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외환관리제도 홍콩에서는 자금유통이 자유로우며 통화교환, 해외송금 및 입금, 외화예금이 모두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홍콩통화의 가치를 정부가 보증하기 위해 제정된 통화법(1935년)은 후에 외환기금법으로 개칭되었으며 그 시행에 따라 적극적으로 홍콩달러의 인터뱅크 거래를 촉진, 환율안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홍콩에는 특별한 중앙은행이 없고 정부기구로 금융 관리국이 있을 뿐이다. 자금 유출입에 대한 통제도 없어 세계은행의 대외 채무통계에는 홍콩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홍콩 정부는 1983년 10월부터 홍콩달러를 종래의 자유변동환율에서 미 달러와 일정선에서 교환율을 링크하는 Peg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홍콩에서 주권반환을 둘러싼 중영 교섭이 진척되지 않고 불안하여 홍콩달러가 급락하고 급격한 물가상승과 사회 불안 확대 등이 출현하여 긴급조치의 하나로 취해진 제도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홍콩 정부는 이 제도를 계속 유지해 오고 있다. 현재의 연동환율은 홍콩정부 금융관리국에서 외환기금으로 보장하고 있다. 즉, 홍콩에는 Hong Kong and Shanghai Bank, Standard & Chartered Bank, The Bank of China 등 3대 발권 은행이 있는데 이들이 홍콩달러를 신규 발행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미국 달러화를 금융 관리국에 기탁하도록 함으로써 대 미불 연계환율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위안화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홍콩달러가 미 달러에 페그하는 이유는 홍콩경제와 미국 경제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며, 위안화에 비하여 홍콩달러는 국제통화로 안정된 위치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홍콩경제가 점점 중국 경제 내에 통합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홍콩달러의 페그 변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홍콩의 화폐공급량 (단위: 십억 홍콩달러)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화폐공급량 M1 617 646 902 1,017 1,122 1,377 화폐공급량 M2 6,106 6,270 6,602 7,136 7,997 8,950 화폐공급량 M3 6,140 6,302 6,627 7,156 8,017 8,971 예금 5,869 6,060 6,381 6,862 - - 부채 2,962 3,286 3,289 4,227 - - 자료: 홍콩정부 통계자료 홍콩-1
나. 홍콩 내 화폐공급 위해 미화달러 페그제와 저금리 정책을 전개해 왔으나 일련의1993년 4월 1일 발족한 금융 관리국(MONETARY AUTHORITY)이 이전의 외환기금관리국 및 은행업 감리처의 기능을 통합한 중앙은행에 상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 이전에는 외환기금 관리국(금융정책 및 통화관리), 은행업 감리처(은행제도 운영 및 감독)와 홍콩은행 (화폐발행 및 결제은행)에 의해 그 기능이 분담되어 왔다. 홍콩 금융통화시장의 두드러진 특징은 중앙은행이 없다는 점이다. 1993년 4월 1일 발족된 금융관리국도 엄격한 의미에서 중앙은행은 아니며 외형상으로 금융업무의 개선, 예금자 보호 등을 위해 은행영업에 대한 규제지도를 효율화하고 다기화된 정책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 중앙은행에 상당한다는 의미가 부여 되고 있다. 홍콩 정부는 화폐가치 안정 유지를 물가상승과 홍콩 달러 화의 고평가를 야기 하는 부작용 초래하기도 했다. 홍콩의 금리는 미국의 금리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경향이 뚜렷하다. '99년 홍콩은 내수 촉 진을 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내려야 했지만 Pegging System 유지에 따른 미국 금리와의 연동 불가피성에 따라 미 금리인상에 따라 홍콩금리도 올려야 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홍콩 내 발권은행은 홍콩은행, 스탠다드 챠터드 은행, 중국은행으로 3원화되어 있는데 이들 은행이 홍콩달러를 발행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금액의 미국 달러화를 금융관리국에 사전 예치 하도록 돼 있다. 다. 홍콩은행의 위안화 거래 허용 및 위안화 무역결제 시행 중국은 위안화를 미국 달러에 버금가는 세계의 기축 통화로 만들고자 하는 장기적 계획 하에 홍콩을 통한 위안화 통용 확대를 추진해왔다. 홍콩의 위안화 업무는 2004년 처음 시작한 후, 홍콩의 위안화 결제시스템 실시간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2007년 6월), 위안화 무역결제(2009.7) 등이 추가되며 꾸준히 확장되어 왔다. 위안화 무역대금 결제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도 위안화 업무를 제공하는 홍콩 은행들(이하 참여은행)은 예금, 환전, 송금, 신용카드, 수표, 채권 등 기본적인 소매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2009년 7월을 기점으로 무역금융과 같은 더욱 광범위한 위안화 업무가 시작되었다. 2010년 7월 중국이 위안화 거래에 대한 규제를 풀면서부터 홍콩은 위안화 국제화의 시험 무대로 역할을 해 왔으며 이 후 홍콩은 2011년 위안화에 대한 투자 열기에 힘입어 위안화의 역외 허브로 자리매김 하였다. 2009년 7월부터 시행된 위안화 무역결제로 홍콩 및 마카오 기업들은 중국 내 상하이와 광둥성 4개 도시(선전, 광저우, 동관, 주하이)의 기업들과 위안화 무역거래가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수출업체들이 송금 및 환전 비용 절감으로 3~5%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으며 홍콩은행에서 위안화 저축, 환전, 송금, 대출 및 채권발행 등의 위안화 관련 업무를 제공하고 있다. 홍콩-2
2012년 6월 홍콩의 위안화 무역결제액이 전월대비 8.1% 증가한 2,414억위안을 기록하여, 2009년 7월 위안화 무역결제제도 도입 이후 월별 최고기록을 경신하였다. 이는 위안화를 결제통화로 채택한 기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관련 시장 발전이 성숙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6월 위안화 예금은 전월대비 0.7% 증가한 5,577억 위안을 기록했다. 국제은행간통신협정(SWIFT)에 따르면, 중국 위안화가 국제 결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63%로 증가하였으며, 통화별로는 2012년 1월 20위에서 2013년 1월 13위로 급성장했다. 2013년 1월, 국제 결제통화 사용규모는 전월 대비 24%, 전년 동월 대비 171% 증가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홍콩 및 중국의 위안화를 이용한 무역 결제액 (2010~2012) (단위 : 억 위안) 구분 2010 2011 2012 홍콩 3,692 19,149 26,000 중국 5,063 20,813 29,400 자료원: HKMA, 中 國 人 民 銀 行, 주 홍콩 대한민국 영사관 향후 위안화 국제화 및 중국의 위안화 시장 개방 확대에 따라 더 많은 무역이 위안화로 결제될 것으로 예측된다. HSBC는 현재 전세계 무역결제 중 위안화 결제가 약 10%이나, 2015년에는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 최근 중국이 상하이를 금융도시로 육성하여 2015년까지 위안화 거래의 중심지로 적극 양성하고 글로벌 거래를 위한 대형 증권거래소도 설치할 것으로 밝힘에 따라, 위안화 비즈니스의 독보적 위치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어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홍콩 주요 위안화 업무 ㅇ 예금 - 홍콩 거주자, 지정된 상업자(소매, 요식, 숙박, 교통, 통신, 의료, 교육 업종에 종사하는 상업자) 및 무역회사는 홍콩의 참여은행에서 위안화 예금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법인 계좌 로는 송금만 가능하고 적립은 불가능하며 개인명의 계좌는 하루에 20,000 위안 송금 가능하고 적립액 한도는 없으며 홍콩/중국 이외 지역 송금은 불가능하다. 중국으로는 8만 위안 송금 가능하다. ㅇ 환전 - 모든 개인은 홍콩달러와 위안화의 상호환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현금은 한번에 2만 위안까지 환전 가능하고 예금 계좌를 통해 환전할 경우 하루에 2만 위안까지 가능하다. 지정된 상업자는 영업 이익으로 얻은 위안화를 한도 없이 홍콩달러로 환전 (홍콩달러에서 홍콩-3
위안화로의 환전은 불가능)할 수 있다. 홍콩에서 위안화 채권을 발행하는 중국 내륙 금융 기업은 채권 발행비용에 상당하는 위안화를 홍콩달러로 환전할 수 있다. 2009년 7월부터 무역회사도 실제 수요에 따라 홍콩달러와 위안화의 상호 환전이 가능 해졌다. ㅇ 송금 - 홍콩 거주자는 중국 내륙 은행에 개설된 동일 명의의 계좌로 위안화를 송금할 수 있으며 하루에 8만 위안까지 가능하다. 홍콩에서 위안화 채권을 발행하는 중국의 금융기관은 채권발행으로 얻은 이익을 내륙으로 송금할 수 있다. 또한 홍콩의 참여은행은 동명 계좌간의 예금에 한해 다른 은행과의 위안화 이체서비스를 제공한다(위안화 자금을 축적해 무역결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 ㅇ 무역금융 - 2009년 7월 위안화 결제업무 시범실시 이후 홍콩의 참여은행은 중국 기업과 위안화 무역 결제를 하고자 하는 해외 기업에게도 무역금융을 실시하고 있다. 단 실제 무역거래금액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며 중국 기업에 직접 지불하는 것이어야 한다. ㅇ 직불카드 및 신용카드 -홍콩 참여은행은 홍콩거주자에게 중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안화 직불카드 및 신용카드를 발행할 수 있다. 중국 내 은행에서 발행한 위안화 직불카드와 신용카드 역시 홍콩의 소매상 에서 사용 가능하다. ㅇ 수표 - 홍콩 참여은행의 당좌예금으로 발행한 위안화 수표는 홍콩과 중국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위안화 수표는 홍콩에서는 위안화 채권과 관련된 지불이나 송금에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에서는 광동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고 계좌당 하루 8만 위안으로 제한한다. 2009년 7월부터 위안화를 무역 결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업이 각기 다른 은행의 동명 계좌로 송금할 때 위안화 수표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ㅇ 위안화 채권 - 2007년부터 관련기구의 승인을 받은 중국의 금융기관은 홍콩에서 위안화 채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에는 발행인의 범위가 중국 내륙에 있는 홍콩은행 지사로까지 확장하고 중국 중앙정부 재정부도 홍콩에서 처음으로 위안화 채권을 발행하기 시작, 이로써 최초로 중국 내륙 밖에서 위안화 채권을 발행하였다. ㅇ 중-홍 위안화 무역결제 - 2009년 7월 6일부터 이루어진 국제무역대금 위안화 결제 시범업무는 홍콩 위안화 업무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은행의 위안화 업무 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 홍콩은 내륙과의 무역대금을 위안화로 결제하는 기업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의: 수출 수입사 간 무역 결재에만 해당하는 것으로써, 중국손자회사에서 홍콩으로의 배당금은 달러(US$)로만 송금가능하고 위안화로는 불가능) 홍콩-4
라. 홍콩에서의 대출 홍콩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기업활동을 통해 축적된 신용으로 각 은행별 대출 심사기준에 부합했을 경우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홍콩에서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담보를 제공해야 한다. 담보 이외에도 각 기업의 영업 및 신용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현지법인의 형태로 진출해 있는 대부분의 한국기업의 경우 한국계 은행 해외 지점 및 현지법인 금융기관을 통해서 한국에 있는 부동산이나 예금들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한국 본사에 지급보증 및Stand-by LC(보증신용장)를 개설함으로써 홍콩 진출 초기에 필요한 자금을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다. 한국본사에서 지급보증 및 LC개설을 통한 대출을 위해서는 독립법인의 형태로는 불가능하고 한국본사의 지분율이 최소 10% 이상을 취득하고 있어야 하며 한국본사의 보증한도에 여유가 있어야 가능하다. 외국환 거래 업무 취급 지침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지정거래 외국환은행장에게 신고로 취급이 가능하다. 단 보증처가 본사인 경우, 금융기관인 경우 및 개인인 경우에 따라 신고서류에 차이가 있으며 해외직접투자 신고 절차로 일수로 선행되어야 한다. 각 은행별 내부규정에 따라 대출금의 규모 및 대출가능 여부가 다를 수 있으니 해당거래은행에 학인이 필요하다. 홍콩에 있는 법인이 제3국에 소재한 법인의 현지금융을 위해 담보제공, 지급보증 등에 대한 행위는 제한이 없다. 마. 한국계은행이용 현재 홍콩에 진출해 있는 한국은행들은 주로 기업금융을 취급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소매금융을 시작한 은행들이 출현하고 있다. 기존에 외환은행을 비롯하여 우리은행, 중소기업은행 등이 소매금융을 시작하였다. 홍콩진출주요은행연락처 은행 위치 전화 기업은행 Rm3113, Two Pacific Place, Admiralty, HK 2521 1398 외환은행 31/F, Far East Finance Center, 16 Harcourt Rd, HK 2520 1221 신한은행 Rm3401, Gloucester Tower The Landmark, Central, HK 2877 3121 우리은행 Suite 1401, Two Pacific Place, 88 Queensway, HK 2521 8016 하나은행 Suite 3314-3316, 33/F, Two IFC, 8 Finance St, Central, HK 2522 3646 한국계 은행은 ATM을 사용할 수 없는 점이 단점이나 구좌개설이 비교적 용이하여 여권과 한국 신분증으로 구좌 개설이 가능하다. 그러나 은행에 따라서는 홍콩 ID가 없으면 여권 외에도 주소지를 증명하는 영문 주민등록등본을 요구하기도 하므로 사전에 문의하여 준비 홍콩-5
하는 것이 좋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외국계은행은 HSBC이다. HSBC는 곳곳에 지점과 ATM이 있어 이용이 매우 편리하다. 단 구좌 개설 시 여권 외에도 주소지를 증명하는 공식적 서류가 필수적이다. 요금 통지서 등 본인의 이름으로 등록된 거주지가 없는 취업자 의 경우 회사에서 주소지를 확인하는 레터를 작성하여 이를 대체할 수도 있다. 구좌 개설 시 최저 입금액인 HK$120을 준비 하도록 한다. 홍콩-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