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외형 및 구조를 지닌 3종류의 임플랜트를 식립 하여 보철 수복한 경우를 연구 모델로 하였다. 3종류 의 임플랜트는 Bra nemark system(nobel Biocare, Gothenberg, Sweden), Camlog system(altatec, Wurmbe



Similar documents
01)13-2목차1~3

00)13-3목차1~3

7-2È£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7, No. 6, 1999 정밀연삭된지대주와합성수지지대주를이용한보철물의적합도에대한비교연구 조선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정선희 마장선 정재헌 Ⅰ. 서론최근임플랜트보철의시술확대와더불어그에따른제반합병증이증가되고있는추세를보이고있는데이러한합병증으

ORIGINAL ARTICLE 상악피개의치를위한임플랜트의위치에따른응력분포에대한유한요소분석 하헌석 김창회 임영준 김명주서울대학교대학원치의학과치과보철학교실 임플랜트고정체의표면처리기술의발달에기인하여골유착의성공률이좋아지고있으며임플랜트를이용하는보철물의형태와임상술식도다양하게발전되

ORIGINAL ARTICLE 구치부임플란트고정성수복물에서의지대주나사풀림현상과 이에영향을미치는요인 홍수정 배정윤 * 김현희 가천대학교길병원치과보철과 The incidence of the abu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7, No. 3, 1999 콤비네이션임프란트크라운 (Combination Implant Crown) 을이용한단일치아의임프란트보철수복증례 대림성모병원치과부보철과 김래경 * 송언희 최병갑 김현철 안현정 Ⅰ. 서론골유착성임프란트가무치악의고정성보

12(4) 10.fm


I 서론 치과용 임플란트는 Brånemark 등1의 골유착 (osseointegration) 발견 이후 끊임없는 발전 을 거듭해 왔다. Brånemark 등 1 이 밝혀낸 골 유착은 임플란트의 표면과 living bone 사이에 연조직 층 의 생성이 없이 직접 골조직이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43, No. 1, 2005 하악구치부에서임플랜트배열방식에따른임플랜트지지고정성국소의치의광탄성응력분석 원광대학교치과대학보철학교실 조혜원 김난영 김유리 Ⅰ. 서론부분무치악환자의보철수복을위하여최근많이이용되는방법은임플랜트를이용하여인접지대치를손상하지

µµÅ¥¸àÆ®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ex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00520_1840È£_Ä¡Àǽź¸__³»Áö.pdf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6, No. 5, 1998 조임회전력에따른치과임플랜트지대나사의응력에관한연구 단국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이원주 임주환 조인호 Ⅰ. 서론 치과임플랜트는 1952 년 Branemark 9) 에의해골유착개념이도입된이래발전을거듭하며치과치료에널리

대한치과이식(임프란트)학회 학회지 제 27권 1호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12이문규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6, No. 5, 1998 PerioTest 를이용한임플란트동요도에관한임상적연구 연세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김선재 한동후 Ⅰ. 서론 골유착성임플란트는 1969 년 Bra nemark 에의해보고된후많은임상적, 실험적연구를통해완전또는부분무

ORIGINAL ARTICLE 텔레스코픽크라운임플란트지지피개의치와치아지지피개의치의하악골내응력분포에관한유한요소분석 백장현 이창규 김태훈 김민정 김형섭 권긍록 우이형 * 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

이 보존되도록 하며, 의치의 첨상 빈도도 줄이면서 의치의 지 지를 향상시킨다. 3 부분 무치악 증례에서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지지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의치의 지지, 안정, 유지, 잔존치조제의 형태, 주 지대치의 소실 여부, 교합관계, 최후방지대치의 상태 등을

Digital Abutment

KAID. Vol. 17 No. 1, 상호 호환성 임프란트에서 지대나사의 풀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오현주 권혁신 정재헌 i 서 트 지대나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 론 게 진행되어 왔는데 Carr 등15'은 나사풀림 방

Lumbar spine

歯1.PDF

ORIGINAL ARTICLE 두종의 external hex implant 의변연골흡수에관한연구 :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이지은 * 허성주* 곽재영* 김성균* 한종현** * 서울대학교치과대학보철학교실, ** 연세대학교영동세브란스치과보철과 목적 :

( )Kjhps043.hwp

untitled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7, No. 5, 1999 Cemented type implant 에서지대치의표면조도와 cement 의종류가 Retrievability 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아주대학교의과대학치과학교실 이재봉 Ⅰ. 서론지대치형성후 finishing은정확한인

untitled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45, No. 5, 2007 임플랜트지지상부구조물에서나사조임순서와조임방법이풀림토크값에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1,2,3,4, 삼성서울병원치과진료부보철과 1,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치과학교실 5 최정한 1 김창회 2 임영준 3 김

스포츠과학 143호 내지.indd


012임수진

RSGUNREZXLRR.hwp

식립위치별 임플란트 A

Can032.hwp

김범수

44-4대지.07이영희532~

09È«¼®¿µ 5~152s

ISSN Implantology 2016; 20(2): 66~71 시멘트를사용하지않는새로운유지형태를가진임플란트고정성보철물 : 증례보고 이현종, 백장현 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보철학교실 A New Retentive Type of Fixed Implant

ORIGINAL ARTICLE 기성품과맞춤형임플란트지대주나사의풀림토크비교 Otgonbold Jamiyandorj 김지환 김무성 박영범 심준성 * 연세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연구목적 :

#Ȳ¿ë¼®

Ⅲ. 연구재료및방법 1. 연구모형의제작하악무치악치조제와유사한형태로자가중합형레진 (Ortho-Jet TM Acrylic, Lang dental Co., USA) 을이용한실험모형을제작하였다. 직경 3.75mm, 길이10mm인두개의Bra nemark 임플랜트 (SDCA 01

Crt114( ).hwp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전용]

<313920C0CCB1E2BFF82E687770>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歯kjmh2004v13n1.PDF

A 617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hwp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ORIGINAL ARTICLE Locator attachment 를이용한하악임플란트유지형피개의치의임상적평가 이주형 손동석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치과 연구목적 : 현대의학의발달로평균수명이증가

(JH)

ORIGINAL ARTICLE 임플란트드라이버의호환성에대한연구 김민수 1 이종혁 2 * 단국대학교 1 대학원구강보건학과, 2 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A study on the compatibi

0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untitled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서론 34 2

CASE REPORT 임플란트지지서베이드금관을이용한하악의가철성국소의치수복증례 박재호 민병귀 양홍서 박찬 박상원 *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보철학교실 Clinical application of

DBPIA-NURIMEDIA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28C3D6C1BE29312DC0CCBDC2BEC62E687770>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2-1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정의 2-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특징 2-3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시장 현황 2-4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사례 연구 2-5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

1..

<BABBB9AE2E68777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공학박사학위 논문 운영 중 터널확대 굴착시 지반거동 특성분석 및 프로텍터 설계 Ground Behavior Analysis and Protector Design during the Enlargement of a Tunnel in Operation 2011년 2월 인하대

untitled

ePapyrus PDF Document

잔존치아의 치아동요, 치석 및 치태침착과 염증소견이 관찰되 었다(Fig. 1). 치주적으로 예후가 불량한 상하악의 모든 잔존치아를 발거 하고 상하악 임시의치를 제작하였고 환자는 가철성 틀니는 원 하지 않았으므로 상하악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고정성 보철 물을 제작하기로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I 서론 임플란트 fixture body design은크게 straight and tapered type으로구분되고있으며술자의선호도및임상적상황에따라선택되고있다. 최근에는식립의용이성, 우수한초기고정, 발치와즉시식립시장점등으로인해 tapered body implant의사용

PJTROHMPCJPS.hwp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332E20C3D6BCBAC8A320BCB1BBFDB4D42E687770>

ISSN eissn Case Report Full mouth rehabilitation utilizing implant-assisted removab

ISSN Implantology 2012; 16(2): 68~73 Self Adjustable 자성어태치먼트를이용하여하악임플란트오버덴처에즉시부하를가한증례 박수정, 안수진, 이성복, 이석원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강동경희대학교병원생체재료보철학교실 Ma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DBPIA-NURIMEDIA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ISSN Implantology 2014; 18(2): 140~146 디지털 3 차원영상을이용한무피판절개임플란트식립 : 증례보고 백장현 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Flapless Implant Placement with Digital Thr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11¹ÚÇý·É

Transcription:

대한치과보철학회지:Vol. 44, No. 2, 2006 수종의 임플랜트 시스템에 따른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유성현 박원희 박주진 이영수 Ⅰ. 서 론 임플랜트 지지 보철물의 임상적 효용성이 증가함 에 따라 현재 다양한 치과 보철 치료에 이용되고 있 다. 1,2) 그러나 임플랜트 보철물이 구강내에서 장기간 성공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 물질이 생 체친화성을 가져야하고 더불어 교합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임플랜트 주위 지지골과 보철물의 하중 지지 능력 한계 내에서 적절히 분산될 수 있도록 보철물 을 설계 하는 것이 생역학적 측면에서 중요하다. 또 한 임플랜트의 구강내 위치, 보철물의 형태 및 재료 도 임플랜트 보철물의 구강내에서의 안정성과 장기 간의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임플랜트 보철물의 실패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서 발생될 수 있다. 그 중 교합력에 의해 임플랜트와 주위 지지조직에 발생되는 응력은 골유착의 성공 여 부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저작 기능시 교합력은 임플 랜트를 통해 골로 전달되므로 임플랜트를 매식한 후 교합하중에 대한 응력분산과 이에 대한 골의 재형성 과 같은 생체내의 반응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골유착된 임플랜트는 치조골과 직접 접 촉하게 되고 미세한 움직임 밖에 허용하지 않으므로 임플랜트 주위 치조골의 과도한 응력 집중은 골흡수 를 야기하게 되고 이것은 뒤이은 임플랜트 보철의 실패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랜트의 성공률 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변의 골흡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주위 지지조직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5)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근형 임플랜 트는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방식, 고정체 외형 등 이 매우 다양하다. 그 중 외부 육각 연결 방식의 임 플랜트는 이용시 나사풀림 같은 임상적 문제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6-8)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에는 내부 연결 방식의 임플랜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임플랜트 고정체는 전 길이를 통해서 평행하거나 원통형의 형태(cylinder shape)를 갖는다. 그러나 최근에는 발치 후 즉시 식립시 초기 고정이 우수하고 식립이 용이한 첨형(tapered shape)의 형태를 갖는 고정체가 많이 이용되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 연결 방식과 첨형의 고정체 형태를 가진 임플랜트 하방 지지조직의 응력분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더욱 많이 요구되고 있는 상태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1소구치 부위에 고정체의 외형과 지대주 연결방식이 서로 다른 3가 지 임플랜트 고정체를 식립 후 보철 수복한 유한요 소 모델을 만든 후 2가지 하중조건을 가하여 임플랜 트 주위 지지조직의 응력 분포 양상을 유한요소분석 을 통해 비교하고자 한다. Ⅱ. 연구재료 및 방법 1. 유한요소 모델 형성 본 연구에서는 하악골의 제1소구치 부위에 서로 207

다른 외형 및 구조를 지닌 3종류의 임플랜트를 식립 하여 보철 수복한 경우를 연구 모델로 하였다. 3종류 의 임플랜트는 Bra nemark system(nobel Biocare, Gothenberg, Sweden), Camlog system(altatec, Wurmberg, Germany), Frialit-2 system(friadent AG, Mannheim, Germany)의 고정체와 UCLA 지 대주를 각각 이용하였다. 각각의 모델은 임플랜트 고정체에 지대주를 지대주 나사로 연결한 형태로 했 으며 보철물에 이용되는 재료로는 미국치과의사회 (ADA) 규격 제3형 금합금의 물성치를 이용하였다. 상부 보철물은 협설 폭경 7.5 mm, 교합 치은간 거리 8.0 mm인 하악 제1소구치 형태로 설계하였고 교합 면의 형태는 유한요소 모델의 특성상 단순화시켰다. 하악골 50 mm를 발췌, 1 mm 간격의 두께로 자른 다음, 이를 이차원 구조 재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 용하였다. 이 절단면을 모눈종이 상에서 사도(tracing)하고 미리 부여한 좌표 원점을 기준으로 좌표 값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하악골의 이차원 유한요 소 분석의 기초자료를 만들었다. 초기 모델링은 workstation 상에서 모델링 전문 프로그램인 IronCad(Version 5.0, IronCad, Inc., USA)를 사용 하여 표면작업을 하였고, 유한요소격자(mesh)는 전 문 프로그램인 Nisadisplay (Version 11.0, EMRC, Inc., USA)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선형적 구조 해석은 상업용 유한요소 코드인 Nisadisplay (Version 11.0, EMRC, Inc., USA) 유한요소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orkstation 상에서 해석하였다. 모델들은 피질골, 해면골, 고정체, 지대주, 지대주 나사, 치관부, 레진의 일곱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각 모델별 세부 수치는 Fig. 1과 같다. 2. 하중조건 하중은 소구치의 평균 저작압(288N)으로 9-11) 교합 면의 중심와에 수직하중(Load 1)과 협측교두에 협 측에서 설측방향으로 30 의 경사하중을(Load 2) 가하여 각 구성부와 지지조직에서 발생하는 응력의 변화와 크기를 계측하였다. Table I. Type of models Fixture Abutment Diameter Length Bra nemark UCLA(AurAdapt) 3.75 mm 13 mm Camlog UCLA 3.8 mm 13 mm Frialit-2 UCLA(Aurobase) 3.8 mm 13 mm Bra nemark Camlog Frialit-2 Fig. 1. Solid model. Fig. 2. Finite Element Model. 208

Table II. The number of element & nodes Element Node Bra nemark 10,874 11,101 Camlog 11,810 12,098 Frialit-2 12,002 12,260 L1 30 L2 설 협 Fig. 3. Loading condition. Table III. Material properties Young s modulus(mpa) Poisson s ratio Cortical bone 13,700 0.3 Cancellous bone 1,370 0.3 Titanium 102,195 0.35 Composite resin 12,500 0.35 Gold screw 99,300 0.35 Gold crown 100,000 0.35 3. 물성치와 경계조건 재료의 물성치인 탄성계수(E, Young s Modulus) 와 프와송비(υ, Poisson s Ratio)는 선학들의 보고를 참고로 하였다. 12-15) 모형의 물리적 특성은 균질성(homogeneity), 등방 성(isotropy), 선형탄성(linear elasticity)으로 가정 하였다. 또한 경계조건으로는 Ux, Uy 방향의 자유도 (degree of freedom)는 모두 구속 하였고, 보철물과 임플랜트 및 주변 골조직에서는 변형을 허용하였다. 분석하였다. 결과는 전체응력의 분포상태와 최대응 력 집중부를 식별하기 위해 유효응력을 기준으로 응 력의 크기에 따라 색도의 변화를 준 응력등고선식 (stress contour plot)을 이용하였다. Ⅲ. 연구성적 각각의 유한요소 모델에서 수직하중과 경사하중을 가한 경우 지지골과 각 구성부에서 발생한 유효응력 은 다음과 같다. 4. 응력분석 1. 모형 전체의 응력 분석 유한요소분석 프로그램인 Nisadisplay(Version 11.0, EMRC, Inc., USA)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여러 가지 응력값 중에서 유효응력(Von-Mises stress) 을 기준으로 세가지 하중조건 하에서 각 실험모형별 로 지지골, 고정체, 보철물, 지대주 나사에서 발생되 는 유효응력 분포와 최대 유효응력의 크기를 비교 수직하중이 중심와에 가해진 하중조건 L1에서는 3가지 모델 모두에서 임플랜트 고정체의 장축을 따 라 응력이 고르게 분산되는 양상을 보이며, 경사하 중이 교두정에 가해진 L2의 경우에서는 높은 응력 이 편측에 치우쳐 집중되므로서 좌우측에 인장력과 압축력이 많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치경 209

Table IV.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of models (Unit:MPa) Bra nemark Camlog Frialit-2 L1 L2 L1 L2 L1 L2 Bone 243.3 984.7 247.5 977.0 278.2 1020.5 Fixture 113.3 369.8 82.45 187.3 87.93 198.3 Crown 889.7 1114.6 961.2 1053.8 1016.8 996.6 Abutment 113.3 229.0 115.1 214.1 130.7 227.7 Abut. screw 109.3 266.2 101.1 193.7 105.0 190.0 Total body 889.7 1146.6 961.2 1053.8 1016.8 1020.5 Stress values (MPa) 1200 1000 800 600 400 200 0 Branemark Camlog Frialit-2 Models Fig. 4.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of total body. 부에 대체로 높은 응력이 집중되었다. L1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Bra nemark, Camlog, Frialit-2 순으로 L2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Frialit-2, Camlog, Bra nemark 순으로 응력이 점점 커지는 결 과를 나타내었다. 2. 각 구성부의 응력분석 Load1 Load2 1) 지지골에서의 유효응력 지지골에서의 응력양상은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모 두에서 지지골 상부인 치밀골에 높은 하중이 집중되 며 하부 해면골에서는 응력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 또한 굽힘력이 걸리는 하중조건 L2의 경우에는 편 측으로 높은 응력이 집중되고 있다. L1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Bra nemark, Camlog, Frialit-2 순으로 L2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Camlog, Bra nemark, Frialit-2 순으로 응력이 점점 커지는 결 과를 나타내었다. 2) 고정체에서의 유효응력 고정체에서의 응력양상은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모 두에서 치밀골과 접촉되는 고정체 상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며 또한 굽힘력이 걸리는 하중 조건 L2의 경우에는 편측으로 높은 응력이 집중되 고있다. L1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Camlog, Frialit-2, Bra nemark 순으로 L2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Camlog, Frialit-2, Bra nemark 순으로 응력이 점점 커지는 결 과를 나타내었다. 3) 치관부에서의 유효응력 치관부에서의 응력양상은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모 두에서 하중이 가해진 부위에 가장 큰 응력이 집중 되며 아울러 고정체와 연결되는 치관부의 경부에 비 교적 큰 응력이 집중되고 있다. L1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Bra nemark, Camlog, Frialit-2 순으로 L2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Frialit-2, Camlog, Bra nemark 순으로 응력이 점점 커지는 결 과를 나타내었다. 4) 지대주 나사에서의 유효응력 지대주 나사에서의 응력양상은 나사의 중간 부분 에 응력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굽힘력이 걸리는 하중조건 L2의 경우에 나사의 중앙 부위에 양측으로 높은 응력이 집중되고 있다. L1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Camlog, Frialit-2, Bra nemark 순으로 L2의 하중조건일 경우는 Frialit-2, Camlog, Bra nemark 순으로 응력이 점점 커지는 결 과를 나타내었다. 210

Ⅳ. 총괄 및 고찰 임플랜트 보철물의 장기적 성공을 위해서는 가해 진 교합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되고 지지조직에 발 생되는 응력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응력에 관한 생역학적 연구는 구강내에서 직접 시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미미하였으나 유한 요소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유한요소법은 구조물의 물리적 성질을 대입한 후 기계적인 이상화를 시킨 뒤 각 요소의 변형과 응력 성분을 구하는 것으로 실험대상물이 복잡한 기하학 적 구조나 다양한 종류의 재료들로 이루어졌어도 그 조건들을 실험조건에 포함시킬 수 있고, 실험 대상 물의 전체영역에 대한 응력의 분포를 알수있어여 러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치의학 분야 의 응력 분석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16-23)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임플랜트는 다양한 방식 으로 분류되고 나누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인 분류 방법으로 고정체의 형태,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 방식, 표면처리 방법, 수술 횟수에 따른 분류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임플랜트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크게 외부연결방식과 내부연결방식 으로 나누어 진다. 외부 육각 연결 방식은 Jemt 등 7,8), Walton 등 24)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나사 파절 및 나 사 풀림과 같은 문제점이 6 48%정도 보고 되고 있 다. 이런 외부 육각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결형태가 개발되었는데 내부 육각 형태, internal taper(morse taper), interlocking 형태 등 이 있다. 내부 연결 방식은 수직고경을 줄이며, 측방 력을 더 깊게 분산시키고, 세균 침투 봉쇄의 역할, 그리고 심미적으로 수복물의 경계를 임플랜트 수준 으로 낮출 수 있다. 25) 임플랜트 고정체의 외형은 크게 thread screw type, press-fit cylinder type, hollow basket type 이 기본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다시 직선 형, 첨형, 계단식 첨형 등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초 기에는 전체적으로 평행한 외형을 가지는 직선형 형 태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초기 고정, 발치 후 즉시 식립, 식립의 용이성 등의 이유로 첨형 및 계단식 첨형 형태의 고정체 형태가 임상에 많이 이 용되고 있다. 보철물에 가해진 외력이 임플랜트 주위골에 골고 루 분산되면 치조골의 골개조를 촉진시키고 그럼으 로써 변연골의 흡수나 임플랜트 보철물의 헐거워짐 이나 파절을 막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방식 및 고정체 외형을 가진 3가지의 임플랜트 시스템을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어느 것이 응력 분산에 있어 유리한지를 연구했다. Bra nemark(nobel Biocare, Gothenberg, Sweden, 3.75 13 mm), Camlog(Altatec, Germany, 3.8 13 mm), Frialit-2 system(friadent AG, Germany, 3.8 13 mm)의 3가지 시스템의 임플 랜트 고정체가 하악 제1소구치 부위에 식립되고 모 두 UCLA abutment와 제3형 금합금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수복된 형태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 다. 그리고 소구치의 평균 저작압인 288N을 중심와 에 수직하중을 가한 경우(Load 1), 협측교두에 30 의 경사하중을 가한 경우(Load 2)의 2가지 하중조 건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3가지 임플랜트 시스템 모두에서 측방 하중 하에 서의 유효응력이 수직 하중 하에서의 유효응력보다 2배 이상 증가해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임플 랜트 지지 보철물에 작용되는 교합력이 비수직 하중 으로 작용하면 굽힘 모멘트를 야기하여 고정체 및 주위골에 높은 응력을 발생시키며 생물학적으로 불 리한 반응을 야기한다 26) 는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수직하중이 중심와에 가해진 경우는 고정체 및 주위 골에 응력이 고르게 분산되는 양상을 보이나, 협측 교두에 30 경사하중이 가해진 경우에서는 큰 굽힘력 이 작용해 높은 인장력과 압축력이 양측에 치우쳐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치경부에 대체로 높은 응력이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능 하다면 임플랜트 보철에서의 교합 하중의 방향이 고 정체의 장축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생역학적으로 유 리하리라고 생각된다. 지지골에서의 응력양상은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고 정체 상부와 골 접촉을 이루는 피질골에 응력이 집 중되는 양상을 보이며 그 하부 해면골에서는 그리 큰 응력이 집중되지 않음을볼수있는데, 이는Lum 등 27,28) 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Mish 등 29) 은 임플랜트 수복에서 대부분의 응력은 피질골에 집 211

중되며 초기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있어 피질골의 영 향이 대부분이라고 하였고, 또한 해면골에 나타난 응력은 피질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십분의 일 정도 로 낮게 나타나 그 응력치는 물리적으로나 임상적으 로도 별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rialit-2 가 수직하중과 경사하중 모 두 지지골에서의 응력이 Bra nemark 이나 Camlog 보 다 높았다. 고정체에서의 응력양상은 중심와에 수직하중을 가 한 Load 1에서는 시스템 별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굽힘력이 걸리는 Load 2의 경우에는 Bra nemark 이 Camlog, Frialit-2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는데, 이것은 연결방식의 차이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Miahael 등 30) 도내부연결방 식이 외부육각 연결방식에 비해 60%정도 굽힘 강도 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3가지 시스템을 비교해 보았을 때 중 심와에 수직하중을 가한 Load 1에서는 Bra nemark 시스템이 최대 유효응력이 가장 낮았고, 협측교두에 수직하중을 가한 Load 2에서는 Frialit-2와 Camlog 시스템이 Bra nemark 보다 최대 유효응력이 낮게 나왔다. 이것은 힘이 장축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수 직하중의 경우 외부 연결 방식의 직선형 고정체 모 양을 가지는 Bra nemark system이 유리한 것으로 보 이며, 굽힘력이 걸리는 경사하중 하에서는 내부연결 방식을 가지며 첨형의 고정체 모양을 가지는 Camlog과 Frialit-2 system이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항목을 단일화하지 못하고 수 치를 통일시켜 비교하지 못하여 이것이 결과에 약간 의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비교 항 목을 단일화하고 3차원 모델을 통한 실험에 의해 좀 더 정확한 결론을 얻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하악 제1소구치 부위에 서로 다른 3가 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 수복한 형태를 유한요소 법을 이용하여 응력분포 양상을 비교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임플랜트 시스템에서 수직하중 보다는 경사 하중에서 치관부, 임플랜트 고정체, 지지골에서 의 전체적 최대유효응력이 더 컸다. 2. 하중조건 및 시스템의 종류에 상관없이 임플랜트 고정체 상부와 접촉하는 피질골에 높은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3. 전체적 최대유효응력은 수직하중 하에서는 외부 연결방식의 직선형 형태를 가지는 Bra nemark 시스템이 내부연결 방식의 첨형 형태를 가지는 Camlog 및 Frialit-2 시스템보다 작았고, 경사하중 하에서는 Camlog 및 Frialit-2 시스템이 Bra nemark 시스템보다 작았다. 참고문헌 1. Bra nemark PI. Osseointegration and its experimental background. J Prosthet Dent 1983;50:399-410. 2. Adell R, Lekholm U, Bra nemark PI. A 15 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edentulous jaw. J Oral Surg 1981;10:387. 3. Brunski JB.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dental implant design.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3:85-97. 4. Sones AD. Complication with osseointegrated implants. J Prosthet Dent 1989; 62:581-585. 5. Weinberg LA, Kruger B.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when combining toothsupported prosthe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8:22-27. 6. Zarb GA, Schmitt A. The longitudinal clinical effectiveness of osseointegrated implants : The Toronto study, Part III. Problems and complications encountered. J Prosthet Dent 1990;64:185-90. 7. Jemt T, Linden B, Lekhlom U. Failures and complications in consecutively placed fixed partial prostheses supported by Bra nemark implants : From prosthetic treatment to first annual check up.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40-4. 8. Jemt T, Lekhlom U. Oral implant treatment 212

in posterior partially edentulous jaw : A 5 year follow-up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635-40. 9. Robert G.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9th ed: Mosby 1993:54. 10. Philips RW. Skinner 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8th ed: WB Saunders 1982:55. 11. Kenneth J. Phillips science of dental materials, 10th ed: WB Saunders 1996:66. 12. Cook SD, Weinstein AM, Klavitter JJ.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porus rooted Co-Cr-Mo alloy dental implant. J Dent Res 1994;61:25-29. 13. Katona TR, Winkler MM. Stress analysis of bulk-filled C1V light-cured composite restoration. J Dent Res 1994;73:1470-1477. 14. Ko HJ, Chung CH.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es induced by osseointegrated prosthesis with or without connection between natural tooth and osseointegrated abutment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1;29:147-160. 15. Kim DW, Kim YS. A study on the osseointegrated prosthesis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1;29:167-213. 16. Kivanc A, Haldum 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residual bone angulation o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mandibular posterior edentulism part II: 3-D finite element analysis. Implant Dent 2001; 10:238-244. 17. Giulio M, Massimo L, Paolo P.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wo anchorage system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369-376. 18. Atilla S.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of the effect of superstructure material on stress distribution in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t J Prosthodont 1997;10:19-27. 19. George P, Phophi K, Stephen C.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distribution around single tooth implants as a function of bony support, prosthesis type, and loading during function. J Prosthet Dent 1996;76:633-640. 20. Atilla S, Sungur G.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cantilever and implant length on stress distribution in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J Prosthet Dent 1996;76:165-169. 21. Thomas B, Matty FA, Frank P.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efficacy of finite element modeling to dental implant systems. J Oral Implantol 1996;22:104-110. 22. Clelland NL, Ismail YH, Zaki H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in and around the screw-vent impla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391-398. 23. Rieger MR, Mayberry M, Brose MO. Finite element analysis of six endosseous implants. J Prosthet Dent 1990;63:671-676. 24. Walton JN, MacEntee MI. A prospective study on the maintenance of implant prostheses in private practice. Int J Prosthodont 1997;10:453-458. 25. Binon PP. Implants and Components: Entering the New Millennium.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76-94. 26. Rangert B, Krogh PHJ, Langer B. Bending overload and implant fracture: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5;10:326-334. 27. Lum LB, Osier JF. Load transfer from endosteal implants to supporting bone: An analysis using statics. Part one: Horizontal loading. J Oral Implantol 1992;18:343-348. 213

28. Lum LB, Osier JF. Load transfer from endosteal implants to supporting bone: An analysis using statics. Part two: Axial loading. J Oral Implantol 1992;18:349-353. 29. Carl E. Misch.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2nd ed. Mosby 1999. 30. Michael R Norton. An in vitro evaluation of the strength of an internal conical interface compared to a butt joint interface in implant design. Clin Oral Impl Res 1997;8:290-298. Reprint request to: Won-Hee Park, D.D.S., M.S., Ph.D.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17, Hangdang-Dong, Sungdong-Gu, Seoul, 133-792, Korea whpark@hanyang.ac.kr 214

사진부도 Fig. 5. Bra nemark system under L1. Fig. 6. Bra nemark system under L2. Fig. 7. Camlog system under L1. Fig. 8. Camlog system under L2. Fig. 9. Frialit-2 system under L1. Fig. 10. Frialit-2 system under L2. 215

ABSTRACT A STUDY ON THE VARIOUS IMPLANT SYSTEMS USING THE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Seong-Hyun Yu, D.D.S., M.S., Won-Hee Park, D.D.S., M.S., Ph.D., Ju-Jin Park, D.D.S., M.S., Young-Soo Lee, D.D.S., M.S., Ph.D.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tatement of Problem: To conduct a successful function of implant prosthesis in oral cavity for a long time, it is important that not only structure materials must have the biocompatibility, but also the prosthesis must be designed for the stress, which is occurred in occlusion, to scatter adequately within the limitation of alveolar bone around implant and bio-capacity of load support. Now implant which is used in clinical part has a very various shapes, recently, the fixture that has tapered form of internal connection is often selected. However, the stress analysis of fixtures still requires more studie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ss analysis of the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the different implant system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we make the finite element models that three type implant fixture; Bra nemark, Camlog, Frialit-2 were placed in the area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and prosthesis fabricated, which we compared with stress distribution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under two loading condition. Conclus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 all implant system, oblique loading of maximum Von mises stress of implant, alveolar bone and crown is higher than vertical loading of those. 2. Regardless of loading conditions and the type of system, cortical bone which contacts with implant fixture top area has high stress, and cancellous bone has a little stress. 3. Under the vertical loading, maximum Von mises stress of Bra nemark system with external connection type and tapered form is lower than Camlog and Frialit-2 system with internal connection type and tapered form, but under oblique loading Camlog and Frialit-2 system is lower than Bra nemark system. Key words: Implant prosthesis, Fixture shape, Abutment connection type,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Von mises stress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