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묵매화에 관한 연구 ( 韓 國 墨 梅 畵 에 관한 硏 究 ) 문화재전문위원 許 英 桓 1. 序 論 5. 朝 鮮 初 期 의 墨 梅 畵 2. 墨 梅 畵 의 歷 史 6. 朝 鮮 中 期 의 墨 梅 畵 3. 墨 梅 畵 의 畵 法 7. 朝 鮮 後 期 의 墨 梅 畵 4. 高 麗 時 代 의 墨 梅 畵 8. 結 論 1. 서론( 序 論 ) 한국 서예계( 書 藝 界 )의 원로( 元 老 )인 소전( 素 전) 손재형( 孫 在 馨 )님은 그의 집을 봉래제일 선관( 蓬 萊 第 一 仙 館 )이라 부르고 그곳에서 작품생활을 하시다가 지금은 쉬고 계시다. 그는 글씨 쓰는 것을 서예( 書 藝 )(글씨의 예술이라는 뜻) 1) 라 부르기 시작한 서가( 書 家 )이기도 하다. 소전( 素 전)은 또 매화( 梅 花 )를 지극히 사랑하여 동한( 冬 寒 )속에서도 분매( 盆 梅 ) 기르기에 정성을 쏟으며 남쪽 창 아래를 아예 분매향처( 盆 梅 香 處 )라 부르기도 했다. 그 분매향처( 盆 梅 香 處 )에서 어느해 정월에 동천연로항장곡( 桐 千 年 老 恒 藏 曲 ) 매일생한불매향( 梅 一 生 寒 不 賣 香 )(오동나무는 아무리 오래된 것일지라도 켜 가 야금을 만들면 언제나 좋은 음악을 들려주고, 매화는 평생을 추운곳에서 자라도 결코 향기 를 팔지 않는다.) 이라 쓰시고 글도 좋고 글씨도 좋지 하시던 모습을 오늘 이 글을 쓰면 서 다시 떠 올린다. 그리고 지난 겨울 우리집 백매( 白 梅 ) 한 그루(작은 분매( 盆 梅 )로 이름을 월파( 月 波 )라 부 르는)가 살을 에이는 추위 속에서 청아( 淸 雅 )한 자태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그윽한 향기로 서재를 가득 채워준 고마움을 잊을 수가 없다. 이육사( 李 陸 史 )의 시( 詩 ) 한 귀절인 지금 눈나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가 생각나는 겨울 속의 매향( 梅 香 )이었다. 그래서 지난 해의 한국묵죽화( 韓 國 墨 竹 畵 )에 관한 연구( 硏 究 ) 2) 에 이어 그 여향( 餘 香 )속에서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서리와 눈(상설( 霜 雪 ))속에서 피어 맑은 향기(청향( 淸 香 ))를 내는 매화( 梅 花 )는 백화( 百 花 )가 피기전에 피므로 화형( 花 兄 ) 또는 화괴( 花 魁 )라고 부르기도 하고 봄을 가장 먼저 전 해준대서 철간선춘( 鐵 幹 先 春 )한향철간( 寒 香 鐵 幹 )일지춘색( 一 枝 春 色 )이라고도 부른다. 또 분 매( 盆 梅 )는 동한( 冬 寒 )속에서, 야매( 野 梅 )는 춘한( 春 寒 )속에서 피어 그 고고( 高 孤 )한 청자 ( 淸 姿 )를 자랑하기 때문에 누속( 陋 俗 )한 시세( 時 勢 )와 압력에 굽히지 않는 군자( 君 子 )와 고 사( 高 士 )의 지조( 志 操 )와 절개( 節 介 )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예부터 매지운( 梅 之 韻 ), 난지향( 蘭 之 香 ), 국지윤( 菊 之 潤 ), 죽지청( 竹 之 淸 ), 함유일유( 咸 有 一 有 ), 불역군자호( 不 亦 君 子 乎 ). 매유처사지취( 梅 有 處 士 之 趣 ), 난유왕자지향( 蘭 有 王 者 之 香 ), 국유걸사지풍( 菊 有 傑 士 之 風 ), 죽유대부지기( 竹 有 大 夫 之 氣 ). 매영인고( 梅 令 人 高 )매초학사시( 梅 招 學 士 詩 )매가연연( 梅 可 延 年 )등의 말이 널리 쓰여지고 믿어져 왔다. 그리고 매( 梅 )죽( 竹 )을 쌍청(쌍 淸 )이아( 二 雅 ), 매( 梅 )죽( 竹 )송( 松 )을 세한삼 우( 歲 寒 三 友 )라 불렀다. 또 매( 梅 )는 품종( 品 種 )도 20여종( 種 )이 될 뿐 아니라 화제상( 畵 題 上 )으로도 30가지에 가까운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림 1 남송( 南 宋 )의 조맹견작( 趙 孟 堅 作 ) 세한삼우( 歲 寒 三 友 ) 우선 품종별( 品 種 別 )로 보면 백매( 白 梅 )홍매( 紅 梅 )주매( 朱 梅 )주사매( 朱 砂 梅 )시매( 時 梅 )소 매( 消 梅 )침매( 侵 梅 )녹매( 綠 梅 )자화매( 紫 花 梅 )동심매( 同 心 梅 )인지매(연 脂 梅 )여우매( 麗 友 梅 ) 여지매( 麗 枝 梅 )품자매( 品 字 梅 )궁성매( 宮 城 梅 )천엽매( 千 葉 梅 )구영매( 九 英 梅 )담홍매( 淡 紅 梅 ) 송춘매( 送 春 梅 )철골매( 鐵 骨 梅 ) 3) 등이 있고 화제상( 畵 題 上 )으로는 노매( 老 梅 )고매( 古 梅 )월매( 月 梅 )설매( 雪 梅 )계매( 溪 梅 )강매 ( 江 梅 )야매( 野 梅 )촌매( 村 梅 )궁매( 宮 梅 )성매( 城 梅 )정매( 庭 梅 )소매( 疎 梅 )수매( 瘦 梅 )왜매( 矮 梅 )연매( 煙 梅 )암향매( 暗 香 梅 )수월매( 水 月 梅 )나부매( 羅 浮 梅 )수령매( 瘦 嶺 梅 )고산매( 孤 山 梅 )산 중매( 山 中 梅 )서호매( 西 湖 梅 )서창매( 書 窓 梅 )금옥매( 琴 屋 梅 )미개매( 未 開 梅 )반개매( 半 開 梅 ) 4) 등이 있다.
그림 2 원( 元 ) 왕면작( 王 冕 作 ) 조수고매도( 照 水 古 梅 圖 )
그리고 여담( 餘 談 )이지만 매자( 梅 字 )가 들어가는 것으로는 매화주( 梅 花 酒 )매실주( 梅 實 酒 ) 매화산자( 梅 花 子 )매화죽( 梅 花 粥 )매림( 梅 霖 )매우( 梅 雨 )매병( 梅 甁 )매신( 梅 信 )매실( 梅 室 )매 실( 梅 實 )매천( 梅 天 )매하( 梅 夏 )매향매원( 梅 香 梅 園 )매화사( 梅 花 詞 )매호( 梅 湖 )매화산( 梅 花 山 ) 매화도( 梅 花 島 )매화육궁( 梅 花 六 宮 ) 매홍지( 梅 紅 紙 )매화잠( 梅 花 簪 )매화장( 梅 花 粧 ) 등에 매화 타령( 梅 花 打 令 )매화( 梅 花 )틀매독( 梅 毒 )까지 있으니 가위 익살이요 역설적( 逆 說 的 )인 표현이 기도 하다. 또 매화( 梅 花 )의 명산지( 名 産 地 )는 중국( 中 國 ) 광동성( 廣 東 省 )의 나부( 羅 浮 )라는 곳이어 서 매화( 梅 畵 )의 제명( 題 名 )을 나부향( 羅 浮 香 )나부몽( 羅 浮 夢 )나부향몽( 羅 浮 香 夢 )이라고도 한다. 사군자( 四 君 子 )의 계절순서는 매란국죽( 梅 蘭 菊 竹 )이지만 사군자화( 四 君 子 畵 )를 배우는 순 서는 매( 梅 )가 제일 늦어 난죽국매( 蘭 竹 菊 梅 )임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매화( 梅 畵 )의 구도와 화법도 시대에 따라 변화발전되어 왔는데 이 글에서는 묵매화( 墨 梅 畵 )만 다뤘으며 중국( 中 國 )의 묵매화( 墨 梅 畵 )도 약간 고찰해 보았다. 그 까닭은 우리의 묵매화( 墨 梅 畵 )를 더욱 잘 이해하고 창조적인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의 활동을 조명( 照 明 )해 보므로써 양식( 樣 式 )과 화법( 畵 法 )을 밝혀보자는 의도였기 때문이다. 2. 묵매화( 墨 梅 畵 )의 역사( 歷 史 ) 묵매화( 墨 梅 畵 )가 묵죽화( 墨 竹 畵 )보다 좀 늦게 시작된 것은 중국( 中 國 )에서나 한국( 韓 國 ) 에서나 마찬가지다. 즉 중국( 中 國 )에서는 북송( 北 宋 )말엽(11세기), 한국( 韓 國 )에서는 고려 ( 高 麗 )말엽(13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앵도과( 科 )에 속하는 활엽교목인 매화( 梅 花 )나무는 중국황하( 中 國 黃 河 )이남한국( 韓 國 )중 부이남일본( 日 本 )대만( 臺 灣 ) 등지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먼 옛날부터 화제( 畵 題 )가 되어 그려졌고 북송( 北 宋 )중엽 이전까지는 설색화( 設 色 畵 )로 그려졌다. 즉 윤곽을 그리고 그 안 에 물감을 칠하는 화법( 勒 塡 彩 法 구륵전채법)으로 그려졌고, 대부분이 산수화( 山 水 畵 )인물 화( 人 物 畵 )화조화( 花 鳥 畵 )의 일부분이나 배경으로 그려졌지, 수묵( 水 墨 )으로 그리고 하나의 독립된 제재( 題 材 )로 그리기 시작한 것은 북송( 北 宋 ) 중엽부터이다. 물론 한국에서도 이런 형편은 비슷했을 것임은 수묵화( 水 墨 畵 )문인화( 文 人 畵 )사군자화( 四 君 子 畵 )의 변화발전상으 로 보아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림 3 명( 明 )의 진헌장작( 陳 憲 章 作 ) 만옥도( 萬 玉 圖 )
우선 중국에서의 묵매화( 墨 梅 畵 )의 창시( 創 始 )와 발전을 보면 이렇다. 11세기말엽 사천성( 四 川 省 ) 출신의 중, 즉 선승( 禪 僧 )이었던 중인( 仲 仁 )(쭝런)은 북송 ( 北 宋 ) 신종( 神 宗 )시대(1068 1085)부터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으며 호남성( 湖 南 省 ) 형양 ( 衡 陽 )의 화광사( 華 光 寺 )에 머물면서 소성년간( 紹 聖 年 間 )(1094 1097)에 가장 활발히 그 렸던 것 같다. 5) 중인( 仲 仁 )은 묵매화( 墨 梅 畵 )를 창시한 후 그와 동시대( 同 時 代 )의 문인( 文 人 )들로부터 주 목을 받았는데 소식( 蘇 軾 )(쑤쓰, 1036 1101)황정견( 黃 庭 堅 )(황팅지엔, 1045 1105)진 관( 秦 觀 )(찐꽌, 1049 1101)등 지도적 위치에 있던 문인( 文 人 )들은 이 새로운 화제( 畵 題 ) 를 추숭( 推 崇 )했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황정견( 黃 庭 堅 )은 중인( 仲 仁 )과 아주 가까이 지내 면서 시( 詩 )를 써주기도 하고 중인( 仲 仁 )의 산수화( 山 水 畵 )와 묵매화( 墨 梅 畵 )를 받기도 했 다. 6) 중인( 仲 仁 )의 작품은 아깝게도 남아 전해지는 것이 없다. 그러나 중인( 仲 仁 )보다 몇 해 뒤 의 또 다른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 삼암수( 三 巖 수)(왕이엔소우, 1042 1091)는 묵매화권( 墨 梅 畵 卷 )을 남기고 있어 좋은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북송( 北 宋 )의 멸망(1126)으로 묵매화( 墨 梅 畵 )는 강남( 江 南 )(양자강( 揚 子 江 )남쪽지방)과 동북( 東 北 )(만주( 滿 洲 )지방)으로 번져 본격적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강남( 江 南 )의 남송( 南 宋 )시대 일류( 一 流 )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는 양보지( 揚 補 之 )(양뿌즈, 1097 1167)를 비롯한 이중영( 李 仲 永 )탕정중( 湯 正 仲 )담봉춘( 譚 逢 春 )양계형( 揚 季 衡 )유몽량( 劉 夢 良 ) 등이었고, 동북 ( 東 北 )의 금( 金 )나라(1115 1234) 시대에는 왕연균( 王 延 筠 )(왕팅윤, 1097 1171)이 많 이 활약하면서 고사도( 枯 사 圖 ) 등 가작( 佳 作 )을 남겼다.
그림 4 이부인작( 李 夫 人 作 ) 월매도( 月 梅 圖 ) 원( 元 )나라(1280 1368) 때는 이간( 李 간)(리칸, 1245 1320)가구사( 柯 九 思 )(커지우 쓰, 1290 1343)왕면( 王 冕 )(왕미엔, 1335 1407), 곽비( 郭 비)(꿔비,? 1341)등의 대가 ( 大 家 )와 오관( 吳 瓘 )오대소( 吳 大 素 )진립선( 陳 立 善 )진처형( 陳 處 亨 )추복뢰( 鄒 復 雷 )등이 묵매 화( 墨 梅 畵 )를 그렸고, 명( 明 )나라(1368 1644)때는 주호( 周 昊 )당숙( 唐 肅 )서경( 徐 敬 )유산 ( 兪 山 )육복( 陸 復 )허앙( 許 昻 )왕언( 王 彦 )손종길( 孫 宗 吉 )임도손( 任 道 遜 )왕인좌( 王 人 佐 )원자초 ( 袁 子 初 )진헌장( 陳 獻 章 )주희문( 朱 希 文 )등, 청( 淸 )나라(1616 1912)때는 김농( 金 農 )서성 ( 書 誠 )영충( 永 忠 )동옥( 童 鈺 )진찬( 陳 撰 )허남( 許 楠 )김준명( 金 俊 明 )호공수( 胡 公 壽 )사산춘( 沙 山 春 )오창석( 吳 昌 碩 )왕사신( 汪 士 愼 )주광정( 朱 光 珽 )등이 묵매화( 墨 梅 畵 )를 잘 그렸다.
그림 5 어몽룡작( 魚 夢 龍 作 ) 묵매도( 墨 梅 圖 )
한국에서 언제부터 묵매화( 墨 梅 畵 )가 그려지기 시작했는지에 관한 기록이나 연구는 아직 까지 없는 것같다. 다만 한( 韓 )중( 中 ) 문화교류사로 미루어 보아 고려( 高 麗 )말엽쯤부터 중 국의 묵매화( 墨 梅 畵 )가 들어왔거나 송( 宋 )원( 元 )에 가서 보고 배운 문인( 文 人 )이나 화원( 畵 員 )이 그리기 시작하지 않았을까 생각될 뿐이다. 7) 그것은 고려( 高 麗 )와 송( 宋 )원( 元 )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아도 그렇고, 일본( 日 本 ) 묘만사 ( 妙 滿 寺 )에 남아있는 고려( 高 麗 )의 화승( 畵 僧 ) 해애( 海 涯 )(한국에서는 실명( 失 名 )된지 오래 이고 화적( 畵 蹟 )도 남은 것이 없다.)의 세한삼우도( 歲 寒 三 友 圖 )(송( 松 )죽( 竹 )매( 梅 )를 비단 에 그린 수묵화( 水 墨 畵 ), 9932cm)를 보아도 그러하며, 또 조선초( 朝 鮮 初 ) 서화가( 書 畵 家 ) 며, 대수장가( 大 收 藏 家 )였던 안평대군( 安 平 大 君 ) 이용( 李 瑢 )(1418 1453)의 수장품 가운 데 원대( 元 代 ) 묵매화( 墨 梅 畵 )의 대가( 大 家 )였던 왕면( 王 冕 )(1335 1407)의 묵매도( 墨 梅 圖 )가 5폭이나 있었던 것을 보아도 그렇다. 해애( 海 涯 )의 생졸연대( 生 卒 年 代 )를 전혀 알 길 이 없어 그가 매화( 梅 花 )를 잘 그렸다는 정지상( 鄭 知 常 )(? 1135)보다 앞사람인지 뒷사람 인지는 알 수 없어도 어떻든 고려( 高 麗 )중엽에 매화( 梅 花 )그림이 있었던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러니까 중국에서의 묵매화( 墨 梅 畵 )는 선승( 禪 僧 )이 처음 그리고 사인( 士 人 )들이 찬상 ( 讚 賞 )한 후 문인화가( 文 人 畵 家 )들이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고 하겠지만, 한국에서는 문인( 文 人 )이 먼저였는지 화승( 畵 僧 )이 먼저였는지 알 수가 없다. 지금 기록상 남아있는 한국의 매화가( 梅 畵 家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와 채매화가( 彩 梅 畵 家 )를 다 포함한)에는 고려( 高 麗 )의 해애( 海 涯 )정지상( 鄭 知 常 )차원부( 車 原 부)조선( 朝 鮮 )의 문종대 왕( 文 宗 大 王 )강희안( 姜 希 顔 )강희맹( 姜 希 孟 )이종준( 李 宗 準 )신잠( 申 潛 )안정( 安 珽 )채무일( 蔡 無 逸 )이부인( 李 夫 人 )이우( 李 瑀 )어몽룡( 魚 夢 龍 )최전( 崔 澱 )송민고( 宋 民 古 )조속( 趙 涑 )허목( 許 穆 ) 오달제( 吳 達 濟 )허 ( 許 )정경흠( 鄭 慶 欽 )조지운( 趙 之 云 )홍수주( 洪 受 疇 )정조대왕( 正 祖 大 王 ) 주의식( 朱 義 植 )박동진( 朴 東 晋 )정약용( 丁 若 鏞 )홍대용( 洪 大 鏞 )조희룡( 趙 熙 龍 )정태규( 鄭 兌 奎 ) 이남식( 李 南 軾 )이공우( 李 公 遇 )방의용( 方 義 鏞 )허유( 許 維 )서미순( 徐 眉 淳 )전기( 田 琦 )오경석( 吳 慶 錫 )장승업( 張 承 業 )양기훈( 楊 基 薰 )송수면( 宋 修 勉 )강진희( 姜 璡 熙 )정대유( 丁 大 有 )조석진( 趙 錫 晋 )김용진( 金 容 鎭 )이도영( 李 道 榮 ) 등이 있다. 한국의 묵매도( 墨 梅 圖 )(재매도( 彩 梅 圖 )를 제외한)를 일람표( 一 覽 表 )로 만들어 보면 다음 과 같다. 한국( 韓 國 )의 묵매도( 墨 梅 圖 ) 일람표( 一 覽 表 ) 번호 작가의 호와 이름 때 그림 이름 그림모양 크기(cm) 있는 곳 1 海 涯 高 麗 歲 寒 三 友 圖 세로 9932 일본( 日 本 )묘만사( 妙 滿 寺 ) 2 逸 溪 蔡 無 逸 1 4 9 6 1546 墨 梅 圖??? 3 梅 窓 李 夫 人 1 5 2 9 1592 月 梅 圖 세로 3525 개인 4 玉 山 李 瑀 1 5 4 2 1609 雪 中 梅 竹 圖 37.630.3 5 老 梅 圖??? 6 雪 谷 魚 夢 龍 1566? 月 梅 圖 세로 119.453.6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7 墨 梅 圖 122.452.4 8 蘭 谷 宋 民 古 1592? 墨 梅 圖 32.327 서울대 박물관 9 滄 江 趙 涑 1 5 9 5 1668 梅 鵲 圖 10156 간송미술관 10 墨 梅 圖 9156.4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1 5 9 5 11 眉 수 許 穆 墨 梅 圖 9755 개인 1682 1 6 0 9 12 秋 潭 吳 達 濟 墨 梅 圖 10557 1637 13 墨 梅 圖 8855 14 墨 梅 圖 106.457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15 梅 谷 趙 之 耘 1637? 墨 梅 圖 가로 2534.6 간송미술관
16 墨 梅 圖 세로 118.552 서울 국립 중앙박물관 17 墨 梅 圖 (8폭) 51.235.8 18 壺 隱 洪 受 疇 1 6 4 2 1704 墨 梅 圖 12457.6 19 靑 丘 子 朴 東 晋 18세기 墨 梅 圖 (쌍폭) 14065 개인 20 正 祖 大 王 1 7 5 2 1800 墨 梅 圖 12362.5 서울대 박물관 21 又 峯 趙 熙 龍 1 7 9 7 梅 花 書 屋 圖 1859 세로 10.545.8 간송미술관 1 8 4 3 22 吾 園 張 承 業 紅 白 梅 10 幀 屛 가로 430.391 개인 1897 1 8 4 3 23 石 然 楊 基 薰 月 梅 圖 세로 125.536.5 1897 24 沙 湖 宋 修 勉 1847? 墨 梅 圖 75.240.3 1 8 5 1 25 菁 雲 姜 璡 熙 幾 生 修 得 到 圖 가로 2328.6 간송미술관 1919 1 8 5 3 26 小 琳 趙 錫 晋 先 天 下 春 國 세로 13131.8 1920
3. 묵매화( 墨 梅 畵 )의 화법( 畵 法 ) 그림 6 조속작( 趙 涑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림 7 목작( 穆 作 ) 매죽도( 梅 竹 圖 )
그림 8 오달진작( 吳 達 晋 作 ) 묵매도( 墨 梅 圖 ) 묵매화( 墨 梅 畵 )도 다른 그림과 마찬가지로 비단(견( 絹 ))모시(저( 苧 ))종이(지( 紙 ))등에 그 리며 화법( 畵 法 )은 크게 구도( 構 圖 )와 용필법( 用 筆 法 )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는 중국그림과 한국그림이 거의 달라서 두 민족의 역사성격기호미 의식 등을 반영해 주고 있다. 특히 한국그림은 중국그림의 모방이 아닌 창조성을 많이 보여 주고 있다. 중국 최초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이며 북송말( 北 宋 末 ) 휘종( 徽 宗 )황제 때의 정화( 政 和 )선화 년간( 宣 和 年 間 )(1111 1125)까지 그림을 그린 중인( 仲 仁 )의 작품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분석(특히 Stylishcal analysis)해 볼 수 없지만 그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관한 시( 詩 )와 선 승화가( 禪 僧 畵 家 )들이 그린 수묵화( 水 墨 畵 )의 구도등을 미루어 보아 화면의 가운데 왼쪽에 서 오른쪽으로 약간 弧 (호)를 그리면서 뻗어 있는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들(즉 호형지( 弧 形 枝 )들)로 이뤄진 호형( 弧 形 )(또는 횡관식( 橫 貫 式 )) 구도이었던 것 같다. 꽃송이는 묵지법 ( 墨 漬 法 )(묵지법, 거품처럼 먹물을 찍어 바르는 화법)으로 그렸던 것 같다. 그러나 중인( 仲 仁 )보다 조금 늦게 그리기 시작한 왕암수( 王 巖 수)는 원심성( 遠 心 性 )(Centrifugalized)의 마름모꼴 ( 菱 形 능형)구도의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다. 물론 꽃송이 도 화면 가득히 수없이 많이 그려 중국인이 좋아하는 웅장( 雄 壯 )완벽( 完 璧 )극세감( 極 細 感 ) 등을 나타냈다. 원대( 元 代 )의 가구사( 柯 九 思 )는 다시 중인( 仲 仁 )과 같은 횡관식( 橫 貫 式 )구도(이번에는 호 ( 弧 )가 약간 위로 올라가는)고 그렸다. 그러나 꽃송이는 가득 그렸으며 화법은 남송( 南 宋 ) 의 양보지( 揚 補 之 )가 창안한 권판법( 圈 瓣 法 )(권판법, 꽃잎의 테두리를 둥글게 그리는 화법) 을 썼다.
그림 9 조지운작( 趙 之 耘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림 10 이공우작( 李 公 愚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림 11 이공우작( 李 公 愚 作 ) 채매도( 彩 梅 圖 )
그림 12 오원( 吾 園 ) 장승업작( 張 承 業 作 ) 홍백매십정병도( 紅 白 梅 十 幀 屛 圖 ) 그림 13 강진희작( 姜 進 熙 作 ) 묵매도( 墨 梅 圖 )
이런 구도와 화법은 왕면( 王 冕 )시절에 와서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 드리운 모습( 倒 垂 之 狀 : 도수지상의 소위 S자식( 字 式 )구도로 나타났다. 이런 구도는 명대( 明 代 )의 진헌장( 陳 獻 章 ) 등이 계승하여 중국적인 묵매화( 墨 梅 畵 )구도로 크게 각광을 받았다. 왕면( 王 冕 )의 남지조춘 도( 南 枝 早 春 圖 )와 조수고매도( 照 水 古 梅 圖 ), 진헌장( 陳 獻 章 )의 만옥도( 萬 玉 圖 ) 등은 다 그 대표적인 그림으로 유명하다. 그림 14 조석진작( 趙 錫 晋 作 ) 묵매도( 墨 梅 圖 )
그러니까 중국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상횡관식( 上 橫 貫 式 )능형식( 菱 形 式 )하횡관식( 下 橫 貫 式 )S자식( 字 式 )도수식( 倒 垂 式 )등)의 발전을 도표로 하면 별표( 別 表 )처럼 요약할 수 있다. <page 162 그림> 또 화법( 畵 法 )은 묵지법( 墨 漬 法 ) 권판법( 圈 瓣 法 ) 도운법( 倒 暈 法 )(도운법, 남송( 南 宋 )의 이중영( 李 仲 永 )이 창시한 화법으로 꽃송이 부분 외는 수묵( 水 墨 )으로 해나 달무리 처럼 포 위하면서 칠하는 법이다. 이 화법은 그리기 어렵고 사의화( 寫 意 畵 )를 그리는 문인( 文 人 )의 취미와 뜻에 맞지않아 곧 쇠퇴했다.) 순서로 시작되었다고 하겠다.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에서는 중국그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횡관식( 橫 貫 式 )과 S자식( 字 式 )구도는 이우( 李 瑀 )(1542 1609)와 오달제( 吳 達 濟 )(1609 1637)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몇 폭 있을 뿐이고 화면의 아래에서 위로 뻗쳐 올라가는 직립식( 直 立 式 ) 또는 사선식( 斜 線 式 ) 오른쪽 아래 코너에서 왼쪽위 코너(좌상향( 左 上 向 )), 또는 왼쪽 아래 코너에서 오른쪽 위 코너(우상향( 右 上 向 ))로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가 뻗는 구도가 많은 것이 특이하고 흥미롭다. 중국 묵매화( 墨 梅 畵 )의 초기에 나타난 능형식( 菱 形 式 )구도(11세기말)는 19세기 말 오원( 吾 園 ) 장승업( 張 承 業 )(1843 1897? )의 그림 (홍백매( 紅 白 梅 ) 10정병( 幀 屛 ))에 서야 늦게 나타났으며 조희룡( 趙 熙 龍 )(1797 1859)의 그림처럼 불규칙하게 노( 老 ) (조 ( 粗 )) 간( 幹 )과 신( 新 ) (세( 細 )) 지( 枝 )가 어지럽게 뒤얽혀 거꾸로 드리워진 구도는 아주 드문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한가지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의 공통된 특징은 한결같이 꽃송이가 절대로 중국 그 림처럼 많지 않다는 점이다. 그것은 아마도 한국사람이 성긴 것어리숙한 것완벽하지 않은 것기교를 부리지 않는 것 등을 좋아한 성격 탓인 것 같기도 하고, 한국미술의 바탕을 흐르 는 자연주의( 自 然 主 義 )의 발로( 發 露 )인 것 같기도 하다. 이에 반하여 중국사람은 빽빽한 것 완전무결한 것아주 예쁜 것되도록 큰 것 등을 좋아한다는 것은 다 알려진 그들의 민족성이 기도 하다. 위와 같은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를 발생순으로 보면 별표( 別 表 )와 같다.
<page 163 그림> 꽃송이의 화법은 도운법( 倒 暈 法 )은 거의 쓰지 않았으며 묵지법( 墨 漬 法 )과 권판법( 圈 瓣 法 ) 을 애용했다. 그리고 매화( 梅 花 )나무의 늙은 줄기(노간( 老 幹 ))와 가느다란 새 가지(신세지 ( 新 細 枝 ))는 거의 다 중국그림처럼 마디가 많고 껍질이 물고기 비늘 같이 거칠게 그리는 (조간( 粗 幹 )으로) 多 節 老 幹 法 (다절노간법)과 鱗 준 寒 枝 法 (인준한지법)을 써 그렸다. 물론 조 간( 粗 幹 )을 그릴 때 첫 번 째 붓놀림(용필( 用 筆 ))은 비백법( 飛 白 法 )(글씨 쓸 때의 용필법의 한가지로 붓을 힘 주어 누르면서 빨리 운필( 運 筆 )하면 획의 가운데 부분이 하얗게 되어 묵 흔( 墨 痕 )이 없게 된다. 즉 나는 듯이 붓을 움직여 흰 부분을 낳는 화법이다.) 8) 을 써 그린 것은 중국과 같다.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릴 때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를 어우러지게 그리는 것은 매화( 梅 花 )나무 자체의 생김새가 그렇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중국의 음양( 陰 陽 )관념의 예술적인 수 법( 手 法 )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9) 그러니까 화면위에 허실( 虛 實 )을 상대( 相 對 )시키는 것, 즉 이허대실( 以 虛 對 實 )의 음양병용 수법( 陰 陽 병 用 手 法 )은 음양( 陰 陽 )의 병존(병 存 )을 뜻하는 것이라고 한다.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려본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학습( 學 習 )순서는 화( 花 ) 신지( 新 枝 ) 노지( 老 枝 ) 수간( 樹 幹 )이어서 꽃송이 그리는 것을 먼저 배우고 줄기 그리는 것을 맨 나중에 배운다. 그러나 실제로 한 폭의 묵매도( 墨 梅 圖 )를 그릴 때는 줄기를 먼저 그리고 꽃 송이를 맨 나중에 그린다. 그리고 瓣 (판, 꽃잎) 예(예, 꽃술) 악(악, 꽃받침)등으로 형성된 꽃(화( 花 ))을 그릴 때는 먼저 판( 瓣 )을 그리는데 판( 瓣 )은 일판일필법( 一 瓣 一 筆 法 )과 일판 이필법( 一 瓣 二 筆 法 ) 가운데 보통 一 瓣 二 筆 法 (일판이필법 ; 꽃잎 하나를 두 번 붓놀림하여 둥글납작하게 그리는 화법)을 써 그린다는 것도 상식에 속한다.
4. 고려시대( 高 麗 時 代 )의 묵매화( 墨 梅 畵 ) 고려( 高 麗 )시대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대해서 확실한 연구를 한다거나 어떤 결론을 얻을 수 는 없다. 그것은 이 때의 그림의 실물이 거의 없다시피하기 때문에 묵매화( 墨 梅 畵 )의 발전 이나 화법의 맥을 도저히 짚어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실물이 없어진 대신 화론( 畵 論 )이나 기록( 記 錄 )이 많이 남아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니까 고려( 高 麗 )시대의 묵매화( 墨 梅 畵 )에 대 한 실증적( 實 證 的 )인 고구( 考 究 )는 불가능한 셈이다. 다만 일본( 日 本 ) 묘만사( 妙 滿 寺 )에 남 아있는 고려( 高 麗 ) 화승( 畵 僧 ) 해애( 海 涯 )(생존년대( 生 卒 年 代 )를 전혀 알 수 없는 국내( 國 內 )에서 실명( 失 名 )된지 오래된)의 세한삼우도( 歲 寒 三 友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9932cm, 송죽매( 松 竹 梅 )를 한 쌍씩 그린 그림) 10) 에 그려진 묵매화( 墨 梅 畵 )를 볼 수 있을 뿐이다. 해애( 海 涯 )외에 매화( 梅 花 )그림을 그린 사람은 두사람이있는데 11) ) 그들의 그림도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 물감을 칠여 그린 채매화( 彩 梅 畵 )였는지는 알 도리 가 없다. 어떻든 고려( 高 麗 )의 그림 가운데 여러 화목( 畵 目 )(꽃새대솔산수신선 등)은 그 본이 중국 것일것이 거의 틀림없을 것이니까 12) 고려( 高 麗 )의 묵매화( 墨 梅 畵 )도 송( 宋 )원( 元 )의 묵매화( 墨 梅 畵 )의 구도화법 등과 비슷했을 것으로 추찰할 뿐이다 13) 그렇게 생각할 만한 근거는 북송( 北 宋 ) 휘종( 徽 宗 ) 때의 많은 서화( 書 畵 )가 직접 고려( 高 麗 )에 오고, 충선왕( 忠 善 王 )이 원( 元 )의 서울 연경( 燕 京 )의 만권당( 萬 卷 堂 )에서 귀국할 때 간책( 簡 冊 )과 서화( 書 畵 )를 배에 가득히 싣고 왔다는 기록 14) 등으로 미루어 보아 충분히 있다. 고려( 高 麗 ) 때의 매화가( 梅 畵 家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1) 해애( 海 涯 )(생졸연대( 生 卒 年 代 ) 불명( 不 明 )) 속명( 俗 名 )과 승적( 僧 籍 ) 등을 전혀 알 수 없는 해애( 海 涯 )의 그림으로 남아 있는 작품은 오로지 일본( 日 本 ) 묘만사( 妙 滿 寺 )에 있는 세한삼우도( 歲 寒 三 友 圖 )뿐이고 이 그림은 이름 그대로 송죽매( 松 竹 梅 )를 수묵( 水 墨 )으로 그린 그림이다. 각각 한 쌍씩 그린 송죽매( 松 竹 梅 )가 좌상방( 左 上 方 )으로 조금씩 기울어져 있는데 두 그루의 매화( 梅 花 )나무는 왼쪽 아래 쪽으로 전체 화면의 4분의 1쯤 차지하고 있다. 이 묵매화( 墨 梅 畵 )는 한국인이 남긴 최고 ( 最 古 )의 묵매도( 墨 梅 圖 )인 셈인데 가운데의 큰 두 그루의 노송( 老 松 )(포치( 布 置 )와 화법이 아주 좋은) 때문에 빈약하게 보이고 있다. 또 매화( 梅 花 )만 그린 그림이 아니어서 다른 묵 매도( 墨 梅 圖 )와 비교하여 구도나 화법을 본격적으로 다룰 수가 없는 것이 안타깝다. (2) 정지상( 鄭 知 常 )(? 1135) 초명( 初 名 )은 지원( 之 元 ), 호( 號 )는 남호( 南 湖 )이며 평양인( 平 壤 人 )이다. 시( 詩 )서( 書 )화 ( 畵 )에 뛰어난 사대부( 士 大 夫 )로서 고려( 高 麗 ) 12시인( 詩 人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매화 ( 梅 花 )를 잘 그렸다고 하는데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 채매화( 彩 梅 花 )였는지는 알 수가 없 다. 묘청( 妙 淸 )의 난( 亂 )(1135)때에 김부식( 金 富 軾 )에게 참살당했다. (3) 차원부( 車 原 부)(1320? ) 자( 字 )는 사평( 思 平 ), 호( 號 )는 운암( 雲 庵 ), 운암거사( 雲 巖 居 士 )이며 연안인( 延 安 人 )이다. 정몽주( 鄭 夢 周 )이색( 李 穡 ) 등과 함께 명성을 떨친 성리학자( 性 理 學 者 )였으며 벼슬을 간의대 부( 諫 議 大 夫 )까지 지냈다. 고려( 高 麗 )가 망한 후 불사이군( 不 事 二 君 )했던 두문동인( 杜 門 洞 人 ) 가운데 하나였다. 매화( 梅 花 )를 잘 그렸다고 했으나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선비였던 것으로 보아 (화공( 畵 工 )이 아니고)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5. 조선초기( 朝 鮮 初 期 )의 묵매화( 墨 梅 畵 ) 조선초기( 朝 鮮 初 期 ), 즉 14세기말에서 16세기말까지 2백년동안에 그려진 묵매화( 墨 梅 畵 ) 와 묵매화갸( 墨 梅 畵 家 )는 꽤 많다. 그러나 화원( 畵 員 )이 묵매화( 墨 梅 畵 )를 그렸다는 기록은 전혀 없고 한결같이 문인화가( 文 人 畵 家 )들이 그렸을 뿐이다. 그리고 여류화가( 女 流 畵 家 )가 남긴 묵매도( 墨 梅 圖 )가 현존국내최고( 現 存 國 內 最 古 )의 (물론 일본( 日 本 )에 가 있는 고려( 高 麗 )의 해애 세한삼우도 ( 海 涯 歲 寒 三 友 圖 )를 제외한) 묵매화( 墨 梅 畵 )가 되고 있어 흥미롭 다. 이 때의 묵매도( 墨 梅 圖 )는 구도가 거의 다 직립식( 直 立 式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가
화면의 아래서 위로 바로 서 있거나 양쪽으로 조금 벌어져 있어 변화가 적은)이거나 화면의 중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호( 弧 )를 그리면서 뻗은 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를 그리는 횡관 식( 橫 貫 式 )이어서 구도의 단순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까지의 중국 묵매도( 墨 梅 圖 )의 구 도에서는 적어도 5가지 이상의 변화((하횡관식( 下 橫 貫 式 )능형식( 菱 形 式 )상횡관식( 上 橫 貫 式 )S자식( 字 式 )도수식( 倒 垂 式 )등)를 보여주었는데 조조초( 朝 朝 初 ) 그림이 송( 宋 )원( 元 )고 려( 高 麗 )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면서 묵매화( 墨 梅 畵 )에서만은 두드러진 영향의 흔적을 찾기 가 어려운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은 구도에서뿐만 아니라 꽃송이를 그리는 화법(중국그림처럼 많이 그리는 것이 아니라 겨우 몇 송이만 그리는 등)에서도 괄목하게 다 른 점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초기( 朝 鮮 初 期 )의 매화가( 梅 畵 家 )로는 문종대왕( 文 宗 大 王 )강희안( 姜 希 顔 )강희맹( 姜 希 孟 )이종준( 李 宗 準 )신참( 申 潛 )안정( 安 珽 )채무일( 蔡 無 逸 )이부인( 李 夫 人 )이우( 李 瑀 ) 등이 있었 다. (1) 문종대왕( 文 宗 大 王 ) (1414 1452) 조선왕조( 朝 鮮 王 朝 ) 제 5 대 왕으로 재위( 在 位 )는 3년간(1450 1452)이었다. 시( 詩 )를 잘 짓고 초서( 草 書 )와 예서( 隸 書 )를 잘 썼으며 눈 속의 매화( 梅 花 )(설중매( 雪 中 梅 ))를 잘 그렸다고 하는데 묵매화( 墨 梅 畵 )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유존( 遺 存 )된 화적( 畵 蹟 )도 없다. (2) 강희안( 姜 希 顔 ) (1419 1464) 자( 字 )는 경우( 景 愚 ), 호( 號 )는 인제( 仁 齊 )이며 진주인( 晋 州 人 )이다. 집현전직제학( 集 賢 殿 直 提 學 )의 벼슬을 지냈다. 시( 詩 )서( 書 )화( 畵 )의 삼절( 三 絶 )이었는데 특히 그림을 잘 그 렸고 매화( 梅 花 ) 그림으로 절매삽병도( 折 梅 揷 甁 圖 )(견본담채( 絹 本 淡 彩 ), 1824.2cm, 서울국 립중앙박물관소장)등이 남아있다. 이 그림은 매화( 梅 花 )만 그린 것이 아니라 거폭( 巨 幅 ) 산 수도( 山 水 圖 )의 일부분( 一 部 分 )이어서 구도 등을 고구( 考 究 )할 형편이 못된다. 한 동자( 童 子 )는 병을 들고 있고, 한 동자( 童 子 )는 괴석( 怪 石 ) 옆의 매화( 梅 花 ) 나무가지를 꺾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물론 묵매화( 墨 梅 畵 )는 아니다. (3) 강희맹( 姜 希 孟 ) (1424 1483) 자( 字 )는 경순( 景 醇 ), 호( 號 )는 사숙제( 私 淑 齊 )운송거사( 雲 松 居 士 )이며 강희안( 姜 希 顔 )의 아우이다. 벼슬은 좌찬성( 左 贊 成 )에 이르렀으며, 서화( 書 畵 )를 잘 했는데 특히 송( 松 )죽 ( 竹 )매( 梅 )를 잘 그렸다. 유작( 遺 作 )이 없다. (4) 이종준( 李 宗 準 ) (? 1499) 자( 字 )는 중구( 仲 鉤 ), 호( 號 )는 용제(용 齊 )부휴거사( 浮 休 居 士 )등이며 경주인( 慶 州 人 )이 다. 김종직( 金 宗 直 )에게 배우고 성종( 成 宗 ) 16년(1485)에 문과( 文 科 )에 급제하였으며 연 산군( 燕 山 君 ) 5년(1499)에 죽었다. 시( 詩 )서( 書 )화( 畵 )를 다 잘 했으며, 특히 매( 梅 )죽 ( 竹 )을 잘그렸는데 유작( 遺 作 )이 없다. (5) 신잠( 申 潛 )(1491 1554) 자( 字 )는 원량( 元 亮 ), 호( 號 )는 영천자( 靈 川 子 )아차산인( 峨 嵯 山 人 )이었으며 고령인( 高 靈 人 )이다. 목사( 牧 使 )를 지냈으며 서( 書 )화( 畵 )를 잘했다. 그의 작품으로 전하는 서울국립중 앙박물관의 탐매도( 探 梅 圖 )(또는 설중기려도( 雪 中 騎 驢 圖 ), 견본설채( 絹 本 說 彩 ), 21144cm) 는 필법( 筆 法 )이 웅위( 雄 偉 )하면서 묘사( 描 寫 )가 정세( 精 細 )하다. (6) 안정( 安 珽 )(1494? ) 자( 字 )는 정연( 珽 然 ), 호( 號 )는 죽창( 竹 窓 )식창( 拭 瘡 )이며 순흥인( 順 興 人 )이다. 현감( 縣 監 )을 지냈으며 가야금과 화목( 花 木 )으로 여생을 즐기면서 매( 梅 )죽( 竹 )을 그렸다. 역시 묵 매화( 墨 梅 畵 )를 그렸는지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7) 채무일( 蔡 無 逸 )(1496 1546) 자( 字 )는 거경( 居 敬 ), 호( 號 )는 일계( 逸 溪 )휴암( 休 巖 )이며 인천인( 仁 川 人 )이다. 정랑( 正 郞 )을 지냈으며 서( 書 )화( 畵 )음률( 音 律 )이 다 극묘( 極 妙 )했다. 초충( 草 충)과 매( 梅 )를 잘 그렸는데 지금의 기록상으로는 조선( 朝 鮮 ) 최초( 最 初 )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이다. 팔분서 ( 八 分 書 )도 잘 쓰고 중종( 中 宗 )의 초상을 이상좌( 李 上 佐 ) 등과 함께 그리기도 했다. 매화( 梅 花 )를 지극히 좋아했던 퇴계( 退 溪 ) 이황( 李 滉 )은 채무일( 蔡 無 逸 )의 묵매도( 墨 梅 圖 )에 시( 詩 )를 두 수( 首 )를 썼는데 그 첫 수( 首 )를 보면 다음과 같다. 늙은 매화나무에 향기 뿜는 옥이 가득하고, 만옥( 萬 玉 )이 달린 가지 위엔 어름처럼 찬달이 걸렸구나. 보일듯말듯한 구름마저 씻은 듯이 사라지고, 고산( 孤 山 )의 밤 경치는 그지없이 맑구나.
고매향동옥영영, 만만빙륜전상명, 갱대징운혼거진, 고산종야불승청( 古 梅 香 動 玉 盈 盈, 滿 滿 氷 輪 輾 上 明, 更 待 徵 雲 渾 去 盡, 孤 山 終 夜 不 勝 淸.) (8) 이부인( 李 夫 人 )(1529 1592) 호( 號 )는 매창( 梅 窓 )이며 덕수인( 德 水 人 )이다. 사임당( 思 任 堂 ) 신부인( 申 夫 人 )의 장녀( 長 女 )로 희언( 希 彦 ) 조대남( 趙 大 男 )에게 출가( 出 嫁 )했다. 유작( 遺 作 )으로는 8폭화첩( 幅 畵 帖 ) 중의 하나인 월매도( 月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3525cm, 개인소장)가 있다. 굵고 뭉툭한 노간( 老 幹 )에 가느다란 신지( 新 枝 )가 위와 옆으로 힘차게 뻗쳐 있고 백매( 白 梅 ) 여러 송이 가 찬 달빛을 받아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그린 노간( 老 幹 )에 많지 않 은 꽃송이는 고고( 高 孤 )한 청자( 淸 姿 )를 돋보이게 한다. 구도는 단순하나 필력( 筆 力 )이 대 단한 그림이라 하겠다. 물론 월매도( 月 梅 圖 )는 현존( 現 存 ) 국내( 國 內 ) 최고( 最 古 )의 묵매 도( 墨 梅 圖 )가 되는 셈이다. 그리고 이부인( 李 夫 人 )은 매자( 梅 字 )를 넣어 호( 號 )를 지은 최 초의 화가(조선( 朝 鮮 )시대의)라 하겠다. 참고로 조선( 朝 鮮 )시대의 화가중 매자( 梅 字 )를 넣 어 호( 號 )를 지은 사람을 보면 매호( 梅 湖 )(조우인( 曺 友 仁 )) 매헌( 梅 軒 )(윤정립( 尹 貞 立 )) 매 창( 梅 窓 )매곡( 梅 谷 )(조지운( 趙 之 耘 )) 매은( 梅 隱 )(이세송( 李 世 松 ))등이 있으며 중국( 中 國 )에 는 수 없이 많다. (9) 이우( 李 瑀 )(1542 1609) 자( 字 )는 계헌( 季 獻 ), 호( 號 )는 옥산( 玉 山 )죽와( 竹 窩 )이며 덕수인( 德 水 人 )이다. 사임당 ( 思 任 堂 ) 신부인( 申 夫 人 )의 넷째 아들이며 율곡( 栗 谷 )의 아우이다. 시( 詩 )서( 書 )화( 畵 )금 ( 琴 )을 잘 하여 사절( 四 絶 )이라는 말을 들었다. 유작( 遺 作 )으로는 설중매죽도( 雪 中 梅 竹 圖 ) 와 노매도( 老 梅 圖 ) 등이 있는데 모두 웅건( 雄 健 )하면서 고매( 高 邁 )한 그림이다. 설중매죽도( 雪 中 梅 竹 圖 )(저본수묵( 苧 本 水 墨 ), 37.630.3cm, 개인소장)는 그의 누나 이부인 ( 李 夫 人 )이 그린 월매도( 月 梅 圖 )(직립식( 直 立 式 )구도)와는 다른 그림이다. 한국 최초의 횡 간식( 橫 貫 式 )구도의 그림으로 노간( 老 幹 )은 역시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그렸는데 화면의 중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뻗다가 3분의 2쯤에서 뚝 멈추었다. 새로 난 가느다란 가지들은 위아 래앞으로 길게 뻗었다. 대나무 잎은 왼쪽과 아랫쪽에 열 잎쯤 검게 그려졌다. 매( 梅 )죽( 竹 ) 이 다 흰 눈을 무겁게 이고 있다. 이 그림 역시 지금 남아있는 설매도( 雪 梅 圖 )로는 제일 오 래된 그림이다. 그리고 설중매( 雪 中 梅 )이기도 하지만 도운법( 倒 暈 法 )으로 그린 한국 최초의 묵매도( 墨 梅 圖 )여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는 가작( 佳 作 )이다. 6. 조선중기( 朝 鮮 中 期 )의 묵매화( 墨 梅 畵 ) 17세기초에서 18세기말까지 약 2백년동안에는 10여명의 전문적인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가 등장하여 좋은 그림을 많이 그렸다. 왜란( 倭 亂 )과 호란( 胡 亂 ) 등 10년의 전란( 戰 亂 )을 겪 은 후 명말청초( 明 末 淸 初 )의 화론( 畵 論 )이 들어오고, 초기( 初 期 )에 이어 묵죽화( 墨 竹 畵 )묵 난화( 墨 蘭 畵 )와 함께 사대부( 士 大 夫 )의 묵기( 墨 技 )로 크게 유행했다. 이 때의 묵매화( 墨 梅 畵 )는 구도로 초기묵매화( 初 期 墨 梅 畵 )보다는 복잡해지고 꽃송이도 좀 더 많이 그렸다. 이 때엔 3가지 구도가 유행했는데 어몽룡( 魚 夢 龍 )(1566?)의 좌상향식( 左 上 向 式 )(오른쪽 아 래 코너에서 왼쪽 위 코너로 노간( 老 幹 )이 구부러져 올라가는), 허목( 許 穆 )(1595 1682) 의 우상향식( 右 上 向 式 )(왼쪽 아래 코너에서 오른쪽 위 코너로 노간( 老 幹 )이 구부러져 올라 가는), 오달제( 吳 達 濟 )(1609 1637)의 도수식( 倒 垂 式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 내려오면서 약간 U자형( 字 形 )으로 구부러진)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좌( 左 )우상향식( 右 上 向 式 ) 구도는 중국 묵매화그림에서 거의 볼 수 없는 것으로 한국화가들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창조 적인 구도라 하겠다. 또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의 수( 數 )나 질( 質 )로 보아서도 이 때가 초기 ( 初 期 )나 후기( 後 期 )보다 월등하게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조선중기( 朝 鮮 中 期 )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에는 어몽룡( 魚 夢 龍 )최전( 崔 澱 )송민고( 宋 民 古 ) 조속( 趙 涑 )허목( 許 穆 )오달제( 吳 達 濟 )허 ( 許 )정경흠( 鄭 慶 欽 )조치운( 趙 之 耘 )홍수주( 洪 受 疇 )박동진( 朴 東 晋 ) 등이 있었다 (1) 어몽룡( 魚 夢 龍 )(1566?) 자( 字 )는 견보( 見 甫 ), 호( 號 )는 설곡( 雪 谷 )설천( 雪 川 )이며 함종인( 咸 從 人 )이다. 매화( 梅 花 )를 잘 그려 이정( 李 霆 )의 죽( 竹 ), 황집중( 黃 執 中 )의 포도와 함께 삼절( 三 絶 )이라 했다. 필자( 筆 者 )의 견해로는 초기( 初 期 )의 이우( 李 瑀 ), 중기( 中 期 )의 어몽룡( 魚 夢 龍 )조지운( 趙 之 耘 ), 후기( 後 期 )의 조희룡( 趙 熙 龍 )등 네 화가를 한국사대묵매화가( 韓 國 四 大 墨 梅 畵 家 )로 보 고싶다. 어몽룡( 魚 夢 龍 )의 월매도( 月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19.453.6cm, 서울국립중앙박물
관소장)는 구도와 화법이 이부인( 李 夫 人 )의 월매도( 月 梅 圖 )와 아주 흡사하여 혹시 방작( 倣 作 )이나 모작( 摹 作 )이 아닌가 할 정도이다. 간( 幹 )지( 枝 )화( 花 )는 말할 것도 없고 달까지 (위치만 다르다) 같다. 그러나 또 하나의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22.452.4 cm,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소장)는 크기는 비슷하나 구도가 다른 그림이다. 고매( 古 梅 )의 긴 노간(노간( 老 幹 ))이 오른쪽아래에서 왼쪽으로 뻗친후 화면의 가운데로 곧게 올라가다가 다 시 오른쪽으로 꺾이는가 하다가 멈췄다. 그리고는 세장( 細 長 )한 신지( 新 枝 )가 왼쪽으로 뻗 치면서 화면의 왼쪽 위 코너까지 올라 갔다. 그러니까 미학( 美 學 )에서 말하는 가장 미감( 美 感 )을 많이 주는 S자식( 字 式 )구도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구도는 원( 元 )나라 왕면( 王 冕 )의 남지춘조도( 南 枝 春 早 圖 )의 구도와 똑 같다. 중국인 양호( 楊 鎬 )가 그의 그림을 보고 화격( 畵 格 )은 매우 좋으나 거꾸로 드리운 모습 이 없어 섭섭하다 고 평( 評 )한 것처럼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화( 墨 梅 畵 )에는 왕면( 王 冕 )이 나 진헌장( 陳 獻 章 )의 그림처럼 도수지상( 倒 垂 之 狀 )(거꾸로 드리운 모습 즉 도의식( 倒 垂 式 ) 구도)이 없어 다양( 多 樣 )한 구도미( 構 圖 美 )를 볼 수가 없다. 그래도 그는 16세기 묵매화가 ( 墨 梅 畵 家 )의 대표적인 작가였다. 진천현감( 鎭 川 縣 監 )을 지낸 그는 이외에도 여러 폭의 묵매도( 墨 梅 圖 )를 남겼으며 거의 다 노( 老 )조( 粗 )간( 幹 )은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꽃은 권판법( 圈 辨 法 )으로 그렸다. (2) 최전( 崔 澱 )(1568 1589) 자( 字 )는 언심( 彦 沈 ), 호( 號 )는 양포( 楊 浦 )이며 해주인( 海 州 人 )이다. 시문( 詩 文 )에 뛰어 나고 매( 梅 )죽( 竹 )노안( 蘆 雁 )을 잘 그렸다. 매화( 梅 花 )그림은 입신( 入 神 )의 경지에 이르렀 다하나 유물( 遺 物 )이 없어(너무나 일찍 죽어 작품을 많이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고구( 考 究 ) 할 길이 없다. (3) 송민고( 宋 民 古 )(1592?) 자( 字 )는 순지( 順 之 ), 호( 號 )는 난곡( 蘭 谷 )이며 여산인( 礪 山 人 )이다. 화원( 畵 員 )이었으며 청록산수도( 靑 綠 山 水 圖 )(견본설채( 絹 本 說 彩 ), 134.649cm, 서울국립중앙박물관소장)와 묵매 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2732.3cm, 서울대박물관소장)등을 남겼다. 묵매도( 墨 梅 圖 ) 는 구도와 화법이 시원치가 못한 범작( 凡 作 )으로 그림보다는 화제( 畵 題 )의 글씨가 더 볼만 하다. (4) 조속( 趙 涑 )(1595 1668) 자( 字 )는 희온( 希 溫 ), 호( 號 )는 창강( 滄 江 )취추( 醉 醜 )취옹( 醉 翁 )이며 풍양인( 豊 壤 人 )이 다. 영모( 翎 毛 )산수절지( 折 枝 )매죽( 梅 竹 )을 잘 그렸는데 매( 梅 )는 어몽룡( 魚 夢 龍 )의 그림을 닮았다. 매작도( 梅 鵲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10156cm, 간송미술관소장)의 구도와 화법은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도( 墨 梅 圖 )와 비슷하여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9156.4 cm, 서울국립중앙박물관소장)는 어몽룡( 魚 夢 龍 )의 월매도( 月 梅 圖 )와 꼭 닮았다. 16, 17세기 한국 묵매도( 墨 梅 圖 )의 구도는 직립식( 直 立 式 )과 S자식( 字 式 )구도가 압도적으로 많고 도수 식( 倒 垂 式 )은 거의 없다시피하고 있음을 이들 그림에서 뿐만 아니라 허목( 許 穆 )의 묵매도 ( 墨 梅 圖 )에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북송말( 北 宋 末 )에 유행한 능형식( 菱 形 式 )구도는 이때까 지 나타나지도 않았다. 조속( 趙 涑 )의 묵매도( 墨 梅 圖 )는 노( 老 )조( 粗 )( 幹 )은 비백법( 飛 白 法 )으로, 꽃송이는 묵지 법( 墨 漬 法 )으로 그렸는데 묵지화( 墨 漬 花 )는 보기 드문 그림이다. (5) 허목( 許 穆 )(1595 1682) 자( 字 )는 화보( 和 甫 ), 문부( 文 父 ), 호( 號 )는 미수( 眉 수)석호장인( 石 戶 丈 人 )이며 양천인 ( 陽 川 人 )이다. 전서( 篆 書 )를 잘 써 동방( 東 方 )의 제일( 第 一 )이라는 말을 들었으며 매( 梅 )죽 ( 竹 )을 잘 그렸다. 그의 매화( 梅 花 )그림은 모두 품격( 品 格 )이 고매( 高 邁 )하고 필치( 筆 致 )가 청아경건( 淸 雅 勁 健 )했다. 그의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9755cm, 개인소장)는 조속( 趙 涑 )의 매작도( 梅 鵲 圖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도( 墨 梅 圖 ) 등과 닮은 S자식( 字 式 )구도 의 그림이어서 아름다움과 부드러움을 더 주고 있다. (6) 오달제( 吳 達 濟 )(1609 1637) 자( 字 )는 계휘( 季 輝 ), 호( 號 )는 추담( 秋 潭 )이며 해주인( 海 州 人 )이다. 병자호란( 丙 子 胡 亂 ) 때 적장( 敵 將 ) 용골대( 龍 骨 大 )에게 굽히지 않아 처형당했다. 부교리( 副 校 理 )로 요절( 夭 折 )한 그는 묵매화( 墨 梅 畵 )를 잘 그렸는데 유작( 遺 作 )인 두 폭의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 紙 本 水 墨 ), 10557cm 와 8855cm, 두 폭 다 개인소장)에는 다 어찬( 御 贊 )이 있다. 두 그림 의 구도는 비슷하나 작은 그림의 구도는 어몽룡( 魚 夢 龍 )의 묵매도( 墨 梅 圖 )를 닮았다. 또 서 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06.457cm)는 도수식( 倒 垂 式 )구도로 필력( 筆 力 )이 넘치는 그림이나 노간(노간( 老 幹 ))이 도무지 어색하게 그려졌으며
많지않은 꽃송이도 부자연스럽다. (7) 허 ( 許 )(1614? ) 징( 澄 )이라고도 하며, 자( 字 )는, 자수( 子 秀 ), 호( 號 )는 은사( 隱 士 )이며 양천인( 陽 川 人 )이 다매( 梅 )난( 蘭 )을 잘 그렸는데 매( 梅 )는 친구인 조지운( 趙 之 耘 )과 함께 당세( 當 世 )에 이름 을 떨쳤다고하나 유작( 遺 作 )을 보기가 힘들다. (8) 정경흠( 鄭 慶 欽 )(1620 1678) 자( 字 )는 선숙( 善 叔 ), 호( 號 )는 육오당( 六 吾 堂 )이며 하동인( 河 東 人 )이다. 매( 梅 )난( 蘭 )죽 ( 竹 )포도 등을 두루 다 잘 그렸다. (9) 조지운( 趙 之 耘 )(1637? ) 창강( 滄 江 ) 조속( 趙 涑 )의 아들로 자( 字 )는 운지( 耘 之 ), 호( 號 )는 매창( 梅 窓 )매곡( 梅 谷 )매 은( 梅 隱 )이며 풍양인( 豊 壤 人 )이다. 매화( 梅 花 )와 영모( 翎 毛 )를 잘 그렸다. 간송미술관에 있 는 그의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2534.6cm)는 노간(노간( 老 幹 ))은 비백법( 飛 白 法 ), 꽃송이는 묵지법( 墨 漬 法 )으로 그려진 가작( 佳 作 )이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는 묵매도( 墨 梅 圖 ) 9폭(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18.552cm 크기의 1폭 과 51.235.8cm크기의 8폭)을 남기고 있어 한 작가의 묵매도( 墨 梅 圖 )로는 가장 많이 남겨진 셈이다. (10) 홍수주( 洪 受 疇 )(1642 1704) 자( 字 )는 구언( 九 言 ), 호( 號 )는 호은( 壺 隱 )호곡( 壺 谷 )이며 남양인( 南 陽 人 )이다. 매( 梅 )죽 ( 竹 )포도를 잘 그렸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묵매도( 墨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2457.6cm)는 정세치밀( 精 細 緻 密 )하고 건아핍진( 健 雅 逼 眞 )한 그림이다. 특히 노간(노간( 老 幹 ))이 왼쪽 위에서 화면의 중앙 아래로 힘차게 거꾸로 드리우다가 오른쪽 위로 꺾인 S자 식( 字 式 )구도는 중국 원( 元 )나라 왕면( 王 冕 )(14세기)의 조수고매도( 照 水 古 梅 圖 )명( 明 )나라 진헌장( 陳 獻 章 )(15세기)의 만옥도( 萬 玉 圖 )와 같은 구도의 그림이다. 그러나 꽃송이는 그들 의 그림보다 비교할 수 없이 적다. 하여튼 이 그림은 완벽한 S자식( 字 式 )구도의 묵매도( 墨 梅 圖 )로서 우수한 작품이다. (11) 박동진( 朴 東 晋 )(18세기) 호( 號 )는 청구자( 靑 丘 子 )죽리( 竹 里 )였으며 개성인( 開 城 人 )이다. 화원( 畵 員 )으로 1711년 (숙종( 肅 宗 ) 37년) 통신사( 通 信 史 )의 수행원으로 일본( 日 本 )에 가 맹호연방매도( 孟 浩 然 訪 梅 圖 )를 그려 남기기도 했다. 또 그는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14065cm, 개인 소장) 쌍폭( 雙 幅 )을 남겼는데 이 그림 두 폭은 한국 묵매도( 墨 梅 圖 ) 가운데 구도와 화법이 가장 기괴( 奇 怪 )한 그림이다. 지나치게 기교를 부려 화격( 畵 格 )도 떨어지고 작품자체가 졸 렬( 拙 劣 )하게 되고만 느낌이 든다. 이루말하면 아름다움이란 즐거움을 객관화( 客 觀 化 )한 것이다 는 일반적인 진리를 무시한 그림이라 하겠다. 7.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의 묵매화( 墨 梅 畵 ) 정조대왕( 正 祖 大 王 )때부터 일정초( 日 政 初 )까지 1백 50년간의 묵매화( 墨 梅 畵 )는 중기( 中 期 )만큼은 못했다고 하겠다. 매화( 梅 花 )그림의 구도는 다양( 多 樣 )해졌지만 지나치게 번잡해 진 것 같고 (변칙적인 구도가 나타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보다는 채매화가( 彩 梅 畵 家 )가 더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묵죽화가( 墨 竹 畵 家 )들이 제 철을 만난 듯 열 심히 그리고, 영( 英 )정년간( 正 年 間 )의 문예부흥과 실학사상( 實 學 思 想 )이라는 누벨바그가 화 단( 畵 壇 )을 휩쓸고 있는 동안 묵매화( 墨 梅 畵 )는 빛을 내지 못하고 있었다. 채매화( 彩 梅 畵 ) 로는 명품( 名 品 )이 많이 남아 있으나 묵매화( 墨 梅 畵 )는 볼만한 것이 많치 못하다.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에 매화( 梅 花 )그림을 잘 그린 문인화가( 文 人 畵 家 )와 화원( 畵 員 )은 정 조대왕( 正 祖 大 王 )주의식( 朱 義 植 )허욱( 許 勖 )정약용( 丁 若 鏞 )홍대용( 洪 大 鏞 )조희룡( 趙 熙 龍 )정 태규( 鄭 兌 奎 )이남식( 李 南 軾 )이공우( 李 公 愚 )방희용( 方 羲 鏞 )허유( 許 維 )서미순( 徐 眉 淳 )전기( 田 琦 )오경석( 吳 慶 錫 )장승업( 張 承 業 )양기훈( 楊 基 薰 )송수면( 宋 修 勉 )강진희( 姜 璡 熙 )정대유( 丁 大 有 )조석진( 趙 錫 晋 )김용진( 金 容 鎭 )이도영( 李 道 榮 ) 등이었다. (1) 정조대왕( 正 祖 大 王 )(1752 1800) 휘( 諱 )는 산(산), 자( 字 )는 향운( 享 運 ), 호( 號 )는 홍재( 弘 齋 )이며 조선왕조( 朝 鮮 王 朝 ) 제 22대 왕이었다. 재위( 在 位 ) 24년동안 유학( 儒 學 )을 크게 장려하고 문운( 文 運 )을 부흥시켜 소위 영( 英 )정( 正 )의 문예부흥을 일으켰던 현군( 賢 君 )이다. 매화( 梅 花 )를 잘 그리고 글씨도 잘 썼는데 지금 서울대학교박물관에 있는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12362.6cm) 는 고아청수( 高 雅 淸 秀 )한 그림으로 구도가 특이하다. 마름모꼴 능형( 菱 形 )을 세워놓은 것
같은 구도이며 화면의 중앙에 5행( 行 )의 화찬( 畵 贊 )이 잘 쓰여져있다. (2) 조희룡( 趙 熙 龍 )(1797 1859) 자( 字 )는 치운( 致 雲 ), 호( 號 )는 우봉( 又 峯 ), 철적( 鐵 笛 )호산( 壺 山 )단노( 丹 老 )매수( 梅 수) 이며 평양인( 平 壤 人 )이다. 매( 梅 )란( 蘭 )채접( 彩 蝶 )산수( 山 水 ) 등을 두루 다 잘 그렸으며 글 씨는 완당( 阮 堂 ) 김정희( 金 正 喜 )의 서체( 書 體 )(추사체( 秋 史 體 ))를 배우고 따라 썼다. 매화 ( 梅 花 )그림은 화면( 畵 面 ) 가득히 어지럽게 그려 중국그림 맛을 냈다.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 의 대표적인 매화가( 梅 畵 家 )인 그는 매화서옥도( 梅 花 書 屋 圖 ) 두 폭(서울국립중앙박물과 간 송미술관에 각각 소장, 105.545.8cm등)과 여러 폭의 노매도( 老 梅 圖 )(고대( 高 大 )박물관과 서울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를 남겼으며 그의 매화첩( 梅 畵 帖 )도 유존( 遺 存 )되고 있다. (3) 이공우( 李 公 愚 )(1805? ) 자( 字 )는 공여( 公 汝 ), 호( 號 )는 석연( 石 蓮 )육완당( 六 玩 堂 )두강초부( 荳 江 樵 夫 )이며 연안인 ( 延 安 人 )이다. 매( 梅 )와 서( 書 )를 잘 했는데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채매도( 彩 梅 圖 ) 쌍 폭(쌍 幅 )(지본담채( 紙 本 淡 彩 ), 131.230cm)은 교과서적인 그림이지만 청아( 淸 雅 )하며, 그가 쓴 칠언시( 七 言 詩 ) 두 수( 首 )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봄을 앞서 먼 곳에 그림 한 폭 부치려, 제일 먼저 꽃이 핀 매화가지를 꺾어 왔네. 꿈은 서호( 西 號 )로 가고 산 위에 달은 어두운데, 새까만 사창( 紗 窓 )밖의 그림자는 산란하구나 ( 先 春 遠 寄 墨 淋 리, 折 得 寒 梅 第 一 枝, 夢 요 西 湖 山 月 暗, 漆 紗 窓 外 影 參 差.) 달 밟은 고산( 孤 山 )의 처사( 處 士 )집에, 호수 빛깔은 흰옥이 비낀 듯 젖었구나. 가로 세로 휘두른 전서( 篆 書 )의 행세로서, 쇠줄을 구부려서 꽃들을 만들었네. ( 明 月 孤 山 處 士 家, 湖 光 寒 浸 玉 橫 斜, 似 將 篆 縱 橫 筆, 鐵 線 圈 成 箇 箇 花.) 또 서울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채매도( 彩 梅 圖 ) 6폭(지본담채( 紙 本 淡 彩 ) 124.243cm)은 조선후기( 朝 鮮 後 期 )에 유행했던 매화도( 梅 花 圖 )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그림들이라 하겠다. 6 폭의 그림은 구도가 모두 다른데 2폭은 대(죽( 竹 ))까지 약간 넣었으므로 매죽도( 梅 竹 圖 )라 고도 할 수 있겠다. (4) 오경석( 吳 慶 錫 )(1831 1879) 자( 字 )는 원거( 元 거), 호( 號 )는 역매( 亦 梅 )이며 해주인( 海 州 人 )이다. 역관( 譯 官 )겸 서화 가( 書 畵 家 )금석학자( 金 石 學 者 )였으며 한( 韓 )중( 中 ) 두 나라의 서( 書 )화( 畵 )비( 碑 )판( 版 )을 많이 수장하고 삼한금석록( 三 韓 金 石 錄 )이라는 책을 쓰기도 했다. 아들 오세창( 吳 世 昌 )( 號 는 葦 滄 1864 1953, 33 人 의 하나, 서가( 書 家 )로 근역서화징( 槿 域 書 畵 徵 )등을 지었다.)은 가 학( 家 學 )을 이어 빛을 냈다. 역매( 亦 梅 )는 산수( 山 水 )와 매화( 梅 花 )를 그렸는데 매화( 梅 花 ) 그림은 필력( 筆 力 )이 모자라고 섬약한 느낌을 주고 있다. (5) 장승업( 張 承 業 )(143 1897? ) 자( 字 )는 경유( 景 猶 ), 호( 號 )는 오원( 吾 園 )취명거사( 醉 瞑 居 士 )이며 대원인( 大 元 人 )이다. 졸년( 卒 年 )이 확실치 않은 오원( 吾 園 )은 화원( 畵 員 )으로 단원( 檀 園 ) 김홍도( 金 弘 道 )이후의 거장( 巨 匠 )이란 말을 들을만큼 각체( 各 體 )의 그림을 잘 그렸다. 그의 홍백매( 紅 白 梅 ) 10정 병( 幀 屛 )(지본설채( 紙 本 設 彩 ), 430.391cm, 개인소장)은 구도와 화법등이 특출( 特 出 )하고 웅장한 매화도( 梅 花 圖 )이다. 능형식( 菱 形 式 )구도에 웅장완벽섬세함이 가득하여 중국그림냄 새가 나고 필력( 筆 力 )이 넘치는 걸작이다. (6) 양기훈( 楊 基 薰 )(1843 1897) 자( 字 )는 치남( 稚 南 ), 호( 號 )는 석연( 石 然 )패상어인( 浿 上 漁 人 )이며 중화인( 中 和 人 )이다. 화원( 畵 員 )으로 노안( 蘆 雁 )매( 梅 ) 등을 잘 그렸다. 매( 梅 )는 묵매( 墨 梅 )와 채매( 彩 梅 )를 다 잘 그렸는데 그의 월매도( 月 梅 圖 )(견본수묵( 絹 本 水 墨 ), 125.536.5cm, 개인소장)는 구도와 달의 위치(화면의 왼쪽 반에 매화( 梅 花 )를 그리고 달을 왼쪽 중간 아랫쪽에 3분의 2만 보 이게 그린)가 특이한 가작( 佳 作 )이다. 또 양사본( 洋 사 本 )에 설채( 設 彩 )로 그린 10폭( 幅 ) 병풍인 매도( 梅 圖 )(각폭( 各 幅 )은 10335cm, 개인소장)도 모두 구도와 화법이 특이하다. (7) 송수면( 宋 修 勉 )(1847? ) 자( 字 )는 안여( 顔 汝 ), 호( 號 )는 사호( 沙 湖 )이며 여산인( 礪 山 人 )이다. 매( 梅 )죽( 竹 )화접
( 花 蝶 )을 그렸는데 매( 梅 )를 특히 잘 그렸다. 묵매도( 墨 梅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75.240.3cm, 개인소장)등을 남겼다. (8) 강진희( 姜 璡 熙 )(1851 1919) 호( 號 )는 청운( 菁 雲 )으로 서화가( 書 畵 家 )였다. 전서( 篆 書 )예서( 隸 書 )등을 잘 쓰고 산수 ( 山 水 )묵매( 墨 梅 )를 잘 그렸다. 간송미술관에 있는 기생수득도도( 幾 生 修 得 到 圖 )(견본수묵 ( 絹 本 水 墨 ), 2328.6cm)는 그의 전서( 篆 書 )와 권판법( 圈 瓣 法 )으로 그린 매화( 梅 花 )를 볼 수 있는 소품( 小 品 )이다. (9) 조석진( 趙 錫 晋 )(1853 1920) 호( 號 )는 소림( 小 琳 )으로 임전( 琳 田 ) 조정규( 趙 廷 奎 )의 손자이며 소정( 小 亭 ) 변관식( 卞 寬 植 )의 외조부( 外 祖 父 )이다. 오원( 吾 園 ) 장승업( 張 承 業 )이후 제일명가( 第 一 名 家 )라는 말을 들을만큼 단아수일( 端 雅 秀 逸 )한 그림을 잘 그렸다. 간송미술관에 있는 선천하춘도( 先 天 下 春 圖 )(지본수묵( 紙 本 水 墨 ) 31.8131cm)를 굵직한 노간(노간( 老 幹 ))이 사선( 斜 線 )(우상향( 右 上 向 ))으로 그려지고 사방으로 뻗은 세지( 細 枝 )에 만발한 꽃송이는 백옥( 白 玉 )처럼 아름답 다. 8. 결 론 ( 結 論 ) 다른 그림과 마찬가지로 묵매화( 墨 梅 畵 )의 화법( 畵 法 )과 화풍( 畵 風 )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와 한국화가들의 그림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해도, 한국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은 적어도 묵죽화가( 墨 竹 畵 家 )들보다는 덜 중국에 사대( 事 大 )했을뿐 아니라 오히려 독창적인 스타일( 樣 式 )을 창조했던 것 같다. 그것은 조선( 朝 鮮 ) 5백년동안에 그려진 묵매화( 墨 梅 畵 )를 살펴보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이 며 자부이다. 중국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이 어지럽게 줄기와 가지(노간( 老 幹 )과 신지( 新 枝 ))를 그리고 수십수백 꽃송이를 화면( 畵 面 ) 가득히 그리면서 웅장( 雄 壯 )완벽( 完 璧 )섬세 ( 纖 細 )를 추구할 때, 한국의 묵매화가( 墨 梅 畵 家 )들은 그런 화법( 畵 法 )과 화풍( 畵 風 )에 얽매 이지 않고 자유( 自 由 )스럽고 자연( 自 然 )스럽게, 무기교( 無 技 巧 )의 기교( 技 巧 )라는 한국미술 의 기조를 지키면서 여백( 餘 白 )의 미( 美 )(이런 표현이 묵매화( 墨 梅 畵 )에서도 가능하다면)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보았다. 이런 결론과 추리는 한국의 화가들이 중국의 화가들보다는 수적으로는 부족하지만 그들이 남긴 작품의 질( 質 )(이런 표현이 가능할지 몰라도)에 있어서는 결코 손색이 없음도 살펴보 았다. 언제나 그렇지만 미술품을 양적( 量 的 )인 측면에서건, 질적( 質 的 )인 면에서건 우열( 優 劣 ) 을 평가한다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방법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그러니까 중국 묵매화( 墨 梅 畵 )가 더 우수( 優 秀 )하고 한국 묵매화( 墨 梅 畵 )가 열등( 劣 等 )하다는 (물론 그 반대의 경우 도 마찬가지이다.) 논리( 論 理 )는 거부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말이다. 반년전에 살펴본 한국묵죽화( 韓 國 墨 竹 畵 )에 관한 연구( 硏 究 ) 에서보다 훨씬 더 유쾌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던 필자는 한국의 자연역사민족 등에 애정어린 눈길을 보냈던 선조들에 게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오랜 사대( 事 大 )의 물결속에서도 한국적 인 아름다움을 조형( 造 形 )했던 선조들의 건강한 자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