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2013년 1월부터 9월까지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에서 방송된 드라마들을 시청률을 중심으로 분석 지상파방송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는 KBS2TV의 <내 딸 서영이>로, 평균 가구시청률 40% 이상을 기록 - KBS 드라마는 Top 10 리스트에 6개

Similar documents
요약 ㅇ 2013 년 1월부터 9월까지지상파방송과종합편성방송에서방송된드라마들을시청률을중심으로분석ㅇ지상파방송에서가장시청률이높았던드라마는 KBS2TV 의 < 내딸서영이 > 로, 평균가구시청률 40% 이상을기록 - KBS 드라마는 Top 10 리스트에 6개이상이포함되어강세를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자료1 분기별 시청률 추이 (%) 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

2 조선 동아 `대통령 선거 개입' 두둔 중앙일보의 < 새누리 150석은 건지겠나 청와대 참모들 한숨뿐>(3/14, 6면) 보도 역시 집권 4년차에 접어든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 주도권을 쥐려면 4 13 총선에서 새누리 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필수적 이라는 분석과

정치

hwp

/ MBN AD Marketing Dep. The Solution!! MBN Newsletter Feb MBN 2 - (1)

2 조중동 `친노 운동권 배제' 종용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정청래 의원 등 구체적 인물을 특정 하며 노골적 낙천여론을 조장해왔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그저 감정적인 이유만을 들이대며 악의적 주장을 퍼부은 것 에 불과하다. 이들이 제시하는 기준이 친노 운동권, 막말,

제 1 장 2012 Broadcasting Industry White Paper 장르별 방송영상프로그램 제 1 절 드라마 1 여는 글 ? 2010 SBS 2011 MBC MBC SBS fantasy

2012 방송영상산업백서 CONTENTS 제 1 부 국내 방송영상산업 주요 이슈 제 1 장 주요 이슈와 향후 전망 제 1 절 주요 이슈 소개 2 제 2 절 종합편성채널 출범 이후 진단과 전망 5 제 3 절 방송사 장기 파업 19 제 4 절 지상파-케이블 프로그램 재전송

< D3238C2F728C1A4B1E22920B9DFBEF0B3BBBFEB28B0F8B0B3292E687770>

VOD시청률 조사 판매 설명회를 실시하였다. TNMS에서 제공한 VOD 시청률 자료 3) 를 통해 국내 방송에서는 시청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플랫폼별 인기 프로그램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방영된 TV 프로그램 중 일별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2장. 시청률 분석 이는 앞서 IPTV 개인 시청률 동향(주중+주말, <그림 >)에서 확인한 바 있다. 주 로 10대와 30대의 시청률 감소폭이 컸으며, 주말 시청률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감소했다. <표 > 연령대별 IPTV채널의 개인 시청률 동향

2003report hwp

이 된 것은 아닌지. 떠난 내 동기는 이 회사가 결코 자랑스럽지 않았다. SBS 황성준 교양PD가 그와 입사동기인 예능PD 3명이 중앙일보 종편 jtbc로 이직하자 8월 24일자 SBS노보에 실은 기고문의 한 대목이다. 황 PD는 동료들의 이직 사유를 돈 이 아닌 끝나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기획과 편성의 롤러코스터 파탄 드라마 희비극 MBC는 9시 시간대에 교양 예능 프로그램 대신 일일 드라마를 36년 만에 편성했다. 하지만 구암 허준 의 시청률이 낮았기 때문에 8시 뉴스데스크 의 시청률 상 승은 기대할 수 없었다. 시사 예능 토크쇼 컬투의 베란 다쇼 도

<마이 리틀 텔레비전>(출처: MBC 홈페이지) 란 타이틀로 방송할 수 있다. 단발성으로 끝나도 무방하다. 시청률이 저조해도 실패했다는 느낌 을 주지 않는다. 명절 기간 특유의 확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사람들이 모이는 기간이다 보니 프로 그램에 대한 감상과 평가가 다

광고 시장의 변화와 미디어 노동


미디어펜 기고문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DDCAWEAACYAG.hwp

<38BFF93232C0CF28BFF92920C0E7B3ADB0FCB8AE20C1BEC7D5BBF3C8B BDC320C7F6C0E7292E687770>

<4D F736F F D20BACEB1B3C0E75FB5F0C1F6C5D0B6F3C0CCC7C15F3232C2F7BDC32E646F63>

71호 한소리.indd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경선 룰 변경과 관련하여 사실과 다른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당대표 당선에 대한 자기편의적 단정을 방송한 해당 프로그 램에 대한 공정한 심의와 사과 및 정정 보도 조치를 요청한다는 민원에 대해 방송내용을 확인하고 논의한 결과, 진행자(장성민)와 출연자들(여상원 변

연속극 <가족끼리 왜 이래>, 2위는 KBS 1TV의 일일연속극 <당신만이 내사랑>, 3위는 MBC 주말드라마 <전설의 마녀>가 꼽혔다. 표1 2015년 시청률 상위 20개 프로그램 순위 프로그램(그룹) 채널 가구시청률(%) 1 주말연속극 <가족끼리 왜 이래> KBS2

¿©±âÀÚ-À¥¿ë.PDF

2 드라마가 그린 전통시장, 우리의 삶과 희로애락을 담아 주인공 삶의 공간됐던 한약방ㆍ짜장면 가게ㆍ야채가게의 현재 모습은? TV 드라마에는 종종 전통시장이 등장한다. 주인공의 삶의 터전이 되기도 하고 주요한 만남이 이뤄지는 장소로도 쓰인다. 전통시장을 오가는 사람들만

- 2 -

2 종편 시사토크 출연 `편향성 심각' 친여 64%, 친야 15% 채널A <뉴스스테이션 친여> 83% 본격 선거기간이 시작된 지난 1월 14일(선거 90일전)부터 2 월 13일(선거 60일전)까지 모니터 대상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 치 이슈를 다룬 출연자들의 구성을 분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최우석.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KBI......_ hwp

목차 1. 조사배경 1 2. 추진경과 1 3. 조사개요 1 4. 조사결과 2 1. 스마트폰 PC 시청행태조사 2 2. 고정형 TV VOD 시청행태조사 11

성인지통계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CJ E&M(1396) 주요방송사별프로그램광고단가비교 (217년 1월기준 ) ( 천원 ) CJ E&M SBS KBS2 MBC MON 내성적인보스 ( 본 ) 월화드라마 월화드라마 월화드라마 23: ~ 24:3 22: ~ 23:1 22: ~ 23:1 22: ~ 23:1 광

150

175

언론중재01-11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TV 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

1 TV,,, One Source Multi Use ,.,...,.

Broadcasting Industry White Paper 시청률분석 02 이장에서는방송영상플랫폼및채널시청동향을닐슨코리아의시청률자료를이용해분석하였다. 먼저전체 TV 시청의변화를살펴보기위해총가구시청량 (HUT: Household Using Television) 과총개인

7월1일자 최종.hwp

등대3강(이남수) - 옆집 엄마 한마디에 무너지지 마세요.hwp

온라인 버즈가 보여주는 화제의 프로그램 분석 대상이 된 프로그램들의 버즈(buzz) 총량은 총 7,089,656건이었다. 그 가운데 주요 프로그램의 버즈 점유율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드라마 81개 프로그램 대상 관련 버즈건수는 총 2,227,495건으로

CC hwp

688È£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슬라이드 1

7,560일간의 드라마 여행

방송영상산업백서 제1부 국내 방송영상 산업 이슈 발 행 인 발 행 일 발 행 처 편집 인쇄 홍상표 2013년 12월 31일 발행 한국콘텐츠진흥원 경성문화사(02_786_2999) 제1장 주요 이슈 소개 2 제2장 주요 이슈 4 제1절 미디어렙 도입 1년과

<C1A632C2F720BAB8B0EDBCAD20BFB5C8AD20C1A4BAB8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BDC7C5C2C1B6BBE72E687770>

성도



640..

Transcription:

2013-07호 (통권 73호) 시청률로 보는 한국 TV드라마 트렌드 - - Ⅰ. 개요 Ⅱ. 지상파방송 드라마 시청률 분석 Ⅲ. 종합편성방송 드라마 시청률 분석 Ⅳ. 2013년 3/4분기 현재 한국 TV드라마 트렌드 작성 : 이양환 / 미래전략팀 선임연구원 (kneon3@kocca.kr)

요 약 2013년 1월부터 9월까지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에서 방송된 드라마들을 시청률을 중심으로 분석 지상파방송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는 KBS2TV의 <내 딸 서영이>로, 평균 가구시청률 40% 이상을 기록 - KBS 드라마는 Top 10 리스트에 6개 이상이 포함되어 강세를 나타냄 종합편성방송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는 JTBC의 <무자식 상팔자>로 평균 가구시청률 7~8%를 기록 - Top 10 리스트에 포함된 드라마의 7~8개가 JTBC 드라마 시청률 상위 Top 10 중 많은 드라마가 가족/멜로드라마였으며, 사극과 전문직드라마 등은 전보다 인기를 얻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가족/멜로드라마의 독주 속에 신선한 소재를 바탕으로 장르를 혼합한 드라마들(<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 의 태양>, <굿닥터>, <구가의 서> 등)이 인기 서울/수도권과 지방 4개 도시 간 선호 드라마 차이는 존재했으며, 지방 4개 도시 간에도 특정 드라마들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남 연령별로는 나이가 올라갈수록 드라마 시청률이 높았고, 전통적인 가족드라마의 선호 경향이 높게 나타남 성별의 차이 역시 존재했는데, 여성이 드라마의 주 시청층임을 확인. 주목을 끌었던 드라마들의 시청률은 모두 여성 시청률이 높았음. 특히 여성은 젊은 남성 배우가 등장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시청률의 차이를 보임. 40대 에서 남성과 여성 드라마 시청자들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남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 이외에 tvn과 OCN과 같은 케이블방송의 드라마들이 약진하고 있음. 지상파방송 의 전유물이었던 드라마 시청이 종합편성방송과 케이블방송의 드라마로 확대되는 경향 02

Ⅰ. 개요 1. 목적 2013년에 방송된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 드라마들의 특징을 시청률을 통해 분석 - 장르별, 성별, 연령별 선호 드라마 파악을 통해 2013년 드라마 트렌드를 가늠 지상파방송 중심의 드라마 트렌드 분석 경향을 종합편성방송 드라마로 확대해, 넓어진 드라마 시청 기회가 어떻게 현실화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종편 및 케이블방송 드라마의 가능성 탐색 2. 분석 드라마 시청자들의 시청행태를 가구시청률과 개인시청률로 나눠서 분석 - 분석기간/대상: 2013년 1월~9월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에서 방송된 드라마 전체의 가구/개인시청 률 분석(AGB 닐슨의 시청률 자료) - 지역은 서울/수도권(인천 포함), 부산, 광주, 대전, 대구 등 5개 지역으로 구분 - 개인시청률의 경우 성별, 연령, 연령/성별로 구분하여 조사 - 지역, 성별, 연령별 드라마 시청률(가구/개인) Top 10 리스트를 구성하여 분석 참고: HUT와 PUT 시청률 분석에는 크게 가구시청률(HUT: House Using Television)을 이용하는 방법과 개인시청률(PUT: Person Using Television)이 있다. - HUT는 분석단위를 가구로 하여 시청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는 것인 반면, - PUT는 가구 구성원 개인의 시청을 개별적으로 파악하고 종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HUT는 가구 구성원 중 1명 이상의 TV 시청을 측정하며, PUT는 가구 구성원 개개인의 TV 시청을 측정한 자료다. 따라서 HUT가 PUT에 비해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03

Ⅱ. 지상파방송 드라마 시청률 분석 1. 가구시청률 1)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지상파방송의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와 이 드라마들의 지방 4개 광역시에서의 가구시청률 을 살펴보면(<표 1>), 우선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는 KBS2TV의 주말연속극 <내 딸 서영이>로 서울/ 수도권 지역에서 40%를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 - <내 딸 서영이>는 대전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보였으며(42.9%), 최고 시청률이 가장 낮았던 대구도 38.6%로 40%에 근접 서울/수도권 지역 Top 10 드라마 중에서 KBS 드라마가 6편, MBC 드라마가 3편, SBS 드라마가 1편으로 KBS의 강세가 두드러짐 - <내 딸 서영이> 다음으로도 KBS2TV의 <최고다 이순신>, KBS1TV의 <힘내요 미스터 김>, KBS2TV < 왕가네 식구들>이 뒤를 이음 표 1 지상파방송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부산 광주 대전 대구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40.82106 41.67023 39.37501 42.90502 38.55879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27.24903 23.37733 20.70118 22.82762 21.93804 일일연속극(힘내요미스터김) KBS1 26.85263 29.31545 25.70280 32.89154 28.74316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25.10457 22.78707 19.93286 21.93911 22.42454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23.85636 19.76944 18.12037 17.42992 20.56441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21.05968 15.70786 15.58034 12.87938 17.55672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20.65767 15.33694 14.79837 14.65086 16.24680 일일연속극(지성이면감천) KBS1 20.22779 20.40934 13.81506 21.73532 19.46994 월화특별기획드라마(구가의서) MBC 18.76198 8.69836 10.98505 12.74834 14.71022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18.22523 16.84322 17.10981 16.48012 17.67187 * 서울/수도권은 높은 가구시청률 순으로 정렬. 지방 4개 광역시의 가구시청률 순서는 순위를 나타내지 않음. 장르적으로는 가족/멜로 장르로 분류할 수 있는 드라마들이 1~5위까지 높은 시청률을 나타내 여전히 가족 과 사랑을 주제로 한 드라마가 강세 04

- 사극은 MBC <마의>와 <구가의 서>, 전문직 드라마는 KBS2TV의 <굿닥터>가 인기를 얻는데 그침 요일별로는 주말연속극이 4편, 일일연속극이 2편, 월화드라마가 3편(<마의> 포함), 수목드라마 1편(SBS<너 의 목소리가 들려>)로 주말극의 시청률이 좋았던 것으로 나타남 -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에서는 아침드라마가 한편도 없었음 서울/수도권 지역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들은 대체로 지역 4개 광역시에서도 높은 시청률을 기록 하고 있었으나, 일부 드라마들은 큰 편차를 보임 - 특히 MBC에서 방영된 <구가의 서>의 경우 서울/수도권 지역과 부산의 시청률 차이가 10% 이상 나고 있 었고, 다른 광역시와도 최소 4%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 <최고다 이순신>, <마의>, <너의 목소리가 들려> 등도 서울/수도권과 지역 광역시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나고 있음 2) 지상파방송 지방 4개 광역시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그림 1 지상파방송 지방 4개 광역시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05

지방 4개 광역시의 가구시청률을 보면, 부산, 광주, 대전, 대구 등 4개 광역시에서 모두 <내 딸 서영이>가 1 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힘내요 미스터김>, <최고다 이순신>, <왕가네 식구들>, <백년의 유산>, <굿닥터> 가 공통적으로 상위 10위 안에 들어있음 - KBS1TV의 <지성이면 감천>은 서울/수도권을 포함해 전 지역에서 높은 가구시청률을 보였으나, 광주에 서는 상위권에 포함되지 못함 - MBC의 <마의>는 서울/수도권과 대구에서만 가구시청률 상위 10위에 포함 - SBS 드라마 중 <야왕>은 대전에서만, <청담동 앨리스>와 <주군의 태양>은 광주에서만 Top 10에 올랐음 지방 4개 광역시의 경우, 서울/수도권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아침 일일드라마가 상위에 포함된 것이 특징 - KBS2TV의 아침 일일드라마 <TV 소설>이 4개 광역시 모두에서 높은 시청률을 보였으며, MBC의 <사랑 했나봐>는 부산과 광주에서, SBS의 <너라서 좋아>는 대전과 대구에서 인기가 높았음 지방 4개 광역시의 가구시청률의 결과에서도 KBS 드라마의 강세가 눈에 띄고 있었고, 가족/멜로 장르가 Top 10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었음 요일별로 보면, 서울/수도권과 마찬가지로 주말드라마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나 저녁과 아침에 방영하는 일일 드라마의 인기를 고려하면 일일드라마 역시 강세 2. 개인시청률 1)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서울/수도권 지역의 개인시청률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가구시청률에서 보인 모습과 비슷한 양상이었고, 약 간의 차이만 발견할 수 있음(<표 2>) - 가장 높은 개인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는 <내 딸 서영이>이며(19.7%), 그 뒤로 <최고다 이순신>, <왕가 네 식구들>, <힘내요 미스터 김>이 뒤따르고 있음 - 가구시청률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주군의 태양>, <학교 2013>이 개인시청률 상위 10위에 포함 가구시청률과 마찬가지로, KBS 드라마, 주말드라마, 가족/멜로 장르의 강세는 유사했 으며, 아침드라마는 포함되지 않음 시청대가 폭넓은 연속극의 경우 서울/수도권과 지방 4개 광역시들의 개인시청률이 모두 고르게 분포했으나,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의 태양>, <학교 2013> 과 같이 시청대가 비교적 젊은 드라마의 경우 서울/수 도권과 지방 4개 광역시 간 차이가 존재 - 서울/수도권 시청률이 더 높았음. 보수적이지 않고 젊은 시청자가 많은 지역적 특징이 반영 06

표 2 지상파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부산 광주 대전 대구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19.68965 20.77254 19.15949 19.78882 18.72124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11.90533 10.39435 10.74912 9.01473 10.36814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10.15872 9.57589 9.72274 10.04573 10.01413 일일연속극(힘내요미스터김) KBS1 9.76989 11.53684 9.93517 11.31368 10.84849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9.52969 8.60881 8.59536 7.04929 8.19615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9.46642 7.78840 7.23941 8.44807 7.52895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9.19301 8.52774 8.47068 6.80513 7.77456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8.41197 7.26090 6.03398 6.63790 8.32529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8.38978 8.40058 8.83504 8.27903 9.58594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8.29923 6.50301 7.26653 5.78061 7.87007 * 서울/수도권은 높은 가구시청률 순으로 정렬. 지방 4개 광역시의 가구시청률 순서는 순위를 나타내지 않음. 2) 지방 4개 광역시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그림 2 지상파방송 지방 4개 광역시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07

지상파방송의 지방 4개 광역시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를 살펴보면 가구시청률과 마찬가지로 <내 딸 서 영이>의 독주, KBS 드라마의 우세가 확인 지방 4개 광역시의 개인시청률의 경우 아침 일일드라마가 하나도 포함되지 않아 가구시청률의 결과와 차이 - 개인시청률은 가구시청률보다 더 다양한 시청자들이 분석에 포함됨. 가구시청률 조사에 포함된 고연령, 여성, 주부 시청자들에 더해 젊고 더 다양한 직업군에 속한 여성과 남성 시청자들이 포함된 결과로 해석 서울/수도권과 달리 부산에서는 KBS2TV의 <직장의 신>, 광주에서는 <청담동 앨리스>와 MBC의 <금나와 라 뚝딱>, 대전에서는 <지성이면 감천>과 <야왕>이 포함됨 -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경우 광주에서는 Top 10에 포함되지 못했으며, <마의>는 부산과 대구에서만 포함 3) 성별에 따른 개인시청률 비교 지상파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를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면(<표 3>), 남성의 경우 <마의>, 여성의 경우 <청담동 앨리스>를 제외하면 같은 드라마 들이 높은 시청률을 기록 - 남성은 사극, 여성은 트렌디 드라마를 조금 더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남 <너의 목소리가 들려>와 <주군의 태양>의 경우 여성들에게 더 인기가 있었음 - 이 두 드라마들은 독특한 소재와 전개, 그리고 현재 여성들에게 인기가 높은 소위 대세남 인 남성 배우가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음 표 3 지상파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성별 비교 (단위: %) 남성 개인시청률 여성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19.68965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23.87365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11.90533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14.56976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10.15872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13.00679 일일연속극(힘내요미스터김) KBS1 9.76989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12.51916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9.52969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12.22489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9.46642 일일연속극(힘내요미스터김) KBS1 12.13703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9.19301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11.98297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8.41197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10.79004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8.38978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10.23305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8.29923 특별기획(청담동앨리스) SBS 10.18677 지방 4개 광역시의 경우도 개인시청률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나타남 - 부산: 대부분의 Top 10 드라마가 같은 가운데, 남성은 <직장의 신>과 <마의>, 여성은 <TV 소설: 사랑아 08

사랑아>와 <야왕>이 순위에 포함되어 있어 선호 장로에서의 차이가 보임. 특히 <야왕>은 여성 시청자들 에게 인기가 높은 남성 배우가 출연 - 광주: Top 10 리스트에서 남성은 <금나와라 뚝딱>, 여성은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각각 포함됨. 광주 에서도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았음을 보여줌 - 대전: 대부분의 Top 10 드라마가 같았지만 남성은 <지성이면 감천>, 여성은 아침연속극인 <너라서 좋아 >가 포함. 아침 일일드라마의 주 시청자가 여성임을 확인 - 대구: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드라마가 같지만 남성은 <마의>, 여성은 <지성이면 감천>을 더 선호한 것으 로 나타남. <마의>의 경우 서울/수도권 남성과 경상도 지역의 남성들에게 특히 선호되고 있었음 4) 연령과 성별에 따른 개인시청률 비교: 서울/수도권 지상파방송의 서울/수도권 지역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를 연령별로 비교해 본 결과(<표 4>), 우선 10대 에서 <학교 2013>이(15.2%) <내 딸 서영이>(11.8%)를 제 치고 1위를 기록 <내 딸 서영이>가 1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10대와 30대, 40대에서는 < 주군의 태양>이, 20대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특히 인기가 높게 나타남 고정적으로 높은 시청률을 보인 몇몇 드라마를 제외하면, 젊은 시청자들은 <학교2013>, <주군의 태양>, <너의 목소리가 들려>, <굿닥터>, <구가의 서>를 선호한 반면, 50대는 <야왕>, MBC 주말드라마 <스캔 들>, <마의>, <금나와라 뚝딱> 이, 60대 이상에서는 <오자룡이 간다>, <TV 소설: 사랑아 사랑아>, MBC 아침드라마 <사랑했나봐>가 인기 - 사극인 <마의>의 경우 10대와 20대의 Top 10 리스트에서는 포함되지 않다가 30 대 이후부터 포함. 30 대에서 <구가의 서> 시청률이 특히 높았음 표 4 지상파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연령별 비교 (단위: %) 서울/수도권 10대 서울/수도권 20대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15.21936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12.51581 학교2013학교에가자 KBS2 13.05818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7.62305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11.81440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6.02785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9.62572 특별기획(청담동앨리스) SBS 5.89841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8.63058 주말드라마(금나와라뚝딱) MBC 5.61568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7.37379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5.58192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7.36939 드라마스페셜(그겨울바람이분다) SBS 5.26722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5.90765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5.26532 특별기획(청담동앨리스) SBS 4.89289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5.03412 월화특별기획드라마(구가의서) MBC 4.65335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4.75571 09

서울/수도권 30대 서울/수도권 40대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16.20703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23.55680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12.24779 드라마스페셜(주군의태양) SBS 13.72399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9.82484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13.22984 월화특별기획드라마(구가의서) MBC 9.18760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13.02830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8.75433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12.84731 특별기획(청담동앨리스) SBS 8.55531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12.59766 월화드라마(굿닥터) KBS2 8.30215 월화특별기획드라마(구가의서) MBC 12.21294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7.53107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12.20151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6.84023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11.37044 월화드라마(학교2013) KBS2 6.51378 특별기획(청담동앨리스) SBS 11.04526 서울/수도권 50대 서울/수도권 60대이상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27.41049 주말연속극(내딸서영이) KBS2 31.26289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16.16881 일일연속극(힘내요미스터김) KBS1 30.30613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16.15940 일일연속극(지성이면감천) KBS1 23.04703 일일연속극(힘내요미스터김) KBS1 15.67490 주말연속극(최고다이순신) KBS2 21.88155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13.75814 주말연속극(왕가네식구들) KBS2 20.13853 SBS월화드라마(야왕) SBS 12.71596 주말특별기획드라마(백년의유산) MBC 18.95895 주말특별기획드라마(스캔들) MBC 12.68719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14.84660 창사특별기획(마의) MBC 12.65048 일일연속극(오자룡이간다) MBC 14.23925 주말드라마(금나와라뚝딱) MBC 12.35113 TV소설(사랑아사랑아) KBS2 12.82898 드라마스페셜(너의목소리가들려) SBS 11.93909 MBC아침드라마(사랑했나봐) MBC 12.52787 연령과 성별로 개인시청률 결과를 다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음. 아래에 언급된 드라마 외 Top 10을 구성하 는 드라마는 <표 4>와 같음 - 10대: 10대 남성과 여성 모두 <학교 2013>과 그 특집판인 <학교 2013: 학교에 가자>의 시청률이 가장 높음. 10대 남성의 경우 KBS2TV에서 방영한 <전우치>와 <구가의 서>, 10대 여성의 경우 <청담동 엘리 스>와 MBC 수목미니시리즈 <7급 공무원> 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 10대 남성은 <너의 목소리가 들려> 보다 <굿닥터>를 선호 - 20대: 20대에서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개인시청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20대 여성에서 <내 딸 서영 이>에 이어 2위를 기록. 20대 여성은 SBS 드라마스페셜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의 시청률도 높았으며, <학교 2013>과 <학교 2013: 학교에 가자>가 순위에 포함되어 있음. 그러나 20대 남성의 경우 <구가의 서>, <야왕>, <스캔들>이 Top 10에 포함 - 30대: 30대는 <내 딸 서영이>에 이어 <주군의 태양>의 시청률이 높았는데, <주군의 태양>은 여성에서 2 위, 남성에서 3위를 차지함(30대 남성 2위는 <최고다 이순신>). 30대에서 <구가의 서> 시청률이 높았던 10

이유는 30대 여성들의 <구가의 서> 시청률이 3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기인한 것으로 보임. 이 드라마 역 시 여성 시청 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남성 배우들이 출연함.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30대 여성에서 네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보임. 이 밖에, 30대 남성은 <왕가네 식구들>과 <전우치>가, 30대 여성은 <학교 2013>과 <야왕>이 Top 10에 포함 - 40대: 부동의 1위인 <내 딸 서영이> 이후 40대 남성은 <최고다 이순신>, <왕가네 식구들>, <마의>를, 40대 여성은 <주군의 태양>, <너의 목소리가 들려>, <굿닥터> 순으로 선호하는 드라마가 확연히 구분되 고 있음. 가족/멜로 드라마를 남 성이 여성보다 더 선호하고 있는 경향이 보임. Top 10 드라마 리스트에 서 40대 남성의 경우 <돈의 화신>이, 40대 여성은 <백년의 유산>이 포함.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경우 40대 남성들의 리스트에서는 빠짐 - 50대: 50대 남성은 <마의>, <돈의 화신>, <구가의 서>가 Top 10에, 여성의 경우 <야왕>, <너의 목소리 가 들려>, <지성이면 감천>이 Top 10 리스트에 포함.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10대에서 50대까지 여성 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음. <주군의 태양>은 50대 남녀 모두의 Top 10 리스트에서 빠짐 - 60대: 60대 이상의 시청률은 남녀 모두 가족/멜로가 주제인 일일, 주말, 아침드라마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임. 남성의 경우 <힘내요 미스터 김>이 <내 딸 서영이>보다 시청률이 높았으며, 사극인 KBS1TV의 <대왕 의 꿈>과 <TV 소설: 사랑아 사랑아>가 Top 10에 포함. 여성의 경우 <금나와라 뚝딱>, <사랑했나봐>가 포함 11

IV. 종합편성방송 드라마 시청률 분석 1. 가구시청률 1)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종편의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와 이 드라마들의 지방 4개 광역시에서의 가구시청률을 보면 (<표 5>), 2013년 3/4분기까지 종편에서 가장 가구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는 JTBC의 <무자식 상팔자>로 7.62%의 시청률을 기록 - <무자식 상팔자>는 JTBC 개국 1주년 특별기획드라마로, 김수현 작가가 극본을 맡아 화제 - JTBC의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과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가 뒤를 잇고 있는데, <무자식 상팔 자>와의 격차가 5.3% 가량으로 매우 크게 나타남 - <무자식 상팔자>는 재방송도 Top 10에 진입 전체 Top 10 드라마 중에서 JTBC 드라마가 8편(MBN 1편, TV조선 1편)으로 JTBC가 절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 - 그나마 MBN의 <대한민국정치비사>, TV조선의 <실화 극장사건의 현장>의 경우 정통 드라마가 아니라 는 것을 감안하면 JTBC가 종편의 드라마를 석권 표 5 종합편성방송 서울/수도권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부산 광주 대전 대구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7.61870 6.11759 7.16175 8.78613 5.75330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2.33194 2.13687 3.41296 3.10669 2.19966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2.32364 4.60592 2.07280 3.81988 2.25826 대한민국정치비사 MBN 1.58974 1.51962 1.31068 0.49983 1.27202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1.42137 1.73283 0.93495 1.55256 0.69467 실화극장사건의현장 TV조선 1.38084 1.31760 0.48270 1.24549 0.84721 주말연속극(맏이) JTBC 1.37013 1.16308 2.79591 1.66016 0.96102 월화미니시리즈(그녀의신화) JTBC 1.28216 1.72145 2.35037 2.22920 2.17294 일일드라마(더이상은못참아) JTBC 1.16904 1.66513 2.23355 1.28255 1.06046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재>) JTBC 1.08209 1.19051 0.91965 1.07511 1.01962 장르는 지상파방송에 비하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무자식 상팔자>, <더 이상은 못참아>는 가족/멜 로,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은 사극,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는 로맨스, <맏이>는 시대극, <그녀의 신화>는 휴먼 성공드라마, <가시꽃>은 멜로복수극, <대한민국 정치비사>,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은 다 큐드라마로 분류 12

- 가족/멜로물이 종편에서도 김수현 작가라는 강력한 동력을 바탕으로 위치를 확고히 지키고 있으나, 케이 블, 위성, IPTV 등 유료방송채널에 위치한 종편의 특성상, 다양한 시청자들의 기호에 맞추기 위해 여러 장르가 경쟁하고 있음 요일별로는 주말드라마의 강세를 확인할 수 있음. <무자식 상팔자>,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맏이>, <대한민국 정치비사>,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이 모두 주말에 방송. 월화드라마가 2편, 일일드라마가 2 편임(재방송 제외) 2) 지방 4개 광역시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종편의 지방 4개 광역시에서의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를 살펴보면 4개 광역시 모두에서 <무자식 상팔자> 의 시청률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가장 높았던 지역은 대전으로 8.79%를 기록, 가장 낮았던 지역은 대구로 5.75%를 기록 그림 3 종합편성방송 지방 4개 광역시 가구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는 부산에서 가구시청률 4.61%를 기록, 서울/수도권 포 함해 <무자식 상팔자> 다 13

음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 - 서울/수도권 포함해 가구시청률이 3% 이상이었던 드라마는 전 지역에서 <무자식 상팔자>, 부산에서 <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광주에서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대전의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등 JTBC의 드라마 3편임 대부분 같은 드라마가 Top 10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나, 부산의 경우 MBN에서 2부작으로 방영된 감동드라 마 <해밀>이, 대구에서 2012년에 TV조선에서 방영했던 <아버지가 미안하다> 재방송이 Top 10에 이름을 올림 - <가시꽃>의 경우 광주와 대구의 Top 10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음 - 본 방송 시간보다 재방송 시간이 더 많은 종편의 특성상 인기드라마의 재방송 시청률이 높게 나타남 전반적으로 대전과 광주의 가구시청률이 높았고, 대구와 부산이 낮은 경향을 보임 2. 개인시청률 1)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서울/수도권 지역 개인시청률 현황을 보면, 가구시청률에서 포함된 드라마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나, TV조선의 <아버지가 미안하다> 재방송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다름 - 개인시청률 1위는 <무자식 상팔자>(3.14%)로 나타났으며,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대한민국 정치비사>, <가시꽃>, <맏이>, <그녀의 신화>,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아 버지가 미안하다>(재), <더 이상은 못참아> 순 - <무자식이 상팔자>와 비교해 다른 드라마들은 개인시청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함 표 6 종합편성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부산 광주 대전 대구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3.13756 2.65511 3.16396 3.61531 2.31706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0.90276 2.10383 1.31872 1.64261 1.32816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0.82030 0.81886 1.40872 0.98413 0.54935 대한민국정치비사 MBN 0.52166 0.54440 0.91026 0.12306 0.23983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0.48347 0.60790 0.26676 0.46538 0.34417 주말연속극(맏이) JTBC 0.47593 0.43499 1.12956 0.62629 0.34564 월화미니시리즈(그녀의신화) JTBC 0.45795 0.51147 0.81132 0.60102 0.72666 실화극장사건의현장 TV조선 0.41263 0.40011 0.16268 0.35615 0.24651 아버지가미안하다<재> TV조선 0.39292 0.36647 0.26358 0.17163 0.52062 일일드라마(더이상은못참아) JTBC 0.35929 0.50832 0.63345 0.46122 0.42159 14

2) 지방 4개 광역시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지방 4개 광역시의 개인시청률에서도 <무자식 상팔자>가 1위로 나타나고 있음. 가장 높았던 지역은 대전으 로 3.62%를 기록했고, 가장 낮았던 지역은 대구로 2.32%를 기록 - 서울/수도권의 경우 <무자식 상팔자>와 타 드라마들 간의 개인시청률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지방 4개 광역시에서는 그 차이가 서울/수도권 보다는 덜했음. 특히 부산의 경우 시청률 2위였던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와의 차이가 0.55% 밖에 나지 않음 그림 4 종합편성방송 지방 4개 광역시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단위: %) 가구시청률과 함께 서울/수도권의 개인시청률 Top 10 리스트에 있었던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이 지방 4개 광역시에서의 개인시청률 Top 10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음 - 부산과 대전에서는 TV조선의 심리드라마 <멘탈 콤플렉스>가 포함되었으며, 광주와 대구에서는 다른 드 라마들의 재방송이 대신 포함 - <대한민국 정치비사>는 대구에서 Top 10에 포함되지 않음 장르와 요일 측면에서 보면 가구시청률과 마찬가지로 장르는 다양하고 요일은 주말이 강세 전반적으로 대전과 광주의 개인시청률이 높고, 대구가 낮은 경향을 보임 15

3) 성별에 따른 개인시청률 비교 종편의 서울/수도권 지역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현황을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면(<표 7>) <무자식 상팔 자>가 모두 1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여성의 시청률 (4.17%)이 남성(2.08%)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남 표 7 종합편성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성별 비교 (단위: %) 남성 개인시청률 여성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프로그램(그룹) 채널 서울/수도권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2.08399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4.17252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0.59818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1.23404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0.56554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1.03851 대한민국정치비사 MBN 0.53536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0.74396 실화극장사건의현장 TV조선 0.43740 월화미니시리즈(그녀의신화) JTBC 0.71113 주말연속극(맏이) JTBC 0.38231 주말연속극(맏이) JTBC 0.56790 아버지가미안하다<재> TV조선 0.33456 일일드라마(더이상은못참아) JTBC 0.54879 월화미니시리즈(무정도시) JTBC 0.27118 대한민국정치비사 MBN 0.50821 멘탈콤플렉스 TV조선 0.24844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재>) JTBC 0.46027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0.21831 아버지가미안하다<재> TV조선 0.45026 남성의 경우 1%가 넘는 시청률을 보인 드라마가 <무자식 상팔자>밖에 없었던 반면, 여성의 경우 <무자식 상 팔자>,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1.23%), <궁중잔 혹사: 꽃들의 전쟁>(1.04%) 등 3편 - 전체적으로 여성의 개인시청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음. 즉, 여성이 남성보다 종편의 드라마를 더 보고 있다는 결론 남성의 경우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JTBC 월화미니시리즈 <무정도시>, <멘탈 콤플렉스>가, 여성의 경우 <그녀의 신화>와 <더 이상은 못참아>가 Top 10에 포함 - 남성과 여성의 Top 10 리스트에서 위 드라마들은 상호 겹치지 않고 있는데, 남성 리스트에만 있는 드라 마들은 모두 다큐드라마, 느와르 드라마, 심리드라마 등 특이하고 새로운 소재의 드라마였음 - 전반적으로 남성의 Top 10 리스트에 있는 드라마들의 장르가 여성보다 더 다양하게 나 타남. 여성의 리 스트에 있는 드라마들은 전체 개인시청률 결과에 있는 드라마들과 동일 지방 4개 광역시의 경우도 개인시청률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나타남. 전반적으로 개인시청률 전체에서 나타났던 드라마들이 여성들의 Top 10 리스트에서 많이 나타났고, 남성들의 Top 10 리스트에는 새로운 드 라마들이 상위 시청률을 기록 - 부산: 부산 여성 시청률에서 개인시청률 1위는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로, <무자식 상팔자>가 유일 하게 1위를 하지 못한 시청층임. 남성은 <대한민국 정치비사> 가 재방송까지 포함해 2편이 Top 10에 포 함되어 있으며, 여성에게는 없는 <무정도시>와 <멘탈 콤플렉스>, <감동드라마 해밀>이 포함. 반대로 여 16

성의 경우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이 포함. 남성의 개인시청률에서 높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는 <맏이> 가 부산의 리스트에서 빠져있음 - 광주: 남성과 여성의 Top 10 리스트에서 여성에만 들어있는 드라마는 채널A에서 방영한 <깜놀 유치원>(스페 셜)로, 전체 결과에서 유일한 채널A 드라마임. 1) 시청률 1위 <무자식 상팔자> 이후로 남성은 <맏이>, <대한민 국 정치비사>가 2, 3위 였고, 여성은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가 2, 3위를 기 록. 광주의 여성 Top 10 드라마의 경우 1위에서 3위까지 이외에 4위 <맏이>, 5 위 <그녀의 신화>까지 5개 드 라마가 시청률 1%를 넘긴 유일한 시청층임. 광주의 남녀 개인시청률 결과에서는 공통적으로 <가시꽃>이 빠짐 - 대전: 남녀 모두 <무자식 상팔자>,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이 1~3위 시 청률을 기록. 남녀의 차이로, 남성은 <실화극장 사건의 현 장>, <무정도시>가 포함되었고, 여성의 경우 < 그녀의 신화>와 <가시꽃>이 포함. <멘탈 콤플렉스>는 주로 남성의 Top 10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나 대 전에서는 여성의 리스트에도 포함 - 대구: <무자식 상팔자> 이후로 남성은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아버지가 미안하다>(재)가 뒤를 이 었고, 여성은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와 <그녀의 신화>가 2~3위를 기록. 이후는 남녀의 차이가 크 게 나타나고 있는데, 남성은 <대한민국 정치비사>가 재방송까지 해서 2편이 Top 10에 포함되어 있고, < 맏이>가 빠져있으며 <무정도시>와 <해밀>가 남성 리스트에만 포함되어 있었음. 여성의 경우 <맏이>, <무 자식 상팔자>,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의 본방에 이어 재방송이 Top 10에 포함 4) 연령과 성별에 따른 개인시청률 비교: 서울/수도권 종합편성방송의 서울/수도권 지역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를 연령별로 비교해본 결과(<표 8>), 전 연령대 에서 <무자식 상팔자>가 1위를 기록하고 있었음 -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무자식 상팔자>의 시청률은 급상승하고 있는 것이 보이는데, 40대부터 시청률 4%에 근접하기 시작해 50대 5.7%, 60대 5.5%를 나타내고 있음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리스트에서 보이지 않던 드라마들이 연령별 Top 10 리스트에서 보이고 있음 - 채널A의 <깜놀 유치원>과 그 스페셜 방송이 10대와 30대에서 Top 10 리스트에 올라 있음. 어린 자녀, 동생의 시청시간과 이들의 시청이 겹치는 것으로 추정 - JTBC의 특별기획드라마 <세계의 끝>은 20대와 30대의 리스트에 포함 <무자식 상팔자>를 제외하면 전 연령대에서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와 <궁중잔 혹사: 꽃들의 전쟁>, <맏 이>, <대한민국 정치비사>가 선전하고 있음.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는 60대 이상에서 빠져 있으나 나머 지 연령대에서 리스트 상위에 올 라가 있고,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맏이>의 경우 전 연령대에서 골고 루 인기. <대한민국 정치비사>는 시사문제에 관심이 많다는 40대에서 빠져 있음 - <가시꽃>은 30, 50대에서 빠져 있으며, <그녀의 신화>는 40, 50, 60대에만 포함. 전반적으로 일부 프로 그램을 제외하면 개인시청률은 1%에 못미치고 있었는데, 60대 이상의 경우 1편을 제외한 9편의 시청률 이 1%를 넘고 있음. 종편의 경우 연령대가 높을수록 많이 시청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1) AGB 닐슨의 시청률 조사에서는 <깜놀 유치원>이 드라마로 분류되어 있으나, 이 드라마를 예능/오락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17

표 8 종합편성방송 서울/수도권 개인시청률 Top 10 드라마 연령별 비교 (단위: %) 서울/수도권 10대 서울/수도권 20대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1.14474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2.17080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0.91687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0.41058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0.20291 월화미니시리즈(무정도시) JTBC 0.30629 니깜놀 채널A 0.15151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0.22781 깜놀유치원스페셜 채널A 0.14681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0.22463 대한민국 정치비사 MBN 0.14000 특별기획드라마(세계의끝) JTBC 0.22413 주말연속극(맏이) JTBC 0.10262 멘탈콤플렉스 TV조선 0.19191 특집드라마(비밀의고서점1부) 채널A 0.09096 대한민국 정치비사 MBN 0.16496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0.08531 주말연속극(맏이) JTBC 0.16333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재>) JTBC 0.08394 월화미니시리즈(무정도시<재>) JTBC 0.16320 서울/수도권 30대 서울/수도권 40대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1.70732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3.89691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1.11597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1.01537 일일드라마(큐더이상은못참아) JTBC 0.42177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0.78523 실화극장사건의현장 TV조선 0.41914 월화미니시리즈(그녀의신화) JTBC 0.69397 깜놀유치원스페셜 채널A 0.35681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0.59622 대한민국 정치비사 MBN 0.35392 주말연속극(맏이) JTBC 0.57427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0.34899 일일드라마(더이상은못참아) JTBC 0.44697 실화극장사건의현장<재> TV조선 0.23648 월화미니시리즈(무정도시) JTBC 0.42537 주말연속극(맏이) JTBC 0.21958 멘탈콤플렉스 TV조선 0.40170 특별기획드라마(세계의끝) JTBC 0.21772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재>) JTBC 0.37583 서울/수도권 50대 서울/수도권 60대이상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프로그램(그룹) 채널 개인시청률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5.69735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 JTBC 5.51822 월화미니시리즈(우리가결혼할수있을까) JTBC 1.84414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1.83292 주말연속극(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 JTBC 1.54259 일일드라마(가시꽃) JTBC 1.59571 대한민국정치비사 MBN 1.16232 대한민국정치비사 MBN 1.45051 아버지가미안하다<재> TV조선 0.96739 아버지가미안하다<재> TV조선 1.34233 주말연속극(맏이) JTBC 0.84292 주말연속극(맏이) JTBC 1.21349 실화극장사건의현장 TV조선 0.81646 월화미니시리즈(그녀의신화) JTBC 1.08690 월화미니시리즈(그녀의신화) JTBC 0.77410 실화극장사건의현장 TV조선 1.03782 일일드라마(더이상은못참아) JTBC 0.63794 일일드라마(더이상은못참아) JTBC 1.02389 JTBC특별기획드라마(무자식상팔자<재>) JTBC 0.63151 일일드라마(큐더이상은못참아) JTBC 0.93781 18

연령과 성별로 개인시청률 결과를 다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음. 아래에 언급된 드라마 외 Top 10을 구성하 는 드라마는 <표 8> 과 같음 - 10대: 10대 여성이 남성보다 시청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무자식 상팔자>의 경우 3배 이상 차이. 10대 남녀 공히 <깜놀 유치원>과 그 스페셜 프로그램이 Top 10에 포함.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는 10대 여성에서 1위였으며, 남성의 리스트에는 없어 여성층에서의 인기를 확인. 특집드라마 <비밀의 고 서점>, 특별기획드라마 <세계의 끝>, <무정도시>, <그녀의 신화>, <아버지가 미안하다>(재)는 10대 남 성, <가시꽃>, <멘탈 콤플렉스>, <더 이상은 못참아>는 10대 여성의 리스트에만 포함. 남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 20대: 20대는 남녀 공히 <무정도시>의 인기가 타 연령대보다 두드러지고 있음. 특히 남성은 재방송까지 Top 10에 포함. <멘탈 콤플렉스> 역시 남녀 모두에서 인기. 남성 Top 10 리스트에는 <대한민국 정치비 사>, <세계의 끝>, <해밀>(재), 여성의 리스트에는 <가시꽃>과 <맏이>, <그녀의 신화>, <실화극장 사건 의 현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 20대 여성의 경우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의 시청률이 남성보 다 높게 나타남. 20대 역시 여성의 개인시청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고, <무자식 상팔자>의 경우 2배 정도 높음 - 30대: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는 30대 남성의 리스트에서도 <무자식 상팔자>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 고 있었고, 여성의 리스트에서도 2위를 차지.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이 남녀 모두에서 인기였고, <깜놀 유치원>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30대의 아이들이 시청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남 성은 <더 이상은 못참아>, <무정도시>(재)가, 여성의 경우 <그녀의 신화>, <세계의 끝>, <맏이> 가 포함 되어 있음. 전체적으로 30대 여성의 개인시청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그 차이는 10, 20대 보다는 적음 - 40대: 40대의 특징은 여성의 개인시청률이 남성의 그것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 <우리가 결혼 할 수 있을까>가 남성의 Top 10 리스트에는 없는 점, 그리고 전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Top 10 리스트에 서의 차이가 크게 드러나고 있는 점을 꼽을 수 있음. 여성의 리스트에서 <무자식 상팔자>,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은 각각의 재방송 역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 이 3편과 <맏이 >를 포함해서 4편의 드라마만 남녀 리스트에 공통적으로 포함. 여성의 리스트에는 <그녀의 신화>, <가시 꽃>, <더 이상은 못참아>가 포함되어 있고, 남성의 경우는 매우 다양해서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무정 도시>, <멘탈 콤플렉 스>, <아버지가 미안하다>(재), <세계의 끝> 등이 포함 - 50대: <무자식 상팔자>의 50대 여성 시청률이 7.5%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음. 남녀 모두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대한민국 정치비사>,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맏이> 가 인기 있었음. 남성의 리스트에 는 <아버지가 미안하다>(재), 특집드라마 <비밀의 고서점> 1, 2부가 포 함되어 있었고, 반대로 여성의 리스트에는 <그녀의 신화>, <더 이상은 못참아>, <가시꽃>이 포함되어 있 었음. 50대에서도 남성보다 여성의 개인시청률이 높았고, 선호드라마 와 비선호 드라마가 갈리고 있음 - 60대: 60대의 개인시청률은 여성이 조금 높았으나 서로 큰 차이는 없었음. 60대 여성에서도 인기가 있 었던 <가시꽃>, <그녀의 신화>의 경우 여성들에게 연령에 상 관없이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었음. 남성의 경우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멘탈 콤플렉스>, <무정도시>가, 여성의 경우 <그녀의 신화>, <더 이 상은 못참아>가 리스트에 각각 포함되어 있음 19

IV. 2013년 3/4분기 현재 한국 TV드라마 트렌드 1. 지상파와 종편 모두 특정 방송사의 드라마들이 인기 지상파는 KBS의 강세, SBS의 선전, MBC의 부진 - KBS는 <내 딸 서영이>, <최고다 이순신>, <힘내요 미스터 김>, <왕가네 식구들>, <지성이면 감천>, < 굿닥터> 등 많은 드라마들이 인기를 얻으며 드라마 부문 에서의 강세를 지킴 - 수는 KBS에 미치지 못하지만 SBS의 <너의 목소리가 들려>, <야왕>, <주군의 태양>, <청담동 앨리스>는 나름의 주목을 받음. 특히 <너의 목소리가 들려>와 <주 군의 태양>은 젊은 여성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음 - MBC는 <백년의 유산>, <마의>, <구가의 서> 등으로 체면치레 종편의 경우 JTBC의 독주가 두드러짐 - JTBC는 지역과 성별, 연령별 Top 10 리스트에 모두 7~8개 이상의 드라마를 올려 놓아 초강세를 보임 - 특히 김수현 작가의 <무자식 상팔자>는 지상파방송의 드라마 시청률까지 위협 - 시사/뉴스와 리얼다큐, 토크쇼에 치중하는 타 종편과 달리 지상파방송의 강세가 심한 드라마와 예능부분 에 과감히 투자한 결과를 보고 있음 2. 가족/멜로물 강세, 사극의 몰락, 장르 혼합형, 종편 드라마의 다양성 주목 올해 3/4분기까지 지상파와 종편에서 독보적인 인기를 끈 <내 딸 서영이>와 <무자식 상팔자>는 모두 드라마 장르별 특징이 가족/멜로물이라는 공통점이 있음 - 소위 막장 이라고 불렸지만 시청률면에서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던 드라마들이 많 았던 추세에서 벗어나 자극적인 소재가 아니라도 인기를 끌 수 있다는 것을 증명 - 지상파방송과 종편에서 인기를 끈 드라마들은 공통적으로 막장 의 논란에서 벗어나 있는 것도 특징 중 하나. 대표적으로,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MBC의 <오로라 공주>는 9월까지 평균 12.6%의 가구시청률 을 보여 서울/수도권과 지방 4개 도시의 Top 10 리스트에 포함되지 못함 - 삼대가 모여 사는 가족, 많은 자식들, 그들의 관계 속에서 바람 잘 날 없는 일상을 표현한 전통적인 가족 드라마가 큰 인기를 끌었다는 것은 한국인들의 드라마 시청 취향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이러한 추세 속에서도 장르 혼합형 드라마가 큰 인기를 끝 것도 주목할 사건 - 지상파방송의 경우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의 태양>은 남의 마음을 읽거나 귀신을 보는 능력을 가 20

진 주인공이 나오고, <구가의 서>는 짐승과 인간의 혼혈인 주인공이 등장. 이런 판타지적 요소는 그 동안 한국드라마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탄탄한 시나리오와 배우들의 연기력, 그리고 연출, 편집, 기술 력 등이 뒷받침 되어 성공함. <굿닥터> 역시 기존의 의료드라마에서 벗어나 과감히 자폐증이 있는 의대 생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는 모험을 감행해 공감을 얻음 2013년 3/4분기까지의 특징 중 하나는 사극의 인기가 시들했다는 점 - 2010년 이후 <동이>, <추노>, <성균관 스캔들>, <해를 품은 달>, <공주의 남자>, <뿌리 깊은 나무> 등 수많은 사극(혹은 퓨전 사극)들이 큰 인기를 끌었으나 2013년의 경우 <마의>와 <구가의 서>를 제외하면 큰 관심을 끌지 못함 - KBS1TV의 <대왕의 꿈>, SBS의 <대풍수>, MBC의 <불의여신 정이>등은 야심찬 시작과는 달리 실망스 러운 전개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잃었으며, 특히 MBC의 <구암 허준>은 8시로 옮긴 <뉴스데스크>의 자리 인 9시에 그것도 일일드라마로 배치되는 파격을 선보였으나 예전에 방송된 <허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결 과를 냄 종편 역시 가족/멜로드라마인 <무자식 상팔자>가 부동의 1위를 지켰으나, 지상파방송과는 달리 다양한 장르 의 드라마가 선보임 - 다큐드라마의 형태를 지닌 <대한민국 정치비사>와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심리드라마 <멘탈 콤플렉스>, 느와르 드라마 <무정도시> 등은 꾸준한 인기를 얻음 3. 지역, 성별, 연령별 드라마 시청 차이 확인 지역별로 나타나는 선호 드라마의 차이는 존재. 전국적으로 인기를 모은 드라마들이 공통적으로 Top 10 리 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지역별로 몇몇 드라마들이 차별적 으로 포함되거나 제외되어 있었으며, 공통적으 로 포함되어 있는 드라마들도 시청률 면에서 차이를 보임 - 서울/수도권 지역에서 젊은 층의 선호도를 반영한 결과, 즉 새로운 형태의 실험적인 드라마들이 인기 - <구가의 서>(서울/수도권), <야왕>(대전), <직장의 신>(부산), <청담동 앨리스>(광주), <마의>(서울/수도 권, 대구) 등과 같이 특정 지역에서만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도 있었고, 종편의 <실화극장 사건의 현장 >과 같이 가구시청률과 서울/ 수도권 개인시청률 리스트에서는 포함되었으나 지방 4개 도시에서는 Top 10에 들지 못한 드라마도 있음 - 아침 일일드라마들은 서울/수도권 지역보다 지방 4개 도시에서 인기 드라마 선호에 있어 성별의 차이도 확인. 드라마는 여성이 주 타깃임을 증명 - 전반적인 드라마 개인시청률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남. 지상파방송과 종편 의 시청률 1위인 <내 딸 서영이>와 <무자식 상팔자>의 경우 여성의 시청률이 훨씬 높았으며, 아침 일일드라마 역시 여성들에 게 인기 21

-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의 태양>, <야왕> 등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은 남자 배우가 출연한 드라마에 서 남성과 여성의 시청률이 차이가 남 - 남성들은 이른바 틈새시장으로 부를 수 있는 장르, 즉 다큐드라마, 느와르 드라마, 심리드라마 등을 여성 보다 많이 시청 연령별/성별로 시청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드라마 시청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 - 연령의 경우 40대 이후부터 드라마 시청률이 크게 상승. 지상파방송의 경우 40대 이후부터 Top 10 모두 두 자리 수 시청률을 보였으며, 종편은 60에서 모두 1% 이상의 시청률을 나타냄 - 화제작들인 <학교 2013>,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주군의 태양>, <굿닥터>, <구가의 서> 등은 젊은 층에서(특히 여성), 가족드라마가 대세인 일일연속극은 중년 이후의 연령대에서 인기가 많았음. <내 딸 서영이>와 <무자식 상팔자>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시청률이 급속히 상승. 특히 지상파방송과 종 편 모두 40대에서 남성과 여성의 선호드라마와 시청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 - 화제작들의 시청률에는 20대~40대 여성들의 관심이 크게 반영되어 있었음 - 60대 이상에서는 남녀의 차이가 다시 줄어들고, 사극과 일일드라마 중심의 시청행태를 보임 4. 케이블방송 드라마의 인기에 주목 케이블방송 tvn 드라마 시청률의 급속한 상승 - 최근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의 인기가 지상파를 넘고 있음(최고시청률 10% 이상). 황금시간대에 편성됐음에도 지상파방송과 대등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재방송도 높은 시청률을 기록 - tvn의 경우 화제작을 쏟아내고 있어 향후 움직임이 더 관심. 2012년 <응답하라 1997>에 이어 <나인: 아 홉 번의 시간여행>, 군디컬 드라마 <푸른거탑>, Mnet과 함께 제작한 음악드라마 <몬스타>, <빠스껫 볼> 등 다양하고 참신한 소재의 드라마가 주목을 받음 tvn 말고도 OCN의 <텐>, <뱀파이어 검사> 등 다른 케이블방송의 드라마도 호평을 받으면서 드라마 시청의 폭이 넓어지고 있음 - 케이블방송 드라마의 특징은(종편도 포함) 지상파방송의 드라마보다 소재면에서 더 다양한고 실험적이 라는 것. 앞으로도 이러한 특징으로 드라마 시장의 틈새를 공략할 것으로 예상 전반적으로 지상파방송이 독점하다시피 한 한국드라마 시청행태가 종합편성방송과 케이블방송으로 점차 확 대되고 있는 경향이 보임 - 채널이 많아지면서 시청자들의 드라마 선택권이 넓어짐에 따라 새로운 소재와 장르를 발굴하고 혼합하 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세분화된 시청자들을 잡으려는 노력이 필요 - 각 채널 간 드라마 시청자들을 붙잡기 위한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