)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p <.5) by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분비 개선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를 통해 처리군의 분비량이 수준 통계값 으로 회 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가 -α 에 의 한 혈관이완인자인 분비억제작용을 저해함으로써 혈관건 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SO 처리에의한지방축적량변화측정 처리가 - 의 지방축적을 얼마나 저해 할 수 있는지 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 과는 와 같다 에서 로 분화가 완 료된 그룹과 에 을 처리한 그룹을 비교한 결과 대비 약 Control Fig. 4. Citron seed oil (CSO) 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Adipocytes were incubated with two concentrations (.5 and.1 mg/ml) of CSO and lipid accumulation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D.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 p <.1 as compared to the control by unpaired two-tailed t-tests. 의 지방적 형성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CSO 의 leptin 분비유도효과본 실험에서는 - 세포를 이용하여 을 처리하였을 때 분비되는 의 함량을 배지 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와 같다 분비되는 의 함량은 지방세포분화가 완료된 군 대비 에서 에서 로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 유자는 고유의 향미로 인해 차류 등의 기호식품으로 민간에 서 애용되고 제품화도어 판매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자의 제품 화과정에서 총 중량의 약 에 이르는 유자씨를 대부분 폐 찰 CSO
226 / 유자씨유의분석및효능평가 Leptin secretion (% of control) 1 1 1 기되며 그 기능과 활용에 대한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자씨로부터 기름성분을 추출 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고 생리활성으로는 의 - 분비 - 세포의 지방적 측정 분비량 을 확인함으로써 기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함과 동 시에 그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의 지방산분석은 등 과 등 의 연 구에 의하면 로 조사되었는데 본 실험 결과에서는 로 유사하였으며 와 가 과반을 차 지하였다 CSO.5 mg/ml CSO.1 mg/ml Control *** *** CSO Fig. 5. Citron seed oil (CSO) induces leptin secretion in 3T3-L1 cells. Adipocytes were incubated with two concentrations (.5 and.1 mg/ml) of CSO. Leptin secretion was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D. of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 : p <.1 as compared to the control by unpaired two-tailed t-tests. 는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혈관이완 인자 이며 - - 에 의한 혈관이완 기전이 잘 알려져 있다 에 의한 에서의 분비량 변 화를 측정한 결과 -α 에 의해 감소된 의 분비량이 의 처리로 인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과 처리군에서의 분비량 변화는 유의한 수 준이 아니었지만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분비 개선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수준까지 회복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가 -α 에 의한 혈관이완인자 분비억제작용을 회복시킴으로써 혈관건 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시사하는 것이며 이는 - 등 이 고혈압이 유도된 쥐에서 관찰한 호박씨유의 발생 유도를 통한 항고혈압효과와 유사한 효능을 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의 혈압저하 기능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발전에 따른 서구화된 고열량 식사가 현대인들의 만성대사질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있음 을 서론에서 설명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으로 기능성 식재료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현대인들의 비만과 혈관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식용유의 기능화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본 연구는 를 이용하여 기능성식용유화의 가능성을 실험하였으며 먼저 성분분석을 통해 불포화지방산인 와 등이 과반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지방축적예방 등의 기능성을 확인하고자 지방세포내 지방적형성의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처리군에서는 군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지만 과 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유의하게 지방적의 형성이 감소되는 것을 - 을 통해 확인하였다 농도의존적인 지방적 억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의 처리가 - 세포에서의 지방적 형성을 약 억제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에 의한 지방세포에서의 지방적 형성억제작용이 처음으로 보고되는 결과이다 이 결과는 증가되고 있는 기능성 식용유 소재개발수요 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초연구 자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 세포를 이용하여 의 처리가 의 분비량 변화에 미치는 형향을 확인한 결과 유의하게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의 섭취에 의한 분비량 증가로 식욕이 억제되고 에너지대사가 증가되어 체중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식물성기름의 식욕억제에 관한 다른 연구에서 등 과 등 은 사람을 대상으로 잣기름의 섭취가 - 과 - 의 증가를 유도하여 식욕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는 의 식욕억제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에 의한 식욕억제 및 의 분비량 증가에 의한 항비만 효과 에 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 의 지방산을 분석하고 생리기능으로 과 - 세포에서의 분비 지방축적 억제 및 분비기능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 향후 개발 가능한 기능성식용유의 잠재적 후보 소재임을 제시하는 것이며 아직 안전성과 구체적인 작용기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하지만 의 새로운 기능과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14; 47(4): 221 ~ 228 / 227 요 본 연구는 유자씨유 의 지방산분포 와 생리활성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식용 유 소재로서의 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를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실험 을 통해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 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매 에 의한 독성이 관 찰되어 의 독성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과 - 세포에서 생리활성을 확인하기위해 생성 염색을 이용한 지방적형성 분비를 관찰하였 다 는 에서 -α 의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 의한 수준으로 감소된 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시켜 에서 수준까지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는 - - - μ - μ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 에서 대비 에서 약 에서 약 의 지방적 형 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 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방출이 군 대비 에서 에서 로 증가하여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는 불포화지방산 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몇 가지 생리활성효과 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기능 약 성 식품 및 소재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Choi HS. Lipolytic effects of citrus peel oils and their components. J Agric Food Chem 6; 54(9): 3254-3258. 2. Kim SH, Hur HJ, Yang HJ, Kim HJ, Kim MJ, Park JH, Sung MJ, Kim MS, Kwon DY, Hwang JT. Citrus junos Tanaka peel extract exerts antidiabetic effects via AMPK and PPAR-γ both in vitro and in vivo in mice fed a high-fat diet.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13; 13: 92112. 3. Hirota R, Roger NN, Nakamura H, Song HS, Sawamura M, Suganuma 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monene from yuzu (Citrus junos Tanaka) essential oil on eosinophils. J Food Sci 1; 75(3): H87-H92. 4. Kwon OC, Shin JH, Kang MJ, Lee SJ, Choi SY, Sung NJ.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6; 35(3): 294-3. 5. Lee SJ, Choi SY, Shin JH, Kim SH, Lim HC, Sung NJ.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citron seed oils. J Life Sci 6; 16(3): 427-432. 6. Zhao G, Etherton TD, Martin KR, Vanden Heuvel JP, Gillies PJ, West SG, Kris-Etherton PM.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P-1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5; 336(3): 99-917. 7. Sales-Campos H, Souza PR, Peghini BC, da Silva JS, Cardoso CR. An overview of the modulatory effects of oleic acid in health and disease. Mini Rev Med Chem 13; 13(2): 1-21. 8. Woo KS, Jeong JY, Hwang IG, Lee YJ, Lee YR, Park HJ, Park ES, Jeong HS.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ion on citron se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9; 38(3): 384-39. 9. Kim SY, Shin KS.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extracts. Prev Nutr Food Sci 13; 18(3): 196-2. 1. Lee YJ, Hwang IG, Joung EM, Kim HY, Park ES, Woo KS, Jeong HS.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citron seed extracts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9; 38(12): 1672-1678. 11. Kim DS, Kim DH, Oh MJ, Lee KG, Kook MC, Park CS. Antiaging and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y-product. J Soc Cosmet Sci Korea 1; 36(2): 137-143. 12. Minamisawa M, Yoshida S, Uzawa A.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waste yuzu (Citrus junos) seeds. Food Funct 14; 5(2): 33-336. 13. Choi WH, Um MY, Ahn JY, Jung CH, Seo JS, Ha TY. Effects of a rice-based diet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 levels in mi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3; 23(1): 31-38. 14. Jang YS, Jeong JM.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adipo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1; 39(1): 1439-1445. 15. Lim JK. Oil and fat industry. Food Ind 4; 181: 1-37. 16. Zhang X, Scicli GA, Xu X, Nasjletti A, Hintze TH. Role of endothelial kinins in control of coronary nitric oxide production. Hypertension 1997; 3(5): 115-1111. 17. Kang YH, Kang JS, Shin HM. Vasodilatory effects of cinnamic acid via the nitric oxide-cgmp-pkg pathway in rat thoracic aorta. Phytother Res 13; 27(2): 5-211. 18. Hsu CL, Yen GC. Phenolic compounds: evidence for inhibitory effects against obesity and their underlying molecular signaling mechanisms. Mol Nutr Food Res 8; 52(1): 53-61. 19. Schwartz MW, Woods SC, Porte D Jr, Seeley RJ, Baskin DG. Central nervous system control of food intake. Nature ; 4 (6778): 661-671.. Yu JH, Kim MS. Molecular mechanisms of appetite regulation. Diabetes Metab J 12; 36(6): 391-398. 21. Lee SM, Kang YH, Kim DJ, Kim KK, Lim JG, Kim TW, Choe M.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among water extracts and sugar immersion extracts of green pepper, purslane and shiitak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 24(1): 11-18. 22. Watkins BA, Shen CL, McMurtry JP, Xu H, Bain SD, Allen KG, Seifert MF. Dietary lipids modulate bone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sulin-like growth factor-i concentration and formation rate in chicks. J Nutr 1997; 127(6): 184-191.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3 [cited 14 Jul 21].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 jsp/menu_2_1_1.jsp. 24. Oh SD, Kim M, Min BI, Choi GS, Kim SK, Bae H, Kang C, Kim DG, Park BJ, Kim CK. Effect of Achyranthes bidentata blume
228 / 유자씨유의분석및효능평가 on 3T3-L1 adipogenesis and rats fed with a high-fat diet.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14; 14: 1518. 25. Kang ES, Ham SA, Hwang JS, Lee CK, Seo HG. Effects of Garcinia cambogia extract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lip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Anim Resour 13; 33(3): 411-416. 26. Maeda T, Horiuchi N. Simvastatin suppresses leptin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via activation of the cyclic AMP-PKA pathway induced by inhibition of protein prenylation. J Biochem 9; 145(6): 771-781. 27. Jeong JW, Kwon DJ, Hwang JB, Jo YJ. Influence of the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of citr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4; 26(6): 74-78. 28. Buys E, Sips P.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soluble guanylate cyclase in blood pressure regulation. Curr Opin Nephrol Hypertens 14; 23(2): 135-142. 29. El-Mosallamy AE, Sleem AA, Abdel-Salam OM, Shaffie N, Kenawy SA. Antihypertensive and cardioprotective effects of pumpkin seed oil. J Med Food 12; 15(2): 1-189. 3. Pasman WJ, Heimerikx J, Rubingh CM, van den Berg R, O Shea M, Gambelli L, Hendriks HF, Einerhand AW, Scott C, Keizer HG, Mennen LI. The effect of Korean pine nut oil on in vitro CCK release, on appetite sensations and on gut hormones in post-menopausal overweight women. Lipids Health Dis 8; 7: 1. 31. Hughes GM, Boyland EJ, Williams NJ, Mennen L, Scott C, Kirkham TC, Harrold JA, Keizer HG, Halford JC. The effect of Korean pine nut oil (PinnoThin(TM)) on food intake, feeding behaviour and appetite: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Lipids Health Dis 8; 7: 6. 32. Friedman JM, Halaas JL. Leptin and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in mammals. Nature 1998; 395(674): 76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