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18) fm

Similar documents
α α α α α

(01) hwp

( )Kju269.hwp

Jksvs019(8-15).hwp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Lumbar spine

012임수진

Kaes010.hwp

Product Description Apoptosis 혹은 necrosis등에의하여죽거나손상된세포에서방출되는 Lactate dehydrogenase(ldh) 의양을고감도로측정함으로써 cytotoxicity/cytolysis를간단하게측정할수있는 kit 입니다. Cytot

歯1.PDF

1..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139~144 ¿À°ø¾àħ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歯5-2-13(전미희외).PDF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서론 34 2

untitled



γ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hwp

14.531~539(08-037).fm


04조남훈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Crt114( ).hwp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Can032.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09È«¼®¿µ 5~152s

Jkafm093.hwp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untitled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Jkbcs016(92-97).hwp

A 617

DBPIA-NURIMEDIA

Jkbcs032.hwp

- 1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목차 1. 서론 줄기세포의간세포분화능평가시고려사항 간세포분화능평가시험법 분

92 Minkyu Kong and Youngchul Kim 서론사람의모발은생명에관계되는중요한기능을수행하지는않으나충격으로부터머리를보호하고완충장치로서의역할을하여자외선으로부터두피를보호하는기능을갖는다. 최근식생활의서구화, 스트레스그리고환경오염등은탈모증을계속증가시키는원인이되고있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DBPIA-NURIMEDIA

Microsoft Word - Genolution RNAi Manual.doc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저품질낱장.pdf

- 1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한국 출산력의 저하 요인에 관한 연구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H)

108.fm

<35BFCFBCBA2E687770>

Æ÷Àå82š

???? 1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DBPIA-NURIMEDIA

(....).hwp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15.hwp

6호 내지_인쇄용.indd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10(3)-09.fm


서론 탈모증의개요와약국에서의환자상담 저자송영천 삼육대학교약학대학교수 약학정보원학술자문위원 고염증이 ~~ 개요 탈모증은몸에서털이빠지는것을말하며미용이나심리적이유로종종환자들에게큰우려의대상이되지만경우에따라서전신질환의중요한징후가될수도있다. 탈모는유전, 호르몬변화, 건강상태, 약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개최요강

09권오설_ok.hwp

12.077~081(A12_이종국).fm

00º½Çмú-¾Õ

농학석사학위논문 폴리페닐렌설파이드복합재료의기계적및열적 특성에영향을미치는유리섬유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복합보강재에관한연구 The combined effect of glass fiber/reduced graphene oxide reinforcement on the mecha

약학회지제 47 권제 1 호 14~19 (2003) Yakhak Hoeji Vol. 47,No. 1 藥學舍확 모발생장기유도 C3H 생쥐에있어서미녹시딜과생약추출혼합조성물의모발재성장유도효능 이계호 한선일 박길홍 * 권영이 # STC 생명과학연구원신약개발연구소, * 고려대학

18(2)-02(262)[10328].fm

< C6AFC1FD28C3E0B1B8292E687770>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04김호걸(39~50)ok

Kaes025.hwp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01 Buffers & Gel Stain Buffers 3 Gel Stain SilverStar Staining Kit 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Transcri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3, No. 3, pp. 381~386 (2011)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식물추출물질 (MBN) 의 in vitro 및 in vivo 발모효과 주성수 * 강릉원주대학교생명과학대학생물의약신소재교실 In vitro and In vivo Hair Growth Promotion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fermented Plant Extracts (MBN) Seong Soo Joo* Department of Marine Molecular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rba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MBN) on hair growth in C57BL/6 mice and HaCaT cells. Five week old mice were applied with MBN topically (0.2 ml) once per for 21 day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gross examination and verified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Gen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β1), relevant to hair growth, were examined. The data revealed that MBN successfully promoted hair growth in both male and female mice at a dose between 200-500 mg/kg and improved hair thickness. The VEGF and KGF genes were expressed in a dose-dependant manner, whereas TGFβ1 was not expressed. Moreover, nitric oxi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uggesting an improvement in blood f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BN effectively promoted hair growth and gene expression relevant to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C57BL/6 mice, hair growth, nitric oxide, herbal extracts 서 모발은머리보호, 외향에대한영향, 머리의온도유지등인체에서다양한역할을담당하고있으며, 생명유지에중요한기관은아니지만, 건강상태의척도이자외모를결정짓는신체의중요한일부분이다 (1). 탈모가일련의노화현상으로인식되어왔으나, 최근여러유전적인요인과함께스트레스, 서구화된식습관, 영양불균형, 사회활동의변화등의다양한원인에의해탈모가진행됨이밝혀지고있다 (2,3). 모발의형성은주기적으로순환하는패턴을가진다. 즉, 정상모발의 90% 를차지하는성장기 (anagen, gowing phase), 생장정지와모근이위축되는퇴행기 (catagen, transitional phase), 모구가건조되고곤봉모가되는휴지기 (telogen, resting phase), 그리고탈락기 (exogen) 등 4 단계의모주기 (hair cycle) 을거치면서모발은성장과탈모를거듭한다. 특히, 퇴행기동안많은모낭이세포사 (apoptosis) 가진행되어휴지기에들어가면서모낭의크기가줄어들게된다 (4). 이와같은발모촉진또는탈모억제에대한연구에는모발주기에대한개념이적용되어연구를수행하여야하는데, 이때고려되어야할사항이모발성장 *Corresponding author: Seong Soo Joo, Department of Marine Molecular Biotechnology, College of Life Science, Gangneung- 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Gangwon 210-702, Korea Tel: 82-33-640-2856 Fax; 82-33-640-2340 E-mail: ssj66@gwnu.ac.kr Received January 28, 2011; revised March 1, 2011; accepted March 21, 2011 론 촉진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및성장억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β1) 와같은발모관련인자들이다 (5). 탈모중가장많이진단되는탈모증은원형탈모증, 안드로젠성탈모증, 휴기기탈모증등이있으며, 이중안드로젠성탈모가발생빈도가가장높게나타난다. 우리나라총인구의 300 만이상 ( 남성 : Norwood 분류 3 형이상, 여성 : Ludwig 분류 1 형이상 ) 이안드로젠성탈모증으로추정되며, 이증상은사춘기이후의남성과여성에서발생되는가장흔한유형의탈모증으로남성에게는남성형탈모증또는대머리, 여성에게서는여성형탈모증으로알려져있다 (6,7). 현재모발성장촉진제제로서미녹시딜 (minoxidil, 경피도포제 ) 및피나스테리드 (finasteride, 경구복용제 ) 등이 FDA 승인을얻어임상적으로상용되고있다. 특히미녹시딜은 1970 년초에혈관확장제로최초로소개되어약물효과이외의부작용이발모임이밝혀져현재발모촉진제로사용되고있으며 (8), 그의작용기전은현재까지명확히밝혀지지않았으나, 여러연구에서혈관확장을통한영양공급촉진및 potassium channel opening 효과등이모발성장을유도하는것으로생각되고있다 (4,9,10). 또한, 최근임상적적용이증가하고있는피나스테리드제제는남성호르몬대사에작용하는효소인 5α-reductase 의활성을억제시키는물질로서이제제또한전립선비대증치료제개발로부터유래된탈모억제제제로사용되고있다 (11). 하지만발모제의임상사례로부터약물이상반응 ( 미녹시딜 - 체중증가, 부종, 심강박동증가, 협심증, 피부염, 가려움증등 ; 피나스테리드 - 남성성기능장애, 기형아출산등 ) 이보고되고있어적극적치료에상당한제한성을가지고있다 (12,13). 이러한단점을보완하고지속적사용에도안전한천연 381

382 한국식품과학회지제 43 권제 3 호 (2011) 소재유래물질의개발이다양하게시도되고있으며, 특히식물유래추출물의연구가활발히수행되고있다 (14). 따라서본연구에서는민간요법으로두피건강및발모에유용한소재로알려진생약초들 ( 박하 / 지모 / 시호 / 지장수 / 창포 / 측백나무잎 / 쓴풀 / 검은콩 / 검은깨 ) 을열수추출한후유산균에발효시킨 2 차발효물질을사용하여모발성장증대및발모관련유전자발현을분석하여유용한발모제제로서의가능성을입증하였다. 본연구에사용된동물은자발적탈모가진행되는특징을가진 C57BL/6 마우스모델을사용하여발모의효능을 ( 양성대조군, 3% 미녹시딜 ) 육안적관찰을통하여확인하였다. 재료및방법 실험물질실험물질 (MBN) 은 70% 에탄올처리후건조시킨검은콩, 검은깨, 박하, 지모, 시호, 지장수, 창포, 측백나무잎, 쓴풀을사용하였으며검은콩 50%: 기타생약초 50%( 쓴풀 ; 25%, 창포 ; 5%, 시호 ; 2.5%, 지모 ; 2.5%, 측백 ; 2%, 검은깨 2%, 박하 2%, 기타 9%) 의비율이되도록하여 100 o C 에서 2 시간동안열수추출하고잡균의제거를위해 autoclave 한시료를 ( 주 ) 한빛코리아로부터제공받았다. 열수추출물의발효를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10 7 CFU/ ml) 를넣고 37 o C 에서 72 시간발효과정을거친후 5 분간끓여세균활성억제및추가발효가일어나지않도록하였다. 비교물질은시판중인 3% Minoxidil(Minoxyl Soln, Hyun Dai Pharm, Seoul, Korea) 과용매대조물질 (vehicle) 로 0.9% 생리식염수를사용하였다. 최종사용물질은착즙및원심분리후상층액을동결건조하여연구에사용하였다. 실험동물및군분류 5 주령수컷과암컷 C57BL/6 마우스를 ( 주 ) 중앙실험동물로부터구입하여, 사육실에서 1 주간순화기간을거친후일반증상을관찰하고, 체중을측정하여건강한개체만을선별하여사용하였다. 실험기간중의실험동물은격리용마우스케이지당 5 마리씩수용하고, 사육실환경조건은실내온도 23±3 o C, 상대습도 55±10%, 조명시간 12 시간 ( 오전 7 시 - 오후 7 시 ), 조도는 150-200 lux 로조절하였으며, 멸균정제수와실험동물용사료를자유로이섭취하도록하였다. 평가에사용되는시험군은용매대조군 ( 생리식염수 ), MBN 처리군 ( 농도별 3 군, 100, 200, 500 mg/kg body weight) 및비교물질군 (120 mg/kg) 으로분류하였으며, 군당암, 수각각 5 마리씩본연구에사용하였다 ( 대조군 ( 생리식염수, G1), 저용량군 (100 mg/kg, G2), 중용량군 (200 mg/kg, G3), 대용량군 (500 mg/kg), 및양성대조군 (3% minoxidil, G5)). 일, 12 일, 14 일, 및 21 일째에실험동물을 pentobarbital 로마취시킨후발모의정도를육안및사진촬영하여관찰하였고, 각군의모발성장효과는각각의동물을육안적으로관찰하여발모정도에따라 0-19%(-), 20-39%(±), 40-59(+), 60-79(++), 80-100(+++) 로판정하였다. 조직학적검사시험개시후최종일에실험물질도포부위중발모가왕성한부위와지연된부위의피부가포함되도록해부기를이용하여적출한후 formalin 으로고정하였고, 일반적인조직처리과정에따라단계별로 alcohol 과 xylene 으로탈수시킨후파라핀에포매하였다. 마이크로톰을이용하여 5µm 의조직절편을만들고 hematoxylineosin 으로염색하여광학현미경으로모낭조직의조직학적변화를관찰하였다. 세포독성측정 MBN의세포독성유무를확인하기위하여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cytotox 96 Kit, Promega, Madison, WI, USA) 를수행하였다. Human keratinocyte, HaCaT 세포주 1 10 5 cells/ml를 96-well plate에분주하여 1, 10, 50, 100 µg/ml MBN 및대조군으로서 0.5 mm H 2 O 2 를각각처리하여 5% CO 2 incubator에서 24시간동안배양한뒤배양액을새로운 96-well plate에 50 µl 분주하고, 동량의 LDH reagent를 50 µl씩첨가하여상온에서 30분간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stop solution 동량을첨가하여반응을중지시킨후, ELISA reader를이용하여 490 nm 에서흡광도를측정하였다. Nitric oxide 측정 Nitric oxide(no) 측정은 HaCaT 세포에 1, 10, 50, 100 µg/ml MBN 처치후 24시간내배양액과동량의 Griess reagent(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를혼합하여 microplate-elisa reader (SpectraMax plus384,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흡광도를측정하였다. 즉, 96 well plate에 1 10 5 개의 HaCaT cell을분주하여 confluence가 80% 일때, PBS로 2번세척한후에무혈청배지를사용하여 24시간반응을시키고각군에서취한배양액에동량의 Griess reagent를첨가하여 10분간반응시킨후 490 nm에서흡광도로측정하였다. 실험물질도포및체중측정발모효과를관찰하기위해전기제모기 (electric clipper) 를사용하여시료도포하루전마우스의등부위의털을제거한후제모제를발라완전한제모를하였다. 각군별요구농도로약 0.2 ml 을제모부위에붓을사용하여고르게도포하였고, 실험물질의흡수를확인후군별분류를하였다. 각시험물질의도포는 21 일간 1 회씩매일실시하였다. 체중측정은시험물질도포전및도포 1 일, 7 일, 9 일, 12 일, 14 일및 21 일에같은시각오전 (10:00) 에동일한조건하에서측정하였다. 발모면적분석암수모두에서실험개시일로부터실험물질도포 1 일, 7 일, 9 Fig. 1. Average body weight (g) of C57BL/6 male and female mice. Body weights of each group were measured during topical application of vehicle (saline), minoxidil (3%) and MBN (100, 200, 500 mg/kg) at day 0, 1, 7, 9, 12, 14, 21.

L. plantarum 발효 식물추출물질의 발모효과 역전사-중합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각 군의 1 107/mL의 세포로부터 Trizol Reagent(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즉, Trizol reagent 1 ml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5 분 동안 방치 후 chloroform 200 µl를 첨가하여 13,500 rpm에서 383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투명한 상층액(500 µl)을 취하여 새 로운 tube로 옮기고 동량의 isopropyl alcohol을 첨가한 후 13,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RNA를 침강시켰다. RNA pellet을 DEPC 처리한 증류수로 희석한 75 % EtOH 0.75 ml로 세척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reverse transcription sample로 사 용하였다. First strand cdna 합성은 추출된 total RNA 1 µg을 사 Fig. 2. Comparison of hair regrowth in C57BL/6 male and female mice during topical application of minoxidil (3%), MBN (100, 200, 500 mg/kg) for 0, 7, 9, 12, 14, 21 days. MG1, vehicle; MG2, male 100, MG3; male 200, MG4; male 500, MG5; male minoxidil. FG1, female vehicle; FG2, female 100; FG3,; female 200, FG4; female 500, FG5; female minoxidil.

한국식품과학회지 제 43 권 제 3 호 (2011) 384 Table 1. Comparison of hair regrowth in C57BL/6 mice Days 7 9 12 14 21 Groups FG1/MG1 FG2/MG2 FG3/MG3 FG4/MG4 FG5/MG5 -/-//+/ +++/++ -//+/ ++/+ +++/+++ -/-//+++/ +++/+++ -/-/+/+++/+++/++ -// ++/+ +++/++ +++/+++ MBN was applied to the shaved dorsal skin of mice for 21 days (3 weeks), and hair growth was evaluated by the scoring index: 0-19% (-), 20-39% (±), 40-59% (+), 60-79% (++), 80-100% (+++). FG, female group; MG, male group. FG1/MG1, saline; FG2/MG2, 100 mg/kg; FG3/MG3, 200 mg/kg; FG4/MG4, 500 mg/kg; FG5/MG5, 3% minoxidil group. 용하여 수행되었고, Improm-II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Promega, Madison, WI, USA)과 oligo dt primers을 사용하여 역전사 반응을 수행하였다. cdna template을 대상으로 한 PCR 반응에 사용된 primer는 KGF (Forward: ggcaaagtaaaagggaccca, Reverse: aaggcaacaaacatttcccc), TGF-β1(Forward: catcaacgggttcactaccg, Reverse: aagttggcatggtagccctt), VEGF(Forward: caaggccagcacataggaga, Reverse: gcaacgcgagtctgtgtttt), GAPDH(Forward: ggagccaaaagggtcatcat, Reverse: gtgatggcatggactgtggt)이며 254 258, 180 및 203 bp를 각각의 target size로 하였다. PCR 반응은 2X ReddyMix(ABgene, Epson, Surrey, UK)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총 30 cycle을 수행하였다; 94oC 30초(denaturation), 5457oC 30초(annealing), 72oC 30초(extension), 72 C 10 분(final extension). 반응 총 용량은 20 µl가 되도록 하였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1.2%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한 후 gel documentation system(minibis Pro, Jerusalem, Israel)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통계처리 결과분석은 GraphPad Prizm 5.01 software를 이용하여 p<0.05 일 때 통계적 유의성(One-Way ANOVA)이 있음을 인정하였고, gel electrophoresis는 MiniBIS Pro GelDoc program을 통해 band intensity의 상대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수컷과 암컷 대조군 모두에서 각각 기간 동안 실험물질을 도 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별한 이상 증상(physical sign)이 관찰되 지 않았으나, 물질 도포 일주일째 MBN 고농도 군의 1개체에서 피부 상흔이 나타났다. 이 증상은 동일 군의 타 개체에서 나타나 지 않았고 최종 투여일에 상처가 아물어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개체 간 접촉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실 험 중 모든 약물에 의한 치명적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급격한 체중의 증가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아 약물에 의한 스트레스 등 이상반응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Fig. 1). 특히, OECD 단회 투여독성 시험법에서 제시하는 독성용량인 2,000 mg/kg(body weight)이내의 용량에서 사망 례가 없었으므로 MBN은 안전한 물 질로 사료되었다. 각 군별 발모의 육안 및 조직염색 소견에서 수컷 마우스에서 제모 후 7일째부터 피부가 회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였고, 9일째부 터는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푸른색으로 변하면서 피부 밖으로 털 Fig. 3. Representative histological observations in C57BL/6 female and male mice (hematoxyline & eosin staining). Dorsal skins were prepared to compare the changes of hair regrowth after 21 days of treatment of MBN (100, 200, 500 mg/kg) and minoxidil (3%). MG1, vehicle; MG2, male 100, MG3; male 200, MG4; male 500, MG5; male minoxidil. FG1, female vehicle; FG2, female 100; FG3,; female 200, FG4; female 500, FG5; female minoxidil. Magnification X100. 이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Fig. 2). 이러한 발모의 정도를 비교 했을 때(level scoring), 제모 후 7일째에 생리식염수만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9일째에는 MBN 처 리군에서 다발 형상의 발모가 진행됨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성은 12일 및 14일 째에서도 연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부검 당일인 21일째에는 제모된 전 부위에서 우수한 발모효과가 나타 났다(Table 1). 고용량인 MG4(Male Group 4, 500 mg/kg)의 경우 MBN 처치 후 수일 간 고농도의 약물이 피부를 자극하는 소견 을 보였으며, 초기 발모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등의 경 향성이 관찰되었으나, 실험 기간 동안 전체 발모에 큰 영향을 주 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최종 부검일인 21째에 모발 분포도에서도 중용량인 MG3에 비해 모발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고용량군에서 적게 나타나, 수컷의 경우 용량조절의 필요성이 있 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양성 대조군인 minoxidil(mg5)에서도 피 부 이상반응이 관찰되었으나 전체 발모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일 시적 현상으로 생각되었다. H&E 염색에서 중용량인 200 mg/ kg(mg3)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되었다. 흥미 롭게도 MBN 처리군 모두에서 모근이 매우 튼튼하게 형성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Fig. 3). 이는 minoxidil 처리군에 비해 현격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발모의 속도와 분포도는 minoxidil에서 우세하게 나타났으나(15), MBN 처리한 수컷에서 모근 형성이 매우 양호하게 진행됨이 관찰되어 발모 뿐 아니라 탈모 방지에 우수한 효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시에 수행한 암컷 처치군에서 제모 후 7일째부터 피부가 회 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였고, 9일째부터는 수컷 처리군보다 상대적 으로 빠르게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푸른색으로 변하면서 피부 밖 으로 털이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Fig. 2). 또한 12일째에는 제

L. plantarum 발효식물추출물질의발모효과 385 Fig. 4. Cytotoxicity (LDH release) of MBN in HaCat cells. HaCaT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BN (1, 10, 50, 100, 250 µg/ml) for 24 h, and the release of LDH from HaCaT cells was analyzed by measuring absorbance at 490 nm as described in Materals and Methods. Bars represent an average of three independent measures. Fig. 5. The effect of MBN on hair growth-related gene expression in HaCat cells. HaCaT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BN (1, 50, 100 µg/ml) for 24 h and gene expression relevant to hair growth was analyzed using conventional PCR machine (Biometra, Germany). GAPDH was compared as an internal standard. 모한전체부분에서발모가되어육안으로발모의흔적을관찰할수있었으며 14 일이후육안으로정상적인발모가된것이관찰되었다. 수컷에서와마찬가지로 minoxidil 군에서매우빠르고효과적으로발모가진행되는것이관찰되었으나털의굵기가제모전보다감소하는것이관찰되었다. 이러한현상은실험종료일까지지속적으로관찰되었다. 반면, MBN 처리한암컷에서제모전과동등이상의굵기를실험종료일까지유지하였다. H&E 염색결과에서도육안관찰과유사한결과가관찰되었으나, 암컷의경우중용량군 (FG3) 과고용량군 (FG4) 에서매우우수한효과가나타나용량선정에유리할것으로사료되었다. 특히, 수컷의조직염색결과와마찬가지로 MBN 처리시모근이매우튼튼하게형성됨이관찰되었고, 이러한결과는 minoxidil 처치군과비교시확연히구분되었다 (Fig. 3). 흥미롭게, 암컷의경우 3% minoxidil 에비해동등이상의발모효과와암컷에서고용량처치시에도피부자극이관찰되지않는안전성과효능이확인되었다. 또한, MBN 에의한발모관련유전자의세포반응 (cell responses) 을확인하기위해수행한 in vitro 실험에서 MBN 의세포독성이 100 µg/ml 내에서관찰되지않아 (Fig. 4), 100 µg/ml 이내의농도에서발모관련유전자발현여부를분석하였다. 본실험에서는 1, 10, 50 µg/ml 의용량에서혈관의생성을유도해주는물질인 VEGF 유전자및발모에직간접적으로영향을주는 KGF 와 TGFβ1 유전자발현을통해 MBN 의기전적발모효능을확인하고자하였다. 특히, KGF 는섬유아세포성장인자 family 의 member 로서모발성장을자극하는인자이며, VEGF 는휴지기에신생혈관생성을촉진시키는인자로작동하여새로운모발의성장기로유도하는인자로알려져있다 (16,17). 반면, TGFβ1 은모발의퇴행기전환시증가되는인자로상피세포의증식을억제하고세포사를유도하여일반적으로모발의성장을억제하는쪽으로작용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 따라서이와같은모발성장과관련된성장인자의반응여부를관찰하여 MBN 의기전적잠재성을입증하고, 이들성장인자의 mrna 발현을확인하여동물실험에서도출된결과를지지하는기전적배경을확보하고자하였다. 결과에서와같이 MBN 처리군에서모발성장에기여를하는 KGF 와 VEGF 의 mrna 가다량발현됨을알수있었고, 모발성장억제와관련이있는 TGFβ1 의경우 mrna 발현증가가관찰되지않았다 (Fig. 5). 이러한결과로부터, MBN 이모발성장인자를자극하고혈관신생을도와발모에유익한환경을만들어주는것으 Fig. 6. Total concentrations of nitric oxide from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HaCaT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BN (1, 10, 50, 100 µg/ml) for 24 h, and the release of NO from HaCaT cells was analyzed using Griess reagent.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 group at p<0.01 and p<0.001, respectively. 로사료되며, human keratinocyte 인 HaCaT 세포에서 MBN 처치시생성되는 NO 가 (Fig. 6) 혈류를증가시키고, 혈관을이완시켜결국발모를자극하는긍정적인효과를나타낼것으로생각된다 (18,19). 결론적으로생약추출발효물질인 MBN 은모발성장촉진및탈모예방제제로의개발가능성이높은기능성후보물질로기대된다. 요 실험물질은두피건강및발모에유용한소재를혼합하여열수추출한후유산균에발효시킨 2 차발효물질로서고기능성이예상되는물질이다. C57BL/6 마우스의등을제모하고실험물질을처리하였을때암수모두에서양성대조군인 minoxidil 과비교하였을때동등이상의우수한발모효과가있음을확인하였다. 특히수컷의경우 200 mg/kg 이하의농도에서우수한효과가관찰되었고암컷에서는고용량인 500 mg/kg 까지현저한발모효과가관찰되어성별처치용량에차이가있는것으로사료되었다. 또한양성대조군 minoxidil 이신속한발모효과를보이는반면털의긁기가감소하는현상이관찰되었으나실험물질을처리한군에서는제모전과동등이상의굵기를유지하였다. 이러한발모효과를확인하기위해모발성장관련유전자발현을분석한결과실험물질이 KGF, VEGF 등의모발성장촉진인자의발현을증가시키는반면탈모를유도하는 TGFβ1 의발현에는반응을하지않아유 약

386 한국식품과학회지제 43 권제 3 호 (2011) 용한발모제제로서의가능성이입증되었다. 더불어실험물질에의한 NO 분비가두피의혈류개선을유도하여탈모억제효능을나타낼것으로사료되어발효생약추출물인 MBN 이모발성장및탈모예방제제로의개발이가능할것으로기대된다. 감사의글 본연구는보건복지부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A091121) 의지원에의해수행되었기에, 이에감사드리며, 제반연구지원및물질제공에협조해주신 ( 주 ) 한빛코리아김수남사장님께감사드립니다. 문 1. Stenn KS. Molecular insights into the hair follicle and its pathology: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t. J. Dermatol. 42: 40-43 (2003) 2. Trüeb RM. Molecular mechanisms of androgenic alopecia. Exp. Gerontol. 37: 981-990 (2002) 3. Peters EMJ, Arck PC, Paus R. Hair growth inhibition by psychoemotional stress: A mouse model for neural mechanisms in hairgrowth control. Exp. Dermatol. 15: 1-13 (2006) 4. Buhl AE, Waldon DJ, Miller BF, Brunden MN. Differences in activity of minoxidil and cyclosporin A on hair growth in nude and normal mice. Lab. Invest. 62: 104-107 (1990) 5. Cotsarelis G, Millar SE.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hair loss and its treatment. Trends Mol. Med. 7: 293-301 (2001) 6. Olsen EA. Current and novel methods for assessing efficacy of hair growth promoters in pattern hair loss. J. Am. Acad. Dermatol. 48: 253-262 (2003) 7. Skalnaya MG, Tkahev VP. Trace elements content and hormonal profiles n women with androgenic alopecia. J. Trace Elem. Med. Bio. 24: in press (2010) 8. Messenger AG, Rundegren J. Minoxydil: Mechanisms of action 헌 on hair growth. Brit. J. Dermatol. 150: 186-194 (2004) 9. Burton JL, Marshall A. Hypertrichoasis due to minoxidil. Brit. J. Dermatol. 101: 593-595 (1979) 10. Meissheri KD, Cipkus LA, Tayor CJ. Mechanism of action of minoxidil sulfate-induced vasodilation: A role for incerased K+ permeability. J. Pharmacol. Exp. Ther. 245: 751-760 (1988) 11. Drake L, Hordinsky M, Fiedler V, Swinehart J, Unger WP, Cotterill PC, Thiboutot DM, Lowe N, Jacobson C, Whiting D, Stieglitz S, Kraus SJ, Griffin EI, Weiss D, Carrington P, Gencheff C, Cole GW, Pariser DM, Epstein ES, Tanaka W, Dallob A, Vandormael K, Geissler L, Waldstreicher J. The effects of finasteride on scalp skin and serum androgen levels in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J. Am. Acad. Dermatol. 41: 550-554 (1999) 12. McClellan KJ, Markhan A. Finasteride: A review of its use in male pattern hair loss. Drugs 57: 111-126 (1999) 13. Hagemann T, Schlütter-Böhmer B, Allam JP, Bieber T, Novak N. Positi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a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Contact Dermatitis 53: 53-55 (2005) 14. Rho SS, Park SJ, Hwang SL, Lee MH, Kim CD, Lee IH, Chang SY, Rang MJ.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Asiasari radix extract and its molecular regulation. J. Dermatol. Sci. 38: 89-97 (2005) 15. Buhl AE, Waldon DJ, Baker CA, Johnson GA. Minoxidil sulfate is the active metabolite that stimulates hair follicles. J. Invest. Dermatol. 95: 553-557 (1990) 16. Tsuboi R, Sa C, Kurita Y, Ron D, Rubin JS, Ogawa H. Keratinocyte growth factor (FGF-7) stimulates migration and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of normal human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 49-53 (1993) 17. Ozeki M, Tabata Y. In vivo promoted growth of mice hair follicles by the controlled release of growth factors. Biomaterials 24: 2387-2394 (2003) 18. Dulak J. Nutraceuticals as anti-angiogenic agents: Hopes and reality. J. Physiol. Pharmacol. 1: 51-67 (2005) 19. Boushel R. Metabolic control of muscle blood flow during exercise in humans. Can. J. Appl. Physiol. 28: 754-7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