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000011-11.hwp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5B DB4EBC7D0BFE4B6F D B1E2B1B82E687770>

7 청보 (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4. 29) 쌍방울 17 연패 ( ~10. 5) 롯 데 16 연패 ( 0

<C3CAC1A DC1DFB1B92E687770>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jc0inb001a.HWP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untitled

토픽 31호( ).hwp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B1B9BFAAC3D1BCAD2DC6EDC1FD 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C0A7B7C9B0F82E687770>

hwp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3429BFC0C1F8BCAE2E687770>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3035B1E8BFECC7FC2E687770>

제20대국선후보자명단.hwp

untitled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C3D6C1BE5F C8A320B0F8BAB85F E687770>

sme_beta[1](류상윤).hwp

<35C2F7BCF6C1A42DB1B9BFAAC3D1BCAD3131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D20BFAAB4EB20C3D1C0E72E786C73>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정동주선생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박광현발표.hwp

CB hwp

< B3E2B5B5C1A63130B1E2BCB1B9DFBDC3C7E8C0C0BDC3C0DAB8EDB4DC28B9DFC7A5BFEB292E786C73>

서강건치.hwp

33 경기도 김민수 金 旼 秀 KIM MIN SU 남 일산동고등학교 34 경기도 김범희 金 凡 喜 KIM BEOM HEUI 남 소래고등학교 35 경기도 김선준 金 善 俊 KIM SUN JUN 남 경기북과학고등학교 36 경기도 김성수 金 聖 洙 KIM SUNG SOO 남

<322D323828C8AD2920C1B6B0A320BAB8B5B5C0DAB7E B3E232BFF9B8BBC1A4B3E2C5F0C1F7B1B3BFF8C1A4BACEC6F7BBF3292E687770>

見 積 書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표1 고려불화의 本 地 : 직조방식 場 160 本 地 3 平 織 A 奈 良 國 博 明 代 1 a 善 導 寺 14 變 化 平 織 B b 鏡 神 社 1310 本 地 畵 幅 奉 安 4 A B 1 2 A 5 Ⅱ. 고려불화의 本 地 : 絹 織 物 의 조직 160 zoom B A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152*220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4단원*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제 출 문 한국고전번역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연구과제인 일제강점기 전통지식인의 문집 간행 양상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과제명 일제강점기 전통지식인의 문집 간행 양상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연구기간 ~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¼øâÁö¿ª°úÇÐÀÚ¿ø

19세기 경상도의 유교전통과 민족종교 동학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untitled

7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3) 의 수준에 이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비 롯한 국학연구 기관들과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 는 조선시대 역서들의 숫자들을 모두 합하더라도 불과 수백 책의 수준을 넘

궁궐은 국왕이 국가 업무를 처리하는 공적인 영역과 국왕 및 그의 가족들의 개인적 삶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 짓기 시작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다. 궁궐의 전각 배치 및 명칭 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공간 배치

untitled

untitled

빈면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역사 51 창화현이라고도 한다. 현종 9년(1018) 양주에 예속시 키고 후에 감무를 두었는데, 본조(조선) 태조 6년 (1397)에 양주에서 치소를 이곳 견주로 옮겼다가 뒤 에 지금의 치소로 옮겼다. 지금의 古 州 內 이다. 라고 하여 두 기사간에 다소의 차이점이 있

#39-0 머리말외.indd

Microsoft Word - km doc

6 退 溪 學 과 韓 國 文 化 第 43 號 심으로 한 한국학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는 구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강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리학이 유입되었고 이후 사림파가 성장하였다. 길재 나 김숙자와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이 강안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

<303420B1E8B5BFC3B62E687770>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노상추 일기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탁양현-조선 사대부와 ‘정치’라는 숙명.hwp

<BBFDB8EDBFACB1B83232C1FD2D E687770>

장 대 우 ) 申 東 益 문화센터 혁예업무부장직대 (학예업무부 차 白 吉 興 문화센터 영상제작부장직대 (영상제작부 차 崔 萬 變 기획실 인사부 차장(인사2 부 차장대 朴 寬 樹 기획실 기획부 차장(기획조 사부 차장대 한겨레신문 金 斗 植 상무이사(광고국 중앙경제신문 金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5B DB4EBC7D0BFE4B6F D B1B3C1F7BFF82E687770>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DBPIA-NURIMEDIA

한국 시장경제체제의 특질에 관한 비교제도분석

<4D F736F F D20C3A520BCD2B0B32DB0EDB7C1BDC3B4EB20BBEAB9AEC0D0B1E2322E646F63>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Transcription:

한국묵매화에 관한 연구 ( 韓 國 墨 梅 畵 에 관한 硏 究 ) 문화재전문위원 許 英 桓 1. 序 論 5. 朝 鮮 初 期 의 墨 梅 畵 2. 墨 梅 畵 의 歷 史 6. 朝 鮮 中 期 의 墨 梅 畵 3. 墨 梅 畵 의 畵 法 7. 朝 鮮 後 期 의 墨 梅 畵 4. 高 麗 時 代 의 墨 梅 畵 8. 結 論 1. 서론( 序 論 ) 한국 서예계( 書 藝 界 )의 원로( 元 老 )인 소전( 素 전) 손재형( 孫 在 馨 )님은 그의 집을 봉래제일 선관( 蓬 萊 第 一 仙 館 )이라 부르고 그곳에서 작품생활을 하시다가 지금은 쉬고 계시다. 그는 글씨 쓰는 것을 서예( 書 藝 )(글씨의 예술이라는 뜻) 1) 라 부르기 시작한 서가( 書 家 )이기도 하다. 소전( 素 전)은 또 매화( 梅 花 )를 지극히 사랑하여 동한( 冬 寒 )속에서도 분매( 盆 梅 ) 기르기에 정성을 쏟으며 남쪽 창 아래를 아예 분매향처( 盆 梅 香 處 )라 부르기도 했다. 그 분매향처( 盆 梅 香 處 )에서 어느해 정월에 동천연로항장곡( 桐 千 年 老 恒 藏 曲 ) 매일생한불매향( 梅 一 生 寒 不 賣 香 )(오동나무는 아무리 오래된 것일지라도 켜 가 야금을 만들면 언제나 좋은 음악을 들려주고, 매화는 평생을 추운곳에서 자라도 결코 향기 를 팔지 않는다.) 이라 쓰시고 글도 좋고 글씨도 좋지 하시던 모습을 오늘 이 글을 쓰면 서 다시 떠 올린다. 그리고 지난 겨울 우리집 백매( 白 梅 ) 한 그루(작은 분매( 盆 梅 )로 이름을 월파( 月 波 )라 부 르는)가 살을 에이는 추위 속에서 청아( 淸 雅 )한 자태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그윽한 향기로 서재를 가득 채워준 고마움을 잊을 수가 없다. 이육사( 李 陸 史 )의 시( 詩 ) 한 귀절인 지금 눈나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가 생각나는 겨울 속의 매향( 梅 香 )이었다. 그래서 지난 해의 한국묵죽화( 韓 國 墨 竹 畵 )에 관한 연구( 硏 究 ) 2) 에 이어 그 여향( 餘 香 )속에서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서리와 눈(상설( 霜 雪 ))속에서 피어 맑은 향기(청향( 淸 香 ))를 내는 매화( 梅 花 )는 백화( 百 花 )가 피기전에 피므로 화형( 花 兄 ) 또는 화괴( 花 魁 )라고 부르기도 하고 봄을 가장 먼저 전 해준대서 철간선춘( 鐵 幹 先 春 )한향철간( 寒 香 鐵 幹 )일지춘색( 一 枝 春 色 )이라고도 부른다. 또 분 매( 盆 梅 )는 동한( 冬 寒 )속에서, 야매( 野 梅 )는 춘한( 春 寒 )속에서 피어 그 고고( 高 孤 )한 청자 ( 淸 姿 )를 자랑하기 때문에 누속( 陋 俗 )한 시세( 時 勢 )와 압력에 굽히지 않는 군자( 君 子 )와 고 사( 高 士 )의 지조( 志 操 )와 절개( 節 介 )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예부터 매지운( 梅 之 韻 ), 난지향( 蘭 之 香 ), 국지윤( 菊 之 潤 ), 죽지청( 竹 之 淸 ), 함유일유( 咸 有 一 有 ), 불역군자호( 不 亦 君 子 乎 ). 매유처사지취( 梅 有 處 士 之 趣 ), 난유왕자지향( 蘭 有 王 者 之 香 ), 국유걸사지풍( 菊 有 傑 士 之 風 ), 죽유대부지기( 竹 有 大 夫 之 氣 ). 매영인고( 梅 令 人 高 )매초학사시( 梅 招 學 士 詩 )매가연연( 梅 可 延 年 )등의 말이 널리 쓰여지고 믿어져 왔다. 그리고 매( 梅 )죽( 竹 )을 쌍청(쌍 淸 )이아( 二 雅 ), 매( 梅 )죽( 竹 )송( 松 )을 세한삼 우( 歲 寒 三 友 )라 불렀다. 또 매( 梅 )는 품종( 品 種 )도 20여종( 種 )이 될 뿐 아니라 화제상( 畵 題 上 )으로도 30가지에 가까운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림 1 남송( 南 宋 )의 조맹견작( 趙 孟 堅 作 ) 세한삼우( 歲 寒 三 友 ) 우선 품종별( 品 種 別 )로 보면 백매( 白 梅 )홍매( 紅 梅 )주매( 朱 梅 )주사매( 朱 砂 梅 )시매( 時 梅 )소 매( 消 梅 )침매( 侵 梅 )녹매( 綠 梅 )자화매( 紫 花 梅 )동심매( 同 心 梅 )인지매(연 脂 梅 )여우매( 麗 友 梅 ) 여지매( 麗 枝 梅 )품자매( 品 字 梅 )궁성매( 宮 城 梅 )천엽매( 千 葉 梅 )구영매( 九 英 梅 )담홍매( 淡 紅 梅 ) 송춘매( 送 春 梅 )철골매( 鐵 骨 梅 ) 3) 등이 있고 화제상( 畵 題 上 )으로는 노매( 老 梅 )고매( 古 梅 )월매( 月 梅 )설매( 雪 梅 )계매( 溪 梅 )강매 ( 江 梅 )야매( 野 梅 )촌매( 村 梅 )궁매( 宮 梅 )성매( 城 梅 )정매( 庭 梅 )소매( 疎 梅 )수매( 瘦 梅 )왜매( 矮 梅 )연매( 煙 梅 )암향매( 暗 香 梅 )수월매( 水 月 梅 )나부매( 羅 浮 梅 )수령매( 瘦 嶺 梅 )고산매( 孤 山 梅 )산 중매( 山 中 梅 )서호매( 西 湖 梅 )서창매( 書 窓 梅 )금옥매( 琴 屋 梅 )미개매( 未 開 梅 )반개매( 半 開 梅 ) 4) 등이 있다.

그림 2 원( 元 ) 왕면작( 王 冕 作 ) 조수고매도( 照 水 古 梅 圖 )

그리고 여담( 餘 談 )이지만 매자( 梅 字 )가 들어가는 것으로는 매화주( 梅 花 酒 )매실주( 梅 實 酒 ) 매화산자( 梅 花 子 )매화죽( 梅 花 粥 )매림( 梅 霖 )매우( 梅 雨 )매병( 梅 甁 )매신( 梅 信 )매실( 梅 室 )매 실( 梅 實 )매천( 梅 天 )매하( 梅 夏 )매향매원( 梅 香 梅 園 )매화사( 梅 花 詞 )매호( 梅 湖 )매화산( 梅 花 山 ) 매화도( 梅 花 島 )매화육궁( 梅 花 六 宮 ) 매홍지( 梅 紅 紙 )매화잠( 梅 花 簪 )매화장( 梅 花 粧 ) 등에 매화 타령( 梅 花 打 令 )매화( 梅 花 )틀매독( 梅 毒 )까지 있으니 가위 익살이요 역설적( 逆 說 的 )인 표현이 기도 하다. 또 매화( 梅 花 )의 명산지( 名 産 地 )는 중국( 中 國 ) 광동성( 廣 東 省 )의 나부( 羅 浮 )라는 곳이어 서 매화( 梅 畵 )의 제명( 題 名 )을 나부향( 羅 浮 香 )나부몽( 羅 浮 夢 )나부향몽( 羅 浮 香 夢 )이라고도 한다. 사군자( 四 君 子 )의 계절순서는 매란국죽( 梅 蘭 菊 竹 )이지만 사군자화( 四 君 子 畵 )를 배우는 순 서는 매( 梅 )가 제일 늦어 난죽국매( 蘭 竹 菊 梅 )임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매화( 梅 畵 )의 구도와 화법도 시대에 따라 변화발전되어 왔는데 이 글에서는 묵매화( 墨 梅 畵 )만 다뤘으며 중국( 中 國 )의 묵매화( 墨 梅 畵 )도 약간 고찰해 보았다. 그 까닭은 우리의 묵매화( 墨 梅 畵 )를 더욱 잘 이해하고 창조적인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의 활동을 조명( 照 明 )해 보므로써 양식( 樣 式 )과 화법( 畵 法 )을 밝혀보자는 의도였기 때문이다. 2. 묵매화( 墨 梅 畵 )의 역사( 歷 史 ) 묵매화( 墨 梅 畵 )가 묵죽화( 墨 竹 畵 )보다 좀 늦게 시작된 것은 중국( 中 國 )에서나 한국( 韓 國 ) 에서나 마찬가지다. 즉 중국( 中 國 )에서는 북송( 北 宋 )말엽(11세기), 한국( 韓 國 )에서는 고려 ( 高 麗 )말엽(13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앵도과( 科 )에 속하는 활엽교목인 매화( 梅 花 )나무는 중국황하( 中 國 黃 河 )이남한국( 韓 國 )중 부이남일본( 日 本 )대만( 臺 灣 ) 등지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먼 옛날부터 화제( 畵 題 )가 되어 그려졌고 북송( 北 宋 )중엽 이전까지는 설색화( 設 色 畵 )로 그려졌다. 즉 윤곽을 그리고 그 안 에 물감을 칠하는 화법( 勒 塡 彩 法 구륵전채법)으로 그려졌고, 대부분이 산수화( 山 水 畵 )인물 화( 人 物 畵 )화조화( 花 鳥 畵 )의 일부분이나 배경으로 그려졌지, 수묵( 水 墨 )으로 그리고 하나의 독립된 제재( 題 材 )로 그리기 시작한 것은 북송( 北 宋 ) 중엽부터이다. 물론 한국에서도 이런 형편은 비슷했을 것임은 수묵화( 水 墨 畵 )문인화( 文 人 畵 )사군자화( 四 君 子 畵 )의 변화발전상으 로 보아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림 3 명( 明 )의 진헌장작( 陳 憲 章 作 ) 만옥도( 萬 玉 圖 )

우선 중국에서의 묵매화( 墨 梅 畵 )의 창시( 創 始 )와 발전을 보면 이렇다. 11세기말엽 사천성( 四 川 省 ) 출신의 중, 즉 선승( 禪 僧 )이었던 중인( 仲 仁 )(쭝런)은 북송 ( 北 宋 ) 신종( 神 宗 )시대(1068 1085)부터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으며 호남성( 湖 南 省 ) 형양 ( 衡 陽 )의 화광사( 華 光 寺 )에 머물면서 소성년간( 紹 聖 年 間 )(1094 1097)에 가장 활발히 그 렸던 것 같다. 5) 중인( 仲 仁 )은 묵매화( 墨 梅 畵 )를 창시한 후 그와 동시대( 同 時 代 )의 문인( 文 人 )들로부터 주 목을 받았는데 소식( 蘇 軾 )(쑤쓰, 1036 1101)황정견( 黃 庭 堅 )(황팅지엔, 1045 1105)진 관( 秦 觀 )(찐꽌, 1049 1101)등 지도적 위치에 있던 문인( 文 人 )들은 이 새로운 화제( 畵 題 ) 를 추숭( 推 崇 )했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황정견( 黃 庭 堅 )은 중인( 仲 仁 )과 아주 가까이 지내 면서 시( 詩 )를 써주기도 하고 중인( 仲 仁 )의 산수화( 山 水 畵 )와 묵매화( 墨 梅 畵 )를 받기도 했 다. 6) 중인( 仲 仁 )의 작품은 아깝게도 남아 전해지는 것이 없다. 그러나 중인( 仲 仁 )보다 몇 해 뒤 의 또 다른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 삼암수( 三 巖 수)(왕이엔소우, 1042 1091)는 묵매화권( 墨 梅 畵 卷 )을 남기고 있어 좋은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북송( 北 宋 )의 멸망(1126)으로 묵매화( 墨 梅 畵 )는 강남( 江 南 )(양자강( 揚 子 江 )남쪽지방)과 동북( 東 北 )(만주( 滿 洲 )지방)으로 번져 본격적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강남( 江 南 )의 남송( 南 宋 )시대 일류( 一 流 )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는 양보지( 揚 補 之 )(양뿌즈, 1097 1167)를 비롯한 이중영( 李 仲 永 )탕정중( 湯 正 仲 )담봉춘( 譚 逢 春 )양계형( 揚 季 衡 )유몽량( 劉 夢 良 ) 등이었고, 동북 ( 東 北 )의 금( 金 )나라(1115 1234) 시대에는 왕연균( 王 延 筠 )(왕팅윤, 1097 1171)이 많 이 활약하면서 고사도( 枯 사 圖 ) 등 가작( 佳 作 )을 남겼다.

그림 4 이부인작( 李 夫 人 作 ) 월매도( 月 梅 圖 ) 원( 元 )나라(1280 1368) 때는 이간( 李 간)(리칸, 1245 1320)가구사( 柯 九 思 )(커지우 쓰, 1290 1343)왕면( 王 冕 )(왕미엔, 1335 1407), 곽비( 郭 비)(꿔비,? 1341)등의 대가 ( 大 家 )와 오관( 吳 瓘 )오대소( 吳 大 素 )진립선( 陳 立 善 )진처형( 陳 處 亨 )추복뢰( 鄒 復 雷 )등이 묵매 화( 墨 梅 畵 )를 그렸고, 명( 明 )나라(1368 1644)때는 주호( 周 昊 )당숙( 唐 肅 )서경( 徐 敬 )유산 ( 兪 山 )육복( 陸 復 )허앙( 許 昻 )왕언( 王 彦 )손종길( 孫 宗 吉 )임도손( 任 道 遜 )왕인좌( 王 人 佐 )원자초 ( 袁 子 初 )진헌장( 陳 獻 章 )주희문( 朱 希 文 )등, 청( 淸 )나라(1616 1912)때는 김농( 金 農 )서성 ( 書 誠 )영충( 永 忠 )동옥( 童 鈺 )진찬( 陳 撰 )허남( 許 楠 )김준명( 金 俊 明 )호공수( 胡 公 壽 )사산춘( 沙 山 春 )오창석( 吳 昌 碩 )왕사신( 汪 士 愼 )주광정( 朱 光 珽 )등이 묵매화( 墨 梅 畵 )를 잘 그렸다.

그림 5 어몽룡작( 魚 夢 龍 作 ) 묵매도( 墨 梅 圖 )

한국에서 언제부터 묵매화( 墨 梅 畵 )가 그려지기 시작했는지에 관한 기록이나 연구는 아직 까지 없는 것같다. 다만 한( 韓 )중( 中 ) 문화교류사로 미루어 보아 고려( 高 麗 )말엽쯤부터 중 국의 묵매화( 墨 梅 畵 )가 들어왔거나 송( 宋 )원( 元 )에 가서 보고 배운 문인( 文 人 )이나 화원( 畵 員 )이 그리기 시작하지 않았을까 생각될 뿐이다. 7) 그것은 고려( 高 麗 )와 송( 宋 )원( 元 )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아도 그렇고, 일본( 日 本 ) 묘만사 ( 妙 滿 寺 )에 남아있는 고려( 高 麗 )의 화승( 畵 僧 ) 해애( 海 涯 )(한국에서는 실명( 失 名 )된지 오래 이고 화적( 畵 蹟 )도 남은 것이 없다.)의 세한삼우도( 歲 寒 三 友 圖 )(송( 松 )죽( 竹 )매( 梅 )를 비단 에 그린 수묵화( 水 墨 畵 ), 9932cm)를 보아도 그러하며, 또 조선초( 朝 鮮 初 ) 서화가( 書 畵 家 ) 며, 대수장가( 大 收 藏 家 )였던 안평대군( 安 平 大 君 ) 이용( 李 瑢 )(1418 1453)의 수장품 가운 데 원대( 元 代 ) 묵매화( 墨 梅 畵 )의 대가( 大 家 )였던 왕면( 王 冕 )(1335 1407)의 묵매도( 墨 梅 圖 )가 5폭이나 있었던 것을 보아도 그렇다. 해애( 海 涯 )의 생졸연대( 生 卒 年 代 )를 전혀 알 길 이 없어 그가 매화( 梅 花 )를 잘 그렸다는 정지상( 鄭 知 常 )(? 1135)보다 앞사람인지 뒷사람 인지는 알 수 없어도 어떻든 고려( 高 麗 )중엽에 매화( 梅 花 )그림이 있었던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러니까 중국에서의 묵매화( 墨 梅 畵 )는 선승( 禪 僧 )이 처음 그리고 사인( 士 人 )들이 찬상 ( 讚 賞 )한 후 문인화가( 文 人 畵 家 )들이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고 하겠지만, 한국에서는 문인( 文 人 )이 먼저였는지 화승( 畵 僧 )이 먼저였는지 알 수가 없다. 지금 기록상 남아있는 한국의 매화가( 梅 畵 家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와 채매화가( 彩 梅 畵 家 )를 다 포함한)에는 고려( 高 麗 )의 해애( 海 涯 )정지상( 鄭 知 常 )차원부( 車 原 부)조선( 朝 鮮 )의 문종대 왕( 文 宗 大 王 )강희안( 姜 希 顔 )강희맹( 姜 希 孟 )이종준( 李 宗 準 )신잠( 申 潛 )안정( 安 珽 )채무일( 蔡 無 逸 )이부인( 李 夫 人 )이우( 李 瑀 )어몽룡( 魚 夢 龍 )최전( 崔 澱 )송민고( 宋 民 古 )조속( 趙 涑 )허목( 許 穆 ) 오달제( 吳 達 濟 )허 ( 許 )정경흠( 鄭 慶 欽 )조지운( 趙 之 云 )홍수주( 洪 受 疇 )정조대왕( 正 祖 大 王 ) 주의식( 朱 義 植 )박동진( 朴 東 晋 )정약용( 丁 若 鏞 )홍대용( 洪 大 鏞 )조희룡( 趙 熙 龍 )정태규( 鄭 兌 奎 ) 이남식( 李 南 軾 )이공우( 李 公 遇 )방의용( 方 義 鏞 )허유( 許 維 )서미순( 徐 眉 淳 )전기( 田 琦 )오경석( 吳 慶 錫 )장승업( 張 承 業 )양기훈( 楊 基 薰 )송수면( 宋 修 勉 )강진희( 姜 璡 熙 )정대유( 丁 大 有 )조석진( 趙 錫 晋 )김용진( 金 容 鎭 )이도영( 李 道 榮 ) 등이 있다. 한국의 묵매도( 墨 梅 圖 )(재매도( 彩 梅 圖 )를 제외한)를 일람표( 一 覽 表 )로 만들어 보면 다음 과 같다. 한국( 韓 國 )의 묵매도( 墨 梅 圖 ) 일람표( 一 覽 表 ) 번호 작가의 호와 이름 때 그림 이름 그림모양 크기(cm) 있는 곳 1 海 涯 高 麗 歲 寒 三 友 圖 세로 9932 일본( 日 本 )묘만사( 妙 滿 寺 ) 2 逸 溪 蔡 無 逸 1 4 9 6 1546 墨 梅 圖??? 3 梅 窓 李 夫 人 1 5 2 9 1592 月 梅 圖 세로 3525 개인 4 玉 山 李 瑀 1 5 4 2 1609 雪 中 梅 竹 圖 37.630.3 5 老 梅 圖??? 6 雪 谷 魚 夢 龍 1566? 月 梅 圖 세로 119.453.6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7 墨 梅 圖 122.452.4 8 蘭 谷 宋 民 古 1592? 墨 梅 圖 32.327 서울대 박물관 9 滄 江 趙 涑 1 5 9 5 1668 梅 鵲 圖 10156 간송미술관 10 墨 梅 圖 9156.4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1 5 9 5 11 眉 수 許 穆 墨 梅 圖 9755 개인 1682 1 6 0 9 12 秋 潭 吳 達 濟 墨 梅 圖 10557 1637 13 墨 梅 圖 8855 14 墨 梅 圖 106.457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15 梅 谷 趙 之 耘 1637? 墨 梅 圖 가로 2534.6 간송미술관

16 墨 梅 圖 세로 118.552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17 墨 梅 圖 (8폭) 51.235.8 18 壺 隱 洪 受 疇 1 6 4 2 1704 墨 梅 圖 12457.6 19 靑 丘 子 朴 東 晋 18세기 墨 梅 圖 (쌍폭) 14065 개인 20 正 祖 大 王 1 7 5 2 1800 墨 梅 圖 12362.5 서울대 박물관 21 又 峯 趙 熙 龍 1 7 9 7 梅 花 書 屋 圖 1859 세로 10.545.8 간송미술관 1 8 4 3 22 吾 園 張 承 業 紅 白 梅 10 幀 屛 가로 430.391 개인 1897 1 8 4 3 23 石 然 楊 基 薰 月 梅 圖 세로 125.536.5 1897 24 沙 湖 宋 修 勉 1847? 墨 梅 圖 75.240.3 1 8 5 1 25 菁 雲 姜 璡 熙 幾 生 修 得 到 圖 가로 2328.6 간송미술관 1919 1 8 5 3 26 小 琳 趙 錫 晋 先 天 下 春 國 세로 13131.8 1920

3. 묵매화( 墨 梅 畵 )의 화법( 畵 法 ) 그림 6 조속작( 趙 涑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림 7 목작( 穆 作 ) 매죽도( 梅 竹 圖 )

그림 8 오달진작( 吳 達 晋 作 ) 묵매도( 墨 梅 圖 ) 묵매화( 墨 梅 畵 )도 다른 그림과 마찬가지로 비단(견( 絹 ))모시(저( 苧 ))종이(지( 紙 ))등에 그 리며 화법( 畵 法 )은 크게 구도( 構 圖 )와 용필법( 用 筆 法 )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는 중국그림과 한국그림이 거의 달라서 두 민족의 역사성격기호미 의식 등을 반영해 주고 있다. 특히 한국그림은 중국그림의 모방이 아닌 창조성을 많이 보여 주고 있다. 중국 최초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이며 북송말( 北 宋 末 ) 휘종( 徽 宗 )황제 때의 정화( 政 和 )선화 년간( 宣 和 年 間 )(1111 1125)까지 그림을 그린 중인( 仲 仁 )의 작품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분석(특히 Stylishcal analysis)해 볼 수 없지만 그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관한 시( 詩 )와 선 승화가( 禪 僧 畵 家 )들이 그린 수묵화( 水 墨 畵 )의 구도등을 미루어 보아 화면의 가운데 왼쪽에 서 오른쪽으로 약간 弧 (호)를 그리면서 뻗어 있는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들(즉 호형지( 弧 形 枝 )들)로 이뤄진 호형( 弧 形 )(또는 횡관식( 橫 貫 式 )) 구도이었던 것 같다. 꽃송이는 묵지법 ( 墨 漬 法 )(묵지법, 거품처럼 먹물을 찍어 바르는 화법)으로 그렸던 것 같다. 그러나 중인( 仲 仁 )보다 조금 늦게 그리기 시작한 왕암수( 王 巖 수)는 원심성( 遠 心 性 )(Centrifugalized)의 마름모꼴 ( 菱 形 능형)구도의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다. 물론 꽃송이 도 화면 가득히 수없이 많이 그려 중국인이 좋아하는 웅장( 雄 壯 )완벽( 完 璧 )극세감( 極 細 感 ) 등을 나타냈다. 원대( 元 代 )의 가구사( 柯 九 思 )는 다시 중인( 仲 仁 )과 같은 횡관식( 橫 貫 式 )구도(이번에는 호 ( 弧 )가 약간 위로 올라가는)고 그렸다. 그러나 꽃송이는 가득 그렸으며 화법은 남송( 南 宋 ) 의 양보지( 揚 補 之 )가 창안한 권판법( 圈 瓣 法 )(권판법, 꽃잎의 테두리를 둥글게 그리는 화법) 을 썼다.

그림 9 조지운작( 趙 之 耘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림 10 이공우작( 李 公 愚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림 11 이공우작( 李 公 愚 作 ) 채매도( 彩 梅 圖 )

그림 12 오원( 吾 園 ) 장승업작( 張 承 業 作 ) 홍백매십정병도( 紅 白 梅 十 幀 屛 圖 ) 그림 13 강진희작( 姜 進 熙 作 ) 묵매도( 墨 梅 圖 )

이런 구도와 화법은 왕면( 王 冕 )시절에 와서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 드리운 모습( 倒 垂 之 狀 : 도수지상의 소위 S자식( 字 式 )구도로 나타났다. 이런 구도는 명대( 明 代 )의 진헌장( 陳 獻 章 ) 등이 계승하여 중국적인 묵매화( 墨 梅 畵 )구도로 크게 각광을 받았다. 왕면( 王 冕 )의 남지조춘 도( 南 枝 早 春 圖 )와 조수고매도( 照 水 古 梅 圖 ), 진헌장( 陳 獻 章 )의 만옥도( 萬 玉 圖 ) 등은 다 그 대표적인 그림으로 유명하다. 그림 14 조석진작( 趙 錫 晋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러니까 중국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상횡관식( 上 橫 貫 式 )능형식( 菱 形 式 )하횡관식( 下 橫 貫 式 )S자식( 字 式 )도수식( 倒 垂 式 )등)의 발전을 도표로 하면 별표( 別 表 )처럼 요약할 수 있다. <page 162 그림> 또 화법( 畵 法 )은 묵지법( 墨 漬 法 ) 권판법( 圈 瓣 法 ) 도운법( 倒 暈 法 )(도운법, 남송( 南 宋 )의 이중영( 李 仲 永 )이 창시한 화법으로 꽃송이 부분 외는 수묵( 水 墨 )으로 해나 달무리 처럼 포 위하면서 칠하는 법이다. 이 화법은 그리기 어렵고 사의화( 寫 意 畵 )를 그리는 문인( 文 人 )의 취미와 뜻에 맞지않아 곧 쇠퇴했다.) 순서로 시작되었다고 하겠다.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에서는 중국그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횡관식( 橫 貫 式 )과 S자식( 字 式 )구도는 이우( 李 瑀 )(1542 1609)와 오달제( 吳 達 濟 )(1609 1637)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몇 폭 있을 뿐이고 화면의 아래에서 위로 뻗쳐 올라가는 직립식( 直 立 式 ) 또는 사선식( 斜 線 式 ) 오른쪽 아래 코너에서 왼쪽위 코너(좌상향( 左 上 向 )), 또는 왼쪽 아래 코너에서 오른쪽 위 코너(우상향( 右 上 向 ))로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가 뻗는 구도가 많은 것이 특이하고 흥미롭다. 중국 묵매화( 墨 梅 畵 )의 초기에 나타난 능형식( 菱 形 式 )구도(11세기말)는 19세기 말 오원( 吾 園 ) 장승업( 張 承 業 )(1843 1897? )의 그림 (홍백매( 紅 白 梅 ) 10정병( 幀 屛 ))에 서야 늦게 나타났으며 조희룡( 趙 熙 龍 )(1797 1859)의 그림처럼 불규칙하게 노( 老 ) (조 ( 粗 )) 간( 幹 )과 신( 新 ) (세( 細 )) 지( 枝 )가 어지럽게 뒤얽혀 거꾸로 드리워진 구도는 아주 드문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한가지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의 공통된 특징은 한결같이 꽃송이가 절대로 중국 그 림처럼 많지 않다는 점이다. 그것은 아마도 한국사람이 성긴 것어리숙한 것완벽하지 않은 것기교를 부리지 않는 것 등을 좋아한 성격 탓인 것 같기도 하고, 한국미술의 바탕을 흐르 는 자연주의( 自 然 主 義 )의 발로( 發 露 )인 것 같기도 하다. 이에 반하여 중국사람은 빽빽한 것 완전무결한 것아주 예쁜 것되도록 큰 것 등을 좋아한다는 것은 다 알려진 그들의 민족성이 기도 하다. 위와 같은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를 발생순으로 보면 별표( 別 表 )와 같다.

<page 163 그림> 꽃송이의 화법은 도운법( 倒 暈 法 )은 거의 쓰지 않았으며 묵지법( 墨 漬 法 )과 권판법( 圈 瓣 法 ) 을 애용했다. 그리고 매화( 梅 花 )나무의 늙은 줄기(노간( 老 幹 ))와 가느다란 새 가지(신세지 ( 新 細 枝 ))는 거의 다 중국그림처럼 마디가 많고 껍질이 물고기 비늘 같이 거칠게 그리는 (조간( 粗 幹 )으로) 多 節 老 幹 法 (다절노간법)과 鱗 준 寒 枝 法 (인준한지법)을 써 그렸다. 물론 조 간( 粗 幹 )을 그릴 때 첫 번 째 붓놀림(용필( 用 筆 ))은 비백법( 飛 白 法 )(글씨 쓸 때의 용필법의 한가지로 붓을 힘 주어 누르면서 빨리 운필( 運 筆 )하면 획의 가운데 부분이 하얗게 되어 묵 흔( 墨 痕 )이 없게 된다. 즉 나는 듯이 붓을 움직여 흰 부분을 낳는 화법이다.) 8) 을 써 그린 것은 중국과 같다.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릴 때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를 어우러지게 그리는 것은 매화( 梅 花 )나무 자체의 생김새가 그렇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중국의 음양( 陰 陽 )관념의 예술적인 수 법( 手 法 )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9) 그러니까 화면위에 허실( 虛 實 )을 상대( 相 對 )시키는 것, 즉 이허대실( 以 虛 對 實 )의 음양병용 수법( 陰 陽 병 用 手 法 )은 음양( 陰 陽 )의 병존(병 存 )을 뜻하는 것이라고 한다.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려본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학습( 學 習 )순서는 화( 花 ) 신지( 新 枝 ) 노지( 老 枝 ) 수간( 樹 幹 )이어서 꽃송이 그리는 것을 먼저 배우고 줄기 그리는 것을 맨 나중에 배운다. 그러나 실제로 한 폭의 묵매도( 墨 梅 圖 )를 그릴 때는 줄기를 먼저 그리고 꽃 송이를 맨 나중에 그린다. 그리고 瓣 (판, 꽃잎) 예(예, 꽃술) 악(악, 꽃받침)등으로 형성된 꽃(화( 花 ))을 그릴 때는 먼저 판( 瓣 )을 그리는데 판( 瓣 )은 일판일필법( 一 瓣 一 筆 法 )과 일판 이필법( 一 瓣 二 筆 法 ) 가운데 보통 一 瓣 二 筆 法 (일판이필법 ; 꽃잎 하나를 두 번 붓놀림하여 둥글납작하게 그리는 화법)을 써 그린다는 것도 상식에 속한다.

4. 고려시대( 高 麗 時 代 )의 묵매화( 墨 梅 畵 ) 고려( 高 麗 )시대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대해서 확실한 연구를 한다거나 어떤 결론을 얻을 수 는 없다. 그것은 이 때의 그림의 실물이 거의 없다시피하기 때문에 묵매화( 墨 梅 畵 )의 발전 이나 화법의 맥을 도저히 짚어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실물이 없어진 대신 화론( 畵 論 )이나 기록( 記 錄 )이 많이 남아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니까 고려( 高 麗 )시대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대 한 실증적( 實 證 的 )인 고구( 考 究 )는 불가능한 셈이다. 다만 일본( 日 本 ) 묘만사( 妙 滿 寺 )에 남 아있는 고려( 高 麗 ) 화승( 畵 僧 ) 해애( 海 涯 )(생존년대( 生 卒 年 代 )를 전혀 알 수 없는 국내( 國 內 )에서 실명( 失 名 )된지 오래된)의 세한삼우도( 歲 寒 三 友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9932cm, 송죽매( 松 竹 梅 )를 한 쌍씩 그린 그림) 10) 에 그려진 묵매화( 墨 梅 畵 )를 볼 수 있을 뿐이다. 해애( 海 涯 )외에 매화( 梅 花 )그림을 그린 사람은 두사람이있는데 11) ) 그들의 그림도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 물감을 칠여 그린 채매화( 彩 梅 畵 )였는지는 알 도리 가 없다. 어떻든 고려( 高 麗 )의 그림 가운데 여러 화목( 畵 目 )(꽃새대솔산수신선 등)은 그 본이 중국 것일것이 거의 틀림없을 것이니까 12) 고려( 高 麗 )의 묵매화( 墨 梅 畵 )도 송( 宋 )원( 元 )의 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화법 등과 비슷했을 것으로 추찰할 뿐이다 13) 그렇게 생각할 만한 근거는 북송( 北 宋 ) 휘종( 徽 宗 ) 때의 많은 서화( 書 畵 )가 직접 고려( 高 麗 )에 오고, 충선왕( 忠 善 王 )이 원( 元 )의 서울 연경( 燕 京 )의 만권당( 萬 卷 堂 )에서 귀국할 때 간책( 簡 冊 )과 서화( 書 畵 )를 배에 가득히 싣고 왔다는 기록 14) 등으로 미루어 보아 충분히 있다. 고려( 高 麗 ) 때의 매화가( 梅 畵 家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1) 해애( 海 涯 )(생졸연대( 生 卒 年 代 ) 불명( 不 明 )) 속명( 俗 名 )과 승적( 僧 籍 ) 등을 전혀 알 수 없는 해애( 海 涯 )의 그림으로 남아 있는 작품은 오로지 일본( 日 本 ) 묘만사( 妙 滿 寺 )에 있는 세한삼우도( 歲 寒 三 友 圖 )뿐이고 이 그림은 이름 그대로 송죽매( 松 竹 梅 )를 수묵( 水 墨 )으로 그린 그림이다. 각각 한 쌍씩 그린 송죽매( 松 竹 梅 )가 좌상방( 左 上 方 )으로 조금씩 기울어져 있는데 두 그루의 매화( 梅 花 )나무는 왼쪽 아래 쪽으로 전체 화면의 4분의 1쯤 차지하고 있다. 이 묵매화( 墨 梅 畵 )는 한국인이 남긴 최고 ( 最 古 )의 묵매도( 墨 梅 圖 )인 셈인데 가운데의 큰 두 그루의 노송( 老 松 )(포치( 布 置 )와 화법이 아주 좋은) 때문에 빈약하게 보이고 있다. 또 매화( 梅 花 )만 그린 그림이 아니어서 다른 묵 매도( 墨 梅 圖 )와 비교하여 구도나 화법을 본격적으로 다룰 수가 없는 것이 안타깝다. (2) 정지상( 鄭 知 常 )(? 1135) 초명( 初 名 )은 지원( 之 元 ), 호( 號 )는 남호( 南 湖 )이며 평양인( 平 壤 人 )이다. 시( 詩 )서( 書 )화 ( 畵 )에 뛰어난 사대부( 士 大 夫 )로서 고려( 高 麗 ) 12시인( 詩 人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매화 ( 梅 花 )를 잘 그렸다고 하는데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 채매화( 彩 梅 花 )였는지는 알 수가 없 다. 묘청( 妙 淸 )의 난( 亂 )(1135)때에 김부식( 金 富 軾 )에게 참살당했다. (3) 차원부( 車 原 부)(1320? ) 자( 字 )는 사평( 思 平 ), 호( 號 )는 운암( 雲 庵 ), 운암거사( 雲 巖 居 士 )이며 연안인( 延 安 人 )이다. 정몽주( 鄭 夢 周 )이색( 李 穡 ) 등과 함께 명성을 떨친 성리학자( 性 理 學 者 )였으며 벼슬을 간의대 부( 諫 議 大 夫 )까지 지냈다. 고려( 高 麗 )가 망한 후 불사이군( 不 事 二 君 )했던 두문동인( 杜 門 洞 人 ) 가운데 하나였다. 매화( 梅 花 )를 잘 그렸다고 했으나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선비였던 것으로 보아 (화공( 畵 工 )이 아니고)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5. 조선초기( 朝 鮮 初 期 )의 묵매화( 墨 梅 畵 ) 조선초기( 朝 鮮 初 期 ), 즉 14세기말에서 16세기말까지 2백년동안에 그려진 묵매화( 墨 梅 畵 ) 와 묵매화갸( 墨 梅 畵 家 )는 꽤 많다. 그러나 화원( 畵 員 )이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다는 기록은 전혀 없고 한결같이 문인화가( 文 人 畵 家 )들이 그렸을 뿐이다. 그리고 여류화가( 女 流 畵 家 )가 남긴 묵매도( 墨 梅 圖 )가 현존국내최고( 現 存 國 內 最 古 )의 (물론 일본( 日 本 )에 가 있는 고려( 高 麗 )의 해애 세한삼우도 ( 海 涯 歲 寒 三 友 圖 )를 제외한) 묵매화( 墨 梅 畵 )가 되고 있어 흥미롭 다. 이 때의 묵매도( 墨 梅 圖 )는 구도가 거의 다 직립식( 直 立 式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가

화면의 아래서 위로 바로 서 있거나 양쪽으로 조금 벌어져 있어 변화가 적은)이거나 화면의 중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호( 弧 )를 그리면서 뻗은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를 그리는 횡관 식( 橫 貫 式 )이어서 구도의 단순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까지의 중국 묵매도( 墨 梅 圖 )의 구 도에서는 적어도 5가지 이상의 변화((하횡관식( 下 橫 貫 式 )능형식( 菱 形 式 )상횡관식( 上 橫 貫 式 )S자식( 字 式 )도수식( 倒 垂 式 )등)를 보여주었는데 조조초( 朝 朝 初 ) 그림이 송( 宋 )원( 元 )고 려( 高 麗 )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면서 묵매화( 墨 梅 畵 )에서만은 두드러진 영향의 흔적을 찾기 가 어려운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은 구도에서뿐만 아니라 꽃송이를 그리는 화법(중국그림처럼 많이 그리는 것이 아니라 겨우 몇 송이만 그리는 등)에서도 괄목하게 다 른 점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초기( 朝 鮮 初 期 )의 매화가( 梅 畵 家 )로는 문종대왕( 文 宗 大 王 )강희안( 姜 希 顔 )강희맹( 姜 希 孟 )이종준( 李 宗 準 )신참( 申 潛 )안정( 安 珽 )채무일( 蔡 無 逸 )이부인( 李 夫 人 )이우( 李 瑀 ) 등이 있었 다. (1) 문종대왕( 文 宗 大 王 ) (1414 1452) 조선왕조( 朝 鮮 王 朝 ) 제 5 대 왕으로 재위( 在 位 )는 3년간(1450 1452)이었다. 시( 詩 )를 잘 짓고 초서( 草 書 )와 예서( 隸 書 )를 잘 썼으며 눈 속의 매화( 梅 花 )(설중매( 雪 中 梅 ))를 잘 그렸다고 하는데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유존( 遺 存 )된 화적( 畵 蹟 )도 없다. (2) 강희안( 姜 希 顔 ) (1419 1464) 자( 字 )는 경우( 景 愚 ), 호( 號 )는 인제( 仁 齊 )이며 진주인( 晋 州 人 )이다. 집현전직제학( 集 賢 殿 直 提 學 )의 벼슬을 지냈다. 시( 詩 )서( 書 )화( 畵 )의 삼절( 三 絶 )이었는데 특히 그림을 잘 그 렸고 매화( 梅 花 ) 그림으로 절매삽병도( 折 梅 揷 甁 圖 )(견본담채( 絹 本 淡 彩 ), 1824.2cm, 서울국 립중앙박물관소장)등이 남아있다. 이 그림은 매화( 梅 花 )만 그린 것이 아니라 거폭( 巨 幅 ) 산 수도( 山 水 圖 )의 일부분( 一 部 分 )이어서 구도 등을 고구( 考 究 )할 형편이 못된다. 한 동자( 童 子 )는 병을 들고 있고, 한 동자( 童 子 )는 괴석( 怪 石 ) 옆의 매화( 梅 花 ) 나무가지를 꺾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물론 묵매화( 墨 梅 畵 )는 아니다. (3) 강희맹( 姜 希 孟 ) (1424 1483) 자( 字 )는 경순( 景 醇 ), 호( 號 )는 사숙제( 私 淑 齊 )운송거사( 雲 松 居 士 )이며 강희안( 姜 希 顔 )의 아우이다. 벼슬은 좌찬성( 左 贊 成 )에 이르렀으며, 서화( 書 畵 )를 잘 했는데 특히 송( 松 )죽 ( 竹 )매( 梅 )를 잘 그렸다. 유작( 遺 作 )이 없다. (4) 이종준( 李 宗 準 ) (? 1499) 자( 字 )는 중구( 仲 鉤 ), 호( 號 )는 용제(용 齊 )부휴거사( 浮 休 居 士 )등이며 경주인( 慶 州 人 )이 다. 김종직( 金 宗 直 )에게 배우고 성종( 成 宗 ) 16년(1485)에 문과( 文 科 )에 급제하였으며 연 산군( 燕 山 君 ) 5년(1499)에 죽었다. 시( 詩 )서( 書 )화( 畵 )를 다 잘 했으며, 특히 매( 梅 )죽 ( 竹 )을 잘그렸는데 유작( 遺 作 )이 없다. (5) 신잠( 申 潛 )(1491 1554) 자( 字 )는 원량( 元 亮 ), 호( 號 )는 영천자( 靈 川 子 )아차산인( 峨 嵯 山 人 )이었으며 고령인( 高 靈 人 )이다. 목사( 牧 使 )를 지냈으며 서( 書 )화( 畵 )를 잘했다. 그의 작품으로 전하는 서울국립중 앙박물관의 탐매도( 探 梅 圖 )(또는 설중기려도( 雪 中 騎 驢 圖 ), 견본설채( 絹 本 說 彩 ), 21144cm) 는 필법( 筆 法 )이 웅위( 雄 偉 )하면서 묘사( 描 寫 )가 정세( 精 細 )하다. (6) 안정( 安 珽 )(1494? ) 자( 字 )는 정연( 珽 然 ), 호( 號 )는 죽창( 竹 窓 )식창( 拭 瘡 )이며 순흥인( 順 興 人 )이다. 현감( 縣 監 )을 지냈으며 가야금과 화목( 花 木 )으로 여생을 즐기면서 매( 梅 )죽( 竹 )을 그렸다. 역시 묵 매화( 墨 梅 畵 )를 그렸는지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7) 채무일( 蔡 無 逸 )(1496 1546) 자( 字 )는 거경( 居 敬 ), 호( 號 )는 일계( 逸 溪 )휴암( 休 巖 )이며 인천인( 仁 川 人 )이다. 정랑( 正 郞 )을 지냈으며 서( 書 )화( 畵 )음률( 音 律 )이 다 극묘( 極 妙 )했다. 초충( 草 충)과 매( 梅 )를 잘 그렸는데 지금의 기록상으로는 조선( 朝 鮮 ) 최초( 最 初 )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이다. 팔분서 ( 八 分 書 )도 잘 쓰고 중종( 中 宗 )의 초상을 이상좌( 李 上 佐 ) 등과 함께 그리기도 했다. 매화( 梅 花 )를 지극히 좋아했던 퇴계( 退 溪 ) 이황( 李 滉 )은 채무일( 蔡 無 逸 )의 묵매도( 墨 梅 圖 )에 시( 詩 )를 두 수( 首 )를 썼는데 그 첫 수( 首 )를 보면 다음과 같다. 늙은 매화나무에 향기 뿜는 옥이 가득하고, 만옥( 萬 玉 )이 달린 가지 위엔 어름처럼 찬달이 걸렸구나. 보일듯말듯한 구름마저 씻은 듯이 사라지고, 고산( 孤 山 )의 밤 경치는 그지없이 맑구나.

고매향동옥영영, 만만빙륜전상명, 갱대징운혼거진, 고산종야불승청( 古 梅 香 動 玉 盈 盈, 滿 滿 氷 輪 輾 上 明, 更 待 徵 雲 渾 去 盡, 孤 山 終 夜 不 勝 淸.) (8) 이부인( 李 夫 人 )(1529 1592) 호( 號 )는 매창( 梅 窓 )이며 덕수인( 德 水 人 )이다. 사임당( 思 任 堂 ) 신부인( 申 夫 人 )의 장녀( 長 女 )로 희언( 希 彦 ) 조대남( 趙 大 男 )에게 출가( 出 嫁 )했다. 유작( 遺 作 )으로는 8폭화첩( 幅 畵 帖 ) 중의 하나인 월매도( 月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3525cm, 개인소장)가 있다. 굵고 뭉툭한 노간( 老 幹 )에 가느다란 신지( 新 枝 )가 위와 옆으로 힘차게 뻗쳐 있고 백매( 白 梅 ) 여러 송이 가 찬 달빛을 받아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그린 노간( 老 幹 )에 많지 않 은 꽃송이는 고고( 高 孤 )한 청자( 淸 姿 )를 돋보이게 한다. 구도는 단순하나 필력( 筆 力 )이 대 단한 그림이라 하겠다. 물론 월매도( 月 梅 圖 )는 현존( 現 存 ) 국내( 國 內 ) 최고( 最 古 )의 묵매 도( 墨 梅 圖 )가 되는 셈이다. 그리고 이부인( 李 夫 人 )은 매자( 梅 字 )를 넣어 호( 號 )를 지은 최 초의 화가(조선( 朝 鮮 )시대의)라 하겠다. 참고로 조선( 朝 鮮 )시대의 화가중 매자( 梅 字 )를 넣 어 호( 號 )를 지은 사람을 보면 매호( 梅 湖 )(조우인( 曺 友 仁 )) 매헌( 梅 軒 )(윤정립( 尹 貞 立 )) 매 창( 梅 窓 )매곡( 梅 谷 )(조지운( 趙 之 耘 )) 매은( 梅 隱 )(이세송( 李 世 松 ))등이 있으며 중국( 中 國 )에 는 수 없이 많다. (9) 이우( 李 瑀 )(1542 1609) 자( 字 )는 계헌( 季 獻 ), 호( 號 )는 옥산( 玉 山 )죽와( 竹 窩 )이며 덕수인( 德 水 人 )이다. 사임당 ( 思 任 堂 ) 신부인( 申 夫 人 )의 넷째 아들이며 율곡( 栗 谷 )의 아우이다. 시( 詩 )서( 書 )화( 畵 )금 ( 琴 )을 잘 하여 사절( 四 絶 )이라는 말을 들었다. 유작( 遺 作 )으로는 설중매죽도( 雪 中 梅 竹 圖 ) 와 노매도( 老 梅 圖 ) 등이 있는데 모두 웅건( 雄 健 )하면서 고매( 高 邁 )한 그림이다. 설중매죽도( 雪 中 梅 竹 圖 )(저본수묵( 苧 本 水 墨 ), 37.630.3cm, 개인소장)는 그의 누나 이부인 ( 李 夫 人 )이 그린 월매도( 月 梅 圖 )(직립식( 直 立 式 )구도)와는 다른 그림이다. 한국 최초의 횡 간식( 橫 貫 式 )구도의 그림으로 노간( 老 幹 )은 역시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그렸는데 화면의 중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뻗다가 3분의 2쯤에서 뚝 멈추었다. 새로 난 가느다란 가지들은 위아 래앞으로 길게 뻗었다. 대나무 잎은 왼쪽과 아랫쪽에 열 잎쯤 검게 그려졌다. 매( 梅 )죽( 竹 ) 이 다 흰 눈을 무겁게 이고 있다. 이 그림 역시 지금 남아있는 설매도( 雪 梅 圖 )로는 제일 오 래된 그림이다. 그리고 설중매( 雪 中 梅 )이기도 하지만 도운법( 倒 暈 法 )으로 그린 한국 최초의 묵매도( 墨 梅 圖 )여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는 가작( 佳 作 )이다. 6. 조선중기( 朝 鮮 中 期 )의 묵매화( 墨 梅 畵 ) 17세기초에서 18세기말까지 약 2백년동안에는 10여명의 전문적인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가 등장하여 좋은 그림을 많이 그렸다. 왜란( 倭 亂 )과 호란( 胡 亂 ) 등 10년의 전란( 戰 亂 )을 겪 은 후 명말청초( 明 末 淸 初 )의 화론( 畵 論 )이 들어오고, 초기( 初 期 )에 이어 묵죽화( 墨 竹 畵 )묵 난화( 墨 蘭 畵 )와 함께 사대부( 士 大 夫 )의 묵기( 墨 技 )로 크게 유행했다. 이 때의 묵매화( 墨 梅 畵 )는 구도로 초기묵매화( 初 期 墨 梅 畵 )보다는 복잡해지고 꽃송이도 좀 더 많이 그렸다. 이 때엔 3가지 구도가 유행했는데 어몽룡( 魚 夢 龍 )(1566?)의 좌상향식( 左 上 向 式 )(오른쪽 아 래 코너에서 왼쪽 위 코너로 노간( 老 幹 )이 구부러져 올라가는), 허목( 許 穆 )(1595 1682) 의 우상향식( 右 上 向 式 )(왼쪽 아래 코너에서 오른쪽 위 코너로 노간( 老 幹 )이 구부러져 올라 가는), 오달제( 吳 達 濟 )(1609 1637)의 도수식( 倒 垂 式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 내려오면서 약간 U자형( 字 形 )으로 구부러진)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좌( 左 )우상향식( 右 上 向 式 ) 구도는 중국 묵매화그림에서 거의 볼 수 없는 것으로 한국화가들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창조 적인 구도라 하겠다. 또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의 수( 數 )나 질( 質 )로 보아서도 이 때가 초기 ( 初 期 )나 후기( 後 期 )보다 월등하게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조선중기( 朝 鮮 中 期 )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에는 어몽룡( 魚 夢 龍 )최전( 崔 澱 )송민고( 宋 民 古 ) 조속( 趙 涑 )허목( 許 穆 )오달제( 吳 達 濟 )허 ( 許 )정경흠( 鄭 慶 欽 )조치운( 趙 之 耘 )홍수주( 洪 受 疇 )박동진( 朴 東 晋 ) 등이 있었다 (1) 어몽룡( 魚 夢 龍 )(1566?) 자( 字 )는 견보( 見 甫 ), 호( 號 )는 설곡( 雪 谷 )설천( 雪 川 )이며 함종인( 咸 從 人 )이다. 매화( 梅 花 )를 잘 그려 이정( 李 霆 )의 죽( 竹 ), 황집중( 黃 執 中 )의 포도와 함께 삼절( 三 絶 )이라 했다. 필자( 筆 者 )의 견해로는 초기( 初 期 )의 이우( 李 瑀 ), 중기( 中 期 )의 어몽룡( 魚 夢 龍 )조지운( 趙 之 耘 ), 후기( 後 期 )의 조희룡( 趙 熙 龍 )등 네 화가를 한국사대묵매화가( 韓 國 四 大 墨 梅 畵 家 )로 보 고싶다. 어몽룡( 魚 夢 龍 )의 월매도( 月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19.453.6cm, 서울국립중앙박물

관소장)는 구도와 화법이 이부인( 李 夫 人 )의 월매도( 月 梅 圖 )와 아주 흡사하여 혹시 방작( 倣 作 )이나 모작( 摹 作 )이 아닌가 할 정도이다. 간( 幹 )지( 枝 )화( 花 )는 말할 것도 없고 달까지 (위치만 다르다) 같다. 그러나 또 하나의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22.452.4 cm,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소장)는 크기는 비슷하나 구도가 다른 그림이다. 고매( 古 梅 )의 긴 노간(노간( 老 幹 ))이 오른쪽아래에서 왼쪽으로 뻗친후 화면의 가운데로 곧게 올라가다가 다 시 오른쪽으로 꺾이는가 하다가 멈췄다. 그리고는 세장( 細 長 )한 신지( 新 枝 )가 왼쪽으로 뻗 치면서 화면의 왼쪽 위 코너까지 올라 갔다. 그러니까 미학( 美 學 )에서 말하는 가장 미감( 美 感 )을 많이 주는 S자식( 字 式 )구도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구도는 원( 元 )나라 왕면( 王 冕 )의 남지춘조도( 南 枝 春 早 圖 )의 구도와 똑 같다. 중국인 양호( 楊 鎬 )가 그의 그림을 보고 화격( 畵 格 )은 매우 좋으나 거꾸로 드리운 모습 이 없어 섭섭하다 고 평( 評 )한 것처럼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화( 墨 梅 畵 )에는 왕면( 王 冕 )이 나 진헌장( 陳 獻 章 )의 그림처럼 도수지상( 倒 垂 之 狀 )(거꾸로 드리운 모습 즉 도의식( 倒 垂 式 ) 구도)이 없어 다양( 多 樣 )한 구도미( 構 圖 美 )를 볼 수가 없다. 그래도 그는 16세기 묵매화가 ( 墨 梅 畵 家 )의 대표적인 작가였다. 진천현감( 鎭 川 縣 監 )을 지낸 그는 이외에도 여러 폭의 묵매도( 墨 梅 圖 )를 남겼으며 거의 다 노( 老 )조( 粗 )간( 幹 )은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꽃은 권판법( 圈 辨 法 )으로 그렸다. (2) 최전( 崔 澱 )(1568 1589) 자( 字 )는 언심( 彦 沈 ), 호( 號 )는 양포( 楊 浦 )이며 해주인( 海 州 人 )이다. 시문( 詩 文 )에 뛰어 나고 매( 梅 )죽( 竹 )노안( 蘆 雁 )을 잘 그렸다. 매화( 梅 花 )그림은 입신( 入 神 )의 경지에 이르렀 다하나 유물( 遺 物 )이 없어(너무나 일찍 죽어 작품을 많이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고구( 考 究 ) 할 길이 없다. (3) 송민고( 宋 民 古 )(1592?) 자( 字 )는 순지( 順 之 ), 호( 號 )는 난곡( 蘭 谷 )이며 여산인( 礪 山 人 )이다. 화원( 畵 員 )이었으며 청록산수도( 靑 綠 山 水 圖 )(견본설채( 絹 本 說 彩 ), 134.649cm, 서울국립중앙박물관소장)와 묵매 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2732.3cm, 서울대박물관소장)등을 남겼다. 묵매도( 墨 梅 圖 ) 는 구도와 화법이 시원치가 못한 범작( 凡 作 )으로 그림보다는 화제( 畵 題 )의 글씨가 더 볼만 하다. (4) 조속( 趙 涑 )(1595 1668) 자( 字 )는 희온( 希 溫 ), 호( 號 )는 창강( 滄 江 )취추( 醉 醜 )취옹( 醉 翁 )이며 풍양인( 豊 壤 人 )이 다. 영모( 翎 毛 )산수절지( 折 枝 )매죽( 梅 竹 )을 잘 그렸는데 매( 梅 )는 어몽룡( 魚 夢 龍 )의 그림을 닮았다. 매작도( 梅 鵲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10156cm, 간송미술관소장)의 구도와 화법은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도( 墨 梅 圖 )와 비슷하여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9156.4 cm, 서울국립중앙박물관소장)는 어몽룡( 魚 夢 龍 )의 월매도( 月 梅 圖 )와 꼭 닮았다. 16, 17세기 한국 묵매도( 墨 梅 圖 )의 구도는 직립식( 直 立 式 )과 S자식( 字 式 )구도가 압도적으로 많고 도수 식( 倒 垂 式 )은 거의 없다시피하고 있음을 이들 그림에서 뿐만 아니라 허목( 許 穆 )의 묵매도 ( 墨 梅 圖 )에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북송말( 北 宋 末 )에 유행한 능형식( 菱 形 式 )구도는 이때까 지 나타나지도 않았다. 조속( 趙 涑 )의 묵매도( 墨 梅 圖 )는 노( 老 )조( 粗 )( 幹 )은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꽃송이는 묵지 법( 墨 漬 法 )으로 그렸는데 묵지화( 墨 漬 花 )는 보기 드문 그림이다. (5) 허목( 許 穆 )(1595 1682) 자( 字 )는 화보( 和 甫 ), 문부( 文 父 ), 호( 號 )는 미수( 眉 수)석호장인( 石 戶 丈 人 )이며 양천인 ( 陽 川 人 )이다. 전서( 篆 書 )를 잘 써 동방( 東 方 )의 제일( 第 一 )이라는 말을 들었으며 매( 梅 )죽 ( 竹 )을 잘 그렸다. 그의 매화( 梅 花 )그림은 모두 품격( 品 格 )이 고매( 高 邁 )하고 필치( 筆 致 )가 청아경건( 淸 雅 勁 健 )했다. 그의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9755cm, 개인소장)는 조속( 趙 涑 )의 매작도( 梅 鵲 圖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도( 墨 梅 圖 ) 등과 닮은 S자식( 字 式 )구도 의 그림이어서 아름다움과 부드러움을 더 주고 있다. (6) 오달제( 吳 達 濟 )(1609 1637) 자( 字 )는 계휘( 季 輝 ), 호( 號 )는 추담( 秋 潭 )이며 해주인( 海 州 人 )이다. 병자호란( 丙 子 胡 亂 ) 때 적장( 敵 將 ) 용골대( 龍 骨 大 )에게 굽히지 않아 처형당했다. 부교리( 副 校 理 )로 요절( 夭 折 )한 그는 묵매화( 墨 梅 畵 )를 잘 그렸는데 유작( 遺 作 )인 두 폭의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 紙 本 水 墨 ), 10557cm 와 8855cm, 두 폭 다 개인소장)에는 다 어찬( 御 贊 )이 있다. 두 그림 의 구도는 비슷하나 작은 그림의 구도는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도( 墨 梅 圖 )를 닮았다. 또 서 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06.457cm)는 도수식( 倒 垂 式 )구도로 필력( 筆 力 )이 넘치는 그림이나 노간(노간( 老 幹 ))이 도무지 어색하게 그려졌으며

많지않은 꽃송이도 부자연스럽다. (7) 허 ( 許 )(1614? ) 징( 澄 )이라고도 하며, 자( 字 )는, 자수( 子 秀 ), 호( 號 )는 은사( 隱 士 )이며 양천인( 陽 川 人 )이 다매( 梅 )난( 蘭 )을 잘 그렸는데 매( 梅 )는 친구인 조지운( 趙 之 耘 )과 함께 당세( 當 世 )에 이름 을 떨쳤다고하나 유작( 遺 作 )을 보기가 힘들다. (8) 정경흠( 鄭 慶 欽 )(1620 1678) 자( 字 )는 선숙( 善 叔 ), 호( 號 )는 육오당( 六 吾 堂 )이며 하동인( 河 東 人 )이다. 매( 梅 )난( 蘭 )죽 ( 竹 )포도 등을 두루 다 잘 그렸다. (9) 조지운( 趙 之 耘 )(1637? ) 창강( 滄 江 ) 조속( 趙 涑 )의 아들로 자( 字 )는 운지( 耘 之 ), 호( 號 )는 매창( 梅 窓 )매곡( 梅 谷 )매 은( 梅 隱 )이며 풍양인( 豊 壤 人 )이다. 매화( 梅 花 )와 영모( 翎 毛 )를 잘 그렸다. 간송미술관에 있 는 그의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2534.6cm)는 노간(노간( 老 幹 ))은 비백법( 飛 白 法 ), 꽃송이는 묵지법( 墨 漬 法 )으로 그려진 가작( 佳 作 )이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는 묵매도( 墨 梅 圖 ) 9폭(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18.552cm 크기의 1폭 과 51.235.8cm크기의 8폭)을 남기고 있어 한 작가의 묵매도( 墨 梅 圖 )로는 가장 많이 남겨진 셈이다. (10) 홍수주( 洪 受 疇 )(1642 1704) 자( 字 )는 구언( 九 言 ), 호( 號 )는 호은( 壺 隱 )호곡( 壺 谷 )이며 남양인( 南 陽 人 )이다. 매( 梅 )죽 ( 竹 )포도를 잘 그렸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2457.6cm)는 정세치밀( 精 細 緻 密 )하고 건아핍진( 健 雅 逼 眞 )한 그림이다. 특히 노간(노간( 老 幹 ))이 왼쪽 위에서 화면의 중앙 아래로 힘차게 거꾸로 드리우다가 오른쪽 위로 꺾인 S자 식( 字 式 )구도는 중국 원( 元 )나라 왕면( 王 冕 )(14세기)의 조수고매도( 照 水 古 梅 圖 )명( 明 )나라 진헌장( 陳 獻 章 )(15세기)의 만옥도( 萬 玉 圖 )와 같은 구도의 그림이다. 그러나 꽃송이는 그들 의 그림보다 비교할 수 없이 적다. 하여튼 이 그림은 완벽한 S자식( 字 式 )구도의 묵매도( 墨 梅 圖 )로서 우수한 작품이다. (11) 박동진( 朴 東 晋 )(18세기) 호( 號 )는 청구자( 靑 丘 子 )죽리( 竹 里 )였으며 개성인( 開 城 人 )이다. 화원( 畵 員 )으로 1711년 (숙종( 肅 宗 ) 37년) 통신사( 通 信 史 )의 수행원으로 일본( 日 本 )에 가 맹호연방매도( 孟 浩 然 訪 梅 圖 )를 그려 남기기도 했다. 또 그는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14065cm, 개인 소장) 쌍폭( 雙 幅 )을 남겼는데 이 그림 두 폭은 한국 묵매도( 墨 梅 圖 ) 가운데 구도와 화법이 가장 기괴( 奇 怪 )한 그림이다. 지나치게 기교를 부려 화격( 畵 格 )도 떨어지고 작품자체가 졸 렬( 拙 劣 )하게 되고만 느낌이 든다. 이루말하면 아름다움이란 즐거움을 객관화( 客 觀 化 )한 것이다 는 일반적인 진리를 무시한 그림이라 하겠다. 7.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의 묵매화( 墨 梅 畵 ) 정조대왕( 正 祖 大 王 )때부터 일정초( 日 政 初 )까지 1백 50년간의 묵매화( 墨 梅 畵 )는 중기( 中 期 )만큼은 못했다고 하겠다. 매화( 梅 花 )그림의 구도는 다양( 多 樣 )해졌지만 지나치게 번잡해 진 것 같고 (변칙적인 구도가 나타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보다는 채매화가( 彩 梅 畵 家 )가 더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묵죽화가( 墨 竹 畵 家 )들이 제 철을 만난 듯 열 심히 그리고, 영( 英 )정년간( 正 年 間 )의 문예부흥과 실학사상( 實 學 思 想 )이라는 누벨바그가 화 단( 畵 壇 )을 휩쓸고 있는 동안 묵매화( 墨 梅 畵 )는 빛을 내지 못하고 있었다. 채매화( 彩 梅 畵 ) 로는 명품( 名 品 )이 많이 남아 있으나 묵매화( 墨 梅 畵 )는 볼만한 것이 많치 못하다.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에 매화( 梅 花 )그림을 잘 그린 문인화가( 文 人 畵 家 )와 화원( 畵 員 )은 정 조대왕( 正 祖 大 王 )주의식( 朱 義 植 )허욱( 許 勖 )정약용( 丁 若 鏞 )홍대용( 洪 大 鏞 )조희룡( 趙 熙 龍 )정 태규( 鄭 兌 奎 )이남식( 李 南 軾 )이공우( 李 公 愚 )방희용( 方 羲 鏞 )허유( 許 維 )서미순( 徐 眉 淳 )전기( 田 琦 )오경석( 吳 慶 錫 )장승업( 張 承 業 )양기훈( 楊 基 薰 )송수면( 宋 修 勉 )강진희( 姜 璡 熙 )정대유( 丁 大 有 )조석진( 趙 錫 晋 )김용진( 金 容 鎭 )이도영( 李 道 榮 ) 등이었다. (1) 정조대왕( 正 祖 大 王 )(1752 1800) 휘( 諱 )는 산(산), 자( 字 )는 향운( 享 運 ), 호( 號 )는 홍재( 弘 齋 )이며 조선왕조( 朝 鮮 王 朝 ) 제 22대 왕이었다. 재위( 在 位 ) 24년동안 유학( 儒 學 )을 크게 장려하고 문운( 文 運 )을 부흥시켜 소위 영( 英 )정( 正 )의 문예부흥을 일으켰던 현군( 賢 君 )이다. 매화( 梅 花 )를 잘 그리고 글씨도 잘 썼는데 지금 서울대학교박물관에 있는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12362.6cm) 는 고아청수( 高 雅 淸 秀 )한 그림으로 구도가 특이하다. 마름모꼴 능형( 菱 形 )을 세워놓은 것

같은 구도이며 화면의 중앙에 5행( 行 )의 화찬( 畵 贊 )이 잘 쓰여져있다. (2) 조희룡( 趙 熙 龍 )(1797 1859) 자( 字 )는 치운( 致 雲 ), 호( 號 )는 우봉( 又 峯 ), 철적( 鐵 笛 )호산( 壺 山 )단노( 丹 老 )매수( 梅 수) 이며 평양인( 平 壤 人 )이다. 매( 梅 )란( 蘭 )채접( 彩 蝶 )산수( 山 水 ) 등을 두루 다 잘 그렸으며 글 씨는 완당( 阮 堂 ) 김정희( 金 正 喜 )의 서체( 書 體 )(추사체( 秋 史 體 ))를 배우고 따라 썼다. 매화 ( 梅 花 )그림은 화면( 畵 面 ) 가득히 어지럽게 그려 중국그림 맛을 냈다.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 의 대표적인 매화가( 梅 畵 家 )인 그는 매화서옥도( 梅 花 書 屋 圖 ) 두 폭(서울국립중앙박물과 간 송미술관에 각각 소장, 105.545.8cm등)과 여러 폭의 노매도( 老 梅 圖 )(고대( 高 大 )박물관과 서울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를 남겼으며 그의 매화첩( 梅 畵 帖 )도 유존( 遺 存 )되고 있다. (3) 이공우( 李 公 愚 )(1805? ) 자( 字 )는 공여( 公 汝 ), 호( 號 )는 석연( 石 蓮 )육완당( 六 玩 堂 )두강초부( 荳 江 樵 夫 )이며 연안인 ( 延 安 人 )이다. 매( 梅 )와 서( 書 )를 잘 했는데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채매도( 彩 梅 圖 ) 쌍 폭(쌍 幅 )(지본담채( 紙 本 淡 彩 ), 131.230cm)은 교과서적인 그림이지만 청아( 淸 雅 )하며, 그가 쓴 칠언시( 七 言 詩 ) 두 수( 首 )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봄을 앞서 먼 곳에 그림 한 폭 부치려, 제일 먼저 꽃이 핀 매화가지를 꺾어 왔네. 꿈은 서호( 西 號 )로 가고 산 위에 달은 어두운데, 새까만 사창( 紗 窓 )밖의 그림자는 산란하구나 ( 先 春 遠 寄 墨 淋 리, 折 得 寒 梅 第 一 枝, 夢 요 西 湖 山 月 暗, 漆 紗 窓 外 影 參 差.) 달 밟은 고산( 孤 山 )의 처사( 處 士 )집에, 호수 빛깔은 흰옥이 비낀 듯 젖었구나. 가로 세로 휘두른 전서( 篆 書 )의 행세로서, 쇠줄을 구부려서 꽃들을 만들었네. ( 明 月 孤 山 處 士 家, 湖 光 寒 浸 玉 橫 斜, 似 將 篆 縱 橫 筆, 鐵 線 圈 成 箇 箇 花.) 또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채매도( 彩 梅 圖 ) 6폭(지본담채( 紙 本 淡 彩 ) 124.243cm)은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에 유행했던 매화도( 梅 花 圖 )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그림들이라 하겠다. 6 폭의 그림은 구도가 모두 다른데 2폭은 대(죽( 竹 ))까지 약간 넣었으므로 매죽도( 梅 竹 圖 )라 고도 할 수 있겠다. (4) 오경석( 吳 慶 錫 )(1831 1879) 자( 字 )는 원거( 元 거), 호( 號 )는 역매( 亦 梅 )이며 해주인( 海 州 人 )이다. 역관( 譯 官 )겸 서화 가( 書 畵 家 )금석학자( 金 石 學 者 )였으며 한( 韓 )중( 中 ) 두 나라의 서( 書 )화( 畵 )비( 碑 )판( 版 )을 많이 수장하고 삼한금석록( 三 韓 金 石 錄 )이라는 책을 쓰기도 했다. 아들 오세창( 吳 世 昌 )( 號 는 葦 滄 1864 1953, 33 人 의 하나, 서가( 書 家 )로 근역서화징( 槿 域 書 畵 徵 )등을 지었다.)은 가 학( 家 學 )을 이어 빛을 냈다. 역매( 亦 梅 )는 산수( 山 水 )와 매화( 梅 花 )를 그렸는데 매화( 梅 花 ) 그림은 필력( 筆 力 )이 모자라고 섬약한 느낌을 주고 있다. (5) 장승업( 張 承 業 )(143 1897? ) 자( 字 )는 경유( 景 猶 ), 호( 號 )는 오원( 吾 園 )취명거사( 醉 瞑 居 士 )이며 대원인( 大 元 人 )이다. 졸년( 卒 年 )이 확실치 않은 오원( 吾 園 )은 화원( 畵 員 )으로 단원( 檀 園 ) 김홍도( 金 弘 道 )이후의 거장( 巨 匠 )이란 말을 들을만큼 각체( 各 體 )의 그림을 잘 그렸다. 그의 홍백매( 紅 白 梅 ) 10정 병( 幀 屛 )(지본설채( 紙 本 設 彩 ), 430.391cm, 개인소장)은 구도와 화법등이 특출( 特 出 )하고 웅장한 매화도( 梅 花 圖 )이다. 능형식( 菱 形 式 )구도에 웅장완벽섬세함이 가득하여 중국그림냄 새가 나고 필력( 筆 力 )이 넘치는 걸작이다. (6) 양기훈( 楊 基 薰 )(1843 1897) 자( 字 )는 치남( 稚 南 ), 호( 號 )는 석연( 石 然 )패상어인( 浿 上 漁 人 )이며 중화인( 中 和 人 )이다. 화원( 畵 員 )으로 노안( 蘆 雁 )매( 梅 ) 등을 잘 그렸다. 매( 梅 )는 묵매( 墨 梅 )와 채매( 彩 梅 )를 다 잘 그렸는데 그의 월매도( 月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25.536.5cm, 개인소장)는 구도와 달의 위치(화면의 왼쪽 반에 매화( 梅 花 )를 그리고 달을 왼쪽 중간 아랫쪽에 3분의 2만 보 이게 그린)가 특이한 가작( 佳 作 )이다. 또 양사본( 洋 사 本 )에 설채( 設 彩 )로 그린 10폭( 幅 ) 병풍인 매도( 梅 圖 )(각폭( 各 幅 )은 10335cm, 개인소장)도 모두 구도와 화법이 특이하다. (7) 송수면( 宋 修 勉 )(1847? ) 자( 字 )는 안여( 顔 汝 ), 호( 號 )는 사호( 沙 湖 )이며 여산인( 礪 山 人 )이다. 매( 梅 )죽( 竹 )화접

( 花 蝶 )을 그렸는데 매( 梅 )를 특히 잘 그렸다.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75.240.3cm, 개인소장)등을 남겼다. (8) 강진희( 姜 璡 熙 )(1851 1919) 호( 號 )는 청운( 菁 雲 )으로 서화가( 書 畵 家 )였다. 전서( 篆 書 )예서( 隸 書 )등을 잘 쓰고 산수 ( 山 水 )묵매( 墨 梅 )를 잘 그렸다. 간송미술관에 있는 기생수득도도( 幾 生 修 得 到 圖 )(견본수묵 ( 絹 本 水 墨 ), 2328.6cm)는 그의 전서( 篆 書 )와 권판법( 圈 瓣 法 )으로 그린 매화( 梅 花 )를 볼 수 있는 소품( 小 品 )이다. (9) 조석진( 趙 錫 晋 )(1853 1920) 호( 號 )는 소림( 小 琳 )으로 임전( 琳 田 ) 조정규( 趙 廷 奎 )의 손자이며 소정( 小 亭 ) 변관식( 卞 寬 植 )의 외조부( 外 祖 父 )이다. 오원( 吾 園 ) 장승업( 張 承 業 )이후 제일명가( 第 一 名 家 )라는 말을 들을만큼 단아수일( 端 雅 秀 逸 )한 그림을 잘 그렸다. 간송미술관에 있는 선천하춘도( 先 天 下 春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31.8131cm)를 굵직한 노간(노간( 老 幹 ))이 사선( 斜 線 )(우상향( 右 上 向 ))으로 그려지고 사방으로 뻗은 세지( 細 枝 )에 만발한 꽃송이는 백옥( 白 玉 )처럼 아름답 다. 8. 결 론 ( 結 論 ) 다른 그림과 마찬가지로 묵매화( 墨 梅 畵 )의 화법( 畵 法 )과 화풍( 畵 風 )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와 한국화가들의 그림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해도, 한국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은 적어도 묵죽화가( 墨 竹 畵 家 )들보다는 덜 중국에 사대( 事 大 )했을뿐 아니라 오히려 독창적인 스타일( 樣 式 )을 창조했던 것 같다. 그것은 조선( 朝 鮮 ) 5백년동안에 그려진 묵매화( 墨 梅 畵 )를 살펴보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이 며 자부이다. 중국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이 어지럽게 줄기와 가지(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를 그리고 수십수백 꽃송이를 화면( 畵 面 ) 가득히 그리면서 웅장( 雄 壯 )완벽( 完 璧 )섬세 ( 纖 細 )를 추구할 때, 한국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은 그런 화법( 畵 法 )과 화풍( 畵 風 )에 얽매 이지 않고 자유( 自 由 )스럽고 자연( 自 然 )스럽게, 무기교( 無 技 巧 )의 기교( 技 巧 )라는 한국미술 의 기조를 지키면서 여백( 餘 白 )의 미( 美 )(이런 표현이 묵매화( 墨 梅 畵 )에서도 가능하다면)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보았다. 이런 결론과 추리는 한국의 화가들이 중국의 화가들보다는 수적으로는 부족하지만 그들이 남긴 작품의 질( 質 )(이런 표현이 가능할지 몰라도)에 있어서는 결코 손색이 없음도 살펴보 았다. 언제나 그렇지만 미술품을 양적( 量 的 )인 측면에서건, 질적( 質 的 )인 면에서건 우열( 優 劣 ) 을 평가한다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방법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그러니까 중국 묵매화( 墨 梅 畵 )가 더 우수( 優 秀 )하고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가 열등( 劣 等 )하다는 (물론 그 반대의 경우 도 마찬가지이다.) 논리( 論 理 )는 거부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말이다. 반년전에 살펴본 한국묵죽화( 韓 國 墨 竹 畵 )에 관한 연구( 硏 究 ) 에서보다 훨씬 더 유쾌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던 필자는 한국의 자연역사민족 등에 애정어린 눈길을 보냈던 선조들에 게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오랜 사대( 事 大 )의 물결속에서도 한국적 인 아름다움을 조형( 造 形 )했던 선조들의 건강한 자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