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편 성씨 인물 579 제3장 인 물 1. 고려ㆍ조선시대 인물 강순 강열황 구계우 구상은 김감 김경상 김계백 김계환 김규 김광오 김광원 김극성 김극신 김근행 김낙항 김남호 김노기 김노영 김맹권 김명현 김문서 김백간 김상현 김생려 김선지 김성국 김성우 김수정 김수현 김숙 김시걸 김신행 김억 김여남 김영석 김영수 김영제 김용제 김우식 김위 김응순 김응의 김응정 김의행 김인사 김일 김적 김전 김제창 김중하 김지흠 김충수 김태국 김태정 김택 김한 김해수 김해은 김홍규 김홍원 김훈 무염대사 민치록 박기조 박동선 박승건 박정원 박홍양 백문절 백사준 백사천 백사형 백영수 백유공 백이정 백인감 백임지 백중학 백홍수 서거정 서기 성하국 신겸제 신곡 신정 신학 신형식 심재숙 안대진 안사탁 안윤손 여엄대사 염제신 오인영 원수신 원유정 유발 유순익 유정 윤석보 윤순 윤인필 윤자운 윤직 이경백 이경석 이경재 이경전 이경탁 이경회 이고 이공준 이관식 이교면 이교원 이구 이규덕 이기 이대충 이덕온 이도중 이동근 이두현 이두훈 이래 이만 이몽규 이몽열 이무 이민제 이방일 이사주 이산광 이산두 이산보 이산해 이석현 이성룡 이세욱 이승익 이승춘 이승호 이시방 이심 이심현 이언유 이영견 이예환 이완 이완 이완진 이용 이우명 이원백 이원춘 이원태 이유민 이응식 이의풍 이익현 이인기 이인묵 이인빈 이인정 이자 이정덕 이정민 이정암 이정영 이정익 이제암 이제현 이조묵 이종생 이준경 이줄 이중로 이지번 이지인 이지함 이지형 이찬 이창섭 이창수 이치 이태중 이하춘 이학영 이효근 이후 이희승 이희완 인발 임수 임정식 임종선 임태두 임태희 임향 임흥순 정혁신 정홍순 조계원 조병덕 조병흥 조영진 조오 조유춘 조존성 조중구 조창원 조충희 조현명 채극철 채덕서 채명윤 채성윤 채시상 채신문 채여인 채완묵 채유후 채응만 채정묵 채준현 채팽윤 채홍리 천귀득 천만리 최석근 최세경 최웅 최종호 최진명 최치원 최택 최호 추수경 홍규 홍병위 황석명 황유손 황즙 황철증 황헌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안현사( 判 撫 安 縣 事 )를 지낸 진( 鎭 )이며 증조부는 판삼사사( 判 三 司 事 )윤성( 允 成 )이다. 갑사( 甲 士 )로 무관직에 올라 1443년(세종 25)에 제주 지대정현사( 知 大 靜 縣 事 )가 되었다. 1444년(세종 26)에는 제주 대정지면 요고천호( 瞭 高 千 戶 )로 재임 중 바다에 침입하는 왜선을 격파하였다. 1450년(문종 즉위년)첨지중추원사로 있다가,북방 야인을 다스리기 위해 조전절제사 ( 助 戰 節 制 使 )로 평안도 박천에 나가 북방의 방어에 전념하였다.1454년(단종2)행회령도 호부사( 行 會 寧 都 護 府 使 )를 거쳐 판의주목사로 전임되었다가,1458년(세조 4)다시 첨지 중추원사로 복귀하여 이듬해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60년 판길주목사로 부임했다가 장수의 도량이 있다 하여 새로 설치된 영북진( 寧 北 鎭 )의 도호부사로 전임되어 진( 鎭 )의 성을 쌓는 일에 진력하였다.그 뒤 신숙주( 申 叔 舟 )가 모련위( 毛 憐 衛 )의 여진족을 정벌하는 데 종군하여 공을 세우고,자헌대부에 가자( 加 資 ), 종성절제사가 되었다. 이듬해 함길도 도절제사가 된 뒤,1465년 중추원사로 전임될 때까지 5년 가까이 성공적 으로 북방 방어에 힘쓰면서 세조의 신임을 받았다.세조는 북방 방어에 노력하는 그의 노고를 덜어주려고 처와 함께 부임하도록 특명하였다.또한 함길도 도절제사로 재직 당시 에는 임기가 찼는데도,믿고 교대시킬 더 좋은 인물이 없음을 들어 유임시키기도 하였다. 1467년 이시애( 李 施 愛 )가 난을 일으키자,진북장군( 鎭 北 將 軍 )으로 어유소( 魚 有 沼 ) 남이 ( 南 怡 )등과 함께 홍원( 洪 原 ) 북청( 北 靑 ) 만령( 蔓 嶺 )등지에서 반란군을 격파하여 난을 평정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그 공으로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 精 忠 出 氣 布 義 敵 愾 功 臣 ) 1등에 녹훈되고 우의정에 승진되었다.이어 야인들의 소굴 건주위( 建 州 衛 )를 징벌할 때 서정장군( 西 征 將 軍 )으로 남이 어유소 등과 압록강을 건너 건주위의 동북쪽 파저강( 婆 猪 江 ) 올미부( 兀 彌 部 )의 여러 곳을 소탕하고 추장 이만주( 李 滿 住 )를 죽이는 등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명나라 헌종( 憲 宗 )으로부터 은 20냥과 비단을 하사받았다. 1468년 정월,병상에 있는 모친을 뵙고 선영( 先 塋 )에 분황( 焚 黃 )하고자 보령현으로 떠나려 하자 세조는 휴가를 주고 역말[ 驛 馬 ]을 타고 가도록 명하였다. 또 의원( 醫 員 )과 아들에게 역마를 타고 따라가게 하고 승정원( 承 政 院 )으로 하여금 충청도 관찰사에게 치서( 馳 書 )하여,우의정의 어머니에게 잔치를 베풀고 선영에 분황할
제11편 성씨 인물 581 적에는 치전( 致 奠 )을 하며,돌아올 때는 다시 한번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도록 명하였다. 7월에 곡천부원군( 谷 川 府 院 君 )에 봉해지고 영의정으로 오위도총관을 겸직하였으나,같은 해 10월 유자광( 柳 子 光 )의 무고로 일어난 남이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당했다. 1818년(순조 18)우의정 남공철( 南 公 轍 )의 상주( 上 奏 )로 억울한 누명이 풀리고 관작이 복구되었다.묘소는 보령시 미산면 도흥리 산 26번지 갑좌( 甲 坐 )에 정경부인 전주 이씨 ( 李 氏 )와 합장하였다.(강웅길)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제1권461쪽.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국역조선왕조실록 (CD-ROM)서울시스템(주)2001.연려실기술.청장관전서.대동기문.방솔나무 제5호(신천강씨 문중지.2004) 강열황( 姜 悅 璜 ) 본관은 진주이고 호는 호정( 湖 亭 )이다.서울에서 출생하여 김석주( 金 錫 冑 )의 문하생으로 사마( 司 馬 )에 오르고 벼슬길로서는 홍문관부교리,예조정랑,예조참의,대사간에 이르렀다. 숙종이 중전을 폐출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삭직되어 그의 동생 기황( 璣 璜 )ㆍ위황( 渭 璜 )과 함께 남전( 藍 田 )에 내려와 은거하여 산수를 즐기면서 세속에 물들지 않았다. 구계우( 具 繼 禹 1558~1620) 본관은 능성( 綾 城 )이고 호는 수암( 睡 庵 )이다.일찍이 명곡 이산보 문하에 나가 수학했 으며,어려서부터 대인( 大 人 )이 될 기질이 있어 토정 이지함도 그를 가리켜 대인의 기상이라 하였고,명곡 이산보도 나의 사표라 칭찬하였다 한다. 그는 자라면서 더욱 학문의 길에 매진하면서 후학을 교도하는 데 여생을 보낼 뿐 조정 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다.이산보와 내외종간으로 화암서원 창설을 주창한 학자이며,1971년 화암서원에 추가로 배향되었다. 구상은( 具 相 殷 1786~1853) 조선말기의 문신이다.본관은 능성이다.보령 청라에서 출생하여 순조 25년(1825) 생원시에 합격하고,1843년(헌종 9)식년시에 병과로 합격하여 사헌부지평 사간원정언 이조전랑 등 여러 벼슬을 거치고 결성현감을 지냈으며,통훈대부에 올랐다.효자정문을 받은 구만원( 具 萬 元 )의 증손이며 화암서원에 배향된 구계우( 具 繼 禹 )의 8대손이다.
582 인물 김감( 金 堪 ) 본관은 무주( 戊 州 )이고,조선 세종 때의 공신이다.세종조에 무과에 올라 훈련원봉사를 거쳐 주부( 主 簿 )ㆍ판관( 判 官 )을 역임하였으며,세종 17년에는 어모장군겸 병조참의에 오르고 선략장군이 되었다.그의 묘가 청소면 재정리 선산 아래에 있다. 김경상( 金 景 祥 1548~1592) 본관은 광산이며 김극성의 손자이다.자는 선응( 善 應 )이며 선조 16년(1583)별시 병과에 합격하여 군자판관 벼슬을 지냈고 임진왜란 때 순국하였다.묘는 청소면 성연리 새재에 있으며,새재 광산김씨의 파조이다. 김계백( 金 啓 白 1689~1750) 조선 영조조의 문신이다.숙종15년(1689)에 출생하였으며,호는 송산( 松 山 )이고,본관은 광산( 光 山 )이다.부친은 김익경,조부는 김시광이다.영조 5년(1729)식년시에 병과로 급제, 관직에 올라서는 사헌부지평을 거쳐 장령에 이르렀으며,바른 정론과 사적( 事 蹟 )을 많이 남겼다. 영조조의 노소론 당쟁을 비판하다가 용안현감으로 밀려나자 관직에 미련을 두지 않고 보령으로 낙향하여 일생 동안 학문을 벗삼으며 후진 양성에 보람을 느끼고 살았다. 김계환( 金 啓 煥 1729~1789) 김극성의 8대손으로 본관은 광산이고 자는 사명( 士 明 )호는 오은( 烏 隱 )이다.1783년 (정조7)증광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평생 글 읽기에만 전념 하였다.어려서부터 총명했던 김계환은 6세에 당시( 唐 詩 )를 배웠고 자라서는 경사( 經 史 )에 능통하였으며,평생을 학문과 부모봉양에만 전념했던 효자였다. 김극성 사후 유고로 떠돌던 김극성의 우정집 원고를 수습하였다.효성이 지극하여 신명( 神 明 )의 덕으로 설중( 雪 中 )에서 게( 蟹 )를 구하고,삼복더위에 꿩이 마당으로 떨어 지는 이변을 낳아 그 고기를 얻어 지극정성으로 병중의 모친에게 공양한 기적이 있었다. 이러한 김계환의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1830년 정려를 명 받았으며,동몽교관 조봉 대부가 추증되었다.김계환의 행적은 성당 정혁신( 性 堂 鄭 赫 臣 )의 성당집 에 수록돼 있으며,참판 신응선( 申 應 善 )이 추술한 효행기문이 전한다. 김계환의 정려는 6대 손부 백천조씨의 정려와 함께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 새재에 있다.
제11편 성씨 인물 583 김규( 金 葵 ) 본관은 무주이고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이다.세종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경연관( 經 筵 官 ),시독관( 試 讀 官 ),시강관( 侍 講 官 )을 거쳐 승정원부승지를 거쳐 홍문관대 제학으로 많은 학사를 양성하여 세종의 신임이 두터웠다.예조판서에 이르렀다.그의 묘가 청소면 재정리에 있다. 김광오( 金 光 五 ) 본관은 나주이고,호는 두산( 斗 山 )이다.영조 45년 문과에 급제하고 정조 5년에는 수찬관( 修 撰 官 )에 올랐다.그의 묘소는 청라면 우수치( 牛 首 峙 )에 있다. 김광원( 金 光 遠 ) 본관은 무주이고,명종 11년 무과에 급제하고 선천ㆍ갑산의 군수를 거쳐 어모장군 상호군( 御 侮 將 軍 上 護 軍 )에 이르렀다.청소면 능동에 비가 있다. 김극성( 金 克 成 1474(성종 5) 1540(중종 35)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광산( 光 山 ).자는 성지( 成 之 ),호는 청라( 靑 蘿 ) 우정( 憂 亭 ). 김성우의 현손으로,할아버지는 중로( 仲 老 )이고,아버지는 진사 맹권( 孟 權 )이다. 1496년(연산군2)생원시에 장원하고,1498년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후에 관직에 나갔다.1500년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북평사( 北 評 事 )가 되었고 이어 헌납에 발탁되었으나 연산군에게 충심으로 간하다가 죄를 입을 뻔했고,이어 병조정랑 사인 ( 舍 人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분의정국공신( 奮 義 靖 國 功 臣 )4등에 녹훈되어 장악원정( 掌 樂 院 正 )으로 임명되었다.이듬해 부모 봉양을 위해 외직을 희망하여 서천군수로 부임하였다. 이어 장례원판결사( 掌 隷 院 判 決 事 ) 병조참의를 역임하고 가선대부로 승진,광성부원군( 光 城 府 院 君 )에 책봉되었다. 의주목사로 갔다가 1518년(중종 13)삼공( 三 公 )에 의해 문무 겸비의 인물로 천거되어 예조참판으로 전임되었다.다시 경상우병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고,이듬 해 공조참판 으로 정조사( 正 朝 使 )에 임명되어 북경을 다녀왔다. 대사헌을 거쳐 1523년 예조판서 우참찬 이조판서를 지내다가 잠시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다시 찬성 병조판서 겸 지경연 세자이사로 있다가,권신 김안로( 金 安 老 )의 미움을 받아 그 일파의 모함으로 1531년(중종26)정광필( 鄭 光 弼 )과 함께 흥덕( 興 德 )에 유배되었다.
584 인물 이듬해 김안로가 죽자 귀양에서 풀려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저서로 우정집 이 있다.시호는 충정( 忠 貞 )이다.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묘소와 신도비 그리고 사우가 있다. 김극신( 金 克 愼 1469~1521) 조선 연산군조의 학자이다.본관은 광산이고 김성우의 5대손이다.연산군 1년에 생원에 올랐다.연산군 3년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나,연산군의 실정으로 삭과를 당하고 다시는 나가지 않았다.호는 유송( 維 松 )으로서,선군( 先 君 )김맹권의 유훈에 따라 학문에 전념 하여 도학으로 일가견을 이루어 그 소문이 자자하였다. 김근행( 金 謹 行 1582~1650)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선조 38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회인( 懷 仁 )연기( 燕 崎 )의 현령으로 벼슬길에 올라 선치( 善 治 )한 문신이다.여기에 그의 송덕비가 있다. 김낙항( 金 洛 恒 1782~1847) 조선말기의 문신이다.본관은 광산이고,3대진사의 명문으로,순조 5년(1805)사마시에 급제하고 진사에 올랐다.부친 김양흠도 정조 10년(1786)진사가 되었다. 김남호( 金 南 浩 1360~1424) 김성우의 장남으로 공민왕 9년(1360)송도( 松 都 )에서 태어났다.부친 김성우가 왕명을 받들고 전라우도 도만호로 보령에 내려올 당시 함께 호군으로서 활약했다.부친이 왜구 토벌 이후 불사이군의 충절로 자진순국하자 고향인 송도로의 귀환을 포기한 채 왜구와의 전첩지인 보령 청라에 은둔하며 덕을 베풀었다.이와 같은 김남호의 행적은 회재 이언적이 쓴 김극성의 행장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있다. 김성우가 아들인 김남호에게 경계하기를 내가 평생에 큰 덕을 베풀었다고 할 것이 없으나 왜적을 여러 번 무찌를 때에 저들이 아무리 못된 무리들이지만 인명을 많이 살상한 것은 도가( 道 家 )에서 꺼리는 일이니 후대들은 오직 덕을 닦기를 힘써 덕을 보존하는 일에 노력해야할 것이다. 하였다.그러므로 공은 항상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고 환난을 구제 하는 것을 사업으로 생각하였다.제주에 있는 고씨 부인이 흉년을 견디지 못해 처녀와 가족과 말을 싣고 바다를 건너 서울에 왔다가 공이 인자하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서 자기의 딸과 가마와 말을 다 바치고 붙어서 목숨이나 살아가게 해달라고 애원하였다.
제11편 성씨 인물 585 공은 그녀가 준다는 것을 뿌리치고 집에 들여앉혀 살게 하고 보령에 사는 강씨의 아들과 그 딸을 결혼시켜 아들 순을 낳았는데 그가 마침내 대신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공이 사람에게 음덕을 베푼 것이 대개 이러하였다. 묘는 보령시 죽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묘비는 증손인 김극성이 1501년에 지은 것으로 현존하는 보령시 최고( 最 古 )의 묘비이다. 김노기( 金 怒 己 ) 본관은 순천( 順 天 )이고 호는 남은( 藍 隱 )이다.세종 때 어모장군( 禦 侮 將 軍 )충좌위사용 ( 忠 佐 衛 司 勇 )을 지냈다.단종이 왕위에서 물러날 때 그는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단종이 영월로 유배되어 죽었다는 비보에 접하고는 통분한 나머지 병을 얻어 죽은 충신이다. 김노영( 金 魯 永 ) 조선말기의 무신이다.1836년 보령 주산에서 태어났으며,호는 화산( 華 山 ),본관은 경주 이다.철종 때 무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선략장군 행용양위부사과 훈련원판관을 지내고,고종 때 부호군에 올랐으나 국운이 기우는 것을 보고 벼슬길을 떠나 낙향하고는 학문 속에서 일생을 마쳤다.문집으로 화산유고( 華 山 遺 稿 ) 가 있다. 김맹권( 金 孟 權 ) 조선 초기의 학자로 본관은 광산,호는 만취당( 晩 翠 堂 )이다.김성우의 증손이며,감찰 김중로( 金 仲 老 )의 아들이다.보령 출신으로 일찍이 진사가 되고,문명( 文 名 )이 높아 집현전 학사로 뽑혔다.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 단종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세조 1년 (1455)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보령으로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는 데 공을 세우니 후에 每 月 之 忠 節 이라 하였다. 그의 아들인 김극성의 우정집 부록 소원록 에 의하면 공의 교화 후에 성암ㆍ 토정ㆍ명곡ㆍ천휴당이 모두 이 고을에서 배출되어서 공을 모두 향선생( 鄕 先 生 )으로 칭했다 하여 김맹권이 조선초 보령에 끼친 학문적 영향력이 적지 않았음을 말해 주고 있다. 김명현( 金 命 賢 1605~1670)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호는 기오당( 寄 傲 堂 ),본관은 광산이다.1630년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서 오랫동안 수학했으며 그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서는 익위사세마 ( 翊 衛 司 洗 馬 )가 되었으나 1640년에 부모가 모두 돌아가시고,시국이 불안하고 백성이
586 인물 도탄에 빠짐을 보고 관직을 사직하고 청라 고향으로 돌아와서 학문을 하며 여생을 보 냈다. 김문서( 金 文 瑞 1489~1546) 조선 중종조의 무신이며 본관은 광산이다.김극신의 아들로 그는 무인이었으나 어려서 화담 서경덕의 문하에서 글을 깨우쳤고,이산보와도 두터운 정( 情 )의 사이었으며,외예 ( 外 裔 )이홍로( 李 弘 老 )와도 친교가 두터웠다.중종 11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낙안( 樂 安 ) 해남( 海 南 )의 현령을 지내는 동안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로부터 많은 존경을 받았다. 그가 부임했던 곳엔 선정 공덕비가 여러 곳에 서 있다. 김백간( 金 伯 幹 1516~11582) 본관은 광산으로 김문서의 아들이며,음사( 蔭 仕 )로 발탁되어 3읍을 다스린 선정( 善 政 )의 인물이었으며,참판의 증직까지 올랐다.그러나 그는 벼슬길보다는 학문에 뜻이 깊었으며, 특히 율문( 律 文 )에 뛰어났다.문집 사송류집( 詞 訟 類 集 )이 전한다고 한다. 김상현( 金 商 賢 )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호는 기당( 冀 堂 ),본관은 경주이다.철종 14년(1864)에 출생하여 일찍 동몽교관에 뽑혀 후진을 양성하다가 문과에 급제하고는 궁내부주사로 조봉대부에 오르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효자로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김생려( 金 生 麗 ) 본관은 무주( 茂 州 )로 조선초기의 문신이다.태종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여러 벼슬을 거치고,함경도순무사겸북평사( 咸 鏡 道 巡 撫 使 兼 北 評 事 )로 재직 당시는 백성 들과 형제와 같이 지내는 등 선정을 베풀어 야인( 野 人 )들도 친숙하게 따랐다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북방의 경계선을 긋는 김종서 장군의 6진 개척에 큰 도움을 주었다. 태종 때는 왕의 총애를 받아 의금부 판결사를 거쳐 홍문관직제학에 올랐으며,조선시대 개국 초의 공신으로 꼽는다.그의 묘가 청소면 재정리 청동( 淸 洞 )에 있다. 김선지( 金 善 之 ) 본관은 무주( 茂 朱 )이다.조선 세조 때 사육신과 함께 수난을 당하여 그와 그의 동생 김한지( 金 漢 之 )와 장자 김유인( 金 有 仁 )은 같이 처형되고,그의 아내와 동생의 아내 및
제11편 성씨 인물 587 자부는 자살하였다.그러나 김선지의 둘째 아들(관의 추적을 피하여 이름을 숨겼으므로 호( 號 )만 해은( 海 隱 )으로 전한다.)은 안면도로 들어와 숨어 살다가 세조 말기에 청라에 와서 정착하여 겨우 가문을 잇게 되었다.해은은 도피하면서 지니고 다녔던 부친의 유품과 그후 수집한 유품을 매장하여 김선지의 묘를 만들었으니 그 묘소가 청소면 재정리에 있다.후손들이 보령 지역에 세거해 오고 있다. 김성국( 金 聲 國 ) 조선 영조ㆍ정조 때의 학자이다.영조 6년(1730)에 출생하여 일찍부터 글을 읽고는 문장이 뛰어나 여러 사람의 동경의 대상이었다.영조 32년에는 진사에 올랐으나 벼슬보다 학문의 길을 택하여 더욱 글을 읽으니 그에게 배우고자 찾아오는 서생들이 많았다. 만년까지 제자들을 가르치고 학문하다가 일생을 마친 학자이다.호는 송상( 松 常 )이고, 본관은 광산이다. 김성우( 金 成 雨 ) 불사이군의 고려 말 충신으로 본관은 광산( 光 山 )이다.고려말 전라우도 도만호 겸 초토사로서 보령 지역의 왜구를 격퇴한 인물로 보령 광산김씨의 입향조이다.출생 년대는 미상이나 조선 건국 해인 1392년 보령 청라에서 몰한 것으로 전해진다.부친은 봉익대 부 판도판서 밀직부사( 奉 翊 大 夫 版 圖 判 書 密 直 副 使 )를 지낸 김윤장( 金 允 臧 )이며,조부는 문림랑 감찰어사( 文 林 郞 監 察 御 使 )를 지낸 김류( 金 流 )이다. 증조부는 고려 원종 때 원선수소용대장군( 元 宣 授 昭 勇 大 將 軍 )으로 일본을 정벌하기도 했던 김주정( 金 周 鼎 )으로 문숙( 文 肅 )의 시호를 받았다. 김성우가 보령의 역사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유형원( 柳 馨 遠 )의 동국여지지( 東 國 輿 地 志 ) (1656-1673)로 김성우가 왜구를 토벌한 공로로 보령에 사패지( 賜 田 )를 받았다는 기록에서이다. 이어 우부승지 정권( 鄭 權 )이 편찬한 신안읍지( 新 安 邑 誌 ) (1748)인물편의 첫머리에 김성우는 고려 개성 출신이며,왜구를 토벌하라는 명을 받고 보령에 내려왔다고 기록되어 있다.아울러 의평리,관암 등의 지명 유래가 김성우의 왜구 토벌과 관련된 것임과 청라면에 그의 후손들이 거주하게 된 연유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김성우 공을 자손들과 세상 사람들이 이 땅의 주인이라고 여긴다. 고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다. 여지도서 (1757)를 비롯하여 충청도읍지 (영조), 호서 읍지 (1871), 1872년 지방도, 조선환여승람) 등에서도 이와 같은 김성우의 행적이
588 인물 실려 있다. 조선후기 여지도서 와 충청도 읍지 등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본관은 광주( 光 州 )이다.시중( 侍 中 )김주정( 金 周 鼎 )의 증손이며,판도판서( 版 圖 判 書 ) 김윤장( 金 允 臧 )의 아들이다.고려 말에 도만호 초토사( 都 萬 戶 招 討 事 )로서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왜적을 공격했다.군대가 보령을 지나갈 때 보령은 오래도록 왜구의 소굴이 되어 있었다.김성우 공이 그들을 모두 무찔러 없앴다.전투를 벌일 때 신령스러운 말이 저절로 왔기 때문에 그 봉우리의 이름을 옥마봉( 玉 馬 峰 )이라고 했으며,칼이 저절로 나왔기 때문에 그 골짜기의 이름을 비도봉( 飛 刀 峰 )이라고 했다. 군대가 바닷가 포구로 들어오니 군입포( 軍 入 浦 )라는 이름이 있게 되었으며,병사들이 화애( 花 崖 )에 숨어 있어서 복병평( 伏 兵 坪 )이라는 이름이 있게 되었다.포구의 바위에 갓을 벗어놓은 까닭에 관암( 冠 岩 )이라는 이름이 있게 되었고,적의 시체가 개미떼와 같은 까닭 에 의평( 蟻 坪 )이라는 이름이 있게 되었다.지금까지 사람들이 기적이 일어난 일을 이야기 한다.김성우 공이 청라( 靑 蘿 )땅을 좋아했기 때문에 자손들과 세상 사람들이 이 땅의 주 인이라고 여긴다.(국역 여지도서,2009) 그리고 최근에는 도만호 김성우 장군 관암사적비(대천해수욕장 신광장), 김성우 장군 전첩사적비(대천 어항입구), 김성우 장군 진수유허비 (주포면 주교리), 김성우 장군 왜구소탕비 (장군묘역), 고려의마암갈비 (청라면 나원리 스무티 고개), 김성우 장군 월암 부비 (청라면 나원리), 김성우 장군 백마총 (청라면 백현리), 성주산 장군봉 유래 안내판 (성주산 정상)등이 대천문화원 및 보령시 유관기관의 협찬으로 보령 곳곳에 세워졌다. 이러한 김성우의 왜구 토벌을 기리기 위해 매년 11월 1일 보령시 청라면 나원리 발산 (일명 고려향( 高 麗 鄕 )소재의 묘소에서는 대천문화원에서 주관하여 각계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추모제향이 거행되고 있다. 김수정( 金 守 精 ) 자는 중숙( 仲 叔 )이고,본관은 경주이다.김수현의 동생으로 보사원종훈에 녹하였다. 김수현( 金 守 玄 ) 조선 숙종조의 문신이다.자는 순중( 純 仲 )이고,본관은 경주이다.관직은 공조참의에 올랐으며,숙종조에 보사원종이등훈( 保 社 原 從 二 等 勳 )에 책록되고,가선대부에 올랐다.
제11편 성씨 인물 589 김숙( 金 淑 ) 본관은 무주이고 조선 중종 때의 무신이다.중종 3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 라서는 여러 벼슬을 거쳐 중종 19년에 충청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그는 수군절도사로 재임시 병선의 수리와 건조에 공적을 세워 막강한 충청수군을 키운 지휘자로 명성이 있었다.부하인 첨사와 만호를 아끼는 데도 남달랐다 한다. 김시걸( 金 時 傑 1653(효종4) 1701(숙종27)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안동( 安 東 ).자는 사흥( 士 興 ),호는 난곡( 蘭 谷 ).현감 수인 ( 壽 仁 )의 손자이고,아버지는 성우( 盛 遇 )이다.1684년(숙종10)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688년 검열이 되었으나 이듬해 기사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1694년 갑술환국 후에 지평 ( 持 平 )으로 다시 기용되었다.1695년 부사직( 副 司 直 ) 수찬( 修 撰 ) 부교리( 副 校 理 ) 헌납 ( 獻 納 ) 이조좌랑 교리가 되었으며,이듬해에 이조정랑 사간 겸필선( 兼 弼 善 ) 사복시정 ( 司 僕 寺 正 ) 겸보덕( 兼 輔 德 ) 집의( 執 義 ) 응교( 應 敎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1699년에 승지에 이어 전라도관찰사가 되었으며,1701년 대사간을 역임하였다.시호는 헌간( 獻 簡 )이다.청음 김상헌의 현손이고,조선말기 홍성의 유학자 김복한의 8대조이다. 김신행( 金 信 行 1579~1613)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김태국의 아들이다.그는 호가 송파( 松 坡 )이고,본관은 광산이다. 선조 34년에 사마시에 오르고,광해군 6년 문과에 올라 승정원 주서( 注 書 )에 오르고는 당시 조정이 혼란하여 옥사가 자주 일어나서 문서가 산적하여도 착오없이 처리하므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비주서( 飛 注 書 )라고 하였다.뒤에 수찬( 修 撰 )에 올랐다. 김억( 金 億 ) 본관은 나주이고 호는 월악( 月 岳 )이다.조선 인조 12년(1634)무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훈련원 첨정 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따라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군과 싸워 공을 세워 그 공으로 인조 24년(1646)에는 금위장절충장군( 禁 衛 將 折 衝 將 軍 )에 올랐다. 5위( 五 衛 )의 군제개혁에 공을 세우기도 했다. 김여남( 金 汝 南 ) 본관은 광산이고 호는 춘한당( 春 閑 堂 )이다.좌승지 김해수( 金 海 壽 )의 아들로 인조 1년 (1623)에 출생하였고,벼슬은 장성부사에 이르렀다.여러 치적을 세워 통정대부에 올랐다.
590 인물 김영석( 金 永 錫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이다.세조 12년(1467)에 출생하여 성종조에 생원에 이어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사헌부집의를 거쳐 옥천군수로 부임하여 많은 치적을 쌓았다.연산군조에 국정이 어지러우므로 관직을 버리고 보령 땅으로 돌아와서는 다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문명( 文 名 )이 높았다. 김영수( 金 永 壽 ) 본관은 무주이고 호는 만암( 晩 菴 )이며 일찍이 경전을 읽어 명성이 인근에 자자했으며 철종조에 선관( 善 冠 )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돈녕부봉사( 敦 寧 府 奉 事 ),이어서 돈녕부정에 이르렀다. 김영제( 金 寧 濟 ) 조선 말기의 학자이다.호는 지산( 支 山 )이고,본관은 경주이다.고종 4년(1867)출생하여 동몽교관에 올랐으나 향리에서 후진 양성에 공을 세웠으며,문필( 文 筆 )이 특출하여 명성이 있었다. 김용제( 金 用 濟 ) 조선 말기의 남포군수이다.본관은 경주이고 호는 약천( 若 川 )이다.웅천 출신으로 고종 2년(1866)에 참사관( 參 事 官 )에 오르고 고종 5년(1868)에 음성군수를 지냈다.광무2년에 남포군수에 부임하고 가선대부에 올랐다. 김우식( 金 雨 植 ) 본관은 김해로 조선시대 말기 고종 때의 문신이다.고종 25년(1888)에 교섭아문주사 ( 交 涉 衙 門 主 事 )에 오르고,고종 28년에 의금부도사,광무 3년(1901)에는 통정대부시종원 시종 주임관 6등을 역임하고,광무 10년(1906)에 웅천으로 하향하여 은거하였다. 김위( 金 渭 ) 조선 영조 때의 상신( 相 臣 )이다.자는 흥백( 興 伯 )이고,원종훈신 김한( 金 漢 )의 후손이다. 영종조에 무과에 오르고,관( 官 )이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겸동지춘추관사에 올랐다. 그는 본관이 경주로 효우하고 흉년에 해변 일대의 어려운 사람들에게 시혜하여 많은 칭송을 받았다.
제11편 성씨 인물 591 김응순( 金 應 純 ) 조선 성종 13년(1482)에 출생한 무인이며,무과에 급제하고 여러 벼슬을 거쳤다.임천 현감을 지냈다. 김응의( 金 應 漪 ) 본관은 통천이며,남포 입향조 김훈( 金 勛 )의 현손이다.광해군 때 관직에 올라 통정대부 행벽동군수( 通 政 大 夫 行 碧 潼 郡 守 )를 역임했다.이괄의 난 때는 군사를 이끌고 반군과 싸운 공로로 왕이 공주에서 환궁한 후에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증직하고 문충( 文 忠 )의 시호를 내렸다.그의 후손들이 보령과 비인지역에 세거해 오고 있으며,묘소는 그동안 비인에 있다가 최근 남포 옥동리 선산에 이장했다.후손으로 내장원경을 지낸 김윤환이 1921년에 세운 묘비가 있다. 김응정( 金 應 精 ) 본관은 광산이고 성종 11년(1480)에 출생한 무인이다.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봉사를 거쳐 결성현감이 되었다.그는 현감을 지내면서 백성들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선정을 베풀어 그 치적을 나타내는 선정비가 여러 곳에 있다. 김의행( 金 誼 行 1589~1677) 조선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광산이다.약관에 사마시에 올라 성균관생원이 되었으나 벼슬 길에 나가지 아니하고 보령 청라에서 사림의 지조를 지키며 학문에 열중했던 선비이다. 김인사( 金 麟 士 1508~1592) 본관은 광산이며 김극성의 장자로 자는 시재( 時 哉 )이다.중종조에 음사로 양근군수를 역임했고,장수하여 정3품인 통훈대부에 올랐다.묘는 청소면 재정리 능동 부친 김극성의 묘 아래에 있다. 김일( 金 鎰 ) 무주인으로 인조 갑술에 문과에 급제하여 병자호란 때 청에 끌려간 백성 송환에 공을 세웠고,현종 계묘에 통정대부돈녕부정( 通 政 大 夫 敦 寧 府 正 )에 이르렀다. 김적( 金 適 ) 본관은 나주( 羅 州 )이고 호는 취암( 鷲 巖 )이다.조선 중종 38년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592 인물 올라 김제군수로 있을 때인 명종 10년(1555)에 왜구의 침범이 있어 초토사( 招 討 使 )의 중군( 中 軍 )으로 적을 소탕하였다.그 공으로 광주목사( 廣 州 牧 使 )에 올랐다.또한 문장이 뛰어나서 널리 알려졌다.그의 묘가 청라면 우수치( 牛 首 峙 )에 있다. 김전( 金 銓 ) 본관은 경주이고 자는 사원( 士 元 )이다.관직은 낙안군수를 역임하였으며,보사원종훈에 책록되었다. 김제창( 金 濟 昶 ) 본관은 김해이고 호는 양관( 兩 舘 )이다.고종 5년(1868)에 부사용( 副 司 勇 )에 처음 임명 되었고,고종 26년(1889)에 평해군수 겸 강릉진관병마동지첨절제사를 지냈다, 김중로( 金 仲 老 ) 조선 태조 2년(1393)에 태어난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이다.본관은 광산으로 김성우의 손자이다.세종 20년에 무과에 급제하고,다시 문과에 급제,사헌부 감찰을 지냈으며, 그의 곧은 처사에 모두가 탄복하였다.여러 벼슬 끝에 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 崇 祿 大 夫 議 政 府 左 贊 成 )이 증직되었으며,그의 시집이 지금까지 여러 권 전한다. 김중하( 金 重 夏 ) 본관은 나주이고 호는 운강( 雲 岡 )이다.영조 21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상의원 별좌 ( 尙 衣 院 別 坐 )에 올랐으며,이어서 호조정랑,영조 43년에는 호조참판에 올랐다.묘소는 청양 선산에 있다. 김지흠( 金 志 欽 ) 광산인으로 호는 나옹( 蘿 翁 )이며 정조 1년에 청라에서 출생하여 헌종 3년 사마시에 급제하였고,성균관 박사ㆍ교수를 역임하면서 40여 년간 경학을 강론하여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다.그 중에는 철종조에 영의정을 지낸 조두순( 趙 斗 淳 )이 있어 그의 장례일에 조두순이 호상( 護 喪 )을 하기도 했다. 김충수( 金 忠 秀 )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중종 38년(1543)에 출생하여 명종조에 생원에 오르고,이어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참판에까지 이르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원수 권율 장군 휘하에서
제11편 성씨 인물 593 온양군수로서 병력을 이끌고 많은 공을 세워 선무원종훈( 宣 武 元 從 勳 )에 책록되었으며, 그후 정유재란 때는 다시 창의하여 충남지방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남포에서 분전 중 순절한 공신이다.후일 그에게 가선대부의정부우참찬겸지의금부오위도총부도총관( 嘉 善 大 夫 議 政 府 右 參 贊 兼 知 義 禁 府 五 衛 都 摠 府 都 摠 管 )이 추증되었다. 김태국( 金 泰 國 1566~1624) 본관은 광산이다.호는 송부( 松 阜 )이고,전라감사 김태정( 金 泰 廷 )의 동생이다.선조 때 음사로 금산군수,전주진관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광해군조에는 광해군이 그의 생모를 종묘에 봉안하려 할 적에 상소문을 올려 아무리 왕의 생모라 하더라도 왕후가 아닌 빈을 종묘에 봉안할 수 없다고 만류하자 조정의 신하들이 공의 의연한 태도에 모두 감탄하였다. 광해군 12년에 관직을 버리고 청라 고향에 낙향하여 후진을 양성하며 여생을 보냈다. 김태정( 金 泰 廷 1541(중종36) 1588)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김백간의 아들이다.본관은 광산( 光 山 ).자는 형언( 亨 彦 ).호는 송암 ( 松 巖 )이다.할아버지는 문서( 文 瑞 )이고,아버지는 찰방 백간( 伯 幹 )이다.일찍이 이황( 李 滉 )의 문인들과 교유하며 견문을 넓히고 1561년(명종 16)에 진사가 되었으며,이어 1569년 (선조 2)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그 뒤 사간원정언,삼사( 三 司 )를 역임하는 등 여러 관직을 거쳐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선조 10년 인종비 인성왕후( 仁 聖 王 后 )가 하세하였을 때는 빈소의 예관으로 당시 대사헌 이준백( 李 俊 白 )과 복상문제로 대토론을 전개하여 조야를 탄복케 했으며,인조 17년 전라도 관찰사를 할 때는 정여립이 전주에 살면서 가까이 하려 했으나 그의 사람됨을 미리 알고 접근도 하지 않았다 한다.후일 을축옥사( 乙 丑 獄 事 )를 당하여 그가 선견지명이 있음에 사람들이 탄복하였다. 김택( 金 澤 ) 선조 때의 문신이다.그는 호가 광암( 光 庵 )이고,본관은 무주이다.선조 2년(1579)에 출생하여 약관으로 문과에 급제하고 별제좌랑( 別 提 佐 郞 )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터짐에 선조가 의주로 서행( 西 幸 )할 때 호종하여 호성공신 원종훈에 책록( 冊 錄 )되었으며,벼슬이 의정부사인( 議 政 府 舍 人 )에 이르렀다. 김한( 金 漢 ) 본관은 경주이고,조선 세종조의 문신이다.세종조에 문과에 올랐다.벼슬이 감찰에
594 인물 이르렀을 때 단종 1년 수양대군을 둘러싼 왕권음모에 싫증을 느껴 벼슬을 버리고 남포로 낙향하였다.단종 3년 단종이 왕위에서 물러나고 비명에 가자 목 놓아 통곡하며 비분에 젖어 있다가 병이 되어 죽었다.그의 후손들이 보령지역에 세거해 온다. 김해수( 金 海 壽 1581(선조14) 1640(인조18))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광산( 光 山 ).자는 심원( 深 源 ).부장 인보( 紐 輔 )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충서( 忠 恕 )이고,아버지는 증지평 응천( 應 天 )이며,대대로 보령에서 살았다. 어려서부터 정홍명( 鄭 弘 溟 )과 교유하고 김장생( 金 長 生 )의 문하에서 배웠으며,여러 제자들 가운데서도 특히 칭찬을 받았다고 한다.이괄의 난 때는 백의로 동지들을 거느리고 대가 ( 大 駕 )를 모셔 공주산성에 들어가 공을 세웠으며,1627년(인조 5)정묘호란이 일어나 김장생이 의병을 일으키자,여러 고을의 창의관( 倡 義 官 )이 되어 많은 공을 쌓았다. 김장생의 천거로 사직서참봉이 되었으며,그 뒤 사옹원봉사와 제용감직장을 거쳐 청산과 아산의 현감을 역임하였다.그후 고향인 청라에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는 데 힘쓰다가 졸하였다.그의 문집이 있으며,청라 옥계리의 묘소에는 송시열이 찬( 撰 ),송준길 서( 書 ), 김만기 명( 銘 )의 묘비가 있다. 김해은( 金 海 隱 ) 본관은 무주( 茂 州 )이다.단종조의 충신인 김선지( 金 善 之 )의 아들이다.사육신을 비롯한 충신들이 단종복위를 꾀하다 탄로되어 화를 당하는 과정에서,여기에 연루된 김선지와 큰아들이 화를 당하면서 멸문지화를 입자,김선지의 차자인 김해은(해은은 호이다.)은 몰래 노비 충록( 忠 祿 )과 함께 도망하여 안면도에 숨어들어 은거하다가,말년에 청라동으로 이주하여 정착함으로써 보령지역에 무주김씨들이 세거해 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무서운 비극 속에서 신분의 탄로가 두려워 이름도 전하고 있지 않으나,해은이라는 호만 전해올 뿐이다.그가 생전에 쓴 해은자서전이 있어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알려주고 있다. 보령 무주김씨 입향조인 그의 무덤은 청소면 능동에 있다. 김홍규( 金 弘 逵 ) 본관은 광산이고,중종 25년(1530)태어났다.무과에 오르고 벼슬이 주부( 主 簿 )에 이르 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두 동생과 의병을 일으켰는데,침략한 왜군을 수적으로 당할 수 없어 신출귀몰하는 전법으로 수년간 항전을 거듭하였으나 끝내 큰 싸움에서 두 동생과 함께 전사하였다.임진왜란 때의 공로로 선무공신원종훈( 宣 武 功 臣 原 從 勳 )이 내려지고, 그 자손에게 통정대부병조참의( 通 政 大 夫 兵 曹 參 議 )를 추증하였다.
제11편 성씨 인물 595 김홍원( 金 弘 遠 ) 본관은 광산이고,조선 선조 때의 무인이다.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는 수원판관 으로 봉직하였다.왜적과 싸울 때는 한 치도 물러설 줄 몰랐던 그는 왜군과의 여러 싸움 에서 많은 공훈을 남겼다.도원수 권율 장군의 휘하에서 몰려오는 왜군과 수원 돌산 ( 乭 山 )에서 산성을 지키면서 분전하였지만 끝내 왜군의 흉탄을 맞고 전사했다. 뒤에 선무공신원종훈( 宣 武 功 臣 原 從 勳 )에 책록( 冊 錄 )되고 병조참의가 추증되었다. 김훈( 金 勛 ) 본관은 통천( 通 川 )이다.고려 말엽에 판도판서 등을 역임한 김원등( 金 遠 登 )이 통천에 토착한 이후 성장한 사족의 후예로,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남포현감을 지냈으며, 벼슬이 참의에 이르렀다.단종이 폐위되자 크게 탄식하고 벼슬을 버린 채 남포현에 들어와서는 다시는 벼슬에 나가지 않은 불사이군의 선비이다.그의 후손들이 보령과 비인지역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세거해 왔고,묘소는 웅천읍 두룡리에 그 후손 김윤환 ( 金 閏 煥 )이 1904년에 짓고 써서 세운 묘비와 함께 있다. 무염대사( 無 染 大 師 801~888)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신라 선문구산 중 성주산문( 聖 住 山 門 )의 개산조( 開 山 祖 )이다. 성은 김씨( 金 氏 ).범청( 範 淸 )의 아들로 어머니는 화( 華 )씨이다.제29대 태종무열왕의 8대 손이며,어려서부터 글을 익혀 9세 때 해동신동( 海 東 神 童 )이라 했지만,12세에 출가하여 설악산 오색석사( 五 色 石 寺 )에서 법성( 法 性 )의 제자가 되었다. 법성은 무염에게 한문과 중국어를 가르쳐 주었으며,당나라 유학을 권고하였다.당시 당나라에서는 화엄학이 크게 성행하였으므로 무염은 부석사( 浮 石 寺 )의 석징( 釋 澄 )을 찾아가 화엄경 을 공부한 뒤,배를 타고 당나라로 갔다.그러나 도중에 풍랑을 만나 배가 흑산도에 기착하여 당나라로 가지 못하였다.821년(헌덕왕13)다시 정조사( 正 朝 使 ) 김양( 金 陽 )을 따라 당나라로 가서 장안의 지상사( 至 相 寺 )를 거쳐 불광사( 佛 光 寺 )의 여만 ( 如 滿 )을 찾아가 선법( 禪 法 )을 물었다.여만은 내가 많은 사람을 만나 보았지만 이와 같은 신라의 젊은이는 본 적이 없다.뒷날 중국이 선풍( 禪 風 )을 잃어버리는 날에는 중국 사람들이 신라로 가서 선법을 물어야 할 것이다. 라고 칭찬하였다. 그 뒤 무염은 마곡산( 麻 谷 山 )보철( 寶 徹 )을 찾아가서 인가를 받아 법맥을 이어받고, 중국의 여러 곳을 다니면서 고독한 사람,병고를 겪고 있는 사람,가난한 사람들을 보살폈다.20여 년 동안 이와 같은 보살행( 菩 薩 行 )을 실천하자 그의 이름은 중국 전역에
596 인물 퍼졌으며,사람들은 그를 동방의 대보살이라 불렀다. 8 4 7 년( 문성왕 7 )귀국하자 왕자 흔( 昕) 이 성주사( 聖住寺) 에 머무르기를 간청하여 여기에 머물며,4 0 여 년 동안 교화에 전력하였다.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등 여섯 왕이 모두 그를 존경하여 법을 물었고,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도를 구하였다. 그리하여 이후 성주사는 성주산문의 중심지가 되었다. 성격은 공손하고 자애로웠으며 손님을 대할 때 귀천을 가리지 않았고,언제나 다른 승려들과 함께 보리밥을 먹었다.절에 큰 불사( 佛事) 가 있을 때 앞장서서 일을 하였고, 평소에도 물을 긷고 나무를 하였다. 8 9세로 입적하였으며,시호는 대낭혜( 大朗慧),탑호는 백월보광( 白月葆光) 이라 하였다. 최치원이 왕명을 받아 글을 짓고 최인연( 崔仁渷) 이 쓴 성주사대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는 현재 국보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자는 2, 0 0 0 여 명에 이르렀으며,그 중 원장 ( 圓藏) 영원( 靈源) 현영( 玄影) 승량( 僧亮) 여엄 ( 麗嚴) 자인( 慈忍) 심광( 沈光) 대통( 大通) 등이 그의 선풍을 계승하고 선양하여 성주산문의 기반을 튼튼히 하였다. 중국 서안의 지상사(2008.08) 민치록( 閔致祿 1799 1858) 본관은 여흥이고 시호는 효정( 孝貞) 이다.고종의 장인이고 명성황후의 아버지다.벼슬이 첨정에 그쳤고 여주에서 살았다.죽은 뒤 고종 3년( 1866)딸이 왕후로 책봉됨으로써 영의정여성부원군( 領議政驪城府院君) 에 추증되었다.보령시 주포면 관산리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었으나,최근 고향인 여주로 옮겼다. 박기조( 朴起祖) 본관은 함양( 咸陽) 이다.숙종 1 9( 1 69 3) 년에 식년 생원시에 합격하고,신은( 新恩) 으로 홀로 인현왕후 폐처별궁( 廢處別宮) 에 배명( 拜命) 하였으며,벼슬이 도정( 都正) 에 이르고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이지함의 외손이다. 박동선( 朴東善 1562( 명종 17) 1640( 인조 18) )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반남( 潘南).자는 자수( 子粹),호는 서포( 西浦).조년( 兆年) 의 증손으로,할아버지는 사간 소( 紹) 이고,아버지는 사재감정( 司宰監正)응천( 應川) 이다.
제11편 성씨 인물 597 1589년(선조22)28세에 진사가 되었고,이듬 해 증광 별시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들어갔으며,여러 벼슬을 거쳐 병조좌랑이 되었다.그 뒤 남포현감으로 이몽학( 李 夢 鶴 )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는데,논공행상에 그를 시기하는 사람이 있어 제외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는 남포현에 왜적이 쳐들어오자 현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피난시켜 무사하게 했다.그 뒤 성균관전적 직강 예조좌랑 병조좌랑 사복시정 등을 차례로 지내고,경기도사 수안군수에 이어 인천 부평 남양 등의 부사가 되어 가는 곳마다 치적이 있었다.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그를 대사간에 임명하자 광해군의 패륜 행위를 못마땅히 여겨 사양했지만 참의로 임명되었다.이어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다.1613년(광해군 5)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하고 시골로 내려가 은거하였다. 인조반정으로 대사간이 되었으며,이듬해인 1624년(인조 2)이괄( 李 适 )의 난 때 병조 참의로서 인조를 모시고 공주로 피난갔다.난이 평정된 뒤 돌아와 가선대부로 대사헌이 되었고,이조참판을 거쳐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모시고 강화로 갔으며,형조판서 좌참찬 우참찬 지돈녕부사 지중추부사 겸 지경연사 지의금부사 춘추관사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늙고 병든 몸으로 왕손을 호종하고 강화 교동 호서 등지로 피난했다가 난이 끝난 뒤 한성에 돌아와 좌참찬이 되었다.저서에 서포기문 西 浦 記 聞 이 있다.시호는 정헌( 貞 憲 )이다. 박승건( 朴 承 健 1609(광해군 1) 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밀양( 密 陽 ).자는 자이( 子 以 ).판서 충원( 忠 元 )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현( 好 賢 )이고,아버지는 안행( 安 行 )이다.1630년(인조8)중형( 仲 兄 )승휴 ( 承 休 )와 함께 진사가 되고,1650년(효종1)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 ( 承 文 院 權 知 正 字 )에 보임되었다.이어 성균관전적( 成 均 館 典 籍 ) 예조좌랑 병조좌랑 등을 거쳐,1652년에는 정언( 正 言 ) 사서( 司 書 ) 직강( 直 講 ) 예조정랑을 지냈다. 정언( 正 言 )으로 있을 때는 형조판서 허적( 許 積 )을 논핵하였으며,1661년(현종2)에는 지평( 持 平 ) 전라도도사( 全 羅 道 都 事 )를 역임하고,이듬해에는 장령( 掌 令 )이 되었다.1663년 에는 종부시정( 宗 簿 寺 正 )에 올라,진하 겸 사은사( 進 賀 兼 謝 恩 使 )의 서장관( 書 狀 官 )이 되어 청나라에 들어가다가 지병이 도져서 도중에 돌아오고 말았다.이때 그는 사신의 임무를 마치지 못한 것을 평생의 한으로 삼아,그 뒤에도 계속 조정에 청나라의 사신으로 보내 줄 것을 간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598 인물 그 뒤 제용감정( 濟 用 監 正 )을 거쳐,1664년 9월 상주목사( 尙 州 牧 使 )로 재직하던 중 관곡을 방출하여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고 민역( 民 役 )에 충당한 사실로 가자( 加 資 )되었다. 그의 아들 박세주( 朴 世 冑 )가 보령 개화리에 입향하면서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고, 박승건의 효자 정려를 옮겨와,보령에서 아들 박세주가 받은 효자 정려를 함께 현재의 도화담리에 건립하여 놓았다.박승건의 묘소는 보령으로 이장되어 개화리에 있으며, 묘비와 함께 있다. 박정원( 朴 正 源 ) 1685년생으로 본관은 밀양이고 자는 심보( 心 甫 )이다.수암( 遂 庵 )문인으로 문행( 文 行 )이 탁이하였다.숙종 43년(1717)생원시에 합격했다. 박홍양( 朴 鴻 陽 ) 본관은 반남( 潘 南 )이고,호는 금남( 錦 南 )이다.조선시대 말기 고종조에 정산( 定 山 )을 거쳐,보령현감으로 부임,많은 치적을 쌓았다.청백리로 선정비가 있다.만년에는 청라 에서 여생을 보냈다. 백문절( 白 文 節? 1282(충렬왕 8)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본관은 남포( 藍 浦 ).자는 빈연( 彬 然 ),호는 담암( 淡 巖 )이며. 백이정( 白 頤 正 )의 아버지이다.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에서 벼슬하다가 중서사인 ( 中 書 舍 人 ) 이부시랑( 吏 部 侍 郎 ) 국자좨주( 國 子 祭 酒 )를 역임하였다. 1269년(원종10)에 임연( 林 衍 에 의하여 폐위되었다가 복위한 원종이 원나라에 들어갈 때 표문( 表 文 )을 지었다.이때 왕이 임연을 두려워하여 폐립( 廢 立 )의 사실을 감추고 거 짓 병으로 왕위를 물려준 것으로 말하라 하자,붓을 놓고 울면서 간( 諫 )함으로써 왕을 깨닫게 하여 사실대로 표문을 썼다. 1278년(충렬왕 4)에 사의대부( 司 議 大 夫 )로서 공적이 없는 권세가의 자제들이 관직에 많이 임명되므로 고신( 告 身 : 辭 令 書 )에 서명을 하지 않자 왕이 여러 차례 서명을 재촉 하였으나 불응하여 왕의 큰 노여움을 사서 옥에 갇혔다가 풀려났다.뒤에 국학대사성 ( 國 學 大 司 成 ) 보문각학사( 寶 文 閣 學 士 )가 되었다. 1280년에 왕에게 진언하여 시사( 時 事 )를 말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귀양간 시사 ( 侍 史 )심양( 沈 瑄 )등을 석방하게 하였으며,그 해 동지공거( 同 知 貢 擧 )가 되어 지공거 원부( 元 傅 )와 함께 진사( 進 士 )를 뽑아 이백기( 李 伯 琪 )등 33인을 급제하게 하였다.
제11편 성씨 인물 599 그는 문사( 文 詞 )가 풍부하고 글씨를 잘 썼다.보령의 옥산사( 玉 山 祠 )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문간( 文 簡 )이다. 백사준( 白 師 俊 1736~1830) 조선 영조 때의 무신으로,본관은 남포이다.영조조에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에 올랐 으며,뒤에 훈련원정( 訓 練 院 正 )에 증직되었다. 백사천( 白 師 天 1733~1802) 조선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포이다.무과에 급제하여 현감,사헌부감찰에 올랐다. 무술에 뛰어난 무인으로 영조 때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재종제 백사준과 거의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백사형( 白 師 亨 1768~1808) 본관은 남포이고,호는 청계( 淸 溪 )이다.일찍부터 성당 정혁신의 학식이 높음을 듣고 찾아가 수학하였다.그는 스승으로부터 남당( 南 塘 )학문의 요체를 전습 받고는 녹문 임성주를 비롯하여 삼산재 김이안,성담 송환기,강재 송치규 등과 종유하였다. 남포 신안사 창건시에는 많은 재물을 냈다고 전한다.문집 청계집이 있다. 백영수( 白 泳 洙 1842~1896) 자는 성함( 聖 涵 )이고,고종 4년(1867)식년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향리인 웅천 구룡리 장자동에서 학문에 전념하였다.부친은 백태진이고,형은 백규수이다. 백유공( 白 惟 恭 1408~1461) 본관은 남포이고,호는 정재( 靜 齋 )이며 조선조의 문신이다.세종 때 충주목사를 지내고, 세조 1년(1456)에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그해 단종 복위를 꾀하는 선비들과 보조를 같이 하였으나 사전에 실패로 돌아가자 운제고산( 雲 悌 高 山 )에 은거하고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백이정( 白 頤 正,1247(고종34) 1323(충숙왕10)) 고려 후기의 유학자.본관은 남포( 藍 浦 ).자는 약헌( 若 軒 ).호는 이재( 彛 齋 ).보문각학사 ( 寶 文 閣 學 士 )인 아버지는 문절( 文 節 )이며,안향( 安 珦 )의 문인이다.
600 인물 1275년(충렬왕1)문과에 급제,충숙왕 때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삼중대광( 僉 議 評 理 商 議 會 議 都 監 事 三 重 大 匡 )에 이르고,뒤에 상당군( 上 黨 君 )에 봉해졌다. 1298년 원( 元 )이 사신을 보내어 세자를 왕으로 삼고,8월에 왕을 불러가자 충선왕을 따라 원의 연경( 燕 京 )에서 10년간 머물러 있었다.그 동안 주로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연구했고,귀국할 때 정주( 程 朱 )의 성리서적과 주자의 가례( 家 禮 ) 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 뒤 후진 양성에 힘써서,이제현( 李 齊 賢 ) 박충좌( 朴 忠 佐 ) 이곡( 李 穀 ) 이인복( 李 仁 復 ) 백문보( 白 文 寶 )등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도학과 예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성리학을 들여온 사람은 안향이지만,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파악해 크게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이라 할 수 있다. 안향과 백이정의 학통은 이제현에게 전승되었고,이제현은 이색( 李 穡 )에게,이색에서 권근( 權 近 )과 변계량( 卞 季 良 )으로 이어졌다. 선조 때 김제남( 金 悌 男 ) 최기남( 崔 起 南 )등이 송경( 松 京 )에 서원을 세워 안향 권보 ( 權 溥 )와 함께 배향하기로 경기사림( 京 畿 士 林 )과 논의하다가 임진왜란으로 인해 이루지 못했지만,남포의 신안사( 新 安 祠 )에 배향되었고,충주의 도통사( 道 統 祠 ),진주의 도통사 ( 道 通 祠 ),남해의 난곡사( 蘭 谷 祠 )에서 향사하고 있다. 시호는 문헌( 文 憲 )이다.유고로는 <연거시 燕 居 詩 > <영당요 詠 唐 堯 > <한벽루 寒 碧 樓 > <여홍애집구 與 洪 厓 集 句 > 등의 시구가 전해지고 있다. 백인감( 白 仁 瑊 ) 본관은 남포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다.당시 삼종형이 황해도에 거주했으므로 그를 따라 황해도 평산에 이주하였다.그가 평산에 이주한 지 얼마 안되어 임진왜란이 터지고,왜군이 파죽지세로 북상하여 한양을 점령하고,계속 북으로 진격해 오자 선조는 평양으로 피난하고,우리나라 군사들은 임진강가에서 배수진을 쳤었다. 조선시대 명종 때 무과에 오르고 경상좌우병사를 거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기 수어사에 올라서 임진강변 북쪽에 진을 쳤던 신할( 申 硈 )장군이 쳐들어오는 왜군을 무찌 르기 위해 임진강 북쪽에서 도강하여,남쪽에 진을 친 왜군을 무찌를 때 백인감은 의병을 이끌고 참전하여 적을 무찔렀으나,중과부적으로 수어사 신할 장군과 함께 전사하였다. 그는 의병장으로 임진강 전투에서 세운 공로로 뒤에 부호군에 올랐다.
제11편 성씨 인물 601 백임지( 白 任 至 ) 본관은 남포이다.고려 명종조에 지문하성사( 知 門 下 省 事 )에 오른 인물이다. 백중학( 白 仲 鶴 ) 본관을 남포( 藍 浦 )로 한 남포백씨의 시조이다.자는 운로( 雲 路 )이고,시호는 익렬( 翼 烈 ) 이다.신라 때 벼슬은 간의대부( 諫 議 大 夫 )에 올랐으나 뜻한 바 있어 벼슬을 버리고 당시 남포현( 藍 浦 縣 )에 돌아와 글과 사색으로 일생을 마쳤다.보령지역에 학문의 길을 처음 정착시킨 인물로 전하기도 한다. 백홍수( 白 弘 洙 1808~1884) 본관은 남포이고,호는 미산( 眉 山 )이다.헌종 3년(1837)식년시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 문원정자,예문관검열,장령 등을 역임하고,1879년 병조참판에까지 올랐다가 벼슬을 그만두고,고향인 주산 동오리에 와서 시국을 걱정하며 지냈다. 그의 아들이 보령5열사 중 한 사람인 추강 백낙관이다. 서거정( 徐 居 正 1420(세종 2) 1488(성종 19) 조선 전기의 문신.본관은 달성( 達 城 ).자는 강중( 剛 中 ) 자원( 子 元 ),호는 사가정( 四 佳 亭 ), 아버지는 목사 미성( 彌 性 )이고,어머니는 권근( 權 近 )의 딸이다.문장에 일가를 이루고, 특히 시에 능하였다. 1438년(세종 20)생원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1444년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에 나갔다. 집현전박사 경연사경( 經 筵 司 經 ),홍문관부수찬,부교리 등에 올랐다. 1457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우사간 지제교에 초수( 招 授 )되었다.1458년 정시( 庭 試 ) 에서 우등해 공조참의 지제교에 올랐다가 곧이어 예조참의로 옮겼다.1465년 예문관제학 중추부동지사를 거쳐,다음 해 발영시( 拔 英 試 )에 을과로 급제,예조참판이 되었다.이어 등준시( 登 俊 試 )에 3등으로 급제해 행동지중추부사에 특가( 特 加 )되었으며, 경국대전 찬수에도 참가하였다. 1467년 형조판서로서 예문관대제학 성균관지사를 겸해 문형( 文 衡 )을 관장했으며,국가의 전책( 典 冊 )과 사명( 詞 命 )이 모두 그의 손에서 나왔다.1470년(성종 1)좌참찬이 되었고, 1471년 달성군( 達 城 君 )에 봉해졌다.우찬성에 오르고, 삼국사절요 를 공편했으며, 동문선 130권을 신찬하였다. 1481년 신찬동국여지승람 50권을 찬진하고 병조판서가 되었으며,1483년 좌찬성에
602 인물 제수되었다.1485년 세자이사( 世 子 貳 師 )를 겸했으며, 동국통감 57권을 완성해 바쳤다. 1487년 왕세자가 입학하자 박사가 되어 논어 를 강했으며,다음 해 죽었다.여섯 왕을 섬겨 45년 간 조정에 봉사,23년간 문형을 관장하고,23차에 걸쳐 과거 시험을 관장해 많은 인재를 뽑았다. 저술로는 시문집으로 사가집 四 佳 集 이 전한다.조선 초기 세종에서 성종대까지 문병( 文 柄 )을 장악했던 핵심적 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의 학풍과 사상은 이른바 15세기 관학( 官 學 )의 분위기를 대변하는 동시에 정치적으로는 훈신의 입장을 반영하였다.시호는 문충( 文 忠 )이다. 서기( 徐 起 1523(중종 18) 1591(선조 24) 조선 중기의 학자.본관은 이천( 利 川 ).자는 대가( 待 可 ),호는 고청초로( 孤 靑 樵 老 ) 구당 ( 龜 堂 ) 이와( 蓬 窩 )이며,구령( 龜 齡 )의 아들이다.남포현 제석리 출신이다.서경덕( 徐 敬 德 ) 이중호( 李 仲 虎 ) 이지함( 李 之 菡 )을 사사하였다.어려서부터 학문에 전념하여 제자백가 ( 諸 子 百 家 )는 물론 기술의 이론까지 통달하였으며,선학( 禪 學 )을 좋아하였다.특히,이지함을 만나면서 비로소 유학이 정도( 正 道 )임을 깨닫게 되었다. 홍주와 지리산 계룡산 근처로 거처를 옮겨다니면서 오로지 학문과 강학에만 전념하였다. 이지함과 마음이 맞아 그와 함께 사방을 주유하면서 민속을 접하고 실용적 학문에 관심을 기울였으며,제주도까지 항해하여 한라산에 올라갔다 오기도 하였다.그리고 이지함의 권고로 이중호의 문하에 나가 대학 중용 등을 배웠다.평생 많은 제자를 길러내었지만 신분이 미천하여 조정에 천거되지 못했으며,평생 포의로 은거자수( 隱 居 自 修 )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의 충현서원( 忠 賢 書 院 )의 별사( 別 祠 )에 배향되었다.영조 28년 추증되어 문목( 文 穆 )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저서로는 고청유고 孤 靑 遺 稿 가 있다. 성하국( 成 夏 國 ) 한말의 학자이다.본관은 창녕이고 호는 나설( 蘿 雪 )이다.그의 학문은 뜻이 깊고 문장 재화( 文 章 才 華 )하여 여러 사람의 귀감이 되었다.고종조에 벼슬로는 찬의( 贊 議 )에 이르 렀다. 신겸제( 申 兼 濟 ) 조선 숙종조의 문신이다.본관은 고령이고,부친은 신학( 申 㶅 )이다.숙종 34년(1708) 식년시에 합격하고,관직은 판결사( 判 決 事 )에 올랐으며,수직( 壽 職 )으로 가선대부에 올랐다.
제11편 성씨 인물 603 신곡( 申 鵠 ) 평산인으로 선조 초에 고령현감을 지냈으며 임진왜란으로 엄친( 嚴 親 )신정( 申 貞 )을 모시고 보령으로 피신하여 보령 오천면 오포리 선동( 蟬 洞 )에 자리 잡았다.그는 원래 토정 이지함 선생과 친하여 도의지교를 맺었으며,동인( 洞 人 )이 선박( 仙 泊 )이라 했던 것을 선동으로 고치고 세거했다. 신정( 申 禎 ) 본관이 평산으로 일찍이 학문을 익혀 명성이 자자했으며,은사( 隱 仕 )로 뽑혀 관직이 용안현감에 이르렀으나 일찍 죽었다.임진왜란 중에 오천면 오포리에 은거했다. 신학( 申 㶅 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고령( 高 靈 ).자는 도원( 道 源 ),호는 만회당( 晩 悔 堂 ) 만천 ( 晩 川 )이다.중엄( 仲 淹 )의 증손으로,할아버지는 용( 涌 )이고,아버지는 사예 득홍( 得 洪 )이다. 1673년(현종 14)통덕( 通 德 )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674년(숙종 즉위년) 가주서( 假 注 書 )가 되었다. 1677년 지평( 持 平 )에 이어 정언( 正 言 )을 역임하고 전라도의 흉년에 대하여 위민책 ( 爲 民 策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한 정책)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1689년 장령( 掌 令 )이 되어 홍문록( 弘 文 錄 )에 등록되었으며,이듬해 헌납( 獻 納 ) 집의( 執 義 ) 등을 역임하였다.1694년 승지에 이르렀다. 신형식( 申 亨 湜 ) 조선 고종 때의 무관이다.본관은 평산이고,철종 5년(1854)에 출생하였다.고종조에 무과에 급제하고 관직으로는 사용( 司 勇 )을 거쳐 부사맹( 副 司 猛 )에 올랐으나 30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심재숙( 沈 在 淑 ) 본관은 청송이고,청송부원군 심온의 후손이다.호는 월재( 月 齋 )이다.여러 주향( 州 鄕 )의 수령을 지내며 선정의 기록이 남아 있는 문신이다. 안대진( 安 大 進 1561~1604) 본관은 광주( 廣 州 )이며,호는 면재( 沔 齋 ),자는 퇴지( 退 之 )이다.명곡 이산보의 문인이다.
604 인물 선조 19년(1585)알성문과에 급제하고 동년에 중시( 重 試 )에 올라 예문관 한림학사에 들어갔다.임진왜란과 관련하여 공을 세워 선무ㆍ호성ㆍ청난 등 3개 부문 모두에 원종 훈( 原 從 勳 )1등에 녹( 錄 )되고 춘추관 및 홍문관 제학,세자시강원 좌부빈객 등을 거쳐 4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이조참판과 가선대부에 증직되었다. 그의 묘소는 웅천읍 소황리 서오개에 있으며,보령 오천에는 그가 지은 임진왜란 당시의 명나라 구원군 계금장군청덕비가 있다. 안사탁( 安 士 擢 1510~1578) 본관은 광주( 廣 州 )이고,자는 지방( 之 防 )이다.진사 안자문( 安 子 文 )의 아들이다.일찍 부터 학문의 길에 들어서서 꾸준히 글을 읽었으며,유림의 추천으로 화릉( 和 陵 )참봉에 올랐으나 나가지 않았다.그의 부친 안자문이 남포에 입향했고,안대진의 조부이다. 안윤손( 安 潤 孫 1450(세종 32) 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광주( 廣 州 ).자는 홍조( 弘 祖 ).참찬 성( 省 )의 증손으로,할아 버지는 사섬시령( 司 贍 寺 令 )철산( 鐵 山 )이고,아버지는 현감 극변( 克 辨 )이다. 1474년(성종 5)생원 진사시에 잇따라 합격하고 147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478년 예문관검열이 되었다.이어서 기사관이 되어 한명회가 남효온 등 재야사림을 비방 탄핵하려 하자 이를 변호하였다.1482년 검토관( 檢 討 官 )으로 경연에 참여하면서 내수사 장리( 長 利 )의 혁파를 건의하였다. 이듬해 홍문관부교리가 되어 왕명을 받고 궐군( 闕 軍 )을 적발하였고,곧 이어 전주에 내려가서 수령의 불법행위와 교육 현황을 조사,감독하고 왔다.1484년 지평이 되어서는 안주판관 이빈( 李 濱 )의 비행을 고발하여 처벌하였고 충청도관찰사 이공( 李 拱 )이 무능 하다고 탄핵,체직시켰다. 그 뒤 장령이 되어 언론의 창달과 기강확립에 힘쓴 뒤 1494년 회령통판이 되어 선정을 베풀어 칭송을 받았다.1500년(연산군 6)전라우도수군절도사가 되었으나,때마침 침입해 온 왜구를 막지 못하였다고 하여 파직되었다.그 뒤 곧 복직되어 1502년 사간원대사간을 지냈다. 이듬해 형조참의가 되었는데 청백리로 이름났다.중종반정 이후 한성부우윤과 좌윤을 지내고 1507년(중종2)대사헌에 이르렀다.그 뒤 함경도절도사 한성부좌윤을 역임하고, 1512년 형조참판이 되었다.그의 아들 안자문( 安 子 文 )이 기묘사화 이후 보령에 낙향 하면서 보령지역에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여 왔다.안대진의 고조이다.
제11편 성씨 인물 605 여엄대사( 麗 嚴 大 師 862(경문왕 2) 930(태조 13))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선승( 禪 僧 ).해동사무외( 海 東 四 無 畏 )중 1인이다.경주김씨 ( 慶 州 金 氏 )로 충청도 남포( 藍 浦 )출신이다.9세 때 무량수사( 無 量 壽 寺 )로 출가하였으며, 화엄경 을 공부한 뒤 19세에 구족계( 具 足 戒 )를 받았다. 그러나 교종( 敎 宗 )의 가르침이 진실을 분명하게 표현한 것이 아님을 느끼고 참선에 뜻을 두었다.그 뒤 숭엄산 성주사( 聖 住 寺 )에서 선법( 禪 法 )을 현양하고 있는 무염( 無 染 )을 찾아가서 수년 동안 수행하였다. 무염이 입적하자 남쪽으로 내려가 영각산( 靈 覺 山 )에 있는 심광( 深 光 )의 밑에서 수년 동안 수행하다가 중국으로 건너가서 운거( 雲 居 )의 지도를 받았다.수년 동안 정진한 끝에 오도하여 운거의 법맥을 전해 받고 909년(효공왕 13)에 귀국하였다. 그러나 전란이 심하여 월악( 月 嶽 )과 미봉산( 彌 峯 山 )으로 피하였다가 소백산에 은거 하였다.그때 그의 덕을 흠모한 고려의 지기주제군사( 知 基 州 諸 軍 事 )강훤( 康 萱 )이 태조 에게 상문( 上 聞 )하자,태조는 지평( 砥 平 )보리사( 菩 提 寺 )의 주지로 임명하였다. 그뒤 후학의 지도에 전념하다가 입적하였다.태조는 대경대사( 大 鏡 大 師 )라는 시호와 함께 현기( 玄 機 )라는 탑호를 내렸다.비는 양평군 용문면 보리사 터에 있었는데,국립중앙 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제자로는 융천( 融 闡 ) 흔정( 欣 政 )등 500여 명이 있었다. 염제신( 廉 悌 臣 1304(충렬왕 30) 1382(우왕 8) 고려 후기의 문신.본관은 서원( 瑞 原 :지금의 경기도 파주).아명은 불노( 佛 奴 ).자는 개숙( 愷 叔 ).첨의중찬( 僉 議 中 贊 )을 지낸 승익( 承 益 )의 손자이며,아버지는 감문위대호군 ( 監 門 衛 大 護 軍 )세충( 世 忠 )이다. 어려서 고아가 되어 원나라에 가서 평장사( 平 章 事 )로 있던 고모부인 말길( 末 吉 )의 집에서 자랐다.원나라의 태정황제( 泰 定 皇 帝 )를 시종해 총애를 받다가 고려에 들어와 어머니를 만나보고,다시 원나라에 건너가서 상의사( 尙 衣 使 )가 되었다.뒤에 다시 어머니를 봉양 하기 위해 귀국을 요청해 정동성낭중( 征 東 省 郎 中 )에 임명되어 돌아왔다. 그는 동료들의 횡포를 억제하는 한편,토지와 노비의 소송은 모두 관계당국에서 처리 하도록 하여 충숙왕의 신임을 받았다.그는 다시 원나라에 건너가서 익정사승( 翊 正 司 丞 )이 되었다. 뒤이어 절강성( 浙 江 省 )에 나가 중정원( 中 政 院 )의 전화( 錢 貨 )를 회계하게 되었다.이 때 관기들이 뇌물을 주어 매수하려 하는 것을 모두 물리치기도 하였다.이러한 사실을 보고 받은 원나라 순제( 順 帝 )가 특별히 등용하려 했으나,어머니의 병으로 다시 귀국하였다.
606 인물 충목왕 때 삼사좌사( 三 司 左 使 )에 수성익대공신( 輸 誠 翊 戴 功 臣 )으로 봉해졌다.뒤이어 도첨의평리( 都 僉 議 評 理 )가 되었고,1349년(충정왕 1)에 찬성사가 되었으며 이듬 해 하정사 ( 賀 正 使 )로 원나라에 갔다. 1354년(공민왕 3)에 좌정승이 되었다가 곧 우정승이 되었다.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 ( 端 誠 守 義 同 德 輔 理 功 臣 )에 봉해지고 곡성부원군( 曲 城 府 院 君 )이 되었다. 그 때 원나라에서 내란이 일어나 고려에 구원을 청하자,유탁( 柳 濯 )등과 함께 군사 2,000명을 이끌고 원나라에 갔다가 그 해 10월에 공민왕의 부름을 받고 귀국하였다. 1356년에 친원파 기철( 奇 轍 )일당을 숙청한 뒤 서북면도원수가 되어 원나라의 공격에 대비하였다.그 해 수문하시중( 守 門 下 侍 中 )을 겸하였다. 1358년에 문하시중이 되었으며,1361년에 관직과 명망이 최고위에 이르자 사직하였다. 그 뒤 다시 기용되어 1363년에 우정승이 되었으나,홍건적의 난 때 어머니를 버리고 피난한 것이 문제가 되어 고신( 告 身 )에 서경( 署 經 )되지 못하고 파면되었다.그 이듬해 영도첨의 사사( 領 都 僉 議 司 事 )가 되었는데,이 때 신돈( 辛 旽 )에게 아부하지 않아 미움을 받았으나 끝내 뜻을 굽히지 않았다.1371년 오로산성( 五 老 山 城 )을 정벌할 때 서북면도통사가 되어 이기고 돌아와서 곡성백( 曲 城 伯 )에 봉해졌다.그 해 딸이 신비( 愼 妃 )로 책봉되었다. 우왕이 즉위하자 영삼사사( 領 三 司 事 )가 되었고,곧 영문하부사( 領 門 下 府 事 )가 되었으며 충성수의동덕논도보리공신( 忠 誠 守 義 同 德 論 道 輔 理 功 臣 )에 봉해졌다.시호는 충경( 忠 敬 )이다. 염제신의 8세손인 염경원( 廉 慶 遠 )이 보령에 입향한 이래로 그의 후손들이 보령에 살면서 1921년 미산에 수현사( 水 絃 祠 )를 세우고 그의 영정을 봉안했다. 오인영( 吳 麟 泳 1844~?) 조선말기의 문신이다.본관은 동복이다.호는 취송( 翠 松 )이다.고종 7년(1870)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으로는 대사성에 올랐으며,대대로 공주지역에 살았으나,만년에 보령에 하향 은거했다. 원수신( 元 守 身 ) 중국어에 능통하여 조선 태종 때 명나라에 드나들며 대명외교에 많은 공훈을 남긴 원민생( 元 閔 生 )의 5대손이다.본관은 원주이고,선조 27년(1594)무과에 급제하고 임진 왜란 때는 충청도 전의에서 왜군을 맞이하여 싸워 많은 공을 남겼다. 뒤에 전라도에서 부사( 府 使 )를 지내고,광해군 5년(1611)에는 훈련대장을 역임하고 병조판서에까지 이르렀다.
제11편 성씨 인물 607 원유정( 元 有 貞 ) 본관은 원주이고,선조조에 관직이 익위사시( 翊 衛 司 侍 )에 올랐다.인조 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유수춘( 柳 秀 春 )과 함께 화친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유발( 柳 潑 1762~1832)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유원( 惟 源 ),호는 덕린( 德 隣 )이다.낙봉( 駱 奉 )유헌( 柳 軒 )의 후예 이다.그는 어려서부터 글 읽기를 좋아하고 부모에 효도하였으며,벗과의 우애에 남달리 뛰어나 여러 사람으로부터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그의 문장이 뛰어났으며,학행( 學 行 ) 으로 동몽교관에 증직되었다.우의정 강로( 姜 㳣 )가 지은 행장이 있고,문집이 있다. 사가 유호근의 증조부이다. 유순익( 柳 舜 翼 1559(명종 14) 1632(인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중( 勵 仲 )이고,호는 지강( 芝 岡 )이며,본관은 진주( 晉 州 ) 이다.판결사였던 유사규( 柳 思 規 )의 아들로 이황의 문인이고,선조 15년(1582)에 사마시에 합격,이어 1599년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1606년 면천군수,예조좌랑,병조좌랑,함경도 도사,집의,판결사,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냈다.광해군 때에 이이첨이 폐모론을 주장할 때 반대하는 여론을 일으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때 서궁( 西 宮 )에 입직하면서 반정군이 들어올 때 궁궐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공을 세우고 병조,공조참판에 이어 양주목사를 거쳐 정사공신( 靖 社 功 臣 ) 2등으로 청천군( 菁 川 君 )에 봉해졌다.인조 3년(1625)에는 사은부사( 謝 恩 副 使 )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좌찬성에 추증되었다.시호는 충정( 忠 靖 )이다. 유정( 惟 政 1544 1610) 조선 중기의 승려.승병장.속성은 풍천임씨( 豊 川 任 氏 ).속명은 응규( 應 奎 ).자는 이환 ( 離 幻 ),호는 사명당( 四 溟 堂 )또는 송운( 松 雲 ),경상남도 밀양 출신이다. 일찍이 황여헌( 黃 汝 獻 )에게 수학하였고,부모를 여의고 김천 직지사로 출가한 뒤 승과에 합격하였고,그 뒤 직지사의 주지를 지냈으며,1575년(선조 8)선종의 중망( 衆 望 )에 의하여 선종수사찰( 禪 宗 首 寺 刹 )인 봉은사( 奉 恩 寺 )의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묘향산 보현사의 휴정( 休 靜 )을 찾아가서 선리( 禪 理 )를 참구하였다. 금강산으로 들어가서 수도하던 중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당시 유점사( 楡 岾 寺 )에 있으면서 인근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608 인물 이 때 조정의 근왕문( 勤 王 文 )과 스승 휴정의 격문을 받고 의승병을 모아 순안으로 가서 휴정과 합류하였다.그 곳에서 의승도대장( 義 僧 都 大 將 )이 되어 의승병 2,000명을 이끌고 평양성 탈환의 전초 역할을 담당하였다.1593년 1월 명나라 구원군이 주축이 되었던 평양성 탈환의 혈전에 참가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1604년 8월 일본으로 가서 8개월 동안 노력하여 성공적인 외교성과를 거두었고,전란 때 잡혀간 3,000여 명의 동포를 데리고 1605년 4월에 귀국하였다. 그 뒤 병을 얻어 해인사에서 요양하다가 1610년 설법하고 결가부좌한 채 입적하였다. 제자들이 다비하여 홍제암( 弘 濟 庵 )옆에 부도와 비를 세웠다.밀양의 표충사( 表 忠 祠 ), 묘향산의 수충사( 酬 忠 祠 )에 제향되었으며,저서로는 문집인 사명당대사집 7권과 분충서난록 奮 忠 蔞 難 錄 1권 등이 있다. 윤석보( 尹 碩 輔 ) 조선 연산군조의 문신이다.자는 자임( 子 任 )이고,본관은 칠원( 漆 原 )이다.성종 2년 (1471)식년문과에 급제하고 언관으로서 직언을 했던 사실이 화근이 되어 연산군 10년 (1504)갑자사화 때 유배되었다가 그 이듬해 죽었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신원되고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윤순( 尹 洵 1554~1611) 본관은 무송이고 조선 선조조에 벼슬은 사과( 司 果 )에 이르렀다.종계변무( 宗 系 辨 誣 )의 공훈으로 광국원종훈( 光 國 原 從 勳 )에 녹( 錄 )되고,좌승지에 증직되었다.남포로 하향 ( 下 鄕 )하여 여생을 보냈다.아들은 인필( 仁 滭 )이며,그의 후손들이 주로 보령지역 무송 윤씨를 이루었다. 윤인필( 尹 仁 滭 ) 본관은 무송이다.1550년 남포현 웅천에서 출생했으며,1575(선조 8)에 알성문과에 급제 하여 상의원 직장이 되었다.윤근수( 尹 根 壽 )를 도와 종계변무( 宗 系 辨 誣 )에 공을 세우고 광국공신록( 光 國 功 臣 錄 )원종훈( 原 從 勳 )에 수록되었으며,이어 부호군( 副 護 軍 )에 올랐다. 윤자운( 尹 子 雲 1416(태종 16) 1478(성종 9) 조선 전기의 문신.본관은 무송( 茂 松 ).자는 지망( 之 望 ),호는 낙한재( 樂 閑 齋 ).소종 ( 紹 宗 )의 증손으로,할아버지는 집현전학사 회( 淮 )이고,아버지는 경연( 景 淵 )이다.
제11편 성씨 인물 609 1438년(세종20)진사가 되고,1444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예문관검열을 시작으로 집현전 부수찬 이조좌랑 사간원좌헌납,응교 등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집현전부수찬 으로 있을 때 수사관( 修 史 官 )이 되어 정인지 등과 함께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1453년(단종1)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과 병권을 장악하자 그의 요속 ( 僚 屬 )으로 활약하였다.수양대군이 즉위하자 추충좌익공신( 推 忠 佐 翼 功 臣 )이 되어 승정 원동부승지 도승지에 올랐다가 1460년(세조6)어머니 상으로 일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 때 세조가 여진족의 모련위( 毛 憐 衛 )를 정벌하기 위해 장군감을 구할 때 단연 그가 뽑혀 기복( 起 復 )되어 이조참판이 되고 무송군( 茂 松 君 )에 봉해져 군사를 지휘하게 되었다. 원정에서 돌아와 인수부윤( 仁 壽 府 尹 )이 되었는데 3년상을 치르기를 원했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그 뒤 병조판서,의정부우참찬에 올랐다. 이 때 마침 함경도에 이시애( 李 施 愛 )의 난이 일어나자 그를 함길도체찰사에 임명해 난을 진압하도록 하였다.그런데 이시애가 이미 관찰사 절도사와 여러 진장( 鎭 將 )을 죽이고, 또 그마저 죽이려고 칼을 빼들고 둘러싸 7일이나 지키고 있어서 하는 수 없이 적( 賊 )이 정부를 속이는 위조문서에 서명하고 살아 돌아왔다. 그러나 세조는 그를 위로하고 1469년에 우의정으로 승진시켰다.그 뒤 곧 좌의정이 되었다가 이듬해 영의정으로 승진하였다.성종이 즉위하자 좌리공신( 佐 理 功 臣 )등이 되어 무송부원군 겸 예조판서( 茂 松 府 院 君 兼 禮 曹 判 書 )에 봉해졌다.그리고 잠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1476년(성종 7)다시 우의정이 되었다.시호는 문헌( 文 憲 )이다. 그의 후손들이 임진왜란 때 보령에 입향하여 세거하여 왔으며,웅천 관당리 문헌사 ( 文 憲 祠 )에서 제향한다.이 사우는 원래 1494년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홍죽리에 건립 되었으나,그곳에 사는 후손들이 쇠락하여 관리가 부실해짐에 따라 1725년 웅천읍 소황리 지역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위패를 모셔다가 웅천 소황리에 재 건립하였다.그러나 소황리에 군사시설이 들어서면서 1992년 현 위치인 웅천 관당리에 다시 세웠다. 윤직( 尹 溭 1619~1681) 본관은 무송( 茂 松 )으로 문헌공 윤자운( 尹 子 雲 )의 후손이며,자는 청원( 淸 源 )이다.부호군 윤인필( 尹 仁 滭 )의 3남으로 태어났다.인조 14년(1636)18세로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부사과( 副 司 果 )에 이르렀다.그후 용양위오위장( 龍 驤 衛 五 衛 將 )으로 소현세자를 도와 인조19년 수하병사를 이끌고 영병장( 領 兵 將 )유림( 柳 琳 )장군을 도와 금주성(지금의 금산) 에서 청병( 淸 兵 )과 교전하여 금주성 방어에 공헌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후에는 웅천 소황리에 내려와 후학들을 가르쳤으며,백성들에 대한
610 인물 수령의 수탈에 대하여 상소를 하여 이를 시정하게 하기도 했다.사후에 한성부좌윤( 漢 城 府 左 尹 )에 증직되었으며,웅천 독산리에 묘소가 있다. 이경백( 李 慶 伯 1561~1580) 본관은 한산이고,영의정 이산해의 장자이다.어려서부터 글을 읽어 문장에 능하였다. 사마시에 오르고 그후 문과에 급제,앞날이 촉망되었으나 일찍 사망하였다. 이경석( 李 慶 錫 1685~?) 본관은 한산이다.토정 이지함의 7대손이다.1711년(숙종37)식년문과에 급제하고 사헌부장령에 올랐다. 이경재( 李 景 在 1800(정조 24) 1873(고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한산( 韓 山 ).자는 계행( 季 行 ),호는 송서( 松 西 ) 소은( 紹 隱 ). 태중( 台 重 )의 증손으로,할아버지는 학영( 學 永 )이고,부친은 현감 희선( 羲 先 )이다. 1822년(순조 22)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그 뒤 규장각직각을 비롯하여 이조참의 이조참판 평안도관찰사 대사간 대사헌 부제학 한성판윤 등 내외 요직을 역임하고 고종 대에 이르러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다.시호는 문간( 文 簡 )이다.그의 묘소가 청소면 죽림리에 묘비와 함께 있었는데 2004년 후손들이 다른 곳으로 이장했다. 그는 보령 한산이씨 입향조인 이치( 李 穉 )의 형인 이질( 李 秩 )의 후손이다. 이경전( 李 慶 全 1567~1645)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한산( 韓 山 ).자는 중집( 仲 集 ),호는 석루( 石 樓 ).치( 穉 )의 증손으로,할아버지는 지번( 之 蕃 )이고,아버지는 영의정 산해( 山 海 )이다. 19세에 사마시에 합격하고,1590년(선조23)24세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이듬해 사가독서( 賜 暇 讀 書 )를 하였다.1596년 예조좌랑 병조좌랑을 지내고,1608년 정인홍( 鄭 仁 弘 ) 등과 함께 영창대군( 永 昌 大 君 )의 옹립을 꾀하는 소북 유영경( 柳 永 慶 )을 탄핵하다가 강계에 귀양갔다. 이해 광해군이 즉위하자 풀려나와 충홍도( 忠 洪 道 ) 전라도의 관찰사를 지내고,1618년 (광해군10)한평군( 韓 平 君 )을 습봉( 襲 封 )하고 좌참찬에 올랐다.1623년(인조 1)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서인들과 사귀어 생명을 보전하고 주청사( 奏 請 使 )로 명나라에 가서 인조의 책봉을 요청하였다.
제11편 성씨 인물 611 이어 한평부원군( 韓 平 府 院 君 )에 진봉되고,1637년에 장유( 張 維 ) 이경석( 李 景 奭 )등과 함께 삼전도( 三 田 渡 )의 비문 작성의 명을 받았으나 병을 빙자하고 거절하였으며,1640년 형조판서를 지냈다.문필이 뛰어나 이름이 높았으며 저서로는 석루유고 가 있다. 그의 묘소가 보령 주교면 고정리 고만 선영에 있다. 이경탁( 李 慶 倬 1572~1612) 본관은 한산이고 호는 반금( 伴 琴 )이며 충간공 이산보의 아들이다.문과에 급제한 후 평안감사,시강원 사서,사간원 정언을 역임했다.광해군 때 나라의 기강을 세워야 한다고 직언을 하였다가 외직인 함경도사로 쫓겨났다가 거기서 41세로 사망했다. 이경회( 李 慶 會 ) 조선 선조 때의 공신이다.그는 호를 백운처사( 白 雲 處 士 )라고 하였으며,본관은 한산 이다.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로 서행( 西 幸 )할 때,백의( 白 衣 )로 호종( 扈 從 )하여 그 녹훈 ( 錄 勳 )으로 동지중추부사( 同 知 中 樞 府 事 )에 이르렀다. 이고( 李 阜,1588~1664) 본관은 한산이고 이경전의 셋째 아들로 호는 유봉( 酒 峯 )이며,1623년 사마시에 오르고, 그 학문이 세상에 알려졌다.광해군조에 이이첨을 제거할 것을 상소하는 등 곧은 절개가 추상같았으나 그 후 세상을 한탄하고 벼슬길에는 나서지 않은 채 고향에 머무르면서 학문을 벗삼아 여생을 마쳤다.묘소는 아산 신창에 있다. 이공준( 李 公 俊 )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다.본관은 홍주이며,목사공파의 15세손으로 선조 때 사마시를 거쳐 문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중에는 경상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를 역임했으며, 뒤에 호조판서를 역임 의정부좌찬성에 올랐다.그는 출천지효( 出 天 之 孝 )로 유명했다. 이관식( 李 觀 植 1769~1883) 조선후기의 무신이다.본관은 전의이다.정조 24년에 무과에 오르고,순조8년 경상수군 절도사를 역임하고 가선대부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올랐으며 순조 30년 중추부동지사에 이르렀다.병조참판에 증직되었다.조선 중기 무신 지형( 枝 馨 )의 6대손이며 세선( 世 選 )의 5대손이다.묘는 남포 대덕동(현 봉덕리 대덕굴)에 있다.
612 인물 이교면( 李 敎 冕 1853~1921) 본관은 전의이고 희승( 熙 昇 )의 아들이다.조선 고종 때의 무관이다.고종 10년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도사,남해현감,상원군수겸 평양진관병마동첨절도사( 祥 原 郡 守 兼 平 壤 鎭 管 兵 馬 同 僉 節 度 使 )에 별군관( 別 軍 官 )을 거치며 공을 세워 통정대부에 이르렀다. 묘는 비인 남당리에 선영에 있다. 이교원( 李 敎 元 1851~1938) 호는 우송당( 又 松 堂 )본관은 전의이다.응식( 應 植 )의 손( 孫 )이다.고종 5년 무과에 급제 하고 관직에 올라 도정선전관( 都 政 宣 傳 官 ),오위도총부경력( 五 衛 都 摠 府 經 歷 ),남포현감을 역임하고,당상선전관( 堂 上 宣 傳 官 ),위원군수,행수선전관( 行 首 宣 傳 官 )을 지낸 후 고종 31년에 절충장군겸황해도수군절도사에 올랐다.묘는 남포 대덕동에 있다. 이구( 李 久 1586~1609) 본관은 한산이고 이경전의 차자로 호는 후곡( 後 谷 )이며,18세에 사마시에 오르고,검열에 뽑혔으며 20세에 증광문과에 합격했으나,24세에 조졸했다.이후의 동생이며,묘소는 단양에 있다. 이규덕( 李 圭 悳 1816~?) 조선말기 고종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이고,호는 기재( 杞 齋 )이다.남포현의 익재 공파 인물이다.부친은 이정영( 李 鼎 榮 )이다.고종 2년(1865)식년시에 병과로 합격하고 찰방,정언을 역임했다. 이기( 李 蘷 ) 본관은 수안으로 중종반정 때 공을 세운 문신이다.일찍이 문과에 급제하고 군수를 역임하였다.중종반정 때 유순정과 함께 적극 참여하여 중종반정 후 정국공신( 靖 國 功 臣 ) 요산군( 遼 山 君 )에 올랐다.그후 자헌대부겸지의금부오위도총부도총관( 資 憲 大 夫 兼 知 義 禁 府 五 衛 都 摠 府 都 摠 管 )에 올랐다.만년에 보령 청소면에 낙향하였고,후손들이 세거하여 왔다.청소면 죽림리 죽하마을에 그의 사당인 요산사( 遼 山 祠 )가 있다. 이대충( 李 大 忠 ) 본관은 전주이며,자는 보문( 寶 文 )이고 임영대군의 후손이다.인조조에 무과에 급제 하였고,찰방을 역임하였다.그 후 국운이 어지러울 때 인조를 남한산성에 호위하여
제11편 성씨 인물 613 모시고 침략해 오는 적과 싸워 전공을 세웠으나,끝내는 중과부적으로 분전하다가 1637년 ( 丁 丑 年 )전사한 무인이다.나라에서 그의 공을 가상히 여겨 포상하려 했으나 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공훈록을 공표하지 못하고 원종훈( 原 從 勳 )에 기록하였을 뿐이다. 이덕온( 李 德 溫 1562(명종 17) 1635(인조 13)) 조선 중후기의 학자.본관은 전주( 全 州 ).자는 사화( 士 和 ),호는 구촌( 龜 村 ).임영대군 구 ( 臨 瀛 大 君 璆 )의 현손으로,아버지는 호남군 뇌( 湖 南 君 雷 )이며,어머니는 경주정씨( 慶 州 鄭 氏 ) 로 군수 한원( 漢 元 )의 딸이다. 1585년(선조 18)사마시에,159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경까지 임금을 호종하고 세자책봉으로 민심을 수습하도록 건의하였다.성균관 학유에 임명되고,세자를 용강으로 배종하였다. 그 뒤 승문원박사 주서를 지내고,1593년 환도하여 호성훈( 扈 聖 勳 )을 받았다.그 뒤 예조 병조의 낭관,사예 전적 수찬 필선 등의 관직을 역임하고,외직으로 북청판관 성주목사 등을 거쳐,1606년 동래부사에 임명되어 비변책( 備 邊 策 )을 상소,임금의 가납 ( 嘉 納 )을 얻었다. 1607년 동부승지를 거쳐 우부승지에 올랐으나 1608년 광해군이 즉위,영창대군( 永 昌 大 君 )을 박해하자 직간하여 대북파에 의하여 관작이 삭탈되었다.보령 주산면 증산리에 낙향하여 은거하다가 1623년 인조반정 뒤 관작이 복귀되었고,곧 울산부사에 임명되었 으나 나가지 않고 주산 증산리에서 학문연구에 전심하였다. 다음해 이괄( 李 适 )의 난에 임금이 공주까지 내려가자 나아가 호종하고 난이 평정되자 다시 병을 핑계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다.저서로는 유집 20권과 유어( 類 語 )40권이 있었 다고 하나,현재 전하는 것은 5권 2책의 구촌집 이 있다. 그가 만년에 써서 충청수영 영보정에 걸려진 영보정효등왕각체계해현판은 명작으로 꼽힌다.그의 후손들이 보령지역에 세거해 오고 있다. 그의 묘와 재실이 주산면 증산리에 있으며,묘소는 서해안고속도로 건설로 이장 될 위기에 처했으나,축대 보강을 한 후 남겨 놓아 도로 옆에 위치하게 되었다.1997년 마을 입구에는 그의 행장을 바탕으로 만든 사적비가 후손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도중( 李 度 中 ) 조선말기의 학자이다.호는 신재( 新 齋 )이고,본관은 연안( 延 安 )이다.헌종조에 은일 ( 隱 逸 )로 세마( 洗 馬 )에 올랐다.문장이 뛰어났으며,남당의 성리학을 따른 학자이다.
614 인물 문집인 신재집( 新 齋 集 )이 있다.한원진의 학문을 철저히 존숭하여 사후에 남당영당 ( 南 塘 影 堂 )에 배향되었다. 이동근( 李 東 根 1644~1712)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생부는 무( 袤 )의 아들인 인빈( 寅 賓 )으로 당숙 오빈( 梧 賓 )에게 출계 하여 이경전의 사증손( 嗣 曾 孫 )이 되었다.1669년 사마시 합격,1689년 증광문과에 합격하고 사헌부 지평을 역임하였으며,외직으로 근무할 때는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원으로 있던 지역에 선정비가 있다고 한다. 이두현( 李 斗 鉉 ) 조선후기 무신이다.본관은 수안( 遂 安 )이고,순조 32년에 청소면에서 출생하였다.무과에 급제하고 공주중군( 中 軍 )과 원주중군을 지냈으며,뒤에 운봉현감을 거쳐 충청수사,친군 해방영병방겸가선대부겸지훈련원사여산부윤( 親 軍 海 防 營 兵 房 兼 嘉 善 大 夫 兼 知 訓 練 院 事 礪 山 府 尹 )을 역임하였다, 이두훈( 李 斗 薰 ) 본관은 전주이고,청라면 의평리 출신이다.고종 24년 벼슬이 사헌부감찰에 이르고, 고종 35년 비인군수로 부임해서는 5년간 치민( 治 民 )하여 칭찬의 대상이 되었는데,그가 이임하던 날에는 많은 군민이 성밖에 부복하여 재임을 호소했다 한다.1907년 융희 1년 에는 비서감( 秘 書 監 )에 이르렀다.비인에 그의 선정비가 있다. 이래( 李 來,362(공민왕 11) 1416(태종 1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본관은 경주,초명은 래( 徠 ).자는 낙보( 樂 甫 ) 안국( 安 國 ). 아버지는 우정언( 右 正 言 )존오( 存 吾 )이다.1371년 아버지 존오가 신돈( 辛 旽 )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유배되어 울화병으로 죽고,이어 신돈이 처형되자,10세의 어린 나이로 전객녹사( 典 客 錄 事 )에 특임되었다.1383년(우왕 9)문과에 급제하고,공양왕 때에 우사 의대부( 右 司 議 大 夫 )에 올랐다.1392년(공양왕 4)정몽주가 살해되자,그 일당으로 몰려 계림( 鷄 林 )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서 공주에 은거하였다. 1399년(정종 1)좌간의대부로 등용되고,이듬해인 1400년 방간( 芳 幹 )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추충좌명공신( 推 忠 佐 命 功 臣 )2등에 책록되었다.곧 좌군동지총제가 되었고, 계림군( 鷄 林 君 )으로 봉작되었다.1402년(태종 2)첨서승추부사( 僉 書 承 樞 府 事 )가 되었다가 그 해 대사간을 거쳐 공조판서에 승진되었다.
제11편 성씨 인물 615 이듬해에 예문관대제학이 되었고,1407년 경연관을 거쳐 세자의 스승인 좌빈객( 左 賓 客 )을 지냈으며,1408년에 지의정부사 겸 판경승부사에 이르렀다.태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경절( 景 節 )이다. 이만( 李 滿 1660~1730) 본관은 한산이고 호는 석정( 石 亭 )이다.이지함의 6대손이며 정래( 禎 來 )의 아들이다. 숙종 36년(1710)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은 사헌부 지평에 이르렀다.묘소는 주교면 고정리에 있다. 이몽규( 李 夢 奎 1510~1563) 본관은 경주이고 호는 천휴당( 天 休 堂 )이다.1510년 서울 백악산 아래 장의동에서 출생 하였다.어려서부터 행동이 신중하여 대인( 大 人 )의 기품을 보였고,총명하여 일찍부터 글을 읽어 10세에 대의( 大 義 )에 통하고,학문에도 꾸준히 노력하여 상당한 경지에 도달 하였다. 중종 경자년( 庚 子 年 )에 약관( 弱 冠 )의 나이에 사마시에 응시하여 생원이 되었으나,당시 시국의 어수선함을 보고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다.장인 김극성( 金 克 成 )이 벼슬을 권했으나 거절하고 듣지 않았다.평소 부귀와 영달에 뜻이 없고 전원생활을 동경해 오던 그는 장인의 제의를 거절하고 처가의 별장이 있는 보령으로 낙향하였다. 보령의 집 후원에 서실( 書 室 )을 마련하고 현판을 천휴당( 天 休 堂 )라 하였다.서실에서 서책( 書 冊 )을 벗하며 산천을 유람하며 덕성을 넓혔다.그리고 고을 사람들에게 학문과 덕행을 깨우치니 그의 이러한 생활 모습에 대한 칭송이 인근에 자자하였다.또한 성균관에 가서는 여러 선비들로부터 중망( 重 望 )을 받았으며 고향에 돌아와서는 여러 사람의 우러름의 대상이 되었다.1563년 5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이몽규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고을 사람들이 몰려와 장례를 돕고,상복을 입은 사람이 부지기수였고,부녀자들까지도 슬퍼하였다 하며,고을 사람들은 육식과 가무를 삼감이 한 달을 넘었다 한다. 1721년 보령 청라의 화암서원( 花 巖 書 院 )에 배향하였다.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 嘉 善 大 夫 司 憲 府 大 司 憲 )에 추증되었다.율곡 이이가 지은 행장록( 行 狀 錄 )이 있고,묘는 보령 시 죽정동에 있으며 죽정동 대로변에는 신도비가 있다. 이몽열( 李 夢 說 1542(중종 37) 1607(선조 40)) 조선 인조 때의 문인이다.호는 둔옹( 遯 翁 )이고,본관은 전주이다.완원군( 完 原 君 )의
616 인물 현손이다.인조 때 부흥 도정( 傅 興 都 正 )으로 청난공신( 淸 難 功 臣 )에 올라 원종훈에 녹하였다. 그후 보령에 하향하여 조존성( 趙 存 性 )이상우( 李 商 雨 )와 더불어 혼탁한 사회를 바로잡기 위하여 도의( 道 義 )와 향풍( 鄕 風 )을 교화하고 향약을 제정하는 등 공로를 많이 남겼다. 이무( 李 袤 1600(선조33) 1684(숙종10)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한산( 韓 山 ).자는 연지( 延 之 ),호는 과암( 果 菴 ).조부는 이산해 ( 李 山 海 ),아버지는 이경전( 李 慶 全 )이다.부인은 유희발( 柳 希 發 )의 딸이다.자신의 형들이 문재가 있어 일찍 관직에 나가 요절한 관계로 늦게 과거에 응시하여 1629년(인조 7)별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641년 정언( 正 言 )에 이어 지평이 되었다.1649년 허목( 許 穆 )과 같이 폐고( 弊 錮 )되었다가 복직하여 해미현감,지평,서천군수 등을 역임했는데 서천군수 재임 시절에는 백성들의 민원을 해결하여 칭송을 받기도 했다. 1660년(현종 1)대사헌 대사간을 지냈으며 이때 복상( 服 喪 )문제로 남인( 南 人 )의 윤선도와 일을 함께 하다가 그가 유배되자 사직했다가 1675년에 다시 대사헌에 이어 이조참의가 되었다.이때 정여립( 鄭 汝 立 )의 난,즉 기축옥사에 연좌되어 처형된 백유양( 白 惟 讓 )의 신원과 정개청( 鄭 介 淸 )의 서원복구를 상소하였다.그 후 행사직( 行 司 直 ) 이조참판 대사성 대사헌 우참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기로소( 耆 老 所 )에 들어갔다. 1680년(숙종 6)사헌부( 司 憲 府 )의 탄핵으로 관직이 삭탈되었고,이성( 利 城 ) 덕원( 德 源 ) 으로 유배되었다가 고향 보령으로 돌아와 85세로 사망했다.1689년 기사환국( 己 巳 換 局 ) 으로 관작이 회복되었다.묘소는 보령시 대천동에 있다. 이민제( 李 敏 躋 1686숙종12~1742영조18) 자는 사구( 士 求 ),본관은 전주이다.1717년(숙종 43)33세 때 사마시에 급제하여 능주 목사( 綾 州 牧 使 )를 역임하였다.좌찬성에 추증되었다.목사 언유( 彦 維 )의 아들이다.묘는 주산면 창암리 남전에 있다.참봉 태제( 泰 躋 )의 차남 창수( 昌 壽 )를 계자로 삼았다. 이방일( 李 邦 一 1724~1805) 조선 후기의 무신.본관은 전의( 全 義 ).자는 관보( 寬 甫 ).증조가 세선( 世 選 )이다.1763년 (영조 39)영흥부사를 지냈으나 파직당하여 단천에 유배되었다.1766년 경상좌도수군절 도사가 되고,1769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거쳐 영광군수를 역임하고,1773년 남양부사를 지냈다.1776년(정조 즉위년)경기도수군절도사에 이어 1778년 좌포도대장이 되었으나, 1779년 관내의 무녀( 巫 女 )들을 단속하지 못한 책임으로 파직당하였다.
제11편 성씨 인물 617 곧 어영대장에 복직되었으나 1780년 궁궐의 경비를 소홀히 하였다 하여 삭직되었다가 1782년 다시 어영대장이 되었다.1784년 우포도대장이 되고 이어 삼도수군통제사에 올랐으며,1786년 총융사가 되었으나 평해현에 유배당하였다가 이듬해 풀려났다.1789년 다시 어영대장에 임명되었으나 곧 파직되었으며,1791년 다시 총융사 어영대장 금위대장을 거쳐 대호군에 이르렀다.묘는 선영인 비인 남당리에 있다. 이사주( 李 思 周 ) 본관은 공주이고 조선초기의 무인이다.성종 때 무과에 급제하고 여러 벼슬을 거쳐 수군첨절제사에 올랐다.그는 청렴하고 강직하여 무인의 귀감이 되었으며,황해도 수군 절도사에 올랐다.만년에는 관직을 버리고 보령시 청소면에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다. 이산광( 李 山 光 1550~1624)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호는 죽림처사( 竹 林 處 士 )또는 동계( 東 溪 )이며,본관은 한산이다. 영의정 이산해의 동생이다.국가의 종계( 宗 系 )를 바로잡고,정여립 사건에 공을 세워 광국 ㆍ평난( 光 國 平 難 )원종훈( 原 從 勳 )에 녹( 錄 )되었고,선조의 의주 행차에 호성하기도 했다. 음사로 참봉,사평 등을 거쳐 홍산현감을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 이이첨이 폐모론을 주장하자 종손 이부( 李 阜 )와 함께 이이첨을 처단할 것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고,이이첨의 면전에서 그를 공박하였다가 배척당하여 오서산 아래 청라 금자동으로 낙향하여 귀학정을 짓고 시주( 詩 酒 )로 소요하였다.구봉 송익필과 친분이 두터웠다.김복한이 지은 묘비명이 있다. 이산두( 李 山 斗 1680(숙종 6) 1772(영조 48)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전의( 全 義 ).자는 자앙( 子 仰 ),호는 나졸재( 懶 拙 齋 ),할아버지는 명길( 鳴 吉 )이고,아버지는 필( 泌 )이다. 1714년(숙종 40)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1732년(영조 8)에 유생으로 강경거수 ( 講 經 居 首 )가 되어 직부전시( 直 赴 殿 試 )의 특혜를 받았다.이듬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1758년에 판결사를 역임하였다. 그 뒤 1767년에는 참판에서 지중추부사로 추천을 받아 이듬해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일찍이,시위( 試 闈 )에 들어가 강( 講 )을 하였는데 한 자를 잘못 읽었음을 깨닫고 강이 끝나면서 이 사실을 실토하자,대관이 놀라면서 남이 알지 못하는데 스스로 밝히려 하느냐고 하였다.
618 인물 그는 남이 비록 알지 못한다고 하여 나 자신을 속이고 하늘을 속이겠는가라고 하여 듣는 이들이 경탄하였다.남포현감( 藍 浦 縣 監 )으로 천거되어 현감을 역임하면서 외직으로 나갔다가 돌아왔을 때에는 겨우 초옥 몇 칸만 남게 되었는데,남들은 그가 새로 관직을 떠난 것을 알지 못하였다.영조조의 청백리였다. 기로소에 들어갔을 때 영조는 그를 자주 볼 수 없음을 안타까이 여겨 공인에게 그의 도상( 圖 像 )을 그려 오라 하고,원손에게 九 十 歲 像 이라는 네 글자를 쓰게 하였다.시호는 청헌( 淸 憲 )이다. 이산보( 李 山 甫 1539(중종 34) 1594(선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한산( 韓 山 ).자는 중거( 仲 擧 ),호는 명곡( 鳴 谷 ).증 영의정 색( 穡 )의 7대손이며,할아버지는 치( 穉 )이고,아버지는 지무( 之 茂 )이며,어머니는 능성 구씨( 綾 城 具 氏 )이다.작은아버지인 지함( 之 菡 )을 사사하였다.1567년(명종 22)사마시를 거쳐 1568년(선조 1)증광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의 추천으로 춘추관에 들어갔다.그 뒤 전적( 典 籍 ) 해미현감 정언 등을 지냈으며,왕명을 받고 순안어사( 巡 按 御 史 )로 북도( 北 道 )를 순찰하고 돌아와 수찬 교리 지평 헌납 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1577년 양모의 상을 당해 관직을 사직하고 서천에 돌아갔다가 다시 사인 집의 사간 응교 직제학 등을 지냈으며,당론을 끝까지 진술하다가 동인들의 탄핵을 받고 종부시정에 좌천되었다.1년 뒤 다시 집의로 전임했고,이어 동부승지 대사간 우승지를 지냈다. 1585년 부제학 김우옹이 이이 정철을 논박하자 이를 반박해,선조로부터 충절이 있다는 칭찬을 받고 대사헌으로 특진하였다.뒤에 이이 박순 정철의 공적을 논하다가 사간원의 탄핵으로 경상도와 황해도의 관찰사로 전직되었다. 1589년 정여립( 鄭 汝 立 )의 모반사건인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대사간의 자리에서 난국을 수습하고,이듬 해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1591년 황해도 관찰사로 있다가 건저문제( 建 儲 問 題 )로 정철 등 서인이 화를 당하자 이에 연루,곧 파직되어 고향인 보령에 내려가 독서로 시간을 보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 扈 從 )했고,대사간 이조참판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명나라 군대가 요양( 遼 陽 )에 머물면서 진군하지 않자 명나라 장군 이여송 ( 李 如 松 )을 설득해 명군을 조선으로 들어오게 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어 군량을 조달하기 위해 북도와 삼남지방의 도검찰사( 都 檢 察 使 )로 나가,지난날의 선정에 감복한 도민들의 적극 협조로 무사히 해결하였다.1594년 대기근이 들자 동궁의 명을 받고 밤낮으로 구휼에 힘쓰다가 병을 얻어 죽었다.1604년 호성공신( 扈 聖 功 臣 )2등에
제11편 성씨 인물 619 책록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한흥부원군( 韓 興 府 院 君 )에 추봉되었다. 보령의 화암서원( 花 巖 書 院 )에 배향되었으며,시호는 충간( 忠 簡 )이다.신도비와 묘소가 보령 주교면 고정리에 있다. 이산해( 李 山 海 1539(중종 34) 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한산( 韓 山 ).자는 여수( 汝 受 ),호는 아계( 鵝 溪 ) 종남수옹 ( 終 南 睡 翁 )이다.조부는 치( 穉 )이고,부친은 내자시정( 內 資 寺 正 )지번( 之 蕃 )이다. 어려서부터 작은아버지인 지함( 之 菡 )에게 학문을 배웠다.1558년(명종 13)진사가 되고, 1561년 식년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되고,이듬 해 홍문관정자가 되어 명종의 명을 받아 경복궁대액( 景 福 宮 大 額 )을 썼다.이어 부수찬이 되고 1564년 병조좌랑 수찬,이듬 해 정언을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다. 1567년(선조 즉위년)원접사종사관( 遠 接 使 從 事 官 )으로 명나라 조사( 詔 使 )를 맞이한 뒤 이조정랑 의정부사인 사헌부집의 상의원정( 尙 衣 院 正 ) 부교리를 역임하고, 직제학이 되어 지제교를 겸하였다.이어 교리 응교를 지내고 사가독서( 賜 暇 讀 書 )를 마친 뒤 1570년 동부승지로 승진하였다.1577년 이조 예조 형조 공조의 참의를 차례로 지내고 대사성 도승지가 되었다. 1578년 대사간이 되어 서인 윤두수ㆍ윤근수 등을 탄핵해 파직시켰다.다음 해 대사헌 으로 승진하고 1580년 병조참판에 이어 형조판서로 승진하였다.이듬해 이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에 오르고,다시 이조 예조 병조의 판서를 역임하면서 제학 대제학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성균관사( 知 經 筵 春 秋 館 成 均 館 事 )를 겸하였다.1588년 우의정에 올랐고, 이 무렵 동인이 남인 북인으로 갈라지자 북인의 영수로 정권을 장악하였다. 다음 해 좌의정에 이어 영의정이 되었으며,종계변무( 宗 系 辨 誣 )의 공으로 광국공신 ( 光 國 功 臣 )3등에 책록되고,아성부원군( 鵝 城 府 院 君 )에 책봉되었다. 이듬해 정철이 건저( 建 儲 )문제를 일으키자 아들 경전으로 하여금 정철을 탄핵하여 강계로 유배시켰다.한편 이와 관련해 호조판서 윤두수,우찬성 윤근수 등 서인의 영수급을 파직 또는 귀양보내고 동인의 집권을 확고히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해 개성에 이르렀으나,나라를 그르치고 왜적을 침입 하도록 했다는 양사( 兩 司 )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어 백의( 白 衣 )로 평양에 이르렀으나,다시 탄핵을 받아 평해( 平 海 )에 중도부처( 中 途 付 處 )되었다. 1595년 풀려나서 영돈녕부사로 복직되고 대제학을 겸하였다.북인이 다시 분당 때 이이첨ㆍ정인홍 등과 대북파가 되어 영수로서 1599년 재차 영의정에 올랐다.
620 인물 이듬 해 파직되었다가 16 01 년 선조가 죽자 원상( 院相) 으로 국정을 맡았다. 어려서부터 총명해 신동으로 불렸으며,특히 문장에 능해 선조조 문장팔가( 文章八家) 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서화도 잘해 대자( 大字) 와 산수묵도( 山水墨圖) 에 뛰어났으며,용인의 조광조묘비와 안강의 이언적 묘비를 썼다.이이ㆍ정철과 친구였으나 당파가 생긴 뒤로는 멀어졌다.저서로 아계집 이 있다.시호는 문충( 文忠) 이다. 그의 묘소는 처음에는 보령 귀두리( 歸頭里,현 갈머리) 에 있었으나,예산 대술면으로 옮겼다.그의 후손들이 보령과 예산에 세거한다. 이산해 설화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로.이산해 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그런데 이지번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 꿈을 꾸고 잉태 하여 낳은 아들이 이산해라는 것이다.그리하여 집안에서는 이지번의 부인을 의심하여 내치려 하다가 이산해의 삼촌 이지함의 만류로 참았는데,이지번이 귀국하여 꿈꾼 사실을 말하여 부인의 결백함이 입증되었다고 한다.그래서 아들의 이름을 꿈꾼 곳의 이름을 따서 산해 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 설화는 두 사람이 같은 꿈을 꾸었고 몽중행위가 현실의 결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위대한 인물에 결부된 신이한 출생담의 성격을 가진다. 이산해는 남사고( 南師古) 와 송송정( 宋松亭) 에 앉아 서쪽으로 안령( 鞍嶺) 과 동쪽으로 낙봉( 駱峯) 을 가리키며 뒷날에 조정에 반드시 동서의 당( 黨) 이 생길 것이라고 말하였다는 이야기가 어우야담 於于野譚 에 전한다.그밖에 이산해의 본관인 한산이씨의 후손이 창성하게 된 유래를 말한 풍수설화 등이 있다. 이석현( 李奭鉉) 본관은 수안이고 헌종 1 1 년( 1 8 4 5 ) 에 출생하였다.무과에 급제하여 용양위부호군을 거쳐 첨중추 삼척영장 절충장군( 僉中樞三陟營將折衝將軍) 에 이르렀다. 이성룡( 李成龍 1600~1653) 본관은 농서이다.임진왜란 때 명나라 구원군 장수였던 이여매의 손자이며,이여송의 종손( 從孫) 이다.명과 후금의 1 6 1 6 년 심하지역( 深河之役) 에 부친 헌중( 憲忠) 과 함께 출전 했다가 명군이 패하자 조선으로 피신해 왔고,명나라의 계속되는 송환요구를 피하여 옥성부원군 장만( 張晩) 의 주선으로 충청수사 백선남에게 의지하여 청소면에 피신하여
제11편 성씨 인물 621 살았다.이때 청소면의 진주강씨 강수남( 姜 壽 男 )의 딸과 혼인하였고,훗날 후손들이 강화도 부근으로 이주하여 우리나라 농서이씨를 이루게 되었다.그의 묘는 청소면 야현리 따블 마을 뒷산에 있다. 이세욱( 李 世 煜 ) 1654년생으로 호는 매창( 梅 窓 )이고,본관은 전주다.명재( 明 齋 )윤증( 尹 拯 )의 문인으로 학문이 깊었으며,행의( 行 義 )가 단정하여 여러 사람의 귀감이 되었다.숙종 19년(1693) 식년 생원시에 합격했다. 이승익( 李 承 益 1812~1869) 본관은 한산이고 호는 서호( 西 湖 )이다.1840년 사마시 합격,헌종 10년(1844)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으로는 이조참판에 올랐다.문집이 있다,영의정 이태중의 증손으로 보령에 살았다. 이승춘( 李 承 春 ) 본관은 우봉( 牛 峯 )이고,조선 성종조의 문신이다.황해관찰사를 지낸 길배( 吉 培 )의 손자 이며,생원으로 문과에 올랐으며,연산군조 1504년에는 옥당( 玉 堂 )에 올라 예리한 논조로 국사를 논하였으며,벼슬은 성균관대사성에 올랐다.갑자사화에 집안이 연루되어 손자와 함께 미산 늑전리로 은거했다.묘소는 늑전리에 있다. 이승호( 李 承 浩 ) 조선 선조 때의 무신이다.본관은 공주( 公 州 )이고,선조 28년 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는 종군하여 여러 싸움에서 공을 세웠다.그는 벼슬이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 折 衝 將 軍 龍 驤 衛 副 護 軍 )에 오르고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 嘉 善 大 夫 同 知 中 樞 府 事 )에 올랐다. 선조조에 원종훈( 原 從 勳 )에 기록되는 등 무신으로서 공을 많이 세우고는 만년에 보령 청소에 낙향하여 여생을 마쳤다. 이시방( 李 時 昉 1594(선조 27) 1660(현종 1)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본관은 연안( 延 安 ),자는 계명( 季 明 ).호는 서봉( 西 峯 )이다. 아버지는 연평부원군( 延 平 府 院 君 )귀( 貴 )이며,영의정 시백( 時 白 )의 아우이다.1623년 인조반정 때 유생으로 아버지와 함께 가담해 정사공신( 靖 社 功 臣 )2등으로 연성군( 延 城 君 )에 봉해졌다.이듬해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군사를 모아 반란군을 토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