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7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에라스무스본문의특징을중심으로 - 민경식 * 1. 서언 1.1. 텍스투스레켑투스라는용어의탄생 17세기의출판업자집안의두사람, 보나벤투어엘제비어 (Bonaventure Elzevier) 와아브라함엘제비어 (Abraham Elzevier) 는자신들의그리스어신약성서 2판 (1633) 을출판하면서, 발행인의서문에다음과같은추천문구를넣었다. 그러므로귀하는이제모두에의해수용되는본문을가지게되었습니다. 우리는본문에다변경되거나잘못된것을결코넣지않았습니다. 1) 시중에여러종류의그리스어신약성서가유통되고있던당시에, 이두사람은자신들이출판한성서의본문이야말로모든사람들이받아들이는본문이니, 그리스어성서를사려거든이것을사라고권하고있었던것이다. 바로이구절에서 수용본문 이라는용어가탄생하게되었다. 이것을흔히 공인본문 이라고하며, 음역하여 텍스투스레켑투스 라고도한다. 2) 이것이바로텍스투스레켑투스의좁은의미이며, 넓은의미에서의텍스투스레켑투스의출발점이기도하다. 물론오늘날에는좁은의미에서의텍스투스레켑투스라는용어는거의사용되지않는다. 반면에, 넓은의미에서의텍스투스레켑투스는 1516년의네덜란드의인문학자인에라스무스 (Desiderius Erasmus von Rotterdam, 1469-1536) 의그리스어 * 연세대학교교수, 신약학. 1) Textum ergo habes, nunc ab omnibus receptum: in quo nihl immutatum aut corruptum damus. 2) 이하에서는텍스투스레켑투스라고하겠다. 텍스투스레켑투스의개념에대해서는다음을참조하라. Bruce M. Metzger and Bart 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It s Transmission, Corruption, and Restoration, 4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5 이하 ; 민경식, ꡔ 신약성서, 우리에게오기까지 ꡕ(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2.
8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신약성서 3) 에서시작되어 1881년영국의두학자웨스트콧 (B. F. Westcott, 1825-1901) 과호트 (F. J. A. Hort, 1828-1892) 의그리스어신약성서 4) 가나오기직전까지서구유럽을지배하던형태의신약성서본문을가리킨다. 5) 당시에출판되던모든신약성서들의본문이엘제비어의본문과비슷한형태를유지하였기때문이다. 1.2. 텍스투스레켑투스에속하는신약성서들 ꡔ개역한글ꡕ(1961), ꡔ개역개정ꡕ(1998), ꡔ공동번역ꡕ(1977), ꡔ새번역ꡕ( 4 2004) 등오늘날한국사회에서우리가일반적으로읽는한글성서의신약본문은텍스투스레켑투스가아니다. 영어의경우에도 ꡔ신국제역ꡕ(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이라든지 ꡔ개역표준ꡕ(Revised Standard Version, RSV), 이외에도기능동등성 6) 이론을바탕으로번역된 ꡔ현대어영어성서ꡕ(Contemporary English Version, CEV) 나 ꡔ투데이영어성서ꡕ(Today's English Version, TEV) 등은텍스투스레켑투스가아니다. 반면에텍스투스레켑투스에속하는번역으로는지난수백년동안애독된것들로영어역으로는 ꡔ제임스왕역본ꡕ(King James Version, KJV) 7) 이있으며, 독일어역으로는 ꡔ루터성서ꡕ(Lutherbibel, LB) 가있다. 그런데 20세기이후로텍스투스레켑투스가더이상원본문을반영하는고대의본문이아니라는사실이학계에인정되면서, 오늘날우리들이읽는본문이텍스투스레켑투스의권위를넘어섰다. 우리가획득할수있는가장최선의우수한 3) Novum Instrumentum (Basel: 1516). 1516 년의제 1 판에 Heinz Holeczek 가서문을덧붙여 1986 년에같은제목으로다시인쇄된것이있다. Novum Instrumentum (Stuttgart: Fromman- Holzboog, 1986). 4) The New Testament in Original Greek, vol. I (Cambridge / London: Macmillian, 1881). 이성서가출판됨으로써수백년동안교회의공식성서라는영예를차지해왔던텍스투스레켑투스가학계에서극복되었다. 이때 ꡔ 영어개역 ꡕ(1881) 이같이출판되었다. 몇년뒤인 1898 년에출판된네스틀레 (Nestle) 의신약성서 (Novum Testamentum Graece) 로인해교계에서도텍스투스레켑투스가극복되었다. 5) 민경식, ꡔ 신약성서, 우리에게오기까지 ꡕ, 26-27; 152-166 을참조하라. 6) 문자나문법적구조를옮기는것보다의미, 즉문장의문학적기능을옮기는것에초점을맞추는번역으로소위 의역 이라고도한다. 고전적인책으로는 E. A. Nida and C. R. Taber,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Leiden: E. J. Brill, 1969) 를보라. 7) KJV 는텍스투스레켑투스를대표하는영어역성서이다. 이에대한개략적인소개로는 B. M. Metzger, The Bible in Translation: Ancient and English Versions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1), 70-80 을보라. 보다더자세한연구로는 D. Norton, A History of the English Bible as Literat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6-75, 188-217, 242-271, 387-429 와같은저자의책 A Textual History of the King James Bibl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를보라.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9 본문이더이상텍스투스레켑투스가아니라는것이다. 텍스투스레켑투스 ( 또는수용본문 ) 이라는용어를처음사용한엘제비어가 ( 家 ) 의신약성서 2판 (1633) 이 수용 한본문은베자 (Theodor Beza, 1519-1605) 의신약성서 1565년판이다. 8) 베자의신약성서는또한 KJV과도밀접하게관련이된다. 베자의이름으로출판된신약성서는모두 10판에이르는데, 마지막 10판은그가세상을뜬후 1611년에출판되었다. 9) 이가운데 1598년판이 KJV의유일한대본은아니었으나, 주요한자료로사용되었다는것은이미잘알려진사실이다. 10) 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를다소변경시킨스테파누스 (Stephanus, 1503-1559) 의신약성서역시 KJV의주요한자료가되었으며, 11) 동시에이것은베자의성서와도매우유사하였다. 다시말하자면, 에라스무스에서시작되어스테파누스와베자를거쳐엘제비어에이르도록그리스어신약성서의본문은크게변하지않았으며, 또한이것들을대본으로번역된성서들역시본문에서큰차이를보이지않기때문에, 이것들을하나의범주로묶어 텍스투스레켑투스 라고한다. 물론여기서언급된것들뿐만이아니다. 16세기에서부터 19세기중반에이르기까지출판된모든신약성서는텍스투스레켑투스의틀을벗어나지않았다. 12) 1.3. 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 1516년 3월 1일출판되어최초의신약성서출판본이라는영예를얻은에라스무스의그리스어신약성서가텍스투스레켑투스전통의첫단추라고평가할수있다. 13) 따라서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의특징을이해하기위해우리는에라 8) Metzger an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152. 9) Metzger an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151. 10) Metzger, The Bible in Translation, 77, 또한 Metzger an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151-152 를참조하라. 11) Metzger, The Bible in Translation, 77, 12) 19 세기전반부의락흐만 (Karl Lachmann, 1793-1851) 은텍스투스레켑투스가아닌본문을제공한최초의그리스어신약성서를편집하였다. K. Aland and B. Aland, Der Text des Neuen Testaments: Einführung in die wissenschaftlichen Ausgaben und in Theorie wie Praxis der modernen Textkritik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89) 21; Metzger an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170-171 을보라. 락흐만은 4 세기의본문을재구성하려고하였으며, 실재로그의목표를성취한인물은티셴도르프 (Constantin von Tischendorf, 1815-1874) 이다. 13) 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가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초라는주장을부정하는견해는없다. 오히려 텍스투스레켑투스의출발점이되었다 는것이에라스무스의공헌가운데하나로평가받는다. 에라스무스와베자를연구한 Krans 역시에라스무스의공헌을이와같이평가한다. his contribution to being the first representative of the Textus Receptus. J.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Erasmus and Beza as conjectural Critics of the New Testament (Leiden / Boston:
10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스무스의신약성서본문을살펴볼것이다. 에라스무스는여러번에걸쳐그리스어신약성서를출판하였으며, 매판마다다소차이를나타낸다. 처음에는 Novum Instrumentum (1516) 이라는이름으로, 그리고 2판부터는 Novum Testamentum (1519, 1522, 1527, 1535) 이라는이름으로신약성서를출판하였으며, 그리스어와라틴어본문외에도긴주석을첨부하여, 자신의본문을증명하려고시도하기도하였다. 그리스어신약성서를편집하기위해그는스위스바젤 (Basel) 에있던사본몇개를주요자료로사용하였는데, 이것들은 12세기이후에기록된후대의비잔틴본문을반영하는사본들로추정된다. 14) 그가어떤사본들을사용하였는지우리가정확히알수는없지만, 오늘날에도바젤에보관되어있는소문자사본 1번 (MS 1) 과소문자사본 2번 (MS 2) 이유력하며, 15) 요한계시록은소문자사본 2814 번 (MS 2814) 을사용한것으로추정된다. 16) 하지만그는그리스어로된후대의사본들만을참고하지는않았다. 사실에라스무스의의도는그리스어원본문을재구성한다기보다는그리스어사본들을토대로당시교회의공식성서였던불가타 (Vulgate) 의라틴어본문을향상시키려는것이었다. 17) 이러한목적을이루기위해서그가그리스어자료들을일차적인자료로여긴것도사실이지만, 그의성서에불가타전통의흔적이곳곳에묻어있는것으로보아라틴어본문의영향도많이받았다고평가할수있을것이다. 1.4. 무오 ( 無誤 ) 한본문? 앞에서언급한엘제비어의광고문구, 우리는본문에다변경되거나잘못된 Brill, 2006), 10. 파커 (D. C. Parker) 는에라스무스와그의동시대인들이불가타의라틴어본문이아니라신약성서의원어인그리스어를연구하였다는데에큰공헌이있다고평가하였다. D. C. Parker, The Living Text of the Gospe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2. 14) 바트어만, ꡔ 성경왜곡의역사 ꡕ ( 서울 : 청림출판, 2006), 155 를참조하라. 그는에라스무스가 4 복음서를편집할때유독하나의사본에의존했을것이고, 사도행전과서신서를편집할때에도또다른사본하나에크게의존했을것이며, 또한요한계시록사본은끝부분이훼손된하나의사본만을알고있었을것으로추정한다. 15) K. Aland and B. Aland, Der Text des Neuen Testaments, 14; Metzger an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144, 148. 또한 C. C. Tarelli, Erasmus's Manuscripts of the Gospel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xliv (1943), 155-162 를보라. 그는에라스무스가주로사용하였던복음서사본은소문자사본 2 번 (MS 2) 이며, 이것을다른몇몇사본들과비교하였다고추정하였다. 16) J.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54. 웨스트콧 (Westcott) 은이요한계시록사본은 1 r 로명명하였으나, 오늘날통일된그레고리 - 알란트번호에따르면, MS 2814 이다. 17) J.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14.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11 것을결코넣지않았습니다. 라는표현때문에, 지난수백년동안, 그리고일부에서는오늘날까지도텍스투스레켑투스에는오류가하나도없다는주장이제기되기도한다. 특히, 텍스투스레켑투스의대표적영어역성서인 KJV(1611년 ) 를중심으로이러한주장이확산되고있다. 18) 하나님의영감으로기록된성서가하나님의섭리를통해서보존되고있기때문에, 하나님의기록된말씀을가장잘보존하는 KJV는절대로무오하다는것이다. 19) KJV를변호하는웨이트 (Waite) 는크게두가지이유를들어텍스투스레켑투스의우수성을지적한다. 두가지이유가있다. (1) 첫째, 수용본문이줄곧교회들이수용해온전통있는본문이기때문이다. (2) 둘째, 그것을입증할만한증거가있기때문이다. 20) 여기서 그것을입증할만한증거 는그의책제목에언급되는 4중우수성 인데, 그것은첫째로본문의우수성이고, 둘째로번역자들의우수성이며, 셋째로번역기법의우수성이고, 마지막으로신학의우수성이다. 그리스어본문에관심을갖고있는본소고가 KJV의번역문제에대해언급하는것은적절하지않을것이다. 따라서우리는 KJV의기원이되는에라스무스의그리스어성서본문을중심으로 본문의우수성 과 신학의우수성 이라는측면 18) 우리말로번역된것만해도하나하나거론할수없을만큼많다. 대략몇가지만소개하면다음과같다. 사무엘 C. 깁, ꡔ 킹제임스성경에대한질문에답하여 ꡕ ( 서울 : 안티오크, 1994); 도널드 A. 웨이트 ꡔ 킹제임스성경의 4 중우수성 ꡕ ( 인천 : 그리스도예수안에, 2006); 토마스홀랜드 ꡔ 킹제임스성경의영광 ꡕ ( 인천 : 그리스도예수안에, 2006); 에드워드힐즈 ꡔ 킹제임스성경변호 ꡕ ( 인천 : 그리스도예수안에, 2007). 이외에도말씀보존학회에서 바른성경을찾아서 라는시리즈로출판되는책들을보라. 19) 그러나노톤 (Norton) 이지적하였듯이, ꡔ 제임스왕역본 ꡕ 의본문은 1611 년에확정된것이아니라, 지속적으로개정되어정착된것이다. 노톤은 ꡔ 제임스왕역본 ꡕ 이 4 번에걸쳐개정되었다고주장한다. D. Norton, A Textual History of the King James Bible, 62-127 을보라. 더군다나그에따르면, ꡔ 제임스왕역본 ꡕ 은새로운번역이라기보다는기존의번역들을개정한것이다. 이에대해서는 D. Norton, A History of the English Bible as Literature, 60 을보라. They [= the translators of KJV] were not pioneers but revisers. They had as bases of their work not only a variety of translations but also explicit and detailed discussion of the issues they faced. 여기서말하는기존의번역들이란 Wyclif Bible (1370 년대이후 ), Tyndale (1525 년?), Coverdale (1535), Great Bible (1539), Geneva Bible (1560), Bishop s Bible (1568), Rheims-Douai Bible 등을의미한다. 특히 Tyndale 의본문이많이반영되었다. P. Ellingworth, From Martin Luther to the English Revised Version, A History or Bible Translation, P. A. Noss, ed. (Roma: Edizioni di storia e letteratura, 2007), 124. 그에따르면, ꡔ 제임스왕역본 ꡕ 은 원어를참조한개정이라고하는것이가장적절 하다. 또한 B. M. Metzger, The Bible in Translation, 71, 73, 76 을참조하라. 서문에이것이새로운번역이아니라개정이라고말하는부분이있었는데, 오늘날에는이서문이빠져있다. 20) 도널드 A. 웨이트 ꡔ 킹제임스성경의 4 중우수성 ꡕ, 36.
12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에서텍스투스레켑투스를비판적으로살펴보도록할것이다. 2. 후대의비잔틴본문을반영하는에라스무스의본문 라틴어불가타성서의본문을개선하기위해비잔틴계열의그리스어신약사본들을참조한에라스무스의본문은후대의비잔틴본문을반영하고있다. 몇가지예를들어보면서설명하도록하겠다. 2.1. 마가복음 1 장 2-3 절 우리말 ꡔ 새번역 ꡕ 에서마가복음 1 장 1-4 절은다음과같다. 1 하나님의아들예수그리스도의복음의시작은이러하다. 2 예언자이사야의글에기록하기를, 보아라, 내가내심부름꾼을너보다앞서보낸다. 그가네길을닦을것이다. 3 광야에서외치는이의소리가있다. 너희는주님의길을예비하고, 그의길을곧게하여라 한것과같이, 4 세례자요한이광야에나타나서, 죄를용서받게하는회개의세례를선포하였다. ꡔ개역개정ꡕ 과 ꡔ공동번역ꡕ 도이와유사하다. 번역대본으로삼은그리스어본문이같기때문이다. 21) 반면에에라스무스의그리스어본문 22) 을반영하고있는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은이구절을다소다르게보도하고있다. 23) 1 하나님의아들예수그리스도의복음의시작이라 2 선지서들에기록 21) 1 VArch. tou/ euvaggeli,ou VIhsou/ Cristou/ Îuiòu/ qeou/ðå 2 Kaqw.j ge,graptai evn tw/ VHsai<a tw/ profh,th \ ivdou. avposte,llw to.n a;ggelo,n mou pro. prosw,pou sou( o]j kataskeua,sei th.n o`do,n sou\ 3 fwnh. bow/ntoj evn th/ evrh,mw \ e`toima,sate th.n o`do.n kuri,ou( euvqei,aj poiei/te ta.j tri,bouj auvtou/( 4 evge,neto VIwa,nnhj Îo`Ð bapti,zwn evn th/ evrh,mw kai. khru,sswn ba,ptisma metanoi,aj eivj a;fesin a`martiw/nå (NTG 27 = GNT 4 ) 22) 1 2 VArch. tou/ euvaggeli,ou VIhsou/ Cristou/ uiòu/ tou/ qeou/ ~Wj ge,graptai evn toi/j profh,taij( ivdou. evgw. avposte,llw to.n a;ggelo,n mou pro. prosw,pou souå o]j kataskeua,sei th.n o`do,n sou e;mprosqe,n souå 3 fwnh. bow/ntoj evn th/ evrh,mw \ e`toima,sate th.n o`do.n kuri,ou( euvqei,aj poiei/te ta.j tri,bouj auvtou/å 4 VEge,neto VIwa,nnhj bapti,zwn evn th/ evrh,mw Å kai. khru,sswn ba,ptisma metanoi,aj( eivj a;fesin a`martiw/nå ( 에라스무스 1판 ) 23) 우리의연구는에라스무스의본문을연구하는것이나, 편의상에라스무스의본문을반영하는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의본문을소개한다. 에라스무스의원문은앞의각주를참조하라.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13 된바와같이 보라, 내가네면전에나의사자를보내리니, 그가네앞서네길을예비하리라. 3 광야에서외치는자의음성이있어 너희는주의길을예비하고그의길을곧게하라. 고하였다. 4 요한이광야에침례를주고, 죄들을사함받은것으로인하여회개의침례를전파하니 몇가지차이점들이있으나, 여기서내용상가장분명하게차이를드러내는것은 2절의앞부분이다. ꡔ새번역ꡕ 에따르면, 2절과 3절의구약본문은이사야서에서인용된것이다. 그런데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에따르면, 이구약인용문의출처는두개이상의예언서 ( 선지서 ) 들이다. 여기서문제가되는것은, 2절의구약인용문이이사야에서발견되지않는다는것이다. 이것은문자적인정확한인용은아니지만, 말라기 3장 1절을반영하고있다. 24) 대문자사본들가운데는 5세기의알렉산드리아사본 (A) 과프리어사본 (W) 이 예언서들에기록되기를 이라는독법을지지하며, 다수본문 (à) 이또한이독법을지지한다. 이렇듯대다수의후대소문자사본들이이독법을지지하는반면에, 4세기의시내사본 ( ) 과바티칸사본 (B) 을포함한초기의우수한사본들은 예언자이사야의글에기록되기를 이라는독법을지지한다. 우리는 예언자이사야의글에기록되기를 이왜 예언서들에기록되기를 이라는독법으로변하게되었는지를쉽게짐작할수있다. 마가복음 1장 2-3절의구약인용문이이사야인용만이아니기때문이다. 이러한내용상의불일치를해소하기위해 예언서들에기록되기를 이라는이문이생겨났다. 25) 이러한이문은흔히일어나는현상이다. 조화된본문은비잔틴본문유형의중요한특징가운데하나이다. 2.2. 마태복음 6 장 9-13 절 주기도문은신약성서에두군데나온다. 마태복음 6장 9-13절의것은상대적으로길며, 누가복음 11장 2-4절의것은짧다. 그외에 ꡔ디다케ꡕ 26) 에서도마태복 24) 내가나의특사를보내겠다. 그가나의갈길을닦을것이다 ꡔ 새번역 ꡕ 25) 그러나이러한조화현상이체계적으로일어나지는않았다. 마태복음 27 장 9 절의경우, 구약인용문은스가랴에서온것인데, 마태복음은예레미야로보도한다. 우리가아는한, 이러한잘못된정보를교정한것은그리스어사본들가운데서는소문자사본 21 번 (MS 21) 과 22 번 (MS 22) 밖에없다. 이가운데소문자사본 21 번은예레미야를스가랴가아니라이사야로고쳤다. 하여간비잔틴본문은잘못된정보인예레미야를교정하지않았다. 26) 디다케 8 장 2 절에전승되는주기도문은마태의주기도문과유사한긴형태이다. 디다케의그리스어 ( 비평 ) 원문과우리말번역본이함께실린정양모 ( 역주 ), ꡔ 열두사도들의가르침 : 디다케 ꡕ 교부문헌총서 7 ( 왜관 : 분도출판사, 1993) 을보라.
14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음의것이약간변형된형태로전승된다. 9 하늘에계신우리아버지, 그이름을거룩하게하여주시며, 10 그나라를오게하여주시며, 그뜻을하늘에서이루심같이, 땅에서도이루어주십시오. 11 오늘우리에게필요한양식을내려주시고, 12 우리가우리에게죄지은사람을용서하여준것같이우리의죄를용서하여주시고, 13 우리를시험에들지않게하시고, 악에서구하여주십시오. [[ 나라와권세와영광은영원히아버지의것입니다. 아멘.]] ꡔ새번역ꡕ 마태복음 6장 9-13절 2 아버지, 그이름을거룩하게하여주시고, 그나라를오게하여주십시오. 3 날마다우리에게필요한양식을내려주십시오. 4 우리의죄를용서하여주십시오. 우리에게빚진모든사람을우리가용서합니다. 우리를시험에들지않게하여주십시오. ꡔ새번역ꡕ 누가복음 11장 2-4절 ꡔ새번역ꡕ 에는두본문의길이가명확히다르다. 크게보면, 누가복음에는 하늘에계신 이빠져있으며, 그뜻을하늘에서이루심같이, 땅에서도이루어주십시오. 가빠져있다. 또한 악에서구하여주십시오. 도보이지않는다. 3세기의파피루스사본 75번 (â75) 과 4세기의바티칸사본 (B) 등의우수한사본들이짧은본문을증거한다. 그런데대다수의후대소문자사본들 (à) 에는이러한요소들이첨가되어있는긴본문이나타난다. 이렇듯비잔틴본문유형은누가의주기도문을마태의주기도문에조화시켰다고볼수있다. 여기서조금더살펴볼것은바로송영부분이다. 우리말 ꡔ새번역ꡕ 에는송영부분이겹꺾쇠로묶여있다. 이것은이부분이원본문에는포함되지않는다는것을의미한다. 네스틀레- 알란트그리스어신약성서 27판 ( 이하 NTG 27 ) 27) 에는송영이본문에서완전히빠져있다. 시내사본 ( ) 과바티칸사본 (B) 또베자사본 (D) 등을포함한많은초기의대문자사본들과몇몇소문자사본들에송영이빠져있다. 또한터툴리아누스와오리게네스와시프리아누스등의주석서등에도송영이빠져있는것으로보아, 우리는 초기교회에서예배의식용으로사용하기위하여주기도문을각색하는과정에서, 일반적으로삼중형식으로되어있는송영이 만들어졌음 28) 을추정할수있다. 27) B. Aland, K. Aland, J. Karavidopoulos, C. M. Martini and B. M. Metzger, Novum Testamentum Graece, 27. revidierte Aufl., 8. korrigierter und um die Papyri 99-116 erweiterter Druck,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3). 이와함께같은편집자들의 Greek New Testament, 4th.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3) 을참조하라. 28) B. M. Metzger, ꡔ 신약그리스어본문주석 ꡕ( 서울 : 대한성서공회성경원문연구소, 2005), 14.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15 반면에 5세기의프리어사본 (W) 등을포함하여몇몇대문자사본들과거의모든후대의소문자사본들에는송영부분이포함되어있다. 29) 물론에라스무스의그리스어신약성서에도가장긴형태의송영이포함되어있으며, 여기서우리는 어떤작은요소라도놓치지않으려는비잔틴본문 의특징을살펴볼수있다. 30) 2.3. 마가복음 16 장 9-21 절 마가복음 16 장 8 절은다음과같다. 그들은무덤에서뛰쳐나와도망하였다. 전율과공포가그들을사로잡았기때문이다. 그들은아무에게아무말도하지못하였다. 무서웠기때문이다. ( 사역, 막 16:8) 우리말 ꡔ새번역ꡕ 에는 8절이후에 9-20절이이어지지만, 이부분이겹꺾쇠안에묶여있어, 이것이후대에첨가된이차적인본문임을가르쳐준다. NTG 27 에도 9-20절이겹꺾쇠안에놓여있는데, 다만우리말번역과는달리짧은끝도독립적인겹꺾쇠안에놓여있다. 31) 우리말 ꡔ개역개정ꡕ 은이부분을 ( 단 ) 꺾쇠안에묶어놓음으로써, 이단락에본문비평적인문제가있음을가르쳐준다. 이단락에본문비평적인문제가있는이유는, 신약성서사본들마다몇가지다른마가복음의종결부분을보도하기때문이다. 크게보면네가지의서로다른종결을발견할수있는데, 32) 16절 8절에서마가복음이끝나는경우가있고 (, B 등 ), 짧은끝 이덧붙은경우가있으며 (L, Ψ, 구라틴어번역본 k 등 ) 33), 또 긴 29) 송영이포함되어있는사본들이라고해도, 그송영이일치하지는않는다. 송영과관련된이문들은모두여덟가지가있으며, 송영이없는것을제외하면, 서로다른일곱개의송영이있다고할수있다. 서로다른송영들에대한평가에대해서는 D. C. Parker, The Living Text of the Gospels, 54-59 를보라. 30) D. C. Parker, The Living Text of the Gospels, 59. 31) 우리말 ꡔ 새번역 ꡕ 에서는짧은끝이각주에소개되고있다. 마가복음서의긴끝맺음 (16:9-20). 이긴끝맺음대신에 마가복음서의짧은끝맺음 만을가진사본들도있다. 그여자들은명령받은모든일을베드로와그와함께있는사람들에게간추려서말해주었다. 그뒤에예수께서는친히그들을시켜서, 동에서서에이르기까지, 영원한구원을담은, 성스러우며없어지지않는복음을퍼져나가게하셨다. 32) B. M. Metzger, ꡔ 신약그리스어본문주석 ꡕ, 97-101. 또한 R. Omanson, A Textual Guide to the Greek New Testament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06), 103-104 를보라. 자세히나누면여섯가지로도구분할수있는데, 이에대해서는 D. C. Parker, The Living Text of the Gospels, 124-128 을보라. 33) 구라틴어번역본 k 를제외하면, 나머지 (L, Ψ 등 ) 는짧은끝과긴끝 (9-20 절 ) 을동시에가지고있다.
16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끝 이덧붙은경우가있고, 마지막으로확대된긴끝이나타나는경우가있다 (W). 우선외적판단기준 34) 을따를때, 고대의우수한사본들 (, B 등 ) 이 9-20절을보도하지않기때문에이부분이후대에첨가된본문일것이라고잠정적으로추정할수있다. 반면에에라스무스의본문에나오는긴끝을지지하는사본들은다수본문 (à) 으로집약될수있는대다수의후대사본들이다. 그런데이에덧붙여 5세기의알렉산드리아사본 (A) 과에브라임재생사본 (C) 과베자사본 (D) 등적지않은대문자사본들도긴끝을지지한다. 이레니우스와유세비우스와제롬같은교부들도긴독법을알고있었다. 여기까지만의증거로는마가복음 16장 9-20 절의진정성을판단하기어렵다. 두증거군들이어느정도균형을이루고있기때문이다. 그런데흥미로운것은 8세기의레기우스사본 (L) 과 8/9세기의아투스사본 (Ψ), 또 7세기의대문자사본 099번 (MS 099) 과 6/7세기의대문자사본 0112 번 (MS 0112) 등이짧은끝과긴끝을동시에보도하고있다는것이다. 이사본들이긴끝을보도한다고해서이것들이결코긴끝의진정성을지지하는것이아니다. 이것들은오히려짧은끝을함께보도함으로써긴끝의진정성을의심한다는사실을분명하게드러낸다. 따라서외적판단기준에따를때, 16장 8절에서마가복음이끝나는것이다소우세하다고할수있다. 내적판단기준을따를때에는긴끝이이차적인첨가라는사실이보다명확하게논증된다. 어색하게끝나는마가복음의끝 (16장 8절 : evfobou/nto ga,rå ) 이추가적인종결문구가생겨나도록한것이다. 이에짧은끝이생겨나기도했고, 또긴끝이생겨나기도했다. 더군다나여인들은제자들에게소식을전하라는명령을받았지만 (7절), 아무말도하지못하고만다. 또한초기기독교인들이알고있었던현현전승과승천전승이마가복음 16장 8절이전에는빠져있다. 그러한이유때문에보충적인종결문구가마가복음의끝에덧붙게된것이다. 그런데 KJV와그것의기원이되는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에는마가복음 16 장 9-20절이본문에포함되어있다. 긴끝의진정성을주장하는근거는이러하다. 복음서가이곳에서그렇게갑자기끝나는것은논리적이지않다. 복음서가결코끝이나지않았다는것도성경의영감에의문을불러일으키므로결코논리적이지않다. 원래의결말이손실되었다는것은성경보존교리를확실히부인하는것이다. 35) 34) 외적판단기준과내적판단기준에대한소개는 Metzger and Ehrma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305-315 를보라. 메츠거는외적판단기준을소개하면서소위 본문유형 에대해논하는데, 본문유형 에대한비판적인논증은민경식, 초기신약성서단편사본연구방법에대한고찰, 신약논단 12 권 (2005), 157-196, 특히 162-174 를보라.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17 이러한주장은성서본문을근거로교리를정하는것과는반대방향, 즉어떤특정한교리 ( 여기서는소위 성경보존의교리 ) 를근거로성서의본문을규정하려는시도로, 본말이전도된것이다. 에라스무스가긴끝을본문으로삼은것은그가사용하였던사본들이비잔틴계열의후대사본들이었기때문이며, 이사본들로인해에라스무스의그리스어신약성서를필두로텍스투스레켑투스는비잔틴본문의수호자가되었다. 3. 불가타성서의영향을받은에라스무스의본문 그러나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는비잔틴본문 ( 또는다수본문, à) 만을가지고있지는않다. 당시교회의권위있는본문이었던불가타의영향으로부터자유로울수없었기때문이다. 몇가지예를들어보기로하겠다. 3.1. 요한계시록 22 장 16-21 절 에라스무스는요한계시록사본을단하나만가지고있었는데, 오늘날독일아우구스부르크대학교에보관되어이사본 (MS 2814) 은요한계시록 22장 16-21 절이들어있어야하는마지막장이훼손되어있다. 이에에라스무스는다른요한계시록사본을구하는대신에라틴어본문을그리스어로역 ( 逆 ) 번역하였다. 그리하여이전까지그리스어본문전통에전혀없었던새로운이문이발생하게되었다. 여기서가장흥미로운것은요한계시록 22장 19절이다. 또누구든지이예언의책에기록한말씀에서무엇을없애버리면, 하나님께서이책에기록한생명나무와그거룩한도성에서그가누릴몫을없애버리실것입니다. ꡔ새번역ꡕ kai. eva,n tij avfe,lh avpo. tw/n lo,gwn tou/ bibli,ou th/j profhtei,aj tau,thj( avfelei/ o` qeo.j to. me,roj auvtou/ avpo. tou/ xu,lou th/j zwh/j kai. evk th/j po,lewj th/j a`gi,aj tw/n gegramme,nwn evn tw/ bibli,w tou,tw Å NTG 27 우리말 ꡔ개역개정ꡕ 이나 ꡔ공동번역ꡕ, 또영어의 RSV, NIV 등대다수의번역들이이와유사하다. 그런데에라스무스의본문을반영하는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은다른본문을가지고있다. 35) 토마스홀랜드, ꡔ 킹제임스성경의영광 ꡕ, 111.
18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또누구든지이예언의책의말씀들에서삭제하면하나님께서생명의책과거룩한도성과이책에기록된것들에서그의부분을제하여버리시리라.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kai. eva,n tij avfairh/ avpo. tw/n lo,gwn bi,blou th/j profhtei,aj tau,thjå avfairh,sei o` qeo.j to. me,roj auvtou/ avpo. bi,blou zwh/j( kai. po,lewj a`gi,aj( kai. tw/n gegramme,nwn evn bibli,w tou,tw. 에라스무스의 Novum Instrumentum (1516) 19절에서드러나는몇가지차이점들가운데가장큰것은, 생명나무에서 (= avpo. tou/ xu,lou th/j zwh/j) (NTG 27 ) 와 생명의책에서 (= avpo. bi,blou zwh/j() ( 에라스무스 ) 이다. 그리스어사본전통에서는에라스무스의본문과같은독법이발견되지않는다. 이독법은에라스무스가불가타라틴어를그리스어로번역하면서생긴이문이다. 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에포함된라틴어본문은아래와같다. et si quis diminuerit de verbis libri prophetiae huius, auferet Deus partem eius de ligno vitae et de civitate sancta, et de his quae scripta sunt in libro isto de ligno vitae 가 avpo. bi,blou zwh/j 로번역되었고, 이것이다시 생명의책에서 (KJV: out of the book of life) 로번역되었다. 라틴어전통에서만발견되는이이문은라틴어로 나무에서 (de ligno) 와 책에서 (de libro) 가매우유사하기때문에발생한것으로추정된다. 더군다나 NTG 27 그리스어본문에는두번의정관사가나타난다 (avpo. tou/ xu,lou th/j zwh/j). 에라스무스의본문에정관사가생략된것은정관사가없는라틴어의언어적특징때문이다. 관사가없는라틴어대본을번역하면서그리스어에도정관사가빠지게된것이다. 이러한요소들을고려할때, 우리는에라스무스의이문이불가타의영향이라고판단할수있다. 3.2. 요한일서 5 장 7-8 절 에라스무스의 Novum Instrumentum (1516) 에는요한일서가다음과같다. 7 o[ti trei/j eivsin oi` marturou/ntej( 8 to. pneu/ma kai. to. u[dwr kai. to. ai-ma( kai. oi` trei/j eivj to. e[n eivsinå 7 증언하시는이가셋인데, 8 영과물과피입니다. 그리고이셋은하나 입니다. ( 사역 )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19 에라스무스의 Novum Testamentum 2판 (1519) 에서도이본문은그대로유지되었다. 오늘날의 NTG 27 나우리말 ꡔ개역개정ꡕ, ꡔ새번역ꡕ, 또 ꡔ공동번역ꡕ 도이러한짧은형태의본문을보도한다. 그런데에라스무스의 Novum Testamentum 3 판 (1522) 에서이본문이다음과같이긴형태로확대되었다. 확대된긴본문은스테파누스와베자의신약성서와 KJV 같은이후의텍스투스레켑투스에유입되어정착되었다. 7 o[ti trei/j eivsin oi` marturou/ntej en tw/ ouvranw/ ( o` path,r( o` lo,goj( kai. to. 8 {Agion Pneu/ma\ kai. ou-toi oi` trei/j e[n eivsin kai. trei/j eivsin oi` marturou/ntej e[n th/ gh/ ( to. pneu/ma kai. to. u[dwr kai. to. ai-ma kai. oi` trei/j eivj to. e[n eivsi.nå 7 이는하늘에서증거하시는이가세분이시니, 아버지와말씀과성령이시오, 이세분은하나이시라. 8 또땅에서증거하는것도셋이니, 영과물과피요, 이셋은하나안에서일치하느니라.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기독교의핵심교리가운데하나인삼위일체를가장분명하게증언하는이본문, 요한의콤마 (comma Johhaneum) 라고불리는이긴본문은대다수의그리스어사본에서발견되지않는다. 이본문이들어있는그리스어사본들은모두소문자사본들로서 MS 61, MS 88, MS 221, MS 429, MS 629, MS 636, MS 918, MS 2318, MS 2473 등몇개에불과하다. 이가운데네개의사본 (MS 88, MS 221, MS 429, MS 636) 에는확대된본문이 16세기이후의필체로난외에기록되어있다. 그리고소문자사본 629번 (MS 629, 14세기 ) 을제외한나머지는 16세기이후의사본들이다. 36) 그러므로소문자사본 629번 (MS 629) 을제외하면, 긴본문을증거하는모든사본들이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출판과함께시작된논쟁가운데, 의도적으로확대된본문을삽입한것이라고추정할수있다. 또 14세기의소문자사본 629번 (MS 629) 도라틴어본문전통의영향을받은것이라고판단할수있다. 37) 교리적으로매우중요해보이는이러한본문이원본문이라면, 대다수의사본들에서이것이삭제된것을설득력있게설명할수없다. 에라스무스는초판 (1516) 과재판 (1519) 에서그리스어본문전통에따라짧은본문을선택하였지만, 3판 (1522) 이후부터는긴본문을선택하였으며, 긴본문은 36) MS 61 과 MS 918 은 16 세기의사본이고, MS 2473 은 17 세기, MS 2318 은 18 세기의사본이다. 37) 긴본문에대한그리스어사본의지지는미미하지만, 라틴어사본들의지지는강하다. 또한그리스교부가운데서긴본문을지지하는교부가없고, 라틴어를제외한모든고대번역본사본들에도긴본문이없으며, 제롬의불가타사본에도없는것으로보아, 후대의라틴어신약성서필사전통가운데생겨난이문이라고판단할수있다. B. M. Metzger, ꡔ 신약그리스어본문주석 ꡕ, 626-628; R. Omanson, A Textual Guide to the Greek New Testament, 512-513 을보라.
20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스테파누스와베자를비롯한텍스투스레켑투스의본문으로선택되었고, KJV에도반영되었다. 요한의콤마는텍스투스레켑투스가라틴어본문의영향을받은사례를보여주기도하지만, 또한텍스투스레켑투스가항상비잔틴본문 ( 또는다수본문 ) 과일치하지는않는다는것을보여주는대표적인사례이기도하다. 이외에도그리스어본문을선택하기보다는라틴어를역번역한경우를발견할수있는데, 요한계시록의경우만보더라도다음과같은구절들이있다. 요한계시록 2장 2절, 17절, 20절, 3장 12절, 6장 11절, 22장 11절등이다. 38) 에라스무스스스로경우에따라서는라틴어본문이더우월하다는것을인식하기도하였다. 39) 이것은올바른인식이다. 마태복음의주기도의송영에서볼수있듯이불가타성서가비잔틴전통보다더오래된본문을담고있기도하기때문이다. 4. 교리적으로우수한텍스투스레켑투스 텍스투스레켑투스의우수성을주장하는논거가운데중요한요소가교리적우수성이다. 텍스투스레켑투스야말로교리적으로가장적절한본문을제공하기때문에, 텍스투스레켑투스가가장우수하다는것이다. 40) 교리적또는신학적우수성이원본문구성과어떤관련이있는지몇가지예를통해살펴보도록하겠다. 4.1. 누가복음 2 장 33 절 누가복음 2장 33절에서우리말 ꡔ개역개정ꡕ 과 ꡔ공동번역개정ꡕ 과 ꡔ새번역ꡕ, 영어의 NIV, RSV 등은요셉과마리아를예수의아버지와어머니로보도함으로써, NTG 27 의본문을반영하고있다. 33 아기의아버지와어머니는, 시므온이아기에대하여하는이말을듣고서, 이상하게여겼다. ꡔ새번역ꡕ 33 kai. h=n o` path.r auvtou/ kai. h` mh,thr qauma,zontej evpi. toi/j laloume,noij 38) Jan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54-55. 39) Jan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17 을보라. 에라스무스는 2 판 (1519) 에서로마서 11 장 6 절의이문에대해설명하면서, 본문에는여전히긴비잔틴독법을유지하지만, 이긴독법보다불가타의짧은독법을선호한다고하였다. 40) KJV 이신학적으로우수하다는주장에대해서는도널드 A. 웨이트 ꡔ 킹제임스성경의 4 중우수성 ꡕ, 114-161 을보라.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21 peri. auvtou/å NTG 27 반면에텍스투스레켑투스전통의신약성서들은요셉을예수의아버지로보도하지않는다. 에라스무스의본문도여기에속한다. 33 요셉과주의모친이그아기에관한것을듣고이상히여기더라. ꡔ한글킹제임스성경ꡕ 33 kai. h=n VIwsh.f kai. h` mh,thr auvtou/ qauma,zontej evpi. toi/j laloume,noij peri. auvtou/å 에라스무스의 Novum Instrumentum (1516) 대다수의소문자사본들과알렉산드리사본 (A) 등일부대문자사본들도 그 ( 예수 ) 의아버지 라는독법대신에 요셉 이라는독법을지지한다. 이러한전통을따르는텍스투스레켑투스는요셉을예수의아버지로묘사하지않음으로써 예수의동정녀탄생교리 에적절한본문을제공한다. 41) 그러나 4세기의시내사본 ( ) 과바티칸사본 (B), 5세기의베자사본 (D) 과프리어사본 (W), 그외의적지않은사본들이 그의아버지 를지지한다. 이렇게외적판단기준에따를때, 그의아버지 가더유력하며, 내적판단기준을따를때에도마찬가지이다. 필사자들은교리적으로적절한본문을교리적으로어렵게고치는경향을보이지않기때문이다. 교리적으로우수하다는것은본문비평적으로우수하지못하다는것을의미한다. 4.2. 마태복음 24 장 36 절 41) 교리적으로적절한본문을제공한다는것과교리적인이유로변개가일어났다는것사이에는분명한차이가있다. 우연하게변개가일어난후에, 그것이교리적으로적절하기때문에필사자들이그독법을선호한경우라면, 엄밀한의미에서교리적변개라고할수없다. 누가복음 2 장 33 절이좋은사례이다. 물론어만 (B. Ehrman) 같은학자는이것을교리적인변개로본다. B. D. Ehrman, The Orthodox Corruption of Scripture: the Effect of Early Christological Controversies o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55-56. 그러나이것은교리적인변개가아니다. 왜냐하면, 똑같이문제가되는 27 절 ( 예수의부모 ) 과 47 절 ( 예수의부모 ), 또 48 절 ( 예수의아버지 ) 은거의교정되지않았기때문이다. 이에대해서는민경식, ꡔ 신약성서, 우리에게오기까지 ꡕ, 36-37 을보라. 또한 K. Wachtel, Zur Entstehung und Ausbreitung von Varianten in der handschriftlichen Überlieferung des Neuen Testaments, Münstersches Logbuch zur Linguistik 6: Philologische Beiträge (1999), 84-85 를보라, 교리적인이유로본문을변개하는경우는매우제한되어있기때문에, 어떤이문의발생원인을교리적인이유로설명할때는매우신중해야한다. 이와관련하여 Kyoung Shik Min, Die früheste Überlieferung des Matthäusevangeliums (bis 3./4. Jahrhundert): Edition und Untersuchung (Berlin / NY: Walter de Gruyter, 2005), 296-305 를참조하라.
22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NTG 27 의본문을반영하는우리말 ꡔ 개역개정 ꡕ 이나 ꡔ 새번역 ꡕ 의마태복음 24 장 36 절은교리적으로어려운문제를제공한다. 36 그러나그날과그시각은아무도모른다. 하늘의천사들도모르고, 아들도모르고, 오직아버지만이아신다. ꡔ새번역ꡕ 36 Peri. de. th/j h`me,raj evkei,nhj kai. w[raj ouvdei.j oi=den( ouvde. oi` a;ggeloi tw/n ouvranw/n ouvde. o` uiò,j( eiv mh. o` path.r mo,nojå NTG 27 아들도 아니다 (ouvde. o` uiò,j) 는 4세기의시내사본 ( ) 42) 과바티칸사본 (B), 5세기의베자사본 (D) 등초기대문자사본들에포함되어있지만, 비잔틴계열의다수본문 (à) 에는빠져있다. 마지막때에대한예수의가르침을마태가보도하는데, 성자하나님이 그날과그시각 을모른다는것은교리적인어려움을야기하기때문에, 이러한문제를인식한일부필사자들은 아들도 아니다 를삭제하였을것이다. 43) 이것이교리적변개의좋은사례이다. 그리고스테파누스의신약성서라든지 KJV 등텍스투스레켑투스전통에속하는대다수의신약성서들이다수본문 (à) 의전통을따르고있다. 그런데에라스무스의신약성서만은예외적으로 아들도 아니다 를본문에포함하고있다. 44) 이를통해서우리는에라스무스신약성서가일반적으로교리적으로적절한본문인후대의비잔틴본문을반영하기는하지만, 항상교리적으로우수한본문을제공하려는목적을가지고있었던것이아니라고평가할수있다. 에라스무스는많은경우에오히려교리적으로부적절한어려운독법을선호하기도하였다. 45) 5. 결언 1516년 3월 1일, 에라스무스는최초의그리스어신약성서인쇄본을공식적으로출판하였다. 46) 그는그리스어사본전통에따라서불가타의라틴어본문을개 42) 시내사본 ( ) 의경우는흥미롭다. 4 세기의원래의필사자가 아들도 아니다 를썼는데, 4-6 세기사이의첫번째교정자가이것을지웠고, 7 세기의두번째교정자가다시되살렸다. 43) 그리스어구문도 아들도 아니다 가있는것을전제로한다. B. M. Metzger, ꡔ 신약그리스어본문주석 ꡕ, 50; R. Omanson, A Textual Guide to the Greek New Testament, 43-44. 44) Peri. de. th/j h`me,raj evkei,nhj kai. w[raj ouvdei.j oi=den( ouvde. oi` a;ggeloi tw/n ouvranw/n ouvde. o` uiò,j( eiv mh. o` path.r mo,nojå 45) J.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188. 또한 40-50 을보라. 여기서그는에라스무스의편집원리가운데하나가어려운독법을선택하는것이었음을여러가지사례를통해서논증한다. 46) 물론 1514 년스페인의주교히메네스 (Francisco Ximenes de Cisneros, 1437-1517) 가신약성서인쇄본출판준비를이미마쳤으나, 교황의재가를기다리는사이에인문학자인에라스무스의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23 선하고발전시키려고하였으며, 47) 그래서당시바젤에서구할수있었던 12세기의몇몇소문자사본들을토대로라틴어본문을개정하며그리스어본문을재구성하였다. 그런데그가사용하였던사본들이비잔티계열의사본들이었기때문에, 그의신약성서는일반적으로비잔틴계열의그리스어본문을제공하게된것이다. 그러면서도그의신약성서는불가타의영향에서완전히벗어나지못하였다. 자신이사용하였던그리스어사본이불완전한부분에서는불가타의본문을받아들였으며, 경우에따라서는불가타본문을토대로그리스어본문을교정하기도하였다. 텍스투스레켑투스의효시가된그의신약성서는분명히 KJV과는다르며, 또한텍스투스레켑투스전통에속하는 16-19세기의다른신약성서들과도차이점을드러낸다. 일반적으로세련된문장과교리적으로적절한본문을제공하지만, 때때로교리적으로적절하지않은본문을선택하기도하였다. 신학적으로나교리적으로우수한본문을재구성하는데에라스무스의일차적인관심이있지않았기때문이다. 이그리스어신약성서의등장으로로마카톨릭 ( 불가타의라틴어본문 ) 과개신교 ( 그리스어텍스투스레켑투스 ) 가갈라서게될준비가되었다. < 주요어 >(Keywords) 에라스무스, 텍스투스레켑투스 ( 공인본문 ), 신약성서, 사본, 개정, 본문. Erasmus, Textus Receptus, New Testament, Manuscript, revision, text. 신약성서가먼저출판되었다. 민경식, ꡔ 신약성서, 우리에게오기까지 ꡕ, 152-153 을보라. 47) Krans, Beyond What Is Written, 13.
24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 참고문헌 (References) Aland, K. and Aland, B., Der Text des Neuen Testaments: Einführung in die wissenschaftlichen Ausgaben und in Theorie wie Praxis der modernen Textkritik.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89. Aland, B., Aland, K., Karavidopoulos, J., Martini, C. M. and Metzger, B. M., Novum Testamentum Graece, 27. revidierte Aufl., 8. korrigierter und um die Papyri 99-116 erweiterter Druck.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3. Greek New Testament, 4th.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3. Ellingworth, P., From Martin Luther to the English Revised Version, A History or Bible Translation, P. A. Noss, ed., Roma: Edizioni di storia e letteratura, 2007. Ehrman, B. D., ꡔ성경왜곡의역사ꡕ, 민경식역, 서울 : 청림출판, 2006. Erasmus, D., Novum Instrumentum, Basel: Froben, 1516. (= Novum Instrumentum. Stuttgart: Fromman-Holzboog, 1986). Novum Testamentum. 2 1519, 3 1522. Gipp, S. C., ꡔ킹제임스성경에대한질문에답하여ꡕ, 서울 : 안티오크, 1994. Hills E. F., ꡔ킹제임스성경변호ꡕ, 인천 : 그리스도예수안에, 2007. Holland, T., ꡔ킹제임스성경의영광ꡕ, 인천 : 그리스도예수안에, 2006. Krans, J., Beyond What Is Written: Erasmus and Beza as Conjectural Critics of the New Testament, Leiden; Boston: Brill, 2006. Metzger, B. M., ꡔ신약그리스어본문주석ꡕ, 장동수역, 서울 : 대한성서공회성경원문연구소, 2005. Metzger, B. M. and Ehrman, B. D.,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It's Transmission, Corruption, and Restoration, 4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Min, K. S., Die früheste Überlieferung des Matthäusevangeliums (bis 3./4. Jahrhundert): Edition und Untersuchung, Berlin; New York: Walter de Gruyter, 2005. Nida, E. A. and Taber, C. R.,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Leiden: E. J. Brill, 1969. Norton, D., A History of the English Bible as Literat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Norton, D., A Textual History of the King James Bible, Cambridge: Cambridge
텍스투스레켑투스의기원에대한고찰 / 민경식 25 University Press, 2005. Omanson, R., A Textual Guide to the Greek New Testament,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06. Parker, D. C., The Living Text of the Gospe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Tarelli, C. C., Erasmus's Manuscripts of the Gospel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xliv (1943), 155-162. Waite, D. A., ꡔ킹제임스성경의 4중우수성ꡕ, 인천 : 그리스도예수안에, 2006. Westcott, B. F., and Hort, F. J. A., The New Testament in Original Greek, 2 vols. Cambridge / London: Macmillian, 1881. 민경식, ꡔ신약성서, 우리에게오기까지ꡕ,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8. 민경식, 초기신약성서단편사본연구방법에대한고찰, 신약논단, 12권 (2005), 157-196. 정양모 ( 역주 ), ꡔ열두사도들의가르침 : 디다케ꡕ 교부문헌총서 7, 왜관 : 분도출판사, 1993.
26 성경원문연구제 23 호 <Abstract> Some Observations on the Origin of the Textus Receptus - Characteristics of the Text of Erasmus - Prof. Kyoung Shik Min (Yonsei Universit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me textual characteristics of Erasmus Greek New Testament which is the first representative of the Textus Receptus.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Erasmus published the first edition of the Greek New Testament (Novum Instrumentum, 1516) which was followed by his several subsequent editions (Novum Testamentum, 1519, 1522, 1527, 1535). He did not claim his text to be original, nor inspired, but intended to improve the Latin Vulgate text. Therefore, he collated some Greek Manuscripts and revised the Latin text. Because he used Greek minuscules of the 12th century Byzantine tradition, his text showed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 Erasmus text, however,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Latin Vulgate which has been the authoritative text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Where his Greek Manuscripts were damaged, he back-translated the Latin Vulgate text into Greek. Where the Greek text was dubious, he corrected this per the Latin text. Though Erasmus Greek New Testa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resentatives of the Textus Receptus, a careful investigation reveals some degree of divergence from other texts in the tradition: in general, it offers theologically adequate readings like other members in this tradition, but in some cases, Erasmus preferred harder readings in terms of theology. He did not intend to reconstruct a theologically superior text, but to improve the Vulgate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