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b 1) 나 zb 2) 가 고 1 서울 영등포구 5. 우리의 말과 글_ 비상( 상) 김경미(kmkm1213@zocbo.com)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한 표시 1) 제작연월일 : 2013-05-13 2) 제작자 : 교육지대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 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터 5 년간 보호됩니다.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법 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 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 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가) 고대 국어 고대 국어를 조사하는 데에는 향찰( 鄕 札 ), 이두( 吏 讀 / 吏 頭 ), 구결( 口 訣 ) 과 같은 차자( 借 字 ) 표기로 기록된 자료 가 중요하게 활용된다. 고대에는 우리말을 기록할 만한 고 유의 표기 수단이 없어 한자를 빌려 썼는데, 이 차자 표기 에 고대 국어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차자했던 한자 의 음( 音 ) 과 훈( 訓 ) 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므로 고대 국어의 정확한 모습을 알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고대 국 어의 특징을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다. 고대 국어의 음운 체계에는 된소리가 없었던 것으로 보 이며, 문법은 중세 국어와 큰 차이가 없었던 것 같다. 또 한 어휘에서는 한자를 차자( 借 字 ) 하면서 우리말에 많은 양 의 한자어가 유입( 流 入 ) 된 것으로 보인다. ( 나) 서동요( 薯 童 謠 ) [ 원문] 善 化 公 主 主 隱 他 密 只 嫁 良 置 古 주[ 주인 주], 隱 - 숨길 은, 他 - 다를 타, 密 - 비밀 밀 [ 그윽할 밀], 只 - 다만 지, 嫁 - 시집갈 가, 良 - 어질 량, 置 - 둘 치, 古 - 옛 고, 薯 - 참마 서, 童 - 아이 동, 房 - 방 방, 乙 - 새 을, 夜 - 밤 야, 矣 - 어조사 의, 卯 - 토끼 묘, 抱 - 안을 포, 遣 - 보낼 견, 去 - 갈 거, 如 - 같을 여[ 답다 여] * 卯 - 卯 토끼 묘 가 아니라, 卵 ( 알 란) 이나, 夗 ( 누워 딩굴 원) 의 이체자( 異 體 字 ) 로 보는 학자도 있음. ( ) 의 서동요 원문은 향찰( 鄕 札 ) 로 표기된 것이다. 향찰은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전면적으로 적던 표기 체계로 우리말의 실질적인 뜻 부분은 한자의 훈( 訓 ) 을, 문법적인 요소 부분은 한자의 음( 音 ) 을 빌려 표기 하는 것이 그 기본 원칙이었다고 한다. 현대어 풀이와 ( 다) 의 한자의 훈과 음을 참고할 때, 다음 중 한자의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글자들만으로 된 조합은? 隱, 只, 古, 乙 他, 密, 置, 抱 主, 他, 古, 遺 公, 他, 良, 如 只, 古, 抱, 去 薯 童 房 乙 夜 矣 卯 乙 抱 遣 去 如 [ 현대어 풀이] 선화 공주님은 남몰래 결혼하여 두고 맛둥서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가다. - 삼국유사 ( 三 國 遺 事 ) 권 제2 ( ) 에서 고대 국어의 특징을 보이며, 같다 등으로 일관되게 추측하여 설명하는 이유를 첫째 문단을 활 용하여 80 음절 내외로 요약하여 쓰라. 고대국어는 으로 시작할 것. < 조건> ( 다) [ 한자의 훈과 음] 善 - 착할 선, 化 - 될 화, 公 - 공변될 공, 主 - 임금 (A) 용비어천가 ( 龍 飛 御 天 歌 )
zb 3) zb 4) zb5) 글 zb 6) zb 7) 의 니 불: 휘기픈 남 매아니 : 뮐 곶: 됴코여름하 니 : 미기픈므른 래아니그츨 : 내히이러바 래가 - 용비어천가 권 제1 세종 29 년(1447) (B) 世 솅宗 종御 ᄀ엉製 졩訓 훈民 민正 졍音 나 랏: 말 미中 듕國 귁 에달 아ᄂ文 문字 와 로서르ᄃ 디아 니 이런ᄅ젼 로어 린百 城 셩 이니르 고 져 홇 배 이 셔 도 : 내제 들시 러펴 디: 믈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윙 야: 어엿비너겨새로스믈여듧 字 노니 : 사 마 다 수 니 겨 날 로 메便 뼌安 한 킈 고 져 ᄆ 미니라. (A) 를 바탕으로 하여 중세 국어를 설명한 것 중 바르 지 않은 것은? 도쿄 - 오늘날과 형태가 다른 어휘의 사례이다. 불ㆍ휘기 ㆍ픈 - 성조를 표시하기 위해 방점을 사용하고 있다. 기픈, 미 - 이어적기의 사례이다. 므른, 바 래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도 모음조화가 지 켜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내히 - 오늘날과 비교할 때 형태는 그대로이나 의미가 달 라진 사례이다. (C) 춘망( 春 望 ) - 월인석보 ( 月 印 釋 譜 ), 세조( 世 祖 ) 5 년(1459 년) 나라히 破 亡 ( 파망) 니 뫼콰 잇고 잣 보 플와 나모 기펫도다 時 節 ( 시절) 을 感 歎 ( 감탄) 호니 고지 믈 리게 코 (A) 의 밑줄 친 부분을 현대어로 풀이하되, 운문 성을 무시하고 뜻 전달 위주로 하라. ( 주격조사를 반 드시 사용할 것.) 여희여슈믈 슬호니 새 놀래노다 烽 火 ( 봉화) ㅣ 석 니어시니 지븻 音 書 ( 음서) 萬 金 이 도다 셴 머리 글구니 뎌르니 다 빈혀 이긔디 몯 도다 두시언해 ( 杜 詩 諺 解 ) 중간본 권 제10, 인조 10 년(1632) 국어의 역사에 관한 진술 중 바르지 않은 것은? 중세 국어 시기에는 아직 된소리가 없었다. 중세 국어에서는 이어적기가 보편적이었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모음조화 현상이 거의 규칙적으로 나 타났다. 중세 국어에서는 오늘날 사용하지 않는 문자 [ ㆁ, ㆆ, ㅿ, ㅸ, ㆍ] 들이 사용되었다. 중세 국어에서 사용되었던 방점은 다. 16세기 말부터 없어졌 (B)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세종대왕 이후에 나온 글이다. 않은 것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을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을 창제해야 할 필요성을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을 창제한 원리를 드러내고 있다. 새 문자의 실용성을 드러내고 있다. (B) 밑줄친 ᄀ~ ᄆ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것은? ᄀ : 실제 발음은 [ 어제] 로 한다. ᄂ : 한자를 가리킨다. ᄃ : 사이가 좋지 의 의미이다. ᄅ : 이유로, 까닭으로 의 의미이다. ᄆ : 따름이다 라는 뜻이다. 않은
zb 8) 에 zb 9) 중세 zb 10) zb 11) zb12) 다음 zb 13) (B) 나타난 어휘를 현대어로 바꾸었을 때, 의미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어린 : 현대 국어에서는 어리석은 의 뜻이다. 들 : 뜻을 의 의미로 당시나 현재나 그 의미는 그대로이 다. 놈 : 현대 국어에서는 보통의 사람 을 가리킨다.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고지 - 곶+ 이로 분석되며 이어적기가 사용된 사례이다. 보, 기펫도다 - 이어적기가 사용된 사례이다. 믈 - 거듭적기가 사용된 사례이다., 니어시니 - ㅿ 이 표기에서 사라진 사례이다. 잣, 잇고 - 받침 표기에서 ㄷ 이 ㅅ 으로 통일되어 표기 된 사례이다. 하ㆍ 니ㆍ 라 : 현대 국어에서 많다 라는 뜻이다. 어엿비 : 가엾게, 불쌍히 의 뜻을 현재에도 가지고 있다. 국어의 언어적 특징 중, (B) 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은? 조사와 의미도 모음조화에 따라 결합하고 있다. 구조가 복잡한 긴 문장이 쓰이고 있다. 비교격 조사 에 가 쓰이고 있다. 원순모음화가 나타나기 이전의 모습이다. 체언도 조사와 결합하면서 형태가 바뀌는 예가 있다. 근대 국어의 특징에 관한 진술 중 바르지 않은 것은? 이 시기의 표기법은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이 다 사용되어 혼란스러웠다. 받침에서 ㄷ 과 ㅅ 이 구분되어 쓰이던 것이 18세기 이후 로는 ㅅ 으로 통일되는 경향( 예 굳다 / 굿다 > 굿다) 을 보 였다. 이 시기에도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가 바뀌는 체언[ 이른바 ㄱ 곡용어 ] 가 있었으며, 새로운 주격 조사 가 가 쓰였다. 중세국어에서 표기에 쓰이던 자음 글자 중 ㅿ 과 ㆆ 은 표기에서 사라졌고, ㆁ 은 ㅇ 으로 표기되면서 사라졌다. 많은 고유어가 사라지고 우리말 어휘의 상당 부분을 한자 어가 차지하게 되었다. 글을 읽고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음 스물여덟 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첫소리는 모두 열일곱 자다. 어금닛소리 ( 아음, 牙 音 ),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본뜨고, 혓소리( 설음, 舌 音 ) ㄴ은 혀가 윗잇몸을 붙는 모양을 본뜨고, 입술소리 ( 순 음, 脣 音 ) ㅁ은 입 모양을 본뜨고, 잇소리( 치음, 齒 音 ) ㅅ은 이[ 齒 ] 의 모양을 본뜨고, 목청소리 ( 후음, 喉 音 ) ㅇ은 목구 멍의 모양을 본든 것이다.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 나는 것이 조금 센 까닭으로 획 을 더 하였다.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 그 소리를 바탕으로 획을 더한 뜻( 가획자, 加 劃 字 ) 은 다 같으 나, 오직 ㆁ만은 다르다. 반혓소리 ( 반설음, 半 舌 音 ) ㄹ과 반잇소리 ( 반치음, 半 齒 音 ) ㅿ도 또한 혀와 이[ 齒 ] 의 모양 을 본뜨긴 했으나 그 체( 體 ) 를 달리하여 ( 이체자, 異 體 字 ) 획을 더한 뜻이 없다. 영희 : 기본자에 획을 더한 글자를 가획자라고 해. 철수 : 초성 17 자는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들었어. 지은 : 혓소리 ㄴ 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뜻 것 이네. 준호 : 이체자는 자음의 가획자와 형성 방식이 다르군. 영수 : 그렇지 ㆁ, ㄹ, ㅿ 은 획을 더해 만든 글자가 아니 야. (C) 를 바탕으로 한 다음의 근대 국어에 관한 구체적 는 훈민정음 중성 기본자의 제자 원리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가, 나, 다에 들어갈 내용을 각각 쓰 라.
< 조건> 1) 가는 A와 유사한 형태로 3 어절로 갖추어 쓸 것. 2) 가 4 점, 나와 다는 각 1 점씩 부분점수 부여함.
1) [ 정답] 2) [ 정답] 고대국어는 남아 있는 자료도 많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확한 모습을 알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어떤 사실에 대해서 단정을 짓기 보다는 추측하여 설명 하고 있다. 3) [ 정답] 4) [ 정답] 5) [ 정답]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6) [ 정답] 7) [ 정답] 8) [ 정답] 9) [ 정답] 10) [ 정답] 11) [ 정답] 12) [ 정답] 13) [ 정답] 가하늘이 둥근 모양, 나ㅡ, 다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