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본서울인구 가구변화 통계데이터담당관 ( 정보기획관 ) 목차 요약 ] 인구변화 인구변동요인 가구변화
요 약 2~214 년등록인구 ( 주민등록인구 + 등록외국인 ), 23년 은추계인구기준임, e는추정치 년중위연령 세로 년 세에서 세증가 년 은 세전망 년 고령화도시진입 년 고령도시진입예정 년 초고령도시진입전망 초중고학령인구 년 년 년 핵심노동인구 가임여성 여성중 합계출산율 년 명으로 년 명 초저출산진입이후초저출산상태유지 세이상고령층에서사망자증가 폐렴 알쯔하이머병등노인성질환에서사망자증가 대 대를제외한전연령층에서순유출 유아연령층동반 대전출심화현상 - 1 -
도표 ( 인구 가구변화 ) 12, 11, 1, 9, 8, 7, 6, 5, 4, 총인구수 ( 천명 ) 중위연령 ( 세 ) 1% 7 9% 1,373 1,575 1,37 6 8% 9,762 9,564 5 7% 42.4 6% 47.3 5% 37.9 4.2 3 4% 31.7 3% 2% 1 1% % 2년 21년 214년 22년e 23년e 5.4 9.5 11.8 15. 23.2 65세 이상 76. 76.8 15~64 76. 73.3 65.4 세 ~14 18.6 13.7 12.2 11.7 11.4 세 2년 21년 214년 22년e 23년e 부양부담 ( 노인1명을부양해야하는생산인구, 명 ) 노령화지수 ( 유소년인구 1명당노인인구, 명 ) 25 16. 14.1 23.6 14. 2 12. 15 8.1 1 6.5 129.1 8. 1 96.7 4.9 6. 5 69.8 2.8 4. 2. 29.1 2년 21년 214년 22년e 23년e < 인구추이및전망 > < 연령별인구구조 > < 부양부담및노령화지수 > 14 12 1 8 6 4 2 출생아수 ( 천명 ) 조출생률 ( 명 / 천명당출생아 ) 132 18. 16. 14. 93 84 88 12. 12.8 76 1 9.2 8.4 9.1 8. 8. 6. 4. 2. 2년 21년 214년 22년e 23년e 8 7 6 5 4 3 2 1 사망자수 ( 천명 ) 조사망률 ( 명 / 천명당사망자 ) 39 4 42 3.8 3.9 4.2 52 5.4 68 7.1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1 9 8 7 6 5 4 3 2 1 ( 단위 : 천명 ) -2-4 -6-8 -1-12 -14-47 -115-88 -49-41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 출생아 > < 사망자 > < 순이동인구 ( 전입 - 전출 ) > ( 단위 : 세 ) 남성 여성 35. 32.2 32.8 3 3.7 29.7 29.8 25. 27.3 2년 21년 214년 ( 단위 : 세 ) 모평균출산연령 모첫째아평균출산연령 35. 31.9 32.7 31.8 3 29.5 3.9 28.4 25. 2년 21년 214년 ( 단위 : 세 ) 전체남성여성 9 88. 89.5 86.3 85.2 86.4 85. 81.7 84.6 83.6 83.3 8 82. 8.6 81.1 78.8 78.7 75. 75.8 7 65. 6 2년 21년 214년 22년e 23년e < 평균초혼연령 > < 평균출산연령 > < 기대수명 > ( 단위 : 천가구 ) 총가구수 가구당평균가구원수 ( 단위 : 명 ) 4,42 6. 4, 3,798 3,54 3,6 5. 3,5 3,86 4. 3, 3. 2,5 3.12 2.7 2.63 2, 2.5 2.36 2. 1,5 1. 1, ' '1 '14e '2e '3e 1% 8.5 15.1 65세 9% 17.7 22.1 33.3 이상 8% 26.3 7% 3 31.7 5~64 6% 33.3 세 5% 31.4 4.7 4% 35~49 35.4 31.6 세 3% 27.7 22.1 2% 1% 24.5 35세 19.6 19. 16.9 13.2 미만 % 2 21 214e 22e 23e 1% 12.9 7.8 6.3 4.7 3.1 9% 12.7 16.7 23.1 2.2 8% 7% 32.1 23.1 22.9 6% 22.7 22.5 5% 21.7 31. 4% 26.9 24.2 22.3 3% 17. 2% 24.4 26.6 28.9 3.1 1% 16.3 % 2년 21년 214년e 22년e 23년e < 가구추이및전망 > < 가구주연령별 > < 가구원규모별 > 5 인 이상 4 인 3 인 2 인 1 인 - 2 -
통계표 ( 인구 가구변화 ) 연령별분포 총인구 ( 천명 ) 1,373 1,575 1,37 9,762 9,564 중위연령 ( 세 ) 31.7 37.9 4.2 42.4 47.3 유소년 ( 만~14 세, 천명 ) 생산가능 ( 만15~64 세, 천명 ) 노인인구 ( 만65 세이상, 천명 ) 1,928 (18.6%) 1,444 (13.7%) 1,264 (12.2%) 1,137 (11.7%) 1,89 (11.4%) 7,884 (76.%) 8,123 (76.8%) 7,884 (76.%) 7,155 (73.3%) 6,258 (65.4%) 56 ( 5.4%) 1,8 (9.5%) 1,222 (11.8%) 1,469 (15.%) 2,217 (23.2%) 초중고학령인구 ( 만 6~17 세, 천명 ) 1,596 (15.5%) 1,329 (12.9%) 1,17 (11.%) 875 (9.%) 86 ( 9.%) 핵심노동인구 ( 만25~54 세, 천명 ) 5,313 (51.2%) 5,57 (52.7%) 5,29 (5.2%) 4,644 (47.6%) 4,9 (41.9%) 가임여성인구 ( 만15~49 세, 천명 ) 3,199 (61.8%) 3, (56.2%) 2,819 (53.6%) 2,443 (48.8%) 2,31 (41.2%) 부양비및노령화지수 유소년부양비 ( 명 / 생산인구 1 명당유소년인구 ) 노년부양비 ( 명 / 생산인구 1 명당노인인구 ) 노령화지수 ( 명 / 유소년 1 명당노인인구 ) 24.5 17.8 16. 15.9 17.4 7.1 12.4 15.5 2.5 35.4 29.1 69.8 96.7 129.1 23.6 출생 사망 이동 女평균초혼연령 ( 세 ) 27.3 29.8 3.7 평균출산연령 ( 세 ) 29.5 31.9 32.7 출생아수 ( 천명 ) 132 93 84 88 76 조출생률 ( 명 / 인구천명당출생아 ) 12.8 9.2 8.4 9.1 8. 합계출산율 ( 명 / 가임여성 1명당출생아 ) 1.26 1.2.98 1.15 1.19 기대여명 ( 평균수명, 세 ) 78.8 82. 83.6 84.6 86.4 사망자수 ( 천명 ) 39 4 42 52 68 조사망률 ( 명 / 인구천명당사망자 ) 3.8 3.9 4.2 5.4 7.1 사망원인 5순위 암 > 뇌혈관질환 > 심장암 > 뇌혈관질환 > 심장암 > 뇌혈관질환 > 심장질환 > 당뇨병 > 간질환질환 > 자살 > 당뇨병질환 > 자살 > 폐렴 순이동인구 ( 전입 - 전출, 천명 ) -47 ( 순유출 ) -115 ( 순유출 ) -88 ( 순유출 ) -49 ( 순유출 ) -41 ( 순유출 ) 일반가구수 ( 천가구 ) 3,86 3,54 3,6 3,798 4,42 평균가구원수 ( 천명 ) 3.12 2.7 2.63 2.5 2.36 65 세이상가구수 ( 천가구 ) 262 (8.5%) 528 (15.1%) 638 (17.7%) 84 (22.1%) 1,346 (33.3%) 65 세이상 1 인가구 ( 천가구 ) 65 (2.1%) 139 (4.%) 172 (4.8%) 232 (6.1%) 369 (9.1%) 가구원수별분포 1 인 ( 천가구 ) 52 (16.3%) 855 (24.4%) 957 (26.6%) 1,96 (28.9%) 1,217 (3.1%) 2 인 ( 천가구 ) 525 (17.%) 782 (22.3%) 872 (24.2%) 1,2 (26.9%) 1,253 (31.%) 3 인 ( 천가구 ) 671 (21.7%) 788 (22.5%) 817 (22.7%) 87 (22.9%) 934 (23.1%) 4 인 ( 천가구 ) 99 (32.1%) 88 (23.1%) 727 (2.2%) 635 (16.7%) 514 (12.7%) 5 인이상 ( 천가구 ) 399 (12.9%) 272 ( 7.8%) 226 ( 6.3%) 177 ( 4.7%) 124 ( 3.1%) - 3 -
자료설명및유의사항 등록인구통계 서울시 - 작성목적 : 서울시인구의변동상황및연령구조를파악하여서울시행정계획수립등제반행정 사항의기초자료로활용 - 작성방법 : 주민등록인구 ( 내국인 ) 와등록외국인을포함시켜서울총인구작성. - 기초자료 : 주민등록인구 ( 내국인 ) 는행정자치부 주민등록정보이용시스템 자료, 등록외국인은법무부출입국 / 외국인정책본부 외국인정보공동이용시스템 (FINE) 자료 - 집계방법 : 서울시등록인구발표시내국인과등록외국인을포함하며, 주민등록법개정 ('9.4.1) 으로 종전의무단전출말소제도가폐지되고거주불명등록제도가도입됨에따라, 21 년말기준 부터거주불명자를주민등록인구에포함하여집계함 - 유의사항 : 인구관련통계는추계인구, 총조사인구, 주민등록인구가있고, 통계의포괄범위, 작성기준, 작성방법등이서로차이가있으므로자료이용에유의바람. 추계인구 : 국가의중장기계획수립을위한장래인구 ( 매년 7.1 기준, 21~24 년인구추계 ), 최근의출생, 사망, 인구이동추이를기초로장래의인구변화를전망 ( 매년 7 월 1 일기준 ) 총조사인구 : 현재경제사회적특성을파악하기위해매 5 년마다우리나라에살고있는모든사람을대상으로조사집계한인구 (, 5 년 11 월 1 일기준 ) 주민등록인구 : 행정수요파악등대민업무수행을위한주민등록상의인구 ( 분기별, 매년 12 월 31 일기준 ) 특히, 유학및해외취업등에의한해외체류자가포함되어있음. 장래인구추계 ( 통계청, 214 년추계 ) - 작성목적 : 인구변동 ( 출생, 사망, 이동 ) 의실적자료를이용하여시도별과거인구를확정하고, 중장기 장래인구를추계하여국가지역개발과지방자치단체의지역정책및인구관련각종지표 산출을위한기초자료로제공 - 작성방법 : 코호트요인법 (Cohort Component Method) 코호트요인법이란어떤특정연도특정시도의성및연령별기준인구에시도별인구변동요인인출생, 사망, 이동에대한장래변동을추정하여이를조합하는방법 - 작성대상기간 / 시점 : 21~24 년 (3 년간 : 매년 7 월 1 일기준 ), e 는추정치를의미함. 21~235 시도별장래가구추계 ( 통계청 ) - 작성목적 : 가구의양적 질적변화정보는각종경제 사회개발계획을효과적으로수립하는데유용, 최근가족분화및해체가급속히진행됨에따라가구의규모나구조가크게변하고있어 이를파악하고예측하기위한장래가구추계가필요 - 활용자료 1 기준가구작성, 장래가구주율및가구구성비추정 : 199~21 년인구주택총조사 2 장래가구추계대상인구추계 : 211 장래인구추계 (21~26) 3 장래혼인상태별인구추계 : 인구동태자료및생명표 (199~21) - 작성대상기간 / 시점 : 21~235 년 (25 년간 : 매년 7 월 1 일기준 ) 본문의 214 년 e, 22 년 e, 23 년 e 가구통계는장래가구추계결과활용, e 는추정치임. 자료이용시유의사항 - 통계표구성비및증감률은반올림한값으로하위분류합이상위분류합과일치하지않거나, 원자료로계산한값과일치하지않을수있음. - 모든연령은만나이기준임 - 4 -
1. 인구변화 1 총인구및중위연령 214 년총인구 1,37 만명으로 21 년 (1,57 만 5 천명 ) 최대기록후감소세, 23 년 e 956 만 4 천명전망 214 년내국인은 1,1 만 3 천명으로 2 년대비 2 만 8 천명 (-2.%) 감소 외국인은 26 만 6 천명으로 2 년대비 2 만 4 천명 (4.3 배 ) 증가, 총인구중 2.6% 차지 214 년중위연령 4.2 세로 2 년 31.7 세에서 8.5 세증가, 23 년 e 47.3 세로높아질전망 총인구중 2~214 년은매년 12 월말기준인등록인구 ( 주민등록인구 + 등록외국인 ), 22 년이후는매년 7 월 1 일기준인장래인구추계자료임. 과거 ~ 현재까지는등록인구를사용했고, 향후전망치는추계인구를사용했으므로직접적인시계열비교보다는미래에대한대략적인전망치를보고자함 인구의연령특성을파악하기위해중위연령 ( 총인구를연령별로나열할때정중앙에있는사람의해당연령 ) 이가장널리사용되는지표임 서울인구는 214 년 1,37 만명으로 21 년 1,57 만5천명이후 4년연속감소하여 2 년 (1,37 만3천명 ) 과유사한수준이고, 장래인구추계 ( 통계청 ) 에따르면, 서울인구는향후에도감소할것으로전망되어 22 년 e 976 만2 천명, 23 년 e 에는 956 만4 천명 (1984 년 95 만1 천명수준 ) 에이를것으로추정됨 내국인 ( 주민등록인구 ) 은 214 년 1,1 만3천명으로 2 년대비 2.%(-2 만8천명 ) 감소한반면, 등록외국인은 214년 26만6 천명으로 2년대비 4.3배 (2만4 천명 ) 증가함. 총인구중등록외국인비율은 214 년 2.6% 로 2 년.6% 에서지속증가함. 특히, 인구규모감소와더불어인구의연령구조가고령화됨에따라서울인구의중위연령이 214 년 4세를넘어섰음 서울인구중위연령은 2 년만해도 31.7 세였으나, 지속적으로상승하여 214 년 4.2 세로높아졌고, 이런추세가지속된다면 22 년 e 42.4 세, 23 년 e 47.3 세로높아질전망. 평균연령 : 33.1 세 (2 년 ), 38.2 세 (21 년 ), 4.2 세 (214 년 ), 42.3 세 (22 년 e ), 45.9 세 (23 년 e ) 성비 ( 여성 1 명당남성수 ) 는 214 년 97.1 명에서 23 년 e 94. 명으로여성이남성보다더많아질전망 ( 단위 : 천명 ) 12, 11, 1, 9, 8, 7, 6, 5, 4, 1,373 1,297 1,575 1,37 31.7 34.6 37.9 총인구수 중위연령 ( 단위 : 세 ) 7 4.2 9,762 9,69 9,564 42.4 44.8 47.3 2 년 25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25 년 e 23 년 e 6 5 3 1 총인구 성별 성비 구분 ( 여성 1 명한국인외국인 ( 구성비 ) 남성여성당남성수 ) 2 1,373 1,311 62.6 5,198 5,175 1.4 25 1,297 1,167 13 1.3 5,124 5,173 99. 21 1,575 1,313 263 2.5 5,237 5,339 98.1 211 1,529 1,25 279 2.7 5,28 5,32 97.9 212 1,442 1,195 247 2.4 5,16 5,283 97.7 213 1,388 1,144 244 2.4 5,126 5,262 97.4 214 1,37 1,13 266 2.6 5,19 5,261 97.1 22 e 9,762 4,759 5,3 95.1 23 e 9,564 4,635 4,929 94. - 5 -
2 인구피라미드 연령구조아래부분이넓은피라미드형에서윗부분이넓은역삼각형항아리구조변화전망 2 년 214 년 23 년 e : 2대이하 46.3% 32.6% 25.3%, 6세이상 8.8% 17.1% 3.8% 4세이상인구 : 2 년 35.1% 214 년 5.4% 23 년 e 59.6% 로증가전망 인구피라미드 : 인구의성별, 연령별구성을동시에나타내는그래프 인구피라미드를통해연령분포를시각적으로파악할수있는데, 2 년서울인구의연령구조는아랫부분이넓은피라미드형태를나타냈으나, 출산율저하와수명연장으로고령인구가늘고있어점차아랫부분이좁아지고고령층이넓어지는구조로변화전망 2 년만해도 2대이하가전체인구중 46.3% 를차지했으나, 214 년 32.6% 로감소했고, 23 년 e 에는 25.3% 로줄어들전망인반면, 6세이상은 2 년 8.8% 에서 214 년 17.1% 로, 23 년 e 3.8% 로증가할전망임. 청장년층인 3~5 대는 214 년 5.3% 로전체인구의절반을차지했으나, 23 년 e 43.8% 로감소할전망 또한, 연령을 4 세미만과 4 세이상으로구분해보면, 4 세이상인구는 2 년 35.1% 에서 214 년에는 5.4% 로 1 명중 5 명, 23 년 e 에는 59.6% 로 1 명중 6 명에해당할전망 ( 단위 :%) 7 세이상 6~69 세 5~59 세 4~49 세 3~39 세 2~29 세 1~19 세 ~9 세 9. 9.9 여성 8.2 6.6 6. 2.1 1.1 2.9 2.7 5.2 5.2 7.7 7.2 6.6 남성 9.6 1-15. -1-5. 5. 1 15. ( 단위 :%) 7 세이상 6~69 세 5~59 세 4~49 세 3~39 세 2~29 세 1~19 세 ~9 세 여성 8.3 8.6 8.4 7.4 4.4 5. 4.9 3.8 3.2 4.6 5.3 4. 남성 7.8 7.3 8.6 8.6-15. -1-5. 5. 1 15. ( 단위 :%) 7 세이상 6~69 세 5~59 세 4~49 세 3~39 세 2~29 세 1~19 세 ~9 세 여성 8.9 8. 7.8 7. 7.3 5.1 3.7 3.7 5. 3.9 3.9 6.7 7.2 7.2 6.8 남성 7.8-15. -1-5. 5. 1 15. 구분 연령별인구수 ( 천명 ) 연령별구성비 (%) 계 ~9 1~19 2~29 3~39 4~49 5~59 6~69 7이상계 ~9 1~19 2~29 3~39 4~49 5~59 6~69 7이상 전체 1,373 1,3 1,43 2,72 1,934 1,65 1,71 583 333 1 12.5 13.8 18.6 15.9 1.3 5.6 3.2 2 년 남성 5,198 682 749 1,42 996 83 536 278 112 5.1 6.6 7.2 1 9.6 7.7 5.2 2.7 1.1 여성 5,175 618 681 1,3 938 847 536 35 221 49.9 6. 6.6 9.9 9. 8.2 5.2 2.9 2.1 전체 1,37 85 1,53 1,521 1,765 1,785 1,667 992 782 1 7.8 1.2 14.7 17. 17.2 16.1 9.6 7.5 214 년 남성 5,19 413 546 756 889 894 81 474 328 49.3 4. 5.3 7.3 8.6 8.6 7.8 4.6 3.2 여성 5,261 391 58 766 876 891 857 518 454 5.7 3.8 4.9 7.4 8.4 8.6 8.3 5. 4.4 23 년 e 남성 4,635 374 371 479 747 649 685 686 643 48.5 3.9 3.9 5. 7.8 6.8 7.2 7.2 6.7 전체 9,564 73 722 97 1,442 1,318 1,433 1,45 1,499 1 7.6 7.5 1.1 15.1 13.8 15. 15.2 15.7 여성 4,929 356 351 491 695 668 748 764 855 51.5 3.7 3.7 5.1 7.3 7. 7.8 8. 8.9-6 -
3 연령계층별인구분포 유소년및생산가능인구지속감소, 고령인구증가전망 2 년 : 유소년인구 18.6%, 생산가능인구 76.%, 고령인구 5.4% 214 년 : 유소년인구 12.2%, 생산가능인구 76.%, 고령인구 11.8% 23 년 e : 유소년인구 11.4%, 생산가능인구 65.4%, 고령인구 23.2% 215 년 2/4 분기 65 세이상고령인구가유소년인구첫추월, 23 년 e 유소년의 2 배전망 사회경제구조를개괄적으로파악해보기위해인구연령구조를유소년 (~14 세 ), 생산가능인구 (15~64 세 ), 고령인구 (65 세이상 ) 구분 과거 ~ 현재까지는등록인구를사용했고, 향후전망치는추계인구를사용했으므로직접적인시계열비교보다는미래에대한대략적인전망치를보고자함 214 년서울전체인구중 ~14 세유소년인구는 12.2%, 만15~64 세생산인구는 76.%, 65세이상고령인구는 11.8% 로분포되었으며, 2 년유소년 18.6%, 생산인구 76.%, 고령인구 5.4% 에서유소년비중은줄고, 고령비중은증가, 생산인구비중은동일수준임 먼저생산인구는 2 년 788만 4천명에서 21 년 812만 3천명으로정점찍고, 이후 4년연속감소하여 214년 788만4 천명 (2 년과동일수준 ) 에달함 유소년인구는 214 년 126만 4천명으로 2 년대비 66만5 천명 (-34.5%) 감소한반면, 고령인구는 214 년 122만 2천명으로 2 년대비 66만1 천명 (2.2배 ) 증가 215 년 2/4 분기고령인구가 124 만9 천명 (12.1%) 으로유소년인구 124 만명 (12.%) 을첫추월 장래인구추계 ( 통계청 ) 에따르면, 유소년인구및생산인구는꾸준히감소하는반면, 고령 인구는지속적으로증가할전망이어서 23 년 e 은유소년인구 11.4%, 생산인구 65.4%, 고령 인구 23.2% 로 23 년 e 에는고령인구가유소년인구의 2 배에달할전망 214~23 년 e 기간중유소년인구대략 17 만 5 천명, 생산인구 162 만 6 천명각각감소하 게될것으로추정되는반면, 고령인구는 99 만 6 천명증가할전망 지금까지 (2~214 년 ) 연령구조변화는유소년인구감소및고령인구증가에영향을받았 1% 지만, 향후에는생산인구대폭감소및고령인구증가에크게영향을받을전망 9% 8% 7% 6% 5% 4% 3% 2% 1% % 76. 18.6 5.4 9.5 11.8 15. 76.8 76. 73.3 23.2 65.4 13.7 12.2 11.7 11.4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65 세이상 15~64 세 ~14 세 구분 계 ~14 세 15~64 세 65 세이상 ~14 세 15~64 세 65 세이상 2 년 1,373 1,928 7,884 56 18.6 76. 5.4 25 년 1,297 1,716 7,845 736 16.7 76.2 7.1 등록인구 21 년 1,575 1,444 8,123 1,8 13.7 76.8 9.5 214 년 1,37 1,264 7,884 1,222 12.2 76. 11.8 215 년2/4 1,349 1,24 7,861 1,249 12. 76. 12.1 22 년e 9,762 1,137 7,155 1,469 11.7 73.3 15. 추계 225 년e 인구 9,69 1,126 6,711 1,853 11.6 69.3 19.1 23 년e 9,564 1,89 6,258 2,217 11.4 65.4 23.2-7 -
4 고령화및부양비 25 년 (7.1%) 고령화도시진입, 219 년 e (14.3%) 고령도시, 226 년 e (%) 초고령도시로진입전망 유소년 1 명당노인인구 ( 노령화지수 ) : 2 년 29.1 명 214 년 96.7 명 23 년 e 23.6 명전망 생산인구 1 명당노인인구 ( 노년부양비 ) : 2 년 7.1명 214 년 15.5 명 23 년 e 35.4 명전망 노인 1명을부양해야하는생산인구수 : 2 년 14.1 명 214 년 6.5명 23 년 e 2.8명 고령화사회 (UN 정의 ) : 전체인구중 65 세이상고령자비율을기준으로 7% 이상이면고령화사회 (aging society), 14% 이상이면고령사회 (aged society), 2% 이상이면초고령사회 (super-aged society), 고령화지수 ( 노령화지수 ) : 유소년인구 1 명당고령인구수 저출산및평균수명연장등으로사회적부양부담증가및고령화가급속하게진행될전망 유소년인구 1 명당고령인구를나타내는고령화지수는 214 년 96.7 명으로 2 년 29.1 명에서 3.3 배증가했고, 23 년 e 에는 23.6 명으로증가할전망 총인구대비 65세이상비율로고령화정도를보면, 25 년 65세이상인구가 7.1%(73 만6 천명 ) 를차지하면서이미고령화도시로진입했고, 장래인구추계 ( 통계청 ) 에따르면, 219 년 e 14.3% (14 만명 ) 로고령도시진입전망, 226 년 e %(193 만2 천명 ) 로초고령도시로진입할전망 서울고령화는전국 (2 년진입 ) 보다늦게시작되었지만, 불과 21년만에고령화도시에서초고령도시로진입할것으로전망되고있어전국 (26년 ) 보다진행속도가빠름. 전국 : 고령화사회 2년 (7.2%), 고령사회 217년 e (14.%), 초고령사회 226년 e (2.8%) 서울 : 25년 (7.1%), 219년 e (14.3%), 226년 e (%) 고령화로인해생산인구가부양해야하는노인인구가증가하여사회적부양부담증가 노년부양비 ( 생산인구 1명당노인인구 ) 는 2 년 7.1명에서 214 년 15.5 명으로증가했고, 23 년 e 35.4 명으로증가할전망 이에따라 2 년에는노인 1명을생산인구 14.1명이부양했지만, 214 년에는 6.5명, 23 년 e 에는 2.8명으로사회적부양부담이높아질전망임 25 2 15 1 5 14.1 부양부담 ( 노인 1 명을부양해야하는생산인구, 명 ) 노령화지수 ( 유소년인구 1 명당노인인구, 명 ) 29.1 8.1 69.8 6.5 96.7 4.9 129.1 23.6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2.8 16. 14. 12. 1 8. 6. 4. 2. 구분 부양비고령화 65세이상 65세이상총유소년노년 ( 노인 1명을지수인구인구비율부양비부양비부양비부양하는생산인구 ) 2 년 31.6 24.5 7.1 (14.1) 29.1 56 5.4 25 년 31.2 21.9 9.4 (1.7) 42.9 736 7.1 21 년 3.2 17.8 12.4 ( 8.1) 69.8 1,8 9.5 214 년 31.5 16. 15.5 ( 6.5) 96.7 1,222 11.8 215.2/4 31.7 15.8 15.9 ( 6.3) 1.8 1,249 12.1 219 년e 35.1 15.7 19.4 ( 5.2) 122.9 1,4 14.3 22 년e 36.4 15.9 2.5 ( 4.9) 129.1 1,469 15. 226 년e 46. 16.9 29.2 ( 3.4) 173. 1,932 23 년e 52.8 17.4 35.4 ( 2.8) 23.6 2,217 23.2-8 -
5 연령별인구변화특성 연령별구성비로보면초중고학령인구, 핵심노동인구, 가임여성감소전망 초중고학령인구 : 2 년 15.5% 214 년 11.% 23 년 e 9.% ( 총인구중 ) 핵심노동인구 : 2 년 51.2% 214 년 5.2% 23 년 e 41.9% ( 총인구중 ) 가임여성인구 : 2 년 61.8% 214 년 53.6% 23 년 e 41.2% ( 여성인구중 ) 초중고학령인구 ( 만 6~17 세 ), 핵심노동인구 ( 만 25~54 세 ), 가임여성인구 ( 만 15~49 세여성 ) 과거 ~ 현재까지는등록인구를사용했고, 향후전망치는추계인구를사용했으므로직접적인시계열비교보다는미래에대한대략적인전망치를보고자함 학령인구, 핵심노동인구, 가임여성인구가점차감소하고있어, 학생수, 생산성 ( 노동력 ) 및출산력감소할전망 214 년초중고학령인구 ( 만 6~17 세 ) 가전체인구에서차지하는비중은 11.% 로 2 년 15.5% 에서감소했고, 23 년 e 에는 9.% 로감소할전망 학령인구는 214 년 11 만 7 천명으로 2 년대비 49 만명감소, 23 년 e 까지 24 만 7 천명감소전망 2, 1,8 1,6 1,4 1,2 1, 8 6 4 2 초중고학령인구 ( 천명 ) 전체인구대비초중고학령인구비중 (%) 18. 15.5 16. 12.9 14. 1,596 11. 12. 1,329 9. 9. 1 1,17 8. 875 86 6. 2 년 21 년 214 년 22 년 23 년 4. 2. 초중고학령인구초등학교대상연령중학교대상연령고등학교대상연령 인구 ( 만 6~17 세 ) 인구대비비중 인구 ( 만6~11 세 ) 인구대비비중 인구 ( 만12~14 세 ) 인구대비비중 인구 ( 만 15~17 세 ) 인구대비비중 2 년 1,596 15.5 782 7.6 378 3.7 436 4.2 21 년 1,329 12.9 576 5.6 356 3.4 397 3.8 214 년 1,17 11. 481 4.8 29 2.9 336 3.3 22 년 e 875 9. 425 4.4 22 2.3 23 2.4 23 년 e 86 9. 429 4.5 216 2.3 215 2.2 * 2~214 년 6~17 세연령별인구는내국인대상 핵심노동인구 ( 주요경제활동인구 ) 인 25~54 세인구는 214 년 5.2% 로인구중절반을차지 하고있으나, 23 년 e 41.9% 로감소할전망이고, 가임여성은 214 년여성인구중 53.6% 에서 23 년 e 41.2% 로감소할전망 23 년 e 까지 25~54 세인구 12 만명감소, 15~49 세여성은 78 만 8 천명감소할전망 ( 단위 : 천명 ) 25~54세인구 전체인구중 25~54세비중 ( 단위 :%) 7, 7 6, 5, 4, 3, 2, 1, 51.2 5,313 52.7 5.2 5,57 5,29 47.6 4,644 41.9 4,9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6 5 3 1 15~49세가임여성인구 ( 단위 : 천명 ) 전체여성중 15~49세여성비중 ( 단위 :%) 7, 7 61.8 6, 56.2 53.6 6 5, 48.8 41.2 5 4, 3, 2, 1, 3,199 3, 2,819 2,443 2,31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3 1-9 -
2. 인구변동요인 1 출산 214 년가임여성 1명당평균출생아수인합계출산율은.98 명으로 98년 (1.26 명 ) 부터초저출산사회진입 214 년출생아 8만4 천명으로 2 년대비 4만8 천명감소, 23 년 e 7만6 천명으로감소전망평균출산연령은 2 년 29.5 세에서 214 년 32.7 세로늦어지고, 35세이상산모 24.9% 조출생률 : 인구천명당출생아수, 합계출산율 : 한여자가가임기간 (15~49 세 ) 에낳을것으로예상되는평균출생아수 합계출산율 2.1명아래는저출산사회, 1.3명이하는초저출산사회로분류함. 214 년출생아수는 8 만 4 천명으로 2 년 13 만 2 천명에서 4 만 8 천명감소했으며, 추계자료에 따르면 22 년 e 대소폭증가하다 23 년 e 7 만 6 천명으로감소할전망 인구천명당출생아수를나타내는조출생률은 214 년 8.4 명으로 2 년대비 4.4 명감소, 22 년 e 9.1 명으로증가하다다시감소하여 23 년 e 에 8. 명에이를전망 214 년합계출산율은.98 명으로 1998 년부터초저출산사회 (1998 년합계출산율 1.26 명으로 1.3 이하 ) 에 진입하였으며, 23 년 e 1.19 명으로증가했지만초저출산사회에서벗어나지는못할전망 2 년 (A) 25 년 21 년 214 년 (B) 22 년 e 225 년 e 23 년 e (C) B-A C-B 출생아수 ( 천명 ) 132 89 93 84 88 84 76-48 -8 조출생률 ( 명 / 인구천명당 ) 12.8 8.8 9.2 8.4 9.1 8.7 8. -4.4 -.4 합계출산율 ( 가임여성 1명당 ) 1.26.92 1.2.98 1.15 1.17 1.19 -.28.21 e e e 출산저하주요인으로는경기침체와노동시장의불안정, 결혼지연과회피, 그리고양성평등관념의확산, 결혼과출산에대한가치관과태도의급격한변화, 새로운라이프스타일의선택등이영향을줄것으로추정 혼인건수는 214년 6만4,823 건으로 2년대비 1만3,922 건 (-17.7%) 감소 214 년여성평균초혼연령은 3.7 세로 2 년대비 3.4세증가 여성의자녀평균출산연령역시 2 년 29.5 세에서 214 년 32.7 세로 3.2세로늦어졌고, 35 세이상고령산모비율도 2 년 7.2% 에서 214 년 24.9% 로증가함. ( 단위 : 건 ) 1, 9, 78,745 8, 71,286 7,466 7, 64,823 6, 5, 4, 3, 2, 1, 2년 25년 21년 214년 ( 단위 : 세 ) 남성 여성 35. 32.2 32.8 31.2 3 29.7 3.7 29.8 27.3 28.6 25. 2년 25년 21년 214년 ( 단위 : 세 ) 모평균출산연령 모첫째아평균출산연령 35. 31.9 32.7 3.8 3 29.5 31.8 3.9 29.9 28.4 25. 2년 25년 21년 214년 - 1 -
2 사망 214 년인구천명당사망자인조사망률은 4.2 명으로 2 년대비.4 명증가, 23 년 e 7.1 명전망 214 년사망자 4 만 2 천명으로 2 년대비 3 천명 (8.6%) 증가, 23 년 e 6 만 8 천명으로증가전망 기대수명은 2 년 78.8 세 214 년 83.6 세 23 년 e 86.4 세증가전망 조사망률 : 인구천명당사망자수 기대수명 : 세의기대여명 ( 특정연령에서주어진연령별사망률이지속된다고한다면앞으로생존할평균기간 ( 연 ) 수 ), 세의기대여명을평균수명이라고함 생활환경개선과의료기술의발달등으로수명이연장 ( 기대수명 2 년 78.8 세 214 년 83.6 세 ) 되면서조사망률저하로이어지다가고령화로인한노인인구가많아지면서조 사망률이최근들어높아지고있음. 서울총사망자는 199 년부터 28 년까지 3 만 8 천 ~3 만 9 천명수준을유지하다가 214 년 4 만 2 천명으로증가했으며, 23 년 e 엔 6 만 8 천명으로증가할것으로전망 조사망률은 2 년 3.8 명에서 214 년 4.2 명으로증가, 23 년 e 7.1 명으로증가할전망 2 년 (A) 25 년 21 년 214 년 (B) 22 년 e 225 년 e 23 년 e (C) B-A C-B 기대수명 ( 세 ) 78.8 8.4 82. 83.6 84.6 85.6 86.4 4.8 2.8 사망자 ( 천명 ) 39 38 4 42 52 6 68 3. 26. 조사망률 ( 명 / 인구천명당 ) 3.8 3.8 3.9 4.2 5.4 6.2 7.1.4 2.9 e e e e 연령별로보면, 대부분의연령집단에서사망이감소하거나유지되는추세가이어지고있으나, 7 세이상고령인구의사망은증가하고있고, 사망원인도노인성질환에서증가하고있음. 5 대사망원인순위는 2 년암 > 뇌혈관질환 > 심장질환 > 당뇨병 > 간질환에서 214 년암 > 뇌 혈관질환 > 심장질환 > 자살 > 폐렴순으로바뀜. 214 년 1 대사인중 2 년대비순위가상승한사인은자살 (8 위 4 위 ) 과폐렴 (9 위 5 위 ), 알 ( 단위 : 명 ) 3, 25, 2, 15, 쯔하이머병 (23 위 1 위 ) 임. 2 년알쯔하이머병사망자는 36 명이었음. 2 년 214 년 18,573 1, 7,181 5,62 6,28 5,43 5, 3,541 87 379 1,26 1,75 2,347 293 174 47 1,43 26,57 ~9 세 1~19 세 2~29 세 3~39 세 4~49 세 5~59 세 6~69 세 7 세이상 사망 2 년 214 년 순위 사망원인 사망자 비중 사망원인 사망자 비중 계 38,815 1 계 42,153 1 1 위 악성신생물 ( 암 ) 1,184 26.2 악성신생물 ( 암 ) 12,974 3.8 2 위 뇌혈관질환 5,532 14.3 뇌혈관질환 3,571 8.5 3 위 심장질환 3,23 7.8 심장질환 3,419 8.1 4 위 당뇨병 1,88 4.7 자살 2,467 5.9 5 위 간질환 1,652 4.3 폐렴 1,79 4.2 6 위 운수사고 1,243 3.2 당뇨병 1,361 3.2 7 위만성하기도질환 1,85 2.8 간질환 982 2.3 8 위 자살 919 2.4 만성하기도질환 699 1.7 9 위 폐렴 627 1.6 운수사고 66 1.4 1 위 호흡기결핵 485 1.2 알쯔하이머병 492 1.2 나머지 12,257 31.6 13,792 32.7-11 -
3 인구이동 ( 서울 타시도 ) 199 년대부터순유출, 21 년이후연평균 1 만명정도, 향후에도순유출상태지속전망 214 년서울순이동인구 -8 만 7 천 8 백명으로전입보다전출이많은순유출상태, 주된사유주택 1 대 2 대를제외한전연령층에서순유출, 유아연령층동반 3 대전출많고, 전출입 1 위경기 이동 : 읍면동경계를넘어거주지를변경한경우, 순이동인구 = 전입 - 전출, 순유입은전입 > 전출, 순유출은전입 < 전출 인구성장은출생률과사망률의격차에의해서결정되는자연증가이외에도인구변동의 주된사회적요인인인구이동에의해영향을받음 국내인구이동을통해전입자에서전출자를차감한순이동추이를보면, 214 년순이동 인구는 -8 만 7 천 8 백명으로전년대비 1 만 2 천 8 백명줄어들긴하였으나, 21 년부터연간평균 1 만명정도가타시도로순유출되었음. 서울은 199 년부터전입보다전출이많은인구순유출상태였으며, 국내와국제이동을 포함한향후추계자료로보면향후에도순유출상태가지속될전망 구분 순이동 ( 국내인구이동 ) 순이동 ( 국내 + 국제 ) 2 년 25 년 21 년 211 년 212 년 213 년 214 년 22 년 e 225 년 e 23 년 e (C) 순이동 ( 천명 ) -46.9-51. -115. -113.1-13.6-1.6-87.8-49. -43. -41. 비고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 순유출 ) e e e 214 년이전은국내인구이동, 22 년 e 이후추계자료는국내 + 국제순이동이므로자료이용에유의하기바람. 214 년통계로보면, 순유출의주된사유는주택이고, 1 대및 2 대를제외한전연령층에서 인구순유출상태를보이고, 유아연령층을동반한 3 대연령층전출이두드러짐. 타시도에서서울로전입및전출 1 순위지역은경기도인것으로나타났으며, 경기도로 부터들어오는인구보다서울에서경기도로나가는인구가더많은순유출 1 위지역임. 214 년순유출인구 8 만 7 천 8 백명중 8 만 3 천백명이경기로순유출되었음 3 ( 단위 : 천명 ) 2 순유입 ( 전입 > 전출 ) 1-1 -2-3 -4-5 -6-38.8-5.7 -.9-9.6-13.2 7.3 순유출 ( 전입 < 전출 ) 18.1 ( 단위 : 천명 ) 3 1-1 - -3 - -5-18.1.9 순유출 26.3-39. 순유입 -8.1-13.1-18.2-18.4-83.1 ( 단위 : 천명 ) 순유출 -8.8-5. -3.3-1.6-1. -1..4.8 1.3 1.8 2.3 2.3 3.3 3.7 순유입 경기인천세종제주충남강원충북전남울산대전전북광주경북경남부산대구 - 12 -
3. 가구변화 1 총가구및가구원수 214 년평균가구원수 2.63 명으로 2 년 3.12 명에서감소, 23 년 e 2.36 명으로감소전망 4 인가족중심에서 1 인및 2 인가구중심으로변화 (2 년 214 년 e 23 년 e ) 1 인가구 : 16.3% 26.6% 3.1% 증가전망 2 인가구 : 17.% 24.2% 31.% 증가전망 4 인가구 : 32.1% 2.2% 12.7% 감소전망 가구관련통계는 5 년마다실시하는인구주택총조사자료에서얻어지는통계로현재 21 년자료가가장최근통계임. 따라서본문의 214 e, 22 e, 225 e, 23 e 통계청에서 212 년도에작성한장래가구를전망한추정치 ( e 로표현 ) 를활용했음. 일반가구 : 가족으로이루어진가구, 가족과 5 인이하의남남이함께사는가구, 1 인가구, 가족이아닌남남끼리사는 5 인이하의가구 전체가구수는증가하고있는가운데계속되는가구분화로가족규모가 4인가족중심에서 1인및 2인가구중심으로변화하고있으며, 가구당평균가구원수도지속감소세 214 년 e 총일반가구는 36 만가구로 2 년대비 16.6%(51 만4 천가구 ) 증가했고, 장래추계에따르면 23 년 e 에는 44 만2 천가구가될전망 이처럼서울총가구증가는만혼화및미혼 이혼 분거 ( 별거 ) 증가와저출산 고령화등으로인한사회변화로 4인이상가구는줄고, 1~2 인소규모가구가증가하고있기때문으로분석됨 2 년만해도 4인가구가 32.1% 로가장많았으나 214 년 e 2.2%, 23 년 e 12.7% 로감소할전망이고, 1인 16.3% 26.6% 3.1%, 2인 17.% 24.2% 31.% 로증가될전망임. 가구수변화추이로보면, 2~214 년 e 동안 1인가구는 45만5 천가구, 2인가구는 34만8 천가구, 3인가구는 14만6 천가구증가한반면, 4인이상은 43만5 천가구증가했고, 214 년 e ~23 년 e 동안 1인가구는 26만가구, 2인 38만1 천가구, 3인 11만8 천가구각각증가할전망, 4인이상가구는 31만5 천가구감소할전망임. 가구분화가계속되면서가구당평균가구원수가 2 년 3.12 명에서 214 년 e 2.63 명으로 1% 줄었고, 이런추세로간다면 22 년 e 2.5 명, 23 년 e 2.36 명으로점차감소할전망 9% 8% 7% 6% 5% 4% 3% 2% 1% % 12.9 32.1 21.7 17. 16.3 ( 단위 : 천가구, 명, %, %p) 7.8 6.3 4.7 3.1 12.7 16.7 2.2 23.1 23.1 22.9 22.7 22.5 22.3 24.2 26.9 31. 24.4 26.6 28.9 3.1 2 년 21 년 214 년 22 년 e 23 년 e 5 인이상 4 인가구 3 인가구 2 인가구 1 인가구 평균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이상 5인이상 5인 3,86 3.12 52 525 671 99 399 16.3 17. 21.7 32.1 12.9 3,31 2.88 676 67 732 917 314 2.4 2.3 22.1 27.7 9.5 3,54 2.7 855 782 788 88 272 24.4 22.3 22.5 23.1 7.8 e 3,6 2.63 957 872 817 727 226 26.6 24.2 22.7 2.2 6.3 3,798 2.5 1,96 1,2 87 635 177 28.9 26.9 22.9 16.7 4.7 3,947 2.42 1,177 1,145 97 57 147 29.8 29. 23. 14.4 3.7 4,42 2.36 1,217 1,253 934 514 124 3.1 31. 23.1 12.7 3.1 514 -.49 455 348 146-263 -172 1.3 7.2 1. -11.9-6.6 442 -.27 26 381 118-213 -13 3.5 6.8.4-7.5-3.2-13 -
2 고령가구 214 년 e 총가구중 65 세이상고령가구 17.7% 로 2 년 8.5% 에서 2 배증가, 23 년 e 33.3% 전망 23 년 e 65 세이상 1 인및부부가구가 19.2% 로전체 5 가구중 1 가구꼴로독거또는노부부 총가구중 65 세이상 1 인가구비중 : 2 년 2.1% 214 년 e 4.8% 23 년 e 9.1% 65 세이상부부가구비중 : 2 년 2.3% 214 년 e 5.3% 23 년 e 1.1% 가구 : 1 인또는 2 인이상이모여서취사, 취침등생계를같이하는생활단위, 가구주 : 호주또는세대주 ( 주민등록상 ) 와관계없이그가구를실질적으로대표하는사람, 고령가구 : 가구주연령이 65 세이상인가구 인구고령화에따라가구의생계를책임지는 65 세이상고령가구주가지속증가하고있음 전체가구중 65 세이상가구비중이 2 년만해도 8.5% 에불과했으나 214 년 e 17.7% 로 증가했고, 23 년 e 에는 33.3% 까지증가할것으로전망되고있으며, 35 세미만가구 24.5% 19.% 13.2% 로감소, 35~49 세 4.7% 31.6% 22.1% 로감소전망 가구수변화로보면, 2~214 년 e 동안 65 세이상가구는 37 만 7 천가구증가, 5~64 세가구는 1% 9% 8% 7% 6% 5% 4% 3% 2% 1% 33 만가구증가한반면, 5 세미만가구는 19 만 3 천가구감소했고, 214 년 ~23 년 e 동안 65 세 이상가구는 7 만 8 천가구증가전망, 5 세미만가구는 39 만 2 천가구감소할전망 % ( 단위 : 천가구, %) 8.5 26.3 4.7 24.5 15.1 17.7 3 35.4 31.7 31.6 22.1 33.3 27.7 33.3 31.4 22.1 19.6 19. 16.9 13.2 2 21 214e 22e 23e 65 세이상 5~64 세 35~49 세 35 세미만 계남성여성 35 미만세세 5~64 세 65 이상세미만세세 5~64 세 65 이상세 3,86 2,483 63 757 1,256 811 262 24.5 4.7 26.3 8.5 3,54 2,519 985 688 1,239 1,5 528 19.6 35.4 3 15.1 e 3,6 2,51 1,9 685 1,136 1,141 638 19. 31.6 31.7 17.7 3,798 2,53 1,269 641 1,52 1,265 84 16.9 27.7 33.3 22.1 4,42 2,565 1,477 533 895 1,268 1,346 13.2 22.1 31.4 33.3 514 26 488-73 -12 33 377-5.5-9.1 5.4 9.3 442 55 387-151 -241 127 78-5.8-9.4 -.3 15.6 65 세이상가구는모든가구유형에서증가하고있지만, 특히 1 인및부부가구증가가두 드러지게나타나고있어전체가구중자녀없이노부부만살거나홀로거주하는어르신 가구가 2 년 4.4% 에서 214 년 e 1.1% 로증가했고, 23 년 e 19.2% 로증가할전망 65 세이상부부가구는 2 년 2.3% 214 년 e 5.3% 23 년 e 1.1% 로증가 65 세이상 1 인가구는 2 년 2.1% 214 년 e 4.8% 23 년 e 9.1% 로증가 ( 단위 : 천가구, %) 계부부부부자녀 + 자녀 + 손자녀 + 이상세대 1인가구기타계부부부부 + 자녀한부모 + 자녀조부모손자녀 + 이상세대가구 1인 기타 262 72 46 17 4 33 65 25 8.5 2.3 1.5.6.1 1.1 2.1.8 528 155 86 38 15 5 139 45 15.1 4.4 2.5 1.1.4 1.4 4. 1.3 e 638 19 11 47 19 56 172 53 17.7 5.3 2.8 1.3.5 1.6 4.8 1.5 84 251 13 65 28 66 232 68 22.1 6.6 3.4 1.7.7 1.7 6.1 1.8 1,346 47 212 115 47 94 369 12 33.3 1.1 5.3 2.8 1.2 2.3 9.1 2.5-14 -
3 세대구성별가구유형 현재대표가족인부부 + 미혼자녀가족줄고, 1 인 부부 한부모 조손가구증가, 가족규모작고다양해져 23 년 e 1인가구가부부 + 미혼자녀가구보다많아져가장일반적인가구유형이될전망 부부 + 미혼자녀비중 (2 년 214 년 e 23 년 e ) : 49.8% 34.3% 25.4% 로감소전망 1인 부부 한부모 조손가구비중 : 34.6% 5.9% 6.5% 로증가전망 세대 : 일반가구에한하여가구주와그가족의친족관계에따라 1 세대, 2 세대등으로구분 가족형태는전통적으로가장주된가구유형인부부 + 미혼자녀가구는줄고, 저출산 고령화및미혼 이혼증가등으로인한사회변화로 1인 부부 한부모 조손가구등이증가함으로써규모작고다양한소핵가족으로변화됨. 214 년세대구성별가구형태는부부 + 미혼자녀가구 34.3%, 1인가구 26.6%, 부부가구 13.2%, 한부모가구 1.4%, 3세대이상가구 5.5% 등으로분포됨. 2 년만해도서울의가장일반적인 ( 주된 ) 가구유형인부부 + 미혼자녀가구가전체가구 중 49.8% 로절반을차지했으나, 214 년 e 에는 34.3% 로줄었으며, 23 년 e 에는 25.4% 로더 낮아질것으로예측되면서 1 인가구 3.1% 보다적어질것으로전망됨 반면, 1 인 부부 한부모 조손가구비중은 2 년 34.6% 에서 214 년 e 5.9% 로증가, 23 년 e 에는 6.5% 로증가할전망임 이중부부가구는 2 년 9.3% 에서 214 년 e 13.2%, 23 년 e 에는 17.9% 로증가할전망이고, 한부모가구는 8.8% 1.4% 11.2%, 조부모 + 손자녀 ( 조손 ) 가구는.2%.7% 1.3%, 1 인가구는 16.3% 26.6% 3.1% 로증가할전망임 반면 3 세대이상가구는 2 년 7.4% 에서 214 년 e 5.5%, 23 년 e 4.6% 로감소할전망임. ( 단위 : 천가구, %) ( 단위 :%) 6 5 3 1 49.8 부부부부 + 자녀한부모 3 세대이상 1 인가구 24.4 37.9 26.6 34.3 3.1 28.9 3.1 25.4 16.3 12.1 13.2 14.8 17.9 9.3 8.8 1 1.4 1.8 11.2 7.4 6. 5.5 5. 4.6 2 21 214 22 23 가구수 구성비 구분 계 1 세대가구 2 세대가구 3 세대 1 인비친족 ( 일반가구 ) 부부 1 세대기타 부부 + 조손한부모미혼자녀가정 2 세대기타 이상 ( 비혈연 ) 2 년 A 3,86 287 91 1,536 27 5 131 228 52 36 21 년 3,54 423 119 1,328 352 17 16 211 855 39 214 년 e B 3,6 475 127 1,236 374 25 167 199 957 4 22 년 e 3,798 562 14 1,144 49 35 182 19 1,96 4 23 년 e C 4,42 725 146 1,28 452 54 2 184 1,217 36 B-A 514 188 37-3 13 2 35-28 455 4 C-B 442 25 19-27 78 29 33-15 26-4 2 년 1 9.3 2.9 49.8 8.8.2 4.3 7.4 16.3 1.2 21 년 1 12.1 3.4 37.9 1.5 4.6 6. 24.4 1.1 214 년 e 1 13.2 3.5 34.3 1.4.7 4.6 5.5 26.6 1.1 22 년 e 1 14.8 3.7 3.1 1.8.9 4.8 5. 28.9 1.1 23 년 e 1 17.9 3.6 25.4 11.2 1.3 4.9 4.6 3.1.9 주 통계표내의값은반올림한값으로하위분류의합이상위분류의합과일치하지않거나 원자료로계산한값과일치하지않을수있음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