映 畵 映 像 이미지의 " 典 型 "에 關 한 硏 究 - 팜므 파탈(Femme Fatale) 이미지를 중심으로 - An Study about "the Type of Style" in Cinema ; Mainly with the images of Femme Fatale 김 인 철 전주공업대학 영상멀티미디어과
Contents I.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II. 팜므 파탈의 개념과 전개 1. 팜므 파탈의 개념 2. 팜므 파탈 이미지의 전개 1) 신화 속 이미지 2) 그리스 신화 3) 기독교 4) 서양 역사 III. 영화 영상 속의 팜므 파탈 이미지 분석 1. 영화 초기 2. 숙녀로의 이미지 3. 숙녀에서 여전사로의 전이 4. 여성전사(Woman Warrior) 이미지 본 연구에서는 신화적, 역사적이며 종교적인 배 경에서 이루어진 팜므 파탈 이미지의 전형, 즉 관능성의 정도를 영화 속에서 살펴 보는 것이 목 표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유럽 회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분석, 정리 한 후영화 영상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지들을 분 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영화 영상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 미지는 영화 초기 그레타 가보부터 보여졌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연구의 목적에 걸맞는 전 형에 가까운 이미지들은 20세기를 전후하여 이루 어진 아르 누보(Art Nouveau)의 영향과 여권의 신장을 바탕으로 점차적 남성의 모습과 대등하게 진전되어 요즈음 영화 속에서 이루어져 홀로 어 려움을 헤쳐 나가는 전사의 모습의 전형을 보이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IV. 결론 참고문헌 한글요약 팜므 파탈은 '남성을 유혹하여 사랑하게 만든 후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는 미모를 가진 여자, 즉 요부( 妖 婦 )'를 말한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요부에 대한 그림 이미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존재해 왔다. 종교적이 되었든, 정치적이 되었든, 남성 위주의 역사가 이루어지면서 역사를 바꾸어 놓거 나 바꾸었을 정도로 위험한 여성들에 대한 경계 라는 교훈을 위해서 적지 않은 이미지들이 제작 되었다. "Femme Fatale"means a woman of beauty of which leads man to very dangerous. There were a plenty of images thorough history of west Europe, warned men to awake from dangerous women. And many artists have made images about women who're as fatal as made men led bitter and changedhistory. The women are Mermaids in mythology, Medea, Pandora, Circe, Sirens, Sphinx in Greek myth, Lady Lilith, Judith, Delilah, Salome in Bible and Cleopatra VII, Messalina in the history. After analyzing with those images, the theme related in "Femme Fatale" have begun from the beginnings of motion pictures in her roles of Greta Garbo. The first images were very
traditional but the typical ones were set after 1960s. Omitting extra scenery of materials, the Art Nouveau have made images exotic and a little sensual. Especially, the recent images of woman worriors as in the movies as "Tomb Raiders" and "Kill Bill" series with images very real and sensual to get to typical. The almost typical "Femme Fatale" images that in movie of recent have made were women with dark hair, almost black clothes and stiff looks of face. Key Words ; Femme Fatale, Images, Motion Picture I. 서론 여성의 미모에 대한 기준은 역사에 따라 변하고 있으며 사회적 요건에 따라서도 변하고 있다. 페 미니즘(feminism)의 대두로 여성의 이미지는 과 거보다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으며, 이 른바 영상( 映 像 ) 이미지 시대를 맞아 여성의 이미 지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팜므 파탈, 즉 남자로 하여금 죽음에 이르게 할 정도로 치명적인 미모 를 가진 여성 에 대한 이미지 탐구가 1차적 목적 이며 이를 토대로 영화 영상에 나타난 이미지의 전형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역사적 으로 이루어진 팜므 파탈 이미지들을 제시할 것 이다. 본 연구에서는 팜므 파탈의 전형( 典 型 )이 영화 속 에 존재하는 여부와 그 방식을 탐구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1.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004년 2월 20일 금요일 밤에 교육방송(EBS)에서 방영된 시네마 천국 은 영화 속 팜므 파탈 (Famme Fatale)의 모습을 주제로 삼아 이루어졌 다. 주제는 팜므 파탈이었지만 전체적으로 진행된 내 용은, 결국 흥미 본위와 눈앞에 보이는 말초적인 여성 이미지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서양 여성의 일반적 미모, 즉 우리에게 매우 낯선 금발( 金 髮, blonde)만을 미인의 전제로 삼은 점은 팜므 파탈 영화에서의 구체성이 결여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와 함께 팜므 파탈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나타내는 치명적 ( 致 命 的, fatal) 결과를 가져다주는 여성의 미모 ( 美 貌 ) 에 대한 구체적 제시 방법에 있어서 적지 않게 벗어나고 있었다. 우선 팜므 파탈의 개념을 정해 놓은 뒤 이를 토 대로 역사적 전개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팜므 파 탈은 우리에게 있어서는 어쩌면 낯 선 개념일지 모른다. 하지만 남녀가 만나서 삶을 영위하는 인 생사에 있어서 여성의 미모에 이끌린 나머지 파 멸을 맞이하는 예는 동서양이 따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중국 한자에 경국지색( 傾 國 之 色 ) 이 란 의미를 예로 들 수 있겠다. 즉 나라의 운명을 기울게 만들 정도의 미모를 가진 여자를 뜻하는 말이다. 그런 다음, 서양 회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 지들을 정리하여 이를 토대로 영화 영상에 나타 난 이미지들과 대비, 분석해보는 방법을 통하여 이미지의 전형 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II. 팜므 파탈의 개념과 전개
1. 팜므 파탈의 개념 팜므파탈(Femme Fatale)은 '남성을 유혹하여 사 랑하게 만든 후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는 미모를 가진 여자, 즉 요부( 妖 婦 )' 1) 를 말한다. 이러한 특 징을 지닌 요부에 대한 그림 이미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존재해 왔다. 종교적이 되었든, 정치적 이 되었든, 남성 위주로 역사가 이루어지면서 역 사를 바꾸어 놓거나 바꾸었을 정도로 위험한 여 성들에 대한 경계라는 교훈을 위해서 적지 않은 이미지들이 제작되었다. 남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결국 파멸 또는 이와 비슷한 결말에 이르도록 만드는 여성들에 대한 개념은 역사적 실존 인물 또는 신화, 전설 등에서 비롯되어 일반 명사화 되어 있다. 이들의 범주를 들면 <표 1>과 같다. <표 1> 팜므 파탈 관련 용어 표에서 살펴 본대로 서양에서의 팜므 파탈에 해 당되는 여성들의 이름은 처음에는 고유 명사로 시작되어 나중에 일반 명사로 변한 것들을 볼 수 있다. 2. 팜므 파탈 이미지의 전개 서양에서의 전통적 팜므 파탈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보다 세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서 유럽 생 활에 그리스 신화, 기독교 및 그들의 역사가 어 우러져 매우 일상적인 이미지로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같은 주제의 이미지들이 다수 제작되어 현재까지 남아 있다. 특히 근세까지 지속된 문맹( 文 盲 )은 이미지의 중 요성을 부각 시켜 팜므 파탈에 해당되는 수많은 회화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1) 신화 속 이미지 < 인어 공주 > 인어 공주(Mermaids)는 동서양 신화 중 매우 오 래된 존재이다. 바다가 있는 모든 곳에 이와 유 사한 신화가 들려지고 있다.2) 유럽 민간 설화에 서는 마술적 능력을 가진 인어가 수 만 년에 걸 쳐 살면서 여러 이야기들을 만들고 있다. 이들은 홍수와 자연 재해를 만들기도 하며, 종종 항해 중인 배들을 난파 시켰다고 한다. 2) 우리나라 바닷가 마을에서도 구전( 口 傳 )되는 신화들 중유사한 이야기들이 있다. 앞서 말한 로렐라이와 바다에서 기막힌 노래를 통하여 뱃사람을 유혹하는 싸이렌(Siren) 등도 모 두 인어 공주 이야기와 같은 맥락에서 비롯되었 다. 1) http://dictionary.cambridge.org/define.asp?key=2846 2&dict=CALD 2) 그리스 신화
퍼져나가게 되었다. 놀란 판도라가 급히 상자의 문을 닫아 희망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게 되었다. 판도라를 통한 제우스의 복수였던 것이다. <그림 1> 인어공주(좌)와 메데이아(Waterhouse 그림) < 메데이아 > 메데이아(Medea)는 콜키스의 공주였다. 적국의 군사들이 황금으로 된 양털을 탈취하고자 쳐들어 왔고, 이를 이끈 장군 이아손(Jason)에 반하여 마 술을 걸어 보물을 가져갈 수 있게 도와주었다. 분노한 아버지를 피하여 적국으로 도망친 그녀는 이아손과 결혼하여 아이 둘을 낳는다. 하지만 행 복한 시절도 잠시였다. 이아손이 하녀와 바람을 피운 후 결혼을 하자 분노한 메데이아는 복수의 일념에 사로 잡혀 하녀 글라우케의 결혼 예복에 독을 묻혀 죽게 만든다. 게다가 사랑하는 아이들 을 죽여 가면서 남편에게 복수를 한다. < 판도라 > 판도라(Pandora)는 제우스신의 명령에 의하여 태 어난다. 프로메테우스가 불을 훔쳐다가 사람들에 게 나누어주자 분노한 제우스는 불의 신 헤파에 스투스와 지혜의 여신 아테나를 통하여 판도라를 만들어 프로메테우스의 동생인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냈다. 이때 제우스는 판도라에게 작은 상자를 하나 들려주면서 절대 안을 열어보면 안 된다고 명했다. 어느 날 무료한 시간을 보내던 판도라는 작은 상 자 안이 무척 궁금한 나머지 살짝 안을 열어 보 게 되고 이를 계기로 온갖 나쁜 요인들이 지상에 < 키르케 > 항해에서 길을 잃은 뱃사람들을 기다렸다 죽이는 키르케는 자신의 섬에서 궁을 만들어 살고 있었 다. 도움을 청하러 궁에 들어 온 남자들은 모두 돼지로 변하는 등 비참한 신세로 전락한다. 어느 날 오딧세이(Odysseus)는 트로이 전쟁에서 지칠 대로 지친 부하들을 이끌고 귀향 중 키르케 의 섬에 들르게 되었다. 먼저 섬에 들어간 부하 들 23인 중 한 사람만이 겨우 도망쳐 나오고 말 았다. 키르케의 미모에 반한 남자들이 접근하자 마술을 걸어 백조와 돼지 등으로 만들어 버렸다 는 것이다. 오딧세이는 홀로 키르케의 궁으로 향 했고 도중에 헤르메스(Hermes)를 만나 키르케의 마술에 걸리지 않는 처방을 받았다. 독배를 마시 고도 마술에 걸리지 않은 오딧세이는 키르케의 항복을 받고, 그의 부하들을 되살릴 수 있었다. 다시 귀로에 오른 그는 키르케로부터 도중에 만 날 싸이렌(Siren)의 유혹을 이기는 법을 전해 듣 고 그대로 실행하여 물리칠 수 있었다. 즉 유혹 하는 노랫소리를 듣지 않기 위하여 귀를 밀랍( 蜜 蠟 )으로 막았고 돛에 자신의 몸을 꽁꽁 묶어 견 딜 수 있었다. <그림2> 판도라(좌,Rossetti)와키르케(Waterhouse 그림)
< 스핑크스 > 한 때 이집트 테베를 공포로 몰아넣은 괴물이 있 었는데 그것이 바로 여인의 머리에 사자 몸을 가 진 스핑크스(Sphinx)였다. 이 괴물은 바위 위에 구부리고 앉아 지나는 남자들에게 수수께끼를 풀 도록 지시한 후 해결을 못 하면 죽였다. 한 편 자신의 출생에 의문을 가진 외디푸스 (Oedipus)는 길을 떠돌다가 그녀 앞을 지나게 되 었다. 외디푸스는 아침에는 네 발, 점심에는 두 발, 저녁에는 세 발로 걷는 동물이 무엇이냐는 수수께끼를 바로 풀어 버렸고 이에 놀란 스핑크 스는 나일강에 스스로 몸을 던져 죽었다. < 그림 3> 릴리스(좌, Waterhouse), 쥬디스 (Gentileschi 그림) 3) 기독교 < 릴리스 > 성경의 여호와는 애시 당초 아담의 여자를 흙으 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녀가 바로 릴리스(Lady Lilith)였다. 하지만 둘 사이에 평화는 없었으며, 아담은 늘 자신에 거역하는 릴리스에 불만이 많 았다. 하지만 릴리스는 같이 흙에서 만들어졌는 데 뭐가 다르냐면서 순종을 거부했다. 결국 릴리 스는 집을 나갔고 아담의 항의에 여호와는 세 천 사를 보내 마음을 돌리려 했지만 릴리스는 마법 의 힘으로 이를 물리쳤다. 결국 여호와는 아담의 갈비뼈로 제2의 여인을 만들게 되는데 그녀가 바 로 이브였다. < 들릴라와 쌀로메 > 들릴라는 팔레스타인 여인으로 삼손의 사랑을 받 았다. 팔레스타인과의 모든 전투를 승리로 이끈 영웅 삼손에게 여자는 매우 치명적인 약점이었 다. 결국 삼손은 들리라의 유혹으로 머리카락을 잘려 힘을 못 쓰고 눈까지 멀게 되었다. 세례 요한을 유혹하려다 모욕을 당한 쌀로메는 헤롯왕의 양녀이자 헤로디아의 딸이었다. 헤롯왕 은 양녀에게 자신의 생일날 손님들 앞에서 춤을 추도록 부탁하면서 어떤 조건의 소원이라도 들어 주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쌀로메는 그녀의 유혹 을 거절한 세례 요한의 목을 은쟁반에 받쳐 줄 것을 요구했다. 이렇게 어처구니없는 일로 성인 세례 요한은 목숨을 잃고 말았다. < 쥬디스 > 앗시리아의 왕이 유대를 정복하고자 홀로페르네 스 장군을 파견하였다. 이때 유대 장군의 미망인 인 쥬디스(Judith)는 그녀의 미모로 장군을 유혹 하여 그의 목을 잘랐다. 유대의 공식 기록에는 남아 있지 않지만 아군의 사기를 진작 시킨 여걸 ( 女 傑 )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되어 많은 이미지로 제작되었다. < 그림 4 > 삼손과 들릴라(좌, van Dyck), 클레 오파트라(Waterhouse)
4) 서양 역사 < 클레오파트라 > 클레오파트라(Cleopatra VII)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가의 마지막 왕녀이자, 로마의 공격으로 풍전 등화( 風 前 燈 火 )에 빠진 이집트 왕국의 마지막 군 주였다. 로마의 권력자 씨저(Caesar)를 유혹하기 위하여 그녀는 카페트에 몸을 둘둘 말아 접근하 여 뜻을 이루었다. 하지만 씨저가 암살된 후 권 력자 안토니우스를 유혹하여 또 다시 이집트 왕 권을 유지했지만 옥타비아누스에게 안토니우스가 패하여 사망한 후 독뱀에 몸을 맡겨 죽고 말았 다. 그녀의 죽음으로 인하여 이집트 왕조의 역사 도 따라서 막을 내렸다. < 메쌀리나 > 메쌀리나(Messalina)는 로마 황제 클로디우스의 세 번 째 부인이었으며, 원래 매우 지체 높은 집 안 출신이었다. 그녀에게는 브리타니쿠스라는 아 들이 있었는데 그는 바로 칼리굴라와 네로의 양 아버지가 되는 옥타비아의 아버지였다. A.D 48년 에 그녀는 남편을 죽이고 하수인 씰리우스와 공 개적 결혼식을 올렸다. 그녀는 매우 색정적( 色 情 的 )인 여자로 여러 역사서에 언급이 되어 있다. 비천한 하층민들과 무차별의 관계를 가졌으며 육 욕적 파티를 열었다. 오늘날 그녀의 이름은 바로 악녀와 동일하게 쓰이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서양의 팜므 파탈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은 우리나라의 춘향전( 春 香 傳 ) 처럼 많 은 수의 이미지들로 제작되어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대체적으로 서양 회화에 나타난 이 미지들은 시대의 여성 이미지를 반영하기도 하고 루벤스(Rubens), 반 다이크(van Dyck) 등처럼 플 랑드르 화가들은 지역의 여성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그림 5 > 쥬디스(위, Klimt), 메쌀리나(A. Beardsley, 아래) 즉 결코 치명적인 여인의 모습이 아니다. 하지만 근대에 이르러 일본을 비롯한 중근동 아시아, 아 프리카 등지의 문물이 흘러 들어오면서 이루어진 아르 누보(Art Nouveau) 시기에서는 이국적인 특징의 모습들이 나타나면서 팜므 파탈에 해당되 는 모습이 독특하게 보여 지고 있다. 특히 클림 트(G. Klimt)와 비어즐리(A. Beardsley)의 그림은 전통적 묘사를 과감히 벗어 던진 충격적 여인의 이미지들을 보여주었다. III. 영화 영상 속의 팜므 파탈 이미지 분석 1. 영화 초기 초기 흑백 영화 시기를 대표한 여배우들 중 그레 타 가보(Greta Garbo)는 팜므 파탈 이미지를 거 의 처음 영화에서 보여준 배우라고 할 수 있다. 1928년 만들어진 의혹의 여인(The Mysterious
Lady) 은 영화 역사 최초에 만들어진 스파이 영 화로 적국 장교를 유혹하여 정보를 빼돌리는 역 이었지만 결국 진짜 사랑에 빠져 서로 파멸에 이 르고 있다. 많은 영화로 다시 만들어졌던 마타 하리(Mata Hari) 는 가보의 팜므 파탈 영화의 진수( 眞 髓 )라 고 할 수 있다. 이미 알려진 대로 적국 정보를 빼 낸 실제 여 간첩 역을 열연하였고 무수한 스캔들 을 일으킨 그 모습은 아르 누보적 팜므 파탈에 해당이 되어 나중에 다시 만들어진 마타 하리 영 화들의 전범( 典 範 )이 되었다. 있는 남자들을 유혹하여 파멸로 이끄는 매티 (Matty)역의 캐슬린 터너(Kathleen Turner)와 1987년 제작되어 남자들을 죽여 가면서 자신의 욕심을 채우는 캐더린(Catherine) 역으로 데레사 러셀(Theresa Russel)이 출연한 블랙 위도우 (Black Widow) 에서는 평범한 주부의 모습이지만 내면에 무서운 음모를 지닌 팜므 파탈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평범한 여인들이 남성들을 유혹하여 죽음 또는 이와 비슷한 파멸로 이끄는 영화들은 이외에도 많다. 대부분 여자 주인공의 이미지들은 이미 언 급한대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의 스칼렛 오하 라(Scarlet O'hara)의 이미지처럼 요조숙녀의 모습 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남성 위주의 사회에 순 응하면서 감추어진 페미니즘적 반발을 자연스럽 게 표출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 그림 6 > 그레타 가보 마를렌 디트리히(Marlene Dietrich)는 평소 보여 지던 그녀의 이미지 자체에서 팜프 파탈에 가까 운 모습을 강하게 느끼지만 실제 그녀가 출연한 영화들 속에는 이에 해당되는 작품이 거의 없다. 반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의 비비안 리(Vivian Leigh)의 역할은 팜므 파탈에 해당이 되는데도 요조숙녀( 窈 窕 淑 女 )에 가 까운 그녀의 이미지 때문에 감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2. 숙녀로의 이미지 남성을 유혹하여 파멸에 이르는 여성 이미지를 설정한 영화들 중에서 돈과 관련 된 것들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1981년 만들어진 보디 히트(Body Heat) 에서 돈 3. 숙녀에서 여전사로의 전이 앞서 살펴 본 가보의 팜므 파탈 이미지는 전쟁이 라는 특수 상황 때문에 요조숙녀의 모습이 극단 적으로 변신한 것에 해당이 된다. 하지만 조금씩 요조숙녀에서 이미지가 변하게 되는데 히치콕(Sir Alfred Hitchcock) 감독의 영화들과 일련의 007 씨리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히치콕 영화에서는 교묘히 위장된 여성의 공격성 을 볼 수 있다. 외면적으로는 매우 아름답고 지 성적인 여성들이 내면적으로 복잡다단한 심리 구 조를 지니면서 순수한 남성들을 위험한 상황에 처하도록 만든다. 현기증(Vertigo), 마니(Manie) 등이 그런 영화들이다. 히치콕 감독의 영화들이 내면적 복잡성으로 남자 들을 위험에 처하도록 한다면, 007영화에서 보여 지는 이른바 본드걸(Bond Gilr) 들은 미모를 최 대한 이용하여 단순한 임무, 즉 주인공 제임스 본드(James Bond)'를 방해하여 곤란에 빠뜨리고
있다. 동서냉전( 東 西 冷 戰 )이라는 전쟁에 가까운 시기, 즉 1962년 처음 만들어진 007 영화 씨리즈는 현 재까지 제작이 되고 있는데 그동안 팜므 파탈에 해당되는 이미지들이 시대적으로 변화되어 보여 지고 있다. 초기 007 영화들에서는 요조숙녀에 가까운 본드걸들의 모습이었지만 점차 적극적 여 전사( 女 戰 士 )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모습은 이후 이어질 적극적 여전사 이미지들 의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영화 속 여성 이미지의 흐름 속에 1960년 대에는 싸이키델릭 이미지로 부활한 아르 누보의 이미지들도 있다. 대표적인 영화가 1969년 만들 어진 이지 라이더(Easy Rider)'안데 영화에서 창 녀로 나온 카렌 블랙(Karen Black, Karen역)과 토 니 바질(Toni Basil, Mary역)은 아르 누보 여인에 가까운 팜므 파탈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4. 여성 전사(Woman Warrior) 이미지 팜므 파탈 이미지의 극단적 표현이 바로 여전사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여성 전사의 이미 지는 슈퍼맨(Super Man) 2'에서 초능력을 가진 외계여인 우르사(Ursa) 역을 연기한 쌔러 더글라 스(Sarah Douglas)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는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표현이 가능해진 1980 년대 후반에 이르러 더욱 구체화 되었다. 신화의 세계를 표현한 영화 레드 소냐(Red Sonja) 의 브 리짙 닐센(Brigitte Nielsen)를 비롯하여 이와 유 사한 여성 이미지들이 계속 보여 졌다. 여성 전사의 이미지는 우주를 비롯한 탐험 영화 에서도 보여 졌다. 1986년 시작된 에일리언 (Alien) 씨리즈에서 주연한 씨거니 위버(Sigouney Weaver, Ripley 역)가 대표적이다. 여전사의 이미지가 현실적이며 생동감 있게 표현 된 영화가 유럽에서 만들어진 니키타(La Femme Nikita) 였다. 안느 빠릴료(Anne Parillaud)가 실 감나게 연기한 이 영화로 여성도 남성 못지 않 는 전사가 되고도 남음을 유감없이 보여 주었다. 이 영화에서 니키타가 입고 나온 검정색의 단순 한 복장은 매우 절제된 팜므 파탈의 원형이 되어 이어지는 영화들에 제시되게 되는데, 본래 슈퍼 맨 2 등에서 시작된 모습이었다. < 그림 7 > 쌔러 더글라스(좌)와 안느 빠릴료 극단적 여전사에 해당되는 팜므 파탈 이미지들은 1990년대 이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히 트(Heat)'와 자칼(The Jackal)'의 다이앤 베노라 (Diane Venora)는 매우 적극적으로 사건을 해결 하는 강력계 형사로 나온다. 하지만 남자 주인공 이 엄연히 있는 가운데 강렬한 연기를 보이고 있 어서 여전사로 까지 거론될 수는 없었다. 그러던 이미지들은 알피엠(RPM) 에서 클라우디아 핵스 (Claudia Haggs)로 나온 펨케 잰센(Femke Janssen)은 007 씨리즈 골든 아이(Golden Eye)' 에 이르러 점차 여전사에 근접한 모습을 보여주 고 있다. '로닌(Ronin)'의 나타샤 멕엘혼(Natascha McElhone)과 사이렌서(The Silencer)'에서 안젤리 카(Angelica)로 나온 라이넷 월든(Lynette Walden) 역시 전사의 이미지가 강력해졌다. 2000년대에 들어 여전사의 이미지는 주인공이면 서 홀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초강력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다. 레지던트 이블(Resident Evil) 씨
리즈에서 앨리스(Alice)로 나온 밀라 요요비치 (Milla Joyovich), 툼 레이더(Lara Croft Tomb Raider : The Cradle of Life)의 안젤리나 졸리 (Angelina Jolie)와 킬 빌(Kill Bill)의 우마 써먼 (Uma Thurman), '터미네이터 3(Terminator 3 : Rise of Machines)에서 기계 인간 T-X로 나온 크 리스티나 로켄(Kristina Loken) 등이 그들이다. < 그림 8 > 펨케 잰센(좌)과 라이넷 월든 < 그림 9 > 밀라 요요비치(좌)와 안젤리나 졸리 름다움으로 남성을 유혹하여 파멸에 이끄는 여인 을 말한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이에 해당되는 여인이 있어 왔으며 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이미 지들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여인들은 일반적 신 화 세계에서도 있었고,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 기독교 세계 및 역사적 사실로 존재하여 이미지 들로 형상화 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화에서는 초기에서부터 팜므 파탈에 해당되는 작품이 만들어졌지만 이는 전쟁과 이데올로기라 는 특수한 상황에서 였다. 영화 속 팜므 파탈 이 미지는 대체로 일반적 숙녀의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작품들로 보여 졌다. 특히 1960년 대에 들어 약 십 년간 아르누보의 부활에 따른 이국적 모습이 보여 지기도 했으나 점차 구체적 인 페미니즘을 반영한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했 다. 007 영화 씨리즈에서 나타난 본드걸들은 숙녀의 이미지에서 점차 여전사로의 모습으로 변모하는 계기를 제공했고 드디어 1980년 후반부터 적극적 으로 남성과 대항하는 여성의 모습이 구체화 되 었다. 1990년대 말에서 2000년을 넘어 선 지금 영화에 서는 혼자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완벽한 여전사 가 나타났다. 이들은 팜므 파탈의 전형에서 극단 적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로 살펴 본 영화에서의 팜므 파탈 이미지 존재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그림 10 > 우마 써먼(좌)과 크리스티나 로켄 첫 째, 영화 초기에서부터 적극적인 팜므 파탈이 있었다. IV. 결론 팜므 파탈은 어딘가 모르게 신비하면서도 뇌쇄 ( 惱 殺 )적인 미모를 가진, 즉 이러한 치명적인 아 둘 째,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이 끝나면서 영화 속 팜므 파탈은 숙녀의 이미지를 보였다. 셋 째, 근래에 들어 적극적 전사로의 이미지가
만들어지면서 영화 속 팜므 파탈 이미지는 극단 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 미지의 전형은 대체적으로 검은 머리에 검고 몸 에 달라붙는 간편복을 하고 완전 무장한 모습으 로 그려지고 있다. 이런 이미지의 계기는 장을 달리하여 살펴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이명옥, 팜므 파탈, 서울, 다빈치, 2003 2) Ways of seeing, John Berger, Viking Press, New York, 1995 3)The Invention of Pornography, 1500-1800 ; Obscenity and the Origins of Modernity, Lynn Hunt, Zone Books, Toronto, 1996 4)Sexuality in Western Art, Edward Lucie-Smith, Thames & Hudson, London, 1991 5)Art and Myth in Ancient Greece, Thomas H. Carpenter, Thames & Hudson, London, 1991 6)The Story of Art, E. H. Gombrich, Phaidon Press, 16th Edition, London, 1995 7)Art A World History A DK publishing Book, DK Publishing Inc. New York, 1997 8)Erotism Death & Sensuality Georges Bataille, translated by Mary Dalwood, City Lighs Books, San Francisco, 1986 9)Feminism and Art History, Norma Broude, Icon, 1982 10)Art Nouveau 1890-1914, Paul Greenhalgh, Abrams, New York, 2000 11)Art Nouveau & Erotic, Ghislaine Wood, Abrams, New York, 2000 12)La pub est une charogne qui nous sourit, Oliviero Toscani, Hoibeke, Milano,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