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1-2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2015. 9.
요 약 일본 세계 최대 수산물 수입국, 수산물 수입이 수출의 10배 정도 일본은 세계 제1위 수산물 수입국으로 전세계 수산물 수입액의 10% 이상 차지함 2000년 이후 수산물 수출이 지속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입이 수출의 약 10 배로 연간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조 엔 이상 유지됨 2014년 일본 수산물 수입액은 1조 6,580억 엔, 수출액은 2,068억 엔으로 1조 4,512 억 엔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함 중국, 칠레, 미국 등으로부터 주로 새우, 다랑어, 연어 등을 수입 주 수입 대상국은 중국, 칠레, 미국, 태국, 러시아 등으로 상위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50%를 차지함 주요 수입 품목은 새우, 다랑어, 연어, 송어, 문어 등으로 상위 10개 품목의 수입이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35%를 차지함 한국은 제7위 수입대상국으로 주로 다랑어, 전복, 넙치, 김 등을 수입 한국은 일본의 제7위 수입대상국으로 일본은 한국으로부터 주로 다랑어(피레트), 냉동 눈다랑어,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 등을 수입함 對 한국 주요 수입 품목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의 경우 일본 전체 수입 시장에서 한국산의 비중이 50% 이상 차지함 최근 한국으로부터 다랑어(피레트)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의 수입이 감소함 주요 수출 대상국은 홍콩, 미국, 중국 등으로 한국은 제7위 수출대상국 주 수출 대상국은 홍콩, 미국, 중국, 태국, 베트남 등으로 상위 5개국으로 수출이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72%를 차지하며, 한국의 일본의 제7위 수출 대상국임 주요 수출 품목은 가리비, 고등어, 해삼 등으로 상위 10개 품목의 수출이 전체 수 산물 수출액의 56%를 차지함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Ⅰ 일본 수산물 교역 개황 수산물 수입 2000년 중반까지 감소세를 보인후, 최근 2000년 수준을 회복 - 일본의 수산물 수입은 2000년 이후 2009년까지 감소한 후 증가세로 전환됨 - 최근 수산물 수입이 지속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4년 수산물 수입액은 1조 6,580억 엔으로 2000년(1조 7,224억 엔) 대비 소폭 감소함 수산물 수출 2000년 이후 연평균 6.1%의 높은 증가세 기록 - 수산물 수출은 2000년 898억 엔에서 2014년 2,068억 엔으로 연평균 6.1%의 높은 증가세를 보임 <그림 1> 일본 수산물 교역 추이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1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Ⅰ. 일본 수산물 교역 개황 수산물 수입이 수출의 약 10배, 연간 수산물 무역수지 1조 엔 이상 적자 기록 - 수산물 무역수지는 2000년 1조 6,326억 엔에서 2014년 1조 4,512억 엔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연간 수산물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1조 엔 이상임 - 특히, 2009년 이후 수산물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수입 증가세가 더 커 수산물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일본 세계 제1위 수산물 수입국, 전세계 수산물 수입액의 10% 이상 차지 - 참고로 FAO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일본이 세계 제1위 수산물 수입국으로 전세계 수산물 수입액의 14%를 일본이 수입함 - 한편, 2000년 이후 전세계 수산물 수입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 감소 세를 보임 <그림 2> 전세계 수산물 수입 추이 자료 : FAO, Yearbook of Fishery Statistics - Commodities, 2013 2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Ⅱ 일본 수산물 수입 동향 1. 국가별 수입 동향 아시아권 중심의 수입구조로, 전체 수산물 수입의 50% 이상이 아시아로부터 수입 - 아시아로부터의 수산물 수입이 8,395억 엔으로 전체 수산물 수입의 51%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유럽(2,785억 엔), 남아메리카(2,306억 엔) 등의 순임( 14년 기준) - 2000년 이후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한 반면, 남아메리카와 유 럽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함 <그림 3> 대륙별 수산물 수입 추이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자료를 바탕으로 KMI 작성 3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Ⅱ. 일본 수산물 수입 동향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칠레, 미국, 태국, 러시아 등으로 상위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50% 차지( 12~ 14년 평균 수입액) - 對 중국 수산물 수입이 2,790억 엔으로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18%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칠레(1,346억 엔), 미국(1,270억 엔), 태국(1,229억 엔), 러시아 (1,204억 엔) 등의 순임 - 한국은 일본의 제7위 수입 대상국(844억 엔)으로 일본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약 5% 를 차지함 <그림 4> 주요 수산물 수입 대상국( 12~ 14년 평균 수입 금액 기준)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4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주요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은 대체적으로 감소 내지 보합세 - 최대 수산물 수입 대상국인 중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은 2000년 이후 2009년 최소치를 기록한 이후 최근 회복세를 보임 - 미국, 러시아, 태국, 칠레 등 주요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도 2000년 이후 대부분 감소 내지 보합세를 보임 <그림 5> 국가별 수산물 수입 추이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5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Ⅱ. 일본 수산물 수입 동향 2. 품목별 수입 동향 일본의 對 세계 주요 수입 품목은 새우류(훈제 제외), 눈다랑어(냉동), 기타 어류(조 제 저장) 등으로 상위 10개 품목의 수입액이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35% 차지 - 최근 3년 평균 새우류(훈제 제외) 수입이 1,789억 엔으로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11.3%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냉동 눈다랑어(522억 엔), 기타 조제 저장 어류(473억 엔) 등의 순임 - 최근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새우류, 연어 등의 수입은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다랑 어, 문어 등의 수입은 감소세를 보임 <표 1> 일본의 주요 수산물 수입 품목 HS 코드 품목명 2012년 2013년 2014년 (단위 : 억 엔, %) 3년 평균 수입액 비중 전체 15,066 15,859 16,580 15,835 100.0 1 0306-17-200 새우류(훈제 제외) 1,523 1,904 1,939 1,789 11.3 2 0303-44-000 눈다랑어(냉동) 567 460 540 522 3.3 3 1604-19-090 기타 어류(조제 저장) 452 470 495 473 3.0 4 0303-12-010 태평양 연어(냉동) 469 390 510 456 2.9 5 0304-99-999 기타 어류(피레트) 391 388 475 418 2.6 6 2501-00-090 기타 소금 345 444 431 407 2.6 7 0304-82-000 송어(냉동 피레트) 373 375 368 372 2.3 8 1605-21-029 새우류(조제 저장(밀폐용기 제외)) 350 380 365 365 2.3 9 0307-59-100 문어(냉동) 358 351 325 345 2.2 10 0303-90-020 간과 어란(대구) 387 306 339 344 2.2 6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주요 수입 품목 중 다랑어를 제외하고는 한국산의 비중이 높지 않은 편 - 일본의 상위 10개 수입 품목의 국가별 수입 비중을 살펴보면 냉동 눈다랑어를 제 외하고는 한국산의 비중이 2% 미만으로 높지 않음 - 냉동 눈다랑어 수입은 주로 대만, 중국, 한국으로부터 이루어지며, 한국산의 비중 이 9.3%를 차지함 - 일본의 최대 수입 품목인 새우류(훈제 제외)는 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으로부터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산의 비중은 1% 미만임 - 이 외에 연어와 송어는 칠레, 문어는 모니타니와 모로코, 간과 어란(대구)은 러시 아와 미국 등으로부터 주로 수입이 이루어짐 구분 <표 2> 주요 수입 품목별 수입 대상국 (단위 : 억 엔, %) 3년 평균( 12~ 14년) 주요 수입국(수입국 비중) 수입액 비중 상위 3개 수입국 한국 15,835 100.0 1 새우류(훈제 제외) 1,789 11.3 베트남(23%), 인도네시아(20%), 인도(17%) 0.003% 2 눈다랑어(냉동) 522 3.3 대만(50%), 중국(17%), 한국(9%) 9.3% 3 기타 어류(조제 저장) 473 3.0 중국(79%), 태국(9%), 베트남(6%) 1.2% 4 태평양 연어(냉동) 456 2.9 칠레(99%), 러시아(1%) - 5 기타 어류(피레트) 418 2.6 태국(20%), 노르웨이(19%), 중국(11%) 2.0% 6 기타 소금 407 2.6 멕시코(50%), 호주(31%), 인도(10%) 0.01% 7 송어(냉동 피레트) 372 2.3 칠레(97%), 노르웨이(2%), 덴마크(1%) - 8 새우류(밀폐용기 제외) 365 2.3 태국(48%), 베트남(27%), 인도네시아(13%) 0.01% 9 문어(냉동) 345 2.2 모니타니(41%), 모로코(26%), 중국(18%) - 10 간과 어란(대구) 344 2.2 러시아(63%), 미국(37%) - 7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Ⅱ. 일본 수산물 수입 동향 일본의 對 한국 주요 수입 품목은 다랑어, 전복, 넙치, 김, 바지락 등으로 상위 10개 품목의 수입이 對 한국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54% 차지 - 최근 3년 평균 다랑어(피레트(참다랑어 제외)) 수입이 135억 엔으로 가장 많고, 다 음으로 냉동 눈다랑어(49억 엔), 활 신선냉장 전복(47억 엔), 조제 저장(밀폐용기 제외) 게류(42억 엔) 등의 순임 - 최근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對 한국 최대 수입 품목인 다랑어(피레트(참다랑어 제 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품목의 수입이 감소함 <표 3> 일본의 對 한국 주요 수입 품목 HS 코드 품목명 2012년 2013년 2014년 (단위 : 억 엔, %) 3년 평균 수입액 비중 전체 833 847 852 844 100.0 1 0304-87-010 다랑어(피레트(참다랑어 제외)) 131 136 139 135 16.0 2 0303-44-000 눈다랑어(냉동) 54 51 41 49 5.8 3 0307-81-000 전복(활, 신선냉장) 45 50 47 47 5.6 4 1605-10-029 게류(조제 저장 (밀폐용기 제외)) 40 45 41 42 4.9 5 0304-89-290 기타 어류(냉동 피레트) 38 39 42 40 4.7 6 0301-99-220 넙치(활어) 31 38 33 34 4.0 7 0302-89-299 기타 어류(신선냉장) 24 34 33 30 3.6 8 2106-90-298 조미김 32 30 27 30 3.5 9 1604-20-015 어란(조제 저장) 29 25 24 26 3.1 10 0307-71-320 바지락(활, 신선냉장) 29 25 25 26 3.1 8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對 한국 주요 수입 품목 중 전복(활, 신선냉장), 넙치(활어), 조미김, 기타 어류(신선 냉장)의 경우 한국산 비중이 50% 이상 차지 - 넙치(활어) 수입은 100% 한국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복(활 신선냉장), 조미김도 80% 이상이 한국으로부터 수입됨 - 이 외에도 다랑어(피레트(참다랑어 제외)), 바지락(활 신선냉장), 기타 어류(신선 냉장)의 경우 한국산의 비중이 40%을 차지하여 한국이 주요 수입 대상국임 <그림 6> 한국산 수산물 수입 비중(2012~2014년 평균 수입 금액 기준) 주 : 품목별(HS 코드 9단위) 전체 수입액 중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임 9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Ⅱ. 일본 수산물 수입 동향 (다랑어 : 피레트(참다랑어 제외)) 주요 경합 대상국 중국, 피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 주요 수입 대상국은 한국, 중국, 피지 등으로 2012년 이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증가한 반면, 피지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함 - 최근 3년 평균 수입 가격은 kg 당 11백 엔 정도로 필리핀의 수입 가격이 가장 높은 가운데, 한국은 12백 엔 수준으로 최대 경합국인 중국보다 조금 높은 수준임 <그림 7> 다랑어 피레트 국가별 수입 및 수입 가격 추이 <국가별 수입 추이> <국가별 수입 가격 추이> 주 : HS 코드 0304-87-010으로 산출함 (눈다랑어 : 냉동) 주요 경합 대상국 대만, 중국 등으로, 한국산 수입 가격 가장 높아 - 주요 수입 대상국은 대만, 중국, 한국 등으로 2012년 이후 대만으로부터의 수입은 소폭 감소한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함 - 최근 3년 평균 수입 가격은 kg 당 7백 엔 정도로 2013년 수입 가격이 하락한 후 2014년 회복세를 보임 - 한국산 수입 가격이 8백 엔 정도로 가장 높은 가운데, 대만산과 중국산은 7백 엔 중반 수준을 보임 10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그림 8> 냉동 눈다랑어 국가별 수입 및 수입 가격 추이 <국가별 수입 추이> <국가별 수입 가격 추이> 주 : HS 코드 0303-44-000으로 산출함 (전복 : 활, 신선냉장) 주요 경합 대상국 호주, 미국 등으로, 한국산 가격 경쟁력 확보 - 한국 중심의 수입구조로 전체 수입에서 한국산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함 - 최근 3년 평균 수입 가격은 kg 당 40백 엔 정도로 2012년 이후 지속적 증가세를 보 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의 경우 호주 미국산 보다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그림 9> 전복(활, 신선냉장) 국가별 수입 및 수입 가격 추이 <국가별 수입 추이> <국가별 수입 가격 추이> 주 : HS 코드 0307-81-000으로 산출함 11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Ⅱ. 일본 수산물 수입 동향 (게류 : 조제 저장(밀폐용기 제외)) 주요 경합 대상국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2012년 이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지속적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의 수입은 보합 세를 보임 - 최근 3년 평균 수입 가격은 kg 당 16백 엔 정도로 2012년 이후 지속적 증가세를 보임 - 한국산 수입 가격은 10백 엔 정도로 주요 수입국 중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10> 게류(조제 저장(밀폐용기 제외) 국가별 수입 및 수입 가격 추이 <국가별 수입 추이> <국가별 수입 가격 추이> 주 : HS 코드 1605-10-029으로 산출함 (조미김) 주요 경합 대상국 중국, 최근 중국산 조미김 수입 증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한국, 중국 등으로 최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감소하였지 만, 여전히 전체 수입에서 한국산이 90% 이상을 차지함 - 수입 가격은 kg 당 한국산이 21백 엔, 중국산이 6백 엔 정도로 한국산이 중국산에 비 해 3배 이상 높은 수준임 12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그림 11> 조미김 국가별 수입 및 수입 가격 추이 <국가별 수입 추이> <국가별 수입 가격 추이> 주 : HS 코드 2106-90-298으로 산출함 (바지락 : 활, 신선냉장) 주요 경합 대상국 중국, 중국산 가격 경쟁력 높아 -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한국으로 2012년 이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한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증가함 - 수입 가격은 kg 당 한국산이 3백 엔, 중국산이 1백 엔 정도로 한국산이 중국산에 비 해 3배 이상 높은 수준임 <그림 12> 바지락(활, 신선냉장) 국가별 수입 및 수입 가격 추이 <국가별 수입 추이> <국가별 수입 가격 추이> 주 : HS 코드 1605-10-029으로 산출함 13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Ⅲ. 일본 수산물 수출 동향 Ⅲ 일본 수산물 수출 동향 1. 국가별 수출 동향 아시아로의 수출이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70% 이상 - 2014년 기준 아시아로의 수산물 수출이 1,533억 엔으로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74%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북아메리카(338억 엔), 아프리카(64억 엔) 등의 순임 - 2000년 이후 오세아니아와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모든 대륙으로의 수출이 증가하 였으며, 특히 아시아로의 수출이 2배 이상 증가함 <그림 13> 대륙별 수산물 수출 추이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자료를 바탕으로 KMI 작성 14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주요 수출 대상국은 홍콩, 미국, 중국, 태국, 베트남 등으로 상위 5개국으로의 수출 이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72% 차지( 12~ 14년 평균 수출액) - 홍콩으로의 수출이 475억 엔으로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26%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미국(267억 엔), 중국(251억 엔), 태국(173억 엔), 베트남(170억 엔) 등의 순임 - 한국은 일본의 제7위 수출 대상국(97억 엔)으로 일본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약 5%를 차지함 <그림 14> 주요 수산물 수출 대상국( 12~ 14년 평균 수출 금액 기준)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15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Ⅲ. 일본 수산물 수출 동향 홍콩, 베트남 등 대부분 국가로의 수산물 수출 증가 - 2000년 이후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의 수산물 수출이 대체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특히 홍콩과 베트남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 - 對 한국 수산물 수출은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전환됨 <그림 15> 국가별 수산물 수출 추이 주 : 수산물 범위는 03류, 050800류, 051191류, 12122류, 130231류, 1504류, 1604류, 1605류, 210690298, 210690401, 230120류, 2501류의 합계임 16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2. 품목별 수출 동향 일본의 주요 수출 품목은 가리비, 고등어, 해삼 등으로 상위 10개 품목의 수출이 전 체 수산물 수출액의 56% 차지 - 최근 3년 평균 가리비(냉동) 수출이 301억 엔으로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16.1%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제 저장 가리비(120억 엔), 냉동 고등어(107억 엔) 등의 순임 - 최근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냉동 가리비, 냉동 태평양 연어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함 <표 4> 일본의 주요 수산물 수출 품목 HS 코드 품목명 2012년 2013년 2014년 (단위 : 억 엔, %) 3년 평균 수출액 비중 전체 1,517 2,009 2,068 1,865 100.0 1 030799120 가리비(냉동) 155 348 398 301 16.1 2 160552000 가리비(조제 저장) 86 142 131 120 6.4 3 030354000 고등어(냉동) 90 118 114 107 5.8 4 160561900 해삼(조제 저장 건조 제외) 86 130 104 107 5.7 5 160561100 해삼(조제 저장 건조) 106 98 104 103 5.5 6 030312000 태평양 연어(냉동) 60 81 112 84 4.5 7 030389900 기타 어류(냉동) 66 76 83 75 4.0 8 030489200 청새치(피레트) 58 70 79 69 3.7 9 030343000 가다랑어(냉동) 43 78 53 58 3.1 10 160420190 어육 제품(어육 소시지 이외) 45 53 62 53 2.9 17
Global Seafood Market Trends - Mini Report - Ⅲ. 일본 수산물 수출 동향 주요 수출 품목 중 기타 냉동 어류를 제외하고는 한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높지 않은편 - 일본의 상위 10개 수출 품목의 국가별 수출 비중을 살펴보면 냉동 기타 어류를 제 외하고는 한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3% 미만으로 높지 않음 - 일본의 최대 수출 품목인 냉동 가리비의 경우 주로 미국, 중국, 베트남 등으로 수 출되며 한국으로의 수출 비중은 1% 미만임 - 이 외 조제 저장 가리비, 냉동 고등어, 조제 저장 해삼 등도 주로 홍콩, 태국, 중국 등으로 수출이 이루어짐 - 한편 기타 냉동 어류는 주로 베트남, 중국 등으로 수출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한국 으로의 수출 비중도 약 10%를 차지함 구분 <표 5> 주요 수출 품목별 수출 대상국 (단위 : 억 엔, %) 3년 평균( 12~ 14년) 주요 수출국(수출국 비중) 수출액 비중 상위 3개 수출국 한국 1,865 100.0 1 가리비(냉동) 301 16.1 미국(34%), 중국(30%), 베트남(17%) 0.8% 2 가리비(조제 저장) 120 6.4 홍콩(73%), 대만(10%), 싱가포르(6%) 0.1% 3 고등어(냉동) 107 5.8 태국(23%), 이집트(19%), 베트남(15%) 1.1% 4 해삼(조제 저장 건조 제외) 107 5.7 홍콩(96%), 중국(2%), 베트남(2%) 0.2% 5 해삼(조제 저장 건조) 103 5.5 홍콩(94%), 중국(5%), 미국(0.3%) 0.1% 6 태평양 연어(냉동) 84 4.5 중국(68%), 태국(16%), 베트남(14%) 0.09% 7 기타 어류(냉동) 75 4.0 베트남(42%), 중국(13%), 한국(11%) 10.9% 8 청새치(피레트) 69 3.7 미국(88%), 홍콩(2%), 태국(2%) 0.5% 9 가다랑어(냉동) 58 3.1 태국(83%), 인도네시아(6%), 중국(5%) 0.02% 10 어육 제품(어육 소시지 이외) 53 2.9 미국(41%), 홍콩(22%), 대만(10%) 2.5% 18
일본 수산물 교역 동향(수입 중심으로) [ 참고문헌 ] 일본 재무성 (http://www.customs.go.jp/toukei/info/index_e.htm) FAO, Yearbook of Fishery Statistics - Commodities, 201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