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종양 억제인자 p53 단백질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acromolecul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종양 억제인자 p53 단백질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acromolecul"

Transcription

1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1월22일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14년01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C12N 15/62 ( ) C07K 19/00 ( ) C12N 15/70 ( ) A61K 38/17 ( ) (21) 출원번호 (22) 출원일자(국제) 2009년12월02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7월01일 (85) 번역문제출일자 2011년07월01일 (65) 공개번호 (43) 공개일자 2011년09월28일 (86) 국제출원번호 PCT/KR2009/ (87) 국제공개번호 WO 2010/ 국제공개일자 (30) 우선권주장 2010년06월10일 61/193, 년12월02일 미국(US) (56) 선행기술조사문헌 Mike S. S. Chang 등, Science's STKE. Vol. 2000(47), PL. 1 (2000년) Anne Scheller 등,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Vol. 267, pp (2000 년) (73) 특허권자 조대웅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218, 삼익아파트 (도곡동) 주식회사 프로셀제약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273, 1008호 1009호 (구로동, 에이스트윈타워2) (72) 발명자 조대웅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218, 삼익아파트 (도곡동) 임정희 경기도 광명시 금당로 11, 하안주공6단지아파트 603동 1507호 (하안동) (74) 대리인 특허법인이룸 Wenge Wang 등, TRENDS in Biotechnology Vol.22(9), pp (2004년) 전체 청구항 수 : 총 30 항 심사관 : 최준호 (54) 발명의 명칭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 유하는 항암 조성물 (57) 요 약 본 발명은 종양 억제인자 (tumor suppressor) p53 에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이 융합되어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질,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벡터, 및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유 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종 양억제 인자인 p53 을 세포의 핵 내로 전달하여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와 사이클린의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여 세포주기 저해와 세포사멸 유도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기작을 효과적으로 재활성화시키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종양 억제인자 p53 단백질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이 융합되어 있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이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 MTD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 열을 갖는 JO-41 MTD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한쪽 말단에 세포핵 배치 서열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 및 히스티딘-표지 (histidine-tag) 친화성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전장의 p53 N-말단에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 MTD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전장의 p53 C-말단에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 MTD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전장의 p53 양 말단에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전장의 p53 N-말단에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41 MTD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전장의 p53 C-말단에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41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및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전장의 p53 양 말단에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41 MTD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서열번호; 14, 16, 18, 20, 22 및 24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 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서열번호: 48, 50, 52, 54, 56 및 58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 - 2 -

3 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7 제 1 항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13, 15, 17, 19, 21 및 23 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47, 49, 51, 53, 55 및 57 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10 제 7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청구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가 pet28a(+)-hnm 39 p53, pet28a(+)-hnm 41 p53, pet28a(+)-hnp53m 39, pet28a(+)-hnp53m 41, pet28a(+)-hnm 39 p53m 39 및 pet28a(+)-hnm 41 p53m 41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발 현벡터. 청구항 12 제 10 항의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세균. 청구항 13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 1) 제12항의 형질전환 세균을 배양하여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단계; 및 2) 발현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 청구항 14 제 1 항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p53 결손 또는 기능 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용 약학 조성물. 청구항 15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종양 억제인자 p53 의 결절형 (truncated) 단백질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거 대분자 전달 도메인(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이 융합되어 있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이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 MTD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 열을 갖는 JO-41 MTD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4 청구항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한쪽 말단에 세포핵 배치 서열 및 히스티딘-표지 친화성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결절형 p53 N-말단에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 MTD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결절형 p53 C-말단에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39MTD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결절형 p53n-말단에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41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및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결절형 p53 C-말단에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41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19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서열번호: 28, 30, 32, 34, 38, 40, 42 및 44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 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20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서열번호: 64, 66, 68, 70, 72, 74, 76 및 78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 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청구항 21 제 15 항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27, 29, 31, 33, 37, 39, 41 및 43 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서열번호: 63, 65, 67, 69, 71, 73, 75 및 77 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24 제 21 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5 청구항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가 pet28a(+)-hnm 39 Δp53 및 pet28a(+)-hnm 41 Δp53, pet28a(+)-hm 39 Δp53 및 pet28a(+)-hm 41 Δp53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청구항 26 제 24 항의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세균. 청구항 27 제 26 항에 있어서, 형질전환 세균이 대장균 DH5α/HNM 39 Δp53 (기탁번호: KCTC 11596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 세균. 청구항 28 제 26항에 있어서, 형질전환 세균이 대장균 DH5α/HM 39 Δp53 (기탁번호. KCTC 11595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 세균. 청구항 29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15항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 1) 제26항의 형질전환 세균을 배양하여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단계; 및 2) 발현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 청구항 30 제15항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p53 결손 또는 기능 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용 약학 조성물. 명 세 서 [0001]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종양 억제인자 (tumor suppressor) p53 에 거대분자 전송 도메인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이 융합되어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질,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 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벡터 및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p53 결손 또는 기능 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002] [0003] 배 경 기 술 p53은 체내에서 주요한 종양 억제 단백질이며 세포주기 조절, 세포사 (apoptosis)의 시작, DNA 수선 (DNA repair), 노화 (scnescences)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 다양한 신호전달 체계를 통합하는 단백질의 거대한 네트워 크의 중심에 있다. 원발성 종양 (primary tumor)의 약 50% 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관찰되며 나머지에서 는 p53 조절인자들의 변화가 관찰되는 점에서, p53은 인간의 종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실제로 p53 돌연변이 암세포에서 p53을 복구시키면 암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상세포의 경우 p53 단백질은 MDM2 (Murine double minute 2) 와 결합되어 비활성화되고 합성되자마자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여러 스트레스 신호들에 의해 DNA에 손상이 가해지면 p53이 증가되고 활성화되어 세포의 증식을 중지 (arrest) 시키거나 세포사멸을 야기시켜 세포주기를 조절하고 악성전환 (malignant transformation)을 일으키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한, 세포가 증식하기 위해서 G1기를 거쳐 DNA 복제, 그리고 G2기를 거쳐 세포분열 (M기)을 하는 일련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를 세포주기라 하며 여러 확 인지점 (check point)이 있어서 세포주기를 조절한다. G1기를 유도하는 주된 요소 중의 하나가 p53 전사인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p21 단백질이다. p21 단백질은 사이클린-CDK 복합체 (cyclin-cyclin dependent kinase - 5 -

6 complex)의 저해제로 p53에 의해 유도되는 p21발현 증가에 의해 사이클린-CDK 복합체의 활성을 저해하게 된다. [0004] [0005] [0006] [0007] [0008] [0009] [0010] MDM2 (Murine double minute 2)는 대표적인 p53 저해인자로서 p53 전사 활성화 도메인에 결합함으로써 p53이 타겟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p53에 대한 유비퀴틴리가아제 (ubiquitin ligase)로 작용하 여 p53을 유비퀴틴화 (ubiquitinylation) 시킴으로써 26S proteasome 경로를 통해 분해시킨다, 손상을 입은 세 포에서 유도된 p53은 MDM2의 전사를 활성화 시키며, MDM2는 p53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p53이 분해되면 다시 MDM2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렇게 p53과 MDM2 사이의 피드백 기작에 의해 조절된다. 돌연변이 (mutant) 또는 비활성화 (inactivated)된 p53은 대부분의 인간 종양에서 발견되는데, p53과 관련된 신 호전달체계는 매우 복잡한 조직특이성을 갖는다. 섬유모세포 (fibroblast)나 상피세포 (epithelial cell)는 DNA 손상 및 수복이 이루어질 때 p53이 세포성장주기를 한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방식으로 G1기와 G2기 상에 묶어 두 어 세포의 성장 및 분열을 억제한다. 인간의 p53 유전자는 39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로 4개의 기능적 인 도메인으로 구성된 모듈구조로서 유기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단백질의 주요한 부분은 도메인의 핵심 (core) 으로 알려진 p53 DNA 결합도메인 (DNA binding domain: DBD, 아미노산 )이다. 이미 알려진 모든 종양성 돌연변이의 약 90%가 이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p53의 조절과 활성화는 돌연변이 산물 ATM (ataxiatelangiectasia mutated)과 ATR(ataxia telangiectasia and Rad3 related)에 의해 매개되는 세린 (Ser)과 트레 오닌 (Thr)의 인산화, 히스톤 아세틸라아제 (histone acetylase)에 의한 p53 전사기능 조절, 카르복시 말단영역 의 라이신 잔기의 유비키틴화와 서모일레이션에 의한 단백질 번역 후 이러한 변경을 통해 나타난다. 분자암 치료에서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은 돌연변이에 의해 p53 활성을 잃은 종양에서 야생형 (wild type) p53 기능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지금까지의 방법은 유전자 도입 (gene delivery)에 의해서 돌연 변이된 p53 을 가진 종양에 야생형 p53을 발현시키는 방법이나, 또는 종양에서 p53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소분자를 찾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모든 시도들은 지금까지 충분치 못한 가능성만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적절 한 물리 화학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암 치료제로서 특징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양 억제인자인 p53에 거대분자의 세포 내 전송을 가능케 하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을 융합시켜 세포 투과성을 부여한 p53 재조합 단백질 (Cell Permeable CP-p53)을 제조하여 항암효능을 가진 질병치료 물질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팀이 개발한 거대분자 세포 내 전송 도메인 (MTD)의 경우 세포간 전달 (cell-to-cell delivery)이 가능 하여 모든 종류의 투여 경로를 통해 거대분자의 전신적 전송이 가능하므로, CP-p53이 생체 세포 내로 효과적으 로 전달되어 인간의 다양한 암에서 발생되는 p53 결손 (deficiency) 또는 기능 상실 (loss-of function)을 치 료할 수 있는 신개념의 단백질 소재 바이오 신약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내에서 p53의 과발현을 유도하거나 p53 단백질을 직접 체내에 고효율로 전송할 수 있다면 종양형성 및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규 항암제의 개발을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한편, 합성화합물 (synthetic compound) 또는 천연물의 작은 분자들 (small molecules)은 세포 안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단백질, 펩티드, 핵산 같은 거대분자들 (macromolecules)은 분자량 때문에 세포 내로 전송될 수 없 다. 이러한 거대 분자들은 분자량 500 이상의 거대분자로 살아있는 세포의 원형질막 (plasma membrane), 즉 이 중 지질막 구조 (lipid bilayer structure)를 통과할 수 없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 로 "거대분자 세포 내 전달기술 (macromolecule intracellular transduction technology: MITT)"이 개발되었는 데 (한국특허출원: 제 호, 미국특허출원: 12/524935, 캐나다특허출원: 제2,676,797호, 중국특허 출원: 제 호, 호주특허출원: 제 호, 인도특허출원: 5079/CHENP/2009, EU특허출원: 제 호, 일본특허출원: 출원번호 미지정(USPP: 60/887,060에 기초한 우선권 주장)), 이는 치료용 거대분 자들 (therapeutic macromolecule)의 생체 내 전달을 가능케 함으로써 기존의 의약품 개발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펩티드, 단백질, 유전자 자체 등을 이용한 바이오 신약물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에 따르면, 거대분자 들은 "소수성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hydrophobic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과 다른 여러 가지 세 포 내 운반체들과 융합되어 재조합 단백질 형태로 합성 또는 발현, 정제되고 생체내 투여되어 세포 내로 전달된 후, 특정 세포내 위치로 정확하고 빠르게 운반되어 필요한 여러 가지 역할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처 럼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TD)은 펩티드, 단백질, DNA, RNA, 합성화합물 등과 융합되어 세포 내로 들어갈 수 없는 많은 불투과성 물질들의 전송을 가능케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양 억제인자 p53에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을 융합시켜 세포투과성을 부여한 p53 재조합 단 백질을 제조하고 이 재조합 단백질이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 환경 하에서도 세포 외부로부터 대량의 종 양 억제인자 p53을 세포의 핵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인간의 다양한 암에서 발생되는 p53 결손 또는 기능 상 - 6 -

7 실을 치료할 수 있는 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내용 [0011]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양 억제인자 p53 에 세포투과성을 부여하여 이를 세포 내로 고효율로 도입함으로써 인간의 다양한 암에서 발생되는 p53 결손 또는 기능 상실을 치료할 수 있는 항암제로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0012] [0013] [0014] [0015] [0016]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양 억제인자 p53 과 거대분자 전송 도메인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의 융합으로 세포투과성이 부여되어 p53 을 세포 내로 고효율로 도입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및 이 발현벡터로 형질 전환된 형질전환 세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질전환 세균을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 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p53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투과성 p53 결손 또는 기능 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0017]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질은 종양 억제인자 p53을 세포의 핵 내로 고효율로 도입하 여 사이클린-CDK 복합체 형성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저해함으로써 생체 내 불필요한 세포증식을 억제 하고, 이로 인해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인간의 다양한 암에 대한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18]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각각 본 발명에서 거대분자 전송 도메인 (MTD)으로 사용된 JO-39 및 JO-41 MTDs 의 정량적 세포투과성 을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서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TD)으로 사용된 JO-39 및 JO-41 MTDs 의 세포투과성을 NIH3T3 세 포에서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고, 도 3 는 본 발명에서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TD)으로 사용된 JO-39 및 JO-41 MTDs 의 조직투과성을 다양한 마 우스 조직에서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장 형태의 p53 에 JO-39 및 JO-41 MTDs가 각각 융합된 p53 재조합 단백질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결절형 (truncated) p53 에 JO-39 및 JO-41 MTDs 가 각각 융합된 p53 재조합 단백질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장 형태와 결절형의 p53 에 JO-39 및 JO-41 MTDs 가 각각 융합된 p53 재조합 단백질 을 코딩하는 cdna 를 PCR 로 증폭한 결과이고, 도 7 은 도 6 의 PCR 증폭산물이 pgem-t Easy 벡터에 클로닝 되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p53 재조합 단편을 pet-28a(+)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p53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단백질 발현 유도제인 IPTG 의 존재(+) 또는 부재 (-) 하에서 조사한 결과이고, 도 10 은 JO-39 및 JO-41 MTDs 와 세포핵 배치 서열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이 결절형의 p53 에 - 7 -

8 각각 융합되어 있는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 투과성을 측정을 유세포분석기로 관찰한 결과이고, 도 11 은 JO-39 및 JO-41 MTDs 와 세포핵 배치 서열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 이 전장형태의 p53 과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을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12 는 JO-39 및 JO-41 MTDs 와 세포핵 배치 서열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 이 결절형의 p53 과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을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결절형의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 내 기능을 인간 결장암 세포주인 HCT- 116 세포주에서 웨스턴 블롯팅으로 p21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이고,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절형의 p53 재조합 단백질을 종양이 형성된 마우스에 피내주사로 매일 투여하면서 17 일 동안 매일 종양 크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절형의 p53 재조합단백질을 종양이 형성된 마우스에 피내주사로 매일 17 일 동안 투 여한 뒤 투여 전과 투여 종료 후의 종양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0019] [0020] [0021] [0022] [0023] [0024] [0025]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종양 억제인자 p53 과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TD)의 융합으로 세포투과성이 부여되어 p53 을 세포 내로 고효율로 도입할 수 있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CP-p53)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양 억제인자 p53과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TD)의 융합으로 세포투과성이 부여된 단백질을 사용하 였다. 상기에서 세포핵 배치 서열(NLS)에 전장형태의 p53이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로서 NLS-p53(Np53)은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11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 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에서 JO-39 MTD(MTD 39 )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NLS-MTD 39 -p53(nm 39 p53)은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26] NLS-p53-MTD 39 (Np53M 39 )은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27] NLS-MTD 39 -p53-mtd 39 (NM 39 p53m 39 )은 서열번호: 1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17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28] [0029] 상기에서 JO-41 MTD(MTD 41 )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NLS-MTD 41 -p53(nm 41 p53)은 서열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19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30] NLS-p53-MTD 41 (Np53M 41 )은 서열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31] NLS-MTD 41 -p53-mtd 41 (NM 41 p53m 41 )은 서열번호: 2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23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32] [0033] [0034] 상기에서 결절형 (truncated) p53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에 사용되는, Δp53 은 서열번호: 2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25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에서 세포핵배치 서열에 결절형 p53 이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로서, - 8 -

9 [0035] [0036] [0037] NLS-Δp53(NΔp53)은 서열번호: 3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3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상기에서 JO-39 MTD(MTD 39 )를 이용하여 제조된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MTD 39 -Δp53(M 39 Δp53)은 서열번호: 2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에를 들면, 서열번호: 27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38] Δp53-MTD 39 (Δp53M 39 )은 서열번호: 30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29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39] NLS-MTD 39 -Δp53(NM 39 Δp53)은 서열번호: 3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37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40] NLS-Δp53-MTD 39 (NΔp53M 39 )은 서열번호: 40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39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41] [0042] 상기에서 JO-41 MTD(MTD 41 )를 이용하여 제조된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MTD 41 -Δp53(M 41 Δp53)은 서열번호: 3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31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43] Δp53-MTD 41 (Δp53M 41 )은 서열번호: 3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33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 되고; [0044] NLS-MTD 41 -Δp53(NM 41 Δp53)은 서열번호: 4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41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45] NLS-Δp53-MTD 41 (NΔp53M 41 )은 서열번호: 4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43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46] [0047] [0048]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리, 정제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p53 재조합 단백질에 히스티딘 표지(His-tag)가 추가 로 포함된 형태도 사용된다. 상기에서 JO-39 MTD(MTD 39 )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NLS-MTD 39 -p53(hnm 39 p53)은 서열번호: 4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47 의 염 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49] His-NLS-p53-MTD 39 (HNp53M 39 )은 서열번호: 50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49 의 염 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50] His-NLS-MTD 39 -p53-mtd 39 (HNM 39 p53m 39 )은 서열번호: 5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51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51] [0052] 상기에서 JO-41 MTD(MTD 41 )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NLS-MTD 41 -p53(hnm 41 p53)은 서열번호: 54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53 의 염기서 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53] His-NLS-p53-MTD 41 (HNp53M 41 )은 서열번호: 5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55 의 염 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54] His-NLS-MTD 41 -p53-mtd 41 (HNM 41 p53m 41 )은 서열번호: 5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57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55] 또한, 상기에서 제조된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JO-39 MTD(MTD 39 )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 9 -

10 [0056] His-MTD 39 -Δp53(HM 39 Δp53)은 서열번호: 6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63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57] His-Δp53-MTD 39 (HΔp53M 39 )은 서열번호: 6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65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58] His-NLS-MTD 39 -Δp53(HNM 39 Δp53)은 서열번호: 6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67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59] His-NLS-Δp53-MTD 39 (HNΔp53M 39 )은 서열번호: 7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69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60] [0061] 상기에서 JO-41 MTD(MTD 41 )를 이용하여 제조된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MTD 41 -Δp53(HM 41 Δp53)은 서열번호: 7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71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62] His-Δp53-MTD 41 (HΔp53M 41 )은 서열번호: 7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73 의 염기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63] His-NLS-MTD 41 -Δp53(HNM 41 Δp53)은 서열번호: 7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7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064] His-NLS-Δp53-MTD 41 (HNΔp53M 41 )은 서열번호: 7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77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065] [0066] [0067] [0068] [0069] [0070] [0071] [0072] [0073] 본 발명의 특징은 거대분자 세포 내 전달기술 (MITT)을 이용하여 세포 내로의 도입이 용이하지 않은 거대분자인 종양 억제인자 p53 에 특정한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이하, "MTD"로 약칭함)을 융합시켜 세포투과성을 부여함으 로써 p53 을 세포 내로 고효율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은 p53 의 한쪽 말단에만 융합되 거나, 또는 그의 양쪽 말단 모두에 융합될 수 있다. 분비 단백질 (secreted protein) 유래 소수성 펩티드인 MTD 를 이용한 세포 내 전달기술은 생체 내 p53 농도의 실시간 정량적 조절 (real-time quantitative regulation) 을 가능케 하여 p53 의 암 조직으로의 전달을 매개하고 개개의 암세포 내로 분포될 수 있게 만든다. 이러한 효과는 암세포에서 억제되어있는 p53 의 활성화 단계를 회복시켜줌으로써 세포주기 억제효과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양 억제인자 p53에 융합될 수 있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TD)으로서 세포 내로 거대분자의 전달을 가능케 하는 펩티드 도메인에 상기 p53을 융합하여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질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이란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과 종양 억제인자 p53 을 포함하며, 이 들의 유전적 융합이나 화학적 결합으로 형성된 공유결합 복합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유전적 융합" 이란 단백질 을 코딩하는 DNA 서열의 유전적 발현을 통해서 형성된 선형의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을 의미한다.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저해함으로써 생체 내의 불필요한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p53 은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종양 억제인자로서, G1 기에서 세포분열 진행을 조절하는 세포주기 저 해 단백질로 작용한다. 종양 억제인자 p53 은 서열번호: 2 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번부터 393번까지의 아미노산 을 포함하는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종양 억제인자 p53 의 결정형인 Δp53은 서열번호: 3 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종 양억제인자로서 아미노산 서열에서 1번부터 101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종양 억제인자 p53 에 융합될 수 있는 다른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는 서열번호: 5 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세포투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사용될 수 있다. 종양 억제인자 p53 에 융합될 수 있는 다른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는 서열번호: 7 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세포투과성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8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

11 인은 세포막을 관통하여 폴리펩티드, 단백질 도메인, 또는 전장 단백질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활성 분자의 세포 내로의 유입을 매개할 수 있는 세포투과성 폴리펩티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은 N-말단 영 역, 소수성 영역 및 C-말단의 분비 단백질 절단 부위 (secreted protein cleavage site)의 3 부분으로 이루어 진 시그널 펩티드 (signal peptides)에서 헬릭스 (helix)를 형성해 세포막 표적 (targeting) 활성을 부여하는 소수성 영역을 갖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은 세포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직접 세포 막을 관통함으로써 표적 단백질을 세포 내로 이동시켜 목적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0074] [0075] 본 발명에 따라 종양 억제인자 p53 과 Δp53 에 융합될 수 있는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8 로 기재되는 아 미노산 서열을 갖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0076] [0077] [0078] [0079] [0080] [0081] [0082] [0083] [0084] [0085]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질은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 상기 2 종의 MTDs 중의 어느 하나 가 종양 억제인자 p53 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융합되고, 필요에 따라, 이 융합 컨스트럭트의 한쪽 말단에 SV40 거대 T 항원 (SV40 large T antigen) 유래 세포핵 배치 서열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과 용 이한 정제를 위한 히스티딘-표지 (histidine-tag, His-Tag) 친화성 도메인이 융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 다. 종양 억제인자 p53 에 융합될 수 있는 세포핵 배치서열로는 서열번호: 9 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10 의 아미 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다른 세포 핵 배치서열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종양 억제인자 p53 에 융합될 수 있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 아밀로이드 베 타 A4 단백질 전구체 (Amyloid beta A4 protein precursor, ABPP) 로부터 유래된 서열번호: 6 의 아미노산 서 열을 갖는 JO-39 MTD (이하, "MTD39"로 약칭함), 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코엘리콜러 (Streptomyces coelicolor)로부터 유래된 분비 단백질 (secreted protein)인 서열번호: 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JO-41 MTD (이하, "MTD 41 "로 약칭함)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 JO-39 MTD 또는 JO-41 MTD 를 이용한 세포투과 성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이들 각각에 대해 2 개의 전장 형태 (full-lengthforms)를 고안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p53 의 전장 형태"는 종양 억제인자 p53 의 서열번호: 2 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 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부가, 삽입 또는 치환을 포함하지 않는 온전한 형태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 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전장 형태의 p53 뿐만 아니라, p53 의 항암활성을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 내에서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부가, 삽입 또는 치환에 의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하 는 p53 유도체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 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은 1) 전장 p53의 N-말단에 His-NLS와 JO-39 MTD가 융합된 His-NLS-MTD 39 -p53(hnm 39 p53), 2) 전장 p53의 N-말단에 His-NLS와 C-말단에 JO-39 MTD가 융합된 His-NLS-p53-MTD 39 (HNp53M 39 ), 3)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JO-39 MTD 와 C-말단에 JO-39 MTD가 융합된 His-NLS-MTD 39 -p53- MTD 39 (HNM 39 p53m 39 ), [0086] [0087] [0088] 4) 전장 p53의 N-말단에 His-NLS와 JO-41 MTD가 융합된 His-NLS-MTD 41 -p53(hnm 41 p53), 5) 전장 p53의 N-말단에 His-NLS와 C-말단에 JO-41 MTD가 융합된 His-NLS-p53-MTD 41 (HNp53M 41 ), 6)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JO41 MTD 와 C-말단에 JO-41 MTD 가 융합된 His-NLS-MTD 41 -p

12 MTD 41 (HNM 41 p53m 41 )의 형태일수 있고, 또는 [0089] [0090] [0091] [0092] [0093] [0094] [0095] [0096] [0097] [0098] 상기 1) 내지 6)의 재조합 단백질에서 히스티딘 표지 (His-tag)가 포함되지 않은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 JO-39 MTD 및 JO-41 MTD 를 이용한 세포투 과성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결절형 (truncated form) p53"은 서열번호: 4 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 번부터 101 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도메인을 갖는 종양억제인자 p53 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뿐만 아 니라, Δp53 의 항암활성을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 내에서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부가, 삽입 또는 치환에 의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하는 Δp53 유도체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도5를 참고로 하면,본 발명에 따른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은, 7)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및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HTD 39 -Δp53(HNM 39 Δp53), 8)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와 C-말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Δp53-MTD 39 (HNΔp53M 39 ), 9)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및 JO-41 MTD 가 융합된 His-NLS-MTD41-Δp53(HNM 41 Δp53), 10)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와 C-말단에 JO-41 MTD 가 융합된 His-HLS-Δp53-MTD 41 (HNΔp53M 41 ), 11)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JO-39 MTD 가 융합된 His-MTD 39 -Δp53(HM 39 Δp53), 12) 결절형 p53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가 융합되고, C-밀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His-Δp53-MTD 39 (HΔ p53m 39 ), [0099] [0100] 13)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JO-41 MTD 가 융합된 His-MTD 41 -Δp53(HM 41 Δp53), 14) 결절형 p53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가 융합되고, C-말단에 JO-41 MTD가 융합된 His-Δp53-MTD 41 (HΔp53M 4 1)의 형태일수 있고, 또는 [0101] [0102] [0103] [0104] [0105] [0106] [0107] 상기 7) 내지 14)의 재조합 단백질에서 히스티딘 표지 (His-tag)가 포함되지 않은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대조군으로서 MTD 가 융합되지 않고 히스티틴 표지와 NLS 만이 융합된 p53 재조합 단백질 His-NLS-p53(HNp53)을 제조한다. 이 대조군 단백질은 서열번호: 4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4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대조군으로서, MTD 가 융합되지 않고 히스티틴 표지만이 융합된 Δp53 재조합 단백질 His-Δp53(HΔp53)을 제조한다. 이 대조군 단백질은 서열번호: 60 의 아미노산 서 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59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다른 대조군으로서, NTD 가 융합되지 않고 히스티 딘 표지와 NLS 만이 융합된 Δp53 재조합 단백질 His-NLS-Δp53(HNΔp53)을 제조한다. 이 대조군 단백질은 서열 번호: 6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61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 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 터 및 이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세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재조합 발현벡터"란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 또는 목적 RNA 를 발현할 수 있는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제작물을 말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operably linked)"은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핵산 발현조절 서열 과 목적하는 단백질 또는 RNA 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 (functional linkage)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프로모터와 단백질 또는 RNA 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코딩하는 핵산 서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재조합 발현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

13 진 효소 등을 사용한다. [0108] [0109]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발현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스미드 (cosmid)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발현벡터는 프로모터 (promoter), 오퍼레이터 (operator), 개시코돈 (initiation codon), 종결코돈 (termination codon), 폴리아데닐화 신호 (polyadenylation signal), 인핸서 (enhancer)와 같은 발현 조절서열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신호서열 (signal sequence) 또 는 리더서열 (leader sequence)을 포함하여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발현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 적 (constitutive) 또는 유도성 (inducible)일 수 있다. 또한 발현벡터는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마커를 포함하고, 복제가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재조합 발현벡터는 예를 들면, pet28a(+)-hm 39 p53 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발현벡 터 pet28a(+)-hm 39 p53 은 pet-28a(+) 벡터 (Novagen, Germany)의 다중 클로닝 부위 (multi cloning site, MCS) 중 NdeI 제한 효소 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전장의 p53 N-말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 HM 39 p53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가 삽입된 벡터를 의미한다. [0110] [0111] [01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백질의 정제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N-말단 부 위에 인위적으로 6 개의 히스티딘표지를 포함시켜 발현시키기 위하여, His-Tag 서열을 가지고 있는 pet-28a(+) 벡터 (Novagen, USA)에 본 발명의 뉴클레오티드를 클로닝한다.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부터 발현되는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전장 형태의 p53 의 한쪽 또는 양쪽 말 단에 JO-39 MTD 및 JO-41 MTD 중의 하나가 융합되고, 그의 N-말단 부위에 히스티딘-표지와 NLS 가 연결되어 있 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 세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세균은 바 람직하게는 대장균일 수 있으며, 대장균을 본 발명의 재조합 발현벡터,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장의 p53 N-말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세포투과성 재조합 단백질 HM 39 p53 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pet28a(+)-hm 39 p53 을 이용함으로써 많은 양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다. 형 질전환은 핵산을 숙주세포에 도입하는 어떠한 방법도 포함되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형질전환 기술에 의해 수행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세사출법 (microprojectile bombardment), 전기충격 유전자 전달법 (electroporation), 인산칼슘 (CaHPO 4 ) 침전, 염화칼슘 (CaCl 2 ) 침전, PEG-매개 융합법 (PEG-mediated fusion), 미세주입법 (microinjection) 및 리포좀 매개법 (liposome-mediated method)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 는다. [011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결절형 p53 N-말단에 세포핵 배치 서열과 JO-39 MTD 가 융합된 HNM 39 Δp53 및 결절형 p53 N-말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HM 39 Δp53 각각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를 대장균 DH5α 에 형질전환시켜 수득된 형질전환 세균을 2009 년 11 월 17 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내 생물자원센터 (Biological Resource Center)에 기 탁번호 KCTC11596BP 및 KTC11595BP로 기탁하였다. [0114] [0115] [0116]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형질전환 세균을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형질전환 세균에 도입된 재조합 발현벡터에서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 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발현되도록 형질전환 세균을 적절한 배지 및 조건 하에서 배양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형질전환 세균을 배양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형질전환 세균이 성장할 수 있는 적합한 배지에 접종하여 종배양한 후, 이를 본 배양용 배지에 접종 하고 적합한 조건, 예컨대 유전자 발현 유도제인 아이소프로필-β-D-티오갈락토사이드 (isopropyl-β-dthiogalactoside, IPTG)의 존재 하에서 배양함으로써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배양이 완료되면, 상기 배양물로부터 실질적으로 순수한 재조합 단백질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이 숙주세포로부터 유래된 다른 단백질을 실질 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형질전환 세균에서 발현된 재조합 단백질의 회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분리 및 정제 방법을 통해 수 행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세포 조각 (cell debris), 배양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포 용해물을 원심

14 분리한 후, 침전, 예를 들어, 염석 (황산암모늄 침전 및 인산나트륨 침전), 용매 침전 (아세톤, 에탄올 등을 이 용한 단백질 분획 침전)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투석, 전기영동 및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할 수 있 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로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 HPLC, 역상-HPLC, 친화성 컬 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한외여과 등의 기법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Maniatis 등,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82; Sambrook 등,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Deutscher, M., Guide to Protein Purification Methods Enzymology vol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1990). [0117] [0118] [0119] [0120] [0121] [0122] 한편,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균에서 발현된 재조합 단백질은 단백질 분리 시 단백질의 특성에 따라 용해성 분획 (soluble fraction)과 불용성 분획 (insoluble frac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발현된 단백질의 대부분이 용해성 분획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별다른 어려움 없이 단백질을 분리 및 정제 할 수 있다. 그러나 발현된 단백질의 대부분이 불용성 분획, 즉, 봉입체 (inclusion body) 형태로 존재하는 경 우에는, 우레아, 계면활성제 등의 단백질 변성제가 포함된 용액으로 최대한 단백질을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투석, 전기영동 및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수행함으로써 정제할 수 있다. 이때, 단백질 변성제가 포함 된 용액에 의해 단백질의 구조가 변형되어 그 활성을 잃을 수 있으므로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단백질을 정제하는 과정 중에는 탈염 및 원상화 (refolding) 단계가 필요하다. 즉, 상기 탈염 및 원상화 단계는 단백질 변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용액을 이용하여 투석 및 희석을 수행하거나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성 분획으로부터 단백질을 정제하는 과정중에도 정제 시 사용하는 용액 내의 염 농도가 높을 경 우에는 이러한 탈염 및 원상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이 봉입체 형태로서 불용성 분획에 존재함을 확인하고,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이를 정제하기 위하여 용해성 분획을 트리톤 X-100 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완충액에 용해시킨 다음 초음파로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한다. 상기 수득 한 침전물을 변성제인 우레아가 포함되어 있는 용액에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다. 우레아를 이용하여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최대한 용해된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히스티딘-결합 정제 키트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이후 정제된 단백질은 투석막 등을 이용한 투석에 의해 염분의 제거 및 단백질 구조의 원상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p53 결손 또는 기능 상실을 치 료하기 위한 항암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양 억제인자인 p53 이 결손되거나 기능이 상실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 질은 세포의 핵 내로 종양 억제인자인 p53 을 고효율로 도입하여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와 사이클린의 복합 체 형성을 방해하고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저해함으로써 생체 내의 불필요한 세포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을 갖는 p53 재조합 단백질은 세포주기 저해와 세포사멸 유도에 관연하는 신 호전달 기작의 재활성화를 통해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인간의 다양한 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항 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컨대 경구 투여 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 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용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단백질은 부형제와 혼합되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및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 용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하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 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 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사용할 수 있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 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 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 (예: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스

15 및/또는 글리신)와 활택제 (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 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를 추 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0123] [0124] [0125] [0126] [0127] [0128] [0129]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부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와 같은 보조제와 기 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으로 또는 정맥내, 피하, 비강내 또는 복강내 등과 같은 비경구적으로 사람과 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설하 적용도 포함한다. 비경구적 투여는 피하 주사, 근육내 주사, 정맥 주사, 종양 직접 주사와 같은 주사법 및 점적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 (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 (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 (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 으나, 통상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1 회 투여 시 5 내지 20 mg의 유효 투여량으로 하루에 수차례 반복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 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을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항암 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 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 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선택된 MTB 의 세포투과성 실험 <1-1>유세포 분석 (flow cytometry) 본 발명에 따른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 (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으로서 이후의 실시예에 사용 되는 JO-39 MTD(MTD 39 ) 및 JO-41 MTD (MTD 41 )의 세포투과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문헌 (Yang Y. 등, FEBS Lett. 532(1-2): 36-44, 2002; Motejadded H, 등, Biotechnol Lett. 31(4): 543-9, 2009)에 기재된 방법 에 따라 EGFP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에 상기 각각의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을 제조하여 이들의 세포내 유입을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로 분석하였다. [0130] 이를 위해 가용성 형태로 분리, 정제된 EGFP-MTD 39 및 EGFP-MTD 41 의 재조합 단백질을 FITC (fluorescein-5- isothiocyanate, Molecular Probe)를 이용하여 형광 표지하였다. 2 내지 20 mg의 재조합 단백질에 333 mg/ml 농도의 FITC 1 μl를 혼합한 후 빛을 피해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결합시켰다. 형광으로 표지된 EGFP- MTD 39 및 EGFP-MTD 41 의 재조합 단백질을 4 에서 1 일간 DMEM 배지에 대해 투석하여 표지되지 않은 FITC 를 제 거하였고, 이로부터 회수된 재조합 단백질은 브래드포드 (Bradford) 단백질 정량법으로 그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는 약 1 μg/μl로 측정되었다. [0131] [0132] 한편,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유래된 RAW 세포 (한국세포주은행, 서울, 대한민국)를 10%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500 m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 (WclGENE)에 접종하고 37, 5% CO 2 의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기에서 준비된 FITC-표지 EGFP-MTD 39 및 EGFP-MTD 41 재조합 단백질 각각을 10 μm 농도로 RAW 세포에 처리한 후 37 에서 1 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이 처리된 RAW 세포의 세 포막에 노출되어 있는 유리 FITC 를 제거하기 위해 트립신/EDTA (T/E, Invitrogen)를 처리하고, 저온의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 회 세척하였다. 준비된 세포에 대해 셀퀘스트 프로 세포측정 분석 소프트웨어 (CsllQuest Pro cyometric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한 FACScan 유세포 분석기 (flow cytometly, Becton Dickinson, CA)로 분석하였다. 이때 각 시료의 세포 농도는 세포/μl이었고, 분석 실험은 2 회 이상 수행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EGFP-MTD 39 및 EGFP-MTD 41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은 세포투과성이 없을 거라 기대

16 되는 음성 대조군 (scrambled MTD), 세포투과성이 이미 확인된 양성 대조군 (kfgf4-유래 MTD), FITC-형광 단일 처리군 및 단백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을 비교군으로 하여 세포투과성을 결정하였다. [0133] 그 결과,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서 JO-39 MTD 와 JO-41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원형질막 투과 능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1에서 회 색의 곡면은 세포 단독, 검은색 점선 1( )은 FITC 단독, 점선 2 ( )는 세포투과성이 없는 음성 대조 군 (scrambled MTD), 점선 3( )은 세포투과성 있는 양성 대조군 (kfgf4-유래 MTD), 실선은( )JO-39 MTD 와 JO-41 MTD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을 나타낸다. [0134] [0135] <1-2> 동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 I 상기 실시예 <1-1>에서 유세포 분석으로 1 차적으로 세포투과성이 확인된 JO-39 MTD 와 JO-41 MTD 의 세포 내 전달부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섬유아세포에서 유래한 NIH3T3 세포 (한국세포주은행, 서울, 대한민국)에 FITC-표지된 EGFP-MTD 39 및 EGFP-MTD 41 재조합 단백질을 10 μm 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1 시 간 동안 배양한 후 동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다. 사용된 NIH3T3 세포는 8-웰 챔버 슬라이드 (8-well chamber slide, LabTek, Nalgen Nunc)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 다. 이때, NIH3T3 세포는 10% FBS 및 5%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500 m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 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 로 3 회 세척한 후, 무혈청 DMEM, FITC 함유 무혈청 DMEM, 또는 FITC-표지된 재조합 단백질 각각을 10 μm로 함유하는 무혈청 DMEM으로 37, 5% CO 2 하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araformaldehyde)로 실온에서 20 분간 처리하여 고정시켰다. [0136] [0137] [0138] [0139] [0140] [0141] 상기에서 고정된 세포는 MTD 의 세포 내 전달부위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핵을 형광 염색하는 PI (propidium iodide, Sigma-Aldrich) 대조염색을 통해 핵으로의 전달 및 세포투과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1 μg/ml 농도로 5 분간 PI 로 염색한 후, 세포를 PBS 로 3 회 세척하였다. 세포 내 재조합 단백질의 형광표지를 보존하기 위해 10 μl의 DABCO (Fluca) 함유 폴리비닐 알코올 중첩 배지 (mounting medium)를 슬라이드 위에 점적한 후 15 분 후 에 동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동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은 노르마스키 필터 (normaski filter)를 이용하여 세포의 원형, FITC 형광 및 PI 형광을 관찰하였고, FITC 는 488 nm에서 여기되고 530 nm대 역통과 필터 (bandpass filter)로 검출되었다. 그 결과,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로서 JO-39 MTD 와 JO-41 MTD 가 융합된 재조합 단백질은 세포 단독, FITC 단독, 음성 대조군 (scrambled MTD) 및 양성 대조군 (kfgf4-유래 MTD) 대조군에 비하여 핵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JO-39 MTD 및 JO-41 MTD 재조합 단백질 의 세포내 핵 국소화는 상기 유세포 분석의 상대적 세포투과성 결과에 비례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선택된 MTD 의 조직투과성 실험 <2-1> 동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 상기 실시예 1 에서 배양된 세포를 대상으로 세포투과성이 확인된 본 발명의 JO-39 MTD 및 JO-41 MTD 가 조직 상태에서의 투과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FITC-표지된 EGFP-MTD 39 및 EGFP-MTD 41 재조합 단백질을 2 가지 대조군 (음성 대조군 (scrambled MTD) 및 양성 대조군 (kfgf5-유래 MTD)과 함께 7 주령의 누드마우스 (Balb/c nu/nu mice, 중앙실험동물, 서울)에 300 μg씩 복강 주사 (intraperitoneal injection) 하였다. 1.5 시간 후 각 그룹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이로부터 간, 신장, 비장, 폐, 심장 및 뇌 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조직을 OCT 화합물로 봉입하고 냉동시킨 후 마이크 로톰 (microtome)을 이용하여 두께 14 μm로 박절하였다. 조직 절편을 슬라이드 위에 놓고 동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재조합 단백질의 형광표지를 보존하기 위하여 10 μl의 중첩 배지 (mounting medium)를 슬라이드 위에 점적한 후 15 분 후에 관찰하였다. [0142] [0143] 그 결과,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세포의 상대적 세포투과성 결과에 비례하여 뚜렷한 FITC 형광 (연두색) 으로 염색된 각 조직 내로의 단백질 전달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거대분자 전달 도메인으 로 사용되는 JO-39 MTD 및 JO-41 MTD가 조직투과성이 우수하여 목적하는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조직 내에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세포 및 조직 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CP-p53)의 제조

17 [0144] <3-1> 상기 실시예 1 과 2 에서 세로 및 조직 투과성이 확인된 본 발명의 JO-39 MTD(MTD 39 ) 및 JO-41 MTD(MTD 41 )을 이용하여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의 MTD 에 대해 하기와 같은 전장 형태 및 결절형 재조합 단백질을 고안하였다. (도 4,도 5) [0145] [0146] [0147] [0148] 1)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 가 융합된 His-NLS-p53(HNp53) 2)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 와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MTD 39 -p53(hnm 39 p53), 3) 전장 p53의 N-말단에 His-NLS 와 C-말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p53-MTD 39 (HNp53M 39 ), 4)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JO39MTD 와 C-말단에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MTD 39 -p53- MTD 39 (HNM 39 P53M 39 ), [0149] [0150] [0151] 5) 전장 p53의 N-말단에 His-NLS와 JO-41 MTD가 융합된 His-NLS-MTD 41 -p53(hnm 41 p53), 6)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 와 C-말단에 JO-41 MTD 가 융합된 His-NLS-p53-MTD 41 (HNp53M 41 ), 7) 전장 p53 의 N-말단에 His-NLS-JO41MTD 와 C-말단에 JO-41 MTD 가 융합된 His-NLS-MTD 41 -p53-mtd 41 (HNM 41 p53 M 41 ), [0152] [0153] [0154] [0155] [0156] [0157] [0158] [0159] [0160] [0161] [0162] [0163] [0164] [0165] [0166] [0167] [0168] [0169] [0170] 8)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가 융합된 His-NLS-Δp53(HNΔp53), 9) 결절형 p53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가 융합된 His-Δp53(HΔp53), 10)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와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MTD 39 -Δp53(HNM 39 Δp53), 11)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JO-39 MTD 가 융합된 His-NLS-Δp53-MTD 39 (HNΔp53M 39 ), 12)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및 JO-41 MTD 가 융합된 His-NLS-MTD 41 -Δp53(HNM 41 ΔP53), 13)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His-NLS 와 C-말단에 JO-41 MTD 가 융합된 His-NLS-Δp53-MTD 41 (HNΔp53M 41 ), 14)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JO-39 MTD 가 융합된 His-MTD 39 -Δp53(HM 39 Δp53), 15)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C-말단에 JO-39 MTD가 융합된 His-Δp53-MTD 39 (HΔp53M 39 ), 16)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JO-41 MTD 가 융합된 His-MTD 41 -Δp53(HM 41 ΔP53) 및 17) 결절형 p53 의 N-말단에 히스티딘 표지와 C-말단에 JO-41 MTD 가 융합된 His-Δp53-MTD 41 (HΔp53M 41 ),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에 대해 특이적으로 고안된 프라이머 쌍과 인 간 p53 cdna를 주형으로 사용하는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HNp53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79 및 82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NM 39 p53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0 및 82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Np53M 39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79 및 83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NM 39 p53m 39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0 및 83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NM 41 p53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1 및 82 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Np53M 41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79 및 84 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NM 41 p53m 41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1 및 84 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Δp53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5 및 88 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18 [0171] [0172] [0173] [0174] HM 39 ΔP53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6 및 88 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HM 41 Δp53 의 증폭을 위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번호: 87 및 88 의 염기서열을 갖는다. 상기에서 각각의 재조합 단편의 증폭을 위해 사용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을 하기 표 2 에 정리하였다. [표 2] [0175] [0176] [0177] [0178] [0179] PCR 반응은 주형 유전자로 인간 p53 cdna 100 ng, 각 0.2 mm 의 최종 농도 dntp 혼합물 (dgtp, datp, dttp 및 dctp, 각 2 mm), 0.5 μm의 각 프라이머, 10 Taq 완충용액 10 μl, Taq 중합효소 (Takara, Japan) 0.5 μl를 포 함하는 용액을 최종 부피 100 μl 반응액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먼저 95 에서 2 분간 열 변성 (denaturing)시킨 후 95 에서 45 초, 67 에서 45 초 및 72 에서 45 초의 반응을 30 회 반복하였고, 최종적으 로 72 에서 5 분간 증폭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0.8% 아가로즈 겔에 전기영동 (electrophoresis)을 수행하여 증폭된 생성물을 확인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MTD 가 융합된 각각의 재조합 단편이 목적하는 크기로 증폭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아가로즈 겔에서 증폭된 재조합 단편을 회수한 후 이들 각각을 상용의 키트 (QIAquick Gel extraction kit; Qiagen, USA)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였다. 추출한 단편을 pgem-t Easy 벡터 (Promega, USA)에 삽입한 후 (도 7), MTD 가 융합된 p53 재조합 단백질 유전자 단편이 삽입된 pgem-t Easy 벡터를 대장균 DH5α 감응세포 (competent cell)에 형질전환시켰다. 이를 50 μg/ml 암피실린 (ampicillin)이 포함된 평판 LB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밤새 배양하여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선별하고, 이를 다시 액체 LB 배지에서 배양한 후, 이로부터 각각 의 p53 재조합 단백질 유전자가 삽입된 pgem-t Easy 벡터를 다량으로 수득하였다. 도 7 은 pgem-t Easy 벡터에 삽입된 재조합 단편을 NdeI 제한효소 (Enzynomics, Korea)로 분리하여 0.8% 아가 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것으로, 이로부터 각각의 재조합 단편이 상기 벡터에 올바르게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각각의 p53 재조합 단백질 유전자가 삽입된 pgem-t Easy 벡터를 제한효소 NdeI 을 사용해 37 에서 2 시간 동안 절단 (digestion)하여 각각의 재조합 단편을 얻었다. 아가로즈 겔에서 재조합 단편을 회수한 후 이들 각각을 상용의 키트 (QIAquick Gel extraction kit; Qiagen, USA)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였다. 한편, 히스티 딘-표지 (histidine-tag)와 T7 프로모터를 가진 발현벡터 pet-28a(+) 벡터 (Novagen, USA)를 제한효소 NdeI 을 사용해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절단하였다. 상기에서 추출된 각각의 재조합 단편과 절단된 pet-28a(+) 벡터를

19 혼합하고, 여기에 T4 DNA 연결효소 (ligase; Takara, 일본)를 첨가한 후 16 에서 12시간 동안 라이게이션 (ligation)시킨 다음, 대장균 DH5α 감응세포에 형질전환시켜 재조합 단백질 발현벡터를 수득하였다, [0180] [0181] 도 8 은 pet-28a(+) 벡터에 삽입된 재조합 단편을 NdeI 제한효소로 분리하여 0.8%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것으로, 이로부터 각각의 재조합 단편이 상기 벡터에 올바르게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재조합 단백질 발현벡터를 각각 pet28a(+)-hnp53, pet28a(+)-hnm 39 p53, pet28a(+)-hnm 41 p53, pet28a(+)-hnp53m 39, pet28a(+)-hnp53m 41, pet28a(+)-hnm 39 P53M 39, PET28a(+)-HNM 41 p53m 41, pet28a(+)-hnδp53, pet28a(+)-hnm 39 Δp53 및 pet28a(+)-hnm 41 Δp53, pet28a(+)-hδp53, pet28a(+)-hm 39 Δp53, pet28a(+)-hm 41 Δp53 으로 명명하였고, 이들 중에서 재조합 발현벡터 pet28a(+)-hnm 39 Δp53 및 pet28a(+)-hm 39 Δp53 로 대장균 DH5α 를 형질전환시켜 수득된 형질전환 세균 DH5α/HNM 39 Δp53 과 DH5α/HM 39 Δp53 을 2009 년 11 월 17 일자로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내 생물자원센터 (Biological Resource Center)에 기탁번호 KCTC 11596BP 및 KCTC 11595BP 로 기탁하였다. [0182] [0183] [0184] 염기서열 분석결과, 상기에서 JO-39 MTD(MTD 39 )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NLS-p53(HNp53)은 서열번호: 4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4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 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His-NLS-MTD 39 -p53(hnm 39 p53)은 서열번호: 4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47 의 염기서열을 갖 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85] His-NLS-p53-MTD 39 (HNP53M 39 )은 서열번호: 50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49 의 염기서열을 갖 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86] His-NLS-MTD 39 -p53-mtd 39 (HNM 39 p53m 39 )은 서열번호: 5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51 의 염기서 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187] [0188] 상기에서 JO-41 MTD(MTD 41 )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장 형태의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NLS-MTD 41 -p53(hnm 41 p53)은 서열번호: 5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53 의 염기서열을 갖 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89] His-NLS-p53-MTD 41 (HNp53M 41 )은 서열번호: 5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55 의 염기서열을 갖 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90] His-NLS-MTD 41 -p53-mtd 41 (HNM 41 p53m 41 )은 서열번호: 5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57 의 염기서 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191] [0192] 염기서열 분석 결과, 상기에서 JO-39 MTD(MTD 39 )를 이용하여 제조된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MTD 39 -Δp53(HM 39 Δp53)은 서열번호: 6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63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93] His-Δp53-MTD 39 (HΔp53M 39 )은 서열번호: 6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6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94] His-NLS-MTD 39 -Δp53(HNM 39 Δp53)은 서열번호: 6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67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95] His-NLS-Δp53-MTD 39 (HNΔp53M 39 )은 서열번호: 70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69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96] [0197] 상기에서 JO-41 MTD(MTD 41 )를 이용하여 제조된 결절형 p53 재조합 단백질로서, His-MTD 41 -Δp53(HM 41 Δp53)은 서열번호: 7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71 의 염기서열을 갖는

20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고, [0198] His-Δp53-MTD 41 (HΔp53M 41 )은 서열번호: 74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73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199] His-NLS-MTD 41 -Δp53(HNM 41 Δp53)은 서열번호: 7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7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200] His-NLS-Δp53-MTD 41 (HNΔp53M 41 )은 서열번호: 78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77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0201] [0202] [0203] [0204] [0205] [0206] [0207] [0208] [0209] [0210]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대조군으로 MTD 가 융합되지 않고 세포핵 배치 서열만이 융합된 p53 재조합 단백질 His-NLS-p53(HNp53)을 제조하고, 이 대조군 단백질은 서열번호: 46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45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 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대조군으로 MTD 가 융합되지 않고 히스티틴 표지만이 융합된 Δp53 재조합 단백질 His-Δp53(HΔp53)을 제조하고, 이 대조군 단백질은 서열번호: 60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59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 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대조군으로 MTD 가 융합되지 않고 히스티틴 표지와 세포핵 배 치 서열이 융합된 Δp53 재조합 단백질 His-NLS-Δp53(HNΔp53)을 제조하고, 이 대조군 단백질은 서열번호: 62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는 서열번호: 61 의 염기서열을 갖는 폴리뉴클 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된다. 실시예 4: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4-1> 최적의 숙주균주 선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유도에 가장 적합한 숙주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LacI 프로모터를 갖는 대장균 BL21 (DE3), BL21 Gold (DE3), BL21 CodonPlus (DE3) 및 BL21 Gold (DE3) plyss (Stratagene, USA)를 대상으로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재조합 발현벡터 각각을 상기 대장균 균주 BL21 (DE3), BL21 Gold (DE3), BL21 CodonPlus (DE3) 및 BL21 Gold (DE3) plyss 각각에 열 충격 (heat shock) 방법으로 형질전환시킨 후 50 μg/ml의 카나마이신이 함유된 LB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재조합 단백질 유전자가 도입된 대장균을 1 ml LB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밤새도록 배양한 후, 이를 다시 100 ml LB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OD 600 이 0.6 내지 0.7 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단백질 발현의 유도제로서 1 mm의 아이소프로필-β-D- 티오갈락토사이드 (isopropyl-β-d-thiogalactoside, IPTG)를 첨가하고 37 에서 3 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 다. 이 배양액을 4 에서 7,000 g,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균체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체 를 용해 완충액 (lysis buffer: 100 mm NaH 41 PO 4, 10 mm Tris-HCl, 8 M 우레아, ph 8.0)에 현탁한 후 초음파 처 리를 수행하여 세포를 파쇄하였으며, 이를 14,000 g 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용해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을 얻었다. 이 용해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을 각각 SDS-PAGE 에 걸어 단백질 발현 특성과 발현량 정도를 분석하였다. [0211] [0212] [0213] 다양한 숙주균주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BL21 CodonPlus (DE3) 균주에서 가장 높은 발현량이 확인되어 이를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위한 최적의 균주로 선택하였다. <4-2>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상기 실시예 <4-1>에서 최적의 균주로 확인된 대장균 BL21 CodonPlus (DE3)에 재조합 발현벡터 pet28a(+)- HNp53, pet28a(+)-hnm 39 p53, pet28a(+)-hnm 41 p53, pet28a(+)-hnp53m 39, PET28a(+)-HNp53M 41, pet28a(+)- HNM 39 p53m 39, pet28a(+)-hnm 41 p53m 41, pet28a(+)-hnδp53, pet28a(+)- HNM 39 Δp53 및 pet28a(+)-hnm 41 Δp53, pet28a(+)-hδp53, pet28a(+)-h M 39 Δp53, pet28a(+)-hm 41 Δp53 각각을 열 충격 방법으로 형질전환시킨 후 50 μg

21 /ml의 카나마이신이 함유된 LB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재조합 단백질 유전자가 도입된 대장균을 25 ml LB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밤새도록 배양한 후, 이를 다시 1 l LB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OD 600 이 0.6 내지 0.7 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에 단백질 발현의 유도제로서 0.65 mm 의 IPTG 를 첨가하고 37 에서 3 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4 에서 4,000 g,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 거하고 균체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체를 용해 완충액 (100 mm NaH 41 PO 4, 10 mm Tris-HCl, 8 M 우레아, ph 8.0)에 현탁한 후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여 세포를 파쇄하였으며, 이를 14,000 g 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용 해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을 얻었다. 이 용해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을 각각 SDS-PAGE 에 걸어 단백질 발현 특성 과 발현량 정도를 분석하였다. [0214] [0215] [0216] [0217] 도 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53 kda 의 크기를 갖는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봉입체 형태 로 대부분 불용성 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IPTG 무처리 배양액 (-)에 비해 IPTG 처리 배양액(+)에서 목적 단백 질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봉입체 형태로 불용성 분획에 존재하므로 이를 정제하기 위하 여 강력한 변성제로서 8 M 우레아 (urea)를 이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재조합 발현벡터 각각으로 형질전환된 BL21 CodonPlus (DE3) 균주를 상기 실시예 3 과 같이 1 l 의 LB 배지에 배양하였다. 각각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균체를 20 ml의 용해 완충액 (100 mm NaH 2 PO 4, 10 mm Tris-HCl, 8 M우레아, ph 8.0)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현탁하고, 이를 마이크로팁 (microtip)이 장착된 초음파 균질기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균체를 파쇄하였다. 이때, 처리시간은 장치의 출력을 최대출력의 25%로 설정하고, 7 분간 45 초 처리 후 10 초 방치를 반복하였다. 충분히 용균된 봉입체를 4 에서 4,000 g,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층액을 나이트릴로트라이 아세트산 아가로스 (nitrilotriacetic acid agarose)에 Ni 를 부여한 Ni-NTA 아가로스 레진에 로우딩하였다. 이때 Ni-NTA 아가로스는 미리 용해 완충액으로 수차례 세척하여 평형화시킨 후 사용하였다. 상층액을 4 에서 8 시간 이상 진탕기로 천천히 교반하면서 레진에 흡착시켰다. 재조합 단백질이 포함된 봉입체가 흡착된 레진을 4 의 분당 회전수 1,000 rpm 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반응액을 제거하였고, 비특이적 흡착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레진을 세척 완충액 (washing buffsr: 100 mm NaH 2 PO 4, 10 mm Tris-HCl, 8 M우레아, ph 6.3)을 이용하여 5 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레진에 ph 4.0 의 산성 조건에서 레진 용적 2 배의 용출 완충액 (elution buffer: 100 mm NaH 2 PO 4, 10 mm Tris-HCl, 8 M 우레아, ph 4.5)을 로우딩하고 진탕기에서 2 시간, 또는 8 시간 이상을 교반 하여 단백질을 용출하였다. 용출된 단백질의 순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12% SDS-PAGE 겔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겔을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R (coomassie brilliant blue R)로 가볍게 진탕하면서 염색하고, 목적 단백질 의 밴드가 명확해질 때까지 탈색액을 이용하여 탈색하였다. [0218] [0219] [0220] [0221] [0222] 그 결과, 도 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커 단백질의 전기영동 위치와 비교하여 JO-39 MTD 및 JO-41 MTD 가 각각 융합된 모든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이 약 53 kda 부위에서 검출되어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단백질의 활성 재생 상기 실시예 5 에서와 같이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정제된 본 발명의 재조합 단백질은 강력한 변성제인 8 M 우레 아에 의해 변성되었기 때문에 이를 활성 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원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을 원상화 완충액 (refolding buffer: 0.55 M 구아니딘 [Guanidine] HCl, 0.88 M L-아르기닌, 50 mm 트리스-HCl, 150 mm NaCl, 1 mm EDTA, 100 mm NDSB, 1 mm 산화형 글루타치온 [glutathione oxidized] 및 1 mm 환원형 글루타치온 [glutathione reduced])을 이용하여 4 에서 72 시간 이상 투석하여 변 성제를 제거함으로써 재조합 단백질이 재활성, 즉 원상화되도록 하였다. 이때 24 시간 마다 용기 내 원상화 완 충액을 교환해주었다. 이후 활성화된 재조합 단백질을 세포 배양용 배지인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 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대해 투석막 (Snakeskin pleated, PIERCE)을 사용하여 4 에서 9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투석하였다. 이때 3 시간 마다 용기 내 DMEM 을 교환해주었다. 상기 원상화 과정에 의 해 활성 형태로 전환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선택된 MTD 의 세포투과성 실험

22 [0223] [0224] [0225] [0226] [0227] <7-1> 유세포 분석 (flow cytometry)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포유 동물 세포에서 각각의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내 유입을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로 분석하 였다. 먼저, 상기에서 가용성 형태로 분리, 정제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을 FITC (fluorescein-5- isothiocyanate, Molecular Probe)를 이용하여 형광 표지하였다. 2 내지 20 mg의 재조합 단백질에 333 mg/ml 농도의 FITC 1 μl를 혼합한 후 빛을 피해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결합시켰다. 형광으로 표지된 세포 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4 에서 1 일간 DMEM 배지에 대해 투석하여 표지되지 않은 FITC 를 제거하였고, 이 로부터 회수된 재조합 단백질은 브래드포드 (Bradford) 단백질 정량법으로 그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 의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는 약 1 μg/μl로 측정되었다. 한편,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유래된 RAW 세포 (한국세포주은행, 서울, 대한민국)를 10%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500 m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 (WelGENE)에 접종하고 37, 5% CO 2 의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기에서 준비된 FITC-표지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 (HM 39 Δp53, HM 41 Δp53, HNM 39 Δp53, HNM 41 Δp53) 각각을 10 μm 농도로 SAW 세포에 처리한 후 37 에서 1 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어서, 재조합 단 백질이 처리된 RAW 세포의 세포막에 노출되어 있는 유리 FITC를 제거하기 위해 트립신/EDTA (T/E, Invitrogen)를 처리하고, 저온의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였다. 준비된 세포에 대해 셀 퀘스트 프로 세포측정 분석 소프트웨어 (CellQuest Pro cyometric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한 FACScan 유세 포 분석기 (flow cytometry, Becton Dickinson, CA)로 분석하였다. 이때 각 시료의 세포 농도는 세포/μl 이었고, 분석 실험은 2 회 이상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은 MTD 를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 단백질 (Hp53)의 세포투과성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0228] 그 결과,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원형질막 투과 능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10 에서 회색의 곡면은 세포 단독, 검은색 곡선은 FITC 단독, 파랑색 곡선은 MTD 가 융합되지 않은 대조군 (HNp53), 적색 곡선은 세포투과성 재조합 단백질 HNM 39 Δp53, HNM 41 Δp53을 나타낸다. 도 10에서 회색의 곡면은 세포 단독, 검은색 점선 1 ( )은 FITC 단독, 점선 2 ( )는 세포투과성이 없는 음성 대조군 (scrambled MTD), 점선 3 ( )은 MTD가 융합되지 않은 대조군 (HΔp53, HNΔp53), 실선은( ) 세포투과성 재조합 단백질 HM 39 Δp53, HNM 39 Δp53, HM 41 Δp53, HNM 41 Δp53 각 각을 나타낸다. [0229] [0230] <7-2>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관찰 II 상기 실시예에서 유세포 분석으로 1 차적으로 세포투과성이 확인된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섬유아세포에서 유래한 NIH3T3 세포 (한국세포주은행, 서울, 대한민국)에 FITC-표지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HNM 39 p53, HNM 41 p53, HNp53M 39, HNp53M 41, HNM 39 p53m 39 및 HNM 41 p53m 41 )을 10 μm 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 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다. 사용된 NIH3T3 세포는 8-웰 챔버 슬라이드 (8- well chamber slide, LabTek, Nalgen Nunc)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NIH3T3 세포는 10% FBS 및 5 %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500 m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 로 3 회 세척 한 후, 무혈청 DMEM, FITC 함유 무혈청 DMEM, 또는 FITC-표지된 재조합 단백질 각각을 10 μm 로 함유하는 무혈 청 DMEM 으로 37, 5% CO 2 하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araformaldehyde)로 실온에서 20분간 처리하여 고정시켰다. [0231] 상기에서 고정된 세포는 MTD 의 세포 내 전달부위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핵을 형광 염색하는 PI (propidium iodide, Sigma-Aldrich) 대조염색을 통해 핵으로의 전달 및 세포투과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1 μg/ml 농도로 5분 간 PI 로 염색한 후, 세포를 PBS 로 3 회 세척하였다. 세포 내 재조합 단백질의 형광표지를 보존하기 위해 10 μl의 DABCO (Fluca) 함유 폴리비닐 알코올 중첩 배지 (mounting medium)를 슬라이드 위에 점적한 후 15 분 후 에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은 노르마스키 필터 (normaski

23 filter)를 이용하여 세포의 원형, FITC 형광 및 PI 형광을 관찰하였고, FITC 는 488 nm에서 여기되고 530 nm 대역통과 필터 (bandpass filter)로 검출되었다. [0232] [0233] [0234] 그 결과, 도 1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ITC-표지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은 세포 단독, FITC 단독 및 MTD 부재 대조군 (HNp53)에 비하여 핵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JO-39 MTD 또는 JO-41 MTD 에 융합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단백질의 세포내 핵 국소화는 상기 유세포 분석의 상대적 세포 투과성 결과에 비례하는 것으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을 확 인하였다. <7-3>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관찰 III 상기 실시예에서 유세포 분석으로 1 차적으로 세포투과성이 확인된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 의 세포 내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섬유아세포에서 유래한 NIH3T3 세포 (한국세포주은행, 서울, 대한민국)에 FITC-표지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HNM 39 Δp53 및 HNM 41 Δp53)을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다. 사용된 NIH3T3 세포는 8-웰 챔버 슬라이드 (8-well chamber slide, LabTek, Nalgen Nunc)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NIH3T3 세포는 10% FBS 및 5%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 500 m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 로 3 회 세척한 후, 무혈청 DMEM, FITC 함유 무혈청 DMEM, 또는 FITC-표지된 재조합 단백질 각각을 10 μm 로 함유하는 무혈청 DMEM 으로 37, 5 % CO 2 하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araformaldehyde)로 실온에서 20 분간 처리하여 고정시켰다. [0235] [0236] [0237] [0238] 상기에서 고정된 세포는 MTD 의 세포 내 전달부위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핵을 형광 염색하는 PI (propidium iodide, Sigma-Aldrich) 대조염색을 통해 핵으로의 전달 및 세포투과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1 μg/ml 농도로 5분 간 PI 로 염색한 후, 세포를 PBS 로 3회 세척하였다. 세포 내 재조합 단백질의 형광표지를 보존하기 위해 10 μl 의 DABCO (Fluca) 함유 폴리비닐 알코올 중첩 배지 (mounting medium)를 슬라이드 위에 점적한 후 15 분 후에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동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은 노르마스키 필터 (normaski filter)를 이용하여 세포의 원형, FITC 형광 및 PI 형광을 관찰하였고, FITC 는 488 nm에서 여기되고 530 nm 대역통과 필터 (bandpass filter)로 검출되었다. 그 결과, 도 1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FITC-표지된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은 세포 단 독, FITC 단독 및 MTD 부재 대조군 (HNΔp53)에 비하여 핵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JO-39 MTD 또는 JO-41 MTD 에 융합된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내 핵 국소화는 상기 유세포 분석의 상대적 세포투과성 결과에 비례하는 것으로,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세포투과성 Δ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투과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8: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 내 기능 세포투과성이 입증된 p53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 내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웨스턴 블롯팅 (western blott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인간 결장암 세포주 HCT-116 은 한국 세포주은행 (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세포주들은 RPMI 1640 배지 (L-글루타민 300 mg/l, 25 mm HEPES 및 25 mm NaHCO %, 열 불활성화 우태아 혈청 9.8%, 스트렙토마이신/페니실린 0.9%)를 이용하여 5 % CO 2 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0239] 6-웰 플레이트에 한 웰당 2 ml의 FBS 함유 RPMI 1640 배지를 첨가하고 여기에 상기에서 배양된 HCT-116 세포들 을 각각 세포/ml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상기 웰 플레이트를 37 에서 1 일간 배양하여 세포들이 웰 플레 이트에 부착하면서 성장하도록 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웰 플레이트에 부착된 세포를 저온의 PBS 로 세척하였 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투과성 p53 재조합 단백질 및 대조군으로서 MTD 가 융합되지 않은 p53 단백질 (Hp53)을 각각 20 μm 농도로 각 웰에 500 μl씩 처리한 후, 2 시간 동안 5% CO 2 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반응시켰 다. 2 시간 처리 후, 세포를 PBS 로 2 회 세척하고 혈청 존재 하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9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0240] 배양이 종결된 후, 세포를 100 μl의 용해 완충액 (20 mm HEPES, ph 7.2, 1% 트리톤-X, 10% 글리세롤 및 단백 분해효소 억제제 [proteinase inhibitor])을 이용하여 얼음에서 30 분간 분쇄하여 수집하고, 획득된 세포 용해 물 (cell lysate)을 100 에서 10 분간 가열한 후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20 μm 농도로 SDS-PAGE 로우딩 완충액

(72) 발명자 박경호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마을로 10, 청솔4차아파트 402동 908호 (일곡동) 동, 민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257-77 301호 - 2 -

(72) 발명자 박경호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마을로 10, 청솔4차아파트 402동 908호 (일곡동) 동, 민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257-77 301호 - 2 -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5월14일 (11) 등록번호 10-1263424 (24) 등록일자 2013년05월0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C07K 19/00 (2006.01) C12N 15/62 (2006.01) A61K 38/17 (2006.01) A61P 35/00 (2006.01)

More information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해설 문제 2 아래의질문에 3-4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해설 문제 2 아래의질문에 3-4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 본문제에대한지적소유권은동국대학교에있습니다. 본교의서면허락없이무단으로출판, 게재, 사용할수없습니다. 문제 2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 아래의질문에 3-4 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 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포의생존과증식

More information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α 太陰調胃湯加減方 dbdb 마우스 肝에 대한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발현에 미치는 영향 SREBPs 와 섞어서 하고 마커 또한 하여 전기 영동을 하였다 전기영동을 한 후에 에 를 쪼여서 각 를 확인하였다 이 를 프로그램을 이용해 수치화하 여 분석하였다 肝 조직 동결 절편 분리한 조직은 로 시간 동안 고정 시킨 후 에 세척한 후 물기를

More information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8. 1120~1126 ISSN : 1225-9918 DOI : http://dx.doi.org/10.5352/jls.2011.21.8.1120 μ μ μ α β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8 1121 μ μ 1122 생명과학회지 2011,

More information

(72) 발명자 정종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모래내로 319, 101동 405호 (홍은동, 진흥아파트) 김정환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로21길 7 (구로동) - 2 -

(72) 발명자 정종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모래내로 319, 101동 405호 (홍은동, 진흥아파트) 김정환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로21길 7 (구로동) - 2 -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01J 23/34 (2006.01) B01J 37/02 (2006.01) B01J 37/08 (2006.01) B01D 53/8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98306 (22) 출원일자 2010년10월08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10월08일

More information

1607 - 1 - - 2 - - 3 - 그림 1-4 - - 5 - 그림 3 농도에따른댓잎추출액의항세균효과 - 6 - 그림 4 한천확산법 그림 5 배지에균뿌리는과정 그림 6 배지에균스프레딩하는과정 표 1 실험에사용한미생물의종류와배양에사용한배지 Bacterial Strain Gram (+) bacteria Rothia dentocariosa G1201 Streptococcus

More information

Cloning

Cloning Takara 와함께하는 Cloning 2014-11-13 다카라코리아바이오메디칼 목차 Cloning 이란? Cloning Flow Chart Cloning DNA / RNA 추출 High Fidelity PCR 제한효소 /ligation/e.coli 형질전환 Clone 확인 이것만은꼭!!! 2 Cloning 이란? Clone 세포나개체의증식에의해서생긴유전적으로동일한세포군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1D 19/12 (2006.01) E01D 2/00 (2006.01) E01D 21/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036938 (22) 출원일자 2011년04월20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4월20일 (65) 공개번호 10-2012-0119156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Glutathione Excellose handbook - Purification of GST fusion proteins - Looking for more detail Purification protocol? - Glutathione Excellose Spin Kit - Glutathione MiniExcellose - Glutathione Excellose

More information

3월 온라인 교육

3월 온라인 교육 2013 년 2 분기대리점집체교육 - Protein - Takara Korea Biomedical Protein Workflow Chapter 1: 샘플준비 Chapter 2: Electrophoresis -Precast gel (Lonza/NuSep) -ProSieve EX running buffer -Protein marker Chapter 3: Staining

More information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

Glutathione Excellose handbook - Purification of GST fusion proteins - Looking for more detail Purification protocol? - Glutathione Excellose Spin Kit

Glutathione Excellose handbook - Purification of GST fusion proteins - Looking for more detail Purification protocol? - Glutathione Excellose Spin Kit Glutathione Excellose handbook - Purification of GST fusion proteins - Looking for more detail Purification protocol? - Glutathione Excellose Spin Kit - Glutathione MiniExcellose - Glutathione Excellose

More information

½Ç°ú¸Ó¸®¸»¸ñÂ÷ÆDZÇ(1-5)¿Ï

½Ç°ú¸Ó¸®¸»¸ñÂ÷ÆDZÇ(1-5)¿Ï 실과056-094 2013.1.9 7:22 PM 페이지67 MDPREP_RipControl 2007 개정 5학년 검정 지도서 각론 알짜 정리 67 영양소 힘을 내는 일(탄수화물/지방/단백질) 몸의 조직 구성(지방/단백질/무기질/물) 몸의 기능 조절(단백질/무기질/비타민/물) 식품 구성 자전거의 식품과 영양소 식품군 곡류 탄수화물 우리가 활동하는데 필요한 힘을

More information

<312E20B9DDB5E5BDC320BECFB1E2C7D8BEDF20C7D220C8ADC7D020B9DDC0C0BDC42E687770>

<312E20B9DDB5E5BDC320BECFB1E2C7D8BEDF20C7D220C8ADC7D020B9DDC0C0BDC42E687770> 반드시암기해야할화학반응식 제 1 류위험물 1. 염소산칼륨분해반응식 (400 C) - 2KClO KClO + KCl + O ( 염소산칼륨 ) ( 과염소산칼륨 ) ( 염화칼륨 ) ( 산소 ) 2. 염소산칼륨분해반응식 (540 C~560 C) - 2KClO 2KCl + 3O ( 염소산칼륨 ) ( 염화칼륨 ) ( 산소 ) 3. 염소산칼륨 + 황산 - 6KClO +

More information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A1100-0801-2739 부처명 지식경제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사업명 IT핵심기술개발 연구과제명 융합형 포털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참여형 방송기술개발 기여율 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연구기간 2008년 03월 01일 ~ 2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A1100-0801-2739 부처명 지식경제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사업명 IT핵심기술개발 연구과제명 융합형 포털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참여형 방송기술개발 기여율 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연구기간 2008년 03월 01일 ~ 2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G06Q 30/00 (2006.01) G06Q 50/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133476 (22) 출원일자 2008년12월24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12월24일 (65) 공개번호 10-2010-0074918 (43) 공개일자 2010년07월02일

More information

Jkbcs016(92-97).hwp

Jkbcs016(92-97).hwp Expression of bcl-2 and Apoptosis and Its Relationship to Clinic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in Breast Cancer - A Study with Long Term Follow-up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rate.(journal of Korean

More information

Chapter 26

Chapter 26 11 주 RNA 합성 11.1 DNA-dependent synthesis of RNA: Bacteria에서의 transcription l RNA polymerase (5 subunits로구성 : 2α, β, β, σ) l 효소에의한 RNA 합성의특징 - Complementary sequence to template DNA - RNA chain의합성방향 : 5

More information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

미생물분류는형태적특징, 생리 생화학적성질과상태, 화학분류학적성질과상태등을이용하여구분하는것이일반적이지만, 이와같은방법을이용하면많은시간을필요로한다. 또한분류가힘든경우나, 정확하지못한결과를얻는경우도있다. 최근미생물분류에도분자생물학적인방법을이용하여, 미생물이가지고있는 DNA를

미생물분류는형태적특징, 생리 생화학적성질과상태, 화학분류학적성질과상태등을이용하여구분하는것이일반적이지만, 이와같은방법을이용하면많은시간을필요로한다. 또한분류가힘든경우나, 정확하지못한결과를얻는경우도있다. 최근미생물분류에도분자생물학적인방법을이용하여, 미생물이가지고있는 DNA를 Code RR180A - 연구용 - Bacterial 16S rdna PCR Kit 사용설명서 v201011da 미생물분류는형태적특징, 생리 생화학적성질과상태, 화학분류학적성질과상태등을이용하여구분하는것이일반적이지만, 이와같은방법을이용하면많은시간을필요로한다. 또한분류가힘든경우나, 정확하지못한결과를얻는경우도있다. 최근미생물분류에도분자생물학적인방법을이용하여, 미생물이가지고있는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톤백마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톤백마대와 그 투입구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톤백마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상기 톤백마대와 그 투입구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실용신안공보(U)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5B 67/12 (2006.01) B65D 88/16 (2006.01) (21) 출원번호 20-2012-0003587 (22) 출원일자 2012년05월01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5월01일 (11) 공개번호 20-2013-0006479 (43) 공개일자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BBFDC8ADC7D02E687770>

<BBFDC8ADC7D02E687770> 대상본과 1 학년담당교수손정원 2014. 4. 1. 3/4 교시장소 1 의학관제 1 강의실 2. 수업주제 단백질 folding, targeting, 분해 1) 단백질 folding의기본동력에대해서이해한다. 2) chaperone의종류와작용기전에대하여설명한다. 3) proteasome의구조와 proteasome에의한단백질분해에대하여설명한다. 4) ER targeting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IDA Excellose handbook - Purification of polyhistidine tagged proteins - Looking for more detail Purification protocol? - Chelating Excellose Spin Kit - IDA MiniExcellose - IDA Excellose www.takara.co.kr

More information

('08) 0.7% ('09) 0.6% ('0) 0.5% (') 0.3% ('08) 0.05% ('09) 0.07% ('0) 0.07% (') 0.09% ('08) 0.80% ('09) 0.49% ('0) 0.43% (') 0.26% (: ) 기관 축종 모니터링 물질명 농도 규제검사 물질명 농도 (ppm) 계 ( 두 ) 세파로니움 ( 신장 )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Chapter 3-2

Microsoft PowerPoint - Chapter 3-2 Chapter 3 단백질의탐구및단백체학 (3) 겔거르기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크기에의한분리 - Resin: 다공성구슬 = Sephadex, Sepharose, Biogel = Bead size: 100 mm - 원리 : 분배 (partition) chromatograph = 분배 : 용질이이동상 (mobile phase)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EVENT 퀴아젠인기상품연말특별가전 200203 Top Taq DNA Polymerase (250U) 90,000 72,000 200205 Top Taq DNA Polymerase (1000U) 331,000 281,350 200403 Top Taq Master Mix Kit(250U) 104,000 83,200 201203 Taq DNA Polymerase

More information

Product Description Apoptosis 혹은 necrosis등에의하여죽거나손상된세포에서방출되는 Lactate dehydrogenase(ldh) 의양을고감도로측정함으로써 cytotoxicity/cytolysis를간단하게측정할수있는 kit 입니다. Cytot

Product Description Apoptosis 혹은 necrosis등에의하여죽거나손상된세포에서방출되는 Lactate dehydrogenase(ldh) 의양을고감도로측정함으로써 cytotoxicity/cytolysis를간단하게측정할수있는 kit 입니다. Cytot EZ-LDH Cell Cytotoxicity Assay Kit Cat. No. DG-LDH500 DG-LDH1000 FOR RESEARCH USE ONLY. NOT FOR USE IN DIAGNOSTIC PROCEDURES. 1 ( 주 ) 대일랩서비스부설두젠생명공학연구소 Product Description Apoptosis 혹은 necrosis등에의하여죽거나손상된세포에서방출되는

More information

최민지 / 세계무역기구과 / :16:24-2 -

최민지 / 세계무역기구과 / :16:24-2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안식향산안식향산나트륨안식향산칼륨안식향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6 이하 ( 안식향산으로서,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또는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과병용할때에는안식향산으로서사용량과파라옥시안식향산으로서사용량의합계가

More information

(52) CPC 특허분류 A23L 1/3002 ( ) A23L 1/337 ( ) A61K 2236/19 ( ) - 2 -

(52) CPC 특허분류 A23L 1/3002 ( ) A23L 1/337 ( ) A61K 2236/19 ( ) - 2 -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공개특허공보 (A)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A61K 36/03 (2006.01) A23L 1/30 (2006.01) A23L 17/60 (2016.01) A23L 33/00 (2016.01) (52) CPC 특허분류 A61K 36/03 (2013.01) A23L 1/29 (2013.01) (21) 출원번호

More informati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teomics Core Facility)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teomics Core Facility)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teomics Core Facility) 1 sample running on SDS-PAGE Gel (10well) 163570 10 16357 1D size marker 225500 100 2255 Buffer(20X, 500ml) 119900 20 5995 Staining

More information

Basic CMYK

Basic CMYK 02 E & C MERITZ CO., LTD HISTORY of E&C MERITZ 1986.02 Established Korea Filter Corporation 1986.02 Develop and Distribute Bag Filter, Air Filter 1987.10 Contracted Alsop ENGINEERING Co / U.S.A Whole Item

More information

<4D F736F F F696E74202D20322DC0AFC0FCC0DAB9DFC7F6C0C7C1B6C0FD205BC8A3C8AF20B8F0B5E55D>

<4D F736F F F696E74202D20322DC0AFC0FCC0DAB9DFC7F6C0C7C1B6C0FD205BC8A3C8AF20B8F0B5E55D> 주제 2. 유전자발현의조절 생명과학 11 장앞부분 Figure 06.01: The minimum gene number required for any type of organism increases with its complexity. 1 인간게놈 DNA 중 : 유전자 ( 엑손 + 인트론 ): 25% 엑손 : 1%, 인트론 : 24% 나머지는유전자가아닌 DNA

More information

- 1 -

- 1 - - 1 - - 2 - - 3 - - 4 - 장비구성 : - 5 - - 6 - 치 - 7 - μ - 8 - - 9 - 고체흡착관의안정화방법및기기 (Tube conditioner)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전기냉각저온농축장치 (TD) GC/FPD - 18 - GC/FID Headspace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

저작자표시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 저작자표시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했을경우에는, 이저작물과동일한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배포할수있습니다.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LC-MS 단백질분석을위한 SDS-PAGE staining protocol 및주의할점 Proteomics Core Facility 2017.12.28 Contents LC-MS 분석의뢰용 protein SDS-PAGE staining 시주의할점 Coomassie Blue R-250 을이용한 gel staining (general protocol) Coomassie

More information

cdna의신장반응이저해된다. 이와같이 AMV 유래 RTase 와 MoMLV 유래 RTase 는모두일장일단을가지나필자는 MoMLV 유래 RTase 를선호한다. 또두효소는최적 ph, 최적염농도등에서도차이가있으므로주의해야한다. 최근 Myers 등은 RTase 활성과 PCR

cdna의신장반응이저해된다. 이와같이 AMV 유래 RTase 와 MoMLV 유래 RTase 는모두일장일단을가지나필자는 MoMLV 유래 RTase 를선호한다. 또두효소는최적 ph, 최적염농도등에서도차이가있으므로주의해야한다. 최근 Myers 등은 RTase 활성과 PCR RT-PCR 법 II. 역전사효소반응 ( 주 ) 다인바이오연구소 현재분자생물학분야에서 RNA 수준의 gene expression ( 유전자발현 ) 과 cdna (complementary DNA) cloning에널리이용되고있는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loymerase chain reaction) 은생명정보가 DNA에서 RNA로전달된다는분자생물학분야의

More information

등록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등록특허공보 (B1)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C12N 5/0775 ( ) C12N 5/02 ( ) (21) 출원번호 (22) 출원일

등록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등록특허공보 (B1)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C12N 5/0775 ( ) C12N 5/02 ( ) (21) 출원번호 (22) 출원일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등록특허공보 (B1)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C12N 5/0775 (2010.01) C12N 5/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68959 (22) 출원일자 2010 년 07 월 16 일 심사청구일자 2010 년 07 월 16 일 (65) 공개번호 10-2012-0008223

More information

Chapter 4. Bacteria (the first microbes)

Chapter 4. Bacteria (the first microbes) - DNA 정제후클로닝을위한효소적절단과연결필요 -> restriction enzyme, ligase 가중요 1. DNA 조작효소범위 - 촉매반응에따라 5 분류 1. Nuclease : 핵산분자의절단, 단편화 2. Ligase : 핵산분자의연결 3. Polymerase : DNA 사슬합성 4. Modifying enzyme : 화학기능기의첨가, 제거 5. Topoisomerase

More information

기구명 ph meter volumetric flask Erlenmeyer flask mass cylinder 뷰렛비이커 pipet 저울스탠드 & 클램프 isotonicity 측정기 필요량 500ml짜리 1개, 50ml짜리 5개, 100ml짜리 1개, 250ml짜리 6개

기구명 ph meter volumetric flask Erlenmeyer flask mass cylinder 뷰렛비이커 pipet 저울스탠드 & 클램프 isotonicity 측정기 필요량 500ml짜리 1개, 50ml짜리 5개, 100ml짜리 1개, 250ml짜리 6개 7. 완충용액 Introduction 일반적으로약산과그짝염기또는약염기와그짝산의혼합물로이루어진용액은외부에서산이나염기를첨가하여도 ph가크게변하지않는다. 이처럼 ph의변화에저항하는용액을완충용액이라한다. 이번실험에서는완충용액을직접제조하여그성질을파악하고완충방정식및완충용액을구해보고자한다. 또한산-염기중화적정곡선을 ph로부터그려보고이로부터산의해리상수도구하여보고자한다. Materials

More information

<B4D9BDC3BEB4C0AFB1E2C8ADC7D02D34C6C72D35BCE2C3D6C1BE28B1B3BBE7292E687770>

<B4D9BDC3BEB4C0AFB1E2C8ADC7D02D34C6C72D35BCE2C3D6C1BE28B1B3BBE7292E687770> C H A P T E R 01 유기화합물의물성과구조 1.1 용해와극성 1.2 크로마토그래피와이성질체 1.3 증류와편극성 1.4 추출과산해리상수 1.5 재결정과녹는점 1.6 추출 / 재결정 / 증류가통합된혼합물의분리실험 1.7 컴퓨터소프트웨어를이용하여화학구조그리기 1.1 용해와극성 13 실험 1 다음화합물들의용해도를관찰하시오. 10mL 시험관, 시험관대, 1.00mL

More information

목차 1. 서론 줄기세포의간세포분화능평가시고려사항 간세포분화능평가시험법 분

목차 1. 서론 줄기세포의간세포분화능평가시고려사항 간세포분화능평가시험법 분 세포치료제시험정보집 7 줄기세포치료제의 간세포분화능평가시험 2015. 4. 3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차세대줄기세포기반제제평가연구사업단 목차 1. 서론 --------------------------------------------- 1 2. 줄기세포의간세포분화능평가시고려사항 --------------- 2 3. 간세포분화능평가시험법 -----------------------------

More information

(72) 발명자 박병희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행산로 232, 구 183-1 바자지 바랏 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19 박병기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한빛A 106-302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0033744201113100600011645100

(72) 발명자 박병희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행산로 232, 구 183-1 바자지 바랏 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19 박병기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한빛A 106-302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003374420111310060001164510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8월12일 (11) 등록번호 10-1295372 (24) 등록일자 2013년08월0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D01F 8/12 (2006.01) D01D 5/00 (2006.01) D04H 1/42 (2006.01) (73) 특허권자 한국화학연구원 대전광역시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일반전화를 이용한 위험 알림시스템 및 실시간 영상전송 장치에서 CID(콜백넘버) 장치를 포함한 서버 및 그 장 비를 포함하며, 영상서버와 연동한 형태를 상황실에 전송하여 출동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를 이용한 위험 알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일반전화를 이용한 위험 알림시스템 및 실시간 영상전송 장치에서 CID(콜백넘버) 장치를 포함한 서버 및 그 장 비를 포함하며, 영상서버와 연동한 형태를 상황실에 전송하여 출동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를 이용한 위험 알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4-0008486 (43) 공개일자 2014년01월2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8B 25/08 (2014.01) G08B 21/02 (2006.01) G08B 13/19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075069 (22) 출원일자

More information

본 발명은 난연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나 전선의 시스체로 쓰이는 저발연, 저독성을 가진 열가소성 난연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용 케이블은 그 사용 용도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로 구별된다. 근래 들어 해양 구조물 및 선박에

본 발명은 난연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나 전선의 시스체로 쓰이는 저발연, 저독성을 가진 열가소성 난연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용 케이블은 그 사용 용도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로 구별된다. 근래 들어 해양 구조물 및 선박에 (51) Int. Cl. 7 C08L 31/04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5년03월08일 10-0473564 2005년02월17일 (21) 출원번호 10-2001-0074372 (65) 공개번호 10-2003-0043291 (22) 출원일자 2001년11월27일 (43)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1종 이상의 병원체 폴리펩티드가 임의의 균주로부터 제시되지 않는, 개별 대상체에 존재하는 병원체의 다중 균주로부터의 1종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원 제시 세포 (APC).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1종 이상의 병원체 폴리펩티드가 임의의 균주로부터 제시되지 않는, 개별 대상체에 존재하는 병원체의 다중 균주로부터의 1종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원 제시 세포 (APC).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51) Int. Cl. C12Q 1/70 (2006.01) C12Q 1/68 (2006.01) (11) 공개번호 (43) 공개일자 10-2007-0058503 2007년06월08일 (21) 출원번호 10-2007-7005912 (22) 출원일자 2007년03월14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번역문 제출일자 2007년03월14일

More information

생명과학의 이해

생명과학의 이해 3. 생명현상의 화학적이해 1. 생명체주요원소 2. 생명체주요분자 3. 4. ATP 5. 물 1 1. 생명체주요원소 세포를구성하고있는원소비율원소무게 (%) 1. 산소 (O) 62.00 2. 탄소 (C) 20.00 주성분원소 3. 질소 (N) 10.00 ( 약 95%) 세포를구성하고정상적인기능을위해필요한원소는약 25 종 4. 수소 (H) 3.00 5. 칼슘 (Ca)

More information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

Life Science & Biotechnology 22 특집1 DNA chip 1

Life Science & Biotechnology 22 특집1 DNA chip 1 Life Science & Biotechnology 22 특집 1 DNA chip 1 Life Science & Biotechnology 22 특집 1 DNA chip 기술 Takashi Okado DNA Function Analysis Center Takara Shuzo Co., Ltd 효율로역전사반응시에형광물질이 cdna에시각적으로다양하게표현할수있다. 또한

More informatio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mrna (messenger RNA) : 양이가장적다 ( 전체 RNA 중 5-10% 이하 ) : mrna의염기서열은단백질의아미노산순서를지정 : 성장하는세포는수많은다른단백질을필요로함으로 mrna가만들어져단백질이합성되게한후 nucleotide가재생될수있도록분해된다 (trna, rrna도재생 ) : 5 말단의끝이 7-methyl guanosine triphosphate

More information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1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상현고등학교 2 1 28 유 훈 2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6 24 정 찬 3 [1]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3D프린터이해와활용 수원고등학교 2 8 3 김 헌 4 [1]2018개방실험-학생2기[

More information

2. 4. 1. 업무에 활용 가능한 플러그인 QGIS의 큰 들을 찾 아서 특징 설치 마 폰 은 스 트 그 8 하 이 업무에 필요한 기능 메뉴 TM f K 플러그인 호출 와 TM f K < 림 > TM f K 종항 그 중에서 그 설치 듯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많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 림 > 다. 에서 어플을 다운받아 S or 8, 9 의 S or OREA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김미영

Microsoft PowerPoint - 김미영 암세포의위험한여행 한국과학기술원 김미영 강의개요 전이란무엇인가? 전이는어떤과정을통해진행될까? 전이예측방법은어떤것들이있을까? Cancer ( 악성종양 ) US South Korea 질병사망률질병사망률 1. 심장병 26% 1. Cancer 26.7% 2. Cancer 23% 2. 뇌출혈 12.7% 3. 뇌출혈 5.6% 3. 심장병 7.9% >20,000 환자가악성종양에의해매일사망함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Na-알지네이트(Na-alginate), 합성 제올라이트(synthetic zeolite)와 분말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 을 혼합하여 2 ~ 6 %의 CaCl 2 용액에서 경화시켜 만들어진 직경 1 ~ 5 mm의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Na-알지네이트(Na-alginate), 합성 제올라이트(synthetic zeolite)와 분말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 을 혼합하여 2 ~ 6 %의 CaCl 2 용액에서 경화시켜 만들어진 직경 1 ~ 5 mm의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C02F 3/1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6-0053240 (22) 출원일자 2006년06월13일 심사청구일자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1207193 A KR1020030092674 A 2006년06월13일 (45) 공고일자 2007년10월29일

More information

Chapter 14 유전정보 (Genetic Information) A + G = C + T 일정 ( 샤가프룰 ] - Watson & Crick(1953년 ) : double helix model of DNA( 이중나선구조 ) 제시 1. 유전정보의전달경로 DNA 상의정

Chapter 14 유전정보 (Genetic Information) A + G = C + T 일정 ( 샤가프룰 ] - Watson & Crick(1953년 ) : double helix model of DNA( 이중나선구조 ) 제시 1. 유전정보의전달경로 DNA 상의정 Chapter 14 유전정보 (Genetic Information) A + G = C + T 일정 ( 샤가프룰 ] - Watson & Crick(1953년 ) : double helix model of DNA( 이중나선구조 ) 제시 1. 유전정보의전달경로 DNA 상의정보를 RNA로옮겨주는과정 ex) retrovirus 2. DNA Replication ( 유전자복제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친환경기능성사료첨가제개발을통한웰빙원료육의 생산및산업화

발간등록번호 친환경기능성사료첨가제개발을통한웰빙원료육의 생산및산업화 발간등록번호 친환경기능성사료첨가제개발을통한웰빙원료육의 생산및산업화 제출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친환경기능성사료첨가제개발을통한웰빙원료육의생산및산업화 과 제의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6 년 1 월 17 일 주관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주관연구책임자 : 최윤재교수세부연구책임자 : 강상기교수협동연구기관명 : 건국대학교협동연구책임자 : 이홍구교수 - 1 -

More information

세라뉴스-2011내지도큐

세라뉴스-2011내지도큐 2 2 8 17 18 22 23 24 Heinrich Wecker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예정된 이벤트 증례2 : 세라믹-폴리에틸렌 고관절 치환술후 발생한 비구-대퇴 해리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사용하여 재수술 진단 : 고관절 통증으로 내원한 65세 여자환자, 20년전 세라믹-폴리에틸

More information

04 Çмú_±â¼ú±â»ç

04 Çмú_±â¼ú±â»ç 42 s p x f p (x) f (x) VOL. 46 NO. 12 2013. 12 43 p j (x) r j n c f max f min v max, j j c j (x) j f (x) v j (x) f (x) v(x) f d (x) f (x) f (x) v(x) v(x) r f 44 r f X(x) Y (x) (x, y) (x, y) f (x, y) VOL.

More information

Automated high multiplex qPCR platform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multiple nucleic acid targets

Automated high multiplex qPCR platform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multiple nucleic acid targets PCR FlashGel System 2013. 04. 24 PCR 2013. 04. 24 순서 1. PCR 이란 2. PCR 실험의기본조건 3. PCR 효소선택가이드 4. Hot Start PCR의원리 5. PCR 실험시 Troubleshooting 6. PCR 장비 _TP350 소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이란? -

More information

<BDC7C7E820C6F3BCF620C0FAC0E5BFEBB1E220C6F8B9DF20BEC6C2F7BBE7B0ED2832303130B3E220BFACB1B8BDC720BEC6C2F7BBE7B0EDBBE7B7CA20B0F8B8F0C0FC20C3D6BFECBCF6C0DB292E687770>

<BDC7C7E820C6F3BCF620C0FAC0E5BFEBB1E220C6F8B9DF20BEC6C2F7BBE7B0ED2832303130B3E220BFACB1B8BDC720BEC6C2F7BBE7B0EDBBE7B7CA20B0F8B8F0C0FC20C3D6BFECBCF6C0DB292E687770> 실험 폐수 저장용기 폭발 아차사고 1. 실험 폐수 저장용기 폭발 아차사고 사례 서울대학교 OOO연구소의 연구원이 과산화수소와 미지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는 폐수 저장용기를 실험실에서 중간저장소로 옮겨 놓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용기 속의 화학약품들이 반응을 일으켜 고열과 흰 연기가 발생하면서 폐수 저장용기가 부풀어 올랐다. 다행히 자체적으로 안정화가 되어 폭발사고로

More information

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고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기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특허출원된 발명의 내용을 제 3자가 명세서만으로

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고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기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특허출원된 발명의 내용을 제 3자가 명세서만으로 대 법 원 제 2 부 판 결 사 건 2013후518 권리범위확인(특) 원고, 상고인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경진영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변경 전: 토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성수 외 4인 원 심 판 결 특허법원 2013. 1. 25. 선고 2012허6700 판결 판 결 선 고 2015. 9.

More information

USC HIPAA AUTHORIZATION FOR

USC HIPAA AUTHORIZATION FOR 연구 목적의 건강정보 사용을 위한 USC HIPAA 승인 1. 본 양식의 목적: 건강보험 이전과 책임에 관한 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이라고 알려진 연방법은 귀하의 건강정보가 이용되는 방법을 보호합니다. HIPAA 는 일반적으로 귀하의 서면 동의 없이 연구를 목적으로 귀하의

More information

01 Buffers & Gel Stain Buffers 3 Gel Stain SilverStar Staining Kit 6

01 Buffers & Gel Stain Buffers 3 Gel Stain SilverStar Staining Kit 6 Buffers & Gel Stain Chemicals Buffers & Chemicals Phone: 1588-9788 (ext.4->2) Email: reagents-support@bioneer.co.kr 01 Buffers & Gel Stain Buffers 3 Gel Stain SilverStar Staining Kit 6 Buffers Overview

More information

- 2 -

- 2 - 작품번호 37 Solar material 로쓰일수있는검정색물질의재발견!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화학 2009. 5. 13 시 군 학교 ( 소속 ) 학년 ( 직위 ) 성 명 성남시풍생중학교 2 김호기, 이희원 지도교사풍생중학교교사김경원 - 1 - - 2 - - 3 - - 4 - - 5 - - 6 - - 7 - 석탄은주로탄소로구성되어있고, 수소와산소가들어있다. 이밖에질소

More information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2014. 7. 29 ~ 2016. 7. 28.)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6. 7. 28.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인 ) 협동연구기관명 : 목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대표자 ) 고대식 ( 인 ) 협동연구기관명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맨홀 일부분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맨홀결합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전방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토양속에 묻히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지하수유입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후방에 연통되고 수직으로 세워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맨홀 일부분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맨홀결합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전방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토양속에 묻히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지하수유입구와; 상기 맨홀결합구의 후방에 연통되고 수직으로 세워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G01F 23/02 (2006.01) G01F 23/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96769 (22) 출원일자 2007년09월21일 심사청구일자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지하수위 관측장치 2007년09월21일 (11) 공개번호 10-2009-0031004

More information

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환경영향평가서내위생 공중보건항목작성을위한건강영향항목의평가매뉴얼 - 협의기관용 - 2013. 12 환경부환경보건정책관실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제 1 장건강영향평가의개요 건강영향평가의정의건강영향평가제도의필요성건강영향평가의목적및기능건강영향평가의원칙건강결정요인 - 1 - - 2 - - 3 - 제 2 장건강영향평가제도의시행방안

More information

No Slide Title

No Slide Title Antioxidant effect of Estrogen on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서울성모병원산부인과김미란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117 (2009) 74-80 Background Objectives Materials & Methods

More information

ABSTRACT QLF Concept and Clinical Implementation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and Public Oral Health,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Baek Il Kim, D.D.S., Ph.D. The leading paradigm of dentistry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제1 내지 제6 암이 각각의 관절부를 가지며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6 암 각각은 제1 내지 제6 링크에 의해 링크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암 내부에는 각각의 암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구동모듈 각각의 선단에는 1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제1 내지 제6 암이 각각의 관절부를 가지며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6 암 각각은 제1 내지 제6 링크에 의해 링크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암 내부에는 각각의 암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구동모듈 각각의 선단에는 1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25J 9/06 (2006.01) B25J 19/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079361 (22) 출원일자 2011년08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8월10일 (65) 공개번호 10-2013-0017122 (43) 공개일자 2013년02월20일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수단; 및 통화중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전송신 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수단; 및 통화중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전송신 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51) Int. Cl. H04B 1/40 (2006.01)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11월23일 10-0646983 2006년11월09일 (21) 출원번호 10-2004-0053063 (65) 공개번호 10-2006-0004082 (22) 출원일자 2004년07월08일

More information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08921-01304 부처명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사업명 방송통신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안전한 전자파환경 조성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기간 2008.01.01 ~ 2012.12.31-2 -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08921-01304 부처명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사업명 방송통신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안전한 전자파환경 조성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기간 2008.01.01 ~ 2012.12.31-2 -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5K 9/00 (2006.01) H04B 1/3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134285 (22) 출원일자 2011년12월14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기술이전 희망 : 기술양도, 실시권허여, 기술지도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54)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d ppt [호환 모드]

Microsoft PowerPoint - d ppt [호환 모드] 전기영동 ( SDS-PAGE ) 개 요 전기영동과그목적 실험전준비 실험과정 실험결과및분석 전기영동과그목적 전기영동 단백질의순도나성질의분석및분리등에사용하는방법 -> 단백질의정성적인분석 SDS-PAGE (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 SDS 와 Polyacrylamide 를사용한전기영동전기영동의목적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Mass-production of Four Specific Proteins Originated from Deformed Wing Virus, Honeybee-viral Pathogen Joo-seong Lee, Giang Thi Huong Luong and Byoung-Su Yoon* Department of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뉴클레오사이드,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프로테아제 억제제, 아만타딘, 리만타딘, 자나미비르 및 오셀타미비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항-바이러스제에 작 동적으로 부착된 아미노인지질에 결합하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뉴클레오사이드,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프로테아제 억제제, 아만타딘, 리만타딘, 자나미비르 및 오셀타미비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항-바이러스제에 작 동적으로 부착된 아미노인지질에 결합하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A61K 39/395 (2006.01) A61K 39/42 (2006.01) A61K 38/17 (2006.01) (21) 출원번호 10-2005-7000602 (22) 출원일자(국제출원일자) 2003년07월15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7월07일 (85) 번역문제출일자 2005년01월12일

More information

<30322EBABBB9AE2E687770>

<30322EBABBB9AE2E687770> 대한내과학회지 : 제 79 권부록 2 호 2010 청람연구비결과보고 대장암발생과정에서 Prostaglandin 의조절기전규명및암예방약제의반응성표지자로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의역할 울산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 명승재 서 론 2. 병리조직학적분석 (Histopathologic analysis) 과제는인체에서대장암병기의각단계에서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실험 Set Up Guide 실험주제 Real Time PCR 실험원리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은 1992년에도입되어생명공학에응용되기시작하였이기술은잘알려져있는 PCR기법을개량한것이다. PCR은핵산의효소증폭을이용하며, 극히적은양

실험 Set Up Guide 실험주제 Real Time PCR 실험원리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은 1992년에도입되어생명공학에응용되기시작하였이기술은잘알려져있는 PCR기법을개량한것이다. PCR은핵산의효소증폭을이용하며, 극히적은양 실험 Set Up Guide 실험주제 Real Time PCR 실험원리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은 1992년에도입되어생명공학에응용되기시작하였이기술은잘알려져있는 PCR기법을개량한것이다. PCR은핵산의효소증폭을이용하며, 극히적은양의시료를대량으로증폭할수있다는장점과그과정이간단하여 Cloning, Sequencing 등의기본기술로응용되었다.

More information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SI-1304 부처명 기획예산처 연구관리전문기관 산업기술연구회 연구사업명 정부출연 일반사업 연구과제명 생명통합정보시스템 활용 독창적 신약개발협동연구사업 기 여 율 1/1 주관기관 한국화학연구원 연구기간 2013.01.01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SI-1304 부처명 기획예산처 연구관리전문기관 산업기술연구회 연구사업명 정부출연 일반사업 연구과제명 생명통합정보시스템 활용 독창적 신약개발협동연구사업 기 여 율 1/1 주관기관 한국화학연구원 연구기간 2013.01.01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1K 31/519 (2006.01) A61K 31/4162 (2006.01) A61P 19/00 (2006.01) A61P 19/1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039066 (22) 출원일자 2013년04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4월10일

More information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2010. 09. 28.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목 차 Ⅰ. 탐구주제 02 Ⅱ. 탐구하게된동기 02 Ⅲ. 배경이론 02 1. 유글레나의특징가. ph 나. 온도 Ⅳ. 선행연구고찰 03 1. 산소결핍과인체에미치는영향

More information

- 2 -

- 2 - - 1 - - 2 - - 3 - - 4 - μ μ μ μ μ μ μ α μ μ μ μ μ - 5 - μ μ μ μ - 6 - μ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μ μ μ α μ λ - 14 - μ μ μ μ μ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More information

김도희_HT protein expression 표준 보고서_v1.5

김도희_HT protein expression 표준 보고서_v1.5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For Further Information, Please Contact Neurogenex Co., Ltd. Biotechnology Incubating Center "Golden Helix" Seoul Natl' Univ. Seoul 151-744, Korea TEL 82-2-875-8998 FAX

More information

제 8 장킬레이트적정법

제 8 장킬레이트적정법 제 8 장킬레이트적정법 킬레이트적정법 킬레이트적정법 (chelatometry)? - 킬레이트시약을사용하여금속이온을적정하는방법 - 금속이온의킬레이트생성반응을이용하는착염적정법 (complexometry) 의일종 - 1945년, G. Schwarzenbach에의해연구되어분석화학분야에서실용화 킬레이트시약으로금속이온과안정한수용성킬레이트를생성하는것을선택하여킬레이트생성이정량적으로진행되고,

More information

Jksvs019(8-15).hwp

Jksvs019(8-15).hwp Grade I Grade II Grade III 12 대한혈관외과학회지 : 제 20 권 제 1 호 2004 Control Group A Group B Fig. 4. Microscopic findings of vein wall in control, group A and group B on the day of 7 after venous occlusion. The

More information

207 년 4/4 분기국내산식육잔류물질검사결과 배경및목적 207 년추진계획 207 년검사실적및결과

207 년 4/4 분기국내산식육잔류물질검사결과 배경및목적 207 년추진계획 207 년검사실적및결과 207 년 4/4 분기국내산식육잔류물질검사결과보고 ( 시 도축산물시험 검사기관검사실적 ) 농림축산검역본부동물질병관리부동물약품평가과 207 년 4/4 분기국내산식육잔류물질검사결과 배경및목적 207 년추진계획 207 년검사실적및결과 300 검사실적 (%) 250 200 50 00 50 0 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간이정성검사 08.67

More information

<4D F736F F F696E74202D20312DC0AFC0FCC0DAC0C7BAD0C0DABBFDB9B0C7D0205BC8A3C8AF20B8F0B5E55D>

<4D F736F F F696E74202D20312DC0AFC0FCC0DAC0C7BAD0C0DABBFDB9B0C7D0205BC8A3C8AF20B8F0B5E55D> 주제 (1) 유전자의분자생물학 생명과학 : 개념과현상의이해 9 판 (Pearson) 10 장 유전물질의구조 : 1~3 DN 복제 : 4~5 DN 에서 RN 로그리고단백질로의유전정보의흐름 : 6~15 겸상적혈구빈혈증 ( 낫모양적혈구빈혈증 ) 1 21 삼염색체성 21 삼염색체성 ( 다운증후군 ) 그림암세포발달중의돌연변이축적과정 2 그림 1.2_1 그림 1.2_2

More information

암센터뉴스레터1

암센터뉴스레터1 CANCER HOSPITAL News News Letter For Yonsei University Gangnam Severance Hospital http://gs.iseverance.com 2012.06.21 2012.08.16 2012.09.19 2012.10.04 2012.10.25 CONTENTS 2012.07.27 2012.10.06 2012.11.06

More information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발열원의 일면에 접촉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발열원의 열에 의해 증발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작동유체챔버 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체챔버의 일측에 제1연결구가 형성된 흡열블록; 및 상기 흡열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며, 흡열블록과 결합되는 부분에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발열원의 일면에 접촉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발열원의 열에 의해 증발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작동유체챔버 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체챔버의 일측에 제1연결구가 형성된 흡열블록; 및 상기 흡열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며, 흡열블록과 결합되는 부분에 (51) Int. C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G06F 1/20 (2006.01) H01L 23/34 (2006.01) F28D 15/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87354 (22) 출원일자 2009년09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9월16일 (65) 공개번호 10-2011-0029605

More information

Ⅰ. 석면 1 1)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Glossary of geology, 2008, http://glossary.agiweb.org 2) US OSHA standard 29CFR1910.1001(b) 2 석면분석전문가양성교육교재 : 편광현미경을이용한고형시료중석면분석 1) Cornelis Klein, The Manual

More information

FGUYPYUYJJHU.hwp

FGUYPYUYJJHU.hwp 차아황산 나트륨 () CASNO:7775-14-6 OECD SIDS 위해성평가 결과 요약서 CAS No. 7775-14-6 화학물질명 차아황산나트륨() 구조식 인체건강영향 차아황산나트륨 () 은 생리적 상태에서 불안정하고, 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분 - 2- 해율도 증가한다. 습기가 있을 경우 아황산 수소(HSO 3 ), 아황산염 (SO 3 ) 및 황화수소 (HSO

More information

(지도6)_(5단원 156~185)

(지도6)_(5단원 156~185) 1 _ 2_ 3_ 4_ 01 158 159 참고 자료 160 161 162 163 02 164 165 참고 자료 166 167 168 169 활 동 지 03 170 171 172 173 활동의 결과이다. 신경 세포와 신경 세포 간에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해 주는 시냅스 활동은 우리 뇌가 새로운 경험을 할 때마다 변한다. 기분 나쁜 경험을 하면

More information

뉴스지14호-칼라

뉴스지14호-칼라 2 3 4 5 6 TaKaRa Taq TM / TaKaRa Ex Taq TM / TaKaRa LA Taq TM / Pyrobest TM DNA Polymerase/ TaKaRa Z -Taq TM TaKaRa Taq TM TaKaRa Ex Taq TM TaKaRa LA Taq TM TaKaRa Z-Taq TM Pyrobest TM DNA Polymerase 7

More information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11-1480523-000702-01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목차 ⅰ ⅱ ⅲ Abstract ⅳ Ⅰ Ⅱ i 목차 Ⅲ Ⅳ i 목차 ii 목차 iii Abstract α β α β iv Ⅰ. 서론 Ⅰ 1 Ⅱ. 연구내용및방법 Ⅱ. 2 Ⅱ. 연구내용및방법

More information

슬라이드 1

슬라이드 1 유전공학 DNA 변형과조작 유전자클로닝 제한효소 (Restriction enzyme) 와연결효소 (DNA ligase) 역전사효소, 벡터 DNA 증폭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DNA 분리및분석 젤전기영동법 (Gel electrophoresis) DNA footprinting (DNA 지문 ) DNA 염기서열분석 Sanger method DNA 재조합기술 (Recombinant

More information

등록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등록특허공보 (B1) (45) 공고일자 2014년02월04일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14년01월24일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C08L 79/08

등록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등록특허공보 (B1) (45) 공고일자 2014년02월04일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14년01월24일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C08L 79/08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등록특허공보 (B1) (45) 공고일자 2014년02월04일 (11) 등록번호 10-1357648 (24) 등록일자 2014년01월24일 (51) 국제특허분류 (Int. Cl.) C08L 79/08 (2006.01) C08K 3/34 (2006.01) C08L 101/12 (2006.01) C08L 33/12 (2006.01)

More information

<30355FC6AFC1FD2DC0CCB9CEC7FC2E687770>

<30355FC6AFC1FD2DC0CCB9CEC7FC2E687770>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3, No, 3 특집 유전자클로닝기법에의한유전자전달체의생산 Production of Gene Carriers Using Gene Cloning Technology 오빛나 이민형 Binna Oh Minhyung Lee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Genolution RNAi Manual.doc

Microsoft Word - Genolution RNAi Manual.doc 1 Ⅵ. G-Fectin (transfection reagent) RNAi transfection 전용 reagent. Transfection 전 과정 10분 이내 완료. 24시간 후 gene silencing 확인 가능. 우수한 transfection 효율 낮은 toxicity. sirna와 shrna, mirna에 모두 적용 가능. 가격 : 150,000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12-전기영동.pptx

Microsoft PowerPoint - 12-전기영동.pptx 전기영동 실험목적 기본적인분자실험장비인피펫, 저울, 원심분리 기, vortex mixer 사용법숙지 전기영동과정을통해서 DNA 크기비교 여러가지피펫종류들 Basic type P2 white tip P10 white tip P20 yellow tip P100 yellow tip P200 yellow tip P1000 blue tip Multi-channel pipette

More information

¹ÙÀÌ¿À´Ï¾È½º03

¹ÙÀÌ¿À´Ï¾È½º03 http://biosys.kaist.ac.kr NO. 03 2008 KAIST Department of Bio and Brain Engineering Newsletter Contents 02 04 06 10 12 13 20 22 23 Bio and Brain Engineering 2 _Department of Bio and Brain Engineering Newslette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