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41505FC3D6C1BEBAB8B0EDBCAD28303731303235292E687770>



Similar documents
<C5F0B0E82D313132C8A328C0DBBEF7BFEB292E687770>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2323B4EBC7D0C7A5C1D8C3EBBEF7B1B3C0E7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Microsoft Word - 青野論文_李_.doc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Relationship Betw

PDF

입장

DBPIA-NURIMEDIA

0429bodo.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E1-정답및풀이(1~24)ok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untitled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최우석.hwp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2힉년미술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06 ƯÁý


자료1 분기별 시청률 추이 (%) 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



(자료)2016학년도 수시모집 전형별 면접질문(의예과포함)(최종 ).hwp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688È£

대구MBC문화원-9기-최종

2003 청소년보호 지도교사 연수 2003년도 청소년보호 지도교사 연수 연 수 목 적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권과 보호받을 권리가 보장되는 교육환경 및 사회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교사의 사명과 책임을 인식하고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청소년보호 및 지도능력을 제고함으로써 청소년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 B3E2C1B6BBE7BAD0BCAEBAB8B0EDBCAD2DBFCFBCBABABB28BEF6C0CDC3B5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직업편-1(16일)

IT현황리포트 내지 완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652

歯 조선일보.PDF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 1

<근대이전> ⑴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역사 학습의 목적, 선사 문화의 발전에서 국가 형성까지를 다룬다. 역사가 현재 우리의 삶과 긴밀하게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 로 선사 시대의 삶을 유추해 본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국가가 형성되고 문 명

솔루션-M3-0.indd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기사전기산업_41-56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 hwp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È£ 1~8 1È£š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 D28BCF6C1A4292E687770>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160215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hwp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312DB3EBB5BFC6F7C4BFBDBA5BBCF6C1A4BABB5D2E687770>

0616¾ËÄÄÁî_±¹¸³µµ¼Ł°ü À¥¿ë.PDF

<3036B3E231C7D0B1E220B0ED31B1E2B8BBB0EDBBE7B4EBBAF1C6AFB0AD20B1B9BEEE28BBF32931B0AD2D33B0AD2D5BB1E8C0AFB5BFBCB1BBFDB4D45D2E687770>

<33C6E4C0CCC1F620C1A63139C8A320B8F1C2F72E687770>

<C1DFB0B3BBE7B9FD3128B9FDB7C92C20B0B3C1A4B9DDBFB5292E687770>

참여연대 이슈리포트 제 호

Transcription: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 연구 2007. 10. 31

연구 과제명 :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연구기간 : 2007년 4월~ 2007년 10월 연구 수행자 연구책임자 노경란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공동연구원 현영섭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박소연 이효남 변정현 박봉수 한양대학교 리더십센터 선임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iii 차 례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내용 4 4. 연구방법 5 5. 용어의 정의 8 Ⅱ. 선행연구 분석 1. CAP 과 진로선택 발달이론 9 2. 청년층 대상 진로개발 지원 현황 19 3. 청년층 진로개발 관련 국내외 연구동향 26 Ⅲ.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의 센터 활용 현황 1. 조사개요 35 2. 조사결과 36 Ⅳ. 국내외 실천 사례 분석 1. 미국 44 2. 일본 52

iv 3. 국내 62 Ⅴ. 청년층 진로발달 요구 분석 1. 참가자 대상 사전-사후 검사 결과 73 2. 청년층 요구조사 결과 83 3. 소속별 차이분석결과 87 4. 현장 전문가 면접조사 결과 157 Ⅵ. 프로그램 개발 내용 1. 프로그램 구성틀 개요 163 2.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과정 169 3. 고등학생용 매뉴얼 197 4. 대학생용 매뉴얼 242 참고문헌 276 부록 1.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운영 상황 파악 설문 284 부록 2. 사전 사후 검사지 295 부록 3.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 연구를 위한 요구 조사(고교생) 301 부록 4.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면접조사 315 부록 5. 기업 인사담당자가 말하는 구직기술 317

머리말 v 머리말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청년실업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청년층이 올바른 직 업관을 형성하고, 스스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청년실업의 문제 를 사전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2001년도에 CAP이 개발되었습니다. 그 동안 현장에 있는 CAP 진행자 분들께서 애써주신 덕분으로 직접 수혜자 인 청년층은 물론이고, 대학의 취업지원센터, 고등학교의 진로상담부서 등으로부터 도 좋은 평가를 얻어왔습니다.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5년이 훌쩍 넘어버린 현 시점에서 보았을 때 아 무래도 내용의 최신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청년층의 진로발달 요구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CAP 개정 연구를 추진하였고, 그 결과물인 CAP + ver.1 이 완성되었습니다.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CAP + ver.1 은 청년층의 요구에 기초하여 고등학생용과 대학 생용으로 세분화되었고, 각 대상자 특성에 맞춰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탐색을 강화 하고, 대학생의 경우 구직행동을 강화하였습니다. 기존 프로그램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등학생들 에게는 진로 준비기로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학습자로서의 특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새롭게 마련되었습니다. 또한 고등학생의 진로 선택 방향에 따라 대학진학 면접 등을 모의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대학생 을 대상으로 한 매뉴얼에서는 구인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기업의 원리 이해, 이미지 메이킹, 비즈니스 매너 등의 신규 요구가 새롭게 포함되었습니다. 더불어 슬라이드 자료와 보충자료, 워크시트 등을 새롭게 정비함으로써 진행자들의 진행을 지원하고 자 하였습니다. 이 연구결과의 성과물인 CAP + ver.1 이 성공적으로 정착 보급될 수 있도록 수정 보완작업이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1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전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진로발달의 과정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진로의 탐색 과 준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에 해당되는 청소년과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진로지 도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이론적 면에서나 실천적 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왔 다. 이론적 측면에서 보면 Ginzberg와 그의 동료들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선택 절차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단계를 환상기(12세 이하), 잠정기(13~17세), 현실화기(17세 이상) 로 세분화하였다(1951). 한편 Super는 전생애 적 관점에서 청소년기의 발달단계를 성장기(~14세), 탐색기(15~24세), 확립기(25~44 세) 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진로발달 특성을 제기하였다(Isaacson, 1985: 51~53). 이 를 토대로 중학교 나이의 청소년들에게서 기대되는 진로발달 상태를 밝힌 연구 (Evans et al., 1973), 고등학생의 발달시기에 해결해야 할 진로 과제에 대한 연구 (Hoyt et al., 1977) 등이 수행되었다. 국내에서는 주로 학교급별로 구분하여 중고등 학생의 진로지도체제 구축과 관련된 연구(진미석, 손유미, 2000), 초 중등 수준에서 의 진로교육 실태 분석(이지연, 최동선, 2005), 청소년기의 진로개발 실태와 성과를 고찰한 연구(이지연 외, 2005), 고등학생의 진로준비 행동 분석(박현주, 김봉환, 2006),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조사 분석(한상근 외, 2001), 대학생의 직업탐 색행동과 구직성과 간의 관계 연구(이지영 외, 2005), 대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모색 연구(이지연, 2001)등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 동향으로부터 청소년기와 성인초기에 진로탐색 및 준비가 이루어져야 하 며, 연령의 증가 또는 학령의 증가와 함께 각 시기별로 진로발달에 대한 요구가 상

2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해당하는 연령층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청소년과 청년을 모두 아울러 이들의 진로발달 요구를 구분하고 정의한 연구는 미천한 실정이다. 따 라서 진로탐색 및 준비기 라는 동일한 과제 하에, 사회적 요구 및 발달단계에 따라 청소년 및 청년들이 직면하는 진로요구를 탐색하고, 이를 체계적 총체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지원내용을 명시하기 위한 이론적 측면에서도 절실하게 요구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천적 측면에서 이루어진 국내 연구들의 경우, 주로 새롭게 개발하였거나 기존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이현 림, 박필자, 2006; 이현림, 손향숙, 2006; 조혜정, 김밀양, 2006; 황매향, 최경애, 2006), 여기서도 역시 학교급별로 실시 대상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연구 의 편의 때문에 나타난 특성으로도 볼 수 있지만 상기 제시한 이론적 연구 동향에 비추어 볼 때 각 연령단계에 따라 진로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상이해 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따라서 발달수준 및 발달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직업진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직업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 및 청년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실천적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년 및 청년들의 진로 개발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천적 노 력이자 공적 지원의 일환으로서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2001년에 청년층 직업지도 프로그램(이하 CAP) 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 및 청년의 주요 발달과 제인 진로 직업에 대한 계획의 수립 및 실행을 지원하고,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는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서 제시되었다는데 그 의미 가 크다. 또한 본 프로그램을 계기로 청년층의 진로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공적인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시켰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 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제6공화국에서 진로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강화가 정책적 으로 추진되었다 할지라도 진로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은 여전히 학 교에서는 비주류에 속하는 활동에 머물렀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규교육프로그램은 아니지만 누구든지 원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무료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이 프로그램의 보급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 이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진로 나 직업 과 관련된 주제는 개인적 특성,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상황, 사회 경제적 요구 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야 하기 때문에 직업진로지도 프로그램의 대상을 명확화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러한 견지에서 보았을 때 본 프로그램은 청년층 이라는 포괄적 개념을 도입하여 청 소년에서 청년층 구직자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연령 해당자(15~29세)를 프로그

3 램의 대상자로 선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술하면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전환적 단계로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이 급 격한 청소년기와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청년기는 해결해야 할 진로과제가 상이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하나의 직업진로지도 프로그램으로 모든 대상 을 포괄적으로 지원하고자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참가자의 다양한 인지적 정서적 눈높이 및 다채로운 요구수준을 만족시키는데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이에 청소년 및 청년기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진로발달 수준 및 진로발달역량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구를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직업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좁게는 청년층의 진로탐색 및 개척을 지원하고 넓게는 직 업진로지도의 체계적 지원체제를 형성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 연구의 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 및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진로발달 수준 및 관련 역량 개발에 필요한 요구를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기존의 한국고용정보원 CAP 의 기본 구성틀과 내용을 개정함으로써 청년층 직업진로지도 서비스의 질 적 제고 및 효과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고용정보원 CAP 의 개발 연혁을 탐색하고 진행 현황을 파악함으로 써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청소년 및 청 년의 진로발달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국내외 실천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요구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셋째, 도출한 요구분석 틀에 기초하여 정량적 정성적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진로발달 역량 개발에 있어 청년층의 발달단계별로 세분화된 진로발달 요구를 도출한다. 넷째, 도출된 진로발달 요구에 기초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구성틀 을 조직하고, 각 구성 내용군을 설정하며, 각 내용을 집필하여 프로그램매뉴얼 및 진행자교육매뉴얼을 완성한다. 다섯째, 개정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Pilot Test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흐름, 내용, 시간 등을 조정하여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성을 강화시킨다.

4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3. 연구내용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5가지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연구내용 에서 제시될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연구 모형을 도식화하면 [그림 Ⅰ-1] 과 같다. 문제상황 문제원인 해결 방안 최종산출물 수요자에 대한 대응 미흡 수요자별 프로그램의 탄력적 대응 부족 내용의 진부화 프로그램 개정 프로그램 매뉴얼 (진행자용) 진로발달 요구세분화 프로그램 개발 타당성/ 현실성검토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의 현황 및 내용 분석 선행연구 분석 요구분석 타프로그램 분석 선진프로그램 분석 요구목표 전환 프로그램 구성틀 확립 프로그램 내용 집필 시범운영 실시 결과분석 수정/보완 진행자 양성 매뉴얼 [그림 Ⅰ-1] 연구 모형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의 프로그램 활용 현황 한국고용정보원 CAP 의 개발 연혁과 서비스의 제공 현황을 탐색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은 물론 운영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도출하며 이를 요구분석 틀 구성에 반영한다.

5 국내외 실천사례 분석 청소년 및 청년의 진로발달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국내외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사례를 목적, 구성틀, 내용, 운영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요구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청년층 진로발달 요구 분석 전항에서 도출한 요구분석 틀에 기초하여 정량적 정성적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진로발달 역량 개발에 있어 청년층의 발달단계별로 지원의 필요점을 명확화 한다. 프로그램의 개발 전항의 요구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구성틀을 조직하고, 각 구성 내용군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계획이다. 프로그램의 구성틀은 요구분석 결과 및 현 실가능성을 고려하여 공통 모듈과 상황 모듈 로 구성될 예정이며, 상황 모듈은 해 당 모듈별로 다양화를 요구하는 결정요인에 의하여 다양화 될 것이다. 또한 각 내 용별 내용전문가를 선정하여 각 모듈의 내용을 집필하도록 함으로써 내용의 전문성 을 확보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뉴얼과 진행자교육매뉴얼의 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시범운영 결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점검하고, Pilot Test(1회차 이상)를 거쳐 프로그램의 시간 및 운영상 문제점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현실 적 용성을 확보한다. 4. 연구방법 상기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청년층 대상 설문조사, 관련 전문가 대상 면접조사, 개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시범운영 등을 실시 하였으며, 이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분석 및 사례분석 청년층의 진로발달단계 및 발달과업, 진로개발요구와 관련된 문헌들을 수집하여 분석한다. 또한 국내외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개발된 직업진로지도 프로그램을 비 교 분석하고, 기존 프로그램의 구성틀 및 내용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탐색하여

6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전체적으로 프로그램의 개정 방향을 조망한다. 2) 청년층 진로 역량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우리나라 청년층이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구직목표의 실천하는데 있어 촉진요 인과 장애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전문가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구조화된 면접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설문조사지 및 면 접지는 연구진이 개발하여 활용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무선표집에 의하여 설문지 배부 학교를 선정한 후, 성비 및 학년을 고려하여 실시한다(<표 Ⅰ-1> 참조). 면접 조사는 연구진 협의를 통하여 <표Ⅰ-2>와 같이 관계 전문가군을 설정하고, 해당군 별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심도있게 실시한다. 이와 더불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결과, 전국경제인연합회(2003)의 기업의 바람직한 인재상 및 이의 실천 과제 조사 결과 등, 기존의 공신력있는 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청년층의 진로 개발요구를 명확화한다. <표 Ⅰ-1> 설문조사 실시 계획 대상자 구분 설문지 회수 비고 진로선택 준비자 취업활동 임박자 고교생 1~2학년 100부 대학생 고교생 (실업계) 대학생 2년제 1학년 100부 4년제 1~2학년 100부 3학년 100부 2년제 2~3학년 100부 4년제 3~4학년 100부 - 지역차 고려한 조사 학 교 무선 표집 - 조사에 있어 성비 고려 합계 600부

7 <표 Ⅰ-2> 면접조사 실시 계획 전문가군 조사 대상자수 비고 학교 고등학교 진로지도 교사 4명 인문계, 실업계 고려 대학교 취업센터 담당자 4명 2/3년제, 4년제 고려 기업의 인사(채용)담당자 10명 기업규모, 산업 고려 고용지원센터 CAP 담당자 2명 다경험자(추천), 지역차 고려 합계 20명 3) 전문가의 활용 연구의 질적 수준 및 개발된 프로그램 내용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계 획 수립, 중간보고, 최종연구 결과 등의 시점에서 전문가에 의한 연구 검토를 실시 할 계획이다. 특히 최종연구 결과물인 진행자매뉴얼에 대해서는 시범운영 전, 전문 가 자문회의를 거쳐 그 결과를 진행자매뉴얼의 작성에 반영한다. 이와 아울러 매 뉴얼 내용의 집필에 있어서는 연구진 이외에 고용지원센터의 상담원으로 구성된 내 용전문가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내용의 현장성과 흥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전략을 구사한다. 또한 매뉴얼 집필에 있어 연구팀의 전문 분야를 벗어나는 주제에 대해서는 기업의 인사(채용)담당자 또는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 렴하고 내용에 따라서 집필을 의뢰함으로써 내용의 전문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표 Ⅰ-3> 전문가 구성 구분 전문가 소속 전공 전문분야 감수 김봉환 교수 숙명여대 교육학 교육심리 및 상담 박찬수 교수 건양대 문학 진로 취업교육 연구 자문위원 이상호 교수 숭실대 경영학 조직인사관리 장재윤 교수 성신여대 심리학 산업 및 조직심리학 분야별 내용전문가* 미정 - - 기업의 인사(채용)전문가, 또는 관련 전문가 연구자문위원은 가나다순으로 제시함 * 분야별 내용전문가의 경우 필요시, 연구팀의 협의에 따라 필요 인원과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임

8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4) 시범운영의 실시 고용지원센터의 상담원으로 구성된 공동개발 Task Force Team을 중심으로 고등 학생, 대학생, 청년구직자 등과 같은 참가대상자를 각각 15명 내외로 모집하여 각각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1회차 이상 운영한다. 시범 운영 실시 후,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 및 진행자의 의견을 청취하여 프로그램의 진행 흐름, 내용, 시간 계획 등을 조정한다. 5. 용어의 정의 이 연구에서는 청년층을 15세 ~ 29세의 연령에 해당하는 자로 정의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사용될 용어이자 혼동의 가능성이 큰 진로 개입(career intervention) 1) 을 그 종류별로 정의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지도(career guidance)란 여타의 진로 개입 전략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구성체로서 진로지도프 로그램은 참가자의 진로를 개발하는데 있어 다양한 측면으로 영향을 미치고자 고안 된 조직화되고 체계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진로교육(career education)은 1 직업정보의 제공, 2 교육과정에 직업 관련 개념의 주입, 3 기업 및 산업 현장 으로의 체험학습, 4 직업인에 의한 경험담 제공, 5 진로 관련 학습을 위한 수업의 개설, 6 인턴십과 도제프로그램의 개설, 7 직업체험관 제공 및 탐방 등과 같은 다 양한 유형의 교육 전략을 활용하여 참가자의 진로개발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체계적 인 시도를 말한다. 셋째, 진로상담(career counseling)이란 진로선택 또는 진로 조정 문제에 대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 또는 집단을 대상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서 비스를 말한다. 진로상담은 라포 형성 문제 본질에의 접근 목표 수립 중재 종결 등의 절차로 진행되며, 진로선택 진로선택에 대한 확실성 증대 자기이해 및 직업에 대한 이해 증진 정신 건강 등을 그 산출물로 얻을 수 있다. 넷째, 진로정보 (career information)는 때때로 노동 시장 정보로도 표현되며 특히 직업의 추세, 국 가의 산업 등에 관한 폭넓은 정보 또는 보편적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 다. 끝으로, 진로코칭(career coaching)은 주로 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근로자의 진로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취하는 노력을 의미한다. 1) 진로의사결정을 포함하여 개인의 진로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동

9 Ⅱ. 선행연구 분석 이 장에서는 CAP 의 구성 체계와 내용의 근간이 되고 있는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고, 학교를 중심으로 한 청년층 대상의 진로지도 현황, 국내외 연구 동향 등 을 분석해 봄으로써 개정에 필요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 CAP 과 진로선택 발달이론 본격적으로 CAP 을 뒷받침하고 있는 이론을 탐색하기에 앞서 흔히 직면하게 되는 진로발달이론과 진로상담이론의 혼동되는 부분을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CAP 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진로발달이론의 목 적을 입직과정, 직업적응과정, 생애진로발달과정 등과 같은 진로 관련 행동을 설명 하기 위한 이론 으로, 한편 진로상담이론의 목적은 상담자가 어떻게 상담해야 하는 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 으로 구분하고자 한다(Swanson & Fouad, 황매향 역, 2005: 26).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프로그램에서의 역할을 기준으로 보았 을 때, 진로발달이론이 프로그램 참가자의 진로 행동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 면 진로상담이론은 프로그램 진행자가 참가자들의 진로 행동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 가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청년층의 진로지도 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CA P 이 진로발달이론에서 규명한 개인의 진로 관련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 그 구성 체계와 내용의 근간이 되고 있으리라는 사실은 자연스럽게 유추할 수 있을 것 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진로지도(career guidance) 에 대한 조작적 정의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본 프로그램은 교육적 접근, 상담적 접근 등의 진로 개입 전략을 포괄하여 체계적으로 고안된 구성체이다. 결과적으로 CAP 의 전체 구성, 진행

10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절차, 세부 내용 등에 있어 교육적 기능과 상담적 기능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사실 이다. 따라서 교육적 개입과 상담적 개입의 특성에 따라 교육인가 아니면 상담인가 하는 프로그램의 성격 정의에 혼동을 빚고 있지만 이 두 가지 기능은 분리시켜야 하는 상충적 관계라기보다는 상보적 관계이다. 따라서 참가자의 심리적 문제를 선 결하고 격려하며 지지한 이후 문제해결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교육적 기능이 제시되 는 것으로 판단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에 진로발달이론과 진로상담이론을 별 도로 구분하지 않고 진로 를 주된 주제로 다루고 있는 이론들의 중심 개념을 살펴 보고 이러한 이론들과 CAP 과의 연계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진로 관련 이론을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특성요인이론(trait and factor theory), 심리이론, 사회이론, 발달이론, 의사결정이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Herr & Crammer, 1979). 이후 새로운 이론들로서 사회학습이론, 인지적 정보 처리론, 사회인지이론, 가치중심적 관점, 맥락적 관점 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데 각 이론의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특성요인이론은 개인의 특성과 구체적 직업의 요구조건을 일치시키는 것으 로 이 이론에서는 1 각 개인에게는 독특한 심리적 특성이 있으며 그 특성에 맞는 최적의 일이 있고, 2 각기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직업인들은 다른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3 직업적 적응은 개인의 특성과 직업에서 요구하는 특성간의 일치 정도에 따라 다르다'고 가정한다(Crites, 1969: 336). 따라서 이 이론에 기반한 진로 지도 활동은 1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각종 심리검사를 실시 해석하고, 2 이에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정보를 수집하며, 3 적 절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직업상담을 하는 일이 그 주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강재태, 배종훈, 강대구, 2003: 35). 특성요인이론과 CAP 과의 연계성을 찾아보면 B모듈의 자기탐험 과 C모듈의 직업탐색 부분과 매칭시켜 볼 수 있다. 상술하면 B모듈의 주요 활동으로서 직업선 호도 검사, 직업적성검사 등을 실시하여 참가자 개인이 자신의 특성을 탐색해보 고, 그 결과를 토대로 C모듈에서는 자신의 직업 흥미 및 선호도에 적합한 직업을 탐색해 보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과 이에 적합한 직업의 연결을 가정한 특성요인이론이 B모듈과 C모듈의 근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 이론이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지만 세부 내용 을 지원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심리이론은 인성구조의 차이가 다양한 욕구를 배출시키며 직업선택은 결국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 이라고 가정하고 있으며 대표적 이론으로 Roe의 욕구이론 과 Holland의 성격이론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Maslow의 욕구위 계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Roe는 아동 초기에 경험하는 좌절(frustration)과 만족

11 (satisfaction)에 의해서 개인의 욕구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상술하면 다정하고 수용적인 부모에 의해서 양육된 사람들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을 즐 기는 반면 차갑거나 비수용적인 부모에 의해서 양육된 사람들은 일에서 타인과의 접촉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Roe는 <표 >과 같이 직업 을 인간지향형(person-oriented)과 비인간지향형(nonperson-oriented)으로 분류하였 다. <표 Ⅱ-1> Roe의 직업분류 인간지향형(person-oriented) 서비스 (타인에게 서비스 제공) 비즈니스 (예: 영업) 관리 (기업, 산업, 정부에서의 관리) 일반 문화 (교직, 목사직, 언론직) 예술 오락(창의적 활동) 비인간지향형(nonperson-oriented) 기술(생산, 유지, 운송) 야외(농업, 임업, 광업, 기타) 과학(이론 및 응용) 자료: Roe, A. (1956). The psychology of occupations. New York: Wiley. 이러한 Roe의 이론은 진로지도프로그램에서 직업선호 검사 도구(예, Knapp & Knapp의 Career Occupational Preference System Interest Inventory)나 진로개발프 로그램에 내에서 직업카드의 분류법(Miller, 1986)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Zunker, 2002: 58). 다음으로 직업선택과 조정에 있어 현존하는 이론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을 제 시한 Holland(1992)는 개인이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의 특유한 적응 방향(성격)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직업 환경을 선택한다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이 이론에서는 1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섯 가지 서로 다른 성격 유형 2) 중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고, 2 이러한 성격 유형에 일치하는 여섯 종류의 직업 환경이 있으며, 3 사람들은 자 신의 성격에 맞는 직업을 찾고, 4 개인의 성격 유형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개인 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기본 가정을 제시하였다(Holland, 1997). 이 이론은 이 론가는 물론 실천가들에게도 직업선호도 검사의 개발은 물론 개인의 직업선호를 해 석하는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심리이론과 CAP 과의 관련성에 주목해 보면 Roe의 이론 이 직접적으로 적용 되고 있는 내용이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참가자의 직업흥미 및 선호도를 이 2) 실제형, 탐구형, 사회형, 관습형, 기업형, 예술형

12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B모듈에서 심리검사가 실시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검사 도 구 3) 의 측정 요인이 모두 Holland의 성격 유형 이론에 근간을 두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C모듈에서 직업카드 를 활용하여 하고 싶은 직업 찾기 활동이 전개되는데 이 때 활용하는 직업카드의 의미 설명이 Holland의 성격 유형 이론에 기초하여 마련 되어 있는 것 등으로부터 심리이론이 CAP 의 내용에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이론은 개인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 환경이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 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개인이 진로를 선택 개발하는데 있어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등 다양한 결정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제시한다(Clausen, 1991: Parcel & Menaghan, 1994; Saunders, 1995). 즉, 전술한 특성요인이론이나 심리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직업의 획득이란 단순히 개인적 수준에서의 선택이나 특성, 노 력에 의한 결과만으로 설명할 수 없음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로지도 프로그램 내에 직업세계의 복잡성과 각 개개인이 노동시장에서 직면하게 될 경험의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켜 개인이 직업세계에 대하여 보다 현실적 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사회이론과 CAP 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이 이론이 CAP 에 직접적으로 적 용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물론 E모듈에서 실시되는 직업정보탐색 에서 한국고 용정보원의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을 검색해보면서 노동시장 동향, 진입을 위 한 준비 등의 내용을 접함으로써 직업세계의 복잡성이나 노동시장 입직의 어려움 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는 제공된다. 그러나 사회 구조 및 시스템, 사회 변화, 사회 이동 등 사회이론의 주요 개념을 적용시켜 개인의 직업획득과 구 체적으로 연계시킨 내용은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진로발달이론은 개인의 생애에 걸쳐 발생하는 직업 관련 행동이 어떻게 발 달하고 변화하는가에 주목하고 있는 이론으로서 연령별로 진로발달단계 및 단계별 학습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최초로 발달의 견지에서 직업선택 이 론에 접근을 시도한 Ginzberg와 그의 동료들(1951), 진로발달을 특정 시기가 아닌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지속적 과정이며, 진로발달과 자아개념과의 관련성에 초 점을 맞춘 Super(1972), 진로발달을 직업에 대한 자아정체감(ego-identity)을 형성해 가는 과정으로 보고 연령으로 발달단계를 고정시키기 보다는 연령과 무관한 당면 과제로 진로발달단계를 세분화한 Tiedeman과 O'Hara(1963) 등을 대표적 이론으로 들 수 있다. 이들이 제시한 청년층의 발달단계를 연령과 연동시켜 정리해보면 <표 >과 같다. 3) 주로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 보급한 청소년직업흥미검사 또는 직업선호도검사 등이 사용됨

13 연령구 분 0 <표 Ⅱ-2> 청년층의 진로발달단계 Ginzberg Super Tiedeman 1 2 3 4 5 6 7 8 9 10 11 환상기 (장래 일에 대한 막연한 상상) 성장기 (자아개념, 능력, 태도, 흥미 발달) 탐색기 (잠정적 목표의 표명, 직업선택에 대한 능력 흥미에 대한 반성)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잠정기 (흥미 능력 가치에 대한 인식) 현실화기 (직업선택의 상술 구체화) 탐색기 (상당히 구체적 수준의 잠정적 진로 결정) 확립기 (일에 대한 경험과 시도) 구체화기 (잠정적 수준의 진로 목표 결정) 선택기, 명료화기 (목표의 확고화 명료화) 자료: 박가열, 노경란(2007). 청소년 직업체험 학습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p.15. 주: Tiedeman은 진로발달단계에서 연령을 구분하지 않았으므로 진로의사결정 단계별 특징을 Super의 단계별 발달과업과의 내용 유사성으로 구분함 사실상 진로발달이론이 CAP 에 미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영향력의 범주에 따라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거시적 수준 에서 보면 진로발달이론은 15세~29세의 연령에 속하는 청년층의 시기 한정적인 진 로 발달 과업이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CAP 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표 >에서 알 수 있듯이 Ginzberg와 그의 동료들(1951) 이 제시한 잠정기(tentative stage, 13~17세)와 현실화기(realistic stage. 17세 이상), Super가 제시한 탐색기(15~24세), 확립기(25~44세), Tiedeman의 구체화기, 선택기, 명료화기 등이 청년층에 해당된다.

14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표 Ⅱ-3> 청년층 진로발달과업 Ginzberg Super Tiedeman 잠정기 탐색기 구체화기 일에 대한 의미 및 지식 습득 진로결정의 근거가 되는 흥미, 능력, 가치를 인식 결혼 및 인생계획 등에 대한 고민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자료 수집 자신의 흥미, 가치, 계획에 대한 인식 일반적인 직업목표 세우기 직업선호의 구체화 선호는 직업에 진입하기 위한 훈련의 완결 도출한 진로 대안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평가함 심사숙고하여 대안을 줄임 잠정적 선택의 출현 잠정적 선택에 대한 재평가 목표의 명확화 및 형식화 안정적 사고 현실화기 확립기 선택기 확고한 진로 목표 선택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 실행 현실적 여건에 대한 인식 직업선택의 구체화 실제적인 일 경험을 통하여 선호하는 진로의 형성 명료화기 자아에 대한 인식의 명료화 진로결정에 대한 의구심 줄이기 이 시기의 진로 발달 과업을 학자별로 제시하면 <표 >과 같으며, CAP 의 전 체 내용 구성 체계가 진로발달이론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하면 B~C 모듈 Ginzberg의 잠정기, Super의 탐색기에서 제시된 발달 과업의 내용이고, D~E 모듈은 Tiedeman의 구체화기에 해당되는 내용이며, F~H모듈은 선택기, I모듈은 명 료화기에 해당되는 내용들이다. 진로발달이론의 영향을 미시적 수준에서 살펴보면 Ginzberg가 제시한 흥미, 능 력, 가치, 전환 등의 진로선택 근거는 B모듈의 자기 탐험의 요소로 포함되었고, C모듈에서는 Super의 생애 진로무지개를 통하여 전 생애에 걸친 역할의 다양성을 전달하는 내용으로 삽입되었다. 또한 D모듈에서 다루고 있는 잠정적 직업 선택과 선택한 대안간 비교는 Tiedeman이 제시한 진로의사결정 체계의 예상기 에 해당되 는 내용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CAP 의 전체적인 내용 구 조가 진로발달이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내용 또한 이 이론 에 기초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의사결정이론은 진로 선택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의 사결정이론에 주목한 이론으로서 대표적인 학자로 Gelatt(1962), Hershenson(1967)

15 등을 들 수 있다. 이 이론에서는 진로 관련 정보의 수집, 대안 도출, 대안 결과에 대한 시나리오 및 실현가능성 타진, 대안의 가치 평가 등 일련의 과정이 진로를 선 택하는 효과적인 과정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전술한 Tiedeman의 이론을 진로의사 결정을 설명하는 기술적 접근으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Sharf, 2002: 374). 즉, 진로 선택의 과정을 발달에 초점을 맞추는가 아니면 의사결정 과정에 나타나는 개인적 행동에 주목하는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론과 CAP 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D모듈의 의사결정 부분을 구성하는 근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진로의사결정의 유형을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 으로 구분하고, 측정도구를 제시한 Harren(1976, 1984)의 이론은 D모듈에서 의사결 정 스타일을 점검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전략을 익히는 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의사결정연습을 위하여 제공되는 대차대조표의 작성 부분은 Janis와 Mann이 제시한 갈등모델(1977)이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주고 있다. 여섯째, 진로의사결정을 학습된 기술이며 이 기술을 체계적인 학습을 통하여 습 득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한 사회학습이론은 Krumboltz와 그의 동료들(1975: 11~13)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이 이론은 진로 선택 과정을 단순화하고자 하는 노력 이고 이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1 유전적 재능과 특별한 능력, 2 환경적 조건과 사건, 3 학습경험, 4 과제 접근 기술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이론이 특성요인이론이나 심리이론과 다른 점은 개인의 흥미나 가치와 같은 것 이 진로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그렇게 중요하지 않고, 오히려 자기효능감과 같 은 신념을 도출해 내는 학습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발달이론 의 핵심인 발달단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이론적 차별점이 발견된 다. 즉, 학습이론가들은 진로발달과정에 비판적인 신념과 행동을 습득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학습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주력한다(Isaacson & Brown, 2000: 38). 사회학습이론과 CAP 과의 관련을 살펴보면 이 이론이 직접 적용된 진로신념 도구(Career Beliefs Inventory)'와 같은 측정 도구를 CAP 에서 활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CAP 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써 집단의 특성을 살려 참가자가 다른 사람의 반응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적 학습경험을 제공하거나 영상물 등을 활용하여 연상 학습경험을 자극한다. 이와 같은 도구적 또 는 연상적 학습경험은 구직기술을 학습하게 되는 F~H모듈에서 가장 활발하게 촉진 된다. 끝으로 대표적인 최신 진로발달이론으로 Peterson 등(1991)의 인지적 정보처리론, Lent와 그의 동료들(1996)의 사회인지론, Brown(1996)의 가치중심적 접근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으로 Peterson 등(1991)의 인지적 정보처리론이 CAP 에 미친 영

16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향을 탐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이론은 진로에 개입하는 주요 전략들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진로와 관련된 개인의 인지적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 고자 하는 것으로서 교육적 접근이 두드러진다. [그림 ]과 같이 인지적 정보처리론 은 크게 지식 영역, 의사결정기술 영역, 총괄 처리 영역 등 세 가지 기본 요소로 구 성되어 있다(Sampson et al.., 1992: pp. 67~74). 상술하면 지적 영역은 자기 자신을 아는 것 과 직업에 대하여 아는 것 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CAP 의 자기탐험 에 해당되며, 후자는 CAP 의 직업탐색 에 해당된다. 초인지 총괄 처리 영역 일반적 정보처리 기술 의사결정기술 영역 자신에 대한 지식 직업에 대한 지식 지식 영역 [그림Ⅱ-1 ]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정보처리 피라미드 자료: Sampson, Jr. J. P., Peterson, G. W., Lenz, J., & Reardon, R. C. (1992). A cognitive approach to career services: Translating concepts into practic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pp.67-74. 다음으로 의사결정기술 영역은 개인들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가에 대하여 학습하는 영역으로서 CAP 의 의사결정 및 직업정보탐색, 그리고 구직기술 등이 이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1 문제 신호의 감지 및 문제의 확인, 2 문제 요소들간의 상호 관계 분석, 3 적절한 대안의 창출, 4 대안의 우선순위 매기기, 5 목표 달성을 위한 실 천 계획 수립 등이 순환적으로 발생하는 역동적인 영역이다. 문제 확인 및 적절한 대안 창출을 위한 과정은 CAP 의 직업정보탐색 에서 나타나며, 대안의 우선순 위 매기기 과정은 CAP 의 의사결정 으로 표면화되었다. 단지 인지적 정보처리 론에서는 목표달성을 위한 실천계획의 수립으로 그쳤다면 CAP 에서는 문제해결 을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구직기술 이 더 추가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한 인지적 정

17 보처리론의 마지막 영역에 해당하는 총괄 처리영역은 초인지 의 개념이 활용된 것 으로서 정보처리의 주체인 개인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어떤 것을 의사결정하고 그 의사결정에 사용한 스킬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이를 통하여 변화 발전하는 토대를 만드는 영역이다. CAP 의 경우 이와 같은 고도의 인지적 정보 처리과정을 포함시키고 있지는 않지만 이를 단순히 프로그램의 한계성이라고 판단 하기보다는 시간의 제한성에 따른 내용의 우선순위 채택 의 결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P 의 구성 체계 및 그 세부 내용이 인간의 인지정보처리론 접근에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인간의 행동이 자신의 가치 지향에 따라 대부분 형성되고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에 기초한 Brown의 가치중심이론(1996)으로부터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CAP 과 직 접 연결되는 부분을 보면 자신을 탐색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B모듈에서 직업가치관 검사 를 실시하거나 직업가치관 문장 완성하기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가치관을 되 짚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기존의 진로발달이론과 CAP 의 전체적인 구성 및 주요 내용의 관계를 정리하면 <표 >와 같다.

18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표 Ⅱ-4> 진로발달이론과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과의 관계 구분 주요 내용 관련 이론 A Module: 여는 장 프로그램 소개 참가자 집단 내 라포 형성 자신의 긍정적 경험 나누기 B Module: 자기탐험 자신의 특성 이해(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 촉진) 자신의 직업가치관 및 직업흥미 이해(검사 도구 활용) 특성요인이론 Holland이론 Ginzberg이론 인지적정보처리론 Brown이론 구 성 의 근 간 진 로 발 달 이 론 C Module: 직업탐색 D Module: 의사결정 E Module: 직업정보탐색 직업의 의미 이해 직업 종류에 대한 이해 내가 하고 싶은 직업 찾아보기(직업선호도 분석, 생애 진로 무지개 등) 자신이 의사결정 유형 파악 합리적 의사결정 전략 익히기 이상과 현실의 타협 하고 싶은 직업에 대한 잠정적 결정(대차대조표 작성) 직업정보 습득을 위한 다양한 매체의 활용 기술 익히기(직업정보 사냥대회, 자신이 선택한 직업정보 찾기 등) 특성요인이론 Holland이론 Super이론 인지적정보처리론 Tiedeman이론 Gelatt이론 Hershenson이론 Harren이론 Janis&Mann이론 인지적정보처리론 인지정보처리론 F~H Module: 구직기술 이력서 작성하기(고용주 입장에서 이력서 평가하기, 이력서 작성 방법 익히기 등) 자기소개서 작성하기(Best & Worst 사례 점검, 자기소개서 작성 방법 익히기, 라이프라인 작성하기 등) 면접기법 익히기(면접 사례 분석, 면접기술 연습 등) Krumboltz이론(사회학 습이론) I Module: 여미는 장 진로계획 수립해 보기(미래의 모습 그려보기, 준비해야 할 사항 정리하기 등) 과정 마무리 상기 제시한 각각의 이론들 자체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이론적 성숙의 과 정을 겪어온 결과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론과 CAP 과의 관계에서 CAP 이 특정 이론에 의존적이지 않고 다양한 이론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이와 같이 다양한 이론을 포괄적으로 수용함에 따라 청년층의 진로탐색을 보다 정교하게 지원하고 구직기술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19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첫째, 지나치게 많은 이론적 배경을 포섭하고자 하는 노력이 정해진 시간 내에 해야 할 활동의 양을 지 나치게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된다. 즉, 실천의 장에서 고용지원센터의 진행자나 참가자 모두가 소화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개정 프로그램에서는 철저한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내용의 우선순위를 명료하게 하여 적용시킬 이론적 근거를 보다 단순화하고 프로그램의 양을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이 프로그램을 제대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진행자 각자가 전술한 진로발달 이론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충실한 진행자 교육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러나 적은 인력으로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각 고용지원센터의 사정 상, 진행자 교육을 충실히 실시하거나 교육 참여를 독려할 수 없는 현실이다. 따라 서 개정 프로그램의 진행자 매뉴얼 내에서 진행자들이 이론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 는 간략한 설명을 포함시키거나 관련 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자료를 삽입하는 등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전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진로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청년층 에게 필요한 발달 과업을 추출하였으나 진로발달의 변화 단계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청년층의 연령적 특성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못했다. 즉, 진로발달단계별 필요한 발 달과업이 역동적으로 연동되지 않아 모두에게 필요하지만 결국 모두에게 정확하게 들어맞지는 않는 프로그램이란 제한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한정적이겠지만 CA P 의 주요 수요자인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진로발달 요구를 탐 색하여 수요자별 특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청년층 대상 진로개발 지원 현황 한국고용정보원의 CAP 이외에 우리나라 청년층의 진로개발을 목적으로 적극 적 진로 개입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학교체제 내에서 제공되는 정규교육과정이나 기타 기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구조화 된 프로그램 등의 제공 실태를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규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실시되는 우리나라의 진로개발 지원 현황 파악하 기 위하여 최근에 이루어진 대표적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우선 청 년층 진로개발 지원 현황을 조사한 이지연과 최동선(2005)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수준에서 실시된 현황을 정리해 보면 <표 >과 같다.

20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표 Ⅱ-5> 학교 중심의 청년층 진로개발 지원 현황 구분 일반계 실업계 고교 고교 전체 상담실 설치 비율(%) 88.9% 89.3% 53.8% 독립된 3.33 3.42 3.22 상담실의 효과적 활용도 진로 (0.76) (0.83) (0.77) 상담실 3.06 3.20 2.96 진로상담 결과의 활용도 (0.89) (0.89) (0.90) 전담교사 진로교육 전담교사 배치 비율 45.6% 51.6% 21.7% 진로정보의 비치 비율 91.4% 91.4% 80.2% 진로 3.33 3.39 3.09 진로정보에 대한 접근성 정도 정보 (0.68) (0.70) (0.69) 제공 3.10 3.39 2.89 진로결정 진로계획에의 진로정보 활용도 (0.66) (0.70) (0.68) 정규교과 진로와 직업 교과의 선택 비율 49.6% 39.4% 11.8% 교과내용의 실제 활용 2.92 3.02 2.95 (0.88) (0.72) (0.82) 교과운영의 2.84 2.96 2.87 교과내용에 대한 학생 평가 어려움 (0.82) (0.69) (0.78) 교사용 안내서 3.24 3.21 3.24 (0.79) (0.68) (0.75) 자료: 이지연, 최동선(2005). 초 중등 진로교육프로그램의 실태 및 과제. 직업교육연구, 24(3). pp. 349~358. 주: 1) 각 질문 항목별로 응답 누락 사례는 분석에서 제외됨. 2) 정도에 대한 질문은 5점 척도(1: 부정적 ~ 5: 긍정적)의 평균 및 (표준편차) 3) 전체: 초등학교, 중학교, 특수학교 포함됨 <표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초등학교, 중학교, 특수학교를 포함시킨 전체 학교와 비교하였을 때 고등학교의 진로교육 관련 환경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보인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 하드웨어 측면에서 보면 진로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독립된 상담실을 갖추고 있는 전체 비율이 53.8%인데 비하여 일반계(88.9%), 실업계 (89.3%) 모두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967년에 제정된 학교시설 설비기준령 제5조1항 4) 에서 중등학교의 상담실 설치를 법적으로 규정한 결과이다. 그러나 시설 확보와 달리 효과적인 활용도 측면에서 보면 5점척도에서 일반계 평균 3.33점, 실업계 평균 3.42점으로 긍정적 답변(4점 이상)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휴먼웨어 측면에서 진로교육 전담교사의 배치 비율을 보면 전체 21.7%에 비 해 일반계 고교 45.6%, 실업계 고교 51.6%로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 4) 校 舍 는 學 習 과 保 健 衛 生 上 적합한 것으로서 이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施 設 을 두어야 한다. 다만, 敎 育 에 支 障 이 없는 범위안에서 하나의 施 設 을 다른 施 設 로 兼 用 할 수 있다. 1. 學 級 數 에 相 當 하는 普 通 敎 室 ( 學 級 當 基 準 面 積 은 複 道 를 포함하여 90 平 方 미터이상으로 한다.), 2. 各 敎 科 에 필요한 特 別 敎 室, 3. 資 料 室, 4. 科 學 實 驗 室, 5. 圖 書 室, 6. 講 堂, 7. 養 護 室, 8. 相 談 室 ( 幼 稚 園 및 國 民 學 校 를 제외한다.), 9. 校 長 室 敎 務 室 庶 務 室, 10. 宿 直 室, 11. 便 所, 12. 倉 庫 ( 學 校 施 設 設 備 基 準 令 [제정 1967.10.26 대통령령 제3253호])

21 나 이는 초등학교나 중학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할 뿐 절반 정도 의 학교에서만 전담교사를 배치하고 있어 상황을 낙관적으로만 판단할 수는 없다. 또한 응답자에 따라 1 진로교육 업무만 수행, 2 주업무로서의 진로교육 업무와 일부 교과 수업의 병행, 3 주업무로서의 교과 수업과 진로교육 업무의 병행 등 전 담 의 의미를 달리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담교사의 배치가 질적으로 높은 서비 스를 담보하지 못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3 진로정보의 제공에서 비치 비율은 일반계, 실업계 고교 모두 91.4%로 상당히 높은데 이는 고등학교가 진학 또는 취업이라는 중요한 진로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시 기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편 접근성 정도나 진로정보의 활용도가 긍정적 응답 (평균 4점 이상)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4 정규교육과정 상에서 살펴보면 고교 2학년부터 선택할 수 있는 교과로 분류되 어 있는 진로와 직업 교과를 채택하고 있는 학교 비율이 일반계 49.6%, 실업계 39.4%로 파악되었다. 이지연과 최동선(2005: 355)은 6차 교육과정의 진로 직업 이 일선 학교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았던 점에 비하여 활용 비중이 대폭 늘어난 것 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진로에 대한 청소년의 관심 증 대, 노동시장의 급격한 변화 등이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과 더불어 교육과정의 변화 에 따라 시수가 줄어든 교사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과라는 점이 확대의 촉진제 로 작용하였음을 유추하였다. 5 진로와 직업 교과를 운영함에 있어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응답 을 살펴보면 교과내용을 학생들이 실제 활용하거나(일반계: 2.92, 실업계: 3.02), 교과 내용에 대한 학생 평가(일반계: 2.84, 실업계: 2.96)가 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하여 학교에서 일터로의 원활한 전환과 현장 적용성이 강요되어야 하는 진 로교육의 특성이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되기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고등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현황을 조사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 문대학의 경우 대부분 행정부서인 산학협력처의 하위 직제로 취업정보센터 나 취 업보도실 등을 두고 직업 배치(Job Placement)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진로개발 프로그램의 운영 여부가 불명확한 상태이다(정철영, 2002: 6). 한편 이지연 (2001: 17~18)의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에 따르면 4 년제 일반대학의 경우 학교 내에 1 학생생활연구소, 2 취업정보센터, 3 진로 관 련 과목 개설, 4 온라인 상담전산망, 5 온라인 취업전산망 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대학들이 취업정보센터를 설치하고 있으며(91.9%), 그 뒤를 이어 학생생활연구소(78.9%), 온라 인 취업전산망(67.7%) 등을 통하여 재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지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이 채택하고 있는 진로개발 지원 서비스의 유형을 보면 별도의 진

22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로과목은 개설하지 않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함께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고(19.9%), 진로과목과 더불어 온라인 상담망을 구축하지 않은 유 형이 그 뒤를 이었다(18.0%). 유형 학생생활 연구소 <표 Ⅱ-6> 4년제 일반대학의 진로지도 유형 구분 취업정보 센터 진로과목 개설 온라인 상담전산망 온라인 취업전산망 비율(%) Type1 14.3 Type2 X 11.2 Type3 X 1.2 Type4 X 19.9 Type5 X X 18.0 Type6 X X 5.6 Type7 X X X 8.1 Type8 X X 1.2 Type9 X X X 0.6 Type10 X X X 3.1 Type11 X X X X 0.6 Type12 X X X X 8.7 Type13 X X X X X 7.5 비율(%) 78.9 91.9 28.5 41.0 67.7 100 자료: 이지연(2001).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 18. 한편 진로개발을 위한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대학별로 다양하므로 이를 일 반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표적 사례로서 전주대의 개인경력관리 프로그램 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23 <표 Ⅱ-7> 전주대 개인경력관리프로그램 구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 직업기초능력 배양 - 학교적응 및 전공탐색 - 취업계획 - 직장체험 목표 - 심화학습능력 배양 - 전공결정 - 취업관련자격취득 - 취업 - 직종결정 진로 설계 취업 교육 및 행사 취업 능력 향상 산한네 트워킹 종합인 재양성 - 직업선호도검사(신입생) - 진로탐색검사(전체학생) - 학습유형검사(선택) - 직업선택과 진로설계 강좌 수강 - 직종결정훈련프로그램 - 전공결정훈련프로그램 - 오리엔테이션(진로소개 및 진로의식고취) - 재학생선 후배멘토링 - 전공별 취업특강 - 진로탐색의 날(매주 수요일) - 비학점교육 시작 - 직업기초능력배양(어학, 컴퓨터 등) - 동문 선 후배 페스티발(매학기) - 직업선택과 진로설계 강좌 수강 - 자격증취득설계 - 1차 취업기초 소양지도 - 희망직업결정 - 희망직업진입 조건 심층 탐색 - 개인별 학습전략 수립 - 취업특강(취업의식고취,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 - 1차 취업기초소양특강(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 포트폴리오) - 조직적응 및 직장윤리 강화를 위한 인성교육 - 리더십 증진교육 - Star Track팀 시작 - 직업기초능력배양(어학, 컴퓨터 등) - 동문 선 후배 멘토링 조직 - 산학멘토링 조직 - 취업전략과 커리어 개발 강좌 교과목 수강 - 취업준비계획수립 - 수험정보수집 - 2차 취업기초소양지도 - 취업특강(구체적인 업종에 관한 이해) - 성공 취업전략 세미나 - 2차 취업기초소양특강(대화, PT) - 3차 취업기초소양특강(모델보 여주기, 이력서/자기소개서, 면접, 포트폴리오 재작성) - 직업강좌 수강 - 직업기초능력배양 (어학, 컴퓨터 등) - 창업지원교육 - 산학협력프로젝트 참여 - 예비 인턴십 착수 - 자격증 외국어 성적향상 트랙 신청 - 취업특강 인성교육 리더십특강 참여 점수 부여 - 기타 각종 활동에 대한 점수 부여 자료: 여성가족부 보도자료(2007. 3. 28). 올해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12개 대학 선정 내 붙임자료. - 취업경력관 리 - 취업박람회 - 채용설명회 - 취업알선/동 행면접 - 자격증 취득 - 현장실습 - 인턴십 이와 같이 청년층의 진로개발을 목적으로 각 학교급별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만 이의 직접적 수혜자인 청년층이 실제 경험한 진로지도 관련 사항을 한국고용정 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에 기초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계열 및 전공 선택, 진학, 취업 등을 위해 진로지도를 받아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6.5%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재학 상태인 자에 비하여 취업자나 미취업자가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지 도 관련 서비스가 과거에 비하여 오늘날 더욱 강조 확대된 결과이거나 시간의 흐 름과 함께 과거 경험에 대한 기억이 약해진 결과 등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취업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직면해 본 취업자나 미취업자들에게서 진로

24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지도의 경험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많이 나온 것은 서비스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제 기로도 보아야 할 것이다. <표 Ⅱ-7> 청년층 진로지도(상담) 경험 유무 단위: 명 (%) 고등학생 대학(원)생 취업자 미취업자 전체 있다 18(64.0) 154(13.2) 48(2.3) 53(5.8) 271(6.5) 없다 9(36.0) 1,009(100.0) 2,019(97.7) 863(94.2) 3,900(93.5) 전체 25(100.0) 1,163(100.0) 2,067(100.0) 916(100.0) 4,171(100.0) 자료: 장재호, 윤정혜, 최형아(2006). 2005 청년패널 기초분석보고서(5차년도 자료 분석).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p. 56. 2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경험한 진로지도 서비스를 제공한 기관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84.6%가 학교 라고 답하여 청년층에게 있어 정규교육기 관이 진로지도 서비스 제공의 핵심 기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취업자나 미취업자 와 같이 취업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직면해 본 사람들의 경우, 노동부 고용지원센터 에서 서비스를 받아 본 경험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취업자: 16.7%, 미취업자: 18.5%). 이를 통하여 학교 밖에서 청년층이 진로지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서 노동부 고용지원센터가 중심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위: 명 (%) <표 Ⅱ-8> 청년층의 진로지도(상담) 경험 기관 고등학생 대학(원)생 취업자 미취업자 전체 학교 16(100.0) 147(94.8) 36(75.0) 32(59.3) 231(84.6) 청소년상담센터 1(0.7) 1(0.4) 노동부고용지원센터 3(1.9) 8(16.7) 10(18.5) 21(7.7) 전체 16(100.0) 4(2.6) 4(8.3) 12(22.2) 20(7.3) 자료: 장재호, 윤정혜, 최형아(2006). 2005 청년패널 기초분석보고서(5차년도 자료 분석).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p. 56. 3 받았던 진로지도가 자신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었는가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긍정적인 답변이 전체의 75.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진로지도 서비스의 효 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5 단위: 명 (%) <표 Ⅱ-9> 청년층의 진로지도(상담) 도움 여부 고등학생 대학(원)생 취업자 미취업자 전체 전혀 도움이 안됨 0(0.0) 14(9.31) 3(6.3) 11(20.8) 28(10.3) 도움이 됨 9(56.3) 113(73.4) 31(64.6) 27(50.9) 180(66.4) 크게 도움이 됨 5(31.3) 10(6.5) 5(10.4) 4(7.6) 24(8.9) 모르겠음 2(12.5) 17(11.0) 9(18.8) 11(20.8) 39(14.4) 전체 16(5.9) 154(56.8) 48(17.7) 53(19.6) 271(100.0) 자료: 장재호, 윤정혜, 최형아(2006). 2005 청년패널 기초분석보고서(5차년도 자료 분석).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p. 58. 4 이와 같이 진로지도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 견해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회가 된다면 향후 진로지도를 받을 의향이 있는가에 대해서 부정적 답 변이 지배적이었다(65.0%). 우선 진로지도를 받을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패널의 이 유를 보면 투입시간에 비해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아서(35.8%) 라는 의견이 가장 많 았고 진로지도에 관한 정보가 없어서(26.2%) 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다음으로 받을 생각이 있는 청년들은 35.0%정도이며 이 가운데 가장 지원 받고 싶어 하는 내용은 취업상담(59.4%) 이었고, 경력 및 진로상담(27.6%), 진학상담(11.0%)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표 Ⅱ-10> 청년층의 진로지도(상담) 받을 의향 이 유 원 하 는 내 용 단위: 명 (%) 고등학생 대학(원)생 취업자 미취업자 전체 받을 생각 없다 10(40.0) 541(46.5) 545(74.8) 614(64.0) 2,710(65.0) 투입시간에 비해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아서 35.8% 진로지도(상담) 관련 정보가 없어서 26.2% 진로지도 프로그램 내용이 너무 부실해서 3.9% 진로지도 담당자의 자질 및 준비가 부족해서 3.3% 심리검사를 전혀 신뢰할 수 없어서 2.2% 공부시간을 빼앗길까봐 1.4% 부모님이 반대하셔서 0.1% 기타 27.2% 받을 생각 있다 15(16.0) 622(53.5) 522(25.3) 302(33.0) 1,461(35.0) 진학상담 11(73.3) 74(11.9) 29(5.6) 47(15.6) 161(11.0) 취업상담 2(13.3) 407(65.4) 257(49.2) 202(66.9) 868(59.4) 경력 진로상담 2(13.3) 131(21.1) 224(42.9) 46(15.2) 403(27.6) 훈련상담 8(1.3) 9(1.7) 7(2.3) 24(1.6) 기타 2(0.3) 3(0.6) 5(0.3) 전체 25(0.6) 1,163(27.9) 2,067(49.6) 916(22.0) 4,171(100.0) 자료: 장재호, 윤정혜, 최형아(2006). 2005 청년패널 기초분석보고서(5차년도 자료 분석).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p. 59~60.

26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정규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상담실과 같은 하드웨어, 정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관련 전문가 등의 휴먼웨어를 갖추고 청 년층을 대상으로 한 직업진로지도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이러 한 서비스의 대상자인 대다수의 청년층(93.5%0이 진로지도 경험 유무 자체에 대하 여 부정하고 있다는 점은 갖추고 있는 제도 대비 체감하는 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 음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앞으로 관련 서비스를 받고 싶지 않은 청년층 이 받고 싶은 청년층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 자체도 해결해야 할 과 제이겠지만 받고 싶지 않은 이유가 투입시간 대비 효과에 대한 의구심 이라는 점은 프로그램 자체의 현실적 요구 반영 및 경쟁력 제고가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3. 청년층 진로개발 관련 국내외 연구동향 1) 국내 연구 동향 청년층의 진로는 국가경제 및 사회발전에 있어 근간이 되는 화두이다. 미래의 성 장동력의 원천으로서 청년층은 사회적 중요성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청년층의 취 업을 지원하고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요한 인적자 원정책과제로 논의되고 있다(권대봉, 김시홍, 유홍준, 2003). 국가수준에서의 이런 논의는 정책으로 만들어지고 다양한 재정적, 물적, 인적 자원의 제공이 시도되고 있 다. 그리고 이런 정책들은 청년층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 체화되어 제공된다(임지연 외, 2006). 청년층 진로관련 정책이나 프로그램은 청년층 진로관련 연구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관련지식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정 보완되고 있다. 관련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이를 통한 신성장 지식의 공급은 청년층 진로영역뿐만 아니라 국가인적자원 정책과제의 전 영역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신현석 외, 2006). 이는 변화하는 시대와 변화하는 프로그램 참여자, 그리고 변화하 는 학문이론을 반영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국가인적자원정책의 대표적이고 구체적인 실천 중에 하나인 한국 고용정보원의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역시 새롭게 제공되고 있는 관련 지 식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변화를 시도

27 해야 한다. 이에 본 장에서는 국내의 청년층 진로관련 연구물을 분석하여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의 수정 보완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변화의 방향을 제 시하였다. 국내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있어서 청년층 진로문제의 구조적, 제도적 측면 또는 정책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전반적으로 청소년 진로지도 정책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이는 청소년진로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이 다수 국책연구소라는 특징을 반영하고 있으나 이런 정책연구에서 제시하는 정책과제가 현실에서 어느 정 도 반영되었는지 혹은 그 정책 입안을 통하여 어떤 효과를 거두었는지에 대한 정책 실현에 관한 사후연구가 부족하다(이지연, 윤영현, 김나라, 2005: 34). 또한 이런 문 제는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실제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물 론 최근의 연구들은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향을 찾기 위하여 매우 구체적 수준이자 미시적 수준에서의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 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수준에서 실시되고 있는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찾는 응용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의 발달로 인한 사이버공간을 진로지도의 장으로 활용하는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실 용성이 증명되고 있다(이재영, 정영운, 2001). 따라서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최근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도록 청소년 진 로관련 프로그램 개선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개선연구를 위해서 청년층 진로관련 연구에서 제공하고 있는 새로운 지식의 관리 및 제공과 관련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 어,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과 관련된 학문적 연구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정리하 여 보고하는 연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청년층 진로 관련 프로그램과 관련된 지식을 창조하고 공급하고 있는 연구인력에 대한 파악과 정리작업이 필요하다. 대학의 교수, 연구기관의 연구원, 대학원의 석박사 과정생, 기 타 연구자의 연구실적과 이들의 소속위치, 최근 연구동향 등에 대한 파악과 정보제 공이 필요하다. 둘째,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학문적 기반이 부족하다. 청년층 진로관련 프 로그램은 그 동안 대부분 대동소이한 교육과정과 형태로 진행되었다. 물론 진로탐 색과 자기탐색 그리고 이 두 탐색의 조합을 통하여 진로지도를 하는 유형의 프로그

28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램은 가장 기본적인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유형으로 그 효과가 증명되기도 하였다(이지연, 윤영현, 김나라, 2005). 또한 흥미검사를 토대로 한 자기이해 프로그 램이 개발되어 제시되기도 하였다(진민석, 임언, 노일경, 1999). 그러나 청년층 진로 지도 관련 프로그램의 진행과정과 교육내용은 프로그램별로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 이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의 유사성은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다양한 학문적 연구에 기반하여 개발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진로지도 프로그램이나 기 타 진로관련 프로그램들의 경우 프로그램의 개발연구 자체가 정부지원 연구기관에 서 이루지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학문적 연구를 활용하여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한 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향후의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개발연구나 진로관련 정책에 대한 연구 들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보 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박현주, 김봉환(2006)의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보준비행동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 구를 통하여 고등학생이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성을 확보할수록 진로결정수준 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 의 내용으로 부모와의 독립적 관계를 만들어가는 방법이나 과정을 포함시키는 것이 청년층의 진로결정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청년층 진로관련 다양한 실증적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 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학과 심리학 등의 관련 분야의 연구에 기반 한 프로그램의 마련과 개선이 필요하다. 물론 그 동안 심리학과 관련된 연구들을 활용하여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풍부하게 해왔다. 그러나 청년층 진 로관련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심리학분야 뿐만 아니라 교육학, 사회학, 청 소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에서 진로탐색을 프로그램 안에 배치하고 구성할 때 진로탐색을 하기 위하여 사전에 청년층에게 요구되는 사항들이 먼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은 진로가 아직 결정되지 못하였거나 결정되 었더라도 그 결정이 명확하지 않는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진로탐 색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청년층의 특수성은 아직 직업세계로 진출하지 않았 고 곧 진출해야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은 자신 의 진로에 대하여 명확한 진로결정(career decision)을 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지영, 장재윤, 김명언, 2005). 이런 상태를 진로미결정이라고 한다. 진로미결정은 개인이 구체적인 진로의 준비와 시작에 필요한 행동들을 선택하거나 그러한 과정 에 관여하는데 있어서의 무능력(Crities, 1969) 으로 정의되거나 간단하게 앞으로 추

29 구할 직업에 대한 의사결정이 어떠한 이유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지영, 장재윤, 김명언, 2005: 3) 로 정의된다. 따라서 진로미결정 상태에 있는 청년층은 자 신의 진로나 직업에 있어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결정을 미루고 있거나 결정을 하 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진로미결정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들은 진로탐색행동을 중요한 프로그램의 일부로 포함시키고 있다. 이는 진로미결정성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활동이 저조해진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이지영, 장재윤, 김명언, 2005). 그러나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진로탐색활동을 적극적 으로 포함시키면서도 진로미결정의 상태에 있는 청년층이 이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이 존재한다. 즉, 기존의 진로탐색행동 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직업탐색행동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 (이지영, 장재윤, 김명언, 2005; Werbel, 2000)을 고려하지 않고 진로탐색활동을 사전 요구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관련프로그램의 전단에 부조건 위치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직업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의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직업탐색행 동을 하기 전에 우선 자신의 진로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탐 색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부여의 조치들이 필요하다. 특히 직업탐색활동을 해야 하는 청년층은 자신이 진로와 관련된 목표가 명확할 경우 더욱 적극적으로 직업탐 색활동에 임하게 된다. 또한 진로결정을 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진로탐색(career exploration)은 자기탐색(self-exploration)과 환경탐색(environmental exploration)으 로 구성된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진로탐색활동을 전개하기 전에 목표의 명확한 설정, 목표에 따른 동기부여 등의 활동이 전개되어야 하고, 진로와 관련된 자기탐 색, 진로와 관련된 환경탐색 등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섯째, 진로미결정을 발생시키는 원인에 따른 처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청 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 중에 하나는 진로와 관련된 어느 정도의 명확 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프로그램 참가자가 진로결정 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프로그램은 진로미결 정의 원인을 고려하는데 소극적이었다. 진로미결정을 해속하기 위해서는 진로미결 정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들을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곳곳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로미결정을 발생시키는 원인에는 자기이해부족, 직업정보부족, 우유부단성격, 필요성인식부족, 외적 장애 등이 지적되고 있다. 자기이해부족은 청년층이 직업과 관련된 특성, 즉 적성, 흥미, 능력 등에 대하여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을 의미한다. 직업정보부족은 어떤 직업에 대한 장래성이라든지 직업을 갖고 수행

30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하기 위하여 필요한 능력이나 자격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우유 부단성격의 경우에는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또 명확하 게 의사결정을 하기 못하고 소극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필요성인식부족은 말 그대 로 직업의 선택이나 직업과 관련된 어떤 의사결정의 필요성을 아직 인식하지 못하 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외적 장애는 자신이 바라는 직업이나 직업과 관련된 의 사결정에 있어서 주변인, 즉 부모나 형제자매의 반대와 부정적 인식 등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원인들은 진로를 결정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지영, 장재윤, 김명언, 2005). 따라서 청소년 진로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진로 미결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들을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들이 체계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물론 진로관련 프로그램들이 정보제공, 자기이해, 진로결정의 필 요성강조 등을 프로그램에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로미결정 원인을 보다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소할 수 있는 조치들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진로관련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특성에 따른 개별화가 부족하다. 청년층 진로개발과 관련된 주요영향을 주는 변인 중에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개별적 변 인, 즉 성별, 연령, 학교유형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영향이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성별의 경우 진로개발과 관련되어 가장 강한 차이를 만들어내는 변인 중에 하 나로 지적되고 있다(이지연, 윤영현, 김나라, 2005). 여성의 경우 진로와 관련되어 더 빨리 성숙한다거나 진로결정에 있어서 남성이 더 결정수준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한다. 또한 연령의 경우에도 연령이 낮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자신의 직업과 관련되어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학교유형의 경우에도 진로와 관련된 과목이나 지도를 많이 받는 학 교유형의 경우에 진로와 관련된 결정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실증적 연구에서는 학교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지연, 윤영현, 김나라, 2005). 따라서 청년층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경우 이런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차이가 진로 와 관련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을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프로그램의 내용결정 등에 반영하여야 한다. 즉,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을 할 경우에 인 구통계학적 변인을 반영하여 요구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구통계학적 변 인의 차이가 진로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에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 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에서도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 진 로관련 상황을 반영하는 프로그램내용의 구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인문계의 학 생들의 경우 진로결정에 대하여 실업계보다 더 많은 고민을 하고 관심을 보이는 반 면, 실업계 학생들의 경우에는 부모와의 갈등이 매우 중요한 고민사항으로 나타나

31 고 있다(이지연, 윤영현, 김나라, 2005). 따라서 실업계의 경우에는 진로관련 프로그 램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조치가 프로그램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청년층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그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특징적 현상을 반영하여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국외 연구 동향 진로 개발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으로 개인에 초점을 맞춘 진로개발, 전 생애 진로개발, 다양성을 고려한 진로개발 등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 적인 연구 방향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개인에 초점을 맞춘 진로개발 관련 연구 동향이다. 진로개발은 초기에 심리 학자들이 인간발달의 한 특수영역으로 진로에 대한 자아개념, 혹은 직업에 대한 선 호도나 흥미, 적성의 발달 등으로 개인의 변화과정에 관심을 기울여,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진로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등 심리적 지원방법을 개발하는 가운데 등 장했다. 현재까지 진로개발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개인적 특성 또는 개인차 변 인의 규명, 개인의 진로발달 행동적인 특성, 진로발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검 사 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분석, 구직활동 및 취업, 취업 이후의 직업적응행동을 중 심으로 수행되어왔다. 특히 이들 주제 가운데 개인의 진로발달 행동의 특성을 분석하거나 진로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적인 탐구는 진로지도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을 구성해 왔 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까지 지속되어 진로 적응에 대한 연구(Ebberwein, Krieshok, Ulven & Prosser, 2004), 진로에 대한 의사결정과 관련한 연구(Betz, 2004; Paulsen & Betz, 2004; Quimby & O'Brien, 2004; Wolfe & Betz, 2004, Logue, Lounsbury, Gupta & Leong, 2007; Hampton, 2006; Creed, Patton & Prideaux, 2006; Mani, 2006), 진로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도구 및 전략의 개발과 검증(Prediger, 2004; Millar & Shevlin, 2007; Anseel & Lievens, 2007) 등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The Canadia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등 에 발표된 기존의 연구를 분석하면 지능, 성격, 흥미, 정서적 노동 등 개인적 특성 에 대한 연구, 진로의사결정, 진로탐색, 진로의식성숙 등 진로 발달 행동에 대한 연 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전 생애에 걸친 자기주도적 진로개발과 관련된 연구들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진로개발을 단순히 개인이 노동시장에 어떻게 맞출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넘 어서 개인의 전 생애에 걸쳐 진로를 개발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32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있다. 이러한 방향은 미국중앙직업정보조정위원회(NOICC: National Occupational Information Coordinating Committee)에 의해서 이루어진 국가진로개발지 침 (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eline:이하 NCDG;1996)에서 출발할 수 있다. NCDG는 미국의 진로개발학회 이론가들, 현장 전문가들의 장기간 의견수렴을 거쳐 만들어진 가이드라인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초등학교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요구 되는 진로개발의 과제와 역량을 제시한 체계도이다. NCDG에 따르면, 급격히 변화 하는 사회에서 진로개발(career development)은 사람들이 일의 세계와 관련하여 자 신을 배워나가는 전 생애에 걸친 과정이며, 개인이 정보를 찾고 활용하여 자신의 삶에 있어 시의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는 평생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 정이라고 규정한다. 즉, 개인의 생애에 걸친 학습의 과정이 진로개발의 핵심이라고 보고 있다. 교육은 더 이상 생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만들 어 가는 과정이므로 진로개발(지원)이란 사람들로 하여금, 첫 번째로 자신에 대해 알게 하고, 자신의 가치관, 흥미, 재능, 기술 등을 통해서 삶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 가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또한 교육적ㆍ직업적 기회에 대하여 탐색하도록 지원하고, 일터의 현실에 대하여 알고 그곳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진로개발은 개인 생애에 대한 지원의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에 따르면 진로개발이란 개인이 자신의 삶을 실현하는 한 과정으로서 직업생활(일)을 설계하고, 환경과 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가는 직업 및 일과 관련한 생애에 걸친 학습과 실천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삶과 일에서 의 자기주도성과 평생학습의 중요성의 인식, 가치관, 적성 및 흥미 등 자신의 특성 에 대한 이해,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체계적 탐색, 합리적 의사결정과 계획 수립, 체계적인 실행이라는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개념정의에는 진로개발에 관한 자기주도성, 학습의 과정, 생애관통적 역동적 과정으로 보는 기본적인 관점이 내포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에 따라 진로개발에 대한 연구는 직업세계 또는 사회 환경의 변화와 같은 거시적, 통시적 관점을 가지고 진행되게 되었다. 환경의 변화는 개개인 의 진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현대 사회의 개개인의 진로 발달의 새로운 모습들을 재규명하려는 노력으로 연결되고 있다. Fugate, Kinicki, Ashforth(2004)는 현대 경제에서 발생하는 진로와 관련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 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그 개념을 규정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 진로개발과 관련한 정책에 대 한 연구 역시 다양한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Dufour & Morrison, 2005; Larose, Vaillancourt, Shields & Kearney, 2005)

33 직업세계의 급격한 변화는 진로 발달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개개인에게 자기주도적인 진로발달, 즉 자기 진로관리(career self-management)를 강조하고 있다. King(2004)은 Crites의 직업적응 모형을 활용하 여 이러한 자기 진로 관리 행동이 희망하는 진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이나 경험을 획득하려는 자리매김 행동(positioning behavior), 사회구조 또는 조직구조 내에서 자신의 진로성과 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권자(gatekeeper)에게 영 향력을 미치려는 행동(influence behavior), 일과 여가생활을 서로 균형을 맞추려는 경계관리 행동(boundary management behavior)로 구성된다고 설명하기도 하였다. 끝으로 맥락과 다양성을 고려한 진로개발에 대한 관심을 대표적인 최신 연구 동 향으로 들 수 있다. 진로지도 연구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흐름 한 가지는 기존의 이론이나 과는 다른 관점에서 개인의 진로행동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들은 최근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직업세계의 변화를 진 로에 적극 반영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라 해석할 수 있다. 특히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상당히 확산되고 있어 이와 관련한 논의 를 수렴하기 위하여 특별이슈로 다루고 있다. 구성주의(constructionism)또는 맥락주의(contextualism) 등과 같은 새로운 시도들 은 기존의 주류 진로 이론들, 즉 학문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진로개발에 지대한 영향 을 미치고 있는 진로선택 및 진로발달 이론들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주류를 이루고 있는 진로이론이 개인의 내적 특성, 직무 성격, 그리고 이들 두 요소간의 매칭(matching)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진로의 환경(environment of career) 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하다(Collin, 1997)는 점 을 지적하면서 등장하고 있다. 즉, 기존의 연구의 초점 자체가 개인에 집중되어 있 으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 개인의 진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간주되는 여러 가지의 환경적 변화 요소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에서 시작한다. 맥락주의적 관점에서는 개인과 환경을 별개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맥락 (context)' 안에 함께 놓여 있다고 간주하는데, 따라서 기존의 분석적이며 미세한 수 준의 접근방법보다는 총체적이며 거시적인 접근 방법이 요구된(Collin, 1997)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주의적인 관점에 따르면, 개인의 진로개발을 예측하기 위하여 특정한 개인 내적인 요인과 개인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단순히 매칭(matching) 하려는 노력을 지양하고 개인과 환경(또는 직업세계)간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이러 한 관계에서 개인이 진로개발의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진로 개발 이론, 모형, 도구의 이문화(Corss-cultural) 적용에 대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Lee 2001; Leong and Serafica 2001; Lerman

34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2001;.Special Issue. 1998; Tracey et al. 1997; Karunanayake & Nauta, 2004, House, 2004; Gushue & Whitson, 2006; Lopez & Ann-Yi, 2006). 또한 여성의 진로 개발에 대한 연구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Charles et al. 2001; Linehan and Walsh 2001; Mavin 2000; Zabludovsky 2001).

35 Ⅲ. 한국고용정보원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의 센터 활용 현황 1. 조사개요 2006년도 전국의 노동부 고용지원센터에서는 CAP이 556회차 진행되었으며 7,481 명이 이 프로그램을 수료하였다. 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성취프로그램(회차: 441회, 수료자: 5,197명), 취업희망프로그램(회차: 219회, 수료자: 2,201명), 성실프로그램(회 차: 23회, 수료자: 238명) 등과 비교해 볼 때 양적으로 가장 많이 제공된 프로그램임 을 알 수 있다(<표 Ⅲ-1> 참조). <표 Ⅲ-1> 2006년도 노동부 고용지원센터 직업진로프로그램 운영 현황 구분 성취 CAP 취업희망 성실 회차 인원 회차 인원 회차 인원 회차 인원 서울청 98 1153 154 1917 41 377 8 82 경인청 73 843 93 1250 44 375 2 24 광주청 84 1074 88 1418 29 281 4 41 대구청 77 824 79 1042 51 518 2 25 대전청 45 578 44 543 22 288 3 31 부산청 64 725 98 1311 32 362 4 35 합계 441 5197 556 7481 219 2201 23 238 자료: 노동부 내부 자료.

36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이와 같이 활발하게 대국민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 CAP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 는가에 대하여 CAP을 진행하고 있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설문 조사([부록 1] 참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3주(2006년 11월 20일 ~ 12월 14일) 에 걸쳐 이메일을 활용하여 설문지의 배부와 수합 이루어졌으며 전국 39개 센터 소 속 진행자 총 79명 가운데 35명이 응답하였다(회수율 44.3%). 이에 기초하여 프로그 램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조사결과 첫째, 상담원 또는 센터 수준에서 CAP의 내용을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었 다. 총 9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현 프로그램 진행 매뉴얼의 내용에 대하여 응답 자의 84.1%가 부분적으로 변경하고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변경의 빈도 로 보았을 때, 4모듈(의사결정, 94.3%} 과 5모듈(직업정보탐색, 94.3%) 부분을 가장 많이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9모듈(여미는 장, 91.4%), 2모듈(자기탐험, 85.7%) 등이 그 뒤를 이어 변경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 프로그램 진행 매뉴얼 변경 사용 현황 모듈 구분 변경 없이 사용 부분 변경 사용 A 여는 장 17.1% 82.9% B 자기탐험 14.3% 85.7% C 직업탐색 25.7% 74.3% D 의사결정 5.7% 94.3% E 직업정보탐색 5.7% 94.3% F 이력서작성 25.7% 74.3% G 자기소개서작성 17.1% 82.9% H 면접기법 22.9% 77.1% I 여미는 장 8.6% 91.4% 평균 15.9% 84.1% 상기 결과를 통하여 센터에 따라 또는 진행자에 따라 CAP 의 원형에서 변형 된 형태를 만들고, 결과적으로 동일한 CAP 이라는 프로그램명 아래 상이한 프 로그램이 청년층에게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 둘째, 이와 같이 진행자 또는 센터 수준에서 프로그램을 변형시켜 사용하는 유형 및 사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Ⅲ-3> 프로그램 변경유형 및 변경사유 변경유형 변경사유 (단위: %) 구분 타Pg. 적용 자체 개발 누락 소계 최신성 문제 적용상 어려움 목표 불합치 시간 부족 기타 소계 A.여는 장 1.8 4.4 93.8 100.0 11.5 6.3 6.3 66.7 9.4 100.0 B.자기탐험 1.8 1.8 96.4 100.0 4.3 7.4 8.0 66.7 13.6 100.0 C.직업탐색 8.2 4.1 87.8 100.0 59.2 4.1 8.2 16.3 12.2 100.0 D.의사결정 1.3 3.9 94.8 100.0 23.3 5.5 8.2 57.5 5.5 100.0 E.직업정보탐색 2.1 1.7 96.3 100.0 10.0 7.6 5.2 56.4 20.8 100.0 F.이력서작성 11.9 21.4 66.7 100.0 27.5 5.0 5.0 55.0 7.5 100.0 G.자기소개서작성 9.7 9.7 80.6 100.0 14.5 11.3 4.8 53.2 16.1 100.0 H.면접기법 11.4 8.6 80.0 100.0 11.9 11.9 9.0 43.3 23.9 100.0 I.여미는 장 0.0 2.9 97.1 10.00 26.1 7.2 5.8 49.3 11.6 100.0 평균 5.3 6.5 88.2 100.0 20.9 7.4 6.7 51.6 13.4 100.0 주: 변경유형 및 변경사유의 평균값은 변경유형 및 변경사유 문항에 대한 응답자를 총계의 기준으로 산출함. 변경 유형을 보면 누락 이 평균 88.2%로 가장 많았고, 센터(또는 진행자) 수준에 서 자체개발 하거나 타프로그램의 적용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는 변경 사유로부터 그 이유를 유추할 수 있는데 가장 많이 제기된 변경 사 유가 시간부족(51.6%) 으로 프로그램의 진행 시간 대비, 진행해야 할 내용이 상대적 으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력서 작성이나 자기소개서 작성, 그리고 면접 기법과 같은 구직기술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타프로그램 적용 및 자체개발 의 빈도가 다른 부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이는 다른 부문에 비하여 구직기술이 상대적으로 최신성 이 중요하고, 구직에 직면한 청년층의 요구가 크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서 센터차원 혹은 진행자 개인 차원에서 보충자료 등을 개발하 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각 모듈별 변경 현황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모듈(여는 장)의 현황을 보면 변경빈도가 높은 1~3순위의 경우,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이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변경유형으로 대부분의 진행자들이 누락 을 선택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는 시간부족 과 최신성 결여 가 가장 많이 제기되고 있었다.

38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표 Ⅲ-4> A모듈(여는 장)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변경 내용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1 2분 대화 80.0% 누락, 자체개발 시간부족, 최신성결여 2 나를 찾아 첫걸음 활동 57.1% 누락, 자체개발 최신성결여=시간부족 3 O, X 퀴즈 54.3% 누락 시간부족, 최신성 4 등판에 첫인상 적기 45.7% 누락 시간부족=적용난=목표불 합치 5 전지에 내모습 그리기 40.0% 누락, 자체개발=타Pg.적용 시간부족, 기타 6 오늘 나의 날씨 34.3%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7 이전참가자 소감나누기 20.0% 누락 최신성결여, 시간부족=적용난 8 도입, 참가자소개(별칭짓기, 별칭외우기), 프로그램소개(만화컷), 약속정하기 0.0% - - B모듈(자기탐험)을 보면 변경빈도가 높은 1~5순위의 경우, 응답자의 과반수이상 이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어TEk. 변동 빈도가 높은 게임의 경우, 참여자 의 흥미제고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시간부족 의 이유로 가장 먼저 누락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표 Ⅲ-5> B모듈(자기탐험)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변경 내용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1 아기공룡 둘리 82.9%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2 경마게임 77.1%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3 집단으로 직업가치관 문장 완성 74.3% 누락 시간부족, 목표불합치 4 손가락에 표현하는 희망직업 71.4% 누락 시간부족, 목표불합치 5 직업흥미 유형별 집단활동 54.3% 누락, 자체개발 시간부족, 적용난 6 마피아 게임 40.0% 누락 시간부족,최신성결여=목표불 합치 직업가치관 문장 완성하기 31.4% 누락 시간부족, 목표불합치 7 직업흥미검사실시&직업흥미이해 하기 31.4%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기타 9 이웃사랑 게임 11.4% 누락 시간부족 10 괜찮은 나! 만들기활동 5.7% 자체개발 시간부족 11 직업선호도 검사 실시 2.9% - - 12 직업명 별칭짓기, 기타 검사 소개 0.0% - -

39 C모듈(직업탐색)을 보면 상대적으로 변경빈도가 낮은 모듈로서 MBC성공시대 비디오시청 부분을 제외하고는 변경 빈도가 모두 25% 미만이었다. 또한 변경사유 에 대한 의견에 있어 최신성 결여 문제가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표 Ⅲ-6> C모듈(직업탐색)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변경 내용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1 MBC성공시대비디오시청 65.7% 누락 최신성결여, 목표불합치 2 직업정보 제공하기 22.9% 누락, 타Pg.적용 최신성결여, 시간부족 3 내용소개 20.0% 누락 시간부족, 최신성결여 4 6 8 9 춘향고민활용 직업발생 이유 8.6% 누락, 자체개발 최신성결여 직업카드분류 활용 직업선호도 분석 8.6% 누락 최신성결여, 기타 직업과 관련된 경험나누기(20대의 수기) 5.7% 타Pg.적용=누락 최신성결여=기타 직업종류 알아보기 게임 5.7% 타Pg.적용=누락 시간부족 직업가치 이해를 통한 직업선호도분석 직업과 관련된 경험나누기(일경험) 2.9% 누락 적용난 0.0% - - D모듈(의사결정)을 보면 사랑의 스튜디오 비디오 시청 과 꿈 그리기 부분은 변 경 빈도가 매우 높고, 변경 유형은 대부분 누락 이며, 그 이유로서 시간부족 문제 가 가장 많이 제기되었다. <표 Ⅲ-7> D모듈(의사결정)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변경 내용 변경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1 내용소개(사랑의스튜디오) 80.0% 누락, 자체개발 최신성결여, 목표불합치 2 꿈 그리기 77.1%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목표불합치 3 내 꿈의 변천사 31.4%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4 사막에서 살아남기 20.0% 누락 시간부족 5 잠정적으로 하고 싶은 직업 찾기 8.6% 자체개발 시간부족 6 합리적 의사결정 전략익히기 2.9% 누락 시간부족 7 의사결정유형 검사 및 해석 2.9% 누락 시간부족 8 나의 의사결정 스타일은 0.0% - -

40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E모듈(직업정보탐색)을 보면 1~8순위에 이르기까지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이 내용 (또는 자료)을 변경하여 진행하고 있었다. 변경 유형은 대부분 누락 이며, 그 이유 로서 시간부족, 최신성 결여 등의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Ⅲ-8> E모듈(직업정보탐색)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1 변경 내용 과제제시(힘든 마음 소화하기 일기장)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2 정보 인적자원 브레인스토밍 74.3% 누락 3 변경 사유(1,2순위) 82.9%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시간부족, 최신성결여=적용난 허위구인광고 알아내기 65.7%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최신성결여 근로기준법 알아보기 65.7%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최신성결여 5 면대면 정보탐색 활동 60.0% 누락 전화역할연습 60.0% 누락 시간부족, 최신성결여=적용난 시간부족, 최신성결여=적용난 7 위밍업게임(서로에게 관심갖기) 57.1% 누락 시간부족, 목표불합치 8 정보탐색활동 경험나누기 51.4% 누락 9 팀활동을 통한 정보사냥대회 45.7% 누락, 자체개발 시간부족, 최신성결여=적용난 시간부족, 최신성결여=적용난 10 더 찾아야 할 정보 정리(추가직업정보양식) 37.1% 누락 시간부족 11 실전 정보 탐색 31.4% 누락 시간부족 12 인터넷 서치: 정보탐색방법 안내 22.9% 13 누락, 자체개발=타Pg.적용 최신성결여, 목표불합치=시간부족 인터뷰 취재기자 역할극 20.0% 누락 목표불합치=시간부족 정보탐색 실시 및 지원 활동 20.0% 누락, 자체개발=타Pg.적용 최신성결여, 목표불합치=시간부족 15 인터넷 서치: 워밍업(장점폭격) 17.1% 누락 시간부족 16 정보사냥대회 14.3%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적용난 17 워크넷 사이트 설명 2.9% 자체개발 최신성 결여 F모듈(이력서 작성)을 보면 상대적으로 변경의 빈도가 낮은 모듈이었지만 다음 모듈인 자기소개서 작성 과 실시하는 방법의 중복으로( 브레인스토밍, 마인드 맵 핑 등) 학습자가 혼동하기 쉽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41 <표 Ⅲ-9> F모듈(이력서 작성)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1 변경 내용 마인드 맵핑을 통한 아이디어 모으기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62.9%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목표불합치 2 이력서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20.0% 누락, 자체개발 시간부족, 적용난 3 이력서 서식알기 14.3% 자체개발, 타Pg.적용 최신성 결여 다양한 자유형식 이력서 보기 14.3% 자체개발, 타Pg.적용 최신성 결여 5 나의 제1호 이력서 작성 5.7% 자체개발=타Pg.적용 최신성 결여 6 이력서 점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점검) 2.9% 누락 시간부족 7 고용주로서 이력서 평가하기 0.0% - - G모듈(자기소개서 작성)도 역시 앞의 모듈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변경의 빈도 가 낮은 모듈이었지만 앞의 모듈에서 지적한 것과 동일하게 실시 방법의 중복 문제 가 제기되었다. <표 Ⅲ-10> G모듈(자기소개서 작성)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1 2 변경 내용 마인드 맵핑을 통한 자기소개서 알아보기 자기소개서 브레인 스토밍 라이프라인 작성을 통한 자기소개 내용 찾아보기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40.0%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37.1%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적용난 37.1%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최신성결여=목표불 합치 4 성격 장단점 정리하기 28.6%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5 자기소개서 맛보기 20.0% 자체개발, 타Pg.적용 최신성결여 6 베스트 vs. 워스트게임 14.3% 누락, 자체개발 최신성결여, 시간부족 7 자기소개서 점검 2.9% 누락 적용난

42 청년층 직업지도프로그램(CAP) 개정연구 H모듈(면접기법)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대상의 범위가 고등학생에서 대학 생, 대학 졸업 후 취업준비생에 이르기까지 넓기 때문에 대상자에 따라 적합하지 않은 내용이 일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변형의 가장 큰 사유였다. 또한 모듈의 특성 상, 최신성이 매우 강조되고 최신성의 결여는 목표불합치로 연결되는 경향이 나타 났다. <표 Ⅲ-11> H모듈(면접기법)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변경 내용 변경 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1 진학면접 질문지 제시 62.9% 누락, 자체개발=타Pg.적용 시간부족, 적용난=목표불합치 2 역할연기 48.6%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 적용난 3 사례제시 및 역할연기 34.3%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4 면접 시 황당 질문 20.0% 누락, 자체개발=타Pg.적용 시간부족,최신성결여=목표불 합치 5 면접질문 예상하기 8.6% 누락, 타Pg.적용 시간부족=최신성결여=목표불 합치 면접기술 연습 개관 8.6% 누락=자체개발=타Pg.적용 최신성결여=목표불합치 7 면접 시 자주 나오는 질문 5.7% 자체개발=타Pg.적용 최신성결여 면접의 감점 요인 점검 5.7% 자체개발=타Pg.적용 최신성결여=목표불합치 9 구인자 입장에 서기 2.9% 자체개발 - 면접 마무리 2.9% 누락 시간부족 11 실습 0.0% - - I모듈(여미는 장)에서는 이전 모듈인 모의면접 에 할당된 시간 자체가 부족하여 I 모듈까지 연장되는 경우가 많아 시간 부족으로 진행하지 못하는 활동내용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3 <표 Ⅲ-12> I모듈(여미는 장)의 변경 빈도 순위 X 변경유형 X 변경사유 순위 변경 내용 변경빈도 변경 유형(1,2순위) 변경 사유(1,2순위) 1 한눈으로 보는 직업세계 비디오 시청 82.9% 누락 최신성결여, 시간부족 2 미래의 내모습 그려보기(파티장) 51.4% 누락 시간부족, 목표불합치 3 마음의 선물 나누기 28.6% 누락 시간부족, 적용난 4 미래의 내모습 그려보기 도입 20.0% 누락 시간부족 5 6 7 진로생애무지개를 통한 다양한 역할 이해 미래의 내모습 그려보기(준비됐나요) 미래의 내모습 그려보기(명함만들기) 11.4% 누락 시간부족 8.6% 누락, 자체개발 시간부족, 적용난 0.0% - - 진행자들이 CAP 에 대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한 결과를 출현 빈도가 높 은 순으로 정리해보면 1 자료의 낙후, 2 참가자 범위가 지나치게 넓음(15~29세), 3 구직기술 부분의 내용 불충분, 4 시간 대비 모듈별 활동이 지나치게 많음(특히, 직업탐색과 의사결정 부분), 5 정보공유를 위한 상담원 간담회, 교류회 운영 필요 등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매뉴얼 구 성 체계를 전체적으로 새롭게 디자인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참가자의 연 령층이 빠른 진로발달단계에 있는 청년층이므로 연령별로 요구를 새롭게 도출하여 프로그램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듈별 전달할 내용의 양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참가자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의 충실성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전체적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최신화해야 할 필요성 이 제기된다. 특히 전달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동영상 자료의 경우 최신 성을 확보하고 활용에 있어 세심한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