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9659-663, 2000 급성경막하혈종에서응급두개골천공의위치 = bstract = Emergency Trephination Site of cute Subdural Hematoma Soo-Hyeon Moon, M.D., Geun-Hoe Kim, M.D., Taek-Hyun Kwon, M.D., Youn-Kwan Park, M.D., Hung-Seob Chung, M.D., Jung-Keun Suh,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EY WORDS 서론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59
급성경막하혈종에서응급두개골천공의위치 수술방법 증례 1: 증례 증례 2: 고 찰 Fig. 1. Diagram shows the recommended emergency trephination site of acute subdural hematama. The trephination sitearrow is located 23cm above temporal squama and 12cm behind coronal suture. The lateral prominence of skullwhite arrow in coronal view is the usual center of hematoma accumulation of SDH. 660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Fig. 2. Case 1. Pre-op brain CT scan shows SDH and severe midline shifting(). Post-op brain CT scan shows intact brain and replaced bone flap(). Post-op plain skull lateral view shows a usual large bone flap with a burrhole at the center of it(arrow)(c). C 으며 Haselsberger 등1)은 혼수 상태에서 2시간 이내에 수 을 미치지만5) 치료의 주목적은 2차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술한 경우에는 사망률이 47%이었으나 2시간 이상 경과한 경 라 할 수 있다. 수술 도중 자주 관찰되는 급성 뇌부종은 일 우에는 사망률이 80%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Wilberger 차 손상이 심하여 발생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혈종의 압 9) 등 은 1991년 수술 시작 시간과 결과와는 통계적으로 의 력으로 발생한 2차 뇌 허혈 손상이 원인이 될 때가 많다4). 미 있는 관계는 없었지만 수술 시작시간이 짧아질수록 결과 환자의 동공이 확대되고 대광 반사가 소실된 뒤 빠른 시간 가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사실, 예후와 관련 내에 두개강 내압을 감소시키지 않으면 2차 손상으로 허혈 있는 요소로 지적되었던 것들은 환자의 나이, 성, 사고 유형,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주요 사망의 원인이 된다. 따라 내원 당시 신경학적 상태, CT 소견, 동반된 다른 장기의 손 서 비가역적인 2차 허혈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상, 수술 후 두개강 내압 등이며 사고와 수술의 시간 간격에 빠른 시간 내에 두개강 내압의 감압이 필요하다. 본 저자들 대하여는 이론이 있다. 하지만 이들 요소 중 의사에 의하여 의 술기는 시술이 간편하고 부분 마취로도 간단히 시행할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수술 시작시간과 수술 후 두개강 수 있어 응급 상황에서 수술 시작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 내압 밖에 없다. 일차 손상의 정도가 예후에 가장 많은 영향 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9 / May, 2000 661
급성 경막하 혈종에서 응급 두개골 천공의 위치 Fig. 3. Case 2. Postop CT scan shows mild brain swelling with no residual hematoma(). Plain skull lateral view shows a usual large bone flap and a burrhole at the center of it(arrow)().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급성 경막하 혈종의 수술 방법은 광범위한 개두술 및 혈종 제거술이며 중증의 급성 경막하 골절과 경막 동맥의 교차점에 만들면 혈종의 제거와 함께 동맥의 파열 부위를 찾아 지혈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혈종의 경우에는 수술을 시작할 때 측두골 절제술과 부분적 본 수술 방법의 단점으로는 응급으로 두개골 천공을 함으 혈종제거술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하지만 본 저 로써 감염의 위험이 있고 수술후 두피 피판의 한 가운데 또 자들의 경험으로는 이 방법도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고 더 다른 수술 자국이 남는다는 점이 있다. 또한 두개골 천공과 욱이 절제술의 부위가 혈종의 변두리 지역인데다 측두부 보 본 수술과의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출혈의 양이 많아지는 다 상방에 위치한 혈종은 시야 관계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저자들의 경험상 이런 정도의 출혈 제거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측두엽의 허니아 만을 조장하는 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경우가 많았다. 본 저자들이 시행한 방법에서는 혈종의 중 결 심 부위이자 두개골이 각을 이루는 부위에 두개골 천공을 론 함으로써 여러 방향으로 경막하 공간을 비교적 넓게 관찰할 수 있어 혈종이 고체화되었어도 비교적 손쉽게 많은 혈종을 급성 경막하 혈종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급속도로 신경학 제거할 수 있었고 천공의 크기가 측두부 개두술 보다 상대 적 상태가 나빠지며 의식의 소실과 함께 동공의 확대, 대광 적으로 작아 대뇌의 허니아를 일으키지 않았다. 반사의 소실이 발생하며 비가역적인 2차 허혈손상의 발생 본 수술로 광범위 개두술을 시행하고 혈종을 제거하였을 때 이 예상되면 빨리 수술을 하여야 하지만 어떤 이유로든지 증례에서와 같이 급성 뇌부종으로 인한 뇌의 허니아가 별로 수술이 지연 될 경우 본 저자들은 혈종의 중심 부위에 응급 발생하지 않아 경막봉합과 두개골 골편 고정을 용이하게 할 두개골 천공을 하고 약간의 혈종을 제거해줌으로써 본 수술 수 있었다. 이는 응급 두개골 천공을 통한 부분적 혈종의 제거 전 환자의 의식상태 악화를 방지하고 2차 허혈 손상을 예방 로 두개강 내압을 감소시켜 뇌에 혈액 순환을 지속시킴으로써 하여 본 수술 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수술 실기와 함께 2차 허혈 손상을 예방하였기에 가능하였다고 판단된다.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 경막상 혈종의 경우에도 이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 나 많은 경우 경막 동맥의 파열이 혈종의 원인인 경우가 많아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다량의 출혈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어 논문접수일 1999년 9월 2일 심사완료일 1999년 10월 26일 책임저자 박 윤 관 는 급성 경막하 혈종의 경우와는 달리 두개골 천공을 두개골 152-703 서울 구로구 구로동 80번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전화 02) 818-6065, 전송 02) 863-1684 662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9 / May, 2000 주의가 요망된다. 하지만 급성 경막상 혈종이 응급 상황일 때
References 1) Haselsberger K, Pcher R, uer LMPrognosis after acute subdural or epidural haemorrhage. cta NeurochirWien 90 111-116, 1988 2) Koc RK, kdemir H, Oktem IS, Meral M, Menku cute subdural hematomaoutcome and outcome prediction. Neurosurg Rev 20239-244, 1997 3) Klun, Fettich M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in acute subdural haematoma. review of 330 cases. cta Neurochir (Wien) 71171-178, 1984 4) Langfitt TWCan the out come from head injury be improved? J Neurosurg 5619-25 1982 5) Massaro F, Lanotte M, Faccani G, Triolo COne hundred and twenty-seven cases of acute subdural haematoma operated on. Correlation between CT scan findings and outcome. cta Neurochir(Wien) 138185-191, 1996 6) Sakas DE, ullock MR, Teasdale GMOne-year outcome following craniotomy for traumatic hematoma in patients with fixed dilated pupils. J Neurosurg 82961-965, 1995 7) Seelig JM, ecker DP, Miller JD, Greenberg RP, Ward JD, Choi SCTraumatic acute subdural hematomamajor mortality reduction in comatose patients treated within four hours. N Engl J Med 3041511-1518, 1981 8) Servadei FPrognostic factors in severely head injured adult patients with acute subdural haematoma s. cta Neurochir(Wien) 139279-285, 1997 9) Wilberger JE Jr, Harris M, Diamond DLcute subdural hematomamorbidity and mortality related to timing of operative intervention. J Trauma 30733-736, 1990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May, 2000 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