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et a l. Effects 01 Training Using Visual Bioleedback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을 용한 훈련 뇌졸중 환자의 과 자세조절 및 하지의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찬문 김우기 서상석 김경환 장영민 김정익 안숭헌 국립재활병원 물리치료실 Effects of Training U sing Visual Biofeedback Program on Balance, Postural Control and Functional Ability of Lower Extrem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Chan-Mun Kim'Woo-Gi Kim'Sang-Suk Seo'Kyeong - Hwan Kim Young-Min Jang'Jung-Ik Kim'Seung-Heon A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o assess effects of training using Visual Biofeedback Program on balance, postural control and functional ability of lower extrem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Subjects and Methods: Thirteen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Visual Biofeedback Program training during 4 weeks.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7 patients) or a control group (6 patients).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for 30 minutes, 5 times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trained on the Visual Biofeedback Program (Catch, Skyball, SpeedbalI, Freeze, Target, lmrnobilizer) for 15 minutes, three times in a week during 4 weeks wit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the Modified Ashworth Sc aj e(mas), the Fugl-Meyer Assessment, the Berg BaJ ance Scale(BBS),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Scale, the Timed Up & Go Test(TUG), Comfortable Gait Speed(CGS), Maximal Gait Speed(MGS) and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BS, TUG, CGS, MGS and the PASS occurring in the period from baseline to discharge. I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improvement were founded in the TUG and the CGS in this period. However, no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any of the outcome measures. Conclusions: Al though the training using Visual Biofeedback Program demonstrated improvement in balance, postural control and functional ability of lower extremities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fo liowing 4 weeks of interventions,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 words: balance, hemiplegia, stroke, visual biofeedback. 1. 서 (Dettman et a l., 1987). 러 한 뇌 졸중 의 보 론 행상은 근육 뇌졸중 환자는 마비측 다리로 적절한 체중지 지를 하지 하는 못해 비대칭적 인 근육의 의 정상 조절 기전의 다 (Musa 편마비 행 되 어 야 하는 데 CBobath, 보행을 하게 되는데 지의 리로 생활의 갈수록 편마비 보행은 더 섬해진다 - 1 - 향상은 불안정성 정상적 변화 감각 소실 마비측 다리 비마비측으로 많은 체중지지를 (Wall et al., 1986), 무게 중심 점 비 마비 측 다 많 기능 약화 관절의 소실에 기인한 결과 1986). 체중지지는 보행을 위해 선 1980), 대 칭 적 처l 중지 운동기능 (motor function) 과 독립성 상승에 일상 연관되어지고 (Sackley
한국보바스학회지 J 제 12 권 제 1 호 Korean Bobath Assoc Vo l. 12, No. 1, 2007 능력과 독립된 가 좋아진다고는 하였지만 것 때문에 러한 더 높은 수준의 운동기능 향상에는 별다른 효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가 없다고 하였다 (Walker 1990), 보행의 삶의 인 핵심 재교육은 요소로서 재활에 있어 기능적 중요하기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 중 하 나 다(Inman et al., 1981; M삶loney et al., 1965). (balance) 란 체중 지지면 위에 선체의 무게 중심 오게 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능력다 (Shumway-Cook et a 1., 1995; Nashner, 1989). 대칭성을 상호작 용한 향상시키는 (TBP) 은 는 능력고 동일하게 대칭은 정도로 자세를 유지하 체중지지 요소들 사에 체중분포 하는 것을 말하며 동적 정성은 중심을 유지하면서 한다 (Goldie 안 통하는 능력을 말 et a 1., 1989). 러 한 의 세 가 기 대해서는 아직 명 컴퓨터 평가가 가 정보를 주어 체중 체중과 무게중심을 동시킴 스크린상의 움직는 목표점을 무게 중심점 맞추 골인시키기 둥의 농구공 4 개의 점 (2 heel, 2 toe) 에 실리는 체중의 변화로 체중분포와 때문에 자세적 흔들림을 전 좌 우의 평가 훈련하기 움직임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의 움직임까지도 동시에 훈련 가 정변에서는 같은 나의 정상인에 것 환자의 두 배 흔들림 과 게임으로 훈련을 할 수 있는 장비다. 능하며 자세적 사용자에게 떨어지는 공받기 지 요소는 뇌졸중 에 손상되며 로 인해 안 비해 뇌졸중 기능적인 객관적인 따라가고 목표점에 사용자의 은 안정 대칭 동적안정성으로 분류되는 데 안정은 작은 흔들럼 영향에 컴퓨터화된 으로써 (Shumway-Cook et a 1., 1988) 방법 연구에 사용된 Tetrax Biofeedback Program 하였다 효과적인 확하지 않은 상태다. 받침판 위에 서서 감소한다고 의 미치는 수행에 뇌졸중 환자들은 운동 감각 인지적 능력 능력 데에는 훈련 제의 능하며 있으나 보행과 같은 용 요구되는데 (Wemick-Robinson et a 1., 1999) 손상되어 머. 2(00). 와 같 et 라고 알려져 적절한 조절을 위해서는 전정기능 시각정 보 고유감각 근골격계와 인지능력들의 을 보행나 좀 단순한 체중분포의 아닌 게임 형식기 정보를 주는 때문에 기존에 많 정도 증가하고 사용 되 었 던 Force Platfonn Biofeedback System보 (Nichols, 1997) 대칭면에서는 비마비측으로 체 다 사용자의 동기유발 더 용할 것으로 생각 중의 비대칭성을 된다 et a 1., 1993) 체중지지 자세에서 61%-80% 의 보며 (Sackley 을 무게가 유지하면서 실리는 동하는 능력 감소되므 로 동적 안정성 또한 저하된다 에 뇌졸중 환자들의 기 위해 많은 뇌졸중 환자의 능력을 향상시키 연구가 있었으며 대칭적 서기를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은 보존적인 물리치료를 수행 한 환자와 에 더하여 TBP를 수행한 환자 사 에 향상 차를 보는가와 더 불어 보행과 관련된 에 능력 하지의 기능적 훈련 수행 능력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함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졌다. Winstein 둥 (1989) 은 마비측과 비마비측 하지에 대한 체중분배의 환자가 정보를 받은 뇌졸중 일반적인 1. 연구방법 1 훈련 체중 동 훈련 등의 보존적인 물리 치료를 받은 환자들보다 더 대칭성 좋아지고 능력 기능적 과제를 수행하는 것과 연관되 1. 연구 대상 및 기간 어진다고 하였다. 또한 Shumway-C k 등(1988) 은 무게 중심점에 구두를 통한 대칭성을 는 대한 정보 줄인다고 제공보다 더 보고하였다. 치료사의 효과적으로 훈련으로 비 연구에서 대칭적 서기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으로 환자로 국립재활병원에 진단을 받은 연구에 동의한 13 명의 기간은 2007 년 1 월 주간 2 - 실시하였다. 성인 15 일부터 본 연구의 인한 편마비 입원 환자들며 중 연구 2월 9 일까지로 4 설계는 군과
Kim et al Effects of Training USing Visual Biofeedback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대조군으로 나누어 치료와 더불어 행하였고 군에는 대조군에는 보존적인 보존적인 물리 지 훈련을 시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합반응과 과잉보 상은 구두 지시를 허용하여 물리치료만을 였다. ) 적용하였다. 군과 대조군 사전사 검사방 다. 대상자는 체중 받침판 위에 서서 화변을 보 법을 채택하였으며 두 그룹간의 평가를 통하여 며 자세조절 하지의 는 난간을 잡지 않도록 한다. 련된 8 개의 기능적 수행능력에 조절하도록 하 관 정보를 받아야 하며 훈련 중에 항목을 비교하였다. 대상자 선정 조 건은 다음과 같다. 가.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로 진단 받은 자 나. 적절한 의사소통과 해력 가능하여 측정도 구의 검사가 모두 실시 가능한 자 다 뇌졸중 외의 력 유의한 정형외과적 과거 병 질환 없는 자 라. 보조 장구의 사용여부와 상관없 10m 상 보행 가능한 자 마 시각과 전정기관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자 2. 훈련 방법 TBP는 스라엘 Sunlight에서 개발한 그림 1. 장비 로 4군데(좌 우측 toe 및 heel)의 압력 감지 점 으로 체중의 분포를 받아들여 포를 개인용 컴퓨터 적인 화면에 feedback 훈련 짜여 진 11 가지 의 TBP에 대상자의 체중분 보여줌으로써 가능한 version (MMSE- K) Folstein 등(1 975) 에 의해서 창안된 것으로 지 중 6가지 를 남력 선별하여 주당 3 회 1 회 15 분간 시행하였다. 가. 훈련 전 대상자에게 회상능력 구성 능 력 을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 주의력 포함한 언어능력 127}지 수리능력과 항목으로 구성 되 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권용철 등(1 989) 한다. 나. 운동에 대한 설명과 운동 시 펼요한 활동을 치료사가 설명한다(환자의 자세가 흐트러지 표 측정도구 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시각 장비다. 프로그 램 3. Program 을 용한 훈련 Tetrax Biofeedback 한국형 간 정선상태 분에서 10분 정도의 검사를 개발한 용하였는데 짧은 시간 내에 피검사자 1. Tetrax Biofeedback Program 훈 련 Catch 치료 목적 방 주의 집중하여 체중을 자발적으로 동시킴으로 써 적절한 체중분포를 획득한다. Skyball 주의 집중하여 자발적 따라가는데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줄인다. Speedball 주의 집중하여 자발적 체중동으로 목표물을 따라가는데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줄인다. Freeze 자발적으로 체중동을 한 현 상태의 체중분 포를 유지하는 능력을 키운다 Target 빨간 공을 발의 다양한 압력 변화로 움직여 판 위에서 체중을 좌 우로 웅직여 글러 브를 움직임으로써 공을 받는다. 판 위에서 체중을 앞 뒤로 움직여 글러 브를 움직임으로써 공을 받는다. 큰 원안에 빨간 공을 위치시킨 뒤 공 원을 벗어나지 않도록 일정시간 유지시킨다. 인지적인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을 교정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Immobilizer 법 녹색 공위에 놓는다. 체중동으로 목표물을 네 지점에 고정된 도형 중 불 켜지는 곳으로 체중을 동시켜 목표물을 일치시킨다. 체중을 자발적으로 동시켜 적절한 체중분포를 유지한다. 4곳의 압력 점에 균열하게 체중을 분포시킨 다. 3 5
한국보바스학회지 J Korean 들의 Bo bath 제 12 권 제 1호 Assoc Vol. 12, No. 1, 2007 지적상태를 으로 지적능력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장애뿐만 아니라 기능적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한태륜 둥 MMSE-K는 시 간 장소에 용하여 대 한 지 남력 (1 0 점 ), 주의집중 계산력 (5 점) 해 점)의 항목 총 30 점으로 구성되어 정 상 18-23 점 은 경 도 분류하였다(권용철 등 17 점 하는 만든 147~ 항목에 상은 6)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Scale 중등도로 (FACS) 보행능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6 단계로 구성 되어 2)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타당도가 증명되었다 측정 있으며 Collen 등(1 990) 에 의해 신뢰도와 인 상의 도움 (MVPT) 고안된 et al., 1989). 있으 자 간 선뢰도 r=.99 다. 위해 항목 대한 총합은 56 점다. 점 측정자 내 신뢰도 r=.99 c}(berg 1989). 검사도구의 측정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기 것으로 14 개의 수가 높을수록 정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하며 및 판단력 (2 점), 언어가능 (7 며 인지기능 장애정도의 평가에서 24 점 위해 으로 나뉘어 있다. 최소 0 점에서 최대 4 점을 적 1992). 기억회상능력 (3 점), 11 가지 상을 평가하기 발달의 기억력 (3 점), 및 Berg 등(1 989) 편마비 환자의 능력 손 방법 0 점은 환자의 보행 시 펼요한 경우 1 점은 1 인의 지 것으로 속적고 확고한 지지가 필요한 경우 2 점은 et a 1., 인의 간 선뢰 도 r=.81 보인다 (Colarusso 간헐적인 도움 펼요한 경우 3 점은 1 인 의 상성 3 점 단기기억 8 점 폐쇄(연 경우 4 점은 스스로 평지는 걸을 수 있으나 계 속성 )11 점 공간적 단나 불안정한 평지를 점으로 루어져 구분 5 접촉 없 1 1996) 총 36 항목으로 구별 3 점 형태항 방향 4 점 전 배경 신체적 2 지시 또는 감시가 필요한 걸을 때에 도움 필 요한 경우 5 점은 환자 스스로 걸을 수 있는 경 있다 우를 말한다. 3) Modified Ashworth scale(mas) 0점(긴장도의 증가가 없음)부터 4 점(굴곡 및 신 전 어려움)까지의 5 점 7) Timed Up 기능적인 척도로 만들어진 평가방 에 기능을 Test(TUG) 동능력 그리고 을 검사로써 팔걸가 있는 의자 앉은 상태에서 출발 신호와 함께 능한 빠르고 안정한 속도로 4) Fugl-Meyer Assessment(FMA) 감각 운동성과 측정할 수 있는 법며 근육의 긴장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다. 연구대상의 & Go 평가하기 다가 되돌아와서 위해서 다시 일어나 가 3m 거리를 걸어갔 출발자세로 앉는 시간을 Fugl-Meyer 등(1975)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측정하는 방볍다. 측정자 내 신뢰도 r=.99 고 회복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안한 Fugl-Meyer 평 측정자 간 선뢰도 r=.99 다(Podsiadlo 가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만 수행하 노인의 였다. 2 점 감각 기능의 만점으로 0 점은 무감각 1 점은 상 능력과 넘어짐의 기능적인 et al., 1991). 운동을 평가하여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고 감각나 둔한 감각 2 점은 정상 감각으로 구분 최근에는 허약한 노인뿐 만 아니라 뇌졸중 파 되는데 킨슨 질환 관절염 과 관절 연구에서는 하지의 위치감각 (position 촉각 Oight sense) 을 touch) 검사하였 용되 고 있다 (Morris 질환 있는 환자에게도 적 et a1., 200 1). 다. 촉각은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다리와 발바닥 을 비교하여 과 검사하였으며 위치감각은 마비측 비마비측의 엉덩 무릎 8) Gait Speed 뇌졸중 환자의 발목 염지발가락 을 비교하여 검사하였다. 최대 점수는 12 점었 데 다. 장애 정 도를 측정 할 수 있으며 (Gdie 평 가도구는 측정 자 간 (r=.94) 측정 자 내 많 재활 회복정도를 측정하는 사용되는 방법으로 빠르고 쉽게 보행 et al., 1996; Richards et al., 1995), 뇌 졸중 환자의 일 상생 활능 (r=.99) 신뢰도가 높다(Duncan et a1., 1983). 5) Berg Balance Scale (B BS) 4 력나 예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하면서도 하나다(김미정 정확한 방법 중 비교적 간단 둥
Kim et al Effects of Training Using Visual Biofeedback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표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분 군 (N=7) 대초군 (N=6) 성별(명) 남자 5(71.4%) 5(83.3%) 여자 2(28.6%) 1(16.7%) 연렁(서 1) 57.00 14.65 59.00 6.71 0.95 5.00 유병일(개월) 8.25 0.89 원인(명) 뇌출헐 3(42.9%) 1(16.7%) 뇌경색 4(57.1%) 5(83.3%) 마비부우I( 명) 오른쪽 4(57.1%) 4(66.7%) 왼쪽 3(42.9%) 2(33.3%) MMSE-K(점 )a 25.71 6.40 26.83 5.04 MVPT(점 )b 27.29 8.90 28.50 3.5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n version, bv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표 3. 군의 전 차 변화 등 }E E 실힘 전 (±표준편차) (±표준편차) p값 Z값 MAS 발목감직(점 )a 0.86 0.38 1.00 0.58-0.447 FMA하지감각(점 )b 9.14 2.12 9.14 2.12 0.000 1.000 BBS(점)" 44.43 :!: 11.12 FACS(점 )d ;l- 0.654 46.29 j; 11.48-2.060 0.039 4.14 1.21-1.000 0.317 4.00 土 1.15 TUG(초)" 29.40 土 30.94 27.59 土 27.81-2.028 0.043 CGS(초)' 41.58 :!: 54.99 28.47 j; 27.40-2.366 0.018 MGS(초)9 37.29 :!: 53.38 32.42 j; 46.09-2.366 0.018' PASS(점 )h 자세번환 18.71 4.42 19.43 4.16-1.633 0.102 자세유지 11.43 4.61 12.43 4.16-2.070 0.038 *p<o.05 'Modified Ashworth scale, bpugl-meyer Assessment, CBerg Balance Sc ale, d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Sc ale, eorimed Up & Go Test, fcomfortable Gait Speed, gmaximal Gait Speed, hpostural Assessment Sc ale for Stroke Patients 인 가장 안정하다고 느끼면서 편하게 1994; Bohannon, 1986). 보행속도를 주로 자 2- lom 본인 측정하는 거리의 선택한 방법은 보행 가장 매우 다양하며 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방법을 사용한다. 환 편안한 안정 보행속도 나) Maximal Gait Speed(MGS) (self-selective comfortable gait speed) 와 안전하 다고 느끼면서 10m 걷 최대한 빨리 최대 결을 수 있는 최대 보행속도 (maximal gait speed) 를 측정한다. 보행속도는 최대한 빨리 안정 정자는 첫 안전하게 느끼면서 10m 걷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측 번째 보행속도와 최대 보행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측 서 정자 간 측정자 내 다 (Suzuki et al., 신뢰도 (r=.89-1.00) 가 높다 그 발 환자가 발 출발점을 지나는 시간에 종착점을 지나는 시간을 측정하였 1990). (Steffen et al., 2002). 9)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7r) Comfortable Gait Speed(CGS) 안정 보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atients (PASS) 뇌졸중 환자들의 대상자 본 5 및 체간 조절을 평가
한국보바스학회지 표 제 12 권 hls J Korean Bo bath 제 1호 Vol. 12, No. 1, 2007 4. 대조군의 전 차 변화 효 r& 전 (±표준편차) (±표준편차) MAS 발목강직(점 )a 1.00 土 0.63 1.00 0.63 FMA하지감각(점 )b 8.33 2.07 8.67 2.07 BBS(점 t 45.17 FACS(점 )d 4.50 Z값 p~ 0.000-1.414 1.000 0.157 7.76 48.83-1.826 0.068 0.55 4.83 0.41-1.414 0.157 6.11 TUG(초)" 21.94 12.57 20.38 10.73-2.023 CGS(초) 19.19 10.43 18.57 10.24-2.003 0.043 0.045" MGS(초)g 16.55 10.25 16.17 10.03-1.472 0.141 PASS(점 )h 자세변환 19.50 2.51 19.50 2.51 0.000 1.000 자세유지 11.83 1.72 12.83 1.17-1.857 0.063.p<O.05 ðmodified Ashworth scale, "F ugl-meyer Assessment, CBerg Balance Scale, dfunctional Ambulation Ca tegory Sc ale, 'Timed Up & Go Test, 'Comfortable Gait Speed, gmaximal Gait Speed, h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표 군과 대조군의 변화량 비교 5. 동 a}5 E 실힘군 대조군 (핑균±표준펀J; f) (±표준펀차) MAS 발목강직(점 )a 0.14 0.90 FMA하지감각(점 )b 0.00 BBS(점 )C 1.86 FACS(점 )d 0.14 TUG(초)e -1.81 3.23-1.57 CGS(초)' -13.11 29.30-0.60-4.86 土 8.19-0.38 자세변환 0.71 1.11 자세유지 1.00 0.82 MGS(초)9 p값 Z값 0.00 0.00 0.000 1.000 0.00 0.33 0.51-1.595 0.111 2.04 3.67 4.46-0.511 0.610 0.37 0.33 0.52-0.781 0.435 1.94-0.072 0.943 0.48-0.288 0.774 0.64-1.359 0.174 0.00 0.00-1.743 0.081 1.00 0.89 0.000 1.000 PASS(점 )h ðmodified Ashworth scale, bfugl-meyer Assessment, CBerg Balance Sc ale, d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sc며e 'Timed Up & Go Test, 'Comfortable Gait Speed, gmaximal Gait Speed, hpostural Assessment sc매e for Stroke Patients 하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36 점 만점고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과 변화하는 자세에 평형을 유지하는 능력의 2 개의 범주에 목들을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Benairn 4.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 (u) 은 0. 05로 설정하였다. 따른 127H 항 et al., 1999). 111. 연구결과 자료 분석 군과 대조군으로부터 호화 과정을 일반적인 으며 교하기 거쳐 특성은 전산처리 기술통계와 위 하여 Wilcoxon 부 빈도분석을 부호 순위 하였 검정을 실 위 U-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0.0을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대상자의 집단 간 변화량을 알아보기 Mann- Whi tney 연구의 하였다. 자료는 집단 내의 사전 사 간 차를 비 시하였고 하여 수집된 용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자는 군 7 명 대조군 6 명 으로 총 13 명었다. 성 5 명 (71.4%) 여자 분포는 군은 남자 2 명 (28.6%) 었고 대조군은 남자 5 명 (83.3%) 여자 1 명(16.7%) 었다. 연령은 군 57.0세였고 대조군은 59.00세였으며 진단명은 군 - 6-3 명 (42.9%) 뇌경색 뇌출혈 4 명 (57.1%) 었으며
Kim et a l. Effects 01 Training Using Visual Bioleedback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대조군은 뇌출혈 1 명<16.7%) 뇌경색 5명 편마비가 4명 4. 군과 대조군의 (83.3%) 었다. 마비 군 우측 군과 대조군의 (57.1%), 좌측 편마비가 3 명 (42.9%) 었으며 대 는 모든 항목에서 우측 편마비가 4 명 (66.7%) 좌측 편마비 유병일은 군 5.07ij 윌었다. 두 전 변화량 차 집단 간의 통계학적으로 6.77ij 월었으며 대 인지기능 검사 26.8 점었으며 시지각 찰 고 IV. (MMSE-K) 에서는 군 25.7 점었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가 2 명 (33.3%) 었다. 조군 변화량 차 비교 유형은 조군 전 의 검사 (MVPT) 에서는 각각 27.2 점과 28.5 점 인간 었다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을 능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확보하고 기 위해서는 보행 필 수적다. 그러나 급증하고 있는 뇌혈관 질환의 유증으로 인해 2. 설 험 군 의 실 험 전 차 변 화 군의 전 전 차 변화는 44.4( 11.1)점에서 BBS 는 TUG 에서는 29.4( :1: 30.9) 초에서 전 하게 27.5( :1: 27.8) 초로 유 전 41. 5( :1: 54.9) 초 전 37.29( :1: 53.38) 초 력의 FACS, PASS 의 유의하지 자세변환 않았으며 FMA 의 그러나 의 의 변화는 전 전 차 2 1. 94( 1 2.57) 초에서 20.38( 1 0. 73) 초로 통계 학적 으로 보였고 (p<0.043) CGS 는 ( 1 0.43) 초 TUG는 유의 한 전 가지의 조절 능 훈련도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데 (Wernick-Robinson 편마비 환자들은 운동 및 어려움 조절 감각 등의 능력과 감각 기능 손상으로 인해 적절 못하고 선택적인 운동 생긴다. 즉 선택적 운동 손상으로 변화가 초래되고 정상인에 마비측으로의 비정상적인 et 대칭성 비해 보행속도가 체중동 보행유형 인해 부적절해지는 나타나게 된다 (B obath, 1990; Davies, 1985). 조절 차 를 능력 정렬을 맞추기 신의 유의 한 모습을 보여주며 있도록 자극을 F ACS, MGS, PASS 의 자세유지 항목에서의 변 능력을 훈련하기 화는 유의하지 곳으로 몸을 자세 저하된 대상자들에게 위한 방법으로 거울에 차를 보였다 (p<0.045). FMA 하지감각 BBS, 않았으며 MAS, PASS~ 불가능 여러 손상과 고위통합기능의 등의 19.19 18.57(1 0.24) 초로 적절한 상호작용 느리며 변화는 위해 시도해왔으며 조절 기능에 에 3. 대조군의 전 차 변화 정상적인 보행 한 근긴장도를 조절하지 하지감각 항목에서 는 전 변화가 없었다. 대조군의 향상을 위한 al., 1999), MAS, 항목에서의 정상 전정계 시각 고유감각 근골격계와 인지능력들 11. 43( :1: 4.6 1)점 12.43( :1: 4.16) 점으로 유 보였다 (p=0.038) 운동능력 재활치료에서는 최종적으로 독 접근방법을 신체에서 또한 PASS 의 자세유지 항목에서 전 차를 정상적 와 같은 접근방법 중의 하나다. 32.42( :1:46.09) 초로 유의 한 차 를 보였다 (p<0.0l8). 의한 소실되어 된다. 에 치료적 28.4(:1: 27.4) 초로 유의한 차를 보였고 (p<0.018) MGS 는 불가능해지는 등의 립적인 보행능력을 획득하기 의한 차를 보였다 (p<0.043). 그리고 CGS 에서 도 기능 조절 기전 되면 근력 관절 불안정해지며 의 소실과 감각 소설 마비측 다리의 46.2( 11. 4) 점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고 (p<0.039) 약해지고 여러 인 근육의 편마비가 발생하게 신체 비친 자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준다거나 위해 동시키는 무게 벽면의 중심점의 불빛 동 켜지는 방법 (Shumway-Cook et a l., 1992), 그 리 고 force platform 위 에 서 서 변환 항목에서는 전 변화가 없었다. 7
한국보바스학회지 J 제 12 권 제 1 호 Korean Bobath Assoc Vo l. 12, No. 1, 2007 체중 분포와 제중의 동상황을 수 있게 하는 방법 등 모니터링 할 연구되어 왔다. 을 선행연구의 자 중 대부분의 환자들 훈련 훈련에서 15 분 대상 에는 유지하는 등의 자세조절을 위해서는 시각 전정 다른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지는 기능 고유수용성 것으로 며 상위 감각 적절하게 상호 보완되 인지기능과 잘 통합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TBP도 처럼 조절시 각 의존도에 시 영향을 주는 자극며 러한 자 극은 전정계에서 들어온 자극 및 서 들어온 자극과 밀접하게 조절을 하는데 고유수용기에 연관되어 통합된 C k 느 에 정도의 때문었다 (Shumway 훈련 시간 가장 적당하고 효과적 대한 연구 결과도 없는 상태기 훈련시간 늘어남에 따라서 연구결과가 달 본 연구에서 로는 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가 발생하지 대상자 수가 13 명으로 비교적 적었다는 것 입원 체 중심 훈련을 실시한 편마비 환자에서 적인 물리치료를 배제한 순수한 세의 대칭성 좋아졌다고 등(1 996) 은 신체 도 가져올 수 였다 훈련 또한 에 시간 중심조절 보고했으며 Li ston 향상은 기능의 향상 환자라는 치료적인 훈련만을 실시하는 세번째 방법의 효과 차를 충분히 Geiger 등 (2001) 은 시 각적 것을 들 수 있을 것다. 점수가 높아지고 TUG 에서 러한 상숭 과 움직 룹 간의 과가 보고하였다 을 에 용한 을 다양하게 하여 본 연구에서는 훈련에 대한 측정 항목 능력과 자세조절 뿐만 아니라 보행과 관련된 하지의 력에도 영향을 군의 아니라 주는가를 기능적 알아보았다. BBS, TUG 에서의 유의한 수행 그 능 결과 차뿐만 CGS, MGS, PASS 에서도 유의한 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선행연구와 반영하지 군과 충분한 훈련기간을 두어 를 좀 더 다고 못 못했다는 보다 더 많은 연구 대상자로 순수 임 (mobility) 의 독립성 향상과 연관 있으나 그 변화량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 보존 하였으며 4주라는 제한적인 훈련기간으로 훈련 보고하 짧아졌으며 한계로 인해 그룹을 설정하지 있다고 BBS 를 용하여 BBS 의 변 못한 한계점으 Sackley 등(1 993) 은 을 용한 신 선 자 때문 라질 수도 있다는 제한점 있을 것다 화량에 을 용한 기존의 연구를 보면 하였기 et al., 1988; Geiger et 머, 2001). 그러 나 어 인 가에 영향을 준다(한숙 등 1996) 보인다고 훈련 효과의 차 명백하게 증명하고 훈련 에도 효 지속되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펀적으로 체중지지와 체중분포에 각적 정보만을 알려주는 르게 게임 형식을 용한 러한 동기유발을 시키기가 더 종적으로는 능력 시 훈련방법과는 다 임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어 대한 되먹 재활에 있 용할 것며 최 향상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라 생각한다.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두 그룹 간의 변 화량 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인 특성 중 MMSE-K v. 와 MVPT 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는 보 결 트료 L- 지 않았으며 마비부위 즉 오른쪽 왼쪽에 따른 수행능력의 차는 없었지만 조건에 맞추어 무작위로 력나 시지각 능력 MVPT상 배치하다보니 상태를 접수가 더 대상을 선정 조정하지 입원한 뇌졸중 환 인지능 자 13 명을 대상으로 보존적인 물리치료를 수행 못하여 한 대조군과 에 더하여 TBP를 수행한 군 낮은 군의 지 각 결손 Tetrax 를 용한 훈련에 시 사에서 능력 약간 아보고자 하였다. 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라고 생각된다 TBP의 본 연구는 국립재활병원에 훈련은 15 분으로 하였는데 는 - 8 하지의 기능적 향상 뿐만 수행 차가 있는가를 알 아니라 보행과 관련된 능력에도 훈련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Kim et al. Effects 01 Training Using Visual Bioleedback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에 관련된 8 가지 항목 (MAS FMA 중 하지감각 의 회지. BBS, FACS, TUG, CGS, MGS, PASS) 을 평 가 하였으며 여기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 1992;16(2):ll8-122. Benaim C, Perennou DA, Villy ], et 다음과 머.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같다. 1 상관관계에 군의 훈련 전 차 변화는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BBS, assessment TUG, CGS, MGS, PASS 의 자세유지 항목에서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I, 2. 대조군의 훈련 전 차 변화는 TUG, CGS Gayton D. Measuring balance in the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5).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1989 ;4쇠1:: 3. 군과 대조군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훈련 통계 304-31 l. 학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지는 않았다. 와 같은 결과에서 물리치료와 더불어 알 수 있듯 stroke patients. Stroke. 1999;30(9):1862-1868.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다 (p<0.05). 전 변화량 차를 보였으나 것 scale for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보존적인 3rd ed. London: Heinemman, 1990. 을 용한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훈련을 실시한 집단 훈련 전보다 훈련 에 균 London: William Heinemman Medical, 1980. 형 능력 및 보행과 관련된 하지의 기능적 수행에 Bohannon RW Strength of lower 유의한 향상을 보였지만 보존적인 물리치료만 실 피nb 떠 ated to gait 비교에 velα::ity and cadence in stroke JXltient. Physiotherapy Cana da. 1986;38:204 206. 비록 그룹 Colarusso RP, Hammill DD. Motor-Free Visual 간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는 보지 않았지만 Perception Test Revised. Novato, Calif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군 더 좋은 향상을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1996. 시한 그룹과의 훈련 전 변화량 차 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지 않았다. 보였기에 보존적인 방법의 불리치료 내에 포함되 Collen FM, Wade DT, Bradshaw CM. Mobility 어 있는 능력 향상 운동에 훈 after stroke: reliability of measures of 련 방법을 더하여 impairment and disability. Int Disabil 으로 환자들의 며 치료한다면 다양한 접근 방법 동기유발도 더 결과적으로 능력 Studies. 1990;12:6-9. Davies PM. Steps to follow: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Berlin: Springer-Verlag, 1985. 잘 루어질 것 향상에도 더 많은 도움 을 줄 것라 생각한다. Dettmann MA, Linder MT, Sepic SB. Relationships among 참고문헌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 ] Phys Med. 1987; 66:77-90.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 K) 의 제 1 편 MMSE-K의 학회 지. 표준화 Duncan PW, Propst M, Nelson SG. Reliability of 연구: the Fugl-Meyer assessment of sensori 개발. 대한신경정신의 motor recovery following cerebrovascular 1989;28 (1) :125-135. accident. Phys 김미정 수아 김상규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속 도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Mini-Mental State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관한 고찰. the clinician. ] Psychiatr Res. 1975;12(3) 1996; 3: 82-9 l. 한태륜 김진호 성덕현 등. 뇌졸중 환자에 검 사와 기능적 1983;63:1606-1610.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18( 4) :736-74l. 한숙 최흥식 권오윤. 조절요인에 돼er.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 :189-198. 있어서 Fugl-Meyer AR, Jaasko L, Leyman 1, et a l. The 회복 9
한국보바스학회지 제 12 권 제 1 호 J Korean Bo bath Assoc Vo l. 12, No. 1, 2007 post-stroke hemiplegic patien t. Scand ] for frail elderly persons. ] Am Geriatr Rehabil Me d. 1975;7:13-31 So c. 1991; 39:142-148. Geiger RA, Allen ]B, 0 Keefe ], Hicks RR. Richards CL, Malouin F, Dumas F, et a 1. Gait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velocity as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locomotor recovery after stroke. In: Craik biofeedbacνforceplate RL, Oatis C. Gait Analysis: Theory and with and without an outcome measure of application. St- Louis, Mosby. 1995. training. Phys Ther. 2001; 81:995-1005. Goldie PA, Bach TM, Evans OM. Force platfonn Sackley CM, Baguly BI: Visual feedback after measures for evaluating postural control: stroke with balance perfonnance monitor: reliability and validity. Arch Phys Med two single case studies. Clin Rehabi l. Rehabil. 1989;70:510-517. 1993;7:189-195. Goldie PA, Matyas T A, Evans OM. Deficit and Sackley CM. The relationships between weight-bearing asymmetry after stroke, change in gait velocity dur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1996;77:1074-1082. living. Physiotherapy Pract. 1990 ;6:179-185. Inman V, Ralston H, Todd R. Human walking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1981. η1eorγ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Liston R, Brouwer B: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ts effect on re measures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using the Balance Ma ster. Arch Phys Med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 Rehabi l. 1996;77:425-430. ;69:395-400. Mahoney FI, Barthel DW. Functional evaluation: Shumway-Cook A, Horak F. Balance rehabilitation the Barthel index. Md State Med ]. in the neurologic patient: course syllabus. 1965;24:61-65. Seattle: NERA, 1992. Morris S, Morris ME, lansek R. Reliability of Shumway-Cook A, Woolacott M.H., Motor control: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illiams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 Wilkins, Baltimore, l\1d. 1995 disease. Phys Ther. 200 1; 81( 2):810-818. Steffen TM, Hacker T A, Mollinger L. Age and gender-related Musa 1m. Recent findings on the neural control perfonnance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Six rehabilitation of gai t. In: Banks, MA, 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어itor.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of locomotion: implications for Intemational pers않ctives in physical Phvs Ther. 2002;82:128-137. therapy-2. Stroke. Edinburgh: Churchill Suzuki K, Livingstone. 1986:79-98. mechanical contributions to speed human in of maximum hemparetic walking stroke patients. Tohoku ] Exp Med. 1990;162:337-344. balance. In: Duncan PW, ed. Balance: Proceedings of the AYrA Forum, Nashville, Nakamura R, Yamada Y, et al Determinants Nashner LM. Sensory, neuromuscular, and bio Nichols test Walker C, Brouwer B], Culham EG. Use of Tennessee, ]une 13-15, 1989. 1989:5-12.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DS.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2000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80:886-895.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 Ther. 1997;77 553-558. Wall ]C, Turnbull GI, Gait asymmetries in residual hemiplegia. Arch Phys M ed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and Rehabi l. 1986;67:500-503.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10-
Kim et a l. Effects of Training USing Visual Biofeedback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Winstein C], Gardner ER, McNea1 DR, et a1 Wernick-Robinson M, Krebs DE, Giorgetti MM. Functiona1 reach: Does it re a11y measure Standing dynamic ba1ance. Arch Phys Med Refr1b il. ba1ance and 1ocomotion in hemiparetic 1999;80:262-269. adu1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 755-762. 11 ba1ance training: effect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