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ISSN / E-ISSN 청년기남성의지방섭취수준에따른혈중지질함량, C-

Similar documents
서론 34 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½Ç°ú¸Ó¸®¸»¸ñÂ÷ÆDZÇ(1-5)¿Ï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4; 47(3): 186 ~ pissn / eissn R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012임수진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590호(01-11)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Microsoft PowerPoint - YEMNQZEWSOVU.pptx

hwp

어린이기호식품1회제공량표시-결과보고서-줄임.hwp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5): 416 ~ 427 DOI /kjn 부모의사회경제적수준 ( 가구월수입, 부모교육수준 ) 과 초등학교 6 학년학생의과체중및식습관, 식사질과의관계 * 장한별 1 박주연 1

보고서_pdf로.hwp

248 / 한국노인식사의탄수화물에너지비와만성질환위험성 당뇨병 유병률은 세에서 세 이상에서 로 증가하였으며 고혈압 유병률은 세는 세 이상은 로 증가하여 노령 단계에 따라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함이 보고되었다 또한 연도에 따라서도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세 노인의 경우 년부

Lumbar spine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3; 46(1): 34 ~ 49 / 35 로 과일주스 우유류 및 탄산음료 등 음료류의 섭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한 결과 즐겨 마시는 음료는 콜라 스포츠음료 사이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C7D1B1B9C0CEC0C720B4EBC7A5BDC4B4DCBAB8B0EDBCAD2E687770>

( )Kju269.hwp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歯1.PDF

α α α α α


Kjcg007( ).hwp

PowerPoint Presentation

1..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γ

들어가면서 본 식생활가이드 는 여러분께서 받으신 식생활 평가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식생활 평가지는 식품섭취조사에서 응답하신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체중평가, 에너지 섭취평가, 식품 섭취 평가, 영양소 섭취 평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A 617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03이경미(237~248)ok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Jkbcs016(92-97).hwp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01) hwp

다이어트마침표_1부 :24 PM 페이지2 BMI지수의 진실 비만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가 BMI 지수다.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이다. 몸무게를 키의

Jkafm093.hwp

제 출 문 경상북도 경산시 농업기술센터 귀하 본 보고서를 6차산업수익모델시범사업 농산물가공품개발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1 월 19 일 주관연구기관명 : 영남대학교 총괄연구책임자 : 한 기 동 연 구 원 : 김 상 욱 이 수 형 이 상


(Microsoft PowerPoint - 1 DRI\260\370\303\273\310\270718\300\261\301\370\274\367)

316 / 저열량식이와운동에의한체중감량 다 건강에 더 악영향을 미치므로 허리둘레가 남성은 여 성은 인 경우 비만으로 정하였다 정상 체지방 함량에 대 해서는 이견이 많지만 남자의 체지방은 이하 그리고 여성 은 이하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시아인들은 서구인 들에 비해

DBPIA-NURIMEDIA


김범수

歯5-2-13(전미희외).PDF

2.대상 및 범위(계속) 하천 하천 등급 하천명 연장 (km) 연장 (km) 시점 금회수립현황 종점 지방 하천 함안천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경남 함안군 함안면 함안천(국가)기점 검단천 경남 함안군 칠북면 검단리 칠원천 6.70

222 Korean J Clin Lab Sci. 2012, 44(4) : ISSN Correlation of Hemoglobin and RBC count with Adiponectin Level Moon-Jung Shim Departme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by Daily Intake of Alcohol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untitled

DBPIA-NURIMEDIA

09È«¼®¿µ 5~152s

fm

untitled

SG프랜-한남점 지노영수정.QXP

2007)...,,,,,, 조사대상및시기 Inbody 520(, ) (BMI) 22.9, BMI 체성분검사 (Inbody 520),,,, BMI,,. (, DS-102) 0.1cm

Jkbcs032.hwp

03-서연옥.hwp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36 ~ 346 / 337 최근 비만의 문제가 지나치게 강조되면서 이에 따른 역효과 로 또 다른 영양문제가 파생되었다 비만에 못지않게 무리한 다 이어트에 대한 저체중 또한 심각한 사회문제가 아닐 수 없

hwp


차례 어린이를 위한 영양 식생활 실천 가이드 1. 골고루 먹기 4 2. 똑똑하게 먹기 요리사 되어보기 건강한 몸 만들기 복습하기 32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농림수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팥의대사성질환개선및기능성규명 에관한연구의최종보고서로제출 합니다 년 2 월 11 일 - 1 -


DBPIA-NURIMEDIA

fm

3 Yes, I smoke. 현재도 피운다. (a) Half pack a day (b) half to one pack a day 반 갑 미만 반 갑 ~ 한 갑 (c) one to two packs a day (d) more than 2 packs a day 한 갑 ~

untitled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139~144 ¿À°ø¾àħ

DBPIA-NURIMEDIA




Microsoft PowerPoint - SS2_Dr.LeeHY(fiber).ppt

Microsoft Word - 영양433-6.doc

14.531~539(08-037).fm

fm


건강과질병-7권호-웹용.indd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Part.1 당뇨병 관리의 첫걸음, 당뇨병 알기 당뇨병이란? 당뇨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당뇨병의 치료 12 Part.2 당뇨병과 식사관리 당뇨병과 올바른 식사 23 2.

<C3D6C1BEBFCFBCBA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1C8A3292E687770>

( )Kjhps043.hwp

Transcription: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http://dx.doi.org/10.4163/kjn.2012.45.4.303 ISSN 0367-6463 / E-ISSN 2005-7121 청년기남성의지방섭취수준에따른혈중지질함량, C-반응성단백질및아디포넥틴비교 * 이성혜 1 박미영 2 김순경 1 민영기 3 순천향대학교식품영양학과, 1 숙명여자대학교식품영양학과, 2 순천향대학교의과대학생리학교실 3 Comparison of the lipids levels, C-reactive protein and adiponectin in adolescent male by fat intake* Lee, Sung-Hye 1 ㆍ Park, Mi-Young 2 ㆍ Kim, Soon-Kyung 1 ㆍ Min, Young-Ki 3 1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336-745, Korea 2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 s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3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330-721,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t intake, anthropometric data, blood lipids, C-reactive protein, and adiponectin in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Forty-eight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dietary fat intake: UERF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AERF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ce). We collected dietary intake data using 24-hour dietary recall for 3 days.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by using standard methods. Segmental body composi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 8-electrode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of body fat estim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hropometric data and serum lipid profile between UERF and AERF group.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ERF group compared to the UERF group.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adiponectin level between UERF and AERF groups, subjects had lower adiponectin levels. Correlation data show that serum adiponec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egetable intake (p < 0.05). In addition, dietary fat intak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t (p < 0.01),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rain (p < 0.01), vegetables (p < 0.05), and fish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d fat intake of non-obese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is associated with their increased serum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 Therefore, proper guidelines on fat intake and nutrition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s.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KEY WORDS: male college student, fat intake, C-reactive protein, adiponectin. 서론 식이와 생활양식의 변화가 비만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당뇨 및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율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습관 변화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지방섭취 증가이며 이는 실제로 체중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에 따르면 년 우리나라 남자의 여자의 가 과체중 아시아 -태평양 기준 체질량지수 이상 이었으며 이 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년에는 남녀 각각 및 로 증가될 것이라고 발표하여 앞으로 공중보건 차원에서 체중관리가 중요함을 밝힌 바 있다 또한 등 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 전통식을 가 서구식을 가 혼합식 식사를 하고 있으며 에너지에 대한 지방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하여 향후 비만 인구의 증가를 예견하였다 실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기 년 결과에 따르면 지방 섭취량이 에너지적정비율을 초과한 대상자는 년 결과 에 비해 상승하였으며 세 연령층에서 로 가장 높았고 특히 세 남성은 를 나타내어 가장 접수일 : 년 월 일 수정일 : 년 월 일 채택일 : 년 월 일 * : 201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 - - -

304 / 지방섭취및혈중염증지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은 지방의 섭취량 증가는 외식의 증가 편이식품의 노출 가족과 분리된 자유로운 식사형태 및 음주 등이 이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식사습관이 고착화된다면 중년기의 비만 유발율이 더욱 증가할 것이며 발병 연령 또한 더욱 낮아질 것이다 체내 과잉 축적된 지방은 비만 유발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 고지혈증 고혈압 등 대사 장애를 초래하여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는 지방조직이 아디포카인이라 부르는 염증성 인자와 호르몬 등 다양한 단백질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은 아디포카인의 분비 이상을 초래하고 이는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비만으로 동반되는 대사성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 중 하나로서 항염증 작용이 있으며 지방산 산화를 촉진시키고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켜 인슐린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비만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지방량이 증가하여 아디포카인 분비량이 조절되지 않으면 아디포넥틴 분비량이 감소하여 혈중 농도가 낮게 나타나며 이는 비만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과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 은 우리나라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운동을 시킨 결과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증가하고 인슐린 민감도가 상승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한편 - 반응성 단백질 - 은 간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서 각종 염증반응에 반응하여 심혈관계 질환 및 당뇨병 발병을 예측하는 지표 중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등 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혈중 - 반응성 단백질 농도가 심혈관계 질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라고 발표한 바 있으며 다양한 연구에서 - 반응성 단백질과 비만도와 양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식이 지방과 염증인자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혈중 -반응성 단백질은 포화지방산 및 트랜스지방산과는 양의 산관관계를 불포화지방산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아디포넥틴은 포화지방산 및 트랜스지방산과는 음의 산관관계를 불포화지방산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며 특정 지방산이외의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섭취가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식생활환경에서 지방의 섭취량 섭취형태 등의 영양문제가 - 반응성 단백질과 아디포넥틴 등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알고자 계획하였으며 년 국민건강통계 자료에서 비만의 고위험군이었던 세 청년기 남성의 지방섭취실태를 분석하고 혈중 지질 -반응성 단백질과 아디포넥틴 등의 대사성 질환 측정지표와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자본 연구의 대상은 조사 당시 외견상 건강에 문제가 없는 충 남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세 사이의 남자 대학생 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 기간은 년 월부터 월까지 실 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윤리위원회로 부 터 심의를 받았으며 실험 전에 모든 대상자 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설명한 후 본 실험에 참여하겠다는 동의서를 작성한 지원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 다 모든 조사에 끝까지 참여한 명의 결과를 분석 자료로 이 용하였고 대상자들의 일반사항 식사조사 신체 계측 조사 및 공 복 시 혈액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평 균 에너지에 대한 지방 섭취 비율이 평균 이었으며 이는 이상적인 지방의 섭취 비율인 보다 상회하는 수준이 었다 본 연구진은 평균 지방 섭취 비율에 근접한 를 기준 으로 대상자들의 총 에너지에 대한 지방의 비율이 미만인 군을 이상인 군을 로 분류하였다 신체계측조사대상자들의 신장은 신장계 를 사용하여 가벼 운 옷차림으로 신발을 벗고 직립한 자세로 측정하였고 체중 및 체성분은 체성분 분석기 - 를 이용하여 체중 허리둘레 체지방 제지방 체지방률 내장지방 등을 측정하였다 혈 압은 분 이상 안정 상태를 유지시킨 후 자동혈압계 - - 를 이용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혈액분석혈액은 시간 절식 후 혈액을 상완정맥에서 채혈하여 실온 에서 약 시간 방치 한 후 에서 분간 원심분 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총콜레스테롤 중 은 생화학 자동분석기 -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콜레스테롤 - 은 등 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혈청 총 콜 레스테롤과 - 콜레스테롤 함량을 이용하여 동맥경화지수 성지질 - 콜레스테롤 - - - - - 와 심혈관위험지수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 305 - 및 - - - 을 산출하였다 염증관련 지표인 는 생화학 자 동분석기 - 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으며 비만관련 호르몬인 아디포넥틴은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식이섭취조사식사섭취상태 조사는 대상자들의 평소 식사섭취량을 볼 수 있도록 시간 회상법 - 을 이용하여 특 별한 날을 제외한 평일 일 주말 일로 총 일간의 식사 섭취 량을 조사하여 영양소 섭취실태 지방 및 지방산 섭취실태 및 식품군별 섭취량을 살펴보았다 조사된 자료는 한국영양학회 의 영양평가 프로그램 - 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양소와 식품군별 식품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 에서 제공된 식품군 분류를 사용하여 식사섭취 대상자의 섭 취한 식품을 토대로 지방섭취량을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지방 주요 급원 식품의 상위 위를 도출하였다 자료분석및통계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통계분석은 -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변인에 대한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 군과 군 간의 차이검정은 - 를 이용하였으며 혈 중 지표 혈중 지방 아디포텍틴 와 여러 변수들 신체계 측치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는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결과의 유 의수준은 <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 고 각 에 유의정도를 < < < 표현하였다 결 일반사항및신체계측조사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및 신체계측 조사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명으로 군 명 명 이었고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 세 평균 신장은 ± 평균 체중은 ± 평균 는 ± 이었다 의 평균 연 령은 ± 세 평균 신장은 ± 평균 체중은 ± 평균 는 ± 이었고 의 평균 연령은 ± 세 평균 신장은 ± 평 균 체중은 ± 평균 는 ± 이었 다 는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만 지표 인 허리둘레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내장 지방 및 허리둘레 또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조사 대상자의 수축기 혈압은 ± 이완기 혈압은 ± 이었다 혈중지질함량조사 대상자의 평균 혈중 지질 함량 결과는 와 같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중성지질은 ± 총콜레 스테롤은 ± - 콜레스테롤은 ± 및 - 콜레스테롤은 ± 이었다 본 과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of the subjects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Age (years) 021.6 ± 2.7 4) 0 021.3 ± 2.30 021.4 ± 2.50 0.257 Height (cm) 175.2 ± 5.70 176.2 ± 4.60 175.8 ± 5.10 0.251 Weight (kg) 076.1 ± 11.6 074.7 ± 12.2 075.3 ± 11.9 0.715 BFM (kg) 5) 017.3 ± 7.80 016.3 ± 6.90 016.7 ± 7.20 0.813 FFM (kg) 6) 058.8 ± 5.60 058.3 ± 6.50 058.5 ± 6.10 0.535 BMI (kg/m 2)7) 024.9 ± 4.00 024.0 ± 3.60 024.4 ± 3.80 0.895 PBF (%) 8) 022.0 ± 6.40 021.2 ± 5.70 021.5 ± 6.00 0.463 Waist (cm) 081.7 ± 13.0 079.1 ± 12.3 080.2 ± 12.5 0.880 WHR 9) 000.9 ± 0.10 000.8 ± 0.10 000.8 ± 0.10 0.972 VFA (cm 2 ) 10) 091.3 ± 26.8 084.7 ± 26.8 087.5 ± 26.7 0.598 Edema 000.3 ± 0.10 000.3 ± 0.10 000.3 ± 0.10 0.942 FS 11) 073.1 ± 5.90 072.8 ± 5.10 072.9 ± 5.40 0.302 SP (mmhg) 12) 124.8 ± 13.7 129.5 ± 15.3 127.5 ± 14.7 0.358 DP (mmhg) 13) 073.4 ± 6.10 075.7 ± 10.7 074.7 ± 9.10 0.100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3) Significance as determined by student s t-test 4) Mean ± SD 5) Body fat mass 6) Fat free mass 7) Body mass index 8) Percent body fat 9) Waist-hip ratio 10) Visceral fat area 11) Fitness score 12) Systolic pressure 13) Diastolic pressure

306 / 지방섭취및혈중염증지표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의 평균 혈중 지질 함량은 정상범위 에 속하였고 군과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 지 않았다 동맥경화지수는 평균 ± 군과 군은 각각 ± ± 심혈관위험지수는 평균 ± 군과 군은 각각 ± ± 는 평균 ± 군과 군은 각각 ± ± 는 평균 ± 군과 군은 각각 ± ± 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지혈증의 기준인 혈중 중성지방 이상 총 콜레스테롤 이상 - 콜레스테롤 이상 - 콜레스테롤 이하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분석한 결과 군의 경우 총 콜레스테롤 이상인 대상자는 한 명 - 콜레스테롤 이하인 대상자는 두명이었다 군 의 경우 혈중 중성지방 이상인 대상자 한 명 총 콜레스테롤 이상인 대상자가 한 명이었는데 이는 모두 동일인었고 - 콜레스테롤 이하인 대상자는 한명이었다 혈중 C- 반응성단백질및아디포넥틴함량조사 대상자들의 혈중 - 반응성 단백질 및 아디포넥틴 함량 은 과 같다 본 연구결과 군의 혈청 - 반응성 단 백질 수준이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한편 아디포넥틴 함량은 두 군 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나 조사 대상자의 혈중 아디포넥틴 수준을 사분위 수 를 기준으로 농도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군의 - 군의 가 아디포넥틴의 혈중 농도가 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대부분이 저농도에 편중되어 있었 다 Numbers of the subjects 16 14 12 10 8 6 4 2 0 7 15 11 8 2 2 0.8-7.4 7.5-14.9 15-21.4 >21.4 Serum adiponectin conc. (ng/ml) 0 UERF AERF Fig. 1. Distribution of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of the subjects. 3 Table 2. Serum lipid concentrations of the subjects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Triglyceride (mg/dl) 106.2 ± 93.1 4) 087.2 ± 51.8 095.1 ± 71.7 0.130 Total cholesterol (mg/dl) 167.8 ± 20.3 153.1 ± 29.5 159.2 ± 26.9 0.332 HDL-C (mg/dl) 5) 051.5 ± 14.2 051.3 ± 8.70 051.4 ± 11.2 0.116 LDL-C (mg/dl) 6) 095.0 ± 13.6 084.3 ± 20.5 088.8 ± 18.6 0.102 Atherogenic index 7) 002.5 ± 1.00 002.0 ± 0.70 002.2 ± 0.80 0.145 Cardiac risk factor 8) 003.5 ± 1.00 003.0 ± 0.70 003.2 ± 0.80 0.145 LDL-C/HDL-C ratio 9) 002.0 ± 0.60 001.7 ± 0.50 001.8 ± 0.60 0.566 TC/HDL-C ratio 10) 003.5 ± 1.00 003.0 ± 0.70 003.2 ± 0.80 0.145 Dyslipidemia (%) High TG (> 200 mg/dl) - 3.6 2.1 High C (> 240 mg/dl) 05 3.6 4.2 High LDL-C (> 160 mg/dl) - - - Low HDL-C (> 40 mg/dl) 10 3.6 6.3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3) Significance as determined by student s t- test 4) Mean ± SD 5)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6) LDL-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7) Atherogenic index = (Total cholesterol-hdl-c)/hdl-c 8) Cardiac risk factor = Total cholesterol/hdl-c 9) LDL-C/HDL-C ratio; LPH 10) TC/HDL- C ratio; THR Table 3. Serum C-reactive protein and adiponectin concentrations of the subjects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CRP (mg/dl) 4) 0.31 ± 0.02 5) 0.37 ± 0.27 0.34 ± 0.21 0.032* Adiponectin (μg/ml) 9.27 ± 4.42 9.74 ± 6.99 9.54 ± 6.00 0.069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3) Significance as determined by student s t- test 4) C-reactive protein 5) Mean ± SD * : p < 0.05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 307 영양소섭취실태조사 대상자들의 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 분석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총지방섭취량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 으나 당 총지방 섭취량은 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 또한 동물성 지방 섭취량은 군에 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 총 에너지에 대한 지방의 섭 취 비율 또한 유의적으로 높았다 < 그 외 다른 영 양소의 섭취량은 두 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전체 대 상자의 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 로 조 사되어 성인 남자 에너지 필요추정량인 에 미 치지 못하는 수준이었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평균 섭취량은 각각 ± ± 및 ± 수준으로 에너지 대비 당질 단백질 지방의 섭취 비율은 로 나타났다 또한 두 군 모두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상한섭취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량은 충분섭취량의 를 초과하는 반면 식이섬유소와 칼륨은 각각 충분섭취량의 수준으로 엽산 비타민 및 칼슘의 섭취량은 각각 권장섭취량의 및 수준으로 낮게 섭취하고 있었다 Table 4. Mean daily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EER 4) RNI 5) AI 6) Energy (kcal) 1,958.4 ± 629.8 7) 1,999.7 ± 504.9 1,982.5 ± 554.3 0.700 (76) Protein (g) 0,081.1 ± 25.8 0,088.7 ± 28.2 0,085.6 ± 27.2 0.477 (155) Plant (g) 0,035.0 ± 13.9 0,029.6 ± 11.1 0,029.0 ± 12.5 0.571 Animal (g) 0,046.1 ± 16.9 0,059.1 ± 27.1 0,053.7 ± 24.1 0.192 % Energy from total protein 00,16.8 ± 3.7 0,017.9 ± 4.7 0,017.5 ± 4.3 0.505 Fat (g) 00.59.4 ± 19.6 0,080.7 ± 22.1 0,071.8 ± 23.4 0.573 Plant (g) 00,29.9 ± 13.8 0,028.4 ± 11.7 0,029.0 ± 12.5 0.846 Animal (g) 00,29.6 ± 8.5 0,052.4 ± 19.6 0,042.9 ± 19.5 0.006** Plant (%) 00.50.3 ± 23.2 0,035.1 ± 14.4 0,040.4 ± 17.4 0.158 Animal (%) 00,49.7 ± 14.4 0,064.9 ± 24.3 0,059.7 ± 27.2 0.067 % Energy from total fat 00,27.4 ± 2.2 0,036.5 ± 5.1 0,032.7 ± 6.2 0.000*** Carbohydrate (g) 0,274.8 ± 95.3 0,229.7 ± 75.7 0,248.5 ± 86.4 0.598 Fiber (g) 00,15.5 ± 6.5 0,013.7 ± 5.2 0,014.4 ± 5.8 0.960 (58) Ash (g) 00,18.1 ± 7.0 0,017.1 ± 5.0 0,017.5 ± 5.9 0.290 % Energy from total carbohydrate 00,55.8 ± 4.8 0,045.6 ± 8.3 0,049.8 ± 8.7 0.055 Calcium (mg) 0,459.3 ± 204.0 0,376.9 ± 192.6 0,411.2 ± 199.5 0.648 (55) Plant (mg) 0,235.7 ± 96.9 0,202.9 ± 92.6 0,216.6 ± 94.8 0.837 Animal (mg) 0,223.6 ± 127.1 0,174.0 ± 123.6 0,194.7 ± 126.2 0.698 Phosphorus (mg) 1,044.0 ± 416.9 1,046.6 ± 315.2 1,045.5 ± 356.9 0.821 (149) Iron (mg) 00,13.8 ± 5.3,0012.0 ± 4.3 0,012.6 ± 4.8 0.696 (126) Plant (mg) 00,08.8 ± 4.6 0,007.3 ± 3.5 0,008.0 ± 4.03 0.598 Animal (mg) 000,4.7 ± 1.6,0004.7 ± 1.8 0,004.7 ± 1.72 0.736 Sodium (mg) 3,976.7±1,530.9 3,701.6 ±1,294.5 3,816.4±1,388.8 0.429 (254) Potassium (mg) 2,214.8 ± 723.7 2,053.7 ± 644.7 2,120.8 ± 676.0 0.808 (61) Zinc (mg) 0,009.61 ± 3.9 0,009.4 ± 2.6 0,009.5 ± 3.2 0.437 (95) Vitamin A (μg RE) 0,659.2 ± 264.7 0,668.8 ± 286.6 0,664.8 ± 274.8 0.784 (89) Retinol (μg) 0,156.4 ± 88.0 0,153.4 ± 92.5 0,154.6 ± 89.7 0.971 β-carotene (μg) 2,687.6 ± 1,285.4 2,763.3 ± 1,475.9 2,731.8 ±1,385.9 0.505 Vitamin B1 (mg) 00,01.4 ± 0.5 0,001.7 ± 0.6 0,001.6 ± 0.6 0.375 (133) Vitamin B2 (mg) 00,01.2 ± 0.7 0,001.3 ± 0.4 0,001.3 ± 0.5 0.362 (85) Vitamin B6 (mg) 00,02.0 ± 0.7 0,002.0 ± 0.8 0,002.0 ± 0.8 0.391 (133) Niacin (mg) 0,019.2 ± 7.4 0,021.5 ± 9.1 0,020.5 ± 8.4 0.264 (128) Vitamin C (mg) 0,057.5 ± 27.4 0,051.5 ± 26.1 0,054.0 ± 26.5 0.717 (54) Folate (μg) 0,203.0 ± 88.2 0,175.4 ± 71.4 0,186.9 ± 79.2 0.391 (47) Vitamin E (mg) 0,016.0 ± 7.0 0,015.1 ± 8.4 0,015.5 ± 7.8 0.544 (129)

308 / 지방섭취및혈중염증지표 지방섭취상태및식품급원조사 대상자의 지방 및 지방산 섭취상태를 나타낸 결과는 및 과 같다 군에서 총지방 < 동 물성 지방 < 총지방산 < 포화지방산 <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 의 섭취량이 유의 적으로 높았다 식물성과 동물성 지방의 섭취 비율은 군 과 군이 각각 로 에너지대비 지방섭취 비율이 높은 군에서 동물성 지방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총 지방산 포화지방산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 의 섭취량에서도 유의적으로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포화 단일불포화 다불포화지방산 의 비율에서 는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의 주된 급 원식품을 살펴본 결과 식물성지방의 주된 급원식품은 콩기름 라면 피자 참기름 마요네즈 식빵 검정콩 두부 된장 쌀 순으 로 나타났고 동물성지방의 주된 급원식품은 돼지고기 달걀 쇠고기 돼지고기 삼겹살 닭고기 갈비 소시지 우유 메추리 알 햄 순으로 나타났다 총 지방섭취급원식품은 돼지고기 콩 기름 라면 계란 쇠고기 돼지고기 삼겹살 닭고기 피자 갈비 소시지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섭취량조사 대상자의 가지 식품군의 평균 섭취량은 과 같 다 종실류 < 와 버섯류 < 는 군에서 난류 < 와 어류 및 어패류 < 는 군에서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계적인 유의 성은 없었으나 육류와 음료 및 주류의 섭취량이 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지표과여러변수들과의상관관계혈중 지표와 신체계측치 영양소 및 식품군 섭취량과의 상관 Table 5. Daily fat intakes per 1,000 kcal in the subjects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Fat (g) 30.4 ± 2.50 40.6 ± 5.70 36.7 ± 12.0 0.000*** Plant (g) 14.8 ± 3.30 14.1 ± 4.20 14.8 ± 6.40 0.127 Animal (g) 15.6 ± 4.00 26.5 ± 8.30 21.9 ± 10.0 0.007** Plant fat % 48.9 ± 10.9 35.8 ± 12.6 41.2 ± 13.5 0.461 Animal fat % 51.1 ± 10.9 64.2 ± 12.6 58.8 ± 13.5 0.165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3) Significance as determined by student s t-test 4) Mean ± SD ** : p < 0.01, *** : p < 0.001 Table 4. Countined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EER 4) RNI 5) AI 6) Cholesterol (mg) 0,381.9 ± 136.5 0,444.0 ± 206.6 0,418.1 ± 181.7 0.150 TFA 8) 0,029.9 ± 11.8 0,053.4 ± 24.9 0,043.6 ± 23.4 0.004** SFA 9) 0,009.7 ± 4.5 0,019.8 ± 10.7 0,015.6 ± 9.8 0.000*** MUFA 10) 0,011.3 ± 4.7 00,22.5 ± 11.3 0,017.8 ± 10.6 0.002** PUFA 11) 0,008.9 ± 3.6 0,011.1 ± 5.1 0,010.2 ± 4.6 0.455 SFA : MUFA : PUFA 32 : 38 : 30 37 : 42 : 21 36 : 40 : 24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3) Significance as determined by student s t-test 4)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Values are expressed as EER amount (% EER of intake) 5) Recommended nutrient intake based on dietary reference for Koreans (2010). Values are expressed as RNI amount (% RNI of intake) 6) Adequate intake based o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 Values are expressed as AI amount (% AI of intake) 7) Mean ± SD 8) Total fatty acids 9) Saturated fatty acids 1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11) Polyunsaturated fatty acids ** : p < 0.01, *** : p < 0.001 Table 6. Major top 10 food sources contributed to total fat of the subjects Rank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lant fat Animal fat Plant fat Animal fat Plant fat Animal fat 01 Soybean oil Pork Sandwich Pork Soybean oil Pork 02 Sesame oil Hen s egg Soybean oil Pork, Belly Ramyeon Hen s egg 03 Ramyeon Chicken Ramyeon Chicken Pizza Beef 04 Black soybeans Beef Pizza Hen s egg Sesame oil Pork, Belly 05 Bread Pork, Ribeye Pork Beef Mayonnais Chicken 06 Streusel bread Hamburger Mayonnais Rib Bread Rib 07 Doenjang Sausage Sesame oil Pork, Ribeye Black soybeans Sausage 08 Sandwich Pork, Belly Cookie Ice cream Soybean curd Cow s milk 09 Margarine Impored beef cattle Snack Pork, hocks Doenjang Quail s egg 10 Soybean curd Pork, Rib Walnut Cow s milk Rice Ham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 309 관계를 분석한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에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혈청 중성지방 함량은 신체계측치에서 몸무게 < 체지방량 < < 체지방률 < < 내장지방 < 이완기혈압 < 과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버섯류 < 및 어패류 < 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신체계측치에서 몸무게 < 제지방량 < < < 내장지방 < 이완기혈압 < 과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동물성 철분 < 비타민 < 비타민 < 나이아신 <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어패류 < 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방 섭취량과의 관계에서는 총지방산 <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 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청 - 콜레스테롤 수준은 신체계측치에서 체지방량 < < 체지방률 < < 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은 신체계측치에서 체중 < 체지방량 < 제지방량 < < < 내장지방 < 이완기혈압 < 과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단백질 < 비타민 < 나이아신 < 과 양의 상관관계를 지방 섭취량에서는 총지방산 < 단일불포화지방산 < 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청 아디포넥틴 수준은 채소류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고찰 본 연구는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지방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혈중 지질 및 대사성 질환 지표와의 관련성을 찾아 비만 및 대사성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가 섭취하는 총 에너지에 대한 지방의 비율이 이상인 군을 명 로 미만인 군을 명 로 분류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 ± 이었으며 이는 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설정을 위한 같은 연령대의 체위기준치의 신장과 체중인 과 에 비해 신장은 체중은 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는 두 군 모두 대한비만학회 기준 년 에 따르면 과체중 범위였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기 년 결과 에 비해 가 높은 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혈중 지질 수준은 두 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고 군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조사대상자 선정과정에서 외견상 질병이 없었던 건강한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사 대상자의 수축기 혈압은 ± 이완기 혈압은 ± 이었다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기 년 결과에서 세 평균 수축기 혈압 ± 이완기 혈압 ± 과 비교해 보면 본 연구 대상자의 수 Table 7. The amount of food intakes of the subjects UERF 1) (n = 20) AERF 2) (n = 28) Total (n = 48) p-value 3) Grains & cereals 331.1 ± 114.3 4) 284.10 ± 115.5 303.69 ± 116.1 0.454 Potatoes & starches 23.47 ± 24.2 26.23 ± 31.3 25.08 ± 28.3 0.235 Sugar & sweetners 9.54 ± 6.8 7.18 ± 6.3 8.16 ± 6.5 0.690 Beans 30.00 ± 42.5 18.51 ± 26.1 23.30 ± 34.0 0.090 Nuts & seeds 2.07 ± 5.6 0.55 ± 1.5 1.19 ± 3.8 0.019* Vegetables 212.25 ± 100.2 196.05 ± 101.9 202.80 ± 100.5 0.968 Mushrooms 1.53 ± 3.7 0.66 ± 1.6 1.02 ± 2.66 0.010* Fruits 29.15 ± 56.0 22.95 ± 29.3 25.53 ± 42.1 0.128 Meats 132.23 ± 61.6 225.98 ± 107.8 186.91 ± 102.0 0.073 Eggs 37.92 ± 15.3 49.09 ± 29.8 44.43 ± 25.2 0.002** Fishes & shellfishes 70.25 ± 55.5 33.57 ± 29.2 48.85 ± 45.5 0.006** Seaweeds 1.72 ± 2.0 2.49 ± 6.1 2.17 ± 4.8 0.172 Milks 99.10 ± 84.2 68.57 ± 87.3 81.29 ± 86.4 0.782 Oils 11.66 ± 5.6 10.59 ± 7.6 11.04 ± 6.8 0.282 Beverages 169.55 ± 173.9 251.86 ± 326.3 217.56 ± 274.0 0.163 Seasonings 28.37 ± 12.3 28.11 ± 16.8 28.21 ± 14.9 0.191 Total intake (g) 1189.91 ± 332.7 1226.47 ± 442.7 1211.24 ± 397.0 0.506 1) Under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2) Above 30% of energy ratio for fat source 3) Significance as determined by student's t-test 4) Mean ± SD * : p < 0.05, ** : p < 0.01

310 / 지방섭취및혈중염증지표 Table 8.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erum lipids, C-reactive protein, adiponectin and variables Variables TG TC HDL-C LDL-C CRP Adipo-nectin Weight (kg) 0.352* 0.417** -0.275 0.498** -0.020-0.090 BFM 1) (kg) 0.382** 0.283-0.365* 0.335* 0.020-0.061 FFM 2) (kg) 0.230 0.474** -0.105 0.571** -0.063-0.102 BMI 3) (kg/m 2 ) 0.423** 0.422** -0.310* 0.471** 0.042-0.114 PBF 4) (%) 0.358* 0.173-0.372** 0.198 0.068-0.036 WHR 5) 0.431* 0.344* -0.333* 0.366* 0.042-0.103 VFA 6) (cm 2 ) 0.373** 0.387** -0.305* 0.456* 0.007-0.091 DP 7) (mmhg) 0.291* 0.344* -0.078 0.320* -0.159-0.159 Protein (g) 0.208 0.278-0.152 0.333* -0.133 0.168 Animal iron (mg) 0.255 0.309* -0.055 0.284 0.002 0.019 Vitamin A (μg RE) 0.071 0.302* 0.167 0.281-0.077 0.109 Vitamin B 6 (mg) 0.198 0.285* -0.067 0.299* -0.186 0.209 Niacin (mg) 0.241 0.398** -0.074 0.433** -0.103 0.162 TFA 8) (g/kg) -0.128-0.310* -0.084-0.298* 0.073-0.103 MUFA 9) (g/kg) -0.132-0.310* -0.070-0.303* 0.096-0.150 Vegetables -0.120-0.046 0.095-0.032-0.094 0.286* Mushrooms 0.538** 0.167-0.091-0.119 0.279 0.007 Fishes & shellfishes 0.310* 0.362* 0.047 0.255-0.076-0.022 1) Body fat mass 2) Fat free mass 3) Body mass index 4) Percent body fat 5) Waist-hip ratio 6) Visceral fat area 7) Diastolic pressure 8) Total fatty acids 9) Monounsaturated fatty acids * : p < 0.05, ** : p < 0.01 축기 혈압은 높았고 이완기 혈압은 유사한 범위를 보였다 한편 조사대상자들의 혈중 - 반응성 단백질 농도는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급성염증반응인자 중 하나인 - 반응성 단백질은 염증반응 시 증가하며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지방조직 합성 및 체중증가를 가속화시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암 등 비만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의 진단지표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식이 중 포화지방산 섭취와 염증지표와 양의 상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는 식이성 지방이 포화지방산의 전염증반응 - - 을 촉진시킴을 의미하며 -반응성 단백질과 같은 급성염증인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군은 군보다 총 지방 섭취량 < 동물성 지방 섭취량 < 총 지방산 섭취량 < 포화지방산 섭취량 <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섭취량 < 이 유의하게 높았다 < 이는 전체적인 식이지방의 질이 염증인자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등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주간 저콜레스테롤 저포화지방산 식이를 제공한 결과 혈중 염증지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고 하였다 -반응성 단백질은 식이 중 다가불포화지방산과 양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군은 군보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이 높은 경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반응성 단백질 함량이 유 의적으로 높았다 < 이는 군의 경우 다가불포화지방산뿐 아니라 총지방 총지방산 포화지방산 및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 또한 유의적으로 높아 불포화지방산의 긍정적 효과를 상쇄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고지방식을 하고 있는 군의 경우 식이섭취 조절 및 향후 대사성질환에 관한 관리가 요구되며 -반응성 단백질은 대사질환의 예측지표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비만관련 호르몬인 아디포넥틴 농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의 혈중 아디포넥틴 수준을 사분위 수를 기준으로 농도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군의 군의 가 아디포넥틴의 혈중 농도가 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대부분이 저농도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혈중 아디포넥틴 수준은 체지방율 혈중 지질 및 대사성 질환 유병율과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이성 지방과의 관련성은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지 않고 있다 등 은 토끼에게 오메가 - 와 오메가 - 지방산이 풍부한 아마씨 분말 혹은 콜레스테롤을 식이에 보충하여 주간 사육한 결과 두 군 모두 혈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조직의 아디포넥틴 유전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생쥐에서도 지방조직의 아디포넥틴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지 않았다고 하여 식이성 지방과의 관련성은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지방의 섭취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군의 경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 311 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군에 비해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식이 탄수화물은 혈중 아디포넥틴의 감소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므로 군의 경우 탄수화물 섭취로 인해 혈중 아디포넥틴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을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의 평균추정량 과 비교한 결과 군간 유의차는 없었지만 두 군 모두 에너지 추정량 의 수준으로 낮게 섭취하고 있었다 또한 에너지 대비 당질 단백질 지방의 섭취 비율은 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에서 권장하는 대 에너지 영양소 섭취비율인 와 비교하여 볼 때 당질 섭취비율은 낮고 지방 섭취비율은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이섬유소와 칼륨 섭취량은 충분섭취량 의 각각 수준이었고 엽산 비타민 칼슘은 권장섭취량 의 각각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나트륨 섭취량은 충분섭취량의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 영양소 섭취상태가 전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는 대학생들의 식생활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와도 같은 경향이었다 이는 대학생이 집으로부터 독립하여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부족한 영양소의 주요 급원식품인 채소류 및 과일류의 섭취가 부족하고 가공식품 섭취 및 잦은 외식으로 인하여 영양소의 불균형이 초래되었음을 의미한다 충남지역 대학생의 식습관을 조사한 의 연구에 따르면 아침식사 결식률이 조사대상자의 주 회 이상 야식을 하는 비율이 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아침 결식률이 더 높았고 야식의 비율도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만성퇴행성질환의 가장 큰 위험 요인 중 하나인 지방 섭취 비율은 군이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에너지에 대한 평균 지방 섭취비율은 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한 보다 과잉으로 섭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군이 군 보다 동물성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 최근 년간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이 이상인 남학생은 년 에서 년 로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 상태가 불량한 가운데 동물성 지방을 과량 섭취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지방섭취를 중심으로 한 영양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조사대상자들의 콜레스테롤 섭취량 또한 군간 유의차는 없었지만 두 군 모두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에서 제한하는 를 초과하고 있었고 군의 경우 총지방산 < 포화지방산 <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 의 섭취량이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실태를 조사한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한편 의 비율은 군과 군 각각 로 군은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에서 권장하는 보다 의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지방의 섭취 상태는 지방의 에너지 구성비가 높은 현상과 함께 남자 대학생들의 식이원성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의 지방의 주된 급원식품은 돼지고기 콩기름 라면 계란 등이었으며 식품군별 평균 섭취량은 군의 경우 난류 < 의 섭취량이 군의 경우 종실류 < 버섯류 < 어류 및 어패류 < 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류섭취와 관련된 선행연구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과 인슐린 저항성이 없는 사람에게는 콜레스테롤의 급원인 난류 섭취량이 -반응성 단백질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인 반면 염증지표 수준이 이미 상승한 비만한 사람 혹은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사람에 있어서는 난류 섭취량이 - 반응성 단백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비만 혹은 인슐린 저항성은 콜레스테롤 흡수 불량과 관련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군은 군보다 혈중 - 반응성 단백질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이의 원인 중 하나는 과다한 난류 섭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등 은 하루 한 개의 계란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주 회 미만으로 섭취하는 사람들 보다 당뇨의 위험이 배 이상이며 식이 콜레스테롤 섭취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제한해야 한다고 하였다 반면 는 건강한 성인이 하루 개의 계란을 섭취했을 때 혈중 - 콜레스테롤과 - 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상승하지 않았으며 - 콜레스테롤 크기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산화되지 않으므로 계란은 중요한 식품급원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온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이원성 콜레스테롤 뿐 아니라 체내 합성된 콜레스테롤과 식이로 섭취한 중성지방과도 관련성이 있으므로 학자에 따라 그 관련성을 달리 평가하였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청년기에게 계란 흰자는 중요한 단백질 급원이지만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 상태가 불량한 가운데 난황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정확하고 면밀한 후속연구를 통해 그 관련성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군의 경우 육류 음료 및 주류 섭취량이 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육류 섭취량은 이었는데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기 년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국민이 섭취하는 평균 육류섭취량인 보다 약 배

312 / 지방섭취및혈중염증지표 높은 수준이었다 대학생의 액체섭취에 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 섭취하는 총 액체 중 식수를 제외한 타음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이며 이 중 주류로부터 섭취하는 액체량이 가장 높았고 비알코올성 음료 중 콜라 섭취 비율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과량의 육류 섭취와 바람직하지 못한 음료 섭취는 지방섭취 증가뿐 아니라 영양소 결핍현상을 초래하는 원인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혈중 지질 지표 - 반응성 단백질 아디포넥틴과 여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 콜레스테롤은 체중 체지방량 제지방량 내장지방 및 이완기혈압과 같은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치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혈중 -콜레스테롤은 이러한 지표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비만지표와 혈중 지질 지표와의 관련성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등 에 의하면 신체구성의 변화와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의 변화 사이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심혈관계질환의 지표인 혈중 지질과 다양한 비만지표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지질섭취 조절을 통해 혈중 지질 수준을 변화시킨다면 비만과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섭취량과 혈중 지표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이 동물성 철분 비타민 비타민 나이아신과 양의 상관관계를 - 콜레스테롤이 동물성 단백질 비타민 나이아신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이들 영양소의 주요 급원이 동물성 식품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혈중 아디포넥틴은 채소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신선한 과일 및 녹황색 잎채소 등에 포함된 섬유소와 불포화지방이 함유된 식품 섭취를 늘리면 혈중 아디포넥틴의 수치를 높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건강한 청년기의 지질섭취 식습관이 비교적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 대상자들은 섭취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질을 과다하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나트륨을 제외한 기타 영양소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에너지에 대한 지질의 섭취 비율이 높은 대상자일수록 동물성 식품 위주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질환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혈중 염증지표인 -반응성 단백질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현재의 식습관을 관리하지 못할 경우 연령이 증가하면서 과도한 지방섭취로 인한 영양 및 건강문제가 보다 심각해질 수 있고 청년기를 대상으로 한 지질 섭취에 관한 영양교육 및 영양중재 프로그램이 시급함을 의미한다 요약및결론 본 연구는 청년기 남성의 지방섭취 상태와 혈액 내 지질 염 증반응지표 및 비만 관련 호르몬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치 식사섭취조사 혈청 내 지질 염증반응지표 - 반응성단백질 및 비만 관련 호르몬 아디포넥틴 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에 따라 두 군 군 - 이하 군이라 함 군 - - 이하 군이라 함 으로 분류하여 각 변수들을 비교하고 각 변수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대상자 의 평균 지방급원 에너지비율은 였으며 를 기준으로 하여 미만인 군은 명 전체 대상자의 이상인 군은 명 전체대상자의 이었다 두 군간 신체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각 군의 신장 체중 등의 결과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군 모두 체지방비율이 로 체중과다였다 두 군간 혈중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심혈관위험지수 - - - 을 비교한 결과에서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군간 혈중 - 반응성 단백질과 아디포넥틴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염증반응지표인 -반응성 단백질은 에서 유의적으로 < 높게 나타난 반면 아디포넥틴은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 로 의 필요추정량의 로 전반적으로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칼슘 비타민 및 엽산 의 섭취량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이 동물성 지방 < 총지방산 < 포화지방산 <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 섭취량이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품섭취량 비교 결과 군은 종실류 < 버섯류 < 및 어패류 < 섭취량이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군은 난류 < 섭취량이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류 음료 및 주류 섭취량의 경우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상자의 지방급원 에너지 비율 혈중 지질 -반응성 단백질 및 아디포넥틴과 조사된 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방급원 에너지 비율과 동물성 단백질 < 지방 < 총지방산 < 포화지방산 <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 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섬유소 섭취량 < 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품섭취량에서는 지방급원 에너지 비율과 육류 < 와는 양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4): 303 ~ 314 / 313 의 상관관계를 곡류 < 채소류 < 및 어패류 < 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채소류 <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외견상 건강한 청년기 남성의 지방급원 에너지 비율은 평균 정도로 지방의 이상적인 섭취비율 을 상회하였다 군의 경우 동물성지 방 총지방산 포화지방산 단일 불포화지방산 및 난류의 섭취 량이 높았고 버섯류 및 어패류의 섭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혈중 염증반응지표인 - 반응성 단백질 농도 또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생활 개선 없이 과다한 지방 섭취가 계속 진행된다면 연령이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대사 질환 유발가능성은 매우 높아질 것으로 사료되므 로 청년기 이전의 지방 섭취 방법에 관한 바른 지침 설정과 영 양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의 수가 적었고 대상자들의 활동량을 고려하 지 않은 점과 혈액 내 생화학적 지질 지표 - 반응성단백질 및 아디포넥틴과의 연관성을 밝히지 못한 부분으로 차후 지속적 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Literature cited 1) Hays NP, Galassetti PR, Coker RH.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current role of lifestyle, natural product, and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Pharmacol Ther 2008; 118(2): 181-191 2) Pokorski R. Effect of increasing body weight on morbidity and mortality in South Korea. J Insur Med 2011; 42(2-4): 78-84 3) Song Y, Park MJ, Paik HY, Joung H. Secular trends in dietary patterns and obesity-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aged 10-19 years. Int J Obes (Lond) 2010; 34(1): 48-56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1 5) Galic S, Oakhill JS, Steinberg GR.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Mol Cell Endocrinol 2010; 316(2): 129-139 6) Scarpellini E, Tack J.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 inflammatory condition. Dig Dis 2012; 30(2): 148-153 7) Falcão-Pires I, Castro-Chaves P, Miranda-Silva D, Lourenço AP, Leite-Moreira AF. Physiological, pathological and potential therapeutic roles of adipokines. Drug Discov Today 2012; 17(15-16): 880-889 8) Lee GR, Shin MK, Yoon DJ, Kim AR, Park NW, Yu R, Han IS. Topical application of capsaicin reduces visceral adipose fat by affecting adipokine levels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Obesity (Silver Spring). Forthcoming; 2012 9) Maury E, Brichard SM. Adipokine dysregulation,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metabolic syndrome. Mol Cell Endocrinol 2010; 314(1): 1-16 10) Kim ES, Im JA, Kim KC, Park JH, Suh SH, Kang ES, Kim SH, Jekal Y, Lee CW, Yoon YJ, Lee HC, Jeon JY.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nectin level after exercise training in obese Korean youth. Obesity (Silver Spring) 2007; 15(12): 3023-3030 11) Cox AJ, Agarwal S, Herrington DM, Carr JJ, Freedman BI, Bowden DW.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 predicts mortality in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Heart Study. Diabet Med 2012; 29(6): 767-770 12) Kengne AP, Batty GD, Hamer M, Stamatakis E, Czernichow S. Association of C-reactive protei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according to diabetes status: pooled analyses of 25,979 participants from four U.K. prospective cohort studies. Diabetes Care 2012; 35(2): 396-403 13) Ridker PM, Morrow DA. C-reactive protein, inflammation, and coronary risk. Cardiol Clin 2003; 21(3): 315-325 14) Ozuğuz U, Ergün G, Işık S, Gökay F, Tütüncü Y, Akbaba G, Berker D, Güler S. Association between C-reactive protei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P-wave dispersion in obese premenopausal women: an observational study. Anadolu Kardiyol Derg 2012; 12(1): 40-46 15) Lee SW, Jo HH, Kim MR, You YO, Kim JH. Association between obesity, metabolic risks and serum osteocalcin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Gynecol Endocrinol 2012; 28(6): 472-477 16) Montenegro-Neto AN, da Silva-Simões MO, de Medeiros AC, Portela Ada S, Ramos de Queiroz Mdo S, Cunha-Montenegro R, Irany-Knackfuss M. The correlation betwee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cardiovascular risk markers in the hypertensive elderly. Rev Salud Publica (Bogota) 2011; 13(3): 421-432 17) Balk EM, Lichtenstein AH, Chung M, Kupelnick B, Chew P, Lau J.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on serum marke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 systematic review. Atherosclerosis 2006; 189 (1): 19-30 18) Clifton PM. Diet and C-reactive protein. Curr Atheroscler Rep 2003; 5(6): 431-436 19) Silva FM, de Almeida JC, Feoli AM. Effect of diet on adiponectin levels in blood. Nutr Rev 2011; 69(10): 599-612 20) Reis CE, Bressan J, Alfenas RC. Effect of the diet components on adiponectin levels. Nutr Hosp 2010; 25(6): 881-888 2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6): 499-502 22) Saito M, Ishimitsu T, Minami J, Ono H, Ohrui M, Matsuoka H. Relations of plasma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o tradi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therosclerosis 2003; 167(1): 73-79 23) Srirattana P, Boonyasirinant T. Correlation between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and aortic stiffnes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ith known/suspected coronary artery disease. J Med Assoc Thai 2012; 95 Suppl 2: S105-S110 24) Tolmay CM, Malan L, van Rooyen JM. The relationship between cortisol, C-reactive protein and hypertension in African and Causcasian women: the POWIRS study. Cardiovasc J Afr 2012; 23(2): 78-84 25) Hong S, Kang YA, Cho BC, Kim DJ.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as a prognostic marker in small cell lung cancer. Yonsei Med J 2012; 53(1): 111-117 26) Fung TT, Rimm EB, Spiegelman D, Rifai N, Tofler GH, Willett WC, Hu FB.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plasma biomarkers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 J Clin Nutr 2001; 73(1): 61-67 27) King DE, Egan BM, Geesey ME. Relation of dietary fat and fiber to elevation of C-reactive protein. Am J Cardiol 2003; 92(11): 1335-1339 28) Lopez-Garcia E, Schulze MB, Fung TT, Meigs JB, Rifai N, Manson JE, Hu FB. Major dietary patterns are related to plasma concentrations of markers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Am J Clin Nutr 2004; 80(4): 1029-1035 29) Pirro M, Schillaci G, Savarese G, Gemelli F, Mannarino MR, Sie-

314 / 지방섭취및혈중염증지표 pi D, Bagaglia F, Mannarino E. Attenuation of inflammation with short-term dietary intervention i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of arterial stiffness in subjects with hypercholesterolaemia.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4; 11(6): 497-502 30) Maeda N, Takahashi M, Funahashi T, Kihara S, Nishizawa H, Kishida K, Nagaretani H, Matsuda M, Komuro R, Ouchi N, Kuriyama H, Hotta K, Nakamura T, Shimomura I, Matsuzawa Y. PPARgamma ligands increase expression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diponectin, an adipose-derived protein. Diabetes 2001; 50(9): 2094-2099 31) Chu SH, Lee MK, Ahn KY, Im JA, Park MS, Lee DC, Jeon JY, Lee JW. Chemerin and adiponectin contribute reciprocally to metabolic syndrome. PLoS One 2012; 7(4): e34710 32) McCullough RS, Edel AL, Bassett CM, Lavallée RK, Dibrov E, Blackwood DP, Ander BP, Pierce GN. The alpha linolenic acid content of flaxseed is associated with an induction of adipose leptin expression. Lipids 2011; 46(11): 1043-1052 33) Desmarchelier C, Ludwig T, Scheundel R, Rink N, Bader BL, Klingenspor M, Daniel H. Diet-induced obesity in ad libitum-fed mice: food texture overrides the effect of macronutrient composition. Br J Nutr 2012; 1-10 34) Sharma N, Okere IC, Duda MK, Chess DJ, O Shea KM, Stanley WC. Potential impact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on pathological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Cardiovasc Res 2007; 73(2): 257-268 3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10 36) Jang HB, Lee HY, Han YH, Song J, Kim KN, Hyun T.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3): 324-336 37) Kim SH. A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liquid consum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ngju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Korean J Nutr 2009; 42(4): 327-337 38) Basu A, Devaraj S, Jialal I. Dietary factors that promote or retard inflamm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6; 26(5): 995-1001 39) Spence JD, Jenkins DJ, Davignon J. Dietary cholesterol and egg yolks: not for patients at risk of vascular disease. Can J Cardiol 2010; 26(9): e336-e339 40) Fernandez ML. Effects of eggs on plasma lipoproteins in healthy populations. Food Funct 2010; 1(2): 156-160 41) Choi SN, Chung NY. Bone density, nutrient intake, blood composition and food habits in non-smoking and non-alcohol drinking 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0; 25(4): 389-399 42) Jung BM, Oh ES, Choi SM, Cha YS. Survey of alcoholic and non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in college students of the Chon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3): 290-296 43) Hasselstrøm H, Hansen SE, Froberg K, Andersen LB.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during adolescence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young adulthood. Danish Youth and Sports Study. An eight-year follow-up study. Int J Sports Med 2002; 23 Suppl 1: S27-S31 44) Murthy NS, Mukherjee S, Ray G, Ray A. Dietary factors and cancer chemoprevention: an overview of obesity-related malignancies. J Postgrad Med 2009; 55(1): 4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