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기생충질환 필자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년부터 년까지 년간 수진자 평균 연령 ± 세 의 대변검사를 분석하였을 때 충란 양성률은 였다 연도별로 보면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로 지속적인 상승하였다 년에 평균 배씩 증가하는 추세였다 먼저 기생충에 대한 개념부터

Similar documents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B1E2BBFDC3E6C7D02E687770>

untitled

식품 위생학

슬라이드 1

untitled

슬라이드 1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02.STS\272\273\271\256.hwp)

공중보건학

Microsoft PowerPoint - chapt-7-기생충 [호환 모드]

식품매개성흡충류기생충은주로민물고기등을생식하거나덜익혀섭취할때감염되며, 80종이상의식품매개성흡충류기생충의인체감염이보고되었다. 식품매개성흡충류기생충은크게간, 소장또는폐에기생한다고알려져있다. 공중보건학적인관점에서가장중요한흡충류로는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03-1?????(3-12)


½Ç°ú¸Ó¸®¸»¸ñÂ÷ÆDZÇ(1-5)¿Ï

4. 톡소플라즈마 감염에 대한 혈액검사 그림 2. 톡소플라즈마증에 대한 혈액검사 톡소플라즈마에 대한 IgG 및 IgM 항체 검사를 통해 간단하게 과거 감염 또는 현재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통해 현재 감염의 진단뿐 아니라 추후 예방 및 생활습관의 개선에

CONTINUING EDUCATION COLUMN J Korean Med Assoc 2018 March; 61(3): pissn / eissn

Jksvs019(8-15).hwp

05 종설 서민 hwp

Microsoft PowerPoint SGEA 기생충질환 (이준행).pptx

untitled

untitled

ok.

untitled

<B8F1C2F72E687770>


<34322EBEC8B4EBC7F62E687770>

REPORT ON PROFICIENCY TESTING Annual Report on the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cheme for Clinical Parasit

(5)-(28~45)

Special Issue Food borne Parasitic Diseases Jong Yil Chai, M.D.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Tropic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공용심폐소생술00

ISSN (Print) ISSN (Online) BRIEF COMMUNICATION Korean J Parasitol Vol. 52, No. 2: , April

Jkss hwp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82 신보문 최경임 차이등으로추정해볼수있다. 따라서임상적으로간흡충증을의심할때분변검사에의한간흡충의충란검출이가장중요한검증방법이되겠지만, 완벽한검출이어려울경우가많아피내반응검사및 CS에대한항체를검출하는면역효소법 (ELISA) 을시행하여도움을받기도한다. Veronal 완충액을사

연구노트

untitled


224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0 No. 3, 2010 Table 1. Species of Fish-borne Parasites Reported in Korea Parasite species Nematodes 고래회충 (Anisakis s

Vol. 9 No. 12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아시아에서유행하는타이간흡충 (Opisthorchis viverrini), 그리고러시아및유럽일대에서유행하는고양이간흡충 (Opisthorchis felineus) 이그원인병원체들이다. 이

Jkafm093.hwp

대한혜담도연구회지 1998; 3: 총간관의완전폐쇄를유발한간흡충증 1 예 연세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 박승우 정재복 강진경 = Abstract = A Case of Total Biliary Obstruction Caused by Clonorchiasis Se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간의염증성국소병변 Focal Inflammatory Lesions of The Liver 성균관의대삼성서울병원소화기내과 최문석 A variety of focal inflammatory lesions may present clinically with symptoms or

낙동강유역주민들의간흡충감염에영향을주는개인요인및지역요인분석 간흡충은민물고기를생식하는식습관이있는한국을포 함한중국, 대만, 일본등극동아시아에널리퍼져있으며 (Moller, Heseltine, & Vainio, 1995) 오늘날우리나라에서 가장중요한연충(helminth) 으로자

암센터뉴스레터1

±èÀº¿µ³»Áö9-191š

<B8F1C2F72E687770>

12È£ÇÕ´ë.PDF

35-11A.hwp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Microsoft Word - 8-Infestation Status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in Cyprinid Fish from four Artificial Lakes in South

152*220

1. 피고들은 연대하여 가. 원고 A에게 금 88,405,412 원, 원고 A1, A2에게 각 금 62,157,701원 및 각 이에 대하여 부터 까지는 연 5%, 그 다음날부터 완제일까지 는 연 20% 의 각 비율에 의한

YBM시사닷컴, 첨단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개발

<3133C1F5B7CA C3DFC1F8BFEC2DC3D6C7F6C1BE D E687770>

8 월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교육자료 - 위이소성췌장에서발생한췌장염과가성낭종 이소성췌장은선천성기형의하나로, 주로위와십이지장에위치하며대부분증상없이우연히발견된다. 1,2 이소성췌장은정상췌장에서나타나는췌장염, 가성낭종, 농양, 출혈, 괴사등의병적인변화를겪을수있으며, 병변의위치와크

<3036C3D6C3A2BCF82E666D>

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

<30322EBFC0BCF6BFB52E687770>

untitled

( )Kju269.hwp

2012년 대한간학회 추계학술대회 4) Anti-HCV 검사 <인정기준> 가. HBsAg 음성인 급 만성 간질환 나. 급성 및 만성 C형 간염이 의심되는 경우 다. 혈액종양 환자와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증 환자 등 잦은 수혈로 인해 C형 간염 감염의 위 험이 있다

J Korean Med Assoc 2016 September; 59(9): Intestinal trematodiases Paragonimiasis Alveolar echinococcosis Taeniasis/cysticercosis Giradiasis To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2012 년 8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수입가격모두전년동월대비하락 년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는 월 전년동월대비는 하락 전월대비 하락 농산물 견과류는상승하였으나채소류 과일류 곡물류를중심으로전년동월대비 하락하여 년 월상승이후 개월연속하락 전월대비 하락

<31312E20C1F5B7CA D B9DABCF6BFB52DC3D6C1A4BDC42E687770>


2012 년 9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수입가격모두전년동월대비하락 년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는 월 전년동월대비는 하락 전월대비 하락 농산물 견과류는상승하였으나채소류 과일류 곡물류를중심으로전년동월대비 하락하여 년 월상승이후 개월연속하락 전월대비 하락

untitled

~11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로페라미드 (loperamide) 요약 로페라미드는지사제의일종이다. 장관의운동성을감소시켜장내수분및전해질이흡수되는시간을늘려다량의수분이대변으로빠져나가는설사증상을완화시킨다. 설사의원인을치료하는게아니고증상만감소시키므로설사가멈추면투여를중단해야한다. 외국어표기 loperamide


10월추천dvd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빈센트병원보(2013_02월)


4-Ç×°ø¿ìÁÖÀ̾߱â¨ç(30-39)



10_겨울호_ 트루최종_PDF

(지도6)_(5단원 156~185)

º»ÀÛ¾÷-1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Á¦190È£(0825).hwp


<C7D1B1B9C6D0B7F9C7D0C8B8C1F632382D31C8A32DC7A5C1F631342D E6169>

2017 일반건강검진표_1220

대한임상병리사회지 : 제 19 권제 1 호 1987 Lugol's iodine 염색법과 trichrome 염색법간의 장내원충류검출율비교연구 연세대학교원주의과대학원주기독병원임상병리과 김미라 임성자 이경원 양용석 * A Comparison of the Lugol s Iod

2017 암검진표_1220

통계내지-수정.indd

2003report hwp

untitled

º´¹«Ã»Ã¥-»ç³ªÀÌ·Î

Transcription:

A-II 증례에서배운다 A Room 위장관기생충질환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삼성서울병원소화기내과 Gastrointestinal Parasitic Diseases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일반인은 물론 의료인까지 기생충 질환을 사라진 질병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아직 국내에는 적지 않은 환자가 기생충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다 과거에는 간단히 진단되고 쉽게 치료되던 기생충질환이 최근에는 진단이 늦어지거나 약제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간혹 기생충질환이 발견되더라도 경험이 부족하여 우왕좌왕하기도 한다 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이라는 바이러스 질환도 절지동물인 작은소참진드기 가 매개하기 때문에 기생충학과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년부터 년마다 전국 장내기생충 실태조사 가 이루어지고 있다 년의 경우 총 충란 양성자는 축적 충란 양성자는 로 국 민 한 사람이 평균 가지의 장내기생충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감염자의 비율이 감소되어 년 제 차 실태조사에서는 총 충란 양성자는 축적 충란 양성자는 였다 간흡충 요충 요코가와흡충 회충 당시에는 조만간 충란 양성자가 미만으로 내려갈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년 발표된 제 차 실태조사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처음으로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만여 명의 대변검사를 시행한 차 실태조사의 충란 양성률은 였다 이는 우리나라에 만 명의 감염자가 있음을 의미한다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양성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대 이는 어패류매개성 윤충인 간흡충 요코가와 흡충이 농촌지역에서 많았기 때문이었다 충체별로는 간흡충이 로 가장 흔했다 남성 여성 Table 1. Nationwide survey on the intestinal parasites 년도 피검자수 충란양성률 회충 구충 편충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유무구조충 제1차 (1971) 24,887 84.3 54.9 10.7 65.4 4.6 0.09 0 1.9 제2차 (1976) 27,178 63.2 41.0 2.2 42.0 1.8 0.07 0 0.7 제3차 (1981) 35,018 41.1 13.0 0.5 23.4 2.6 0 1.2 1.1 제4차 (1986) 43,590 12.9 2.1 0.1 4.8 2.7 0.002 1.0 0.3 제5차 (1992) 46,912 3.8 0.3 0.01 0.2 2.2 0.0 0.3 0.06 제6차 (1997) 45,832 2.4 0.06 0.007 0.04 1.4 0.0 0.3 0.02 제7차 (2004) 20,370 3.7 0.05 0.0 0.3 2.0 0.002 0.5 0.0 51

위장관기생충질환 필자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년부터 년까지 년간 수진자 평균 연령 ± 세 의 대변검사를 분석하였을 때 충란 양성률은 였다 연도별로 보면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로 지속적인 상승하였다 년에 평균 배씩 증가하는 추세였다 먼저 기생충에 대한 개념부터 정리를 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기생생활이란 한 생물체가 다른 생물체의 체내 체표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서식하면서 영양물을 탈취하는 생활양식 을 말하며 이러한 기생생활을 영위하는 생물체를 기생체 넓은 의미의 라 하고 이 기생체 가운데 동물계에 속하는 것을 기생충 좁은 의미의 이라 한다 기생충학에서 다루는 동물의 종류는 크게 회충 간흡충과 같이 조직과 기관이 발달한 후생동물 인 윤충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과 같이 단세포양 단위 로 된 원생동물 머릿니 빈대와 같은 절지동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윤충은 회충 요충과 같이 긴 원통과 같은 모양이며 체강이 있는 선충 = 간흡충 폐흡충과 같이 편평한 나뭇잎 모양이며 체절이 없는 흡충 = 유구조충 무구조충과 같이 편평한 띠 모양이고 체절이 있는 조충 = 으로 나누어진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내시경검사 도중에 발견되는 기생충성 질환 중 몇몇 대표적인 선충 흡충 조충 원충을 내시경 시술의의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선충 (round worm) 1. 회충 (Ascaris lumbricoides) 회충의 성충은 긴 원통상이며 머리와 꼬리는 원추상이고 수컷의 크기는 암컷의 크기는 이다 수컷은 꼬리부분이 복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개의 교접침이 있어 암컷과 쉽게 구별된다 년대 말에는 전 국민 회충란 양성률이 를 상회하였으나 년 에는 로 감소되어 거의 박멸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동남아 등 해외여행의 증가 중국 동포를 비롯한 외국인 근로자 유입의 증가 유기농 식품의 부각 등으로 회충증이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감염 초기에 유충의 폐이행으로 회충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성충은 주로 공장에서 기생하며 가벼운 위장증상 및 영양장애부터 장폐색증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간혹 비정상적으로 담도 위 췌장 충수돌기 폐 간 복강 등으로 이입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담관 회충미입증 은 운동성이 좋은 성충이 바터 팽대부를 통하여 담관으로 이동하여 담관염 담관결석 담낭염 췌장염 간농양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시경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장내 기생충은 크기가 수 정도이므로 가 넘는 원통형 기생충이 발견되면 대부분 회충이다 일견 비위관 처럼 생겼는데 꿈틀꿈틀 움직이기 때문에 처음보는 의료진은 크게 놀라서 큰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 2. 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 이라고도 불리는 요충은 성충이 암컷 수컷 의 크기를 하고 있으며 통상 암컷은 항문주위에서 잘 발견되나 수컷을 찾기는 어렵다 요충은 사람에게 가장 흔한 접촉감염성 윤충으로 세계적으로 분포하나 열대보다는 온대나 한대지방에서 더 많이 유행한다 요충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감염률이 높은 선충증으로 년 실태조사에서 어린이 대상 항문도말검사 에 의한 충란양성률은 였다 도시같이 인구 밀집지역에 많고 어른보다는 어린이에서 많이 발견된다 요충에 중감염되면 항문주위 소양증 항문주위 피부궤양 등을 일으키며 소아에서는 야뇨증 불면증 발작 주의력 감퇴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항문도말검사로 충란을 발견해야 한다 대변검사의 민감도는 정도이므로 믿을 수 없다 간혹 내시경검사에서 맹장에서 성충이 발견되기도 한다 요충증은 일단 의심하면 진단은 쉽지만 치료에는 독특한 치료원칙을 잘 알아야만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이는 요충의 독특한 생활사 때문이다 요충의 정상적인 감염부위 52 제 57 회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세미나

Gastrointestinal Parasitic Diseases 는 맹장이지만 요충란은 항문 주위에 산란이 되는데 산란 후 수시간 이내에 감염력이 매우 강한 자충포장란 이 된다 일차적으로는 항문 주위를 긁은 손에 묻어서 전파가 시작되지만 일부는 침구 속옷 침실 목욕탕 교실 등에 떨어져 먼지와 함께 흡입되어 감염이 발생한다 요충란은 매우 가볍기 때문에 대기 중에 쉽게 부유할 수 있다 따라서 요충은 전파력이 강하고 재감염이 잘 될 뿐만 아니라 장내에 있는 유충은 구충제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치료원칙을 잘 지켜야 한다 감염자의 전 가족 또는 단체생활에서의 전 구성원이 동시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주 간격으로 회 이상 반복치료를 해야 한다 손톱을 잘 깎고 목욕과 손씻기를 자주 해야 한다 내복 및 침구를 삶아 빨거나 햇볕에 널어 일광소독을 한다 요충란은 열과 직사광선에 약하다 요충란은 건조에 강해 방안 먼지 속에 상당기간 생존하므로 방 안의 먼지를 깨끗이 청소해야 한다 좌변기도 비눗물로 매일 닦아야 한다 3. 구충 (hookworm) 두비니구충 과 아메리카구충 이 인체감염을 일으켜 빈혈 영양장애를 만드는 대표적인 토양매개성 윤충이다 구충은 과거 십이지장충이라 불렸는데 주된 기생부위가 십이지장이 아니고 공장이므로 구충으로 부르는 것이 맞다 성충의 형태 및 생활사가 다소 다르지만 병인론 임상증세 등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다 두비니구충의 크기는 수컷이 암컷이 이다 두비니구충은 경구감염과 경구감염이 가능하다 아메리카구충은 주로 경피적으로 감염되고 반드시 폐이행을 거쳐야 성충이 된다 우리나라에는 두비니구충이 더 많다 주된 임상상은 피부염 채독증 폐염 구충성 빈혈 등이다 구충증은 대변검사를 통하여 진단할 수 있는데 충란은 실온에서 급속히 유충으로 발육하므로 채변 후 즉시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충의 정상 기생부위가 공장이므로 내시경검사를 통하여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혹 십이지장에서 성충이 발견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장내선 충은 흰색 회색 혹은 엷은 노란색으로 관찰되는 것과는 달리 십이지장벽에서 흡혈을 하고 있는 구충은 붉은색의 실과 같은 충체로 보일 수 있다 최근에는 캡슐내시경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예도 있다 4. 편충 (Trichuris trichiura, whipworm) 편충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토양매개성 윤충으로 과거에는 국내에서 가장 흔한 토양매개성 윤충이었다 그러나 대부분 경감염자로서 증상을 보이는 편충증 환자는 매우 드물었다 성충은 가늘고 긴 채찍 모양을 하고 있는데 수컷은 암컷은 의 길이이며 충체의 앞부분 는 으로 된 가는 식도부로서 이 부위를 장점막에 누빈 것 같이 삽입 매복한 상태에서 기생한다 성충의 주된 기생부위는 맹장과 충수돌기이나 감염 충체의 수가 많으면 직장까지 넓게 분포할 수 있다 잠재적인 병원성이 높은 윤충으로 중감염시에는 복통과 압통 만성설사 및 혈변 빈혈 및 체중감소 탈항 메스꺼움 복부 팽만 변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에는 대장내시경 검사 도중 우연히 대장 주로 맹장에서 정도의 살아서 움직이는 흰색의 편충이 발견되기도 한다 조직겸자로 충체를 제거한 후 을 회 투여한다 대장에서 발견되는 수 의 선충은 대부분 편충이지만 드물게 아니사키스 유충이나 요충이 대장내시경검사에서 발견되기도 하므로 형태학적인 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동종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돼지편충 이 궤양성대장염이나 크론병에서 치료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나 아직 추시가 필요하다 5. 아니사키스 (Anisakis spp.) 해산표유류 고래 돌고래 물개 등 의 위에 기생하는 선충류의 유충을 통칭하여 아니사키스 유충이라고 한다 고래회충 과 물개회충 의 유충이 사람에 잘 감염되며 향유고래회충 도 감염을 일으킨다 해산어류 참조기 명태 아나고 조기 방어 광어 나 두족류 낙지 오징어 등의 생 53

위장관기생충질환 식을 통하여 감염되며 인체에서는 유충상태로 지나게 되며 성충으로 발육하지는 않는다 생선회나 낙지를 먹고 시간 후부터 배가 메스껍고 거북하기 시작하여 식은 땀이 나고 급성 복통을 호소하게 된다 병소는 주로 소화관 특히 위 또는 소장벽에 형성되며 유충 침입부위가 크게 붓고 출혈이 나타난다 통증이 심한 경우 급성복증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는 경우도 있다 복통 이외에도 구토 급성위장관 출혈 복부팽만 설사 두드러기 흉통 발열 백혈구증다증 상승 호산구증다증 등이 가능하다 만성화되어 호산구성 육아종을 형성하여 수개월 동안 고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드물게는 위벽을 뚫고 나가 복강내로 이동하여 갑작스런 복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십이지장 회장 공장 및 충수돌기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장 아니사키스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고래회충과 향유고래회충은 위 및 소장에 각각 정도 물개회충은 주로 위에 병소를 형성한다 감염초기에는 위내의 충체는 위내시경상 흰색깔의 짧은 실처럼 보이며 움직이면서 위벽을 뚫고 침입하는 모습을 보인다 진단과 동시에 충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환자에서는 충체가 이미 위벽 또는 장벽으로 들어간 후에 검사가 이루어져서 만성적인 경과를 취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만성적으로 위나 장에 궤양 또는 종괴를 형성하여 위궤양이나 악성종양으로 오인되고 수술로 종괴를 제거한 후에야 충체를 확인하는 경우가 흔하다 구충제로는 마땅한 것이 없다 만성 증례에서 등을 장기 투약하기도 하지만 효과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 예방법은 생선회를 안 먹는 것이다 그러나 생선회는 맛있다 감염 확률이 그리 높은 것도 아니다 따라서 생선회를 먹되 다음 두 가지를 주의하면 된다 첫째 생선의 내장은 절대 피해야 한다 아니사키스 유충은 근육보다 내장에 많기 때문이다 둘째 싱싱한 생선회를 선택한다 생선의 신선도가 떨어지면 아니사키스 유충이 내장에서 근육으로 이동한다 우리가 먹는 것은 근육이기 때문에 신선한 생선회는 대부분 안전하다 6. 분선충 (Strongyloides stercoralis) 분선충은 사람의 소장에 기생하면서 윤충성 이질 을 일으키는 선충으로 세계적인 분포를 하고 있고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지의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많이 유행한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감염되는 접촉감염성 윤충에 속한다 분선충은 기생세대와 자유세대에 따라 형태가 다르다 기생세대의 성충이 소장 점막내에서 난자를 산출하면 장점막을 관통하여 장관내로 배출되고 부화되어 크기가 인 간상유충 으로 되는데 이로 인하여 여러 소화관 증상이 발생될 수 있다 환자의 대변 중에 배출된 간상유충이 자연계에서 회 탈피하여 감염형의 사상유충 이 되는데 이 사상유충이 사람의 피부를 뚫고 침입한다 사상유충은 소정맥을 통해 우심에 이른 다음 폐를 통과하면서 폐포내로 나와 기관지 기관 후두를 거쳐 식도 위를 경과한 후 소장 상부에 기생하게 된다 간혹 위에 기생하면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분선충의 특징은 자가감염 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장내에서 발육한 사상유충이 다시 장벽을 뚫고 침입하기도 하며 일단 체외로 나온 간상유충이 항문 주위 또는 피부를 뚫고 체내에 침입하기도 한다 정상인은 분선충에 감염되더라고 의한 증상이 경미하다 그러나 면역억제환자에서는 자가감염이 활발히 일어나서 중감염 증후군 이 발생하여 환자가 사망할 수 있다 분선충증의 증상은 피부 침입시에는 나 와 같은 피부증상 폐이행시에는 기침 가래 각혈 흉막삼출 폐렴 등의 호흡기증세 장점막 침입시에는 위나 장에 궤양이나 염증을 만들면서 복통 구토 설사 뿐만 아니라 심한 체중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대량의 자가감염이 일어나 전신에 유충이 파급되어 중독한 증상을 야기하는 중감염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분선춘증에 의한 호산구가 올라간 환자에서 기생충 감염을 진단하지 못하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치명적인 중감염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드물게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비슷한 증세가 발생할 수 있다 분선충증의 진단은 어렵다 대변검사에서 잠혈반응 양성 및 유충이 관찰될 수 있다 충란은 심한 설사를 하는 54 제 57 회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세미나

Gastrointestinal Parasitic Diseases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변검사 회의 민감도는 미만이며 농축된 대변으로 반복하여 검사하면 다소 도움이 된다 대변검사에서 충란은 발견되지 않고 유충만 검출되면 일단 분선충을 의심해야 하는데 구충 동양모양선충 등의 유충과 감별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대변을 시간 배양하여 간상유충을 사상유충으로 발육시킨 후 관찰하면 보다 쉽게 감별할 수 있다 배양하지 않은 대변에서 사상유충이 발견되면 활동성 자가감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십이지장액을 채취하면 대변검사보다 유충 검출률이 높다 회의 십이지장 생리식염수 세척액 흡입검사법이 회의 농축된 대변검사방법과 비슷한 정도의 진단율을 보인다 드물게 십이지장이나 위 조직검사에서 충체가 발견된다 폐이행 시에는 가래검사에서 사상유충을 발견할 수 있다 혈청학적 검사의 유용성은 명확하지 않다 면역억제환자에서 중감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피부나 폐의 조직검사 등에서 분선충 유충을 발견할 수 있다 혈액검사에서는 호산구가 증가되는 경우가 많으나 면역억제환자에서는 정상일 수도 있다 장내 분선충증은 증상이 없더라도 중감염 증후군을 일으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고려하여 반드시 치료하여야 한다 가장 추천되는 약제는 과 이며 이들 약제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을 일간 사용하기도 한다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기 전 분선충증 예방을 위한 투약이 필요한지는 논란이 있다 7. 장모세선충 (Capillaria philippinensis) 심한 설사와 흡수장애를 가져오고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윤충성 설사의 하나인 장모세선충증 의 병원충이다 필리핀 섬에서 폭발적으로 유행하여 천 수백 명의 환자를 낸 바 있다 국내에서는 년부터 국내감염과 해외감염이 모두 보고되어 있다 장모세선충에 감염된 담수어 생식을 통해서 감염되며 감염자의 분변으로 인한 감염도 가능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생활사에서의 특징은 분선충과 마찬가지로 자가감염을 할 수 있다는 점으로 단 한번 노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인체 내에서 충체의 수가 증가하여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분선충증에 의한 심한 증상은 대부분 면역억제환자에서 발견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장모세선충증은 대부분 정상면역기능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된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장모세선충 성충의 크기는 수컷 암컷 정도이며 주된 기생부위는 소장점막이다 임상적으로는 만성 설사 복통 미열 체중감소 탈수 등의 흡수불량증후군의 양상을 보이며 치료를 하지 않으면 가 사망한다 대변에서 전형적인 충란을 관찰하여 진단할 수 있는데 배출 충란 수가 많지 않아서 몇 번의 대변검사에서도 진단을 붙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경험이 없는 관찰자가 분변을 관찰하면 편충 충란과 혼동을 하기 쉽다 내시경으로는 대부분 병변부위의 접근이 어렵지만 간혹 대장내시경검사를 통하여 말단회장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치료는 을 매일 주간 장기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국내에서는 로 치료한 경우도 있다 흡충 (fluke) 1.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간흡충증은 위장관 내시경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기생충질환은 아니지만 현재 국내에서 대변검사를 시행하면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병원성 기생충 감염증이므로 간단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년 시행된 장내 기생충 감염실태조사에서 간흡충 감염률은 였으며 국내의 한 건강검진센터에서는 의 감염률을 보였다 간흡충은 크기 정도의 나뭇잎모양의 흡충 모양이 비슷한 는 의 크기이다 으로 담수어를 날로 또는 덜 익혀 먹어 감염된다 간흡충은 감염된 사람 개 고양이의 분변을 통해 충란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제 중간숙주인 왜우렁 쇠우렁 에게 먹혀 유미유충 으로 발육한다 왜우렁에서 탈출한 유미유충은 부근을 지나는 담수어의 비늘 사이로 침입하여 껍질을 뒤집어 쓰고 피낭유충 이 되어 근육내에 분포한다 붕어 잉어 향어 모래무치 피라미 꺽지 등이 제 55

위장관기생충질환 중간숙주이며 이들을 먹어서 인체에 감염된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행지역에서는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환자가 증상이 없다 심한 급성 감염의 경우에는 무기력증 황달 복수 복통 소화불량 등의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만성 감염자의 일부에서 담관염 담관성 간경변 담관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대변검사에서 충란을 검출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는데 만성 감염시에는 충란산출량이 적어져 검출률이 낮아진다 를 이용한 혈청검사와 피내반응검사가 흔히 시행되고 있으나 교차반응이 많고 현증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의심되는 환자에서 진단목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초음파검사에서 말단 담도 확장과 같은 간접적인 소견과 함께 성충이 보이기도 한다 수술시 담낭과 담도에서 전후의 성충이 보일 수 있다 치료는 을 일 회 통상 일간 투약하며 거의 의 박멸률을 보인다 보통 아침 알 점심 알 저녁 알을 투약한다 유행지에서는 반복적인 구충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집단투약의 목적으로 을 회 투여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약제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종전보다 담수어의 생식이 무절제해져서 전국적인 감염률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간혹 투여에도 불구하고 간흡충 충란이 계속 나오는 경우에는 을 시도해 볼 수 있는데 하루에 씩 회 일간 복용하여야 효과가 있다 2. 간질 (Fasciola hepatica) 간질은 소 牛 의 간흡충 으로 소의 간담도에 기생한다 한자로는 肝蛭 간 간 거머리 질 로서 간에 사는 거머리 정도의 이름이다 간질은 로 간흡충보다 약간 크다 사람은 간질의 일종의 비정상숙주 로서 미나리 등의 수생식물 을 날로 먹을 때 표면에 붙어 있는 피낭유충 이 들어와 감염된다 덜 익은 소의 간을 먹을 때 탈낭유충이 있으면 감염될 수 있다 인체 감염 시 주로 간담도에 문제를 일으킨다 소화불량 피로감 황달 간종대 등이 가능하다 담도 내의 성충은 염증 부종 및 담도벽 섬유화를 일으킨다 장벽 복강 뇌 안구 폐 피부 등 여러 장기에서 충체 주위에 육아종을 형성하고 궤양이나 종괴를 만들어 갖가지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중동지역에서는 소나 양의 간을 먹은 후 에 간질 성충 감염증이 일어나 호흡장애가 발생되는데 이를 아랍어로 이라 한다 흡충증의 표준약제인 은 치료 효과가 없다 충체가 크고 두꺼우며 표피가 약제에 강하여 저항성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이라는 약제가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최근에는 회 경구 이 표준 치료약이다 과거에는 국립의료원에서 구할 수 있었으나 년 현재 을 구하기는 어렵다 비공식 인터넷 사이트 등 에서 개별적으로 구하는 수 밖에 없는 실정으로 시급히 개선이 필요하다 등 신약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임상에서 사용할 단계는 아니다 3. 극구흡충류 (Echinostomes)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유행하는 장흡충류로서 인체 기생종만 수십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호르텐스극구흡충 이전고환극구흡충 일본극구흡충 의 세가지 종이 유행한다 극구흡충류는 다른 장흡충류와는 달리 길이가 정도로 크고 충체 전단에 및 이 있어 심한 자극을 줄 수 있어 장병변도 심하고 휠씬 중독하다 위 세 가지 극구흡충류 중 가장 유행도가 높은 종은 호르텐스극구흡충이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은 강의 상류에서 발견되는 미꾸라지 얼룩동사리 버들치 몰개 등이 감염원이며 사람은 피낭유충을 가진 어류를 날로 먹어 감염된다 이전고환극구흡충의 감염원은 미꾸라지이다 피낭유충은 십이지장에서 탈낭하고 십이지장 혹은 공장에서 소장 융모를 흡입한 채 생존하면서 심한 설사와 복통을 일으킨다 또한 인체의 소장 점막에 궤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진단은 충란검출로 가능하다 내시경검사를 통하여 십이지장점막이나 위점막에 붙어 있는 내외 크기의 가늘고 긴 모양의 흡충이 발견되어 진단된 경우도 있다 을 회 투여한다 56 제 57 회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세미나

Gastrointestinal Parasitic Diseases 조충 1. 유구조충 (Taenia solium, pork tapeworm, 갈고리촌충 ) 인체의 소장에 기생하는 원엽조충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충체의 편절이 개 내외이고 전체의 길이가 에 이른다 성충은 사람의 소장에 기생하고 수태편절이 떨어지면서 자궁이 찢어져 산란한다 중간숙주 돼지 가 충란을 섭취하면 육구유충이 탈각하고 나와 혈액 또는 림프를 타고 근육으로 옮겨가 유구낭미충 으로 자란다 돼지고기를 사람이 날로 먹으면 낭액 속으로 웅크리고 있던 두절이 밖으로 돌출하여 경부에서 끊어지고 두절과 경부만 장벽에 고정하여 기생하면서 편절을 만든다 성충이 되는데 약 주가 소요된다 돼지를 날것으로 소비하는 지역에 감염자가 많다 특히 돼지에게 사람의 대변을 먹이는 지역에 많다 과거에는 제주도에 많았으나 최근에는 거의 찾기 어려워졌다 년도 제 차 실태조사에서 전국적으로 조충란 양성자가 명이었는데 이들 중 약 가 유구조충 감염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감염자에서는 소화기증상도 가능하지만 성충의 감염보다는 유충 의 감염에 의한 유구낭미충증 이 더 문제가 된다 대변에서 충란을 보고 진단할 수 있으나 무구조충과 감별되지 않으므로 종의 진단을 위해서는 수태편절을 얻어야 한다 로 치료한다 2. 무구조충 (Taenia saginata, beef tapeworm, 민촌충 ) 충체의 편절이 약 개 이상으로 전체 길이는 에 달할 수 있다 많은 면에서 유구조충과 비슷하지만 중간숙주가 소 인 점이 다르다 국내에서 발견되는 유무구조충 감염자의 가 무구조충감염자이다 대부분 별 증상이 없으며 편절이 빠져 나올 때 이물감 항문소양증이 발생되고 드물게 장폐색 등이 가능하다 로 치료한다 3. 아시아조충 (Taenia asciatica) 아시아 조충은 과거 무구조충되던 것이 새롭게 분류된 조충이다 원래 무구조충의 중간숙주는 소이며 소고기 육회 등을 먹어서 감염되며 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여러 나라에 분포하는 무구조충은 소가 전혀 없는 지역에서 발견되어 오랫동안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한 미스터리에 대하여 주로 대만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마침내 중간숙주를 돼지로 하는 무구조충의 아형 으로 분류되었다가 최종적으로 아시아조충으로 명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돼지 간을 날로 먹는 습성이 있는 지역에서 발견된다 로 잘 치료된다 4. 광절열두조충 (Diphyllabothrium latum, fish tapeworm) 성충의 길이가 나 될 수 있다고 하여 긴촌충 으로도 불린다 인체에 감염되는 의엽조충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이고 분포도 세계적이다 인체가 가장 중요한 종숙주이며 소화기 증상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비교적 적응이 잘 된 기생충이어서 병원성은 그다지 강하지 않다 인체의 소장 회장 상부 에 기생하며 하루에 산란량이 만 개 이상이다 인체 감염은 연어 송어 농어 등 어류를 날로 먹을 때 일어난다 훈제 연어를 즐겨 먹은 상류층 인사들의 감염도 자주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보고되는 광절열두조충은 거의 대부분 동해긴촌충 을 오인한 증례였다는 의견이 있다 년 과거부터 국내에서 광절열두조충으로 보고되었던 증례 중 개체를 분석을 해 보았더니 전부 동해긴촌충으로 나왔다고 보고되었다 이후 산발적인 증례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분류학적 논란은 있으나 다행스럽게 임상상은 거의 비슷하다 무기력증 설사 복통 빈혈 등이 올 수 있으며 화장실에서 대변과 함께 무슨 줄과 같은 것이 매달려 떨어지지 않아 깜짝 놀라 당겨서 끊어서 병원에 가져오는 일이 많다 성충이 다량의 비타민 를 흡수하고 회장에서 비타민 의 흡수를 억제하여 비타민 의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감염된 환자의 에서 거대적혈모구빈혈 이나 비타민 의 결핍과 관련된 신경학적 이상을 동반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 이 기생충에 의한 거대적혈구빈혈은 보고된 바 없다 진단은 대 57

위장관기생충질환 변검사에서 충란을 확인하거나 환자가 가져온 충체 절편 을 확인하면 가능하고 로 치료한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기생충질환은 희귀질환이 아니다 부당 하게 의료진과 국민의 관심 밖으로 밀린 질환일 뿐 여전 히 많은 환자들이 고생하고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필자 는 우리나라에서 기생충 감염자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 정하고 있다 현재 말라리아가 재유행하고 있으며 생선회 등 음식을 통하여 전파되는 기생충질환이 꾸준 히 진단되고 있고 국내거주 외국인 및 해외여행을 나가는 내국인이 증가하고 있어 해외유입 기생충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며 애완동물에서 감염되는 인수공통 감염증의 증가가 예상되고 면역억제환자가 많아지 면서 과거에는 희귀했던 기생충질환이 드물지 않게 진단 되고 있으며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 는 농산물이 선호되는 등 기생충학 영역의 의료환경이 급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진은 누구나 기생충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대처방법을 알아야 한다 별첨 에 우 리나라에서 흔한 기생충질환에 대한 약물치료법을 요약 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문헌 58 제 57 회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세미나

Gastrointestinal Parasitic Diseases [ 별첨 ] 소화기기생충표준처방 - 무증상성인에서발견된경우도동일처방 - 1. 선충 (round worm) 회충 회 요충 주 간격으로 회 편충 회 구충 회 분선충 하루 회 일 최선인데 약을 구하기 어렵다 또는 하루 회 일 또는 μ 회 개회충 경과관찰 또는 하루 회 일 중증 증상이 있는 경우 2. 흡충 (fluke) 간흡층 하루 회 일 폐흡층 하루 회 일 요코가와흡충 회 호르텐스극구흡충 회 참굴큰입흡충 회 간질 회 3. 조충 (tapeworm) 유구조충 회 참고 유충인 유구낭미충에 의한 유구낭미충증 에서는 장기간 투약한다 무구조충 회 아시아조충 회 광절열두조충 회 4. 원충 (protozoa) 이질아메바 하루 회 일 람블편모충 하루 회 일 질편모충 하루 회 일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