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인천지역 중학생의 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체중조절경험 식습관 식품섭취 빈도 Body Image W eightcontrol Dietary Behaviorand Food Frequency ofthemiddle SchoolStudentsin Incheon area. 2009년 2월 仁 荷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家 政 敎 育 專 攻 金 美 廷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인천지역 중학생의 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체중조절경험 식습관 식품섭취 빈도 2009년 2월 指 導 敎 授 張 慶 子 이 論 文 을 碩 士 學 位 論 文 으로 提 出 함 仁 荷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家 政 敎 育 專 攻 金 美 廷
이 論 文 을 金 美 廷 의 碩 士 學 位 論 文 으로 認 准 함 2009년 2월 主 審 印 副 審 印 副 審 印
<국문초록> 인천지역 중학생의 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체중조절경험 식습관 식품섭취 빈도 2009년 2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김 미 정 지 도 교 수 장 경 자 본 조사는 인천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체형인식 및 식습관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 및 행동,식습관,식품섭취 빈도를 알아보았다. 남학생의 BMI 평균은 21.9(kg/m)이었으며, 여학생의 BMI 평균은 19.6(kg/m)으로 남학생의 평균 BMI가 유의하게 높았으며,이는 과체중/비 만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 여자에 비해,남자에게서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 집단에 비해 과체중/비만 집단에서 자신을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고,어린 시절부터 비만이 형성되어 유지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며,가족 중에 비만한 사람이 있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 다. BMI분포에 따른 체중군의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 및 행동에 유의한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50%가 체중조절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실제 체중조절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이들의 80% - i -
가량이 체중조절 결과에 보통 혹은 불만족하다고 응답하였다.체중조절의 방법으로 절반 가량이 운동이라 응답했고,다음으로 식사량 조절,드물게 약물이나 건강식품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BMI분포가 증가하는 체중군에서 규칙적인 식습관과 식사 속도,한 끼 식사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서 식습관이 비만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 음을 시사 하였다.그러나 간식 섭취 습관과 관련하여서는 체중집단에 유 의적 차이가 없었다.전체적으로 조사대상 청소년의 절반 가량이 인스턴트 음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2/3 가량이 가끔 인스턴트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섭취량,섭취빈도,BMI분포에 따른 섭취량과 섭취빈도는 남학생, 여학생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체형인식 및 식습관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현재 비만한 청소년들이 어린 시절부터 비만한 비율이 높아서, 바른 식습관을 위한 교육이 청소년기보다 더 어린 시절부터 가정이나 학교 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ii -
목 차 국문초록 i Ⅰ.서 론 1 Ⅱ.연구 내용 및 방법 1.조사 대상 및 기간 3 2.조사 내용 및 방법 3 1)일반 및 체중관련 사항 3 2)식습관 조사 3 3)식품섭취량과 섭취빈도조사 4 4)통계처리 4 Ⅲ.결과 및 고찰 1.조가 대상자의 연령 및 신체적 특성 5 1)연령 체중 신장 BMI 5 2)BMI분포 6 2.조사 대상자의 체중관련 사항 8 1)체형인식 및 체중관련 요인 8 2)체중조절 경험 12 3.조사 대상자의 식습관 및 인식 14 - iii -
1)식습관 14 2)간식 섭취 습관 17 3)외식,편의 및 가공식품의 이용실태와 인식 19 4.조사 대상자의 식품섭취량 21 5.조사 대상자의 섭취 빈도 36 Ⅳ.요약 및 결론 51 참고 문헌 55 ABSTRACT 60 <부록 1> 설문지 62 - iv -
<표> 목 차 <표 1> 성별에 따른 연령,체중,신장 및 BMI 6 <표 2> 성별에 따른 BMI분포 7 <표 3> 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관련사항 10 <표 4> BMI분포에 따른 체중조절 관련 사항 13 <표 5> BMI분포에 따른 식습관 16 <표 6> BMI분포에 따른 간식 섭취 18 <표 7> BMI분포에 따른 외식,편의 및 가공식품의 이용실태와 인식 20 <표 8> 성별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량 23 <표 9> BMI분포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량 24 <표 10> 성별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 25 <표 11> BMI분포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 27 <표 12> 성별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량 29 <표 13> BMI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량 31 <표 14> 성별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량 32 <표 15> BMI분포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량 33 <표 16> 성별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량 34 <표 17> 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량 34 - v -
<표 18> 성별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량 35 <표 19> BMI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량 35 <표 20> 성별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빈도 39 <표 21> BMI분포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빈도 40 <표 22> 성별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빈도 41 <표 23> BMI분포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빈도 42 <표 24> 성별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빈도 44 <표 25> BMI분포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빈도 45 <표 26> 성별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빈도 47 <표 27> BMI분포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빈도 48 <표 28> 성별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빈도 49 <표 29> 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빈도 49 <표 30> 성별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빈도 50 <표 31> BMI분포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빈도 50 - vi -
Ⅰ.서 론 최근 과학의 발달로 생활기기가 자동화됨에 따라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 었다(박성진 2002).이러한 자동화는 성인은 물론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생활하는 시간을 점차 줄어들게 하였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성장기로 신체 발육에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성장과 성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시기이다.남학생에 게는 근육이 발달하며,여학생에게는 체지방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시기이 다.그러므로 청소년기는 일생을 통해 가장 많은 영양소가 필요하므로 영 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생활과 올바른 식습관형성이 매우 중요하다(한영실 2005). 청소년들은 아침 일찍 등교하고 학원 등으로 인해 늦게 귀가하므로 불규 칙한 생활습관은 물론 불규칙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변화봉 등(2001)의 대전지역 청소년 대상 선행 연구에서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학생은 49.2%이었고,일일 식사횟수가 3회인 학생은 63.6%이었다. 이선미(2008)의 수도권 일부지역의 청소년 대상 연구에서 아침식사 결식 률을 27.1%로 아침을 거르거나,불규칙적인 식사.간식,편식 또는 과식으 로 인해 청소년들이 나쁜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서설희(2008)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스트푸드의 이용실태조사에서 BMI에 따라 4개의 체중군으로 나눈 후 패스트푸드의 이용 빈도를 조사한 결과, 매일 또는 일주일에 4~5회 를 이용한다는 비율이 비만군으로 갈수 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05)에서 2,577명의 초중고생의 식품 섭취량과 BMI자 료를 분석한 결과 피자,라면 및 기타즉석식품,육류,과자섭취량과 초등학 생의 체질량지수 사이에 연관성이 나타났으며,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는 - 1 -
각각 음료와 햄버거류가 비만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한국경제 2008.06.18) 정혜경(2006)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채소 과일섭취에 관한 조사에서 채소류의 경우 남 여학생이 하루 1번에 70%이상,과일류는 1주일 5회에 남학생은 58.3%,여자학생은 68.4%로 섭취빈도가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청소년기의 비만을 이상지혈증,고혈압 등의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더 높으며,대사증후군은 고혈압,비만,고지혈증,당뇨,응고장애 등 심혈 관질환의 여러 위험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한 사람에게 일어나는 현상인 데,예전에는 성인질병으로 분류되었던 질환들이 소아청소년에게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최근 2,30대 젊은 층의 당뇨,뇌졸중 등이 증가하는 것도 소아비만과 무관하지 않으며,성인기에 심근경색,신부전증 등의 합병증이 보다 빨리 올 수 있다고 보고했다(조선일보 2008.08.05).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연결되며 이는 지방간,고혈압,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의 발병율을 높일 수 있으며,우울증,대인 기피증 등의 정신적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성인기에 발생하는 비만일 경우 지 방의 세포 수는 정상으로 유지하면서 지방세포의 크기는 증가하지만,청소 년기의 비만은 지방세포의 수의 증가와 함께 지방세포의 크기도 증가하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비만은 매우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서지은 2001).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청소년 비만관련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인천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체중조절 경험,식습관 및 섭취빈도를 조사하였다. - 2 -
Ⅱ.조사 내용 및 방법 1.조사 대상 및 기간 본 조사는 인친지역 소재의 중학교 3학년 233명은 대상으로 2008월 5월 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회수율:100%).이 중에서 응답내용이 불충분한 43부를 제외하고 남학생 96명,여학생 94명 (총 190명)의 설문지를 통계 분 석에 사용하였다. 2.조사 내용 및 방법 본 조사의 설문지는 김명희(2005),이경원(2008),이주희(2008)의 선행연 구를 참고로 하여 본 조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후,담임 선생님의 양해를 얻어 수업시간에 직접 배부하여 조사 대상자 본인이 스스 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1)일반 및 체중관련 사항 조사대상자의 성별,연령,학년,체중조절 유무,비만의 가족력,어린 시 절의 체형,규칙적인 운동,비만에 대한 인식,다이어트 방법을 조사하였다. 2)식습관 조사 식습관 조사에서는 식사의 규칙성과 습관,식사속도,이침 식사 횟수,한 끼 식사량,간식 횟수, 간식시간.간식식품의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 의 이용실태 등을 조사하였다. - 3 -
본 조사에서 과체중 집단과 비만 집단에 속하는 사람 수가 적어, chi-square 분석에서 5보다 작은 기댓값(expected frequency)을 가진 셀 수가 많이 발생하여,분석 결과의 신뢰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과체중 집 단과 비만 집단을 과체중/비만 집단으로 묶어서 이후의 분석을 진행하였 다. 설문 문항의 내용에 따라 결측값(missingvalue)이 발생할 수 밖에 없 는 경우,응답자의 비율(percent)은 전체 조사 참여자가 아닌, 전체 응답자 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3)식품섭취량과 섭취빈도조사 섭취빈도조사법으로 쌀밥 외 48가지 식품에 대하여 평균적인 섭취량과 섭 취횟수를 조사하였다.각각의 식품들은 탄수화물 식품(곡류 및 당류),단백 질식품(콩 어류 육류),채소류 해조류,과일류,유지류,아이스크림 우 유 콜라로 구분하였다. 식품섭취량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기준량을 제시하였으며,실제 섭취량 은 이하, 보통, 이상 으로 구분하였고,섭취빈도는 매일 2회이상(14점), 주 5~6회(5.5점), 주 3~4회(3.5점), 주1~2회(1.5점), 거의 섭취 안함(0 점)으로 구분 조사하여 점수화하였다(김명희 2005). 4)통계처리 조사된 모든 항목은 SPSS(StatisticalPackage forthe SocialScience version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먼저 분석 문항이 범주 변수인 경우는 빈도와 백분율을,연속 변수인 경우는 평균과 표준편 차를 구하였다.또한 BMI분포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에 문항에 대한 응 답 차를 알아보기 위해,범주 변수인 경우는 chi-square분석을,연속 변수 인 경우는 분산 분석(ANOVA)및 사후 검증을 통하여 유의성 검증을 실 시하였다. - 4 -
Ⅲ 결과 및 고찰 1.조사 대상자의 연령 및 신체특성 1)연령 체중 신장 BMI 본 조사에 대상인 중학생들의 연령,체중,신장 및 BMI를 표 1에 나타내 었다.전체 조사 대상자 190명 가운데 남학생은 96명,여학생은 94명이었 다.남학생의 평균 연령은 14.6세,평균 신장은 170.0cm,평균 체중은 63.7kg,평균 BMI는 21.9이었다.남학생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4 16세 표준 신장 체위(한국인 영양 섭취기준 DRIs,2005)보다 각각 4.5cm,6.0kg 높았다. 여학생의 평균 연령은 14.6세,평균 신장은 159.7cm,평균 체중은 49.9kg, 평균 BMI는 19.6이었다.여학생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4 16세 표준 신장 체위(한국인 영양 섭취기준 DRIs,2005)보다 각각 2.2cm,0.1kg높았다. 남학생,여학생 모두 평균 BMI는 정상체중 범위에 해당하였고,남학생의 평균 BMI가 여학생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인천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이주희,2008)의 남학생 평균 신장 및 체중보다도 4.2cm,6.5kg 높은 수치이었고.여학생 평균 신장 및 체중과 비교했을 때,신장은 0.3cm,체중은 동일하였다. - 5 -
표 1.성별에 따른 연령,체중,신장 및 BMI 성별 N(%) 연령(년) 신장(cm) 체중(kg) BMI 남 96(50.5) 14.6±.6 170.0±7.1 63.7±14.0 21.9±4.1 여 94(49.5) 14.6±.7 159.7±5.3 49.9±8.6 19.6±3.0 t 값.56*** 11.32*** 8.17*** 4.61*** ***p<.001. 2)BMI분포 조사 대상자의 BMI분포에 따라 저체중 집단,정상체중 집단,과체중 집 단,그리고 비만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성별에 따라 BMI분포가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정상체중이 각각 45.8%,48.9%로 유사하였으나 남학생의 경우 저체중이 20.8%,과체중이나 비만이 33.3%인 반면,여학생의 경우,저체중 이 40.4%,과체중이나 비만이 10.6%로,남학생은 과체중이나 비만이 많고 여학생은 저체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BMI분포의 비율은 남자의 경우,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 연구(김명희,2005;남궁미자,2003)와 유사하였다.그러나 선 행 연구에 비해,저체중 여학생들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데,경산지역 고 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김명희(2005)의 연구에서 저체중 여학생의 비율은 20.3%이었고,남궁미자(2003)의 서울지역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저체중 여학생의 비율이 26.7%인 것을 고려했을 때,본 연구에서 여학생들의 저체중 비율이 꽤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 6 -
인천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경원(2008)의 연구에서도 여학생 저 체중군의 비율이 40.6%에 해당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이를 토대로 볼 때 제한적이나 점차 중 고등학생 여학생들의 체중저하가 심해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또한 과거에 비해 풍성한 먹을 거리가 있는 가운데 이런 체중저하 현상이 발생하는 까닭엔 가냘픈 몸을 선호하는 문화적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2.성별에 따른 BMI분포 BMI n(%) 성별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18.5미만) (18.5 22.9) (23 24.9) 비만 (25이상) χ 2 남 20(20.8) 44(45.8) 15(15.6) 17(17.7) 여 38(40.4) 46(48.9) 3(3.2) 7(7.4) 17.78*** 1) 합계 58(30.5) 90(47.4) 18(9.5) 24(12.6) 190(100%) ***p<.001. - 7 -
2.조사 대상자의 체중관련 사항 1)체형인식 및 체중관련 요인 BMI분포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체중에 대한 인식 및 체중관련 요인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자신이 비만하다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 와 대체 로 그렇다 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이 저체중 집단의 경우 34.5%,정상 체중 집단은 56.7%,과체중/비만 집단은 83.3%로 BMI분포가 높은 집단에 서 자신이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정미순(1990)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비만군의 72.4%가 스스 로를 비만하다 고 인식하고,27.6%가 비만하지 않다 고 인식하였다고 보고 하였으며,이는 본 연구에서 과체중/비만 집단이 자신을 비만하다 고 인식 하는 비율과 유사하였다.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정향미(1999)의 연구에서도 과다 체중 집단의 82.6%가 자신을 살찐 편 이라고 생각하여서, 본 연구에서 과체중/비만 집단의 83.3%가 자신을 비만하다 고 인식하고 있 다는 결과와 거의 동일하였다.또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주희(2008)의 연구 결과에서고 저체중의 40.2%,정상체중의 31.0%가 실제 자신의 체형 에 비하여 살찐 편 이라고 응답하였다 체중 변화에 관심이 있는가 에 세 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전체 조사대상자의 52%가 그렇다 라고 응답하였으며 그저 그렇다 가 26.8%, 그렇지 않다 가 20.5%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평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가 라는 질문에 세 집단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전체 조사대상자의 42.1% 그저 그렇다,33.7%가 그렇 다,24.2%가 그렇지 않다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 8 -
욕구불만이 있을 때 음식을 많이 먹는가 라는 질문의 경우 세 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전체 조사대상자의 48.4%가 그렇지 않다,32.6% 가 그렇다,18.9%가 그렇다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가 라는 질문의 경우,과체중/비만 집단이 저체 중,또는 정상체중 집단에 비해 그렇다 와 그저 그렇다 에 응답한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1).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과체중 혹은 비만한 사람들 이,자신들의 과체중 상태를 인식하고,더욱 운동에 신경을 쓴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린 시절의 체형은 어떤 유형인가 라는 질문에 보통이다 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세 집단 모두 유사했으나, 비만했다 라고 응답한 사람들 의 비율엔 확연하게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p<.01).김명희(2005)의 연구 에서 어린 시절의 체형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는데,과체중/비만인 집단 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어린 시절 비만했다 라고 보고하는 비율이 높 았다. 가족들은 비만한가 라는 물음에 대해서도 과체중/비만 집단에서 그렇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이것은 김명희 (2005)의 연구에서 과체중/비만 집단에서 가족들이 어느 정도,혹은 그 이 상 비만하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본 조사 결과와 유사하였다.그러 나 선행 연구(김관일,오수일,2001)에서는 비만군의 22%가 가족들이 비만 하지 않다 라고 응답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가족들은 비만하지 않다 라고 응답한 비율(42.9%)이 매우 높았다.이러한 결과는 상당수의 과 체중,혹은 비만인 중학생들이 어렸을 때부터 과체중의 문제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문제가 유전,혹은 가정환경과 어느 정도의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 사한다.그러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매우 복잡하며,또한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비만의 원인에 대해 보다 명확 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9 -
표 3.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관련사항 BMI 저체중 (18.5미만)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 22.9) (23이상) 합계 χ 2 자신이 비만하다고 생각하는가 매우 그렇다 5(8.6) 15(16.7) 8(19.0) 28(14.7) 대체로 그렇다 15(25.9) 36(40.0) 27(64.3) 78(41.1) 그렇지 않다 38(65.5) 39(43.3) 7(16.7) 84(44.2) 24.90*** 체중변화에 관심이 있는가 그렇다 37(63.8) 44(48.9) 19(45.2) 100(52.6) 그저 그렇다 12(20.7) 25(27.8) 14(33.3) 51(26.8) 그렇지 않다 9(15.5) 21(23.3) 9(21.4) 39(20.5) 4.57 평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가 그렇다 20(34.5) 31(34.4) 13(31.0) 64(33.7) 그저 그렇다 27(46.6) 34(37.8) 19(45.2) 80(42.1) 그렇지 않다 11(19.0) 25(27.8) 10(23.8) 46(24.2) 2.03-10 -
표 3.BMI분포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관련사항 (계속) BMI 저체중 (18.5미만)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 22.9) (23이상) 합계 χ 2 욕구불만이 있을 때 음식을 많이 먹는가 그렇다 10(17.2) 18(20.0) 8(19.0) 36(18.9) 그저 그렇다 23(39.7) 28(31.1) 11(26.2) 62(32.6) 그렇지 않다 25(43.1) 44(48.9) 23(54.8) 92(48.4) 2.28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가 그렇다 3(5.2) 21(23.3) 10(23.8) 34(17.9) 그저 그렇다 21(36.2) 23(25.6) 17(40.5) 61(32.1) 그렇지 않다 34(58.6) 46(51.1) 15(35.7) 95(50.0) 13.97** 어린시절의 체형은 어떤 유형인가 마른 편이다 27(46.6) 37(41.1) 7(16.7) 71(37.4) 보통이다 27(46.6) 43(47.8) 22(52.4) 92(48.4) 비만이다 4(6.9) 10(11.1) 13(31.0) 27(14.2) 16.79** 가족들은 비만한가 그렇다 2(3.4) 8(8.9) 10(23.8) 20(10.5) 그저 그렇다 21(36.2) 36(40.0) 14(33.3) 71(37.4) 그렇지 않다 35(60.3) 46(51.1) 18(42.9) 99(52.1) 10.53* *p<.05,**p<.01,***p<.001;ns:유의수준.05에서 유의하지 않음 - 11 -
2)체중조절 경험 체중 조절에 대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는 표 4에 나타내 었다.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해 BMI분포에 따른 세 집 단의 응답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조사대상자의 46.8%가 있다 라 고 대답하였다.이러한 사실은 비만과 체중조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 가로 인해,비만인은 물론 정상체중,심지어는 저체중의 사람들에 이르기까 지 체중조절 행태가 보편화되고 있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박수연,강윤 주,신용경,문선임,이혜리.,2000;재인용). 체중감량 결과 에 대해 세 집단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전체대상 자 79.4%가 보통 이나 불만족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체중감량을 위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해 BMI 분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어서(p<.05),저체중집단의 경우 25.9%,정상 체중집단의 경우 24.4%가 그렇다 라고 답한 반면,과체중/비만 집단은 47.6%가 그렇다 라고 응답하였다.김명희(2005)의 연구에서도 과체중/비만 집단에서 현재 체중감소를 위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76.4%로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다이어트 방법 에 대한 물음에 대해 BMI분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 었다(p<.05).전체 응답자 중 운동으로 50.9%가 응답하였으며,정상체중집 단이 42.8%로 과체중/비만 집단에 비해 운동으로 다이어트로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저체중 집단에서는 끼니굶기,식사량 조절하는 것과 같은 소극적 인 방식으로 체중을 줄이려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명희(2005)의 선행 연구에서도 유사하였는데 저체중집단의 경우 다이어트 방법으로 저체중 집 식사조절을,과체중/비만 집단에서는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2 -
표 4.BMI분포에 따른 체중조절 관련사항 BMI 저체중 (18.5미만) 정상체중 (18.5 22.9) 과체중/비만 (23이상) 합계 χ 2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가 있다 28(48.3) 37(41.1) 24(57.1) 89(46.8) 없다 30(51.7) 53(58.9) 18(42.9) 101(53.2) 3.01 체중감량 결과에 만족하는가 만족 4(13.3) 12(25.5) 5(20.0) 21(20.6) 보통 18(60.0) 24(51.1) 13(52.0) 55(53.9) 불만족 8(26.7) 11(23.4) 7(28.0) 26(25.5) 1.81 체중감량 위해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가 그렇다 15(25.9) 22(24.4) 20(47.6) 57(30.0) 아니다 43(74.1) 68(75.6) 22(52.4) 133(70.0) 7.57* 끼니굶기 9(32.1) 5(9.8) 26.9) 16(14.8) 다이어트 방법 식사량조절 6(21.4) 19(37.3) 5(17.2) 30(27.8) 운동 13(46.4) 23(45.1) 19(65.5) 55(50.9) 약물복용 0(0.0) 3(5.9) 1(3.4) 4(3.7) 17.01* 다이어트용 건강식품섭취 0(0.0) 1(2.0) 2(6.9) 3(2.8) *p<.05-13 -
3.조사 대상자의 식습관 및 식품섭취빈도 1)식습관 조사대상자의 BMI분포에 따른 식습관을 표 5에 나타내었다.본 조사에 서 매끼 식사를 먹는가 에 대해 항상 먹는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저체중 집단에서는 55.2%,정상체중 집단은 64.4%,과체중/비만 집단은 88.1%로 과체중/비만 집단으로 갈수록 항상 먹는다 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다(p<.001). 식사시간은 규칙적인가 에 대해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유의하 지 않았으나,저체중 집단에서 24.1%,정상체중 집단에서는 25.6%,과체중/ 비만 집단에서는 40.5%가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이다 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세 집단 모두 46.6-46.7%로 거의 동일 하였다. 불규칙한 편이다 라고 응답한 비율은 저체중 집단에서 29.3%,정 상체중에서 27.6%,과체중/비만 집단에서 11.9%으로,과체중/비반 집단에 서 식사시간이 규칙적인 경향을 보였다. 식사속도 의 경우 보통,혹은 느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저체중으 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빠른 편 이라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과체중/비만 집단으로 갈수록 증가하여서 BMI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1). 과체중/비만 집단에서 빠른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52.4%) 은 저체중 집단에서 빠른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20.7%)의 2배를 넘었다. 이는 비만군에서 일반군에 비해 음식을 빠르게 먹는다는 선행연구 결과(김 관일,오수일,2001)와 일치하였다.인천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주희 (2008)의 연구에서는 식사소요시간에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집단에 유 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되었으나,과체중 집단의 사람들이 저체중과 정상 체중 집단에 비해 식사시간이 짧은 경향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아침식사를 매일 하는가 의 문항에서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유 - 14 -
의적 차이가 없었다.이것은 비만도에 따른 집단 간에 아침 식사나 저녁 식사 횟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선행 연구(이경원,2008;이주희,2008) 와 동일한 결과이며,응답비율도 유사하였다. 가끔 또는 항상 먹는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저체중 집단에서는 72.4%,정상체중 집단에서는 76.7%,과 체중/비만 집단에서는 85.7%로 응답하여,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과체중/비만 집단으로 갈수록 아침식사를 잘 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소 한 끼 식사량 의 문항에서 저체중 집단은 적게 먹는 편이다 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20.7%이었으나,정상체중 집단의 경우는 7.8%,과체 중/비만 집단에서는 0%로 과체중/비만 집단으로 갈수록 식사를 충분히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p<.01).이주희(2008)의 연구에서는 '배부를 때까지 최 대한 먹는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과체중에서 가장 높았으나(18.3%),이 비 율은 본 조사의 33%에 비해 낮았고,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의 식습관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보면,과체중/비만 집단은 저체중 집단,정상체중 집단에 비해 식사를 매끼 항상 먹고,빠른 속도로, 배부르다고 느낄 정도의 양으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5 -
표 5.BMI분포에 따른 식습관 BMI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미만) (18.5 22.9) (23이상) 합계 χ 2 매끼 식사를 항상 먹는가 항상 먹는다 32(55.2) 58(64.4) 37(88.1) 127(66.8) 가끔 또는 거의 먹지 26(44.8) 32(35.6) 5(11.9) 63(33.2) 않는다 규칙적이다 14(24.1) 23(25.6) 17(40.5) 54(28.4) 13.26** 식사시간은 규칙적인가 보통이다 27(46.6) 42(46.7) 20(47.6) 89(46.8) 불규칙한 편이다 17(29.3) 25(27.8) 5(11.9) 47(24.7) 빠른편 12(20.7) 35(38.9) 22(52.4) 69(36.3) 6.54 식사속도 보통 31(53.4) 39(43.3) 17(40.5) 87(45.8) 13.23** 느린편 15(25.9) 16(17.8) 3(7.1) 34(17.9) 항상 먹는다 31(53.4) 48(53.3) 25(59.5) 104(54.7) 아침식사는 항상 하는가 가끔 먹는다 11(19.0) 21(23.3) 11(26.2) 43(22.6) 거의 먹지 않는다 16(27.6) 21(23.3) 6(14.3) 43(22.6) 2.81 항상 배부르게 먹는다 11(19.0) 32(35.6) 14(33.3) 57(30.0) 평소 한끼 식사량 적당히 알맞게 먹는다 35(60.3) 51(56.7) 28(66.7) 114(60.0) 15.27** 적게 먹는 편이다 12(20.7) 7(7.8) 0(0) 19(10.0) **p<.01,***p<.001;ns:유의수준.05에서 유의하지 않음 - 16 -
2)간식 섭취 습관 BMI분포에 따른 간식 섭취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1일 평균 간식 섭취 횟수는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 으며,조사대상자의 42.6%가 간식섭취가 0 1회, 2회 37.4%, 3회 가 37%, 4회 이상 이 5.8%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주희(2008)선행연구에서의 결과 1회 37.7%, 2회 28.8% 였으며,본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주로 먹는 간식 의 경우,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간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조사대상자의 34.2%가 과자류를 간식으로 주고 먹으며, 우유/유제품이 23.7%,빵이18.9%,과일류가 16.8%,청량음료가 6.3% 순으 로 나타났다. 취침 전에 간식을 먹는가 와 먹고 싶은 충동을 참기 어려운가 라는 질 문에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전체적으로 취침 전에 가끔 간식을 먹는다 로 응답한 비율이 51.6%, 거의 먹지 않는 다 37.9%, 항상 먹는다 10.5% 순으로 나타났다. - 17 -
표 6.BMI분포에 따른 간식 섭취 저체중 (18.5미만) BMI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 22.9) (23이상) 합계 χ 2 0~1회 21(36.2) 38(42.2) 22(52.4) 81(42.6) 1일 평균 간식 횟수 2회 23(39.7) 35(38.9) 13(31.0) 71(37.4) 3회 14(24.1) 17(18.9) 7(16.7) 38(20.0) 4회 이상 4(6.9) 6(6.7) 1(2.4) 11(5.8) 3.81 청량음료 2(3.4) 4(4.4) 6(14.3) 12(6.3) 주로 먹는 간식 과일류 14(24.1) 14(15.6) 4(9.5) 32(16.8) 과자류 20(34.5) 33(36.7) 12(28.6) 65(34.2) 빵 10(17.2) 18(20.0) 8(19.0) 36(18.9) 10.08 우유/유제품 12(20.7) 21(23.3) 12(28.6) 45(23.7) 취침 전에 간식을 먹는가 먹고 싶은 충동을 참기 어려운가 항상 먹는다 7(12.1) 11(12.2) 2(4.8) 20(10.5) 가끔 먹는다 30(51.7) 49(54.4) 19(45.2) 98(51.6) 거의 먹지 않는다 21(36.2) 30(33.3) 21(50.0) 72(37.9) 매우 그렇다 10(17.2) 16(17.8) 5(11.9) 31(16.3) 대체로 그렇다 32(55.2) 51(56.7) 19(45.2) 102(53.7) 그렇지 않다 16(27.6) 23(25.6) 18(42.9) 57(30.0) 4.21 4.17 NS:유의수준.05에서 유의하지 않음 - 18 -
3)외식,편의 및 가공식품의 이용실태와 인식 BMI분포에 따른 외식의 종류,편의식품에 대한 인식 및 인스턴트 식품 의 이용실태에 대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밖에서 혼자 주로 사먹는 음식 에 대해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전체적으로 면류 36.3%,햄버거류 32.6%,돈까스류 18.4%,밥류 12.6% 순으로,중학생들이 인스턴트 식품에 익숙하다는 것을 타나내었다.본 조사결과는 이경원(2008)의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였다. 편의 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단 간 에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좋다 고 응답한 경우는 1명(0.5%)밖에 없었으며, 보통이다 와 나쁘다 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46.8%,52,6%로 나타났다. 인스턴트 음식을 자주 먹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BMI분포에 따른 체중집 단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전체적으로 가끔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5.3%, 예 22.6%, 아니오 12.1%순으로 응답하였다. - 19 -
표 7.BMI분포에 따른 외식,편의 및 가공식품의 이용실태와 인식 BMI 저체중 (18.5미만) 정상체중 (18.5 22.9) 과체중/비만 (23이상) 합계 χ 2 밥류 9(15.5) 11(12.2) 4(9.5) 24(12.6) 밖에서 혼자 주로 사먹는 음식 햄버거류 22(37.9) 30(33.3) 10(23.8) 62(32.6) 돈까스 9(15.5) 12(13.3) 14(33.3) 35(18.4) 9.07 면류 18(31.0) 37(41.1) 14(33.3) 69(36.3) 편의식품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가 좋다 1(1.7) 0(0) 0(0) 1(0.5) 보통이다 28(48.3) 39(43.3) 22(52.4) 89(46.8) 나쁘다 29(50.0) 51(56.7) 20(47.6) 100(52.6) 3.37 가공식품/ 인스턴트 식품을 자주 먹는가 예 11(19.0) 23(25.6) 9(21.4) 43(22.6) 가끔 41(70.7) 54(60.0) 29(69.0) 124(65.3) 아니오 6(10.3) 13(14.4) 4(9.5) 23(12.1) 2.08 NS:유의수준.05에서 유의하지 않음. - 20 -
4.조사 대상자의 식품섭취량 성별과 BMI의 분포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량 분석결과는 표 8에 서부터 표 19에 나타내었다. 탄수화물 식품의 경우 성별에 따른 식품섭취량은 표 8과 표 9에 제시하 였고,쌀밥과 라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나,쌀밥과 라면을 제외한 탄 수화물 식품과 BMI분포에 따른 식품섭취량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쌀밥 의 경우 남학생 51.0%,여학생 61.7%가 보통 으로 섭취하고 있었으며,라 면의 경우도 남학생 56.3%,여학생 64.9%가 보통 으로 섭취하고 있다고 응 답하였다.김명희(2005)의 연구 결과에서도 쌀밥의 보통 섭취 응답이 남학 생 66.3%,여학생 71.9% 였으며,라면의 경우에서도 남학생 56.2%,여학생 67.8%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단백질 식품의 성별과 BMI분포에 따른 섭취량은 표 10,표11에 제시하 였다.단백질 식품은 BMI분포에 따른 식품섭취량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른 식품섭취량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두부의 경우 남학 생 27.1%,여학생 13.8%가 이상 으로 응답했으며,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유의하지는 않았지만,콩자반은 남학생 62.5%,여학생 75.5%,두유는 남학생 68.8%,여학생72.3%로 50%가 넘는 것으로 보아,제한적이지만 싫어하는 경향이 보인다고 사료된다, 쇠고기의 경우 이상 으로 남학생 21.9%,여학생 2.1%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섭취량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쇠갈비의 경우에도 남학생 24%,여학생5.3% 로 남학생의 섭취량이 높았다.돼지고기 식품인 삼겹살과 햄에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삼겹살은 남학생 34.4%,여학생 14.9%이고,햄은 남학 생 573.%,여학생 31.9%가 이상 으로 응답하였으며,남학생의 섭취량이 많 았다. 단백질 식품 중 어류는 고등어와 오징어가 유의했고 다른 식품은 유의하지 않았다.고등어의 경우 남학생 21.9%,여학생 6.4%가 이상 이라 응답하였고,오징어도 남학생 19.8% 여학생 8.5%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 - 21 -
해 섭취량이 많았다.이것은 김명희(2005)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로 쇠고 기는 남학생 32.4%,여학생 11.9%,쇠갈비는 남학생 27.5%,여학생 9.0%, 삼겹살은 남학생 40.7%,여학생 19.3%,햄은 남학생 31.5%,여학생 15.8% 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섭취량을 나타냈다.제한적이지만 남학생 이 여학생에 비해 단백질 식품을 좀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성별과 BMI에 따른 채소와 해조류의 섭취량은 표 12,표 13에 제시하였 다.성별과 BMI에 따른 채소와 해조류의 식품섭취량은 시금치를 제외하고 는 유의하지는 않았다.성별에 따른 시금치의 경우 남학생 51.0%,여학생 66.0가 이하 로 응답하였고,BMI에 따른 분류에서는 제체중 집단이 67.2%, 정상체중 집단이 52.2%,과체중/비만 집단이 59.5%로 응답한 것으로 보아 제한적이지만 남학생,여학생이 채소류와 해조류를 싫어하는 경향을 보인 다고 사료된다. 성별과 BMI분포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량은 표 14와 표 15에 제시하였 다.성별과 BMI분포에 따른 섭취량은 유의하지는 않았다.제한적이지만 귤의 경우 저체중집단 32.8%,정상체중 28.6% 과체중/비만 집단 16.7%,수 박의 경우도 저체중집단 51.7%, 정상체중이 41.1%, 과체중/비만집단이 42.9%로 나타났다.제한적이지만 BMI분포의 저체중 집단이 다른 집단보 다 과일 섭취량이 많다고 사료되어 진다. 성별과 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량은 표 16과 표 17에 제시하였 다.성별과 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량은 유의하지 않았다.참기름 과 식용유에서 남학생 59.4%,60.4% 여학생 58.5%,58.5%가 보통 으로 응 답했으며,마요네즈는 남학생 78.1%,여학생 66.0%가 이하 로 응답하였다. 성별과 BMI분포에 따른 아이스크림,우유,콜라의 섭취량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제한적이지만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많이 섭취 하는 것으로 보여지고,BMI분포는 과체중/비만 집단의 섭취량이 높은 것 으로 사료된다, - 22 -
표 8.성별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량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쌀밥 (1공기) 잡곡밥 (1공기) 국수 (1그릇) 라면 (1그룻) 식빵(3쪽) 단팥빵 (1개) CAKE (1조각) 감자 (중1개) 사탕 (4개) 이하 11(11.5) 23(24.5) 34(17.9) 보통 49(51.0) 58(61.7) 107(56.3) 이상 36(37.5) 13(13.8) 49(25.8) 이하 23(24.0) 27(28.7) 50(26.3) 보통 48(50.0) 50(53.2) 98(51.6) 이상 21(26.0) 17(18.1) 42(22.1) 이하 50(52.1) 44(46.8) 94(49.5) 보통 35(36.5) 41(43.6) 76(40.0) 이상 11(11.5) 9(9.6) 20(10.5) 이하 16(16.7) 22(23.4) 38(20.0) 보통 54(56.3) 61(64.9) 111(60.5) 이상 26(27.1) 11(11.7) 37(19.5) 이하 52(54.2) 43(45.7) 95(50.0) 보통 33(34.4) 36(38.3) 69(36.3) 이상 11(11.5) 15(16.0) 26(13.7) 이하 68(70.8) 72(76.6) 140(73.7) 보통 19(19.8) 20(21.3) 39(20.5) 이상 9(9.4) 2(2.1) 11(5.8) 이하 66(68.8) 55(58.5) 121(63.7) 보통 21(21.9) 26(27.7) 47(24.7) 이상 9(9.4) 13(13.8) 22(11.6) 이하 48(50.0) 50(53.2) 98(51.6) 보통 32(33.3) 33(35.1) 65(34.2) 이상 16(16.7) 11(11.7) 27(14.2) 이하 56(58.3) 49(52.1) 105(55.3) 보통 28(29.2) 28(29.8) 56(29.5) 이상 12(12.5) 17(18.1) 29(15.3) 15.76*** 1.86 1.04 7.43* 1.58 4.57 2.23 0.96 1.31 *p<.05,***p<.001, - 23 -
표 9BMI분포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량 쌀밥 (1공기) 잡곡밥 (1공기) 국수 (1그릇) 라면 (1그룻) 식빵(3쪽) 단팥빵(1개) CAKE (1조각) 감자(중1개) 사탕(4개) 구분 저체중 (18.5미만) BMI 정상체중 (18.5~22.9) 과체중/비만 (23이상) 이하 10(17.2) 16(17.8) 8(19.0) 보통 39(67.2) 46(51.1) 22(52.4) 이상 9(15.5) 28(31.1) 12(28.6) 이하 15(25.9) 28(31.1) 7(16.7) 보통 35(60.3) 42(46.7) 21(50.0) 이상 8(13.8) 20(22.2) 14(33.3) 이하 30(51.7) 41(45.6) 23(54.8) 보통 21(36.2) 40(44.4) 15(35.7) 이상 7(12.1) 9(10.0) 4(9.5) 이하 10(17.2) 22(24.4) 6(14.3) 보통 37(63.8) 51(56.7) 27(64.3) 이상 11(19.0) 17(18.9) 9(21.4) 이하 28(48.3) 42(46.7) 25(59.5) 보통 21(36.2) 34(37.8) 14(33.3) 이상 9(15.5) 12(15.6) 3(7.1) 이하 44(75.9) 64(71.1) 32(76.2) 보통 10(17.2) 21(23.3) 8(19.0) 이상 4(6.9) 5(5.6) 2(4.8) 이하 33(56.9) 54(60.0) 34(81.0) 보통 18(31.0) 22(24.4) 7(16.7) 이상 7(12.1) 14(15.6) 1(2.4) 이하 27(46.6) 47(52.2) 24(57.1) 보통 25(43.1) 25(27.8) 15(35.7) 이상 6(10.3) 18(20.0) 3(7.1) 이하 35(60.3) 46(51.1) 24(57.1) 보통 15(25.9) 28(31.1) 13(31.0) 이상 8(13.8) 16(17.8) 5(11.9) x² 5.31 7.79 1.62 2.32 2.84 1.06 8.93 7.21 1.71-24 -
표 10.성별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두부(1/4모) 콩자반(20g) 두유(200g) 된장(1큰술) 쇠고기(40g) 쇠갈비(1대) 삼겹살(40g) 햄(2쪽) 달걀(중1개) 이하 12(12.5) 23(24.5) 35(18.4) 보통 58(60.4) 58(61.7) 116(61.1) 이상 26(27.1) 13(13.8) 39(20.5) 이하 60(62.5) 71(75.5) 131(68.9) 보통 29(30.2) 18(19.1) 47(24.7) 이상 7(7.3) 5(5.3) 12(6.3) 이하 66(68.8) 68(72.3) 134(70.5) 보통 20(20.8) 21(22.3) 41(21.6) 이상 10(10.4) 5(5.3) 15(7.9) 이하 22(22.9) 27(28.7) 49(25.8) 보통 55(57.3) 55(58.5) 110(57.9) 이상 19(19.8) 12(12.8) 31(16.3) 이하 43(44.8) 53(56.4) 96(50.5) 보통 32(33.3) 39(41.5) 71(37.4) 이상 21(21.9) 2(2.1) 23(12.1) 이하 45(46.9) 58(61.7) 103(54.2) 보통 28(29.2) 31(33.0) 59(31.1) 이상 23(24.0) 5(5.3) 28(14.7) 이하 11(11.5) 24(25.5) 35(18.4) 보통 52(54.2) 56(59.6) 108(56.8) 이상 33(34.4) 14(14.9) 47(24.7) 이하 11(11.5) 23(24.5) 34(17.9) 보통 30(31.3) 41(43.6) 71(37.4) 이상 55(57.3) 30(31.9) 85(44.7) 이하 9(9.4) 9(9.6) 18(9.5) 보통 47(49.0) 53(56.4) 100(52.6) 이상 40(41.7) 32(34.0) 72(37.9) 7.77* 3.81 1.70 2.07 17.41*** 13.35*** 12.64** 13.27*** 1.23 *p<.05,**p<0.01,**p<.001, - 25 -
표 10.성별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 (계속)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고등어 (1토막) 조기 (1토막) 멸치 (한접시) 오징어 (100g) 젓갈 (2쪽) *p<.05,**p<0.01,**p<.001, 이하 33(34.4) 43(45.7) 76(40.0) 보통 42(43.8) 45(47.9) 87(45.8) 이상 21(21.9) 6(6.4) 27(14.2) 이하 53(55.2) 50(53.2) 103(54.2) 보통 27(28.1) 34(36.2) 61(32.1) 이상 16(16.7) 10(10.6) 26(13.7) 이하 44(45.8) 51(54.3) 95(50.0) 보통 40(41.7) 38(40.4) 78(41.1) 이상 12(12.5) 5(5.3) 17(8.9) 이하 26(27.1) 36(38.3) 62(32.6) 보통 51(53.1) 50(53.2) 101(53.2) 이상 19(19.8) 8(8.5) 27(14.2) 이하 58(60.4) 69(73.4) 127(66.8) 보통 31(32.3) 18(19.1) 49(25.8) 이상 7(7.3) 7(7.4) 12(7.4) 9.73** 2.25 3.43 6.08* 4.38-26 -
표 11.BMI분포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 두부(1/4모) 콩자반(20g) 두유(200g) 된장(1큰술) 쇠고기(40g) 쇠갈비(1대) 삼겹살(40g) 햄(2쪽) 달걀(중1개) BMI 구분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미만) (18.5~22.9) (23이상) 이하 16(27.6) 15(16.7) 4(9.5) 보통 32(55.2) 54(60.0) 30(71.4) 이상 10(17.2) 21(23.3) 8(19.0) 이하 37(63.8) 64(71.1) 30(71.4) 보통 16(37.6) 22(24.4) 9(21.4) 이상 5(8.6) 4(4.4) 3(7.1) 이하 42(72.4) 64(71.1) 28(66.7) 보통 12(20.7) 20(22.2) 9(21.4) 이상 4(6.9) 6(6.7) 5(11.9) 이하 21(36.2) 21(23.3) 7(16.7) 보통 29(50.0) 55(61.1) 26(61.9) 이상 8(13.8) 14(15.6) 9(21.4) 이하 29(50.0) 41(45.6) 26(61.9) 보통 24(41.4) 36(40.0) 11(26.2) 이상 5(8.6) 13(14.4) 5(11.9) 이하 34(58.6) 42(46.7) 27(64.3) 보통 19(32.8) 30(33.3) 10(23.8) 이상 5(8.6) 18(20.0) 5(11.9) 이하 13(22.4) 17(18.9) 5(11.9) 보통 34(58.6) 45(50.0) 29(69.0) 이상 11(19.0) 28(31.1) 8(19.0) 이하 11(19.0) 17(18.9) 6(14.3) 보통 27(46.6) 27(30.0) 17(40.5) 이상 20(34.5) 46(51.1) 19(45.2) 이하 2(3.4) 13(14.4) 3(7.1) 보통 31(53.4) 47(52.2) 22(52.4) 이상 25(43.1) 30(33.3) 17(40.5) x² (p-value) 6.38 1.73 1.26 5.84 4.33 6.25 6.16 5.30 5.81-27 -
표 11.BMI분포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량 (계속) 고등어 (1토막) 조기 (1토막) 멸치 (한접시) 오징어 (100g) 젓갈 (2쪽) BMI 구분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미만) (18.5~22.9) (23이상) 이하 21(36.2) 37(41.1) 18(42.9) 보통 28(48.3) 40(44.4) 19(45.2) 이상 9(15.5) 13(14.4) 5(11.9) 이하 26(44.8) 54(60.0) 23(54.8) 보통 23(43.1) 25(27.8) 11(26.2) 이상 7(12.1) 11(12.2) 8(19.0) 이하 27(46.6) 49(54.4) 19(45.2) 보통 24(41.4) 37(41.1) 17(40.5) 이상 7(12.1) 4(4.4) 6(14.3) 이하 21(36.2) 29(32.2) 12(28.6) 보통 31(53.4) 49(54.4) 21(50.0) 이상 6(10.3) 12(13.3) 9(21.4) 이하 39(67.2) 59(65.6) 29(69.0) 보통 16(27.6) 22(24.4) 11(26.2) 이상 3(5.2) 9(10.0) 2(4.8) x² (p-value) 0.67 5.80 4.70 2.75 1.81-28 -
표 12.성별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량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시금치 우엉 콩나물 오이 호박 당근 마늘 버섯류 양파 파 배추김치 깍두기 *p<.05,**p<0.01,***p<.001 이하 49(51.0) 62(66.0) 111(58.4) 보통 44(45.8) 27(28.7) 71(37.4 이상 3(3.1) 5(5.3) 8(4.2) 이하 67(69.8) 76(80.9) 143(75.3) 보통 28(29.3) 16(17.0) 44(23.2) 이상 1(1.0) 2(2.1) 3(1.6) 이하 20(20.8) 24(25.5) 44(23.2) 보통 58(60.4) 57(60.6) 115(60.5) 이상 18(18.8) 13(13.8) 31(16.3) 이하 30(31.3) 29(30.9) 59(31.1) 보통 51(53.1) 47(50.0) 98(51.6) 이상 15(15.6) 18(19.1) 33(17.4) 이하 62(64.6) 56(59.6) 118(62.1) 보통 27(28.1) 27(28.7) 54(28.4) 이상 7(7.3) 11(11.7) 18(9.5) 이하 61(63.5) 65(69.1) 126(66.3) 보통 31(32.3) 25(26.6) 56(29.5) 이상 4(4.2) 4(4.3) 8(4.2) 이하 31(32.3) 40(42.6) 71(37.4) 보통 50(52.1) 47(50.0) 97(51.1) 이상 15(15.6) 7(7.4) 22(11.6) 이하 57(59.4) 50(53.2) 107(56.3) 보통 33(34.4) 34(36.2) 67(35.3) 이상 6(6.3) 10(10.6) 16(8.4) 이하 13(13.5) 16(17.0) 29(15.3) 보통 47(49.0) 56(59.6) 103(54.2) 이상 36(37.5) 22(23.4) 58(30.5) 이하 24(25.0) 34(36.2) 58(30.5) 보통 46(47.9) 45(47.9) 91(47.9) 이상 26(27.1) 15(16.0) 41(21.6) 6.07* 4.15 1.16 0.43 1.17 0.75 4.12 1.45 4.46 4.66-29 -
표 12.성별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량 (계속)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미역 김(1장,8조각) 이하 53(55.2) 45(47.9) 98(51.6) 보통 36(37.5) 42(44.7) 78(41.1) 이상 7(7.3) 7(7.4) 14(7.4) 이하 21(21.9) 20(21.3) 41(21.6) 보통 39(40.6) 49(52.1) 88(46.3) 이상 36(37.5) 25(26.6) 61(32.1) 1.10 3.12-30 -
표 13BMI분포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량 구분 저체중 BMI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미만) (18.5~22.9) (23이상) 시금치 이하 39(67.2) 47(52.2) 25(59.5) 보통 18(31.0) 37(41.1) 16(3.1) 이상 1(1.7) 6(6.7) 1(2.4) 우엉 이하 50(86.2) 64(71.1) 29(69.0) 보통 7(12.1) 24(26.7) 13(31.0) 이상 1(1.7) 2(2.2) 0(0) 콩나물 이하 15(25.9) 18(20.0) 11(26.2) 보통 34(58.6) 59(65.6) 22(52.4) 이상 9(15.5) 13(14.4) 9(21.4) 오이 호박 이하 16(27.6) 29(32.2) 14(33.3) 보통 32(55.2) 47(52.2) 19(45.2) 이상 10(17.2) 14(15.6) 9(21.4) 당근 이하 33(56.9) 56(62.2) 29(69.0) 보통 16(27.6) 27(30.0) 11(26.2) 이상 9(15.5) 7(7.8) 2(4.8) 마늘 이하 39(67.2) 61(67.8) 26(61.9) 보통 15(25.9) 27(30.0) 14(33.3) 이상 4(6.9) 2(2.2) 2(4.8) 버섯류 이하 23(39.7) 33(36.7) 15(35.7) 보통 30(51.7) 46(51.1) 21(50.0) 이상 5(8.6) 11(12.2) 6(14.3) 양파 파 이하 32(55.2) 53(58.9) 22(52.4) 보통 20(34.5) 30(33.3) 17(40.5) 이상 6(10.3) 7(7.8) 3(7.1) 배추김치 이하 6(10.3) 17(18.9) 6(14.3) 보통 33(56.9) 49(54.4 21(50.0) 이상 19(32.8) 24(26.7) 15(35.7) 깍두기 이하 17(29.3) 28(31.1) 13(31.0) 보통 29(50.0) 42(46.7) 20(47.6) 이상 12(20.7) 20(22.2) 9(21.4) 미역 이하 29(50.0) 49(54.4) 20(47.6) 보통 21(36.2) 36(40.0) 21(50.0) 이상 8(13.8) 5(5.6) 1(2.4) 이하 13(22.4) 19(21.1) 9(21.4) 김(1장,8조각) 보통 28(48.3) 41(45.6) 19(45.2) 이상 17(29.3) 30(33.3) 14(33.3) x² 4.81 6.91 2.50 1.38 4.24 2.51 0.87 1.04 2.84 0.16 6.54 0.30-31 -
표 14.성별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량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사과 (중1/2개) 귤(중1개) 포도(19알) 수박(1조각) 감(중1개) 토마토 (중1개) 배(1/4개) 딸기(8개) 이하 27(28.1) 34(36.2) 61(32.1) 보통 38(39.6) 30(31.9) 68(35.8) 이상 31(32.3) 30(31.9) 61(32.1) 이하 43(44.8) 38(40.4) 81(42.6) 보통 27(28.1) 30(31.9) 57(30.0) 이상 26(27.1) 26(27.7) 52(27.4) 이하 26(27.1) 24(25.5) 50(26.3) 보통 44(45.8) 41(43.6) 85(44.7) 이상 26(27.1) 29(30.9) 55(28.9) 이하 12(12.5) 18(19.1) 30(15.8) 보통 38(39.6) 37(39.4) 75(39.5) 이상 46(47.9) 39(41.5) 85(44.7) 이하 51(53.1) 53(56.4) 104(54.7) 보통 27(28.1) 27(28.7) 54(28.4) 이상 18(18.8) 14(14.9) 32(16.8) 이하 33(34.4) 27(28.7) 60(31.6) 보통 35(36.5) 34(36.2) 63(36.3) 이상 28(29.2) 33(35.1) 61(32.1) 이하 31(32.3) 32(34.0) 63(33.2) 보통 38(39.6) 45(47.9) 83(43.7) 이상 27(28.1) 17(18.1) 44(23.2) 이하 44(45.8) 37(39.4) 81(42.6) 보통 23(24.0) 28(29.8) 51(26.8) 이상 29(30.2) 29(30.9) 58(30.5) 1.74 0.45 0.33 1.77 0.52 1.01 2.89 1.07-32 -
표 15.BMI분포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량 구분 저체중 BMI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x² (18.5미만) (18.5~22.9) (23이상) 사과 (중1/2개) 귤(중1개) 포도(19알) 수박(1조각) 감(중1개) 토마토 (중1개) 배(1/4개) 딸기(8개) 이하 16(27.6) 29(32.2) 16(38.1) 보통 22(37.9) 33(36.7) 13(31.0) 이상 20(34.5) 28(31.1) 13(31.0) 이하 19(32.8) 37(41.1) 25(59.5) 보통 20(34.5) 27(30.0) 10(23.8) 이상 19(32.8) 26(28.6) 7(16.7) 이하 9(15.5) 30(33.3) 11(26.2) 보통 28(48.3) 39(43.3) 18(42.9) 이상 21(36.2) 21(23.3) 13(31.0) 이하 8(13.8) 16(17.8) 6(14.3) 보통 20(34.5) 37(41.1) 18(42.9) 이상 30(51.7) 37(41.1) 18(42.9) 이하 30(51.7) 48(53.3) 26(61.9) 보통 17(29.3) 25(27.8) 12(28.6) 이상 11(19.0) 17(18.9) 4(9.5) 이하 10(17.2) 36(40.0) 14(33.3) 보통 25(43.1) 27(30.0) 17(40.5) 이상 23(39.7) 27(30.0) 11(26.2) 이하 12(20.7) 35(38.9) 16(38.1) 보통 33(56.9) 32(35.6) 18(42.9) 이상 13(22.4) 23(25.6) 8(19.0) 이하 23(39.7) 37(41.1) 21(50.0) 보통 15(25.9) 25(27.8) 11(26.2) 이상 20(34.5) 28(31.1) 10(23.8) 1.35 7.56 6.58 1.91 2.27 9.37 8.15 1.69-33 -
표 16성별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량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참기름 (1작은술) 식용류 (1작은술) 마요네즈 (1.5작은술) 이하 25(26.0) 28(29.8) 53(27.9) 보통 57(59.4) 55(58.5) 112(58.9) 이상 14(14.6) 11(11.7) 25(13.2) 이하 21(21.9) 27(28.7) 48(25.3) 보통 58(60.4) 55(58.5) 113(59.5) 이상 17(17.7) 12(12.8) 29(15.3) 이하 75(78.1) 62(66.0) 137(72.1) 보통 17(17.7) 27(28.7) 44(23.2) 이상 4(4.2) 5(5.3) 9(4.7) 0.55 1.67 3.60 표 17.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량 참기름 (1작은술) 식용류 (1작은술) 마요네즈 (1.5작은술) 구분 저체중 BMI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미만) (18.5~22.9) (23이상) 이하 14(24.1) 25(27.8) 14(33.3) 보통 35(60.3) 54(60.0) 23(54.8) 이상 9(15.5) 11(12.2) 5(11.9) 이하 15(25.9) 23(25.6) 10(23.8) 보통 33(56.9) 54(60.0) 26(61.9) 이상 10(17.2) 13(14.4) 6(14.3) 이하 42(74.4) 65(72.2) 30(71.4) 보통 14(24.1) 20(22.2) 10(23.8) 이상 2(3.4) 5(5.6) 2(4.8) x² 1.26 0.37 0.40-34 -
표 18성별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량의 섭취량 구분 남자 여자 합계 χ 2 아이스크림 (1개) 우유(1컵) 콜라(1캔) 이하 12(12.5) 19(20.2) 31(16.3) 보통 46(47.9) 41(43.6) 87(45.8) 이상 38(39.6) 34(36.2) 72(37.9) 이하 10(10.4) 14(14.9) 24(12.6) 보통 26(27.1) 33(35.1) 59(31.1) 이상 60(62.5) 47(50.0) 107(56.3 이하 25(26.0) 41(43.6) 66(34.7) 보통 45(46.9) 36(38.3) 81(42.6) 이상 26(27.1) 17(18.1) 43(22.6) 2.07 3.06 6.74 표 19.BMI분포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량 아이스크림 (1개) 우유(1컵) 콜라(1캔) 구분 저체중 BMI 정상체중 과체중/비만 (18.5미만) (18.5~22.9) (23이상) 이하 8(13.8) 16(17.8) 7(16.7) 보통 29(50.0) 37(41.1) 21(50.0) 이상 21(36.2) 37(41.1) 14(33.3) 이하 8(13.8) 11(12.2) 5(11.9) 보통 20(34.5) 27(30.0) 12(28.6) 이상 30(51.7) 52(57.8) 25(59.5) 이하 20(34.5) 32(35.6) 14(33.3) 보통 25(43.1) 39(43.3) 17(40.5) 이상 13(22.4) 19(21.1) 11(26.2) x² 1.69 0.76 0.43-35 -
5.조사 대상자의 식품섭취빈도 성별과 따른 식품섭취빈도와 BMI분포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는 표 20에 서부터 표 31에 제시하였고 전체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성별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 섭취 빈도표 20에 제시하였다.성별에 따른 식품 섭취빈도에서 쌀밥과 라면,식빵이 유의하였고,쌀밥과 라면은 남학생 에 비해 여학생이 높은 섭취 빈도를 나타냈으나 식빵은 남학생의 섭취빈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BMI분포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는 표 21에 제시 하였다.전체적으로 BMI분포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는 유의하지 않았다.탄 수화물 식품의 섭취빈도는 전체적으로 정상체중이 저체중과 과체중/비만 집단보다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쌀밥의 경우 과체중/비만지단과 저 체중이 비슷한 빈도를 보였으나 정상체중과는 차이를 보였다.잡곡밥의 경 우 저체중,정상체중의 빈도가 높았으나 과체중/비만 집단은 낮았다.비만 체중이 정상체중에 비해 잡곡밥을 기피한다고 사료된다.국수는 3집단의 빈도차이는 유사했으나,라면의 경우 저체중 집단이 섭취 빈도가 높았다. 식빵,단팥빵,CAKE,사탕은 저체중 집단에서 섭취빈도가 낮았으며 과체 중/비만 집단에서 섭취빈도가 높았다.과체중집단이 저체중집단보다 단 음 식을 선호한다고 사료된다. 성별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빈도는 표 22에 제시 하였으나,전체적 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식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이 되는 콩 제품 중 두부 의 경우 여학생 6.2회,남학생이 5.1회로 여학생이 높은 두부의 섭취를 나 타냈다(P<.05).콩자반과 두유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여학생의 섭취 빈도 가 높았다.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된장은 섭취빈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동물성 단백질의 공급에서 삼겹살과 햄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삼겹살의 경우 남학생 5.8회,여학생 7.51회,햄은 남학생 4.9회 여학생 6.3 회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섭취빈도를 나타냈다.쇠고기,쇠갈비,달 걀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남학생과 여학생의 섭취빈도에 큰 차이 - 36 -
는 없었다.어류인 고등어,조기,멸치,오징어는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육류에 비해 높은 섭취빈도를 보였다.BMI분포에 따른 콩 어류 육류식 품의 섭취빈도는 표 23에 제시하였다.콩을 이용한 식품에서 저체중 집단 의 섭취빈도가 높았고,과체중/비만집단의 섭취 빈도가 낮았다.제한적이나 저체중집단이 과체중/비만집단에 비해 단백질 음식을 선호한다고 사료된 다.육류식품은 과체중/비만 집단에서 섭취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와 삼겹살의 경우 과체중/비만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섭취 빈도가 높았다.어류식품은 정상체중 집단이 섭취빈도가 높았다.제한적이나 저체 중과 정상체중 집단이 단백질 식품을 더 선호하여 섭취하고,과체중/비만 집단은 지방 식품을 더 선호한다고 사료되어 진다. 성별에 따른 채소 해조류 식품의 섭취빈도는 표 24에 제시하였다.남학 생,여학생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섭취빈도가 높았다.BMI분포에 따른 채소 해조류의 섭취 빈도는 표 25에 제시하였다.BMI와 섭취빈도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저체 중,정상체중집단이 과체중/비만집단에 비해 섭취빈도가 높았다.제한적이 지만 식이 섬유소는 포함하고 있는 식품류에서는 과체중/비만집단이 저체 중,정상체중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은 것으로 보아 선호하지 않는다고 사 료된다. 성별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빈도는 표 26에 제시하였으나 토마토를 제외 한 나머지는 유의적이지는 않았다.토마토는 남학생 8.5회,여학생 6.9회로 남학생의 섭취 빈도가 높았으며(p<.05),토마토를 제외한 과일에서도 여학 생보다 남학생의 섭취가 높았다.BMI분포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 빈도는 표 27에 제시하였다.귤의 섭취빈도는 제체중과 정상체중에 비해 과체중/ 비만 집단의 섭취 빈도가 높았으며 BMI와 섭취빈도와의 관계도 유의적이 었다(p<.05).포도의 섭취빈도는 정상체중 집단이 섭취 빈도가 높았으며, BMI와 섭취빈도와의 관계도 유의적이었다(p<.05).감의 섭취 빈도는 과체 - 37 -
중/비만 집단의 섭취 빈도가 높았으며 BMI와 섭취빈도와의 관계도 유의적 이었다(p<.05).토마도의 섭취 빈도는 과체중/비만집단과 정상체중 집단의 섭취빈도가 높았으며,BMI와 섭취빈도와의 관계도 유의적이었다(p<.05). 배의 섭취 빈도는 정상체중 집단이 섭취 빈도가 높았으며,BMI와 섭취빈 도와의 관계도 유의적이었다(p<.05).제한적이지만 사과,귤,감,토마토,딸 기의 섭취 빈도가 과체중/비만 집단의 섭취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저체 중과 정상체중 집단이 과체중/비만 집단에 비해 과일섭취가 부족하고,과 체중집단이 과일을 더 선호 한다고 사료되어진다. 성별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 빈도는 표 28에 제시하였다.지방을 함유하 고 있는 유지류 중 참기름,식용유,마요네즈의 성별에 따른 섭취빈도 유의 적인 차이는 없었지만,참기름과 식용유에 비해,마요네즈의 섭취빈도가 남 학생,여학생 모두 섭취빈도가 높았다.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 빈 도는 표 29에 제시하였다.유지류의 섭취빈도와 BMI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비만 집단에서의 섭취빈도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아이스크림,우유,콜라의 섭취빈도는 표 30에 제시하였다. 아이스크림,우유,콜라의 섭취빈도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섭취빈도가 높았으나,전반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BMI분포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빈도는 표 31에 제시하였다.아이스크림,우유,콜라의 섭취빈도는 정상체중 집단에서 높으나 BMI와 섭취빈도와의 관계는 유의 적이지 않았다. - 38 -
표 20.성별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빈도 식 품 성별 M ± SD t값 쌀밥 (1공기) 잡곡밥 (1공기) 국수 (1그릇) 라면 (1그룻) 식빵(3쪽) 단팥빵(1개) CAKE (1조각) 감자(중1개) 사탕(4개) *p<.05, ***p<.001 남자 1.64± 2.93 여자 3.59± 4.67 남자 4.69± 4.92 여자 3.91± 4.31 남자 9.36± 4.92 여자 8.81± 4.81 남자 5.05± 3.44 여자 6.22± 4.05 남자 8.43± 4.88 여자 6.89± 4.35 남자 11.47± 4.12 여자 12.09± 3.74 남자 12.7± 3.20 여자 11.66± 4.07 남자 9.68± 4.69 여자 9.21± 4.69 남자 8.40± 5.13 여자 7.34± 5.02-3.45*** 1.16 0.77 2.10* 2.30* 1.08 1.96 0.69 1.45-39 -
표 21.BMI분포에 따른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빈도 식품 구분 M ± SD F 쌀밥 (1공기) 잡곡밥 (1공기) 국수 (1그릇) 라면 (1그룻) 식빵(3쪽) 단팥빵(1개) CAKE (1조각) 감자(중1개) 사탕(4개) 저체중(18.5미만) 3.08± 4.33 정상체중(18~22.9) 2.07± 3.24 과체중/비만(23이상) 3.10± 4.87 합계 2.60± 4.00 저체중(18.5미만) 4.11± 4.58 정상체중(18~22.9) 4.70± 4.80 과체중/비만(23이상) 3.71± 4.35 합계 4.30± 4.63 저체중(18.5미만) 8.86± 4.61 정상체중(18~22.9) 9.23± 4.95 과체중/비만(23이상) 9.10± 5.12 합계 9.09± 4.86 저체중(18.5미만) 6.22± 4.07 정상체중(18~22.9) 5.63± 3.91 과체중/비만(23이상) 4.80± 2.97 합계 5.63± 3.79 저체중(18.5미만) 6.72± 4.26 정상체중(18~22.9) 7.77± 4.70 과체중/비만(23이상) 8.75± 5.02 합계 7.67± 4.68 저체중(18.5미만) 12.21± 3.55 정상체중(18~22.9) 11.33± 4.28 과체중/비만(23이상) 12.13± 3.63 합계 11.77± 3.93 저체중(18.5미만) 11.78± 4.04 정상체중(18~22.9) 12.00± 3.98 과체중/비만(23이상) 13.14± 2.69 합계 12.18± 3.68 저체중(18.5미만) 9.09± 4.71 정상체중(18~22.9) 9.70± 4.69 과체중/비만(23이상) 9.42± 4.71 합계 9.45± 4.68 저체중(18.5미만) 7.75± 5.11 정상체중(18~22.9) 7.80± 5.05 과체중/비만(23이상) 8.20± 5.26 합계 7.87± 5.10 1.54 0.72 0.10 1.74 2.36 1.10 1.91 0.30 0.11-40 -
표 22.성별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빈도 식 품 성별 M ± SD t값 두부(1/4모) 콩자반(20g) 두유(200g) 된장(1큰술) 쇠고기(40g) 쇠갈비(1대) 삼겹살(40g) 햄(2쪽) 달걀(중1개) 고등어(1토막) 조기(1토막) 멸치(한접시) 오징어(100g) 젓갈(2쪽) *p<.05,**p<0.01 남자 5.10± 3.15 여자 6.21± 4.12 남자 9.74± 4.86 여자 10.58± 4.79 남자 10.45± 4.71 여자 11.12± 4.56 남자 6.10± 4.38 여자 6.07± 4.49 남자 8.52± 4.66 여자 8.74± 4.67 남자 10.47± 4.53 여자 10.79± 4.47 남자 5.83± 3.79 여자 7.51± 4.48 남자 4.91± 4.57 여자 6.31± 5.08 남자 3.76± 3.40 여자 3.71± 3.27 남자 7.44± 4.46 여자 7.50± 4.53 남자 9.69± 4.81 여자 9.01± 4.97 남자 7.18± 4.83 여자 7.32± 4.89 남자 7.09± 4.25 여자 7.39± 4.60 남자 10.77± 4.54 여자 11.25± 4.45-2.09* 1.19-1.00 0.05-0.34-0.48 2.79** -1.99* 0.99-0.88 0.95-0.21-0.47-0.74-41 -
표 23.BMI분포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빈도 식품 구분 M ± SD F 두부(1/4모) 콩자반(20g) 두유(200g) 된장(1큰술) 쇠고기(40g) 쇠갈비(1대) 삼겹살(40g) 햄(2쪽) 달걀(중1개) 저체중(18.5미만) 5.87±4.21 정상체중(18~22.9) 5.85± 3.73 과체중/비만(23이상) 4.92± 2.71 합계 5.65± 3.70 저체중(18.5미만) 10.10± 5.02 정상체중(18~22.9) 10.43± 4.67 과체중/비만(23이상) 9.64± 4.67 합계 10.16± 4.83 저체중(18.5미만) 10.83± 4.73 정상체중(18~22.9) 11.28± 4.67 과체중/비만(23이상) 9.64± 4.98 합계 10.78± 4.64 저체중(18.5미만) 6.53± 4.86 정상체중(18~22.9) 6.18± 4.24 과체중/비만(23이상) 5.26± 4.14 합계 6.08± 4.42 저체중(18.5미만) 7.89± 4.63 정상체중(18~22.9) 8.67± 4.57 과체중/비만(23이상) 9.57± 4.80 합계 8.63± 4.65 저체중(18.5미만) 7.05± 4.30 정상체중(18~22.9) 6.73± 4.32 과체중/비만(23이상) 5.98± 3.88 합계 6.66± 4.22 저체중(18.5미만) 9.78± 4.83 정상체중(18~22.9) 10.69± 4.43 과체중/비만(23이상) 11.68± 3.97 합계 10.63± 4.50 저체중(18.5미만) 5.85± 4.72 정상체중(18~22.9) 5.66± 4.84 과체중/비만(23이상) 5.14± 5.20 합계 5.60± 4.87 저체중(18.5미만) 3.61± 3.33 정상체중(18~22.9) 4.07± 3.38 과체중/비만(23이상) 3.18± 3.21 합계 3.73± 3.33 1.06 0.38 1.81 1.04 1.61 0.81 2.22 0.26 1.07-42 -
표 23.BMI분포에 따른 단백질 식품의 섭취빈도 (계속) 식품 구분 M ± SD F 고등어 (1토막) 조기(1토막) 멸치(한접시) 오징어(100g) 젓갈(2쪽) *p<.05 저체중(18.5미만) 7.53± 4.53 정상체중(18~22.9) 7.58± 4.50 과체중/비만(23이상) 7.17± 4.50 합계 7.47± 4.48 저체중(18.5미만) 8.41± 4.88 정상체중(18~22.9) 9.93± 4.80 과체중/비만(23이상) 9.43± 4.98 합계 9.35± 4.89 저체중(18.5미만) 5.92± 4.19 정상체중(18~22.9) 7.89± 4.96 과체중/비만(23이상) 7.71± 5.19 합계 7.25± 4.85 저체중(18.5미만) 7.54± 4.27 정상체중(18~22.9) 7.44± 4.61 과체중/비만(23이상) 6.37± 4.20 합계 7.24± 4.42 저체중(18.5미만) 10.72± 4.61 정상체중(18~22.9) 11.32± 4.45 과체중/비만(23이상) 10.73± 4.48 합계 11.01± 4.49 0.12 1.73 3.22* 1.05 0.40-43 -
표 24.성별에 따른 채소 해조류 식품의 섭취빈도 식 품 성별 M ± SD t값 시금치 우엉 콩나물 오이 호박 당근 마늘 버섯류 양파 파 배추김치 깍두기 미역 김(1장,8조각) *p<.05 남자 7.29±4.35 여자 8.58±4.92 남자 9.93±4.62 여자 11.03±4.56 남자 5.01±3.72 여자 5.34±3.81 남자 6.17±4.42 여자 5.79±4.50 남자 8.72±4.91 여자 8.67±5.42 남자 9.13±4.92 여자 8.53±5.09 남자 6.91±4.52 여자 7.13±4.70 남자 8.15±4.91 여자 7.51±5.23 남자 2.80±3.74 여자 3.47±3.96 남자 4.87±4.66 여자 5.44±4.52 남자 8.24±4.44 여자 8.05±4.74 남자 4.31±3.70 여자 5.45±4.10-1.91-1.65-0.60 0.59 0.06 0.82-0.33 0.88-1.20-0.85 0.29-2.01* - 44 -
표 25.BMI분포에 따른 채소 해조류 식품의 섭취빈도 식품 구분 M ± SD F 저체중(18.5미만) 8.44± 4.83 시금치 우엉 콩나물 오이 호박 당근 마늘 버섯류 양파 파 정상체중(18~22.9) 8.09± 4.65 과체중/비만(23이상) 6.87± 4.45 합계 7.93± 4.68 저체중(18.5미만) 10.78± 4.77 정상체중(18~22.9) 10.83± 4.47 과체중/비만(23이상) 9.26± 4.62 합계 10.47± 4.62 저체중(18.5미만) 5.12± 3.94 정상체중(18~22.9) 5.40± 3.83 과체중/비만(23이상) 4.76± 3.34 합계 5.17± 3.76 저체중(18.5미만) 5.98± 4.67 정상체중(18~22.9) 6.10± 4.27 과체중/비만(23이상) 5.73± 4.65 합계 5.98± 4.46 저체중(18.5미만) 7.65± 5.44 정상체중(18~22.9) 8.93± 5.02 과체중/비만(23이상) 9.63± 4.93 합계 8.69± 5.16 저체중(18.5미만) 8.58± 5.10 정상체중(18~22.9) 9.04± 5.00 과체중/비만(23이상) 8.74± 4.96 합계 8.83± 5.01 저체중(18.5미만) 7.10± 4.62 정상체중(18~22.9) 6.98± 4.60 과체중/비만(23이상) 6.99± 4.68 합계 7.02± 4.60 저체중(18.5미만) 7.64± 5.40 정상체중(18~22.9) 8.12± 4.50 과체중/비만(23이상) 7.49± 4.82 합계 7.83± 5.07 1.49 1.87 0.42 0.10 2.01 0.16 0.13 0.28-45 -
표 25.BMI분포에 따른 채소 해조류 식품의 섭취빈도 (계속) 식품 구분 M ± SD F 배추김치 깍두기 미역 김(1장,8조각) 저체중(18.5미만) 3.23± 4.22 정상체중(18~22.9) 3.07± 3.742 과체중/비만(23이상) 3.11± 3.63 합계 3.13± 3.85 저체중(18.5미만) 5.22± 4.18 정상체중(18~22.9) 5.24± 4.78 과체중/비만(23이상) 4.87± 4.81 합계 5.15± 4.59 저체중(18.5미만) 7.60± 4.64 정상체중(18~22.9) 8.94± 4.52 과체중/비만(23이상) 7.21± 4.42 합계 8.15± 4.58 저체중(18.5미만) 4.75± 3.55 정상체중(18~22.9) 5.17± 4.18 과체중/비만(23이상) 4.42± 3.94 합계 4.88± 3.94 0.31 0.10 2.67 0.57-46 -
표 26.성별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빈도 식 품 성별 M ± SD t값 사과 (중1/2개) 남자 7.46± 4.76 여자 7.32± 4.96 0.20 귤 (중1개) 남자 8.86± 4.77 여자 8.85± 5.13 0.02 포도 (19알) 남자 8.21± 5.10 여자 7.02± 5.36 1.57 수박 (1조각) 남자 6.43± 4.78 여자 5.56± 4.77 1.24 감 (중1개) 남자 10.64± 4.54 여자 10.45± 4.61 0.28 토마토 (중1개) 남자 8.56± 5.11 여자 6.94± 5.63 2.07* 배 (1/4개) 남자 9.23± 4.89 여자 8.39± 4.77 1.19 *p<.05 딸기 (8개) 남자 9.41± 4.82 여자 8.68± 5.07 1.02-47 -
표 27.BMI분포에 따른 과일류의 섭취빈도 식품 구분 M ± SD F 사과 (중1/2개) 귤(중1개) 포도(19알) 수박(1조각) 감(중1개) 토마토 (중1개) 배(1/4개) 딸기(8개) *p<.05 저체중(18.5미만) 6.78± 4.33 정상체중(18~22.9) 7.64± 4.98 과체중/비만(23이상) 7.69± 5.26 합계 7.39± 4.85 저체중(18.5미만) 7.80± 4.86 정상체중(18~22.9) 8.75± 5.02 과체중/비만(23이상) 10.52± 4.52 합계 8.85± 4.94 저체중(18.5미만) 6.24± 4.55 정상체중(18~22.9) 8.51± 5.25 과체중/비만(23이상) 7.61± 5.83 합계 7.62± 5.25 저체중(18.5미만) 5.14± 4.23 정상체중(18~22.9) 6.64± 5.00 과체중/비만(23이상) 5.82± 4.95 합계 6.00± 4.79 저체중(18.5미만) 9.34± 4.80 정상체중(18~22.9) 10.69± 4.57 과체중/비만(23이상) 11.88± 3.86 합계 10.54± 4.57 저체중(18.5미만) 6.28± 4.99 정상체중(18~22.9) 8.38± 5.41 과체중/비만(23이상) 8.46± 5.75 합계 7.76± 5.42 저체중(18.5미만) 7.53± 4.54 정상체중(18~22.9) 9.57± 4.85 과체중/비만(23이상) 8.98± 4.94 합계 8.82± 4.84 저체중(18.5미만) 8.28± 5.02 정상체중(18~22.9) 9.03± 4.91 과체중/비만(23이상) 10.13± 4.83 합계 9.04± 4.95 0.67 3.85* 3.38* 1.79 3.98* 3.16* 3.22* 1.73-48 -
표 28.성별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빈도 식 품 성별 M ± SD t값 참기름 (1작은술) 식용유 (1작은술) 마요네즈 (1.5작은술) 남자 5.04± 3.46 여자 5.82± 4.17 남자 5.12± 3.99 여자 5.75± 4.48 남자 11.42± 4.18 여자 10.31± 4.92-1.42-1.02 1.68 표 29.BMI분포에 따른 유지류의 섭취빈도 식품 구분 M ± SD F 참기름 (1작은술) 식용유 (1작은술) 마요네즈 (1.5작은술) 저체중(18.5미만) 5.90± 3.92 정상체중(18~22.9) 5.25± 3.87 과체중/비만(23이상) 5.15± 3.69 합계 5.43± 3.84 저체중(18.5미만) 5.49± 4.19 정상체중(18~22.9) 5.09± 4.05 과체중/비만(23이상) 6.07± 4.71 합계 5.43± 4.24 저체중(18.5미만) 10.09± 4.97 정상체중(18~22.9) 11.44± 4.21 과체중/비만(23이상) 10.74± 4.74 합계 10.87± 4.58 0.63 0.77 1.57-49 -
표 30.성별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의 섭취빈도 식 품 성별 M ± SD t값 아이스크림 (1개) 우유(1컵) 콜라(1캔) 남자 3.94± 3.31 여자 4.70± 4.41 남자 3.15± 4.33 여자 3.54± 4.20 남자 7.38± 5.45 여자 8.60± 5.65-1.34-0.63-1.52 표 31.BMI분포에 따른 아이스크림 우유 콜라 섭취빈도 식품 구분 M ± SD F 아이스크림 (1개) 우유(1컵) 콜라(1캔) 저체중(18.5미만) 4.06± 3.50 정상체중(18~22.9) 4.55± 4.25 과체중/비만(23이상) 4.18± 3.71 합계 4.32± 3.90 저체중(18.5미만) 3.20± 3.71 정상체중(18~22.9) 3.42± 4.26 과체중/비만(23이상) 3.37± 4.99 합계 3.34± 4.26 저체중(18.5미만) 8.03± 5.30 정상체중(18~22.9) 8.16± 5.51 과체중/비만(23이상) 7.54± 6.15 합계 7.98± 5.57 0.31 0.47 0.18-50 -
Ⅳ.요약 및 결론 본 조사는 인천지역 중학생의 BMI와 이에 따른 연령,체중에 대한 인식, 식습관,식품 섭취량 및 섭취 빈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청소년의 비만의 실태 및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 졌으며,본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1.연구 대상자는 남학생 96명,여학생 94명 총 190명이었다.남학생의 평 균 신장은 170.0cm,평균 체중은 63.7kg이었으며,여학생의 평균 신장은 159.7cm,평균 체중은 49.9kg이었다.BMI분석 결과 남자의 체질량 지수 평균은 21.9(kg/m²)이었으며,여학생의 체질량 지수의 평균은 19.6(kg/m²) 이었다. 2.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신장,체중,체질량 지수에서 유의하게 높 았다(p<.05).남학생들은 저체중 집단이 20.8%,정상체중 집단이 45.8%,과 체중 집단이 15.6%,비만 집단이 17.7%였으며,여학생들은 저체중 집단이 40.4%,정상체중 집단이 48.9%,과체중 집단이 3.2%,비만 집단이 7.4%로, 두 집단의 BMI의 분포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남학 생,여학생 모두 약 50% 가량이 정상체중에 속했으며,다음으로 저체중의 비율이 높았고,비만,과체중 순서의 비율을 나타냈다.여학생의 경우 남학 생의 저체중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남녀 모두 저체중 집단에서 비만 집단으로 갈수록 연령이 증가하는 경 향성이 나타났으나,유의하지는 않았다.이 결과는 보다 변산(variation)이 큰 표본을 대상으로 추후 연구가 진행된다면,청소년 집단에서 연령에 따 - 51 -
른 BMI의 변화를 보다 명확히 관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과체중/비만 집단의 청소년은 저체중,정상체중 집단에 비해 자신을 비 만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보다 규칙적으로 운 동을 하였으며(p<.01),어린 시절부터 비만한 경우가 많았으며(p<.01),자신 뿐 아니라 가족들 가운데서도 비만한 사람이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p<.05).이러한 사실은 청소년의 과체중/비만이 어린 시절부터 형성되어 유지된 경우가 많이 있으며,음식 섭취 등의 요인과 더불어 유전적 요인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그러나 평소 스트레스에 대한 예 민성,욕구불만으로 인한 폭식은 BMI의 분포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5.BMI분포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약 50%의 학생들이 체중조절에 관심 이 높았으며,또한 실제로 절반 가량이 체중조절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그러나 BMI분포에 따른 집단 간에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 다.또한 전체적으로 80% 가량이 체중조절 결과에 대해 보통 혹은 불만족 을 나타내었다. 6.대부분의 경우 절반 가량이 운동을 통해 살을 빼려고 시도하지만,식사 량을 조절한다거나 드물게 약물이나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방식을 통해 살 을 빼려는 시도도 있었다.이런 경향은 과체중/비만 집단으로 갈수록 심해 졌는데,그러나 BMI분포에 따른 다이어트 방식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 다. 7.BMI분포가 저체중에서 과체중/비만으로 증가하면서 매끼 식사를 항상 먹는 것,식사 속도,한 끼 식사량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 다.이런 사실은 식습관이 과체중/비만의 주요한 원인일 수 있다는 사실을 - 52 -
알려준다.과체중/비만 집단은 저체중,정상체중 집단에 비해 식사를 거르 지 않고 하며,빠른 시간에 충분히 배부를 정도의 많은 양의 식사를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8.간식 섭취 빈도,간식의 종류,취침 전에 간식을 먹는 빈도,먹는 것에 대한 충동에서 BMI분포에 따른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9.밖에서 혼자 사먹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연구 대상이 된 청소년의 절반 가량이 편의식품이 건강에 미 치는 영향력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나머지 절반 가량은 중립적 인 태도를 보고하였다.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의 정도와 달리,약 2/3가량의 청소년들이 가끔 인스턴트를 섭취하며,1/5가량의 청소년들이 자주 인스턴트 음식을 먹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10.성별에 따른 식품섭취량은 유의하지는 않았지만,남학생,여학생의 섭 취량은 비슷하였다.BMI분포에 따른 섭취량은 유의하지는 않았지만,정상 체중집단이 과체중/비만 집단에 비해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성 별에 따른 식품섭취빈도와 BMI에 따른 식품섭취의 빈도는 유의하지는 않 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BMI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체중에 대한 인식,체중조절과 관련한 인식 및 감량 노력,식습관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식품군의 섭취량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 졌다.비만의 원인이 워낙 복잡할뿐더러,분명하게 밝혀진 원인들만 하여 도,유전적,행동적,가족적,문화적,경제적 등의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앞 - 53 -
으로 다각적인 관점에서 청소년의 BMI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 54 -
참고문헌 권수연.서울 지역 중학생의 식생활 태도 빛 간식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4. 강윤주.비만 아동 및 청소년의 체중조절 경험과 비만관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세대학교 보건학과 박사학위 논문.1997. 강윤주,홍창보,홍영진.서울 시내 초,중,고등학생들의 최근 18년간 (1979~1996년) 비만도 변화 주이 및 비만아 증가 양상.학국영양학회지 1997;30(7):832-9 강윤주,진기남,이혜리.비만 청소년의 비만관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대한비 만학회지:제 7권 제 2호 1998. 강재헌.대도시 여고생의 비만실태 및 비만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중 앙대학교.석사학위 논문.1991. 강희원 이상선.남녀중학생들의 체중조절과 식생활 비교 연구.한국영양 학회지39(8)2006. 길미경.비만관련 습관 및 비만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서 울대학교 보건대학원.1999. 김관일,오수일.비만 청소년의 생활습관.강원대학교.2001 김명희.남 여 고등학생의 비만정도에 따른 식생활 양상.영남대학교 환 경보건대학원 2005. - 55 -
김미정.여고생의 섭식장애행동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자아존중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9. 김성례.여고생들의 비만에 대한 소고.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스포츠관리 전공 석사학위 논문.2004. 김연희.여고생들의 체중조절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김정하.여자 청소년의 비만과 영양섭취 상태의 연관성.연세대학교 의학대 학원 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7. 김한나.초등학교 비만 아동과 정상아동의 정신 건강 비교 분석.인하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03. 남궁미자.서울 일부 지역 여자중학생의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와 식행동 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류효경.체형군에 따른 청년기 여성의 체형인식과 식행동,자아존중감 및 건강상태 비교.밀양대학교 논문집 제10집.2002. 박성진.서울시 중학생의 비만도와 생활습관 및 비만에 대한 실태조사.세 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박수진,강윤주,신용경,문선임,이혜리.비만 청소년의 체중조절 형태.가 정의학회지226.2000. - 56 -
박용진.식생활 습관 및 식품 선호도와 성격 특성간의 관계 -중학생 집단 을 중심으로 -서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3 서설희.남 녀 고등학생의 식사행동과 패스트푸드에 관한 인식 및 이용실 태 -부산과 거제 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2008. 서지은.남녀 고등학생의 비만도,체중만족도,섭식장애가 체중조절 형태와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송홍지,오미숙,안성훈,박민선,유태우,강재헌,최영인.청소년 체형에 대 한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과 체중조절형태.가정의학학회지216.1999 안동철.서울시 남 녀 고등학생의 신체에 대한 의식과 식행동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1996. 이경원.인천지역 고등학생의 영양지식 식행동 식품 선호도연구.인 하대학교 석사 논문 2008. 이미옥.남 녀 고등학생의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영 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교 이선아.비만 여자 고등학생의 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석사논문.2003. 이요원.중학생들의 체중조절 태도와 식생활 행동에 관한 연구.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9. - 57 -
이주희.인천 지역 중학생의 BMI에 따른 식행동 및 간식섭취실태에 관한 연구.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오미선.비만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1. 이선미.수도권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아침식사 실태와 결식관련 요인.경희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임미란.청소년의 비만도에 따른 식생활 양상,신체의식 및 자아존중감 비 교 - 마산 창원 시내 중학생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정미순.서울 소재 일개교 중학생의 비만과 생활 습관에 관한 조사연구.연 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90. 정미영,우경자.인천지역 여자 중학생의 식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인 하대학교 1995. 정향미.청소년의 비만 실태 조사.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1999 정혜영.고등학생의 과일 채소류에 대한 식습관 및 식이섬유 섭취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2006 주석범.남 녀 중학생의 비만의식 및 체중 조절 실태에 관한 연구.용인대 학교 석사논문 2003. - 58 -
최영이.서울 시내 일부 고등학생의 성장발달 및 비만요인 분석.연세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1989. 한영실.주나미.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숙명여자대학교. Koream FoodCultureVol20.No.2(2005)172~185p 홍은경,박샛별,신영선,박혜순.일부 도시 청소년 여학생들의 신체상에 대 한 인자와 체중조절 형태.가정의학회지 1997;18(7):712-721. - 59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obesity in juveniles and the formation ofdesirable eating habits.for thispurpose,190juniorhigh schoolstudents'bmi,age,theperception onweightandbehaviorforweightcontrol,eatinghabit,theamountand thefrequency offood wereexamined.theresultsofthisstudy areas folows. TheaverageBMIofmalestudentswas21.9(kg/m )and19.6(kg/m ) forfemalestudents.itwasbecausetheproportionofoverweight/obesity groups according to BMIwas much higher in male students(33.3%) thanfemalestudents(10.6%). Asincreasing thebmiofthegroup,theproportionofthepeoplewho thought they were obese was significantly higher,and more people reportedthattheirobesity hadbeenformedin childhoodandalsoobese wasamemberoffamily. The perception on weight control and behavior in three weight groupsaccording tobmiwasnotsignificantlydiferent.aboutthefifty percentofthestudentsreported they wereinterested in weightcontrol and had tried controling theirweight.howevermostofthem said the resultofweightcontrolwas"dissatisfied"or"so-so".approximately a halfofthestudentsresponded physicalexerciseastheway ofweight control, and controling meal was secondarily famous method, and finaly,rarelywassubstanceordietaryfoodused. As increasing the BMIofthe group,the increase ofthe regularity, - 60 -
the speed,and the amountofa mealwas significant.these results suppose thatthe poor eating habits could be the importantfactor of obesity. However, the habit of eating between meal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weight groups according to BMI.In total, roughly ahalfofstudentsin thisstudy showed negativeperception of conveniencefood,though,thetwoofthirdhaditsometimes. Asforeightfood groups,although theamountand thefrequency of eating food in three weightgroups based on BMIwas significantly diferentpartly,forexample,in seaweed and fruit,on the whole,the amount and the frequency of eating nutrients were not diferent in threeweightgroupsaccordingtobmi. Resultsthattheperception on weightand eating habitwerediferent in three weight groups based on BMI indicate that healthy eating habit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ity in juveniles. Furthermore,consideringthatmanyofobesestudentsreportedtheyhad been obese in childhood,the education forhealthy eating habitshould be presented at school or home in early childhood. However, the perception on weightcontroland behaviorrelated with weightcontrol werenotdiferentinthreeweightgroups.suchresultshaveimplication thatin thecurentcultureinwhichthin bodyisregardedasatractive, juveniles need to be educated for the desirable perception on weight andhealth. - 61 -
부록 해당되는 곳에 V표 또는 알맞을 말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Ⅰ.비만에 대한 의식 및 일반 사항 조사. 1.성별 :1 남자 2 여자 (나이 : 만 세 ) 2.학교&학년 :북인천 중학교 3학년 3.현재 키와 몸무게:(키 : cm, 몸무게 : kg) 4.자신이 비만하다고 생각합니까? 1 그렇다. 2 대체로 그렇다. 3 그렇지 않다 5.평소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까? 1 그렇다 2 그저 그렇다 3 그렇지 않다. 6.욕구불만이 있을 때,음식을 많이 먹는 습관이 있습니까? 1 그렇다 2 그저 그렇다 3 그렇지 않다. 7.운동은 규칙적으로 하십니까? 1 그렇다 2 그저 그렇다 3 그렇지 않다. 8.자신의 체중변화에 관심이 있습니까? 1 그렇다 2 그저 그렇다 3 그렇지 않다. 9.자신의 어린 시절 체형은 어떤 유형이신지요? 1 마른 편이다. 2 보통이다. 3비만이다. 10.가족들이 비만한 편입니까? 1 그렇다 2 그저 그렇다 3 그렇지 않다. 11.체중조절을 한 경험이 있습니까?1 있다. 2 없다. 12.체중조절 경험이 있다면 다음의 어느 경우 입니까? - 62 -
1 체중증가 2체중감소 13.체중감량을 경험하였다면,그 결과에 만족하십니까? 1 만족한다. 2 보통이다. 3 불 만족한다. 14.현재의 체중을 줄이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고 있습니까? 1 하고 있다. 2하지 않는다. 15.다이어트를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하고 있습니까? 1 끼니 굶기 2 식사량 조절 3 운동 4 약물 복용 5 다이어트용 건강식품 섭취 Ⅱ.식습관 조사 1.매끼 식사는 항상 먹습니까? 1 항상 먹는다. 2 가끔 먹는다. 3 거의 먹지 않는다. 2.자신의 식사 시간에 대한 습관은? 1 규칙적이다. 2 보통이다. 3 불규칙한 편이다. 3.식사속도는 어떠합니까? 1 빠른 편이다. 2 보통이다. 3 느린 편이다. 4.아침 식사는 항상 먹습니까? 1 항상 먹는다. 2 가끔 먹는다. 3 거의 먹지 않는다. 5.평소 한 끼 식사량은 어느 정도 입니까? 1 항상 배부르게 먹는다. 2 적당히 알맞게 먹는다. 3 적게 먹는 편이다. 6.자신의 1일 평균 간식 횟수는? 1 0~1회 2 2회 3 3회 4 4회 이상 7.자신이 주로 먹는 간식은? - 63 -
1 청량음료 2 과일류 3 과자류 4 빵 5 우유 및 유제품 8.자신은 취침 전에 간식을 먹습니까? 1 항상 먹는다. 2 가끔 먹는다. 3 거의 먹지 않는다. 9.학생은 먹고 싶은 충동을 참기가 어려우십니까? 1 그렇다. 2 그저 그렇다. 3 거의 그렇지 않다. 10.학생이 혼자 밖에서 사먹을 경우 주로 어떤 음식을 먹습 니까? 1 밥류 2 햄버거 류 3 돈까스 4 면류 5 기타( ) 11.편의식품(인스턴트식품)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준다 생각 하십니까? 1 좋다 2 보통이다. 3 나쁘다. 12.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먹습니까? 1 예 2 가끔 3 아니오 - 64 -
Ⅲ.식품 섭취 빈도 조사 실제 섭취량 실제 회수 식품군 식품명 기준량 이하 보통 이상 매일 2회 이상 주 5~6회 주 3~4회 주 1~2회 거의 섭취안함 당분류 및 곡류 쌀밥 잡곡밥 국수 라면 식빵 단팥빵 CAKE 1 공기 1 공기 1 그릇 1 개 3 쪽 1 개 1 조각 두부류 감자 사탕 두부 콩자반 두유 중 1 개 4 개 1/4 모 20g 200g 해조류 된장 미역 김 1 큰술 한 접시 1장 8조각 - 65 -
실제 섭취량 실제 회수 식품군 식품명 기준량 이하 보통 이상 매일 2회 이상 주 5~6회 주 3~4회 주 1~2회 거의 섭취안함 채소류 시금치 우엉 콩나물 오이 당근 마늘 버섯류 양파 배추김치 깍두기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한 접시 - 66 -
어 육류 쇠고기 삼겹살 쇠갈비 햄 달걀 고등어 조기 멸치 오징어 젓갈 40g 40g 1대 2쪽 중1개 1토막 1토막 한접시 100g 2쪽 - 67 -
식품군 식품명 기준량 참기름 1 작은술 실제 섭취량 이하 보통 이상 매일 2회 이상 실제 회수 주 5~6회 주 3~4회 주 1~2회 거의 섭취안함 유지류 식용유 마요네즈 1 작은술 1.5 작은술 사과 중 1/2개 귤 중 1 개 포도 19 알 과일류 수박 감 1조각 중 1개 토마토 증 1개 배 배 1/4개 딸기 8 개 아이스크림 1 개 후 식 우유 콜라 1 컵 1 캔 - 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