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기출예제 1. 국어의계통과형성에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분명하지는않지만우리국어는알타이어족에속한것으로본다. 2 몽골어군, 만주 퉁구스어군, 튀르크어군이국어와같은계통인것으로본다. 3 삼국의언어가의사소통이가능할정도로큰차이가없었을것으로보며, 신라가삼국을통일하면서경주지

Similar documents
학년 범위 담당 이름 1-2 중간대비 고 1 공통범위 중세국어한글창제의원리 / 세종어제훈민정음 국어과최강미녀 전혜진선생님 1. 국어의뿌리와줄기 < 대표문제 > 국어사의시대구분

수록출판사

<355F B1B9BEEEC0C720BAAFC3B55FB9AEC1A6C5EBC7D52E687770>

zb 3) zb 4) zb5) 글 zb 6) zb 7) 의 니 불: 휘기픈 남 매아니 : 뮐 곶: 됴코여름하 니 : 미기픈므른 래아니그츨 : 내히이러바 래가 - 용비어천가 권 제1 세종 29 년(1447) (B) 世 솅宗 종御 ᄀ엉製 졩訓 훈民 민正 졍音 나 랏: 말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P A R T 04 부록 정답및해설 담화 담화의개념과구조 02 담화의특성과유형 01 참고자료 ( 교과서문법요약 ) 02 중세문법보충강의 03 담화의의미형성


Microsoft PowerPoint - kandroid_for_HI-CNU.ppt

성채 쌤 의강의노트 - 처용가 ( 고대국어 ) < 처용가 > 핵심노트 1. 갈래 : 8 구체향가 2. 성격 : 주술적, by 체념, 관용 축사 ( 逐邪 ) 의노래 3. 주제 : 아내를범한귀신을쫓아냄, 혹은아내의부정을체념함, 축신 ( 逐神 - 귀신을쫓음 ) 4. 의의 1

광릉한샘학원 국어사 개념 2 중세국어 1) 음운 자음 된소리계열의등장 파찰음 ㅈ, ㅊ 이구개음이아닌치음으로발음 ㅳ, ㅴ 등과같은어두자음군존재 모음 모음조화가비교적잘지켜짐. 7개의단모음 ( ㅣ, ㅡ, ㅓ, ㅜ, ㆍ, ㅏ, ㅗ ) 과다양한이중모음 ( ㆍㅣ, ㅐ, ㅚ, ㅔ,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Q. < 보기 > 는사이시옷표기조건에관한학습활동지의일부이다. 학습한결과를 정리한것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 보기 > 1 개-+살구 구성은 1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개살구 라고쓴다. 2 총무+과 구성은 2단계를만족시키지못하므로 총무과 라고쓴다. 3 만두+국 구성은 1, 2

1교시(공통) 2책형.hwp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슬라이드 1

<Hit The Sheep> -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선별 4탄 (고퀄해설)

2013 경찰직 1차 형법 해설 이영민 (0gichul.tistory.com).hwp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7탄

국어1권표지

DocHdl2OnPREPRESStmpTarget

방송통신표준 KCS.KO 제정일 : 2011 년 6 월 27 일 전화기한글문자자판배열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방송통신위원회

문항지양식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 다 ) 달밤에는그런이야기가격에맞거든. 조선달편을바라는보았으나, 물론미안해서가아니라달빛에감동하여서였다. 이지러는졌으나보름을가제지난달은부드러운빛을흐붓이흘리고있다. 대화까지는칠십리의밤길. 고개를둘이나넘고개울을하나건너고벌판과산길을걸어야된다. 길은지금긴산허리에걸려있다. 밤중

<28C3D6C1BE29C7D1B1B9BEEEB9AEB9FDB7D028317E D E687770>

국어영역모의고사고전문법 ( 중세국어 ) 문제모음 5. 를읽고중세국어에대해탐구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5) 海東六龍이 샤일마다天福이시니ᄀ古聖이同符 시니 < 제 1 장 > ᄂ불휘 * 기픈ᄃ남 * ᄅ 매아니뮐 곶됴코여름하 니 미기픈ᄆ므른 래아니그츨 내히이러ᄇ바 래가 니 <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7단원 1(252~269)교

4) < 5) < 6) < 재음소화란근대국어에쓰인표기법으로 ㅊ ㅈ + ㅎ, ㅋ ㄱ + ㅎ, ㅌ ㄷ + ㅎ, ㅍ ㅂ + ㅎ 으로 2차분석하는것을말한다. 4. zb 5. zb 6. zb 나 >~< 마 > 를읽은학생들의반응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 나 > 의 어린 과 <

Vowel ㅏ [a] ㅜ [u] ㅑ [ja] ㅠ [ju] ㅓ [ ] ㅡ [i] ㅕ [j ] ㅣ [i] ㅗ [o] ㅐ [æ] ㅛ [jo] ㅒ [jæ] ㅔ [e] ㅞ [we] ㅖ [je] ㅟ [wi] ㅘ [wa] ㅢ [ij] ㅝ [w ] ㅚ [we] ㅙ [wæ] Begin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1. 문법공부를위한필수! 기본용어 음운체계 1. 모음 : 음절 ( 소리마디 ) 을이룰수있는독립적인소리 하늘 땅 사람 [ 天地人 ] 삼재로기본 3 글자를만들고, 가획하여다른글자를만듦 1 단모음 : 소리내는중에입술모양이나혀의위치가고정되어달라지지않는모음 혀의최고점의위치앞

< B3E220B1E2C3E220B0ED3120B1B9BEEE2031C7D0B1E220B1E2B8BBB0EDBBE720C7D0B1B3B1E2C3E2B9AEC1A620C3A2BAF1202D20BCBABCF6B0ED2E687770>

178È£pdf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Ruby 프로그래밍 5 한글 자소 처리

Rabbi ( 김기덕) 학력 ) 한양대학교사범대학졸업 - 국어교육, 교육학전공 조교 1 재림 약력 ) 오르비클래스국어과강사 대치, 교대오르비학원출강 미금, 영통명인학원출강 저서 ) 국어영역마스터키 ( 지공신공) 훈련도감비문학, 문학 ( 쏠티북스) 학력 ) 서울대학교약력


The Korean Alphabet:

Microsoft Word - KSR2012A179.doc

Ruby 프로그래밍 한글 로마자화

# 문법적 _ 사고 [Final_ 꿀개념 ] 시험장에서도흔들리지않는바르고큰실력


1446년의 훈민정음은 문자 디자인의 출발점이었다. 처음부터 한글은 활 자로 태어났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활자[type]로 글을 쓰는 행 위다[graphy]. 붓으로 고급하게 글을 쓴다는 것과 활자로 글쓰기는 그 의미가 다르다. 구텐베르크나 세종은 고

<Hit The Sheep> 양을 치자! 교육청 문법 고퀄해설!!

1수준

2019 수능특강 문법 변형문제 공유 1.hwp

정답과해설 본문 02 부록 25 중등문법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집합 집합 오른쪽 l 3. (1) 집합 X 의각원소에대응하는집합 Y 의원소가단하나만인대응을 라할때, 이대응 를 X 에서 Y 로의라고하고이것을기호로 X Y 와같이나타낸다. (2) 정의역과공역정의역 : X Y 에서집합 X, 공역 : X Y 에서집합 Y (3) 의개수 X Y

³»Áö_10-6

수능에문법더하기 3 다음중이중피동이사용된사례가아닌것은? 1 창문이커튼으로가려졌다. 4 < 보기 > 는외래어표기법의일부이다. 이를바탕으로제시된발음정보를탐구했을때,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 2 산너머에구름이보여졌다. 것은? 3 그녀의기억속에서잊혀졌다. 4 그사기꾼이경찰에게잡혀


2. 중세국어 1. 훈민정음창제원리 : 글자의구성초성 ( 첫소리, 자음 ) 중성 ( 가운뎃소리, 모음 ) 종성 ( 받침소리, 자음 ) [ 초성의제자원리 ] 첫번째, 발음기관상형 => 초성오음 ( ㄱ, ㄴ, ㅁ, ㅅ, ㅇ ) 생성후 두번째, 가획과병서의원리적용 조음위치에

10월추천dvd

hwp

3. < 학습활동 > 의 ( 가 ) 에들어갈내용으로적절한것은? 3) < 학습활동 > 동사는목적어필요여부에따라타동사와자동사로구분된다. a와 b를보고, 중세국어 열다, 흩다 의타동사, 자동사로서의쓰임과이에대응하는현대국어동사들의쓰임을비교하여그변화를탐구해보자. a [ 중세국어



국어문법개념총정리 체계를알고원리를이해하면암기는저절로...^^

* pb61۲õðÀÚÀ̳ʸ

1 1 만 알아보기 1000이 10개이면 10000입니다. 이것을 또는 1만이라 쓰고 만 또는 일만이라 고 읽습니다. 9000보다 은 2 다섯 자리 수 알아보기 9900보다 보다 보다 1 큰 수입니다. ⑴ 1000

º´¹«Ã»Ã¥-»ç³ªÀÌ·Î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제5장 형태소분석

내지-교회에관한교리

1 학기중간고사대비특강 - 4. (1) 김수영의 풀 다시읽기 이것만은꼭꼭! 1. 비평관점에따른 < 풀 > 해석 2. 이글의논지전개방식 / < 풀 > 의표현상특징 3. 시어나시구의의미 - 대립적의미 4. 이글에드러난글쓴이의생각 ( 근거 ) - 1 -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1 강 ] 2017 학년도사관학교 1 차시험문법기출분석 [ 관련개념정리하기 ] - 2 -

<C3BBB0A2BEF0BEEEC0E7C8B0C7D0C8B85F30332E535FC0DAC0BDC1F6B0A2B0CBBBE728B1E8C1F8BCF7292E687770>

수능에문법더하기 3 < 보기 > 의자료를바탕으로 부사어 에대해서탐구해보았다. 그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3점] 4 < 보기 > 는 받다 의의미학습을위해활용한사전의일부분이다. 탐구결과로적절하지않은것은? ᄀ제발비가그쳤으면좋겠다. 받다01 ( 받아, 받으니 ) ᄂ뜰에핀꽃이

제 2 장발음의기초개념 - 9 -



많고 전화도 많다. 몸은 1,000년 전보다 진화한 것이 없는데, 처리할 일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영어가 필요 없는 분야에서까지도 취 업 시험에서 영어 성적을 요구하니, 우리를 필요 이상으로 바빠지게 하는 요인이다. 문자 생활도 우리를 바빠지게 할 수 있

<33C7D0B3E25FB1B9BEEE5F33B4DCBFF820B1B3BEC828BAF1BBF3B1E8292E687770>

31. 을전개한식에서 의계수는? 를전개한식이 일 때, 의값은? 을전개했을때, 의계수와상수항의합을구하면? 을전개했을때, 의 계수는? 를전개했을때, 상수항을 구하여라. 37

(012~031)223교과(교)2-1

120~151역사지도서3


ok.

2014_한글리플렛_A4_1001.indd

광릉한샘학원 3. 음절 ( 音節 ) 한번에낼수있는소리마디를나타내는문법단위로, 음절은의미와전혀관계가없는음성학적문법단위일뿐이다. 음절이만들어지기위해서는반드시모음이있어야한다. 모든말은음절단위로마디를이루어서발음된다. 국어의음절구조 1 모음단독예 ) 아 2 자음 + 모음예 )

152*220

2 음절끝소리규칙 1. 음절끝소리규칙 ( 외우기 - 가느다란물방울 ) - 음절의끝소리 ( 받침 ) 가발음될때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ㅇ ) 7자음만으로발음되는것. 그이외의받침은모두이 7 자음중하나로바뀌어발음된다. 예 ) 영어

컴퓨터에서텍스트를표현하는방식및문자코드 1. bit 와 byte 컴퓨터속에서모든데이터와명령은 2진수로표상된다. 컴퓨터의저장장치 (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RAM) 에기록 ( 저장 ) 될수있는것은 2진수뿐이며, CPU도 2진수의연산만을사용한다. 0 또는 1( 즉 on

041~084 ¹®È�Çö»óÀбâ

일반각과호도법 l 삼각함수와미분 1. 일반각 시초선 OX 로부터원점 O 를중심으로 만큼회전이동한위치에동경 OP 가있을때, XOP 의크기를나타내는각들을 ( 은정수 ) 로나타내고 OP 의일반각이라한다. 2. 라디안 rad 반지름과같은길이의호에대한중심각의 크기를 라디안이라한

TutorialOnHowToUseTheKoreanRomanizationAndWordDivision(BasicGuide)_

Á¦190È£(0825).hwp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 2 -

Transcription:

국어 ( 하 ) 1 국어가걸어온길 기출 문제분석 1: 국어의발자취 1. 국어의뿌리와줄기 1. 필수정보 튀르크 몽골 퉁구스공통어 북방계원시부여어 고구려어 부여 한공통어 남방계원시한어 백제어 2. 알타이어족의특징 1 두음법칙 ( ) 2 모음조화 ( ) 3 음절의끝소리규칙 ( ) 4 명사의성 ( 性 ) 구별 ( ) 5 관계대명사와전치사 ( ) 6 어순 = 수식어 + 피수식어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7 첨가어 ( 교착어 ) 의특징 : 어미와조사를통해문법관계실현. 3. 고대국어 1 삼국의언어는미세한방언적차이만존재하여의사소통은가능 2 문자가없어한자를빌려썼기때문에일반백성들은문자생활에어려움을겪음 4. 중세국어 1 된소리등장 2 모음조화현상이잘지켜졌으나, 후기에는부분적으로지켜지지않음 3 성조를방점으로표기 4 중세특유의주체 객체 상대높임법존재 5 고유어와한자어의경쟁, 한자어의쓰임증가, 언문불일치, 한글문체의미 ( 未 ) 일반화 6 외래어의유입 5. 근대국어 1 성조의소멸에따른방점소실 ( 상성 장음 ) 2 문자 ( ) ( ) ( ) ( ) 의소실 3 한글사용의폭확대 문장구성방식의현대화 고려건국 (10C) 고중려세시전대기 훈민정음창제 (15C) 조중선세전후기기 임진왜란 ( 1 6 C 말 ) 조선후기갑오개혁 (19C말) 6. 현대국어 개화기 이후 - 1 -

2. 기출예제 1. 국어의계통과형성에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분명하지는않지만우리국어는알타이어족에속한것으로본다. 2 몽골어군, 만주 퉁구스어군, 튀르크어군이국어와같은계통인것으로본다. 3 삼국의언어가의사소통이가능할정도로큰차이가없었을것으로보며, 신라가삼국을통일하면서경주지방의말을중심으로언어가통일되는양상을보인다. 4 중세전기시기에는고유어와한자어의경쟁이계속되었고, 한자어의쓰임이증가하였으며, 말할때는우리말을사용하면서쓸때에는한자로쓰는언문불일치가계속되었다. 5 중세후기국어시기에들어와훈민정음이창제되면서한글사용계층의사회참여가활발해지고한글사용의폭이확대되었다. 2. 다음중, 고대국어와중세국어를나누는시기와이유로가장적절한것은? 시기 이유 1 7세기 신라가삼국을통일하면서경주지방을중심으로언어가통일되었기때문에 2 10세기 고려가건국되면서서울이경주에서개성으로옮겨와중심어가중부방언으로옮겨왔기때문에. 3 15세기 훈민정음이창제되면서비로소우리문자가생겼기때문에 4 17세기 임진왜란등으로문자체계전반에혼란이생겼기때문에 5 19세기 외래문물의영향으로급속도로외래어가많이들어왔기때문에 3. 그림을보고우리조상들의언어생활에대해토론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일반백성들은글자를제대로읽고쓸수없었어. 2 말과글이다른심각한언문이치 ( 言文二致 ) 의상황이네. 3 한자는익히기쉽지않아주로지배층이사용했을거야. 4 지배계층이백성들에게의사를전달하는데한계가있었겠네. 5 그래서나라에서백성들을대상으로한자교육을시키기위해노력했던거야. 4. 다음 < 보기 > 의논의의전제가되는언어관으로가장적절한것은? < 보기 > 국어는아득히먼옛날우리조상들이한반도와그일대에뿌리를내리고살기시작한때에형성되었다. 그러나고대의언어생활을알수있는자료가거의남아있지않아서국어의뿌리는무엇이며, 어떤모습으로변모해왔는지분명하게알기어렵다. 1 언어는상징적인기호체계이다. 2 언어의음성과의미는필연적인관계가없다. 3 언어는무한에가까운생각을표현할수있다. 4 언어는시간의흐름에따라생성, 변화, 소멸한다. 5 언어는같은언어를쓰는사람들의사회적약속이다. - 2 -

기출 기출분석 2 : 고대국어 1. 고대의국어생활 - 한자차용의배경과이유 1 고유의문화및전통에대한기록의필요성을인식함 2 국가체계정비및통치의수단으로받아들임 1. 필수정보 (1) 고유명사의표기 - 한자차용 素那 ( 惑云金川 ) 白城郡蛇山人也 - 素那 : 한자의 ( ) 을빌려표기 / 金川 : 한자의 ( ) 을빌려표기 1 동일한인물의이름을두가지방법으로표기함 2 素那의 소나 ( 음독 ) 와金川의 쇠내 ( 훈독 ) 를같은발음으로추정함 3 동일인의이름을 음차 와 훈차 의두방식으로표기함 (2) 고유명사의표기 - 고유어와한자어의경쟁 永同郡本吉同郡景德王改名今因之. - 한자의 음 을빌리는방식 한자의 뜻 을빌리는방식 길동 ( 고유어 ) 吉 ( 운좋을길 ) = 길동 길동 ( 고유어 ) 永 ( 길영 ) = 길동 영동 (3) 종합적인표기체계 - 향찰 ( 鄕札 ) 1 한자의음과훈 ( 뜻 ) 을이용하여우리말을체계적으로표기 2 실질적의미요소 ( 명사, 용언의어간 ) - ( ) 문법적의미요소 ( 조사, 용언의어미 ) - ( ) 3 의의ᄀ인명이나지명과같은단어뿐아니라문장전체를표기함 ᄂ실제신라인들은한자로읽지않고우리말로읽음 ᄃ국어를완벽하게표기하지못함 우리문자의필요성 * 서동요 - 음차와훈차 ˇ ˇ 의구별 善선化화公공主주主 ˇ 주隱은 착할될귀인님님숨을 他 ˇ 타密 ˇ 밀只지嫁 ˇ 가良량置 ˇ 치古고 남그윽할다만얼좋을둘옛 薯 ˇ 서童동房방乙을 마아이방새 夜 ˇ 야矣의卯묘乙을抱 ˇ 포遣견去 ˇ 거如 ˇ 여 밤어조사토끼새안을보낼갈다 선화공주니믄 ( 선화공주님은 ) 그 지얼어두고 ( 남몰래결혼하고 ) 맛둥바 ( 맛둥서방을 ) 바 몰안고가다 ( 밤에몰래안고가다 ) 1 主 의쓰임 - 앞의主 : 한자의 ( ) 을빌림 / 뒤의主 : 한자의 ( ) 을빌림 2 隱 의기능 - ( ) 은 을나타내기위한표기 - 3 -

2. 기출예제 ( 가 ) 素那 ( 或云金川 ) 白城郡蛇山人也 소나 ( 素那 )[ 또는금천 ( 金川 ) 이라고한다.] 는백성군 ( 白城郡 ) 사산 ( 蛇山 ) 사람이다. ( 나 ) 永同郡本吉同郡景德王改名今因之 영동군 ( 永同郡 ) 은본래길동군 ( 吉同郡 ) 인데경덕왕이이름을고쳤으며, 지금이를그 대로쓰고있다. ( 다 ) 善化公主主隱 선화공주님은 他密只嫁良置古 남몰래결혼하고 薯童房乙 맛둥서방을 夜矣卯乙抱遣去如 밤에몰래안고가다. 5. 고대국어의모습에관한내용으로적절치않은것은? 1 지배층과백성들은문자에의한의사소통의어려움이있었다. 2 향찰은한자를나열해놓은것처럼보이나신라인들은한자가아닌우리말로읽었다. 3 향찰은국어문장전체를적을수있다는점에서앞선고유명사표기법과는다른다. 4 경덕왕때는지명이알기쉽게통일되었다. 5 통치의수단으로한자를사용하였다. 6. 위글을통해알수있는한자차자표기에대한설명으로타당하지않은것은? 1 ( 가 ) 를볼때, 차자표기방법에는음을빌리는방식 ( 음차 ( 音借 )) 과뜻을빌리는방식 ( 훈차 ( 訓借 )) 두가지가있었음을알수있다. 2 ( 나 ) 는뜻을빌려적은한자를점차한자음그대로읽게되었음을보여준다. 3 ( 나 ) 의 永同郡 의 永 의표기는 ( 가 ) 의 素那 의표기와비교할때, 한자를빌린방식이같다. 4 ( 다 ) 를보면, 국어의어순대로한자를배열하여말과문자의괴리를메우려는시도를했음을짐작할수있다. 5 ( 다 ) 는 ( 가 ),( 나 ) 와는달리문법적요소인조사나어미까지표기한점에서가장종합적인한자차자표기체계를보여준다. 7. ( 가 ),( 나 ) 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을두개고르시오. 1 ( 가 ) 와 ( 나 ) 는우리글이없었을때에우리말을기록하는방식중하나이다. 2 ( 가 ) 에서 素那 나 金川 은어떻게발음했는지정확하게는알지못하나, 소나 등으로똑같이읽었다. 3 ( 나 ) 는훈차방식에서음차방식으로변화했다. 4 ( 나 ) 는한자어의세력이확대되고있음을보여준다. 5 ( 나 ) 는중국어원음에가깝게발음하기위한표기방법이성행하고있었음을보여준다. 8. ( 다 ) 의노래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최초의 4 구체향가로서삼국유사에그설화와함께기록되어있다. 2 善化公主 는한자의음을빌려쓴고유명사표기사례이다. 3 1 행의 主 는서로다른방식으로두번쓰였다. 4 1 행의 隱 은 3 행의 乙 과같이문법적기능을하는말을표기했다. 5 2 행의 密 은한자의음을빌려쓴표기이다 - 4 -

기출 기출분석 3 : 중세국어 - 한글의제자원리및고전문법 1. 필수정보 1. 한글의제자원리 (1) 초성 ( 자음 ) 의제자원리 - 상형, 가획, 병서 기본자 어금닛소리 ( 牙音 ) ㅋ ㄲ 혓소리 ( 舌音 ) ㄷ, ㅌ ㄸ 입술소리 ( 脣音 ) ㅂ, ㅍㅃ 잇소리 ( 齒音 ) ㅈ, ㅊㅆ, ㅉ 목소리 ( 喉音 ) ᅙ, ㅎ ᅘ 이체자 1 음운의소멸 세조이후 (15C 중엽 ) 임진왜란이후 (16C 말 ) 음가 (18C 초 ) 문자 (1993년) ᅙ( 여린히읗 ) 음운 ㅸ ( 순경음비읍 ) ㅎㅎ ( 쌍히읗 ) ㅇㅇ ( 쌍이응 ) ᅀ( 반치음 ) ᅌ( 옛이응 ) ( 아래아 ) 2 ( ) 자 - 가획의원리적용안됨 3 병서자 - 나란히쓴글자 각자병서 : 쌍자음 ( ㄲ, ㄸ, ㅃ, ㅆ, ㅉ ) 합용병서 ( 어두자음군 ) : 다른자음끼리결합 ㅂ계 ( ㅳ, ㅄ ), ㅅ계 ( ㅼ, ㅽ ), ㅄ계 ( ㅴ, ㅵ ) 소리의성질과위치에따른자음도표 소리의성질소리나는위치 불청불탁 차청 어금닛소리 ( 牙音 ) ㄱ ㅋ ㄲ 혓소리 ( 舌音 ) ㄷ ㅌ ㄸ 입술소리 ( 脣音 ) ㅁ ㅍ ㅃ 잇소리 ( 齒音 ) ㅅ, ㅈ ㅊ ㅆ, ㅉ 목소리 ( 喉音 ) ㅇ ㅎ ㆅ 반혓소리 ( 半舌音 ) ㄹ 반잇소리 ( 半齒音 ) ㅿ (2) 중성 ( 모음 ) 의제자원리 - 우주의기본요소인삼재 ( 천, 지, 인 ) 의상형 초출, 재출, 합용의원리 1 기본자 2 초출자 (1+1) 3 재출자 (2+ ㅣ ) 天 ( 양성모음 ) ㅗㅏ ㅛㅑ 地 ( 음성모음 ) ㅜㅓ ㅠㅕ 人 ( 중성모음 ) (3) 종성 ( 자음 ) 의제자원리 - 종성부용초성 ( 終聲復用初聲 ) : 초성을다시종성에사용함 8 종성법 으로바 뀜 - 5 -

1. 필수정보 2. 음운규칙 1 모음조화 : 양성모음 (, ㅗ, ㅏ, ㅛ, ㅑ ) 은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 ( ㅡ, ㅜ, ㅓ, ㅠ, ㅕ ) 은음성모음끼리결합하는현상 [ 예 : 메, 서르, 나 ] 2 두음법칙 : ㅣ ( ㅑ, ㅕ, ㅛ, ㅠ ) 에선행하는 ㄴ ' 의묵음화 [ 예 : 니르고져 > 이르고자, 니겨 > 익혀 ] 3 구개음화 : ㄷ, ㅌ + ㅣ ( ㅑ, ㅕ, ㅛ, ㅠ ) ㅈ, ㅊ [ 예 : 펴디 > 펴지, 텬하 > 천하 ] 4 원순모음화 : ㅁ, ㅂ, ㅍ + ㅡ ( 평순모음 ) ㅜ ( 원순모음 ) [ 예 : 스믈 > 스물 ] 5 단모음화 : ㅅ, ㅈ, ㅊ + ㅑ, ㅕ, ㅛ, ㅠ ㅏ, ㅓ, ㅗ, ㅜ [ 예 : 젹은 > 적은, 샹하귀쳔 > 상하귀천 ] 6 사잇소리 : 체언이서로결합할때, 그사이에덧생기는글자 순수국어아래 ( ㅅ, ㅿ사용 ) 한자어아래 ( 선행음의 전청음사용 ) 선행음 사잇소리 후행음 예 울림소리 ㅅ안울림소리엄쏘리ㅿ울림소리 믈 ㆁ ㄱ 洪 ㄱ字 ㄴ ㄷ 君군ㄷ字 ㅁ ㅂ 안울림소리 覃땀ㅂ字 ㅱ ㅸ 斗 ㅸ字 ㅇ ㆆ 快쾡ㆆ字 3. 문자의운용법 이어쓰기 ( 연서 ) 나란히쓰기 ( 병서 ) 붙여쓰기 ( 부서 ) 음절이루기 ( 성음 ) ㅇ를순음아래이어쓰면순경음이된다. 예 ) ㅱ ( 동국정운식한자표기에쓰임 ), ㅸ ( 우리말표기에쓰임 ) 초성을합할경우에는옆으로나란히쓴다. 종성도마찬가지다. 예 ) ㄲ, ㄸ, / ㅳ, ㅄ,, ㅡ, ㅗ, ㅜ, ㅠ 는초성의아래에붙여쓰고, ㅣ, ㅏ, ㅓ, ㅑ, ㅕ 는오른쪽에붙여쓴다. 모든글자는어울려야소리가난다. 즉, 자음과모음이결합해야 만음절이이루어진다. 4. 표기법 1 종성표기의변화 종성부용초성 ( 훈민정음창제당시 ) > 8 종성법 ( 중세국어 ) > 7 종성법 ( 근대국어 ) 2 적기법칙 이어적기 ( 연철 ) 표음적표기 (15C) 니믈, 기픈 끊어적기 ( 분철 ) 표의적표기 (16C 이후 ) 님을, 깊은 거듭적기 ( 중철 ) 과도기적표기 (17~19C) 님믈, 깊픈 3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 ( 성종때폐지 ) 중국원음에가깝게표기함 - 현실음이아닌, 이상적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을고루갖추기위해형식종성, 사용 ( 예 ) 世셍宗 御엉製젱 이영보래 ( 以影補來 ): ㄹ 종성의한자음에 ㆆ 을나란히적어그발음이 4 재음소화 입성임을드러냄. ( 예 ) 佛 : 하나의음소를두개의음소로쪼개어표기하는방식 [ 예 : 높이 놉히 ] - 6 -

1. 필수정보 5. 성조 1 단어의뜻을분별해주는기능을하는소리의높낮이 2 방점으로표시높은소리 낮다가높아지는소리 낮은소리 빨리끝닫는소리 ( 예 ) 나 ( ) 랏 ( ): 말 ( ) ( ) 미 ( ) 2. 기출예제 9. 훈민정음 의 스 믈여 듧字 에대한설명으로알맞지않은것은? 1 자음 17 자모음 11 자로이루어져있다. 2 모음의기본자는天, 地, 人을상형한 이다. 3 현재 ㆆ, ㅿ, ㆁ, ㆍ 는소멸되어쓰이지않는다. 4 자음은발음기관을본떠만든 ㄱ, ㄴ, ㅁ, ㅅ, ㅇ 이기본자이다. 5 ㅗ, ㅏ, ㅜ, ㅓ 는초출자이고 ㅘ, ㅝ, ㅚ, ㅟ 는재출자이다. 10. 중세국어의성조체계에대한설명이다. 바르지않은것은? 1 중국의사성을모방한체계이다. 2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이있었다. 3 글자의왼쪽에점을찍어나타내었다. 4 16 세기말까지형태로나마남아있었다. 5 소리의높낮이를표시하고, 의미와는상관이없다. 11. 방점에대한설명으로옳은것은? 1 소리의장단을구별하는데사용하였다. 2 ㆍ 은낮다가높게소리를내며, 끝을길게끌어발음한다. 3 닐 은거성으로낮은소리를표시한다. 4 훈민정음창제직후소실되었다. 5 : 말 은현대에장음 ( 長吟 ) 으로발음된다. 12. < 보기 > 의밑줄친부분과관련이없는것은? < 보기 > 15 세기국어는현대국어에서보이는구개음화현상, 원순모음화현상및두음법칙 현상이일어나지않았다. 또현대에서거의된소리로바뀌는어두자음군이존재하였다. 1 니르 고 져 2 들 3 펴 디 4 : 어엿 비 5 스 믈 13. 국어의변화를설명하기위해 [ 훈민정음 ] 과 [ 소학언해 ] 를비교하였다. 변화내용에대한예로적절하지않은것은? 변화내용 [ 훈민정음 ] [ 소학언해 ] 1 한자음표기 世 솅宗 會 子 2 문자의소실 : 수 받 온 3 모음조화 : 말 미 아 니 : 홈 4 활용형 달 아 닐 러 5 표기방식 메 샤 14. 중세국어와현대국어의의미변화양상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단어 중세국어의의미 현대국어의의미 변화양상 1 말 말 말씀 의미축소 2 어린 어리석은 나이가젊은 의미이동 3 놈 보통사람 ( 남자 ) 남자를낮춤 의미축소 4 어엿비 예쁘게 가엾게 의미이동 5 얼굴 형태, 형체 안면, 낯 의미축소 - 7 -

기출 기출분석 3 : 중세국어 - 훈민정음 VS 소학언해 훈민정음 (15 세기중엽 ) 世 솅宗 御엉 製젱訓 훈民민正 音 나 랏 : 말 미中 國 귁 에달 아文문字 와 로서르 디아 니 현대어풀이 > 우리나라말이중국과는달라한자와는서로통하지아니하여서 ( ) 정신 이런젼 로어 린百 姓 이니르 고 져 배이 셔 도 : 내제 들시 러펴 디 : 몯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야 : 어엿 비너 겨 새 로 스 믈여 듧字 노 니 ( ) 정신창조정신현대어풀이 > 이런까닭으로어리석은백성들이말하고자하는바가있어도마침내제뜻을펴지못하는사람이많다. 내가이것을가엾게생각하여새로스물여덟자를만드니, : 사 : 마 다 : : 수 니 겨 날 로 메便뼌安 킈 고 져 미니 라 현대어풀이 > 모든사람들로하여금쉽게익혀서날마다쓰는데편하게하고자할따름이다. ( ) 정신 - 훈민정음 ( 訓民正音 ), 세조 ( 世祖 ) 5 년 (1459) * 어휘이해 1 듕귁에 : 중국과 ( 비교격 ) 2 디 : ( ) 3 아니 : 아니하므로 ( 원인격조사 ) 4 젼 : ( ) 5 어린 : ( ) 6 시러 : 능히 7 하니라 : 많으니라 8 어엿비 : ( ) 음운문법의미표기 1 ㅸ, ㆆ, ㅿ, ㆁ, ㆍ모두사용함 : ( 예 ), 수, 처 2 모음조화 ( ) ( 예 ) 서르, 메 3 어두자음군사용 ( 예 ) 들, 메 4 성조 ( 음의높낮이 ) 존재 ( 예 ) 나 랏 : 말 미 1 명사형어미 옴 / 움 사용이규칙적임 ( 예 ) 메 ( +( )+ 에 ) 2 명사형어미 -기 안쓰임 3 ㄹㅇ 형활용형규칙적출현 ( 예 ) 달아 4 귁에 에 비교부사격조사 의미의이동 어린 ( > 나이가적다 ) 어엿비 ( > 예쁘다 ) 의미의축소 놈 ( 남자 > 남자를낮추는호칭 ) 1 각자병서 ( ) ( 예 ) 말 2 이어적기 ( ) 보편적 ( 예 ) 말 미, 미니라 3 ᅙ 쓰임예 ) 배, 몯 노미 4 방점사용 5 8종성표기 ( 예 ) 사 사 디 6 한자표기-( ) 표기 ( 예 ) 世 솅宗 御엉 製젱 - 8 -

소학언해 ( 小學諺解, 16 세기후반 ) [ 가 ] 효 ( 孝 ) - 부자유친 ( 父子有親 ) 孔 공子 會 子 려닐 러 샤 몸 이며얼굴 이며머 리털 이 며 父 부 母 : 모 받 온거 시 라敢 : 감 히헐 워 오 디아 니 : 홈 이 : 효 도 비 르 소미 오 현대어풀이 > 공자께서증자에게일러말씀하시기를, 몸과형체와머리털과살은부모께받은것이라. 감히헐게하여상하게하지아니함이효도의시작이며, 몸 을셰 워道 : 도 를行 야일 : 홈 을後 : 후世 : 셰 예 : 베퍼 父 부母 : 모 : 현 뎌케 : 홈 이 : 효 도 이니 라 현대어풀이 > 입신 ( 출세 ) 하여도를행하며부모의이름을후세에날려이로써부모를드러나게함이효도의끝이니라. [ 나 ] 벗 - 붕우유신 ( 朋友有信 ) : 유 익 이 : 세가 짓 : 벋 이요 : 해 로온 이 : 세가 짓 : 벋 이니直 딕 이 : 벋 며 : 신 실 이 : 벋 며들 : 온 것한 이 : 벋 면 : 유 익 고 : 거 만니 근 이 : 벋 며아 : 당 기잘 이 : 벋 며 : 말 만니 근 이 : 벋 면해 로 온이 라 현대어풀이 > 유익한벗이셋이고, 해로운벗이세이니, 정직한이를벗하며, 신실한이를벗하며, 견문이많은이를벗하면유익하고, 행동만익은이를벗하며, 아첨하기를잘하는이를벗하며, 말만익은이를벗하면해로우니라. * 어휘이해 1 샤 : 말씀하시되 2 현뎌케 : 드러나게 3 아당 기 : 아첨하기 ( 교언영색 ) 1 ( ), ( ), ( ), 소실 : ( 예 ) 해로온 15C( ) 받 온 15C( ) 음운 2 모음조화 ( ) ( 예 ) 비르소미오, 들온 3 어두자음군간혹쓰임 ( 예 ) 4 성조존재 ( 예 ) : 유 익 이 1 명사형어미 옴 / 움 ( ) ( 예 ) 비르소미오 ( 비릇 + 옴 + 이오 ) 문법 2 명사형어미 ( ) 사용 ( 예 ) 아당 기 3 ㄹㅇ 형활용형이 ( ) 로나타남 ( 예 ) 닐러 4 높임법 (-샤-,- ) 사용 의미 표기 의미의 ( ) 얼굴 의의미가현대와다름 ( 형체 > 낯 ) 1 각자병서 ( ) ( 예 ) 말 2 끊어적기 ( ) 확대 ( 예 ) 몸이며, 머리털이며 이어적기와혼용. 3 ᅙ 안쓰임 4 방점사용 5 8종성표기 6 현실한자음표기 ( 예 ) 父 부母 : 모 - 9 -

2. 기출예제 15. 다음중단어 의풀이가바른것을 2 개고른다면? 1 시러 : 실어 2 펴디 : 표현하지 3 수 : 모두 4 비르소미오 : 끝이다. 5 하니라 : 많으니라. 16. ( 가 : 훈민정음 ) 와 ( 다 : 소학언해 ) 의자료를통해중세국어의변천과그예를살펴본것이다. 바르지않은것은? 1 ( 가 ) 는한자음동국정운식표기에맞추어음가가없는종성을표기했으나,( 다 ) 에서 는한자음을현실적으로표기하였다. ( 예 ) ( 가 ) - 世ㆍ솅宗ㆍ ( 다 ) - 孔ㆍ공子ㆍ 2 ( 가 ),( 다 ) 에서이어적기위주로표기되어아직끊어적기표기가시작되지않았음을 알수있다. ( 예 ) ( 가 ) - : 말 ㆍ미 ( 다 ) - 거ㆍ시ㆍ라 3 ( 가 ) 에서는모음조화현상이규칙적으로적용되고있으나 ( 다 ) 에서는부분적으로지 켜지지않고있다. ( 예 ) ( 가 ) - ㆍ ㆍ메 ( 다 ) - 비ㆍ르ㆍ소미ㆍ오 4 ( 가 ) 에서명사형어미가 - 옴 / 움 이쓰였으나,( 다 ) 에서는 - 기 도사용하고있 다. ( 예 ) ( 가 ) - ㆍ ㆍ메 ( 다 ) - 아 : 당 ㆍ기 5 ( 가 ) 에서는 ㄹㅇ 형활용형이, ( 다 ) 에서는 ㄹㄹ 형활용형이나타나고있다. ( 예 ) ( 가 ) - ㆍ달ㆍ아 ( 다 ) - 닐ㆍ러 17. [ 다 : 훈민정음 ] 과같은중세국어와현대국어의차이점으로알맞지않은것은? 중세국어현대국어차이점 1 듕귁에중국과 15 세기에는비교의의미를지닌조사가없었다. 2 니르고져이르고자음운의탈락현상이일어났다. 3 들뜻을어두자음군이소실되었다. 4 펴디펴지구개음화현상이일어났다. 5 스믈스물원순모음화현상이얼어났다. 18. 글 ( 가 ) ~ ( 다 ) 에대한학생들의반응으로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1 지영 : 글 ( 가 ) 를읽어보니세종임금이훈민정음을창제한취지를알겠어. 2 정수 : 글 ( 가 ) 에는통치자의자주정신, 애민정신, 실용정신이나타나있어. 3 유정 : 글 ( 나 ) 를읽고자신의건강을유지하는것도효도임을깨달았어. 4 민경 : 글 ( 다 ) 를읽고친구는가려서사귀어야한다는것을깨달았어. 5 아민 : 글 ( 가 ) 를통해중세전기국어의모습을, 글 ( 나 ) 와 ( 다 ) 를통해중세후기 국어의모습을짐작할수있겠군. 19. 다음은의미변화에대한설명이다. ( ) 안에들어갈말을순서대로쓰시오. 언어는시간의흐름에따라음운이나어휘, 문법, 의미면에서변화하는모습을보 인다. 훈민정음과소학언해에서는이러한언어변화양상중의미의변화를찾아볼 수있다. ( 가 ) 에서 ( ᄀ ) 라는의미를나타내던 어리다 는 나이가적다 라는의미로변 화하였고, 보통사람 을나타내던 ( ᄂ ) 은 남자 를낮춰부르는의미로변화 하였다. 또한,( ᄃ ) 라는의미를나타내던 어엿브다 는 예쁘다 라는의미로 변화하였다. ( 나 ) 에서는 형체, 생김새 를나타내던얼굴이 ( ᄅ ) 만을나타내는의미로변화 되었다. (,,, ) - 10 -

기출 기출분석 4: 근대국어 - 동명일기 VS 독립신문창간사 동명일긔 (18 세기 ) 홍 이거록 야븕은긔운이하 을 노더니이랑이소 놉히 야나를불러져긔믈밋 보라웨거 급히눈을드러보니믈밋 홍운을헤앗고큰실오리 줄이븕기더옥긔이 며긔운이진홍 한것이 나손바닥너 것이그믐밤의보는숫불빗 더라. 나오더니그우흐로젹은회오리밤 한것이븕기호박구 고 고통낭 기 호박도곤더곱더라. 현대어풀이 > 홍색 ( 紅色 ) 이거룩하여붉은기운이하늘을뛰노더니, 이랑이소리를높이하여나를불러, 저기물밑을보라. 외치거늘, 급히눈을들어보니, 물밑홍운 ( 紅雲 ) 을헤치고큰실오리같은줄이붉기더욱기이하며, 기운이진홍 ( 眞紅 ) 같은것이차차나손바닥넓이같은것이그믐밤에보는숯불빛같더라. 차차나오더니, 그위로작은회오리밤같은것이붉기가호박 ( 琥珀 ) 구슬같고, 맑고통랑 ( 通朗 ) 하기는호박도곤더곱더라. 그븕은우흐로흘흘움 여도 처엄낫던븕은긔운이 지반쟝너 만치반 시비최며밤 던긔운이 되야 커가며큰 반만 여븕웃븕웃번듯번듯 놀며젹 이왼바다희 치며몬져븕은기운이 가 며 흔들며 놀기더욱 로 며항 고 독 것이좌우로 놀며황홀이번득여냥목이어즐 며븕은긔운이명낭 야첫홍 을혜앗고텬듕의 반 것이수레박희 야믈속으로셔치미러밧치 시올나븟흐며항독 긔운이스러디고처엄븕어것 빗최던거 모혀소혀텨로드리워믈속의풍 덩 디 듯시브더라일 이됴요 며믈결의븕은긔운이 가 며일광이쳥낭하니만고텬하의그런장관은 두할 업슬 더라 현대어풀이 > 그붉은위로훌훌움직여도는데, 처음났던붉은기운이백지 ( 白紙 ) 반장너비만큼반듯이비치며, 밤같던기운이해되어차차커가며, 큰쟁반만하여불긋불긋번듯번듯뛰놀며, 적색 ( 赤色 ) 이온바다에끼치며, 먼저붉은기운이차차없어지며, 해흔들며뛰놀기더욱자주하며, 항같고독같은것이좌우로뛰놀며, 황홀 ( 恍惚 ) 히번득여두눈이어질하며, 붉은기운이명랑하여첫홍색을헤치고, 천중 ( 天中 ) 에쟁반같은것이수레바퀴같아서물속으로서치밀어받치듯이올라붙으며, 항, 독같은기운이없어지고, 처음붉어겉을비추던것은모여소혀처럼드리워물속에풍덩빠지는듯싶더라. 일색 ( 日色 ) 이조요 ( 照耀 ) 하며물결에붉은기운이차차없어지며, 일광 ( 日光 ) 이청랑 ( 晴朗 ) 하니, 만고천하 ( 萬古天下 ) 에그런장관은견줄데없을듯하더라. - 의유당관북유람일기 ( 意幽堂關北遊覽日記 ), 영조 48 년 (1722) 표현상의특징 (1) 비유적표현ᄃᄂᄀ 1 해 : ᄀ ( ) ᄂ큰 ( ) ᄃ ( ) 2 붉은기운 : 큰실오리 ( ) 너 것 ( ) 반쟝너 만치 ( ) 고 ( ) 것 ( ) (2) 표현상의특징 1 시간의흐름에따라해돋이의모습을점층적으로묘사 2 순수우리말과색채어의다양한사용 3 주관적감정표현이드러남 : 만고텬하의그런장관은 두 업슬 더라 4 섬세한사실적묘사와비유적표현사용 직유법을통한시각적이미지부각. 표현의참신성획득 5 내간체 음운문법표기어휘 1 ( 2 ㆍ 존속 : ( ) 소멸 - 처엄 표기특징 ) 소실, 문자로만사용 3 모음조화심하게문란 - 나를, 보는, 거 4 구개음화현상 ( 불규칙적용 ) 적용 : 믈 + 밑 + : 믈미틀 믈밋, 겉 것, 티며 치며 적용 : 됴요하며, 텬둥, 텬하 5 원순모음화 ( 불규칙적용 ): 믈 ( ), 숫불빗 ( ) 6 어두자음 ( 간혹보임 ) : 놀기, 디 듯 1 비교부사격조사 : 텨로, 도곤 ( 현대어 : - 보다 ) 소혀텨로, 호박도곤 2 ㄹㄴ형 : 올나 15C: 16C: 3 명사형어미 기 활발 - 븕기, 통낭 기 4 모음조화문란 - ( 15C ) 그믐밤 그믐밤의 1 끊어적기가일반적 : 긔운이, 홍운을 2 7 종성법 : ( ) ( ) 통합 ( 현대 7 종성 : ( ) ( ) 통합 ) 믈밋 : ㅌ ㄷ ㅅ, 것 : ㅌ ㄷ ㅅ 3 거듭적기 ( 일부보임 ) : 것, 소 4 ( ) : 븥으며 븓흐며 븟흐며 ㅍ = ㅂ + ㅎ / ㅋ = ㄱ + ㅎ / ㅊ = ㅈ + ㅎ / ㅌ = ㄷ + ㅎ 1 순한글어휘많이사용 - 회오리밤, 수레박희 2 감각어, 색채어많이사용 - 븕웃븕웃, 번듯번듯 - 11 -

독립신문창간사 (19 세기말 ) 우리신문이한문은아니쓰고다만국문으로만쓰 거슨샹하귀쳔이다보게홈이라 국문을이러케귀졀을 여쓴즉아 모라도이신문보기가쉽고신문속에잇 말을자세이알어보게 이라 각국에셔 사 들이남녀무론 고본국국문을몬저 화능통 후에야외국글을 오 법인 죠션셔 죠션국문은아니 오드 도한문만공부 에국문을잘아 사 이드물미라죠션국문 고한문 고비교 여보면죠션국문이한문보다얼마가나흔거시무어신고 니첫 호기가쉬흔이됴흔글이요둘 이글이죠션글이니죠션인민들이알어셔 을한문 신국문으로써야샹하귀쳔이모도보고알어보기가쉬흘터이라한문만늘써버릇 고국문은폐 에국문만쓴글을죠선인민이도로혀잘아러보지못 고한문을잘알아보니그게엇지한심치아니 리요 국문을알아보기가어려운건다름이아니라쳣 말마 을 이지아니 고그져줄줄 려쓰 에글 가우희부터 지아 부터 지몰나셔몃번일거본후에야글 가어 부터 지비로소알고일그니국문으로쓴편지 쟝을보자 면한문으로쓴것보다더듸보고 그나마국문을자조아니쓴 고로셔툴어셔잘못봄이라그런고로졍부에셔 리 명녕과국가문젹을한문으로만쓴즉한문못 인민은나모말만듯고무 명녕인줄알고이편이친이그글을못보니그사 은무단이병신이됨이라 한문못 다고그사 이무식 사 이아니라국문만잘 고다른물졍과학문이잇스면그사 은한문만 고다른물졍과학문이업 사 보다유식 고놉흔사 이되 법이라죠션부인네도국문을잘 고각 물졍과학문을 화소견이놉고 실이졍직 면무론빈부귀쳔간에그부인이한문은잘 고도다른것몰으 귀죡남 보다놉흔사 이되 법이라우리신문은빈부귀쳔을다름업시이신문을보고외국물졍과 지 졍을알게 랴 시니남녀노소샹하귀쳔간에우리신문을 로걸너몃 간보면새지각과새학문이 길걸미리아노라. - 독립신문 (1896) 표기법 어법 변화된점 1 우리신문, 아니쓰고, 쓰 거슨 - ( ) 의식이부족함 2 여, 닭 - ㅅ계합용병서가아직도쓰임 3 잇, 무로 고 - 음가가소실된 '( ) 가여전히쓰임 4 홈이라, 아노라 - 이미소멸된선어말어미 오 가쓰임 5 놉흔, 시니 - 재음소화와중철표기가남아있음 6 일그니 - 연철 ( 이어적기 ) 의표기방식이남아있음 7 사을, 말마 을 - 목적격조사의혼란이나타남 1 홈이라 - 문어체적종결이쓰임 2 아니쓰고 - ( ) 를그대로직역한문투반영 3 고로, -ㄴ즉 - 한문의영향을받은의고적표현들이나타남 4 무어신고 니 - 현대국어와다른의문형종결어미 - 12 -

2. 기출예제 20. ( 다 : 동명일기 ) 에서다음중지칭하는것이다른하나는? 1 손바닥너 것 2 지만쟝너 3 항 고독 것 5 소혀 4 수레박회 21. ( 가 : 동명일기 ) 의서술상의특징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일출의과정이시간의흐름에따라전개되고있다. 2 품위있는한자어들과우리말어휘가자연스럽게조화를이루고있다. 3 모습과색채의변화를나타내는감각어들이많이쓰였다. 4 여성특유의섬세하고정확한관찰이돋보인다. 5 순한글을사용한사실적인묘사가돋보인다. 22. 위글 ( 동명일기 ) 에대한설명으로잘못된것은? 1 하 을, 웨거 : 모음조화파괴가심하게나타난다. 2 숫불빗 : 원순모음화현상이나타나기시작한다. 3 처엄 : 훈민정음창제당시에는 처 으로표기되어야한다. 4 치며, 쟝 : 구개음화현상이나타나기시작한다. 5 것 : 거듭적기와재음소화가함께나타난다. 23. ( 가 : 동명일기 ), ( 나 : 독립신문 ) 에나타난근대국어의특징이아닌것은? 1 방점이완전히소실되었다. 2 ㅅ 계합용병사가아직도어두에쓰이고있다. 3 한글소설의인기등으로인하여한글사용의폭이확대되었다. 4 음운 ㆍ ( 아래아 ) 의음가가남아있어모음조화가정확히지켜지고있다. 5 분철 ( 끊어적기 ) 방식이대부분이나중철 ( 거듭적기 ) 표기방식도나타나고있다. 24. 글 ( 나 : 독립신문 ) 를읽고난뒤잘못이해한것은? 1 독립신문에서국문사용의의의로평등사상과독해의용이성을핵심으로하고 있다. 2 국문사용의우월성으로는배우기가쉽고조선인민 ( 상하귀천 ) 이모두알아보기 가쉽다는점이다. 3 조선의언어사용문제점으로국문은배우려하지않고한문만공부하여국문을 잘아는사람이드물다. 4 국문이어려운까닭은띄어쓰기를하지않고, 국문을자주쓰지않으므로국문 에서툴러서잘못알아보게된다. 5 매일발간되는독립신문을여성들이보게되면새로운자각과학문이생기므로 정부의명령과국가문적을읽을수있게된다. - 13 -

기출 시대에따른국어변화 중세국어 근대국어 작품 훈민정음 (1443년, 15C) 소학언해 (1587년, 16C) 동명일기 (1772년, 18C) 독립신문창간사 (1896년, 19C) 문자 모두사용 ᅌ, 만사용 만사용 ( 음가소실, 문자만존재 ) 어두자음군 사용사용 ( 각자병서쓰임 ) ( 각자병서안쓰임 ) ㅅ계합용병서 모음조화 엄격 문란 파괴 두음법칙 X X X 구개음화 X X O 원순모음화 X X O 재음소화 X X O 명사형어미 규칙적문란양성모음 - 옴옴 / 움 + 기음성모음 - 움 르불규칙 ㄹㅇ형 ㄹㄹ형 ㄹㄴ형 방점 사용 혼란 소멸 한자음표기 동국정운식 ( 이상적한자음 ) 현실적한자음 받침법칙 ( 종성부용초성 )8종성 8종성 7종성 적기방식 이어적기 이어적기 + 끊어적기 이어적기 + 끊어적기 + 거듭적기 띄어쓰기 미사용 사용 - 14 -

국어 ( 하 ) 1 국어가걸어온길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고유명사의표기 - 한자차용 3 선화공주의부정을드러내고있다. 4 형식상 4 구체향가에해당한다. 5 당시신라인들이신분에관계없이향유하던노래이다. ᄀ素那 ( 或云ᄂ [ 金川 ]) 白城郡蛇山人也소나 ( 素那 )[ 또는금천 ( 金川 ) 이라고한다.] 는백성군 ( 白城郡 ) 사산 ( 蛇山 ) 사람이다. - 삼국사기 권제47 고유명사의표기 - 고유어와한자어의경쟁 의표기수단에대한설명으로알맞지않은것은? 1 우리말을한자로표기하되, 한문의어순을따른다. 2 우리말을기록할수있는체계적인표기수단이다. 3 한자를사용했던당대식자층만이해할수있었다. 4 대체로형식형태소는한자의음을이용하여표기한다. 5 대체로실질형태소는한자의뜻을이용하여표기한다. 永同郡本吉同郡景德王改名今因之. 영동군 ( 永同郡 ) 은본래길동군 ( 吉同郡 ) 인데경덕왕이이름을고쳤으며, 지금이를그대로쓰고있다. - 삼국사기 권제34 종합적인표기체계 - 향찰 ( 鄕札 ) ᄂ의표기방식과유사한예로볼수있는것은? 1 밤골 栗谷 2 서울 Seoul 3 김슬기 金瑟氣 4 새우깡 塞友康 5 You are a dog 有俄羅毒 善化公主主 a 隱他密只嫁良置 b 古薯童房 c 乙夜 d 矣卯乙抱遣 e 去如 선화공주님은남몰래결혼하고, 맛둥서방을밤에몰래안고간다. a~e 중, 한자의뜻을차용한글자는? 1 a 2 b 3 c 4 d 5 e - 삼국유사 권제 2 ~ 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金川 은한자의뜻을이용하여고유어를표기한것 이다. 2 素那 는한자의음을이용하여고유어를표기했던 사례로볼수있다. 3 永同 은한자의음을이용하여고유어를표기했던 사례로볼수있다. 4 薯童 의薯는한자의뜻을, 童은한자의음을이용 하여표기한것이다. 5 金川 은한자음으로읽는방식이자리잡으면서 금 천 으로읽게된것이다. 에대한설명으로알맞지않은것은? 1 향찰로표기되어있다. 2 겉으로드러나는주제와창작동기가된주제가다르다. 이글을통해미루어짐작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한자어의유입으로고유어는말살되었다. 2 삼국시대에는한자어의유입이활발했다. 3 한자의음과뜻을빌려우리말을표기하였다. 4 한자를주체적으로수용하고자하는노력을하였다. 5 우리말을표기할수있는고유한문자체계가없었다. 를통해추측한내용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길동군 ( 吉同君 ) 은한자의음을빌려쓴표기이다. 2 시간의흐름에따라지명의의미가달라지기도하였다. 3 영동군 ( 永同君 ) 이라는지명은고려시대에도쓰였다. 4 고유어와의경쟁에서한자어의세력이우세해지기시작 했다. 5 경덕왕이전에는지명을한자로적되, 우리말로표기하 려고하였다. - 15 -

다음중 와같은현상이적용된예가아닌것은? 1 즈믄 천 3 벌말 평촌 5 간난 가난 2 가람 강 4 미르 용 글 에서음과뜻을따서표기하는두가지방식이모두 쓰인한자를찾아쓰시오.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 가 ) 素那 ( 或云金川 ) 白性郡蛇山人也소나 ( 素那 )[ 또는금천 ( 金川 ) 이라고한다.] 는백성군 ( 白城郡 ) 사산 ( 蛇山 ) 사람이다. ( 나 ) 永同郡本吉同郡景德王改名今因之 다음은 향찰 에대해이야기한내용이다. 적절하지않은 것은? 1 영미 : 서동요 를보니향찰로문장전체를적을수 도있군. 2 철진 : 그래, 그런면에서고유명사만을적던이두나 구결과는차이가있어. 3 민경 : 그리고, 한자의음과뜻을빌려표기하는방식 을썼다는것을알수있지. 4 주희 : 문법적관계를나타낼때는주로한자의뜻을, 실질적인뜻을나타낼때는음을이용한것같아. 5 기진 : 당시엔가장종합적인체계를갖춘기록방식이 라는의의를지닌다고할수있겠어. 다음화면은미국으로이민간친구에게보낸편지의일 부이다. ᄀ의표기와비교했을때, 이편지의표기법에대해 잘못해석한것은? 영동군 ( 永同郡 ) 은본래길동군 ( 吉同郡 ) 인데경덕왕이 이름을고쳤으며, 지금이를그대로쓰고있다. ( 다 ) a 善化 b 公 c 主 d 主 e 隱선화공주님은 他密只嫁良置古남몰래결혼하고 薯童房乙맛둥서방을 夜矣卯乙抱遣去如밤에몰래안고가다. ( 가 )~( 다 ) 에대한설명으로옳은것은? 1 ( 가 ) 에서 소나 를표기하기위해 素那 로적는 것은한자의음을버리고의미만빌려오는경우이다. 2 ( 가 ) 에서 소나 를표기하기위해 金川 으로적는 것은한자의의미를버리고음만빌려오는경우이다. 3 ( 가 ) 에서한자를빌려고유명사를표기하면서, 음이나 뜻을이용하는두가지방법을사용했지만, 읽을때는 素那 나 金川 을 소나 로똑같이읽었다. 4 ( 나 ) 에서경덕왕이 길동군 ( 吉同郡 ) 을 영동군 ( 永同 郡 ) 으로고치게한것은고유명사표기방식중한자 의음을빌려지명을표기하게한유형이다. 5 ( 다 ) 는향찰식표기로, 단어하나만을국어식으로적는 표기방식이다. 1 ᄀ과달리이편지에서는높임법을확인할수있어. 2 ᄀ과달리이편지에서는통신언어에만쓰이는준말을발견할수있어. 3 ᄀ은단어하나에서만우리말표기를하고있는데, 이편지는문장전체를표기하고있어. 4 ᄀ은한자의음을빌리기도하고뜻을빌리기도했는데, 이편지는영어알파벳의음만을빌려서표기했어. 5 ᄀ은우리말을정확하게표기했는지알수없지만, 이편지는우리말소리값을정확히표기하지못한것이확실해. ( 다 ) 의 a~e중한자의뜻을이용하여표기한글자는? 1 a : 善化 2 b : 公 3 c : 主 4 d : 主 5 e : 隱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世 솅宗 御엉 製 젱訓 훈民 민正 졍音 나 랏 : 말 미ᄀ中 國 귁에달 아, 文문字 와 로 서르 a 디아 니 이런 b 젼 로어 린百 姓 셩이니르 고 져 홇 배이 셔 도, : 내제 들 c 시 러펴 디 : 몯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윙 야 : 어엿 비너 겨, 새 로스 믈여 듧字 노 니, : 사 : 마 다 : d : 수 e 니 겨 날 로 메 - 16 -

便뼌安 킈 고 져 미니 라. - 훈민정음 ( 訓民正音 ), 세조 ( 世祖 ) 5 년 (1459) 어엿비 의중세국어와현대국어의의미상의차이를설 명하시오. 소학언해 ( 小學諺解 ) 孔 공子 ㅣ會 子 려가닐 러 샤, 몸 이며ᄂf얼굴 이며머 리털 이 며 나父 부母 : 모 A[ 받 온 ] 거 시 라. 敢 : 감 히헐 워 g 오 디아 니 : 홈 이 : 효 도 비 르 소미 오, 몸 을셰 워道 : 도 를다行 야ᄃ일 : 홈 을後 : 후世 : 셰 예 : 베퍼 父 부母 : 모 : h현 뎌케 : 홈 이 : 효 도 ᄅ 이니 라. 와 를 15세기표기로바꿀때 ㅸ 이쓰일어휘를바 르게묶은것은? 1 헐워, 벋이니 3 받 온, 해로온 5 샤, 들온 2 샹 오디, 들온 4 받 온, 벋이니 : 유 익 이 : 세가 짓 : 벋 이요, : 해 로온 이 : 세 가 짓 : 라벋 이니, i 直 딕 이 : 벋 며, : 신 실 이 : 벋 며, ᄆ마들 : 온 것한 이 : 벋 면 : 유 익 고, B[ 거 만니 근 이 ] : 벋 며, j 아 : 당 기잘 이 : 벋 며, : 말 만니 근 이 : 벋 면ᄇ해 로 온이 라. 훈민정음 의표기상의특징으로옳은것은? 1 모두끊어적기를하였다. 2 한자음은현실음을달았다. 3 어두자음군을사용하였다. 4 주격조사 가 를사용하였다. 5 모음조화가지켜지지않았다. 와 의공통적인성격으로적절한것은? 1 교훈적, 설득적 3 예시적, 시사적 5 서정적, 감각적 2 비판적, 냉소적 4 비유적, 함축적 [ 보기 ] 에서 의내용과관계깊은한자성어는? 가군신유의 ( 君臣有義 ) 나유방백세 ( 流芳百世 ) 다명실상부 ( 名實相符 ) 라부전자전 ( 父傳子傳 ) 마입신양명 ( 立身揚名 ) 1 가, 나 2 가, 다 3 나, 라 4 나, 마 5 다, 마 ( 가 ) 글을글에반영된사상을중심으로세부분으로나누 었을때, 둘째부분의첫어절과끝어절을쓰시오. ᄂ~ᄇ중오늘날과뜻이다른어휘는? 1 ᄂ 2 ᄃ 3 ᄅ 4 ᄆ 5 ᄇ 방점의기능으로적절한것은? 1 소리의길이를나타낸다. 2 소리의강약을나타낸다. 3 소리의속도를나타낸다. 4 소리나는위치를나타낸다. 5 소리의높낮이를나타낸다. 훈민정음 의표기상의특징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이어적기를하였다. 2 어두자음군을사용하였다. 3 띄어쓰기를철저히지켰다. 4 성조를나타내는방점이있다. 5 한자음은동국정운식으로표기되었다. 다음어휘를현대국어로표기했을때, 적용해야할규칙 을바르게지적하지못한것은? 1 너겨 - 모음조화 3 스믈 - 원순모음화 5 니르고져 - 두음법칙 2 펴디 - 구개음화 4 내 - 전설모음화 방점과관련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16 세기말에사라졌다. 2 음절왼쪽에점을찍어표시하였다. 3 상성은낮은음에서높은음으로소리난다. 4 거성은현대국어에서는장음으로발음된다. 5 평성, 거성, 상성은높낮이와관계있고, 입성은빠르기 와관계된다. - 17 -

이글에서자주정신이가장잘드러난부분을찾아처음 과끝어절을쓰시오. 글 의 효도의마침 에해당하는한자성어는? 1 노래지희 ( 老萊之戱 ) 2 반포지효 ( 反哺之孝 ) 3 풍수지탄 ( 風樹之嘆 ) 4 입신양명 ( 立身揚名 ) 5 망운지정 ( 望雲之情 ) 다음 [ 보기 ] 의밑줄친부분에해당하는예로적절한것은? [ 보기 ] 어휘의의미는시간이흐름에따라서변화하는데, 의 미영역이확장되기도하고반대로축소되기도하며전 혀다른의미로변하기도한다. 1 어린 2 노미 3 수 4 어엿비 5 미니라 ᄀ을현대어로풀이하고자할때, 적절한것은? 1 중국이 3 중국에게 5 중국말과는 2 중국을 4 중국말보다 a~e중, 뜻풀이가바르지못한것은? 1 a - 통하지 3 c - 서로 5 e - 익히게하여 2 b - 까닭으로 4 d - 하여금 ( 나 ), ( 다 ) 글의내용을바르게파악하지못한학생은? 1 석진 : 나보다아는것이많은친구를사귀면유익할거 야. 2 연호 : 거짓말을자주하는친구는가까이하지않는 것이좋겠어. 3 성우 : 몸을세우고베푼다는것은당당한자기실현으 로이해하면될것같아. 4 은정 : 몸짓이익숙한친구는행동으로나서서일을처 리해주니까의리파겠네. 5 현철 : 자기몸을소중히여기는것이효도의기본이라 는공자님말씀은오늘날에도본받을만해. 글 ( 다 ) 의내용전개방법으로바른것은? 1 분류 2 서사 3 과정 4 묘사 5 대조 가 ~ 마를 15세기국어의표기로바꿀때그형태가변 하지않는것은?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f ~ j를현대어로바꾸었을때, 바르지못한것은? 1 f - 얼굴이며 2 g - 상하게하지아니함이 3 h - 뚜렷이드러나게함이 4 i - 정직한이 5 j - 아첨을잘하는사람 A에쓰인높임법이나타나지않은문장은? 1 이것을아버지께드려라 2 선생님께서는학교에계신다. 3 올설날에는큰아버지를꼭뵈어야겠다. 4 마을회관에가서할머니를모시고오너라. 5 어려운문제는선생님께여쭈어보도록해라. B와가장관계깊은속담은? 1 빛좋은개살구 2 초록은동색이다. 3 언땅에오줌누기 4 우물에서숭늉찾기 5 아니땐굴뚝에연기나랴. ( 나 ), ( 다 ) 글의표기법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ㅸ, ㆆ, ㅿ 등이소실되었다. 2 모음조화가철저하게지켜졌다. 3 방점에의해성조가표시되고있다. 4 한자표기는현실적인발음을따랐다. 5 끊어적기가나타나이어적기와혼용되고있다.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 가 ) 나 랏a: 말 미中듕國 귁 에달 아文문字 와 로서르 b 디아 니 이런젼 로 c어 린百 性 셩 이니르 고 져 d 홇 배이 셔 도 : 내제e 들 f시 러펴 디 : 몯 g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윙 야 h: 어엿 비너 겨 새 로 스 믈여 듧字 i ㄱ노 니 : 사 : 마 다 j: : 수 니 겨 날 로 k 메便 - 18 -

뼌安한 킈 고 져 l 미니 라 ( 나 ) m 孔 공子 曾증子 려 n 닐 러 샤 몸 이며 o 얼굴 이며머 리털 이 며 父 부母 : 모 p 받 온거 시 라敢 : 감 히헐 워 q 샹 오 디아 니홈 이 : 효 도 비 르 소미 오 몸 을 r 셰 워道 : 도 를行 야일 : 홈 을後 : 후世 : 셰 예 s: 베퍼 t 父 부母 : 모 : 현 뎌케 : 홈이 : 효 도 이니 라. : 유 익 이 : 세가 짓 : 벋 이오 u: 해 로운 이 : 세가 짓 : 벋 이 니直 딕 이 v: 벋 며 : 신 실 이 : 벋 며들 : 온 것한 이 : 벋 면 : 유 익 고 : 거 동 만니 근 이 : 벋 며 w 아 : 당 기잘 하 이 : 벋 며 x: 말 만니 근 이 : 벋 면해 로 온이 라 ( 다 ) 善化公主 y 主 z 隱선화공주님은 他密只嫁良置古남몰래결혼하고 薯童房乙맛둥서방을 夜矣卯乙抱遣去如밤에몰래안고가다 ( 라 ) 소나 ( 素那 ) [ 또는금천 ( 金川 ) 이라고한다.] 는백성 군 ( 白城郡 ) 사산 ( 蛇山 ) 사람이다. 위의글을기록된시점을기준으로오래된순서로옳게 나열한것은? 1 나 다 라 가 3 다 라 가 나 5 라 다 가 나 2 다 라 나 가 4 라 다 나 가 글 ( 가 ) 와글 ( 나 ) 의변화상 ( 차이점 ) 을바르게지적하지 못한것은? 1 이어적기 ( 연철 ) ( 가 ) ( 나 ) 2 동국정운식한자음표기 3 명사형어미 기 안쓰임 4 모음조화가지켜짐 5 [ ] 과방점이쓰임 끊어적기 ( 분철 ) 확대 현실한자음표기 명사형어미 기 쓰임 모음조화의혼란 [ ] 쓰임 현대국어에서, [ 보다 : 보 + ㅁ 봄 / 자다 : 자 + ㅁ 잠] 의경우와같이명사형어미가들어간것은? 1 a 말 미 3 g 노미 5 v 벋 며 2 e 들 4 k 메 글 ( 가 ) 와 ( 나 ) 에관한설명중옳은것은? 1 글 ( 가 ) 에서현대에와서없어진단어는, [b 디 /f 시 러 ] 뿐이다. 2 l 은동국정운식으로표기된것이다. 3 현대국어에와서뜻이달라진것은, [c 어린 / h 어엿 비 / g 노미 / o 얼굴 ] 등이다. 4 [j ] 와 [q 샹 오디 ] 와 [r 셰워 ] 는모두피동으로쓰였 다. 5 [d 배 ] 와 [m 孔 공子 ㅣ ] 에는조사가쓰이지않았다. 현대국어에눈 ( 雪 ), 말 ( 言 ), 배 ( 倍 ) 과같이길게발음해 야하는것과관계가있는것은? 1 평성 ( 점이없는것 ) 2 거성 ( 점이 1 개인것 ) 3 입성 ( 점이있거나없거나한것 ) 4 상성 ( 점 2 개인것 ) 에서성조만사라진것이다. 5 점과관계가없다. 훈민정음 에대한설명중옳은것은? 1 초성 17 자, 중성 11 자로구성되었다. 2 모음은발음하는기관의모양을본떠만들었다. 3 자음은우주의기본요소인삼재 ( 三才 ), 즉천 ( 天 ), 지 ( 地 ), 인 ( 人 ) 을본떠반들었다. 4 모음은 ㆍ, ㅡ, ㅣ 를기본으로가획 ( 加劃 ) 과병서 ( 竝 書 ) 의원리로반들었다. 5 자음은 ㄱ, ㄴ, ㅁ, ㅅ, ㅇ 의다섯자를기본으로 초출 ( 初出 ), 재출 ( 再出 ), 합용 ( 合用 ) 의원리로만들었다. ( 나 )~( 라 ) 에대한설명중, 바른것은? 1 글 ( 나 ) 의 [p 받 온 /u 해로온 ] 의 15 세기표기로는 [ 받 / 해롭 ] 이될것이다. 2 글 ( 다 ) 에서善化公主 y 主 z 隱에서 y 는한자의뜻을 z 는한자의음을차용하였다. 3 글 ( 다 ) 는한자의음과뜻을빌려우리말의형태요소와 의미요소를한자를나열해서써놓고실제로도그당 대의사람들은이것을보며한자로읽었던것이다. 4 글 ( 라 ) 는두사람에대해, 한사람의이름은한자의음 을, 또한사람의이름은한자의뜻을차용하여표기하였 다. 5 글 ( 나 ) 의 [w 아당 기잘 /x 말 만니근 ] 에해당하 는한자성어는 [ 호언장담 : 豪言壯談 ] 이라고할수있다.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 가 ) 나 랏 : 말 미中듕國 귁 에달 아文문字 와 로서 르ᄀ 디아 니 이런젼 로어 린百 性 셩 - 19 -

이니르 고 져 홇 배이 셔 도 : 내제 들ᄂ시 러 펴 디 : 몯 노 미하 니 라 내 이 爲 윙 야 : 어엿 비너 겨 새 로 스 믈여 듧字 ㄱ노 니 : 사 : 마 다 : : ᄃ수 니 겨 날 로 메便뼌安한 킈 고 져 미니 라 ( 나 ) 孔 공子 曾증子 려닐 러 샤 몸 이며 a 얼굴 이며머 리털 이 며 父 부母 : 모 받 온 거 시 라敢 : 감 히헐 워샹 오 디아 니홈 이 : 효 도 비 르 소미 오 몸 을셰 워道 : 도 를行 야일 : 홈 을 後 : 후世 : 셰 예 : 베퍼 父 부母 : 모 : ᄅ현 뎌케 : 홈이 : 효 도 이니 라. ( 다 ) : 유 익 이 : 세가 짓 : 벋 이오 : 해 로운 이 : 세가 짓 : 벋 이니直 딕 이 : 벋 며 : 신 실 이 : 벋 며들 : 온 것한 이 : 벋 면 : 유 익 고 : 거 동 만니 근 이 : 벋 며ᄆ아 : 당 기잘 하 이 : 벋 며 : 말 만니 근 이 : 벋 면 해 로 온이 라 글 ( 가 )~( 다 ) 에대한설명으로잘못된것은? 1 ( 가 ) 는훈민정음창제의취지를밝히고있다. 2 ( 가 ) 에서우리말과중국어의차이를인식하고있음을 알수있다. 3 ( 나 ) 의중심내용은튼튼한몸으로사회에봉사하는것 이진정한효라는것이다. 4 ( 다 ) 의중심내용은친구는분별력있게가려서사귀어 야한다는것이다. 5 ( 다 ) 에서경계하고있는사람과관계깊은한자성어는 교언영색 ( 巧言令色 ) 이다. ᄀ~ᄆ의뜻풀이로바르지않은것은? 1 ᄀ : 통하지 3 ᄃ : 빨리 5 ᄆ : 아첨하기 2 ᄂ : 능히 4 ᄅ : 드러나게 다음물음에답하시오. 동명일긔 홍 이거록 야 a 븕은긔운이하 을 노더니 이랑이소 놉히 야 b 나를불러ᄀ져긔믈밋 보라웨거 급히눈을드러보니믈빗홍운을 c 헤앗 고큰실오리 줄이븕기더옥귀이 며긔운이진 홍 한것이 나손바닥너 것이그믐밤 의보는숫불빗 더라. 나오더니그우흐로젹은 회오리밤 한것이븕기호박구 고 고 d 통낭 기 호박도곤더곱더라. 그븕은우흐로흘흘움 여도 e 처엄낫던 븕은긔운이 지반쟝너 만치반 시비최며밤 던긔운이 되야 커가며큰 반만 여븕 웃븕웃번듯번듯 놀며젹 이왼바다희 치며몬 져븕은기운이 가 며 흔들며 놀기ᄂ더욱 로 며항 고독 것이좌우로 놀며황홀 이번득여냥목이아즐 며븕은긔운이명낭 야첫 홍 을혜앗고텬듕의 반 것이수레박희 야믈속으로셔치미러밧치 시올나븟흐며항독 긔운이스러디고처엄븕어것 빗최던거 모혀 ᄃ소혀텨로드리워믈속의풍덩 디 듯시브더라 일 이도요 며믈결의븕은긔운이 가 며일 광이쳥낭하니만고텬하의그런장관은 두할 업 슬 더라. 이글이쓰인당시의한글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한글은언문, 암클로불리며상당히경시되었다. 2 한글은여성들의편지, 일기등에많이사용되었다. 3 한글은유교나불교경전의중요한기록에도사용되었 다. 4 한글은여성들의섬세한감정과소회를적기에안성맞 춤이었다. 5 여성들의활발한한글사용으로근대국어를연구할수 있는자료가많이남게되었다. 다음은 a의의미변화에대한설명이다. 이처럼후대에 의미변화가일어난단어를 ( 가 ) 에서두개찾아쓰시오. a 얼굴 이라는단어는그의미가현대어의 얼굴 과는다르다. 여기에서의 얼굴 은한자말의 체 ( 體 ) 에해당하는말로 형체, 형상 의의미로쓰인다. 현대어 에서는 안면 의뜻으로사용되어그의미가축소되었다. 이글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다양한수사법을사용하여표현하고있다. 2 일출의광경을생동감있게묘사하고있다. 3 해돋이장면을순수한우리말로구사하였다. 4 글쓴이의공간의이동에따라전개되고있다. 5 감각과색채를나타내는단어들이활발하게쓰였다. 이글에드러난글쓴이의정서로적절한것은? 1 애틋함 2 자부심 3 놀라움 4 공포심 5 고독함 - 20 -

다음 < 보기 > 는해의모습을비유한말을순서대로쓴 것이다. 빈칸에들어갈적절한말은? 회오리밤 ( < 보기 > ) 수레박희 1 소혀 2 숫불빗 3 큰 반 4 호박구 5 지반쟝 ᄃ이묘사하고있는것은? 1 해가떠오르려고하는모습 2 해가물속에잠겨있는모습 3 해가공중으로떠오른직후의모습 4 해주변에옅은구름이몰려드는모습 5 해가물밖으로반쯤얼굴을내민모습 ᄀ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이랑의관점에서한말이다. 2 원순모음화가적용되었음을알수있다. 3 져긔 는나중에 저기 로단모음화되었다. 4 ㄷ 받침이 ㅅ 으로바뀐것을알수있다. 5 직접인용의경우 보라 를 보쇼셔 로고쳐야한 다. a~e에대한설명으로바르지못한것은? 1 a - 원순모음화현상이일어났다. 2 b - 모음조화가파괴되었다. 3 c -7 종성법이쓰였다. 4 d - 명사형어미 기 가활발하게쓰이고있다. 5 e - ㅿ 가소멸되었다. 이글의특징이아닌것은? 1 세밀한관찰 3 환상적인표현 5 시간적순서에따른구성 2 내간체문장 4 여류수필의백미 이글에나타난변화중중세국어와달라진점이아닌 것은? 1 중철 ( 거듭적기 ) 표기가쓰였다. 2 성조가소멸되어방점이쓰이지않았다. 3 ㅿ 의소멸로 처 이 처엄 으로바뀌었다. 4 나를보는, 거 등모음조화파괴가심해졌다. 5 믈밋 에서처럼구개음화가완전히정착했다.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독립신문창간사 우리신문이한문은ᄀ아니쓰고국문으로만쓰 거슨샹하귀쳔이다보게 a홈이라 국문을이러케귀졀을 여쓴즉아모라도이신문보기가쉽고신문속에잇 말을자세이알어보게 이라 각국에셔 사 들이남녀무론 고본국국문을몬저 화능통 후에야외국글을 오 법인 가죠션셔 죠션국문은아니 오드 도한문만공부 ᄂ [ 에] 국문을잘아 사 이드물미라죠션국문 고한문 고비교 여보면죠션국문이한문보다얼마가 b나흔거시무어신고 니첫 호기가쉬흔이됴흔글이요둘 이글이죠션글이니죠션인민들이알어셔 을한문 신국문으로써야샹하귀쳔이모도보고알어보기가 c쉬흘터이라한문만늘써버릇 고국문은폐 에국문만쓴글을죠션인민이도로혀잘아러보지못 고한문을잘알아보니그게엇지ᄃ한심치아니 리요 국문을알아보기가어려운건다름이아니라쳣 말마 을 이지아니 고그져줄줄 려쓰 에글 가우희부터 지아 부터 지몰나셔몃번일거본후에야글 가어 부터 지비로소알고ᄅ일그니국문으로쓴편지 쟝을보자 면한문으로쓴것보다더듸보고 그나마국문을자조 d아니쓴 고로셔툴어셔잘못봄이라그런고로졍부에셔 리 명녕과국가문젹을한문으로만쓴즉한문못 인민은나모말만듯고무 명녕인줄알고이편이친이그글을못보니그사 은무단이병신이됨이라 보기의설명에해당하는표현을 ( 가 ) 에서찾아 3어절로 쓰시오. < 보기 > 색채의대조로보다선명한이미지를제시한다. 일출직전해주변을감싸는붉은기운을비유한말이다. 한문못 다고그사 이무식 사 이아니라국문만잘 고다른물졍과학문이잇스면그사 은한문만 고다른물졍과학문이업 사 보다유식 고놉흔사 이되 법이라죠션부인네도국문을잘 고각 물졍과학문을 화소견이놉고 실이졍직 면무론빈부귀쳔간에그부인이한문은잘 고도다른것몰으 귀죡남 보다나놉흔사 이되 법이라 - 21 -

우리신문은빈부귀쳔을다름업시이신문을보고외국물졍과 지 졍을알게 랴 e 시니남녀노소샹하귀쳔간에우리신문을 로걸너몃 간보면새지각과새학문이 길걸미리ᄆ아노라. ᄀ~ᄆ중현대국어와비교해볼때이시기국어의특 징을알수있는어휘가아닌것은? 1 ᄀ 2 ᄂ 3 ᄃ 4 ᄅ 5 ᄆ 이글에대한설명으로적절하지않은것은? 1 독립신문의창간취지를밝히고있다. 2 국문사용의장점에대해주장하고있다. 3 현대국어와는다른표기법을쓰고있다. 4 당시의세태에대해비판적인태도를취하고있다. 5 순우리말과한자어를같이사용하자는중립적태도를 지니고있다. a~e에대한설명이잘못된것은? 1 a - 현대국어의평서형종결어미와차이가있다. 2 b - 끊어적기가쓰였다. 3 c - 띄어쓰기의식이덜발달되어있다. 4 d - 한문을직역한어투로되어있다. 5 e - 중철표기가남아있다. 이글의내용과일치하지않는것은? 1 한문보다국문이배우기쉽다. 2 띄어쓰기를하면글의가독성이높아진다. 3 외국사람들은자국어를배운후에외국어를배운다. 4 대부분의사람들이국문보다한문을주로사용한다. 5 여자는비록국문을잘하고소견이높다고해도남자 보다높은사람이되기어렵다. 이글에서말한국문의우수성으로바른것은? 1 과학적임 3 배우기쉬움 5 다양한표현이가능함 2 독창적임 4 가독성이높음 이글을현대신문양식으로다시쓴다고할때, 부제로 하기에가장적절한것은? 독립신문창간에즈음하여 - 우리는신문이한문은안쓰고, 다만국문으로만쓰는 것은상하귀천이다보게함이라. 또, 국문을이렇게구 절을떼어쓴즉, 아모라도이신문보기가쉽고신문속 에있는말을자세히알아보게함이라. 1 국문미사용의폐해 2 한글사용의어려움 3 구독계층의확대를위하여 4 한문에대한국문의우월성 5 국문으로만쓰고, 구절을띄어쓰기로 나의문맥적의미는? 1 큰권세를가진사람 2 좋은가문을가진사람 3 사회적지위가높은사람 4 소망하는바를성취한사람 5 폭넓은지식과교양을가진사람 이글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1 띄어쓰기를하였다. 2 언문일치를꾀하였다. 3 한글전용을실시하였다. 4 엄정중립을강조하고있다. 5 계몽주의적입장을보이고있다. 다음 < 보기 > 의밑줄친부분을현대국어의기준에따라 수정하고자할때, 잘못된것은? < 보기 > 죠션국문 고한문 고비교 여보면죠션국문이 한문보다얼마나나흔거시무어신고 니첫 호기 가쉬흔이됴흔글이요둘 이글이죠션글이니죠션 인민들이알어셔 를한문 신국문으로써야샹하 귀쳔이모도보고알어보기가쉬흘터이라 이글의표기상특징을바르게말한것은? 1 ㅿ 이사용되었다. 2 ㆁ 이소실되었다. 3 글자 ㆍ 가소실되었다. 4 어두자음군이폐지되었다. 5 모음조화가잘지켜졌다. 1 한문 고 한문 고 3 나흔거시 나흔것이 5 모도보고 모도보고 2 한문보다 한문보다 4 이글이 이글이 다음페이지에계속 ^^ - 22 -

다음글을읽고물음에답하시오. ( 가 ) 급히눈을드러보니, 믈밋홍운을헤앗고큰실오리 줄이븕기더욱귀이 며, 긔운이진흥 한것이 나손바닥너 것이그름밤의보는숫불빗 더라. 나오더니그우흐로젹은ᄀ회오리밤 한것이븕기ᄂ호박구 고, 고통낭 기 호박도곤더곱더라그븕은우흐르훌훌움 여도, 처엄낫던붉은긔운이 되야 커가며큰ᄃ 반만 여븕옷븕옷번듯번듯 놀며젹식이왼바다희 치며몬져븕은기운이 가 며 흔들며 놀기더욱 로 며항 고독 것이좌우로 놀며황홀이번득여냥목이어즐 며븕은기운이명낭 야첫흥식을혜앗고텬듕의징반 것이ᄅ수레박희 야믈속으로셔치미러밧치 시올나븟흐며ᄆ항독 긔운이스러디고처엄븕어것 빗최던거 모혀ᄇ소혀텨로드리워믈속의풍덩 디 듯시브더라. 글 ( 나 ) 에나타나있지않은것은? 1 국문으로만쓰는이유 2 국문띄어쓰기를하는이유 3 국문을어렵게여긴이유 4 다른나라의문자를상용하는현실비판 5 국문이한문보다더우수한이유 ( 나 ) 우리신문이한문은아니쓰고다만국문으로만쓰 거슨샹하귀쳐이다보게함이라 국믄을이러케귀졀을 여쓴즉아모라도이신문보기가수비고신문속에잇 말을자세이알어보게 이라각국에셔 사 이남녀무론 고본국국문을몬저 화능통 후에야외국글을 오 법인 죠션셔 죠션국문은아니 오드 도한문만공부 에국문을잘아 사 이드물미라죠션국문 고한문 고비교 여보면죠션국문이한문보다얼마나나흔거시무어신고 니첫 호기가쉬흔이됴흔글이요둘 이글이죠션글이니죠션인민들이알어셔 을한문 신국문으로써야샹하귀쳔이모도보고알어보기가쉬흘터이라 ( 가 ) 시기의국어의특징에대한설명으로바르지못한 것은? 1 된소리가등장하기시작하였다. 2 방점이완전히소실되었다. 3 문자, ᅙ, 등이사라지는등문자체계에변화가 생겼다. 4 음운 ( 아래아 ) 가완전히소실되었으나, 표기법상 에는계속남아있어한글맞춤법통일안에의해서폐 지될때까지쓰였다. 5 한글사용의폭이확대되었다. 글 ( 가 ) 의ᄀ~ᄇ중, 해 의형상을빗대어표현한것끼리 골라묶은것은? 1 ᄀ, ᄂ, ᄇ 2 ᄀ, ᄃ, ᄅ 3 ᄀ, ᄅ, ᄆ 4 ᄂ, ᄅ, ᄇ 5 ᄅ, ᄆ, ᄇ - 23 -

1. 국어가걸어온길 1.3 2.5 3.1 4.1 5.5 6.1 7.2 8.5 9. 主 10.4 11.2 12.3 13.4 14.3 15. 이런 ~ 노니 16.5 17.1 18. 불쌍하다 의뜻에서 예쁘다 의뜻으로변함 19.3 20.1 21.4 22.1 23.3 24.4 25. 나랏말 미 ~ 아니 26.2 27.5 28.3 29.4 30.2 31.4-24 -

32.5 33.3 34.1 35.2 36.1 37.5 38.4 39.1 40.5 41.4 42.3 43.2 44.3 45.3 46. 말, 놈 ( 노미 ) 47.3 48.4 49.3 50.3 51.2 52.1 53.3 54.5 55. 그믐밤의보는숫블빗 56.3 57.5 58.5 59.3 60.5 61.1 62.3 63.2 64.5 65.4 66.2 67.1 68.2 69.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