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J Korean Sleep Res Soc 2014;11(1):16-20 pissn 1738-608X / eissn 2288-4912 http://dx.doi.org/10.13078/jksrs.14004 Effect of Pramipexole on Cognitive Functions in Restless Legs Syndrome Minjik Kim 1, Jin-Young Song 2, Sung Min Kim 2, Ye Ji Moon 3, Yong Seo Koo 2, Ki-Young Jung 3 1 Department of Neurolog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 Department of Neurology, Anam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3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하지불안증후군에서인지기능에대한프라미펙솔의효과 김민직 1, 송진영 2, 김성민 2, 문예지 3, 구용서 2, 정기영 3 고려대학교의과대학구로병원신경과학교실, 1 고려대학교의과대학안암병원신경과학교실, 2 서울대학교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신경과학교실 3 Received May 28 2014 Revised June 11, 2014 Accepted June 15, 2014 Address for correspondence Ki-Young Jung,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1 Daehak-ro, J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2072-4988 Fax: +82-2-2072-7424 E-mail: jungky10@gmail.com Objectives: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s have revealed cognitive dysfunction in restless legs syndrome (RLS) patients, especially frontal lobe functions. Although dopamine agonists improve RLS sensory symptoms and periodic leg movements during sleep, there was no study regarding the effects of dopamine agonist on cognition in patients with RLS. Methods: Sixteen drug-naïve RLS patients were enrolled. They underwent sleep questionnaires,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consisting of Rey Complex Figure Test and recognition trial (RCFT),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pramipexole (PMP). PMP was administered over a period of 12 weeks every night 1 h before bedtime. Paired Student s t-test and Spearman 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es. Results: After treatment with PMP, the International RLS Severity Scale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reatment. RCFT immediate recall, COWAT phoneme word frequency, and digit symbol coding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treatment (17.72±7.84 vs. 20.13±7.33, p=0.05; 36.50±12.62 vs. 41.50±12.58, p=0.03; 68.19±21.11 vs. 73.81±21.11, p=0.02,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anges in clinical variables and in cognitive function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reatment with PMP in RLS patients improves not only RLS sensory symptoms, but also cognitive functions. J Korean Sleep Res Soc 2014;11(1):16-20 Key Words: Restless legs syndrome, Pramipexole, Cognition, Dopamine agonist. 하지불안증후군 은다리를 움직이고싶은 견딜수 없는충동과 함께다리에 매우불편하고불쾌한 감각증상이 동반되는 감각운동 신경질환이다 는불편한감각증상과 연관되어수면장애 및주간업무장애 우울증을흔히 동반한다최근 환자에서 인지기능저하를보고한연구들이 있으며특히 앞이마엽영역에서 기능저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하가두드러지는 것으로보고하였다 환자에서 인지기능 저하를 처음 보고한 연구에서는 환자들에서 앞이마엽 영역에 해당하는 인지기능저하를 보이고이는수면박탈 후보이는인지기능의저하와 유사한것으로 나타나 에서의인지기능 저하가만성수면부족에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환자와같은정도로 수면을박탈한 대조군과의 비교연구에서는대조군에서환자군보다인지기능이 오히려저하된 결과를보였다 이는수면부족이 인지기능에 영향을미치지만 환자에서는 이를보상하는 기전이작동한것으로볼 수있다 16 Copyright 2014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Kim M et al. 수면부족이외에도 증상으로 인한주의력저하 동반된우울증 및대뇌피질 자체의기능 이상이 환자의인지기능에영향을 미칠수있다 사건유발전위연구에서는 환자가정상인에 비해 진폭이감소하고 잠복기가연장되어있었으며 이러한변화는 주로주의력저하 및대뇌피질자체의기능 이상과연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도파민작용제 는중증도이상의 환자에서 일차적으로 추천되는 약제이다 도파민작용제는 의일차적인 감각증상을 호전시키며 이외에도수면의 질수면중주기적사지운동 우울증상삶의 질등을호전시키는데 이는 중증도의 호전정도와 연관이 있었다 이처럼 도파민작용제가 와관련된 다양한 증상들을 호전시키는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아직까지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 연구한논문은 없다 본연구는 환자에서도파민작용제를 투여한후인지기능의호전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그리고 인지기능이호전된다면 호전되는임상적인 요인이무엇인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이전에한번도 치료받지않은 명의 환자들이연구에포함되었다 모든환자들이 정형화된수면 설문지를통한 질문에 응답했고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받았다 는- 에서제안한 기준에따라 진단하였으며 제외기준은 다음과같다 이차성 를유발할수있는동반질환의 존재임신 만성신장질환 말초신경질환 유발가능약물의 복용력예 신경이완제 항우울증약 항히스타민제 등 수면무호흡증 렘수면행동장애 사건수면등의 수면질환 인지기능장애로 인하여증상을 정확히호소할 수없는경우 주의력부족과잉행동장애 본태성떨림 파킨슨병 신경이완제에 의한정좌불능증 울혈성심부전혈관 및신경성파행 척수병증 관절염등 유사증상을보일수 있는질환 수면습관과 약물복용력을 문진하였으며 - 수면설문지를 함께 시행했다 우울정도는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의중증도는 을통해 평가하였다 모든환자에서 혈색소혈당 혈청크레아티닌 철페리틴 갑상선호르몬 수치는 정상이었다 모든환자에서 문서화된 사전동의를 받았고 연구계획서는 기관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받았다 신경심리검사는 집중력을 확인하기 위한숫자외우기 검사 언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단축형 - 시공간구성능력과 기억력을측정하기위한 레이오스터리에스 복합도형 검사 언어기억및 학습을평가하기위한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 를시행하였다 또한이마엽의집행기능을 평가하기위하여통제 단어연상검사 숫자부호화검사 선추적 검사 한국판 색상단어 스트룹 검사- 를시행하였다 모든환자에게 도파민작용제인 을 주동안취침한 시간전에투여하였다 용량은하루에 으로시작하였고 주가지난 뒤배로증량하였다 효과와순응도를 고려하여투여시작 주이내에 적정용량으로 조절하였고 적정화후일정량을 다음신경심리검사 시행일까지유지하였다 수면설문지와 신경심리검사는 약물투여직전과 주사이에두 차례시행하였다 치료전후의 신경심리검사의 변화를확인하기 위해- 를이용하였고 상관관계는 로분석하였다p 가 이하일 경우유의한것으로 판정하였다 환자들의평균 나이는± 세이고이 중여자는 명이다평균 교육연수는 ± 년 이었다 체질량지수 는± 혈청 은± 로측정되었다 투여의평균 추적기간은± 일하루 투여량은 중앙값 이었다 http://journal.sleepnet.or.kr 17
Effect of Pramipexole on Cognitive Functions in RLS 투여후 점수가투여 이전보다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투여 전 투여 후± ±p<±±p ±±p±± p 그러나 점수는유의한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이마엽의집행기능을 평가하는 점수가 투여후의미 있게호전되었다 투여전 투여후±±p± ±p 시각기억을평가하는 검사에서도 의미있는호전을 보였 다 ±±p Table 1. Sleep-related variables Before treatment After treatment p-value IRLS 29.50±5.34 14.63±9.76 <0.001* ESS 6.38±2.90 5.81±3.15 0.556 ISI 18.25±7.09 10.50±5.18 0.001* PSQI 12.94±5.32 10.25±3.62 0.016 BDI 18.06±11.19 11.44±8.28 0.002* *p-value<0.05. IRLS: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everity Scale, ESS: Epworth Sleepiness Scale, ISI: Insomnia Severity Index,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Table 2. Summar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Cognitive function Before treatment After treatment p-value Attention Digit span: forward 6.44±1.93 7.00±1.41 0.20 Digit span: backward 4.38±1.93 4.75±1.57 0.25 Language S-K-BNT 12.63±1.75 13.00±1.10 0.36 Visuospatial abilities RCFT copy score 34.19±2.46 32.81±4.31 0.16 RCFT copy time 160.88±89.05 146.69±90.93 0.41 Memory RCFT immediate recall 17.72±7.84 20.13±7.33 0.05* RCFT delayed recall 18.63±6.69 19.84±6.55 0.25 RCFT recognition 19.56±1.79 19.81±1.56 0.64 K-CVLT trial 1 5.63±2.19 6.63±1.63 0.08 K-CVLT trial 1 5 total 50.06±9.92 52.75±5.71 0.13 K-CVLT short delay free recall 11.25±3.36 12.00±1.79 0.28 K-CVLT long delay free recall 11.50±2.76 12.38±2.50 0.16 K-CVLT recognition 15.13±0.89 15.13±0.89 1.00 Executive Function of Frontal Lobe COWAT category word frequency: animal 18.13±4.10 17.81±4.34 0.76 COWAT category word frequency: market 20.13±7.07 20.63±6.94 0.73 COWAT phoneme word frequency total 36.50±12.62 41.50±12.58 0.03* Digit symbol coding 68.19±21.11 73.81±21.11 0.02* TMT-A time 41.88±18.34 37.56±18.61 0.22 TMT-B time 126.44±80.06 112.56±81.72 0.19 K-CWST word correct response 111.94±0.25 111.94±0.25 1.00 K-CWST color correct response 102.63±16.13 103.31±16.41 0.75 *p-value<0.05, the smaller value is better. S-K-BNT: Short form of the Korean-Boston Naming Test, RCF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K-CVLT: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COWA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TMT: Trail Making Test, K-CWST: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18
Kim M et al. - - 검사에서는 호전되는 경향을보였지만 유의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신경심리검사 영역중의미 있는호전을 보인 검사의점수 변화와수면 및우울검사의 점수 변화정도 간에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투여후- 점수 점수 점수의호전과 점수의호전정도와는 유의한상관관계를 보이지않았다 본연구에서는 도파민작용제인 를이전에한 번도치료받지않은 중등도이상의 환자에게 투여하였고 가증상의 중증도불면 우울및수면의질을 호전시킴을확인할 수있었다 이는이전의 여러연구들과 일치하는 소견이다 인지기능에서는 집행기능및시각기억이 호전됨을확인하였고 이런연구 결과는도파민작용제가 환자에서 인지기능을 가역적으로 호전시킬 수있음을 보여준다그러나 임상증상의 호전과인지기능의 호전사이에는 상관관계를보이지 않았다 환자에서는인지기능이 저하되며 주로이마엽영역에 해당하는기능의 저하를보인다 이마엽은수면부족에 민감하게영향을 받는뇌영역이고 환자에서수면부족이 흔하게동반되므로 주로이마엽 영역의인지기능이 환자에서 저하되는 것을설명할 수있다 뇌영상및신경생리검사를 이용한연구들에서 환자의 이마엽기능장애를 시사하는결과가 보고되었다 구조적뇌 영상연구에서는 뇌들보 앞쪽띠이랑- 중심앞이랑 의 백색질부피가 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기능적 뇌영상 연구에서는 능동적으로 발의발등굽힘과 발바닥쪽굽힘을시행할 때등가쪽 앞이마피질 부위의활성이 환자에서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리고안정 뇌파에서는 이마엽의 베타활성도가 증가되어 과각성상태와 유사한 소견을보였다 본연구에서 환자에서 도파민작용제 치료에 의하여 인지기능이호전된 기전으로는다음과 같은가지가능성을 생각할 수있다 첫째 도파민에 의해 수면부족 주의력결핍과같은 증상이호전되었고 이차적으로 인지기능이호 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 우울증상이 감소되면서 가 성치매효과가 사라지고 이로 인해 인지기능이 호전된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파민 시 스템의 조절장애가 의 병태생리학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도파민의 투여가 불균형을 해소하여 도파민 시스템 과 관련된 이마엽 인지기능을 호전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인지기능의 호전 정도는 증상 개선 수면장애 및 우울 증의 호전과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 는 위에서 기술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소견이다 그러므로 환자에서 도파민작용제 투여 후 인 지기능의 호전은 다른 임상적인 변수들의 호전으로 인한 이 차적인 결과가 아니고 도파민이 직접적으로 인지기능에 영 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도파민은 뇌의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서 주로 운동계와 변연계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중대뇌변연계경로 를 통해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등가쪽 앞이마엽 및 뒤쪽 마루엽을 꼬리핵과 연결 시키는 회로가 관련되어 작업기억과 집행기능 등의 앞이마 엽에 해당되는 인지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건강 인과 파킨슨 환자를 대상으로 도파민작용제 또는 레보도파 를 투여한 연구에서는 약의 투여나 중단이 이마 엽 인지기능에 관련된 집행기능과 작업기억을 변화시킨다 고 보고하였다 도파민 투여는 시행하는 검사와 신경 계 도파민의 농도에 따라 인지기능을 호전시키거나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도파민의 부족이 인지기능을 저 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농도가 유지되지 않는 것이 인 지기능 저하의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도 투여가 도 파민 불균형을 조절하여 인지기능의 호전이 나타났을 것으 로 생각된다 또한 집행기능과 시각기억이 호전된 점으로 미 루어 환자에서 신경계의 도파민 농도가 감소되어 있음 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 없이 연구를 진행하여 환자에 서 도파민의 인지기능 호전 효과가 정상인에서 보일 수 있 는 정도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연구를 진 행한 환자의 숫자가 적어 인지기능의 호전과 다른 임상적 변 수와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단정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환자에서 도파민의 인지기능 조절 효과를 보여주는 첫 논문으로 도파민 치료가 환 자에서 다른 증상뿐 아니라 인지기능의 호전도 초래할 수 있 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REFERENCES 1. Fulda S, Beitinger ME, Reppermund S, Winkelmann J, Wetter TC. Short-term attention and verbal fluency is decreased in restless legs syn- http://journal.sleepnet.or.kr 19
Effect of Pramipexole on Cognitive Functions in RLS drome patients. Mov Disord 2010;25:2641-2648. 2. Gamaldo CE, Benbrook AR, Allen RP, Oguntimein O, Earley CJ. A further evaluation of the cognitive deficits associated with restless legs syndrome (RLS). Sleep Med 2008;9:500-505. 3. Celle S, Roche F, Kerleroux J,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correlates of restless legs syndrome in an elderly French population: the synapse study.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0;65:167-173. 4. Pearson VE, Allen RP, Dean T, Gamaldo CE, Lesage SR, Earley CJ. Cognitive deficits associated with restless legs syndrome (RLS). Sleep Med 2006;7:25-30. 5. Jung KY, Koo YS, Kim BJ, et al. Electrophysiologic disturbances during daytime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further evidence of cognitive dysfunction? Sleep Med 2011;12:416-421. 6. Hornyak M, Trenkwalder C, Kohnen R, Scholz H. Efficacy and safety of dopamine agonists in restless legs syndrome. Sleep Med 2012;13:228-236. 7. Ferini-Strambi L, Aarskog D, Partinen M, et al. Effect of pramipexole on RLS symptoms and sleep: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Sleep Med 2008;9:874-881. 8. Kallweit U, Khatami R, Pizza F, Mathis J, Bassetti CL. Dopaminergic treatment in idiopathic restless legs syndrome: effects on subjective sleepiness. Clin Neuropharmacol 2010;33:276-278. 9. Manconi M, Ferri R, Zucconi M, et al. Pramipexole versus ropinirole: polysomnographic acute effects in restless legs syndrome. Mov Disord 2011;26:892-895. 10. Cho YW, Hong SB, Kim do H, et al. The effect of ropinirole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in Korea: an 8-week,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J Clin Neurol 2013;9:51-56. 11. Walters AS. Toward a better definition of the restless legs syndrome. The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 Mov Disord 1995;10:634-642. 12. Roth T, Zammit G, Kushida C, et al. A new questionnaire to detect sleep disorders. Sleep Med 2002;3:99-108. 13.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14.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15. Bastien CH, Valliè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 2001; 2:297-307. 16. Arnau RC, Meagher MW, Norris MP, Bramson R.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with primary care medical patients. Health Psychol 2001;20:112-119. 17. Walters AS, LeBrocq C, Dhar A, et al. Validation of the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 rating scale for restless legs syndrome. Sleep Med 2003;4:121-132. 18. Kang Y, Kim H, Na DL. Parallel short forms for the Korean-Boston Naming Test (K-BNT). J Korean Neurol Assoc 2000;18:144-150. 19. Deckersbach T, Savage CR, Henin A,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coring system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approach in the Complex Figure Test. J Clin Exp Neuropsychol 2000;22:640-648. 20. Kim JK, Kang Y.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K-CVLT). Clin Neuropsychol 1999;13:365-369. 21. Ross TP, Calhoun E, Cox T, Wenner C, Kono W, Pleasant 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scores for the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Arch Clin Neuropsychol 2007;22:475-488. 22. Joy S, Kaplan E, Fein D. Speed and memory in the WAIS-III Digit Symbol--Coding subtest across the adult lifespan. Arch Clin Neuropsychol 2004;19:759-767. 23. Tombaugh TN. Trail Making Test A and B: normative data stratified by age and education. Arch Clin Neuropsychol 2004;19:203-214. 24. Kim TY, Kim S, Sohn JE,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Stroop Test and Study of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J Korean Geriatr Soc 2004; 8:233-240. 25. Benes H, Mattern W, Peglau I, et al. Ropinirole improves depressive symptoms and restless legs syndrome severity in RLS patients: a multicentr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J Neurol 2011;258:1046-1054. 26. Montagna P, Hornyak M, Ulfberg J, et al. Randomized trial of pramipexole for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RLS) and RLS-related impairment of mood. Sleep Med 2011;12:34-40. 27. Fulda S, Szesny N, Ising M, et al. Further evidence for executive dysfunction in subjects with RLS from a non-clinical sample. Sleep Med 2011;12:1003-1007. 28. Connor JR, Ponnuru P, Lee BY, et al. Postmortem and imaging based analyses reveal CNS decreased myelination in restless legs syndrome. Sleep Med 2011;12:614-619. 29. Astrakas LG, Konitsiotis S, Margariti P, Tsouli S, Tzarouhi L, Argyropoulou MI. T2 relaxometry and fmri of the brain in late-onset restless legs syndrome. Neurology 2008;71:911-916. 30. Allen R. Dopamine and iron in the pathophysiology of restless legs syndrome (RLS). Sleep Med 2004;5:385-391. 31. Nieoullon A. Dopamine and the regulation of cognition and attention. Prog Neurobiol 2002;67:53-83. 32. Cools R, Barker RA, Sahakian BJ, Robbins TW. Enhanced or impaired cognitive function in Parkinson s disease as a function of dopaminergic medication and task demands. Cereb Cortex 2001;11:1136-1143. 33. Kimberg DY, D Esposito M, Farah MJ. Effects of bromocriptine on human subjects depend on working memory capacity. Neuroreport 1997; 8:3581-3585. 34. Cools R. Dopaminergic modulation of cognitive function-implications for L-DOPA treatment in Parkinson s disease. Neurosci Biobehav Rev 2006;30:1-23. 35. Hazy TE, Frank MJ, O Reilly RC. Banishing the homunculus: making working memory work. Neuroscience 2006;139:105-118. 36. Costa A, Peppe A, Dell Agnello G, et al. Dopaminergic modulation of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in Parkinson s disease.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03;15:55-66. 37. Cools R, D Esposito M. Inverted-U-shaped dopamine actions on human working memory and cognitive control. Biol Psychiatry 2011; 69:e113-e125. 38. Floresco SB. Prefrontal dopamine and behavioral flexibility: shifting from an inverted-u toward a family of functions. Front Neurosci 2013; 7:6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