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 여자노인에서혈중비타민 B 12 농도에따른임상건강지표비교 신과 위액의 분비가 감소하고 위축성 위염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섭취한 식품 내에 존재하는 비타민 -단백질 복합체가 으로 분리되는 비율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결국 비타민 의 체내 흡수율이 감소하게 되는 흡수

Similar documents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서론 34 2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hwp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歯1.PDF

012임수진

00약제부봄호c03逞풚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590호(01-11)

Lumbar spine


Kjcg007( ).hwp

03이경미(237~248)ok

( )Kju269.hwp

(01) hwp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½Ç°ú¸Ó¸®¸»¸ñÂ÷ÆDZÇ(1-5)¿Ï

γ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다이어트마침표_1부 :24 PM 페이지2 BMI지수의 진실 비만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가 BMI 지수다.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이다. 몸무게를 키의


들어가면서 본 식생활가이드 는 여러분께서 받으신 식생활 평가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식생활 평가지는 식품섭취조사에서 응답하신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체중평가, 에너지 섭취평가, 식품 섭취 평가, 영양소 섭취 평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

Jkafm093.hwp

A 617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슬라이드 1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다문화 가정의 부모

歯5-2-13(전미희외).PDF

°ø±â¾Ð±â±â

139~144 ¿À°ø¾àħ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30322EC6AFC1FD30342DC1A4B9AEC7F62E687770>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歯14.양돈규.hwp

김범수

본발표와관련된이해관계 없음 대한당뇨병학회학술위원회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 )Jkstro011.hwp

hwp

untitled

10(3)-10.fm

DBPIA-NURIMEDIA

Kinematic analysis of success strategy of YANG Hak Seon technique Joo-Ho Song 1, Jong-Hoon Park 2, & Jin-Sun Kim 3 * 1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

7.ƯÁýb71ÎÀ¯È« š

Rheu-suppl hwp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DBPIA-NURIMEDIA

,......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untitled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1..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5BB0F8B0F8BFECC6ED5D20C3D6C1BEBAB8B0EDBCAD5F BFCF292E687770>

Kaes010.hwp

<BFACBCBCC0C7BBE7C7D E687770>

<BAF1B8B8C3DFB0E8C7D0BCFAB9D7BFACBCF62D E E687770>

심장2.PDF

433대지05박창용

Àå¾Ö¿Í°í¿ë ³»Áö

untitled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Can032.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Dementia2


<5BC0AFBEC6B1E2C7E0BAB9B0A85D20C0CEBCE2BFEB20C3D6C1BEBABB5F F312E687770>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by Daily Intake of Alcohol

제 출 문 경상북도 경산시 농업기술센터 귀하 본 보고서를 6차산업수익모델시범사업 농산물가공품개발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1 월 19 일 주관연구기관명 : 영남대학교 총괄연구책임자 : 한 기 동 연 구 원 : 김 상 욱 이 수 형 이 상

248 / 한국노인식사의탄수화물에너지비와만성질환위험성 당뇨병 유병률은 세에서 세 이상에서 로 증가하였으며 고혈압 유병률은 세는 세 이상은 로 증가하여 노령 단계에 따라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함이 보고되었다 또한 연도에 따라서도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세 노인의 경우 년부

Transcriptio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http://dx.doi.org/10.4163/jnh.2013.46.3.239 pissn 2288-3886 / eissn 2288-3959 전라도일부농촌지역여성노인의혈중비타민 B 12 수준에따른신체계측치및임상건강지표들의비교 * 곽충실 1 조지현 1 연미영 2 서울대학교노화고령사회연구소,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보건산업정책단영양정책팀 2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serum vitamin B 12 status in female older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of Jeonla province, Korea* Kwak, Chung Shil 1 ㆍ Cho, Ji Hyun 1 ㆍ Yon, Miyong 2 1 Institute on Ag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2 Nutrition Policy Team, Department of Health Industry & Policy, Korea Heal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Chungwon, Chungbuk 363-700, Korea ABSTRACT Subclinical vitamin B 12 deficiency is common in the elderly worldwide.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erum vitamin B 12 concentration with aging and compared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health indicators between normal ( 340 pg/ml) and low (< 340 pg/ml) serum vitamin B 12 groups in 470 Korean women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a rural area. Serum vitamin B 12 concentration showed inverse correlation with age (r = -0.0992, p < 0.05). The normal B 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red blood cell count, hemoglobin, and hematocrit compared to the low B 12 group, however, no difference in mean corpuscular volum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normal B 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p < 0.01) and prevalence of vitamin D (p < 0.01) or folate deficiency (p < 0.001). Bone mineral density (T-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he normal B 12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low B 12 group,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 = 0.1490, p < 0.01) with serum vitamin B 12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No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data,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and drinking habi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older female adults with normal serum vitamin B 12 level would be less anemic and osteoporotic and more resistant to hyperhomocysteinemia associated chronic diseases than those with low serum vitamin B 12 level.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KEY WORDS: female older adults, serum vitamin B 12 concentration, clinical health indicator, aging. 서론 비타민 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체내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메티오닌 합성효소와 메틸말로닐 - 뮤테이즈의 조효소로 작용하여 신경세포의 미엘린 수초 합성과 유지 그리고 지방과 탄수화물의 대사를 돕는 것이다 비타민 의 체내 필요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 결핍율은 매우 낮 지만 비타민 가 주로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기 때문에 채식주의자 위장절제 환자와 일부 위장질환자 만성 알코올 중독자 및 노인들에게서 부족증이 나타나기 쉽다 노인들에게 비타민 의 경미한 부족은 흔한 일로 동물성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미국인에서도 에 달하고 채식을 하는 홍콩노인의 경우 약 가 비타민 부족의 가능성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대부분의 노인들에서 비타민 자체 결정형 의 흡수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나 노화될수록 펩 * - - : 201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 - - -

240 / 여자노인에서혈중비타민 B 12 농도에따른임상건강지표비교 신과 위액의 분비가 감소하고 위축성 위염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섭취한 식품 내에 존재하는 비타민 -단백질 복합체가 으로 분리되는 비율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결국 비타민 의 체내 흡수율이 감소하게 되는 흡수불량상태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노화나 어떤 다른 이유에 의하여 위산 분비가 감소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위장에 박테리아가 과다 증식하게 되고 이들 박테리아 자신이 생존을 위하여 비타민 를 많이 소모하게 됨으로써 체내 흡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Helicobacta Pyroli 감염은 만성적인 위축성 위염과 위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Helicobacta Pyroli의 감염률이 높은 한국인들은 이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비타민 가 부족하면 빈혈과 신경계통의 이상이 나타나며 위염 위궤양 식욕부진 변비 또는 설사 등 위장계통의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비타민 가 결핍된 경우에도 빈혈지표에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거대적아구성 빈혈을 가장 중요한 비타민 결핍의 판정기준으로 삼아왔기 때문에 실제보다 비타민 결핍의 빈도가 매우 낮게 평가되어 왔고 그로 인하여 비타민 에 대하여 별로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가 최근 들어 비타민 영양상태가 노화와 함께 증가하는 질환인 심혈관질환 인슐린 저항성 위암과 대장암 골다공증 등과 같은 신체적 질환 뿐 아니라 기억력저하 인지기능저하 치매 불면증 및 우울증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보고들이 나오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게 되었다 비타민 는 대사적으로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살펴보는 연구가 많다 국내에서도 과 가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세의 남녀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혈중 비타민 농도 및 엽산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최근 평균수명의 빠른 증가와 함께 특히 노년기 인지기능저하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커짐에 따라 지역사회 거주 노인이나 인지기능장애환자 를 대상으로 비타민 엽산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상관성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농촌거주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영양수준과 다양한 임상건강지표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에 거주하는 세 이상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비타민 농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혈중 비타민 수준별 대상자들의 신체적 특성 및 임상건강지표들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노년기 비타민 영양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전라남도 담양군과 전라북도 순창군에 거주하는 세 이상 자 중에서 연구목적에 동의한 여자 명에 대하여 년 월 년 월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각 군 에서 비교적 큰 마을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고 군청과 마을 이장 또는 부녀회장의 협조를 받아 마을에 실제 거주하고 있 는 세 이상 주민들에게 안내문을 전달하면서 연구의 목적 과 내용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였고 계획된 일정에 따라 조사당일 마을회관으로 자발적으로 와서 참여한 자에 대하여 서면으로 동의서를 받은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에 서 측정한 검사결과는 보충설명과 함께 참여자들에게 우편 으로 발송하였다 조사방법및내용 설문조사 조사 대상자들의 나이 자녀수 동거가족유형 교육수준 경 제상황 등의 기본적인 사항과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 영양제나 건강식품 섭취여부 흡연과 음주습관 신체활 동정도 약물복용 만성질환 보유 여부 등의 건강관련 설문 지를 이용하여 연구자들이 대상자들과 면담을 통하여 조사 기록하였다 신체계측 신장은 줄자를 벽에 붙여 고정한 뒤 대상자가 등을 대고 서 도록 하여 측정하였으며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 - - 를 사용하여 체중과 체지방 비율 근육량비율을 측정하였다 신장과 체중으로부터 체질량 지수 체중 신장 를 계 산하였고 체질량지수의 평가기준은 아시아태평양 비 만기준 에 따라 저체중은 미만 정상은 이상 미만 과체중은 이상 미만 비만은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줄자로 대상자들의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상완위 종아 리둘레를 측정하였다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로부터 허리엉 덩이둘레비율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을 구하 였으며 를 복부비만으로 평가하였다 혈압, 혈액및골밀도검사 혈압은 채혈하기 전에 분 이상 안정 상태를 유지시킨 후 앉 은 자세에서 간호사가 표준 수은계로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혈 압을 심장높이에 위치한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 241 혈액은 공복 시에 채혈하였으며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 토크릿은 자동혈구측정기 당화혈 색소는 효소법을 이용하여 자동측정기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총단백질 알부민 총콜레스테롤 - 콜레스테롤 -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는 자동 측정기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 - 는 - 법 비타민 엽산 - - - 농도는 법 호모시스테인과 농도는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이동식 간이 초음파 골밀도 측정기 로 오른쪽 발뒤꿈치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기와 연결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부터 젊은 성인의 분포 를 기준으로 하는 - 와 동일 연령대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는 - 를 얻었다 대상자군분리노화에 따른 혈청 비타민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 여 세 세 세 세 이상으로 연령군을 나누 어 비교하였고 혈청 농도에 따라 정상군 과 부족군 < 으로 나누어 조사 및 측정한 항목 들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모든 조사 자료는 로 입력한 후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연속변수는 평균 ± 표 준편차로 표시하였고 비연속변수나 구간이 있는 항목은 빈도 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집단의 평균값의 차이는 - - 또는 < 로 통계적 검정을 하였으며 비연속 변수의 분포 차이는 χ - 로 검증하였다 변수간의 상관성은 을 실시하여 <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상관계 수를 구하였다 결 조사대상자들의연령별분포조사 대상자는 총 명으로 연령의 분포는 세 세 세 세 이상자가 각각 명 명 과 명 명 이었다 연령증가에따른혈중비타민 B 12 농도의변화한국인 노인여성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타민 영양상 Table 1. Change of average serum vitamin B12 concentration with aging Age (yr) 태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비타민 농도를 측정하여 연령군별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세 세 세 세 이상 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 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하지 만 연령과 혈청 비타민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유의한 수준에서 음의 상관관계 < 를 보였다 자료 제시하지 않음 비타민 B 12 수준에따른일반적특성조사 대상자의 는 비타민 영양상태가 정상상태 에 있었고 결핍상태는 아니나 충분하지는 않은 경 계상태 < 는 결핍상태 < 는 명 로 결핍율은 매우 낮았으며 연령군에 따 른 차이도 없었기 때문에 표 제시하지 않음 대상자들을 비타 민 정상군 과 부족군 < 의 군으로 나누어 일반적인 기본 특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과 같다 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세와 세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연한은 각각 년과 년으로 매우 낮았고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자녀수에 있 어서도 각각 명과 명으로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 으며 동거하고 있는 가족구성형태에 있어서도 군 간에 차이 는 없었다 정상군의 와 부족군의 가 혼자 살고 있 었으며 배우자와 둘이만 살고 있는 비율은 각각 와 로 혼자 또는 배우자와 둘이만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지 난 년간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설문에 대하여 정상군의 와 부족군의 가 중상이상으로 답하였으며 군 간 에 차이는 없었다 Serum B12 (pg/ml) 65-69 (n = 109) 746.5 ± 26.6 1) 70-74 (n = 168) 710.2 ± 232.1 75-79 (n = 101) 690.0 ± 225.6 80 + (n = 92) 674.7 ± 208.0 Total (n = 470) 707.3 ± 225.6 Significance 2) 1) Mean ±SD 2) not significant at p < 0.05 determined by ANO- VA/duncan multiple test 비타민 B 12 수준에따른건강관련설문결과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건강관련 사항을 비교한 결 과는 과 같다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 적인 평가에 있어서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건강하다 는

242 / 여자노인에서혈중비타민 B 12 농도에따른임상건강지표비교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itamin B12 status Normal (n = 440) Low (n = 26) Significance Age (yr) 74.3 ± 5.8 1) (60-95) 2) 74.6 ± 4.9 (67-86) 3) Education (yr) 01.8 ± 2.4 (0-12) 01.9 ± 2.6 (0-6) Children (person) 04.9 ± 1.6 05.0 ± 1.5 Living arrangement Alone With only spouse With children ± spouse Others Economic status High Upper middle Lower middle Low 217 (47.4) 173 (37.7) 026 (05.7) 042 (09.2) 014 (03.2) 107 (23.4) 212 (48.3) 106 (24.1) 13 (50.0) 11 (42.3) 00 (00.0) 02 (07.7) 00 (00.0) 08 (30.8) 11 (42.3) 07 (26.9) 1) Mean ± SD 2) range (min-max) 3) not significant at p < 0.05 determined by t-test or χ 2 -test Table 3.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prevalence of self-reported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the vitamin B12 status Self-assessed health status Healthy Moderate Bad Supplementation or functional food intake within last 6 months Yes No Physical activity (hr/day) < 2 2-3 > 3 Medication (subscripted) 0 1-2 3 Smoking Currently yes Smoked, but currently no Never χ 2 = 1.4823 χ 2 = 1.4963 Normal (n = 440) Low (n = 26) Significance 142 (32.3) 1) 059 (13.4) 239 (54.3) 157 (36.0) 279 (64.0) 162 (36.8) 042 (09.5) 236 (53.6) 084 (19.3) 254 (58.2) 098 (22.5) 017 (03.9) 019 (04.3) 403 (91.8) 03 (11.5) 07 (26.9) 16 (61.6) 12 (46.1) 14 (53.9) 09 (34.6) 03 (11.5) 14 (53.9) 04 (16.0) 16 (64.0) 05 (20.0) 02 (07.7) 03 (11.5) 21 (80.8) χ 2 = 6.7913 p < 0.05 χ 2 = 1.1088 2) 2) χ 2 = 0.1336 χ 2 = 0.3302 χ 2 = 3.9480 Drinking (time/month) 0.68 ± 1.60 0.74 ± 1.66 0 0 < and 1 1 < and 3 > 3 217 (66.2) 062 (18.9) 027 (08.2) 022 (06.7) 14 (63.6) 04 (18.2) 02 (09.1) 02 (09.1) χ 2 = 0.2147 No. of chronic disease 2.01 ± 1.25 3) 2.07 ± 1.05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 Diabetes 09.1 00.0 χ 2 = 2.5920, Hypertention 42.4 38.5 χ 2 = 0.1537, Bone & Joint disease 38.9 42.3 χ 2 = 0.1160, Heart disease 10.3 11.5 χ 2 = 0.0440, Kidney disease 01.4 00.0 χ 2 = 0.3600, Digestive disease 11.4 19.2 χ 2 = 1.4472, Hyperlipidemia 03.0 03.8 χ 2 = 0.0658, 1) n (%) 2) not significant at p < 0.05 determined by t-test or χ 2 -test 3) Mean ±SD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 243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 그러나 건강보조식품이 나 영양제 등의 복용율 육체적인 활동 시간 복용하는 약물 의 수 흡연율 음주빈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성 질병 보유수는 정상군이 평균 개 부족군이 개로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기 보고에 의한 당뇨병 고혈압 골관절질환 심장질 환 신장질환 소화기질환 고지혈증 등의 주요 만성질환에 대 한 유병율 역시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 12 수준에따른체격지표및골밀도나이를 보정한 상태에서 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체 중과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차이가 없었다 나이 체 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군 간에 체지방율 근육량비율 허리엉덩이비율 상완위둘레 종아리둘레 등의 신체 지표들 을 비교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골밀도 지 표인 - 와 - 는 정상군은 각각 와 이었 고 부족군은 각각 와 으로 부족군의 골밀도가 정 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 또한 나이 체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 < 와 - < 는 각각 혈청 비타민 농 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표 제시하지 않음 비타민 B 12 수준에따른혈압및빈혈관련지표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혈압과 빈혈관련지표들의 평균값과 비교분석 결과를 에 제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나이 체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수 행하였다 혈압측정 결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평균은 정상군 부족군 로 군 간에 유 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고혈압 기준에 속하는 비율은 비타민 정상군은 부족군은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는 없었다 비타민 가 부족하면 빈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빈혈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하는 다양한 지표를 측정한 결과 평 균 적혈구 수에 있어서 정상군은 μ 부족군은 μ 로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으며 < 적혈구수가 정상범위보다 낮은 < μ 대상자의 비율은 정상군 부족군 로 부족군이 더 높았다 <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는 정상군 부족군 로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 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보다 낮은 < 대상자의 비율은 각각 와 로 부족군이 유 Table 4. Anthropometric data and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vitamin B12 status Normal (n = 440) Low (n = 26) Significance Hight (cm) 147.4 ± 5.9 1) 148.9 ± 6.50 Weight (kg) 051.3 ± 8.6 52.7 ± 8.70 BMI (kg/m 2 ) 023.5 ± 3.2 23.7 ± 3.40 Low weight < 18.5 Normal 18.5 and < 23.0 Overweight 23.0 and < 25.0 Obese 25.0 026 (05.9) 3) 173 (39.3) 101 (23.0) 140 (31.8) 02 (07.7) 07 (26.9) 08 (30.8) 09 (34.6) 2) 2) χ 2 = 1.8074 Body fat (%) 35.2 ± 3.90 35.5 ± 4.00 Body muscle (%) 21.4 ± 2.30 21.7 ± 2.00 WHR 4) (%) 91.3 ± 6.60 90.9 ± 7.10 Obese 85 Normal < 85 374 (85.2) 065 (14.8) 20 (80.0) 05 (20.0) χ 2 = 0.4980 Arm cir (cm) 26.7 ± 3.30 26.7 ± 3.50 Tibia cir (cm) 31.4 ± 3.00 31.3 ± 2.40 BMD 5) (T-score) -2.54 ± 1.13-2.91 ± 0.74 p < 0.05 Normal -1.0 Osteopenia -2.5 and <-1.0 Osteoporosis < -2.5 041 (09.3) 150 (34.1) 249 (56.6) 00 (00.0) 07 (26.9) 19 (73.1) χ 2 = 3.9573 BMD (Z-score) 0.13 ± 1.04-0.20 ± 0.68 p < 0.05 0-1.0 and < 0-1.0 228 (51.8) 157 (35.7) 055 (12.5) 09 (34.6) 14 (53.9) 03 (11.5) χ 2 = 3.6541 : determined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weight and BMI : determined after adjusting for age 1) Mean ± SD 2) not significant at p < 0.05 determined by ANCOVA-test or χ 2 -test 3) n (%) 4) waist/hip ratio 5) bone mineral density

244 / 여자노인에서혈중비타민 B 12 농도에따른임상건강지표비교 Table 5.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index for anemia according to the vitamin B12 status Blood pressure (mmhg) Systolic Diastolic Hypertension 3) Normal Red blood cell (10 6 /μl) Normal 3.6 Low < 3.6 Hemoglobin (g/dl) Normal 12 Low < 12 Hematocrit (%) Normal 36 Low < 36 MCV 5) (fl.) Microcytic 80 Normal 80 < MCV < 100 Macrocytic 100 Normal (n = 440) Low (n = 26) Significance 121.6 ± 16.2 1) 118.5 ± 16.4 ) 75.3 ± 11.3 1) 073.1 ± 11.6 4)078 (17.7) 4) 03 (11.5) 362 (82.3) 23 (88.5) 2) 2) χ 2 = 0.6548 )) 4.08 ± ) 0.34 1) 03.92 ± 0.35 p < 0.05 415 (94.3) 025 (05.7) 22 (84.6) 04 (15.4) χ 2 = 3.9603 p < 0.05 ) 012.4 ± ) 1.10 1) 012.0 ± 1.20 p < 0.05 365 (83.0) 075 (17.0) 18 (69.2) 08 (30.8) χ 2 = 3.1585 ) 038.1 ± ) 3.20 1) 036.6 ± 2.80 p < 0.05 355 (80.7) 085 (19.3) 16 (61.5) 10 (38.5) χ 2 = 5.5431 p < 0.05 ) 093.4 ± ) 4.40 1) 094.0 ± 6.50 004 (00.9) 406 (92.3) 030 (06.8) 00 (00.0) 24 (92.3) 02 (07.7) χ 2 = 0.2637 : determined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weight and BMI 1) Mean ± SD 2) not significant at p < 0.05 determined by ANCOVA test or χ 2 -test 3) systolic 140 mmhg or diastolic 90 mmhg 4) n (%) 5) Mean corpuscular volume 의하게 높았다 < 평균 헤마토크릿는 정상군 부족군 로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 고 < 헤마토크릿이 정상보다 낮은 < 대상자의 비율은 각각 와 로 부족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 그러나 평균적혈구용적 의 평균은 정상 군 부족군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거대 적아구 에 속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정상군 부족군 로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 12 수준에따른생화학적혈액검사결과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혈액검사 결과의 평균값과 비교분석 결과를 에 제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 정은 나이 체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혈중 비타민 농도는 각각 과 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 혈청 알부민 농도는 부족군이 정상군 비하여 유 의하게 높았고 < 총단백질 총콜레스테롤 - 콜 레스테롤 -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는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인 혈청 - 농도의 평균은 정상군과 부족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 나 평가기준에 따른 분포를 보면 결핍 수준 < 에 속하는 비율이 정상군 부족군 로 차이가 있었다 < 혈청 엽산의 평균은 정상군 부족군 로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결핍 수준 < 에 속하는 비율이 정상군은 인데 비하여 부족군은 로 부족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 비타민 나 엽산이 부족할 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정상군 μ 부족군 μ 로 부족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은 수준 > μ 에 속하는 비율이 정상군은 인데 비하여 부족군은 로 부족군이 훨씬 높았다 < 염증지표의 하나인 - 농도의 평균값과 분포상태는 정상군과 부족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 판정의 중요 지표로 쓰이는 당화혈색소 농도 및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표인 와 - 의 농도는 정상군과 부족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찰 비타민 의 결핍 요인은 크게 내적인자의 부족 섭취부족 흡수불량 위장절제 자가면역질환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비타민 결핍증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악성빈혈은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지속적으로 위산과 내적인자의 분비가 저하되어 심각한 비타민 결핍상태를 초래한다 정상적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 비타민 결핍은 매우 드물지만 채식주의자나 노인 환자 심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 등이 영양불량상태와 함께 비타민 결핍이 나타날 가능성이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 245 Table 6. Blood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vitamin B12 status Normal (n = 440) Low (n = 26) Significance Serum B12 (pg/ml) 732.3 ± 202.4 1) 261.4 ± 77.8 p < 0.001 Total protein (g/dl) 08.34 ± 1.34 08.82 ± 1.84 2) 2) Normal 6.0 Low < 6.0 439 (99.8) 3) 001 (00.2) 026 (100.0) 000 (000.0) χ 2 = 0.0592 Albumin (g/dl) 04.86 ± 0.74 05.16 ± 1.02 p < 0.05 Normal 3.5 Low < 3.5 439 (99.8) 001 (00.2) 026 (100.0) 000 (000.0) χ 2 = 0.0592 Total cholesterol (mg/dl) 229.5 ± 57.7 237.5 ± 82.8 High > 220 Normal 220 231 (52.5) 209 (47.5) 010 (038.5) 016 (061.5) χ 2 = 1.9375 HDL-cholesterol (mg/dl) 058.1 ± 18.4 058.4 ± 24.0 Normal ( 40) Low (< 40) 379 (86.1) 061 (13.9) 023 (088.5) 003 (011.5) χ 2 = 0.1120 LDL-cholesterol (mg/dl) 137.3 ± 45.7 146.8 ± 63.5 High >130 Normal 130 235 (54.4) 205 (46.6) 012 (046.1) 014 (053.9) χ 2 = 0.5188 Triglyceride (mg/dl) 191.1 ± 101.7 195.4 ± 96.6 High > 200 Normal 200 152 (34.6) 298 (65.4) 011 (042.3) 015 (057.7) χ 2 = 0.6504 25-(OH)D3 (ng/ml) 018.7 ± 5.5 17.2 ± 6.7 Adequate > 30 Moderate 20 and < 30 Low 10 and < 20 Deficient < 10 010 (02.3) 157 (35.6) 249 (56.6) 024 (05.5) 002 (07.7) 006 (023.1) 013 (050.0) 005 (019.2) χ 2 = 11.5916 Folate (ng/ml) 07.82 ± 3.98 08.13 ± 5.06 Normal 3 Low < 3 430 (97.7) 010 (02.3) 022 (084.6) 004 (015.4) p < 0.01 χ 2 = 14.4836 p < 0.001 Homocysteine (μmol/l) 015.3 ± 4.3 023.1 ± 12.7 p < 0.001 High > 17 Normal 17 120 (27.3) 320 (72.7) 015 (057.7) 011 (042.3) χ 2 = 11.0397 p < 0.001 hs-crp (mg/l) 01.43 ± 2.92 01.64 ± 2.36 Very high > 3.0 High 1.0 < and 3.0 Normal 1.0 039 (08.9) 113 (25.7) 288 (65.4) 003 (011.5) 009 (034.6) 014 (053.9) χ 2 = 1.4537 HBa1c (%) 06.11 ± 0.59 06.07 ± 0.39 High 6.5 Normal < 6.5 053 (12.1) 387 (87.9) 003 (011.5) 023 (088.5) χ 2 = 0.0060 DHEAS (μg/dl) 032.8 ± 28.6 027.1 ± 14.4 IGF-1 (ng/ml) 093.5 ± 44.0 088.9 ± 43.3 : determined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weight and BMI 1) Mean ± SD 2) not significant at p < 0.05 determined by ANCOVA test or χ 2 -test 3) n (%) 있다 또한 비타민 와 결합하여 흡수를 돕는 내적인자가 분비되는 위를 절제하거나 비타민 의 흡수장소인 회장을 절제한 경우 흡수율은 크게 감소하고 노화에 따른 위산분비의 감소와 위축성 위염의 발생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 감소 등으로 인하여 비타민 결핍이 증가하게 된다 등 은 위축성 위염이 있는 노인들은 정상노인에 비하여 혈중 메틸말론산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더 높았고 헤모글로빈 농도는 더 낮았으며 비타민 결핍율이 더 높았다고 하였다 최 근 식물성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된장이나 청국장 등 우리나라의 전통적 대두발효식품과 김 파래와 같은 해조류가 비타민 를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채식위주의 전통적 한식을 주로 하는 농촌 노인조차도 섭취 비타민 의 약 이상은 동물성식품으로부터 얻고 있었기 때문에 비타민 의 급원식품이 보다 다양해졌기는 해도 여전히 주된 급원식품은 동물성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까지 혈중 메틸말론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증가가

246 / 여자노인에서혈중비타민 B 12 농도에따른임상건강지표비교 비타민 부족을 반영하는 가장 정확한 생화학적 지표로 알려져 있으나 경비가 많이 들어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논란이 있기는 하나 혈중 비타민 농도가 비타민 영양상태를 판정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혈중 비타민 농도가 미만일 때 결핍상태로 판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학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이상을 정상으로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왔고 요즘에는 점차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혈중 비타민 을 정상군으로 미만을 부족군으로 분류하였다 최근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등 의 연구결과 남자의 와 여자의 가 빈혈이었으며 노인에서의 빈혈은 신체적 기능 및 도구적 신체활동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대표적인 혈액학적 변화는 거대적아구성 빈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혈청 비타민 농도와 평균적혈구용적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도 않았고 비타민 정상군과 부족군의 평균적혈구용적 평균값도 차이가 없었다 이는 비타민 가 결핍되면 적혈구 생성과정에서 세포분열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거대적아구를 초래할 수 있지만 본 연구의 부족군은 단지 명만이 결핍 수준 < 에 속하였고 대부분은 였던 관계로 거대적아구 빈혈 발생율이 낮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결과에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나이 체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혈청 비타민 농도는 헤모글로빈 < 및 적혈구 수 < 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비타민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적혈구 수가 유의하게 높았기 때문에 여전히 비타민 영양상태와 빈혈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비타민 가 장기간 미만으로 결핍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연구자들도 혈중 비타민 농도가 낮은 사람 모두가 빈혈이나 거대적아구성 적혈구를 갖고 있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조혈과정에서 비타민 의 생물학적인 기능은 매우 잘 알려져 있지만 여러 연구결과를 보면 혈중 비타민 농도가 낮은 것과 빈혈지표들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들이 많아 의문을 갖게 한다 이에 대하여 연구마다 혈중 비타민 농도에 대한 - 값이 다양하고 혈중 비타민 농도가 조직에서의 비타민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최근 등 은 노인에서 혈중 비타민 농도와 빈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의 평균나이나 중간나이가 세 이상이었던 관찰적 연구와 중재연구 자료를 모아 를 수행한 결과 관찰적 단층연구의 결과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았고 장기적인 관찰연구에서는 낮은 혈중 비타민 농도가 빈혈 위험성의 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또한 개의 중재연구에서는 혈중 비타민 농도가 낮았던 노인들에게 비타민 를 보충하였을 때 헤모글로빈 농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기 때문에 노인에서 혈중 비타민 농도가 낮은 것과 빈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비타민 부족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 고호모시스테인이나 저엽산에 속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아 비타민 영양상태와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내에서 비타민 의 중요한 기능은 호모시스테인으로부터 메티오닌을 합성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효소인 - 의 조효소로서 엽산으로부터 메틸기를 호모시스테인으로 운반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으로 비타민 또는 엽산이 부족하면 메티오닌의 합성이 저해되어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상승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성 및 인지기능 저하와 깊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청신경의 미엘린 합성에 문제를 가져옴으로써 노인들의 청력저하와도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 최근 등 은 단핵구에 호모시스테인을 처리했을 때 유도된 유전자들에 전사인자들이 많이 결합된 것을 확인하여 호모시스테인은 일종의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아미노산이라고 하였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세포실험을 통하여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은 조건에서 파골세포의 활성은 증가하고 조골세포에서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호모시스테인이 골대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네덜란드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관찰연구에서 골밀도에 따라 정상군 골조송증군 골다공증군으로 나누었을 때 정상군이 골다공증군에 비하여 혈중 비타민 농도는 높았으며 건강한 폐경기 모로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엉덩이뼈 골밀도의 주요 예측인자를 분석한 결과 연령 체질량지수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비타민 농도였기 때문에 높은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낮은 비타민 농도가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나이 체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비타민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낮았고 < 골밀도 - 와 - 는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 비타민 영양상태가 뼈대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 247 비타민 정상군은 부족군에 비하여 비타민 결핍율이 유의하게 더 낮았던 결과는 매우 흥미롭고 주목할 만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비타민 영양상태의 지표로 쓰이는 혈중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남자보다 여자에서 감소 속도가 더 빠르며 혈중 농도가 낮은 노인은 골격계 통증 근감소증 신체활동기능저하 허약 증세 및 골절이 증가하고 사망률이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만성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비타민 를 보충 투여한 결과 통증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고 수면상태 활력 삶의 질 관련 지표들이 향상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그 밖에 비타민 부족은 대사증후군 인슐린 저항성 암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퇴행성신경질환 및 인지기능장애와 같이 중대한 노화관련 질병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노화과정에서 충분한 비타민 영양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건강과 삶의 질 유지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로 평가되고 있다 노화가 되어 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진 호르몬인 와 - 수준은 노화로 인하여 촉진되는 근력과 골밀도의 감소 및 체지방비율의 증가 당대사 및 지방대사의 변화 동맥경화증 인지기능 저하 등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정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이들 지표들의 평균값이 높았으나 나이와 체중 체질량지수를 보정했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대상자들의 혈중 비타민 농도 및 임상적 지표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타민 복용상태와 복용약물 조사과정에서 보다 세밀한 정보수집을 하지 못하여 결과분석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고 질병상태에 대하여는 본인의 보고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실제 질병상태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및결론 우리나라 노인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비타민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동시에 노화과정에서 비타민 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남도 담양군과 전라북도 순창군에 거주하는 세 이상 여자노인 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농도에 따라 정상군 과 부족군 < 으로 나눈 후 군 간에 신체계측결과와 건강관련 임상지표들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 비타민 농도는 연령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정상군은 부족군에 비하여 건강하다 고 답한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 건강보조식품이나 영양제 등의 복용율 육체적인 활동 시간 복용하는 약물의 수 흡연율 음주빈도 만성질병 보유수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나이 체중 골밀도를 보정한 상태에서 골밀도 - 와 - 는 부족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 혈청 비타민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평균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 모두 정 상군이 부족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 < 비타민 영양상태가 불량한 대상자는 빈혈의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평균적혈구용적 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 농도가 결핍 수준 < 인 비율 은 부족군 이 정상군 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 았다 < 혈청 엽산의 농도가 결핍 수준 < 인 비율이 정상군 에 비하여 부족군 이 유의하게 높았다 < 혈청 호모시스테인 평균 농도는 정상군 μ 보다 부족군 μ 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은 > μ 비율이 정상군 에 비하여 부족군 훨씬 높았다 < 따라서 혈중 비타민 농도를 충분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노인일수록 빈혈 및 골다공증의 가능성이 낮았고 엽산 과 비타민 의 영양상태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정상수준 으로 유지할 가능성이 큼으로써 혈중 비타민 농도가 낮은 노인에 비하여 노화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기능저하를 지연시 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iterature cited 1) Stabler SP, Allen RH. Vitamin B12 deficiency as a worldwide problem. Annu Rev Nutr 2004; 24: 299-326 2) Johnson MA. Nutrition and aging--practical advice for healthy eating. J Am Med Womens Assoc 2004; 59(4): 262-269 3) Andrès E, Loukili NH, Noel E, Kaltenbach G, Abdelgheni MB, Perrin AE, Noblet-Dick M, Maloisel F, Schlienger JL, Blicklé JF. Vitamin B12 (cobalamin) deficiency in elderly patients. CMAJ 2004; 171(3): 251-259 4) Herbert V. Staging vitamin B-12 (cobalamin) status in vegetarians. Am J Clin Nutr 1994; 59(5 Suppl): 1213S-1222S 5) Kwok T, Cheng G, Woo J, Lai WK, Pang CP. Independent effect of vitamin B12 deficiency on hematological status in older Chinese vegetarian women. Am J Hematol 2002; 70(3): 186-190 6) Baik HW, Russell RM. Vitamin B12 deficiency in the elderly. Annu Rev Nutr 1999; 19: 357-377 7) Johnson MA, Hawthorne NA, Brackett WR, Fischer JG, Gunter EW, Allen RH, Stabler SP. Hyperhomocysteinemia and vitamin B-12 deficiency in elderly using Title IIIc nutrition services. Am J Clin Nutr 2003; 77(1): 211-220 8) Oh R, Brown DL. Vitamin B12 deficiency. Am Fam Physician 2003; 67(5): 979-986 9) Sakuta H, Suzuki T, Yasuda H, Wakiyama H, Hase K. Plasma vitamin B12, folate and homocysteine levels in gastrectomized

248 / 여자노인에서혈중비타민 B 12 농도에따른임상건강지표비교 men. Clin Nutr 2005; 24(2): 244-249 10) Allen LH. How common is vitamin B-12 deficiency? Am J Clin Nutr 2009; 89(2): 693S-696S 11) Lewerin C, Jacobsson S, Lindstedt G, Nilsson-Ehle H. Serum biomarkers for atrophic gastritis and antibodie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in the elderly: implications for vitamin B12, folic acid and iron status and response to oral vitamin therapy. Scand J Gastroenterol 2008; 43(9): 1050-1056 12) Chui CH, Lau FY, Wong R, Soo OY, Lam CK, Lee PW, Leung HK, So CK, Tsoi WC, Tang N, Lam WK, Cheng G. Vitamin B12 deficiency--need for a new guideline. Nutrition 2001; 17(11-12): 917-920 13) Wei W, Liu YH, Zhang CE, Wang Q, Wei Z, Mousseau DD, Wang JZ, Tian Q, Liu GP. Folate/vitamin-B12 prevents chronic hyperhomocysteinemia-induced tau hyperphosphorylation and memory deficits in aged rats. J Alzheimers Dis 2011; 27(3): 639-650 14) Setola E, Monti LD, Galluccio E, Palloshi A, Fragasso G, Paroni R, Magni F, Sandoli EP, Lucotti P, Costa S, Fermo I, Galli-Kienle M, Origgi A, Margonato A, Piatti P. Insulin resistance and endothelial function are improved after folate and vitamin B12 therapy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relationship between homocysteine levels and hyperinsulinemia. Eur J Endocrinol 2004; 151(4): 483-489 15) He K, Merchant A, Rimm EB, Rosner BA, Stampfer MJ, Willett WC, Ascherio A. Folate, vitamin B6, and B12 intakes in relation to risk of stroke among men. Stroke 2004; 35(1): 169-174 16) Ng TP, Feng L, Niti M, Kua EH, Yap KB. Folate, vitamin B12, homocysteine,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population sample of older Chinese adults. J Am Geriatr Soc 2009; 57(5): 871-876 17) Prodan CI, Cowan LD, Stoner JA, Ross ED. Cumulative incidence of vitamin B12 deficiency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J Neurol Sci 2009; 284(1-2): 144-148 18) Tangney CC, Aggarwal NT, Li H, Wilson RS, Decarli C, Evans DA, Morris MC. Vitamin B12, cognition, and brain MRI measures: a cross-sectional examination. Neurology 2011; 77(13): 1276-1282 19) Park S, Johnson MA. What is an adequate dose of oral vitamin B12 in older people with poor vitamin B12 status? Nutr Rev 2006; 64(8): 373-378 20) Smith AD, Refsum H. Vitamin B-12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Am J Clin Nutr 2009; 89(2): 707S-711S 21) Garrod MG, Green R, Allen LH, Mungas DM, Jagust WJ, Haan MN, Miller JW. Fraction of total plasma vitamin B12 bound to transcobalamin correlates with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Latinos with depressive symptoms. Clin Chem 2008; 54(7): 1210-1217 22) Lim HS, Heo YR. Plasma total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12 status in Korean adults.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02; 48(4): 290-297 23) Kim HJ, Kim MK, Kim JU, Ha HY, Choi BY. Major determinants of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a Korean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0; 25(4): 509-516 24) Kim J, Park MH, Kim E, Han C, Jo SA, Jo I. Plasma homocystein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J Nutr 2007; 137(9): 2093-2097 25) Kim G, Kim H, Kim KN, Son JI, Kim SY, Tamura T, Chang N. Relationship of cognitive function with B vitamin status, homocysteine, and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in cognitively impaired elderly: a cross-sectional survey. J Alzheimers Dis 2013; 33(3): 853-862 26)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Diagnosis and therapy of obesity: Asia-Pacific area guideline.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27) Carmel R. Prevalence of undiagnosed pernicious anemia in the elderly. Arch Intern Med 1996; 156(10): 1097-1100 28) Kwak CS, Lee MS, Lee HJ, Whang JY, Park SC. Dietary source of vitamin B12 intake and vitamin B12 statu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lder living in rural area. Nutr Res Pract 2010; 4(3): 229-234 29) Hvas AM, Nexo 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itamin B12 deficiency--an update. Haematologica 2006; 91(11): 1506-1512 30) Stabler SP. Clinical practice. Vitamin B12 deficiency. N Engl J Med 2013; 368(2): 149-160 31) Miller JW, Garrod MG, Rockwood AL, Kushnir MM, Allen LH, Haan MN, Green R. Measurement of total vitamin B12 and holotranscobalamin, singly and in combination, in screening for metabolic vitamin B12 deficiency. Clin Chem 2006; 52(2): 278-285 32) Clarke R, Grimley Evans J, Schneede J, Nexo E, Bates C, Fletcher A, Prentice A, Johnston C, Ueland PM, Refsum H, Sherliker P, Birks J, Whitlock G, Breeze E, Scott JM. Vitamin B12 and folate deficiency in later life. Age Ageing 2004; 33(1): 34-41 33) Bang SM, Lee JO, Kim YJ, Lee KW, Lim S, Kim JH, Park YJ, Chin HJ, Kim KW, Jang HC, Lee JS. Anemia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Korean urban elderl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Ann Hematol 2013; 92(1): 59-65 34) den Elzen WP, van der Weele GM, Gussekloo J, Westendorp RG, Assendelft WJ. Subnormal vitamin B12 concentrations and anaemia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BMC Geriatr 2010; 10: 42 35) Kuo HK, Sorond FA, Chen JH, Hashmi A, Milberg WP, Lipsitz LA. The role of homocysteine in multisystem age-related problems: a systematic review.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60(9): 1190-1201 36) Ravaglia G, Forti P, Maioli F, Martelli M, Servadei L, Brunetti N, Porcellini E, Licastro F. Homocysteine and folate as risk factors for dementia and Alzheimer disease. Am J Clin Nutr 2005; 82(3): 636-643 37) Hooshmand B, Solomon A, Kåreholt I, Rusanen M, Hänninen T, Leiviskä J, Winblad B, Laatikainen T, Soininen H, Kivipelto M. Associations between serum homocysteine, holotranscobalamin, folate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a longitudinal study. J Intern Med 2012; 271(2): 204-212 38) Houston DK, Johnson MA, Nozza RJ, Gunter EW, Shea KJ, Cutler GM, Edmonds JT. Age-related hearing loss, vitamin B-12, and folate in elderly women. Am J Clin Nutr 1999; 69(3): 564-571 39) Meng S, Ciment S, Jan M, Tran T, Pham H, Cueto R, Yang XF, Wang H. Homocysteine induces inflammatory transcriptional signaling in monocytes. Front Biosci 2013; 18: 685-695 40) Herrmann M, Widmann T, Colaianni G, Colucci S, Zallone A, Herrmann W. Increased osteoclast activity in the presence of increased homocysteine concentrations. Clin Chem 2005; 51(12): 2348-2353 41) Sakamoto W, Isomura H, Fujie K, Deyama Y, Kato A, Nishihira J, Izumi H. Homocysteine attenuates the expression of osteocalcin but enhances osteopontin in MC3T3-E1 preosteoblastic cells. Biochim Biophys Acta 2005; 1740(1): 12-16 42) Dhonukshe-Rutten RA, Lips M, de Jong N, Chin A Paw MJ, Hiddink GJ, van Dusseldorp M, De Groot LC, van Staveren WA. Vitamin B-12 status i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content and bone mineral density in frail elderly women but not in men. J Nutr 2003; 133(3): 801-807 43) Ouzzif Z, Oumghar K, Sbai K, Mounach A, Derouiche el M, El Maghraoui A. Relation of plasma total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to bone mineral density in Morocca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Rheumatol Int 2012; 32(1): 123-128 44) Maggio D, Cherubini A, Lauretani F, Russo RC, Bartali B, Pierandrei M, Ruggiero C, Macchiarulo MC, Giorgino R, Minisola S, Ferrucci L. 25(OH)D Serum levels decline with age earlier i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3): 239 ~ 249 / 249 women than in men and less efficiently prevent compensatory hyperparathyroidism in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60(11): 1414-1419 45) Huang W, Shah S, Long Q, Crankshaw AK, Tangpricha V. Improvement of pain,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pain patients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Clin J Pain 2013; 29(4): 341-347 46) Pérez-López FR, Chedraui P, Fernández-Alonso AM. Vitamin D and aging: beyond calcium and bone metabolism. Maturitas 2011; 69(1): 27-36 47) Kim YJ, Moon MS, Yang YJ, Kwon O. Relationship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nd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12; 45(1): 20-29 48) Moon Y, Han SH. Vitamin D deficiency and cognitive dysfunction. Dement Neurocognitive Disord 2012; 11(4): 111-117 49) Kasayama S, Morita S, Otsuki M, Asanuma N, Saito H, Mukai M, Koga M. 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phate in women in middle adulthood. Clin Endocrinol (Oxf) 2007; 66(6): 797-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