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경영-2003-53 연구보고서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 방안 연구 2003 1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제 출 문 보건복지부장관 귀하 귀 부에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의뢰하신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 효율화 방안 연구 를 완료하고 그 결과로 본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03년 10월 24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획관리본부장 박 무 삼( 代 )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연구책임자 : 이윤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수석연구원) 연 구 자 : 박종애(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원) 송태균(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원) 이근찬(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원) 이신호(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문위원) 정두채(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문위원) 이종수(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차 례 요약문 / 1 제1장 연구개요 / 43 1. 연구배경 43 2. 연구목적 45 3. 연구내용 46 4. 연구방법 및 수행체계 48 제2장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 53 1. 조사 및 분석대상 53 2. 조사방법 53 3. 한의원 경영실태 분석 54 4. 종합 85 제3장 한방병원 경영실태조사 / 87 1. 조사 및 분석대상 87 2. 조사내용 90 3. 조사방법 93 4. 한방병원 전반의 경영실태분석 94 5. 한방병원 유형별 특성별 경영실태 분석 113 6. 경영수지 분석 155 7. 적정균형모형 분석 158 8. 종합 163 제4장 한방의료기관 운영체계 분석 / 166 1. 운영체계 분석 방법 166 2. 한방병원 운영체계 분석 169 3. 한의원 운영체계 분석 195 4. 한방의료기관 운영체계 개선방안 221 ⅰ
제5장 한방전공의 수련실태분석 및 운영개선 방안 / 226 1. 한의사 양성 및 면허등록 현황 분석 226 2. 한방전공의 수련제도 고찰 및 수련기관 실태 분석 229 3. 과목별 적정 전공의 수 추계 270 4. 현행 한방병원 전공의 수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71 5. 결론 276 제6장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 278 1. 한방의료기관의 SWOT 278 2.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281 제7장 연구결과 종합 및 정책적 제언 / 286 1. 연구결과 종합 286 2. 정책적 제언 291 참고문헌 / 297 부록 / 299 1. 한방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정개정(안) 301 2. 부대서비스 위탁관리 관련자료 314 3. 한방병원 경영실태분석을 위한 자료조사표 319 4. 한의원 경영실태분석을 위한 자료조사표(유형1) 335 5. 한의원 경영실태분석을 위한 자료조사표(유형2) 338 6. 한방병원 운영현황 조사표 353 7. 한의원 운영현황 조사표 368 ⅱ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표차례 표 1-1 연도별 요양기관 현황 44 표 2-1 분석대상 한의원 수 54 표 2-2 분석대상 한의원의 지역 개원연수별 현황 54 표 2-3 지역별 한의원 수 55 표 2-4 지역별 보험가입자 수 56 표 2-5 전체 한의원의 의료인력 현황 58 표 2-6 한의원의 평균인력 현황 59 표 2-7 한의원의 건강보험 청구현황 및 요양급여비용 60 표 2-8 지역별 한의원당 건당요양급여비용 61 표 2-9 분석대상 한의원의 기관당 급여종류별 평균환자수 63 표 2-10 소재지, 개원연수, 급여종류별 환자수(2002년 기준) 64 표 2-11 한의원당 지역별 급여종류별 환자수 65 표 2-12 한의원당 개원연수별 환자수 65 표 2-13 한의원당 환자유형별, 지역별, 개원연수별 수입구조 66 표 2-14 한의원당 환자유형별 수입구조 67 표 2-15 한의원당 환자유형별, 지역별, 개원연수별 수입구조 68 표 2-16 한의원당 진료행위 구성에 따른 수입구조 68 표 2-17 건강보험환자의 수입구조(2002년 1월) 70 표 2-18 급여 비급여수입의 구성비(2002년) 71 표 2-19 한의원당 원가율 72 표 2-20 한의원의 지역, 개원연수별 원가율 72 표 2-21 개원연수별, 지역별 평균비용 73 표 2-22 한의원당 소재지별 비용구조 74 표 2-23 한의원당 개원연수별 비용구조 74 표 2-24 한의원당 인건비 현황 75 표 2-25 한의원당 재료비 현황 76 표 2-26 한의원당 관리비 현황 77 표 2-27 한의원의 의료수익순이익율 78 ⅲ
표 2-28 한의원의 소재지별, 개원연수별 의료수익순이익율 78 표 2-29 한의원당 의료수익순이익율 수준에 따른 수입구조 79 표 2-30 한의원당 의료수익순이익율 수준에 따른 환자구조 79 표 2-31 한의원당 의료수익순이익율 수준에 따른 비용구조 80 표 2-32 한의원의 고정비 및 환자1인당 의료수익 및 변동비 82 표 2-33 한의원의 환자1인당 비목별 비용구조 83 표 2-34 한의원의 의료수익 손익분기점 분석 결과 84 표 2-35 한의원의 환자수 손익분기점 분석 결과 85 표 2-36 한의원의 경영실태분석 결과 종합 86 표 3-1 지역별 개원연수별 분포 87 표 3-2 2001년도 경영실태분석대상 한방병원 분포 88 표 3-3 2002년도 경영실태분석대상 한방병원 분포(2002 전국병원경영실태조사 협조병원) 89 표 3-4 2002년도 경영실태분석대상 한방병원 분포(한방병원 경영실태 분석을 위한 자료조사 협조병원) 89 표 3-5 한방병원의 일반현황 조사내용 90 표 3-6 한방병원 환자구조 분석을 위한 조사내용 91 표 3-7 한방병원 수입구조 분석을 위한 조사내용 92 표 3-8 한방병원 비용구조 분석을 위한 조사내용 92 표 3-9 한방병원별 급여의료행위 빈도수 자료 구성내역 93 표 3-10 타인자본의존도 95 표 3-11 유동비율 96 표 3-12 고정장기적합율 96 표 3-13 총자본회전율 97 표 3-14 의료미수금회전율 97 표 3-15 입원수익증가율 98 표 3-16 외래수익증가율 98 표 3-17 입원환자증가율 99 표 3-18 외래환자증가율 99 표 3-19 조정환자 1인당 부가가치 100 표 3-20 병상당 월평균 부가가치 100 표 3-21 인건비투자효율 101 ⅳ
표 3-22 전문의 1인당 월평균 의료수익 101 표 3-23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102 표 3-24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102 표 3-25 100병상당 의료손익 103 표 3-26 총자본의료이익율 103 표 3-27 의료수익의료이익율 104 표 3-28 의료수익순이익율 104 표 3-29 의료원가비율 105 표 3-30 인건비비율 105 표 3-31 재료비비율 106 표 3-32 관리비비율 106 표 3-33 외래환자 1인1일당 평균진료비 107 표 3-34 입원환자 1인1일당 평균진료비 107 표 3-35 외래환자입원률 108 표 3-36 병상이용률 108 표 3-37 병상회전율 109 표 3-38 100병상당 일평균 외래환자수 109 표 3-39 외래환자종류별 구성비(건강보험환자) 110 표 3-40 외래환자종류별 구성비(일반 및 기타환자) 110 표 3-41 입원환자종류별 구성비(건강보험환자) 110 표 3-42 입원환자종류별 구성비(일반 및 기타환자) 111 표 3-43 직종별 100병상당 인력(전체비교) 112 표 3-44 지역별 분포 114 표 3-45 한방병원의 개원연수별 분포(2002년 1월 1일 기준) 114 표 3-46 지역별 개원연수별 수련 한방병원의 분포 115 표 3-47 수련유형별 지역별 개원연수별 한방병원의 분포 116 표 3-48 유형별 특성별 한의사 인력현황 117 표 3-49 유형별 특성별 진료지원인력 현황(한방병원당 인원수) 118 표 3-50 유형별 특성별 외래/입원 환자수 120 표 3-51 급여종류별 외래연환자수 121 표 3-52 급여종류별 100병상당 외래연환자수 123 표 3-53 급여종류별 100병상당 입원실환자수 124 ⅴ
표 3-54 급여종류별 100병상당 입원연환자수 125 표 3-55 진료과별 100병상당 외래연환자수 126 표 3-56 진료과별 100병상당 입원연환자수 128 표 3-57 유형별 특성별 100병상당 총의료사업수익 131 표 3-58 급여종류별 100병상당 외래수익 133 표 3-59 급여종류별 100병상당 입원수익 134 표 3-60 급여종류별 100병상당 의료수익 135 표 3-61 진료과별 100병상당 외래수익 137 표 3-62 진료과별 100병상당 입원수익 139 표 3-63 수가종목별 100병상당 외래수익 142 표 3-64 수가종목별 100병상당 입원수익 144 표 3-65 건강보험 요양급여 진료행위 유형별 월평균 수입 146 표 3-66 건강보험 요양급여 진료행위 유형별(코드별) 월평균 수입 147 표 3-67 평균진료비 수준 149 표 3-68 100병상당 의료사업비용(인건비, 재료비, 관리비, 기타 등) 151 표 3-69 의료사업비용 구성요소별 비율 152 표 3-70 한방병원 경영실태분석결과 종합 154 표 3-71 유형별 특성별 수익성지표 156 표 3-72 경영수지수준별 의료수익 비용수준 비교 157 표 3-73 경영수지수준별 의료비용 구조 158 표 3-74 100병상당 손익분기점 161 표 3-75 한방병원의 고정비, 조정환자 1인당 의료수익 및 변동비 분석결과 162 표 3-76 한방병원의 경영실태 및 적정균형모형 분석결과 종합 164 표 4-1 한방병원 조사 응답률 170 표 4-2 경쟁 현황(한방병원) 170 표 4-3 경쟁 강점(한방병원) 171 표 4-4 경쟁 약점(한방병원) 172 표 4-5 한약재 주요 구입경로(한방병원) 173 표 4-6 한약재 구입경로별 구입비율(한방병원) 173 표 4-7 진료시간(한방병원) 174 표 4-8 휴일 진료 실시기관 현황(한방병원) 174 표 4-9 지역별 외래진료 개시 및 종료 시간(한방병원) 175 ⅵ
표 4-10 수련형태별 외래진료 개시 및 종료 시간(한방병원) 175 표 4-11 주중 특정요인 야간진료 실시 현황(한방병원) 176 표 4-12 진료예약제 실시 병원 현황(한방병원) 176 표 4-13 중점 진료 활동(한방병원) 177 표 4-14 주요 홍보 방안(한방병원) 177 표 4-15 자금 및 지출 관리 현황(한방병원) 178 표 4-16 퇴직급여충당금 설정 현황(한방병원) 178 표 4-17 단기자금 조달처(한방병원) 179 표 4-18 분포지역별 한방병원의 자금 상황(한방병원) 179 표 4-19 수련형태별 한방병원의 자금 상황(한방병원) 180 표 4-20 자금상황 악화 요인(한방병원) 180 표 4-21 단기성 유동 자금의 확보원(한방병원) 181 표 4-22 회계관리 현황(한방병원) 181 표 4-23 신규 한의사 채용방법(한방병원) 182 표 4-24 한의사 채용 시 애로사항(한방병원) 182 표 4-25 한의사 이직 사유(한방병원) 183 표 4-26 직원 채용방법(한방병원) 183 표 4-27 정기적인 인사고과 실시 현황(한방병원) 184 표 4-28 정기적 승진 승급제도 현황(한방병원) 184 표 4-29 급여 기준 설정 및 집행 여부(한방병원) 184 표 4-30 호봉제도 운영 현황(한방병원) 185 표 4-31 직종별 성과급제 도입 현황(한방병원) 186 표 4-32 직원 교육방안(한방병원) 186 표 4-33 인터넷 접속 현황(한방병원) 187 표 4-34 전산화 업무 영역(한방병원) 187 표 4-35 외주 및 위탁 관리 현황(한방병원) 188 표 4-36 개원지역별 시설 및 의료장비 구비 현황 평가(한방병원) 189 표 4-37 수련형태별 시설 및 의료장비 구비 현황 평가(한방병원) 189 표 4-38 개원지역별 시설 및 장비 투자 계획 : 5천만원이상 (한방병원) 190 표 4-39 수련형태별 시설 및 장비 투자 계획 : 5천만원이상 (한방병원) 190 표 4-40 병원의 부문 구성과 기능 191 표 4-41 한의원 조사 응답률 196 ⅶ
표 4-42 응답자 현황 (한의원) 196 표 4-43 직원 현황 (한의원) 197 표 4-44 진료권 현황(한의원) 197 표 4-45 개원형태별 진료권 현황(한의원) 198 표 4-46 개원지역별 경쟁 현황(한의원) 198 표 4-47 개원연수별 경쟁 현황(한의원) 199 표 4-48 한약재 주요 구입경로(한의원) 199 표 4-49 개원지역별 한약재 구입경로별 구입비율(한의원) 200 표 4-50 개원연수별 한약재 구입경로별 구입비율(한의원) 200 표 4-51 진료시간(한의원) 200 표 4-52 개원지역별 외래진료 개시 및 종료 시간(한의원) 201 표 4-53 개원연수별 외래진료 개시 및 종료 시간(한의원) 202 표 4-54 휴일 진료 실시기관 현황(한의원) 202 표 4-55 주중 특정요인 야간진료 실시 현황(한의원) 203 표 4-56 진료예약제 실시 병원 현황(한의원) 203 표 4-57 중점 진료 활동(한의원) 203 표 4-58 개원지역별 협진 의료기관 제도 도입 현황(한의원) 204 표 4-59 개원연수별 협진 의료기관 제도 도입 현황(한의원) 204 표 4-60 협진 의료기관 유형(한의원) 204 표 4-61 개원지역별 특성화 진료 실시 여부(한의원) 205 표 4-62 개원연수별 특성화 진료 실시 여부(한의원) 205 표 4-63 특성화 진료실시 분야(한의원) 206 표 4-64 주요 홍보 방안(한의원) 206 표 4-65 고객관리 현황(한의원) 207 표 4-66 홈페이지 개설 현황(한의원) 207 표 4-67 지역 봉사활동 내역(한의원) 208 표 4-68 퇴직급여충당금 설정 현황(한의원) 208 표 4-69 단기자금 조달처(한의원) 209 표 4-70 고정자산 구입 시 자금 조달원(한의원) 209 표 4-71 개원지역별 자금 상황(한의원) 210 표 4-72 개원연수별 자금 상황(한의원) 210 표 4-73 자금상황 악화 요인(한의원) 211 ⅷ
표 4-74 단기성 유동 자금의 확보원(한의원) 211 표 4-75 회계관리 현황(한의원) 212 표 4-76 직원 채용방법(한의원) 212 표 4-77 직종별 성과급제 도입 현황(한의원) 213 표 4-78 직원 교육방안(한의원) 213 표 4-79 전산화 업무 영역(한의원) 214 표 4-80 인터넷 접속 현황(한의원) 214 표 4-81 인터넷 접속 방식(한의원) 215 표 4-82 외주 및 위탁 관리 현황(한의원) 215 표 4-83 개원지역별 시설 및 의료장비 구비 현황 평가(한의원) 216 표 4-84 개원연수별 시설 및 의료장비 구비 현황 평가(한의원) 216 표 4-85 개원지역별 시설 및 장비 투자 계획 : 1천만원이상 (한의원) 217 표 4-86 개원연수별 시설 및 장비 투자 계획 : 1천만원이상 (한의원) 217 표 5-1 연도별 한의과대학 입학정원, 입학생 및 졸업생 수 227 표 5-2 한의과대학의 입학정원별 분포(2003년) 227 표 5-3 국내 등록한의사의 연령별 취업분야 현황(1995년 5월) 228 표 5-4 국내 한의사 면허등록 현황 229 표 5-5 기존의 교과과정에 대한 이수 여부의 설문실태조사 234 표 6-1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에 영향을 미치는 SWOT 278 표 6-2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281 표 7-1 한방의료기관 다발생 상위 10위 질병 및 비율 293 ⅸ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그림차례 그림 2-1 연도별 한의원 수 55 그림 2-2 지역별 한의원수 비율 56 그림 2-3 지역별 한의원당 환자수 57 그림 2-4 월별 청구현황 62 그림 2-5 분석대상 한의원의 급여종류별 환자구성비 63 그림 4-1 의료기관의 경영 프로세스 167 그림 4-2 가치사슬 모델 168 ⅹ
요 약 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요 약 문 3 요 약 문 1. 연구개요 1. 1 연구목표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보건의료환경 하에서 한방의료기관 경영의 효율화 및 합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방의료기관 경영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음 - 한방의료기관(한의원, 한방병원)의 경영수지 분석 - 한방의료기관의 경영수지에 긍정적 부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한방의료기관의 유형별 규모별 적정 균형모형 분석 - 한방전공의 수련실태 분석 및 운영개선 방안 개발 - 한방의료기관 운영의 문제점 및 효율화 방안 개발 - 한방의료 관련 정책적 제언 1.2 연구내용 1) 한방의료기관 경영수지 분석 의료기관 유형별/특성별 경영수지를 분석함 건강보험 급여행위를 대상으로 진료행태를 분석함 유형별/특성별 경영수지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요인을 분석함 경영수지 상태(상 중 하)별 비용 구성비를 분석함 2) 한방의료기관 적정균형모형 분석 유형별/특성별 손익분기점 분석
4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3) 한방의료기관 운영형태 및 체계 분석 환자 및 진료비 관리시스템, 인사 및 재무 프로세스, 마케팅관리, 물자 및 시설 관 리 등의 현황, 문제점의 실태를 분석하고 경영효율화 방안을 제시함 4) 한방 전공의 수련실태 분석 및 운영 개선방안 한의사 양성 및 면허등록 현황 분석 한방 전공의 수련제도 고찰 및 수련기관 실태 분석 적정 수련 전공의 수 추계(과목별) 현행 한방병원의 전공의 수련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5)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제시 한의원/한방병원의 SWOT분석 한의원/한방병원의 수익증대방안, 비용절감 방안, 운영시스템 개선방안을 개발함 6) 한방의료 기관의 건전한 육성 및 경영수지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 제도적 개선방안 제시 등 정책적 제언
요 약 문 5 1.3 연구방법 및 수행체계 환경분석 - 보건의료환경의 변화, 한방정책의 변화, 기타 외적/내적 환경의 변화 경영실태조사 대상영역 설정 한방의료기관 유형 구분 (개원연수, 소재지,규모) 진료유형 구분 수입 구성요소 비용 구성요소 조직운영 체계 한방 전공의 수련실태 전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문 가 자 문 조사대상 및 방법 선정 조사표개발 조사(1차, 2차, 3차) 결과입력 기존조사결과종합(2차자료분석) 전국병원경영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의원 경영수지 분석 (한국생산성본부, 안건회계 법인, 한국사회보장문제 연구소 등) 요양기관 종별 경영수지분석 자료에 의한 원가분석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분석 및 해석 유형별/특성별 경영수지 분석 유형별/특성별 영향요인 분석 운영현황분석(한방전공의 수련실태 포함) 유형별/특성별 적정균형모형 분석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도출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한방의료정책의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
6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2.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2.1 조사 및 분석대상 조사대상 한의원 모집단은 전국에 산재한 8,128개(2002년말 현재) 한의원을 대상 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개원연수별(5년이하, 6년이상 10년 이하, 11년 이상), 소재 지별(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로 층화추출하여 표본을 선정함 분석대상한의원은 다음의 52개 한의원임 표 1 분석대상 한의원 수 (단위 : 개) 총수 지역별 개원연수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1~5년 6~10년 11년 이상 52 32 12 8 10 14 28 표 2 분석대상 한의원의 지역 개원연수별 현황 (단위 : 개) 구 분 지역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개원 연수 구분 10년 이상 19 7 2 5년 이상 10년 미만 9 3 2 5년 미만 4 2 4 2.2 한의원 경영실태분석 1) 환자구조 지역과 개원연수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읍면지역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의 한 의원군이 환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대도시일수록, 개원연수가 오래될수록 일반환자의 비중이 높은 경향이 있음
요 약 문 7 표 3 소재지, 개원연수, 급여종류별 환자수(2002년 기준) (단위 : 명) 지역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건보 6,457(83%) 7,294(84%) 5,692(61%) 10년 이상 일반 1,064(14%) 1,139(13%) 3,601(39%) 급여 202(2%) 262(3%) 57(0%) 기타 55(1%) 25(%)0 - 개원 연도 구분 5년 이상 10년 미만 5년 미만 계 7,777 8,720 9,350 건보 5,020(73%) 6,952(90%) 6,015(88%) 일반 834(12%) 551(7%) 66(1%) 급여 951(14%) 209(3%) 740(11%) 기타 58(1%) 5 계 6,862 7,717 6,821 건보 5,003(91%) 5,678(89%) 7,063(74%) 일반 305(6%) 600(9%) 287(3%) 급여 165(3%) 101(2%) 2,210(23%) 기타 - 32(0%) 10(0%) 계 5,473 6,411 9,570 2) 수입구조 한의원당 총의료수입이 가장 많은 군은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10년 이상인 한의 원군이며, 전체적인 경향으로는 대도시일수록 개원연수가 오래될수록 의료수입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8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표 4 한의원당 환자유형별, 지역별, 개원연수별 수입구조 (단위 : 만원) 지역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건보 17,801(43%) 11,655(45%) 4,978(45%) 10년 이상 일반 22,267(54%) 12,844(50%) 6,000(54%) 급여 797(2%) 1,151(4%) 159(1%) 기타 100(1%) 105(1%) 개원 연수 구분 5년 ~ 10년 미만 5년 미만 계 40,966 25,755 11,137 건보 13,029(44%) 15,968(57%) 8,504(70%) 일반 15,208(51%) 11,204(40%) 2,722(22%) 급여 1,485( 5%) 749( 3%) 969( 8%) 기타 93( 0%) 5( 0%) - 계 29,815 27,925 12,195 건보 - 8,800(49%) 10,668(64%) 일반 - 8,500(48%) 3,388(20%) 급여 - 200( 1%) 2,639(16%) 기타 - 300( 2%) 39( 0%) 계 - 17,800 16,734 3) 비용구조 한의원 전체적으로는 총의료비용에서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 대도시 소재의 한의원일수록 전체적인 비용의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 은 개원연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나타나고 있음
요 약 문 9 표 5 지역 구분 개원 연수별 평균 전체 평균 개원연수별, 지역별 평균비용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개원 연수별 11년이상 6년-10년 1년-5년 (단위 : 만원) 인건비 4,823 8,530-5,707 재료비 6,260 5,825-5,963 관리비 5,836 6,422-5,775 평균 계 16,919 20,777-17,445 인건비 3,206 3,535 3,120 3,277 재료비 4,953 3,551 5,112 4,622 관리비 4,257 6,487 4,464 4,840 계 12,416 13,573 12,696 12,739 인건비 - 2,990 3,790 3,390 재료비 - 2,400 2,850 2,625 관리비 - 2,410 2,020 2,215 계 - 7,800 8,660 8,230 인건비 4,418 6,423 3,185 재료비 5,933 4,685 3,288 관리비 5,441 5,632 2,372 계 15,792 16,740 8,845 인건비 4,863(32.4%) 재료비 5,130(34.2%) 관리비 5,022(33.4%) 계 15,015(100%) 2.3 한의원 경영수지분석 한의원 전체의 평균 의료수익순이익율은 29.3%(원장인건비 제외 기준)이며, 읍면 지역 소재의 한의원이 38.3%로 가장 높고, 대도시 소재의 한의원이 28.1%로 가장 낮게 나타남 개원연수별로는 10년 이상의 한의원이 34.4%, 5년 이상 10년 미만의 한의원이
10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27.1%로 나타남 한의원의 의료원가율은 평균 70.7%이며, 특히 중소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 인 한의원의 의료원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의료수익순이익률 또한 마 이너스값을 나타내고 있음(경영수지 적자상태) 표 6 한의원의 소재지별, 개원연수별 의료수익순이익율 지역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연도별 평균 개원연수 구분 11년 이상 30.2% 36.9% - 34.4% 6~10년 27.1% 33.3% 17.4% 27.1% 1~5년 - -1.7% 51% 33.4% 지역별 평균 28.1% 32.4% 38.3% - 전체평균 29.3% 2.4 한의원 손익분기점분석(BEP : Breakeven Point Analysis) 한의원 전체의 의료수익 손익분기점은 평균 17,127만원이며, 대도시 소재 한의원 이 19,497만원으로 가장 높고, 읍면지역 소재 한의원이 7,418만원으로 가장 낮게 나 타남. 또한 개원연수가 오래된 한의원일수록 의료수익 손익분기점이 높게 나타나 고 있음 한의원 전체의 환자수 손익분기점은 평균 5,118명이며, 대도시 소재의 한의원일수 록, 개원연수가 오래된 한의원일수록 환자수 손익분기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중소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10년 이상인 한의원군과 읍면지역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인 한의원군에서 의료수익 및 환자수가 손익분기점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요 약 문 11 표 7 한의원의 의료수익 손익분기점 지역 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단위 : 만원) 개원연수평균 개원 연수 구분 11년이상 19,671 12,804-18,775 6~10년 19,561 15,945 9,227 17,803 1~5년 - 18,264 6,211 8,582 지역평균 19,497 14,272 7,418 전체평균 17,127 표 8 한의원의 환자수 손익분기점 분석 결과 지역 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단위 : 만원) 개원연수평균 개원 연수 구분 11년이상 5,377 4,933-5,115 6~10년 4,485 5,057 5,708 4,839 1~5년 - 6,578 3,453 4,010 지역평균 5,044 5,170 4,355 전체평균 5,118 3. 한방병원 경영실태조사 3.1 조사 및 분석대상 1) 조사대상 2002년 8월 현재 전체 148개 한방병원(공단자료 기준) 가운데 2002년 1월 1일 이후 개원한 한방병원을 제외한 133개 한방병원을 조사대상으로 함
12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2) 분석대상 표 9 2001년도 경영실태분석대상 한방병원 분포(2001 전국병원경영실태조사 협조병원) 개원연수 지역 대도시(서울시, 6개광역시) 회수율(%) 중소도시(기타시) 읍면지역(군단위 이하) 합계 5년 미만 5년이상 10년미만 10년 이상 합계 6개 (14.2%) 11개 (28.2%) 1개 (20%) 18개 (20.9%) 9개 (50%) 9개 (90%) 18개 (64.2%) 5개 (50%) 4개 (44.4%) - - 9개 (47.3%) 20개 (28..6%) 24개 (41.4%) 1개 (20%) 45개 (33.8%) 주 : 개원연수는 2002년 1월 1일 기준임 표 10 2002년도 경영실태분석대상 한방병원 분포(2002 전국병원경영실태조사 협조병원) 개원연수 지역 대도시(서울시, 6개광역시) 중소도시(기타시) 읍면지역(군단위 이하) 합계 5년 미만 5년이상 10년미만 10년 이상 합계 9개 (21.4%) 9개 (23.1%) 0개 (0%) 18개 (20.9%) 7개 (38.9%) 6개 (60%) 13개 (46.4%) 7개 (70%) 4개 (44.4%) - - 11개 (57.9%) 23개 (32.9%) 19개 (32.8%) 0개 (0%) 42개 (31.6%) 주 : 개원연수는 2002년 1월 1일 기준임 표 11 2002년도 경영실태분석대상 한방병원 분포(한방병원 경영실태 분석을 위한 자료조사 협조병원) 개원연수 지역 대도시(서울시, 6개광역시) 중소도시(기타시) 읍면지역(군단위 이하) 합계 5년 미만 5년이상 10년미만 10년 이상 합계 4개 (9.5%) 6개 (15.4%) 1개 (20%) 11개 (12.8%) 2개 (11.1%) 4개 (40%) 6개 (21.4%) 2개 (20%) 2개 (22.2%) - - 4개 (21.1%) 8개 (11.4%) 12개 (20.7%) 1개 (20%) 21개 (15.8%) 주 : 개원연수는 2002년 1월 1일 기준임
요 약 문 13 3.2 한방병원 전반의 경영실태분석 한방병원의 재무성과는 부채비율과 의료미수금회전율을 제외한 다른 지표에서 양 방병원(비교병원) 보다 취약성을 나타냈으며, 장기적으로 재무상태의 위험성을 나 타내는 경우도 존재함 생산성 성과에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부가가치 창출로 인해 한방병원의 경영효율 성이 양방병원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경영수지분석에서는 양방병원에 비해 양호한 실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수익 및 비용의 증가, 의료이익의 증가로 수익률 창출에는 안정적인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평균진료비 수준에서 외래환자의 경우, 양방병원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입원환 자의 경우는 낮게 나타나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수익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환자진료실적에서는 병상이용률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나, 양방병원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장기적으로 환자유치와 병상운용에 보다 효과적인 대처방 안을 필요로 함 전체(외래, 입원)환자 구성비중 건강보험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양방병원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임 인적자원에서 양방병원에 비해 낮은 인력이 운용되고 있으나, 의사직 수는 양방에 비해 많고, 간호직 수는 적은 구조를 나타내고 있음 전체적으로 한방병원은 양방병원에 비해 수익성은 높은 편이나, 효율성 및 생산성 면에서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어 내부 경영의 효율화 측면에 보다 관심을 가질 필 요가 있음 3.3 한방병원 유형별 특성별 경영실태분석 1) 환자구조 2002년 한방병원 전체의 100병상당 외래초진환자수는 연간 평균 9,795명, 100병상 당 외래연환자수는 연간 평균 61,046명, 100병상당 입원실환자수는 연간 평균 894 명, 100병상당 입원연환자수는 연간 평균 17,930명으로 나타남
14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인턴 레지던트수련 한방병원이 인턴수련 한방병원에 비해, 인턴수련 한방병원이 비수련 한방병원에 비해 100병상당 외래환자수와 입원환자수가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 환자진료실적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개원연수별로는 차이가 존재함. 연환 자수 개념으로 볼 때 개원연수 5년 미만의 한방병원이 5년 이상의 한방병원에 비 해 외래 및 입원환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한방병원 전체적으로 볼 때, 외래환자수가 입원환자수보다 많으며, 연환자수 개념 으로 비교시 외래환자수가 입원환자수보다 3.4배 정도 많은 수준임 외래연환자수는 건강보험 환자가 87.8%로 가장 많으며, 의료급여 환자가 5.4%, 산재보험환자가 0.7%, 자동차보험 환자가 4.6%, 일반환자가 1.5%를 차지하고 있 으며, 입원연환자수는 건강보험 환자가 81.9%, 의료급여 환자가 10.4%, 산재보험 환자가 1.8%, 자동차보험환자가 5.1%, 일반환자가 0.8%를 차지하고 있음 대도시보다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에서 의료급여환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며, 개원연수가 외래된 한방병원일수록 의료급여 환자의 비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2) 수입구조(의료수익구조) 가. 전체 의료수익 외래수익이 입원수익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수련 한방병원일수록 외래수익의 비중이 더 크게 나타남 100병상당 외래수익과 입원수익은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군이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군보다,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이 인턴수련 한방병원과 비수련 한 방병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남. 다만, 인턴수련 한방병원의 경우는 중소도시 소재 의 한방병원이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에 비해 100병상당 외래수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 가운데 개원연수 5년이상 10년 미만의 한방병원이 10년 이상의 한방병원에 비해 100병상당 외래수익과 입원수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남 비수련 한방병원의 경우는 개원연수가 오래된 한방병원일수록 100병상당 의료수
요 약 문 15 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 에 비해 외래 및 입원수익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나. 급여종류별 의료수익 한방병원 전체의 건강보험 환자 의료수익 비중은 총 의료수익의 84.3%를 차지하 며, 의료급여 환자 의료수익은 5.2%, 산재보험 환자 의료수익은 1.1%, 자동차보험 환자 의료수익은 2.6%, 일반환자 의료수익은 6.7%인 것으로 나타남 총 의료수익 중 건강보험 환자 의료수익의 비중은 인턴 레지던트수련 한방병원 이 91.5%, 인턴수련 한방병원이 81.2%, 비수련 한방병원이 65.2%로 나타남. 인 턴 레지던트수련 한방병원이 인턴수련 한방병원보다, 인턴수련 한방병원이 비수 련 한방병원보다 건강보험환자 의료수익의 비중이 높고, 의료급여환자 의료수익 및 일반환자 의료수익의 비중이 낮음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 중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중소도시 소재의 한 방병원에 비해 건강보험환자의 비중이 높고, 인턴수련 한방병원의 경우는 대도시 소재 한방병원보다 중소도시 소재 한방병원의 건강보험 환자 비중이 높으며, 비수 련 한방병원의 경우는 지역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다. 진료과별 의료수익 한방병원의 진료과별 외래수익은 한방내과에서 평균 38.7%, 한방침구과에서 19.4%로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방소아과에서 5.9%, 한방신경정신 과에서 5.9%, 한방부인과에서 7.4%, 한방안이비인후과에서 2.8%, 한방재활의학과 에서 7.3%, 사상체질과에서 6.5%, 한방피부과에서 0.2%, 한방응급실에서 0.6%, 기 타진료과에서 5.2%를 차지하고 있음 한방병원의 진료과별 입원수익은 한방내과에서 평균 46.8%, 한방침구과에서 18.6%로 전체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방소아과에서 0.9%, 한방신경정신 과에서 6.3%, 한방부인과에서 6.4%, 한방안이비인후과에서 2.5%, 한방재활의학과 에서 9.2%, 사상체질과에서 6.9%, 한방피부과에서 0.2%, 기타진료과에서 2.2%를 차지하고 있음
16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과 인턴수련 한방병원에 비해 비수련 한방병원의 한방내과와 한방침구과의 외래수익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한방내과 외래수익의 비중은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군이 34.0%, 인턴수련 한방병원 군이 38.1%, 비수련 한방병원이 50.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방침구과 의료수익의 비중은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군이 17.2%, 인턴수련 한방병원군이 21.1%, 비수련 한방병원군이 23.4%를 나타내고 있음 한방병원별 총 외래수익 대비 한방내과 외래진료수익의 비중은 대도시 소재 한방 병원이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보다 높은 편이며, 한방침구과 외래진료수익의 비중은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 타남 진료과별 입원수익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수련유형별, 지역별, 개원연수별 한방내 과와 한방침구과의 수익비중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라. 진료행위 유형별(수가종목별) 의료수익 한방병원의 외래수익 가운데 진찰료 수익은 평균 268,989천원(13.1%)이며, 검사료 수익이 73,993천원(3.6%), 투약료 수익이 818,905천원(40.0%), 보험약 수익이 80,647천원(3.9%), 시술료 수익이 334,397천원(16.3%), 한방요법료 수익이 106,752 천원(5.2%), 처치료 수익이 48,696천원(2.4%), 탕전료 수익이 161,724천원(7.9%), 재료비 수익이 19,992천원(1.0%), 식대 수익이 3,132천원(0.2%), 기타 수익이 145,902천원(7.1%)으로 나타남 한방병원의 입원수익 가운데 진찰료 수익은 평균 13,367천원(1.0%)이며, 입원료 수 익이 379,715천원(29.1%), 검사료 수익이 29,757천원(0.2%), 투약료 수익이 271,182 천원(20.8%), 보험약 수익이 44,975천원(3.5%), 시술료 수익이 152,892천원(11.7%), 한방요법료 수익이 58,824천원(4.5%), 처치료 수익이 25,516천원(2.0%), 탕전료 수 익이 54,921천원(4.2%), 재료비 수익이 23,612천원(1.8%), 식대 수익이 152,452천원 (11.7%), 기타 수익이 87,342천원(6.7%)으로 나타남 외래환자의 경우 투약료 수익비중이 40%를 차지하여 첩약에 의한 수입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입원환자의 경우도 20.8%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요 약 문 17 투약료 수익비중은 인턴 레지던트 수련 한방병원군(45.5%)과 인턴수련 한방병원 군(48.2%)이 비수련 한방병원군(28.9%)에 비해 높게 나타남 마. 평균진료비 한방병원 전체의 외래환자 1인 1일당 평균진료비는 36,983원으로 2001년의 38,295 원에 비해 감소하였고, 입원환자 1인 1일당 평균진료비는 78,796원으로 2001년의 67,670원에 비해 16.4% 증가하였으며, 조정환자 1인 1일당 평균진료비는 83,052원 으로 나타남 외래환자 1인 1일당 평균진료비는 비수련 중소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이상 10년 미만인 한방병원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대체적으로 수련병원이 비수련 병원보다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보다 높게 나타나 고 있음 입원환자 1인 1일당 평균진료비 또한 수련병원이 비수련병원보다,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3) 비용구조 한방병원의 의료비용은 크게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분석결 과 전체비용 중 인건비의 비중이 52.1%, 재료비의 비중이 19.9%, 관리비의 비중이 28.0%로 나타나 2001년의 인건비 비중(39.9%)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남 개원연수 5년미만의 한방병원군의 관리비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에 서도 인턴수련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인 한방병원군의 관리비 비중 (37.8%)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100병상당 인건비 수준은 인턴 레지던트 수련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가장 높 으며, 비수련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이 낮고, 개원연수 5년 미만인 한방병원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남 100병상당 관리비 수준은 인턴수련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인 한방병원 이 가장 높고, 인턴수련 중소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이상 10년미만인 한방병원
18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이 가장 낮음 3.4 한방병원 경영수지분석 2002년 한방병원의 의료수익의료이익률은 11.7%, 의료수익순이익률은 3.6%로 나 타나 2001년의 20.4%, 9.8%에 비해 상당히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2001년 에 비해 2002년의 경영수지가 악화되었음을 의미함 의료원가율은 평균 85.4%로서 2001년의 79.6%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비용(인건비, 재료비, 관리비)의 증가 또는 환자수 감소에 따른 수입의 감소가 경영 수지 악화의 주요 원인임을 반영하고 있음 수련 유형에 따라서는 경영수지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는 것 으로 나타남. 즉, 인턴 레지던트수련 한방병원군과 비수련 한방병원군에서는 대 도시 소재의 한방병원과 중소도시소재의 한방병원이 비슷한 수준이나, 인턴수련 한방병원군에서는 대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에 비해 중소도시 소재의 한방병원의 경영수지 수준이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인턴 레지던트 수련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10년이상인 한방병원군과 비수련 중소도시 5년미만인 한방병원군은 의료수익순이익률이 마이너스 값으로 나타나 경영수지 적자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경영수지 상위그룹은 21.2%의 의료수익순이익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위그룹은 -13.0%를 나타내고 있어 경영수지 수준의 차이가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음 이러한 경영수지 수준의 차이는 투입요소(의료비용) 대비 산출(의료수익) 수준의 차이에 원인이 있으며, 이는 의료원가율만 비교해 보더라도 명확히 알 수 있음. 경 영수지 수준이 우수한 상위그룹은 의료원가율이 74.8%로 나타나 중위그룹(89.2%) 과 하위그룹(98.5%)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임. 의료원가율이 낮다는 것은 동일 한 Output(의료수익)을 산출하는 데 투입요소(의료비용)가 보다 적절하게 투입되 었거나, 동일한 투입요소(의료비용)를 활용해서 보다 많은 Output(의료수익)을 산 출했다는 의미임 의료비용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경영수지 수준 상위그룹일수록 전체 의료비용가 운데 인건비 비중이 높게 나타나며, 하위그룹일수록 관리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
요 약 문 19 고 있음 표 12 경영수지수준별 의료수익 비용수준 비교 경영수지 수준 100병상당 의료수익(천원) 100병상당 의료비용(천원) 100병상당 의료이익(천원) 의료수익순이익률 (%) 의료원가율 (%) 상 3,898,963 2,962,871 936,092 21.2 74.8 중 4,964,150 4,338,986 625,164 3.3 89.2 하 3,230,847 3,140,610 90,237-13.0 98.5 전체 3,830,611 3,270,402 560,209 3.6 85.4 주 : 의료원가율(%) = (의료비용/의료수익) 100 표 13 경영수지수준별 의료비용 구조 (단위 : %) 경영수지 수준 인건비 비율 재료비 비율 관리비 비율 상 56.2 20.5 23.3 중 51.4 19.4 29.3 하 50.9 21.5 27.5 전체 52.1 19.9 28.0 3.5 적정균형모형 분석 한방병원의 적정균형모형 분석은 손익분기점 분석을 통해 손익분기점을 초과달성 하고 있는 한방병원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한방병원을 비교함으로써 수익과 비 용의 적정수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100병상당 의료수익 및 환자수의 손익분기점을 분석한 결과 한방병원 전체의 100 병상당 의료수익 손익분기점은 3,043,175천원, 100병상당 환자수의 손익분기점은 43,003명으로 나타나며, 전체 한방병원의 평균 수익과 환자수는 이를 초과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남 유형별 특성별로는 인턴수련 병원 중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인 한방병 원군에서 의료수익 손익분기점과 환자수 손익분기점을 모두 달성하지 못하고 있
20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는 것으로 나타나며, 비수련 병원 중 중소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인 한방병 원군에서 환자수의 손익분기점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인턴수련 병원 중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의 한방병원군이 의료수익 손 익분기점을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해 보면, 타군에 비해 조정환자 1인당 의 료수익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한방병원 투입요소인 고정비와 변동비가 높기 때 문인 것으로 나타남 비수련 병원 중 중소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 미만의 한방병원군은 환자수의 손 익분기점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수익 손익분기점을 달성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고정비의 투자가 타군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임. 이 와는 반대로 변동비 수준은 타군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장기적으로 이러한 비용구조를 유지할 경우에는 경영수지 적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환자 유치 및 변동비의 절감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
요 약 문 21 표 14 한방병원의 경영실태 및 적정균형모형 분석결과 종합 (단위 : 천원, %, 명) 수련유형 지역 분석 지표 5년미만 인턴 레지던트 수련 인턴수련 대 도 시 중소도시 전 체 대 도 시 중소도시 인턴수련 한방병원 평균 5년이상 10년미만 10년이상 지역평균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 6,819,394 5,825,565 6,322,480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 5,698,269 4,787,971 5,243,120 의료원가율 - 83.6% 82.2% 82.9% 의료수익의료이익률 - 9.0% 17.7% 13.4%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 5,377,750 4,431,210 4,904,480 100병상당환자수 BEP - 45,622 52,715 49,168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 4,973,123 4,202,206 4,587,665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 3,979,826 3,864,783 3,922,304 의료원가율 - 80.0% 92.0% 85.5% 의료수익의료이익률 - 18.0% 5.3% 11.7%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 3,678,237 3,990,775 3,803,252 100병상당환자수 BEP - 53,126 66,509 61,279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5,281,591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4,450,631 의료원가율 85.5% 의료수익의료이익률 12.4%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4,292,687 100병상당환자수 BEP 55,897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3,792,521-4,253,343 4,022,932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4,295,612-3,863,773 4,079,692 의료원가율 113.3% - 90.8% 101.4% 의료수익의료이익률 -13.3% - 9.2-2.1%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4,562,964-3,685,983 4,124,473 100병상당환자수 BEP 59,782-43,998 51,890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4,817,196 2,352,299-4,200,971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4,101,516 1,521,686-3,241,573 의료원가율 85.1% 64.7% - 77.2% 의료수익의료이익률 23.2% 35.3% - 27.2%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3,710,685 1,331,968-2,917,779 100병상당환자수 BEP 48,971 20,639-39,527명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4,141,625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3,576,820 의료원가율 86.4% 의료수익의료이익률 15.5%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3,400,457 100병상당환자수 BEP 44,472
22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수련유형 지역 분석 지표 5년미만 5년이상 10년미만 10년이상 지역평균 비수련 대 도 시 중소도시 비수련 한방병원 평균 전체 한방병원 평균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2,701,309 3,280,723 3,477,029 3,112,519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2,534,167 3,037,578 2,842,681 2,800,075 의료원가율 93.8% 92.6% 81.8% 90.0% 의료수익의료이익률 7.7% 8.5% 18.1% 10.6%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2,258,739 2,972,070 2,592,302 2,570,641 100병상당환자수 BEP 32,488 56,568 22,712 38,342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1,078,113 3,546,027-1,900,751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1,066,769 2,891,781-1,675,106 의료원가율 98.9% 81.5% - 88.1% 의료수익의료이익률 4.7% 20.1% - 9.1% 100병상당순수익 BEP 1,063,016 2,613,897-1,579,976 100병상당환자수 BEP 24,166 39,952-29,428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2,593,190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2,317,945 의료원가율 89.4% 의료수익의료이익률 9.9%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2,174,375 100병상당환자수 BEP 34,777 100병상당 총의료수익 3,830,611 100병상당 총의료비용 3,270,402 의료원가율 85.4% 의료수익의료이익률 11.7% 100병상당의료수익 BEP 3,043,175 100병상당환자수 BEP 43,003 4. 한방의료기관 운영현황 및 체계 분석 4.1 운영체계 분석 대상 한방병원 133개에 조사표를 송부하여 26개소 한방병원이 응답하여 응답률은 19.5%임(조사 시기 : 2003년 9월~2003년 10월)
요 약 문 23 표 4-1 한방병원 조사 응답률 (단위 : 개소, %) 조사병원 응답병원 응답률 조사병원 응답병원 응답률 대도시 70 13 18.6 I R수련 34 10 29.4 중소도시 58 12 20.7 인턴수련 14 1 7.1 읍면지역 5 1 20.0 비수련 85 15 17.6 계 133 26 19.5 계 133 26 19.5 주 : I R : 인턴 레지던트 전체 한의원 중 지역별 개원연수별로 층화 추출한 618개소의 한의원에 조사표를 송부하여 81개소 한의원이 응답하여 응답률은 13.1%임 표 4-2 한의원 조사 응답률 조사대상 한의원 응답 한의원 응답률 (단위 : 개소, %) 대도시 345 51 14.8 중소도시 229 17 7.4 읍면지역 44 13 29.5 계 618 81 13.1 4.2 한의원의 운영현황 및 체계 1) 유입 물류 한의원의 한약재 구입은 주로 도소매업소를 이용하고 있음. 한약재 구입 경로별 구 입 비율은 도소매업소가 76.4%, 제조업소 13.3%, 공영도매시장 6.0% 순임 - 원산지 기준으로 국산 한약재 57.9%, 수입 한약재 42.1%임 2) 진료활동 및 유출 물류 한의원의 외래 진료시간은 주중(월~금) 8.4시간, 토요일 6.0시간이며, 진료 개시시 간은 주로 오전 9시 30분이며, 진료 종료시간은 19시 정도임 - 한방병원과 비교하여 진료 개시시간과 종료시간이 늦음
24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 진료개시 시각은 읍면지역 소재의 한의원이 상대적으로 빠른 편이며, 종료시각 은 대도시 소재 한의원이 늦는 편임 중점 진료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는 진료건수 측면(1순위 응답기준)에서는 침, 뜸, 부항 등이 95.2%이며, 진료수익 측면에서는 첩약, 침, 뜸, 부항 순으로 나타나 첩약 의 진료수익 기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음 양방 및 한방 의료기관과의 협진을 실시하는 한의원의 비율이 낮으며, 개원연수가 오래된 한의원일수록 협진 활용 비율이 높음 특성화된 진료영역이 있는 한의원은 27개소(응답한의원의 35.1%) 수준이며, 지역 별로는 대도시 및 중소도시 소재의 한의원에서 특성화 진료 실시 비율이 높으며 읍면지역 소재 한의원은 상대적으로 낮음 3) 마케팅 및 판매 여러 가지 홍보활동 중에서 지배적인 홍보방안은 없으나, 옥외부착물 설치, 매스미 디어를 통한 홍보 등의 실시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4) 애프터 세일 서비스 한의원 이용고객에 대한 고객 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한의원은 2개소(2.5%)로 매우 낮은 수준임 - 한의원은 주로 내원환자 중심의 진료 및 치료 위주로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주 민 및 내원환자의 재이용 의도 제고 목적의 고객관리는 실시하지 않고 있음 5) 재무회계 및 기획 대부분의 한의원(응답 한의원의 95.1%)은 장부기장 및 회계를 외부 회계사(또는 세무사)에 의뢰하고 있음 - 고정자산의 구입 등 대규모 자금은 주로 원장 출연금을 활용하고 있음 한의원의 자금상황을 분석한 결과, 자금 부족 상황인 한의원은 전체의 35.0%, 여유 자금이 있는 한의원은 58.8%수준으로 나타나며, 개원연수가 오래된 한의원일수록 여유자금 보유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큰 차이는 없음
요 약 문 25 6) 인적자원 관리 직원 채용은 주로 생활정보지에 광고하거나, 아는 사람의 추천을 받아서 실시하고 있는 비율이 높음 직원에 대한 교육은 대부분 원장 주도로 한의원 내에서 실시하고 있음 7) 기술개발 전산화된 업무 영역은 보험청구(응답 한의원의 93.8%), 환자 등록 및 진료비 계산 (70.4%) 등이 높으며 의사처방입력 및 조회, 의무기록 관리는 10%대의 낮은 수준 의 전산화가 이루어진 상황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한의원은 응답 한의원의 82.7% 수준으로 인터넷 환경은 양 호함 8) 자재 구매 시설 및 의료장비 구비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49개소(응답 한의원의 60.5%), 과다 투자 15개소(18.5%), 과소 투자 16개소(19.8%) 임 - 한방병원에 비해 과다 투자라고 응답한 기관 비율이 높은 것은 한의원 원장이 단독으로 의사결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한의원의 투자 방식은 경쟁 한의 원의 투자 규모를 고려한 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음) 향후 1천만원 이상 투자 계획은 시설 및 장비 모두 투자할 계획을 수립한 한의원은 응답 한의원의 18.57%임. 또한 의료장비 단독 투자 계획이 있는 한의원이 21.0%임 - 현재의 의료장비 규모를 축소시킬 계획이라고 응답한 한의원도 51.9% 수준임. 이는 장비 구입 후 활용도가 낮은 상황을 반영함 4.3 한방병원의 운영현황 및 체계 1) 유입 물류 유입물류의 핵심 사항인 한약재의 구입은 주로 도소매업소를 이용하고 있음(응답
26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한방병원의 84.0%) 원산지 기준으로는 국산 한약재의 비율이 66.3%, 수입 한약재의 비율이 33.8%임 2) 진료활동 및 유출 물류 한방병원의 외래 진료시간은 주중 8.0시간, 토요일 4.2시간이며, 외래진료 개시시각 은 오전 9시, 종료시각은 18시인 경우가 대부분임 중소도시 소재 한방병원에 비해 대도시 소재 한방병원의 진료 종료시각이 늦는 것 은 대도시 한방의료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경쟁 양상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 음. 수련형태별로는 비수련병원의 진료 종료시각이 수련 한방병원에 비해 늦는 것 으로 나타남 중점 진료활동의 우선순위 조사에 따르면 진료건수 비율로는 침, 뜸, 부항의 비율 이 높으며(응답 한방병원의 92.0%) 진료수익 측면에서는 첩약의 비율이 높음 3) 마케팅 및 판매 한방병원은 여러 가지 홍보활동을 동시에 실시하고 있으며 주도적인 홍보수단은 없음 4) 애프터 세일 서비스 지역사회 이미지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전략적 사회봉사활동(무료진료, 건강강좌 등)을 실시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무료진료는 정기적으로 건강강좌는 부정기적으 로 실시하는 비율이 높음 5) 재무회계 및 기획 자금계획 수립 및 실적 분석 등 기본적인 재무관리체계를 운용하지 않고 있는 한 방병원이 응답한방병원의 29.2%임 한방병원 자체적으로 회계처리를 하는 비율이 48.0%이며, 외부(회계사무소 등)에 의뢰하는 한방병원이 52.0%임
요 약 문 27 응답 한방병원의 대부분은 자금 여력이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항상 자금이 부 족한 한방병원은 41.7%, 자금상황이 악화되고 있다는 한방병원은 33.3%임 - 비수련 한방병원이 수련 한방병원에 비해 자금상황이 나쁜 것으로 분석됨 자금상황 악화 요인은 진료수익 부족이 핵심적 요인이며, 비용의 상승도 주요 원인 임 한방병원의 재무 및 회계 관리 수준은 양방병원에 비해 낮은 상황이므로, 병원의 주요 활동(주요 활동)을 통제하고 모니터링하는 수단으로서 필수적인 재무 및 회계관리 수 준을 제고할 필요성이 높음 6) 인적자원 관리 채용의 경우 신규 한의사 채용의 주요 애로사항은 대도시 한방병원은 한의사의 부 족, 급여 수준 조정 등이며, 중소도시의 한방병원은 지역적 여건(위치, 교통 등), 급 여수준, 구직의사에 대한 정보부족 등임 - 고용 한의사의 이직사유는 주로 개원 목적이며, 중소도시 한방병원이 한의사 고 용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정기적인 인사고과를 실시하는 한방병원은 58.3%이며, 정기 승진제도가 있는 한방 병원은 68.0%임 급여테이블에 따라서 급여를 책정 지급하고 있는 한방병원은 96.2%임 성과급제는 의사직종에 대해서는 33.3%의 한방병원이 도입하고 있으며, 기타 종사 자들에 대해서는 성과급제를 도입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 대부분임 7) 기술개발 응답 한방병원 모두 병원 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고 응답하였고, 주로 전용회선 (LAN)으로 접속하고 있어 인터넷 환경은 양호한 것으로 분석됨 전산화된 업무 영역은 환자 등록 및 진료비 계산(100%), 보험청구(100.0%), 인사 및 급여 관리(76.0%), 의무 기록 관리 경리 회계(58.3%) 순임 - 주로 지원활동 영역에 대한 전산화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OCS, HIS, PACS, EMR 등 양방병원의 도입시스템과 비교시 상당히 뒤떨어진 수준임
28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8) 자재 구매 시설 및 의료장비 구비 여건에 대한 자체 평가로는 적정하다는 의견이 65.4%이며 과소하게 투자되어 있다고 응답한 한방병원은 23.1%임 - 수련병원은 적정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비수련병원은 적정, 과소투자, 과다 투자 병원이 혼재되어 있음 향후 시설과 장비에 5천만원 이상 투자할 계획이 있는 한방병원이 36.0%이며, 그 외의 한방병원(응답병원의 52.0%)은 현행 시설 및 장비를 유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남 5. 한방전공의 수련실태분석 및 운영개선 방안 5.1 한의사 양성 및 면허등록 현황 한의과대학의 입학정원은 최소 30명부터 최대 120명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1998년 이후 2003년 현재까지 전국 한의과대학의 입학정원은 총 750명으로 책정되어 있음 2003년 3월 현재 총 14,672명에게 한의사면허가 발급되었으며, 이들 중 90.5%가 병 의원급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음 표 5-1 국내 한의사 면허등록 현황 (단위: 명) 연도 1990 1995 1997 2000 2001 2002 2003.3 한의사 면허등록수 5,792 8,714 9,289 12,018 12,794 13,675 14,672 자료: 대한한의사협회 내부자료, 2003. 5.2 한방병원 전공의 수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한의학 교육의 목표 명확화 일반적으로 한의학 교육의 목표는 한의학적 방법론을 통한 효율적인 한방의료로
요 약 문 29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한의사를 양성하는 것 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여기서 한의학적 이라는 용어의 정의와 개념이 모호한 상태임 2) 교육과정 및 내용에 대한 체제정비 한의학의 체계화된 교육이란 의철학, 원리론, 해부, 생리, 병리, 약리, 진단, 치료, 예방의학 등의 구성편재가 한의학적으로 체계화 되어있는 교육과정을 의미함 수련교육과정은 논문과 학술실적은 대한한의학회가 제시하는 안을 그대로 수용하 되 환자수와 의료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환자수는 실인원중심(특히 외래환 자)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의료행위는 내과계열은 진단분야와 관련된 행 위를, 치료기술분야는 행위별 기술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 됨 수련과정 및 내용에 대한 체계화를 위해서는 한의학용어의 통일, 한의질병사인분 류의 체계화, 한방의료행위분류의 체계화 등이 선행되어야 함 3) 수련제도 운영 개선방안 외래환자를 위주로 전문적 진료를 행할 수 있는 한방진료의 특성상 수련기회의 확 대를 위해 특정과목에 한해서는 병원급이 아니더라도 의원급이나 대학, 연구기관 이 수련교육을 위임받아 수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수련병원 지정을 위한 시설기준은 미비한 점이 있지만 수련병원의 경영상태를 반 영할 때 현행 규정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수련병원의 지정기준에서도 모병원과 자병원제도를 신설하여 병의원 경영에 도움 이 되도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다만 모병원이나 자병원 모두 수련병원 시 설기준은 갖추어야 할 것임 수련병원 운영규정에서 유사과목인 내과와 사상체질과, 침구과와 재활의학과를 설 치하는데 있어서, 현재 필수과목으로 되어있는 내과와 침구과 조항을 병원의 운영 이나 경영효율화를 위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필수 개설과목조항을 삭제하고 수련병 원의 특성에 따라 수련과목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 됨
30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4) 적정수련의 수 적정수련의 수 배정원칙은 일반적으로 양방의 경우 스탭수와 환자수에 따라 배분 하되 소속학회에서 병원별로 조정하는 것이 관행인 데 최대 수련의 수를 연차별로 내과계열은 총 스탭수와 같은 수로 선발하고, 재활의학과는 한방요법을 직접 실시 해야 하므로 스탭수에 1~2명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6.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6.1 한방의료기관의 SWOT 한방의료기관의 경영효율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요소 는 다음과 같음 표 6-1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에 영향을 미치는 SWOT 강점(S) 약점(W) 기회 및 위협 강점 및 약점 민족고유의 독창적인 전통한의학 유용한 전통비방의 보유 특정질환에 대한 기술력 확보 자원공급의 풍부 전통비방의 보상체계 미흡 국내 한약재 생산(량) 취약 및 전근대적 유통체계로 비용 불안정 진료지원인력의 전문성 부족 경영자의 경영마인드 부족 기 회 (O) 치료중심에서 예방으로의 의식 전환 한방의료수요의 증가 대중매체의 한의학 관련 붐 조성 기회 강점 전략 경쟁력 있는 한방의료기관 육성 우수인재발굴 유인체계 마련 관리의 적정화 한방의료행위의 체계화 기회 약점 전략 고객만족경영 지향 한방보험급여범위 확대 및 의료수 가체계 개선 재료의 표준화 위 협 (T) 한 양방간의 대립 선진화된 제도 환경 미비 건강보험제도의 변화 의료시장개방 및 경쟁의료기관의 증가 위협 강점 전략 협진제도기반 정립 연계체계구축 및 강화를 통한 자원활용 강화 기능과 역할의 재정립 위협 약점 전략 종업원 질적 능력 제고 경영관리기술 제고 및 경영마인드 제고 경영합리적 제도 구축
요 약 문 31 6.2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한방의료기관의 경영효율화방안은 의료기관 입장과 정부의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입장에서 본 경영효율화방안을 제시함 표 6-2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구 분 경영효율화 방안 비 고 의료기관 측면 정부 측면 한방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및 경쟁력 강화 의료기관간 제휴 및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고객만족경영 우수인재발굴 및 유인체계확립 경영자의 경영마인드제고 및 변혁적 리더십 한방의료기관별 차별화된 경영혁신전략 한방의료행위의 체계화 한방보험급여범위 확대 및 의료수가체계 개선 재료의 표준화 협진제도기반 정립 본 연구에서 경영효율화 방 안 제시 중 장기 한방육성대책 수립 연구(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2. 12) 참조 1) 한방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및 경쟁력 강화 전략 한방병원과 한의원을 이용하는 의료수요의 중복을 해소하고, 서로 경쟁관계를 유 지하기 위하여 시설 및 장비 등에 과잉 투자하는 것을 방지해야 함 한방병원과 한의원의 주요 진료범위를 설정하여 경쟁보다는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기능 정립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방의료의 전달체계확립을 달성할 수 있음 특히 한방병원은 한방전문병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전문분야를 설정(예, 중풍, 요통, 퇴행성관절염, 추나 등)하여 경쟁력 있는 한방의료기관으로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함 -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급성질환 중심에서 만성퇴행성질환 중심으로의 상 병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한방의료서비스의 수요도 함께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 한방의료기관의 경쟁력 강화 및 한방의료의 특성을 감안하여 다빈도 이용상병
32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또는 한방의료로 치료효과가 있는 질환에 대하여 과학적인 검증을 토대로 한방 의료 전문병원(예, 중풍, 요통, 관절통, 추나 등)을 추진하는 전략이 필요함 2) 다른 의료기관과의 제휴 및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전략 한의원-한방병원, 한방의료기관-양방의료기관, 한방의료기관-보건소 등 전략적 제휴를 통한 환자전달체계확립, 경영비용 절감 및 경영정보교류 활성화 도모 - 전문영역에 역량을 집중하여 개발하고, 부족한 영역은 외부의 다른 기관과 협력 및 제휴를 통하여 장기적으로 한방의료기관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임 - 수련교육과정의 상호교육 및 협진을 통한 연계는 관련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지 만 환자이송, 경영정보 및 관리운영시스템 등을 교류하기 위한 협력병원제도 확 대는 독립적이고 상호 동질적 또는 이질적인 기존의 병원간에 독립적으로 의사 결정을 하면서 정보 및 자원을 교환하는 등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각자 경영능 력을 최적화하는 전략으로 가능함 - 내년도에는 보건소에 한방공중보건의(약 360명)를 증원하여 한방지역보건사업 확대 등 한방진료를 대폭 확대할 예정인 바, 보건소-한의원-한방병원의 의료전 달체계 및 전략적 경영제휴 전략이 필요함 3) 고객만족경영 지향 고객만족경영(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은 고객의 만족을 조직적으로 지속하는 경영전략임. 고객은 내부고객(종업원)과 외부고객(환자 및 보호자 등)으 로 구분됨. 고객만족은 조직의 경영효율을 도모하고 나아가 한방의료기관의 경영 수지를 개선할 수 있음 - 내부고객(종업원)만족은 직무만족을 통한 외부고객만족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만 족거울효과(satisfaction mirror effect) 전략이 필요함 - 한방의료기관의 조직은 고객접점부서에서 의사결정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이 들 직원에게 권한을 위임해주는 임파원먼트(empowerment) 전략이 필요함 - 경영층의 인식은 종업원을 지휘 감독 통제의 리더십에서 지원 코칭의 리더 십으로 전환이 필요함
요 약 문 33 - 관리운영은 경직화된 구조, 규정, 절차에 의한 관리에서 벗어나 제도의 유연성을 가미한 경영이 필요함 고객만족경영의 조건은 한방의료기관의 명확한 목표설정이 필요하고, 최고경영자 가 진두지휘를 하여 한의사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중간관리자의 솔선수범과 전 종업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행이 필요함 4) 우수인재발굴 및 유인체계 확립 21세기 의료기관의 경쟁력은 종업원의 다양한 이점을 어떻게 살리느냐에 있음. 획 일화된 경영, 획일화된 인재상을 버리고 다양하고 유연한 경영, 다양한 인재양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 종업원과 직무의 적합성에 맞는 인사전략이 필요함. 즉, 개인의 능력과 기술, 강 점 약점을 고려한 직무할당과 경력관리시스템 도입 - 성과에 대한 차별적 관리와 보상이 이루어져야 함.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핵심인력관리의 큰 틀은 4가지 전략으로 차별화를 할 필요가 있음 - 성과(Performance): 막연한 능력개발형이 아니라 성과와 어떻게 연계시킬 것인 가를 다뤄야 함 - 가치(Value): 일반적인 종합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아닌 병원의 핵심가치(Value) 에 기반을 둠 - 리더십(Leadership): 종전의 지도자, 조직관리능력이라는 지휘 통제 측면의 리더 십이 아니라 핵심역량에 바탕을 둔 차세대 Leader 를 어떻게 양성할 것인지를 현재의 리더는 고민해야 함 - 개발(Development): 강요된 학습이 아닌 종업원 스스로의 몸값과 시장가치를 높 이게 하는 스스로 학습, 현장학습이 되게끔 해야 함 5) 경영자의 경영마인드 제고 및 변혁적 리더십 한방의료기관을 리더해가는 최고경영자는 임상진료의 전문가 못지않게 경영관리 의 전문가이어야 함. 동태적인 환경에서 한방의료기관이 계속적인 성장을 유도하
34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기 위하여 최고경영자는 경영관리기술을 습득하여 조직에 적용가능하여야 하고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도록 종업원을 리더할 수 있는 변혁적인 리더십이 필 요함 - 최고경영자는 최신경영기법(예, 고객관계관리, 가치중심경영, 비전경영, 윤리경 영, 전사적자원관리 등)을 이해하고 적용가능성에 대한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어 야 하며, 최소한 재무제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방의료기관의 경영혁신전략을 수 립하고 수행할 수 있음 -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은 종업원들에게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그 비전 달성을 위해 함께 매진할 것을 호소하며, 종업원의 가치관과 태도가 변화되어 공유된 비전을 리더할 수 있는 리더십임 6) 한방의료기관별 차별화된 경영혁신전략 모색 한방의료기관은 소재지, 개원연수, 수련여부에 따라 경영수지가 모두 다르기 때문 에 획일화된 경영혁신 보다는 한방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전략이 필요함. 한방의 료기관의 경영수지 극대화 전략은 투입요소, 산출요소, 운영체계로 구분하여 현상 을 분석한 후 각 부문별 다르게 모색할 수 있음 - 투입요소가 많은 한방의료기관은 투입요소의 절감전략이 필요하고, 산출요소가 낮은 한방의료기관은 산출요소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 한의원의 경영혁신은 운영프로세스 측면과 수요확대 전략의 수립 및 운영이 동시 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한의원의 경쟁환경이 갈수록 치열해 지는 상황에서 내부 적인 한의원 운영프로세스의 개선을 통한 비용절감과 적극적으로 환자의 수요를 확대하기 위한 전략의 수립 및 운용이 동시에 필요한 것임 - 한의원의 수요확대전략으로 한의원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적인 특성과 개원연수 에 따라 증가되는 한의사의 명성(Reputation)에 따라 수요다변화 또는 집중화전 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한의원이 위치한 지역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이 높고, 한의사의 명성이 높은 경우 비급여 한약의 매출로 집중하는 전략 또는 한방이외 의 대체의학의 접목을 통한 수익다변화전략의 추구 등을 고려 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됨
요 약 문 35 - 한의원의 내부운영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경영혁신은 경영의 가장 기본에서 출 발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수익과 비용의 정확한 집계와 분석을 통해 한 의사 스스로 병원의 경영에 대한 마인드를 제고하는 것이 가장 기본인 것으로 판단됨 한방병원은 양방병원에 비해 수익성은 높은 편이나, 효율성 및 생산성 면에서 취약 성을 드러내고 있어 내부 경영의 효율화 측면에 보다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 한방병원의 경영실태는 한방병원의 수련여부, 소재지, 개원연수에 따라 현격한 차이가 있음. 따라서 각 병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방병원이 소속된 각 군의 평균이하의 의료수익을 나타내는 한방병원은 의료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이 필요함. 또한 의료수익 대비 의료원가율이 90%이상인 한방병원은 비용절감방안 을 추진하여 원가율을 낮추는 전략이 필요함 - 특히 인턴수련 대도시 소재의 개원연수 5년미만인 한방병원군은 의료수익보다 의료비용이 더 높아 경영적자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수익창출 전략 및 비 용절감방안을 동시에 추진해야 할 것임 7. 정책적 제언 1) 경영정보체계 인프라 구축 한방의료기관으로부터 많은 양의 의료 및 경영정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정보 가 신속히 인식 식별 보관 가공되어 저장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한방병원과 한의원이 의료 및 경영정보를 보다 광범위하고 신속하게 공개 보관할 수 있는 각 종 제도의 정비가 미흡한 실정임. 한방의료기관은 의료기관회계기준규칙(보건복지 부령 제257호, 2003.9.16 공포)의 적용대상에서도 제외되고 있어 경영정보의 공 개 보관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음 - 특히 한의원의 경우에는 경영관련 자료가 투명하지 않아 개원한의사의 월 소득 추정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조차 부족한 실정임 의미있는 한방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한방의료기관의 신뢰성 있는 DB를 구축
36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하여 계속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갱신하는 것이 필수적임 따라서 한방의료기관의 경영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그 기초 자료를 DB화하고, 분석결과를 한방의료기관 경영개선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도 록 함 2) 규모별 표준 경영수지모형 개발 및 분석 정례화 한방의료기관 규모별 소재지별 개원연수별 표준 경영수지모형 개발을 통해 경 영체계 개선안을 모색하는 기전이 필요함 - 한방의료기관의 경영수지는 다양한 진료활동과 수익창출을 위한 자원투입에 의 존하므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가 규모별 소재지별 개원연수별로 각각 다르 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경영수지모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 - 경영수지모형에 의한 한방의료기관의 경영수지분석을 정례화함으로써 투입요소 의 적절성과 산출요소의 적절성을 효율화할 수 있는 경영체계 개선안을 모색할 수 있음 3) 한방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한방 및 양방의료기관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한 양방의 의료수요는 구분되지 않고 있음. 하지만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의료수요는 만성퇴행성질환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이러한 질환은 입원중심의 한방병원은 물론 외래중심의 한 의원에서도 치료가 가능한 질환들임. 다만 입원환자는 중풍과 관련된 질환의 경우 로서 전체의 52.5% 수준(중풍휴유증 34.7%, 졸중풍 15.5%, 중풍전조증 2.3%)으로 외래환자와 구별되고 있을 뿐 기능이 중복되고 있음. 그 결과 한방병원과 한의원은 서로 경쟁관계를 유지하고 여기에 맞는 시설 및 장비 등을 투입하고 있음 따라서 한방병원과 한의원의 주요 진료범위를 설정하여 경쟁보다는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기능 정립이 필요함 - 특히 한방병원은 한방전문병원에 대한 개념 정립과 전문분야를 설정(예, 중풍, 요통, 퇴행성관절염, 추나 등)하여 경쟁력 있는 한방의료기관으로 육성을 할 필 요가 있음
요 약 문 37 -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급성질환 중심에서 만성퇴행성질환 중심으로의 상 병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 등 한방의료서비스의 수요도 함께 증 가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한방병원은 국가의 장기요양 서비스 강화 정책에 부응하는 한방의료의 장기요양특화서비스를 개발하여 육성하는 의료기관으로 기능을 정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 한방의료기관의 경쟁력 강화 및 한방의료의 특성을 감안하여 다빈도 이용상병 또는 한방의료로 치료효과가 있는 질환에 대하여 과학적인 검증을 토대로 한방 의료 전문병원(예, 중풍, 요통, 관절통, 추나 등)을 추진 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 하여 의료법에 한방전문병원의 근거 조항을 신설할 필요가 있음 4) 한방 인력관리의 적정화 방안 마련 한방의료기관의 핵심인력은 한의사임. 한방의료기관은 한의사의 수요 공급에 따 라 경영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한의사는 2003년 3월 현재 14,672명이 한의사 면허등록을 하고 있고 매년 750명 정도 배출되고 있어 매년 증가 추세임. 향후 한 의사 인력 수급추계에 대한 중 장기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한의사의 중 장기적 수요 공급정책은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으로 업무를 위양하 는 제도와 병행 진행하여 한방의료기관 경영개선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현행 의료법은 전문간호사제도를 보건 마취 정신 가정 감염관리 산업 응 급 노인 중환자 및 호스피스에 한정하고 있음. 따라서 한방전문간호사제도, 한 방간호사제도, 한방간호조무사제도 도입 등으로 한의사의 업무를 위임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함 한편, 의료기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에 의거 의사 치과의사의 지도 하에 보조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의료법시행규칙 제28조의 6 제2항 3호에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해당 진료과목별로 의료기사를 두도록 되어 있으나, 한 방진료분야는 해당 진료과목으로 지정되지 않아 한의사는 의료기사에 대한 지휘 감독권이 없는 실정임. 한방진료업무는 재활치료업무가 중요한 업무에 해당되므로 물리치료사 등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나 한의사는 의료기사 지휘 감독권이 없어
38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의료기사를 채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을 개 정하여 물리치료기사가 보조할 수 있는 범위에 한의사를 추가함으로써 물리치료 기사에 대한 한의사의 지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함과 아울러 의료법시행규 칙 에 물리치료기사를 둘 수 있는 진료과목에 한방진료분야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 토할 필요가 있음 5) 한 양방 협진서비스 제공 관련 제도 개선 최근 한 양방 의사들간의 협진과 관련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한 양방 협진병원수는 1990년 11개병원(33개 한방병원의 33.3% 수준), 1999년 79개 병원 (130개 한방병원의 60.8% 수준), 2001년 95개병원(140개 한방병원의 67.8% 수준) 으로 1990년도 보다 2001년도의 한 양방 협진병원수는 8.6배 증가함. 하지만 한사 람의 의사/한의사가 비록 양측의 면허를 모두 소유하고 있다 할지라도 한 환자에 대해 한 양방 의료행위를 동시 제공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음. 의료법 시행규칙 제 30조(진료과목의 표시)에 따르면 한방병원 및 한의원은 한방진료과목만을 표시하 도록 되어 있음 따라서 한의사의 병행진료나 한 병 의원 내에서의 협진 진료를 제약하는 제반의 법령 등을 개정할 필요가 있음. 즉, 한 양방 이중면허자가 수행하는 결합진료가 한 공간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노인병원과 같은 만성퇴행성질환은 의사와 한의사가 공동근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협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의 료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음 6) 한방 전공의 수련 및 자격인정 제도 개선 한방전공의 수련 및 자격인정제도는 전문과목별 명칭에 걸맞는 진료범위를 설정 하여 수련내용에 구체적으로 포함시키고, 교육목표와 표준화된 교육내용을 확보하 여야 함. 이러한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표준적 계량화가 전제되어야 함 또한, 이러한 제도도입에 기초자료가 될 한의학용어표준화, 한방의료행위의 체계 적 분류, 한의질병사인분류의 체계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도록 유도해야 함 또한, 의료분야에 있어서의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진단분야의 전문의와 치료분야의
요 약 문 39 전문의로 나누어지는데, 진단분야의 전문의는 다양한 과정을 거쳐 질병명에 대한 기초적이고 심층적인 단계별 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론상의 많은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검사의 객관화와 표준화를 달성해야 하고 이러한 검사행위에 대하여 숙련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또한, 치료분야의 전문의는 학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고난 도의 기술능력을 배양해야 하고 반복적인 실습이 이루어짐으로서 비용효과적인 면에서 한의술의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함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1장 연구 개요 43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한방의료는 2천년의 역사와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한 우리민족의 자랑스런 전통의 학이며, 성장 잠재력이 큰 우수의학으로서 세계의 관심이 지대하고 국가간 주도권 경쟁 또한 치열한 고부가치 생명자원산업으로 대두되고 있음 최근 보건복지부에서는 21세기 인류질병 정복을 위한 원대하고도 확고한 국가전 략 수행을 위해 한방부문의 미래지향적인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한방의 과 학화 대중화 세계화를 위해 실천 가능한 정책과제들을 폭넓게 발굴하려 노력하 는 등 한방부문에 대한 국가적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음 2002년 3월 현재 한방의료기관의 규모는 한방병원 148개소, 한의원 7,621개소로 전 체 요양기관의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어 한방의료기관이 보건의료체계에서 역할과 범위가 증대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 인 할 수 있음(표 1-1) 이와 더불어 보건의료환경은 급변하는 경제상황과 의료서비스 수요자의 의료서비 스 요구수준의 증대로 인해 의료서비스 기관간 경쟁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한방의료기관도 예외가 될 수 없음 따라서, 의료서비스 수요자들의 변화하는 요구수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질을 높여 한방의료기관의 서비스 선진화를 추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 를 위해서는 자체적 경영혁신과 정부의 한방의료정책 분야의 적극적 지원이 필수
44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적으로 요구됨 이러한 시점에서 한방의료기관의 경영수지 현황 및 조직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 하여 변화하는 환경속에서 한방의료기관이 추구해야 할 방향과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요구됨 지금까지 한방의료기관에 대한 경영실태조사는 한방건강보험 시행 등과 관련한 연 구가 한국생산성본부(1988), 안건회계법인(1998), 한국사회보장문제연구소(1992) 등에서 수행된 바 있으나 그 목적이 한정됨으로써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경영실태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신뢰성과 대표성이 보장된 자료수집이 미흡하였으며 보건의료기관 및 제도에 대한 경험과 지식의 한계로 인해 분석내용과 시사점 제시 에 있어 한계점이 있었음 표 1-1 연도별 요양기관 현황 (단위 : 개소) 구분 연도 전 체 종합 병원 병 원 의 원 치과 병원 치과 의원 한방 병원 한의원 조산원 보건기관 1990 25,096 230 368 11,491 5 5,390 33 3,528 444 3,607 1991 26,659 233 364 12,270 6 6,088 42 3,729 300 3,627 1992 27,960 236 369 12,629 6 6,708 53 4,062 269 3,628 1993 29,634 243 400 13,171 7 7,313 55 4,599 235 3,611 1994 31,096 255 445 13,820 9 7,800 67 4,900 192 3,608 1995 33,257 266 462 14,569 14 8,363 70 5,743 183 3,587 1996 34,488 273 484 15,123 15 8,807 84 5,953 160 3,589 1997 36,125 269 521 15,998 20 9,280 101 6,204 141 3,591 1998 38,103 272 571 17,172 33 9,742 116 6,489 134 3,574 1999 40,487 277 626 18,737 44 10,204 127 6,845 127 3,500 2000 42,246 288 681 19,688 60 10,592 141 7,243 126 3,427 2001 44,360 277 705 21,342 72 10,783 140 7,563 86 3,392 2002. 3 45,650 282 740 22,314 82 10,994 148 7,621 81 3,388 한의사전문의제도는 국민건강을 위한 한방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한의학의 체 계적 발전을 통한 세계화 달성이라는 목표를 갖고 1999년 12월 17일부터 시행됨. 각 수련한방병원들은 한의사전문의제도를 원활하게 시행하기 위하여 전공의 수련
제1장 연구 개요 45 교육과정 등의 운영기준 및 시설기준에 맞게 전공의들에게 교육을 실시함 또한, 대한한의사협회는 어려운 과정속에서도 부족한 점이 있었지만 2회에 걸친 전문의시험을 무사하게 실시함.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속에서 교육과정 등의 운영기준과 수련인정에 대한 적용기준에 대하여 법령상의 모호한 내용으로 실질 적인 적용에는 무리가 있었고, 교육내용 이수여부에 대해서도 포괄적 해석으로 질 적 수준에 대한 평가방법에 과목별 전공의 수 배정, 전문과목 설치기준, 논문이나 환자수 등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음 한편, 한의사전문의제도에 대한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따르면 한의사회로 하여금 수련과정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전문의시험에 관한 업무를 위임받아 실시하도록 하고 있는 바, 한방의료행위에 대한 전공교육과정으로서의 수련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적으로나 외부적으로도 개선의 필요성만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따라서 한방의료기관의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경영실태를 파악하여 한방의료기관 의 경영실태 자료 부족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한의사전문의제도에서 제기되는 문 제점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한방의료기관의 경영효율화 및 합리화를 모색할 필 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보건의료환경 하에서 한방의료기관 경영의 효율화 및 합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방의료기관 경영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음 - 한방의료기관(한의원, 한방병원)의 경영수지 분석 - 한방의료기관의 경영수지에 긍정적 부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한방의료기관의 유형별 규모별 적정 균형모형 분석 - 한방전공의 수련실태 분석 및 운영개선 방안 개발 - 한방의료기관 운영의 문제점 및 효율화 방안 개발 - 한방의료 관련 정책적 제언
46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3. 연구내용 1) 의료환경분석 진료인구수 변화, 의료기관 변화 등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를 분석함 기타 내적 외적 환경의 변화를 분석함 2) 한방의료기관 경영수지 분석 한의원/한방병원의 수입구조 및 비용구조 분석을 통한 경영수지를 분석함 가. 수입구조 분석 한방의료기관 유형별/특성별 수입구조를 분석함 - 유형별 : 한의원/한방병원(규모, 수련여부) - 특성별 : 소재지/개원연수 등 환자종류별 수입구조를 분석함 - 건강보험환자, 의료급여환자 등의 진료수입 수준을 비교 분석함 - 건강보험환자, 의료급여환자 등의 급여/비급여 수입구조를 분석함 진료유형별 수입구조를 분석함 - 기본진찰, 검사, 침구 시술, 재활 처치 행위별 및 첩약 등 진료유형별 수입구 조를 비교 분석함 투입요소 대비 수입의 적정성 분석 - 유형별/특성별 수입의 적정성 분석 - 유형별/특성별 적정 수입수준 분석 나. 비용구조 분석 의료기관 유형별/특성별 비용구조를 분석함 - 유형별 : 한의원/한방병원(규모, 수련여부) - 특성별 : 소재지/개원연수 등
제1장 연구 개요 47 산출 대비 비용의 적정성 분석 - 유형별/특성별 산출 대비 비용의 적정성 분석 - 유형별/특성별 적정비용의 구조 및 수준 분석 다. 경영수지 분석 의료기관 유형별/특성별 경영수지를 분석함 건강보험 급여행위를 대상으로 진료행태를 분석함 - 진료유형(기본진찰, 검사, 침구 시술, 재활 처치)의 구성비율을 분석함 - 진료행위 빈도 대비 수입구조, 비용구조를 분석함 유형별/특성별 경영수지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요인을 분석함 경영수지 상태별 비용 구성비를 분석함 - 경영수지 상 중 하별 비용구성비율을 비교 분석함 3) 한방의료기관 적정균형모형 분석 유형별/특성별 적정균형모형(투입요소 대비 산출요소)를 분석함 - 유형별 : 한의원/한방병원(규모, 수련여부) - 특성별 : 소재지/개원연수 등 유형별/특성별 손익분기점 분석 유형별/특성별 투입자원의 적정성, 의료수익의 적정성 분석을 통한 유형별/특성별 적정균형수익, 적정균형비용의 모형을 제시함 4) 한방의료기관 운영형태 및 체계 분석 한의원/한방병원의 관리운영체계를 분석함 - 환자 및 진료비 관리시스템, 인사 및 재무 프로세스, 마케팅관리, 물자 및 시설 관리 등의 현황, 문제점의 실태를 분석하고 경영효율화 방안을 제시함 5) 한방 전공의 수련실태 분석 및 운영 개선방안 한의사 양성 현황 분석
48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한의사 면허등록 현황 분석 한방 전공의 수련제도 고찰 및 수련기관 실태 분석 - 수련한방병원 지정 및 배정관련 규정 등 관련제도 및 정책의 고찰 - 한방병원의 전공의 수련 실태 및 운영방식,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 및 교육내용 분석 적정 수련 전공의 수 추계(과목별) 현행 한방병원의 전공의 수련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시 6)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제시 한의원/한방병원의 SWOT분석 한의원/한방병원의 수익증대방안, 비용절감 방안, 운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장단기 로 구분 개발함 7) 한방의료 기관의 건전한 육성 및 경영수지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 제도적 개선방안 제시 정책적 제언 4. 연구방법 및 수행체계 4.1 연구방법 1) 환경분석 기존문헌 리뷰 : 한방관련 정책전략계획서 및 연구보고서, 보건의료관련 법 제도 고찰 전문가 자문 : 한방정책의 변화방향과 그에 따른 한방의료기관의 대응전략 관련 건강보험공단의 요양기관 현황자료 분석
제1장 연구 개요 49 2) 경영실태조사 대상영역 설정 기존 연구문헌 또는 조사결과 종합 - 전국병원경영실태조사, 요양기관 종별 경영수지분석자료에 의한 원가분석연구, 한의원 경영수지 분석연구 등 한방의료기관 Pilot 조사 실시 - 의미있는 항목들의 추출 및 기존 문헌에서 도출된 결과의 타당성 검증 - 수익구성요소와 비용구성요소의 분리 전문가 자문을 통한 최종 대상영역 설정 3) 표본 한방의료기관 선정 조사대상 : 전국의 한방의료기관(7621개 한의원, 148개 한방병원) 표본선정방법 - 한 의 원 : 개원연수별(5년미만/5년이상 10년미만/10년이상), 소재지별(대도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층화추출 - 한방병원 : 개원연수별(5년미만/5년이상 10년미만/10년이상), 소재지별(대도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수련여부별 층화추출 4) 경영실태조사 범위의 설정 일반현황 : 개원연수, 소재지, 요양기관 유형, 전공의수련여부 등 수입부문 조사 - 월별수입총액 - 보험수입(급여수입, 비급여수입), 일반수입 - 질환별 빈도수, 행위별 빈도수 비용부문 조사 - 인건비(고용한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한방보조인력, 기타기능직) - 재료비(첩약약재비, 보험약재비, 치료재료비, 일반의료소모품비, 기타재료비) - 관리비(건물감가상각비, 시설 및 장비 감가상각비, 관리운영비)
50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조직운영현황 조사 - 조직 및 인력구조, 마케팅관리, 물자 및 시설관리, 환자 및 진료비 관리프로세스 5)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실시 1차 Pilot 조사 : 직접 방문하여 조사표에 대한 검증 2차 우편 설문조사 : 대한한의사협회 및 대한한방병원협회의 협조를 받아 조사 진행 3차 확인조사(전화 또는 방문) 건강보험진료실적 및 수입자료 조사 :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심사청구결과 자료 분석 6) 경영수지분석 수익과 비용구조 분석 기법 등을 활용함 환자종류별, 수가종목별, 질환별 수준을 분석함 7) 한방전공의 수련실태 분석 및 운영개선 방안 한의사 양성현황 및 면허등록현황 분석 수련한방병원 지정 및 전공의수 배정 규정 등 관련제도 및 정책의 고찰 수련한방병원의 전공의 수련실태 및 운영방식 분석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 및 교육내용분석 - 현재 수련교과과정에 대한 전공수련자의 인식도 조사 - 기존의 교과과정에 대한 이수여부의 설문실태조사 - 양방의 수련교과과정과의 비교조사 - 해당학회별 수련교과과정개선에 대한 의견 조사 - 새로운 수련교과과정 및 이수기준(안) 제시 8) 경영효율화 방안 제시 이슈트리분석, 경영수지상태가 우수한 의료기관의 유형 분석
제1장 연구 개요 51 9) 전문가 패널의 구성 및 운영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조사 대상영역의 설정에서 경영수지 분석결과에 따른 경 영효율화 방안제시에 이르기까지 연구전반의 자문을 구함 - 구성 : 대한한의사협회 1명, 한의사 1명, 한방병원협회 1명, 한방병원 2명 보건복지부 한방의료담당관실 2명
52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4.2 수행체계 환경분석 - 보건의료환경의 변화, 한방정책의 변화, 기타 외적/내적 환경의 변화 경영실태조사 대상영역 설정 한방의료기관 유형 구분 (개원연수, 소재지,규모) 진료유형 구분 수입 구성요소 비용 구성요소 조직운영 체계 한방 전공의 수련실태 전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문 가 자 문 조사대상 및 방법 선정 조사표개발 조사(1차, 2차, 3차) 결과입력 기존조사결과종합(2차자료분석) 전국병원경영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의원 경영수지 분석 (한국생산성본부, 안건회계 법인, 한국사회보장문제 연구소 등) 요양기관 종별 경영수지분석 자료에 의한 원가분석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분석 및 해석 유형별/특성별 경영수지 분석 유형별/특성별 영향요인 분석 운영현황분석(한방전공의 수련실태 포함) 유형별/특성별 적정균형모형 분석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 도출 한방의료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한방의료정책의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
제2장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53 제2장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1. 조사 및 분석대상 조사대상 한의원 모집단은 전국에 산재한 8,128개(2002년말 현재) 한의원임. 그러 나,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과거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정기준에 따라 표 본을 추출하여 조사함 조사대상 한의원의 추출은 개원연수별(5년 미만, 5년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소재지별(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로 층화추출함 조사범위는 개원연수, 소재지 등의 일반현황, 수입현황, 비용현황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조사함 2. 조사방법 조사방법은 설문지 조사를 실시함 설문지 조사는 2종류로 나누어 실시함. 한가지는 한의원 모집단의 약 1/3을 무작위 로 추출하여 한의원의 전체 수익 및 비용구조를 파악하여 표본기관의 수익 비용구 조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고, 다른 한가지는 표본기관을 중심으 로 세부적인 경영상태를 위해 지역별, 개원연수별로 구분하여 정밀조사를 실시함
54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3. 한의원 경영실태 분석 분석대상한의원 현황은 아래와 같음 표 2-1 분석대상 한의원 수 지역별 총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5년 미만 개원연수별 5년이상 10년미만 (단위 : 개) 10년 이상 52 32 12 8 10 14 28 자료제출 한의원은 총 52개로 지역별로는 대도시가 32개소로 가장 많고, 개원연수 별로는 10년 이상이 28개소로 가장 많음 지역구분과 개원연수별 현황은 아래와 같음 표 2-2 분석대상 한의원의 지역 개원연수별 현황 (단위 : 개) 구 분 지역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개원 연수 구분 10년 이상 19 7 2 5년이상 10년미만 9 3 2 5년 미만 4 2 4 자료제출 한의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대도시 개원 10년 이 상의 한의원으로 전체 52개 한의원의 36%를 차지하고 있음. 가장 작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것은 개원연수 5년미만의 중소도시 한의원과, 읍면지역의 개원 연수 10년이상, 5년이상 10년미만의 한의원으로 3.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3.1 한의원 경영환경 분석 1) 연도별 한의원 수 우리나라의 한의원 수는 1997년에서 2001년까지 꾸준히 4%~5%대의 성장을 지속
제2장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55 하고 있음. 그러나, 2002년에 563개의 한의원이 신설되어 전년대비 7%에 달하는 한의원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2003년 자료는 1/4분기말 현재의 자료 로서 전년에 비해 107개, 1%의 한의원이 신설되어 증가세는 둔화 추세임 한 의 원 수 9,0 0 0 8,128 8,235 8,0 0 0 7,243 7,563 7,0 0 0 6,204 6,489 6,845 6,0 0 0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연 도 그림 2-1 연도별 한의원 수 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기관 현황 2) 지역별 한의원 수 2003년 1/4분기 말 현재 지역별 한의원 수는 아래와 같음 표 2-3 지역별 한의원 수 (단위 : 개) 계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2,290 738 349 571 190 311 171 1,388 8,235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18 224 274 320 204 418 495 116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기관 현황' 자료임 2003년 1/4분기 말 현재 전국의 총 한의원 수는 8,235개임. 지역별로 가장 많은 한 의원이 분포하고 있는 곳은 서울로 총 2,290개의 한의원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이에 비해 가장 작은 수의 한의원이 분포하고 있는 곳은 제주도로 116개의 한의원이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56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지역별 한의원 수를 비율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음 전 남 2% 전 북 4% 충 남 3% 충 북 3% 강 원 3% 경 기 17% 경 북 5% 울 산 2% 경 남 6% 제 주 1% 대 전 4% 광 주 2% 대 구 7% 서 울 28% 인 천 4% 부 산 9% 그림 2-2 지역별 한의원수 비율 한의원의 지역별 분포는 서울이 전체 한의원의 28%를 점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경기가 17%, 부산이 9%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가장 작은 제주도는 전체의 1% 정 도의 한의원이 분포하고 있음 3) 한의원 당 보험가입자 가. 지역별 보험가입자 수 2003년 1/4분기말 현재의 지역별 보험가입자 수 현황은 아래와 같음 표 2-4 지역별 보험가입자 수 (단위 : 명) 계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14,748,125 3,182,500 2,266,439 2,182,314 1,108,854 1,336,506 921,178 8,165,241 46,808,224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97,908 1,241,992 1,551,095 1,556,033 1,652,612 2,356,212 2,767,659 473,556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심사통계지표'
제2장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57 2003년 1/4분기 말 현재 우리나라의 총 보험가입자 수는 46,808,224명임. 지역별로 가장 많은 보험가입자가 분포하고 있는 곳은 서울로 14,748,125명으로 31%의 비중 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은 경기지역으로 8,165,241명의 보험가입자로 17% 수준임. 가장 작은 보험가입자가 등록된 곳은 제주로 총 473,556명, 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나. 한의원 당 보험가입자 수 한의원 당 보험가입자 수는 지역별로 개략적인 한의원의 경쟁현황을 파악할 수 있 는 자료라고 판단됨. 한의원 당 보험가입자 수가 많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수요가 풍부하여 환자수가 많은 지역이라고 고려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경쟁이 치열하여 한의원 당 환자 수가 적은 지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음 지역별 한의원 당 보험가입자 수 = (지역별 총 보험가입자수/ 지역별 총 한의원수) 의 식으로 산출함 지역별 한의원당 보험가입자 수 현황은 아래 그림과 같음 9,000 8,000 8,101 7,000 6,000 5,000 4,000 6,440 6,494 5,836 5,883 5,954 5,5455,661 5,387 4,863 4,312 4,297 3,822 5,637 5,591 4,087 3,000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그림 2-3 지역별 한의원당 환자수 지역별로 총보험가입자수를 총한의원 수로 나눈 한의원 당 환자수가 가장 많은 곳 은 전남지역으로 한의원 당 총 8,101명의 환자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인 천지역은 한의원 당 총 6,494명의 환자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서울은
58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한의원 당 총 6,440명의 환자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한의원 당 총 환자수가 가장 적은 곳은 대구로 총 3,822명의 환자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제주는 4,087명, 대전은 4,297명으로 한의원 당 총 환자수가 적은 지역으로 나타남 따라서, 단순히 한의원 당 총 환자수만 고려한다면 전남지역이 한의원간의 경쟁이 가장 덜한 곳으로 판단할 수 있고,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으로는 대구지역으로 판 단됨 4) 우리나라 전체 한의원의 일반현황 가. 인력현황 1 전체한의원의 의료인력 현황 우리나라의 한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체 한의원의 의료인력현황은 아래와 같음 아래 표의 숫자는 한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의료인력 현황으로 한의원에 근무하는 총인력현황과는 다름 표 2-5 한 의 사 전체 한의원의 의료인력 현황 구 분 한의원('02) 한의원('03.1) 총 계 8,909 8,995 소계 8,828 8,918 일반의 8,817 8,905 일반수련의 - - 전문수련의 - - 전문의 11 13 (단위 : 명) 약사 31 31 물리치료사 37 33 작업치료사 - - 사회복지사 13 13 주 :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기관 현황' 자료임
제2장 한의원 경영실태조사 59 2003년 1월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한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의료인력은 8,995명임. 2002년 말에 비해 1개월간 한의원 전체에서 86명의 의료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 타나고 있음 한의원에 종사하는 의료인력 중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한의사 일 반의로서 2003년 1월말 현재 8,905명의 한의사가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 의사 전문의는 13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약사는 31명, 물리치 료사는 33명으로 2002년 말에 비해 4명이 감소했으며, 사회복지사는 전한의원을 통틀어 13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조사대상 한의원의 기관당 인력현황 조사대상 한의원의 기관당 인력현황은 아래와 같음 2001년 한의원의 기관당 인력현황은 2002년에 수행한 요양기관 종별 경영수지 분 석자료에 의한 원가분석 연구(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에 나타나는 한의원의 평균 인력 현황임 표 2-6 한의원의 평균인력 현황 (단위 : 명) 2002년 2001년 한의사 1.0 1.2 간호업무직 1.0 1.8 약무업무직 0.5 0.6 행정업무직 0.5 0.6 기타업무직 1.5 0.1 계 4.5 4.4 2002년의 한의원별 한의사 수는 평균 1명임. 1개 기관이 2명의 고용한의사를 활용 하고 있었고, 그 외는 원장한의사 1인이 환자진료를 담당하고 있었음 간호인력으로 한의원 당 평균 1명의 간호업무 담당자를 고용하고 있었고 몇몇 기 관에서 2~3인의 한의사를 고용하고 있었음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은 없는 곳도 많았음
60 한방의료기관 경영실태조사 및 경영효율화방안 연구 2001년에 비해 직종별 평균인력의 변화는 없음 나. 청구현황 1 연도별 청구현황 청구현황 및 요양급여비용은 한의원의 건강보험수입구조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기본적인 청구현황 및 요양급여비용을 바탕으로 분석함 전체한의원의 연도별 청구현황 및 요양급여비용, 청구건당 요양급여비용, 내원일 당 요양급여비용은 아래와 같음 표 2-7 '03.1 한의원의 건강보험 청구현황 및 요양급여비용 청구건수 계 요양급여비용(천원) 급여비 건당 요양급여비용 (단위 : 건, 원) 내원일당 요양급여비용 소계 6,652,225 189,829,362 144,150,097 28,536 13,590 입원 154 58,839 47,072 382,071 20,872 외래 6,652,071 189,770,523 144,103,025 28,528 13,589 소계 25,710,137 720,031,336 545,472,946 28,006 13,454 '02 입원 726 264,540 211,635 364,380 22,315 외래 25,709,411 719,766,796 545,261,311 27,996 13,452 소계 22,686,402 611,909,699 469,025,296 26,973 13,376 '01 입원 681 297,173 237,741 436,377 23,885 외래 22,685,721 611,612,526 468,787,555 26,960 13,373 주 :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심사통계지표' 자료임 전체 한의원의 건강보험 청구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음. 2001년 22,686,402건에서 2002년 25,710,137건으로 11% 증가했고, 2003년 1월에는 6,652,225건의 청구가 있 었음 요양급여비용은 2001년 611,909,699천원에서 2002년 720,031,336천원으로 17%가 증가해, 청구건수 증가율 11%를 초과하고 있음 건당요양급여비용도 매년 증가해 2002년 26,973원에서 2003년에는 28,006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