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논문(157-170).hwp

Similar documents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untitled

토픽 31호( ).hwp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BACEC0CEB0FAC7D0C8B8C1F D322832C2F7B1B3C1A4292E687770>

S. Y. Ryu et al 15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본 연구의 대상은 東 醫 壽 世 保 元 辛 丑 本 新 定 太 陰 人 病 應 用 要 藥 二 十 四 方 에 기재된 24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제마 의 저서인 北 韓 保 健 省 간행 東 武 遺 稿, 東 醫

139~144 ¿À°ø¾àħ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40BBE7BBF3C3BCC1FAC0C7C7D0C8B8C1F6284A53434D D312DBABBB9AE34C2F7C6EDC1FD2E687770>

Lumbar spine

4최종-『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_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hwp

012임수진

12이문규

제주도 황 칠 济 州 岛 黃 漆 진시황이 찾아다닌 전설의 불로초! 秦 始 皇 寻 求 的 传 说 中 的 不 老 草! 전설의 불로초 본황칠 제주산 황칠나무 중 엄격한 자체 품질기준을 통과한 황칠 을 본황칠 이라 합니다. 本 黃 漆 什 么 是 本 黄 漆? 在 济 州 出 产

Rheu-suppl hwp

연구윤리위원회 Research Ethics Committee 研 究 伦 理 委 员 会 기타부속기관위원회 Other Affiliated Committees 其 他 附 属 机 关 委 员 会 等 대학본부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机 构 设 置 기

<C3CAC1A DC1DFB1B92E687770>

■ 경희대학교 약사

신계내과학(1).indd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16_이주용_155~163.hwp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hwp

04조남훈

03-ÀÌÁ¦Çö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Jkcs022(89-113).hwp

57 기획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우리나라에 미치는 중국발 대기오염의 영향도 심각한 상황으로, 중국발 미세먼 지 또는 황사를 일컫는 황색 테러 와 같은 용어가 생활에서 일상화된 지 이미 오 래다. 중국발 대기오염의 주원인은 황사와 미세먼지로, 발생 원인이 각기 다르지 만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2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제2권 제1호 这 是 宝 钢 连 续 第 6 年 跻 身 世 界 500 强 其 主 要 生 产 基 地 为 宝 山 钢 铁 股 份 有 限 公 司 宝 钢 集 团 上 海 第 一 钢 铁 有 限 公 司 宝 钢 集 团 上 海 浦 东 钢 铁 有 限 公 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목록 중국 3D프린터 시장동향보고서 시장 현황 업종발전 현황 최근 정부정책 동향 미래발전 추세 대표생산품 및 가격 P3~P8 P3~P5 P6 P7 P8 수입 현황 수입 현황 수입법규 및 관세 P9~P10 P9 P10 기업 현황 중국 3D프린터 주요생산기업 현황 2014

September 1st (Thu) 5th (Mon) ~ 7th(Wed) 19th (Mon) 20th (Tue) ~ 22th (Thu) Fall Semester Begins Add/Drop Courses Finalize Fall Semester Attendance Sh

  

1..

<C1DFB1B9BFF8B0EDC7D52DBCF6C1A4BABB2D312E687770>

<33352D313820BCDBC7F6C8A32E68777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Microsoft Word - ITJRKHHAMHZT.doc

282 J. S. Lee et al 들은 諸 病 源 候 論, 千 金 方, 外 臺 秘 要 및 宋 代 聖 濟 總 錄 등 에서 內 經 과 張 仲 景 의 이론을 토대로 어혈을 傷 寒, 出 産, 外 傷 에 서 나타나는 證 候 의 하나이자 각종 질병의 병인병기로 인식하였다. 淸

중국 콘텐츠 산업 동향 (28호) - 심층이슈.hwp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16(1)-3(국문)(p.40-45).fm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Microsoft PowerPoint - 写作1 [兼容模式]

DRSRDH_2008_v22n5_1147.hwp

untitled

Microsoft PowerPoint - KITA行?快?-04月(新能源汽?)_ (4).pptx

hwp

(

005송영일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KAU KOREA AEROSPACE UNIVERSITY 외국인학생 특별전형 전형 안내 Admission Guide for International Students 外 国 留 学 生 特 別 招 生 简 章 2013년 취업자 645명 중 55.2% 대한민국 10대 그룹 취업

<3220C0AFC3E1B1E62D31C2F7C6EDC1FD DB1B3C1A4BFCFB7E E292E687770>

서론 34 2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지적 재산 추진 계획 2007」의 책정에 있어서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论 文 摘 要 1949 年 10 月, 中 华 人 民 共 和 国 成 立 后 不 久, 宣 布 同 朝 鲜 民 主 主 义 人 民 共 和 国 建 立 外 交 关 系 早 在 两 国 政 权 建 立 之 前, 中 国 共 产 党 同 朝 鲜 共 产 主 义 者 共 同 经 历 了 抗 日 战 争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02Á¶ÇýÁø



<B4EBC7D1C7D1B9E6B3BBB0FAC7D0C8B8C1F633362D3328C3D6C1BE292E687770>

Jkafm093.hwp

「지적 재산 추진 계획 2007」의 책정에 있어서

歯kjmh2004v13n1.PDF

- 2 -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Àå¾Ö¿Í°í¿ë ³»Áö

,......

04_이근원_21~27.hwp

DBPIA-NURIMEDIA

A 617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20호) - 심층이슈.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untitled

2001 Seoul Arts Center Anual report _ Reports of Operations Opera House


<4D F736F F D C1DFB1B9BDC5C5B9BBF3C7B028C6EDC1FD292E646F6378>

???? 1

<C1A4BCBCBAD0BCAE D30332D28BCBCBFF829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èÀº¿µ³»Áö9-191š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歯1.PDF

동합니다. 손, 발의 작은 관절이나 고관절은 잘 침범하지 않으며 항염증제로 즉각적으로 증상 이 소실됩니다. 심근염은 소아 환자의 40~80% 정도에서 나타나며, 단순히 심장박동이 약간 빠 른 빈맥에서부터 심하게는 심장에 침범되어 심부전까지 나타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자료집-내지-b5.indd

<31342DC0CCBFEBBDC42E687770>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9輯 3 號 ) I. 서 론 중국은 1993년부터 시장경제체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여 국영기업을 국유기업으로 전 환하는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경영권과 소유권을 분리하는 국유기업개혁이 결과적 으로 단위( 單 位 ) 1) 제 해

Transcription: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2014년 3월) J Korean Med. 2014;35(1):157-170 pissn 1010-0695 eissn 2288-3339 Original Article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오혜원, 이지원, 김제신, 송은영, 신승원, 한가진, 노환옥 1, 이준희 2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1 광주중의학대학 제2부속병원 치미병센터, 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Hye-Won Oh, Ji-Won Lee, Je-Shin Kim, Eun-Young Song, Seung-Won Shin, Ga-Jin Han, Huanyu Lu 1, Jun-Hee Lee 2 Kyung Hee University Korean Hospital, Seoul, Korea 1 The Second Clinical Medical College of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Disease prevention center, Guangzhou, China 2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Methods: Report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related to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were selected. Assessments of selected references were performed to select major symptoms of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Korean translation and review by a Korean linguist were performed to create a draft of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for subject)]. The final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for subject)] was completed after assessment on inclusion or exclusion, on importance of items and on validity of translation by an expert committee, consisting of professors from the National College of Korean Medicine. Results & Conclusions: 1. 14 major symptoms were selected by frequency from 45 references which were related to standard identification of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ewed by a Korean linguist. 2. 11 symptoms were selected after assessment on inclusion yes or no by the expert group. Items wer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tiredness of extremities ( 肢 体 倦 怠 ), sallow complexion ( 面 色 萎 黄 ), reduced appetite ( 食 欲 减 退 ), abdominal distension after eating ( 腹 胀 食 後 尤 甚 ), inability to eat ( 納 少 ), pale tongue and white fur ( 舌 淡 苔 白 ), lethargy ( 神 疲 ), emaciation ( 消 瘦 ), loose stool ( 大 便 溏 薄 ), shortness of breath and reluctance to speak ( 少 氣 懶 言 ), and weak pulse ( 脈 緩 弱 ). 3. Final [Standard instrument of diagnosis and assessment for spleen qi deficiency (for subject)] was completed after assessment of translation validity, reflection of individual opinions by the expert committee, and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computed from assessment on importance of items. Key Words : Spleen qi deficiency, diagnosis, assessment 서 론 脾 氣 虛 證 또는 脾 氣 虛 弱 證 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다빈도로 접하는 병증 중 하나이다. 이는 소화관 흡 수력의 저하와 함께 전신적인 氣 虛 의 증후를 수반하 는 병증으로, 소화관의 연동운동 감약에 의한 위장 Received:22 February 2014 Revised:14 March 2014 Accepted:14 March 2014 Correspondence to:이준희(jun-hee Lee)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로 23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Tel:+82-2-958-9280, Fax:+82-2-958-9234, E-mail:ssljh@daum.net 157

(158)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의 氣 滯 증후나 진액수송 또는 수분흡수의 기능저하 로 인하여 溜 飮, 痰 濕, 水 腫 등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1). 또한 脾 氣 는 脾 가 생리활동을 진행 하는데 있어 필요한 물질적 기초로 脾 氣 虛 弱 은 脾 기 능의 전면적인 쇠약을 일으키며 이는 脾 氣 가 부족하 여 運 化 작용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2). 이 병증과 관련 된 가능한 임상적 질환은 전신쇠약 및 식욕부진이 주된 문제가 되는 cancer, heart failure, renal disease, chronic respiratory disease, gastroenteropathy, AIDS 등의 질병과 관련된 cachexia와 고령에서 발생하는 geriatric anorexia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이들 질환에 대한 임상영역 확대를 위해서 는 脾 氣 虛 證 의 진단평가방법의 표준화 및 관련 치료 기술의 평가방안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한 선행작업 이 될 것이다. 脾 氣 虛 證 과 관련한 연구로 중국에서 는 1980년대부터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마다 결과에 차이가 있어, 국내에서 바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3-8). 국내의 연구동향은 윤 등의 연구 9), 원 등의 연구 10), 정 등의 연구 11) 등의 문헌고찰 차원의 연구와 증례보고 12) 등이 있으나,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기술 평가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본 연구진은 2013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하고 있는 脾 氣 虛 證 gut hormone profiling 모델구축과 脾 氣 虛 證 치료처방의 효능평가기술 개발 의 일환으로 脾 氣 虛 證 의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 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脾 氣 虛 證 관련 문헌을 수집, 주요증상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번역 및 국어 학자 검토를 거쳐, 전국 한의과대학 전임교수로 구 성된 전문가집단의 포함여부조사, 중요도조사 및 번 역타당도조사 등을 실시하였고, 더불어 수 차례에 걸친 연구자회의를 거쳐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평 가자용)]를 개발하게 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방법 및 절차 1. 문헌조사를 통한 脾 氣 虛 證 주요증상 추출 1) 문헌 선정 과정 한국과 중국의 논문 및 단행본 중 脾 氣 虛 證 진단 기준과 관련한 문헌을 다음의 과정을 통해 총 45개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그 목록은 <Table 1>과 같다. 1 중국 논문 및 단행본 검색엔진을 China Knowledge Resource Integrated Database(CNKI)으로 하고, 검색기간을 1980년 1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로 하며, 검색어를 脾 氣 虛, 脾 氣 虛 弱, 脾 虛 등으로 하여 979개 논문을 검색하였고, 수기검토를 통해 실험논문, 증례논문 및 脾 氣 虛 證 진단과 관련이 없는 논문을 제거하고, 재인용 여부를 검토하여 최종 9개 논문을 최종 선정 하였다. 또한 중국 중의학대학에서 진단학 및 내과학교재 로 사용하는 단행본을 총 34개 수집하였고, 이중 저 자, 문헌명, 출판사 등이 동일하며, 발행연도만 다른 경우(가장 최근 발간된 문헌을 선택)는 동일 문헌으 로 간주하여 4개 문헌을 제외시켜, 최종적으로 30개 단행본을 선정하였다. 2 한국 논문 및 문헌 전통의학정보포털(OASIS)을 국내검색엔진으로 하 고, 검색기간을 1980년 1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 일로 하며, 검색어를 脾 氣 虛, 脾 氣 虛 弱, 脾 虛 등 으로 하여 총 4개 논문이 검색되었으나, 脾 氣 虛 證 진단과는 관련이 없어 제외시켰으며, 연구보고서 중 에는 脾 氣 虛 證 관련 내용이 포함된 2개 문헌이 조 사, 선정되었다. 한국 한의과대학에서 생리학, 병리학, 진단학 및 내과학교재로 사용하는 단행본 문헌 중복 및 재인용 여부를 확인하여 총 4개 단행본을 수집하였다. 2) 중요증상 추출 선정된 문헌에서 脾 氣 虛 證 관련 증상을 추출하 고, 이를 개별 증상별로 유사표현에 따라 빈도를 분 석하였으며, 이 중 가장 다빈도 표현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출현빈도가 전체 20% 미만인 증상은 이후 과정에서 제외시켰다. 158

오혜원 외 7명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159) Table 1. The List of the Analyzed References No 1 中 医 虚 证 辨 证 参 考 标 准 ( 沈 自 尹 / 中 西 医 结 合 杂 志 /1983) 3) 2 中 医 诊 断 学 ( 长 春 中 医 学 院 / 吉 林 人 民 出 版 社 /1984) 13) 3 中 医 虚 证 辨 证 参 考 标 准 ( 沈 自 尹 외/ 中 西 医 结 合 杂 志 /1986) 4) 4 中 医 诊 断 学 ( 邓 铁 涛 / 人 民 卫 生 出 版 社 /1987) 14) 5 中 医 诊 断 学 ( 广 州 中 医 学 院 / 中 医 古 籍 出 版 社 /1987) 15) 6 实 用 中 医 诊 断 学 ( 邓 铁 涛 / 上 海 科 学 技 术 出 版 社 /1988) 16) 7 中 医 诊 断 学 ( 李 丽 霞 / 广 东 高 等 教 育 出 版 社 /1988) 17) 8 中 医 诊 断 学 ( 张 恩 勤 / 上 海 中 医 学 院 出 版 社 /1988) 18) 9 中 医 诊 断 学 ( 陕 西 中 医 学 院 / 贵 州 人 民 出 版 社 /1988) 19) 10 中 药 治 疗 脾 虚 证 的 临 床 研 究 指 导 原 则 ( 中 华 人 民 共 和 国 卫 生 部 药 政 局 / 中 国 医 药 学 报 /1988) 5) 11 中 医 诊 断 学 ( 北 京 中 医 学 院 / 贵 州 人 民 出 版 社 /1990) 20) 12 脾 虚 证 计 量 诊 断 的 探 讨 ( 邱 向 红 / 广 州 中 医 学 院 学 报 /1990) 21) 13 中 医 诊 断 学 ( 伏 天 云 / 华 夏 出 版 社 /1991) 22) 14 中 医 诊 断 学 ( 成 都 中 医 学 院 / 四 川 科 学 技 术 出 版 社 /1991) 23) Title 15 中 医 病 证 诊 断 疗 效 标 准 ( 国 家 中 医 药 管 理 局 医 政 司 / 南 京 大 学 出 版 社 出 版 /1994) 24) 16 中 医 诊 断 学 ( 朱 文 锋 / 上 海 科 学 技 术 出 版 社 /1995) 25) 17 新 编 中 医 诊 断 学 ( 靳 士 英 외/ 人 民 军 医 出 版 社 /1997) 26) 18 中 医 诊 断 学 ( 李 绍 良 / 中 国 工 人 出 版 社 /1997) 27) 19 脾 虚 综 合 征 一 种 新 的 诊 断 学 概 念 ( 危 北 海 외/ 中 国 中 医 基 础 医 学 杂 志 /1997) 28) 20 中 医 诊 断 学 ( 北 京 中 医 药 大 学 / 学 苑 出 版 社 /1998) 29) 21 中 医 诊 断 学 ( 吴 秀 芬 / 人 民 卫 生 出 版 社 /1999) 30) 22 中 医 诊 断 学 ( 季 绍 良 / 人 民 卫 生 出 版 社 /2002) 31) 23 中 医 诊 断 学 ( 南 京 中 医 药 大 学 / 上 海 中 医 药 大 学 出 版 社 /2002) 32) 24 中 医 诊 断 学 ( 杨 在 纲 외/ 中 医 古 籍 出 版 社 /2002) 33) 25 中 医 诊 断 学 ( 朱 文 锋 / 中 国 中 医 药 出 版 社 /2002) 34) 26 中 药 新 药 临 床 研 究 指 导 原 则 : 试 行 ( 郑 筱 萸 主 編 / 中 国 医 葯 科 技 出 版 社 /2002) 6) 27 中 西 医 结 合 诊 断 学 ( 陈 群 / 科 学 出 版 社 /2003) 35) 28 实 用 中 医 诊 断 学 ( 邓 铁 涛 / 人 民 卫 生 出 版 社 /2004) 36) 29 中 医 诊 断 学 ( 王 忆 勤 / 中 国 中 医 药 出 版 社 /2004) 37) 30 中 医 诊 断 学 ( 廖 福 义 / 人 民 卫 生 出 版 社 /2005) 38) 31 中 医 诊 断 学 ( 刘 毅 / 高 等 教 育 出 版 社 /2005) 39) 32 中 医 诊 断 学 ( 邓 铁 涛 / 上 海 科 学 技 术 出 版 社 /2006) 40) 33 中 医 诊 断 学 ( 吴 承 玉 / 上 海 科 学 技 术 出 版 社 /2006) 41) 34 中 医 常 见 证 诊 断 标 准 ( 上 ) ( 中 华 中 医 药 学 会 中 医 诊 断 学 分 会 / 湖 南 中 医 药 大 学 学 报 /2008) 7) 35 中 医 诊 断 学 ( 李 晶 / 科 学 出 版 社 /2011) 42) 36 中 医 诊 断 学 ( 朱 文 锋 / 人 民 卫 生 出 版 社 /2011) 43) 37 中 医 诊 断 学 ( 广 东 中 医 学 院 / 上 海 科 学 技 术 出 版 社 /2012) 44) 38 中 医 诊 断 学 ( 郭 振 球 / 上 海 科 学 技 术 出 版 社 /2013) 45) 39 脾 虚 证 诊 断 标 准 文 献 系 统 评 价 研 究 ( 赵 平 외/ 辽 宁 中 医 杂 志 /2013) 8) 40 한의학원론 (김완희/성보사/1990) 46) 41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 (양기상/한국학의학연구소/1995) 47) 42 기의 의학적 연구 (신순식/한국한의학연구원/2000) 48) 43 漢 方 診 斷 學 (이봉교 외/성보사/2004) 49) 44 한방병리학 (한방병리학교재편찬위원회/한의문화사/2008) 2) 45 비계내과학 (전국한의과대학비계내과학교실/군자출판사/2009) 1) 159

(160)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2. 한국어번역 한국 한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중국 어 및 한국어에 능통한 한국계 중국인 1인이 선정된 주요증후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3. 국어학자 검토 국어학을 전공한 국어학자가 번역된 한국어 脾 氣 虛 證 주요증후를 검토하여 수정하였다. 4. 전문가자문 1) 전문가 자문단 구성 전국 한의과대학 소화기내과전공 전임교수 17명 에게 상기 과정을 통해 도출된 脾 氣 虛 證 주요증상 에 대한 포함여부, 중요도 및 번역타당도를 온라인 을 통해 설문조사하였다. 총 17명 중 11명이 회신하 여 회신율은 64.7%이었다. 2) 전문가 자문항목 1 포함여부 및 중요도조사 해당 증상에 대한 脾 氣 虛 證 진단항목에의 포함여 부(0: 불포함/배제, 1: 포함)를 조사하였고, 결과로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90% 미만일 경우에는 脾 氣 虛 證 진단항목에서 배제하도록 하였으며, 중요도 산출에 있어서도 배제하도록 하였다. 포함으로 응답한 항목에 대해서는 5점 척도(1: 미 미, 2: 약간, 3: 어느 정도, 4: 상당히, 5: 매우)로 그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를 사용하여 각 개별 증상에 대한 중요도 점수의 표 준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이 표준점수 1) 를 해당 증상 의 가중치로 사용하였다. 1) 2 번역타당도 한국어 번역과 국어학자 번역을 통해 작성한 脾 氣 虛 證 주요증후에 대한 번역 내용에 대한 타당성 을 1: 타당하다, 2: 타당하나 수정이 필요하다, 3: 타당하지 않고, 수정이 필요하다 등으로 평가하였 고, 구체적인 수정의견은 자유기술식으로 의견을 취 합하였다. 타당하다 와 타당하나 수정이 필요하다 를 타당도가 인정되는 것으로 하였고, 수정의견과 관련하여서는 국어학자를 포함한 연구자회의를 개 최하여 수용, 개작여부를 판단하여 반영하였다. 결 과 1. 문헌조사를 통한 脾 氣 虛 證 주요증상 추출 선정된 문헌을 바탕으로 한 脾 氣 虛 證 주요증상 추출, 유사표현과 그에 따른 빈도 및 분석과정을 <Table 2>에 제시하였다. 1) 설진 및 맥진 소견 설진소견과 관련하여 우선 舌 質 色 은 총 41개 문 헌에서 舌 淡 이라 제시하였으며, 舌 淡 白 및 舌 淡 紅 등이 1개씩 있었다. 舌 體 와 관련하여 7개 문헌 에서 或 舌 体 胖 이라 제시하였고, 7개 문헌에서는 有 齿 印 이라 하였다. 舌 苔 와 관련하여서는 32개 문 헌에서 苔 白 이라 하였고, 4개 문헌에서 苔 薄 白, 2 개 문헌에서 舌 苔 白 潤 이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 로 설진소견은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舌 淡 苔 白 을 선택하였다. 맥진소견은 脈 緩 弱 으로 제시한 문헌이 21개로 가장 많았다. 개별 脈 象 을 유형별로 보면, 弱 脈 을 제 시한 경우가 35개, 緩 脈 을 제시한 경우가 29개, 細 脈 을 제시한 경우가 6개, 기타 虛 脈 2개, 濡 脈 2개, 沈 脈 2개 등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맥진소견은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脈 緩 弱 을 선택하였다. 2) 주요증상 다빈도로 제시되고 있는 순서대로 주요증상에 대 한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160

오혜원 외 7명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161) Table 2. The Extracted Major Items of Spleen Qi Deficiency Ratio (frequency) Rank* Original expression (frequency) Extracted items 95.6 (43/45) 舌 診 舌 淡 苔 白 31; 舌 淡 3; 舌 质 淡, 舌 体 胖 或 有 齿 印, 苔 白 薄 2; 舌 多 淡 白 1; 舌 淡, 舌 淡 胖, 舌 边 齿 印, 舌 苔 薄 白, 舌 苔 白 1; 舌 淡, 舌 胖 嫩 / 胖 大, 舌 边 有 齿 痕 1; 舌 色 較 淡 1; 舌 质 淡 或 胖 嫩, 有 齿 印, 舌 苔 白 润 1; 舌 质 淡 或 胖 嫩 有 齿 痕, 苔 白 润 1; 舌 质 淡 红, 舌 体 胖 肿, 舌 淡 苔 白 舌 苔 薄 白 或 有 齿 痕, 或 有 细 裂 纹 1 95.6 (43/45) 脈 診 脈 緩 弱 21; 脈 弱 7; 脉 缓 或 弱 2; 脉 多 虚 缓 1; 脈 濡 軟 1; 脉 象 沉 缓 或 细 软 1; 脉 细 1; 脉 细 弱 1; 脉 细 或 弱 1; 脉 缓, 脉 虚 1; 脉 缓 细 弱 1; 脉 缓 弱 或 沉 细 弱 或 虚 大 1; 脈 濡 緩 1 脈 緩 弱 100.0 (45/45) 1 大 便 溏 薄 20; 大 便 溏 11; 大 便 溏 薄 或 先 干 后 溏 2; 大 便 溏 泄 2; 大 便 不 正 常 ( 溏, 烂, 先 硬 后 溏, 时 溏 时 硬 ) 2; 经 常 腹 泄, 经 常 便 溏 1; 大 便 溏 泻 1; 大 便 溏 稀 2; 大 便 薄 1; 泄 泻 1; 大 便 溏 薄 泄 瀉 또는 便 溏 1; 或 有 便 溏, 大 便 溏 薄 1 腹 胀, 食 后 尤 甚 13; 食 后 腹 胀 11; 食 入 难 化, 脘 腹 胀 满, 食 后 尤 甚 2; 皖 腹 胀 痛, 食 后 尤 甚 1; 皖 腹 胀 满, 食 后 胀 甚, 或 饥 时 饱 胀 1; 胃 皖 隐 痛 喜 按, 腹 胀, 食 后 胀 甚 1; 脘 腹 坠 胀, 食 后 益 甚 100.0 (45/45) 2 1; 食 后 皖 腹 胀 满 1; 食 后 或 下 午 腹 胀 1; 食 後 或 午 後 腹 脹, 脘 闷 1; 食 后 饱 胀 或 腹 胀 1; 腹 胀, 食 後 脘 腹 脹 悶 1; 食 后 痞 胀, 腹 胀 1; 食 后 不 易 消 化, 腹 胀 时 减 1; 食 后 腹 胀, 喜 按 1; 食 后 尤 甚 食 后 腹 胀, 或 下 午 腹 胀, 脘 闷 1; 腹 胀, 食 后 胀 甚, 胃 脘 隐 痛 喜 按 1; 腹 胀 2; 脘 腹 不 舒, 또는 隱 隱 作 痛 1; 脘 腹 经 常 胀 满 1; 腹 部 隐 痛 喜 按, 腹 胀 1 肢 体 倦 怠 12; 倦 怠 乏 力 7; 四 肢 倦 怠 4; 体 倦 乏 力 3; 乏 力 3; 倦 怠 2; 无 力 2; 四 肢 無 力 1; 95.6 (43/45) 3 四 肢 无 力, 倦 怠 嗜 卧 1; 四 肢 乏 力 1; 身 重 肢 怠 1; 全 身 易 于 疲 乏, 四 肢 无 力 酸 软 1; 肢 体 倦 怠 肢 体 困 倦 1; 肢 体 怠 倦 1; 肢 怠 乏 力 1; 疲 乏 無 力 1; 乏 力, 困 倦 1 88.9 (40/45) 4 納 少 17; 食 少 5; 食 少 納 呆 5; 纳 呆 4; 饮 食 减 少 2; 纳 谷 少 食 1; 納 食 減 少, 食 入 不 舒 1; 食 纳 呆 钝 1; 胃 纳 减 少 1; 飮 食 不 振 1; 长 期 食 少 1; 进 食 减 少 1 納 少 88.9 (40/45) 5 面 色 萎 黄 22; 面 色 萎 黄 或 淡 白 3; 面 色 无 华 2; 面 色 少 華 2; 面 色 萎 黄 不 华 2; 面 色 萎 黄 或 㿠 白 2; 面 黃 2; 面 色 淡 白, 面 色 白 光 白, 面 色 萎 黄 1; 面 色 淡 白 无 华 1; 面 色 萎 黄 面 色 淡 黄 或 萎 黄 1; 面 色 微 黄 或 㿠 白 1; 面 色 萎 黄 或 苍 白 1 82.2 (37/45) 6 少 气 懒 言 24; 懒 言 11; 少 气 2 少 气 懒 言 68.9 (31/45) 7 消 瘦 14; 体 形 ( 形 体 ) 消 瘦 13; 肌 瘦 2; 肌 肉 消 瘦 2 消 瘦 64.4 (29/45) 8 或 浮 腫 21; 或 肢 體 浮 腫 6; 或 水 肿 1; 或 虚 肿 1 或 浮 腫 40.0 (18/45) 9 神 疲 乏 力 7; 神 疲 7; 神 倦 2; 精 神 疲 乏 2 神 疲 22.2 (10/45) 10 食 欲 减 退 4; 不 欲 食 2; 食 欲 不 振 2; 食 欲 减 退, 口 淡 乏 味 1; 或 食 欲 差 1 食 欲 减 退 22.2 (10/45) 11 气 短 8; 短 氣 2 气 短 22.2 (10/45) 12 或 肥 胖 7; 或 虚 胖 1; 或 体 胖 1; 形 体 肥 胖 1 或 肥 胖 * Tongue and pulse diagnosis were excluded 1 大 便 溏 薄 모든 문헌에서 대변의 양상과 관련한 내용을 제 시하고 있다. 大 便 溏 薄 이 19개로 가장 많았고, 大 便 溏 이 11개였다. 기타 大 便 溏, 大 便 溏 泄, 大 便 溏 瀉, 大 便 溏 稀 등등이 있었는데, 총 44개 문헌에 서 모두 大 便 溏 을 포함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 변의 양상과 관련된 소견은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大 便 溏 薄 을 선택하였다. 2 腹 胀, 食 后 尤 甚 腹 證 관련된 내용은 모든 문헌에서 제시되고 있 다. 그 중 脹 을 포함한 경우가 42개로 가장 많았 고, 脹 이외의 표현으로는 悶, 痞, 不 舒, 滿, 坠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脹 과 겸하여 쓰고 있다. 일부 4개 문헌에서는 痛 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食 后 尤 甚 처럼 식후에 증상이 심해짐 을 표현한 것이 40개 문헌에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일부 문헌에서는 구체적으로 脘 腹 이라 하여 그 부 위를 명확히 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정황 상 脹 의 증후가 나타나는 부위는 脘 腹 部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시점과 관련하여서는 식사와 상관없이 도 나타나고, 대부분 식후에 증상이 심해짐을 제시 하였다. 결과적으로는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腹 胀, 食 后 尤 甚 을 채택하였다. 3 肢 体 倦 怠 총 43개 문헌에서 倦 怠, 乏 力, 無 力 등의 신 체적 피로 내지는 무력감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161

(162)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肢 体 倦 怠 가 12개로 가장 많았고, 倦 怠 乏 力 이 7개 문헌에서 표현되었으며, 그 외 문헌에서도 대부분 倦 怠, 乏 力, 無 力 등의 표현을 포함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肢 体 倦 怠 를 채 택하였다. 9 神 疲 총 18개 문헌에서 정신적인 피로감과 관련된 기 술이 제시되었다. 神 疲 乏 力 으로 제시한 문헌이 7 개, 神 疲 7개, 神 倦 2개, 精 神 疲 乏 이 2개 있었 다.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神 疲 를 선택하였다. 4 納 少 총 40개 문헌에서 관련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데, 納 少 가 17개로 가장 많았고, 食 少 5개, 食 少 納 呆 가 5개, 納 呆 가 4개 있었다. 이 밖에도 대부분 식사량이 감소함을 표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納 少 를 채택하였다. 10 食 欲 減 退 총 10개 문헌에서 식욕과 관련된 기술이 제시되 었다. 食 欲 減 退 로 표현된 것이 5개, 不 欲 食 2개, 食 欲 不 振 2개, 口 淡 乏 味 1개, 食 欲 差 가 1개 있 었다.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食 欲 減 退 를 선택하였 다. 5 面 色 萎 黃 面 色 과 관련된 기술은 총 40개 문헌에서 제시되 고 있다. 이 중 面 色 萎 黃 을 포함한 경우가 32개 문 헌으로 가장 많았고, 淡 白 5개, 晄 白 3개, 黃 이 3개였다. 또한 無 華, 不 華, 少 華 등을 표현한 문 헌이 7개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面 色 萎 黃 을 선택하였다. 6 少 氣 懶 言 총 24개 문헌에서 少 氣 懶 言 을 제시하였고, 懶 言 만을 제시한 문헌이 11개, 少 氣 만을 제시한 문 헌이 2개 있었다.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少 氣 懶 言 을 선택하였다. 7 消 瘦 총 31개 문헌에서 체형 관련된 증후를 제시하였 는데, 이 중 消 瘦 를 포함한 경우가 총 29개 문헌이 었고, 2개 문헌에서는 肌 瘦 라 표현하였다. 가장 기 술빈도가 높은 消 瘦 를 선택하였다. 8 浮 腫 총 29개 문헌에서 浮 腫 이 있을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27개 문헌에서 부종 을 포함하였고, 水 腫, 虛 腫 으로 표현한 문헌이 각 1개씩 있었다. 가장 기 술빈도가 높은 浮 腫 을 선택하였다. 11 氣 短 총 10개 문헌에서 氣 短 또는 短 氣 를 제시하였 다.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氣 短 을 선택하였다. 12 或 肥 胖 총 8개 문헌에서 或 肥 胖 이라 하여 消 瘦 와 더 불어 제시하였다. 或 虛 胖, 或 体 胖 이라고도 제시 하였다. 가장 기술빈도가 높은 或 肥 胖 을 선택하였다. 13 기타 소수 의견 기타 脾 氣 虛 證 의 증후로 제시된 소수 의견은 腸 鳴, 排 便 無 力, 恶 心, 呕 吐, 嘈 囃, 噯 氣, 口 淡 不 渴, 腹 痛 綿 綿, 久 泻 久 痢, 内 脏 下 垂, 常 自 汗 出, 月 經 異 常 등 이 있었으나, 모두 출현빈도가 20% 미만으로 이후 과정에서는 제외시켰다. 2. 한국어 번역 및 국어학자 검토 한국 한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중국어 및 한국어 모두에 능통한 한국계 중국인이 선정된 주요증후를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국어학자 검토를 통해 脾 氣 虛 證 대상자용 설문 초안을 완성하였다 <Table 3>. 특히 한국어 문안에 있어, 해당하는 증 상을 응답시점 당시의 상태 뿐만 아니라, 응답시점 기준 과거로부터 해당 증상을 가지고 있는지 질문할 수 있도록 문장을 구성하였다. 162

오혜원 외 7명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163) Table 3. The Major Items of Spleen Qi Deficiency,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ewed by Korean Linguist Rank Items Proposed translation 1 大 便 溏 薄 평소 대변이 무르거나, 최근 대변이 물러졌다. 2 腹 胀, 食 后 尤 甚 평소 윗배가 더부룩하고 식사 후 더부룩함이 심하였거나, 최근 윗배가 더부룩해지고 식사 후에 심해진다. 3 肢 体 倦 怠 평소 온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거나, 최근 온몸이 나른해지고 힘이 없어졌다. 4 納 少 평소 식사량이 적거나, 최근 식사량이 줄어들었다. 5 面 色 萎 黄 평소 얼굴이 초췌하고 얼굴빛이 누렇거나, 최근 얼굴이 초췌해지고 얼굴빛이 누렇게 됬다 6 少 氣 懶 言 평소 기운이 없어 말할 힘이 없거나, 최근 기운이 없어져 말할 힘이 없다. 7 消 瘦 평소 저체중이거나, 최근 살이 빠졌다. 8 或 浮 腫 평소 몸이 잘 붓거나, 최근 몸이 잘 붓는다. 9 神 疲 평소 집중력이 쉽게 떨어지고 의욕이 없거나, 최근 집중력 또는 의욕이 떨어졌다. 10 食 欲 减 退 평소 입맛(또는 밥맛)이 없거나, 최근 입맛(또는 밥맛)이 줄었다. 11 气 短 평소 숨이 가쁘거나, 최근 숨이 가빠졌다. 12 或 肥 胖 평소 살이 찌거나, 최근 살이 쪘다. 3. 전문가자문 결과 전국 한의과대학 소화기내과 전공 전임교수 11명 의 자문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함여부 분석결과 脾 氣 虛 證 주요증상과 설진 및 맥진소견을 포함 한 14개 항목의 포함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결과 는 <Table 4>와 같다. 納 少 91%, 或 浮 腫 82%, 氣 短 82%, 或 肥 滿 55%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모두 100% 脾 氣 虛 證 진단에 포함시킬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포함여부 결과가 90% 미만인 或 浮 腫, 氣 短, 或 肥 滿 등은 이후 과정에서 제외시켰다. 특히 이들 증상에 대해 脾 氣 虛 證 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볼 수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2) 중요도 분석결과 脾 氣 虛 證 진단에 포함된 11개 항목에 대한 중요 도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전문가자문에 의한 중요도 분석에 있어 가장 높 은 순위를 보인 것은 肢 体 倦 怠 이었고, 그 다음으로 面 色 萎 黃, 食 欲 減 退 가 공동 2위였으며, 기타 腹 胀, 食 後 尤 甚, 納 少, 舌 淡 苔 白 등의 순이었다. 맥 진소견인 脈 緩 弱 은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가진 것으 로 조사되었다. Table 4. The Results of Assessment on Inclusion or Exclusion by Expert Committee Items Included Excluded 大 便 溏 薄 11 (100)* 0 (0) 腹 胀, 食 後 尤 甚 11 (100) 0 (0) 肢 体 倦 怠 11 (100) 0 (0) 納 少 10 (91) 1 (9) 面 色 萎 黄 11 (100) 0 (0) 少 氣 懶 言 11 (100) 0 (0) 消 瘦 11 (100) 0 (0) 或 浮 腫 9 (82) 2 (18) 神 疲 11 (100) 0 (0) 食 欲 减 退 11 (100) 0 (0) 气 短 9 (82) 2 (18) 或 肥 胖 6 (55) 5 (45) 脈 緩 弱 11 (100 0 (0) 舌 淡 苔 白 11 (100 0 (0) * n(%) 163

(164)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Table 5. The Estimation of Weights of Items in the Spleen Qi deficiency No Items Mean(Xi) ± Standard deviation(si) Weight(Zi) Rank S1 大 便 溏 薄 3.91 ± 0.94 6.36 9 S2 腹 胀, 食 後 尤 甚 4.10 ± 0.57 11.09 4 S3 肢 体 倦 怠 4.73 ± 0.47 15.54 1 S4 納 少 4.30 ± 0.67 9.78 5 S5 面 色 萎 黄 4.09 ± 0.54 11.65 2 S6 少 氣 懶 言 3.91 ± 0.94 6.36 9 S7 消 瘦 3.27 ± 0.79 6.39 8 S8 神 疲 3.27 ± 0.65 7.77 7 S9 食 欲 减 退 4.09 ± 0.54 11.65 2 O1 脈 緩 弱 3.55 ± 1.13 4.83 11 O2 舌 淡 苔 白 3.91 ± 0.70 8.57 6 Table 6. The Results of Validity Inquiry of the Korean-Translated Major Items of the Spleen Qi Deficiency Items 大 便 溏 薄 腹 胀, 食 後 尤 甚 肢 体 倦 怠 納 少 面 色 萎 黄 少 氣 懶 言 消 瘦 神 疲 食 欲 减 退 Drafts 평소 대변이 무르거나, 최근 대변이 물러졌다. 평소 윗배가 더부룩하고 식사 후 더부룩함이 심하였거나, 최근 윗배가 더부룩해지고 식사 후에 심해진다. 평소 온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거나, 최근 온몸이 나른해지고 힘이 없어졌다. 평소 식사량이 적거나, 최근 식사량이 줄어들었다. 평소 얼굴이 초췌하고 얼굴빛이 누렇거나, 최근 얼굴이 초췌해지고 얼굴빛이 누렇게 됐다 평소 기운이 없어 말할 힘이 없거나, 최근 기운이 없어져 말할 힘이 없다. 평소 저체중이거나, 최근 살이 빠졌다. 평소 집중력이 쉽게 떨어지고 의욕이 없거나, 최근 집중력 또는 의욕이 떨어졌다. 평소 입맛(또는 밥맛)이 없거나, 최근 입맛(또는 밥맛)이 줄었다. Validity inquiry* 1 2 3 Revision comment Acceptance or adaptation 10 (91) 1 (9) 0 (0.0) 무르거나 풀어진다. 대변이 무르다 가 대변이 풀어진다 를 포괄하는 것으로 판단 7 (64) 3 (27) 1(9) 윗배가 더부룩하고 가스가 차며 윗배 를 배 로 변경 허증의 창만은 실증과 달리 식후뿐만 아니라, 아침기상 후에도 창만이 남아 있다. 11 (100) 0 (0) 0 (0) 수정의견 없음. 원안 채택 10 (91) 1 (9) 0 (0) 소화가 잘 안되고 식사량이 줄었다. 9 (82) 2 (18) 0(0) 초췌 는 삭제가 필요하다. 초췌하다 말이 어려우므로, 윤기가 없고 핏기가 없다 등으로 수정이 필요함. 10 (91) 1 (9) 0 (0) 말을 많이 하면 힘이 빠진다. 추가 필요함. 더부룩하다 가 가스가 찬다 를 포괄하는 것으로 판단 문헌검토 결과 脘 腹 이라 지칭한 표현이 많으며, 脘 腹 을 윗배 로 표현 수정의견을 수용하여 늘 윗배가 더부룩하고... 로 개작 納 少 는 소화상태가 아닌 식사량만 관련된 표현으로 판단 수정의견을 수영하여 얼굴에 윤기나 핏기가 없고, 얼굴빛이 누렇다 로 변경 수정의견을 수영하여 기운이 없어 말할 힘이 없거나, 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빠진다 로 변경 10 (91) 1 (9) 0 (0) 평소 저체중 은 제외 수정의견을 수영하여 저체중 이라는 표현은 삭제 11 (100) 0 (0) 0 (0) 정신적으로 피곤하거나 수정의견을 수영하여 정신적으로 쉽게 피곤해지거나, 집중력이나 의욕이 쉽게 떨어진다. 로 변경 11 (100) 0 (0) 0 (0) 수정의견 없음. 원안 채택 * 1: proper; 2: proper, but need to be amended; 3: improper, and need to be amended 164

오혜원 외 7명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165) 3) 번역타당도 분석결과 脾 氣 虛 證 주요증상의 한국어 번역 내용과 관련한 번역타당도 조사결과 및 수정의견은 <Table 6>과 같다. 번역타당도와 관련하여 모든 항목이 90% 이 상( 타당하다 와 타당하나 수정이 필요하다 의 내용 을 포함) 타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역 내용과 관련한 전문가 수정의견에 대해서는 국어학자가 포 함된 연구자회의를 통해, 수용 및 개작을 결정하여 반영하였다. 한편 소수의견 중 각각의 번역 내용이 평소 와 최근 으로 나누워 제시한 것에 대해 초진이 아닌 재진인 경우 그 변화를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고찰 및 결론 脾 氣 虛 證 의 진단기준과 관련하여 국내 문헌을 검 토한 결과 대체로 유사하기는 하나, 다소 상이한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 <비계내과학>에서는 面 色 萎 黃, 納 少 便 溏, 四 肢 無 力, 舌 淡, 苔 白 등의 주증과 少 氣 懶 語, 食 後 腹 脹, 肌 肉 消 瘦, 脈 濡 緩 등의 겸증을 제시하 며, 納 少 便 溏 이 특징적인 증상이 된다고 하였다 1). <한방병리학>에서는 주증은 面 色 萎 黃, 倦 怠, 氣 短 懶 言, 食 少 便 溏, 食 後 腹 脹, 차증은 四 肢 倦 怠, 肢 體 浮 腫, 小 便 不 利, 月 經 量 少, 色 淡, 甚 則 閉 經, 설맥소견은 舌 淡 苔 白, 脈 緩 弱 등으로 제시하며, 面 色 萎 黃, 食 少, 便 溏, 食 後 脘 腹 脹 悶 의 주증상 중 적어도 둘은 나타 나야 한다. 또한 다소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일부 氣 虛 증상이 나타나되 그리 심하지는 않아야 하며 寒 象, 胃 氣 上 逆 증상, 水 腫, 食 積 은 없어야 한다고 하 였다 2). 기타 다른 문헌들은 대동소이한 의견을 제시 하고 있는데, 대체로 脾 氣 虛 證 진단기준과 관련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중국에서는 1980년대 초반부터 병증표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脾 氣 虛 證 과 관련하여 서는 1982년 全 国 中 西 医 结 合 虚 证 与 老 年 病 防 治 学 术 会 议 에서 中 医 虚 证 辨 证 参 考 标 准 을 제정하여 心 虛, 脾 虛, 肺 虛, 腎 虛, 氣 虛, 陰 虛, 陽 虛 등 7개 虛 證 病 證 에 대한 표준증후를 제시하고, 脾 氣 虛 證 에 대해 서서는 脾 虛 + 氣 虛 라고 정의하였다. 脾 虛 證 으로는 食 欲 减 退, 食 后 或 下 午 腹 胀, 大 便 溏 薄, 面 色 萎 黄, 肌 瘦 无 力 등 5개 증상 중 3개 이상을 가지는 경우로 제시하였고, 氣 虛 證 으로는 神 疲 乏 力, 少 氣 懶 言, 自 汗, 舌 胖 有 齒 印, 脈 虛 無 力 ( 弱, 軟, 濡 等 ) 등의 5개 증상 중 3개 이상을 가지는 경우로 제시하였다 3). 1986년에는 中 医 虚 证 辨 证 参 考 标 准 을 개정하면서 脾 虛 證 으로 大 便 溏 泄, 食 后 腹 胀 喜 按, 面 色 萎 黄, 食 欲 减 退, 肌 瘦 无 力 등 5가지 중 3개 이상을 가지는 경 우로 제시하면, 이들이 氣 虛, 陰 虛, 陽 虛 와 같이 나 타날 수 있음을 제시하고 특히 脾 氣 虛 證 환자에서는 특징적인 소변검사 및 타액검사소견이 동반됨을 제 시하였다 4). 1988년도에는 中 华 人 民 共 和 国 卫 生 部 药 政 局 주관 으로 中 药 治 疗 脾 虚 证 的 临 床 研 究 指 导 原 则 을 발표 하였는데, 脾 氣 虛 證 진단표준과 관련하여 气 虚 主 证 4개 증상(1 舌 质 淡, 舌 体 胖 或 有 齿 印, 苔 白 薄 ; 2 脉 细 弱 ; 3 体 倦 乏 力 ; 4 神 疲 懒 言 ), 脾 虚 主 证 3개 증상(1 胃 纳 减 少 或 食 欲 差 ; 2 大 便 不 正 常 ( 溏, 烂, 先 硬 后 溏, 时 溏 时 硬 ); 3 食 后 腹 胀, 或 下 午 腹 胀 ) 및 다수의 次 證 ( 口 淡 不 渴, 喜 热 饮, 口 泛 清 涎, 腹 痛 绵 绵, 或 喜 按 喜 温, 或 得 食 则 减, 或 遇 劳 则 发, 恶 心 呕 吐, 脘 闷, 腸 鸣, 消 瘦 或 虚 胖, 面 色 萎 黄, 唇 淡, 短 气, 排 便 无 力, 白 带 清 稀, 浮 腫, 小 便 清 长, 咳 痰 多 清 稀, 失 眠 不 寐 )을 제시하며, 脾 氣 虛 證 진단을 위한 진단기준(1 气 虚 主 证 2개 + 脾 虚 主 证 2개; 2 气 虑 主 证, 舌 象 + 脾 虚 主 证 2개; 3 气 虚 主 证, 舌 象 十 脾 虚 主 证 1개 + 次 证 2개)을 제 시하였다. 아울러 脾 虛 證 의 중증도 평가와 관련하여 脾 虛 主 症 輕 重 分 級 을 제시하여 食 欲 減 退, 神 疲 懶 言, 肢 體 倦 怠, 食 後 腹 脹, 大 便 등 5개 항목으로 구성된 3 단계 중증도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5). 1993년도 제정되고 2002년에 개정하여 발표한 中 药 新 药 临 床 研 究 指 导 原 则 에서는 여러 질환 및 중 의병증에 대한 임상시험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 는데, 이 중 中 药 新 药 治 疗 脾 气 虚 证 的 临 床 研 究 指 导 原 则 에서는 1986년 수정된 中 医 虚 证 辨 证 参 考 标 准 을 참조하여, 食 少 納 呆, 体 倦 乏 力, 食 後 或 午 後 腹 脹, 165

(166)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大 便 異 常 ( 溏, 爛, 先 硬 後 溏, 時 溏 時 硬 ) 등의 主 症 과 神 疲 懶 言, 口 淡 不 渴, 腹 痛 綿 綿, 惡 心 嘔 吐, 脘 悶, 腸 鳴, 面 色 萎 黃, 浮 腫, 排 便 無 力, 舌 質 淡. 舌 體 胖 或 有 齒 印, 苔 薄 白, 脈 細 弱 등의 次 症 을 제시하며, 主 症 2개 항목 이상이거나, 主 症 1개 항목에, 次 症 2개 항목일 경우, 脾 氣 虛 證 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하였다. 아울러 脾 气 虚 证 症 状 分 级 量 化 表 를 제시하여, 정량적으로 脾 氣 虛 證 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표를 제시하고 있다 6). 2008년 中 华 中 医 药 学 会 中 医 诊 断 学 分 会 에서는 中 医 常 见 证 诊 断 标 准 을 제정하여 발표하였는데, 이중 脾 氣 虛 證 에 대해서 久 不 欲 食 / 长 期 食 少 =4; 食 后 痞 胀 =2; 腹 胀 =3; 腹 痛 =2; 隐 痛 =2; 经 常 腹 泄 // 经 常 便 溏 =4; 神 疲 =2; 倦 怠 乏 力 =2; 气 短 =2; 懒 言 =2; 嗜 睡 =2; 经 常 畏 冷 =2; 水 肿 =2; 形 体 消 瘦 // 形 体 肥 胖 =2; 面 色 淡 白 // 面 色 白 光 白 // 面 色 萎 黄 =2; 舌 淡 // 舌 淡 胖 = 2; 舌 边 齿 印 =하여 병증진단과 중증도 진단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7). 2013년 赵 平 등은 1986년 이후 발표된 脾 虛 證 관 련 문헌 23편을 대상으로 주요증후의 출현빈도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는데, 脾 虛 證 의 주된 증상을 빈도 순으로 食 欲 減 退, 舌 淡, 乏 力, 舌 胖 嫩 / 胖 大, 大 便 溏 泄, 舌 边 有 齿 痕, 脉 细, 消 瘦, 面 色 萎 黄, 食 后 腹 胀 등 을 제시하였다 8). 이상과 같이 중국의 脾 氣 虛 證 관련 진단기준은 초기에는 五 臟 虛 證 중 하나인 脾 虛 證 에 全 身 氣 虛 證 을 결합하여 제시하였고, 이후에는 脾 氣 虛 證 을 하나 의 독립 병증으로 제시하게 된다. 한편 脾 氣 虛 證 의 주된 증상은 대체로 식욕감소, 식사량감소 등의 식 욕식사관련 지표, 식후복창 등의 위장관련 지표, 신 체적, 정신적 피로 등의 전신적인 피로관련 지표 등 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세한 진단기준에는 연구 간에 다소 차이가 있고, 특히 한국 문헌과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실제 임상진료 및 연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중국 및 한국문헌을 총괄하고, 실제 교육 및 임상현자에 근무하는 전문 가집단의 의견이 반영된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선정된 45개의 문헌조사 결과 설진 및 맥진소견 을 제외하고 가장 다빈도로 출현하는 증상은 大 便 溏 薄 이고, 그 다음으로 많은 빈도로 출현하는 증상 은 腹 胀, 食 后 尤 甚 으로 상하부 위장관 증상과 관련 된 지표가 제시되었다. 이들은 상기 중국의 脾 氣 虛 證 진단지표 연구에서도 모두 포함이 되었던 증후들 이다. 다음은 肢 体 倦 怠 로 전신적인 신체적 피로증 상이 제시되었고, 納 少 의 식사량과 관련된 지표가 제시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面 色 萎 黄 의 면색변 화 지표, 少 气 懒 言 등의 전신적인 피로증상 지표, 消 瘦, 或 浮 腫 같은 체형과 관련된 지표가 있었다. 神 疲 라 하여 정신적인 피로증상과 관련된 지표가 같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식욕감퇴 는 식사량과 관 련된 증상으로 사료되는데 직접적으로 이를 제시한 문헌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한편, 肥 胖 이 소수 문헌에서 제시되었는데, 위 消 瘦 와는 상반된 것으 로 비기허를 병리로 하는 서로 다른 측면의 체형변 화 소견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설진소견에 있어서, 舌 質 色 은 舌 淡 으로, 舌 苔 는 苔 白 으로 제시된 것이 가장 많았고, 맥진소견은 弱 脈 과 緩 脈 등을 가장 다빈도로 제시하였다. 상기 문헌조사 결과는 대부분 기존의 여러 연구 들과 유사하였으나, 중요증상은 문헌별로 차이가 많 았다. 이에 국내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 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전국 한의과대 학 전임교원으로 구성된 전문가자문단을 구성하고 그 의견을 수렴하여 脾 氣 虛 證 진단지표의 포함여부,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총 14개 증상의 脾 氣 虛 證 진단지표로의 포함여부 조사에 있어 或 肥 胖 은 5명(45%)이 제외할 것을 권 고하였는데, 이는 脾 氣 虛 證 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 증후라 할 수 없다는 의견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或 浮 腫, 氣 短 등도 유사한 사유로 제외할 것을 2 명(18%)이 권고하였다. 최종적으로 문헌조사로부터 도출된 脾 氣 虛 證 진단지표 14개 중 포함시키는 것 이 타당하다 라는 의견이 90% 미만인 或 浮 腫, 氣 短, 或 肥 滿 을 제외한 총 13개 증상을 중요도 산출 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중요도 분석에 있어서는 肢 体 倦 怠 가 가장 높게 166

오혜원 외 7명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167) 조사되었으며, 食 欲 減 退 와 面 色 萎 黃 이 공동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腹 胀, 食 後 尤 甚, 納 少 등이었다. 특이한 점은 食 欲 減 退 의 경우 문 헌조사에서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게 조사되었는 데(22.2%), 전문가 중요도조사에서는 그 중요도가 높게 도출되었다는 것이다. 관련하여 식사량감소에 해당하는 納 少 는 5위로 중요도가 적은 것은 아니 었으나, 食 欲 減 退 보다는 적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문헌조사에서 가장 다빈도(100%)로 출현하 는 大 便 溏 薄 은 전문가 중요도조사에서는 9위로 조 사되었다. 역시나 가장 다빈도(100%)로 출현하는 腹 胀, 食 后 尤 甚 은 4위로 조사되었다. 의사진단에 해당하는 설진 및 맥진소견에 있어 설진소견( 舌 淡 苔 白 )은 6위로 조사되었고, 맥진소견( 脈 緩 弱 )은 11개 항목 중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도출된 각 증상은 한자로 기재되어 평가대상자들 에게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번역과 국어학 자 검토작업을 거쳐 한글화하였고, 이에 대한 전문 가자문단의 번역타당도를 조사하게 되었다. 최초 번 역의 주안점은 증상을 평소 와 최근 으로 나누워 그 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문가 의견 중 향후 중증도 또는 개선도를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의견을 수용하여, 문항을 간략하게 하고 그 시점을 별도로 제시하기로 연구자회의에서 최종 결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대 상자용)]가 완성되었고, 최종안은 <Appendix>와 같 다. 총 11개 문항 중 9개 문항은 대상자가 직접 작 성하고, 설진 및 맥진은 한의사가 동일한 점수체계 에서 그 중증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각 응 답점수에 가중치를 반영한 점수가 도출되고, 최종 합산점수로 결과가 나오도록 구성하였다. 한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의병증에 대한 변증 은 한의사의 고유한 진단행위이다. 그런데 이에 대 한 진단자 간의 편차 및 객관화된 자료구축의 어려 움 등으로 늘 문제가 있음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이를 적용한 한의약임상시험에는 늘 그 객관성이 문 제시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분야에서 진단객관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脾 氣 虛 證 은 식욕 및 식사량 감소, 위장관의 이상 증상 및 전신 피로 증상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병증 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현장에서도 상견하는 병증 이다. 중국에서는 이와 관련된 진단표준화 연구가 198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 간에 차이가 많았다,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 혀 없었다. 이에 연구자는 향후 관련 임상시험에의 활용을 목표로 문헌조사, 번역 및 국어학자 검토, 전 문가집단의 검토 및 중요도 도출 등을 통해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대상자용)]를 도출하였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이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 도 확보를 위한 임상연구가 진행되어 그 타당성을 확보되면, 脾 氣 虛 證 치료처방 등의 효능평가를 위한 임상시험에의 활용 및 그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 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과제고유번호 HI13C06230000) 참고문헌 1.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in all colleges of Korean medicine. Gastroenterology in Korean medicine. 1st edition.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09:63-4. 2. Teaching material compil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2nd edition. Seoul:Hanuimunhwasa. 2008:411-4. 3. Shen ZY. Deficiency Syndrom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 Differentiation Standards.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1983;3(2):117. 4. Shen ZY, Wang WJ. Deficiency Syndrom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 167

(168)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Differentiation Standards.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1986;6(10):598. 5. Health Drug Councils of Ministry of Health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Governing Principle of Clinical Investigation of splenasthenic syndrome Treatment with New Chinese Medicinal.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1988;3(5):71-2. 6. Zheng XY. Governing Principle of Clinical Investigation of Treatment with New Chinese Medicinal. Beijing:The medicine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of China. 2002:361-4. 7. China Association of Chinese Medicine TCM Diagnostics Branch. Diagnostic Standard of TCM Common Syndrome (First Part).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niversity of Hunan. 2008;28(5):6. 8. Zhao P, Li XT. Research on evaluating the bibliography system of diagnosis standard of splenasthenic syndrome.liaon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40(7):1304-6. 9. Yun SH, Ryu BH, Park DW, Jang IG, Ryu GW. Literature review on spleen deficiency syndrome (Qi deficiency and Yang deficiency). J.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1989; 10(1):53-64. 10. Won JH, Moon G, Moon SJ. A summary on the recent studies on the nature of deficiency of Pi. Korean J Orient Int Med. 1992;13(1):135-42. 11. Jeong HS, Ha KT, Shin SW, Lee KG. Study on the endogenous dampness caused by Gi deficiency of the spleen and Sagunja-ta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6):903-6. 12. An KS, Lee JK, Kim JH, Ryu KJ, Kwon SR, Lim MJ, et al. A case report of the herbal medication treatment and counseling therapy for the chronic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patient.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18(2):143-51. 13. Changchun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Changchun:Jilin Peoples Press. 1984:149-50. 14. Deng TT.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health Press. 1987:4126. 15. Guangzhou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Ancient Chinese Medical Book Press. 1987:80. 16. Deng TT.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1988:222. 17. Li LX.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Guangzhou: Guangdong Higher Education Press. 1988:159. 18. Zhang EQ.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University of TCM Press. 1988:329-31. 19. Shanxi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Guiyang:Guizhou People's Press. 1988:212. 20. Beijing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Guiyang: Guizhou People's Press. 1990:274-6. 21. Qiu XH. Study on Quantitative Diagnosis on Insufficiency of the Spleen. Journal of Guangzhou University of TCM. 1990;7(1):24. 22. Fu TY, Fan TQ.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Huaxia Press. 1991:67-8. 23. Chengdu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Chengdu:Sichuan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1991:239-40. 24. State Administration of Chinese Medicine. Standard of Diagnosis and Effection of TCM. Nanjing:Nanjing University Press. 1994:101, 105,108,112. 25. Zhu WF.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1995:149. 26. Jin SY, Chen SY.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Medical Officer Press. 1997:235-7. 168

오혜원 외 7명 : 脾 氣 虛 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169) 27. Li SL.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 China Worker Press. 1997:57. 28. Wei BH, Jin JS, Zhao ZH, Liu JS, Zhao RL, Li QG. Spleen Deficiency A New Conception of Diagnosis. Journal of TCM Basis. 1997;3(1):6-8. 29. Beijing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Beijing:Xueyuan Press. 1998:507-8. 30. Wu XF.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health Press. 1999:91. 31. Ji SL, Cheng QZ.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health Press. 2002:146-7. 32. Nanjing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University of TCM Press. 2002:212-4. 33. Yang ZG, Wang CY.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Ancient Chinese Medical Book Press. 2002:102. 34. Zhu WF.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TCM Press. 2002:186-7. 35. Chen Q. Dignosis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Beijing: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2003:112-3. 36. Deng TT.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4:282. 37. Wang YQ.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TCM Press. 2004:163-4. 38. Liao FY.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5: 106-7. 39. Liu Y.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 High Education Press. 2005:90. 40. Deng TT.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2006:114. 41. Wu CY.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2006:120-1. 42. Li J.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2011:138-9. 43. Zhu WF.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Beijing: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11: 702-3. 44. Guangdong University of TCM.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2012:93. 45. Guo ZQ. Traditional Chinese Diagnostics. Shanghai: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2013:157. 46. Kim YH. The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1st edition. Seoul:Seongbosa. 1990:299. 47. Yang GS.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terms and conditions used for diagnosis in oriental (I) (separate-volume supplement). Seoul: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95:56. 48. Sin SS. Study of Qi. Seoul: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00:48-9. 49. Lee BG, Park YB, Kim TH. Korean medicine diagnostics. 6 th edition. Seoul:Seongbosa. 2004: 72-3. 169

(170) 대한한의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4년 3월) <Appendix> 질문 전혀 그렇지 않다 (0) 거의 그렇지 않다 (1) 가끔 그렇다 (2) 자주 그렇다 (3) 항상 그렇다 (4) 가중치 대변이 무르다. ( 大 便 溏 薄 ) 늘 윗배가 더부룩하고 식사 후에 더 심해진다. ( 腹 胀, 食 后 尤 甚 ) 온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 肢 体 倦 怠 ) 식사량이 줄어들었다. ( 納 少 ) 얼굴에 윤기나 핏기가 없고, 얼굴빛이 누렇다. ( 面 色 萎 黄 ) 기운이 없어 말할 힘이 없거나, 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빠진다. ( 少 氣 懶 言 ) 살이 빠졌다. ( 消 瘦 ) 정신적으로 쉽게 피곤해지고, 집중력이나 의욕이 쉽게 떨어진다. ( 神 疲 ) 입맛(또는 밥맛)이 줄었다. ( 食 欲 减 退 ) 한의사 설진소견( 舌 淡 苔 白 ) 한의사 맥진소견( 脈 緩 弱 )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