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b 3) zb 4) zb5) 글 zb 6) zb 7) 의 니 불: 휘기픈 남 매아니 : 뮐 곶: 됴코여름하 니 : 미기픈므른 래아니그츨 : 내히이러바 래가 - 용비어천가 권 제1 세종 29 년(1447) (B) 世 솅宗 종御 ᄀ엉製 졩訓 훈民 민正 졍音 나 랏: 말



Similar documents
학년 범위 담당 이름 1-2 중간대비 고 1 공통범위 중세국어한글창제의원리 / 세종어제훈민정음 국어과최강미녀 전혜진선생님 1. 국어의뿌리와줄기 < 대표문제 > 국어사의시대구분

<355F B1B9BEEEC0C720BAAFC3B55FB9AEC1A6C5EBC7D52E687770>

2013 경찰직 1차 형법 해설 이영민 (0gichul.tistory.com).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4) 이 이 6) 위 (가) 나는 소백산맥을 바라보다 문득 신라의 삼국 통 일을 못마땅해하던 당신의 말이 생각났습니다. 하나가 되는 것은 더 커지는 것이라는 당신의 말을 생각하면, 대동강 이북의 땅을 당나라에 내주기로 하고 이룩한 통 일은 더 작아진 것이라는 점에서,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수준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zb 2) 짜내어 목민관을 살찌운다. 그러니 백성이 과연 목민관을 위해 있는 것일까? 아니다. 그건 아니다. 목민관이 백성 을 위해 있는 것이다. 이정 - ( ᄀ ) - ( ᄂ ) - 국군 - 방백 - 황왕 (나) 옛날에야 백성이 있었을 뿐이지, 무슨 목민관이 있 었던

문항지양식

3) 지은이가 4) ᄀ에 5) 위 어져야 하는 것이야. 5 동원 : 항상 성실한 삶의 자세를 지녀야 해. 에는 민중의 소망과 언어가 담겨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인간의 가장 위대한 가능성은 이처럼 과거를 뛰어넘고, 사회의 벽을 뛰어넘고, 드디어 자기를 뛰어넘 는

8) 자원의 9) 우리나라 굴할 경우, 앞으로 몇 년이나 더 채굴할 수 있는가를 계산한 것으로, 자원의 고갈 시기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5 비 : 국민들의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는 국내 곡물 생산 기반을 유지할 필요가 있 어. 8.

8) 현대 다음 11시 56분에, 문명은 11시 57분부터 시작했을 뿐이고, 근대사회의 발전은 11시 59분 30초에 겨우 시작 되었 그렇지만 인류가 생활한 마지막 30초 동안에 엄청 난 변동이 일어났 1 가속성 2 광범위성 3 동시성 4 정보통신의 발달 5 3차적 인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광릉한샘학원 국어사 개념 2 중세국어 1) 음운 자음 된소리계열의등장 파찰음 ㅈ, ㅊ 이구개음이아닌치음으로발음 ㅳ, ㅴ 등과같은어두자음군존재 모음 모음조화가비교적잘지켜짐. 7개의단모음 ( ㅣ, ㅡ, ㅓ, ㅜ, ㆍ, ㅏ, ㅗ ) 과다양한이중모음 ( ㆍㅣ, ㅐ, ㅚ, ㅔ,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1446년의 훈민정음은 문자 디자인의 출발점이었다. 처음부터 한글은 활 자로 태어났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활자[type]로 글을 쓰는 행 위다[graphy]. 붓으로 고급하게 글을 쓴다는 것과 활자로 글쓰기는 그 의미가 다르다. 구텐베르크나 세종은 고

7) 다음의 다음 9) 남학생과 9. zb 여학생 각각 명이 갖고 있는 여름 티 셔츠의 개수를 조사하여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낸 것 이다. 이 두 그래프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 ㄴ. 회째의 수학 점수는 점이다. 수학 점수의 분산은 이다. ㄷ. 영어점수가 수학 점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untitle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처용가 ( 고대국어 ) < 처용가 > 핵심노트 1. 갈래 : 8 구체향가 2. 성격 : 주술적, by 체념, 관용 축사 ( 逐邪 ) 의노래 3. 주제 : 아내를범한귀신을쫓아냄, 혹은아내의부정을체념함, 축신 ( 逐神 - 귀신을쫓음 ) 4. 의의 1

untitled

DocHdl2OnPREPRESStmpTarget

zb 2) zb3) 나 위 시와 보기의 공통적인 표현 방법이 아닌 것은? 뻐꾹새야 뻐꾹새야 뻐꾹뻐꾹 울어 주면 < 보기>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뻐꾹새야 뻐꾹새야 뻐꾹뻐꾹 울어 주면 밭을 매는 우리 엄마 허리 허리 덜 아프고 ᄂ밭을 매는 우리 엄마 허리 허리 덜 아프고

P A R T 04 부록 정답및해설 담화 담화의개념과구조 02 담화의특성과유형 01 참고자료 ( 교과서문법요약 ) 02 중세문법보충강의 03 담화의의미형성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³»Áö_10-6

Q. < 보기 > 는사이시옷표기조건에관한학습활동지의일부이다. 학습한결과를 정리한것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 보기 > 1 개-+살구 구성은 1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개살구 라고쓴다. 2 총무+과 구성은 2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총무과 라고쓴다. 3 만두+국 구성은 1, 2

- 2 -

<Hit The Sheep> -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선별 4탄 (고퀄해설)

때문이다. 그러나여기가또한우리장인님이유달리착한곳이다. 여느사람이면사경을주어서라도당장내쫓았지, 터진머리를불솜으로손수지져주고, 호주머니에희연한봉을넣어주고그리고, 올갈엔꼭성례를시켜주마. 암말말구가서뒷골의콩밭이나얼른갈아라. 하고등을뚜덕여줄사람이누구냐. 나는장인님이너무나고마워서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652

歯 조선일보.PDF

2014_한글리플렛_A4_1001.indd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나라도 역사도 나몰라라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 1

2. 중세국어 1. 훈민정음창제원리 : 글자의구성초성 ( 첫소리, 자음 ) 중성 ( 가운뎃소리, 모음 ) 종성 ( 받침소리, 자음 ) [ 초성의제자원리 ] 첫번째, 발음기관상형 => 초성오음 ( ㄱ, ㄴ, ㅁ, ㅅ, ㅇ ) 생성후 두번째, 가획과병서의원리적용 조음위치에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국어1권표지


와플-4년-2호-본문-15.ps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 D28BCF6C1A4292E687770>

160215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1~4].?.?,.,,.!.,.,,..,,.,,..,. 17,,...,..,.

hwp

국어영역모의고사고전문법 ( 중세국어 ) 문제모음 5. 를읽고중세국어에대해탐구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5) 海東六龍이 샤일마다天福이시니ᄀ古聖이同符 시니 < 제 1 장 > ᄂ불휘 * 기픈ᄃ남 * ᄅ 매아니뮐 곶됴코여름하 니 미기픈ᄆ므른 래아니그츨 내히이러ᄇ바 래가 니 <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Transcription:

zb 1) 나 zb 2) 가 고 1 서울 영등포구 5. 우리의 말과 글_ 비상( 상) 김경미(kmkm1213@zocbo.com)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한 표시 1) 제작연월일 : 2013-05-13 2) 제작자 : 교육지대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 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터 5 년간 보호됩니다.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법 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 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 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가) 고대 국어 고대 국어를 조사하는 데에는 향찰( 鄕 札 ), 이두( 吏 讀 / 吏 頭 ), 구결( 口 訣 ) 과 같은 차자( 借 字 ) 표기로 기록된 자료 가 중요하게 활용된다. 고대에는 우리말을 기록할 만한 고 유의 표기 수단이 없어 한자를 빌려 썼는데, 이 차자 표기 에 고대 국어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차자했던 한자 의 음( 音 ) 과 훈( 訓 ) 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므로 고대 국어의 정확한 모습을 알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고대 국 어의 특징을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다. 고대 국어의 음운 체계에는 된소리가 없었던 것으로 보 이며, 문법은 중세 국어와 큰 차이가 없었던 것 같다. 또 한 어휘에서는 한자를 차자( 借 字 ) 하면서 우리말에 많은 양 의 한자어가 유입( 流 入 ) 된 것으로 보인다. ( 나) 서동요( 薯 童 謠 ) [ 원문] 善 化 公 主 主 隱 他 密 只 嫁 良 置 古 주[ 주인 주], 隱 - 숨길 은, 他 - 다를 타, 密 - 비밀 밀 [ 그윽할 밀], 只 - 다만 지, 嫁 - 시집갈 가, 良 - 어질 량, 置 - 둘 치, 古 - 옛 고, 薯 - 참마 서, 童 - 아이 동, 房 - 방 방, 乙 - 새 을, 夜 - 밤 야, 矣 - 어조사 의, 卯 - 토끼 묘, 抱 - 안을 포, 遣 - 보낼 견, 去 - 갈 거, 如 - 같을 여[ 답다 여] * 卯 - 卯 토끼 묘 가 아니라, 卵 ( 알 란) 이나, 夗 ( 누워 딩굴 원) 의 이체자( 異 體 字 ) 로 보는 학자도 있음. ( ) 의 서동요 원문은 향찰( 鄕 札 ) 로 표기된 것이다. 향찰은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전면적으로 적던 표기 체계로 우리말의 실질적인 뜻 부분은 한자의 훈( 訓 ) 을, 문법적인 요소 부분은 한자의 음( 音 ) 을 빌려 표기 하는 것이 그 기본 원칙이었다고 한다. 현대어 풀이와 ( 다) 의 한자의 훈과 음을 참고할 때, 다음 중 한자의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글자들만으로 된 조합은? 隱, 只, 古, 乙 他, 密, 置, 抱 主, 他, 古, 遺 公, 他, 良, 如 只, 古, 抱, 去 薯 童 房 乙 夜 矣 卯 乙 抱 遣 去 如 [ 현대어 풀이] 선화 공주님은 남몰래 결혼하여 두고 맛둥서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가다. - 삼국유사 ( 三 國 遺 事 ) 권 제2 ( ) 에서 고대 국어의 특징을 보이며, 같다 등으로 일관되게 추측하여 설명하는 이유를 첫째 문단을 활 용하여 80 음절 내외로 요약하여 쓰라. 고대국어는 으로 시작할 것. < 조건> ( 다) [ 한자의 훈과 음] 善 - 착할 선, 化 - 될 화, 公 - 공변될 공, 主 - 임금 (A) 용비어천가 ( 龍 飛 御 天 歌 )

zb 3) zb 4) zb5) 글 zb 6) zb 7) 의 니 불: 휘기픈 남 매아니 : 뮐 곶: 됴코여름하 니 : 미기픈므른 래아니그츨 : 내히이러바 래가 - 용비어천가 권 제1 세종 29 년(1447) (B) 世 솅宗 종御 ᄀ엉製 졩訓 훈民 민正 졍音 나 랏: 말 미中 듕國 귁 에달 아ᄂ文 문字 와 로서르ᄃ 디아 니 이런ᄅ젼 로어 린百 城 셩 이니르 고 져 홇 배 이 셔 도 : 내제 들시 러펴 디: 믈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윙 야: 어엿비너겨새로스믈여듧 字 노니 : 사 마 다 수 니 겨 날 로 메便 뼌安 한 킈 고 져 ᄆ 미니라. (A) 를 바탕으로 하여 중세 국어를 설명한 것 중 바르 지 않은 것은? 도쿄 - 오늘날과 형태가 다른 어휘의 사례이다. 불ㆍ휘기 ㆍ픈 - 성조를 표시하기 위해 방점을 사용하고 있다. 기픈, 미 - 이어적기의 사례이다. 므른, 바 래 -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도 모음조화가 지 켜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내히 - 오늘날과 비교할 때 형태는 그대로이나 의미가 달 라진 사례이다. (C) 춘망( 春 望 ) - 월인석보 ( 月 印 釋 譜 ), 세조( 世 祖 ) 5 년(1459 년) 나라히 破 亡 ( 파망) 니 뫼콰 잇고 잣 보 플와 나모 기펫도다 時 節 ( 시절) 을 感 歎 ( 감탄) 호니 고지 믈 리게 코 (A) 의 밑줄 친 부분을 현대어로 풀이하되, 운문 성을 무시하고 뜻 전달 위주로 하라. ( 주격조사를 반 드시 사용할 것.) 여희여슈믈 슬호니 새 놀래노다 烽 火 ( 봉화) ㅣ 석 니어시니 지븻 音 書 ( 음서) 萬 金 이 도다 셴 머리 글구니 뎌르니 다 빈혀 이긔디 몯 도다 두시언해 ( 杜 詩 諺 解 ) 중간본 권 제10, 인조 10 년(1632) 국어의 역사에 관한 진술 중 바르지 않은 것은? 중세 국어 시기에는 아직 된소리가 없었다. 중세 국어에서는 이어적기가 보편적이었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모음조화 현상이 거의 규칙적으로 나 타났다. 중세 국어에서는 오늘날 사용하지 않는 문자 [ ㆁ, ㆆ, ㅿ, ㅸ, ㆍ] 들이 사용되었다. 중세 국어에서 사용되었던 방점은 다. 16세기 말부터 없어졌 (B)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세종대왕 이후에 나온 글이다. 않은 것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을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을 창제해야 할 필요성을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을 창제한 원리를 드러내고 있다. 새 문자의 실용성을 드러내고 있다. (B) 밑줄친 ᄀ~ ᄆ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것은? ᄀ : 실제 발음은 [ 어제] 로 한다. ᄂ : 한자를 가리킨다. ᄃ : 사이가 좋지 의 의미이다. ᄅ : 이유로, 까닭으로 의 의미이다. ᄆ : 따름이다 라는 뜻이다. 않은

zb 8) 에 zb 9) 중세 zb 10) zb 11) zb12) 다음 zb 13) (B) 나타난 어휘를 현대어로 바꾸었을 때, 의미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어린 : 현대 국어에서는 어리석은 의 뜻이다. 들 : 뜻을 의 의미로 당시나 현재나 그 의미는 그대로이 다. 놈 : 현대 국어에서는 보통의 사람 을 가리킨다.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고지 - 곶+ 이로 분석되며 이어적기가 사용된 사례이다. 보, 기펫도다 - 이어적기가 사용된 사례이다. 믈 - 거듭적기가 사용된 사례이다., 니어시니 - ㅿ 이 표기에서 사라진 사례이다. 잣, 잇고 - 받침 표기에서 ㄷ 이 ㅅ 으로 통일되어 표기 된 사례이다. 하ㆍ 니ㆍ 라 : 현대 국어에서 많다 라는 뜻이다. 어엿비 : 가엾게, 불쌍히 의 뜻을 현재에도 가지고 있다. 국어의 언어적 특징 중, (B) 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은? 조사와 의미도 모음조화에 따라 결합하고 있다. 구조가 복잡한 긴 문장이 쓰이고 있다. 비교격 조사 에 가 쓰이고 있다. 원순모음화가 나타나기 이전의 모습이다. 체언도 조사와 결합하면서 형태가 바뀌는 예가 있다. 근대 국어의 특징에 관한 진술 중 바르지 않은 것은? 이 시기의 표기법은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이 다 사용되어 혼란스러웠다. 받침에서 ㄷ 과 ㅅ 이 구분되어 쓰이던 것이 18세기 이후 로는 ㅅ 으로 통일되는 경향( 예 굳다 / 굿다 > 굿다) 을 보 였다. 이 시기에도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가 바뀌는 체언[ 이른바 ㄱ 곡용어 ] 가 있었으며, 새로운 주격 조사 가 가 쓰였다. 중세국어에서 표기에 쓰이던 자음 글자 중 ㅿ 과 ㆆ 은 표기에서 사라졌고, ㆁ 은 ㅇ 으로 표기되면서 사라졌다. 많은 고유어가 사라지고 우리말 어휘의 상당 부분을 한자 어가 차지하게 되었다. 글을 읽고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음 스물여덟 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첫소리는 모두 열일곱 자다. 어금닛소리 ( 아음, 牙 音 ),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본뜨고, 혓소리( 설음, 舌 音 ) ㄴ은 혀가 윗잇몸을 붙는 모양을 본뜨고, 입술소리 ( 순 음, 脣 音 ) ㅁ은 입 모양을 본뜨고, 잇소리( 치음, 齒 音 ) ㅅ은 이[ 齒 ] 의 모양을 본뜨고, 목청소리 ( 후음, 喉 音 ) ㅇ은 목구 멍의 모양을 본든 것이다.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 나는 것이 조금 센 까닭으로 획 을 더 하였다.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 그 소리를 바탕으로 획을 더한 뜻( 가획자, 加 劃 字 ) 은 다 같으 나, 오직 ㆁ만은 다르다. 반혓소리 ( 반설음, 半 舌 音 ) ㄹ과 반잇소리 ( 반치음, 半 齒 音 ) ㅿ도 또한 혀와 이[ 齒 ] 의 모양 을 본뜨긴 했으나 그 체( 體 ) 를 달리하여 ( 이체자, 異 體 字 ) 획을 더한 뜻이 없다. 영희 : 기본자에 획을 더한 글자를 가획자라고 해. 철수 : 초성 17 자는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만들었어. 지은 : 혓소리 ㄴ 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뜻 것 이네. 준호 : 이체자는 자음의 가획자와 형성 방식이 다르군. 영수 : 그렇지 ㆁ, ㄹ, ㅿ 은 획을 더해 만든 글자가 아니 야. (C) 를 바탕으로 한 다음의 근대 국어에 관한 구체적 는 훈민정음 중성 기본자의 제자 원리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가, 나, 다에 들어갈 내용을 각각 쓰 라.

< 조건> 1) 가는 A와 유사한 형태로 3 어절로 갖추어 쓸 것. 2) 가 4 점, 나와 다는 각 1 점씩 부분점수 부여함.

1) [ 정답] 2) [ 정답] 고대국어는 남아 있는 자료도 많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확한 모습을 알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어떤 사실에 대해서 단정을 짓기 보다는 추측하여 설명 하고 있다. 3) [ 정답] 4) [ 정답] 5) [ 정답]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6) [ 정답] 7) [ 정답] 8) [ 정답] 9) [ 정답] 10) [ 정답] 11) [ 정답] 12) [ 정답] 13) [ 정답] 가하늘이 둥근 모양, 나ㅡ, 다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