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최종보고서 [ 과제번호 ] 유해화학물질위해관리 (Toxic chemical substance control Technology)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성평가기술개발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

Similar documents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iOS ÇÁ·Î±×·¡¹Ö 1205.PDF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지정및안전 표시기준 제1조 ( 목적 ) 제2조 ( 정의 )

13Åë°è¹é¼Ł

월호 - 내지전체4


»¶¥ı_0124

학위논문홍승아.hwp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04-다시_고속철도61~80p

발간등록번호


목차 생활용품오염물질방출시험및방출특성연구 (IV) - 전기 전자제품방출오염물질권고기준 ( 안 ) 도출 - ⅰ ⅱ ⅲ Abstract ⅳ 환경기반연구부생활환경연구과 Ⅰ,,,,,, 2010 Ⅱ i

#Ȳ¿ë¼®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장애인건강관리사업

歯1.PDF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Korean Social Trends 2017 [ 그림 Ⅸ-9] 화학물질유통량, 주 : 1) 화학물질유통량 =( 제조량 + 수입량 )- 수출량. 출처 : 환경부, 화학물질유통량조사최종보고서, 각연도. 화학물질은용도에따라원료물질또는기능 성첨가물로서제품에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 2 -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쉽게풀어쓴태국의료기기 화장품등록및인증절차 방콕무역관

DBPIA-NURIMEDIA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æÁ¦Àü¸Á-µ¼º¸.PDF

1-표지 및 목차 & 1-서론 (최종보고서안).hwp

untitled

untitled

학습영역의 Taxonomy에 기초한 CD-ROM Title의 효과분석

歯3이화진

2차 수사분석사례집_최종.hwp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 )Kju269.hwp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¹ýÁ¶ 12¿ù ¼öÁ¤.PDF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untitled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2013여름시론(3-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XXXXXX XXXXXX

ISO17025.PDF

책임연구기관

´ë±â-ÃÑ°ýº¸°í¼Ł.PDF

00내지1번2번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사본

: : : : : : : : : : : : - 1 -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31302E204D43545F47535FC3D6C1BEBAB8B0EDBCAD2E687770>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èÇö¿í Ãâ·Â


How we create value? 안전경영 조직 및 시스템 강화 위원장 위원 간사 CEO 전략사장, CFO, 인사지원실장, 사업부장, 사업장장 안전환경인프라팀장 삼성SDI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대비하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전담부서 개 편과 업무 관리범위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KAERITR hwp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ICT À¶ÇÕÃÖÁ¾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PDF


γ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피해자들의 형사고소와 민사소송과는 감사청구의 대상과 시점이 다름) 감사를 거부한 것은 감사원이 사과를 강경하게 거부하고 있는 박근혜 정부의 눈치를 살핀 결과라고 할 것이고, 감사원 역사상 최악의 결정 중 하나로 기록에 남고야 말 것입니다. 4. 사실, 감사원은 환경 시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00-1표지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12È«±â¼±¿Ü339~370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공제_조합_제도_개선_방안_등_연구(111226).hwp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목 차 요약문 I Ⅰ. 연구개요 1 Ⅱ. 특허검색 DB 및시스템조사 5

최종보고서-2011년_태양광등_FIT_개선연구_최종.hwp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어업용면세유류 공급기준량산출개선방안연구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 정책연구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 한


Transcription: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최종보고서 [ 과제번호 ] 2012001370006 유해화학물질위해관리 (Toxic chemical substance control Technology)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성평가기술개발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Method of Biocide Active Ingredients 2015. 06. 30 한국화학연구원부설안전성평가연구소이성규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공백 )

제출문 환경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성평가기술개발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5 년 06 월 주관연구기관 : 화학 ( 연 ) 부설안전성평가연구소 주관연구기관장 : 정문구 ( 주관 ) 연구책임자 : 이성규 ( 안전성평가연구소 ) 참여연구원 : 이규홍, 김성환, 이병재, 최성진, 허용주, 고은주, 권순광, 김경미, 김용재, 김지선, 박준선, 박천규, 양효선, 오제하, 유동현, 이동훈, 장영미, 전도인, 정태혁, 최명준, 심지영, 김정신 ( 세부 1) 연구책임자 : 이종현 ( 네오앤비즈 ) 참여연구원 : 강민호, 강신길, 김수현, 김재영, 김지선, 김찬국, 김혜현, 문성대, 박정현, 박진호, 박판수, 설휘수, 성찬경, 신지혜, 이지혜, 이창훈, 이태우, 정지웅 ( 세부2) 연구책임자 : 권정환 ( 고려대학교 ) 참여연구원 : 양성익, 오한빈, 오정은, 이현정, 박선경, 최상현, HU XIAOGUANG, 신승균, 장석원, 류이슬, 유광로, 이정민, 구서연, 김기용, 김희영 - i -

요약서 사업명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2012001370006 분야명 과제명 최종성과기술 연구기관명 연락처 개발목적및필요성 연구개발결과 ㅇ위해화학물질위해관리 대분류 - 중분류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성평가기술개발 국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관리에필요한기반기술안전성평가연구소 010 8620 leesungkyu43 이메일 기술단계과제유형 개발공공활용 참여기업 - 연구책임자이성규연구기관유형출연 ( 연 ) 총연구기간 12.07~ 15.06 9805 @gmail.com 가습기살균제사건에서알수있듯이, 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에는사각지대가있어왔음. 따라서국내관리가허술한바이오사이드를체계적으로관리하기위한기반구축이필요하였음. 이연구의목적은다음과같음. 국내에서유통되고있는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인벤토리를구축및국내외관리제도의검토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흡입독성시험법확립및지침개발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AI) 의물성, 제품의유형 (product type) 과제형 (formulation type) 의특성을반영한노출시나리오의선정및인체통합노출평가기술개발 -고분자화합물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노출평가와노출평가모형을개발및검증 제품내유효성분의측정법개발및실제노출환경에서의바이오사이드포 집및분석기술개발, 표준시험법개발 1. 주관기관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EU의 BPR, 국내유사제품관리제도, 화평법등을반영하여다음과같은정책방안및지침서작성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의관리방안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위해성심사 / 평가체계지침서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구축국내유통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에대한인벤토리, DB 를구축하고, 정보공유시스템을개발 - 바이오사이드제품분류체계작성및인벤토리 DB구축 (1810개제품 ) - 바이오사이드기준물질목록작성및특성정보 DB 구축 (315종물질 ) - 노출계수 DB 구축 - CRS KOREA를변형한우선순위산정평가 - 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사용자매뉴얼 흡입독성시험법개발 - ii -

본연구를통해바이오사이드 2 종 (PHMG phosphate, IPBC) 에대한급성 반복흡입노출시의독성학적영향평가를수행. - 각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발생법및특성평가법을확립하고, 흡입독성평가진행. - 바이오사이드물질의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를위한단백질및유전자수준에서의생화학적분석을수행. - 본연구를통하여각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노출시의독성학적수준 ( 반수치사농도 (LC 50 ) 및무해독성용량 (NOAEL)) 을산출하였으며, 흡입노출시호흡기계통, 특히폐에미치는독성학적영향을확인. 2. 세부 1 인체노출시나리오분석결과와사용자이용행태조사, 국내제품대상 case study 결과를이용하여, EU 에서제시한바이오사이드 315 종에대하여국내제품을대상으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 인체노출가능성이높은제품에대해, 인체노출시나리오분석, 노출계수조사, 국내노출평가사례연구를통해, 최종적으로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 노출계수인벤토리,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모델을개발. 본연구개발에서는지침 ( 안 ), 인벤토리, 노출평가모델을합쳐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 라정의. 본연구에서는이 tool box 를이용하여 EU 에서제시한 315 종유효성분에대해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하고, 활용방안을제시. 바이오사이드제품의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 (PHMG, PGH, CMIT, MIT) 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을위해 ConsExpo spray model 과질량수지모델을활용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하여, 이들물질중흡입노출이우려되는기계를통한에어로졸흡입과스프레이흡입, 휘발물질흡입에대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을제시. 공정 제품 3. 세부 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에서는인체노출을고려한 PHMG 의수동채취기를개발하였고, 포집속도의증가와포집양의증가를확인하여검증 액상방향제의 CMIT 와 MIT 물질의실내환경중에서의거동을보기위해 CMIT 와 MIT 의물성실험, 액상방향제안의 CMIT 와 MIT 추출법개발, 실내거동모델에의한공기중농도예측및위해성평가를수행. 제품내 CMIT 와 MIT 의측정분석기술개발로물티슈와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내 CMIT 와 MIT 를직접주입법과 ultrasonic associated extraction method(uae) 를사용하여추출, 측정기술개발. 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정량분석을위해구아니드계고분자화합물인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드 (PHMG) 를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X) 를사용하여정성분석, MALDI-TOF 에서고분자정량분석법확인. PHMG phosphate, CMIT, MIT, IPBC, BIT, MBT, MPO 를대상으로라만분광법을이용하여정성분석을하였고, 표면증강라만분광법으로정량분석을수행. - iii -

( 유해정보시스템메인화면 ) 사진및도면 (PHMG phosphate 의 13 주반복흡입노출후조직병리검사를통한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 ( 좌 : 대조군, 우 : 13 주노출군, H&E 염색 ) ( 환경부의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지침 ( 안 ) 제출요청공문및본연구기관의제출공문 ) - iv -

성능사양및기술개발수준활용계획주요성과 유해정보시스템 - 바이오사이드제품 1,810개, 기준물질 315종에대한검색 / 열람실시간조회 - 실시간노출평가및우선순위산정평가 - 새로운제품과기준물질등록 - Java와 SQL을이용하여, 요구하는모든기능에적합하게개발완료함. - 익스플로러 9.0 버전에최적화됨 에어로졸포집장치 - 포집속도 3 10-5 m 3 /min 소비자제품에함유된바이오사이드물질인 MIT와 CMIT의분석방법 - 검출한계 0.01~1.6 mg/kg MALDI-TOF분석법 - PHMG 1 mg/l 이상정량및정성 현화평법체제에서위해우려제품의관리에활용할수있으며, 궁극적으로는바이오사이드관리가독자적으로이루어질때에기본자료로활용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시스템을통해정책의사결정에필요한기초정보를제공하고정보공유및관리기반과평가도구로활용 다양한바이오사이드에대한장 단기흡입노출시의독성학적영향평가수행을위한과학적정보로활용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 는바이오사이드를관리하는기관이나제조업체에서주로활용될것으로기대되며, 더나아가대국민홍보및바이오사이드제품외의유사제품등에활용. 바이오사이드분석법 SOP는표준화과정을거쳐생활화학제품에포함된주요바이오사이드성분의농도정량에사용할수있음. 출원 ( 국내 ) 3건등록 ( 국내 ) -건특허출원 ( 국외 ) -건출원 ( 국외 ) -건논문 SCI급 10건일반 1건인증신기술인증 -건신기술검증 -건매출국내매출 -백만원해외수출 -백만원 기타성과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의관리방안 ( 정책 )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위해성심사 / 평가 - v -

관련키워드 ( 한글 ) ( 영문 ) 체계지침서 - 인벤토리 DB, 물질특성DB, 노출계수 DB, 사용자매뉴얼,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 - 학술발표 6건 - 흡입독성시험표준프로토콜 (SOP) 2건 -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 -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 국내위해우려제품의안전 표시기준이작성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분석법 SOP 3건바이오사이드, 흡입독성, 유해정보공유시스템, 단계별노출평가지침, 용도별노출시나리오, 에어로졸, 실내공기질, 질량분석, 분광분석바이오사이드, inhalation toxicity, hazard information & management system, tiered approach for exposure assessment, exposure scenario, product type, aerosol, indoor air quality, mass spectrometry, spectroscopic analysis - vi -

요약문 연구개발결과의보안등급 보안등급분류 보안과제 일반과제 결정사유 - 본문의내용을요약하여작성 ( 최종평가시평가활용자료이므로반드시작성 ) 평가의착안점및기준 협약용연구개발계획서내용을참고하여작성 1. 주관연구기관구분세부내용평가의착안점및기준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규제동향분석자료 1차년도 총괄 1 세부 2 세부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의데이터베이스구축 바이오사이드에어로졸의물리화학적특성평가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데이터베이스특성및배출데이터베이스목록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목록 흡입독성시험을위한바이오사이드특성에따른물리화학적평가수행 (1 종 )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가능제품선정의타당성국외바이오사이드관련노출평가방법조사방법의타당성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고분자물질의특성이반영된흡입노출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평가수행여부 (PHMG, PGH) 개선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물성과제형에따른유효성분측정법개발 실내공기중유효성분포집 / 측정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고분자의물리화학적특성평가 2 종이상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제품성상에따른분석법확립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실내공기에서의샘플링 / 분석기법관련논문투고 고분자제형바이오사이드의물리화학적특성측정목록화 - vii -

2차년도 총괄 1 세부 2 세부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의데이터베이스구축 바이오사이드에어로졸의물리화학적특성평가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시험연구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EU의바이오사이드유해성심사 / 평가체계분석자료바이오사이드특성및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목록인벤토리 DB 표준화여부인벤토리메타데이터관리기능여부자료오류검출기능여부 Data gap 분석자료 흡입독성시험을위한바이오사이드특성에따른물리화학적평가수행 (1 종 ) 국내외시험가이드라인을충족시키는흡입독성시험 (1 종완료 ) 제품유형및제형, 바이오사이드물성에따른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의적합성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이용행태조사방법의타당성국내제품현황에따른노출평가 case study 방법의적절성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고분자물질의특성이반영된흡입노출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평가수행여부 (DDAC) 개선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위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경로를고려한다매체에서의샘플링기법개발 PHMG, PGH, DDAC 등폴리머의측정분석을위한최신기법개발 생활용품군 5 개군이상에서의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측정 / 분석법확립여부 인체노출량평가를위한바이오사이드의수동샘플링기법확립관련논문투고 고분자계열바이오사이드의새로운측정분석법확립여부 3차년도 총괄 1 세부 분광학적기술을이용한실시간유효성분측정분석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의데이터베이스구축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시험연구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실시간측정을위한분광학적기법개발여부 국내실정에적합한바이오사이드위해성심사 / 평가체계국내바이오사이드배출정보국내바이오사이드노출및위해정보 Data gap 분석자료 국내외시험가이드라인을충족시키는흡입독성시험 (1 종완료 ) 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수정및보완결과의적합성노출계수인벤토리구축의활용성바이오사이드제품인체스크리닝노출평 - viii -

최종평가 2세부총괄 1세부 2세부 가결과활용성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단계별흡입노출평가방법의적절성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모든흡입노출가능경로평가가능성개선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위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시료의채취, 보관, 분석에관한 SOP작성 분광법등을이용한실내공기중유효성분측정법표준화 바이오사이드측정분석용포집장치및분석장치개발 국내유통량상위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제품군별유효성분추출 / 분석법확립여부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3 종이상에대한분석법 SOP 작성여부 분광법을활용한간이분석법의측정표준화여부 바이오사이드포집을위한샘플링장치개발여부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간이개발한간이분석법의검증여부분석법개발및검증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의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데이터베이스구축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시험연구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위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시료의채취, 보관, 분석에대한 SOP 작성분광법등을이용한실내공기중유효성분측정법표준화 바이오사이드 2종에대한물리적 공기역학적특성평가및국내외흡입독성시험법을충족시키는단회 / 반복흡입독성시험완료 노출평가지침 ( 안 ) 은제시되었는가? 노출평가지침은바이오사이드성분, 국내제품현황을충분히반영하였는가? 노출평가에요구되는노출계수는국내제품과소비자를대상으로하였는가? 기존연구사례적합성검토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과제형의특성반영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제품중분석값결과 바이오사이드 유효성분에 대한 분석법 SOP 바이오사이드측정분석용포집장치및분석장실내공기중 PHMG 포집장치개발 ( 특허 ) 치개발및관련논문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간이분석법개 Raman 분광법을이용한바이오사이드정발및검증성 정량분석기술 - ix -

Ⅰ. 연구과제명 주관과제명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성평가기술개발 ( 세부1) 과제명 :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개발 ( 세부2) 과제명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 Ⅱ. 연구개발의목적및필요성 필요성 - 국내의화학물질유통량조사에의하면화학물질의사용량과종류는지속적인증가추세에있음 - 생활용품에는많은종류의화학물질들이유해성이알려지지않은형태로제품에포함되어제품의기능을향상시키는데사용되고있는실정임 - 제품에함유된화학물질은제조 / 성형 / 사용 / 폐기등의수명주기전단계에걸쳐환경으로배출되어인체및생태계의건강에영향을끼칠수있음 - 하지만, 제품에포함된화학물질에대한수명주기를고려한위해성평가는그초기단계에머물러있음 - 2011년국내에서일어난원인미상폐손상에의한인명피해는신고된환자에대한역학조사결과생활환경내에서적절한규제장치가없이사용된바이오사이드에의한것으로판단됨 - 이에세정제로신고된가습기살균제와유사품목인방향제, 탈취제등생활화학용품전반에대한안전성논란이관심사로대두됨 - 생활환경내에서널리사용되는바이오사이드를포함한화학물질의안전성평가와관리가주요사회적관심사로대두되었음에도불구하고바이오사이드물질등을위해성에기반하여통합적으로관리할수있는제도적장치와이를뒷받침할수있는학술적연구기반이부족한실정임 - 가습기살균제와같은피해의재발을방지하기위해서는생활화학용품에대한안전관리체계구축및제도적보완이필요한실정임 - 그러나국내에서유통되는생활환경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은별도의제품등록및신고제도없이유통되고있는실정임 - 원료물질의경우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따라관리할수있으나일정규모이상의신규화학물질에국한되어유해성심사를실시하고있으며바이오사이드의경우유해성평가결과가미비하거나인체위해정보의부족으로인해서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의안전관리에취약점이있음 - 이에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용특성 ( 사용빈도, 대상, 용도 ) 에따른적절한노출시나리오와개별유효성분에대한환경노출량평가가요구되며이를기초로생활환경내화학물질에대한위해성평가를실시해야함 - 국내에서주로사용되는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은구조적특성에따라 isothiazole 계, benzothiazole 계, triazine 계, quarternary ammonium 계, TBP-PBT 계, pyridine 계, - x -

guanidine 계열등이있음 - 그러나 TBT 등국제적규제를위한제반연구의수행을통해제품내물질의분석법및환경매체내의잔류농도분석법이제시된일부물질을제외하고는환경분야오염물질측정시험검사법에바이오사이드관련된공정시험기준이전무한실정임 - 특히제품내함유된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의경우그종류와용도가매우다양하여일원화된분석법을통해표준화하기에어려움이따름 연구개발의목적 - 국내에서유통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인벤토리를구축 - 국내외관리제도의검토 - 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 흡입독성시험법확립및지침개발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AI) 의물성, 제품의유형 (product type) 과제형 (formulation type) 의특성을반영한노출시나리오의선정및인체통합노출평가기술개발 - 고분자화합물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노출평가와노출평가모형을개발및검증 - 제품내유효성분의측정법개발및실제노출환경에서의바이오사이드포집및분석기술개발, 표준시험법개발제품용도, 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및지침서개발 Ⅲ. 연구개발의내용및범위 주관연구기관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EU의 BPR, 국내유사제품관리제도 ( 농약관리법, 약사법중방역용살충제관리제도등 ), 화평법등을반영하여정책방안및위해성평가지침서를작성하였다. 유럽에서현재관리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관리법에대하여중점적으로분석하고이를바탕으로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를위한정책적방안을제안하였다. 국내의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를제안하고, 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결과를제시하여, 향후정책결정에도움을주고자하였다.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위해성심사및평가체계를지침서형태로제안하였다.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데이터구축국내바이오사이드현황분석및제품조사를위해 EU BPD의제품분류와정의를토대로하였고, 제품조사대상범위는 EU 자료를토대로제품후보군을작성하고, 환경부와의협의를통해최종대상범위를선정하였다. 기준물질목록은 EU에서승인검토또는승인된유효성분목록을토대로 315종을선정하고기준물질의국내유통가능성을분석하였다. 국내에서유통되는화학물질중바이오사이드용도의제품에사용되는화학물질의확인은온 - xi -

라인과오프라인매장제품을조사하고, 이중에서중요업체를선정하여업체별제품목록과함께조사양식을배포하여자료를수집하였다. 실태조사를통해수집된자료와국내외화학물질특성정보시스템자료와항목별데이터갭분석을통한자료보완을통해수집된자료를정리, 표준화하여인벤토리 DB와물질특성DB를구축하고 1세부과제의노출평가와연계하여노출계수 DB를작성하였다.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은수집된정보를제공하고, 추가될자료의등록, 관리가용이하도록메뉴구성및기능을설계하고개발하였다. 본시스템은본격적인바이오사이드제품및물질에대한자료축적및관리시행이전에사전정보공유차원의비교적시범적인성격을갖는다.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연구바이오사이드 2종 (PHMG phosphate 및 IPBC) 에대한흡입독성평가를수행하였다. 이를위하여각각의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발생법및특성평가법을확립하고, OECD TG 403, 412 및 413에따른흡입독성시험을수행하였다. 또한각바이오사이드의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를보다심층적으로수행하기위하여단백질, 유전자수준에서염증, 손상및섬유화증등과관련된생화화학지표분석을수행하였다. 세부 1 과제 - 바이오사이드의물성과제품의종류, 사용자의제품이용특성이고려된 case study를수행하고결정된인체노출시나리오에따라노출평가방법을제시한지침 ( 안 ) 을작성하였고, 유럽연합에서제시하는바이오사이드성분 315종에대한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이를통해서기개발된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를수정및보완하여최종적으로제시하였다. - 고분자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에서는실내챔버를이용하여 PHMG, PGH 등의물질에대한노출재현실험을수행하여결과를도출하였다. 고분자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에서는바이오사이드가함유가능한다양한제품및제형에대하여 1차년도에수행된방법을바탕으로 DDAC 등의바이오사이드성분에대한흡입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이를바탕으로단계별흡입노출평가지침및노출평가모델을개발하여제공하였다. -제품사용자의이용행태조사결과를바탕으로노출계수인벤토리를구축하였다. 노출평가지침 ( 안 ) 과노출계수인벤토리를이용하여스크리닝노출평가모델개발을위한기반자료를총괄과제에제공하였다. - 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하기위해 ConsExpo_spray model을활용하여단계별노출평가를수행하였으며, 질량수지모델을이용한흡입노출모형을검증하기위해노출재현실험을실시하였다. 또한환기율및제거상수를추정하기위해대형챔버를제작하여운영하였으며, 가습기살균제의노출시나리오에따른노출재현실험을수행하여, 가습기살균제에대한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제시하였으며스프레이와방향탈취제의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제시하였다. - 생활화학제품의흡입노출시나리오를작성하였으며, 주로사용되는방향탈취제, 세정제형의스프레이제품과방향제형의겔및액상제품을이용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에필요한인자인 - xii -

표적장기를고려한에어로졸입자크기및분포와실제제품의함량및방출량과배출량, 노출공간의환기율을측정하여단계별흡입노출모형에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제형별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을제시하였다. 세부 2과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AI) 에대한실내공기를포함한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을표준화하였다. 연구의내용과범위는다음과같다. - 바이오사이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은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물성과제형에따른유효성분측정법을개발하였고,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위한제품내유효성분을측정분석하였다.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은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물리화학적특성평가자료를생산하였으며, 인체노출경로를고려한실내공기등환경매질에서의샘플링기법을개발하였다. 이를바탕으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시료의채취, 보관, 분석에대한 SOP를작성하였다. 분광학적기술을이용하여, 실시간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을개발하였으며, 분광법등을이용한실내공기중유효성분측정법을표준화하였다. -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측정분석기술개발은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고분자의물리화학적특성을평가하였고, PHMG, PGH, DDAC 등폴리머를측정분석할수있는최신기법을개발하였다. - 실내공기중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실시간측정분석장치개발은바이오사이드측정분석용포집장치및실시간분석장치를개발하였고,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간이분석법도개발하였다. Ⅳ. 연구개발결과 주관연구기관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국내외자료조사에근거하여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정책을수립하기위한정책적방안을제안하였다.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법을중점적으로분석하여최근동향을파악하고,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과연계하여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을제안하였다. 특히국내유통현황을고려하여 Product Type별로우선관리대상물질을선정하였다. 국내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이화평법하에서관리되므로이에대한몇가지정책적방향을제안하였다.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에관한위해성평가지침서를작성하였다. 기존의위해성평가방법에서크게벗어나지않으므로화평법에서제시하는위해성평가방법을따랐고, 바이오사이드제품의경우는 EU의방법론을분석하여적용하였다.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의데이터베이스구축 - xiii -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정보를토대로 315종기준물질을작성하고, 조사대상범위의제품에대한제품군분류체계를마련하였다. 이를토대로수집된 1,810개제품정보와 315종기준물질에대한특성정보를 DB로구축하였다. 구축결과는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통해조회할수있다. 1세부과제의연구성과인노출계수도 DB로구축하고시스템을통해제품별특성에따른시나리오별노출량을평가할수있도록하였다. 더불어한국형 CRS를개량한우선순위산정기법을시스템에서적용하여우선순위를도출할수있다. 그외 2세부과제의연구결과인표준시험법과노출평가지침자료를등록하여공유할수있도록하였다.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시험연구 PHMG phosphate 및 IPBC에대한흡입독성평가를수행을위하여, 각물질에대한흡입발생법확립및특성평가방법을확립하였다. PHMG phosphate 는가습기에서대기중으로노출되는환경을고려한흡입발생법을정립하였으며, IPBC의경우수용해도가매우낮아흡입독성시험에적용가능한부형제선정및유효성분 (Active ingredient) 분석법정립하였다. 먼저 PHMG phosphate 에대하여수행되었던흡입독성평가결과, 단회및 13주반복흡입노출시호흡기계통에대한독성학적영향을확인할수있었다. 특히조직병리학적검사, 폐세척액에서의독성학적지표분석을통한폐내염증, 섬유화등의확인하였다. PHMG phosphate 에대한단회흡입독성시험결과반수치사농도 (LC 50 ) 는암수각각 60 mg/m 3 인것으로판단되었으며,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을통해서는무해독성용량 (NOAEL) 이암수모두 30 μg/m 3 으로판단되었다. 또한폐내섬유화증및염증등의폐독성생체지표발현분석을통한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결과 PHMG phosphate 로인한폐내악영향 (Adverse effect) 을다시한번확인하였으며, 흉선에대한면역학적영향분석을통하여 PHMG phosphate 가흉선에도직접적인독성학적영향을끼칠수있음을확인하였다. IPBC에대한단회및 4주반복흡입독성평가를통하여 PHMG phosphate 와동일하게장 단기흡입노출을통한독성학적영향을확인할수있었다. IPBC에대한단회흡입독성평가결과반수치사농도 (LC 50 ) 는수컷및암컷에서각각 0.36422 g/m 3 및 0.59131 g/m 3 으로산출되었다. 한편 4주반복흡입독성시험에서는무해독성용량 (NOAEL) 이암수모두 4.5 mg/m 3 으로판단되었으며, 본연구의시험조건에서는 IPBC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폐에대한심각한독성학적영향은확인되지않았다. 세부 1 과제 1.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은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에노출이가능한제품에대해용도및제형에따른인체노출시나리오를분석하고, 국내제품사용자의이용행태를조사하였다. 또한국외노출평가기법을통하여국내제품을대한사례연구 (case study) 를수행, 국내제품에적용하기위한보완사항을도출하였다. 인체노출시나리오분석결과와사용자이용행태조사, 국내제품대상 case study 결과를이용하여 EU에서제시한바이오사이드 315종에대하여국내제품을대상으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 xiv -

연구개발결과국내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과해설서, 노출계수인벤토리,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모델을개발하여, 이를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 라정의하고, 이를이용하여유럽연합에서제시한 315종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대상으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하였고스크리닝노출평가에대한활용방안을제시하였다. 2. 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바이오사이드제품의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은가습기살균제의주요원료물질인 Polyhexamethylene guanidine(phmg), Oligo(2-)ethoxy 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pgh), 5-Chloro-2-methyl-3(2H)-isothiazolone(CMIT)/ 2-Methyl-3(2H)-isoth iazolone (MIT) 물질을우선적으로선정하여, ConsExpo spray model과질량수지모델을활용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하였으며, 스프레이에서방출된에어로졸흡입노출시나리오와겔및액상방향제에서방출된휘발성물질의흡입노출시나리오를고려하여흡입노출평가모형을제시하였다. - 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개발 : 제형별주요노출인자를이용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하였다. 각단계별로제품의함량정보를국내외자료에서보고된최대값을사용하여방출량을예측한 1단계흡입노출모형으로제품의평가대장및물질스크리닝노출평가를목적으로하고있으며, 2단계흡입노출모형은측정된제품의유효성분과방출량을적용하여제품사용시실제방출량을예측한단계로위해우려제품선정및안전관리방안마련에목적으로하고있다. 3단계흡입노출모형은대형챔버등환경이조성된공간에서실제제품을이용하는단계로실제노출수준을파악후노출량예측기법을검증하는단계이다. 본연구에서는가습기살균제와스프레이제형, 겔 / 액상방형제형에대해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제시하였으며, 실제노출재현실험을통해모형을통해산출된예측농도와비교검증하였다. < 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방법및목적 > 단계 I II III 함량정보 국내외자료에서의최댓값 실제제품분석함량 방출량및전이량 형태 Excel sheet Excel sheet Excel sheet 방법 실제제품에서의챔버실험을통한최대함량값을이용한함량값을이용한방출량실측결과를방출량예측방출량예측바탕으로모델구현 목적 실제노출수준파악평가대상제품및위해우려제품선정, 후노출량예측기법물질스크리닝안전관리방안마련검증 - xv -

세부 2 과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실내공기를포함한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을표준화결과는다음과같다. 1.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인체노출을고려한 PHMG 의수동채취기를개발하였고, 액상방향제중의 CMIT와 MIT 물질의실내환경중의거동모델을개발하고, 위해성평가를실시하였다. 2.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CMIT 와 MIT의측정분석기술개발물티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인 CMIT 와 MIT의측정분석기술을개발하였고,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인 CMIT 와 MIT의측정분석기술을개발하였다. 3.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정량분석기술개발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하여, PHMG를 MALDI-TOF 질량분석기로정량분석하는방법을개발하였다. 내부표준물을이용한정량분석및물티슈내구아나이드계바이오사이드인 PHMG의정제, 추출법을확립하였다. 4. 바이오사이드물질의정성및정량측정분석기술개발라만분광법을이용하여바이오사이드대상물질을정성분석및표면증강라만분광법을이용한바이오사이드물질에대한정량분석법개발 Ⅴ. 연구개발결과의활용계획 현화평법상에서위해우려제품관리에활용 - 바이오사이드유통현황, 유해정보시스템등을이용하여, 국가에서우선적으로관리해야하는유효성분및제품군을선정하는데기본자료로활용 - 바이오사이드관리방안, 위해성평가심사체계및위해성평가지침서는화평법이후, 보다체계적관리에활용 ( 장기적 ) - 흡입노출평가가필요한물질의선별과해당물질에대한독성시험자료의생산및유해관리에활용 - 바이오사이드성분및제품의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 tool box는바이오사이드를관리하는기관이나제조업체에서주로활용될것으로기대. - 스크리닝노출평가결과는관리대상바이오사이드성분의목록을도출하고상세노출평가를수행할수있으며, 소비자제품에대하여사용금지또는사용제한등의관리방안을마련할수있음 - 실제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는 2015년환경부에제출하였으며, 이지침 - xvi -

을위해우려제품안전표시기준작성에활용된바있음. < 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체노출평가활용계획 > - 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은제품제조에따른물질규제및함량권고 ( 안 ) 제시와흡입에의한안전관리방안마련에활용되며, 제조업체에서는보다안전한제품설계에활용이가능. - 제품유형별인체및환경노출시나리오분석과통합노출평가를통해안전표시기준제시 - 화학물질등록및평가에관한법률하에서관리하게되어있는주요바이오사이드제품의함량기준을측정하는표준분석법고시로활용될것으로기대함 - 생활환경내바이오사이드신속분석기술개발로실제사용환경에서의노출농도측정이가능하여, 위해성평가의신뢰도증진 - xvii -

SUMMARY ( 영문요약문 ) Ⅰ. Title Total Project Name :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Method of biocide Active Ingredients Unit Research Project 1 : Development Study for Exposure Assessment of biocide Ingredients Unit Research Project 2 : Measurement and Analysis of biocide Active Ingredients Ⅱ. The Objective & Necessity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uncontrolled safety management of biocidal products, it was reported in 2011 and confirmed later that the unidentified fatal lung disease cases found in Korea was likely due to the unregulated use of chemical disinfectants for household humidifiers. Immediately after this tragic cas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build a safety net for the regulation of biocidal products. However, the lack of information how and how much biocidal active ingredients are currently used in various products is now revealed to be a bottle-neck in the law-making proces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started an R&D program in order to build a regulatory framework since 2012 with an emphasis on four major research areas. The system will be used to prioritize a biocides for future risk assessment and to make the management strategy of biocides in Korea. Four major research areas as follows: - Development of regulatory frameworks and biocide hazardous information sharing system - Development of inhalation toxicity evaluation method on biocide - Development of guideline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am for biocides - Development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sampling of PHMG Ⅲ. Contents and Scope 1. Development of regulatory frameworks and biocide hazardous - xviii -

information sharing system Establishment of biocidal policy and management was prepared referring to the biocidal regulation policy and risk assessment considering EU BPR and Korean regulation of similar products, and Korea-REACH. The biocidal management policy in Korea based on Biocidal Regulation Products (BPR) in Europe and the classification and priority management list of active substances for the purpose of prospective policy decision were suggested. We suggested the guidance on risk assessment and evaluation system of active substances and products. Based on EU BPR, a substances list and an available product categories and group were reviewed. To compile biocidal product data, internet search, on/off market search, product data inquiry for suppliers were conducted. Chemical substance properties were view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system. Biocide Risk Information System was designed to ease to add and manage data and information for expansion DB and the system availability. 2. Development of inhalation toxicity evaluation method on biocide Two different types of biocide (i.e., PHMG phosphate and IPBC) were conducted. To perform each inhalation toxicity study, generation method via inhalation route and characterization method on each biocide were evaluated and then inhalation toxicity studi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OECD test guidelines of 403, 412 and 413. Furthermore, biomarker analysis concerned with inflammation, injury or fibrosis in lungs were performed to evaluate detailed toxicological effects in lungs. 3. Development of guideline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am for biocides In this study, exposure assessment tool box for biocidal products was suggested. The tool box is consisted of three platforms for exposure assessment. this tool box was developed through human exosure scenario analysis, investigation of exposure factors and case study on exposure assessment - xix -

<Contents and scope> 4. Development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sampling of PHMG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were standardized for biocide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indoor air and other environmental matrices. Specific aims of the research project to achive the final goals are as follows: -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biocide active ingredients in consumer products - Development of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biocides in environmental media -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biocides in massive use - Simple and rapid detection device for biocides in indoor air Ⅳ. Results 1. Development of regulatory frameworks and biocide hazardous information sharing system We suggested biocidal management policy for establishing Korean biocidal regulation and management tool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tudy. We understood current issues by analysing EU Biocidal Product Regulation (BPR) and suggested priority management lists of active substances linking up with biocide Hazard Information System. Especially, we decided priority list based on product type considering domestic uses. We suggested several biocidal management policies regarding Korea-REACH, which have controlled active substances and products of biocide in Korea. We prepared guidance on risk assesment of active substances and products according to Korea-REACH and EU method, respectively, which were not deviated from the existing guidance. The chemical substances list and available product categories and group were set, and 1,810 product data, 315 chemical substances properties wre compiled and build up DB as well as exposure factors DB. Bicocide Risk information system shares these DB and provide exposure assessment manual, output of Unit Research Project 1, and SOP, output of Unit - xx -

Research Project 2 also. Users who has an access right can run CRS and exposure assessment through this system. 2. Development of inhalation toxicity evaluation method on biocide Toxicological effects on respiratory tract after acute and 13 weeks repeated inhalation exposure were verified in PHMG inhalation toxicity studies. Severe inflammation or fibrosis in lungs were confirmed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oxicological biomarker analysis in BAL fluid. Lethal concentration on 50 % (LC 50 ) of both sexes was calculated as 60 mg/m 3 through acute inhalation study.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both sexes was estimated as 30 μg/m 3 through 13 weeks repeated inhalation toxicity study. Furthermore, adverse effects in lungs induced by inhalation exposure of PHMG phosphate were again verified through evaluation of toxicological biomarker like lung fibrosis and inflammation. Toxicological effects on thymus induced by PHMG phosphate inhalation exposure were also verified by immunological expression analysis on thymus. Toxicological effects via short and long term inhalation exposure of IPBC particles were also verified through acute and 4 weeks repeated inhalation toxicity studies on IPBC. Lethal concentration on 50 % (LC 50 ) of male and female was respectively calculated as 0.36422 and 0.59131 g/m 3 through acute inhalation study.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both sexes was estimated as 4.5 mg/m 3 through 4 weeks repeated inhalation toxicity study. But severe toxicological effects in lungs were not verified via repeated inhalation exposure of IPBC under this study condition. 3. Development of guideline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am for biocides In this study, exposure assessment tool box for biocidal products was suggested to evaluate exposure in systematic. The tool box is composed of three support platforms (guidance, exposure fators inventory, exposure assessment model). - Guidance on exposure assessment for biocidal products: This guidance was focused on human exposure assessment for domestic biocidal products and consumers. - Exposure factors inventory: The exposure factors, needed to evaluate human exposure,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use pattern research and measuring usage amount. This factors were suggested as excel sheets and as a report. - Human exposure evaluation model for biocides: this model could evaluate human exposure according to methodology in guidance in this study. Additionally, screening exposure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the tool box. 315 biocide ingredients from EU BPR were assessed; the results and procedure of this assessment could make use of risk management. 4. Development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sampling of PHMG - xxi -

Development of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biocides in environmental media - Development of a PHMG passive sampler reflecting human exposure - Development of models evaluating the fate of CMIT and MIT in liquid air fresheners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consequent risk assessment Development of standardized analytical methods for CMIT and MIT in various consumer products - Development of standardized analytical methods for CMIT and MIT in wet tissues - Development of standardized analytical methods for CMIT and MIT in liquid- and solid-type detergents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oligomeric biocides in massive use -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s for PHMG using ionic liquid matrix (ILM) and MALDI-TOF mass spectrometer -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method using an optimal internal standard - Development of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s for guanidine biocides from wet tissues Development of simple and rapid analytical methods for biocides - Qualitative assessment of selected biocides using Raman spectroscopy -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s for selected biocides using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V. Business Application Based the Outcomes 1. System Manager could add, delete, and update data or upload papers such as SOP, manual and etc. Besides users who has an access right can run CRS and exposure assessment. These help decision makers share information and use to review policies, plans and evaluation system. 2. Inhalation toxicity evaluation of biocide will be useful as the scientific information or data, and anticipated that the established evaluation method for inhalation toxicity study on biocide will be widely applied on conducting of inhalation studies on another biocide in terms of methodological aspects. 3. The human exposure evaluation tool box and the results of screening exposure assessment for 315 biocides could be applied to managing biocide ingredients and products based on human risk. Also, it could be used by manufacturer to design products. - xxii -

<Business Application Based the Outcomes> 4. The primary outcome of this research project was standard analytical methods for biocide active ingredients based on recent scientific advances.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s can be used as official analytical methods under the new regulation,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n Chemical Substances (ARECS) that require risk assessment of consumer products including biocides. - xxiii -

목 차 제 1 장서론 1 제1절연구개발과제의개요 3 1. 연구개발의목적및필요성 3 가. 바이오사이드위해성평가체계및체계적인정책구축 3 나. 바이오사이드에의한인체건강위협및자연환경파괴심각성대두 3 다. 실제환경을고려한바이오사이드의흡입을통한위해성평가시스템개발의중요성 4 라.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의중요성 4 마. 사용환경및제품내유효성분측정기술개발의필요성 5 2. 연구개발대상기술의차별성 5 가. 차별성 5 나. 주관연구기관의관련기술보유현황 7 제2절연구개발의국내외현황 8 1. 국내의기술개발동향 8 가. 국내위해성평가를위한정책구축 8 나. 국내에서의위해성평가를위한연구사례 8 2. 해외의기술개발동향 9 가. EU의위해성평가를위한정책구축 9 나. EU 등해외에서의위해성평가를위한연구사례 11 제3절연구개발의내용및범위 11 1. 연구개발의최종목표 11 가.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12 나.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12 다.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2종의실제노출상황을고려한흡입독성평가 12 라. 세부 1 과제 12 마. 세부 2 과제 13 2. 연도별연구개발목표및평가방법 13 3. 연도별추진체계 16 - xxiv -

가. 연차별추진체계 16 제 2 장연구개발수행내용및결과 19 제1절연구개발결과및토의 21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21 가. 국제적규제동향 21 나.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 37 다. 국내현황 52 라. 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방안 62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86 가. 현황분석및사용실태조사 86 나. 바이오사이드데이터베이스구축 109 다.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구축 120 라.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확립및정책적활용방안제안 144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연구 145 가. 바이오사이드물질 1 (PHMG phosphate) 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 145 나. 바이오사이드물질 2 (IPBC) 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 172 4. 바이오사이드제품의노출평가기술개발 (1세부) 198 가.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198 나.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205 다. 바이오사이드의흡입노출경로에대한오염원-노출용량모형 (Source-to-dose model) 개발 208 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분석법개발 (2세부) 215 가.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 215 나.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 (MIT/CMIT) 218 다.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정량분석기술개발 227 라. 바이오사이드물질의정성및정량간이측정분석기술개발 231 제2절연구개발결과요약 234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234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234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234 4.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개발 ( 세부 1과제 ) 236 - xxv -

가.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236 나.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239 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 ( 세부 1과제 ) 240 제 3 장목표달성도및관련분야기여도 243 제1절연도별연구개발목표의달성도 245 제2절관련분야의기술발전기여도 ( 환경적성과포함 ) 248 1. 기술적측면 248 2. 환경적측면 248 3. 경제적 산업적측면 248 제 4 장연구개발결과의활용계획등 249 제1절연구개발결과의활용계획 251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성과 251 가. 국내실정에맞는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마련 251 나. 유효성분및제품평가를위한요구자료및위해성평가절차서마련 252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252 가. 우선관리대상물질선정에활용 252 나.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특성정보 DB개발 252 다. 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인벤토리 DB개발 252 라.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 252 마.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사용자매뉴얼 252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연구성과 253 가. 흡입독성물질발생법및특성분석법표준지침서제시 253 나. 흡입독성물질흡입독성시험수행에대한표준지침서제시 253 4.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개발 (1세부) 253 가.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독성평가용노출계수및독성정보 DB개발활용 ( 주관및 1세부참여 ) 253 나. 단계별노출평가모형 ( 프로그램 ) 253 다. 바이오성분함유소비자제품에대한단계별노출평가방법 254 라. 바이오사이드성분 315종에대한스크리닝위해성평가결과를이용한안전기준 ( 안 ) 을이용한정책활용 254 - xxvi -

마. 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델개발 254 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개발 (2세부) 254 가. 표준작업절차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를활용한표준분석법확립 254 나. 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의노출평가 255 제2절연구개발과정에서수집한해외과학기술정보 255 제3절연구개발결과의보안등급 255 제4절 NTIS 에등록한연구시설 장비현황 255 제 5 장참고문헌 257 1. 국내문헌 259 2. 국외문헌 259 3. 기타 260 가. 시스템 260 나. 웹자료 260 < 부록 > 별첨 - xxvii -

표목차 < 표 1.1.1> 주관연구기관의관련기술보유현황 7 < 표 1.2.1> 다른국가들의바이오사이드대상제품의관리현황 10 < 표 1.3.1> 연도별연구개발목표및평가방법 13 < 표 2.1.1>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의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 23 < 표 2.1.2> 유효성분및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핵심요구자료 23 < 표 2.1.3> 부속서 I에포함된유효성분명, EC 번호및 CAS 번호, 제품용도 27 < 표2.1.4> 부속서 IA에포함된유효성분명, EC 번호및 CAS 번호, 제품용도 28 < 표 2.1.5> 유효성분및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핵심요구자료 (CDS:core data set) 및추가요구자료 (ADS: additional data set) 29 < 표 2.1.6> 미국의바이오사이드사용형태 33 < 표 2.1.7> 일본의바이오사이드관련법률및소관부처 34 < 표 2.1.8> 1차리스크평가결과에따른우선평가화학물질 35 < 표 2.1.9> Prodcut Type 별승인된유효성분목록 42 < 표 2.1.10> 화평법체계도 53 표 2.1.11 제품유형별한국의관리현황 63 < 표 2.1.12> 국내유통을감안한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 64 < 표 2.1.13 > 선정한 313개물질목록 65 < 표 2.1.14> 국내유통바이오사이드추정물질수집계현황 71 < 표 2.1.15> 국내유통유효성분목록 264종목록 72 < 표 2.1.16> PT 1( 인체위생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차) 78 < 표 2.1.17> PT 2(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 차 ) 79 < 표 2.1.18> PT 4(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차 ) 79 < 표 2.1.19> PT 6의 (In-Can 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1차) 79 < 표 2.1.20> PT 7의 ( 필름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1차) 80 < 표 2.1.21> PT 8의 ( 목재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1차) 80 < 표 2.1.22> PT 11의 ( 냉각및가공계보존제 ) 대상물질목록 (1차) 80 < 표 2.1.23> PT 21( 방오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차) 80 < 표 2.1.24> PT 1( 인체위생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차) 81 - xxviii -

< 표 2.1.25> PT 2(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 차 ) 81 < 표 2.1.26> PT 4(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차 ) 82 < 표 2.1.27> PT 6의 (In-Can 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2차) 82 < 표 2.1.28> PT 7의 ( 필름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2차) 83 < 표 2.1.29> PT 8의 ( 목재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2차) 83 < 표 2.1.30> PT 11의 ( 냉각및가공계보존제 ) 대상물질목록 (2차) 83 < 표 2.1.31> PT 21( 방오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차) 83 < 표 2.1.32> 바이오사이드의제조수입량에따라요구되는시험자료 85 < 표 2.1.33> EU의물질별제품용도 (PT) 분류및정의표 87 < 표 2.1.34> 바이오사이드제품관련부처별관리현황 88 < 표 2.1.35> 기준물질목록 93 < 표 2.1.36> 기준물질중살균및보존제용도판매량상위 10개목록 100 < 표 2.1.37> 기준물질중국내유통추정물질수 100 < 표 2.1.38> 제품분류별자료수집결과 102 < 표 2.1.39> 업체별자료수집결과 103 < 표 2.1.40> 판매량기준연간 1천톤이상업체 104 < 표 2.1.41> 업체제공살균 / 소독제물질 104 < 표 2.1.42> 제품분류별관심물질함유제품수 105 < 표 2.1.43> 업체제공살균 / 소독제물질 105 < 표 2.1.44> 업체제공방부 / 보존제물질 107 < 표 2.1.45> 기준물질 (315종 ) 외업체제공바이오사이드기능물질 108 < 표 2.1.46> 물질특성자료수집자료목록 110 < 표 2.1.47> 물질특성정보 DB 속성정보 111 < 표 2.1.48> 제품분류별바이오사이드제품인벤토리구축결과 113 < 표 2.1.49> 제품일반현황속성정보 113 < 표 2.1.50> 성분정보속성정보 114 < 표 2.1.51> 바이오사이드제품분류체계 115 < 표 2.1.52> 바이오사이드제품인벤토리제품형태분류체계 116 < 표 2.1.53> 노출평가대상범위 118 < 표 2.1.54> 노출평가 DB 속성정보 119 < 표 2.1.55> 노출계수 DB 구축결과예시 119 < 표 2.1.56> 유해정보공유시스템테이블목록예시 125 - xxix -

< 표 2.1.57> 유해정보공유시스템 DB 표준화정의예시 126 < 표 2.1.58> PHMG phosphate 입자의발생기별발생평가결과요약 146 < 표 2.1.59> PHMG phosphate 의농도구배에따른수용액상에서의입경분포확인 148 < 표 2.1.60> 사용권장량에따른노출농도및평균입경변화 150 < 표 2.1.61> 사용권장량에따른노출농도및평균입경변화 150 < 표 2.1.62> 사용권장량에따른실제노출환경에서의노출농도및평균입경변화 151 < 표 2.1.64> PHMG phosphate 의폐내독성기전평가시험방법요약 169 < 표 2.1.65> IPBC의흡입독성평가에대한선행연구요약 2-15) 174 < 표 2.1.66>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추출 ( 전처리 ) 과정 177 < 표 2.1.67>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 HPLC 분석조건 177 < 표 2.1.68> 분석법검증항목및방법 178 < 표 2.1.69> 급성흡입독성평가를위한분석법검증수행조건요약1 178 < 표 2.1.70> QC 샘플을이용한시스템적합성확인 179 < 표 2.1.71> 반복흡입독성평가를위한분석법검증수행조건요약 180 < 표 2.1.72> QC 샘플을이용한시스템적합성확인 181 < 표 2.1.73> QC 샘플을이용한정확성및정밀성확인 181 < 표 2.1.74> 가습기살균제를이용한 ConsExpo spray 를이용한노출농도와노출재현실험에서측정된노출농도 208 < 표 2.1.75> CMIT 유효성분이함유된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212 < 표 2.1.76> MIT 유효성분이함유된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213 < 표 2.1.77> DDAC 유효성분이함유된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213 < 표 2.1.78>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별스프레이단계별흡입노출모형결과 213 < 표 2.1.79> CMIT 유효성분이함유된액상방향제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214 < 표 2.1.80> MIT 유효성분이함유된액상방향제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214 < 표 2.1.81> 폼알데하이드유효성분이함유된액상방향제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214 < 표 2.1.8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별액상방향제단계별흡입노출모형결과 214 < 표 2.1.83> 액체방향제시료에대한시험법유효성확인 216 < 표 2.1.84> MIT/CMIT LC/MS 분석조건 221 < 표 2.1.85> MIT/CMIT 에대한검량선 222 < 표 2.1.86> 대상제품시료에대한 MIT/CMIT 의방법검출한계와정확도및정밀도 223 - xxx -

< 표 2.1.87> BIT 및 IPBC의 LC/MS 분석조건 225 < 표 2.2.1>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 tool box 구성 237 < 표 2.2.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의구성내용 238 < 표 2.2.3> 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비교 240 < 표 3.1.1> 연도별연구개발목표의달성도 245 - xxxi -

그림목차 < 그림 1.3.1> 주관연구기관연도별추진체계 16 < 그림 1.3.2> 세부 1 과제의연도별연구개발체계 16 < 그림 1.3.3> 세부 2 과제의연도별연구개발체계 17 < 그림 2.1.1> 신규유효성분승인과정 41 < 그림 2.1.2> 화학물질관리체계1-1) 54 < 그림 2.1.3> 화학제품의관리체계1-2) 54 < 그림 2.1.4> 신고대상확인절차 58 < 그림 2.1.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우선관리대상물질선정을위한스크리닝위해성평가점수평가산정방법 78 < 그림 2.1.6> 관세청전자통관시스템정보조회결과 99 < 그림 2.1.7> 조사양식예시 101 < 그림 2.1.8> 화학물질특성정보 ( 예시 ) 110 < 그림 2.1.9> 물질특성정보 DB 예시 112 < 그림 2.1.10> 제품일반현황 DB 구축예시 117 < 그림 2.1.11> 성분정보 DB 구축예시 117 < 그림 2.1.12> 화학물질정보시스템검색화면 120 < 그림 2.1.13>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의조건검색예시화면 121 < 그림 2.1.14> 독성정보시스템검색화면 121 < 그림 2.1.15> e-chemportal 검색화면 122 < 그림 2.1.16> 화학사고응급대응정보시스템화면및검색결과화면 123 < 그림 2.1.17> 독성정보제공시스템검색화면 123 < 그림 2.1.18> CPID 검색화면 124 < 그림 2.1.19> 물질및인벤토리 DB 개체-관계다이어그램 (ERD) 126 < 그림 2.1.20> 사용자페이지메뉴구성도 127 < 그림 2.1.21> 관리자페이지메뉴구성도 127 < 그림 2.1.22> 메인화면 128 < 그림 2.1.23> 제품정보검색 129 < 그림 2.1.24> 제품정보검색조건별화면 130 - xxxii -

< 그림 2.1.25> 제품상세정보조회 131 < 그림 2.1.26> 물질정보검색 132 < 그림 2.1.27> 물질정보상세조회 132 < 그림 2.1.28> 물질정보상세조회 133 < 그림 2.1.29> 바이오사이드우선순위산정 134 < 그림 2.1.30> 바이오사이드우선순위산정결과조회 134 < 그림 2.1.31> 단일평가조건입력및결과조회 135 < 그림 2.1.32> 다중비교평가조건입력및결과조회 136 < 그림 2.1.33> 다중비교평가조건선택예시 136 < 그림 2.1.34> 자료실 137 < 그림 2.1.35> 시스템소개 137 < 그림 2.1.36> 마이페이지 138 < 그림 2.1.37> 회원정보변경 138 < 그림 2.1.38> 제품관리 139 < 그림 2.1.39> 물질관리 140 < 그림 2.1.40> 물질등록화면 141 < 그림 2.1.41> 사이트이용현황 141 < 그림 2.1.42> 자료실관리 142 < 그림 2.1.43> 이용자관리 143 < 그림 2.1.44> 권한별사용승인화면 143 < 그림 2.1.45.> PHMG phosphate 입자의발생기별입경별수농도분포 146 < 그림 2.1.46> 실제제품에서의 PHMG phosphate 입자의입경별수농도분포비교 147 < 그림 2.1.47> 실제제품에서의 PHMG phosphate 입자의용액농도구배에따른수농도분포비교 147 < 그림 2.1.48> PHMG phosphate 입자의형태학적분석 148 < 그림 2.1.49> 상대습도 100 % 의닫힌계에서의 PHMG phosphate 노출농도평가 149 < 그림 2.1.50> 상대습도 100 % 의닫힌계에서의시간에따른습도변화 149 < 그림 2.1.51> 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하여측정한실제노출환경에서의입경분포 151 < 그림 2.1.52> PHMG phosphate 단회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152 < 그림 2.1.53> 단회흡입노출시노출군별평균노출질량농도 ( 좌 ) 및기하학적평균입경 ( 우 )152 < 그림 2.1.54> 단회흡입노출후노출군별체중변화 153 - xxxiii -

< 그림 2.1.55> 비장, 흉선및폐에대한상대장기중량변화 154 < 그림 2.1.56> PHMG 노출군에서관찰된공포상대식세포 (Foamy histiocytes, 좌 ) 섬유증 (Fibrosis) (H&E 염색 ) 154 < 그림 2.1.57>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156 < 그림 2.1.58> 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 PHMG phosphate 입자의노출수준평가 156 < 그림 2.1.59> PHMG phosphate 입자의노출선형성평가 157 < 그림 2.1.60> 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 PHMG phosphate 입자의수농도구배 157 < 그림 2.1.61> 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 PHMG phosphate 입자의입경분포특성평가 158 < 그림 2.1.62> 각노출군별목표농도에대한공간적균질성및시간적안정성확인결과 158 < 그림 2.1.63>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의시험방법요약 159 < 그림 2.1.64> 노출군별평균질량농도측정결과 160 < 그림 2.1.65> 노출군별노출질량농도일간변동성 161 < 그림 2.1.66> 노출군별평균 MMAD 측정결과 161 < 그림 2.1.67> 노출군별수농도분포측정결과 162 < 그림 2.1.68> 노출군별체중변화 ( 좌 ; 수컷, 우 ; 암컷 ) 163 < 그림 2.1.69> 노출군별사료섭취량변화 ( 좌 ; 수컷, 우 ; 암컷 ) 163 < 그림 2.1.70> 대조군 ( 좌 ) 및저농도노출군 ( 우 ) 의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164 < 그림 2.1.71> 중농도노출군의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165 < 그림 2.1.72> 고농도노출군의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165 < 그림 2.1.73>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의기관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166 < 그림 2.1.74>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의후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166 < 그림 2.1.75>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의비강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166 < 그림 2.1.76> 노출군별폐내세척액에서의 total cell count 산정결과 167 < 그림 2.1.77> 노출군별폐내세척액에서의 differential cell count 산정결과 167 < 그림 2.1.78> 노출군별 LDH( 좌 ) 및 total protein( 우 ) 분석결과 168 < 그림 2.1.79> 노출군별사이토카인 (Cytokine) 측정결과 168 < 그림 2.1.80> 투여군별체중변화관찰결과 170 - xxxiv -

< 그림 2.1.81> 투여군별폐및흉선의절대및상대장기중량관찰결과 170 < 그림 2.1.82> IL-1β 및 IL-6 분석결과 171 < 그림 2.1.83> IFN-γ, 단핵구케모카인 (MCP-1) 및호중구케모카인 (CXCL1) 분석결과 171 < 그림 2.1.84> 폐내섬유증발현인자들에대한분석결과 (RNA 레벨 ) 172 < 그림 2.1.85> 섬유화발현단백질에대한분석결과 172 < 그림 2.1.86> 흉선총세포수분석및 CD4+/CD8+ 발현분석결과 173 < 그림 2.1.87> T cell의분화전사인자 (T-bet 및 GATA3 mrna) 발현분석결과 173 < 그림 2.1.88> 가열법을이용한 3차증류수와 IPBC의용해도평가 175 < 그림 2.1.89> 70% propylene glycol( 좌 ) 및 propylene glycol 원액 ( 우 ) 와의용해도평가 176 < 그림 2.1.90> poly(ethylene) glycol 에대한용해도평가 176 < 그림 2.1.91> 표준물질을이용한검량선작성및직선성확인 179 < 그림 2.1.92> 표준물질을이용한검량선작성및직선성확인 181 < 그림 2.1.93> IPBC 단회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182 < 그림 2.1.94> IPBC 급성흡입독성시험의시험방법요약 182 < 그림 2.1.95> 노출군별챔버내균질성평가 184 < 그림 2.1.96> 노출군별평균노출질량농도 184 < 그림 2.1.97> 노출군별입경분포측정 185 < 그림 2.1.98> 노출군별 IPBC 유효성분농도분석결과 185 < 그림 2.1.99> 노출군별체중변화측정결과 186 < 그림 2.1.100> IPBC 4주반복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187 < 그림 2.1.101> IPBC 4주반복흡입독성시험의시험방법요약 188 < 그림 2.1.102> 노출군별챔버내균질성평가 ( 좌 : 노출전, 우 : 노출종료전 ) 189 < 그림 2.1.103> 노출군별평균노출질량농도 189 < 그림 2.1.104> 노출군별주별평균노출질량농도 190 < 그림 2.1.105> 노출군별입경분포측정 190 < 그림 2.1.106> 노출군별 IPBC 유효성분농도분석결과 191 < 그림 2.1.107> 노출군별 IPBC 유효성분농도의주별변동성 191 < 그림 2.1.108> 노출군별체중변화측정결과 192 < 그림 2.1.109> 노출군별사료섭취량변화측정결과 192 < 그림 2.1.110> 노출군별수컷의장기중량변화 193 < 그림 2.1.111> 노출군별암컷의장기중량변화 193 < 그림 2.1.112>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폐에대한조직병리학적검사 (H&E) - xxxv -

194 < 그림 2.1.113>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기관에대한조직병리학적검사 (H&E) 194 < 그림 2.1.114> 노출군별폐세척액에서의 total cell count 산정 195 < 그림 2.1.115> 노출군별폐세척액에서의 differential cell count( 좌 : 수컷, 우 : 암컷 ) 196 < 그림 2.1.116> 노출군별 BAL fluid에서의염증발현관련 cytokines 변화 196 < 그림 2.1.117> 노출군별 BAL fluid에서의 LDH 변화 197 < 그림 2.1.118> 노출군별 BAL fluid에서의 Total protein 변화 198 < 그림 2.1.119> 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체노출평가기술개발내용및결과 199 < 그림 2.1.120> 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평가기법개발대상제품선정 199 < 그림 2.1.121> 모델을이용한챔버에서의 CMIT의공기중의농도예측. 218 < 그림 2.1.122> MIT/CMIT의전체이온크로마토그램 (TIC) - 표준물 (10 ng) 222 < 그림 2.1.123>. MIT의 EIC 및질량스펙트럼 222 < 그림 2.1.124> CMIT의 EIC 및질량스펙트럼 222 < 그림 2.1.125> BIT, IPBC, OIT 의전체이온크로마토그램 (TIC) - 표준물 5 ng 주입 225 < 그림 2.1.126> BIT의 EIC 및질량스펙트럼 226 < 그림 2.1.127> IPBC의 EIC 및질량스펙트럼 226 < 그림 2.1.128> OIT의 EIC 및질량스펙트럼 226 < 그림 2.1.129> BIT의검량선 226 < 그림 2.1.130> IPBC의검량선 226 < 그림 2.1.131> OIT의검량선 227 < 그림 2.2.1> 본연구개발의주요성과 236 < 그림 2.2.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단계별노출평가지침의제품범위 237 < 그림 2.2.3> 노출평가모델의체계 238 < 그림 2.2.4>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활용의예 239 - xxxvi -

제 1 장서 론 - 1 -

공백 - 2 -

제 1 장서론 제 1 절연구개발과제의개요 1. 연구개발의목적및필요성가. 바이오사이드위해성평가체계및체계적인정책구축 전세계에서사용되고있는전체화학물질중약 1/4에해당되는바이오사이드는다른화학물질에비해관리가소홀히되어왔으나, 90년대들어그위해성과함께인체노출빈도등의이유로국제적인규제의필요성이강하게대두되었고, 2000년들어본격적으로진행되고있다. 그러나우리나라의경우국내에서수입, 제조또는사용중인바이오사이드에대한기초조사가제대로이루어지지않아, 정확한분류체계가수립되어있지않는상황이며국내에등록된모든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바이오사이드제품에사용되는지의여부도불명확한실정이다. 본사업에서는국내에서사용중인바이오사이드에대한유통현황을파악하여물질목록을작성하고인벤토리정보, 인체독성및환경독성, 환경거동, 노출량정보등의데이터베이스를구축하여우리나라실정에맞는 유해정보공유시스템 을개발, 운영하고자한다. 연구결과를토대로국제적인우선순위산정방식을적용하여위해우선순위를선정하여기존의바이오사이드를재평가할수있는기반을마련하고, 신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나제품에대한유해성심사나평가체계를제안하여정책적활용을가능하도록한다. 나. 바이오사이드에의한인체건강위협및자연환경파괴심각성대두 최근산업이발달함에따라산업현장에서사용되는화학물질및각종생활용품의사용이급격히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그중살충제, 살균제, 방부제등의용도로바이오사이드의사용량또한전세계적으로증가하고있어, 이에대한인체노출가능성은높아지고있다. 한예로, 2011년사회적으로가장큰이슈가되었던 원인미상폐손상질환 발병에대한역학조사및동물을대상으로한흡입독성실험결과, 원인미상폐손상의원인으로가습기살균제가지목되었다. 가습기살균제의주성분은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 (PHMG phosphate) 와올리고에톡시에틸구아니디움클로라이드 (PGH) 이며, 이들성분을함유한가습기세정제는동물흡입실험에서폐손상으로사망한환자들의증상에부합하는임상증상 ( 호흡수증가및호흡곤란 ) 과조직검사소견 ( 폐섬유화, 폐기종, 기관지상피위축 / 괴사등 ) 이관찰되었다. 문제가된가습기살균제의주성분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 (PHMG phosphate), 올리고에톡시에틸구아니디움클로라이드 (PGH) 는모두살균및부패방지효과가뛰어난구아니딘계열의화학물질로써, MSDS에서는경구및경피독성에관련한위해성정보가제공되었으나, 흡입독성에대한위해성시험은실시되지않았다. 결국가습기살 - 3 -

균제에의한 원인미상폐손상질환 발병원인은화학물질의노출경로, 특히흡입노출을통한인체유해성을충분히평가하지않았기때문이다. 이는화학물질또는환경유해물질이노출경로에따라독성이다르게나타날수있음을시사한다. 다. 실제환경을고려한바이오사이드의흡입을통한위해성평가시스템개발의중요성 다양한화학물질은대기를통해인체에흡입되어건강에직간접적인유해영향을미친다. 특히우리나라의환경특성상봄에자주발생하는황사등의미세먼지는각종질환을증가시킨다는보고가있고, 앞서언급하였듯이가습기살균제에대한유효성분이실제호흡에의한인체내독성영향을파악하기위해서는흡입독성연구는필수적이다. 미국의 2002년통계에의하면호흡기계질환 (chronic lower respiratory) 은심장병, 암, 뇌졸증 (stroke) 에이어 4 번째로높은사망요인이다 (National Vital Statics Reports, 2004). 한국의경우도공기중의흡입을통한인체건강위협을유발할수있는가능성이많음을감안하면, 하루빨리바이오사이드의위해성평가및관리시스템을도입해야하는실정이다. 라.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의중요성 국내에서는바이오사이드에대한건강영향에대한관심이증대되고있는반면, 이를과학적으로평가하기위한기술개발은아직미흡한상태이고환경으로노출되었을때생태계에어떤영향을미치는지에대해서는더욱미흡한상태이다. 즉국내에서유통되는바이오사이드제품은사용형태및사용용도에따라매우다양한제품으로생산되고있음에도불구하고, 인체및환경에노출되는경로와노출수준파악을위한방법및평가기준이마련되지않아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인체및환경노출관련노출평가기법의마련이시급히필요한실정이다. 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인체및환경노출평가는기존제품및새로개발되는제품의제조및사용과정, 폐기처분까지전과정에서인체와환경에영향을주는위해수준의예측이필요하다. 이에제품의특성, 제조및사용환경에따라실제로발생할수있는모든노출시나리오가고려될필요성이있다. 하지만노출평가는평가자및평가방법에따라그결과가매우상이할수있기때문에국내의바이오사이드제품의형태, 사용및제조환경에따른노출가능시나리오및노출평가절차에대한방법및기준등의통합노출평가기법과이에따른노출평가지침마련을위한바이오사이드매뉴얼개발이필요하다. - 제형 (product type), 성상 (formulation type) 에따른노출평가기법개발국외바이오사이드제품관련노출평가지침에서는제형 (product type) 에따른노출평가대상및평가매체가다르게적용된다. 또한성상 (formulation type) 에따라노출경로와사용되는노출개수등의차이가있다. 따라서국내에적용가능한노출평가기법을마련하기위해서는국내외바이오사이드관련지침및평가사례를통해합리적인국내노출평가적용지침 ( 안 ) 을제안할필요성이있다. - 오염원 노출용량모형은대상물질및성상 (formulation type) 에따라기존자료및 - 4 -

data에서제시된값을이용해노출수준을예측해 1차적으로위해여부를판단하는스크리닝역할을수행한다. 국외의경우다양한모델이개발되어노출평가및위해성평가에활용되고있는것으로볼때, 국내에도국내제품에적합하고합리적으로적용할수있는노출평가모델의개발이필요하다. 마. 사용환경및제품내유효성분측정기술개발의필요성 국내에서유통되는생활환경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은별도의제품등록및신고제도없이유통되고있는실정이다. 원료물질의경우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따라관리할수있으나일정규모이상의신규화학물질에국한되어유해성심사를실시하고있으며바이오사이드의경우유해성평가결과가미비하거나인체위해정보의부족으로인해서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의안전관리에취약점이있다. 이에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용특성 ( 사용빈도, 대상, 용도 ) 에따른적절한노출시나리오와개별유효성분에대한환경노출평가가요구되며이를기초로생활환경내화학물질에대한위해성평가를실시해야한다. 2. 연구개발대상기술의차별성가. 차별성 (1) 연구진구성의차별성 ( 가 ) 본과제를구성하는연구진의우수성 본과제를수행한연구진은안전성평가연구소, 네오엔비즈,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서강대학교, 부산대학교등으로구성되어있으며, 2011년많은인명손상이있었던원인미상폐손상과바이오사이드의일종인가습기살균제의상관관계규명연구에참여했던참여연구진으로구성되었다. 1 안전성평가연구소흡입독성연구센터국내유통되는여러종의가습기살균제를이용한입자발생시험수행, 그결과로많은가습기살균제제품이가습기를통해나노크기의입자분포를갖는에어로졸형태로발생되어사람에게흡입되어호흡기에위해성을나타낼수있음을규명하였다. 특히, 유통량이많았던 3종의가습기살균제의흡입독성시험을통해사람에게나타났던원인미상폐손상병변과동일한조직병리학적소견을얻음으로써바이오사이드의범주에속하는가습기살균제가직접적인원인이라는것을규명하였다. 2 네오엔비즈바이오사이드의범주에속하는가습기살균제가가습기를통하여실제실내환경에서얼마나높은수준으로노출되는가에대한연구를수행함으로써원인미상폐손상원인규명연구에 - 5 -

일조하였다. 바이오사이드의실제노출환경인공기중에어로졸의샘플링및분석기술을확보하여상기연구에기여함으로써바이오사이드실제노출환경시나리오에서의노출평가등에대한기술을확보하고있다. 3 고려대학교네오엔비즈와더불어에어로졸상태의바이오사이드의포집및정량평가기술을개발, 연구에적용하여실제노출환경속에서의노출량분석기술을확립하고있다. ( 나 ) 연구내용의차별성 1 실제노출환경을고려한바이오사이드에어로졸의흡입독성시험연구 - 흡입독성물질의안전성평가기술은시험물질발생과희석, 모니터링, 노출, 시험물질분석기술등으로구성되어있으며, 독성학, 생화학, 산업위생학등생물분야를비롯하여화학공학, 분석화학, 기계 / 전자공학등과같은여러전공분야를적용하는것이필수적이다. 다양한종류의흡입독성물질에대한안전성평가시험과연구시스템을구축하기위해서는각각의시험물질에맞는노출장치및정확한생화학적분석장치가필요하다. - 안전성평가연구소전북영장류시험본부의흡입독성연구동이 2008년에완공되어최신종합적노출시험시설과장비를구축하였다. 흡입독성시험장치와각종시험물질의급성및반복흡입시험에대한노출, 분석, 모니터링, 배기및데이터추출등을 GLP 수준으로구축하였다. 나노물질을포함한각종물질에대한시험기반구축및담배노출시험기반까지구축되었다, 또한천식, 폐섬유화, 폐암등과같은각종폐질환동물모델을확립하였으며, 이를이용한다양한흡입시험을통하여바이오사이드의흡입노출과관련한폐내의독성연구의기반을확립하였다. - 국내최대, 최고의흡입독성시험시설을갖추고유기용제, 나노물질, 가습기살균제등을포함한각종물질의흡입독성시험연구경험이풍부하다. 이러한흡입독성시험연구를위한에어로졸발생기술, 에어로졸특성평가기술, 실내노출평가기술등을보유하고있으므로바이오사이드의실제노출환경을고려한흡입독성시험연구를위한최적, 최고의기관이다. - 흡입독성시험후얻어지는생체시료를이용하여최근폐내질환연구의최신연구동향인 ROS, ER stress, inflammasome, Toll like receptor 관련기전에주목한 innate immunity 연구를통하여바이오사이드의흡입독성기전연구를수행하고이를신규시험방법에적용한다. 2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의선행연구와의차별성 - 기존국외의선행연구중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는주로환경및작업자를중심으로한노출평가가수행되었으나, 본연구에서수행되는노출평가는소비자가직접적으로노출되는바이오사이드성분함유제품에대한평가가수행되었다. - 국내외적으로소비자에대한바이오사이드성분함유제품의평가사례는매우드물며, - 6 -

평가되는제품역시매우제한적이였다. 하지만본연구에서는소비자가일상에서바이오사이드성분이함유된제품에노출될수있는제품을제형별로구분해다양한노출시나리오를적용한평가를수행하는것에서차별성이있다. - 국내소비자제품의평가는국외평가방법및노출계수를활용한평가를수행된사례가많다. 하지만본연구에서수행되는바이오사이드성분함유제품의인체노출평가는국내제품및소비자에대한노출계수를생산해노출평가에적용함으로서국내현실을반영한노출평가를수행하는것에차별성이있다. 3 사용환경및제품내유효성분측정기술의차별성 - 본연구에서는환경샘플링및분석법표준화를통해향후활용할수있는표준분석법을확립하고자하며, 분석대상바이오사이드의종류도가습기살균제유효성분뿐아니라다양한소비자제품에포함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방오제등최근국제사회의관심이되고있는여러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그분석법을확립하고자한다. - 또한생활속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간편한검출을위해서실내환경에서실시간으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검출할수있는분광학기반의간이분석법을개발하고자하였다. 나. 주관연구기관의관련기술보유현황 주관연구기관의관련기술보유현황은 < 표 1.1.1> 와같다. - 7 -

< 표 1.1.1> 주관연구기관의관련기술보유현황 기술명 ( 또는특허명 ) 인증번호 개발기간 지원기관 구분 ( 특허, 신기술등 ) 통합환경관리를위한위해성예측출원번호시스템및방법, 그리고이방법을 10-2007-0030 구현할수있는컴퓨터판독가능 316 한프로그램이기록된기록매체 2004~2007 환경부 특허 출원번호 화상점적투여기 10-2010-0112 2008-2010 지식경제부 특허 232 화상점적투여기 출원번호 10-2010-0112 2008-2010 지식경제부 특허 233 마우스홀더장치 출원번호 10-2011-0102 666 2009-2011 지식경제부 특허 출원번호나노입자흡입독성평가시험용케 10-2012-0023 이지형챔버장치 017 2011-2012 지식경제부 특허 용접흄독성시험장치 10-1998-0047 027 1996-1998. 특허 담배연기의유해성실험장치 10-2001-0076 196 1999-2001. 특허 분진연속포집장치 10-2003-0082 470 2000-2003. 특허 제 2 절연구개발의국내외현황 1. 국내의기술개발동향가. 국내위해성평가를위한정책구축 1990년대우리나라에서는바이오사이드의위해성에대한인식이거의없어, 체계적인관리시스템조차전무한실정이었다. 하지만최근에는국내흡입독성시험은산업안전보건연구원화학물질안전보건센터를중심으로산업안전분야에대한연구가진행되어왔다. 그이후에생활환경물질과나노물질에대한연구를위하여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안전성평가본부, 국민의흡입건강과신의농약개발에필요한흡입안전연구를위해설립된안전성평가연구소흡입독성시험연구센터에서흡입독성시험을수행하고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기초연구나국가차원의체계적인연구지원은아직미미한실정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는바이오사이드의국내관리방안연구 (1999) 와방오제를중심으로한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방안연구등을수행하였다 (2000). 환경부의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의일환으로수행된비소계목재방부제 (CCA) 의통합적위해성평가기술개발사업에서는복합유해성분함유제품인 CCA를대상으로하여위해성평가및관리방안을도 - 8 -

출한바있다 (2003~2006). 연구결과에따르면 CCA 구성물질에의한생태독성발현가능성이높게나타났고 CCA의배출농도규제및환경위해성관리가시급한것으로보고되었다. 식약청은살충제등유해물질안전관리기준의국제화연구를수행 (2009) 하여각국의바이오사이드관리현황을검토하였으나주요연구내용은의약외품으로분류된전염병예방용살충제의관리방법을제안하고살충제유해물질기준및시험법개발에관한연구를수행하였다. 국내에서가습기살균제와같은생활화학용품에대안안전성논란이대두되며 (2011) 화학물질함유품목에대한법령및관리체계의검토와제도적보완의필요성이제기되었다. 생활화학용품의관리는원료물질의경우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에따라관리되며, 화학물질함유품목의관리는 품질경영및공산품안전관리법, 약사법, 공중위생법, 화장품법 등으로안전관리되고있으나, 원료물질인화학물질의유해성평가는일정규모이상의신규화학물질에국한되어기존화학물질에대한위해성확인평가가어렵다. 또한생활화학가정용품안전기준은품목에주로사용되는물질위주로안전을관리하고있어신규물질관리에는취약한상황이다. 나. 국내에서의위해성평가를위한연구사례 질병관리본부에의해수행된가습기살균제의주요성분인 PHMG (polyhexamethylene guanidine) 와 PGH (Oligo(2-(2-ethoxy) 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 의흡입노출평가결과, 폐섬유화와호흡곤란증세가나타났다. 해당물질들은경구투여시독성을나타내지않았던물질들로서이연구를통해화학물질의노출경로에따른독성연구의필요성이확인되었다. PHMG와 PGH에대한직접적인흡입독성참고치는없으나, 유사물질의참고치를고려하면이물질의흡입독성은사전스크리닝을통해방지가가능했을것으로평가된다 (Lee et al., 2012, Environ. Sci. Technol.). 이외의생활화학용품에대한국내에서의흡입독성연구는전무한실정으로, 가습기살균제연구결과로인해인체위해성우려가높은생활화학용품원료물질의위해성평가가시급히요구되었고, 정부차원에서이를실시하는계기가되었다. 2. 해외의기술개발동향가. EU의위해성평가를위한정책구축 EU는오래전부터바이오사이드를특별히관리하기위한체계를준비해왔으며, 2013년 9 월부터본격적으로시행되고있다. EU의바이오사이드법안을시행하는목적은유럽시장에서판매되는바이오사이드제품의안전성을증대시키고발암성물질등매우유해한물질의단계적폐지와기존법령하에서다루어지지않는가구및섬유제품에사용되는바이오사이드제품의규제를강화하고자하기위해서다. EU는바이오사이드물질을살균 소독제류, 방부제 / 보존제류, 해충방제류, 기타바이오사이드물질등크게 4개그룹으로나누고, 제품의사용유형에따라다시 23개유형으로세분화하고있다. - 9 -

EU는바이오사이드지침서 (Directive 98/8/EC) 에따라바이오사이드, 비농업용농약등의허가가필요하며지침을법령으로전환한제안서 COM(2009)267 을채택하여 2013년 9월부터신규개정법력을도입하고있다. 바이오사이드의규제는제품단위로이루어지며, 개별물질 ( 유효성분 ) 의규제는물질규제법령에따른다. 관련지침에의하면바이오사이드제품을만들수있는 유효성분 과 비유효성분 목록을작성하고, 여기에포함된유효성분으로제품을제조하는경우는제품허가를해당회원국에서받아사용하면되고, 포함되지않은유효성분의경우 EU 수준에서평가를받아유효성분목록에등록을한다음에제품제조에이용될수있도록하였다. EU의유효성분목록을분석하면전체물질중 15% 이상이유독물에해당되며, 취급제한유독물및다수의금지화학물질이포함되어있고이러한물질중에는상당수의농약이포함되어있다. EU의바이오사이드제품및해당제품에사용되는유효성분및제품은각각 Directive 67/548/EEC 및 Directive 88/379/EC 에따라분류및표지가되어야한다. 유효성분은 Regulation 67/548/EEC 에의거하여 Hazard symbols, 위험문구, 위해성문구, 안전문구가생산되며, 바이오사이드제품은 88-379/EEC 에의거하여 Hazard symbols, 위험문구, 위해성문구, 안전문구가생산되고포장형태가결정된다. 신규법령이도입되는 2013년 9월부터바이오사이드제품의분류및표시는 Directive 1999/45/EC 또는 Regulation 1272/2008/EC 에의해분류및표시가이루어지며바이오사이드제품의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 ) 는 Regulation 1907/2008/EC 에의해작성되어야하는것으로알려져있다. OECD의분류체계는유럽연합과는차이가있는데바이오사이드를사용범주에따라소독제 / 살균제, 방부제 / 보존제, 방오제, 목재방부제 / 건축물처리제, 폐기물매립과노천광에사용되는미생물바이오사이드제품, 비식성수질용바이오사이드제품, 척추및무척추유해생물방제제등총 7개군으로분류하고있으며, 다시이분류군을세분화하여 29개의제품유형으로구분한다. 2008년 OECD는 "Technical Notes for Guidance on Data Requirements for Active Substances and Biocidal Products" 에서대다수의바이오사이드 AI (private/health area disinfectants, drinking water disinfectants, in-can/wood preservatives, veterinary hygiene 바이오사이드s 등의경우 ) 에대한 data 수집시수서생물을이용한생태독성시험법을추천하고있다. HERA (Human &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는 household cleaning product AI를두가지의시나리오즉, "use in the household", "disposal to the environment" 의관점에서그유해성을평가하는매뉴얼을발표하였다. < 표 1.2.1> 다른국가들의바이오사이드대상제품의관리현황 국가대상제품법령 미국 농경지 / 농사장비, 식품취급 / 저장시설부지및장비 거주지및공공장소, 병원부지및장비, 식수공급시설 물질방부제 ( 산업공정및중간물질 ) 상업, 교육기관, 공장부지및장비, 수영장 Federal Insecticide Fungicide and Rodenticide Act/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FIFRA FIFRA/CWA FIFRA/QAPCA FIFRA/FFDCA - 10 -

스위스 뉴질랜드 캐나다 공장공정및용수시스템 부착방지제 목재방부재 살균제 부착방지재, 목재방부재 기타바이오사이드 살균제 / 위생제, 방부제 / 살미생물 부착방지제, 목재방부재 매립장및노천광산용살미생물제 식품목적이외의물이용 척추및무척추유해동물제어 살균제 / 위생제 먹는물소독제 방부제 / 살미생제, 부착방지제, 목재방부제및구조물처리제, 매립지및노천광상살미생물제, 식품목적이외의물이용, 척추및무척추유해동물제어 나. EU 등해외에서의위해성평가를위한연구사례 Ordinance on disinfection and pest control Federal law on trade in toxic substance Ordinance relating to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Federal law on trade in toxic substances Federal law on trade in toxic substances Toxic substances act Pesticide act Toxic Toxic substance act Pesticide act, medicine act, animal remeids act Food & Drug act Drinking water materials safety act Pest control product act 영국과프랑스에서는선박용방오제, 독일등북유럽국가에서는목재방부제에피해가확인되는등인체건강이나환경에심각한영향을미친다는사례가보고됨으로써, 부작용에대한시선이늘어나고있는실정이라, 유럽연합 (EU) 에서는 1998년 5월 14일 Biocidal Products Directive (BPD) 를공표하고, 바이오사이드의속성을지닌다양한물질들의위해성평가및체계적인관리를위해노력하고있다. 세부사항으로는위해성이높은바이오사이드의물질사용을제한하고, EU 국가간의규제기준을통일시키며, 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 (AI) 을목록화하여보다체계적인위해성관리를위해노력하고있는실정이다. 미국, 일본등선진국의흡입독성시험기관의경우, 직업성건강장해를일으키는원인물질의규명및유통되는화학물질에대한국내외적협조체계를갖추어흡입독성시험센터를운영하고있다. 화학물질흡입시흡수, 분포, 대사, 배출에관련된연구, 기전연구등과같은다양한연구가활발하게수행되고있다. 이러한선진기관의활발한흡입독성시험수행은유해물질의흡입으로인해발생될수있는질병에대한예방법및치료법을연구하는데기여하고있다. 2006년미국버클리캘리포니아대의대존밤스박사연구팀은 실내방향제에오랫동안노출되면호흡기질환에걸릴위험이높아진다. 는연구결과를발표하였다. 파라디클로로벤 - 11 -

젠이라는물질은방향제에포함된물질로공기와접촉하면휘발성유기화학물을만들어내는데여기에자주노출되면호흡기질환에걸리거나폐가손상될가능성이높음을보고하였다. 영국여성 1만4천명의임산부를대상으로실시한연구에서방향제를자주사용한여성이그렇지않은여성에비해두통이나메스꺼움에시달릴확률이 25%, 산후우울증에걸릴확률이 19% 더높은것으로밝혀졌다. 스페인바르셀로나시립의학연구소잔폴조크박사팀은스프레이형방향제를일주일에한번만사용해도천식발병위험이 50% 높아진다는연구결과를미국호흡기과응급치료의학지에 2007년에발표하였다. 제 3 절연구개발의내용및범위 1. 연구개발의최종목표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개발하여기존의바이오사이드를재평가할수있는기반을마련하고, 신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나제품에대한위해성심사 / 평가체계를제안하여정책적활용을가능하도록한다. 또한,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의실제환경인공기중에어로졸형태의흡입노출을고려하고, 기도, 폐포등의호흡기관에바이오사이드에어로졸이직접적으로영향을미치는실제환경을고려하여, 유효성분 (AI) 의유해성확인을위한 In vivo 흡입독성시험법기법을개발, 확립한다. 이런연구결과들을바이오사이드 AI 관련위해성평가와효율적인정책결정의 tool로활용할수있도록한다. 가.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1) EU를비롯한각국의규제동향분석 (2) 국내현황분석및사용실태조사 (3) 국내실정에맞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나제품에대한위해성평가 / 심사체계제안나.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1) 바이오사이드제품에사용되고있는유효성분 (AI) 의데이터베이스구축 ( 국내사용실태에근거한해당물질목록작성, 인벤토리정보, 공급망정보, 인체독성, 환경독성, 환경거동, 노출시나리오등 ) (2) 우선순위목록작성 ( 국제적우선순위산정방식적용 ) (3) Data gap 분석과 base-set 중심의독성자료생산 ( 예측프로그램활용 ) 다.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2 종의실제노출상황을고려한흡입독성평가 - 12 -

(1) 실제노출을고려한실내환경노출농도평가 (2) RH 100% 인극한상황에서의노출농도평가 (3) 흡입독성평가를위한바이오사이드 aerosol 의발생방법개발 (4) 흡입독성평가를위한바이오사이드 aerosol 의크기, 모양등의물리적특성분석법개발확립 (5) 바이오사이드에어로졸의단회흡입독성평가 (6) 바이오사이드에어로졸의반복흡입독성평가라. 세부 1 과제 - 바이오사이드의물성과제품의종류, 사용자의제품이용특성이고려된 case study 및인체노출시나리오에따라노출평가방법을제시한지침 ( 안 ) 을작성 - 바이오사이드성분 315종에대한스크리닝노출평가및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제시 - 실내챔버를이용하여 PHMG, PGH 등의물질에대한노출재현실험및단계별흡입노출평가지침및노출평가모델을개발 -제품사용자의이용행태조사결과를바탕으로노출계수인벤토리구축 - 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 : ConsExpo_spray model, 질량수지모델을활용하여단계별노출평가및검증 - 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제시 : 가습기살균제의노출시나리오에따른노출재현실험및스프레이와방향탈취제의단계별흡입노출모형제시마. 세부 2 과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AI) 에대한실내공기를포함한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을표준화하였다. - 바이오사이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 : 유효성분물성과제형에따른유효성분측정법을개발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 : 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물리화학적특성평가자료를생산, 인체노출경로를고려한실내공기등환경매질에서의샘플링기법을개발 -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측정분석기술개발 : 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고분자의물리화학적특성평가및 PHMG, PGH, DDAC 등폴리머측정분석기술개발 - 실내공기중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실시간측정분석장치개발 : 이오사이드측정분석용포집장치및실시간분석장치및간이분석법개발 - 13 -

2. 연도별연구개발목표및평가방법 연도별연구개발목표및평가방법은 < 표 1.3.1> 과같다. < 표 1.3.1> 연도별연구개발목표및평가방법 구분연구개발의목표연구개발의내용평가의착안점및기준 1 차년도 2 차년도 총괄 1세부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 1. EU를비롯한각국의규제동향분석 2. 국내현황분석및사용실태조사규제동향분석자료 3. 국제적위해도우선순위산정방식검토및적용 1. 바이오사이드특성및배출데이터베이스구축 -데이터베이스특성및배출데이 2. 바이오사이드특성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터베이스목록 3.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구축 -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목록 4. 국제적위해도우선순위산정방식을적용한우선순위목록작성 1. 바이오사이드 A에대한 - 실제노출을고려한실내환경노출농도평가 - RH 100% 인극한상황에서의노출농도평가흡입독성시험을위한바이오사이드특성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발생법개발에따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물리적특성른물리화학적평가수행 (1 종 ) 분석법개발확립 ( 크기, 모양, 표면전하등 ) - 단회흡입독성평가 1.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가능제품선정 2. 국내제품대상인체노출시나리오분석 3.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이용행태조사 (1) 4. 국외바이오사이드제품모출평가방법조사 5. 국외노출평가방법을이용한 case study 수행 고분자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 (PHMG, PGH 등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물성과제형에따른유효성분측정법개발 바이오사이드실내공기중유효성분포집 / 측정기술개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바이오사이드중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고분자의물리화다빈도 / 량사용학적특성평가고분자화합물측정분석술개발 주관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가능제품선정의타당성 국외바이오사이드관련노출평가방법조사방법의타당성 고분자물질의특성이반영된흡입노출평가수행여부 (PHMG, PGH) 2 종이상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제품성상에따른분석법확립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실내공기에서의샘플링 / 분석기법관련논문투고 고분자제형바이오사이드의물리화학적특성측정목록화 1. EU의바이오사이드유해성심사 / 평가체 EU의바이오사이드유해성심사 / 평계분석가체 2. 바이오사이드스크리닝위해성평가에의계분석자료 - 14 -

1세부 3 차년도주관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한우선관리대상물질선별 1. 바이오사이드특성및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확대구축 2. 바이오사이드자료관리및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시스템구축 3. Data gap 분석과이에따른독성자료생산 - 바이오사이드특성및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목록 - 인벤토리 DB 표준화여부 - 인벤토리메타데이터관리기능여부 - 자료오류검출기능여부 -Data gap 분석자료 1. 바이오사이드 A에대한 - 반복흡입독성평가 - 폐내독성기전평가 -국내외시험가이드라인을충족시키는 2. 바이오사이드 B에대한흡입독성시험 (1 종완료 ) - 실제노출을고려한노출농도평가 -흡입독성시험을위한바이오사이드특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발생법성에따른물리화학적평가수행 (1 종 ) 개발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물리적특성분석법개발확립 ( 크기, 모양등 ) 1. 제품유형및제형, 바이오사이드물성에따른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 -제품유형및제형, 바이오사이설서개발드물성에따른인체노출평가 2.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이용행태조사지침 ( 안 ) 및해설서의적합성 (II)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이용 3. 국내제품현황에따른노출평가 case 행태조사방법의타당성 study -국내제품현황에따른노출평 4. 315 종바이오사이드성분스크리닝노가 case study 방법의적절성출평가수행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 (DDAC 고분자화합물에등 ) 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측정분석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위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경로를고려한다매체에서의샘플링기법개발 PHMG, PGH, DDAC 등폴리머의측정분석을위한최신기법개발 고분자물질의특성이반영된흡입노출평가수행여부 (DDAC) 생활용품군 5 개군이상에서의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측정 / 분석법확립여부 인체노출량평가를위한바이오사이드의수동샘플링기법확립관련논문투고 고분자계열바이오사이드의새로운측정분석법확립여부 실내공기중바이오분광학적기술을이용한실시간유효성분측정분실시간측정을위한분광학적기사이드유효성분실시간석법개발여측정분석법개발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 1. 국내실정에맞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위해성심사 / 평가체계제안 2. 도출된우선관리대상바이오사이드물질의관리방안제안 1.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완성, 평가 국내실정에적합한바이오사이드위해성심사 / 평가체계 - 국내바이오사이드배출정보 - 국내바이오사이드노출및위해 - 15 -

1세부 운영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정보확립및정책적활용방안제안 -Data gap 분석자료 1. IPBC 에대한 - 단회흡입독성평가 - 반복흡입독성평가 - 폐내독성학적기전평가 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수정및보완노출계수인벤토리구축바이오사이드제품인체노출평가체계구축 흡입노출평가모델및단계별흡입노출평가지침 ( 안 ) 개발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위한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 국내외시험가이드라인을충족시키는흡입독성시험 (1 종완료 ) - 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수정및보완결과의적합성 - 노출계수인벤토리구축의활용성 - 바이오사이드제품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결과활용성 단계별흡입노출평가방법의적절성모든흡입노출가능경로평가가능성 국내유통량상위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제품군별유효성분추출 / 분석법확립여부 바이오사이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시료의채취, 보관, 유효성분의분석에대한 SOP 작성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3종이상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분광법등을이용한실내공기중유효성분에대한분석법 SOP작성여부및분석법개발측정법표준화 바이오사이드측정분석장치개발 실내공기중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실시간측정분석장치개발 3. 연도별추진체계 가. 연차별추진체계 (1) 주관연구기관 바이오사이드측정분석용포집장치및분석장치개발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간이분석법개발및검증 분광법을활용한간이분석법의측정표준화여부 바이오사이드포집을위한샘플링장치개발여부 - 16 -

1 차년도 2 차년도 3 차년도 < 그림 1.3.1> 주관연구기관연도별추진체계 (2) 세부 1 과제 < 그림 1.3.2> 세부 1 과제의연도별연구개발체계 (3) 세부 2 과제 - 17 -

< 그림 1.3.3> 세부 2 과제의연도별연구개발체계 - 18 -

공백 - 19 -

제 2 장연구개발수행내용및결과 - 20 -

공백 - 21 -

제 2 장연구개발수행내용및결과 제 1 절연구개발결과및토의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가. 국제적규제동향 2000년이후지속가능하고환경친화적제품의전과정관리로의환경규제패러다임변화와더불어 EU를시작으로전세계적으로환경규제가강화되고확산되고있다. 환경관련법률제개정건수는매년증가 ( 약 10~15%) 하고있으며 EU를시작으로점차미국, 일본, 중국등전세계적으로확산되고있는실정이다. 또한, 최근국제적으로대두되고있는환경규제는그특성및다양성을고려하여온실가스배출규제, 에너지효율규제, 유해물질규제등으로나눌수있다. 대표적인유해물질규제로는 EU의신화학물질관리제도 (REACH), 미국의전기 전자제품의유해물질함유금지지침 (RoHS), 폐자동차재활용및자동차유해물질함유금지지침 (ELV) 등을예로들수있다. (1) EU 의바이오사이드정책 EU에서는 1980년대까지각회원국에서자국법으로바이오사이드를규제하고있었고, 각회원국마다규제하는품목과자료의요구사항이달라서바이오사이드의규제정책은매우복잡하였다. 바이오사이드의다양한위해성을효과적으로관리하기위하여 1990년대부터새로운지침을마련하기위한준비를시작하여약 10년간의준비를거쳐 1998년바이오사이드 - 22 -

관리지침 (BPD(Biocidal Products Directive (Directive 98/8/EC)) 을공표하였다. 그러나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을시행함으로써많은비용이발생하고, 신규제품의출시가지연되는등여러가지문제가제기되어이러한문제점을보완하고바이오사이드의관리범위를확장하는반면, 허가절차는간소화한바이오사이드관리법 (BPR (Biocidal Products Regulation, (EU) 528/2012) 이제정되었다. ( 가 ) 바이오사이드 관리지침 (BPD(Biocidal Products Directive 98/8/EC)) - 바이오사이드는화학물질이나미생물로서화학적또는생물학적인방법을유해한생물을억제, 무해하도록변경또는제어하는효과를발휘하는물질로정의한다. 비농업용농약으로원하지않는생물체를제거하거나제어하기위한모든제조물이이에해당된다. - EU는유럽시장내에서사용되는바이오사이드에대한효율적이고균형있는관리를위하여관련지침을 1998년 4월 24일에공표하고, 2000년 5월 14일부터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을시행하였다. - 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 (BPD) 의제정목적은다음과같다. 첫째, 인간의건강과환경에미치는바이오사이드의다양한위해성을효과적으로관리하기위한것으로, EU 시장에서사용되는바이오사이드물질중위해성이높은물질의사용을제한하고, 이를통해현재사용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의종류와양을저감하고자하였다. 둘째, EU 국가간의규제기준을통일하기위한것으로, 각회원국간의바이오사이드제품의신고및허가절차와물질의규제기준등을통일하여회원국내무역장벽을없애고자하였다. 셋째, 바이오사이드제품에사용되고있는유효성분성분을목록화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해바이오사이드를생산또는사용하는산업체는위원회에유효성분을신고또는통보하여야하였다. - 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 (BPD) 은전문 36조항과 6개의부속조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주요내용은유럽권역내바이오사이드시장유통허가를위한유효성분및제품의관리에관한것이다.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이원화된절차 ( 유효성분은유럽연합수준에서평가하며, 바이오사이드제품은회원국수준에서허가함 ) 를갖으며유효성분은포지티브목록인최종 Annex I에등재하여이목록으로구성된바이오사이드제품만을시장에유통하게하는것이다. 그외의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해서는시장에서소멸화하며, 신고기간을통해유럽내약 1,300여종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검토하고있다. - BPD의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는 < 표 2.1.1> 과같다. 4개의주그룹과총 23개의제품용도 (Product Type(PT)) 로분류하였다. 주그룹은살균소독제, 방부제 / 보존제, 해충방제, 기타바이오사이드의 4개의제품으로나뉜다. - 23 -

< 표 2.1.1> EU 의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의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 주그룹제품용도 (Product Type) 주그룹제품용도 (Product Type) 살균소독제 1. 인체위생용 2. 개인 / 공중보건구역소독및기타살생제 6. 캔방부제 7. 필름방부제 8. 목재방부재 9. 섬유, 가죽, 고무, 고분자물질 3. 가축위생살생제 방부제 / 보존제 방부제 10. 석조물보존제 4. 식품 / 사료취급시설 11. 액체냉각및가공제보존제소독제 12. 슬라임방지제 5. 음용수살균소독제 13. 금속세공액방부제 해충방제 14. 살서제 15. 살조제 16. 연체동물살생제 17. 살어제 18. 살충제, 살응애제및절족동물방제를위한제품 19. 기피제, 유인제 기타바이오사이드제품 20. 식품및사료용보존제 21. 방오제 22. 시체방부및박제용방부제 23. 기타척추동물살생제 BPD 지침에서바이오사이드의평가를위하여요구하는유효성분및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핵심요구자료는 < 표 2> 과같다. < 표 2.1.2> 유효성분및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핵심요구자료 (CDS: core data set) 활성물질 1. 신청자 1.1 이름과주소등 1.2 유효성분생산자 ( 이름, 주소, 공장위치 ) 2. 유효성분의특성 2.1 일반명과동의어 2.2 화학물질명 (IUPAC 명명 ) 2.3 생산자의개발코드번호 2.4 CAS 번호및 EC 번호 2.5 분자및구조식 ( 이성체의세부사항포함 ), 분자량 2.6 유효성분의생산방법 ( 간략한합성방법 ) 2.7 유효성분의순도설명서 2.8 불순물과첨가물, 구조식과가능한표시범위 (g/kg 또는 g/l) 2.9 유효성분의원천또는전구물질 2.10 노출자료 3. 유효성분의물리적, 화학적특성 3.1 녹는점, 끓는점, 상대적밀도 바이오사이드제품 1. 신청자 1.1 이름과주소둥 1.2 바이오사이드제품과유효성분의공식표시 2. 바이오사이드제품의특성 2.1 상표명또는제안된상표명, 생산자의개발코드번호 2.2 바이오사이드제품의구성에대한상세한정성적및정량적자료 2.3 바이오사이드제품의물리적상태와특성 3. 물리적, 화학적, 기술적특성 3.1 겉보기 ( 물리적상태, 색 ) - 24 -

3.2 증기압 3.3 외형 ( 물리적상태, 색 ) 3.4 흡수스펙트럼 (UV/VIS, IR, NMR) 과질량스펙트럼, 적절한파장에서질량흡광 3.5 ph 와온도의영향을포함한수용성 3.6 ph 와온도의영향을포함한 n- 옥탄올 / 물분리계수 3.7 열적안정성, 관련된분해산물의확인 3.8 인화성과산화산물확인 3.9 인화점 3.10 표면장력 3.11 폭발특성 3.12 산화특성 3.13 포장물질과의반응성 4. 검출및확인을위한분석방법 4.1 순수유효성분의측정, 관련된분해산물, 이성체, 유효성분의불순물, 첨가제등의분석방법 4.2 다음과관련된회복속도, 유효성분측정의한계 (a) 토양 (b) 공기 (c) 물 (d) 동물및인체체액과조직 5. 목표생물과사용목적에대한효율성 5.1 기능 ( 예, 살진균제, 살서제, 살충제, 살균제 ) 5.2 제어되는유기체의제품, 보호되어야할유기체또는대상 5.3 목표유기체에대한영향과유효성분이사용되는농도 5.4 작용방법 5.5 사용분야 5.6 사용자 : 산업체, 전문가, 일반인 ( 비전문가 ) 5.7 저항성발달의발생및발생가능성과적절한관리방법 5.8 연간시장에차지하는양 6. 독성과대사작용조사 6.1.1 구강 6.1.2 피부 6.1.3 호흡 6.1.4 피부및눈자극 6.1.5 피부민감도 6.2 포유동물의대사작용연구, 피부흡수조사를포함한기초독성역학 3.2 폭발특성 3.3 산화특성 3.4 인화점과기타인화성또는자발적발화징후 3.5 산도 / 알카리도와 ph 3.6 상대밀도 3.7 저장안정성 - 안정성과반감기. 바이오사이드제품의기술적특성에대한빛, 온도, 습도의영향 ; 용기물질과의반응성 3.8 바이오사이드제품의기술적특성, 예를들어침윤성, 영구적인 foaming, flowability, pourability, dustability 3.9 다른바이오사이드제품을포함한다른제품과의물리적, 화학적적합성 4. 확인및분석방법 4.1 바이오사이드제품내유효성분의농도결정을위한분석방법 4.2 유효성분에서제시되지않은바이오사이드제품과잔류물의독성학적, 생태독성학적으로관련된구성성분의결정에대한회수율및제한을포함한분석방법 (a) 토양 (b) 공기 (c) 물 ( 음용수포함 ) (d) 동물및인체체액과조직 (e) 가공식품또는사료 5. 사용목적과효율성 5.1 제품용도와사용분야 5.2 사용되는시스템의설명을포함한적용방법 5.3 적용율, 시스템내의바이오사이드제품과유효성분의최종농도 5.4 적용수와시기, 지형적다양성, 기후변화, 인간과동물을보호하기위하여필요한대기시간 5.5 기능 ( 예, 살진균제, 살서제, 살충제, 살균제 ) 5.6 제어되는해충과보호되어야할제품, 유기체 5.7 목표유기체에대한영향 5.8 유효성분에서제시되지않은작용방법 5.9 사용자 : 산업체, 전문가, 일반인 ( 비전문가 ) 5.10 사용되는유용한기준조약, 실험실적시험또는현장시험을포함하여, 제품과효율성자료에대하여제안된라벨요구 5.11 저항성을포함하여효율성에대한요구 6. 독성조사 6.1 급성독성 6.1.1 구강 6.1.2 피부 6.1.3 호흡 6.1.4 다른바이오사이드제품과함께사용되도록허가를받기위한바이오사이드제품은제품혼합물에대하여급성피부독성과피부및눈자 - 25 -

6.3 단기반복투여독성 (28일) 6.4 만성독성 90일조사, 설치류와설치류이외의두종 6.5 만성독성 6.6 돌연변이유발성조사 6.7 발암성조사 6.8 생식독성 6.9 익명형식의의학자료 7. 생태독성조사 7.1 어류에대한급성독성 7.2 Daphnia magna에대한급성독성 7.3 조류에대한증식저해실험 7.4 미생물의활동에대한저해 7.5 생체축적 7.6 분해 7.7 흡착 / 탈착스크리닝시험 7.8 생태독성영향과환경에서의동태및작용에대한요약 8. 인간, 동물및환경을보호하기위하여필요한방법 8.1 취급, 사용, 저장, 이송또는화재와관련되어권고하는방법및예방 8.2 화재시제품반응의특성과연소가스등 8.3 사고시응급처치방법 8.4 노출로인한파괴가능성또는정화 (a) 공기 (b) 음용수를포함한물 (c) 토양 8.5 산업또는전문적사용자들에대한유효성분의폐기물관리공정 8.5.1 재사용또는재활용가능성 8.5.2 영향의중화가능성 8.5.3 매립침출수질을포함한배출조건 8.5.4 제어되는소각조건 8.5.5 바람직하지않거나의도하지않은부작용에대한조사, 예를들어유용하거나목표가아닌유기체 극을실험해야한다. 6.2 피부와눈자극 6.3 피부민감성 6.4 피부흡수에대한자료 6.5 독성학적으로관련된비유효성분에대한유효한독성자료 6.6 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간과운영자노출에대한자료 7. 생태독성조사 7.1 사용에근거하여환경에유입되는경로 7.2 제품내유효성분의생태독성에대한자료 7.3 독성학적으로관련이있는비유효성분의유용한생태독성자료 8. 인간, 동물, 환경을보호하기위하여채택된방법 8.1 취급, 사용, 저장, 운송또는화재와관련되어권고한방법과예방책 8.2 사고시처리, 즉응급처치방법, 해독, 의학적처리방법 ; 환경보호를위한비상대책 8.3 장비세척과정 8.4 화재시관련된연소제품의확인 8.5 바이오사이드제품의폐기물관리방법과산업체, 전문가, 일반인에대한포장방법, 예를들어재사용또는재활용가능성, 중화, 제어되는배출상태등 8.6 다음으로의배출과관련된파괴또는정화가능성 (a) 공기 (b) 음용수를포함한물 (c) 토양 8.7 바람직하지않거나의도하지않은부작용에대한조사, 예를들어이롭거나목표이외의생물 8.8 방충또는독성제어방법설명 9. 분류및라벨링유효성분의분류및라벨링제안서에대하여는 Directive 67/548/EEC 에수록되어있다. - 위해성표시 - 위험표시 - 위해성문구 - 안전문구 - 26 - 포장과라벨링에대한제안안전자료에대한제안 Article 20 의원칙에따른분류와라벨링에대한사유 - 위해성표시 - 위험표시 - 위해성문구 - 안전문구 - 포장 ( 형태, 물질, 크기등 ), 제안된포장물질과의적합성 10. 개요와평가 ( 나 ) 바이오사이드관리법 (BPR(Biocidal Product Regulation (EU) No 528/2012))

- 바이오사이드관리법 (BPR) 은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용과시장에서의이용가능성에대한규정으로, 2012년 5월 22일에채택되어 2012년 6월 27일에공표되었고, 2013년 9월 1 일자로 EU 전역에적용되었다. - BPR 규정의목적은바이오사이드의내부시장기능을활성화시키고환경을비롯하여인체건강을높은수준으로보장하며바이오사이드관리지침의시행과함께발견된취약점을보완하는데있다. - 바이오사이드관리법의주요내용은다음과같다. 모든바이오사이드는시장에출시되기전에허가를받아야하며, 이바이오사이드에포함된유효성분은사전에승인되어야한다. 이원칙에예외되는것은 review program이진행중인유효성분이해당되며, 평가중인유효성분이포함된바이오사이드는승인을받을때까지시장에유통될수있고 3년동안유예기간을둔다. 바이오사이드관리범위를확대하였다. 바이오사이드처리제품, 현장생성바이오사이드, 식품접촉물질등 BPD에서다루지않은바이오사이드의관리범위를확대하였다. 바이오사이드, 바이오사이드품, 바이오사이드처리제품 (treated article) 에관하여신고및평가, 허가절차를갖는다. 특정바이오사이드제품들을연합국가수준에서승인 ( 유효성분은적절한용도에서만사용가능하며제품내유효성분이여러종류인경우모든유효성분이 Annex I에등재되어야함 ) 하고, 상호인식분쟁해결제도를강화하고의무적인마감시한도입을통하여국가승인과상호인정의기능을향상시켰다. 바이오사이드품의간소화된허가절차 : 환경이나인체에크게해가없는바이오사이드품의경우, 한회원국에서허가되면조건에따라모든회원국에서출시할수있다. 고유해성유효성분에대한금지조항 : 발암성 변이성 생식독성물질 (CMR) 로분류되는물질, 내분비계교란물질로고려되는물질, PBT/vPvB 물질의사용을금지한다. 나노물질규정및라벨신설 : 나노물질의정의및구분, 허가단계에서의평가요구, 단순허가절차제외, 나노물질이포함되었다는표지요구등의조항이추가되었다. 또한척추동물연구에있어의무적자료공유를통하여불필요한동물실험횟수를감소시키고, 자료면제에대한규칙을강화하였다 ( 필요하지않는자료는요청하지않음 ). 모든회원국에서요금설정조건및기준을일치시킬수있는조화된구조를정립한다. 유럽화학물질청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은바이오사이드제품의과학적평가에관여한다. BPD 제품유형중제품유형 20에해당하는 ' 식품또는사료방부제 ' 가삭제되어 BPR에서는바이오사이드품을 4개의주그룹과, 22개의제품용도로분류하고있다. - 27 -

BPR의부속서는 7개의부속서로구성되어있으며그주요내용은다음과같다. 부속서 I: 유효성분목록부속서 II: 유효성분에대한요구자료부속서 III: 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요구자료부속서 IV: 요구자료의적용에대한일반적인규칙부속서 V: 바이오사이드제품용도와종류부속서 VI: 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제출서류평가의공통된원칙부속서 VII: 상관관계표 < 표 2.1.3> 부속서 I 에포함된유효성분명, EC 번호및 CAS 번호, 제품용도 No Active Substances EC No. CAS No. Product-Type 1 Abamectin n/a 71751-41-2 18 2 Acrolein 203-453-4 107-02-8 12 3 alphachloralose 240-016-7 15879-93-3 14 4 Alumin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244-088-0 20859-73-8 14 5 Alumin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244-088-0 20859-73-8 18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6 israelensis Serotype H14, Strain n/a n/a 18 AM65-52 7 Basic Copper carbonate 235-113-6 12069-69-1 8 8 Bendiocarb 245-216-8 22781-23-3 18 9 Bifenthrin n/a 82657-04-3 8 10 Boric acid 233-139-2 10043-35-3 8 11 Boric oxide 215-125-8 1303-86-2 8 12 Brodifacoum 259-980-5 56073-10-0 14 13 Bromadiolone 249-205-9 28772-56-7 14 14 Carbon dioxide 204-696-9 124-38-9 14 15 Carbon dioxide 204-696-9 124-38-9 18 16 Chlorophacinone 223-003-0 3691-35-8 14 17 Clothianidin 433-460-1 210880-92-5 8 18 Copper (II) hydroxide 243-815-9 26427-59-2 8 19 Copper (II) oxide 215-269-1 1317-38-0 8 20 Coumatetralyl 227-424-0 5836-29-3 14 21 Creosote 232-287-5 8001-58-9 8 22 DDACarbonate 451-900-9 894406-76-9 8 23 Dazomet 208-574-7 533-74-4 8 24 DCOIT (4,5-Dichloro2 octyl-2hisothiazol-3- one) 264-843-8 64359-81-5 8 25 DEET 205-149-7 134-62-3 19 26 Deltamethrin 258-256-6 52918-63-5 18-28 -

27 Dichlofluanid 214-118-7 1085-98-9 8 28 Difenacoum 259-978-4 56073-07-5 14 29 Difethialone n/a 104653-34-1 14 30 Disodium octaborate tetrahydrate 234-541-0 12280-03-4 8 31 Disodium tetraborate 215-540-4 1330-43-4 8 32 Etofenprox 407-980-2 80844-07-1 8 33 Fenoxycarb 276-696-7 72490-01-8 8 34 Fenpropimorph 266-719-9 67564-91-4 8 35 Fipronil 424-610-5 120068-37-3 18 36 Flocoumafen 421-960-0 90035-08-8 14 37 Flufenoxuron 417-680-3 101463-69-8 8 38 Hydrochloric acid 231-595-7 n/a 2 39 Imidacloprid 428-040-8 138261-41-3 18 40 Indoxacarb n/a 173584-44-6 18 41 IPBC 259-627-5 55406-53-6 8 42 K-HDO n/a 66603-10-9 8 43 Lambda-cyhalothrin 415-130-7 91465-08-6 18 44 Magnes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235-023-7 12057-74-8 18 45 Margosa extract 283-644-7 84696-25-3 18 46 Methyl nonyl ketone 203-937-5 112-12-9 19 47 Metofluthrin n/a 240494-70-6 18 48 Nitrogen 231-783-9 7727-37-9 18 49 Nonanoic acid 203-931-2 112-05-0 19 50 Propiconazole 262-104-4 60207-90-1 8 51 Spinosad 434-300-1 168316-95-8 18 52 Sulfuryl fluoride 220-281-5 2699-79-8 8 53 Sulfuryl fluoride 220-281-5 2699-79-8 18 54 Tebuconazole 403-640-2 107534-96-3 8 55 Thiabendazole 205-725-8 148-79-8 8 56 Thiacloprid n/a 111988-49-9 8 57 Thiamethoxam 428-650-4 153719-23-4 8 58 Tolylfluanid 211-986-9 731-27-1 8 59 Warfarin 201-377-6 81-81-2 14 60 Warfarin sodium 204-929-4 129-06-6 14 61 (Z,E)-tetradeca-9,12-dienyl acetate n/a 30507-70-1 19 < 표2.1.4> 부속서 IA에포함된유효성분명, EC 번호및 CAS 번호, 제품용도 Active substance EC number CAS number Product -type Carbon dioxide 204-696-9 124-38-9 14 (Z,E)-tetradeca-9,12-dienyl acetate n/a 30507-70-1 19-29 -

바이오사이드의허가와승인을위하여제출해야할자료는 < 표 2.1.5> 와같다. < 표 2.1.5> 유효성분및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핵심요구자료 (CDS:core data set) 및추가요구자료 (ADS: additional data set) 활성물질 1. 신청자 1.1 이름과주소 1.2 Contact person 1.3 유효성분생산자 ( 이름, 주소, 공장위치 ) 2. 유효성분의특성 2.1 일반명과동의어 2.2 화학물질명 (IUPAC, CA 명명또는국제적화학명 ) 2.3 생산자의개발코드번호 2.4 CAS 번호및 EC, INDEX, CIPAC 번호 2.5 분자및구조식 (SMILES 표기포함 ) 2.6 이성체에대한광학활성에대한정보와세부사항 2.7 몰질량 2.8 유효성분의생산방법 ( 합성방법 ) 2.9 유효성분의순도설명서 2.10 불순물과첨가물의특성 2.11 분석프로파일 2.12 유효성분의원천또는전구물질 3. 유효성분의물리적, 화학적특성 3.1 외형 ( 물리적상태, 색, 냄새 ) 3.2 녹는점 / 어는점 3.3 산도, 알카리도 3.4 끓는점 3.5 상대적밀도 3.6 흡수스펙트럼 (UV/VIS, IR, NMR) 과질량스펙트럼, 적절한파장에서질량흡광 3.7 증기압 3.8 표면장력 3.9 용해도 3.10 n-옥탄올 / 물분배계수와 ph 의존성 3.11 열적안전성, 관려된분해산물의확인 3.12 용기물질에관한반응성 3.13 해리상수 3.14 미립자측정법 3.15 점성 3.16 유기용매에대한용해성 3.17 바이오사이드제품에사용된유기용매에대한안전성과관련된분해산물의확인 4. 물리적위해와각각의특징 4.1 폭발성 4.2 인화성가스 4.3 인화성에어로졸 4.4 산화성가스 4.5 가압기체 바이오사이드제품 1. 신청자 1.1 이름과주소등 1.2 중개자 1.3 바이오사이드제품과유효성분생산자 ( 이름, 주소, 공장위치 ) 2. 바이오사이드제품의특성 2.1 상표명또는제안된상표명 2.2 생산자의개발코드번호와제품번호 2.3 바이오사이드의구성에대한상세한정성적및정량적자료 2.4 바이오사이드의 formulation type 과원천 3. 물리적, 화학적, 기술적특징 3.1 외형 ( 물리적상태, 색, 냄새 ) 3.2 산도 / 알카리도 3.3 상대적밀도와부피, 탭밀도 3.4 저장안정성, 안전성과유통기한 3.5 바이오사이드제품의기술적특성 3.6 다른바이오사이드제품를포함한다른제품과의물리적, 화학적적합성 3.7 분해정도와용해안정성 3.8 표면장력 3.9 점도 4. 물리적위해와각각의특징 4.1 폭발성 4.2 인화성가스 4.3 인화성에어로졸 4.4 산화성가스 - 30 -

4.6 인화성액체 4.7 인화성고체 4.8 자가반응물질과혼합물 4.9 발화성액체 4.10 발화성고체 4.11 자가가열물질과혼합물 4.12 물과접촉하여인화성가스를발생시키는물질과혼합물 4.13 산화성액체 4.14 산화성고체 4.15 Organic peroxides 4.16 부식성물질 4.17 위해에대한부가적물리지표들 5. 검출과확인방법 5.1 순수유효성분의측정, 관련된분해산물, 이성체, 유효성분의분술물, 첨가제등의분석방법 5.2 다음과관련된회복속도, 유효성분측정의한계 2-1) 토양 2-2) 공기 2-3) 물 2-4) 동물및인체체액과조직 5.3 모니터링목적에대한분석적방법 6. 목표유기체에대한유효성 6.1 기능 ( 예, 살진균제, 살서제, 살충제, 살균제 ) 6.2 제어되는유기체에대한영향과유효성분이사용되는농도 6.3 목표유기체에대한영향 6.4 유효성분이제품으로사용되는농도 6.5 작용방식 6.6 바이오사이드제품에대한유효성데이터 6.7 유효성에대해알려진한계 7. 의도된이용과노출 7.1 사용분야 7.2 제품타입 7.3 사용패턴에의해만들어진상세한설명 7.4 사용자 : 산업체, 전문가, 일반인 ( 비전문가 ) 7.5 연간시장에차지하는양 7.6 부록 6 에따른노출데이터 4.5 가압기체 4.6 인화성액체 4.7 인화성고체 4.8 자가반응물질과혼합물 4.9 발화성액체 4.10 발화성고체 4.11 자가가열물질과혼합물 4.12 물과접촉하여인화성가스를발생시키는물질과혼합물 4.13 산화성액체 4.14 산화성고체 4.15 Organic peroxides 4.16 부식성물질 4.17 위해에대한부가적물리지표들 5. 검출과확인방법 5.1 바이오사이드제품내유효성분의농도결정을위한분석방법 5.2 유효성분에서제시되지않은바이오사이드제품과잔류물의독성학적, 생태독성학적으로관련된구성성분의결정에대한회수율및제한을포함한분석방법 2-1) 토양 2-2) 공기 2-3) 물 ( 음용수포함 ) 2-4) 동물및인체체액과조직 5.3 가공식품또는사료 6. 목표유기체에대한유효성 6.1 기능 ( 예, 살진균제, 살서제, 살충제, 살균제 ), 제어방식 ( 유인, 죽임, 억제 ) 6.2 제어되는해충과보호되어야할제품, 유기체 6.3 목표유기체에대한영향 6.4 유효성분이제품으로사용되는농도 6.5 작용방식 6.6 제품과처리된물질에대한제안된라벨요구 6.7 사용되는유용한표준프로토콜, 실험실적시험또는현장시험을포함한요구에대한유효성데이터 6.8 유효성에대해알려진한계 6.9 요약및평가 7. 의도된이용과노출 7.1 사용분야 7.2 제품타입 7.3 사용패턴에의해만들어진상세한설명 7.4 사용자 : 산업체, 전문가, 일반인 ( 비전문가 ) 7.5 연간시장에차지하는양 7.6 적용방식과방법에대한설명 7.7 적용율, 시스템내의바이오사이드제품과유효성분의최종농도 7.8 적용수와시기, 지형적다양성, 기후변화, 인간과동물을보호하기위하여필요한대기시간 7.9 사용을위해제안된지시사항 7.10 부록6에따른노출데이터 8. 대사작용을포함하는인간, 동물에대한독성프 8. 인간, 동물에대한독성프로파일 - 31 -

로파일 8.1 피부자극또는피부부식 8.2 눈자극 8.3 피부민감도 *8.4 호흡기민감도 8.5 돌연변이유발성 *8.6 In vivo 유전독성연구 8.7 급성독성 8.8 포유류의 Toxicokinetics, 대사작용연구 *8.8.1) 포유류의추가적 Toxicokinetics, 대사작용연구 8.9 반복되는독성효과 *8.9.4) 추가적반복독성효과 8.10 생식독성 *8.10.3) 태아기발달과관련된추가적독성연구 8.11 발암성 8.12 관련된건강데이터, 소견과치료법 *8.13 추가연구 : 광독성, 신경독성, 내분비장애, 면역독성, 기계론적데이터 *8.14 유효성분에대한인간의노출과관련된연구 *8.15 가축과애완동물에대한독성 *8.16 식품과사료의재료연구 *8.17 포유류독성학의요약 9. 생태독성연구 9.1 수생생물에대한독성 *9.2 육상생물독성, 초기테스트 *9.3 육상생물테스트, 장기간 *9.4 조류에대한영향 *9.5 절지동물에대한영향 *9.6 생물농축, 육상생물 *9.7 생물축적, 육상생물 *9.8 비목표, 비수서생물에대한영향 *9.9 포유류에대한영향 *9.10 내분비활성의확인 10. 생태동태와거동 10.1 물과 sediment에서의동태와거동 *10.2 토양에서의동태와거동 *10.2.1 적절한환경에서 1종의토양에대해적용되는공정의확인과대사산물및분해산물의확인을포함한분해속도및경로 *10.2.2 범위연구, 2종 *10.2.3 토양축적연구 *10.2.4 최소한 3종이상의토양의흡착또는탈착과대사산물및분해산물의흡착또는탈착 10.2.5 흡착에관한추가연구 *10.2.6 최소한 3종이상의토양의유동성과대사산물의유동성및제품분해와관련된유동성 10.2.6.1 Column leaching 연구 10.2.6.2 Lysimeter 연구 10.2.6.3 Field leaching 연구 *10.2.7 결합된잔류물의크기와특성 *10.2.8 다른토양분해연구 10.2.9 무기물질 : 토양에서의동태와거동에대한정보 10.3 공기중에서의동태와거동 8.1 피부자극또는피부부식 8.2 눈자극 8.3 피부민감도 *8.4 호흡기민감도 8.5 급성독성 8.6 피부흡수에대한정보 8.7 비활성물질또는혼합물과관련된유효한독성학적자료 *8.8 식품, 사료연구 *8.9 생산가공의영향, 자연에대한국내대응 *8.10 인간노출과관련되는다른테스트 9. 환경독성학연구 9.1 바이오사이드의생태독성과관련된자료 9.2 추가생태독성학연구 *9.3 다른특이적영향 *9.4 바이오사이드제품이 bait 또는 granules form 이라면다음과같은연구가요구된다. 9.4.1 지질조건에따른비목표생물의위해평가를위한감독시험 9.4.2 위해가있는비목표생물에의한바이오사이드제품의섭취허가에대한연구 *9.5 부수적생태학적영향 10. 생태동태와거동 10.1 환경을통한항목의예측가능경로 *10.2 환경에대한동태와거동추가연구 *10.3 침출거동 *10.4 다음과같은분해와소멸에대한테스팅 10.4.1 토양 10.4.2 물과 sediment 10.4.3 공기 - 32 -

10.3.1 공기중에서의광변환, 형질전환제품의확인 *10.3.2 공기중에서의동태와거동, 추가적연구 *10.4 환경에서의동태와거동에대한추가적연구 *10.5 잔여물의정의 *10.6 모니터링데이터 11. 인간, 동물그리고환경을보호하기위한대책 11.1 취급, 사용, 저장, 이송또는화재와관련하여권고하는방법및예방 11.2 화재시제품반응의특성과연소가스등 11.3 사고시응급처치방법 11.4 노출로인한파괴가능성또는정화 (a) 공기 (b) 음용수를포함한물 (c) 토양 11.5 산업또는전문적사용자들에대한유효성분의폐기물관리공정 11.6 재사용또는재활용가능성 11.7 영향의중화가능성 11.8 매립침출수질을포함한배출조건 11.9 제어되는소각조건 11.10 바람직하지않거나의도하지않은부작용에대한조사 12. 분류, 라벨링그리고포장 12.1 현존하는분류와라벨링상태 12.2 규정 (EC)No1272/2008의적용결과로인한물질의위해성분 12.2.1 위해성분류 12.2.2 위해성문구 12.2.3 신호단어 12.2.4 위험표시 12.2.5 예방, 반응, 저장, 처리를포함하는예방서 13. 개요와평가 13. 개요와평가 11. 인간, 동물그리고환경을보호하기위한대책 11.1 취급, 사용, 저장, 이송또는화재와관련하여권고하는방법및예방 11.2 화재시관련된연소제품의확인 11.3 사고시처리즉, 응급처치방법, 해독, 의학적처리방법 : 환경보호를위한비상대책 11.4 다음으로의배출과관련된파괴또는정화가능성 11.4.1 공기 11.4.2 음용수를포함한물 11.4.3 토양 11.5 바이오사이드제품의폐기물관리방법과산업체, 전문가, 일반인에대한포장방법, 예를들어재사용또는재활용가능성, 중화, 제어되는배출상태등 11.6 장비세척과정 11.7 방충또는독성제어방법설명 12. 분류, 라벨링그리고포장 12.1 위해성분류 12.2 위해성문구 12.3 신호단어 12.4 위험표시 12.5 예방, 반응, 저장, 처리를포함하는예방서 12.6 안전데이터시트를위한제안서제공 12.7 포장 ( 형태, 물질, 크기등 ) (2) 미국의바이오사이드정책 미국은바이오사이드를미국환경보호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의 FIFRA(Federal Insecticide, Fungicide and Rodenticide Act) 와미국식품의약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의연방식품 약품 화장품법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FFDCA) 에따라관리한다. 미국에서바이오사이드는따로독립된기관및규제가존재하지않고기존의농업용농약에포함되어관리되는데전체농약중 antimicrobial pesticides( 대부분의바이오사이드포함 ) 는농약관리기관인 EPA내 Office of Pesticide Programs(OPP) 의 Antimicrobial Division에서관리하며, 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과최종제품모두미국 EPA의승인을받아야한다. 예외적으로개인용보건소독제로사용되는바이오사이드제품은식품의약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에서규제하고있다. EPA 에서는바이오사이드를용도, 목적, 기능등을기반으로사용형태 (use pattern) 로나누 - 33 -

어관리하고있다. < 표 2.1.6> 미국의바이오사이드사용형태 사용형태 농업용부지및장비 식품취급 / 저장시설부지및장비 상업용, 공공기관용, 산업용부지및장비 주거및공공용건물 의료용부지와장비 물질보존제 음용수시스템 공중보건관리소독제 산업공정과용수시스템 방오코팅제 목재방부제 수영장 수중지역 설명 농장과가축 / 가축건물 ( 예, 축사, 우리, 마구간, 등 ) 농장과가축 / 가축장비 ( 예, 갈퀴, 가래와같은기구 ; 굴레, 로프, 기타제재장비 ; 여물통, 급수기, 구유및착유장비와같은식품취급장비 ) 식품 / 사료가공공장 ( 예, 낙농, 달걀, 육류, 가금, 어류 / 해산물등 ) 음식점 ( 예, 식당, 카페테리아등 ) 식품저장소 / 유통시설 ( 예, 상업용운송시설 / 운소수단, 선박, 저장콘테이너 ; 식품가게 ; 자동판매기등 ) 건물에는천장, 문, 노커, 고정설비, 벽, 창문, 목조부분이포함. 상업용 ( 예, 호텔, 모텔, 극장, 사무실, 공학, 버스정류장, 기차터미널등 ) 산업용 ( 예, 공장, 제재소, 산업용공장및부지등 ) 공공기관용 ( 예, 학교, 대학, 야영장, 복도, 사무실, 강당, 공공시설 ) 주거용 ( 예, 가정, 아파트, 이동식집, 방공호등 ) 공공장소 ( 예, 공공장소, 공공건물 ) 병원이나의료환경의건물 ( 진료소, 치과진료실, 요양원, 병실, 영안실, 기타의료와관련된시설 ) 위험하지않은장비 ( 환자와직접닿지않거나환자의피부에만접촉하는장비 ; 가구, 전화기, carts, 변기, 세면기등 ) 산업공정중간산물 ( 분산물, 슬러리, 유상액, 용액등 ) 최종생성물 ( 페인트, 코팅제, 접착제, 직물, 종이등 ) 공공용수시스템, 개인용용수시스템, 긴급용수시스템, 정수시스테 공주보건관리소독제, 예, 의치세제, 손상되지않은피부소독제 상업용및산업용시스템과공정 ( 예, 냉각탑, 증발농축기, 공기세척, 열교환기, 산업용 scrubbing 시스템 ; 펄프및종이제재소시스템, 가스 / 오일재생시스탬 ; 배수, 폐수, 하수시스템등 ), 전문적인응용 ( 예, immersion ultrasonic 수욕조, photo processing wash water, recirculating electrodeposition 시스템등 ) 에담수제공 선체및바닥, 게및바닷가재통발, 수중구조물및장비에생물의성장을억제하기위해사용하는코팅제및페인트, 방오코팅제는특히해양환경에대한높은환경노출의잠재성을가짐 새로자른목재표면, 가마에말린목재, milled wood, 기타건축자재에사용되는목재방부제, 적용되는목재 : 새로자른통나무또는판재 ; 잘마른건축자재 ; 전신주와담기둥과가로대 ; 구조재 ; 주거 ; 수송장비 ; crop growing; lawn furniture; 놀이터장치 ; 정원 / 조경목재 ; 통나무집 수영장, 목욕탕, 온수욕조와같이수리학적으로분리되고인공적인수역, 콘크리트와같은불투성물질로건설, 대양, 호수, 강, 시내또는연못과같은환경수역과직접유입또는유출되지않음 실외용도, 대부분음용수의오염을유발할가능성이있으며, 잔류물에대한정보가요구됨. 호수, 시내, 강및저수지에서사용하는것은폭넓은환경에방출됨 ( 출처 : US EPA 홈페이지 http://www2.epa.gov/pesticide-registration/pesticide-registration-manual-chapter-4 -additional-considerations#types) - 34 -

(3) 일본의바이오사이드정책 - 일본은 < 화학물질심사및제조등의규제에관한법률 ( 이하 화심법 )> 의규제를받으며농약의범주에포함시키지않고용도에따라다양한법의규제를받으며관련법률및소관부처는다음 < 표 2.1.7> 와같다 ( 일본농약공업회 (JCPA), 박정규 (2014)). < 표 2.1.7> 일본의바이오사이드관련법률및소관부처 관련법률소관부처제품 약사법 후생노동성 의약품 ( 훈연제, 에어졸제, 방역용유제, 분제 ), 의약외품 ( 충취선향 ( 충을잡기위한향기제 ), 전기식충취 ( 매트식, 액체식 ), 기피제, 에어졸제방역용의유제, 분제 ) 수도법 후생노동성 음용수소독 공중목욕탕법 후생노동성 목욕수수질소독 식품위생법 후생노동성 식품용기소독 농약단속법 농림수산성 농작물용농약 건축기준법 국토교통성 개미구충 (chlorpyrifos, 포름알데히드 ), Chlorpyrifos 첨가건축내장제 화학물질심사및제조등의규제에관한법률 후생노동성, 경제산업성, 환경성 유해물질관리 - 일본의리스크평가의단계는유해성정보의관점에서기본적으로만성독성자료가없는단계에서수행하는 1차리스크평가 와유해성조사에의해만성독성자료를얻은후에수행하는 2차리스크평가 로구분한다. 1차리스크평가에서는제조, 수입, 수량등신고정보를이용한노출정보로리스크평가를하여우선순위를정하는 Tier 1과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자료와모니터링자료, 용도등의자료를활용한 Tier 2, 취급정보와추가모니터링자료등을이용하여유해성조사지시를판단할목적으로하는 Tier 3의 3단계로나누어실시한다. - 화심법에근거하여 2011년 4월 1일에우선평가화학물질로지정된 87물질중, 제조및수입수량이 10톤이상인 86물질에대해서제조및수입수량, 용도및스크리닝평가에사용되는유해성정보등을사용하여 1차리스크평가를실시하였다. Tier 1 평가결과에따라, 2012년부터 Tier 2 평가에착수하는물질을선정하고 Tier 1 평가를수행한물질에대해서도, 필요에따라 2012년중에화심법제10조제1항에따라유해성정보를확보하고물질및시기를공표할예정이다. 1차리스크평가결과에따른우선평가화학물질의목록은 < 표 2.1.8> 3-2) 과같다 ( 일본 Ministry of Environment 홈페이지 ). - 35 -

< 표 2.1.8> 1 차리스크평가결과에따른우선평가화학물질 우선평가 1차리스크평가우선평가화학물질의명칭화학물질번호결과 1 carbon disulfide Tier 1 계속 2 hydrazine Tier 2 착수 ( 사람 ) 3 n-hexane Tier 1 계속 4 1,3-butadiene Tier 2 착수 ( 사람 ) 5 isoprene Tier 1 계속 6 chloromethane( 염화메틸 ) Tier 1 계속 7 dichloromethane( 염화메틸렌 ) Tier 2 착수 ( 사람 ) 8 chloroform Tier 1 계속 9 methyl bromide( 브롬화메틸 ) Tier 1 계속 10 chloroethane Tier 1 계속 11 1,2-dichloroethane Tier 1 계속 12 1,2-dichloropropene Tier 2 착수 ( 사람 ) 13 vinyl chloride( 염화비닐 ) Tier 2 14 1,3-dichloropropene - 36 - 착수 ( 사람 ) Tier 2 착수 ( 생태 ) 15 methylamine Tier 1 계속 16 dimethyl amine Tier 1 계속 17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ier 1 계속 18 nitromethane Tier 1 계속 19 ethylene oxide 20 1,2-epoxypropene( 산화프로필렌 ) Tier 2 착수 ( 사람 ) Tier 2 착수 ( 사람 ) 21 1,2-epoxybutane Tier 1 계속 22 epichlorohydrin Tier 1 계속 23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Tier 1 계속 24 2-(1-methyl ethoxyl)ethanol Tier 1 계속 25 formaldehyde Tier 2 착수 ( 사람 ) 26 acetaldehyde Tier 1 계속 27 N,N-dimethylformaldehyde Tier 1 계속 28 vinyl acetate Tier 1 계속 29 methyl dodecane Tier 1 계속 30 N,N-bis(2-hydroxyethyl)oleamide Tier 1 계속 31 methyl acrylate monomer Tier 1 계속 32 ethyl acrylate monomer Tier 1 계속 33 n-butyl acrylate Tier 2 착수 ( 생태 )

34 acrylamide Tier 1 계속 35 methacrylate Tier 1 계속 36 에틸렌디아민4초산 Tier 1 계속 37 nitrilotriacetate Tier 1 계속 38 acetonitrile Tier 1 계속 39 acrylonitrile Tier 2 착수 ( 사람 ) 40 thiourea Tier 1 계속 41 tetraethylthiuram disulfide(disulfiram) Tier 1 계속 42 bis(n,n-dimethyldithiocarthamic acid) N,N'-ethylene bis (thiocarbamoylthiozn) Tier 1 계속 (polycarbonate) 43 hexamethylene isocyanate Tier 1 계속 44 benzene Tier 2 착수 ( 사람 ) 45 toluene Tier 1 계속 46 styrene Tier 1 계속 47 isopropenylbenzene(α-methylstyrene) Tier 2 착수 ( 생태 ) 48 1,2,4-trimethylbenzene Tier 1 계속 49 ethylbenzene Tier 1 계속 50 benzyl chloride( 염화벤질 ) Tier 1 계속 51 o-dichlorobenzene Tier 1 계속 52 p-dichlorobenzene Tier 2 착수 ( 생태 ) 53 aniline Tier 1 계속 54 m-ethylenediamine Tier 1 계속 55 o-ethylenediamine Tier 1 계속 56 o-toluidine Tier 2 착수 ( 사람 ) 57 o-chloroaniline Tier 1 계속 58 nitrobenzene Tier 1 계속 59 p-chloronitrobenzene Tier 1 계속 60 dinitrotoluene 수량감시 ( 연간추계배출량 1t이하 ) 61 phenol Tier 1 계속 62 2,4-di-tert-pentylphenol 63 2,6-di-tert-butyl-4-methylphenol 수량감시 ( 연간추계배출량 1t이하 ) Tier 2 착수 ( 생태 ) 64 pyrocatechol(catechol) Tier 1 계속 65 phthalic acid(2-ethylhexyl) Tier 1 계속 66 terephthalic acid dimethyl Tier 1 계속 67 terephthalic acid Tier 1 계속 68 1,2,4-benzene tricarbonic acid 1,2-무수물 Tier 1 계속 69 octadecylamine(n-b)triphenylboron Tier 1 계속 - 37 -

70 71 72 [3-(2-ethylhexyloxy)propylamine]triphenylbor on(iii) 4,4'-aminophenylmethane(4,4'-methylenediami ne) 4,4'-diamine-3,3'-dichlorodiphenylmethane(4,4 '-methylene bis(2-chloroaniline)) Tier 2 착수 ( 생태 ) 수량감시 ( 연간추계배출량 1t이하 ) 수량감시 ( 연간추계배출량 1t이하 ) 73 methylene bis(4,1-phenylene)=diisocyanate 평가I 계속 74 4,4'-(propane-2,2-diyl)diphenol (4,4'-isopropylphenol or bisophenol) 평가II 착수 ( 생태 ) 75 naphthalene Tier 1 계속 76 dicyclopentane Tier 1 계속 77 3,3-dichlorobenzidine 수량감시 ( 연간추계배출량 1t이하 ) 78 bicyclo[2.2.1]heptan-2,5( 또는 2,6)-diyldicyanide의혼합물 Tier 1 계속 79 1,4-dioxane Tier 1 계속 80 morpholine Tier 1 계속 81 ε-caprolactam Tier 1 계속 82 pyridine-triphenylboron(1/1) Tier 1 계속 83 bis(2-sulfapyridine-1-オラト )Cu Tier 1 계속 84 dipotassium=piperazine-1,4-bis(carbothiolate) Tier 1 계속 85 86 87 α-(nonylphenyl)-ωhydroxypoly(oxyethylene)(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4,4'-isoprophylidenediphenol and 1-chloro-2,3- epoxypropane의중축합물 (bisphenol A형 epoxy resin)( 액상의것에한정 ) cyclohexa-1-en-1,2-carboxyl amide methyl =(1RS)-cis-trans-2,2-dimethyl-3-(2-meth ylpropa-1enyl)cyclopropanecarboxylate(tetram ethrin) Tier 1 계속 Tier 1 계속 수량감시 ( 제조 수입수량 10t 이하 ) 나. EU 의바이오사이드관리 본장에서는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법을조사분석하여유효성분과바이오사이드의승인및허가절차를검토하였다. 여기에는유효성분의승인및평가과정, 바이오사이드품의허가절차등현재 EU에서수행하고있는허가절차를가능한자세히수록하여향후국내바이오사이드정책제안시참고자료로활용할수있게하였다. (1) 바이오사이드위원회 (BPC: (Biodical Products Committee) EU 는바이오사이드관리법을적용함에있어서바이오사이드위원회 (BPC) 를두고, 이 - 38 -

위원회는바이오사이드품관리의다양한절차를진행함에있어서중요한역할을수행한다. 바이오사이드위원회는바이오사이드에서사용되는모든유효성분에관한의견을제공한다. 대부분의모든회원국은바이오사이드위원회의회원으로지정된상태다. 과반수의위원회회원들은과거바이오사이드규정에따른허가 승인절차심사를위해참여하고있다. ( 가 ) 역할 바이오사이드위원회는바이오사이드관리법을수행함에있어서발생하는유럽화학물질청 (ECHA) 의의견 (opinion) 을준비하고대응한다. BPR 프로세스의최종결정은 EC(European Commission) 에서수행한다. BPR 규정과관련하여발생하는프로세스는다음과같다. 유효성분의승인과갱신의신청 유효성분승인을위한검토 BPR 28조에따라유효성분이부속서 I에등재될수있는지에관한의견검토 대체후보물질판정 바이오사이드의유럽연합허가신청, 갱신및허가취소및변경등 BPR 38조에따른상호인정 인체, 동물, 환경의위해성여부에관하여발생하는질의의답변준비및이와관련된유럽연합및회원국의요청에대한검토의견작성등 ( 나 ) 작업자그룹 바이오사이드위원회는작업자그룹을구성하여기술적의견서를작성하여 EC활동을도와주고위해성평가의조화 (harmonisation) 에기여한다. 작업자그룹은 4개의그룹으로구성되고, 이외에세개개의 Ad hoc 작업자그룹을구성하여 BPC와작업자그룹을지원한다. 작업자그룹 Working Group 효능 (Efficacy) Working Group 분석방법과물리화학적성질 Working Group - 인체위해성 Working Group 환경 Ad hoc 작업자그룹 Ad hoc Working Group - 인체노출 - 39 -

Ad hoc Working Group 식품으로이동되는잔류성평가 Ad hoc Working Group 환경노출 (2) 유효성분의승인과정 바이오사이드품의허가전에제품내에포함되는모든유효성분은승인받아야한다. 신청자는유효성분을신규로승인받기위하여 ECHA에신청서 (dossier) 를제출한다. ECHA는신청서에대한적격성을평가한후, 해당부서는 1년안에신청서의완전성을확인하고, 평가를수행한다. BPR은바이오사이드가유효성분으로배제되어야할기준인승인제외기준 (exclusion criteria) 과대체기준 (substitution criteria) 을명시하고있다. 승인제외기준 (exclustion criteria) 아래기준에해당하는고위해물질은유효성분으로승인받을수없다. -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과같은카테고리 1A 또는 1B물질 - 내분비교란물질 -PBT 물질 - 잔류성과생물축적성이매우높은물질 (vpvb) 단, 공중보건적또는공공이익의관점에서필요하지만, 대체할수있는물질이없는경우, 위의배제기준을제한할수있다. 대체기준 (substitution criteria) 특정한관심물질을확인한후향후에적합한대체물질로교체하도록하기위해만든기준으로, 물질고유의유해성과사용패턴을기반으로하고있다. 다음의기준에해당하면대체후보물질로간주한다. 최소하나의승인제외기준을만족하지만예외가적용된물질 (5조 2항 ) CLP에서호흡기과민성물질로분류된물질 독성기준값이동일한제품유형및용도로승인된대부분의유효성분의기준값보다상당히낮을경우 PBT 중 2개의기준을만족하는물질 사용패턴을고려하여매우제한적인위해성관리대책에도사람이나동물의건강및환경에문제가발생할수있는물질 비활성이성질체또는불순물을상당한비율로함유하고있는물질 - 40 -

대체기준에해당하는유효성분은공개심의회를통해서평가되고, 승인과정에서대체후보물질로결정된다. 이때해당물질의본질적유해성과사용패턴및잠재적노출을함께고려하여결정한다. 대체후보물질에대하여바이오사이드 (biocidal products) 의허가 (authorization) 를검토할때는, 동일한목적으로사용할수있으면서덜유해한제품이있는지비교검토 (comparative assessment) 한다. 대체후보물질은갱신을해도최대 7년이내로승인되며하나이상의제외기준에해당하는경우에는최대 5년으로줄어든다. 다음은신규유효성분과기존유효성분의평가과정을검토한것이다. ( 가 ) 신규유효성분의평가과정 신규유효성분의승인프로세스는다음과같이진행된다 < 그림 2.1.1> 1단계 : 해당부서에의한신청서 (dossier) 검토 2단계 : 평가 ( 안 ) 작성및결론도출 3단계 : 평가 ( 안 ) 을신청자한테보내고, 신청자는 30일안에검토의견을보냄 4단계 : 평가보고서를 ECHA로보내고, Biocidal Products Committee(BPC) 에서보고서심사 5단계 : 유효성분이대체후보물질이되면, 공개심의 (public consultation) 가이루어지며, 대체할수있는물질에대한정보를포함하여, 관련정보를제출할수있는기회를제 3자에게제공하게된다. 6단계 : BPC는 270일내에보고서심사의견서를작성하여 Commission에제출한다. 7단계 : Commission은유효성분에대한승인을최종적으로결정한다. - 41 -

< 그림 2.1.1> 신규유효성분승인과정유효성분은사용승인을받으면, 유효성분목록에등재된다. 유효성분의승인은일정기간동안만허용되는데, 10년의유효기간을갖으며그이후에는갱신절차를밟아야한다. 유효성분의재승인 (renewal of the approval) 도비슷한과정을거치는데, 그동안해당물질에대한새로운연구결과들에따라, 완전히다시평가할것 (full evaluation) 인지, 제한적으로평가할것 (limited evaluation) 인지정해진다. 재승인신청은승인만료 550일이전에유럽화학물질청 (ECHA) 에신청해야한다. ( 나 ) 기존유효성분의평가과정 기존유효성분은 BPD가시행된 2000년 5월이전에시장에출시된물질을말한다. 구체적인평가과정은 Review Programme Regulation (EU) No 1062/2014에서찾아볼수있다. BPD하에서는기존물질을신고하고검토프로그램에서승인을받은후 BPD 부속서 I 에등재되고, 이물질을시장에출시할수있었다. 그러나검토일정이지연되며검토마감기한을당초에 2014년 5월 14일에서 2024년 12월 31일로연장하게되었고현재진행중이다. 검토프로그램은지정된회원국에서수행하며, 유효성분의특성, 인체위해성평가, 환경위해성평가등을종합적으로검토한다. BPR 법령하에서현재 (2015년 1월 14일 ) 111개의유효성분이승인되었다. ( 다 ) 승인물질에관한의견 (opinion) 바이오사이드위원회 (BPC) 는 34개의승인된유효성분에관하여승인에관한의견 (opinion) 을공개하고있다. product type별로평가된유효성분목록은아래 < 표 2.1.9> 와같고, 다음사이트에서구체적의견을확인할수있다. 3-3) - 42 -

< 출처 > http://echa.europa.eu/regulations/biocidal-products-regulation/approval-of-active-su bstances/bpc-opinions-on-active-substance-approval < 표 2.1.9> Prodcut Type 별승인된유효성분목록 유효성분명 EC Number CAS Number Product Type (PT) 의견일자 Alpha-cypermethrin - 67375-30-8 PT 18 17/06/2014 Bacillus sphaericus - - PT 18 19/06/2014 Bacillus thuringiensis - - PT 18 19/06/2014 Carbon dioxide 204-696-9 124-38-9 PT 15 17/06/2014 Clothianidin 433-460-1 210880-92-5 PT 18 02/10/2014 Copper pyrithione 238-984-0 14915-37-8 PT 21 03/10/2014 Dinotefuran - 165252-70-0 PT 18 17/06/2014 Folpet 205-088-6 133-07-3 PT 6 17/06/2014 Folpet 205-088-6 133-07-3 PT 9 17/06/2014 Folpet 205-088-6 133-07-3 PT 7 17/06/2014 Glutaraldehyde 203-856-5 111-30-8 PT 6 01/10/2014 Glutaraldehyde 203-856-5 111-30-8 PT 2 01/10/2014 Glutaraldehyde 203-856-5 111-30-8 PT 4 01/10/2014 Glutaraldehyde 203-856-5 111-30-8 PT 11 01/10/2014 Glutaraldehyde 203-856-5 111-30-8 PT 3 01/10/2014 Glutaraldehyde 203-856-5 111-30-8 PT 12 01/10/2014 MBM 227-062-3 5625-90-1 PT 6 03/10/2014 MBM 227-062-3 5625-90-1 PT 13 03/10/2014 MIT 220-239-6 2682-20-4 PT 13 02/10/2014 Permethrin 258-067-9 52645-53-1 PT 8 08/04/2014 Permethrin 258-067-9 52645-53-1 PT 18 08/04/2014-43 -

Propan-2-ol 200-661-7 67-63-0 PT 2 18/06/2014 Propan-2-ol 200-661-7 67-63-0 PT 4 18/06/2014 Propan-2-ol 200-661-7 67-63-0 PT 1 18/06/2014 Tolylfluanid 211-986-9 731-27-1 PT 21 17/06/2014 Tralopyril - 122454-29-9 PT 21 09/04/2014 (3) 바이오사이드품등록규정 98/8/EC는유통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제품의유효성분은 Annex 1, 1A 또는 1B에등록되어야하며, 시장에유통되기위해서는허가나등록이되어야한다. 이규정은제품의허가와등록에대한절차와평가에대해기술한다. 허가 (authorization) 는해당관청이제품의유통을허가하는행정적인행위이며, 위해성, 약효, 사용으로인한잇점등을고려한다. 등록 (registration) 은 Directive Article 2의규정처럼낮은위해성정의에해당하는제품에대해적용하는간이허가과정이다. 이경우약효평가는하지만, 위해성평가는면제된다. < 허가원칙 > 위해성평가와약효평가결과를종합해서의사결정을하게되는데, 최종결정은다음과같다. - 제품의허가또는등록. 경우에따라사용조건및제한이따른다. - 추가자료요구후재심 - 허가또는등록불허 ( 출처 2-1) : TNsG on Dossier Preparation and Study Evaluation) ( 가 ) 초기운영과정 (Initial administrative procedures) 1 예비심사 : 처음허가또는등록신청을받으면, 관리기관은다음과같은기준으로예비심사를실시한다. - 신청제품이해당법에서규정하는바이오사이드제품인가? 관련규정의정의에적합한지를검토 - 유효성분이부속서 I 또는 IA에등재되어있는가? - 신청서는규정에따라잘작성되었는가? 2 초기검토사항가 Directive에적합한물질인가 - 44 -

관련법에는다음용어에대한정의가있는데, 제출된제품이이들정의에맞는지를검토한다. - 바이오사이드 - 유효성분 - 유해생물 - 저독성바이오사이드 (Annex IA에등재되어있는하나또는복수의유효성분을포함하면서, 관심물질을포함하고있지않은바이오사이드. 사용조건에서인체, 동물및환경에위해성이낮은제품 ) - Frame-formulation( 동일용도및 user type을가지는제품군에대한 specification. 이제품군에는스펙이같은동일한유효성분이들어가야하고, 그들의조성은이전에허가된제품과거의일치해야한다 ) 나현행 Annex I 또는 IA에등재된물질인가제품을허가또는등록하기위해서는사용한유효성분이 Annex I/IA에등재되어야한다. 그리고제품용도와사용조건이 Annex I/IA entry에적합한지를확인해야한다. 확인과함께, 심사기관은제안된제품의사용이다른규정들과조화되는지를확인해야한다. 예를들면, Directive 76/769/EEC( 위험물질의사용제한에대한규정 ) 에저촉여부등을판단한다. 다신청서는완전하게작성되었는가? 라자료의서면허가 (Letters of Access) 신청서를접수하기위해서는다음항목을확인해야한다. - 자료소유자이름 - 자료접근이허용된신청자명 - 허가 / 등록하고자하는신청제품명 - 접근이허용된 PT - 접근이허용된자료목록 : 유효성분자료인지제품자료인지등 - 자료목록에대한설명 : 완전한자료목록인지또는일부자료목록인지등 - 원자료목록이최초로제출된심사기관 3 제출한자료의평가 - 45 -

신청자는 Directive의 Annexes IIA, IIB, IIIA, IIIB, IVA, IVB에있는등록자료목록에따라자료를제출해야하는데, 각자료에대한구체적인지침은 TNsG on data requirements 를참조한다. 유효성분에대한자료가신청자의것이아니라면제출할필요가없으나, 대신자료의사용에대한서면허가를받아야하며, 이전에등록된제품의자료를사용하는경우도같은원칙이적용된다. 그외에다음과같은정보도활용할수있다. - 발간되지않은과학기술보고서 - 발간된학술자료가자료제출모든자료는 TNsG on data requirements에따라제출하는데, section 4.6 of Part 1 of the TNsG on Dossier Preparation and Study Evaluation의규정에적합한지를확인해야한다. 나자료평가제출한자료는다음사항을확인해야한다. - 요구되는표준에적합하게시험이수행되었는지? - 시험및보고서가과학적으로완전하고적합하게되었는지? - 시험과정에서일반적인관찰과비정상적관찰에대한서술과시험결과의요약이있는지? 특히, 제품을평가할때는 SCB(Standing Committee on Biosides) 가동의한유효성분의영향농도 ( 값 ) 을사용해야한다. 4 예비심사에서의최종결정심사기관은위의모든상황을고려하여다음과같은결정을내린다. - 신청제품이해당규정에적합한지? - 유효성분의등록여부 - 신청서의완전성 5 상호인정 : 우리나라는해당없음신청제품이회원국내에서허가또는등록되어있다면, 상호인정된다. ( 나 ) 바이오사이드품허가 1 바이오사이드일반적인허가원칙바이오사이드의허가기간은최대 10년이며, 바이오사이드의허가는다음과같이구분할수있다. - 46 -

국가허가 (national authorisation) : 한개의국가에서바이오사이드를판매하고자하는경우 상호인정 (mutual recognition) 허가받은제품을다른나라에서판매하고자할경우 연합허가 (union authorisation) 유럽연합전체에서바이오사이드를판매하고자하는경우 / 단순허가 (simplified authorisation) BPR 제 25항에따라저위해성제품을판해할경우바이오사이드허가를위한조건은법령 19조에따르며다음과같다. 해당살균성제품은충분히효과적이다. 해당살균성제품은대상유기체에수용불가능한영향, 특히수용불가능한내성또는교차내성이나척추동물에불필요한고통이나통증을야기하지않는다. 해당살균성제품은그자체로즉각적이거나지연된수용불가능한영향을미치지않는다. 또는잔여물, 취약그룹또는동물의건강을포함한인간의건강에식수, 식품, 먹이, 공기를통해또는기타간접적인영향을통해즉각적이거나지연된수용불가능한영향을미치지않는다. 해당살균성제품은그자체로또는잔여물로인해특히다음고려사항과관련하여환경에수용불가능한영향을미치지않는다. - 환경에서살균성제품의거동및분포 - 환경내에서의장기적인이동후원래의사용장소와멀리떨어진위치를고려하여, 지표수 ( 만과해수포함 ), 지하수, 식수, 공기및토양오염 - 비대상유기체에대한살균성제품의영향 - 생물다양성및생태계에대한살균성제품의영향위의허가조건을충족하는지의여부는다음평가기준을고려하여결정한다. 바이오사이드가사용될수있는최악의사용조건 처리된제품이바이오사이드로처리되는방식또는바이오사이드품이포함된처리된제품이사용되는방식 바이오사이드의사용및폐기에따른결과 누적효과 (cumulative effects) 시너지효과 < 일반대중이사용할수있도록시장판매를허가하지않는경우 > 지침 1999/45/EC에따른다음분류기준을충족하는경우 - 47 -

독성또는매우독성 카테고리 1 또는 2 발암물질 카테고리 1 또는 2 돌연변이유발요인 생식독성카테고리 1 또는 2 규정 (EC) No 1272/2008에따른분류기준을충족하는경우 급성경구독성카테고리 1 또는 2 또는 3 급성피부독성카테고리 1 또는 2 또는 3 급성흡입독성 ( 가스및먼지 / 미스트 ) 카테고리 1또는 2 또는 3 급성흡입독성 ( 증기 ) 카테고리 1 또는 2 카테고리 1A 또는 1B 발암물질 카테고리1A 또는 1B 돌연변이유발요인 생식독성카테고리1A 또는 1B 규정 (EC) No 1907/2006에대한부록 XIII에따라 PBT 또는 vpvb에대한기준을충족하는경우 내분비교란속성을가지고있는경우 성장에따른신경독성또는면역독성영향을미치는경우 2 국가허가기업은 EU 회원국에제품을팔기위해서해당국가에제품허가를받아야한다. 기업은 R4BP(Register for Biocidal Products) 를통해서국가적허가를위한신청서를해당국내 권한이있는관련당국 에제출해야한다. 회원국은 365일이내에허가에관한결정을한다. 만약에제품에포함된유효성분이대체후보물질이라면회원국은 23조에따라비교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의결과를고려해야한다. 가신청서제출및확인국가허가를신청하고자하는신청자는신청서를평가관리당국에제출하여야한다. 평가관리당국은 30일이내에신청서의적합성여부를확인해야한다. 신청서가불완전하다고판단될경우추가로필요한정보가무엇인지에관하여신청자에게제공하고합리적인타임라인을설정하며이것은 90일을초과하지않는다. 이미동일한바이오사이드의신청을검토중이거나, 이미허가한것으로나타날경우해당신 - 48 -

청평가를거부하고신청자에게상호인정가능성을알려야한다. 나신청평가평가관리당국은신청서를확인한후 365일이내에허가여부를결정해야한다. 3 허가절차간소화 (25조) 다음모든조건을충족하는경우바이오사이드의허가절차를간소화할수있다. 살균성제품에포함된모든활성물질이부록 I에명시되어있고해당부록에명시된모든제한사항을충족하는경우 살균성제품에우려대상이되는물질이포함되어있지않은경우 살균성제품에나노물질이포함되어있지않은경우 살균성제품이충분히효과적인경우 살균성제품의처리및의도된목적에개인용보호장비가필요하지않은경우 신청자는신청서를화학물질청에제출해신청서를평가할회원국의관련당국이름을제공하고해당관련당국에서평가에동의했다는서면확인서를제출한다. 해당관련당국은평가를담당하는관련당국이어야한다. 신청을받아들이고 90일이내에평가를담당하는관련당국은해당제품이제 25조에명시된규정 ( 허가절차간소화규정 ) 을충족하는경우, 해당바이오사이드를허가한다. ( 다 ) 제품의위해성평가 제품위해성평가에는두가지접근법이있다. 1 환경에도달하기전에구성성분이급격히변화하는경우는제품의모든구성성분에대해각각평가를할필요가있다. 즉, 개별물질에대해 PEC/PNEC 비율을평가한다. 혼합물인경우, 비극성물질로이루어진혼합물의경우는수서생물에미치는독성이 상가적 이므로제품의 PEC/PNEC비율은다음과같이추정된다. (PEC/PNEC) product =Σ (PEC/PNEC) components 2 환경매체에직접노출되는경우는제품으로시험한결과를평가한다. 다음과같이제품에대한 PEC와 PNEC를구하여위해성을확인하는데, 모든매체에대해위해성평가가불가능할수있다. (PEC/PNEC) product = PEC product /PNEC product - 49 -

( 라 ) 약효평가 유효성분의약효에대한정보및자료요구는 Annex IIA를참고하며, 제품에대한요구는 Annex IIB에나와있다. 유효성분과 23개 PT별자료요구는 TNsG on Data Requirement 를참고한다. 그러나약효시험은국제적으로통용되는지침서가거의없는실정이며, GLP 또한적용하지않는다. 심사기관은제품의적합성을평가하기위해다음과같은것을평가할수있다. - label claim 에필요한정보 - 약효시험결과가믿을만한가? ( 시험의종류, 대조군, 반복수, 통계방법등 ) - 신뢰성프로그램의적용 (ISO 17025 for testing and certification) - 라벨표시와관련한자료의전반적인평가 - 의사결정과정 1 표지 (label) 사항에대한평가 Directive(Annex VI paragraph 51) 는제품의약효를확인하는데필요한시험자료를내도록규정하고있다. 심사기관은허가조건에따라정상적으로사용할때, 대상생물에대해약효가있는지를확인하며, 만일약효가미달이면, 허가가나지않거나, 라벨표지를변경할수있다. 일반적으로표지사항에필요한자료는다음과같다 (Annex IIB참조 ) - Product Type - 약효범위및작용기능 - 작용기작 - 사용범위및지점, 비우점생물에대한사용제한및대책, 저항성 - 효과지속시간 - 사용방법 - 약효에관련한기타정보 ( 용량, 적용방법등 ) 2 약효시험의평가지침가시험의종류 : TNsG on Data Requirements 참조. 시험은해당규정의시험법을따라야하나, 없는경우는다음의시험법을따라도된다. - CEN, ISO등국제적으로통용되는시험법 - 심사기관에서동의하는경우, 산업체의표준시험법 - 50 -

- 심사기관에서동의하는경우, 개별생산자의시험법 - 심사기관에서동의하는경우, 제품의개발과정에서얻은자료경우에따라서는실제적용시험을한자료가있는경우, 심사기관은이자료를근거로평가할수있다. PT별이용가능한약효시험법은 Annex 7.1~7.23 참조할수있으나, 목재방부재, disinfectant products를제외하고는표준시험법이매우제한적이다. 3 약효자료를작성 / 보고시고려사항약효에대한자료는다음과같이얻을수있다. - 잘계획된실험실시험, semi-field 또는소규모야외시험 ( 실제또는모의사용환경조건에서실시 ) - 전문학술지자료. 신청자는자료의 formulation이신청한것과동등하다는것을증명해야한다. - 다른지역에서만든자료인경우, 자료가국내에서적용이가능하다는것을증명해야한다. 신청자는제품에대한개인적인증언또는증명서등을제출할수있으나, 참고자료일뿐이고, 자료를대체할수는없다. 4 표지사항에대한종합평가지침심사기관은다음사항을확인해야한다. - 자료의완전성 : 평가하는데빠진자료는없는지확인 - 유효성분 : Annex IIA - 제품 : Annex IIB - 자료가적절한지 : 사용하고자하는용도에적합한자료가제출되었는가확인, 시험방법의적절성검토가필요 ( 마 ) 평가종합및의사결정 인체, 동물, 환경에대한영향, 약효및허용안되는영향등에대한결론을종합하고, 제품사용으로부터얻는이점을고려해서종합결론을내린다. 1 인체, 동물, 환경에대한영향, 약효및허용안되는영향등에대한종합결론각 PT별, 제품용도별로각제품에대한위해성평가결과, 다음중하나의결론을내린다. - 사용용도와실제로최악의시나리오를적용하더라도위해성이없을것같다 - 위해성이있을수있으나, 제한된사용이나사용방법에따라허용수준까지낮출수있다 - 51 -

- 위해성에대한결론을내리기위해서는추가자료가필요 - 사용환경을바꾸더라도위해성이높다위해성평가에따른의사결정은다음중의하나 ( 또는복수 ) 에따른다. - 제품은신청한용도대로허가또는등록되나, 위해성관리를위해제한이따를수있다 - 추가자료의요구 - 허가또는등록불가 ( 모든위해성저감조치를고려하더라도 ) 가위해성관리수단제품이허가되더라도, 위해성을줄이기위해다음과같이사용에제한을둘수있다. - 사용자제한 : 전문적인용도로만사용 - 살포 ( 이용 ) 방법제한 : 밀폐된곳에서만사용, 살포하지말고도포하라등 - 사용지역의제한 : 실내에서만사용 - 제형의변경 : 농축형보다는바로쓸수있도록, 덜유해한물질로대체하기등 - 포장, 표지의변경, 사람또는환경을보호하기위한수단강구 ( 예 : 소포장, 자동이송장치의사용등 ) - 특정환경에적합한살포량의조정나추가자료의요구심사기관이은추가자료를요구할때는그이유가명확해야하며, 최소화한다. 2 결론의종합종합결론은유해성과이점을모두고려하여내린다. 바이오사이드제품이조건부로허가될수있는경우에심사기관은모든조건이실제적이고합목적인지를확인해야한다. 예를들면, - 신청자가제안한살포방법이안전사용을위해서변경시킬필요가있으나, 그렇게하면제안된사용행태에서는바이오사이드효과를볼수없어실제적이지않거나 - 사람에대한안전사용조건이환경에서의안전사용조건과상치되는경우 3 위해성 / 이익 ( 편익 ) 고려심사기관은허가시바이오사이드제품의이점을고려해야한다. 만일신청한제품이위해성면에서문제가없거나, 저감수단으로위해성을관리할수있다면, 이점 (benefits) 에대한고려는필요없다. 만일이미기존의어떤사용용도에바이오사이드의필요성이인정되어왔다면, 이점에대한평가는아마도기존의제품을감안하여간단히끝날수있다. 그러나새로운용도로사용한다면, 많은논의가필요하다. - 52 -

예외적으로사람, 동물및환경에대한보호수준을높일경우는바이오사이드제품사용에대한정당성을확인해야할수있다. 그러므로심사기관은허가시바이오사이드제품의이점을고려해야한다. 만일신청한제품이위해성면에서문제가없거나, 저감수단으로위해성을관리할수있다면, 이점 (benefits) 에대한고려는필요없다. 4 최종의사결정위의과정을거쳐최종적으로다음중하나의의사결정을한다. - 제품은신청한용도대로허가또는등록되나, 위해성관리를위해제한이따를수있다 - 추가자료의요구 - 신청한용도로허가또는등록불가위와같은결정을하기위해심사기관은다음과같은내용을확인한다. - 제품에사용된유효성분은등재목록에있으며, 이러한부록에서요구하는것을만족시켰는가 - 허가또는등록조건에서사용할때, 약효가발휘되면서사람, 동물및환경에위해성이낮은가 - 유효성분의특성및량이 Annex IIA, IIB, IIIA 또는 IIIB에서요구하는대로측정이되었는가 ( 불순물, 조형제, 사용시잔류물질등 ) - 유효용량과약효를발휘하는데필요한최소용량을포함해서적절히사용할수있도록정보와방법이잘설계되었는가 - 표지, safety data sheet가요건을충족시키고, 제품사용시사용및제한조건이명시되어있는가 - 포장, 폐기, 오염제거등에대해관련규정을준수하는가 다. 국내현황 (1) 화평법개요 1 화평법제정및시행가습기살균제사고의원인물질과같이잠재적으로인체환경에위해요인이되는화학물질및함유제품으로부터국민의건강을보호하고 EU, 일본등주요교역국들이 No Data, No Market ( 화학물질의정보없이는시장출시없다 ) 원칙에따라화학물질관리를강화하는추세에대응하여화학물질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 ( 이하화평법 ) 을제정 ( 법률제 11789호, 2013.5.22. 공포, 2015.1.1. 시행 ) 하였다. - 53 -

종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체계는다양한화학물질의정확한용도및노출형태에따른건강상의위협을관리하기곤란하여모든화학물질정보를등록 심사 평가토록하여국가내물질정보의생산 공유 확산을통한사전예방적관리를가능하게한다. 화평법은총 8장, 54조, 및부칙으로구성되어있다. < 표 2.2.10> 는화평법체계도를나타냈다. 화평법은화학물질등록, 화학물질의유해성심사및위해성평가, 허가물질등의지정및변경, 화학물질의정보제공, 위해우려제품등의관리등을법제화하고있다. 화평법은화학물질의등록심사평가를통해유해화학물질을지정관리하는것과위해우려제품을지정하여이를관리하는두가지주요한역할을수행한다. < 표 2.1.10> 화평법체계도 제 1 장총칙제 1 조 ~ 제 7 조 제 2 장화학물질의등록 제3장화학물질의유해성심사및위해성평가제4장허가물질등의지정및변경제5장화학물질의정보제공 제 6 장위해우려제품등의관리 제 7 장보칙 제 8 조 ~ 제 17 조 제 18 조 ~ 제 24 조 제 25 조 ~ 제 28 조 제 29 조 ~ 제 31 조 제 32 조 ~37 조 제 38 조 ~ 제 48 조 제 8 장벌칙제 49 조 ~ 제 54 조 - 벌칙, 양벌규정, 과태료 -목적, 정의, 적용범위, 국가등의책무 -화학물질의평가등에관한기본계획수립등 -화학물질제조등의보고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의지정 -화학물질의등록 / 등록면제, 변경등록 / 변경신고등 -기존등록신청자료의공동활용, 척추동물시험자료에관한특례등 -유해성심사및유해성평가등 -유독물질의지정, 유해성심사결과의공개 -위해성평가 -허가물질의지정및해제등 -제한물질또는금지물질의지정및해제등 -화학물질정보제공 -허위사용자등의정보제공 -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의신고 -제품의위해성평가, 안전기준 표시기준등 -제품내함유화학물질정보제공, 판매금지, 회수명령등 -국외제조 생산자가선임한자에의한등록신청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구축 운영 -녹색화학센터지정 운영 -보고와검사, 서류의기록및보존, 권한의위임 위탁등 (2) 화평법구성및내용 화평법은크게화학물질의등록 평가제도와화학제품안전관리제도로구성되어있다. 즉화학물질과화학제품으로나뉘어관리된다고볼수있다. ( 가 ) 화학물질등록평가제도화학물질등록평가제도는다음의순서에따른다. < 그림 2.1.2> 은화학물질관리체계의개요를나타낸것이다. : 화학물질보고등록 -> 유해성위해성에관한심사평가 -> 유해화학물질지정 -> 정보 - 54 -

공개및정보제공 화학물질의평가가이루어지고, 평가결과에따라등록면제, 허가물질과제한금지물질로지정되며이들화학물질의정보는공개및공유된다. ( 나 ) 화학제품안전관리 < 그림 2.1.2> 화학물질관리체계 1-1) 화학제품안전관리제도는다음의절차에따른다. 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신고 -> 위해우려제품지정 -> 제품위해성평가 -> 안전 표시기준설정 -> 사후관리절차 < 그림 2.1.3> 은화학제품안전관리의개요를나타낸것이다. 제품내유해화학물질은신고하여야하며, 이때위해우려제품은위해성평가의절차를거쳐안전표시기준을고시하게된다. - 55 -

< 그림 2.1.3> 화학제품의관리체계 1-2) ( 다 ) 화학물질등록평가제도 1 화학물질제조등의보고모든신규화학물질또는연간 1톤이상 ( 업체기준 ) 의기존화학물질을제조수입판매하는자는전년도제조수입판매한화학물질의용도및양등의현황을작성하여유역환경청또는지방환경청에제출한다. ( 매년 6월 30일까지 ) 2 화학물질의등록모든신규화학물질또는연간 1톤이상의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을제조 / 수입하려는자는국립환경과학원에등록신청을받은날부터 30일이내등록한다. 소량신규화학물질의경우는 3일이내에등록한다. 이때,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은 3년마다지정고시하며, 이물질은 3년의유예기간까지는등록없이도제조 / 수입이가능하다. 소량기존화학물질도제조및수입량이연간 1톤미만인물질 (200년부터 0.1톤이하 ) 로사람의건강, 환경에심각한피해를입힐가능성이있는경우등록대상으로지정고시한다. < 연간 1톤미만 (2020년 0.1톤으로범위확대 ) 소량화학물질의등록간소화 > - 제출자료 : 사업자정보, 용도, 식별정보, 사용용도관련노출정보 - 기간 : 등록신청후 3일이내통지 ( 추가검토가필요시 7일이내 ) - 소비자직접노출우려, 누적량소량기준초과등의경우추가자료제출 - 56 -

3 등록면제확인대상물질 아래 8 개의기준중해당되는항목이있는경우등록면제대상물질로분류한다. - 57 -

< 등록면제확인대상물질 > 1 국외로전량수출하기위하여연간 10톤이하로제조하거나수입하는화학물질 2 국외로전량수출하기위한다른화학물질을제조하기위하여연간 10톤이하로제조하거나수입하는화학물질 3 시약등과학적실험 분석또는화학연구를위한화학물질 4 다음각목의어느하나에해당하는연구개발용화학물질가. 화학물질또는제품등을개발하기위한경우나. 생산공정을개선 개발하기위한경우다. 사업장에서화학물질의적용분야를시험하기위한경우라. 화학물질의시범제조또는제품등의시범생산을위한경우 5 다음각목의어느하나에해당하는고분자화합물가. 수평균분자량이 1만이상인고분자화합물로서분자량이 1천미만인분자의함량이 5 퍼센트미만이고, 분자량이 500 미만인분자의함량이 2퍼센트미만인고분자화합물나. 수평균분자량이 1톤이상에서 1만미만인고분자화합물로서분자량이 1천미만인분자의함량이 25퍼센트미만이고, 분자량이 500 미만인분자의함량이 10퍼센트미만인고분자화합물 등록면제확인제외고분자화합물 1. 양이온성고분자화합물 ( 고체상태로만사용되고, 물에녹지아니하거나분산되지아니하는고분자화합물은제외한다 ) 2. 신규화학물질, 유해화학물질및유해성 위해성이있거나그러할우려가있어환경부장관이고시한화학물질인단량체가중량비를 2퍼센트초과하여포함된수평군분자량이 1만미만인고분자화합물 6 표면처리의대상이되는물질과그물질의표면을처리하는물질이모두신규화학물질및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에해당하지아니하는경우표면처리의대상이되는물질표면의작용기 ( 作用基 ) 와그물질의표면을처리하는물질을반응시켜생성된화학물질 7 비분리중간체 8 기술적인방법으로유출또는노출이차단되어있는분리중간체 < 등록신청자료 > 등록신청자료는화학물질의식별정보와유해성및위해성정보등을포함한다. 제조수입량이연간 100톤이상시노출시나리오를포함한위해성자료를제출한다. 톤수별제출자료는단계적으로강화하여 2020년에는제조수입량이연간 10톤이상시위해성자료를제출하여야한다. 등록신청자료에는제조수입자정보, 물질정보, 용도, 분류및표시, 물리화학적특성, 유해성, 안전사용지침자료, 위해성, 노출정보, 예정량등이포함된다. 4 화학물질의유해성심사및위해성평가 < 유해성심사 > - 58 -

등록한화학물질에대해유해성심사결과를통지하고국립환경과학원장은유해성심사에필요한물리화학적특성, 유해성에관한자료를제출기한을정하여제출을명령한다. 유해성이있는화학물질에대하여유독물질로지정 / 고시하고, 유해성심사를마친화학물질은명칭과유해성등을고시한다. < 위해성평가 > 위해성자료가제출된물질과유해성심사결과에따라평가가필요한물질은평가계획을수립하여우선순위에따라단계적으로위해성을평가한다. 이때위해성평가에필요한추가자료를요구할수있다. 5 허가물질의지정및해제위해성이있다고우려되는화학물질로서허가를받아제조 / 수입 / 사용하도록하기위한물질을허가물질이라하고, 유해성심사및위해성평가결과위해성이우려되거나발암성, 돌연변이성, 생식독성, 내분비계장애, 축적성, 잔류성이있는물질등을허가물질로지정 / 고시한다 ( 지정기준 ). 6 제한물질및금지물질특정용도또는모든용도로의제조, 수입, 판매, 보관저장, 운반또는사용을금지하기위한물질을제한물질 / 금지물질이라하고유해성심사및위해성평가결과위해성이있다고인정되거나, 국제협약등에따라규제하는화학물질등을제한물질 / 금지물질로지정고시한다. ( 라 ) 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신고 바이오사이드의경우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에해당되며, 이조건에해당되는제품의경우다음조건에따라신고하여야한다. 법제32조에따라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을생산 / 수입하는자는제품에함유된유해화학물질의중량비율이 0.1% 를초과하여존재하고, 화학물질별총량이연간 1톤을초과하는경우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을신고해야한다. 제품기준은소비자가최종적으로사용하고소비자에게화학물질노출을유발할가능성이있는혼합물로이루어진제품이해당된다. 유해화학물질기준은화평법에따라지정 / 고시된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이해당된다. 해당제품에함유된화학물질의명칭, 함량, 유해성정보, 제품내화학물질의용도등을신고해야한다. 1 신고대상확인절차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신고가필요한신고대상확인절차는다음 < 그림 2.1.4> 과같다. - 59 -

< 그림 2.1.4> 신고대상확인절차 다음은신고시작성항목과구체적내용을나타낸것이다. < 신고사항 > 작성항목유해화학물질명고유번호 (CAS No. 등 ) 유해화학물질분류및유해성정보제품내유해화학물질의용도 ( 기능 ) 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명 작성내용제품내중량비율이 0.1퍼센트를초과하고연간누적량이 1톤을초과하는유해화학물질의명칭과함께해당물질이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그밖에유해성또는위해성이있거나그러할우려가있는화학물질에해당되는지를확인후표기유해화학물질의 CAS No. 와고시된고유번호등을기재하며, 부여되지않은물질의경우 부여받지않음 이라고기재유해화학물질의분류및유해성에관한정보의유무여부를체크하고필요시별도의증빙자료제출가능신고대상인유해화학물질의제품내에서가지는용도나기능을기재 당해유해화학물질이다수의제품에함유되어제품내에서각기다른용도와기능가지는경우모두기재신고대상유해화학물질이함유된제품명을모두기재 ( 예. 00페인트적색, 무광반투명락카스프레이등 ) - 60 -

작성항목제품에함유된유해화학물질함량 (%) 제품의용도제품에함유된유해화학물질연간총량 ( 톤 ) 자료보호신청여부 작성내용유해화학물질의함유제품내함량 (%) 을기재 당해유해화학물질이다수의제품에함유되어있는경우모든제품별함량을나열하여기재제품의사용용도를기재 다수의제품에함유되어있을시신고대상제품별용도를나열하여기재제품내중량비율이 0.1퍼센트를초과하는유해화학물질의연간총량을기재법제45조1항에따른자료보호여부를결정한후해당란에표기 < 제공자정보 > 작성항목상호 ( 명칭 ) 사업자등록번호성명 ( 대표자 ) 담당자성명및연락처소재지 ( 사업장 ) 작성내용사업등록증에표시된제공자상호 ( 법인 ) 의명칭을기재사업자등록증에표시된사업자등록번호를기재사업자등록증에표시된대표자의성명을기재 대표자가다수인경우모두의성명을기재정보제공업무를담당하는자의성명및연락처, 이메일주소를기재사업자등록증에표시된사업장소재지의주소및대표연락처 / 팩스번호를기재 < 제품정보 > 작성항목제품명함유된유해화학물질명고유번호 (CAS No. 등 ) 함량또는함량범위 (%) 사용가능용도사용제한용도 작성내용신고증을교부받은유해화학물질함유제품으로서양수자나소비자에게양도하는제품의명칭을기재제품내에함유되어신고증을받은유해화학물질명을기재하고해당물질이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기타유해성또는위해성이있거나그러할우려가있는화학물질인지여부를확인하여표시유해화학물질의 CAS No. 와고시된고유번호등을기재하며, 부여되지않은물질의경우 부여받지않음 이라고기재제품내의유해화학물질이전체중량에서차지하는함량 (%) 또는함량범위를기재신고된제품내의유해화학물질의용도를상세하게기재신고된제품내유해화학물질의사용이불가능한용도를기재 해당물질이허가물질또는제한물질로지정 고시된경우사용이제한되거나불가능한용도를기재 - 61 -

< 안전사용정보 > 작성항목올바른사용방법올바른사용조건저장및보관방법폐기방법노출시대처방법 작성내용 기재된제품의사용가능용도를고려하여일상적이고통상적인조건에서올바르고안전하게사용할수있는방법을구체적으로기재제품을올바르고안전하게사용할수있는주변환경의적정조건 ( 최적사용온도등 ) 을기재사용가능용도와사용조건을고려하여제품을안전하게사용할수있는저장및보관조건 ( 상한 / 하한온도등 ), 방법등을기재성상에따른제품의적절하고안전한폐기방법을상세히기재제품내유해화학물질에노출될수있는가능한상황을제시하고그대처방법을기재 2 위해우려제품지정 ( 법 33조 ) 세정제, 방향제, 접착제, 광택제, 합성세제, 표백제등일반소비자들이주로생활용으로사용하는제품과방충제, 소독제, 방부제등의바이오사이드중에서제품의품목별위해성평가를실시하여위해여부를결정한후위해우려제품을지정한다. 3 제품의안전기준과표시기준 ( 법 34조 ) 위해성평가결과에따라위해우려제품의품목별위해성등에관한안전표시기준을고시 ( 기준 ) 한다. 제품에사용할수없는유해화학물질을지정하거나제품내유해화학물질의함유량용출량발산량등의기준을고시한다. (3) 농약및의약외품의평가 ( 가 ) 농약관리법에따른농약및원제의등록시험기준 1 농약의인축독성시험성적서검토기준 ( 제3조제2항제3호관련 ) 급성독성 피부자극성 안점막자극성 유전독성 반복투여경구독성 만성반복투여경구독성 발암성 기형독성및번식독성 - 62 -

2 환경생물에미치는영향검토시단계별시험내용 환경생물종 검토단계별시험내용 제 1 단계제 2 단계제 3 단계기타 어류급성독성시험 미꾸리야외포장 어류생육초기독성 어류생활사독성 - 수생생물종 생물농축성시험 1) 모의생태계시험 - 물벼룩급성유영저해시험번식독성시험모의생태계시험 - 藻類생장저해시험 - - - 鳥類 급성경구독성시험급성식이독성시험 번식독성시험 2) 야외시험 3) 농축성시험 지렁이급성독성시험번식독성시험야외시험 3) 농축성시험 육생생물종 꿀벌 급성접촉, 섭식독성시험 엽상잔류독성시험 4) 야외시험 3) - 누에실내독성시험 - 殘毒시험3) - 천적실내시험반야외시험3) 야외시험3) - 주 : 1) n-옥탄올 / 물분배계수 (log Pow) 값이 3.0이상인경우 2) 생물축적성을고려할필요가있는경우 3) 농약품목으로실시 4) 위해지수값 (HQ) 이 50이상인경우. 다만, 급성독성 100μg /bee 이상인경우제외 (2종이상의유효성분으로된농약의경우에는위해지수값을유효성분별로평가한다 ) (2) 방역용살충제의관리 ( 의약외품 ) 1. 기원또는발견및개발경위에관한자료 2. 구조결정 / 물리화학적성질에관한자료가. 구조결정나. 물리화학적성질등다. 기준및시험방법에관한자료 3. 안정성에관한자료장기보존시험또는가속시험자료 4. 독성에관한자료가. 단회투여독성시험자료 (1) 경구, 경피, 흡입 (2) 단회경구및경피독성시험이불가능하고주노출경로가흡입인경우는 - 63 -

단회흡입독성시험자료만제출. (3) 주성분의증기압이 10-3 mmhg (20 ) 이하이거나, 호흡기계를통하여노출이우려되지않는제제에대해서는흡입독성시험자료생략나. 반복투여독성시험자료 ( 단회투여독성시험자료와조건동일 ) 다. 생식ㆍ발생독성시험자료라. 유전독성시험자료마. 발암성시험자료바. 기타독성시험자료 ( 국소독성, 신경독성, 항원성 ) (1) 국소독성시험자료는전염병예방용살균 살충제중피부또는점막에직접적용되거나직접적용하지않더라도쉽게접촉될수있는경우제출한다. (2) 신경독성시험자료는전염병예방용살균 살충제중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활성저해를일으키거나일으킬우려가있는경우제출한다. (3) 항원성시험자료는전신적으로노출되는전염병예방용살충제의경우제출하여야하며, 피부감작성시험자료는피부에노출될가능성이있는경우제출한다. 사. 환경유해성시험자료 (1) 어독성시험등생태독성시험자료 (2) 잔류성시험자료사용방법, 제형 ( 예기피제등 ) 또는독성시험결과에따라잔류물의유해성이우려되지않는경우면제 (3) 생물농축성시험자료옥탄올 / 물분배계수가낮은경우 (log Pow 3) 에는면제 5. 효력에관한자료 6.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관한자료 7. 외국의사용현황등에관한자료 8. 국내유사제품과의비교검토및당해의약외품의특성에관한자료 라. 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방안 EU는바이오사이드의관리를위한법을제정하고이를엄격히분리하여관리하고있으나국내여건상지금당장이러한관리를하는것은매우어렵다. 향후에는유럽에서처럼 positive 목록을만들어이목록에등재되지못한물질은시장에서유통판매를금지시키는것이필요할수있으나이는아직시기상조라판단되어, 국내유통시장을감안하여위해우려물질을목록화하고, 순차적으로위해성평가를수행하여위해우려가매우높은물질의경우는시장허가를불허하도록유도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본지침에서는유럽의바이오사이드의분류체계를검토한결과를바탕으로국내의분류체계를제안하고, 위해우려물질목록결과를제시하여, 향후정책결정에도움을주고자한다. - 64 -

(1) 국내의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 국내의경우바이오사이드가각부처별로관련법규와대상범위를달리하여관리되고있는실정으로, 통합적인관리가어려운상황이다.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약사법에따라구제제, 살균제, 살충제, 기피제및유인제, 살서제등이관리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목재방부제를관리하고있다. 환경부에서도먹는물관리법에따라식수수처리제를, 화평법하에서방부제, 방충제, 소독제등이관리되고있다. 제품유형별바이오사이드의관리현황은 < 표 2.1.11> 와같다. 표 2.1.11 제품유형별한국의관리현황 소관부처관리법률및규칙제품유형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약사법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 구제제, 살균제, 살충제, 기피제및유인제, 살서제동물위생용바이오사이드, 축사소독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의방부 방충처리기준 목재방부제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관리법 방오제 환경부 먹는물관리법 식수수처리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위생법 식품용기 포장살균제 환경부 화학물질의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 방부제, 방충제, 소독제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홈페이지 3-4) (http;//www.law.go.kr/main.html). 제품군분류는크게 EU의분류체계를따르되, 이중타부처관리법하에있는제품군즉, 화장품, 농약, 의약품및의약외품을제외하였고, 더불어바이오사이드처리제품도제외하였다. 그러나유효성분관리가미흡하여관리가필요하다고여겨지는목재방부제와 In-can 방부제등은분류체계에포함시켰다. 제품분류체계는 : 살균 / 소독제, 방부제 / 보존제, 기타, 미분류의 4가지대분류로나누고, 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In-can 방부제, 필름방부제, 목재방부제, 섬유 / 가죽 / 고무 / 중합체용방부제, 석조물보존제, 냉각 / 가공계보존제, Slimicides, 금속세공용방부제, 방오제등 13개의중분류로구분하였다 < 표 2.1.12>. - 65 -

< 표 2.1.12> 국내유통을감안한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인체위생용소독제 세탁용합성세제세탁용표백제섬유용얼룩제거제섬유유연제홈드라이클리닝영유아용물휴지일반물휴지 살균 / 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식기세척용세제오븐용세제렌지후드용세제주방청소용세제욕실용세제변기용세제가구용세제거실용세제 ( 카페트용 ) 가죽용세제구두용세제금속용세제표면용세제스티커 / 접착제제거제건물바닥용세제곰팡이제거제배수관용세제가습기용세제에어컨용세제유리용세제자동차용세제다용도세제수처리제탈취제세탁조용세제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냉장고탈취제 In-can 방부제 In-can 방부제 필름방부제 필름방부제방부제 / 보존제 목재방부제 목재용방부제스테인류페인트 방부제 / 보존제 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 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 석조물보존제 석조물보존제 냉각 / 가공계보존제 냉각 / 가공계보존제 Slimicides Slimicides 금속세공용방부제 금속세공용방부제방부제 / 보존제 기타 방오제 방오도료 미분류 미분류 방부제 / 보존제 - 66 -

(2) 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 가 ) 국내유통유효성분목록작성 국내에서기준물질의유통이확인되거나유통될것으로추정되는물질은 272종으로확인되었다. 다음과같은절차에따라국내유통유효성분목록을제안하고자한다. 1단계 : EU BPD에서제시한전체 324 물질목록중, CAS 번호가없는 12개의물질을제외한 313종의물질선정 < 표 2.1.13 > 선정한 313 개물질목록 No 물질명 (EINECS and/or others) CAS 번호 EU 기준물질별유통 Product type 확인 1 (±)-1-(.beta.-allyloxy-2,4-dichlorophenylethyl)imidazole / Technical grade imazalil 73790-28-0 2,4,8,13 2 (2-bromo-2-nitrovinyl)benzene 7166-19-0 6,11,12,13 O 3 (benzothiazol-2-ylthio)methyl thiocyanate 21564-17-0 2,4,6,7,10,11,13,21 O 4 (benzyloxy)methanol 14548-60-8 2,9,10,11 O 5 (E)-1-(2-Chloro-1,3-thiazol-5-ylmethyl)-3-methyl-2 -nitroguanidine / Chlothianidin 210880-92-5 3,8 O 6 (E)-2-Octadecenal 51534-37-3 19 7 (E,Z)-2,13-Octadecadienal 99577-57-8 19 8 (ethylenedioxy)dimethanol 3586-55-8 3,4,9 O 9 (R)-p-mentha- 1,8-diene 5989-27-5 12,18,19 O 10 (RS)-3-allyl-2-methyl-4-oxocyclopent-2-enyl-(1RS,3RS;1RS,3SR)-2,2-dimethyl-3-(2-m 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oxylate (all isomers; ratio: 1:1:1:1:1:1:1:1) / 584-79-2 18 O Allethrin 11 (S)-3-allyl-2-methyl-4-oxocyclopent-2-enyl(1R,3R)-2,2-dimethyl-3-(2-methylprop-1-en yl)-cyclopropanecarboxylate (only 1R trans, 1S isomer) / S-Bioallethrin 28434-00-6 18 O 12 (Z,E)-tetradeca-9,12-dienyl acetate 30507-70-1 19 13.alpha.,.alpha.,.alpha.-Trifluoro-N-methyl-4,6-dinitro-N-(2,4,6-tribromophenyl)-o-tolui dine / Bromethalin 63333-35-7 14 O 14.alpha.,.alpha.',.alpha.''-trimethyl- 1,3,5-triazine-1,3,5(2H,4H,6H)-triethanol 25254-50-6 9 O 15.alpha.-cyano-3-phenoxybenzyl [1R-[1.alpha.(S*),3.alpha.]]-3-(2,2-dibrom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52918-63-5 8,18 O / Deltamethrin 16.alpha.-cyano-3-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Cypermethrin 52315-07-8 9 O 17.alpha.-cyano-4-fluoro-3-phenoxybenzyl [1.alpha.(S*),3.alpha.]-(±)-3-(2,2-dichlorovinyl)-2,2- 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86560-93-2 18 O 18.alpha.-cyano-4-fluoro-3-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Cyfluthrin 68359-37-5 8 O 19 [1.alpha.(S*),3.alpha.]-(.alpha.)-cyano-(3-phenoxyphenyl)methyl 3-(2,2-dichloroethenyl)-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67375-30-8 6,8,9 O alpha-cypermethrin 20 1-(4-(2-cloro-a,a,a-p-trifluorotolyloxy)-2-fluorophenyl)-3-(2,6-difluorobenzolyl)urea / Flufenoxuron 101463-69-8 8,18 O 21 1,2-benzisothiazol-3(2H) -one 2634-33-5 7,10,22 O 22 1,3-bis(hydroxymethyl)-5,5-dimethylimidazolidine-2,4-dione 6440-58-0 2,11,12 O 23 1,3-bis(hydroxymethyl)urea 140-95-4 2,6,9,11,12,13 O 24 1,3-dibromo-5,5-dimethylhydantoin 77-48-5 2,11,12 O 25 1,3-dichloro-5,5-dimethylhydantoin 118-52-5 2,12 O 26 1,3-dichloro-5-ethyl-5-methylimidazolidine-2,4-dione 89415-87-2 2,12 O 27 1,3-didecyl-2-methyl-1H-imidazolium chloride 70862-65-6 2,3,4,6,7,10,11,12,13 28 1,4-dichlorobenzene 106-46-7 18,19 O 29 1-[ 1,3-bis(hydroxymethyl)-2,5-dioxoimidazolidin-4-yl] -1,3-bis(hydroxymethyl)urea / Diazolidinylurea 78491-02-8 6,7 O 30 1-[[2-(2,4-dichlorophenyl)-4-propyl-1,3-dioxolan-2-yl]methyl]-1H-1,2,4-triazole / Propiconazole 60207-90-1 1,2,4,8,10,12,13,20 O 31 1-[2-(allyloxy)-2-(2,4-dichlorophenyl)ethyl] -1H-imidazole / Imazalil 35554-44-0 2,4,8,13,20 O 32 2-(1-methyl-2-(4-phenoxy-phenoxy)-ethoxy)-pyridine / Pyriproxyfen 95737-68-1 3 O 33 2-(2-butoxyethoxy)ethyl 6-propylpiperonyl ether / Piperonyl butoxide 51-03-6 19 O 34 2,2',2"-(hexahydro-1,3,5-triazine-1,3,5-triyl)triethanol 4719-04-4 2,3,4,9 O 35 2,2-dibromo-2-cyanoacetamide 10222-01-2 1,3,5,7,9,10 O 36 2,2'-dithiobis[N-methylbenzamide] 2527-58-4 7,9,12,13 O - 67 -

37 2,4,8,10-tetra(tert-butyl)-6-hydroxy-12H-dibenzo[d,g][1,3,2]dioxaphosphocin 6-oxide, sodium salt 85209-91-2 1 O 38 2,4-dichlorobenzyl alcohol 1777-82-8 2,6,7,9,10,12,13 O 39 2,6-dimethyl- 1,3-dioxan-4-yl acetate 828-00-2 2,6,11,12,13 O 40 2-bromo-1-(4-hydroxyphenyl)ethan-1-one 2491-38-5 2,6,9,11,12 41 2-bromo-2-(bromomethyl)pentanedinitrile 35691-65-7 7,9,10,11,13 O 42 2-Butanone, peroxide 1338-23-4 9,22 O 43 2-chloroacetamide 79-07-2 3,6,7,9,10,11,13 O 44 2-hydroxy-4-isopropyl-2,4,6-cycloheptatrien-1-one 499-44-5 10 O 45 2-methyl-2H-isothiazol-3 -one 2682-20-4 2,4,7,9,10,22 O 46 2-octyl-2H-isothiazol-3 -one 26530-20-1 4,8,12 O 47 2-Phenoxyethanol 122-99-6 7,10,11 O 48 3-(4-isopropylphenyl)-1,1-dimethylurea / Isoproturon 34123-59-6 6,9,11,12,13,18,21 O 49 3,3'-methylenebis[5-methyloxazolidine] / Oxazolidin 66204-44-2 10 O 50 3-benzo(b)thien-2-yl-5,6-dihydro-1,4,2-oxathiazine,4-oxide 163269-30-5 4,6,7,8,9,10,13,21 O 51 3-iodo-2-propynyl butylcarbamate / IPBC 55406-53-6 8,11,18 O 52 3-phenoxybenzyl (1R)-cis,trans-2,2-dimethyl-3-(2-m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oxylate / 188023-86-1 2 d-phenothrin 53 3-phenoxybenzyl-2-(4-ethoxyphenyl)-2-methylpropylether / Etofenprox 80844-07-1 2,3,8 O 54 4,4-dimethyloxazolidine 51200-87-4 11 O 55 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 DCOIT 64359-81-5 6,8,12 O 56 4,5-dichloro-3H-1,2-dithiol-3-one 1192-52-5 2,6,9,11,12 O 57 4-Bromo-2-(4-chlorophenyl)-1-(ethoxymethyl)-5-(trifluoromethyl)-1H-pyrrole-3-carbo nitrile / Chlorfenapyr 122453-73-0 6,7,9,10,12,13,21 O 58 5,5-dimethyl-perhydro-pyrimidin-2-one.alpha.-(4-trifluoromethylstyryl)-.alpha. -(4- trifluoromethyl)cinnamylidenehydrazone / Hydramethylnon 67485-29-4 18 O 59 5-chloro-2-(4-chlorphenoxy)phenol 3380-30-1 6,9 O 60 6-(phthalimido)peroxyhexanoic acid 128275-31-0 11,12 O 61 7a-ethyldihydro-1H,3H,5H-oxazolo[3,4-c]oxazole 7747-35-5 11,12 O 62 Abamectin (Mixture of Avermectin B1a; > 80%, EINECS 265610-3; and Avermectin B1b; < 20% EINECS 265-611-9) 71751-41-2 16,18 O 63 Acrolein 107-02-8 12 O 64 Alumin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20859-73-8 8,14,18,20 O 65 Aluminium sodium silicate-silver complex / Silver zeolite 130328-18-6 6,7,13 66 Aluminium sodium silicate-silver zinc complex / Silver-Zinc-Zeolite 130328-20-0 1,6 67 Amines, C10-16-alkyldimethyl, N-oxides 70592-80-2 1 O 68 Amines, n-c10-16-alkyltrimethylenedi-, reaction products with chloroacetic acid 139734-65-9 1,6,7,10,11,12,13 O 69 Amitraz 33089-61-1 18 O 70 Ammonium bromide 12124-97-9 2,4,6,7,9 O 71 Anthraquinone 84-65-1 19 O 72 Bacillus sphaericus 143447-72-7 2 73 Basic Copper carbonate 12069-69-1 8 O 74 Bendiocarb 22781-23-3 18 O 75 Benzethonium chloride 121-54-0 1 O 76 Benzoic acid 65-85-0 1,2,6,11,20 O 77 Benzothiazole-2-thiol 149-30-4 2,7,8,9,11,12,13 O 78 Benzoxonium chloride 19379-90-9 1,9 O 79 Benzyl benzoate 120-51-4 2,18,19 O 80 Bifenthrin 82657-04-3 8 O 81 Bioresmethrin 28434-01-7 18 O 82 Bis(1-hydroxy-1H-pyridine-2-thionato-O,S)copper 14915-37-8 9 O 83 Bis(3-aminopropyl)octylamine 86423-37-2 2,3,4,11,12,13 84 Bis(tributyltin) oxide 56-35-9 8 O 85 Bis(trichloromethyl) sulphone 3064-70-8 6,9,10,11,12,22 O 86 Bis[1-cyclohexyl-1,2-di(hydroxy-.kappa.O)diazeniumato(2-)]-copper 312600-89-8 2,6,11,12,21 87 Bone oil / Animal oil 8001-85-2 19 O 88 Boric acid 10043-35-3 1,2,3,6,7,8,9,10,11,12, 13,18,22 O 89 Boric oxide 1303-86-2 8 O 90 Brodifacoum 56073-10-0 14 O 91 Bromadiolone 28772-56-7 14 O 92 Bromine chloride 13863-41-7 2,12 O 93 Bromochloro-5,5-dimethylimidazolidine-2,4-dione 32718-18-6 3,4,5,6,9,13 O 94 Bronopol 52-51-7 1,3,4,7,10,13 O 95 Calcium dihexa-2,4-dienoate 7492-55-9 1,3,6,7,8,9,20 O 96 Calcium dihydroxide / calcium hydroxide / caustic lime / hydrated lime / slaked lime 1305-62-0 18 O - 68 -

97 Calcium hypochlorite 7778-54-3 1 O 98 Calcium magnesium oxide / dolomitic lime 37247-91-9 18 O 99 Calcium magnesium tetrahydroxide / calcium magnesium hydroxide / hydrated dolomitic lime 39445-23-3 18 O 100 Calcium oxide / lime / burnt lime / quicklime 1305-78-8 18 O 101 Captan 133-06-2 6,7,9,10,21 O 102 Carbendazim 10605-21-7 6,11,12,13 O 103 Carbon dioxide 124-38-9 14,15,18,20 O 104 Cetylpyridinium chloride 123-03-5 1,3,4,5,6,7,8,9,20,21 O 105 Chloralose 15879-93-3 14,15,23 O 106 Chlorine dioxide 10049-04-4 16,20 O 107 Chlorocresol 59-50-7 4,10 O 108 Chloromethyl n-octyl disulfide 180128-56-7 21 109 Chlorophacinone 3691-35-8 14 O 110 Chlorothalonil 1897-45-6 6,7,8,9,10,21 O 111 Chlorotoluron 15545-48-9 6,7,9,10,11,12,13,21 O 112 Chloroxylenol 88-04-0 1,2,3,4,5,6 O 113 Chlorpyrifos 2921-88-2 18 O 114 Chlorpyrifos-methyl 5598-13-0 18 O 115 Chromium trioxide 1333-82-0 8 O 116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ext. 89997-63-7 19 117 cis-1-(3-chloroallyl) -3,5,7-triaza- 1-azoniaadamantane chloride 51229-78-8 9,12 O 118 Cis-4-[3-(p-tert-butylphenyl)-2-methylpropyl] -2,6-dimethylmorpholine / Fenpropimorph 67564-91-4 6,7,8,9,10,12,13,21 O 119 Cis-tricos-9-ene 27519-02-4 18 O 120 Citric acid 77-92-9 2,3 O 121 Clorophene 120-32-1 1,4,6 O 122 Copolymer of 2-propenal and propane-1,2-diol 191546-07-3 6,7,10,13 123 Copper 7440-50-8 2,4,5,11 O 124 Copper (II) hydroxide 26427-59-2 8 125 Copper (II) oxide 1317-38-0 8 O 126 Copper sulphate 7758-98-7 1,4,8 O 127 Coumatetralyl 5836-29-3 14 O 128 Creosote 8001-58-9 8 O 129 Cyclohexylhydroxydiazene 1-oxide, potassium salt / K-HDO 66603-10-9 6,7,8,9,10,11,12,13 130 Dazomet 533-74-4 7,8,9,10,11 O 131 DDACarbonate 894406-76-9 8 132 D-gluconic acid, compound with N,N''-bis(4-chlorophenyl)-3,12-diimino-2,4,11,13-tetraazatetradecanediamidine (2:1) 18472-51-0 4,6 O 133 Diarsenic pentaoxide 1303-28-2 8 O 134 Dichlofluanid 1085-98-9 8,10 O 135 Dichloro-N-[(dimethylamino)sulphonyl]fluoro-N-(p-tolyl)methanesulphenamide / Tolylfluanid 731-27-1 8,10 O 136 Dichlorophen 97-23-4 2,3,4,6,7,9,10,11,12,13 O 137 Dicopper oxide 1317-39-1 8 O 138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7173-51-5 7,9,13,16,18 O 139 Difenacoum 56073-07-5 14 O 140 Difethialone 104653-34-1 14 141 Dimethoate 60-51-5 18 O 142 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 27668-52-6 10,21 O 143 Diphacinone 82-66-6 14 O 144 Diphenoxarsin-10-yl oxide 58-36-6 9 O 145 Dipotassium disulphite 16731-55-8 1,2,4,5,6,9,11,12,13,20,21,22 O 146 Dipyrithione 3696-28-4 9 O 147 Disodium cyanodithiocarbamate 138-93-2 2,9,11,12 O 148 Disodium disulphite 7681-57-4 1,2,4,5,6,9,11,12,13,20,21,22 O 149 Disodium octaborate tetrahydrate 12280-03-4 1,2,3,6,7,8,9,10,11,12, 13,18 O 150 Disodium tetraborate, anhydrous 1330-43-4 1,2,7,8,9,10,11,13,18 O 151 Diuron 330-54-1 6,21 O 152 Dodecylguanidine monohydrochloride 13590-97-1 1,2,7,8,9,10,12,16,21,2 2 O 153 Esfenvalerate / (S)-.alpha.-Cyano-3-phenoxybenzyl (S)-2-(4-chlorophenyl)-3 -methylbutyrate 66230-04-4 3,8 O 154 Ethanol 64-17-5 3,5,6,8,9,11,18,19,20,2 2 O - 69 -

155 ethyl [2-(4-phenoxyphenoxy)ethyl]carbamate / Fenoxycarb 72490-01-8 8,18 O 156 Ethylene oxide 75-21-8 20 O 157 Fatty acids, coco, reaction products with diethanolamine 68440-04-0 3 O 158 Fenitrothion 122-14-5 3,8,18 O 159 Fipronil 120068-37-3 8,18 O 160 Flocoumafen 90035-08-8 14 O 161 Fluometuron 2164-17-2 6,7,9,10,11,12,13,21 O 162 Formaldehyde 50-00-0 1,4,5,6,9,11,12,13,18,2 1,23 O 163 Formic acid 64-18-6 1,8,9,13,18 O 164 Gamma-HCH or Gamma-BHC / Lindane / 1,2,3,4,5,6-hexachlorocyclohexane 58-89-9 3 O 165 Garlic ext. 8008-99-9 3,4,5,18,19 166 Glutaral 111-30-8 7,9,10,22 O 167 Glycollic acid 79-14-1 12 O 168 Glyoxal 107-22-2 6,12 O 169 Guazatine triacetate 115044-19-4 2,8 O 170 Hexa-2,4-dienoic acid / Sorbic acid 110-44-1 1,2,3,4,5,7,8,9,10 O 171 Hexaboron dizinc undecaoxide / Zinc borate 12767-90-7 8,9 O 172 Hexafluorosilicic acid 16961-83-4 8 O 173 Homopolymer of 2-ter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EINECS 223-228-4) 26716-20-1 2,4,5,6,7,8,9,10,11,12, 13,21 174 Hydroxyl-2-pyridone 822-89-9 2,6,9,10,11,12,13 175 Imidacloprid 138261-41-3 18 O 176 Indoxacarb 173584-44-6 18 O 177 Iodine 7553-56-2 2,4,5,6,7,8,9,10,11,21 O 178 Juniper, Juniperus mexicana, ext. 91722-61-1 19 179 L-(+)-lactic acid 79-33-4 1,8,13,20 O 180 Lambda-cyhalothrin 91465-08-6 18 O 181 Lavender, Lavandula hybrida, ext. / Lavandin oil 91722-69-9 18 O 182 Lignin 9005-53-2 1,2,3,4,6,7,8,9,10,11,1 2,13,19,21 O 183 Linalool 78-70-6 19 O 184 Magnesium monoperoxyphthalate hexahydrate 84665-66-7 3,4 O 185 Magnes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12057-74-8 8,14,18,20,23 O 186 Malathion 121-75-5 18 O 187 Margosa extract 84696-25-3 1,3,8,9,18 188 m-cresol 108-39-4 2,3 O 189 Mecetronium ethyl sulphate 3006-10-8 2 190 Melaleuca alternifolia, ext. / Australian Tea Tree Oil 85085-48-9 1,2,3,19 191 Metam-sodium 137-42-8 2,4,6,12,13,20 O 192 Methenamine 3-chloroallylochloride 4080-31-3 9 O 193 Methomyl 16752-77-5 18 O 194 Methyl anthranilate 134-20-3 19 O 195 Methyl neodecanamide 105726-67-8 19 196 Methyl nonyl ketone 112-12-9 19 O 197 Methylene dithiocyanate 6317-18-6 2,6,7,9,10,11,13,22 O 198 Metofluthrin 240494-70-6 18 199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55965-84-9 3,7,9,10 O 200 Mixture of cis- and trans-p-menthane-3,8 diol / Citriodiol 42822-86-6 1,2 201 Mixture of: (C8-18)alkylbis(2-hydroxyethyl)ammonium bis(2-ethylhexyl)phosphate;(c8-18)alkylbis(2-hydroxyethyl)ammonium 68132-19-4 6,7,9 2-ethylhexylhydrogenphosphate 202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27083-27-8 12,22 O 203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32289-58-0 12,22 O 204 m-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Permethrin 52645-53-1 2,3,5,19,22 O 205 N-(2-ethylhexyl)-8,9,10-trinorborn-5-ene-2,3-dicarboximide 113-48-4 18 O 206 N-(3-aminopropyl)-N-dodecylpropane-1,3-diamine 2372-82-9 1,9,10 O 207 N-(trichloromethylthio)phthalimide / Folpet 133-07-3 6,10,21 O 208 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bis(2-chloroethyl)ether copolymer 31075-24-8 2,9,11,12,13,16 O 209 N,N-diethyl-m-toluamide / DEET 134-62-3 19,22 O 210 N,N'-methylenebismorpholine 5625-90-1 9,11 O 211 Nabam 142-59-6 2,4,6,9,10,11,12,13 O 212 Naphthalene 91-20-3 19 O 213 Naphthenic acids, copper salts 1338-02-9 8 O - 70 -

214 N-cyclopropyl-1,3,5-triazine -2,4,6-triamine 66215-27-8 2,3 O 215 N-Didecyl-N-dipolyethoxyammonium borate / Didecylpolyoxethylammonium borate 214710-34-6 2,6,9,10,11,12,13 216 Nitrogen 7727-37-9 18 O 217 Nitromethylidynetrimethanol 126-11-4 2,3,6,11,12,13 O 218 Nonanoic acid 112-05-0 19 O 219 N'-tert-butyl-N-cyclopropyl-6-(methylthio)-1,3,5-triazine-2,4-diamine 28159-98-0 7,9,10 O 220 Oct-1-ene-3-ol 3391-86-4 19 O 221 Octanoic acid 124-07-2 19 O 222 Oligo(2-(2-ethoxy)ethoxyethylguanidinium chloride) 374572-91-5 1,2,3,4,5,6,7,9,10,11,1 2,13,20,21 O 223 Orthophosphoric acid 7664-38-2 4 O 224 Oxine-copper 10380-28-6 8 O 225 p-[(diiodomethyl)sulphonyl]toluene 20018-09-1 12,13 O 226 Pentapotassium bis(peroxymonosulphate) bis(sulphate) 70693-62-8 1,11,12 O 227 Peroxyoctanoic acid 33734-57-5 11,12 O 228 Phoxim 14816-18-3 18 O 229 Phthalaldehyde 643-79-8 1,2,3,4,6,11,12,13 O 230 Pine oil 8002-09-3 2 O 231 Pirimiphos-methyl 29232-93-7 18 O 232 Poly(hexamethylendiamine guanidinium chloride) 57028-96-3 1,2,3,4,5,6,7,9,10,11,1 2,13,20,21 O 233 Poly(hexamethylenebiguanide) 91403-50-8 10 234 Poly(oxy-1,2-ethanediyl),.alpha.-[2- (didecylmethylammonio)ethyl]-.omega.-hydroxy-, propanoate (salt) 94667-33-1 3,6,9,11,12,13 O 235 Polymer of N-Methylmethanamine (EINECS 204-697-4 with (chloromethyl)oxirane (EINECS 203-439-8) /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hloride 25988-97-0 12 O 236 Polyvinylpyrrolidone iodine 25655-41-8 2,4,5,6,7,9,10,11 O 237 Potassium (E,E)-hexa-2,4-dienoate 24634-61-5 1,2,3,4,5,7,9,10 O 238 Potassium dimethyldithiocarbamate 128-03-0 2,4,6,10,13 O 239 Potassium methyldithiocarbamate 137-41-7 2,9,11,12 O 240 Potassium permanganate 7722-64-7 5 O 241 Potassium sulphite 10117-38-1 1,2,4,5,6,9,11,12,13,20,21,22 O 242 Prometryn 7287-19-6 6,7,9,10,11,12,13,21 O 243 Propan-1-ol 71-23-8 3 O 244 Propan-2-ol 67-63-0 3,5,6,8,9,10,11,12,18,1 9 O 245 Propoxur 114-26-1 18 O 246 Pyridine-2-thiol 1-oxide, sodium salt 3811-73-2 4,11,12 O 247 Pyrithione zinc 13463-41-7 13 O 248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2-[[2-[(2-carboxyethyl)(2 hydroxyethyl)amino]ethyl] amino]-2-oxoethyl]coco alkyldimethyl, hydroxides, inner 100085-64-1 1,2,3,4,6,7,10,11,12,13 salts 249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4-alkyldimethyl, chlorides 85409-22-9 5,6,7,8,9,13,16,17,18,1 9,21 O 250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6-alkyldimethyl, chlorides 68424-85-1 6,7,9,13,18,19,21 O 251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chlorides 68391-01-5 5,6,7,8,9,13,16,17,18,1 9,21 O 252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salts with 1,2-benzisothiazol-3(2H)-one 1,1-dioxide (1:1) 68989-01-5 11,12 O 253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12-14-alkyl[(ethylphenyl)methyl]dimethyl, chlorides 85409-23-0 5,6,8,9,13,16,17,18,19, 21 254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di-c8-10-alkyldimethyl, chlorides 68424-95-3 7,8,9,13,16,22 O 255 Quaternary ammonium iodides 308074-50-2 1,2,3,4,5,6,7 256 Rape oil 8002-13-9 18 O 257 Reaction products of diisopropanolamine with formaldehyde(1:4) 220444-73-5 6,13 258 Reaction products of: glutamic acid and N-(C12-14-alkyl)propylenediamine 164907-72-6 1,3,18 259 S-[(6-chloro-2-oxooxazolo[4,5-b]pyridin-3(2H)-yl)methyl] O,O-dimethyl thiophosphate / Azamethiphos 35575-96-3 3 260 Salicylic acid 69-72-7 6 O 261 S-Hydroprene / Ethyl (S-(E,E))-3,7,11-trimethyldodeca-2,4-dienoate 65733-18-8 18 262 Silica, amorphous, crystalline-free 112945-52-5 18 O 263 Silicon dioxide - amorphous 7631-86-9 3,16,19,20 O 264 Silver phosphate glass (initially notified under 'Silver-zinc-aluminium-boronphosphate glass / Glass oxide, silver- and 398477-47-9 1,6 zinc-containing') 265 Sodium 2,4,6-trichlorophenolate 3784-03-0 2,3,6,9 O 266 Sodium 5-chloro-2-[4-chloro-2-[[[(3,4- dichlorophenyl)amino]carbonyl]amino]phenoxy]benzenesulph onate 3567-25-7 18 O O - 71 -

267 Sodium benzoate 532-32-1 1,2,6,11,20 O 268 Sodium bromide 7647-15-6 4,6,7,9,13,16 O 269 Sodium chlorate 7775-09-9 2,5,11,12 O 270 Sodium chloride 7647-14-5 5 O 271 Sodium chlorite 7758-19-2 2,3,4,5,11,12,16,20 O 272 Sodium dichloroisocyanurate dihydrate 51580-86-0 1,6,9 O 273 Sodium dichromate 10588-01-9 8 O 274 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128-04-1 2,3,4,5,6,10,13 O 275 Sodium hydrogen 2,2'methylenebis[4-chlorophenolate] 10187-52-7 2,3,4,6,7,9,10,11,12,13 276 Sodium hydrogencarbonate 144-55-8 1,3,16,18,19 O 277 Sodium hydrogensulphite 7631-90-5 1,2,4,5,6,9,11,12,13,20,21,22 O 278 Sodium hypochlorite 7681-52-9 6 O 279 Sodium lignosulfonate 8061-51-6 12 O 280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70161-44-3 7 O 281 Sodium p-chloro-m-cresolate 15733-22-9 4,10 O 282 Sodium pentachlorophenolate 131-52-2 8 O 283 Sodium sulphite 7757-83-7 1,2,4,5,6,9,11,12,13,20,21,22 O 284 Spinosad: fermentation product of soil micro-organisms containing Spinosyn A and Spinosyn D 168316-95-8 3,18 O 285 Stannane, tributyl-, mono(naphthenoyloxy) derivs. 85409-17-2 8 286 Sulfuryl fluoride 2699-79-8 8,18 O 287 Sulphur dioxide 7446-09-5 1,2,5,6,9,11,12,13,20,2 1,22 O 288 Symclosene 87-90-1 6,7,9 O 289 Tar acids, polyalkylphenol fraction 84989-05-9 2,3 O 290 Tebuconazole 107534-96-3 8 O 291 Terbuthylazine 5915-41-3 2,11,12 O 292 Tetrachlorodecaoxide complex 92047-76-2 3,5 293 Tetradonium bromide 1119-97-7 1 O 294 Tetrahydro-1,3,4,6-tetrakis(hydroxymethyl)imidazo[4,5-d]imidazole-2,5(1H,3H)-dione 5395-50-6 3,4,9,10 O 295 Tetrakis (hydroxymethyl)phosphonium sulphate(2:1) 55566-30-8 9 O 296 Thiabendazole 148-79-8 2,6,8,11,12,13,20,21 O 297 Thiacloprid 111988-49-9 8 O 298 Thiamethoxam 153719-23-4 3,8,9 O 299 Thiram 137-26-8 2,6,7,10,11,12 O 300 Tolnaftate 2398-96-1 9 O 301 Tosylchloramide sodium 127-65-1 1,6,9,10,11 O 302 Trans-isopropyl-3- [[(ethylamino)methoxyphosphinothioyl]oxy]crotonate 31218-83-4 18 O 303 Tributyltetradecylphosphonium chloride 81741-28-8 2,4,9,11,12 O 304 Triclocarban 101-20-2 1,2,4 O 305 Triclosan 3380-34-5 3 O 306 Trizinc diphosphide 1314-84-7 14 O 307 Troclosene sodium 2893-78-9 1,6,9 O 308 Urea, N,N'-bis(hydroxymethyl)-, reaction products with 2-(2-butoxyethoxy)ethanol, ethylene glycol and formaldehyde 90604-54-9 2,6,11,12,13 309 Warfarin 81-81-2 14 O 310 Warfarin sodium 129-06-6 14 O 311 Zinc oxide 1314-13-2 8 O 312 Zinc sulphide 1314-98-3 7,9,10,18,21 O 313 Ziram 137-30-4 2,6,7,9,10,11,12,19,21 O 2단계 : 위에서선정한 313개물질목록을중심으로국내에서해당물질의유통여부확인 - 우선, 국내법에의해관리되고있는화학물질은다음과같으며해당물질은국내에서모두유통되고있는것으로간주한다. -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따라관리되고있는화학물질은유독물 1551 종, 취급제한물질 58종, 취급금지물질 101종, 사고대비물질 69종, 관찰물질 66종으로총 1685종으로, 이중, 67종이 EU의 313개물질목록에포함된다. - 산업안전보건법에서관리하고있는화학물질은노출기준설정물질 589종,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186종, 관리대상물질 164종, 허가대상물질 11종, 제조금지물질 64종의총 791종 3-5) - 72 -

으로, 이중, 46 종이 EU 의 313 개물질목록에포함된다. - 식품위생법에근거한살균소독제 100종 3-6) 중, 19종이 EU의 313개물질목록에포함된다. - 농약관리법에서는식품의약품안전청의잔류농약데이터베이스를기준으로확인한결과총 42종의물질이 EU의 313개물질목록에해당된다. - 다음으로환경부의화학물질관련조사에서대상이된물질, 기존화학물질, 국내 MSDS 가등록되어있는물질을국내에서유통되는화학물질로보았다. - 환경부의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의경우, 조사대상물질 15,840종중, 187종의물질이 EU의물질목록에포함되었다. - 환경부화학물질배출이동량 (PRTR) 의 400여개조사대상화학물질중, 46종이 EU의 313개물질목록에포함되었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의독성정보시스템을통해 EU의 313개물질목록중총 51종이확인되었다. - 노동부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사이트의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에서 EU의 313 개물질목록중 193종이확인되었다. -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정보시스템 (NCIS) 에서 EU의 313개물질목록중총 243종이확인되었다. -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Kischem) 에서 EU의 313개물질목록중총 137종이확인되었다. 3단계 : 2단계까지의조건을종합하면 (< 표 2.1.14>) 총 264개물질이국내에유통되고있는것으로추정된다. 해당결과는 < 표 2.1.15> 에정리하였다. < 표 2.1.14> 국내유통바이오사이드추정물질수집계현황 구분 상세근거 물질 ( 종 ) 유해화학물질관리법 67 국내법 산업안전관리법 46 관리대상물질 식품위생법 ; 기구등살균소독제 19 잔류농약관리DB 등록물질 42 화학물질통계조사대상물질 특성정보 (MSDS) 및관리번호확인물질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 187 화학물질배출이동량조사 46 식품의약품안전청독성정보시스템 (toxinfo) 51 노동부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193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정보시스템 (ncis) 243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kischem) 137 계 264-73 -

< 표 2.1.15> 국내유통유효성분목록 264 종목록 번호 CAS No. 화학물질명 1 7166-19-0 (2-bromo-2-nitrovinyl)benzene 2 21564-17-0 (benzothiazol-2-ylthio)methyl thiocyanate 3 14548-60-8 (benzyloxy)methanol 4 210880-92-5 (E)-1-(2-Chloro-1,3-thiazol-5-ylmethyl)-3-methyl-2 -nitroguanidine / Chlothianidin 5 3586-55-8 (ethylenedioxy)dimethanol 6 5989-27-5 (R)-p-mentha- 1,8-diene 7 584-79-2 (RS)-3-allyl-2-methyl-4-oxocyclopent-2-enyl-(1RS,3RS;1RS,3SR)-2,2 -dimethyl-3-(2-m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oxylate (all isomers; ratio: 1:1:1:1:1:1:1:1) / Allethrin 8 28434-00-6 (S)-3-allyl-2-methyl-4-oxocyclopent-2-enyl(1R,3R)-2,2-dimethyl-3-( 2-m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oxylate (only 1R trans, 1S isomer) / S-Bioallethrin 9 63333-35-7.alpha.,.alpha.,.alpha.-Trifluoro-N-methyl-4,6-dinitro-N-(2,4,6-tribromoph enyl)-o-toluidine / Bromethalin 10 25254-50-6.alpha.,.alpha.',.alpha.''-trimethyl- 1,3,5-triazine-1,3,5(2H,4H,6H)-triethanol 11 52918-63-5.alpha.-cyano-3-phenoxybenzyl [1R-[1.alpha.(S*),3.alpha.]]-3-(2,2-dibromovinyl)-2,2-dimethylcyclopropa necarboxylate / Deltamethrin 12 52315-07-8.alpha.-cyano-3-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Cypermethrin 13 86560-93-2.alpha.-cyano-4-fluoro-3-phenoxybenzyl [1.alpha.(S*),3.alpha.]-(±)-3-(2,2-dichlorovinyl)-2,2- 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14 68359-37-5.alpha.-cyano-4-fluoro-3-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Cyfluthrin 15 67375-30-8 [1.alpha.(S*),3.alpha.]-(.alpha.)-cyano-(3-phenoxyphenyl)methyl 3-(2,2-dichloroethenyl)-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 xylate / alpha-cypermethrin 16 101463-69-8 1-(4-(2-cloro-a,a,a-p-trifluorotolyloxy)-2-fluorophenyl)-3-(2,6-difluor obenzolyl)urea / Flufenoxuron 17 2634-33-5 1,2-benzisothiazol-3(2H) -one 18 6440-58-0 1,3-bis(hydroxymethyl)-5,5-dimethylimidazolidine-2,4-dione 19 140-95-4 1,3-bis(hydroxymethyl)urea 20 77-48-5 1,3-dibromo-5,5-dimethylhydantoin 21 118-52-5 1,3-dichloro-5,5-dimethylhydantoin 22 89415-87-2 1,3-dichloro-5-ethyl-5-methylimidazolidine-2,4-dione 23 106-46-7 1,4-dichlorobenzene 24 78491-02-8 1-[ 1,3-bis(hydroxymethyl)-2,5-dioxoimidazolidin-4-yl] -1,3-bis(hydroxymethyl)urea / Diazolidinylurea 25 60207-90-1 1-[[2-(2,4-dichlorophenyl)-4-propyl-1,3-dioxolan-2-yl]methyl]-1H-1, 2,4-triazole / Propiconazole 26 35554-44-0 1-[2-(allyloxy)-2-(2,4-dichlorophenyl)ethyl] -1H-imidazole / Imazalil 27 95737-68-1 2-(1-methyl-2-(4-phenoxy-phenoxy)-ethoxy)-pyridine / Pyriproxyfen 28 51-03-6 2-(2-butoxyethoxy)ethyl 6-propylpiperonyl ether / Piperonyl butoxide 29 4719-04-4 2,2',2"-(hexahydro-1,3,5-triazine-1,3,5-triyl)triethanol 30 10222-01-2 2,2-dibromo-2-cyanoacetamide 31 2527-58-4 2,2'-dithiobis[N-methylbenzamide] 32 85209-91-2 2,4,8,10-tetra(tert-butyl)-6-hydroxy-12H-dibenzo[d,g][1,3,2]dioxaphosph ocin 6-oxide, sodium salt 33 1777-82-8 2,4-dichlorobenzyl alcohol 34 828-00-2 2,6-dimethyl- 1,3-dioxan-4-yl acetate 35 35691-65-7 2-bromo-2-(bromomethyl)pentanedinitrile 36 1338-23-4 2-Butanone, peroxide 37 79-07-2 2-chloroacetamide 38 499-44-5 2-hydroxy-4-isopropyl-2,4,6-cycloheptatrien-1-one 39 2682-20-4 2-methyl-2H-isothiazol-3 -one - 74 -

40 26530-20-1 2-octyl-2H-isothiazol-3 -one 41 122-99-6 2-Phenoxyethanol 42 34123-59-6 3-(4-isopropylphenyl)-1,1-dimethylurea / Isoproturon 43 66204-44-2 3,3'-methylenebis[5-methyloxazolidine] / Oxazolidin 44 163269-30-5 3-benzo(b)thien-2-yl-5,6-dihydro-1,4,2-oxathiazine,4-oxide 45 55406-53-6 3-iodo-2-propynyl butylcarbamate / IPBC 46 80844-07-1 3-phenoxybenzyl-2-(4-ethoxyphenyl)-2-methylpropylether / Etofenprox 47 51200-87-4 4,4-dimethyloxazolidine 48 64359-81-5 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 DCOIT 49 1192-52-5 4,5-dichloro-3H-1,2-dithiol-3-one 50 122453-73-0 4-Bromo-2-(4-chlorophenyl)-1-(ethoxymethyl)-5-(trifluoromethyl)-1H -pyrrole-3-carbonitrile / Chlorfenapyr 51 67485-29-4 5,5-dimethyl-perhydro-pyrimidin-2-one.alpha.-(4-trifluoromethylstyryl)-.alpha. -(4- trifluoromethyl)cinnamylidenehydrazone / Hydramethylnon 52 3380-30-1 5-chloro-2-(4-chlorphenoxy)phenol 53 128275-31-0 6-(phthalimido)peroxyhexanoic acid 54 7747-35-5 7a-ethyldihydro-1H,3H,5H-oxazolo[3,4-c]oxazole 55 71751-41-2 Abamectin (Mixture of Avermectin B1a; > 80%, EINECS 265610-3; and Avermectin B1b; < 20% EINECS 265-611-9) 56 107-02-8 Acrolein 57 20859-73-8 Alumin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58 70592-80-2 Amines, C10-16-alkyldimethyl, N-oxides 59 139734-65-9 Amines, n-c10-16-alkyltrimethylenedi-, reaction products with chloroacetic acid 60 33089-61-1 Amitraz 61 12124-97-9 Ammonium bromide 62 84-65-1 Anthraquinone 63 12069-69-1 Basic Copper carbonate 64 22781-23-3 Bendiocarb 65 121-54-0 Benzethonium chloride 66 65-85-0 Benzoic acid 67 149-30-4 Benzothiazole-2-thiol 68 120-51-4 Benzyl benzoate 69 82657-04-3 Bifenthrin 70 28434-01-7 Bioresmethrin 71 14915-37-8 Bis(1-hydroxy-1H-pyridine-2-thionato-O,S)copper 72 56-35-9 Bis(tributyltin) oxide 73 3064-70-8 Bis(trichloromethyl) sulphone 74 8001-85-2 Bone oil / Animal oil 75 10043-35-3 Boric acid 76 1303-86-2 Boric oxide 77 56073-10-0 Brodifacoum 78 28772-56-7 Bromadiolone 79 13863-41-7 Bromine chloride 80 52-51-7 Bronopol 81 7492-55-9 Calcium dihexa-2,4-dienoate 82 1305-62-0 Calcium dihydroxide / calcium hydroxide / caustic lime / hydrated lime / slaked lime 83 7778-54-3 Calcium hypochlorite 84 37247-91-9 Calcium magnesium oxide / dolomitic lime 85 39445-23-3 Calcium magnesium tetrahydroxide / calcium magnesium hydroxide / hydrated dolomitic lime 86 1305-78-8 Calcium oxide / lime / burnt lime / quicklime 87 133-06-2 Captan 88 10605-21-7 Carbendazim 89 124-38-9 Carbon dioxide 90 123-03-5 Cetylpyridinium chloride - 75 -

91 15879-93-3 Chloralose 92 10049-04-4 Chlorine dioxide 93 59-50-7 Chlorocresol 94 3691-35-8 Chlorophacinone 95 1897-45-6 Chlorothalonil 96 15545-48-9 Chlorotoluron 97 88-04-0 Chloroxylenol 98 2921-88-2 Chlorpyrifos 99 5598-13-0 Chlorpyrifos-methyl 100 1333-82-0 Chromium trioxide 101 51229-78-8 cis-1-(3-chloroallyl) -3,5,7-triaza- 1-azoniaadamantane chloride 102 67564-91-4 Cis-4-[3-(p-tert-butylphenyl)-2-methylpropyl] -2,6-dimethylmorpholine / Fenpropimorph 103 27519-02-4 Cis-tricos-9-ene 104 77-92-9 Citric acid 105 120-32-1 Clorophene 106 7440-50-8 Copper 107 20427-59-2 Copper (II) hydroxide 108 1317-38-0 Copper (II) oxide 109 7758-98-7 Copper sulphate 110 5836-29-3 Coumatetralyl 111 8001-58-9 Creosote 112 533-74-4 Dazomet 113 18472-51-0 D-gluconic acid, compound with N,N''-bis(4-chlorophenyl)-3,12-diimino-2,4,11,13-tetraazatetradecanediam idine (2:1) 114 1303-28-2 Diarsenic pentaoxide 115 1085-98-9 Dichlofluanid 116 731-27-1 Dichloro-N-[(dimethylamino)sulphonyl]fluoro-N-(p-tolyl)methanesulphena mide / Tolylfluanid 117 97-23-4 Dichlorophen 118 1317-39-1 Dicopper oxide 119 7173-51-5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120 56073-07-5 Difenacoum 121 60-51-5 Dimethoate 122 27668-52-6 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 123 82-66-6 Diphacinone 124 58-36-6 Diphenoxarsin-10-yl oxide 125 16731-55-8 Dipotassium disulphite 126 3696-28-4 Dipyrithione 127 7681-57-4 Disodium disulphite 128 12280-03-4 Disodium octaborate tetrahydrate 129 1330-43-4 Disodium tetraborate, anhydrous 130 330-54-1 Diuron 131 13590-97-1 Dodecylguanidine monohydrochloride 132 66230-04-4 Esfenvalerate / (S)-.alpha.-Cyano-3-phenoxybenzyl (S)-2-(4-chlorophenyl)-3 -methylbutyrate 133 64-17-5 Ethanol 134 72490-01-8 ethyl [2-(4-phenoxyphenoxy)ethyl]carbamate / Fenoxycarb 135 75-21-8 Ethylene oxide 136 68440-04-0 Fatty acids, coco, reaction products with diethanolamine 137 122-14-5 Fenitrothion 138 120068-37-3 Fipronil 139 90035-08-8 Flocoumafen 140 2164-17-2 Fluometuron 141 50-00-0 Formaldehyde 142 64-18-6 Formic acid - 76 -

143 58-89-9 Gamma-HCH or Gamma-BHC / Lindane / 1,2,3,4,5,6-hexachlorocyclohexane 144 111-30-8 Glutaral 145 79-14-1 Glycollic acid 146 107-22-2 Glyoxal 147 110-44-1 Hexa-2,4-dienoic acid / Sorbic acid 148 12767-90-7 Hexaboron dizinc undecaoxide / Zinc borate 149 16961-83-4 Hexafluorosilicic acid 150 138261-41-3 Imidacloprid 151 173584-44-6 Indoxacarb 152 7553-56-2 Iodine 153 79-33-4 L-(+)-lactic acid 154 91465-08-6 Lambda-cyhalothrin 155 91722-69-9 Lavender, Lavandula hybrida, ext. / Lavandin oil 156 9005-53-2 Lignin 157 78-70-6 Linalool 158 12057-74-8 Magnes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159 121-75-5 Malathion 160 108-39-4 m-cresol 161 137-42-8 Metam-sodium 162 4080-31-3 Methenamine 3-chloroallylochloride 163 16752-77-5 Methomyl 164 134-20-3 Methyl anthranilate 165 112-12-9 Methyl nonyl ketone 166 6317-18-6 Methylene dithiocyanate 167 55965-84-9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168 27083-27-8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169 32289-58-0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170 52645-53-1 m-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Permethrin 171 113-48-4 N-(2-ethylhexyl)-8,9,10-trinorborn-5-ene-2,3-dicarboximide 172 2372-82-9 N-(3-aminopropyl)-N-dodecylpropane-1,3-diamine 173 133-07-3 N-(trichloromethylthio)phthalimide / Folpet 174 31075-24-8 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bis(2-chloroethyl)ether copolymer 175 134-62-3 N,N-diethyl-m-toluamide / DEET 176 5625-90-1 N,N'-methylenebismorpholine 177 142-59-6 Nabam 178 91-20-3 Naphthalene 179 1338-02-9 Naphthenic acids, copper salts 180 66215-27-8 N-cyclopropyl-1,3,5-triazine -2,4,6-triamine 181 7727-37-9 Nitrogen 182 126-11-4 Nitromethylidynetrimethanol 183 112-05-0 Nonanoic acid 184 28159-98-0 N'-tert-butyl-N-cyclopropyl-6-(methylthio)-1,3,5-triazine-2,4-diamine 185 3391-86-4 Oct-1-ene-3-ol 186 124-07-2 Octanoic acid 187 374572-91-5 Oligo(2-(2-ethoxy)ethoxyethylguanidinium chloride) 188 7664-38-2 Orthophosphoric acid 189 10380-28-6 Oxine-copper 190 20018-09-1 p-[(diiodomethyl)sulphonyl]toluene - 77 -

191 70693-62-8 Pentapotassium bis(peroxymonosulphate) bis(sulphate) 192 33734-57-5 Peroxyoctanoic acid 193 14816-18-3 Phoxim 194 8002-09-3 Pine oil 195 29232-93-7 Pirimiphos-methyl 196 57028-96-3 Poly(hexamethylendiamine guanidinium chloride) 197 94667-33-1 Poly(oxy-1,2-ethanediyl),.alpha.-[2- (didecylmethylammonio)ethyl]-.omega.-hydroxy-, propanoate (salt) 198 25988-97-0 Polymer of N-Methylmethanamine (EINECS 204-697-4 with (chloromethyl)oxirane (EINECS 203-439-8) / Polymeric quaternary ammonium chloride 199 25655-41-8 Polyvinylpyrrolidone iodine 200 24634-61-5 Potassium (E,E)-hexa-2,4-dienoate 201 128-03-0 Potassium dimethyldithiocarbamate 202 7722-64-7 Potassium permanganate 203 10117-38-1 Potassium sulphite 204 7287-19-6 Prometryn 205 71-23-8 Propan-1-ol 206 67-63-0 Propan-2-ol 207 114-26-1 Propoxur 208 3811-73-2 Pyridine-2-thiol 1-oxide, sodium salt 209 13463-41-7 Pyrithione zinc 210 85409-22-9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4-alkyldimethyl, chlorides 211 68424-85-1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6-alkyldimethyl, chlorides 212 68391-01-5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chlorides 213 68989-01-5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salts with 1,2-benzisothiazol-3(2H)-one 1,1-dioxide (1:1) 214 85409-23-0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12-14-alkyl[(ethylphenyl)methyl]dimethyl, chlorides 215 68424-95-3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di-c8-10-alkyldimethyl, chlorides 216 8002-13-9 Rape oil 217 69-72-7 Salicylic acid 218 112945-52-5 Silica, amorphous, crystalline-free 219 7631-86-9 Silicon dioxide - amorphous 220 3567-25-7 Sodium 5-chloro-2-[4-chloro-2-[[[(3,4- dichlorophenyl)amino]carbonyl]amino]phenoxy]benzenesulph onate 221 532-32-1 Sodium benzoate 222 7647-15-6 Sodium bromide 223 7775-09-9 Sodium chlorate 224 7647-14-5 Sodium chloride 225 7758-19-2 Sodium chlorite 226 51580-86-0 Sodium dichloroisocyanurate dihydrate 227 10588-01-9 Sodium dichromate 228 128-04-1 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229 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230 7631-90-5 Sodium hydrogensulphite 231 7681-52-9 Sodium hypochlorite 232 8061-51-6 Sodium lignosulfonate 233 70161-44-3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234 15733-22-9 Sodium p-chloro-m-cresolate 235 131-52-2 Sodium pentachlorophenolate 236 7757-83-7 Sodium sulphite Spinosad: fermentation product of soil micro-organisms containing 237 168316-95-8 Spinosyn A and Spinosyn D 238 2699-79-8 Sulfuryl fluoride - 78 -

239 7446-09-5 Sulphur dioxide 240 87-90-1 Symclosene 241 84989-05-9 Tar acids, polyalkylphenol fraction 242 107534-96-3 Tebuconazole 243 5915-41-3 Terbuthylazine 244 1119-97-7 Tetradonium bromide 245 5395-50-6 Tetrahydro-1,3,4,6-tetrakis(hydroxymethyl)imidazo[4,5-d]imidazole-2,5(1 H,3H)-dione 246 55566-30-8 Tetrakis (hydroxymethyl)phosphonium sulphate(2:1) 247 148-79-8 Thiabendazole 248 111988-49-9 Thiacloprid 249 153719-23-4 Thiamethoxam 250 137-26-8 Thiram 251 2398-96-1 Tolnaftate 252 127-65-1 Tosylchloramide sodium 253 31218-83-4 Trans-isopropyl-3- [[(ethylamino)methoxyphosphinothioyl]oxy]crotonate 254 81741-28-8 Tributyltetradecylphosphonium chloride 255 101-20-2 Triclocarban 256 3380-34-5 Triclosan 257 1314-84-7 Trizinc diphosphide 258 2893-78-9 Troclosene sodium 259 81-81-2 Warfarin 260 1314-13-2 Zinc oxide 261 1314-98-3 Zinc sulphide 262 137-30-4 Ziram 263 89697-78-9 PHMG 264 26172-55-4 CMIT ( 나 ) 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 1차산정국내에서유통되고있는유효성분 264종에대하여위해우선순위목록을산정하였다. 산정방법은국외의우선순위산정방식을검토하고국내에서개발된 CRS-Korea프로그램 ( 연세대, 2003) 을활용하였다. CRS-Korea는사용량을근거로환경매체로의배출을산정하고 (EURAM 방법 ), 이를화학평형에근거한 Mackay Type I 모형에적용한것이다. 이때사용량은 2010년유통량조사자료 ( 환경부, 2010) 를활용하였다. 인체위해도기반우선순위산정방식은소비자제품사용을통한직접노출에대하여가중치를두었고 ( 용도별사용량에기반한노출점수적용 ), 휘발성물질과경피노출에대하여가중치를두었다. 생태위해도기반산정방식은기존의 CRS-Korea를그대로활용하였고, 유통량자료의사용량을적용하였다. 일반화학물질과는별도로바이오사이드로서고려사항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Product Type 별유효성분의우선순위산정 소비자제품사용에직접노출에가중치를둠 바이오사이드물질의특성상호흡이나피부접촉등의노출경로가중요하다고판단되어휘발성물질과경피노출에가중치를둠. - 79 -

다음 < 그림 2.1.5> 은위해우선순위목록작성을위한최종점수산정방법을나타낸것이다. 해당항목의값이없는경우는보수적인방법으로최대점수를부여하고우선순위목록을작성하였다. < 그림 2.1.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우선관리대상물질선정을위한스크리닝위해성평가점수평가산정방법 결과적으로도출한우선관리대상물질의 Product Type 별우선순위는다음과같다. < 표 2.1.16> PT 1( 인체위생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7681-52-9 Sodium hypochlorite 2 0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3 007664-38-2 Orthophosphoric acid 4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5 00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6 000064-17-5 Ethanol 7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PHMB /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8 032289-58-0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9 000078-70-6 Linalool 10 070592-80-2 Amines, C10-16-alkyldimethyl, N-oxides 11 001777-82-8 2,4-dichlorobenzyl alcohol 12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13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14 000122-99-6 2-Phenoxyethanol 15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16 070161-44-3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PHMB /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17 027083-27-8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18 000111-30-8 Glutaral 19 000065-85-0 Benzoic acid 20 000107-22-2 Glyoxal - 80 -

< 표 2.1.17> PT 2(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7681-52-9 Sodium hypochlorite 2 0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3 007664-38-2 Orthophosphoric acid 4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5 00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6 000064-17-5 Ethanol 7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8 000097-23-4 Dichlorophen 9 000127-65-1 Tosylchloramide sodium 10 068391-01-5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chlorides PHMB /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11 032289-58-0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12 000078-70-6 Linalool 13 001777-82-8 2,4-dichlorobenzyl alcohol 14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15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16 000122-99-6 2-Phenoxyethanol 17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18 070161-44-3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19 000067-63-0 Propan-2-ol 20 085085-48-9 Melaleuca alternifolia, ext. / Australian Tea Tree Oil < 표 2.1.18> PT 4(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2 000064-17-5 Ethanol 3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4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5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6 010049-04-4 Chlorine dioxide 7 000107-22-2 Glyoxal 8 000532-32-1 Sodium benzoate 9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 표 2.1.19> PT 6 의 (In-Can 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2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3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4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5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6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7 004719-04-4 2,2',2"-(hexahydro-1,3,5-triazine-1,3,5-triyl)triethanol 8 000052-51-7 Bronopol 9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10 051200-87-4 4,4-dimethyloxazolidine 11 020018-09-1 p-[(diiodomethyl)sulphonyl]toluene - 81 -

< 표 2.1.20> PT 7 의 ( 필름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7664-38-2 Orthophosphoric acid 2 000064-17-5 Ethanol 3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4 051229-78-8 cis-1-(3-chloroallyl) -3,5,7-triaza- 1-azoniaadamantane chloride 5 035691-65-7 2-bromo-2-(bromomethyl)pentanedinitrile 6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7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8 000091-20-3 Naphthalene 9 000067-63-0 Propan-2-ol 10 013463-41-7 Pyrithione zinc 11 010222-01-2 2,2-dibromo-2-cyanoacetamide 12 000111-30-8 Glutaral 13 000065-85-0 Benzoic acid 14 000052-51-7 Bronopol 15 007631-86-9 Silicon dioxide - amorphous 16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17 000077-92-9 Citric acid 18 000079-14-1 Glycollic acid 19 000112-05-0 Nonanoic acid 20 007647-15-6 Sodium bromide < 표 2.1.21> PT 8 의 ( 목재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2 000064-17-5 Ethanol 3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4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5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6 007173-51-5 DDAC /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7 012069-69-1 Basic Copper carbonate / copper (II) carbonate, basic 8 010605-21-7 Carbendazim 9 000330-54-1 Diuron 10 010380-28-6 Oxine-copper < 표 2.1.22> PT 11 의 ( 냉각및가공계보존제 ) 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2 007757-83-7 Sodium sulphite 3 007631-90-5 Sodium hydrogensulphite 4 007681-57-4 Disodium disulphite < 표 2.1.23> PT 21( 방오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1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0064-17-5 Ethanol 2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3 089697-78-9 PHMG / Polyhexamethyleneguanidine phosphate 4 013463-41-7 Pyrithione zinc - 82 -

5 007631-86-9 Silicon dioxide - amorphous 6 001317-39-1 Dicopper oxide 7 000137-30-4 Ziram 8 000330-54-1 Diuron 9 007440-50-8 Copper 10 001314-13-2 Zinc oxide 11 014915-37-8 Bis(1-hydroxy-1H-pyridine-2-thionato-O,S)copper 12 001317-38-0 Copper (II) oxide 2 2차산정 1차방법과의차이점은유통량조사자료의사용량을그대로사용하지않고, 제품판매량을유통량으로대체하는방식을채택하였다. 해당물질의제품내함유량중에서최대값을사용량으로하여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을작성하였다. 만약제품판매량정보가없을경우는최소점수를부여하였다. 결과적으로도출한우선관리대상물질의 Product Type 별우선순위는다음과같다. < 표 2.1.24> PT 1( 인체위생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7681-52-9 Sodium hypochlorite 2 007664-38-2 Orthophosphoric acid 3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4 00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5 000064-17-5 Ethanol 6 0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PHMB /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7 032289-58-0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8 112945-52-5 Silica, amorphous, crystalline-free 9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10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11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12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13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14 000078-70-6 Linalool 15 000122-99-6 2-Phenoxyethanol 16 070161-44-3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17 000065-85-0 Benzoic acid 18 018472-51-0 D-gluconic acid, compound with N,N''-bis(4-chlorophenyl)-3,12-diimino-2,4,11,13-tetraazatetradecanediamidine (2:1) 19 007631-86-9 Silicon dioxide - amorphous 20 000532-32-1 Sodium benzoate < 표 2.1.25> PT 2(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7681-52-9 Sodium hypochlorite 2 007664-38-2 Orthophosphoric acid - 83 -

3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4 00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5 000064-17-5 Ethanol 6 000097-23-4 Dichlorophen 7 000075-21-8 Ethylene oxide 8 0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9 000127-65-1 Tosylchloramide sodium PHMB /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10 032289-58-0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11 000124-38-9 Carbon dioxide 12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13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14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15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16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17 000078-70-6 Linalool 18 000122-99-6 2-Phenoxyethanol 19 070161-44-3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20 000067-63-0 Propan-2-ol < 표 2.1.26> PT 4(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2 000064-17-5 Ethanol 3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4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5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6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7 000532-32-1 Sodium benzoate 8 010049-04-4 Chlorine dioxide 9 000107-22-2 Glyoxal < 표 2.1.27> PT 6 의 (In-Can 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4719-04-4 2,2',2"-(hexahydro-1,3,5-triazine-1,3,5-triyl)triethanol 2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3 020018-09-1 p-[(diiodomethyl)sulphonyl]toluene 4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5 0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6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7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8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9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10 051200-87-4 4,4-dimethyloxazolidine 11 000052-51-7 Bronopol - 84 -

< 표 2.1.28> PT 7 의 ( 필름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01897-45-6 Chlorothalonil 2 013463-41-7 Pyrithione zinc 3 007664-38-2 Orthophosphoric acid 4 000064-17-5 Ethanol 5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6 051229-78-8 cis-1-(3-chloroallyl) -3,5,7-triaza- 1-azoniaadamantane chloride 7 007727-37-9 Nitrogen 8 000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9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10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11 000091-20-3 Naphthalene 12 000067-63-0 Propan-2-ol 13 010222-01-2 2,2-dibromo-2-cyanoacetamide 14 000065-85-0 Benzoic acid 15 000052-51-7 Bronopol 16 007631-86-9 Silicon dioxide - amorphous 17 000077-92-9 Citric acid 18 003380-34-5 Triclosan 19 007647-15-6 Sodium bromide 20 035691-65-7 2-bromo-2-(bromomethyl)pentanedinitrile < 표 2.1.29> PT 8 의 ( 목재방부제 ) 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2 000064-17-5 Ethanol 3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4 010380-28-6 Oxine-copper 5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6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7 007173-51-5 DDAC /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8 012069-69-1 Basic Copper carbonate / copper (II) carbonate, basic 9 000330-54-1 Diuron 10 010605-21-7 Carbendazim < 표 2.1.30> PT 11 의 ( 냉각및가공계보존제 ) 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2 007757-83-7 Sodium sulphite 3 007631-90-5 Sodium hydrogensulphite 4 007681-57-4 Disodium disulphite < 표 2.1.31> PT 21( 방오제 ) 의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 (2 차 ) 순위 CAS No 화학물질명 1 013463-41-7 Pyrithione zinc 2 000064-17-5 Ethanol 3 0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4 089697-78-9 PHMG / Polyhexamethyleneguanidine phosphate - 85 -

5 007631-86-9 Silicon dioxide - amorphous 6 001317-39-1 Dicopper oxide 7 000137-30-4 Ziram 8 000330-54-1 Diuron 9 007440-50-8 Copper 10 001314-13-2 Zinc oxide 11 014915-37-8 Bis(1-hydroxy-1H-pyridine-2-thionato-O,S)copper 12 001317-38-0 Copper (II) oxide 3 우선순위물질목록활용선정된우선순위물질은스크리닝수준의결과로서우선순위항목별로점수를매기고이를합하여점수의크기에따라선정한것이다. 이목록은구체적인위해성평가수행의결과는아니며, 국내에서유통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제품내함유되어있는유효성분의관리를위하여우선적으로검토되어야할대상물질에대한정보를제공할수있는툴로서활용가능하다. 본연구에서는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개발 (1세부) 분야의 case study와노출평가지침작성을위한시범사업물질선정시참고자료로활용하였다. (3) 정책제안 1 화평법하에서바이오사이드관리기존의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서는연간 0.1톤이하의소량화학물질은유해성심사를면제하였다. 화평법은연간제조및수입량에따라제출해야하는자료가다르다. 예를들어화학물질의제조 / 수입량이연간 0.1톤이상 1톤미만인경우화학물질의등록평가는 2020년 1월 1일부터시행하며시험자료를제출하여야하며, 제출자료는물리화학적특성에관한시험자료 5건, 인체유해성에관한시험자료 2건, 환경유해성에관한시험자료 2건에불과하다. 바이오사이드는 1톤이하의소량화학물질이상당수해당될것으로추정되어적절한위해성평가와심사가이루어지지않을가능성을갖는다. 참고로유럽연합은바이오사이드에관하여모든필수자료를요구하고있다. 소량화학물질의경우도유해성이높을경우인체및환경에유해할수있다는우려가커지면서화평법하에서는소량화학물질을모두등록하도록하고있으며, 간이등록대상으로삼고있다. 간이등록은등록자료를최소화하고등록기간을단축하여 ( 기간은현행 60일보다단축된 30일 ) 등록에따른시간적경제적손실을최소화하고자한다. 또한소량화학물질의경우라도소비자노출용도로사용시추가자료를제출하도록법제화되어있다. 특히바이오사이드의용도로사용될경우는바이오사이드특례법 ( 시행규칙별표 1, 7호 ) 에따라일반화학물질제조수입량의 10배에해당되는시험자료를제출하도록규정하고있다. - 86 -

< 표 2.1.32> 바이오사이드의제조수입량에따라요구되는시험자료 제조수입량구분가. 0.1톤이상 1톤미만나. 1톤이상 10톤미만다. 10톤이상 100톤미만라. 100톤이상 시험자료일반등록 1톤이상 10톤미만에해당하는시험자료일반등록 10 톤이상 100톤미만에해당하는시험자료일반등록 100톤이상 1000톤미만에해당하는시험자료일반등록 1000톤이상에해당하는시험자료 비록바이오사이드특례법이상대적으로엄격한기준을적용하고있으나바이오사이드의관리에는미흡한부분이많다. 실제적으로 EU는바이오사이드에대하여모든필수자료를요구하고있는실정이다. 바이오사이드의특성상사용자의호흡이나피부접촉등에따른노출패턴이일반화학물질과는다르다. 따라서소비자노출용도를반영하는바이오사이드노출시나리오작성및노출평가에관한독립적인지침이확립되어야할것으로사료된다. ( 나 ) 향후바이오사이드관리방안 화평법은일반화학물질의관리에중점을둔관리법이다. 방부제, 방충제, 소독제등의바이오사이드의관리를포함하고있으나, 이들바이오사이드의관리에는미흡한부분이많다. 일반화학물질은생산공정에서폐수등으로배출되어환경에유입될가능성이높고, 이차적인경로에의해서인체에노출될가능성이높다. 반면바이오사이드는제품특성, 제품이용특성, 소비자이용행태등에따라노출빈도가결정된다. 즉, 물질특성, 노출경로가일반화학물질과다르고, 인체에직접적인노출가능성이높으므로일반화학물질과는별도의관리가필요하다. 2015년화평법이발효된시점에서바이오사이드관리를위한별도의새로운법체계를구성하는것은현실적으로어렵다. 당분간은화평법체제하에서바이오사이드의관리를유지하며, 부족한부분을보완해나가는것이중요하나궁극적으로는여러부처에서관리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의관리를통합하여한개의법적인근거하에관리하는것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이와관련하여몇가지정책방향을제안하고자한다. 첫째, 별도의바이오사이드관리법을제정하는방법을생각할수있다. 그러나현상황에서새로운법을만드는것은산업체의반발이심할수있으며, 현실적으로가능성이희박하다. 그러나국내관련부처에서관리의사각지대에있는모든바이오사이드를포괄적으로관리할수있는법제도신설및정비는매우중요한것으로파악된다. 둘째, 화평법을보완하여바이오사이드관리규정을세부적으로추가하는방법을생각할수있다. 현재화평법은기존화학물질과신규화학물질로나누어관리하도록하며, 위해우려제품에관한관리의내용을포함하고있다. 여기에일반화학물질과는별도의바이오사이드를추가하여바이오사이드의용도와이용형태, 노출시나리오작성, 바이오사이드의특성에따른 - 87 -

평가방법의보완등이이루어지도록한다. 이때, 바이오사이드는일반화학물질및생활용화학물질과구별할수있어야한다. 셋째, 포지티브목록을작성한다. EU는 2015년 9월부터승인된유효성분을함유하지않은바이오사이드는판매를금지하고, 유해성이높은활성물질에대하여는엄격한기준을적용하여바이오사이드로사용할수없게법제화하였다. 본과제에서는초기스크리닝수준에서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을 1차적으로작성하였으나, 궁극적으로는국내용포지티브목록을작성하여엄격한기준을적용하는것이필요할것으로예상된다. 넷째,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제도화하고, 본과제에서구축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활용한다. 무엇보다중요한것은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구축을제도화하는것이다. 소량생산화학물질의용도와사용량, 소량화학물질을포함하는제품의함량등이정확하게파악된다면노출평가와함께바이오사이드관리를체계적으로할수있다. 본과제에서는 3년의연구기간을거쳐국내에서유통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에관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구축하였다. 유해정보공유시스템은화학제품의특성및제조관련정보, 시장유통정보, 제품내함유성분물질에대한정보등, 다양한제품정보를제공하도록구성되어있다. 따라서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정보를제도적으로보완하고바이오사이드평가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활용한다면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수준을크게향상시킬수있을것으로기대할수있다.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가. 현황분석및사용실태조사 (1) 국내부처별관리현황 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현황을살펴보기위해 Biocidal product directive 98/8/EC ( 이하, BPD) 와 Biocidal product regulation (EU) No 528/2012( 이하, BPR) 의제품용도 (Product Type, 이하 PT) 별분류및정의를토대로예상되는제품군에대한국내관리법을살펴보았다. EU에서는화학적또는생물학적수단에의하여유해생물을제거, 억제, 무해화작용의발해등조절할의도로사용자에게공급되는한개또는두개이상의유효성분 (active substances) 을포함하는물질및제품과바이오사이드기능을가공처리한처리제품을아울러바이오사이드로정의한다. EU BPD에서는바이오사이드제품을살균 소독제, 방부제 보존제, 해충방제제, 기타로크게나누고 23개의세부제품용도 (PT) 로분류하고있다 ( 표 2.1.33). - 88 -

< 표 2.1.33> EU 의물질별제품용도 (PT) 분류및정의표 구분제품유형설명 살균 / 소독제 방부제 / 보존제 해충방제제 기타 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동물위생용소독제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먹는물소독제 In-can 방부제 필름방부제 목재방부제 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석조물보존제 냉각및가공계보존제 slimicides 금속세공용방부제 살서제 ( 殺鼠劑 ) 살조제 ( 殺烏劑 ) 연체동물방제제 살어제 ( 殺漁劑 ) 절지동물방제용 기피제및유인제 식품및사료용보존제 방오제 시체보존및박제용방부제 기타척추동물의방제제품 공중보건시설, 의료기관, 요양원, 식품가공부문에서사용하는세제, 세정제, 소독제등, 일반가정에서는상처부위의소독및오염방지를위해사용하는소독제 시설, 가구, 재료등의표면소독을위해사용되는소독제 가축축사, 집합시설, 수송과관련된공간에서사용되는소독제 사람및가축의급수및급식과관련하여저장, 수송, 생산에이용되는시설, 저장용기, 식기, 표면, 배관에사용하는소독제 상수도시설소독제, 음용전저급음용수에타는소독제품 유통기한동안미생물에의한오염제어를위해사용하는보관용기보존제 페인트, 플라스틱, 밀봉제, 벽접착제, 바인더, 종이, 미술작품등의제품이나표면재료의초기상태가미생물로부터훼손되지않게보호해주는코팅제나필름제의보존을위해사용되는제품 목재의형태를훼손하는미생물의제어나목재파손의방지를위해목재제품혹은제재단계 (saw-mill stage) 에서사용하는보존제 가죽, 고무, 종이, 직물등과같은섬유질, 중합체에적용되는보존제 석조및기타건축재료의보존및복원을위해사용되는보존제 미생물, 조류, 홍합과같은유해한유기체제어를위해냉각및공정시스템의냉각수혹은공정수보존을위해사용하는보존제혹은소독제 재료및장비, 구조물의 slime( 슬라임, 오니 ) 증식을제어혹은방지하기위해사용하는보존제 금속세정수의미생물에의한오염방지를위해사용되는보존제, 대부분절삭가공업에서사용 생쥐, 쥐또는다른설치류의제어에사용 식품저장소, 교회, 빵집등에서질병의경로또는소음공해를일으킬수있는새의제어에사용 식물보호목적이외의연체동물의제어 ( 집, 산업및공공건물, 도로, 음식과사료저장소등 ) 물고기의제어 ( 양식장등에서물고기수확후치어의보호를위해살어제를사용하기도함 ) 살충제, 살응애제, 다른절지동물의제어를위한방제 ( 곤충, 거미, 갑각류, 바퀴벌레, 개미, 파리등의절지동물의퇴치 ) 개와고양이의해충퇴치에사용되는제품포함. 인간이나동물의위생을위해사용되는기피제와유인제 ( 모기, 벼룩, 개, 고양이, 새등의제어 ) 유해생물의제어로음식이나사료를보존 ( 예, 치즈표면, 감귤류등의표면에사용되는방부제 ) 선박, 수경용장비및기타물에서사용되는구조물의오염생물의성장및부착방제 인간에대한방부액, 동물에대한방부및박제액 유해척추동물 ( 토끼, 여우, 두더지등 ) 의방제 - 89 -

이를토대로바이오사이드제품과관련이있는국내법령및관리부처현황을아래와같이살펴보았다. < 표 2.1.34> 바이오사이드제품관련부처별관리현황 부처관련법률분류내용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약사법 살균제 / 소독제 해충방제 화장품법살균제 / 소독제 식품위생법식품용보존제 공중위생관리법 감염병의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시행규칙 살균제 / 소독제 살균제 / 소독제 공중보건살균 / 소독제중의료장비에사용하는물질만을관리, 유효성분과최종제품모두사용전에허가를받아야함 비농업용살충제중실내에서사용되는해충방제제의관리, 유효성분과제품모두허가절차를거쳐야함 인체위생용세정제, 탈취제등의제품의사용가능성분을제한하고있음. 식품의보존에사용되는보존제와식품용살균 / 소독제는판매이전에안전성에대한사전심사를거쳐야함. 식품공장및대규모시설에서사용되는세척제의경우공중위생용품의규격및기준별표에수록되어있으며, 판매전에안전성및유효성에관한검토없이판매가능 공중보건외소독제중전염병환자또는시체에사용한의류, 침구, 운반기구등에대한소독및소독제종류등에대해의약외품으로허가받은제품을사용하도록명시함. 의료기관세탁물관리에도동일하게적용 의료법살균제 / 소독제 의료기관의물품에대한소독방법에관한사항규정하고있음. 검역법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가축전염병예방법시행규칙 농약관리법시행규칙 해충방제 비농업용살충제중비행기나선실내의쥐, 벌레를방제하기위한소독에대해규정 살균제 / 소독제 동물용의약외품으로지정된제품신고를하도록하고있음. 동물위생용소독제 기피제 / 연체동물방제제 사료관리법사료용보존제 산림자원의조성및관리에관한법률 해양환경관리법 목재방부제 방오제 가축소유자중 300 제곱미터이상의축사시설을갖추고있는자는매월 1 회이상소독해야한다고명시하고있으며축사의소독방법및실시기준등약물소독은시행규칙별표에명시 과수원이나곡류재배지역에조류나동물의접근을차단하기위해사용되는기피제등에대해관리하고있으며유효성분과제품모두등록절차를거쳐야함. 성분등록을하지않고제조또는수입되는제품의사용을금지하고있음. 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등록절차는없으며, 단지 목재의방부 방충처리기준 에고시된목재방부제를함유한제품만이국내에서사용가능 유해방오도료의정의, 사용금지, 검사, 증서교부, 부적합선박조치, 벌칙등행정관련조항만이언급 먹는물관리법먹는물소독제 먹는물소독제를관리하고있으며, 제품은반드시등록해야함 유해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의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 공통 살균제 / 소독제 바이오사이드중약사법과농약관리법에의해관리되는물질을제외한나머지물질은기본적으로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관리대상에포함 먹는물관리법수처리제, 산림법목제방부제, 해양환경관리법방오제등의유효성분은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관리대상에포함됨 신규유효성분의경우도동법에의한유해성심사를거쳐등록 일반가정에서사용하는세정제, 탈취제, 섬유유연제, 표백제를포함하는세탁용세제등의자율안전인증신고하도록함. - 90 -

1 약사법안전성및유효성문제성분함유제제등에관한규정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고시제 2011-30호 ) 에서는약사법제31조제9항및제42조제5항, 의료기기법제6조제7항및동법제14조제5항,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 제8조제1항제1호및제7호의규정에의하여안전성 유효성문제성분함유제제와소해면상뇌증등위해질병의감염우려가있는원료성분함유품목에관한사항을정하여제조 수입품목허가 ( 신고 ) 를제한또는금지하고있으며, 의약품등에사용이허가되어있는성분들은별도고시하고있다. 가의약외품외약외품범위지정 ( 보건복지부고시제2012-103호, 2012.8.23., 타법개정 ) 에따른의약외품은다음과같다. EU의제품구분기준으로보면제품용도 (PT) 1, 2, 3, 4, 14, 18 등에해당한다. 생리대, 가리개, 붕대등의감싸개, 꺼즈, 탈지면, 반창고, 구강청결용물휴지등 구취또는액취의방지제, 모발의양모, 탈색및탈염제, 제모를위한제제, 콘택즈렌즈관리용품, 외용소독제, 연고제, 미생물번식과물때발생예방목적으로가습기내의물에첨가하여사용하는제제등 병원균을매개하여인간에게질병을전염시켜보건 위생상의위해를일으키거나일으킬수있는곤충이나동물의구제나방지를목적으로하는제제 ( 희석하여사용하는제제를포함한다 ), 인체에직접적용되지않는살균 소독제제 ( 희석하여사용하는제제를포함한다 ) 로알코올류, 알데히드, 크레졸, 비누제제형태의살균소독제, 기타방역의목적으로사용하는제제등나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 " 동물용의약품 " 이라함은동물용으로만사용함을목적으로하는의약품을말하며, 양봉용 양잠용 수산용및애완용 ( 관상어를포함한다. 이하같다 ) 의약품을포함하며, 동물용의약외품 동물용의료기기의범위및지정등에관한규정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고시제 2012-176호, 2012.12.28, 일부개정 ) 의제2조에서동물용의약외품의범위를지정하고있다. EU 제품용도 (PT) 로는 2( 양어장소독제 ), 3, 5와관련이있다. 동법 4조에따라동물용의약품은제조허가를받도록되어있으나동물용의약외품은신고만으로제조가가능하다. 동물용의약외품에는다음을포함한 10여가지항목이있다. 동물질병예방을위한소독제 : 사체포함축사및주변, 음수, 양어장등에사용하는소독제 동물용해충의구제제, 방지제, 기피제등 ( 체내흡수작용하는것제외 ) 애완동물용제제 : 세정제, 구강관리용품, 배면유도제등 2 감염병의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 동법시행규칙별표 5에소독대상에따라감염성환자가사용하는장소또는침구등에대하여별표 6에따른소독방법을따르도록하고있다. 약물소독을하는경우, 사용약품 - 91 -

을구체적으로명시하고있으며, 이외의살균 살충 구서등의소독에사용하는상품화된약품은약사법제2조제7호다목에해당하는의약외품으로서허가를받은제품을사용하도록명시하고있다. 관련사항위반시영업정지등의조치가이루어진다. EU 제품용도 (PT) 1, 2 와관련이있다. 3 의료법의료법의의료기관세탁물관리규칙에서는감염병의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시행규칙별표 6에따른소독방법에따를것을명시하고있으다. 약물소독및소독약품사용에대한방법이언급되어있으며 EU 제품용도 (PT) 1과관련이있다. 의료기관사용기구및물품소독지침 ( 보건복지부고시제 2010-61호, 2010. 8. 13. 제정 ) 에는의료기관에서환자의처치에사용되는 1회용품을제외한기구및물품에대한소독등의방법에관하여필요한사항을규정하고있으며 EU 제품용도 (PT) 2와관련이있다. 4 검역법검역법은우리나라로들어오거나외국으로나가는운송수단, 사람및화물을검역 ( 檢疫 ) 하는절차와감염병을예방하기위한조치에관한사항을규정하고있으며, EU 제품용도 (PT) 2와관련이있다. 동법시행규칙별표2에소독기준을보면보건위생상태가극히불량한경우적용하는가스소독기준에대한언급하고있으며이외의살균소독과기준은감염병의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시행규칙별표 6에따른다고명시하고있다. 5 가축전염병예방법가축의전염성질병이발생하거나퍼지는것을막기위해필요한사항을규정하고있으며, EU 제품용도 (PT) 3과관련이있다. 동법시행규칙제20조에따라소독설비를설치하고당해시설 가축 출입자 출입차량등오염원에대하여소독을실시하도록되어있으며, 별표 2에약물종류별소독방법에대해규정하고있다. 6 농약관리법 21조에따라등록하지아니하거나허가를받지아니한농약등또는원제는제조 생산 수입 보관 진열또는판매를제제한다. 농약관리법시행규칙제2조에따른동식물및약제의범위는아래과같고, EU 제품용도 (PT) 14~19와관련있다. 다만가정에서사용하는제품은의약외품으로분류된다. 동물 : 달팽이 조류또는야생동물 식물 : 이끼류또는잡목 기피제, 유인제, 접착제환경부 7 공중위생법공중위생법은공중이이용하는영업과시설의위생관리등에관한사항을규정한다. 위생용품의규격및기준 ( 보건복지가족부고시제2009-159호, 2009.9.4, 일부개정 ) 에따라세척제즉, 주방에서사용하는 1~3종세척제의규격및기준을정하고있으며 EU 제품용도 (PT) 4와관련이있다. KEI (1999) 1-4) 보고서에따르면안전성및유효성에관한검토없이판매가가능하다. 8 화장품법 - 92 -

화장품안전기준등에관한규정 (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제2013-24호 ) 에는 화장품법 제8조제1항, 제2항및제5항의규정에따라화장품에사용할수없는원료및사용상의제한이필요한원료에대하여그사용기준을정하고있다. EU 제품용도 (PT) 1과관련은있으나 EU에서는화장품법에서관리하고있으므로 BPD 에서는제외하고있다. 동법시행규칙별표3에의한화장품은다음과같다 ( 의약외품을제외함 ). 다만물휴지의경우, 2015년부터화장품법에서관리하고있다. 영유아용 ( 만3세이하 ) 제품류 목욕용제품류 인체세정용제품 : 폼클린저, 바디클렌저, 액체비누, 외음부세정제, 물휴지 ( 공중위생법및장사등에관한법률, 의료법에서관리되는물휴지는제외 ) 등 ( 화장비누제외 ) 눈화장용제품류, 색조화장용제품류, 방향용제품류, 체취방지용제품류 두발염색용제품, 두발용제품류 ( 샴푸등 ) 손반톱용제품류, 면도용제품류, 기초화장품제품류 9 먹는물관리법동법제36조에서수처리제의기준과규격에맞지않는수처리제는판매하거나판매할목적으로제조, 수입, 저장, 운반, 진열하거나그밖의영업상으로사용하지못하도록하고있으며, 동법제26조에따라수처리제를수입하는경우신고하도록하고있다. 여기에서의수처리제는자연상태의물을정수 ( 淨水 ) 또는소독하거나먹는물공급시설의산화방지등을위하여첨가하는제제를의미한다. 수처리제의기준과규격및표시기준 [ 환경부고시제2008-69호, 2008.5.8, 일부개정 ] 에따르면수처리제는응집제, 살균 소독제, 부식억제제, 기타제제 ( 활성탄포함 ) 로구분할수있으며, 살균 소독제로는고도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산화염소, 오존, 현장제조염소의 5종이포함된다. 10 산림자원의조성및관리에관한법률목재의방부 방충처리기준 ( 국립산림과학원고시제2011-4호, 2011.12.23, 일부개정 ) 에서목재의방부 방충처리기준등을정하여권고하고있으며, 별표4에서목재방부제의종류를제시하고있다. 이는 EU 제품용도 (PT) 8과관련이있다. 11 식품위생법동법제7조에식품또는식품첨가물에관한기준및규격 (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제 2013-15호 ) 에관련사항을다루고있으며, 허가절차를거친다. EU 제품용도 (PT) 20와관련이있다. 12 사료관리법제14조에따라성분등록을하지않고제조또는수입되는제품은사용이금지되며, EU 제품용도 (PT) 20와관련이있다. 13 유해화학물질관리법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 유해화학물질 은유독물, 관찰물질, 취급제한물질, 취급금지물질 ( 이하 " 취급제한 금지물질 "), 사고대비물질, 그밖에유해성또는위해성이있거나 - 93 -

그러할우려가있는화학물질이다. 단, 원자력안전법 에따른방사성물질, 약사법 에따른의약품과의약외품,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에따른마약류, 화장품법 에따른화장품과화장품에사용하는원료, 농약관리법 에따른원제 ( 原劑 ) 와농약, 비료관리법 에따른비료, 식품위생법 에따른식품과식품첨가물, 사료관리법 에따른사료, 총포 도검 화약류등단속법 에따른화약류,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에따른독성가스, 군수품관리법 에따른군수품 ( 통상품은제외 ) 은제외한다. 화학물질의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 제7조에따른화학물질평가위원회의심의를거쳐고시되며, 약 1,700여종의화학물질이유해화학물질로관리된다. 타법에구체적인관리규정이없는화학물질은기본적으로유해화학물질관리법의관리대상에포함된다고볼수있다. 14 해양환경관리법동법에서는제2조에서방오도료중유기주석성분등생물체의파괴작용을하는성분이포함된것을 유해방오도료 로정의하고사용금지하고있다. 선박에서의오염방지에관한규칙제 5조에서는유해방오도료를수산화트리알킬주석과그염류 ( 산화트리알킬주석을포함한다 ), 트리부틸주석화합물또는그중하나를 0.1퍼센트이상함유한혼합물질을포함한도료나국제해사기구가유해방오도료로정한도료로정하고있다. 15 화학물질의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세정제, 방향제, 접착제, 광택제, 탈취제, 합성세제, 표백제및섬유유연제등일반소비자들이주로생활용으로사용하는제품과방충제, 소독제, 방부제등과같이사람과동물을제외한모든유해한생물을죽이거나생물의활동을방해 저해하는데사용하는제품을 위해우려제품 으로정의하고 2015년부터동법하에관리하고있다. 세정제외 8가지품목은이전에품질경영및공산품안전관리법에서자율안전확인대상공산품중생활화학가정용품으로관리되어오던품목이고, 그외방충제, 방청제, 김서림방지제, 염 탈색체, 문신용염료, 방충제, 소독제, 방부제등은비관리대상이었다. (2) 국내바이오사이드조사대상범위 ( 가 ) 기준물질목록선정 국내에서제품에서사용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에대한기초자료는거의전무하다. 따라서 EU를기준으로공개되어있는바이오사이드물질목록을토대로기준물질목록을선정하였다. EU는 BPD 부속서 I, IA에신고된유효성분에대한검토과정을거쳐사용승인물질목록을작성하여홈페이지에공개하고있으며, 이는지속적으로갱신된다. 2012년 10월 31일기준, BPD Annex I에는제품용도 (PT) 별로총 61종이목록으로작성되어있으며, 중복을제외하면총 58종이다. 검토결과 BPD Annex I에서제외된물질목록또한 EU 홈페이지를통해확인할수있다. 2012년 10월 31일기준, 총 1,086종으로제품용도 (PT) 별중복을제외하면총 293종이다. 사용승인물질목록과비승인물질목록을종합하면총 324종이된다. 이중 CAS 번호가없는 12종을제외한 312종과하나의물질에두개의 CAS 번호를갖는물질을별개로집계하여 - 94 -

총 313종을 1차기준물질로선정하였다. 그리고 2차년도에가습기살균제로문제가되었던 PHMG와기준물질에포함된 CMI(T)/MI(T) 혼합물질중하나인 CMI(T) 를추가하였다. < 표 2.1.35> 기준물질목록 연번물질명 CAS no. 1 (±)-1-(.beta.-allyloxy-2,4-dichlorophenylethyl)imidazole / Technical grade imazalil 73790-28-0 2 (2-bromo-2-nitrovinyl)benzene 7166-19-0 3 (benzothiazol-2-ylthio)methyl thiocyanate 21564-17-0 4 (benzyloxy)methanol 14548-60-8 5 (E)-1-(2-Chloro-1,3-thiazol-5-ylmethyl)-3-methyl-2 -nitroguanidine / Chlothianidin 210880-92-5 6 (E)-2-Octadecenal 51534-37-3 7 (E,Z)-2,13-Octadecadienal 99577-57-8 8 (ethylenedioxy)dimethanol 3586-55-8 9 (R)-p-mentha- 1,8-diene 5989-27-5 10 (RS)-3-allyl-2-methyl-4-oxocyclopent-2-enyl-(1RS,3RS;1RS,3SR)-2,2-dimethyl-3-(2-m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 oxylate (all isomers; ratio: 1:1:1:1:1:1:1:1) / Allethrin 584-79-2 11 (S)-3-allyl-2-methyl-4-oxocyclopent-2-enyl(1R,3R)-2,2-dimethyl-3-(2-m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oxylate (only 1R trans, 1S isomer) / S-Bioallethrin 28434-00-6 12 (Z,E)-tetradeca-9,12-dienyl acetate 30507-70-1 13.alpha.,.alpha.,.alpha.-Trifluoro-N-methyl-4,6-dinitro-N-(2,4,6-tribromophenyl)-o-toluidine / Bromethalin 63333-35-7 14.alpha.,.alpha.',.alpha.''-trimethyl- 1,3,5-triazine-1,3,5(2H,4H,6H)-triethanol 25254-50-6 15.alpha.-cyano-3-phenoxybenzyl [1R-[1.alpha.(S*),3.alpha.]]-3-(2,2-dibrom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Deltamethrin 52918-63-5 16.alpha.-cyano-3-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Cypermethrin 52315-07-8 17.alpha.-cyano-4-fluoro-3-phenoxybenzyl [1.alpha.(S*),3.alpha.]-(±)-3-(2,2-dichlorovinyl)-2,2- 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86560-93-2 18.alpha.-cyano-4-fluoro-3-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Cyfluthrin 68359-37-5 19 [1.alpha.(S*),3.alpha.]-(.alpha.)-cyano-(3-phenoxyphenyl)methyl 3-(2,2-dichloroethenyl)-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alpha-cypermethrin 67375-30-8 20 1-(4-(2-cloro-a,a,a-p-trifluorotolyloxy)-2-fluorophenyl)-3-(2,6-difluorobenzolyl)urea / Flufenoxuron 101463-69-8 21 1,2-benzisothiazol-3(2H) -one 2634-33-5 22 1,3-bis(hydroxymethyl)-5,5-dimethylimidazolidine-2,4-dione 6440-58-0 23 1,3-bis(hydroxymethyl)urea 140-95-4 24 1,3-dibromo-5,5-dimethylhydantoin 77-48-5 25 1,3-dichloro-5,5-dimethylhydantoin 118-52-5 26 1,3-dichloro-5-ethyl-5-methylimidazolidine-2,4-dione 89415-87-2 27 1,3-didecyl-2-methyl-1H-imidazolium chloride 70862-65-6 28 1,4-dichlorobenzene 106-46-7 29 1-[ 1,3-bis(hydroxymethyl)-2,5-dioxoimidazolidin-4-yl] -1,3-bis(hydroxymethyl)urea / Diazolidinylurea 78491-02-8 30 1-[[2-(2,4-dichlorophenyl)-4-propyl-1,3-dioxolan-2-yl]methyl]-1H-1,2,4-triazole / Propiconazole 60207-90-1 31 1-[2-(allyloxy)-2-(2,4-dichlorophenyl)ethyl] -1H-imidazole / Imazalil 35554-44-0 32 2-(1-methyl-2-(4-phenoxy-phenoxy)-ethoxy)-pyridine / Pyriproxyfen 95737-68-1 33 2-(2-butoxyethoxy)ethyl 6-propylpiperonyl ether / Piperonyl butoxide 51-03-6 34 2,2',2"-(hexahydro-1,3,5-triazine-1,3,5-triyl)triethanol 4719-04-4 35 2,2-dibromo-2-cyanoacetamide 10222-01-2 36 2,2'-dithiobis[N-methylbenzamide] 2527-58-4 37 2,4,8,10-tetra(tert-butyl)-6-hydroxy-12H-dibenzo[d,g][1,3,2]dioxaphosphocin 6-oxide, sodium salt 85209-91-2 38 2,4-dichlorobenzyl alcohol 1777-82-8 39 2,6-dimethyl- 1,3-dioxan-4-yl acetate 828-00-2 40 2-bromo-1-(4-hydroxyphenyl)ethan-1-one 2491-38-5 41 2-bromo-2-(bromomethyl)pentanedinitrile 35691-65-7 42 2-Butanone, peroxide 1338-23-4 43 2-chloroacetamide 79-07-2 44 2-hydroxy-4-isopropyl-2,4,6-cycloheptatrien-1-one 499-44-5 45 2-methyl-2H-isothiazol-3 -one 2682-20-4 46 2-octyl-2H-isothiazol-3 -one 26530-20-1 47 2-Phenoxyethanol 122-99-6 48 3-(4-isopropylphenyl)-1,1-dimethylurea / Isoproturon 34123-59-6 49 3,3'-methylenebis[5-methyloxazolidine] / Oxazolidin 66204-44-2 50 3-benzo(b)thien-2-yl-5,6-dihydro-1,4,2-oxathiazine,4-oxide 163269-30-5 51 3-iodo-2-propynyl butylcarbamate / IPBC 55406-53-6 52 3-phenoxybenzyl (1R)-cis,trans-2,2-dimethyl-3-(2-methylprop-1-enyl)cyclopropanecarboxylate / d-phenothrin 188023-86-1 53 3-phenoxybenzyl-2-(4-ethoxyphenyl)-2-methylpropylether / Etofenprox 80844-07-1 54 4,4-dimethyloxazolidine 51200-87-4-95 -

연번물질명 CAS no. 55 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 DCOIT 64359-81-5 56 4,5-dichloro-3H-1,2-dithiol-3-one 1192-52-5 57 4-Bromo-2-(4-chlorophenyl)-1-(ethoxymethyl)-5-(trifluoromethyl)-1H-pyrrole-3-carbonitrile / Chlorfenapyr 122453-73-0 58 5,5-dimethyl-perhydro-pyrimidin-2-one.alpha.-(4-trifluoromethylstyryl)-.alpha. -(4- trifluoromethyl)cinnamylidenehydrazone / Hydramethylnon 67485-29-4 59 5-chloro-2-(4-chlorphenoxy)phenol 3380-30-1 60 6-(phthalimido)peroxyhexanoic acid 128275-31-0 61 7a-ethyldihydro-1H,3H,5H-oxazolo[3,4-c]oxazole 7747-35-5 62 Abamectin (Mixture of Avermectin B1a; > 80%, EINECS 265610-3; and Avermectin B1b; < 20% EINECS 265-611-9) 71751-41-2 63 Acrolein 107-02-8 64 Alumin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20859-73-8 65 Aluminium sodium silicate-silver complex / Silver zeolite 130328-18-6 66 Aluminium sodium silicate-silver zinc complex / Silver-Zinc-Zeolite 130328-20-0 67 Amines, C10-16-alkyldimethyl, N-oxides 70592-80-2 68 Amines, n-c10-16-alkyltrimethylenedi-, reaction products with chloroacetic acid 139734-65-9 69 Amitraz 33089-61-1 70 Ammonium bromide 12124-97-9 71 Anthraquinone 84-65-1 72 Bacillus sphaericus 143447-72-7 73 Basic Copper carbonate 12069-69-1 74 Bendiocarb 22781-23-3 75 Benzethonium chloride 121-54-0 76 Benzoic acid 65-85-0 77 Benzothiazole-2-thiol 149-30-4 78 Benzoxonium chloride 19379-90-9 79 Benzyl benzoate 120-51-4 80 Bifenthrin 82657-04-3 81 Bioresmethrin 28434-01-7 82 Bis(1-hydroxy-1H-pyridine-2-thionato-O,S)copper 14915-37-8 83 Bis(3-aminopropyl)octylamine 86423-37-2 84 Bis(tributyltin) oxide 56-35-9 85 Bis(trichloromethyl) sulphone 3064-70-8 86 Bis[1-cyclohexyl-1,2-di(hydroxy-.kappa.O)diazeniumato(2-)]-copper 312600-89-8 87 Bone oil / Animal oil 8001-85-2 88 Boric acid 10043-35-3 89 Boric oxide 1303-86-2 90 Brodifacoum 56073-10-0 91 Bromadiolone 28772-56-7 92 Bromine chloride 13863-41-7 93 Bromochloro-5,5-dimethylimidazolidine-2,4-dione 32718-18-6 94 Bronopol 52-51-7 95 Calcium dihexa-2,4-dienoate 7492-55-9 96 Calcium dihydroxide / calcium hydroxide / caustic lime / hydrated lime / slaked lime 1305-62-0 97 Calcium hypochlorite 7778-54-3 98 Calcium magnesium oxide / dolomitic lime 37247-91-9 99 Calcium magnesium tetrahydroxide / calcium magnesium hydroxide / hydrated dolomitic lime 39445-23-3 100 Calcium oxide / lime / burnt lime / quicklime 1305-78-8 101 Captan 133-06-2 102 Carbendazim 10605-21-7 103 Carbon dioxide 124-38-9 104 Cetylpyridinium chloride 123-03-5 105 Chloralose 15879-93-3 106 Chlorine dioxide 10049-04-4 107 Chlorocresol 59-50-7 108 Chloromethyl n-octyl disulfide 180128-56-7 109 Chlorophacinone 3691-35-8 110 Chlorothalonil 1897-45-6 111 Chlorotoluron 15545-48-9 112 Chloroxylenol 88-04-0 113 Chlorpyrifos 2921-88-2 114 Chlorpyrifos-methyl 5598-13-0 115 Chromium trioxide 1333-82-0 116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ext. 89997-63-7 117 cis-1-(3-chloroallyl) -3,5,7-triaza- 1-azoniaadamantane chloride 51229-78-8 118 Cis-4-[3-(p-tert-butylphenyl)-2-methylpropyl] -2,6-dimethylmorpholine / Fenpropimorph 67564-91-4 119 Cis-tricos-9-ene 27519-02-4-96 -

연번물질명 CAS no. 120 Citric acid 77-92-9 121 Clorophene 120-32-1 122 Copolymer of 2-propenal and propane-1,2-diol 191546-07-3 123 Copper 7440-50-8 124 Copper (II) hydroxide 20427-59-2 125 Copper (II) oxide 1317-38-0 126 Copper sulphate 7758-98-7 127 Coumatetralyl 5836-29-3 128 Creosote 8001-58-9 129 Cyclohexylhydroxydiazene 1-oxide, potassium salt / K-HDO 66603-10-9 130 Dazomet 533-74-4 131 DDACarbonate 894406-76-9 132 D-gluconic acid, compound with N,N''-bis(4-chlorophenyl)-3,12-diimino-2,4,11,13-tetraazatetradecanediamidine (2:1) 18472-51-0 133 Diarsenic pentaoxide 1303-28-2 134 Dichlofluanid 1085-98-9 135 Dichloro-N-[(dimethylamino)sulphonyl]fluoro-N-(p-tolyl)methanesulphenamide / Tolylfluanid 731-27-1 136 Dichlorophen 97-23-4 137 Dicopper oxide 1317-39-1 138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7173-51-5 139 Difenacoum 56073-07-5 140 Difethialone 104653-34-1 141 Dimethoate 60-51-5 142 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 27668-52-6 143 Diphacinone 82-66-6 144 Diphenoxarsin-10-yl oxide 58-36-6 145 Dipotassium disulphite 16731-55-8 146 Dipyrithione 3696-28-4 147 Disodium cyanodithiocarbamate 138-93-2 148 Disodium disulphite 7681-57-4 149 Disodium octaborate tetrahydrate 12280-03-4 150 Disodium tetraborate, anhydrous 1330-43-4 151 Diuron 330-54-1 152 Dodecylguanidine monohydrochloride 13590-97-1 153 Esfenvalerate / (S)-.alpha.-Cyano-3-phenoxybenzyl (S)-2-(4-chlorophenyl)-3 -methylbutyrate 66230-04-4 154 Ethanol 64-17-5 155 ethyl [2-(4-phenoxyphenoxy)ethyl]carbamate / Fenoxycarb 72490-01-8 156 Ethylene oxide 75-21-8 157 Fatty acids, coco, reaction products with diethanolamine 68440-04-0 158 Fenitrothion 122-14-5 159 Fipronil 120068-37-3 160 Flocoumafen 90035-08-8 161 Fluometuron 2164-17-2 162 Formaldehyde 50-00-0 163 Formic acid 64-18-6 164 Gamma-HCH or Gamma-BHC / Lindane / 1,2,3,4,5,6-hexachlorocyclohexane 58-89-9 165 Garlic ext. 8008-99-9 166 Glutaral 111-30-8 167 Glycollic acid 79-14-1 168 Glyoxal 107-22-2 169 Guazatine triacetate 115044-19-4 170 Hexa-2,4-dienoic acid / Sorbic acid 110-44-1 171 Hexaboron dizinc undecaoxide / Zinc borate 12767-90-7 172 Hexafluorosilicic acid 16961-83-4 173 Homopolymer of 2-ter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EINECS 223-228-4) 26716-20-1 174 Hydroxyl-2-pyridone 822-89-9 175 Imidacloprid 138261-41-3 176 Indoxacarb 173584-44-6 177 Iodine 7553-56-2 178 Juniper, Juniperus mexicana, ext. 91722-61-1 179 L-(+)-lactic acid 79-33-4 180 Lambda-cyhalothrin 91465-08-6 181 Lavender, Lavandula hybrida, ext. / Lavandin oil 91722-69-9 182 Lignin 9005-53-2 183 Linalool 78-70-6 184 Magnesium monoperoxyphthalate hexahydrate 84665-66-7 185 Magnesium phosphide releasing phosphine 12057-74-8-97 -

연번물질명 CAS no. 186 Malathion 121-75-5 187 Margosa extract 84696-25-3 188 m-cresol 108-39-4 189 Mecetronium ethyl sulphate 3006-10-8 190 Melaleuca alternifolia, ext. / Australian Tea Tree Oil 85085-48-9 191 Metam-sodium 137-42-8 192 Methenamine 3-chloroallylochloride 4080-31-3 193 Methomyl 16752-77-5 194 Methyl anthranilate 134-20-3 195 Methyl neodecanamide 105726-67-8 196 Methyl nonyl ketone 112-12-9 197 Methylene dithiocyanate 6317-18-6 198 Metofluthrin 240494-70-6 199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55965-84-9 200 Mixture of cis- and trans-p-menthane-3,8 diol / Citriodiol 42822-86-6 Mixture of: (C8-18)alkylbis(2-hydroxyethyl)ammonium 201 bis(2-ethylhexyl)phosphate;(c8-18)alkylbis(2-hydroxyethyl)ammonium 2-ethylhexylhydrogenphosphate 68132-19-4 202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27083-27-8 203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 Polyhexamethylene biguanide (monomer: 1,5-bis(trimethylen)-guanylguanidinium monohydrochloride) 32289-58-0 204 m-phenoxybenzyl 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 Permethrin 52645-53-1 205 N-(2-ethylhexyl)-8,9,10-trinorborn-5-ene-2,3-dicarboximide 113-48-4 206 N-(3-aminopropyl)-N-dodecylpropane-1,3-diamine 2372-82-9 207 N-(trichloromethylthio)phthalimide / Folpet 133-07-3 208 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bis(2-chloroethyl)ether copolymer 31075-24-8 209 N,N-diethyl-m-toluamide / DEET 134-62-3 210 N,N'-methylenebismorpholine 5625-90-1 211 Nabam 142-59-6 212 Naphthalene 91-20-3 213 Naphthenic acids, copper salts 1338-02-9 214 N-cyclopropyl-1,3,5-triazine -2,4,6-triamine 66215-27-8 215 N-Didecyl-N-dipolyethoxyammonium borate / Didecylpolyoxethylammonium borate 214710-34-6 216 Nitrogen 7727-37-9 217 Nitromethylidynetrimethanol 126-11-4 218 Nonanoic acid 112-05-0 219 N'-tert-butyl-N-cyclopropyl-6-(methylthio)-1,3,5-triazine-2,4-diamine 28159-98-0 220 Oct-1-ene-3-ol 3391-86-4 221 Octanoic acid 124-07-2 222 Oligo(2-(2-ethoxy)ethoxyethylguanidinium chloride) 374572-91-5 223 Orthophosphoric acid 7664-38-2 224 Oxine-copper 10380-28-6 225 p-[(diiodomethyl)sulphonyl]toluene 20018-09-1 226 Pentapotassium bis(peroxymonosulphate) bis(sulphate) 70693-62-8 227 Peroxyoctanoic acid 33734-57-5 228 Phoxim 14816-18-3 229 Phthalaldehyde 643-79-8 230 Pine oil 8002-09-3 231 Pirimiphos-methyl 29232-93-7 232 Poly(hexamethylendiamine guanidinium chloride) 57028-96-3 233 Poly(hexamethylenebiguanide) 91403-50-8 234 Poly(oxy-1,2-ethanediyl),.alpha.-[2- (didecylmethylammonio)ethyl]-.omega.-hydroxy-, propanoate (salt) 94667-33-1 Polymer of N-Methylmethanamine (EINECS 204-697-4 with (chloromethyl)oxirane (EINECS 203-439-8) / Polymeric 235 quaternary ammonium chloride 25988-97-0 236 Polyvinylpyrrolidone iodine 25655-41-8 237 Potassium (E,E)-hexa-2,4-dienoate 24634-61-5 238 Potassium dimethyldithiocarbamate 128-03-0 239 Potassium methyldithiocarbamate 137-41-7 240 Potassium permanganate 7722-64-7 241 Potassium sulphite 10117-38-1 242 Prometryn 7287-19-6 243 Propan-1-ol 71-23-8 244 Propan-2-ol 67-63-0 245 Propoxur 114-26-1 246 Pyridine-2-thiol 1-oxide, sodium salt 3811-73-2 247 Pyrithione zinc 13463-41-7-98 -

연번물질명 CAS no.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2-[[2-[(2-carboxyethyl)(2 hydroxyethyl)amino]ethyl] amino]-2-oxoethyl]coco 248 alkyldimethyl, hydroxides, inner salts 100085-64-1 249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4-alkyldimethyl, chlorides 85409-22-9 250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6-alkyldimethyl, chlorides 68424-85-1 251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chlorides 68391-01-5 252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salts with 1,2-benzisothiazol-3(2H)-one 1,1-dioxide (1:1) 68989-01-5 253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12-14-alkyl[(ethylphenyl)methyl]dimethyl, chlorides 85409-23-0 254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di-c8-10-alkyldimethyl, chlorides 68424-95-3 255 Quaternary ammonium iodides 308074-50-2 256 Rape oil 8002-13-9 257 Reaction products of diisopropanolamine with formaldehyde(1:4) 220444-73-5 258 Reaction products of: glutamic acid and N-(C12-14-alkyl)propylenediamine 164907-72-6 259 S-[(6-chloro-2-oxooxazolo[4,5-b]pyridin-3(2H)-yl)methyl] O,O-dimethyl thiophosphate / Azamethiphos 35575-96-3 260 Salicylic acid 69-72-7 261 S-Hydroprene / Ethyl (S-(E,E))-3,7,11-trimethyldodeca-2,4-dienoate 65733-18-8 262 Silica, amorphous, crystalline-free 112945-52-5 263 Silicon dioxide - amorphous 7631-86-9 264 Silver phosphate glass (initially notified under 'Silver-zinc-aluminium-boronphosphate glass / Glass oxide, silverand zinc-containing') 398477-47-9 265 Sodium 2,4,6-trichlorophenolate 3784-03-0 266 Sodium 5-chloro-2-[4-chloro-2-[[[(3,4- dichlorophenyl)amino]carbonyl]amino]phenoxy]benzenesulph onate 3567-25-7 267 Sodium benzoate 532-32-1 268 Sodium bromide 7647-15-6 269 Sodium chlorate 7775-09-9 270 Sodium chloride 7647-14-5 271 Sodium chlorite 7758-19-2 272 Sodium dichloroisocyanurate dihydrate 51580-86-0 273 Sodium dichromate 10588-01-9 274 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128-04-1 275 Sodium hydrogen 2,2'methylenebis[4-chlorophenolate] 10187-52-7 276 Sodium hydrogencarbonate 144-55-8 277 Sodium hydrogensulphite 7631-90-5 278 Sodium hypochlorite 7681-52-9 279 Sodium lignosulfonate 8061-51-6 280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70161-44-3 281 Sodium p-chloro-m-cresolate 15733-22-9 282 Sodium pentachlorophenolate 131-52-2 283 Sodium sulphite 7757-83-7 284 Spinosad: fermentation product of soil micro-organisms containing Spinosyn A and Spinosyn D 168316-95-8 285 Stannane, tributyl-, mono(naphthenoyloxy) derivs. 85409-17-2 286 Sulfuryl fluoride 2699-79-8 287 Sulphur dioxide 7446-09-5 288 Symclosene 87-90-1 289 Tar acids, polyalkylphenol fraction 84989-05-9 290 Tebuconazole 107534-96-3 291 Terbuthylazine 5915-41-3 292 Tetrachlorodecaoxide complex 92047-76-2 293 Tetradonium bromide 1119-97-7 294 Tetrahydro-1,3,4,6-tetrakis(hydroxymethyl)imidazo[4,5-d]imidazole-2,5(1H,3H)-dione 5395-50-6 295 Tetrakis (hydroxymethyl)phosphonium sulphate(2:1) 55566-30-8 296 Thiabendazole 148-79-8 297 Thiacloprid 111988-49-9 298 Thiamethoxam 153719-23-4 299 Thiram 137-26-8 300 Tolnaftate 2398-96-1 301 Tosylchloramide sodium 127-65-1 302 Trans-isopropyl-3- [[(ethylamino)methoxyphosphinothioyl]oxy]crotonate 31218-83-4 303 Tributyltetradecylphosphonium chloride 81741-28-8 304 Triclocarban 101-20-2 305 Triclosan 3380-34-5 306 Trizinc diphosphide 1314-84-7 307 Troclosene sodium 2893-78-9 308 Urea, N,N'-bis(hydroxymethyl)-, reaction products with 2-(2-butoxyethoxy)ethanol, ethylene glycol and formaldehyde 90604-54-9 309 Warfarin 81-81-2 310 Warfarin sodium 129-06-6-99 -

연번물질명 CAS no. 311 Zinc oxide 1314-13-2 312 Zinc sulphide 1314-98-3 313 Ziram 137-30-4 314 PHMG 89697-78-9 315 CMIT 26172-55-4 ( 나 ) 제품조사대상범위 바이오사이드는제품특성별로원료물질에가까운산업용화학물질과바이오사이드효과를주용도로하는제품과상품의기능및내구성등기능개선을목적으로첨가또는가공처리된처리제품으로크게구분할수있다. 노출가능성을중심으로는일반소비자, 전문작업자, 생산근로자, 운반 / 취급자별특성에따라제품을구분할수도있다. 유통과정으로보면국외에서제조되어수입되는제품과반대로국내에서제조되었으나국외로수출되는제품등으로구분할수있다. 여기에서는국내에서유통되는즉, 국내에서제조되어수출되는제품을제외하고수입제품을포함한국내유통제품으로범위를한정하고, 산업용화학물질을제외한일반소비자가노출되기쉬운제품을중심으로조사대상을검토하였다. 바이오사이드대상제품군은농약및의약품및화장품 ( 세정용품제외 ) 을제외하고 EU BPD의제품용도 (PT) 별정의및 EC JRC 보고서를토대로후보제품군을작성하여검토하였으며 ( 부록 1), 환경부와협의 (2012년 4월 2일 ) 1-5) 를통해타부처관리법하에있는제품군즉, 화장품, 농약, 의약품및의약외품및바이오사이드처리제품은제외하되, 유효성분관리가미흡하여관리가필요하다고여겨지는목재방부제, 방오제등은포함하기로하였다. 최종선정된대상제품군은다음과같다. 물휴지 : 유아에게사용하는물휴지를포함하여항균효과가있는제품, 제품표면을닦기위한물휴지등모든종류의물휴지 탈취제및방향제 : 섬유탈취제를포함하여실내공간공기정화및탈취를목적으로적용하는제품. 단, 인체에사용하는체취방지용탈취제는제외 수처리제 : 음용을목적으로하지않는물에타는소독제로수영장, 목욕탕, 기타물놀이시설및수조등에적용하는소독제 목재방부제 : 산업공정에서사용하는목재방부제및목재의훼손및변형을방지하기위하여적용하는방부제, 코팅제, 페인트등 세제 : 섬유유연제를포함하여세탁을위해사용하는모든세탁용세제, 살균소독및세척을위하여사용하는범용세제및세척제, 식기세척및식품을다루는공간에서사용하는청소용세제 방오제 : 선박이나해양구조물에조류등의미생물부착을방지하기위해사용하는방오제및방오도료선정한제품군은구체적인제품이바이오사이드기능을목적으로하는지여부에따른제품선별또는평가를거치지않고제품군에포함되는모든제품을대상으로한다. 예를들어, 세제의경우살균또는항균기능이있는세제인지아닌지여부즉, 바이오사이드효과 를기준으로유-효성분이실제포함되어있는지여부를통해조사대상범위에속하는지여부를가 - 100 -

려야하지만기준이모호하고난해하고광범위한검토가필요하고참고할수있는기초자료가전무하여포괄적으로범위를잡았다. (3) 바이오사이드기준물질유통현황 바이오사이드유통현황을조사하기위하여관세청, 금융감독원, 환경부에서구축한자료를검토해본결과, 관세청전자통관시스템 (UNI-PASS) 은품목코드 (HS code) 를중심으로 소독제 살서제 등관련품목명은확인되나구체적인성분정보나제품명, 제품군을알수없어지나치게포괄적인대상의총량만가늠할수있다. 금감원전자공시시스템역시사업체명으로사업보고서정보를얻을수있으나일부를제외하고는제품및매출액정보를확인할수없었다. < 그림 2.1.6> 관세청전자통관시스템정보조회결과 환경부는제품별취급량이 100kg 초과하는단일물질과제품별취급량이 1ton 이상인혼합물질또는유독물, 관찰물질, 배출량조사대상물질을함유하는제품별취급량이 100kg 초과하는경우, 4년주기로화학물질유통량조사를한다.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는현재까지기구축된자료중, 바이오사이드물질을포함한화학물질의유통량을파악할수있는유일한자료라볼수있다. 2010년화학물질유통량조사에서는약 15,840종의화학물질과 16,547개사업장에대한자료가수집되었으며, 71개분류체계에따라용도별유통량을확인할수있다. 이중, 바이오사이드기준물질에해당하는물질은 187종이다. 유통량조사에서사용하는용도분류체계는분류목적이바이오사이드제품을구분하기위한것과달라곧바로단순비교하기에는무리가있으며, 조사결과역시신고자가자체기준에따라임의선택했을가능성이있다는점을유의할필요가있다. 유통량중, 판매량을중심으로기준물질이면서 71개용도중, 세제 / 살균, 소독제, 방균제 방부제용도에해당하는판매량만을대상으로살펴보았다. 52종은해당용도를포함하지않았고, 나머지 135종중판매량을중심으로상위 10개물질은다음과같다 ( 표 2.1.36). Sodium chloride, Sodium hypochlorite가절반이상을차지하고있다. - 101 -

< 표 2.1.36> 기준물질중살균및보존제용도판매량상위 10 개목록 ( 단위 : 톤 / 년, %) 순위 물질명 CAS_NO 판매량 백분율 누적백분위 1 Sodium chloride 0007647-14-5 59,616 36.7 36.7 2 Sodium hypochlorite 0007681-52-9 26,183 16.1 52.8 3 Sodium sulfite 0007757-83-7 16,049 9.9 62.7 4 Formaldehyde ; Formalin 0000050-00-0 15,375 9.5 72.2 5 2-Propanol 0000067-63-0 13,386 8.2 80.4 6 Sulfur dioxide 0007446-09-5 12,547 7.7 88.2 7 Ethanol 0000064-17-5 4,631 2.9 91.0 8 Sodium bicarbonate 0000144-55-8 2,865 1.8 92.8 9 Boric acid, crude natural 0010043-35-3 1,524 0.9 93.7 10 Formic acid 0000064-18-6 1,043 0.6 94.4 이밖에국내법에따라관리및규제되고있는화학물질현황분석을통해유통여부를추정해보았다. 관리및자료수집대상은국내에서모두유통되고있는것으로간주하였다. 조사결과 264종이국내유통되고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2.2.37). < 표 2.1.37> 기준물질중국내유통추정물질수 구분 관련법또는정보시스템 기준물질수 유해화학물질관리법 67 국내법 산업안전관리법 46 관리대상 식품위생법기구등살균소독제 19 농약관리법 42 화학물질통계 화학물질유통량조사대상물질 187 조사대상 화학물질배출이동량조사대상화학물질 (PRTR) 46 식약청독성정보제공시스템 (Tox-info) 51 정보시스템 노동부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193 구축대상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정보시스템 (NCIS) 243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Kischem) 137 계 264 특성정보 (MSDS) 및관리번호확인 (4) 제품사용실태조사 ( 가 ) 조사목적 바이오사이드제품조사는바이오사이드제품, 유통현황, 유통규모를파악하고, 국내에서유통되는화학물질중바이오사이드제품에사용되는화학물질을확인하기위한기초자료수집에있다. ( 나 ) 조사방법 1차년도에는 EU BPD의제품용도 (PT) 정의및 COWI(2009),EC JRC 보고서를토대로후보제품군을작성하고, 온라인을중심으로대형오프라인매장제품과기조사자료를수집 분석하였다. 페인트등과같이전문매장을통해주로유통되는제품군은대표업체를선정하고후보제품군과관련있는정밀화학분야업체를검토하여취급제품을병행조사하였다. 기조사자료로는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독성물질정보시스템, 2012 국정감사정책 - 102 -

자료집 1-3), 2010 화학물질유통량조사결과를참고하였으며, 업체정보, 제품형태등누락사항은추가자료를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최종조사대상제품을선별하여정리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조사결과를바탕으로 109개업체를선정하여자료를수집하였다. 9월말부터약두달여기간동안진행되었으며, 업체별조사대상제품목록을조사양식과함께전달하여자료를수집하는방식으로수행하였다. 자료협조의어려움으로회신율을높이고자성분물질목록수집, MSDS 수집, 성분물질의기능확인, 성분물질함량, 제품유통량순으로항목별우선순위를두고협조를구하였다. 더불어성분물질의기능을알지못하는경우, 제공가능한한도의전성분목록또는기준물질을중심으로작성해줄것을요청하였다. 3차년도에는 2차년도비협조사업장과대형유통업체를포함하여총 76개업체를대상으로조사하였으며, 화학물질관리협회가주체가되어약 3개월에걸쳐자료를수집하였다. 조사양식은 2차년도양식을부분수정 보완하였다. 각업체에배포한조사양식은엑셀형식으로작성하였으며, 조사대상제품을참고할수있도록업체별로제픔목록을함께첨부하였다. 조사양식은조사개요, 제품정보작성시트, 성분정보작성시트, 작성안내, 제품군및제형분류, 기준물질목록시트로구성된다. 단업체에서제공하는자료를기본으로작성하여, 현시점을반영하지못하는한계점이있다 ( 기초자료로활용 ). ( 다 ) 조사결과 < 그림 2.1.7> 조사양식예시 1차년도조사결과총 9,500여개제품에대한자료를수집 검토하였고, 최종조사범위로선정한 663개제품에대한정보를정리하였다. 2차년도조사결과총 109개업체중 39개업체 ( 약 36%) 가조사에응했다. 이중, 10개사업장은제품의단종또는해당물질이포함되어있지않다고응답했으며, 28개사업장에서 MSDS 또는조사양식에작성하여회신해왔다. 이로약 700여개제품의정보가업데이트되거나새로추가정리되었다. 3차년도조사결과총 76개업체중 48개업체 ( 약 63%) 가조사에응했다. 이중 7개업체는조사대상물질이포함되어있지않다고응답했으며, 41개업체에서약 436개제품에대한정보를협조받았다. - 103 -

전반적으로자료협조가원활히이루어지지않았는데, 가장큰이유는조사에응해야할근거가없다는이유이고, 민감한정보인제품함유성분공개를업계에서꺼릴뿐아니라자료보안에관한불안이크게작용했다. 그밖에업체별로는부처별유사한조사에응해야하는번거로움과자료제출을위해별도로시간을할애해야한다는점, 제품관리또는취급자와성분정보관리또는취급자가다르다는점뿐만아니라업체측에이득이되지않는다고판단하기때문인것으로추정된다. 3차년에걸친조사결과, 총 1,432개제품이수집되었고종합하면다음과같다 ( 표 2.1.38). 제품군별제품유형현황파악에도움이되도록성분물질이정확히파악되지않은제품도포함하여정리하였다. 연차별조사과정에서중복으로확인되는제품은최신자료만남기고정리하였다. 다만, 제품명이같거나유사하더라도출처간성분정보가다르면그대로남겨두었다. 조사결과를살펴보면세탁용합성세제, 탈취제, 다용도세제, 식기세척용세제제품수, 자동차용세제가전체의 40% 정도로다수를차지하고있다. 전체제품중, 기준물질을함유하고있는제품은 974개 (68%) 이고 96종의물질이확인되었다 ( 부록 2). 더불어제조, 구매, 수입, 수출, 판매량중하나라도값이있는경우, 즉, 유통량자료가있는제품은 496개로약 35% 를차지한다. 기준단위는 ton, kg, L, EA 등으로다양하다. < 표 2.1.38> 제품분류별자료수집결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제품수 ( 개 ) 기준물질 ( 종 ) 섬유용얼룩제거제 13 8 섬유유연제 72 17 세탁용표백제 32 5 인체위생용소독제 세탁용합성세제 178 28 영유아용물휴지 46 14 일반물휴지 28 11 홈드라이클리닝 5 4 소계 374 38 가구용세제 2 1 가습기용세제 1 1 가죽용세제 12 2 건물바닥용세제 2 1 곰팡이제거제 27 3 구두용세제 1 1 살균 / 소독제 금속용세제 14 2 다용도세제 165 25 렌지후드용세제 5 3 배수관용세제 27 8 사설및공중보건구역변기용세제 29 10 살균 / 소독제세탁조용세제 14 4 수처리제 4 2 스티커 / 접착제제거제 14 3 식기세척용세제 104 14 에어컨용세제 15 7 오븐용세제 8 3 욕실용세제 47 16 유리용세제 34 8 자동차용세제 94 10 주방청소용세제 43 18-104 -

방부제 / 보존제 기타 탈취제 284 29 표면용세제 7 6 소계 953 53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냉장고탈취제 25 9 목재용방부제 6 7 목재방부제 스테인류페인트 19 7 소계 25 10 방오도료 49 11 방오제 방오제 6 4 소계 55 12 계 1,432 96 업체별로는약 270개업체자료가수집되었고, 이중목재방부제는 7개업체, 방오제는 6개업체, 그외살균 / 소독제즉, 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는 223개업체가포함되어있다. 업체별제품수를보면 10개이상제품이조사된곳은아래와같다 ( 표 2.1.39). 표에서도알수있듯이옥시레킷벤키져, LG 생활건강이취급제품수가가장많았고, 홈플러스, 이마트, 롯데쇼핑등대형유통사의제품 (PB제품포함) 이다수를이루고있다. 다만제품수와유통규모, 또는시장점유율이일치하지는않는다는점은유의해야한다. < 표 2.1.39> 업체별자료수집결과 업체명 제품수 ( 개 ) 업체명 제품수 ( 개 ) ( 유 ) 옥시레킷벤키저 134 ( 주 ) 성진켐 20 ( 주 )LG생활건강 84 ( 주 ) 캉가루 20 홈플러스 ( 주 ) 70 유한양행 20 ( 주 ) 이마트 57 티엠로직스 20 ( 주 ) 케이씨씨 54 씨월드 16 ( 주 ) 산도깨비 45 한국맥과이어스 15 애경산업 / 애경에스티 41 ( 주 )GS리테일 14 롯데쇼핑 ( 주 ) 롯데마트 40 ( 주 ) 케이피코리아 13 삼성테스코 ( 주 ) 39 ( 주 ) 훠링 13 ( 주 ) 불스원 36 남방CNA( 주 ) 11 ( 주 ) 피죤 29 엠전트 11 씨제이라이온 ( 주 ) 27 유한킴벌리 11 보령메디앙스 ( 주 ) 25 ( 주 ) 한국오도텍 10 헨켈홈케어코리아 ( 유 ) 24 에스씨존슨코리아 ( 유 ) 10 태영바이오켐 23 판매량을중심으로 ( 단위 kg에한하여 ) 살펴보면옥시와애경산업이전체판매량이절반이상을차지한다 ( 표 2.1.40). 제품특성별로사용빈도, 사용량등이다르므로해석에유의해야한다. - 105 -

< 표 2.1.40> 판매량기준연간 1 천톤이상업체 업체명 판매량 (ton/yr) 업체명 판매량 (ton/yr) ( 유 ) 옥시레킷벤키저 76,260 상원상공 ( 주 ) 4,743 애경산업 / 애경에스티 56,579 홈플러스 ( 주 ) 3,448 보령메디앙스 ( 주 ) 11,925 유한킴벌리 2,754 ( 주 ) 피죤 11,511 ( 주 ) 산도깨비 1,489 씨제이라이온 ( 주 ) 11,138 ( 주 ) 이마트 1,211 헨켈홈케어코리아 ( 유 ) 10,962 롯데쇼핑 ( 주 ) 롯데마트 1,211 ( 주 ) 호수의나라수오미 10,089 오쎄 1,131 ( 주 ) 성진켐 8,958 유한양행 1,061 제품에가장다빈도로함유된물질중상위 15개목록은다음과같다 ( 표 2.1.41). 본과제 에서관심대상으로선정한물질목록중, CMIT, BIT, IPBC, CMIT/MIT(3:1) 를확인할수 있다. 그밖에에탄올과물과같이바탕재로주로사용되는물질과계면활성제등물질도확인 할수있다. < 표 2.1.41> 업체제공살균 / 소독제물질 CAS no. 물질명 제품수 000064-17-5 Ethanol 282 007732-18-5 정제수 163 007681-52-9 Sodium hypochlorite 120 001310-73-2 Sod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 104 000077-92-9 Citric acid 96 00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94 000532-32-1 Sodium benzoate 93 00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89 055965-84-9 CMIT/MIT(3:1) 70 00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67 001330-20-7 Xylene자일렌 57 0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57 0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52 009002-92-0 Nonionic Surfactant 47 007647-14-5 Sodium chloride 46 관심물질로선정된 CMIT, MIT, CMIT/MIT, BIT, IPBC, PHMG 물질을포함하는제품을좀더살펴보았다. 이들물질을함유하고있는제품은 329개로전체조사제품의약 23% 를차지한다. 제품군별로살펴보면탈취제, 세탁용합성세제제품수가주를이룬다 ( 표 2.1.42). 다시제품군별로전체제품수와관심물질함유제품수를비교해본결과, 탈취제, 세탁용합성세제를비롯하여홈드라이크리닝, 냉장고탈취제가조사제품대비관심물질함유제품비율이 - 106 -

40% 를상회했다. < 표 2.1.42> 제품분류별관심물질함유제품수 대분류중분류소분류계 CMIT MIT 살균 / 소독제 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섬유용얼룩제거제 1 1 CMIT/ MIT 섬유유연제 11 1 4 3 1 2 세탁용표백제 1 1 BIT IPBC PHMG 세탁용합성세제 81 4 19 44 1 13 영유아용물휴지 9 1 2 3 3 일반물휴지 11 1 7 2 1 홈드라이클리닝 2 1 1 가죽용세제 1 1 곰팡이제거제 1 1 다용도세제 25 1 5 7 3 9 변기용세제 2 1 1 식기세척용세제 10 1 4 2 3 오븐용세제 1 1 욕실용세제 13 5 5 3 유리용세제 5 2 2 1 자동차용세제 5 2 2 1 주방청소용세제 10 1 1 4 4 탈취제 118 6 17 17 37 41 냉장고탈취제 17 3 6 8 목재용방부제 1 1 스테인류페인트 3 2 1 방부제 / 보존제 목재방부제 기타 방오제 방오제 1 1* 계 329 18 70 94 57 89 1 * 방오제는 S사제품으로 2012년조사당시회사홈페이지에서확인되었으나, 2013년이후 더이상확인되지않는제품임. 제품에함유된물질의기능이부분적으로나마조사된제품은총 1,432개중, 549개로약 38% 에해당하며, 이중살균 / 소독제또는방부 / 보존제기능유효성분이표시된제품은 385개, 약 27% 으로, 67종의물질이이에포함된다. 다만, 업체에서보고한물질별기능정보에대한검토방법이없으므로제공정보가맞다고전제하고집계하였다. 수집된자료에따르면살균 / 소독제물질은 40종, 방부 / 보존제물질은 36종이다. 살균 / 소독제및방부 / 보존제모두해당하는물질은 1종으로 Chloroxylenol (1321-23-9) 이다. 살균 / 소독제물질 40종중, 2010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의용도기준세제 / 살균, 소독제와겹치는물질은 25종이고 ( 표 2.1.43), 기준물질 (315종) 은 30종이다. 방부 / 보존제 36종중, 2010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의용도기준방균제, 방부제와겹치는물질은 16종이고 ( 표 2.1.44), 기준물질 (315종) 은 23종이다. - 107 -

< 표 2.1.43> 업체제공살균 / 소독제물질 CAS no. 물질명유통량 64-17-5 Ethanol O 64-18-6 Formic acid O 65-85-0 Benzoic acid O 77-92-9 Citric acid O 79-33-4 L-(+)-lactic acid O 87-90-1 Symclosene O 88-04-0 Chloroxylenol O 123-03-5 Cetylpyridinium chloride O 137-30-4 Ziram 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O 330-54-1 Diuron 497-19-8 Sodium Carbonate 1305-78-8 Calcium oxide / lime / burnt lime / quicklime O 1310-73-2 Sodium hydroxide수산화나트륨 1314-13-2 Zinc oxide O 1317-38-0 Copper (II) oxide O 1317-39-1 Dicopper oxide 1318-02-1 제올라이트 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O 2893-78-9 Troclosene sodium O 3380-34-5 Triclosan O 5329-14-6 sulphamidic acid 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O 6153-56-6 Ethanedioic acid, dihydrate 7647-01-0 HCL염화수소 7681-52-9 Sodium hypochlorite O 7757-82-6 황산나트륨 7778-54-3 Calcium hypochlorite O 10049-04-4 Chlorine dioxide O 10543-57-4 N,N'-ethylenebis[N-acetylacetamide] 10605-21-7 Carbendazim O 14915-37-8 Bis(1-hydroxy-1H-pyridine-2-thionato-O,S)copper 15630-89-4 천연과탄산나트륨 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O 52645-53-1 Permethrin O 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O 64359-81-5 DCOIT/4,5-dichloro-2-octyl-2H-isothiazol-3-one 68391-01-5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8-alkyldimethyl, chlorides O 68424-85-1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benzyl-c12-16-alkyldimethyl, chlorides O 68585-34-2 Sodium lauryl ether sulfate 유통량 ;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용도기준세제 / 살균, 소독제로조사된물질과일치하는물질 - 108 -

< 표 2.1.44> 업체제공방부 / 보존제물질 CAS no. 물질명유통량 50-00-0 Formaldehyde O 57-55-6 Propylene glycol프로필렌글리콜 64-17-5 Ethanol O 65-85-0 Benzoic acid O 71-23-8 Propan-1-ol 77-92-9 Citric acid O 99-76-3 메칠파라벤 111-76-2 Ethylene glycol mono-n-butyl ether에틸렌글리콜모노-n-뷰틸에테르 112-02-7 N-Hexa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112-80-1 올레인산 122-99-6 2-Phenoxyethanol O 123-03-5 Cetylpyridinium chloride O 128-37-0 Butylated Hydroxytoluene 144-55-8 Sodium hydrogencarbonate 330-54-1 Diuron O 532-32-1 Sodium benzoate O 590-00-1 potassium sorbate 1336-21-6 Ammonium hydroxide암모늄수산화물 2634-33-5 BIT / 1,2-benzisothiazol-3(2H) -one O 2682-20-4 MIT / 2-methyl-2H-isothiazol-3 -one O 5949-29-1 citric acid 5989-27-5 d-limonene / (R)-p-mentha- 1,8-diene 7664-38-2 Orthophosphoric acid O 8001-54-5 benzalkonium chloride염화벤잘코늄 10102-40-6 Sodium Molybdate 18472-51-0 D-gluconic acid, compound with N,N''-bis(4-chlorophenyl)-3,12-diimino-2,4,11,13-tetraazatetradecanediamidi O ne (2:1) 24634-61-5 Potassium (E,E)-hexa-2,4-dienoate O 26172-55-4 CMIT / 5-Chloro- 2-Methyl-4-Isothiazolin-3-One 26530-03-0 5-chloro-2-methyl-3(2H)-isothiazolone hydrochloride 26530-20-1 OIT / 2-octyl-2H-isothiazol-3 -one O 27083-27-8 32289-58-0 PHMB / Monohydro chloride of polymer of N,N'''-1,6-hexanediylbis[N'-cyanoguanidine] (EINECS 240-032-4) and hexamethylenediamine (EINECS 204-679-6) 55406-53-6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O 55965-84-9 CMIT/MIT(3:1) / Mixture of 5-chloro-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47-500-7) and 2-methyl-2H-isothiazol-3-one (EINECS 220-239-6) 61971-31-9 COCAMIDE DIETHANOLAMINE 70161-44-3 Sodium N-(hydroxymethyl)glycinate 유통량 ;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용도기준방균제, 방부제로조사된물질과일치하는물질 O - 109 -

기준물질 315종에포함되지않지만방부 / 보존제또는살균 / 소독제즉, 바이오사이드용도물질로보고된물질은 23종으로다음과같다 ( 표 2.1.45) < 표 2.1.45> 기준물질 (315 종 ) 외업체제공바이오사이드기능물질 CAS no. 물질명 000497-19-8 Sodium Carbonate 001310-73-2 Sod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 001318-02-1 제올라이트 005329-14-6 sulphamidic acid 006153-56-6 Ethanedioic acid, dihydrate 007647-01-0 HCL염화수소 007757-82-6 황산나트륨 010543-57-4 N,N'-ethylenebis[N-acetylacetamide] 015630-89-4 천연과탄산나트륨 068585-34-2 Sodium lauryl ether sulfate 로릴에테르황산나트륨 000057-55-6 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 000099-76-3 메칠파라벤 000111-76-2 Ethylene glycol mono-n-butyl ether 에틸렌글리콜모노-N-뷰틸에테르 000112-02-7 N-Hexa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000112-80-1 올레인산 000128-37-0 Butylated Hydroxytoluene 000590-00-1 potassium sorbate 001336-21-6 Ammonium hydroxide 암모늄수산화물 005949-29-1 citric acid 시트르산 008001-54-5 benzalkonium chloride 염화벤잘코늄 010102-40-6 Sodium Molybdate 026530-03-0 5-chloro-2-methyl-3(2H)-isothiazolone hydrochloride 061971-31-9 COCAMIDE DIETHANOLAMINE ( 라 ) 종합 바이오사이드제품조사는업체에서민감해하는정보또는잘모르는정보를수집하는까닭에전반적으로자료협조가어렵고조사협조를구할근거가없기때문에더욱그러한실정이다. MSDS가있는업체의경우, MSDS로대체하여자료를제출하기도하는데일반생활화학제품에비해자동차용제품이나페인트등의제품취급업체의경우가많다. 기초정보가전무한상황에서는 MSDS를통한목록작성도의미가있고이마저도제품군별로난이도가다를것으로예상된다. 하지만효용가치가있는자료수집을위해서는궁극적으로정보의질을높여야하고, 그러기위해서는자료협조의근거마련되어야한다. 이를통한주기적인정보축적과갱신이필요하다. 업체별로제출한자료를살펴보면동일물질명이라도다른관리번호를기입했거나, 전혀맞지않는물질기능을넣어회신해오는경우가있는데, 쉽게정정할수있기도하지만그렇지않은경우업체에서제공한자료를의존할수밖에없다. 따라서수집된자료가신뢰할만한지판단하기위해서는적정수준의기초자료의확보가필요하다. 마지막으로소규모업체의경우, 조사에응할인력이나전문성이부족하여어려움을느끼는만큼규모별자료제출수준이나자료작성안내와관련한지원방안도함께고민할필요가있다. - 110 -

나. 바이오사이드데이터베이스구축 (1) 물질특성 DB 구축 ( 가 ) 구축범위및자료수집 물질특성 DB는 315 기준물질을대상으로특성자료를수집하여데이터베이스로구축하였다 ( 표 2.1.46). 1차년도에는국내에서기준물질의유통이확인되거나유통될것으로추정되는물질 270여종에한하여특성정보를구축하였으나, 2차년도에는추가된 2종의물질을포함한 315종전체기준물질을대상으로특성정보를확대구축하고독성자료를보완하였다. 3차년도에는우선순위산정이나노출평가와연계되는항목등을중심으로데이터갭분석을강화하여항목별자료를보완하였다. 바이오사이드기준물질이소량유통이거나신규물질인경우가있어일반적인대량유통화학물질에비해항목별자료누락이많았다. 이에누락값을줄이기위해 EPI suite 등국외예측프로그램값도참고하였다. 국내화학물질정보시스템을통해자료수집이가능한물질은 264 종이다. 이를기본으로 3 차년도의평가연계항목의경우, 부족한항목별자료는다음순서를기본으로하여자료를수집 검토하였으며, 다만아래출처에서자료를구하지못한경우, 정보없음 으로처리하고조사를종료하였다. 1 ECHA BPR Assessment Report 2 ECHA REACH Final Risk Assessment Report 3 ECHA REACH Registered substances 4 EPA 사이트 (ACToR, IRIS, EcoTox) 5 HSDB 6 echemportal 내기타출처 7 EPI SUITE 각출처별로자료를검토시신뢰도가높은자료를우선채택하고, GLP 등시험관리기준하에수행된값을우선하며, 표준조건을우선고려하고, 실험값을예측값보다우선고려하였다. 항목별로는환경거동을고려하여수용해도는낮은값, 증기압, log Kow, BCF 등은높은값을우선고려하였으며, 독성값의경우, 낮은값을우선하되표준노출시간및표준실험종을우선고려하여값을검토하였다. 더불어끓는점과녹는점또는급성만성독성등상호연계되어있는항목의경우포괄적으로값을검토하여결정하였다. - 111 -

< 표 2.1.46> 물질특성자료수집자료목록 구분관리기관자료원 전항목 실험 예측값 ( 물리화학적특성, 독성, 생물농축성등 ) 국립환경과학원안전보건공단국립환경과학원 식품의약품안전처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US EPA EU ECHA OECD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KISChem) 안전보건공단화학물질정보센터 (Kosha) 화학물질정보시스템 (NCIS) 기구등살균소독제잔류농약관리DB HSDB Actor IRIS ECOTOX pestcide sheet EPI SUITE, ECOSar, QSAR ECHA BPR Assessment Report Competent Authority Report REACH Final Risk Assessment report REACH Registered substances e-chemportal 연계 DB (SIDS UNEP/ EnviChem, HSNO CCID, ICSC 등 ) ( 나 ) 물질특성 DB 속성항목 물질특성속성항목은국내화학물질정보시스템을토대로 EU 및국내위해성평가항목을함께고려하여작성하였다. < 그림 2.1.8> 화학물질특성정보 ( 예시 ) 출처 :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안전보건공단홈페이지 - 112 -

최종속성항목은일부항목조정을거쳐기본정보, 물리 화학적특성정보, 환경거동및독성, 인체유해성및응급조치, 안전관리, 작업장허용노출기준, 규제정보로구분하였다 ( 표 2.1.47). - 113 -

< 표 2.1.47> 물질특성정보 DB 속성정보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물질명 국문영문 화학물질군 ( 계통 ) 물질기본정보 관리번호 CAS no., EC no., UN no., 국내관리번호 관용명 ( 이명 ) 물질용도 EU 승인 / 비승인제품용도 (PT) 분자식 분자량 끓는점 녹는점 / 어는점 증기압 증기밀도 물리화학적특성 밀도 수용해도 ph log Kow 비중 점도 분해온도 매체간이동정보 생물농축성 어류급성 / 만성독성 환경거동및독성 생태독성무척추동물급성 / 만성독성조류독성 경구급성 / 만성독성 인체독성 경피급성 / 만성독성 흡입급성 / 만성독성 부식성및자극성 눈, 피부 산업안전보건법, 고용노동부고시, IARC, ACGIH, NTP, EU 발암성인체유해성및응급조치 CLP, EPA IRIS 발암성분류 노출유해성 흡입, 피부, 안구, 경구, 기타 응급조치요령 흡입, 피부, 안구, 경구, 기타 반응성 안전성및반응성 연소 / 열분해생성물 피해야할조건 취급및저장방법 취급주의 취급시주의사항 안전관리 폐기시주의사항 누출방제요령 사고대응 방제약품및장비 노출방지및개인보호구 폭발화재시대응 소화제및장비화재진압요령 작업장허용노출기준 노동부, NIOSH, ACGIH, OSHA 별 TWA/STEL/CEILING 국내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기타 국내외규제 미국 OSHA, CERCLA, EPCAR, TSCA, 협약 EU REACH 일본 화심법 - 114 -

( 다 ) 물질특성정보 DB 표준화 물질특성정보는항목별값과출처를분리하고수집된출처는목록을작성하여통일하였다. 항목중실험이나예측값인경우, 값, 단위, 실험조건, 예측값여부, 기타특이사항순으로정리하고, 위해도등급처럼분류가정해져있는경우항목별기관별분류체계에맞게작성하였다. 물질관리번호또한관리기관별특성에따라자리수를맞추어정리하였다. 예를들어 CAS 번호는 6-2-1 형식으로정리하였다. ( 라 ) 물질특성정보 DB 구축결과 물질특성정보를 DB 화한결과는다음과같다. < 그림 2.1.9> 물질특성정보 DB 예시 (2) 인벤토리 DB 구축 ( 가 ) 구축범위 제품조사결과를종합하여총 1,810개제품을 DB로구축하였다 ( 표 2.1.48). 제품군별제품유형현황파악에도움이되도록성분물질이정확히파악되지않은자료도포함하였고, 중복으로확인된제품은최신자료를기준으로정리하였다. 다만, 제품명이같거나유사하더라도성분정보가다르면그대로남겨두었다. 이과정에서약 500여개제품이재검토되었다. 이밖에조사범위로선정된제품외에 1차년에검토된제품중 EU 제품용도 (PT) 6, 7, 9, 10, 11, 12, 13에대항하는 In-can 방부제, 필름방부제, 섬유및방부제, 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 석조물보존제, 냉각및가공계보존제, slimicides, 금속세공용방부제도 DB 에포함하였다. 화학물질유통량조사자료에서가져온자료는제조량이있는업체자료만참고하였다. - 115 -

< 표 2.1.48> 제품분류별바이오사이드제품인벤토리구축결과 대분류중분류제품수 ( 개 ) 인체위생용소독제 373 살균 / 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954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25 In-can 방부제 27 필름방부제 323 목재방부제 25 방부제 / 보존제 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 7 냉각및가공계보존제 6 slimicides 3 금속세공용방부제 12 기타 방오제 55 계 1,810 ( 나 ) 인벤토리 DB 속성항목 구축한인벤토리 DB의속성항목은일반현황과성분정보로나뉘며, 제품번호를고유키로하여상호연결정보를갖는다 ( 표 2.1.49, 표 2.1.50). 제품일반현황에는제품분류, 제품형태, 제품용도, 조사기준연도, 제조사및판매사, 관련법및유통량정보를포함한다. 성분정보에는성분물질명, 관리번호, 함량, 물질의제품내역할및기능등을포함한다. < 표 2.1.49> 제품일반현황속성정보 기본정보 업체정보 규제및유통정보 구분제품번호제품분류제품명제품용도제품형태조사기준연도제조사제조국수입 / 판매원규제정보제조량구매량수입량수출량판매량 내용제품고유번호분류체계상의대 중 소분류명제품명세부용도스프레이형등제공형태제품조사기준연도제조업체명제조국기입수입원또는판매원기입관련법 ( 연간 ) 제조량, 단위 ( 연간 ) 구매량, 단위 ( 연간 ) 수입량, 단위 ( 연간 ) 수출량, 단위 ( 연간 ) 판매량, 단위 - 116 -

< 표 2.1.50> 성분정보속성정보 구분제품번호성분물질명 CAS no. 함량 (%) 기준물질여부물질의기능자료출처 국문 영문 내용제품고유번호성분물질국문명성분물질영문명 CAS 번호성분물질의함량정보 315종기준물질목록해당여부 [Y/N] 살균 / 소독제, 방부 / 보존제, 살균 / 소독제및방부 / 보존제, 기타성분정보출처 ( 다 ) 인벤토리 DB 표준화 제품명의경우, 자동차용세제, 접착제또는산업용제품과같이제품코드로관리하는제품이있고, 자체관리제품명과홈페이지나라벨상의제품명이일치되지않는등제품명에대한기준이모호하다. 따라서업체에서제공한명칭을우선기준으로정리하되, 제품코드가있는경우, 제품명다음에제품코드를제품명과함께정리하고, 공식홈페이지의제품명, 브랜드명, 제품뒷면의라벨상제품명, 또는제품앞면의포장용기상의제품명등을참고하여정리하였다. 수집된정보수준에따라용량, 향, 용기등세분화된정보도추가하였다. 자료에따라항목별로누락정보가있는경우, 즉, 업체명이나제품형태, 물질관리번호등이누락된경우, 추가조사를통해보완하고, 기존정리자료도재검토하였다. 업체와제품명은갖지만제품생산시점을기준으로성분이나함량이바뀌는경우가있으므로, 성분정보의경우자료의최종수정연도는성분정보이조사된연도를기준연도로정리하였다. 자료정리과정에서중복제품이확인되면최신자료를남겨두고항목별정보를최대한살려두었다. 제품명이같더라도성분정보가다르면다른제품으로간주하여그대로두었다. 1 제품분류체계제품분류체계는 EU의제품용도 (PT) 분류에기초하여선정한제품군을세분화하여작성하였으며, 3차년도에노출평가를고려하여일부제품분류체계를수정 보완하였다 ( 표 2.1.51). - 117 -

< 표 2.1.51> 바이오사이드제품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인체위생용소독제 세탁용합성세제세탁용표백제섬유용얼룩제거제섬유유연제홈드라이클리닝영유아용물휴지일반물휴지 살균 / 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식기세척용세제오븐용세제렌지후드용세제주방청소용세제욕실용세제변기용세제가구용세제거실용세제 ( 카페트용 ) 가죽용세제구두용세제금속용세제표면용세제스티커 / 접착제제거제건물바닥용세제곰팡이제거제배수관용세제가습기용세제에어컨용세제유리용세제자동차용세제다용도세제수처리제탈취제세탁조용세제 식품및사료취급시설용소독제 냉장고탈취제 In-can 방부제 In-can 방부제방부제 / 보존제 필름방부제 필름방부제방부제 / 보존제 목재방부제 목재방부제스테인류페인트 방부제 / 보존제 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섬유, 가죽, 고무, 중합체용방부제방부제 / 보존제석조물보존제석조물보존제방부제 / 보존제 냉각및가공계보존제 냉각 / 가공계보존제방부제 / 보존제 slimicides slimicide 방부제 / 보존제 금속세공용방부제 금속세공용방부제방부제 / 보존제 기타 방오제 방오제방오도료 - 118 -

2 제품형태분류체계 제품형태즉, 제형의분류는노출평가를고려하여아래와같이 8개로분류하였으며향후수집될정보의예외사항을고려하여 기타 를두었다 ( 표 2.1.52). < 표 2.1.52> 바이오사이드제품인벤토리제품형태분류체계 번호제품형태설명제품예시 1 스프레이 분사하여적용하는형태로다음을모두포함함가. 기체속에고체또는액체의작은방울이분산된형태또는폼형태로분사되는형태나. 용액을펌핑하여분사하는형태 2 액상형 액체상의형태 ( 단, 스프레이에해당되지않는거품형태포함 ) 3 겔형액체와고체의중간형태 4 페이스트치약처럼짜서사용하는형태 5 고형고체상의형태 6 분말형가루상의미세한고체형태 7 타블렛알약형태 8 티슈형 해당성분이제지류에도포되어있어뽑아사용하는형태 9 기타그밖의형태 - 119 -

( 라 ) 인벤토리 DB 구축결과 제품인벤토리 DB를구축한결과제품일반현황 DB 구축예시와성분정보 DB 구축예시는다음과같다. < 그림 2.1.10> 제품일반현황 DB 구축예시 < 그림 2.1.11> 성분정보 DB 구축예시 - 120 -

(3) 노출평가 DB 구축 ( 가 ) 구축범위 노출평가대상범위는중분류기준, 인생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에해당한다. 수집된제품정보를바탕으로가능한전제품군별제형에대한노출평가가가능하도록노출시나리오를선정하고노출계수를검토하여 DB로작성하였다 ( 표 2.1.53). < 표 2.1.53> 노출평가대상범위 대분류중분류소분류제품형태 살균 / 소독제 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세탁용합성세제세탁용표백제섬유용얼룩제거제섬유유연제홈드라이클리닝영유아용물휴지일반물휴지 식기세척용세제오븐용세제렌지후드용세제주방청소용세제욕실용세제변기용세제가구용세제거실용세제 ( 카페트용 ) 가죽용세제구두용세제금속용세제표면용세제스티커 / 접착제제거제건물바닥용세제곰팡이제거제배수관용세제가습기용세제에어컨용세제유리용세제자동차용세제다용도세제수처리제탈취제세탁조용세제 스프레이, 액상형, 고형, 분말형, 타블렛, 티슈형액상형, 분말형스프레이, 액상형액상형, 티슈형액상형티슈형티슈형 액상형, 분말형스프레이, 분말형액상형, 스프레이, 티슈형 스프레이, 액상형, 고형, 분말형, 티슈형스프레이, 액상형, 분말형, 티슈형스프레이, 액상형, 분말형스프레이, 액상형, 티슈형스프레이, 액상형스프레이, 액상형, 페이스트고형, 스프레이스프레이, 액상형스프레이, 액상형, 티슈형스프레이스프레이, 액상형, 겔형, 분말형스프레이, 액상형스프레이, 액상형, 분말형액상형스프레이스프레이, 티슈형스프레이, 액상형, 티슈형, 페이스트스프레이, 액상형, 페이스트, 분말형, 티슈형액상형스프레이, 액상형액상형, 분말형 - 121 -

( 나 ) 노출계수 DB 속성항목 노출평가에필요한 DB 속성항목은제품군별이용행태 / 시나리오와시나리오별표준노출계수와피부흡수율및휘발정도를계산하기위한물질정보로구성된다. 수집된제품정보를고려하여제품군에대하여노출평가되는제품형태가조금씩다르며시나리오구성역시제품군별로달라진다 ( 표 2.1.54). < 표 2.1.54> 노출평가 DB 속성정보 노출시나리오 시나리오별노출계수 구분제품분류제품형태이용행태 ( 사용부위 ) 노출시나리오 표준노출량 경피흡입경구 경피흡입경구 내용제품분류체계별대 중 소분류명스프레이, 액상형, 겔형, 페이스트, 고형, 분말형, 타블렛, 티슈형사용준비, 사용중, 사용후지속적접촉, 섬유를통한전이, 직접접촉휘발물질, 에어로졸, 직접흡입손-입섭취, 직접섭취시나리오별표준노출량시나리오별표준노출량시나리오별표준노출량 ( 다 ) 노출계수 DB 구축결과 노출계수 DB 구축결과는다음과같다 ( 표 2.1.55). < 표 2.1.55> 노출계수 DB 구축결과예시 제품군 ( 소 ) 세탁용합성세제 세탁용표백제 노출시나리오 제형이용행태경피경피흡입경구 (mg/kg/d) 스프레이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3.51E-04 액상형 사용준비 직접접촉 1.11E-01 흡입 (mg/ m3 ) 표준노출량 액상형 사용중 직접접촉 휘발물질 2.08E+00 1.25E+02 3.44E+01 액상형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1.03E-02 고형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2.01E-05 분말형 사용준비 직접접촉 직접흡입 1.11E-01 5.63E+07 1.54E+07 분말형 사용중 직접접촉 휘발물질 2.08E+00 1.10E+02 3.01E+01 분말형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9.03E-03 타블렛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2.41E-03 티슈형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1.00E-04 액상형 사용준비 직접접촉 6.70E-02 액상형 사용중 직접접촉 휘발물질 1.26E+00 6.01E+01 1.65E+01 액상형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8.03E-03 분말형 사용준비 직접접촉 직접흡입 6.70E-02 1.51E+07 4.14E+08 분말형 사용중 직접접촉 휘발물질 1.26E+00 3.86E+01 1.06E+01 분말형 사용후 섬유를통한전이 5.16E-03 흡입경구 (mg/kg/d) (mg/kg/d) - 122 -

다.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구축 (1) 유사시스템분석 ( 가 ) 화학물질특성정보제공시스템 화학물질특성정보와관련하여국립환경과학원의화학물질정보시스템 (ncis.neir.go.kr),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kischem.nier.go.kr) 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국외사례로는미국연방정부에서운영하는미국국립의학도서관의독성정보시스템과 OECD에서운영하는포털서비스형식의 e-chemportal이있다. 1 화학물질정보시스템이중, 화학물질정보시스템은국내운영시스템중약 45,000여건의화학물질검색을지원하고있으며, 원출처로의바로가기및관련규제별해당물질검색을지원하고있다. 특히, 관리규정에관한정보, 물리화학적특성, 거동및독성정보를주로제공한다. < 그림 2.1.12> 화학물질정보시스템검색화면 2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 (kischem.nier.go.kr) 의경우, 국내법제도적용대상화학물질에대한안전관리정보를제공하는것을목표로약 7,000여종으로추정되는화학물질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있다. 타시스템과동일하게물질명이나 CAS 번호로물질을검색할수있는일반검색과함께내용검색또는항목별세부값을검색할수있는조건검색을지원하고있다. - 123 -

< 그림 2.1.13>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의조건검색예시화면 3 TOXNET 미국독성정보시스템의경우, HSDB 등 17개데이터베이스를연계하여화학물질특성정보를제공한다. 기본적인검색을비롯하여검색결과이력등저장, 결과정렬이가능하고목차별선택저장및다운로드를지원한다. 또한내용검색 (Browse Index) 을하면, 최종선택한검색옵션에대하여해당검색어를포함하는페이지를상단에노출시키고붉은색으로표시하여결과를확인할수있게해준다. < 그림 2.1.14> 독성정보시스템검색화면 - 124 -

4 e-chemportal OECD에서운영하는 e-chemportal은유럽연합, 유럽화학물질청 (ECHA), 화학물질협회 (ICCA) 등 8개주요기관및비정부기관이협력하여 28개화학물질데이터베이스를연계제공한다. 기본검색을비롯하여특성정보세부목차별상세조건검색이가능하다. < 그림 2.1.15> e-chemportal 검색화면 ( 나 ) 화학물질제품정보제공시스템 화학물질제품과관련한정보를참고할수있는국내정보시스템에는화학사고응급대응정보시스템 (ceis.nier.go.kr) 과독성정보제공시스템 (nifds.go.kr/toxinfo) 을참고할수있다. 국외의경우, 소비자제품정보시스템 (CPID, whatsinproducts.com) 를중심으로살펴보았다. 1 화학사고응급대응정보시스템화학사고응급대응정보시스템은화학물질사용에따른노출사고가증가하여일반시민에게응급대응정보를제공하고의료계에제품성분정보제공하려는목적으로구축되어서비스되고있다. 20개제품군으로분류하여제품별성분물질, 제품과관련한독성정보, 취급시주의사항, GHS 정보, 응급조치목록을제공한다. 성분물질의함량정보는제공하고있지않으며, 응급정보에대한대시민서비스라는점을고려하여삽화를통해정보를쉽게제공하려했다는특징이있다. - 125 -

< 그림 2.1.16> 화학화학사고응급대응정보시스템화면및검색결과화면 2 TOXINFO 독성정보제공시스템은상품정보별, 성분정보별, 제조사별, 이미지및제품의포장등특성별정보검색을지원한다. 하지만비공개시스템으로검색결과는접근권한이있는사람만볼수있다. < 그림 2.1.17> 독성정보제공시스템검색화면 - 126 -

3 소비자제품정보시스템 (CPID; Consumer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CPID는 DeLima Associates에서화학제품과관련사고등의예방과관련한자료구축필요에따라 1994년에개발착수되었다. 소매점, 드럭스토어, 마켓, 사무용품취급점등에서판매되는제품정보를 9개제품군으로분류하여서비스하고있다. 제품정보는제품라벨, 제조사제공 MSDS, 제조사홈페이지등을통해수집되며, 현재미국내유통되고있는 12,000여개브랜드의비교적방대한양의데이터가구축되어있다. 자료의정확성이나완전성확인을위해별도의시험을수행하지는않으며자료에대한수집에초점을맞추고있다. 미국연방정부의 TOXNET의가정생활용품정보시스템 (Household Products) 도 CPID 자료에기반하고있다. 제품정보는제조사별, 브랜드별, 제품명별, 제품형태별로검색할수있으며, 유사제품및동일제조사제품검색, 제품간성분비교등연관검색도가능하다. < 그림 2.1.18> CPID 검색화면 (2) 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 ( 가 ) 시스템구축환경 유해정보공유시스템은바이오사이드물질및제품을재평가할수있는기반을마련하고신규유효성분이나제품에대한평가체계를제안하여정책적의사결정에기여하기위한목적으로구축되었다. 이를위해 3년간수행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유해성평가기술개발연구결과를담아정책의사결정자에게제공하며, 추가될자료의등록, 관리가용이하도록메뉴구성및기능을설계하여개발하였다. 본시스템은본격적인바이오사이드제품및물질에대한자료축적및관리시행이전에사전정보공유차원의비교적시범적인성격을갖는다. 유해정보공유시스템은웹기반의비공개시스템으로사용자는환경부및국립환경과학원등 - 127 -

의일부전문가집단혹은권한을부여받은공무원등의사결정자를전제로한다. 따라서로그인후에시스템이용이가능하다. 시스템사용권한은슈퍼관리자, 관리자, 사용자로나뉘며, 최초시스템인계자가슈퍼관리자가된다. 슈퍼관리자는관리자를지정할수있으며, 관리자지정외에는권한에차이가없다. ( 나 ) 데이터표준화방안 데이터표준화는데이터정보요소에대한명명, 정의, 형식, 규칙에대한원칙을 수립하여이를전사적으로적용하는것을의미한다. 이는자료의일관성유지, 정보호환성향 상, 정보의상호연계성향상을제공하여 DB의확장성과상호호환성을제고하기위한것으로, 사용자의편의성및향후유지보수측면의편의성을반영하고, 향후확장성및활용성을고려해 야한다. 데이터표준화는단어나용어, 도메인, 코드표준화를대상으로진행하며, 데이터모델의 논리적인요소및물질적인요서에적용할명명규칙도정의한다. 다음은유해정보공유시스템테이블목록및테이블별항목정의와개체-관계모델예시이 다. < 표 2.1.56> 유해정보공유시스템테이블목록예시 번호 테이블ID 테이블명 비고 1 TB_PRIOR_ENV ENVIROMENTAL 2 TB_PRIOR_INT INTERVAL 3 TB_MAT_INCTRL 규제정보 4 TB_ATOXICITY 급성독성 5 TB_AATOXICITY 급성수생독성 6 TB_ATTOXICITY 급성육상독성 7 TB_OTOXICITY 기타독성 8 TB_CTOXICITY 만성독성 9 TB_MAT_CHARC 물리화학적특성 10 TB_MATERIAL 물질기본정보 11 TB_CARCINOGENICITY 발암성 12 TB_BIOACCUMULATION 생물농축성 13 TB_MAT_TOX 생태독성 14 TB_ACTOXICITY 수상만성독성 15 TB_MAT_MNG 안전관리노출기준 16 TB_MAT_SAFE 안전성반응성 17 TB_PRIOR_CHEM 우선순위물성정보 18 TB_MAT_HTOX 인체독성유해성 19 TB_MAT_WORKS 작업장노출기준 20 TB_PERSISTENCE 잔류성 21 TB_PRD_MAT 제품물질정보 22 TB_PRODUCT 제품정보 23 TB_CODE 코드정보 24 TB_MAT_ENV 환경거동 - 128 -

번호 테이블ID 테이블명 비고 25 TB_USER 회원정보 < 표 2.1.57> 유해정보공유시스템 DB 표준화정의예시 테이블ID TB_AATOXICITY 테이블명 급성수생독성 번호 컬럼ID 컬럼명 타입 ( 길이 ) NULL PK 1 CHEM_NO 물성정보일련번호 INTEGER NOT NULL Yes 2 LC50_DAP LC50_DAP VARCHAR2(100) NULL No 3 LC50_ALGAE LC50_ALGAE VARCHAR2(100) NULL No 4 LC50_FISH LC50_FISH VARCHAR2(100) NULL No 5 LC50_INVERT LC50_INVERT VARCHAR2(100) NULL No 6 인덱스 TB_AATOXICITY_PK(CHEM_NO) - 129 -

< 그림 2.1.19> 물질및인벤토리 DB 개체-관계다이어그램 (ERD) 관리자페이지에서는자료의입력및오류검증의자료관리기능을포함시켜새로운정보를등록하거나수정할때 DB 설계형식과일관성을유지할수있도록하였고, 정해진형식에서벗어나는자료나필수입력항목의누락여부를확인하여데이터의무결성을유지하도록하였다. ( 나 ) 시스템메뉴구성및기능정의 유해정보공유정보시스템은일반사용자와관리자페이지로나뉜다. 사용자페이지는제품정보검색, 물질정보검색, 바이오사이드물질우선순위산정, 노출평가, 자료실, 시스템소개, 노트의대메뉴와회원정보관리기능으로구성된다. 관리자페이지는제품관리, 물질관리, 사이트이용현황, 시스템관리기능으로구성된다. 비공개시스템이므로모든기능은로그인후이용가능하다. 2차년도에는사용자페이지를중심으로제품및물질정보검색과바이오사이드물질우선순위산정, 회원정보관리, 을개발하였고 3차년에노출평가를비롯한자료실등과관리자페이지의전체기능을완성하였다. - 130 -

< 그림 2.1.20> 사용자페이지메뉴구성도 < 그림 2.1.21> 관리자페이지메뉴구성도 사용자페이지에서는제품및물질정보를검색, 조회하거나우선순위산정및노출평가를수행할수있다. 제품정보는제품명, 업체명, 성분물질, 물질기능의옵션별검색이가능하고, 검색결과제품별제조또는판매 유통업체정보및제형, 또는유통량, 성분정보조회를할수있다. 물질정보는물질명과번호또는키워드검색을통해기준물질 315종에한하여관리번호, 물질명, 물리 화학적특성, 환경거동, 독성및유해성안전관리, 노출기준, 관련규제정보를조회할수있다. 바이오사이드물질우선순위산정은기본입력자료를토대로사용자는구간별배점만달리하여우선순위를산정할수있으며, 시간과비용이많이소요되는위해성평가대신위험 (hazard) 과노출 (exposure) 의함수로설명되는잠재적인화학물질의위협 (threat) 정도를스크리닝할용도로활용할수있다. 노출평가에서는제품의제형 (product type) 과성상 (formulation type) 에따른시나리오별노출량을산정할수있다. 유사제품간또는동일제품의제형별노출량비교도가능하다. 마지막으로관심있는제품또는물질목록은별도저장해두어마이페이지에서추가검색없이바로확인을할수있다. - 131 -

관리자페이지에서는제품관리및물질관리를통해등록된제품및물질상세정보를확인하거나수정할수있고, 신규물질이나제품을등록할수있다. 또한사용자페이지에노출하거나또는감출대상을결정할수있다. 시스템관리에서는자료및게시글의확인, 수정, 삭제가가능하고, 회원의가입승인또는권한설정과접속현황파악이가능하다. ( 다 ) 메인화면 < 그림 2.1.22> 메인화면 메인화면에서는유해정보공유시스템에대한간략한소개와제품및물질정보빠른검색을지원하고로그인, 회원정보관리, 메뉴구성을확인할수있다. 상단의메뉴에서는유틸리티메뉴와 7개의 1차메뉴를확인할수있다. 유틸리티메뉴는항상화면의상단에위치한메뉴로로그인이전과이후의메뉴구성이달라진다. 접속후회원정보관리메뉴가생기고권한에따라관리자페이지로이동하는메뉴가추가로생긴다. 메인화면의중앙부분은제품과물질정보를검색하는기능을배치하여 1차메뉴로들어가지않고곧바로검색이가능하다. 검색창은 1차메뉴를선택후나타나는화면상의검색창과동일하다. 하단에는지정한배너목록을보여주고, 기관연락처정보및사이트권한에관한내용을보여주는배너존및하단영역 (Footer) 이있다. ( 라 ) 사용자페이지 1 제품정보 - 132 -

제품정보메뉴에선는검색조건에따라원하는제품을찾을수있다. 초성검색또는제품명, 제품군, 업체명, 성분물질물질기능별조건에따라검색이가능하다. 관심있는물질은관심제품등록의별모양을클릭하여별도저장할수있고등록된제품은마이페이지의관심물질명에서확인할수있다. < 그림 2.1.23> 제품정보검색 - 133 -

제품정보검색조건별화면은다음과같다. < 그림 2.1.24> 제품정보검색조건별화면 제품정보는기본정보, 업체정보, 규제정보, 물질정보, 등록정보로나뉘며, 상세내역을확인할수있다. 물질정보의기준물질은 315종의기준물질을의미한다. 등록정보는제품정보의시스템등록일을기준으로자동저장되며, 조사연도는제품자료입수에대한기준연도를의미한다. - 134 -

< 그림 2.1.25> 제품상세정보조회 2 물질정보물질정보검색메뉴는기준물질로선정한 315종화학물질의관리번호, 물질명등을비롯한분자량등의물리화학적특성정보, 안전성 / 반응성, 환경거동, 생태독성, 인체독성 / 유해성, 안전관리, 작업장허용노출기준, 관련규제정보를제공한다 ( 그림 2.1.26). 검색조건은물질명, CAS 번호, 그리고키워드검색이있다. 관심있는물질은제품과동일하게별모양을클릭하여별도저장할수있고등록된제품은마이페이지의관심물질명에서확인할수있다. 제품MSDS가함께조사된경우, 제품MSDS 다운로드 를클릭하여문서확인이가능하다. 물질명, CAS 번호, 키워드의검색조건별화면은다음과같다 ( 그림 2.1.27). - 135 -

< 그림 2.1.26> 물질정보검색 < 그림 2.1.27> 물질정보상세조회 - 136 -

목록중관심있는물질을선택하면 < 그림 2.1.28> 와같이상세정보를조회할수있다. 좌측의인덱스정보를통해특성정보의대항목을확인할수있고항목간바로이동이가능하다. 기본항목중해당물질에해당내용이수집되지않은경우, 인덱스에서도보이지않는다. 함유제품바로가기 를클릭하면해당물질을함유하는제품검색결과로이동하고, 물질 PDF 다운로드 를클릭하여특성정보자료를 PDF로저장할수있다. < 그림 2.1.28> 물질정보상세조회 3 바이오사이드우선순위산정우선순위산정은시간과비용이많이소요되는위해성평가대신위험 (hazard) 과노출 (exposure) 의함수로설명되는잠재적인화학물질의위협 (threat) 정도를가늠해볼수있는지표로서의미가있다. 사용자는구간별배점구간을확인수정하여결과를재산정할수있다 ( 그림 2.1.29). 산정결과는환경위해도와인체위해도로나뉘며, 상위점수에따라정렬된결과를확인할수있다 ( 그림 2.1.30). 이또한파일로저장받을수있으며, 엑셀형식으로저장된다. - 137 -

< 그림 2.1.29> 바이오사이드우선순위산정 < 그림 2.1.30> 바이오사이드우선순위산정결과조회 - 138 -

4 노출평가노출평가는화학제품의제형 (product type) 과성상 (formulation type) 에따른노출평가기법에관한 1세부연구결과를반영하여, 시나리오별노출평가를지원한다. 노출평가는평가하고자하는제품군, 제형, 물질, 그리고함량을입력하고 결과조회 를클릭한다. 이때각조건별로한가지조건을선택하여산정하는단일평가가있고, 한항목에대해여러조건을두어비교하는다중비교평가로나뉜다. 단일평가는선택한제품군, 제형, 물질, 그리고함량에대한평가결과를표와그래프로보여주며, 엑셀다운로드 를클릭하여결과를저장할수있다 ( 그림 2.1.31). < 그림 2.1.31> 단일평가조건입력및결과조회 다중비교평가는제품군, 제형, 물질, 함량중비교항목을선택할수있으며, 선택결과에따른노출량을표와그래프로확인할수있다 ( 그림 2.1.32). < 그림 2.1.33> 에서는다른항목조건은동일한가운데차례대로제품군, 제형, 물질, 함량의각항목을비교대상으로선택하였을때조건입력창을보여준다. - 139 -

< 그림 2.1.32> 다중비교평가조건입력및결과조회 < 그림 2.1.33> 다중비교평가조건선택예시 - 140 -

다. 5 자료실자료실에서는게시글을확인하고표준시험법, 평가지침등의문서를다운받을수있 < 그림 2.1.34> 자료실 5 시스템소개시스템소개에는시스템개요, 우선순위산정개요, 노출평가개요등에관한소개글이있고, 현재를기준으로시스템에등록되어있는제품수와물질정보가등록되어있는물질수를보여준다. - 141 -

< 그림 2.1.35> 시스템소개 6 마이페이지마이페이지에서는제품및물질정보를검색하다가관심있는제품또는물질로등록한대상을목록으로확인할수있다. 삭제 를클릭하면등록이해제된다. < 그림 2.1.36> 마이페이지 - 142 -

7 회원정보변경회원정보변경에서는회원등록시입력했던개인정보를수정할수있다. < 그림 2.1.37> 회원정보변경 - 143 -

( 마 ) 관리자페이지 1 제품관리관리자 ID로로그인하면 < 그림 2.1.38> 와같은화면을볼수있다. 사용자페이지로이동하려면유틸리티메뉴에서 사용자페이지 를클리하여이동하고, 사용자페이지에서는 관리자페이지 를클릭하여화면이동이가능하다. 1차메뉴는제품관리, 물질관리, 사이트이용현황, 시스템관리로구성된다. 제품관리에서는등록된제품목록을확인하고상세내용을조회또는수정이가능하다. 목록중사용자페이지에서는감추고싶은제품은대상을선택하고하단의 선택항목 의미사용을선택하여설정할수있다. 신규제품을입력할때는 제품추가 버튼을클릭하면등록창으로이동한다. < 그림 2.1.38> 제품관리 - 144 -

2 물질관리물질관리에서는기등록된물질을확인하고상세내용을조회또는수정이가능하다. 목록중사용자페이지에서는감추고싶은물질은대상을선택하고하단의 선택항목 의미사용을선택하여설정할수있다. 신규물질을추가할때는 물질추가 버튼을클릭하면등록창으로이동한다. < 그림 2.1.39> 물질관리 물질정보등록은물질기본정보, 물리 / 화학적특성, 환경거동및독성, 인체유해성및응급조치, 안전관리, 작업장허용노출기준, 규제정보의 7단계에걸쳐입력한다. 물질기본정보의물질명과물질관리번호의필수항목을입력하면나머지단계는상단의단계를선택하여바로이동이가능하다. 하단의 다음단계 를클릭하면단계별로화면이이동한다. 각항목별로관련내용, 출처, 상세출처를입력하도록되어있으며, 출처는목록서선택한다. - 145 -

< 그림 2.1.40> 물질등록화면 3 사이트이용현황사이트이용현황에서는이용자와이용자별접속현황을확인할수있다. < 그림 2.1.41> 사이트이용현황 - 146 -

4 시스템관리가자료실관리자료실관리에서는자료실에새로운글을게시하거나기등록되어있는글을수정할수있다. < 그림 2.1.42> 자료실관리 나이용자관리이용자관리는시스템사용승인및권한을설정할수있다. 슈퍼관리자는관리자와사용자의권한을설정할수있으며사용승인을할수있다. 관리자로권한을위임받은경우, 사용자의사용승인여부를결정할수있다. 그밖의물질및제품자료등록및자료실관리등에관한권한은슈퍼관리자와관리자간에동일한권한을갖는다. - 147 -

< 그림 2.1.43> 이용자관리 < 그림 2.1.44> 권한별사용승인화면 - 148 -

라.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확립및정책적활용방안제안 바이오사이드물질및제품을재평가할수있는기반으로서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이기능하기위해서는정보수집양또는규모의적정성과, 자료의신뢰성, 지속적인정보의축적이뒷받침되어야한다. 특히제품정보의수집과관련이있다. 바이오사이드제품정보수집의가장효과적인방법은제도적근거를마련하는것이다. 이는 2015년부터시행되는화학물질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의제품등록과관련이있다. 제품에함유되는성분물질목록, 함량과같이업체에서민감해하는정보를업체의자율적인의지와협조에기대는방법에는한계가있을수밖에없다. 더욱이 1회성연구나실태조사가아닌이를토대로의사결정이나정책에활용하기위함이라면매년신제품이개발되어시장에출시는현장을반영하도록꾸준한정보의갱신과축적은반드시필요하다. 제품내함유성분에대한신고를의무화하여등록할필요가있다. 이때신고대상제품의범위와정의, 함유물질중신고대상범위, 즉, 물질의기능을중심으로할것인지, 물질목록을기준으로범위를제한할것인지, 전성분을대상으로할것인지등에대해서는보다심도있는논의가필요하다. 제품을단순취급하거나수입하는경우, 제품에대한세부정보를제공받지못하거나가지고있는정보가시스템에서요구하는수준의정보와다를수있으므로제조사의취급또는수입자에대한정보제공의무조항이나제공할정보의범위에대한검토도함께필요하다. 동일업체간실제생산부서또는개발부서와관리부서간의정보차이는제도적수정에따라필요가생기면자연스럽게메워질것으로기대한다. 정보의갱신주기에관한부분은신제품출시등의시점에맞춰업체에신고하는방법과기타통계자료자료수집절차와유사하게일정주기별로수집하여갱신하는방법이있다. 신고내용에따른평가결과가당장또는향후출시여부에영향을미치는경우라면전자가더맞을수있겠지만관리측면에서보면후자가정보를수집하고관리하는데집중하기용이하다. 항목별로갱신주기를달리하는방법도있다. 유통량은매년초전년도실적이집계되지만성분정보는출시또는특정사유가없는한변경되지않을것으로예상되기때문이다. 수집된정보에대한신뢰성확보방안은어느정도수준의신뢰도를목표로하느냐에따라다를수있다. 예를들어업체에서제공하는정보를신뢰하여, 업체별자료수준의격 (gap) 을감안하더라도, 자료를수집하는방법도있고, 무작위샘플분석을통한교차확인방법도있다. 처음도입단계에서는업체에서제공하는자료를신뢰하되업체별제공자료의차이를분석해줄여갈수있겠다. 제도적근거마련을위한검토및본격적이행이이루어지기전까지는결국업체의자발적참여와협조에기댈수밖에없다. 본격적인제도이행전한시적으로정보공유에대한인센티브검토, 또는정보제공에앞서사업장의이해나행정적도움을줄수있는교육, 자료제공, 안내등도참여를돕는방법이될수있다. 그밖에제품을식별할수있는통일된고유명칭이나관리코드가부재하므로제품을식별할수있도록제품명의표준화에대한검토가필요할것으로보인다. 현재수집된기초자료를토대로그리고기초자료수집에대한근거가마련되어정보가더축적되면유해정보공유시스템이정보의구심점이되어관리가미흡한제품군이나, 물질, 향후재평가가필요한또는신규평가가필요한물질이나제품목록을작성할수있고, 유관자료공유를 - 149 -

통해단계별목표또는관리방안에대한정책제안의실질적근거로활용할수있다. 특히소량으로유통되어관리대상에서누락되지만빈번하게바이오사이드용도로사용되는물질을확인하여평가할수있는토대가되어줄것으로기대된다.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통해담당자가물질및제품정보를등록 / 관리, 등록된제품및물질정보나등록된지침, 시험법등의자료를공유하여활용하고, 노출평가및우선순위산정의평가도구를통해의사결정에활용할수있다.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연구가. 바이오사이드물질 1(PHMG phosphate) 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 (1) 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법개발및확립 바이오사이드일종인 PHMG phosphate (Polyhexamethyleneguanidine phosphate, 이하 PHMG phosphate) 는 guanidine 계열의화학물질로서, 살균제로서의기능을하며, 병원에서는소독제의성분에도첨가되어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이러한 PHMG phosphate가최근에는소비자들이쉽게구입할수있는가습기살균제의주성분으로도포함되어져있음이알려져있으나, 이에대한독성평가는미비한실정이다. 따라서본연구진은가습기처럼흡입을통해인체에유입될수있음에착안하여 PHMG phosphate의독성평가를위해 OECD TG 403에의거하여흡입독성시험을수행하고자하였다 2-2~4). 일반적으로흡입을통한인체내유입은미스트 (Mist), 더스트 (Dust), 스모크 (Smoke) 등의다양한형태를통하여이루어진다. 수용액상태의 PHMG phosphate는에어로졸형태의입자발생을위해오토마이져 (Atomizer) 방식의입자발생기가적합하다고판단되어, 가습기살균제제품1(PHMG phosphate 0.125%) 과제품 2(PHMG phosphate 0.125%) 에대하여각기다른두가지발생기 (Mist generator 및 nano generator) 를이용하여예비발생을수행하였다. 두발생기모두 100 나노미터 (nm) 이하의비교적동일한입경분포를보였으며, 입자수 (#/cc) 역시두발생기모두큰차이가없는것으로확인되었다. 하지만히팅시스템 (Heating system) 및입자중화기 (Neutralizer) 가결합된형태의발생기인 nano generator 는최대유량이 4 LPM 임에반해, mist generator는최대유량이 15 LPM으로높은유량발생범위에서 PHMG phosphate 입자발생이가능하며, 또한 nano generator는 1.57-1.90 mg/m 3 의질량농도발생효율을나타남에비해 mist generator는 2.3-2.57 mg/m 3 으로높은농도발생이가능하여본연구진은 mist generator를본연구의발생기기로선정하였다. - 150 -

< 그림 2.1.45.> PHMG phosphate 입자의발생기별입경별수농도분포 < 표 2.1.58> PHMG phosphate 입자의발생기별발생평가결과요약 Generator Nano generator Mist generator 최대유효발생유량 4 LPM 15 LPM 시험물질 제품 1 제품 2(PHMG 제품 1(PHMG 제품 2(PHMG (PHMG 0.125%) 0.125%) 0.125%) 0.125%) Median(nm) 65.03 66.08 68.85 68.13 Mean(nm) 80.44 80.75 83.75 82.55 Geo. Mean(nm) 68.54 69.38 70.33 69.8 Mode(nm) 58.81 59.38 67.57 63.86 Geo. Std. Dev. 1.72 1.70 1.79 1.76 Total Conc.(#/cc) 1.09.E+06 1.23.E+06 1.34.E+06 2.07.E+06 Mass Conc.( μg / m3 ) 1567 1900 2300 2566 (2) 흡입독성평가를위한특성분석법개발및확립 - 본연구진은실제로유통되고있는가습기살균제제품 (PHMG phosphate 0.125%) 에함유되어있는 PHMG phosphate의농도와동일한농도의 PHMG phosphate ( 제품 2, PHMG 25 %) 를희석조제하여, 발생유량에따른입자크기를비교분석하였다. 그결과, 저농도 (15 mg/m 3 ) 에서고농도 (60 mg/m 3 ) 에이르기까지실제제품과원제 PHMG phosphate의입자크기는 60-70 나노미터 (nm) 수준으로동일하게발생됨을확인할수있었다. - 151 -

< 그림 2.1.46> 실제제품에서의 PHMG phosphate 입자의입경별수농도분포비교 - 아울러 PHMG 수용액의농도구배에따른발생된 PHMG phosphate 입자의입경분포를평가하고자, PHMG phosphate 원제25 %, 1.25 % 및 0.125 % 의농도로순차적으로희석을한후, 발생을수행하였다. 그결과 25 % 의고농도에서는 100 나노미터 (nm) 이상의입경분포를보였으며, 1.25 % 및 0.125 % 의농도에서는 100 나노미터 (nm) 수준의입경분포를보였다. < 그림 2.1.47> 실제제품에서의 PHMG phosphate 입자의용액농도구배에따른수농도분포비교 ( 제품2의농도는왼쪽부터 25 %, 1.25 %, 0.125 %) - 본연구진은 PHMG phosphate 에어로졸발생과정에서필터샘플링을통해 PHMG phosphate 입자를포집한후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을이용하여형태학적분석을수행하였다. 분석결과 PHMG phosphate은완전구형형태로입자화가됨을확인하였으며, 또한입자크기분석결과 100 나노미터 (nm) 미만수준의입자부터 500 나노미터 (nm) 이상의입자도관찰되는데이는초미세입경구간 (Fin mode) 에서분석된입자의경우에어로졸화과정에서극초미세수준 (Ultrafine mode) 의입자간응집 (aggregation) 이주된원인으로판단된다 2-5). - 152 -

< 그림2.1.48> PHMG phosphate 입자의형태학적분석 - 또한수용액상의분포하고있는 PHMG phosphate 입자의입경분포측정을위하여, PHMG phosphate 수용액을 0.025, 0.1, 0.4, 1.0, 1.6, 6.5 및 25 % 의농도로제조하여 ZETA-POTENTIAL & PARTICLE ZISE ANALYZER 기기를이용하여측정 분석하였다. 용액중에분산되어있는입자는브라운운동을하고있어서입자에광을조사한경우얻어지는광산란은큰입자는천천히, 작은입자는빠른움직임을나타내는데, 이를광전자상관법으로해석함으로서입경및입도분포가구해지는원리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각농도별로 3.7-9.1 나노미터 (nm) 수준으로입자크기가측정되었으며, 단분산인자 (Polydispersity Index) 값이 0.1 미만으로측정되었으며, 이를통해 PHMG phosphate 의경우수용액상에서단분산형태로존재하고있음을확인하였다. 한편 PHMG phosphate 1.56% 의낮은농도범위에서는측정이불가하였다. < 표 2.1.59> PHMG phosphate의농도구배에따른수용액상에서의입경분포확인 PHMG phosphate 농도 (%) 입자크기 (nm) Polydispersity Index 25 9.1 0.096 12.5 5.9 0.011 6.25 5.4 0.02 3.12 3.7 0.001 1.56 측정불가 측정불가 (3)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100% 의극한상황에서의노출농도평가 - 실생활에서주로건조한계절에실내습도를높이고자가습기를사용하게되는데, 여기에는곰팡이나각종세균이서식하기쉬운환경이라, PHMG phopshate 성분이함유된가습기살균제를많이사용하고있는실정이다. 본연구진은환기가되지않은장소에서는습도가높아질수있음을착안하여습도를인위적으로최대치끌어올리는닫힌계에서의극한상황을설정하여, 노출농도평가를수행하였다. - 153 -

< 그림 2.1.49> 상대습도 100 % 의닫힌계에서의 PHMG phosphate 노출농도평가 - 가습기살균제제품에서제시하는가습기살균제사용권장량은 PHMG phopshate 0.000625 % 의농도이나, 실제론소비자의성향에따라가습기살균제권장량의 5배, 10배의높은농도로사용할수도있음을염두해두고, 본연구진은 PHMG phosphate 사용권장량, 사용권장량의 5배, 10배의높은농도로상대습도 100 % 까지극한상황을두어노출농도평가를수행하였다. 일상에서쉽게사용되는가습기를챔버내부에설치하고, PHMG phosphate의각농도별로용액을제조한다음, 가습기를작동시켜챔버내의습도를관찰하였다. 약 50분가량이지났을때습도 90 % 에도달하였으며, 90분이후부터는 95 % 수준으로꾸준히유지가됨을확인할수있었다. < 그림 2.1.50> 상대습도 100 % 의닫힌계에서의시간에따른습도변화 - 154 -

- 본연구진은상대습도 95 % 수준에도달한시점에서의노출농도를평가를위하여챔버에설치된샘플링포트 2개에서동시에 1 LPM 유량으로 120분간 ( 권장량 10배에서는 60분 ) 노출된 PMH phosphate 입자샘플링을수행하였다. 노출농도는샘플링필터의전후질량을측정하여평가하였다. 권장량및권장량 5배에서는 0.33 및 0.36 mg/m 3 의수준으로큰변화를보이지않았으나, 권장량 10배에서는 0.86 mg/m 3 으로약 2배이상의높은농도를보였다. - 또한상대습도 100 % 상태에서의입자수농도및입경분포측정을위하여, 실시간입자계측기를활용하였다 ( 상대습도 100% 상태에서 3분간의걸쳐서총 20회측정 ). 기하학적평균입경 (Geometric mean diameter) 비교결과, 사용권장량, 권장량 5배, 권장량 10배에서각각기하학적평균입경은 163.59, 132.94 및 157.94 나노미터 (nm) 로, 200 나노미터 (nm) 이하에서평균입경이확인되었으며. 수농도는 PHMG 수용액농도구배에따라증가함을확인하였다. < 표 2.1.60> 사용권장량에따른노출농도및평균입경변화사용권장량사용권장량 5배사용권장량 10배노출농도 (mg/m3) 0.33 0.36 0.86 상대습도 (%) 96.75 96.61 97.13 기하학적평균입경 (nm) 163.59 132.94 157.94 - 한편본연구진은실시간입자계측기의입경측정범위가 8-300 나노미터 (nm) 인점을감안하여, 추가적으로다단임팩터 (Cascade impactor) 를활용하여입도분석을실시하였다. 측정결과사용권장량에서는 0.82 마이크론미터 (μm), 사용권장량 5배에서는 0.7 마이크론미터 (μm) 및사용권장량 10배에서 0.83 마이크론미터 (μm) 의수준으로 1 마이크론미터 (μm) 이하영역에서평균적으로입자가발생됨을확인할수있었다. 이처럼습도가높은극한환경에서는 PHMG phosphate가포함된수증기의물분자간의결합으로인하여입자크기가다소높게측정된것으로사료된다. < 표 2.1.61> 사용권장량에따른노출농도및평균입경변화 사용권장량사용권장량 5 배사용권장량 10 배 MMAD (μm) 0.82 0.7 0.83 표준편차 (δg) 3.63 1.85 2.16 (4) 실제노출환경을고려한노출농도평가 - 본연구진은실제가정에서가습기를사용하는환경과동일하게노출환경을조성하여, 노출농도평가를수행하였다 2-6). 가습기살균제사용권장량에해당하는 PHMG phosphate 농도와권장량의 10배를조제하여평균취침시간 8시간을기준으로하여노출농도평가를수행하였다. 가습기를작동시킨후, 질량농도측정은 1 LPM 유량으로 480분간진행하였으며, 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하여 8-300 나노미터 (nm) 범위에서의수농도및입경분포를측정 - 155 -

하였다. 추가적으로다단임팩터 (Cascade impactor) 를이용하여 2 LPM 유량으로 480분간입경분포측정을진행하였다. 측정결과권장량및권장량 10배에각각 0.02 및 0.22 mg/m 3 의노출농도를나타내었으며, 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한기하학적평균입경측정결과평균 111.42 및 142.18 나노미터 (nm) 수준을보였다. 한편다단임팩터를이용한 MMAD 는권장량및권장량 10배에서각각 0.66 및 0.54 마이크론미터 (μm) 으로측정되었다. < 그림 2.1.51> 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하여측정한 실제노출환경에서의입경분포 < 표 2.1.62> 사용권장량에따른실제노출환경에서의노출농도및평균입경변화 PHMG 사용권장량 PHMG 사용권장량 10배 노출농도 0.02 0.22 상대습도 (%) 59 59 기하학적평균입경 (nm) 111.42 142.18 MMAD (μm) 0.66 0.54 기하학적표준편차 2.53 1.77 - 한편상대습도 100 % 의극한상황에서와비교하여실제노출환경의평균입도는상대적으로낮게측정되었는데, 이는실제노출환경에서는상대습도가 60 % 정도수준으로서, 가습기에서발생되는 PHMG phosphate가포함된물분자들끼리의결합빈도가낮아짐으로써입자크기가낮게측정된것으로사료된다. (5) 단회흡입독성평가 - 본연구진은바이오사이드의일종인 PHMG phosphate가가습기와동일한노출경로인흡입을통해인체에유입될수있음에착안하여, 설치류에대한 PHMG phosphate 입자의흡입노출을위하여비부노출챔버를도입하였으며, 시험방법은 OECD TG 403 에준하여단회흡입독성을수행하였다 2-7). - 156 -

< 그림2.1.52> PHMG phosphate 단회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 노출군당암수각각 5마리씩의 Sprague-Dawley 랫드를사용하였고, 동물입수후 7일간의순화기간을두었다. 노출시간은 4시간으로, 노출농도는대조군 (Control), 15 (T1), 30 (T2), 60 (T3) mg/m 3 으로설정을하였다. 노출종료후에는 2주간의관찰을통하여사망률, 일반적인증상및체중변화를측정하였고, 부검시폐에대한장기중량측정및조직병리학적검사를실시하였다. ( 가 ) 주요결과 1 시험물질의노출평가본연구진은 4시간의단회흡입노출중노출농도평가를위하여노출군별로질량측정및입도분포측정을수행하였다. 노출질량농도에대한측정결과,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에서각각 15.87, 28.49 및 61.90 mg/m 3 의수준으로목표농도의오차범위 20% 이내에서안정적으로발생및노출되었음을확인하였다. 한편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한입경분포측정결과, 노출군모두에서 100 나노미터 (nm) 이하의평균입경분포를나타냈다. < 그림 2.1.53> 단회흡입노출시노출군별평균노출질량농도 ( 좌 ) 및기하학적평균입경 ( 우 ) - 157 -

2 사망률및일반증상관찰시험기간중모든노출군에서사망동물은관찰되지않았다. 한편 PHMG phosphate 입자의단회흡입노출후, 2주간의걸쳐서일반증상을관찰한결과암수모두에서대조군, 15, 30 mg/m 3 노출군에서는관찰기간동안특이적인증상이나타나지않았으나, 60mg/m 3 노출군에서는노출후 2일째부터증상이관찰되었다. 수컷에서는노출후 3일째 1 마리의사망동물이관찰되기도하였다. 생존동물의증상으로는불규칙한호흡, 경련, 호흡곤란, 비정상적행동등의증상을보이다가, 5-6 일째부터는점차회복되는개체가나타났으며 7일째부터는완전히회복되어특이적인증상은관찰되지않았다. 3 체중변화및장기무게변화수컷 PHMG 30 mg/m 3 (T2) 및 60 mg/m 3 (T3) 노출군과암컷 60 mg/m 3 (T3) 노출군에서대조군대비유의한체중감소가관찰되었다. 한편 2주간의관찰기간후, 부검을통해비장, 흉선및폐조직을채취하여장기무게를측정하였다. 비장및흉선의경우대조군대비모든노출군에서유의성있는변화를보이지않았다지만폐의경우수컷에서는노출군모두에서, 암컷에서는 30 및 60 mg/m 3 노출군에서상대중량이대조군대비유의성있게증가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 그림 2.1.54> 단회흡입노출후노출군별체중변화 - 158 -

< 그림 2.1.55> 비장, 흉선및폐에대한상대장기중량변화 4 폐에대한조직병리학적검사본연구진은 PHMG phosphate 입자단회흡입노출후, 2주간의관찰기간을둔뒤부검을통해폐조직에서조직병리학적분석을수행하였다. 대조군에서는특정병리소견이관찰되지않았으나, PHMG phosphate 입자를흡입노출한모든군에서는염증세포침윤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공포상대식세포 (Foamy histiocytes), 섬유증 (Fibrosis) 이관찰되었다. 공포상대식세포는주로기관지및혈관주위, 폐포및폐포강내에미약한정도로관찰되었다. 폐섬유증은용량의존성은보이지않았으나, 30 및 60 mg/m 3 노출군에서는 15 mg/m 3 노출군보다병변의정도가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폐에서관찰된이러한병변들은모두 PHMG phopshate의단회흡입노출에의한역작용 (Adverse effect) 로판단된다. < 그림2.1.56> PHMG 노출군에서관찰된공포상대식세포 (Foamy histiocytes, 좌 ) 섬유증 (Fibrosis) (H&E 염색 ) - 159 -

( 나 ) 결론 PHMG phosphate의급성흡입독성시험결과모든노출군에서사망동물은관찰되지않았으나 PHMG phosphate 입자에대한급성흡입노출로인한호흡기계통에서의특이적인일반증상관찰, 유의적체중변화및폐에서의장기무게변화가관찰되었다. 또한폐에대한조직병리학적검사결과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영향들이모든노출군에서관찰되었다. 이러한관찰된결과및변화들은모두 PHMG phosphate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악영향 (adverse effect) 로판단되며, 이러한결과들을종합해볼때본시험조건에서의반수치사농도 (LC 50 ) 은암수모두 60 mg/m 3 이상으로판단된다. (6) 반복흡입독성평가 본연구진이선행하여수행한 PHMG phosphate에대한 4주반복흡입독성시험결과를바탕으로 13주간반복흡입독성시험을수행하였다. 회복군을포함하여수행한 4주반복흡입독성시험결과 ( 노출농도의경우저농도군 : 0.15 mg/m 3, 중농도군 : 0.50 mg/m 3 및고농도군 : 1.60 mg/m 3 ) 저농도군에서도 PHMG phosphate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영향들을확인하였다. 특히폐의경우시험물질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직접적인역작용 (adverse effect) 을관찰할수있었다. 또한 4주반복후 2주간의관찰기간을갖은회복군에서도독성학적변화들이지속적으로관찰되었으며정상적으로회복되지않았음을확인하였다. 이러한변화들을종합하여본시험조건에서의무해독성용량 (NOAEL) 은암수각각 0.15 mg/m 3 이하수준인것으로판단하였으며, 이를통하여시험물질인 PHMG phosphate에대한 13주간반복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한노출량결정등의근거로활용하였다. 본연구진은 PHMG phosphate에대한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하여크게 3가지사항을고려하였다. 첫째앞서언급한 4주반복흡입독성시험에대한독성학적영향들을고려하였으며, 둘째 4주반복흡입독성시험시의비부흡입노출장치에비하여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에서활용한전신흡입노출장치의경우상대적으로큰부피 (1.5 m 3 ) 로인한챔버내로순환되는절대공기량의증가에따른시험물질의발생및제어시스템의재정립을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는 1차년도에서확인한시험대상물질인 PHMG phosphate의실제노출환경에서의노출량및 PHMG phosphate가포함된가습기살균제제품의노출량분석결과등을고려하였다. 본연구에서는 13주반복흡입노출시험에앞서흡입독성시험조건에서의시험물질발생및노출의목표농도로의접근성, 공간적균질성및노출시간동안의안정성을평가하였다. ( 가 ) 13 주반복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한발생및노출법정립 - 본연구진은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하여다음과같은시험디자인에따라시험물질의발생및노출법정립연구를수행하였다 ( 그림참조 ). - 160 -

< 그림 2.1.57> 13 주반복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의노출군별실제목표농도가수십에서수백 μg/m 3 수준으로서매우극미량으로시험물질의발생및노출이이루어져야했으며, 다음과같이시험물질의농도구배별발생농도수준확인, 선형성확인, 수농도확인및공간균질성과시간적안정성확인과정을통해서발생및노출법정립을완료한후 13주반복흡입노출을진행하였다. - 먼저그림 2.1.58및그림 2.1.59에서제시된것처럼 PHMG phosphate 입자의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발생및노출되는입자의질량농도의노출수준평가를실시하였으며, 농도구배에따른발생및노출되는입자의선형성을확인하였다. 250 200 Mass concentration (ug/m3) 150 100 50 0 3200 X 6400 X 12800 X 25600 X 51200 X Dilution Factor < 그림 2.1.58> 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 PHMG phosphate 입자의노출수준평가 - 161 -

40000 Mass Conc. Linearity Mass concentration (ug/m3) 30000 20000 10000 0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Prep. Solution Concentration (%) < 그림 2.1.59> PHMG phosphate 입자의노출선형성평가 - 다음으로실시간입자계측기 (SNPS) 를이용하여발생되는 PHMG phosphate 입자의농도구배에따른수농도평가를진행하였으며, 입경분포 (size distribution) 평가도추가적으로진행하였다. 이를통하여발생및노출되는 PHMG phosphate 입자의흡입노출대기에서의공기역학적특성을평가하였다 ( 그림 2.1.60 및그림 2.1.61 참조 ). 1.4e+5 Temporal Variation_Total Number Concentration_PHMG_Whole Body Total Number Concentration (#/cc) 1.2e+5 1.0e+5 8.0e+4 6.0e+4 4.0e+4 2.0e+4 0.0 0 5 10 15 20 25 30 35 40 45 Sampling Intervals 3200 X 6400 X 12800 X 25600 X 51200 X < 그림 2.1.60> 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 PHMG phosphate 입자의수농도구배 - 162 -

dn/dlogdp 4e+5 3e+5 2e+5 Size Distribution_Prep. Conc Dependent 320 X 640 X 3200 X 6400 X 12800 X 25600 X 51200 X 1e+5 0 1 10 100 1000 Particle Diameter (nm) < 그림 2.1.61> 수용액농도구배에따른 PHMG phosphate 입자의입경분포특성평가 - 마지막으로 13주반복흡입노출시동물에게흡입노출되는 PHMG phosphate 입자가공간적으로균질하게동물에게노출되는지여부및 6시간동안의노출시간동안각각목표농도에부합하게안정적으로노출되는여부의확인을위하여공간적균질성 (Homogeneity) 및시간적안정성 (Stability) 테스트를수행하였다. 이를통하여최종적으로각노출군별로발생및노출되는 PHMG phosphate 입자가매우안정적이고균질하게동물하게노출되는조건을확보하였음을확인하였다. 60.00 50.00 T1 Actual Concentration of Sampling Spot Actual Mean Concentration of Total Exposure Target Concentration Mass concentration (ug/m 3 ) 40.00 30.00 20.00 10.00 0.00 Left-front Right-front Left-Middle Right-Middle Left-Back Right-Back Sampling Spot - 163 -

Mass concentration (ug/m 3 )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T2 Actual Concentration of Sampling Spot Actual Mean Concentration of Total Exposure Target Concentration 20.00 0.00 600.00 500.00 Left-front Right-front Left-Middle Right-Middle Left-Back Right-Back Sampling Spot T3 Actual Concentration of Sampling Spot Actual Mean Concentration of Total Exposure Target Concentration Mass concentration (ug/m 3 ) 400.00 300.00 200.00 100.00 0.00 Left-front Right-front Left-Middle Right-Middle Left-Back Right-Back Sampling Spot < 그림 2.1.62> 각노출군별목표농도에대한공간적균질성및시간적안정성확인결과 ( 나 ) PHMG phosphate 에대한 13 주반복흡입독성시험 앞서제시바대로정립이완료된 PHMG phosphate 입자에대한발생및노출법을바탕으로다음에서제시되는시험방법 (protocol) 에따라서 PHMG phosphate에대한 13 주반복흡입독성시험이진행되었다 2-8). 시험법 시험종 노출경로 OECD Test guideline 413 법 Sprague-Dawley 랫드 ( 암수각각 n=40) 전신흡입노출 노출시간 6 시간 /1 회, 5 회 / 주, 13 주 ( 암컷 65 회및수컷 66 회노출 ) 흡입챔버내조건 발생장치 산소농도는 19% 이상, 온도는 22±3 및상대습도는 30-70% 로유지. 단, 시험물질발생의특성상상대습도를포함하여본조건의유지가어려울수있음 시험물질발생 : 오토마이져 (Atomizer) 타입의미스트제너레이터 노출중측정질량농도 (mg/m3, 노출시간동안각노출군별각각 3 회 ) - 164 -

항목 시험군 시험군별노출농도 관찰항목 입경분포 ( 각노출군별주 1 회 ) 수농도측정 ( 각노출군별주 1 회 ) 대조군, 저농도 (T1), 중농도 (T2), 고농도 (T3) 저농도 (T1): 30 μg/m3 중농도 (T2): 90 μg/m3 고농도 (T3): 300 μg/m3 일반증상사망률체중안검사사료섭취량부검육안소견장기무게측정조직병리검사임상병리검사폐내세척액 (BALF) 분석 < 그림 2.1.63>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의시험방법요약 1 노출및입경분포측정 - 본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의시험물질의발생및노출모식도는앞서언급한발생및노출법정립모식도를적용하였으며, 노출기간중각노출군별로실제로동물에노출된 PHMG phosphate 입자의질량농도수준은다음의그림 2.1.64에제시되어있다. 그림에서살펴볼수있듯이각노출군별로목표농도대비하여최대 ± 5% 이내에서시험물질이동물에노출되었음을확인하였다. 이는본시험의시험법인 OECD TG 413법에서규정한에어로졸에대한노출한계인 ± 20% 에대비하여매우정확하고안정적으로시험물질이동물에노출되고있음을나타내고있다. 350 300 Mass Concentration ( g/m 3 ) 250 200 150 100 50 0 Low dose Middle dose High dose Exposure groups < 그림 2.1.64> 노출군별평균질량농도측정결과 - 165 -

800 Mass Concentration (mg/m 3 ) 700 600 500 400 300 200 Low dose Middle dose High dose 100 0 Exposure (day) < 그림 2.1.65> 노출군별노출질량농도일간변동성 - 다음으로본시험에서는 7단다단임팩터 (Cascade impactor) 를이용하여각노출군별로입경분포를확인하였으며, 모든노출군에서가장작은입경영역 (0.32 μm 이하 ) 에서 PHMG phosphate 입자가대다수존재함을확인하였다. 이는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하여측정한입자크기및수농도분포결과에서도동일하게확인할수있었다. 1.0 0.8 MMAD ( m) 0.6 0.4 0.2 0.0 Low dose Middle dose High dose Exposure Group < 그림 2.1.66> 노출군별평균 MMAD 측정결과 - 실시간입자계측기를이용한발생및노출되는 PHMG phosphate 입자의노출군별수농도분포및기하학적평균입경 (Geometric mean diameter) 측정결과모든노출군에서 PHMG phosphate 입자의대부분이 100 nm 이하에서존재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이를통해서 PHMG phosphate 입자가동물및인체에흡입노출될경우폐포깊숙이침투할수있는가망성이매우높음을예측할수있다 2-9). - 166 -

2.5e+5 2.0e+5 T1 T2 T3 dn/dlogdp (#/cc) 1.5e+5 1.0e+5 5.0e+4 0.0 1 10 100 1000 Diameter (nm) < 그림 2.1.67> 노출군별수농도분포측정결과 2 사망률및일반증상관찰고농도노출군에서시험기간중 75일째에암컷한마리, 82일째에수컷두마리, 85일째에수컷한마리와 92일째에수컷세마리가폐사하였다. 사망동물에대한부검시육안적소견관찰결과, 폐의풍선확장 (ballooning) 및국소병소 (focus/foci) 가관찰되었다. 한편병리조직학적검사결과시험물질의흡입노출로인한변화가폐 ( 세기관지폐포과형성 (bronchioloalveolar hyperplasia), 편평상피화생 (squamous metaplasia), 폐포섬유화 (pulmonary fibrosis), 포말대식세포축적 (foamy macrophage aggregates), 염증세포침윤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기관지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bronchiolar epithelium), 삼출물 (exudate), 폐기종 (alveolar emphysema)), 기관 ( 상피변성 (epithelial degeneration), 삼출물 (exudate)), 후두 ( 상피변성 (epithelial degeneration), 편평상피화생 (squamous metaplasia), 삼출물 (exudate)) 및비강 ( 후각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olfactory epithelium), 호흡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respiratory epithelium), 이행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transitional epithelium)) 에서관찰되었다. 이러한변화들은시험물질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것으로판단된다. 한편노출기간중일반증상관찰결과고농도노출군의암컷및수컷에서불규칙호흡, 야윔, 피모청결상태불량및활동성저하등이관찰되었으며, 이러한특이적일반증상들은모두시험물질의반복흡입노출에의한영향으로판단된다. 3 체중및사료섭취량변화 - 수컷고농도노출군에서대조군대비통계적으로유의성있는체중의변화가노출 65일째이후지속적으로관찰되었다. 암컷고농도노출군에서는노출 58일째 (Day 76, 79 및 83 측정제외 ) 이후대조군대비통계적으로유의성있는체중의변화가관찰되었다. 한편암컷중농도노출군에서도노출기간중일시적으로대조군대비통계적으로유의한체중 - 167 -

의변화가관찰되었다. Body weight (male) Body weight (female) 600 500 Control T1 T2 T3 400 Control T1 T2 T3 Body weight (g) 400 300 Body weight (g) 300 200 200 100 0 20 40 60 80 100 0 20 40 60 80 Exposure (day) Exposure (day) < 그림 2.1.68> 노출군별체중변화 ( 좌 ; 수컷, 우 ; 암컷 ) - 한편수컷고농도노출군에서대조군대비통계적으로유의성있는사료섭취량의변화가노출 48일째이후지속적으로관찰되었다. 한편암컷고농도노출군에서는노출 69일및 90일째대조군대비통계적으로유의성있는사료섭취량변화가관찰되었다. 40 Food consumption(male) 40 Food consumption(female) Food consumption (g) 35 30 25 20 15 10 5 Control T1 T2 T3 Food consumption (g) 30 20 10 Control T1 T2 T3 0 0 20 40 60 80 0 0 20 40 60 80 Exposure (day) Exposure (day) < 그림 2.1.69> 노출군별사료섭취량변화 ( 좌 ; 수컷, 우 ; 암컷 ) 4 안과학적검사, 혈액학적검사및혈액생화학적검사안과학적검사, 혈액학적검사및혈액생화학적검사에서는모두대조군대비하여반복흡입노출로인한유의적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5 부검시육안소견암수고농도노출군의폐에서폐의풍선확장 (ballooning) 및국소병소 (focus/foci) 이관찰되었으며, 추가적으로흉선에서도작아짐 (Small) 이관찰되었다. 이러한관찰된육안적소견들은모두반복흡입노출에의한영향으로판단된다. - 168 -

6 장기중량측정수컷중농도및암컷고농도노출군에서폐의절대및상대중량의증가 ( 각각최대 2.24, 2.48배 ) 가관찰되었다. 폐에서관찰된중량변화는병리조직학적검사에서관찰된폐의소견과부합되며 PHMG phosphate 입자의반복흡입노출에따른영향으로판단된다. 7 조직병리검사 - 폐 : 암수고농도노출군에서세기관지폐포과형성 (bronchioloalveolar hyperplasia), 편평상피화생 (squamous metaplasia), 폐포섬유화 (pulmonary fibrosis), 염증세포침윤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포말대식세포축적 (foamy macrophage aggregates), 기관지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bronchiolar epithelium) 및삼출물 (exudate) 이관찰되었다. 또한암컷고농도노출군에서폐기종 (alveolar emphysema) 및충 / 출혈 (congestion/hemorrhage) 이관찰되었다. 한편암수중농도노출군의폐의관찰결과, 세기관지폐포과형성, 폐포섬유화, 염증세포침윤, 폐포상피세포과형성 (epithelial hyperplasia, 수컷만 ), 기관지상피변성 / 재생및삼출물 ( 수컷만 ) 과포말대식세포축적이관찰되었고, 암수저농도노출군에서매우약한정도의포말대식세포축적, 염증세포침윤및폐포상피세포과형성 ( 수컷만 ) 이관찰되었다 2-10). < 그림 2.1.70> 대조군 ( 좌 ) 및저농도노출군 ( 우 ) 의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 169 -

< 그림 2.1.71> 중농도노출군의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 그림 2.1.72> 고농도노출군의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 기관, 후두및비강 : 기관의경우암수중농도이상노출군에서상피변성 (epithelial degeneration) 이관찰되었다. 후두의경우암수고농도노충군에서편평상피화생 (squamous metaplasia) 이관찰되었다. 한편비강의경우암컷고농도노출군및수컷중농도이상노출군에서후각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olfactory epithelium), 호흡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respiratory epithelium) 및이행상피변성 / 재생 (degeneration/regeneration, transitional epithelium) 이관찰되었다. - 170 -

< 그림 2.1.73>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의기관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 그림 2.1.74>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의후두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 그림 2.1.75>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의비강조직병리검사결과 (H&E 염색 ) 8 폐내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검사 - 전균수측정 (Total cell count): 전균수측정 (Total cell count) 은폐내세척액 (BALF) 채취후원심분리하여획득한펠릿 (pellet) 을 Vi cell analyzer를이용하여산정하였 - 171 -

다. 분석결과노출군의암컷및수컷에서대조군대비유의적인세포수증가를확인하였다. < 그림 2.1.76> 노출군별폐내세척액에서의 total cell count 산정결과 - Differential cell 측정 : Differential cell 측정은폐내세척액 (BALF) 채취후원심분리하여획득한펠릿 (pellet) 을 cyto-spin을이용하여슬라이드글라스에세포를흡착시킨후, 세포를염색하여대식세포 (Macrophage), 호중구 (Neutrophil), 호산구 (Eosinophil) 및림프구 (Lymphocyte) 에대하여각각산정하였다. 대조군대비하여고농도노출군에서호중구 (Neutrophil), 호산구 (Eosinophil) 및림프구 (Lymphocyte) 모두비율이상대적으로높아짐을확인하였다. < 그림 2.1.77> 노출군별폐내세척액에서의 differential cell count 산정결과 - 락트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및총단백질 (Total protein) 분석 : 락트산탈수소효소 (LDH) 의경우폐내손상및세포독성 (Cytotoxicity) 의바이오마커로서, 1 차폐내세척액에서채취한생리식염수 (Saline) 의상층액을 LDH 슬라이드를이용하여측정하였으며, 고농도노출군의암컷에서유의적증가가관찰되었다. 한편총단백질 (Total protein) 의경우도폐내손상및세포독성 (cytotoxicity) 의바이오마커로서, 1 차폐 - 172 -

내세척액에서채취한생리식염수 (Saline) 을원심분리시킨상층액을가지고, 표준물질 (Standard) 로 Bovine Serum Albumin (BSA) 를사용하여 Bichinchoninic Acid (BCA) 법을이용하여단백질 (protein) 정량을실시하였으며, 고농도노출군암수에서유의적증가가관찰되었다. < 그림 2.1.78> 노출군별 LDH( 좌 ) 및 total protein( 우 ) 분석결과 - 사이토카인 (Cytokine) 분석 : 폐내염증변화및독성학적영향평가를위하여분리된폐조직을 PBS에처리후원심분리시킨상층액을분취하고, Duoset ELISA kit를이용하여 2가지항목사이토카인 (IL-1β 및 IL-6) 에대하여정량분석하였다. Interleukin-1 beta (IL-1β) 의경우대조군대비하여고농도노출군암수모두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를관찰되었으며, Interleukin-6 (IL-6) 의경우고농도암컷에서통계적으로유의한변화가관찰되었다. < 그림 2.1.79> 노출군별사이토카인 (Cytokine) 측정결과 ( 다 ) 결론 PHMG phosphate에대한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결과암수고농도노출군에서 PHMG phosphate 입자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사망동물이발생하였다. 또한암수고농도노 - 173 -

출군또는암컷중농도노출군에서시험물질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특이적일반증상, 체중변화및사료섭취량변화가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검사결과암수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폐, 기관, 후두및비강에서시험물질의반복흡입노출에의한역작용 (adverse effect) 로판단되는조직학적변화들이관찰되었으며, 폐에서관찰된병리조직학적변화들은폐의육안적소견, 절대및상대중량변화와관련된변화들로판단되었다. 또한폐내염증및손상지표들의분석결과에서도암수고농도노출군에서유의적인변화들이확인되었다. 이러한독성학적영향들을종합해볼때 PHMG phosphate의 13주반복흡입노출시표적장기 (Target organs) 는폐, 기관, 후두및비강인호흡기계통으로판단되며본연구의결과들을종합해볼때본시험조건에서의무해독성용량 (NOAEL) 은암수모두 30 μg/m 3 으로판단된다. (7) 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 - 본연구에서는 PHMG phosphate에의한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를위하여폐독성생체지표들에대한발현분석을통하여 PHMG phosphate의폐내독성기전평가를다음과같은시험방법에의하여수행하였다 ( 표 2.1.64 참조 ). < 표 2.1.64> PHMG phosphate 의폐내독성기전평가시험방법요약 시험종 투여경로 투여시간 C57BL/6 ( 수컷, n=20) 기도내점적투여 단회투여 투여장치 자동화상점적기 (Movi) 시험군시험군별투여농도관찰분석 대조군, 저농도 (T1), 중농도 (T2), 고농도 (T3) 저농도 (T1): 0.3 mg/kg, 중농도 (T2): 0.9 mg/kg 고농도 (T3): 1.5 mg/kg 일반증상사망률체중부검육안소견장기무게측정조직병리검사 ( 폐 ) 임상병리검사폐내섬유증바이오마커, 염증발현바이오마커 - 본시험에서는투여군당각수컷 5마리씩에대하여본연구진이특허등록후산업계와공동연구협력을통하여개발한자동화상점적기를이용하여투여군별로 PHMG phosphate를기도내로점적투여하였다. 투여후 2주간의관찰기간동안사망률, 일반증상 - 174 -

관찰및체중변화를측정하였으며투여후 7일차및 14일차에각각폐내섬유증인자및염증발현인자분석을통하여 PHMG phosphate로인한폐내독성학적기전평가를수행하였다. - 먼저투여후각노출군별체중변화결과를살펴보면, 저농도군에비하여중농도및고농도군에서투여후 2일차이후통계적으로유의한체중변화를관찰하였으며, 부검시폐및흉선에서의절대및상대중량의증가및감소를각각확인하였다. 이러한체중감소및장기의무게변화는시험물질의기도내점적투여에의한직접적인영향으로판단된다. 24 Body weight (g) 22 20 18 16 14 ** ** ** ** ** ** ** ** ** ** ** Control 0.3 mg/kg 0.9 mg/kg 1.5 mg/kg 0 2 4 6 8 10 12 14 days ** ** ** ** ** ** ** < 그림 2.1.80> 투여군별체중변화관찰결과 0.06 Lung weight (g) 0.35 0.30 0.25 0.20 0.15 0.10 0.05 0.00 ** ** ** ** ** * day 7 day 14 Thymus weight (g) 0.05 0.04 0.03 0.02 0.01 0.00 ** ** ** ** day 7 day 14 < 그림 2.1.81> 투여군별폐및흉선의절대및상대장기중량관찰결과 - 한편투여후 7일차및 14일차에측정한 proinflammatory 싸이토카인 인 IL-1β 및 IL-6 측정결과중농도군및고농도군에서통계적유의성을확인하였으며, 이를통해서 PHMG phosphate가폐내염증발현을증가시킨다는것을확인하였다. 또한 anti-fibrotic 싸이토카인 인 IFN-γ 및호중구 (neutrophil) 와단핵구 (monocyte) 케모카 - 175 -

인 ( 유인인자 ) 의중농도군및고농도군에서의감소및증가를확인하였다 2-12). IL-1 conc (pg/mg) 140 120 100 80 60 40 20 * * * ** Control 0.3 mg/kg 0.9 mg/kg 1.5 mg/kg ** IL-6 conc (pg/mg) 30 25 20 15 10 5 * * ** * 0 day 7 day 14 0 day 7 day 14 < 그림 2.1.82> IL-1β 및 IL-6 분석결과 6 25 IFN- (pg/mg of protein) 5 4 3 2 1 0 ** ** ** day 7 day 14 MCP-1 (fold increase) 20 15 10 5 0 ** * * * day 7 day 14 CXCL1 conc. (pg/mg) 16 * 14 12 * 10 8 ** ** 6 4 2 0 day 7 day 14 < 그림 2.1.83> IFN-γ, 단핵구케모카인 (MCP-1) 및호중구케모카인 (CXCL1) 분석결과 - 다음으로 RNA 레벨에서폐내섬유증유도에관여하는발현인자들에분석 (Fibronectic mrna, MMP2 및 MMP12) 을통하여모든투여군에서 PHMG phosphate 의폐 - 176 -

내섬유증유도에대한직접적인영향을확인하였다. 또한섬유화에관계되는단백질인 MMP9 및 TIMP1의모든투여군에서의발현증가에대해서도 western blot분석법을이용하여확인하였다. - 177 -

Fibronectin (fold increase) 25 20 15 10 5 0 ** ** ** ** ** day 7 day 14 MMP2 (fold increase) 2.5 2.0 1.5 1.0 0.5 0.0 ** * * * * day 7 day 14 MMP12 (fold increase) 60 50 * 40 30 * 20 * 10 ** * * 0 day 7 day 14 < 그림 2.1.84> 폐내섬유증발현인자들에대한분석결과 (RNA 레벨 ) < 그림 2.1.85> 섬유화발현단백질에대한분석결과 - 한편본연구에서는 PHMG phosphate로인한면역학적영향분석을위하여추가적으로흉선에서 T cell의면역작용에관여하는인자들에대한발현분석평가를통하여 PHMG phosphate가흉선에도직접적인악영향을끼칠수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구체적으로흉선의총세포수감소및미성숙한 T cell의바이오마커인 CD4+/CD8+ 의발현감소를확인하였으며, 또한폐내에서 T cell의 T1 및 T2로의분화전사인자인 T-bet 및 GATA3-178 -

mrna 발현감소를확인하였다 2-13). Thymus cell count(x10 6 ) 100 80 60 40 20 0 ** ** day 7 day 14 Control 0.9 mg/kg < 그림 2.1.86> 흉선총세포수분석및 CD4+/CD8+ 발현분석결과 1.2 T-bet (fold increase) 1.4 1.2 1.0 0.8 0.6 0.4 0.2 ** ** ** ** ** ** GATA3 (fold increase) 1.0 0.8 0.6 0.4 0.2 * * * ** ** ** Control 0.3 mg/kg 0.9 mg/kg 1.5 mg/kg 0.0 day 7 day 14 0.0 day 7 day 14 < 그림 2.1.87> T cell 의분화전사인자 (T-bet 및 GATA3 mrna) 발현분석결과 - 179 -

나. 바이오사이드물질 2 (IPBC) 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 본연구에서흡입독성평가법확립을수행한두번째바이오사이드물질인 IPBC (3-Iodo-2-propynly butylcarbamate) 의경우현재다양한화장품제품에서살균제및보존제로광범위하게사용되는물질로서, 2013년도미국 FDA에서발행한보고서에따르면총 942개의제품에서 0.00012에서 0.05% 의농도범위로첨가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2-14). IPBC가첨가되는노출경로별화장품제품을살펴볼경우피부경로를통한제품이 548개로가장높은점유율을나타냈으며, 다음으로두피제품이 374개제품으로확인되었고, 안구또는스프레이를통한흡입노출경로제품도다수확인되었다. 이밖에도 IPBC의경우페인트및벽지등의제품에서도곰팡이등에대한살균제로서광범위하게이용되고있음이확인되었다 2-14). IPBC의물리화학적특성을살펴보면상온에서백색파우더로존재하며, 분자량은 281, 녹는점은 65-66 이며, 특히물에대한용해도가매우낮은것으로확인되었다. 반면에알코올류및방향성용제에대해서는용해도가매우높은것으로확인되었다. 또한 IPBC 흡입독성평가에대한기선행된연구들의경우 1980년대중반부터 1990년대중반까지, 급성흡입독성평가의경우 3건의선행연구및반복흡입독성평가의경우 1건의선행연구가수행되었음을확인할수있었으며, 2000년대이후에는 IPBC에대한흡입독성학적영향평가는전무하며전체적인흡입독성연구빈도가매우낮음을알수있었다 < 표 2.1.65> IPBC 의흡입독성평가에대한선행연구요약 2-15) 항목연구자시험방법주요결과 급성흡입독성 급성흡입독성 급성흡입독성 반복흡입독성 Gargus, 1985 Hoffman, 1990 Jackson, 1994 Kenny, 1994 -OECD 403, limit test - Sprague-Dawley rats (5/sex/group) - Dose levels/purity: 6.89 mg/l, 99% -US EPA 81-3 -Sprague-Dawley rats (5/sex/group) -Dose levels/purity: Dust: 1.7, 0.38, 0.72mg/L Liquid aerosol: 3.4, 1.8, 0.45, 0.75 mg/l -US EPA 81-3 -Sprague-Dawley rats (5/sex/group) -Dose levels/purity: Dust, micronised: 0.16, 0.29, 0.58 mg/l Dust, non-micronised: 0.49, 1.19, 2.44-13 week -Sprague-Dawley rats (both sexes, 15/group) -Dose levels: 0, 0.3, 0.23, 1.16 and 6.7 mg/m 3 LC 50 : > 6.89 mg/l LC 50 dust: 0.67 mg/l LC 50 : liquid aerosol: 0.63 mg/l for males 0.99 mg/l for females LC 50 : From all mortality data: 0.67 mg/l From groups exposed to non-micronised: 0.88 mg/l NOAEL: 1.16mg/m 3 LOAEL: 6.7 mg/m 3-180 -

본연구에서는 IPBC에대한물리화학적특성, 선행연구된흡입독성평가결과및실제 IPBC에노출된가능성들을고려하여, 액상 IPBC가인체및환경에노출된가망성이높다고판단하고 IPBC의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법정립및특성평가법개발연구를수행하였다. (1) IPBC에대한발생법정립및특성평가법개발 ( 가 ) 흡입독성시험수행을위한 IPBC 용해도평가및부형제선정 IPBC는물에대한용해도가매우낮아서흡입노출시 IPBC를물에녹인수용액으로부터에어로졸화시키는것은매우어렵기때문에 1차적으로흡입독성평가시실험동물에독성학적영향을끼치지않으며, IPBC 입자를원하는노출농도수준으로발생시킬수있는부형제선정을진행하였다. 이를위해우선적으로 3가지부형제 (3차증류수, propylene glycol 및 poly(ethylene) glycol) 에대한용해도평가를순차적으로진행하였다. 먼저 3차증류수를부형제로한 IPBC의용해도평가에서는교반법, 가열법및초음파처리법 (Ultra sonication) 을이용하였다. 교반법만을이용하는경우 IPBC는 3차증류수내에서입자및덩어리상태로존재하며전혀용해되지않았다. 다음으로가열법을이용한경우 IPBC의녹는점인 65 68 이상으로가열시입자는용해되지만, 온도가녹는점이하로내려가면 IPBC가석출되었으며, 용해된 IPBC도 3차증류수와섞이지않고층으로나뉘는것을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초음파처리법 (Ultra sonication) 을이용하는경우 1 % 농도까지 IPBC를용해시킬수있음을확인하였지만, 흡입독성평가를위한 IPBC 입자발생에는만족할만한농도수준을나타내지는못했다. < 그림 2.1.88> 가열법을이용한 3차증류수와 IPBC의용해도평가 다음으로 propylene glycol 을이용한 IPBC 용해도평가의경우, 먼저 propylene glycol의농도구배에따른 1% IPBC의용해도평가를실시하였다. 용해도평가시에는 3차증류수평가와동일하게교반법, 가열법및초음파처리법을각각이용하였다. 1% IPBC 용해도평가시초음파처리법을이용한 70% propylene glycol 에대한 IPBC의완전용해를확인한후, IPBC 농도구배 (1-10%) 에따른 70% propylene glycol 에대한용해도평가를진행하였다. 이를통해 70% propylene glycol 에는최대 1% IPBC까지용해시킬수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마지막으로 propylene glycol 원액과 IPBC과의용해도평가시 20% IPBC까지용해가될수있음을확인하 - 181 -

였다. < 그림 2.1.89> 70% propylene glycol( 좌 ) 및 propylene glycol 원액 ( 우 ) 와의용해도평가 마지막으로본연구에서는 poly(ethylene) glycol에대한 IPBC의용해도평가를통하여 propylene glycol과의용해도결과를비교하여최종적으로가장적합한부형제를선택하였다. poly(ethylene) glycol에대한 IPBC의용해도평가결과최대 50% 까지 IPBC가용해됨을확인하였다. < 그림 2.1.90> poly(ethylene) glycol 에대한용해도평가 마지막으로 propylene glycol과 poly(ethlene) glycol에용해된 IPBC에대한 IPBC 입자의노출농도평가를통해 poly(ethlene) glycol에용해된 IPBC 입자가약 2.5 배이상노출농도가높게발생됨을확인하였으며, 이를통해 poly(ethlene) glycol를 IPBC의흡입독성평가에이용한부형제로최종적으로선택하였다. ( 나 ) 흡입독성평가수행을위한 IPBC 유효성분분석법정립 흡입독성평가시부형제와혼합되어에어로졸화된후동물에게노출되는 IPBC 입자의유효성분 (Active ingredient) 농도를측정하기위하여, 본연구에서는 IPBC에대한 - 182 -

유효성분분석법을정립하였다. 분석법정립은포집된 IPBC 입자로부터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추출 ( 전처리 ) 법정립및 HPLC를이용한분석방법확립및분석법검증으로구분하여수행하였다. 1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추출 ( 전처리 ) 법정립본연구에서는다음과같은과정을통하여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전처리법을정립하여, 흡입독성평가수행시적용하였다. < 표 2.1.66>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추출 ( 전처리 ) 과정 IPBC 입자발생시 44 mm 유리섬유필터에 poly(ethlene) glycol와 IPBC가혼합된입자의질량농도를산출한다. 질량농도산출이완료된필터는메탄올로세척된가위로 4등분시킨다. 50 ml polypropylene tube에절단한필터를넣고메탄올을 10 ml 첨가한후, 5-10초동안혼합 (vortexing) 시킨다. Shaking incubator 내에적당한크기의 50 ml rack을고정시킨후, 메탄올에잠겨있는필터를삽입한다. Shaking incubator의전원을켠후, 60 분동안완전혼합 (shaking) 시킨다. 45 μm마이크로섬유필터를이용하여불순물을거른후, 새로운튜브에분석전까지대기시킨다. 2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분석법정립 - 본연구에서는흡입노출된 IPBC 유효성분의정량분석을위하여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 를이용하여 IPBC 분석을진행하였다. HPLC를이용한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 HPLC의분석조건은다음과같이설정하였다. 검량선작성을위한표준용액은시그마알드리치에서구입한 IPBC 표준물질을메탄올에희석하여측정범위에맞게준비하였으며, QC 샘플또한표준물질을메탄올에희석하여검량선의중간농도범위에서준비하였다. < 표 2.1.67>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 HPLC 분석조건 항목 조건 칼럼 Shim pack GIS ODS-I 4.6X150mm, 5um 칼럼온도 30 검출기 UV 254nm 검량선범위 125, 250, 500, 1000 및 2000 mg/l 분석시간 10 분 - 183 -

- 본연구에서는흡입독성평가시확립된분석방법을이용한 IPBC 유효성분정량분석을수행하기전분석법검증 (validation) 을수행하여확립한분석방법에대한검증을진행하였다. IPBC 분석법검증시다음과같은항목에대한평가를실시하였다. < 표 2.1.68> 분석법검증항목및방법 항목특이성직선성시스템적합성정확성및정밀성 평가방법시험물질이포함되지않은표준물질, 대조물질및메탄올을이용하여 6번반복측정하여시험물질성분이용리되는구간에내인성물질에서기인하는간섭피크가존재하는지확인 -검량선의직선성은 5 농도의표준물질을이용하여검량선을작성 -각농도를위한 Response factor(rf) 는 relative error (RE, %) 대비 10% 이내 -회귀선식은상관계수가 0.99 이상확인 -QC 샘플을이용하며, QC 샘플을 6회반복측정하여평가 -반복주입에대한정밀성은 coefficient of variation (CV, %) 가 10% 이내 -검량선범위내의 QC 샘플에서 6회이상측정하여정확성및정밀성을확인하여일내변동을평가 -일내변동과동일한 QC 샘플을다른날짜에 2회이상실시하여일간변동을평가 -정확도는 RE가 10% 이내이어야하며, 정밀성은 CV가 10% 이내 3 급성흡입독성평가수행시의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분석법검증본연구에서는먼저 IPBC의급성흡입독성평가를위한 IPBC 유효성분분석법검증평가를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반복흡입독성평가수행을위한분석법검증평가를실시하여흡입독성평가시활용하였다. < 표 2.1.69> 급성흡입독성평가를위한분석법검증수행조건요약1 시험물질표준물질용매분석조건밸리데이션항목 QC sample Standard concentration IPBC (Troy) IPBC (Sigma aldrich) MeOH Mobile phase : CH3OH:H2O(60:40) Flow rate : 1.0 ml/min Column : Shim-pack GIS-ODS 5μm (Shimadzu, Japan) Column Temperature : 30 Detector : UV 254nm Injection volume : 5 μl Specificity : 각 6회측정 Linearity : 각농도별 3회측정 System suitability : 6회측정 Accuracy and Precision : 각농도별 3회측정 375, 750, 1500 mg/l 187.5, 375, 750, 1500, 3000 mg/l - 184 -

가특이성 (Specificity) IPBC(troy), Poly(ethylene) glycol 및 MeOH를각 6회측정하여, IPBC의성분이용리되는구간에서내인성물질에기인하는간섭피크가있는지확인하였으며, Poly(ethylene) glycol 및 MeOH의분석결과, IPBC의성분이용리되는구간에서간섭피크는확인되지않았다. 나직선성 (Linearity) 검량선은각기다른 5 농도의표준물질을이용하여작성하였으며, 각농도를위한 Response factor(rf) 및회귀선식의상관계수를확인하였으며, 표준물질을이용한검량선작성시 mean RF값은 282.39로측정되었으며, 각표준물질 187.5, 375, 750, 1500 및 3000 mg/l 농도별 RE(%) 는 1.87, -0.88, -1.68, 2.33 및 2.10 % 로측정되어 10 % 미만임을확인하였다. 또한회귀선식의상관계수 (R 2 ) 는 0.9999로 0.99이상측정되어직선성을확인하였다. < 그림 2.1.91> 표준물질을이용한검량선작성및직선성확인다시스템적합성 (System suitability) 시스템적합성확인을위하여 QC샘플 (750 mg/l) 를 6회반복측정한결과, 평균 RF값은 281.97 ± 0.21 로확인되었으며, 평균 RF값에대한 CV (%) 은 0.08로 10 % 이내로, 이를통해시스템적합성을확인하였다. < 표 2.1.70> QC 샘플을이용한시스템적합성확인 라정확성및정밀성 (Accuracy and Precision) QC 샘플 (375, 750, 1500 mg/l) 을각 3 회반복측정하여, 정확성및정밀성의일내 - 185 -

변동을확인하였으며, QC 샘플 (1500 mg/l) 의정확성은 2.64 %, 정밀성은 0.05 % 로확인되었으며 QC 샘플 (750 mg/l) 의정확성은 1.16 %, 정밀성은 0.01 %, QC 샘플 (375 mg/l) 의정확성은 0.67 %, 정밀성은 0.18 % 로확인되었다. 4 반복흡입독성평가수행시의 IPBC 유효성분분석을위한분석법검증 < 표 2.1.71> 반복흡입독성평가를위한분석법검증수행조건요약 시험물질 표준물질 용매 분석조건 밸리데이션항목 QC sample Standard concentration IPBC (Troy) IPBC (Sigma aldrich) MeOH Mobile phase : CH3OH:H 2 O(60:40) Flow rate : 1.0 ml/min Column : Shim-pack GIS-ODS 5 μm (Shimadzu, Japan) Column Temperature : 30 Detector : UV 254 nm injection volume : 20 μl Specificity : 각 6 회측정 Linearity : 각농도별 3 회측정 System suitability : 6 회측정 Accuracy and Precision : 6 회측정일간변동 25 mg/l 5, 15, 25, 50, 100 mg/l 가특이성 (Specificity) IPBC(troy), Poly(ethylene) glycol 및 MeOH를각 6회측정하여, IPBC의성분이용리되는구간에서내인성물질에기인하는간섭피크가있는지확인하였으며, Poly(ethylene) glycol 및 MeOH의분석결과, IPBC의성분이용리되는구간에서간섭피크는확인되지않았다. 나직선성 (Linearity) 검량선은 5 농도의표준물질을이용하여작성하였으며, 각농도를위한 Response factor(rf) 및회귀선식의상관계수를확인하였다. 표준물질 IPBC(sigma aldrich) 를이용한검량선작성시 mean RF값은 1117로측정되었으며, 각표준물질 5, 15, 25, 50 및 100 mg/l 농도별 RE(%) 는 0.51, -4.67, -1.08, 3.68 및 1.55 % 로측정되어 10 % 미만임을확인하였다. 또한회귀선식의상관계수 (R 2 ) 는 0.9997로 0.99이상측정되었다. - 186 -

< 그림 2.1.92> 표준물질을이용한검량선작성및직선성확인다시스템적합성 (System suitability) QC 샘플 (750 mg/l) 를 6회반복측정하여, RF값의 CV (%) 값을확인하였다. 시스템적합성을측정하기위해, QC샘플 (25 mg/l) 를 6회반복측정한결과, 평균 RF값은 1123.04 ± 2.88 로확인되었으며, 평균 RF값에대한 CV (%) 은 0.26로 10 % 이내가확인되었다. < 표 2.1.72> QC 샘플을이용한시스템적합성확인 라정확성및정밀성 (Accuracy and Precision) QC 샘플 (25 mg/l) 을 6회반복측정하여, 정확성및정밀성의일내변동을확인하였으며, QC 샘플 (25 mg/l) 의정확성및정밀성은 0.24 %, 정밀성은 0.2 4% 로확인되었다 < 표 2.1.73> QC 샘플을이용한정확성및정밀성확인 - 187 -

(2) 단회흡입독성평가 - 본연구에서는다음과같이부형제인 poly(ethylene) glycol 에용해된 IPBC 용액으로부터 IPBC 입자를발생 노출시키기위하여오토마이져 (Atomizer) 방식의 mist generator를이용하여 IPBC 입자를발생시킨후동물에노출시켰다 ( 그림 2.1.93 참조 ). < 그림 2.1.93> IPBC 단회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 본연구에서 IPBC의단회흡입독성평가를위한노출용량의경우, 선행되어수행되었던 IPBC에대한급성흡입독성평가결과를참고하였다 (13). 1990년대 Hoffman 연구팀에의해수행된급성흡입독성평가에따르면, Sprague-Dawley 랫드를이용한단회흡입노출시험시 Dust 상태의 IPBC의반수치사농도 (LC 50 ) 은 0.67 mg/l로확인하였으며, 액상에어로졸상태의 IPBC의반수치사농도 (LC 50 ) 값이수컷의경우 0.63 mg/l, 암컷의경우 0.99 mg/l 인것으로확인하였다. 이를참고하여본연구진은반수치사농도가예측되는 0.63 g/m 3 을중간노출용량으로설정하였으며, 대부분의노출동물에서치명적인독성이나타날것으로예상되는 1.89 g/m 3 를최고노출용량으로설정하였으며, 독성이나타나지않을것으로예상되는 0.21 g/m 3 을최저노출용량으로설정하였다. IPBC에대한단회흡입독성평가는다음에제시된시험방법에따라진행되었다. 시험종 Sprague-Dawley 랫드 ( 암수각각 n = 24) 노출경로 비부흡입노출 노출시간 4 시간 /1 회 ( 단회노출 ) - 188 -

산소농도는 19 % 이상, 온도는 22± 3 및상대습도는 30 % ~ 70 % 로흡입챔버유지. 단, 시험물질발생의특성상상대습도를포함하여본조건의유지가내조건어려울수있음발생장치시험물질발생 : 오토마이져 (Atomizer) 타입의 Mist generator 노출중질량농도 (g/m 3, 노출시간동안각노출군각각 3 회 ) 측정항목입경분포 ( 각노출군당 2 회 ) 챔버내균질성노출전챔버로노출되는시험물질에대한챔버균질성평가확인 ( 챔버의상단, 하단각각 3회 ) 시험군 4군 (Vehicle control, T1, T2, T3) 부형제대조군 (Vehicle control) : 0 g/m 3 시험군별최저용량군 (T1) : 0.21 g/m 3 노출농도중간용량군 (T2) : 0.63 g/m 3 최고용량군 (T3) : 1.89 g/m 3 일반증상관찰및사망률측정항목체중부검시장기육안소견 < 그림 2.1.94> IPBC 급성흡입독성시험의시험방법요약 ( 가 ) 주요결과 1 챔버내균질성평가본연구에서는실제동물에대한흡입노출전각노출군별로챔버내 IPBC 입자의노출농도균질성을평가하여실제노출시모든동물에균질한노출농도로 IPBC 입자가노출됨을확인하였다. 노출군별챔버균질성은챔버내상단과하단에서노출농도를각 3회측정하여목표농도와의편차를확인하여평가하였다. 챔버상단의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의노출질량농도는 0.19 ± 0.03, 0.65 ± 0.04 및 2.02 ± 0.23 g/m 3 으로측정되었으며, 챔버하단의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의노출질량농도는 0.20 ± 0.03, 0.51 ± 0.01 및 1.87 ± 0.36 g/m 3 으로확인되었다. 각노출군에서챔버상단및하단모두에서각노출군별로목표농도대비 ±20 % 이내의편차를보였으며, 이를통해 IPBC가챔버내에서균질하여노출됨을확인할수있었다. - 189 -

Exposure concentration (g/m 3 ) 2.5 2.0 1.5 1.0 0.5 T1 T2 T3 0.0 Upper Bottom < 그림 2.1.95> 노출군별챔버내균질성평가 2 시험물질의노출평가 -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에서노출질량농도는각각 0.213 ± 0.012 g/m 3, 0.562 ± 0.033 g/m 3, 1.914 ± 0.226 g/m 3 으로측정되었으며, 노출군모두목표농도의 ± 20 % 이내에서정상적으로노출이진행되었음을확인하였다. 3.0 Exposure concentration (g/m 3 ) 2.5 2.0 1.5 1.0 0.5 0.0 T1 T2 T3 Group < 그림 2.1.96> 노출군별평균노출질량농도 - 다단임팩터를이용한입경분포측정결과, 노출군모두 1 μm 이하입경에서대부분의입자가노출되었음을확인할수있으며,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 MMAD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의경우각각 0.93 ± 0.02, 0.89 ± 0.01, 0.84 ± 0.01 μm를보였으며, 기하학적표준편차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의경우각각 1.80 ± 0.36, 1.98 ± 0.00 및 1.97 ± 0.04 를나타내었다. - 190 -

2.0 3.0 2.5 1.5 2.0 MMAD ( m) 1.0 GSD ( g) 1.5 1.0 0.5 0.5 0.0 T1 T2 T3 0.0 T1 T2 T3 Group Group < 그림 2.1.97> 노출군별입경분포측정 - 노출중시험물질을포집한필터로부터추출하여분석한 IPBC 유효성분정량분석결과,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 IPBC 유효성분농도는각 0.230 ± 0.010 g/m 3, 0.567 ± 0.030 g/m 3, 1.764 ± 0.227 g/m 3 으로측정되었으며, 이는노출농도대비 7.34, 26.53, 47.86 % 를나타내었다. 3.0 2.5 A.I. concentration (g/m 3 ) 2.0 1.5 1.0 0.5 0.0 T1 T2 T3 Group < 그림 2.1.98> 노출군별 IPBC 유효성분농도분석결과 3 사망률및일반증상관찰저농도노출군에서는 IPBC와관련된사망동물은발생하지않았음. 노출 1일째중농도노출군의수컷 1마리, 암컷 1마리, 고농도노출군에서는수컷 5마리, 암컷 2마리의사망동물이발생하였다. 이후노출 2일째중농도노출군의수컷 3마리, 암컷 1마리, 고농도노출군에서는수컷 1마리, 암컷 3마리가추가로사망하였으며, 노출 3일째중농도노출군의수컷 1마리, 암컷 1마리, 고농도노출군의암컷 1마리가사망하였으며, 노출 4일째중농도노출군의암컷 1마리가사망하여총 22마리의사망동물이노출및관찰기간중발생하였다. 노출후관찰기간 (14일) 까지수컷의경우중농도노출군에서 6/6례및고농도노출군에서 - 191 -

6/6례사망하였으며, 암컷의경우중농도노출군에서 4/6례. 고농도노출군에서 6/6례사망동물이발생하였다. 일반증상관찰결과수컷고농도에서는불규칙호흡및천명이관찰되었으며, 수컷중농도에서는복와위, 활동성저하, 불규칙호흡, 천명, 저체온및피모의오염이관찰되었다. 또한수컷저농도에서도일시적으로야윔, 불규칙호흡, 천명및피모의오염의증상이나타났다. 암컷의경우고농도노출군에서는활동성저하, 불규칙호흡, 천명, 피모의오염및창백이관찰되었으며, 중농도노출군생존동물들에서천명, 불규칙호흡, 행동장애, 야윔등의증상을나타냈다. 4 체중변화수컷저농도및중농도노출군의경우노출 2일후체중의유의적변화를보였다. 암컷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경우노출 2일후체중에대조군대비하여통계적으로유의적변화를보였다. 400 300 Body weight (g) 300 Body weight (g) 200 200 Vehicle control T1 T2 T3 100 Vehicle control T1 T2 T3 100 0 1 2 4 8 14 1 2 4 8 14 Exposure (Day) < Male > Exposure (Day) < Female > < 그림 2.1.99> 노출군별체중변화측정결과 5 부검시육안소견부검시모든생존동물에대한육안적소견관찰결과, 부형제대조군을포함하여모든노출군의생존동물에서특이적육안소견은관찰되지않았다. ( 나 ) 결론 IPBC 급성흡입독성시험결과수컷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모든동물이사망하였으며, 암컷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에서는각 4/6례, 6/6례사망동물이관찰되었다. 또한 IPBC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호흡기계통등에서특이적인일반증상들이관찰되었으며, 체중변화도관찰되었다. 이러한변화들은모두 IPBC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영향으로판단되며, 이러한결과들을종합해볼때본시험조건에서의반수치사농도 (LC 50 ) 은수컷, 암컷각각 0.36422 g/m 3, 0.59131 g/m 3 으로산출되었다. - 192 -

(3) 반복흡입독성평가 - 단회흡입독성평가와동일하게 4주반복흡입독성평가시에도부형제노출군을포함하여모든노출군에대하여오토마이져 (Atomizer) 방식의 mist generator 를이용하여 IPBC 입자를발생시킨후실험동물에노출시켰다. < 그림 2.1.100> IPBC 4주반복흡입독성평가를위한발생및노출모식도 - 본연구에서 IPBC의 4주반복흡입독성평가를위한노출용량설정의경우, 선행되어수행되었던반복흡입독성평가노출용량및본연구의급성흡입노출결과를참고하였다 (13). 1994년 Kenny 연구팀에의하여수행되었던 13주반복흡입독성시험에서는 Sprague-Dawley Rat를 13 주반복흡입노출시험시무해독성용량 (NOAEL) 은 1.16 mg/m 3, 최소독성용량 (LOAEL) 은 6.7 mg/m 3 인것으로확인하였다. 한편본연구에서의급성흡입노출의결과수컷및암컷의반수치사농도 (LC 50 ) 는각각 0.36422 및 0.59131 g/m 3 으로확인되었다. 급성흡입평가결과를바탕으로산출된수컷및암컷의 LC 16 은 249 및 334 mg/m 3 이었으며, 이를 4주간반복흡입시의노출용량으로환산하면, 수컷및암컷의농도는각각 8.3 및 11.13 mg/m 3 이다. 이러한산출용량들을바탕으로본연구에서는시험물질의독성이나타날것으로예상되는농도인 8 mg/m 3 을고농도로결정하였으며, 독성이나타나지않을것으로예상되는 1 mg/m 3 을저농도로결정하였다. 중간농도는저농도와고농도의중간수준인 4.5 mg/m 3 으로결정하였다. IPBC에대한 4주반복흡입독성평가는다음에제시된시험방법에따라진행되었다 2-16). - 193 -

시험종 Sprague-Dawley 랫드 ( 암수 n = 80) 노출경로 비부흡입노출 노출시간 6 시간 /1 회, 5 회 / 주, 4 주 ( 총 20 회노출 ) 노출전기간 (Pretest) 기간중홀더트레이닝 3 회실시 산소농도는 19 % 이상, 온도는 22 ± 3 및상대습도는 30 ~ 70 % 로유지. 흡입챔버내조건 단, 시험물질발생의특성상상대습도를포함하여본조건의유지가어려울수 있음 발생장치 시험물질발생 : Atomizer 타입의 Mist generator 노출중측정항목질량농도 (mg/m3, 노출시간동안각노출군별각각 3 회 ) 입경분포 ( 각노출군별주 1 회 ) 챔버내균질성확인 노출전챔버로노출되는시험물질에대한챔버균질성평가 ( 챔버의상단, 하단각각 3회 ) 시험군 4군 (Vehicle control, T1, T2, T3) 부형제대조군 (Vehicle control) : 0 mg/m 3 최저용량군 (T1) : 1 mg/m 3 시험군별노출농도중간용량군 (T2) : 4.5 mg/m 3 최고용량군 (T3) : 8 mg/m 3 일반증상사망률체중사료섭취량관찰항목부검육안소견장기무게측정조직병리검사임상병리검사 < 그림 2.1.101> IPBC 4주반복흡입독성시험의시험방법요약 ( 가 ) 주요결과 1 챔버내균질성평가본연구에서는 4주반복흡입노출전및노출종료직전각 1회, 총 2회에걸쳐챔버내상단과하단에서의시험물질농도의균질성을확인하였다. 첫번째챔버균질성평가시, 챔버상단의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군의노출질량농도는각각 0.90 ± 0.04, 4.39 ± 0.17 및 8.78 ± 1.07 mg/m 3 으로평가되었으며, 챔버하단의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군의노출질량농도는 0.87 ± 0.05, 4.30 ± 0.20 및 8.00 ± 1.38 mg/m 3 으로평가되었다. 한편 4주반복노출종료직전수행된두번째챔버균질성평가시, 챔버상단의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군의노출질량농도는 1.10 ± 0.10, 5.25 ± 0.08 및 9.08 ± 0.28 mg/m 3 으로나타났으며, 챔버하단의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군의노출질량농도는 0.94-194 -

± 0.20, 4.44 ± 0.75 및 8.82 ± 0.56 mg/m 3 으로확인되었다. 두번의챔버균질성평가에서모두챔버내상단과하단에서각노출군의목표농도대비 ±20% 로 IPBC 가노출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Exposure concentration (mg/m 3 ) 12 10 8 6 4 2 T1 T2 T3 Exposure concentration (mg/m 3 ) 12 10 8 6 4 2 T1 T2 T3 0 Upper Bottom 0 Upper Bottom < 그림 2.1.102> 노출군별챔버내균질성평가 ( 좌 : 노출전, 우 : 노출종료전 ) 2 시험물질의노출평가 -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에서노출질량농도는각 0.951 ± 0.084 mg/m 3, 4.390 ± 0.368 mg/m 3, 8.406 ± 0.610 mg/m 3 으로측정되었으며, 노출군모두목표농도의 ± 20 % 이내에서정상적으로노출이진행되었음을확인하였다. 또한노출농도의주간변동성을살펴보았을때도 IPBC 입자가전체노출기간동안안정적으로발생 노출되었음을확인할수있었다. 12 Exposure concentration (mg/m 3 ) 10 8 6 4 2 0 T1 T2 T3 Group < 그림 2.1.103> 노출군별평균노출질량농도 - 195 -

Exposure concentration (mg/m 3 ) 12 10 8 6 4 2 T1 T2 T3 0 1 2 3 4 Exposure (week) < 그림 2.1.104> 노출군별주별평균노출질량농도 - 다단임팩터를이용한입경분포측정결과, 노출군모두 1 μm 이하입경에서대부분의입자가노출되었음을확인할수있으며,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 MMAD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의경우각각 0.72 ± 0.02, 0.87 ± 0.02, 0.65 ± 0.03 μm를보였으며기하학적표준편차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의경우각각 2.02 ± 0.30, 1.94 ± 0.27 및 1.86 ± 0.19를나타내었다. 1.2 3.0 1.0 2.5 0.8 2.0 MMAD ( m) 0.6 GSD ( g) 1.5 0.4 1.0 0.2 0.5 0.0 T1 T2 T3 0.0 T1 T2 T3 Group Group < 그림 2.1.105> 노출군별입경분포측정 - 노출중시험물질을포집한필터로부터추출하여분석한 IPBC 유효성분정량 분석결과,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 IPBC 유효성분농도는각 1.005 ± 0.106 mg/m 3, 4.307 ± 0.346 mg/m 3, 8.101 ± 0.684 mg/m 3 으로측정되었다. - 196 -

12 10 A.I. concentration (mg/m 3 ) 8 6 4 2 0 T1 T2 T3 Group < 그림 2.1.106> 노출군별 IPBC 유효성분농도분석결과 12 10 T1 T2 T3 A.I. concentration (mg/m 3 ) 8 6 4 2 0 1 2 3 4 Exposure (week) < 그림 2.1.107> 노출군별 IPBC 유효성분농도의주별변동성 3 사망률및일반증상관찰전체노출기간중 IPBC 입자의반복흡입노출과관련된사망동물은발생하지않았다. 또한특이적인일반증상도관찰되지않았다. 4 체중변화전체노출기간중시험물질의흡입노출에의한유의한체중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 197 -

500 280 450 260 Body weight (g) 400 350 Body weight (g) 240 220 200 300 Vehicle control T1 T2 T3 180 Vehicle control T1 T2 T3 0 5 10 15 20 25 30 160 0 5 10 15 20 25 30 Exposure (day) Exposure (day) < 그림 2.1.108> 노출군별체중변화측정결과 5 사료섭취량변화노출기간중수컷및암컷의사료섭취량측정결과, 수컷고농도노출군에서노출 14일째에서사료섭취량에유의한변화가관찰되었으며, 암컷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에서노출 7일째에사료섭취량에유의한변화가관찰되었다. 40 40 Food consumption (g) 35 30 25 * 20 Vehicle control T1 T2 T3 15 5 10 15 20 25 30 Food consumption (g) 30 20 10 * ** Vehicle control T1 T2 T3 0 5 10 15 20 25 30 Exposure (day) Exposure (day) < 그림 2.1.109> 노출군별사료섭취량변화측정결과 6 장기무게변화노출후부검및적출에의한장기 (Spleen, Brain, Heart, Kidney, Liver, Adrenal gland 및 Testes) 전체에서시험물질의흡입에의한유의성있는절대 / 상대중량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한편, 암컷의폐및흉선에서유의성이나타났지만, IPBC의흡입노출에의한영향은아닌것으로판단되었다. - 198 -

0.6 4 1.0 Organ weight (% of TBW) 0.5 0.4 0.3 0.2 0.1 Vehicle control T1 T2 T3 Organ weight (% of TBW) 3 2 1 Vehicle control T1 T2 T3 Organ weight (% of TBW) 0.8 0.6 0.4 0.2 Vehicle control T1 T2 T3 0.0 0 0.0 Lung Thymus Spleen Brain Heart Kidney Liver Adrenal gland Testes < 그림 2.1.110> 노출군별수컷의장기중량변화 0.6 4 Organ weight (% of TBW) 0.5 0.4 0.3 0.2 * ** ** Vehicle control T1 T2 T3 Organ weight (% of TBW) 3 2 1 Vehicle control T1 T2 T3 0.1 0.0 Lung Thymus Spleen 0 Brain Heart Kidney Liver Adrenal gland < 그림 2.1.111> 노출군별암컷의장기중량변화 7 혈액학적검사 혈액학적검사결과 IPBC 입자의반복흡입노출과관련된유의적변화는관찰되지않았 다. 8 혈액생화학적검사혈액생화학적검사결과 IPBC 입자의반복흡입노출과관련된유의적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9 조직병리학적검사기관의관찰결과, 암수고농도노출군에서매우약한정도의기관분지부의상피변화가발견되었으며, 폐에대한조직병리학적검사결과수컷고농도노출군에서매우약한정도의혼합세포침윤이관찰되었다. - 199 -

< 그림 2.1.112>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폐에대한조직병리학적 검사 (H&E) < 그림 2.1.113> 대조군 ( 좌 ) 및고농도노출군 ( 우 ) 기관에대한조직병리학적 검사 (H&E) ( 나 ) 결론 IPBC 입자에대한 4주반복흡입독성시험결과모든노출군에서사망동물은발생하지않았으며특이적일반증상및체중변화도관찰되지않았다. 한편조직병리검사결과, 고농도노출군암수에서기관분지부의상피변화가관찰되었으며, 수컷고농도노출군의폐에서혼합세포의침윤이관찰되었다. 이러한변화들은 IPBC 입자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영향들로판단되며, 본연구의결과들을종합해볼때본시험조건에서의무해독성용량 (NOAEL) 은암수모두 4.5 mg/m 3 으로판단된다. (4) 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 본연구에서는 IPBC 입자의흡입노출로인한폐내독성학적영향을살펴보기위하여, 4주반복흡입노출시추가적으로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를위한동물들을각노출군별로배치하고, 동일한조건에서 4주간반복흡입노출종료후, 폐세척액을회수하여폐내염증및손상과관련된지표들에대한분석을실시하였다. 이를통해 IPBC 반복흡입노출시의폐내독성학적 - 200 -

영향을평가하였다. ( 가 ) 폐내염증평가 1 폐세척액에서의염증세포산정 IPBC 입자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폐내염증정도를확인하기위하여본연구에서는전균수측정 (Total cell count) 및 Differential cell 측정을실시하였다. 먼저전균수측정 (Total cell count) 은폐내세척액 (BALF) 채취후원심분리하여획득한펠릿 (pellet) 을 Vi cell analyzer 를이용하여산정하였다. 수컷의경우부형제대조군,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에서각각 0.270 10 6, 0.379 10 6, 0.394 10 6 및 0.298 10 6 cells/ml로측정되었으며, 암컷에서는 0.299 10 6, 0.416 10 6, 0.419 10 6 및 0.298 10 6 cells/ml이측정되었다. 암수모든모든노출군에서부형제대조군대비하여유의적인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한편 Differential cell 산정결과, 부형제대조군을포함하여모든노출군에서대부분대식세포 (Macrophage) 가관찰되었으며, 부형제대조군대비모든노출군에서특별한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Total cell count (# x 10 6 cells/ml) 1.0 0.8 0.6 0.4 0.2 Vehicle control T1 T2 T3 0.0 MALE FEMALE < 그림 2.1.114> 노출군별폐세척액에서의 total cell count 산정 - 201 -

140 120 Macrophage Neurtrophil Lymphocyte 140 120 Macrophage Neutrophil Lymphocyte Differential cells (%) 100 80 60 40 Differential cells (%) 100 80 60 40 20 20 0 Vehicle control T1 T2 T3 0 Vehicle control T1 T2 T3 Group Group < 그림 2.1.115> 노출군별폐세척액에서의 differential cell count( 좌 : 수컷, 우 : 암컷 ) 2 염증발현관련싸이토카인분석노출군별폐세척액에서염증발현관련싸이토카인 (Inflammatory cytokine) 의변화를측정하였다. 염증발현관련싸이토카인 (Inflammatory cytokine) 으로는 IL-1β 및 IFN-γ을선정하여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모든노출군의암수모두 IL-1β 농도는부형제대조군대비유의적인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한편, 수컷고농도노출군의 IFN-γ의농도의경우부형제대조군대비유의적인감소를나타내었으며, 암컷의경우유의적인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20 15 Vehicle control T1 T2 T3 40 Vehicle control T1 T2 T3 30 IL-1 pg/ml) 10 IFN- pg/ml) 20 * 5 10 0 MALE FEMALE 0 MALE FEMALE < 그림 2.1.116> 노출군별 BAL fluid 에서의염증발현관련 cytokines 변화 ( 나 ) 폐손상지표확인 1 락트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본연구에서는폐손상의지표로서락트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를 1 차폐내세척액에서채취한생리식염수 (Saline) 의상층액을 LDH 슬라이드를이용하여측정하였으며, 부형제대조군,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측정결과먼저수컷 - 202 -

에서는각각 134.6 ± 47.3, 208.8 ± 159.7, 221.4 ± 96.7 및 264.8 ± 83.7 U/l로측정되었으며, 암컷의경우는각각 249.2 ± 169.9, 338.6 ± 85.0, 209.0 ± 76.0 및 189.0 ± 74.5 U/l로측정되었다. 암수모두부형제대조군대비모든노출군에서특별한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600 500 Vehicle control T1 T2 T3 400 LDH (U/l) 300 200 100 0 MALE FEMALE < 그림 2.1.117> 노출군별 BAL fluid에서의 LDH 변화 2 총단백질 (Total protein) 락트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와동일하게총단백질의경우도폐손상의지표로서본연구에서 1 차폐내세척액에서채취한생리식염수 (Saline) 을원심분리시킨상층액을가지고, 표준물질 (Standard) 로 Bovine Serum Albumin (BSA) 로 Bichinchoninic Acid (BCA) 법을이용하여단백질 (protein) 정량을실시하여측정하였다. 부형제대조군, 저농도, 중농도및고농도노출군의측정결과수컷에서는각각 410.88 ± 120.65, 467.81 ± 150.72, 436.61 ± 70.48 및 456.85 ± 99.81 μg /ml로측정되었으며, 암컷에서는각각 438.51 ± 194.27, 528.08 ± 77.30, 404.09 ± 116.28 및 378.60 ± 75.56 μg /ml로측정되었다. 락트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와동일하게암수모두부형제대조군대비모든노출군에서특별한변화는관찰되지않았다. - 203 -

1000 800 Vehicle control T1 T2 T3 Total protein (ug/ml) 600 400 200 0 MALE FEMALE < 그림 2.1.118> 노출군별 BAL fluid 에서의 Total protein 변화 4. 바이오사이드제품의노출평가기술개발 (1 세부 ) 가.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은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에노출이가능한제품을특정기준을가지고선정하여제품별용도및제형에따른인체노출시나리오를분석하고, 국내제품사용자의이용행태를조사하는과정으로진행하였다. 또한국외노출평가기법조사를통하여국내제품을대상으로사례연구 (case study) 를수행하여국내제품에적용하기위한보완사항을도출하였다. 인체노출시나리오분석결과와사용자이용행태조사, 국내제품대상 case study 결과를이용하여 EU에서제시한바이오사이드 315종에대하여국내제품을대상으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연구개발결과국내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과해설서, 노출계수인벤토리,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모델을개발하여제시하였으며, 본연구개발에서는세가지결과물을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라정의하였다. - 204 -

< 그림 2.1.119> 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체노출평가기술개발내용및결과 (1)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평가기법개발대상제품선정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가능제품을선정하기위해서국외의바이오사이드제품분류체계를검토하고, 인체가노출될가능성이있는제품의목록을도출하였다. 그리고국내의제품관리현황을검토하여국내에서도인체위해성평가또는이와동일한수준으로관리되는제품을제외한나머지제품에대하여인체노출평가기법을개발하였다. < 그림 2.1.120> 바이오사이드제품중인체노출평가기법개발대상제품선정 본연구에서는이러한다양한바이오사이드제품분류중유럽연합의분류체계를검토하여국내바이오사이드분류체계에적용하였다. 유럽연합에서는유럽의바이오사이드관련규정 (EU Directive 98/8/EC( 이하 BPD)) 을통하여바이오사이드제품을살균제와일반바이오사이드제품 (disinfectants and general biocidal products), 방부및보존제 (preservatives), 해충방제 (pest control), 기타바이오사이드제품 (other biocidal products) 으로 4가지대분류와사용목적에따라 23개의세부분류로분류하고있다. 살균제와일반바이오사이드제품은인체위생용소독제 (human hygiene biocidal products), 사설 - 205 -

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 (private area and public health area), 동물위생용소독 (veterinary and hygiene biocidal), 식품및사료취급시설소독 (food and feed area disinfectants), 음용수살균및소독 (drinking water disinfectants) 제로살균민소독을주목적으로하는제품과바이오사이드성분이함유된일반생활화학용품, 비료등의제품이이에해당된다. 방부및보존제로분류된제품은 in-can 방부제 (in-can preservatives), 필름방부제 (film preservatives), 목재방부제 (wood preservatives), 섬유, 가죽, 고무, 고분자물질등의방부제 (fibre, leather, rubber, and polymerised materials preservatives), 석조물보존제 (masonry preservatives), 냉각및가공계보존제 (preservatives for liquid-cooling and processing system), 살변형균제 (slimicides), 금속세공액방부제 (metalworking fluid preservatives) 가해당된다. 방부및보존제는소독및살균목적이아닌타제품의부패및변형방지를위해사용되는제품이다. 해충방제로분류된바이오사이드는일반적으로곤충이나조류및연체동물등을제거및기피시키는등의목적으로사용되는제품이해당되며, rodenticides, avicides, molluscicides, piscicides, repellents and attractants가있다. 기타바이오사이드로분류된제품으로는식품및사료보존제 (preservatives for food and feedstock), 방오제 (antifouling products), 시체방부및박제를위한방부제 (embalming and taxidermist fluids), 쥐, 어류, 새등을제외한기타척추동물방제제 (control of other vertebrates) 가해당된다. 유럽연합에서제시한바이오사이드제품 23 개목록에서인체노출가능한제품은바이오사이드와관련한유럽연합의선행연구 (EU 2009) 에서전문작업자와소비자를구분하여제시하였다. 전문작업자의경우대부분의바이오사이드제품에노출이될수있지만, 보호장비및정해진작업요령등의존재또한별도의안전수직과안전성평가등의방법등이마련되어있기때문에본연구에서는작업자를제외한일반소비자의노출가능성을고려하였다. 바이오사이드소비자노출가능성이있는제품은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식품및사료취급시설소독제의살균제와 In-can 방부제에서의방부및보존제, 절지동물방제용, 기피제및유인제의해충방제, 식품및사료용방부제의기타방부제로구분되었다. 소비자의인체노출과관련한바이오사이드제품목록에해당되는제품중국내관련법을조사하여최종적으로노출평가기술개발을위한제품으로, 인체위생용소독제, 사설및공중보건구역살균 / 소독제, in-can 방부제에해당되는제품으로주로품공법에해당되는합성세제, 섬유유연제, 물티슈등과같은세정용제품으로결정되었다. 또한, 총괄과제에서조사한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및제형에대한현황조사를수행한결과를활용하여최종적으로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체노출평가기법개발마련을위한제품을선정하였다. (2) 인체노출시나리오분석 본연구에서는국외선행연구 (RIVM 2006) 의노출시나리오적용사례와접착제및광택제, 방향제및탈취제에대한국내선행연구 ( 환경부 2012, 2013, 식약처 2014) 를통해서도생활화학용품의인체노출시나리오를파악할수있었다. 상기의자료를통해조사된생활화학용품의인체노출시나리오에서는사용중에대한인체노출뿐아니라사용후에대한노출이동시에고려되고있었으며, 동일제품군에속한제품이라해도제형에따라적용되는노출시나리오가차이를보이는것을확인하였다. - 206 -

생활화학용품에함유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흡입노출시나리오는고체 ( 분말 ) 제형을이용할때공기중으로비산된제품을흡입하는노출시나리오와공기중이나표면에분사된스프레이입자가공기중에부유할때의입자흡입노출시나리오, 액상및겔, 티슈와같은제형에서휘발된물질의흡입으로구분될수있다. 경피에의한노출은제품의직접접촉과간접접촉으로구분할수있으며, 제품과피부가직접접촉되는경우는제품사용하는과정에서발생한다. 간접접촉은합성세제와같은세탁시이용되는제품에해당되며, 제품을이용해세탁이된섬유와피부접촉에서땀에의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용출되어노출되는시나리오이다. 경구를통한노출은주로주방세제와물티슈에서발생할수있으며, 식기에잔류한주방세제가음식에의해섭취되는노출시나리오와영유아손에뭍은물티슈의액상이손을빠는과정에서의섭취, 물티슈를이용해구강을닦았을때의섭취노출시나리오가있을수있다. 상기와같은국내외생활화학용품의노출시나리오조사사례를바탕으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함유될수있는소비자제품의인체노출시나리오는국내제품에대한제형별노출시나리오기준을제시하였고, 바이오사이드함유가능소비자제품의인체노출시나리오적용기준을본연구의노출평가기술개발대상제품에적용하여, 최종적인노출시나리오분석결과를제시하였다. (3) 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용자이용행태조사 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용자이용행태조사에서는상기에결정된노출평가기술개발대상제품에대하여국내소비자의제품이용에대한정보를파악하였다. 노출평가에서소비자의제품이용행태와관련된주요정보는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용빈도와사용시간, 사용자의체중및제품을이용하는공간의머무르는시간등이있다. 국내소비자대상제품이용행태조사는국내특성을반영한노출평가에반드시고려되어야할사항이며, 바이오사이드함유가능제품중에서일부제품은국내소비자를대상으로한정보를파악할수있었지만, 세정제및합성세제등일부제품의경우에는국내소비자에대한정보가부족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국내소비자의제품이용행태관련하여제시된정보가선행연구에있을경우국내선행연구에서자료를활용하였으며, 정보가부족한경우에는국내소비자대상설문조사를통하여정보를수집하였다. 웹기반설문조사는 `13년도와 `14년도에각각 1,000 명으로두번에걸쳐총 2,000 명을대상으로수행하였으며, 가구당사용하고있는바이오사이드제품의제형, 사용빈도, 사용시간, 분사시간에대해고려하였고, 동일제품군중한가지이상의제품을사용한다고응답한경우각세부제품별로물어중복적용하였다. 국내소비자대상설문조사를통하여조사된제품은합성세제, 세정제, 섬유유연제, 물티슈등으로국내선행연구자료에서파악하기어려운제품이었다. 방향제및탈취제의경우환경부의선행연구자료에서국내소비자대상으로조사한결과가있었으므로본연구개발에서는별도의조사를수행하지않았다. 설문조사및국내선행연구를통하여조사된노출계수는노출계수인벤토리에제시되었다. (4) 국내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례연구 (case study) 바이오사이드제품의사례연구는국내의다빈도 / 대량사용물질인 BIT(Benzisothiazolinone), - 207 -

IPBC(3-Iodo-2-propynylbutylcarbamate), CMIT(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MIT(2-methyl-isothiazolin-3-one) 을대상으로수행하였다. 노출평가의절차는환경부의 환경유해인자의위해성평가를위한절차와방법등에관한지침 에제시한 자료수집 > 노출시나리오및알고리즘선정 > 노출계수조사 > 노출량산정 의절차로진행하였다. 자료수집 의단계에서는확보된자료를이용해노출평가의범위및계획을수립하는단계이며, 노출시나리오및알고리즘선정 에서는노출가능한경로를확정하고평가를위해다양한인자들을고려한알고리즘을결정하는단계이다. 노출계수조사 의단계에서는자료조사, 실측, 설문조사등을통해이용가능한노출계수를확보하는단계이다. 노출량산정 의단계에서는확보된노출계수를이용해노출알고리즘또는노출량예측모델에적용시키는단계이다. 이와같은노출평가의절차는국내외에서제시된일반적인노출평가의절차로바이오사이드제품및유효성분의노출평가에서도동일하게적용될수있다. ( 가 ) 1 차년도바이오사이드제품의노출평가사례연구 대상제품의노출시나리오및알고리즘은국외의소비자제품노출평가사례중미국의 SDA(Soap and Detergent Association), 유럽의 HERA(Human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네덜란드 RIVM 의 ConsExpo 에서제시된자료에서조사및적용하였다. 국외의자료들에서제시한노출시나리오와알고리즘조사결과에서는제품별노출시나리오와알고리즘모두유사한형태로제시되어있었으며, 본연구에서는조사대상제품을가장많이포함하고있는 RIVM 의노출평가모델인 ConsExpo 의노출시나리오및알고리즘을적용하였다. 바이오사이드제품의 1차노출평가는미국의소비자제품관련 DB(Household Products Database) 에서함량값조사결과함량이조사된 MIT와 BIT에대하여노출량이산정되었다. BIT 및 MIT의경피노출량은섬유유연제-post application 이 3.7 10-1mg/kg BW/day 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흡입노출량은카펫세정제-application 이 1.4 10+1mg/kg BW/day 으로가장높게나타났다. BIT와 MIT 의노출량이흡입노출량의일부를제외하고동일하게나타나는것은노출계수가동일하고, 제품의유효성분의대표함량이동일하기때문이다. 흡입노출량이 BIT와 MIT가차이나는것은 ConsExpo evaporation model을이용하여노출량산출시입력되는유효성분의물성정보가다르기때문이었다. ( 나 ) 2 차년도바이오사이드제품의노출평가사례연구 2차년도바이오사이드제품의노출평가사례연구는 1차년도사례연구에서도출된문제점을수정및보완하여국내제품을모두포함하는범위에서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첫째, 국내제품을모두포함할수있는노출시나리오및알고리즘결정을결정하였다. 노출시나리오는상기에설명한국외에서노출시나리오를적용하는방법에대하여조사하여국내제품에적용한노출시나리오적용기준을마련하고그결과를노출평가기술개발대상제품전체에확대하였다. 노출알고리즘은국내외의각기관에서제시한자료를바탕으로과대평가가능성또는노출량예측의정확성등을고려하여노출시나리오에대한알고리즘을최종적으로결정하였다. 흡입노출알고리즘은직접흡입, 휘발물질, 에어로졸의흡입노출로구분할수있다. 직접흡입알고리즘은비산되는제품의양과제품의구성성분비를이용한노출알고리즘으로 RIVM 의 ConsExpo 에서만해당시나리오에대한알고리즘을제시하고있다. 따라서본연구의 case study 에서는이노출알고리즘을 - 208 -

적용했다. 휘발물질흡입에대한노출알고리즘은 RIVM 의 ConsExpo 와 ECHA 의 TRA 등에서다양한기관에서제시하고있다. ConsExpo 의휘발물질의흡입노출에대한알고리즘은제품의사용시간및노출시간에따라농도의변화를알고리즘에적용되어진다. 또한사용된제품에함유된물질은 100% 휘발되는것으로간주하고있어과대평가의우려가있었다. 반면에 TRA에서는사용된제품에함유된물질이증기압에따라휘발되는정도와노출시간에따라환기되어지는비율이고려되었다. 하지만 TRA 노출알고리즘에서는노출시간과제품사용시간에대해구분되어있지않았으므로정확한노출량예측이어려운알고리즘으로판단되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 ConsExpo 알고리즘의와 TRA 방식을혼용해적용한환경부 (2013) 의접착제및광택제의노출알고리즘을선정해 case study에적용했다. 스프레이입자흡입의노출알고리즘은 ConsExpo, HERA, TRA 등에서모두제시되었다. 하지만 ConsExpo 를제외한스프레이입자흡입의노출알고리즘은제품에서분사된입자가모두흡입된다는가정이적용되어과대평가의우려가있었다. ConsExpo 에서제시한노출알고리즘은스프레이를분사시켜실측된제품의농도와 model 을이용해예측된농도가유사한사례 (RIVM(2009)) 로보아비교적정확한농도예측이가능할것으로판단되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 ConsExpo 의노출알고리즘을 case study에적용시켜노출량을산정하였다. 피부접촉알고리즘은직접접촉, 지속적접촉, 섬유를통한전이알고리즘으로구분하였다. 직접접촉에대한노출알고리즘은피부에점착된제품의양과제품에함유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함량, 제품사용빈도등으로구성되어지며, TRA 및 ConsExpo 등대부분의관련자료에서동일한알고리즘이제시되어진다. 지속적접촉에대한노출알고리즘은직접접촉알고리즘과유사한형태로, 피부점착된양을시간당접착되는제품의양과제품사용시간으로구분해알고리즘이제시된다. 섬유를통한전이에대한노출알고리즘은 HERA, ACI, ConsExpo 에서각각의알고리즘이제시되어진다. HERA 의알고리즘은피부에점착되는양을제품의사용량, 세탁물의무게, 세탁기이용시헹굼전에잔류되는세제의비율, 헹굼후제품의잔류비율, 섬유에잔류된제품이땀에의해용출되는비율, 용출된제품이피부에전이되는비율이고려된다. 이에비해 ACI 의알고리즘에서는사용된제품의양에서바로피부로전이되는비율을이용해노출량을산정하는방식이며 HERA 의알고리즘과비교할때피부로전이되는제품의양을단순화시켰다. ConsExpo 의알고리즘은제품의사용량보다는섬유에잔류된제품의양을일반화시켜적용시켰다. 또한잔류된제품이피부와닿는면적에서는전부전이된다는가정한알고리즘으로노출량산정과정에서과대평가될우려가있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제품의사용부터피부로노출되는과정에대해비교적자세히묘사된 HERA 의알고리즘을선택하였다. 경구노출알고리즘은하루평균제품의섭취량에물질의구성성분비가적용된다. 경구노출알고리즘은대부분의기관에서동일한알고리즘을제시하기때문에, 본연구에서는 ConsExpo 의알고리즘을적용했다. 둘째, 물성에기반한피부흡수율적용방법은 ConsExpo 에서제안한피부투과속도를활용하였다. 피부투과속도는물질의분자량과옥탄올-물분배계수를이용해추정할수있으며, 추정된피부투과속도는피부에점착된양과접촉면적및시간을이용해피부흡수율이산정된다. 셋째, 섬유를통한전이알고리즘의고려는앞서제시된각시나리오별알고리즘결정과정을통하여 ConsExpo 에서과대평가될수있는알고리즘을 ECETOC 의 consumertra 의알고리즘으로변경및제시하였다. - 209 -

넷째, 각바이오사이드성분별물성에따른휘발정도를적용하는부분에서는 ECETOC 에서물질의증기압에따라휘발정도를일정비율로적용하는방법을활용하였다 (ECETOC 2009). 공기방출인자 (FR) 로정의된이노출계수는증기압을 10 Pa, 1 Pa, 0.1 Pa 등으로구분하고, 각공기방출인자를 100%, 10%, 1% 등으로적용하는방법이다. 다섯째, 제품의사용량, 사용빈도및사용시간등의국내특성노출계수반영은, 1차년도에이어서국내관련자료가없는경우실측및소비자설문조사를통하여조사하였다. 소비자설문조사는상기에제시한방법으로 1차예비조사와 2차본조사를이용하여도출된결과를적용하였다. 제품의사용량실측조사는 1차년도에설문조사와실제제품을대상으로정립한사용량측정방법을활용하였다. 흡입노출의경우에는제품의사용량에대한노출계수가적용되지만, 경피노출에서는피부에점착된제품의양을파악하는것이필요하다. 피부점착량의파악방법은 RIVM의 fact sheet, ECHA의 TRA 등에서생활화학용품의사용시피부점착량을추정하는방법을활용했으며, RIVM 및 ECHA 등에서파악한제품의제형별추정방법의종류는다음과같다. 본연구에서는아래에제시된피부점착량방법을이용해국내제품에대한피부점착량을파악해 case study에적용하였다. 상기와같이 1차년도문제점을수정및보완하여다빈도 / 대량사용물질에대한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경구경로에대한인체노출평가결과세정제에서는주방세제와합성세제의노출량이높은수준으로산정되었다. 방향제및탈취제제품에서는스프레이형제품에서높은수준의노출량이, 접착제및광택제에선가발용접착제, 물티슈의경우영유아용물티슈에서높은수준의노출량이산정되었다. 흡입경로에대한인체노출평가결과세정제에서는욕실용, 다용도세정제에서, 방향제와탈취제에서는스프레이형, 접착제는 bottled 및튜브형접착제, 광택제에서는자동차용, 물티슈에서는영유아용물티슈에서높은수준의노출량을보였다. 경구경로에대한인체노출평가는세정제및물티슈에서만평가되었으며, 주방용세제와영유아용물티슈에서높은수준의노출량이산정되었다. 상기의사례연구를통하여정립된노출평가방법은본연구의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을작성하는데활용되었다. (5) 바이오사이드제품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 다빈도 / 대량사용바이오사이드성분에대한함유가능제품의노출평가를통하여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을작성하였다. 노출평가지침 ( 안 ) 은국내사용될수있는다양한물질과다양한제품을효율적으로스크리닝하기위한목적으로작성되었으므로, 본연구에서는유럽연합에서제시하고있는바이오사이드 315종유효성분에대한스크리닝평가를직접수행하였다. EU에서제시한바이오사이드 315종의물질중물리화학적정보를파악할수있었던 274종에대한노출평가가수행되었다. 노출평가가수행된제품군은세정제, 물티슈, 방향제, 탈취제, 접착제, 광택제로지침 ( 안 ) 에서범위로지정된제품군전부를평가하였다. 피부접촉경로에서높은수준의노출량이산정된제품은세정제의합성세제, 다용도세정제, 물티슈의영유아용물티슈, 방향제및탈취제의스프레이형, 접착제의가발용, 광택제의자동차용이었다. 흡입경로에서높은수준의노출량이산정된제품은세정제의다용도세정제, 물티슈의영유아용물티슈, - 210 -

방향제및탈취제의스프레이형, 접착제의가발용, 광택제의자동차용이었다. 경구경로에서세정제와물티슈만이평가되었으며, 세정제의주방세제, 물티슈의영유아용이높은수준의노출량을보였다. 나.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1) PHMG, PGH 등폴리머의흡입노출평가 복합식과초음파식가습기분무방식에따른환기율과제거상수값의차이는노출재현실험을수행한실제원룸의조건이다르기때문에가습방식의차이때문인지는확실치않다 ( 노출공간별환기율기다를수있으며, 원룸내가구배치나가구소재, 창문의크기및개수가다르기때문 ). 권장사용량차이에따라환기율 + 제거상수값은특정경향을보이지않으며약 2배이배의변이를보이며가습기를기준으로가까운곳과떨어져있는곳간의공간적차이는배체할만한수준이며, 환기울과제거상수의합에서환기율이 0.5/h로가정하면, 평균적으로 1.0(q+k) 의값을보이는 PHMG는문무된후환기되는양만큼제거상수특성에의해실내공기중 PHMG 농도를감소시킨다 ( 겨울철동일한방법으로측정한다은실내집안환기율의평균이 0.5/h임 ). 다음으로 PGH와 CMIT/MIT 순으로바닥침강등여러기작등을통해제거되는세기가큰것으로나타났다. 실내가구및다양한생활용품의재질과배치등에따라가습기살균제성분의실내농도에영향을줄수있음을의미하며, 환기율과제거상수값을추정하는데있어환기율이조정되거나측정되는환경에서노출재현실험시제거상수에대한값을확인할수있으며, 방안공기중유효성분이평균농도라는측면에서제거상수로고려할수있는실내공간요인으로공간의특성과생활용품에의한영향이클것으로예상된다. 환기율과제거상수, 실제배출되는유효성분의량을실제측정조사하였다. 공조시스템이갖추어있는실험챔버내에서수행하였으며챔버의실제환기율측정과가습방식별실제유효성분의배출량측정과실제원룸에서가습기를통한유효성분배출시공기중유효성분농도가정상상태에도달여부를조사한바, 측정환기율은 0.08회 /h로측정되었다. 실제가습기에서배출된유효성분 (E) 은가습전가습기물통에있는유효성분의농도와물량을측정하여유효성분의총량을측정하였으며, 가습후진동자에남아있는물량과농도, 가습기물통에남아있는물량과농도를측정하여실제배출된유효성분의량을측정함. 또한가습기분무직후에어로졸이바닥으로 droplet 되는유요성분의량을측정하여 T-0의물통안의유효성분량에서 t-end 진동자및물통에남아있는유효성분과 droplet된유효성분의량을제외하여실제공기중으로배출된유효성분의량을측정하였다. 가습기에서분무되는유효성분의공기중노출량을 ConsExpo spray 모형을이용한 1단계 2단계농도와 2011년노출재현실험으로부터측정된실내공기중유효성분농도와원룸을이용한유효성분의평형상태의공기중농도를 2011년노출재현실험결과를바탕으로 Tier-1, Tier-2의노출단계를적용하여비교검토하였다. 가습기살균제의표준사용량을기준으로용량별노출농도를비교검토한결과, 보수적으로접근한노출시나리오인 Tier-1 단계의노출량이가장높으며, 그다음으로노출인자를세분화하여가급적실제사용법과비슷 - 211 -

한노출시나리오를적용한 Tier-2 단계, 실제노출재현실험을통한노출량순으로나타났다. 단, 복합식가습기의경우 Tier-2 의노출량이노출재현실험을통한노출량보다낮게산정되었다. (2) 일반살균제성분중 DDAC 와고분자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 PHMG, PGH 폴리머흡입노출평가에서는실제배출량및환기율을측정하여기존연구자료를이용, ConsExpo spray 모형을이용하여단계별노출농도와노출재현실험에서측정된공기중유효성분농도를비교하였으며, 기존연구자료의질량수지모형을검증하기위해실제환기율이측정된원룸에서가습기살균제를이용한노출재현실험을통해공기중으로배출된유효성분의평형상태확인과제거상수를추정하였다. 고분자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에서수행한노출재현실험은 Lee et al(2013) 에서제시한유효성분의평형상태를가정한질량수지를이용한흡입노출모형을검증하며정확한제거상수를측정하기위해스테인레스스틸재질의대형챔버를제작운영하였다. 실제노출재현실험을수행하여공기중농도를측정하여 가습기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 Work sheet를작성하였다. 각유효성분의가습기분무후평형상태를노출재현실험을통해확인한결과 PHMG 유효성분의측정결과가습기분무후 5시간까지공기중유효성분의농도가증가하였으며 5시간이후부터측정종료까지유효성분의농도가일정한수준으로유지되는평형상태를확인하였다. PHMG 유효성분의평형상태일때공기중평균농도는 0.55mg / m3이며표준편차 0.05로나타났다. PGH의유효성분측정결과가습기분무후 1시간이후부터측정종료까지공기중유효성분농도가일정한수준으로유지되었으며이때의공기중평균농도는 1.39mg / m3, 표준편차는 0.09로나타났다. CMIT/MIT의유효성분측정결과가습기분무후 2시간이후부터측정종료까지평형상태를나타냈으며공기중 CMIT의평균농도는 0.014mg / m3, 표준편차는 0.002이며, MIT는 0.004mg / m3, 표준편차는 0.001으로나타났다. 실제원룸에서측정된 1차년도노출재현실험자료를이용하여추정된제거상수를비교검증하기위해대형챔버를이용하여측정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공기중농도를질량수지모형을이용하여제거상수를추정하였다. 추정된제거상수의변화를비교하기위해실제원룸에서수행한노출재현실험에서추정된제거상수와비교하였다. PHMG의제거상수비교결과대형챔버의제거상수가원룸에서의제거상수보다 14배가높으며 ( 대형챔버 :2.3, 원룸 :0.16), PGH는대형챔버의제거상수 4.61, 원룸의제거상수 0.63로확인되었다. CMIT/MIT는대형챔버의제거상수가원룸의제거상수보다 3배정도높게확인되었다.(CMIT-대형챔버 4.61, 원룸1.36, MIT-대형챔버 4.92, 원룸1.46) PHMG와 PGH의유효성분이공기중으로배출되어제거되는량이노출공간에따라큰차이를나타냄을확인할수있었으며, 노출공간의특성 ( 생활용품배치등 ) 에따라유효성분의제거상수의변화를확인하기위해추가적으로두물질에한하여대형챔버내이불과커튼을배치하여동일한조건에서노출재현실험을실시하였다. 노출재현실험을통한빈공간과생활용품배치공간에서의 PHMG와 PGH의공기중농도와제거상수의비교결과 PHMG는빈공간에서의공기중농도는 0.407mg/m 3 이며, 생활용품을배 - 212 -

치한공간의공기중농도는 0.539 mg/m 3 으로나타났으며. 빈공간에서측정된제거상수는 2.30, 생활용품배치공간에서의제거상수는 1.15로두공간의비교결과큰차이점을없었다. PGH의비교결과빈공간에서의공기중농도는 0.54 mg/l 이며, 생활용품배치공간에서의공기중농도는 1.37 mg/m 3 으로생활용품배치공간의공기중농도가두배정도증가하였으며, 제거상수역시빈공간에서는 4.61, 생활용품배치공간에서는 0.50으로생활용품을배치한공간에서제거상수가줄어들어공기중 PHG의농도가증가한것으로판단되었다. 가습기살균제를이용한노출재현실험과 Lee et al(2013) 에서제시한가습기살균제흡입노출모형을바탕으로단계별가습기살균제흡입노출평가모형 ( 안 ) 을제시하였다. 노출단계를 3 단계로구분하였으며 1단계노출평가모형은노출조건및제품사용량을보수적으로접근한모형으로겨울철가정집환경을가정하여문헌을통해조사된가장작은사용공간과낮은환기율을적용하며이론적으로실제가습기살균제가공기중에모두배출되는최악의조건을가정한노출시나리오이다. 2단계노출평가모형은실제제품을사용하는노출시나리오로사용환경을노출조건으로기계적으로측정된방출량을활용하여이론적으로방출된가습기살균제가공기중에배출되는조건으로정상상태를가정한노출시나리오이며. 3단계노출평가모형은실제모니터링을통한노출인자측정과공기중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실제농도를측정하여적용한시나리오다. 1단계흡입노출모형은최악의상황을가정한노출시나리오로가습기살균제성분이모두공기중으로배출되어평행상태를가정한노출시나리오로살균제의함량과사용량등의정보와노출환경의부피, 환기율을고려한공기중예측농도산정모형이다. 2단계흡입노출모형은가습기살균제품을이용하여가습할경우가습기기에서제시한시간당가습량을고려하여이론적으로노출시간동안가습기에서방출된량을산정하여공기중에배출된량을산정하며배출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농도는노출시간동안평형상태를가정하였다. 실제사용할공간을적용하며국내외문헌조사를통해공간환기율을적용하였다. 2단계노출시나리오에필요한인자로는가습기살균제사용량 ( 표준사용량 (10mL/2L) 를기준 ) 과함량정보 (M) 와시간당가습량을적용한이론적으로배출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량 (E) 과사용공간의부피 (V), 공간의환기율 (q) 이며배출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공간으로나눈후환기율로나누어공기중바이오사이드농도를평가하였다. 3단계흡입노출모형은실제노출실험을통해측정된자료로서실제공간부피와환기율을측정된환경에서가습기를이용하여공기중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채취하며, 실제배출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측정하여반영하는노출시나리오다. 실제노출환경을조성하여제품사용시유효성분의량을실제측정하며, 각유효성분에맞는시료채취방법을통해실제수준의노출수준을확인한다. 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통해각유효성분의단계별시나리오를적용하여공기중유효성분의농도를예측하여비교하였다. Tier-1에서는실제제품의함량정보를이용하여시간당배출량을적용하였으며, Tier-2는실제가습기기배출량을적용하여유효성분의방출량을산정하여적용하였으며사용공간중침실의부피와환기율을적용하며, 노출재현실험을통해산정된제거상수를적용하여노출농도를예측산정하였다. tier-3는실제노출재현실험에서측정 - 213 -

된노출인자와 Tier-2에서산정된노출농도를통한제거상수를적용하여예측농도와실재노출재현실험을통해측정된공기중농도와비교검증하였다. 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이용하여지시된주요노출인자를적용, 각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단계별공기중예측노출농도를산정하였으며, 노출재현실험결과와비교하였다. < 표 2.1.74> 가습기살균제를이용한 ConsExpo spray를이용한노출농도와노출재현실험에서 측정된노출농도 흡입노출 PHMG PGH CMIT MIT 평가단계 표준사용량 x10 표준사용량 x10 표준사용량 x15 Tier-1 1.56 3.13 0.750 0.484 Tier-2 0.38 0.44 0.067 0.011 노출재현실험 0.41 0.55 0.019 0.004 단위 : mg/ m3 (3) 스프레이방향탈취제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 ( 안 ) 제시 방향탈취제를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 안 ) 을제시하였다. 방향탈취제형중겔또는액상형제품으로휘발성물질이제품의물리적특성에의해방출되는흡입노출단계별알고리즘과노출인자를제시하였다. 휘발물질의흡입알고리즘단계는 Tier-1, Tier-2 단계로구분하였으며, 각각알고리즘에필요한노출인자를정리하였다. Tier-1 단계에서는공기로방출된관심성분의농도, 노출량을산정하기위해공기중으로방출된제품의총량과겔형과액상형제품중관심성분의함량비, 사용공간의부피를이용하여노출량을산정하였다. Tier-2단계는 Tier 1단계보다사용자이용에예측되는노출량을산정하는알고리즘으로실제제품에서방출되는노출량산정을위한알고리즘으로실제제품의방출량과제품의함량정보사용시간및노출시간을적용하여실제노출수준의유시한노출농도를산정하는모형이다. 제시된단계별스프레이와방향제제품을이용한노출시나리오의노출량을산정하기위해주요노출인자인에어로졸의입자분포와제품의함량, 제품의방출량등을실제측정하여바이오사이드의흡입노출경로에대한오염원-노출용량모형 (Source-to-dose model) 개발에서노출량을산정하였다. 다. 바이오사이드의흡입노출경로에대한오염원 -노출용량모형 (Source-to-dose model) 개발 (1) 제형별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 본연구는겔및액상제형과, 자동 / 수동스프레이제형, 가습기살균제형등 3가지제형에대한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하였다. 가습기살균제형을제외한 2가지제형은실제생활에서방향탈취제및세정제용도로가장많이사용되며, 휘발물질및에어로졸방출로인한 - 214 -

흡입노출, 가습기살균제이용으로고려되는제형으로흡입노출평가모형을개발하였다. 제형별제품에대한노출평가를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을 3단계로구분하여개발하였다. 1단계모형은평가대상제품및물질스크리닝을목적으로제품에함유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최대함량과최대방출량을예측하여노출량을산정하는방법이며, 2단계모형은위해우려제품을선정하며제품및물질에대한안전관리방안마련을위한목적으로실제제품에함유된바이오사이드성분을함량을측정하며, 제품의특성을고려한방출량측정방법을사용하여제품의실제방출량을측정하여노출량을산정하는방법이다. 3단계모형은실제노출수준을파악하여노출량을예측하는기법으로제품특성에맞는환경을실험챔버를이용하여조성, 실제노출특성을고려하여노출재현실험을실시하였다. (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선정 흡입노출경로에대한오염원-노출용량모형 (Source-to-dose model) 개발을위해가습기살균제원료물질인 PHMG, PGH, CMIT, MIT를우선적으로선정하였다. 추가적으로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ddac) 를선정하였으며, 살충, 살균, 곰팡이제거제로사용되는살균목적의 VOCs 인폼알데히드는흡입시폐, 흉부, 호흡기계에기침을유발하는물질 (RTECS, 2008) 로선정하였다. (3) 제품의입자특성 제형별제품의에어로졸입자크기및분포를측정결과대부분제품에서 20μm이하에서측정되었다. 방향제중스프레이캔제품 10개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20μm이상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01% 이며 20μm-10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19%, 10μm-5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2.16%, 5μm-1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14.30%, 1μm이하의입자크기분포는 83.43% 로측정되었다. 세정제중스프레이캔제품 3개에대한에어로졸입자크기및분포측정결과 20 μm이상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 이며 20 μm-10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03% 이며, 10μm-5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43%, 5μm-1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19.85%, 1μm이하의입자크기분포는 79.69% 로측정되었으며, 수동스프레이 6개제품의입자크기분포측정결과 20μm이상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 이며 20μm-10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06%, 10μm-5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66%, 5μm-1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23.63%, 1μm이하의입자크기분포는 75.65% 로측정되었다. 탈취제중스프레이캔 6개제품의입자크기분포측정결과 20μm이상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03% 이며 20μm-10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51%, 10μm-5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3.15%, 5μm-1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13.71%, 1μm이하의입자크기분포는 82.61% 로측정되었으며, 수동스프레이제품 9개에대한에어로졸입자크기및분포측정결과 20μm이상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01% 이며 20μm-10 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0.03% 이며, 10μm-5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2.29%, 5μm-1μm사이의입자크기분포비율은 24.16%, 1μm이하의입자크기분포는 72.74% 로측정되었다. (4) 재현실험결과 ( 가 ) 방향탈취제스프레이를이용한노출실험방법및결과 방향탈취제스프레이노출재현실험방법은다음과같다. CMIT/MIT 함유성분을측 - 215 -

정한수동스프레이제품을이용하여 CMIT/MIT 원료제품인 SKYBIO-FG를이용하여노출재현시공기중유효성분이측정가능한설정농도를제조하였으며, 노출재현실험공간은환기율을측정한사용공간 (20m3) 을이용하여설정된유입 / 유출공기를제외한외부영향이없는밀폐된공간으로대형챔버를제작사용하였다. 제품분사시간은초당 1회 10초동안분사하였으며, 제품분사방법은인체에직접적으로사용을모사하기위해마네킨을사용하였으며, 마네킨으로부터 30cm 이격된거리에서호흡기에직접적인영향이없도록흉부아래부분으로분사하였다. 공기중노출시간및시료채취시간은한국노출계수핸드북에서제시한환기가가장낮은 (0.5회/h) 거실공간의노출시간인 138분동안노출하였으며, 시료채취방법은 XAD-7 카트리지를이용하여 2L/min으로공기중유효성분을채취함. XAD-7 카트리지는인체에직접적으로사용하는경우를가정하여실제호흡기를통한노출량을측정하기위해마네킨코아래에설치하였으며, 사용공간의노출량을측정하기위해마네킨에서 75cm 이격하여설치하였다. 채취된 XAD-7 카트리지는양쪽을말봉한후보관함. 카트리지에흡착된유효성분추출시높은검출율을위해매탄올 : 초순수 (8:2) 5mL를이용하여 2ml/min의속도로카트리지내유효성분을추출한후추가로 5mL씩 3회를추출하여 20uL를 HPLC-UV(DAC) 를이용하여기기분석을실시함. 각추출액에서검출된유효성분의량을합하여공기중농도로산정하였다. CMIT (0.1%) MIT(0.03%) 로제조된섬유탈취제를이용하여노출재현실험한결과실제호흡기주변에서의 CMIT의공기중농도는 0.069mg/ m3이며 MIT의공기중농도는 0.05mg/ m3으로나타났다. 노출공간에서의 CMIT/MIT 노출농도는 CMIT의공기중농도는 0.023mg/ m3이며 MIT는불검출이었다. ( 나 ) 정제스프레이를이용한노출재현실험방법및결과 세정제스프레이노출재현실험방법은다음과같다. DDAC함량이측정된제품중 0.3% 의함량이측정된제품을이용하여배출하였으며노출재현실험공간은환기율을측정한사용공간 (20m3) 을이용하여설정된유입 / 유출공기를제외한외부영향이없는밀폐된공간으로대형챔버를제작사용하였다. 제품분사시간은초당 1회 10초동안분사하였으며, 총 5회반복분사하였다. 제품분사방법및욕실청소재현방법은제품을사용공간절반의벽면에 20-30회가량분사한뒤청소용솔을이용하여실제욕실청소행위를 3분동안수행하였으며 2분간청소한공간에물을뿌린후나머지공간에남은사용량을분사한뒤 3분동안청소행위를수행하였다. 12분동안물을사용하여바닥또는벽면에남아있는세정제를씻어냈다. 공기중 DDAC 유효성분채취는 XAD-2 (200mg/400mg) 카트리지를이용하여 2L/min의속도로채취하였으며, 채취된카트리지는아세토나이트릴을이용하여 10mL 추출후 HPLC-MSD로분석하였다. DDAC 제품을사용하여실제세정활동을통한노출재현실험결과 DDAC의공기중농도는검출되지않았다. ( 다 ) 액상형방향제를이용한 CMIT/MIT 노출재현실험및결과 액상형방향제를이용한 CMIT/MIT 노출재현실험은공기중 CMIT/MIT 농도가검출한 - 216 -

계이하수준으로유효성분의함량이측정된제품을이용하여무게를정밀하게달은 65cm2의유리접시에시료를담은후무게를달아기록하고 2mL를분취하여 T-0의시료농도를측정하였다. 유리접시에담긴시료를 250L 소형챔버내넣은후환기율을 0.5회 /h로조절하고 24시간동안시료를방출하고시료의무게를기록하여제품이소모된량을측정하였으며유리접시내시료 2mL를분취한후시료무게를측정, 소형챔버내에서 24시간간격으로동일하게측정하여 t-24h, t-48h...t-144h동안소모된양을기록하며분취한 2mL의시료는 CMIT/MIT 함량성분분석법에따라분석하여제품내 CMIT/MIT의함량을모니터링하였다. 노출재현실험결과동일한조건의 6개시료에서초기 T-0에서의제품중유효성분량은 CMIT 0.358(0.357-0.362)mg, MIT0.407(0.405-0.411)mg 이였으며, 48시간동안방출된제품의유효성분량은 CMIT 0.330(0.332-0.343)mg, MIT 0.387(0.377-0.404)mg 이였으며, 124시간동안방출후측정된유효성분의량은 CMIT 0.271(0.254-0.278)mg, MIT0.344(0.340-0.357)mg으로배출시간이증가할수록제품내유효성분이감소한것을확인하였다. 각측정된결과를이용하여시간에따른유효성분감소율을회기곡선을적용하여반영하였다. 또한주요노출인자로챔버부피, 시료또는제품의방출면적을측정하였으며, 환경챔버의환기율을측정하였다. 측정된노출인자를이용하여챔버내공기중유효성분농도를산정하였다. 노출재현실험에서측정된환경챔버의부피와제품의방출면적을이용하여시료부하율을산정하였으며, 제품의환기율과유효성분의배출속도를이용하여알고리즘에적용, 환경챔버내 CMIT와 MIT의공기중농도를산정하였다. 시간당배출된공기중 CMIT/MIT의농도는 0.092 mg/m 3, 0.082mg/m 3 이다. ( 라 ) 겔및액상형방향제를이용한폼알데하이드노출재현실험 겔및액상형방향제를이용한폼알데하이드노출재현실험은겔형제품을이용하여환기율이 0.5회 / 시간으로조절된소형챔버 (30L) 를이용하여제품을넣기전빈공간의폼알데하이드의공기중농도를측정하여배경농도를측정하였다. 배경농도가측정된챔버내에초기무게를정밀하게닳은제품을원형그대로넣고방출시킨후 DNPH 카트리지셈플러를이용하여분당 1L의유속으로 1시간간격으로 7시간동안공기중폼알데하이드를흡착시켰다. 흡착시킨 DNPH 카트리지는아세토나이트릴 10mL을이용하여자연중력으로추출하였으며추출액중일부를 HPLC-Uv/vis를이용하여정량정성분석을실시하였다. 겔형방향제의노출재현실험결과환경챔버의폼알데하이드의공기중바탕농도는 9.6ug/ m3이며, 제품방출후폼알데하이드농도가 56.4ug/ m3로급격하게증가되었으며이후 7시간동안공기중폼알데하이드농도가차츰감소하는것을확인하였다. 측정된환경챔버의공기중폼알데하이드결과를이용하여질량방정식을이용한모형을활용하여제품의유효성분배출속도를산정하였다. 액상형제품을이용한노출재현실험방법은환기율이 0.5회 / 시간으로조절된 250L 챔버를이용하여유효성분의함량이측정된제품을이용하여무게를정밀하게달은 65cm2의유리접시에시료를담은후무게를닳아기록하고 210분동안방출하였다. 공기중폼알데하이드채 - 217 -

취는 DNPH카트리지를이용하여챔버내공기를 1L/ 분속도로 30분간채취하였다. 채취된 DNPH카트리지는아세토나이트릴 10ml를이용하여추출후일부를 HPLC-uv/vis로정량정성분석을실시하였다. 액상형방향제의노출재현실험결과환경챔버의폼알데하이드의공기중바탕농도는 9.87ug/ m3이며, 제품방출후 30분동안폼알데하이드농도가 89.5ug/ m3로급격하게증가되었으며, 30분이후챔버내폼알데히드농도가바탕농도수준으로급격하게감소하였다. 액상방향제를이용한환경챔버의공기중유효성분농도와노출공간의부피, 환기율, 시료부하율을이용하여제품에서배출되는유효성분의배출속도를배출속도산정알고리즘에적용하여액상방향제를통한폼알데하이드의공기중배출속도를산정하였다. (5) 제형별흡입노출모형과노출재현실험결과비교 스프레이제형과방향탈취제형에대해흡입노출모형을이용하여 Tier-1, Tier-2의노출농도를예측하고노출재현실험결과와비교하였다. ( 가 ) 수동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결과수동스프레이제형대해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이용한공기중유효성분의노출농도를산정하였으며, 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노출재현실험결과와비교하였다. 수동스프레이제형에대한주요노출인자로는제품의함량 (Wf), 제품의방출량 (M). 제품분사시입자크기분포 (f_airborne), 노출공간의부피 (V) 와환기율 (q) 이다. 1단계흡입노출모형에적용된노출인자로제품의방출량의경우국내보고된스프레이제품의방출량자료가보고되어있지않기때문에본연구에서측정한제품의방출량자료를사용하였으며, 스프레이제품함량중최대값인 0.1% 를적용하여공기중농도를예측하였다. 2단계흡입노출모형은실제제품의함량비율과사용제품의실제방출량자료를이용하였다. 스프레이제품의함량을측정한유효성분은 CMIT/MIT와 DDAC에대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를하였다. < 표 2.1.75> CMIT 유효성분이함유된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 218 -

< 표 2.1.76> MIT 유효성분이함유된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노출인자 제품사용량 제품함량 제품사용시간 사용공간환기율입자크기노출시간 M Wf tr V q f te 단위 g/s % s m3 h-1 - h Tier-1 1.8 0.1 10 1 0.5 1 - Tier-2 1.8 0.036 10 1 0.5 1 2 노출재현실험 1.8 0.036 10 1 0.5 1 2 < 표 2.1.77> DDAC 유효성분이함유된스프레이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제품사용량 제품사용시간 노출인자 제품함량 사용공간 환기율 입자크기 노출시간 M Wf tr V q f te 단위 g/s % s m3 h-1 - h Tier-1 1.8 0.3 10 20 0.5 1 Tier-2 1.8 0.32129 10 20 0.5 1 2 노출재현실험 1.8 0.32129 10 20 0.5 1 2 < 표 2.1.78>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별스프레이단계별흡입노출모형결과 흡입노출평가단계 CMIT MIT DDAC Tier-1 1.800 0.075 0.011 Iier-2 0.695 0.010 0.0044 노출재현실험 0.14 5.E-06 불검출단위 : g/ m3 ( 나 ) 액상방향제품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결과 액상방향제형대해단계별흡입노출모형을이용한공기중유효성분의노출농도를산정하였으며, 노출재현실험결과와비교하였다. 액상방향제형에대한주요노출인자로는제품의함량 (Wf), 제품총량 (A 0 ). 제품의방출량 (A), 노출공간의부피 (V) 와환기율 (q) 이다. 1단계흡입노출모형에적용된노출인자로제품의총량과제품함량중최대값인 0.1% 를적용하여공기중농도를예측하였다. 2단계흡입노출모형은실제제품의함량비율과사용제품의실제방출량자료를이용하였다. 액상방향제품의함량을측정한유효성분은 CMIT/MIT와폼알데하이드에대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를하였다. - 219 -

< 표 2.1.79> CMIT 유효성분이함유된액상방향제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노출인자총제품량제품제품함량제품사용사용량시간 사용공간 환기율 노출시간 A 0 A Wf tr V q te 단위 g - % s m3 h-1 h Tier-1 400 0.1 8 20 0.5 1 Tier-2 1.4.E-01 0.0006 8 20 0.5 1 노출재현실험 1.4.E-01 0.0006 8 20 0.5 1 < 표 2.1.80> MIT 유효성분이함유된액상방향제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노출인자총제품량제품제품함량제품사용사용량시간 사용공간 환기율 노출시간 A 0 A Wf tr V q te 단위 g - % s m3 h-1 h Tier-1 400 0.1 8 20 0.5 1 Tier-2 1.4.E-01 0.0007 8 20 0.5 1 노출재현실험 1.4.E-01 0.0007 8 20 0.5 1 < 표 2.1.81> 폼알데하이드유효성분이함유된액상방향제을이용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 노출인자총제품량제품제품함량제품사용시사용량간 사용공간 환기율 노출시간 A 0 A Wf tr V q te 단위 g - % s m3 h-1 h Tier-1 100 0.1 3.5 20 0.5 1 Tier-2 6.5.E-02 0.0025 3.5 20 0.5 1 노출재현실험 6.5.E-02 0.0025 3.5 20 0.5 1 < 표 2.1.8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별액상방향제단계별흡입노출모형결과 흡입노출평가단계 CMIT MIT 폼알데하이드 Tier-1 1.21.E-02 1.21.E-02 3.03.E-03 Iier-2 1.37.E-07 1.56.E-07 2.61.E-07 노출재현실험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단위 : g/ m3-220 -

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분석법개발 (2세부) 가.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 (1) 인체노출을고려한 PHMG의수동채취기개발 실내환경에존재하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검출을위해서는 air sampler 등을이용하여많은양의공기를흡입하여공기중에있는성분을흡수후기기분석법을이용하여검출해야한다. 가장일반적인형태의가스상혹은입자상실내오염물질의분석방법은 low-volume air sampler를이용하는것이지만, 이를사용하기위해서는전기와같은동력원이필요하고, 소음이발생하는등분석에여러제약이따른다. 가스상오염물질의경우흡수법, 흡착법등을통해공기중에존재하는가스상물질을흡수 / 흡착한후, 탈착혹은용출하여공기중농도를분석하는기본원리를활용한여러수동포집장치혹은간단한동력 ( 건전지등 ) 을사용하여소음이거의없는포집장치등이개발되어왔지만, 대부분의연구가실내공기중가스상오염물질에국한되어있어, 2011년국내에서크게이슈가되었던가습기살균제와같은고분자성에어로졸의수동포집법에관한학술논문, 특허는전무하였다. 이에실내생활환경에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노출수준을간편하게분석할수있는수동포집장치를개발연구를진행하였고, 더나아가포집장치에팬을추가설치하여포집속도를높여연구를진행하였다. 포집장치는 polypropylene 재질의 holder부분과실제로포집이일어나는염료인 Eosin Y가흡착된유리구부분으로구성하였다. Holder의크기는 5.5 cm x 4.2 cm로사용하였고, 염료를흡착하는유리구는직경이 2.5-2.85 mm인것을사용하였다. 유리구의질량은 10 g으로하였다. Eosin Y 염료의코팅양은약 0.085 mg/g으로이를코팅된두께로환산하면약 0.1 μm에해당하였다. 포집속도증가포집장치의경우기존수동포집장치에팬을추가설치하였다. 에어로졸발생장치를이용하여일정한발생속도로 PHMG-phosphate입자를발생시킨균질한체임버내에서공기중 PHMG-phosphate 수동포집장치의포집속도는포집시간과무관하여약 1일이내에시간적분적으로실내공기중 PHMG-phosphate를채취할수있는것이확인되었다. 또한수동포집장치에모터팬을설치하여포집장치의포집속도를증가시켜주었을때약 30배이상증가함을확인할수있었다. (2) 제품중의 CMIT 와 MIT 물질의실내환경중에서의거동 ( 가 ) CMIT와 MIT의수용액에서의반응성과실내환경중광분해 가수분해실험은 OECD가이드라인을참고하여진행되었다. 가수분해가일어나는물질인지검사하기위해예비실험을수행하였다. 예비검사는 ph4, 7, 9 CMIT와 MIT 수용액을빛을차단한 50 C 인큐베이터에넣고 5일간수행하였다. 5일째의농도를분석해본결과, MIT는모든 ph조건에서분해가일어나지않았고, CMIT는모든 ph조건에서가수분해가발생하였으며, ph가높아질수록가수분해가많이일어났다. 가수분해상수를얻기위해 MIT는 14일간, CMIT는 30일간실험을수행하였다. 그결과, MIT는모든 ph조건에서가수 - 221 -

분해가일어나지않았고, CMIT는 ph9에서만분해가일어나고다른조건에서는분해가일어나지않았다. 광분해실험은 OECD가이드라인을참고하였다. 직접제작한광분해장치를이용하여실내광분해를실험하였다. 실내환경중에서빛의노출을실험하기위해 50 W 삼파장전구를사용하여실험을수행하였으며, 파장범위는 430, 545, 610 nm이다. 광도계를사용하여조도를측정한결과 8300 lux의세기가나왔다. 이는한국산업규격실내조도기준인 500 lux 보다 16.6배높은조도로수행한것으로실내환경에서빛에의한분해를실험하기에충분한조도로수행되었다. 광분해장치는모든위치에서빛을같은양으로받을수있게제작하였으며바이알은광원으로부터 15 cm 떨어져있다. 60개의바이알을설치할수있는구멍을위판에만들었고아래판에는홈을만들어바이알이고정될수있도록했다. 실험기간은 CMIT 7일, MIT 14일동안수행하였다. 그결과모든조건에서광분해는관찰할수없었다. ( 나 ) 액상방향제내 CMIT 와 MIT 의추출법개발 CMIT와 MIT를추출하기위해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MSPD) 방법을사용하였다. MSPD방법은분석하고자하는물질을분산제에고르게섞이게하여실린지에넣고팩킹한후용매를흘려주어대상물질을추출해내는추출법이다. 액상방향제는물을기본용매로하여골고루분산제에분산될수없으므로, 분산제에섞어주기전에 Na 2 SO 4 를사용하여물을흡수시켰다. Na 2 SO 4 의흡습성실험의적절한첨가량은디클로로메탄에 Na 2 SO 4 를첨가하고물을넣어주면서 Na 2 SO 4 가뭉치지않고흩어지는지점으로, Na 2 SO 4 2 g당 0.02 ml의액상방향제를넣고섞어주어수분을흡수시켰다. 여기에다시분산제로알루미나를 2 g첨가해주어고르게섞어준후프릿으로실린지를막고앞에서만들 ( 분산제 + Na 2 SO 4 ) 를넣어주고다시프릿으로막아준다. 이렇게만든컬럼에아세톤 10 ml를중력속도로흘려주어 CMIT와 MIT를추출한다. Na 2 SO 4 는사용하기전에 400 C에서 5시간구워준후방냉하여사용한다. 알루미나는 190 C에서 12시간구워준후 1시간동안방냉후사용한다. 추출방법의적합성을확인하기위해정밀도와정확도검사를수행하였다. 정밀도 (Precision) 는반복된측정값들의재현성을확인하는것으로분석대상표준용액을매질에첨가한후반복측정을통해얻어지는값으로상대표준편차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로표현한다. - 222 -

< 표 2.1.83> 액체방향제시료에대한시험법유효성확인 ( 다 ) 소형챔버를이용한방향제안 CMIT 와 MIT 의거동관찰 실내환경을모사하기위해소형유리챔버를제작하였다. 챔버의부피는 1.7 L이고공기의부피는 1.2 L이다. 챔버안의공기는액상방향제의증발과공기의환기를조절해상대습도 50을유지시켰다. 상대습도가 0인공기를 90 ml/min의속도로흘려주었다. 챔버안의공기는 25 C로항온조를사용하여유지시켰다. 공기안의온도와습도는온습도기를사용하여실시간으로측정하였다. 챔버에 1 ml 액상방향제를담은 2 ml 바이알 21개를넣는다. 8시간, 1, 2, 3, 4, 5, 7일에액상방향제의부피와농도를측정하였다. 부피는초기에측정한무게에나중에측정한무게를빼고밀도로나누어주어구하였다. 부피의변화는액상방향제 1은 0.09 ml/min으로감소하였고, 액상방향제 2는 0.08 ml/min으로감소하였다. 농도의변화는 MSPD방법으로추출후 GC/MS로측정하였으며, MIT의농도는시간이지날수록급격히증가하는데반해, CMIT의농도는상대적으로덜증가하였다. 그림의점선은제품의부피변화를고려하였을때만약대상물질이증발되지않는다면대상물질의농도변화를예측한선이다. MIT같은경우는거의증발되지않아점선과거의같은경향을보였고, CMIT는상대적으로더잘증발되어점선의아래에농도가분포하였다. 이를보았을때 CMIT만이증발되어흡입독성의개연성을가짐을알수있었다. ( 라 ) 공기중의 CMIT 와 MIT 농도를예측하기위한모델개발 제품안의 CMIT와 MIT의질량변화를측정하여공기중의 CMIT와 MIT 농도를예측하는모델을개발하였다. MIT같은경우거의공기로물질이동이일어나지않으므로흡입위해성영향은무시하기로하였다. 최종식은다음과같다. ln 이식은수치해석방법인 forth order Runge-Kutta method를엑셀매크로로작성하고, 이를이용하여해를구하였다. 이식을사용하여공기중의 CMIT의농도를예측하여보면그림 2.1.121과같다. 초기의농도는 model 1을사용하였을때 model 2 보다높았으나시간이지나면서제품안의물질이농축되면서공기중의농도도증가하게되어결국 7일쯤에는 model 2를사용한경우더높은공기중의농도를가지에된다. model 1은낮은단계에서물질의위해성을스크린하기위해사용되는모델인데시간이지남에따라물질이농축되는경향을가지는물질은농도가증가하므로적합하지않다고볼수있다. - 223 -

< 그림 2.1.121> 모델을이용한챔버에서의 CMIT의공기중의농도예측. 검은색라인은 ConsExpo에있는식을이용하여예측하였다. 회색라인은물질확산계수를적용한식을이용하여예측하였다. ( 마 ) CMIT 를포함한방향제의실내위해성평가 Model 1, 2를사용하여시나리오의공기중의농도를계산하여보면, 챔버실험의모델결과와비슷하게 model 1이초기공기중농도는높지만약 200일이지나면 model 2의공기중농도가 model 1보다높아진다. 방에서의거주하는시나리오의공기중 CMIT 농도가차에서의 CMIT농도보다낮았으나, 방에서거주하는시간의가정이훨씬길어 EHE 값은방에서더높게계산되었다. 시간이지남에따라 model 2는농도가변화하므로, 위해성을평가하기위해서 1일, 270일 ( 전체사용기간의 90% 소모시점 ) 을선택하여평가하였다. 그결과모든시나리오의 margin of exposure(moe) 값이 target MOE값인 300보다커서위해성은무시할만하다계산되었다. 나.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기술개발 (MIT/CMIT) 분석대상물질인 Isothiazolinone 계열중강한독성을가지며알레르기를유발할수있는것으로알려진 MIT와 CMIT를우선선정하여물티슈,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에서분석하였다. MIT와 CMIT는물, 계면활성제, 프로필렌글리콜및저급알코올등과잘혼화되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MIT의경우넓은 ph와온도범위에서도우수한고유의안정성을가지며, CMIT의경우 ph 7 이상에서안정성을보이는물리적특성에의해박테리아및곰팡이방지를목적으로하는살균제로서다양하게사용되고있다. (1) 대상제품 ( 가 ) 물티슈및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 대상제품으로는국내유통량을기준으로우선적으로바이오사이드분석법의확립이필요한물티슈에대해시험하였으며, 서로다른제조업체의물티슈제품 3종 ( 유아용및일반용 ) 에대하여전처리방법을테스트하여분석법의활용가능성을확인하고자하였다. 섬유유연제를포함한액체세탁용세제및고체세탁용세제는서로다른제조업체의제품 4종, 3종을각각구매하여전처리방법을테스트하여분석법의활용가능성을확인하고자하였다. - 224 -

(2) 측정분석법개발 ( 가 ) 물티슈전처리방법 직접주입법을사용한경우물티슈시료에서의표준물회수율은 MIT의경우 19~50%( 평균 35%), CMIT의경우 50~170%( 평균 128%) 의회수율을보였고, UAE법에서는 MIT의경우 87~110%( 평균 100%), CMIT의경우 77~102%( 평균 90%) 의회수율을보였다. 또한내부표준물질회수율은직접주입법과 UAE법에서각각 N.D.~129%, 55~85% 로나타나직접주입법에서의회수율이시료별편차가크게나타났으며 UAE법을사용한경우회수율결과가더안정적으로높게나옴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직접주입법을이용한기기분석결과 Matrix effect에의해정확한피이크검출에어려움이있었으나추출후알루미나카트리지를이용한정제과정을거친 UAE법에서는불순물로인한영향이제거가됨을전체이온크로마토그램 (Total ion chromatogram, TIC) 에서확인할수있었다. 이에본연구진은 UAE 법을최종전처리방법으로결정하였고, 확립된전처리방법의분석흐름도는다음과같다. - 225 -

( 나 )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전처리방법 SPE 법을사용하여추출한시료의경우 1mL 정도까지농축할경우최종시료에점성이있어분석이불가능하였다. UAE법은액체세탁용세제시료의 MIT, CMIT 회수율은각각 41~64% ( 평균 : 53%), 24~135% ( 평균 : 76%) 로나타났으며, 고체세탁용세제시료의 MIT, CMIT 회수율은각각 36~40% ( 평균 : 38%), 75~119% ( 평균 : 93%) 이였고,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시료의내부표준물질의회수율은각각 53~112 ( 평균 : 82%), 62~94( 평균 : 76%) 로나타나 UAE 법이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시료의바이오사이드전처리법으로적합한것으로확인되었다. 이에본연구진은 UAE 법을최종전처리방법으로결정하였고, 확립된전처리방법의분석흐름도는다음과같다. ( 다 ) 기기분석조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Agilent 1200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with 1100 mass spectrometer, LC/MS) 를이용하여분석하였으며, C18 (250 x 4.6 mm, 5 μm ) 컬럼을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사용한기기조건은다음 - 226 -

( 표 2.1.84) 에나타내었다. < 표 2.1.84> μ MIT Selected ions (m/z) Fragment Energy (v) CMIT Selected ions (m/z) Fragment Energy (v) Q1 138 120 Q1 172 70 Q2 116 110 Q2 150 120 Q3 101 180 Q3 135 200 OIT-d17 Selected ions (m/z) Fragment Energy (v) Isoproturon-d6 Selected ions (m/z) Fragment Energy (v) Q1 253 200 Q1 235 180 Q2 231 160 Q2 213 120 ( 라 ) 정도관리 1 검량선작성및농도계산산정방법각선택이온에대한크로마토그램을작성하고, 표준물질의선택이온과첨가된내부표준물질의선택이온의피이크면적비와표준물질과내부표준물질의농도비의관계를그래프로나타내었다. 각표준물질의피이크면적과이에대응하는내부표준물질의감응계수 (RF) 를구하고, 구해진 RF값의평균값을이용하여농도를계산하였다. 감응계수및농도계산은아래의식을따랐으며, 검량선결과및 MIT/CMIT의전체이온크로마토그램과질량스펙트럼을다음 ( 표 2.1.85),( 그림 2.1.122~4) 에제시하였다. A n C l RF Al C n A s I i C Ai RF V - 227 -

< 표 2.1.85> Compound Conc. Range (ng) Calibration data ( Y = ax + b ) 검량선 a b r 2 MIT 0.5 ~ 12 3.395 0.469 3 0.9957 CMIT 0.5 ~ 12 1.266 0.178 5 0.9962 < 그림 2.1.122> < 그림 2.1.123> - 228 -

< 그림 2.1.124> 2 방법검출한계산정방법방법검출한계 (Method Detection Limit, MDL) 를구하기위해서분석대상물질일정량 ( 물티슈 : 1 mg/kg,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 : 5 mg/kg) 을실제시료에첨가하여동일시료 7개에대하여위에서제시한전처리법과기기분석조건을이용하여시험하였다. 방법검출한계는실제대상제품시료에바이오사이드표준용액을검정곡선최소농도의 2~3배되는농도로첨가한시료를가지고실제분석방법과동일한분석절차를 7회반복실험하여계산되는표준편차와자유도 n-1의 t분포값인 3.143( 신뢰도 98에서자유도 6에대한값 ) 를곱하여구하였다. 여기서, s : 표준편차물티슈,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의방법검출한계및정확도, 정밀도등의측정결과는다음 < 표 2.1.86> 에나타내었다. < 표 2.1.86> ( 마 ) 개발된시험법에대한제품별적용성확인 - 229 -

서로다른제조업체의물티슈제품 5종 ( 영 / 유아용제품 2개, 일반용 2개, 세정용 1 개 ), 액체세탁용세제 4종과고체세탁용세제 3종에대하여본연구진이확립한시험법의적용성을확인하였다. 실제물티슈 1~5번시료에서농도를확인한결과모든제품에서 CMIT는불검출됨을확인하였으며, MIT 의경우한제품 ( 제품 4) 에서 MDL 미만으로나타났고, 나머지제품에서는모두불검출되었다. 각제품에서의내부표준물 (OIT-d17) 의회수율은 55~73%( 평균 : 65%) 으로나타났다.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의경우모든시료에서 MIT, CMIT가불검출되었고, 액체및고체세제에서의내부표준물 (OIT-d17) 의회수율은각각 65~100%( 평균 : 80%), 61~65%( 평균 : 63%) 로나타났다. ( 바 ) 표준작업절차서작성 물티슈,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에대한대상물질이 MIT/CMIT에대한시험분석법에대한표준작업절차서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OP) 를작성하였다. 또한, 각물질에대한시험법에대한주의사항및자세한사항을 SOP에나타내었다. ( 사 ) 기존분석방법과의비교 현재국내연구에서는질량분석기를이용한물티슈및세제시료등제품에서의 MIT와 CMIT의분석법은전무하여, 국가기술표준원에서제시하고있는 UV/DAD 검출기기를이용한시험법과비교하였다. 본연구진이제시한 LC/MS를이용한시험법의검출한계는기존 UV/DAD 법의검출한계보다 400~1000배이상낮은극미량의수준까지도검출가능한것으로나타났다. 국외연구를보면, 대부분의바이오사이드의선행연구에서분석법확립에관한연구가진행되었으나, 정제수및수돗물, 하천수등제품과비교하여시료자체의특성이단순하다고여겨지는물시료에대한연구가주를이루었으며, 시험방법으로는고체상추출법 (Solid phase extraction, SPE) 이이용되었다. Speksnijder 등 (2010) 의연구에서는하천수및수돗물, 샴푸등에서 MIT/CMIT를분석하는연구가수행되었으나샴푸등생활용품에대한 Matrix effect를고려한방법검출한계및정량한계를측정하지않아, 본연구와직접적인비교가어려웠다. 물티슈시료를대상으로한국외바이오사이드분석연구결과가없어물티슈제품에서의농도수준의직접적인비교는어려웠으나하천및수돗물등의 MIT/CMIT의농도수준은모두검출한계미만으로나타났고, 생활용품시료인삼푸의농도수준은 MIT의경우, 15.4~1300 μg /L, CMIT의경우, N.D.~1700 μg /L로나타났다. 또한각연구에서사용한분석기기및대상시료가달라직접적인정량한계및분석조건을비교하기는어려우나, 회수율측면에서는본연구에서사용한바탕시료 ( 증류수 ) 에서의 MIT 와 CMIT의회수율이각각 92%, 81% 로나타나다른물시료를사용한선행연구과비교하였을때유사하거나우수한수준으로나타났으며, 물티슈시료의회수율도양호한수준을보이는것을확인하였다. ( 아 ) 추가가능대상물질의확대 - 230 -

1 대상물질및분석조건분석대상물질인 MIT/CMIT 보다는상대적으로독성이약하나호흡독성을일으킬수있는살균제성분인 BIT (1,2-Benzisothiazol-3(2H)-one) 와 OIT (2-N-octyl-4-isothiazolin-3-one) 와주로수용성방부제로사용되는 IPBC (3-Iodoprop-2-yn-1-yl butylcarbamate) 3종에대하여분석법을확인하고, 본연구진이개발한 MIT/CMIT 분석법의적용및활용가능성을추가적으로확인하고자하였다. 분석기기는 LC/MS를사용하였으며물질의특성을고려하여이동상및용매조건을일부수정하여적용및확인하였다. 구체적인 BIT, IPBC와 OIT의기기분석조건은다음 < 표 2.1.87> 와같다. < 표 2.1.87> BIT 및 IPBC의 LC/MS 분석조건 μ 위의분석조건을이용하여얻은표준물 (BIT/IPBC/OIT) 및내부표준물질 (OIT-d17, Isoproturon-d6) 에대한전체이온크로마토그램결과는그림 2.1.125에나타내었으며, 각개별물질에대한질량스펙트럼도그림 2.1.126~ 그림 2.1.128에나타내었다. - 231 -

< 그림 2.1.125> < 그림 2.1.126> < 그림 2.1.127> < 그림 2.1.128> 검량선범위 50 ~ 1200 (50, 100, 200, 250, 500, 1000, 1200) ng/ml 의 7개의농도단계에서 BIT와 IPBC, OIT의검량의직선성을확인한결과결정계수 (R 2 ) 의값이모두 - 232 -

0.999 의우수한값을나타내었다. < 그림 2.1.129> < 그림 2.1.130> < 그림 2.1.131> 2 실제시료에서의시험법적용성확인앞서언급한서로다른제조업체의물티슈제품 5종과액체세탁용세제제품 4종, 고체세탁용세제 3종에대하여 MIT/CMIT와동일한 UAE법을이용하여실제시료에서의 BIT/IPBC/OIT 분석적용가능여부를확인하고자하였다. 각물질에대한방법검출한계는 MIT/CMIT 와동일한방법으로실험하여산정하였다. 자세한내용은표준작업절차서에나타내었다. 실제시료에적용하여얻은분석결과, 물티슈시료에서의내부표준물 OIT-d17의회수율은 46~69%,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시료의내부표준물의회수율은각각 48~77%, 50~70% 의범위를나타내었다. IPBC는모든시료에서불검출되었으며, OIT의경우물티슈시료는 N.D.~0.10 mg/kg,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시료는 N.D.~99.0 mg/kg으로검출되었으며, BIT의경우액체세탁용세제에서만 N.D.~13.6 mg/kg 범위로검출되었다. 3 표준작업절차서작성물티슈, 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에대한추가대상물질인 BIT, IPBC, OIT 에대한시험분석법에대한표준작업절차서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OP) 를작성하 - 233 -

였다. 또한, 각물질에대한시험법에대한주의사항및자세한사항을 SOP 에나타내었다. 다.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정량분석기술개발 본시험방법은물티슈내존재하는구아니드계고분자화합물인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드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를 MALDI-TOF 질량분석기를이용한정량분석방법론개발을목표로 3차년도연구를진행하였다. 2차년도연구결과로, 첫번째로는 MALDI-TOF를이용한고분자정량분석을하기위해서는 MALDI-TOF 시료판에분석물 / 매트릭스가로딩된후, 결정화가진행되면서균일한결정체가만들어져야하며, 이에따라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하는방법과두번째로는절대정량을하는 MALDI-TOF에서고분자정량분석을위해서는내부표준물질을활용하여상대적인세기의비를측정함으로써정량분석을가능하게하는분석법을확인하였다. 이두가지연구결과를바탕으로물티슈내존재하는구아니드계바이오사이드, PHMG 함량분석을진행하였으며연구결과는아래와같다. (1) 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한 PHMG MALDI-TOF 질량분석기를이용한정량분석법 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는두개의유기성짝이온들이결합된물질이며, melting point가 100 C 이하에서액체상태로존재하는매트릭스를통칭하는말이다. 이 ILM 매트릭스는분석물과혼합되어시료판표면에 Ion pairing을이루는박막을형성하면서분석물 / 매트릭스의분포가균질한표면을가지게한다. 본분석에서사용되는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xtix, ILM) 은양이온을생성하는물질로써, 1-methyl imidazole을사용하며, 음이온을생성하는물질로써 α -Cyano-4-hydroxycinnamic acid(chca) 를사용하였다. 결정형매트릭스의경우, 시료판에로딩된혼합물스팟이분석물 / 매트릭스의용해도차이에따라불균일한결정체를형성한다. 이런불균일한결정체는 spot-to-spot, sample-to-sample, shot-to-shot 재현성이매우낮은질량분석스펙트럼을보여주며, PHMG 정량분석을어렵게한다. 본실험에서도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하여로딩후, 얇은필름형태를갖도록하는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을적용하였다. 한스팟내에서다양한지점에레이저빔을조사하여측정하였을때, 다양한 PHMG 이성질체피크에대해서매번일정한스펙트럼을보인다. 결론적으로시료 / 매트릭스표면에 Ion pairing을이루면서얇은박막형태를만드는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할때, 시료 / 매트릭스표면에결정화를일으키는고체매트릭스보다재현성부분에서보다더효과적인정량분석이가능하다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 스펙트럼의재현성을얻기위해여러번의레이져샷을합산해야하는결정성매트릭스와달리동일한결과로인해보다경제적으로측정할수있는이점이있다. 또한, 스펙트럼에서가장쉽게보이며 - 234 -

높게관찰되는 A 3 (441.84 m/z) 피크를 PHMG 스펙트럼의기준으로설정하였다. 이에따라기준으로설정한 A 3 피크에대해일관성을유지하여보다정확하고재현성있게정량분석을진행할수있는것이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이며, 기존의 PHMG 의분석에가장용이했던 CHCA를기반으로하는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이 PHMG의정량분석에서적합하다고판단된다. (2) 내부표준물질을이용한정량분석 내부표준물질은분석방법의재현성및정확성을확보하기위해시료전처리전에첨가하여사용하며, 내부표준물을사용함으로써시료전처리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여러가지유형의정량분석오차를최소화할수있다. 본분석법에서는뒤에기술될고체상추출 (Solid Phase Extraction, SPE) 법을이용하여실제물티슈내존재하는 PHMG를정제및추출할때, 분석물 / 내부표준물과고체상추출카트리지충진제사이에서발생할수있는차별성을없애기위해구아니딘의 12 C를 13 C 동위원소로치환한 PHMG를합성하여분석을진행하였다. 따라서, 이 13 C 동위원소가치환된 PHMG를내부표준물로활용하여상대적인비를이용하여정량분석을위한검정직선을그린다. 내부표준물정량분석법을하기위해서, PHMG 표준용액에내부표준물인 13 C 동위원소 PHMG를함께넣어일련의전처리과정을거친후, 이분석물을적당량의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와잘혼합하여 MALDI-TOF 질량분석기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1000 ppm -1 ppm PHMG 표준용액을이용하여반복된실험을통해검량직선을얻었으며, 각각의농도별로 5 스팟을로딩하여재현성을확인하였으며, 5 스팟에서얻어진 y값을평균한값을이용하여검정직선을작성하였다. 검정직선의기울기는 0.8012로, 1에가까울수록매트릭스에의한분석물의이온화가잘되는것을의미한다. 표준편차인 R 2 값은 0.9854이고, 1에근접할수록높은재현성을가진다는것을확인할수있다. (3) 물티슈내구아니딘계바이오사이드 PHMG 정제및추출 물티슈내의 PHMG 분석시가장큰바탕잡음으로나타나는물질이 PEG인것을확인하였고, 적절한카트리지를선택하기위해인위적으로 PHMG와 PEG가적당하게섞인혼합물을만들어고체상추출 (Solid Phase Extraction, SPE) 를진행하였다. 사용된고체상추출 (Solid Phase Extraction, SPE) 카트리지로 4종의카트리지를선택하여정제한후, MALDI-TOF 질량분석기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MALDI-TOF 질량분석기를이용하여생활용품내 PHMG분석을하기위해서는불순물제거가필요하며, PEG나다른바탕잡음을없애고 PHMG를선택적으로분리하기위해서는고체상추출카트리지중혼합- 양이온교환카트리지 (Mixed-mode Cation Exchage, MCX) 가적합하다고판단된다. 고체상추출 (Solid Phase Extraction. SPE) 을이용한물티슈내 PHMG 정성분석 - 235 -

물티슈내에존재하는 PHMG를정성분석하기위해고체상추출카트리지 (Solid Phase Extraction, SPE) 정제법을이용한다. 위에기술된것과같이다양한고체상추출카트리지를이용하여실험을하였고, 얻어진결과를바탕으로혼합모드양이온교환카트리지를이용할때만이 PHMG를선택적으로추출할수있었으며, 다른바탕물질을제거할수있었다. 고체상추출카트리지를이용한정제단계에서카트리지의활성화와 Pre-wet과정으로평형상태를만든다. 카트리지의활성화용매로는메탄올 (MeOH) 을, Pre-wet과정용매로는 0.1% HCl/MeOH을, 최종용출용용매로는 2 M HCl/MeOH를사용한다. 카트리지에샘플을넣어추출하기위해서는샘플전처리과정이필요하다. 분취한샘플을메탄올용액을이용하여 1:3 (v:v) 비로희석시킨후, 0.1% HCl/MeOH 용액을소량넣어샘플용액을산성화시킨다. 그다음, 기술된것과같이카트리지의활성화와 Pre-wet과정으로평형상태인카트리지에샘플을로딩한다. 그다음, 0.1% HCl/MeOH 용액을이용하여여러번의세척과정을거친후, 용출용매인 2 M HCl/MeOH을충진제에용리시킴으로써분석물질을용출한다. 완전히용출한다음, 시료를진공회전-건조하여고체상태로만든다. 이시료를재현성과신뢰성있는 MALDI-TOF 정량분석하기위해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하여 MALDI-TOF 질량분석스펙트럼을얻는다. 자세한개요및분석프로토콜은아래에정리해두었다. - 236 -

Norm Jet 플라스틱주사기안에물티슈섬유를넣어피스톤을눌러짜낸후, 물티슈용액을 1 ml 분취하여 4 ml 유리바이알에넣는다. 1 시료를산성화하기위해 0.1% HCl/MeOH용액을 3 μl 넣어준다. 2 메탄올을 3 ml를넣어시료를희석시킨다. 3 볼텍스믹서를이용하여시료를 1분간완전히섞어준다. 고체상추출카트리지의컨디셔닝과평형을잡아준다. ( 사용한카트리지 : Oasis MCX coulmn 1cc, Waters) ➀ 컨디셔닝 : 1 cc 용량의 MCX 카트리지에메탄올을 1 ml 씩 3 번흘려준다. ➁ 평형 : 1 cc 용량의 MCX 카트리지에 0.1% HCl/MeOH 용액을 1 ml 씩 3 번흘려준다. 1 cc 용량의 MCX 카트리지에시료를로딩한다. ➀ 세척용액인 0.1% HCl/MeOH 용액을 1 ml 씩 3 번흘려불순물을제거한다. ➁ 용리액인 2 M HCl/MeOH 용액을 2 ml 흘린다. ( 용출되는시료용액은 4 ml 유리바이알에모은다.) 얻어진시료를내부에테프론이코팅된진공회전증발기 (evaporator) 를 이용하여건조시킨다. 건조된시료를다시 1 ml 증류수에녹인다. 얻어진시료 2 μl, 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2 μl 를잘혼합하여 MALDI 시료판에 1 μl 씩로딩하여분석한다. 고체상추출 (Solid Phase Extraction. SPE) 을이용한물티슈내 PHMG 정량분석 물티슈내에존재하는 PHMG를정량분석하기위해고체상추출카트리지 (Solid Phase Extraction, SPE) 정제법을이용한다. 위에기술된것과같이다양한고체상추출카트리지를이용하여실험을하였고, 얻어진결과를바탕으로혼합모드양이온교환카트리지를이용할때만이 PHMG 표준용액과내부표준물이섞인혼합물을선택적으로추출하여정량분석을할수있었으며, 다른바탕물질을제거할수있었다. 고체상추출카트리지를이용한정제단계에서카트리지의활성화와 Pre-wet과정으로평형상태를만든다. 카트리지의활성화용매로는메탄올 (MeOH) 을, Pre-wet과정용매로는 0.1% HCl/MeOH을, 최종용출용용매로는 2 M HCl/MeOH를사용한다. 카트리지에샘플을넣어추출하기위해서는샘플전처리과정이필요하다. 분취한샘플을메탄올용액을이용하여 1:3 (v:v) 비로희석시킨후, 0.1% HCl/MeOH 용액을소량넣어샘플용액을산성화시킨다. 그다음, 기술된것과같이카트리지의활성화와 Pre-wet과정으로평형상태인카트리지에샘플을로딩한다. 그다음, 0.1% HCl/MeOH 용액을이용하여여러번의세척과정을거친후, 용출용매인 2 M HCl/MeOH을 - 237 -

충진제에용리시킴으로써분석물질을용출한다. 완전히용출한다음, 시료를진공회전-건조하여고체상태로만든다. 이시료를재현성과신뢰성있는 MALDI-TOF 정량분석하기위해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를이용하여 MALDI-TOF 질량분석스펙트럼을얻는다. 자세한개요및분석프로토콜은아래에정리해두었다. Norm Jet 플라스틱주사기 (12 ml 용량이상 ) 안에물티슈섬유를넣어피스톤을눌러짜낸후, 물티슈용액을 1 ml 분취하여 4 ml 유리바이알에넣는다. 1 시료를산성화하기위해 0.1% HCl/MeOH용액을 3 μl 넣어준다. 2 메탄올을 3 ml를넣어시료를희석시킨다. 3 볼텍스믹서를이용하여시료를 1분간완전히섞어준다. 고체상추출카트리지의컨디셔닝과평형을잡아준다. ( 사용한카트리지 : Oasis MCX coulmn 1cc, Waters) ➀ 컨디셔닝 : 1 cc 용량의 MCX 카트리지에메탄올을 1 ml씩 3번흘려준다. ➁ 평형 : 1 cc 용량의 MCX 카트리지에 0.1% HCl/MeOH용액을 1 ml씩 3번흘려준다. 1 cc 용량의 MCX 카트리지에시료를로딩한다. ➀ 세척용액인 0.1% HCl/MeOH용액을 1 ml 씩 3번흘려불순물을제거한다. ➁ 용리액인 2 M HCl/MeOH 용액을 2 ml 흘린다.( 용출되는시료용액은 4 ml 유리바이알에모은다.) 얻어진시료를내부에테프론이코팅된진공회전증발기 (evaporator) 를이용하여건조시킨다. 건조된시료를다시 1 ml 증류수에녹인다. 얻어진시료 2 μl, 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M) 2 μl를잘혼합하여 MALDI 시료판에 1 μl씩로딩하여분석한다. 라. 바이오사이드물질의정성및정량간이측정분석기술개발 (1) 바이오사이드대상물질 기존대상물질인 PHMG, CMIT,,MIT, IPBC, BIT이외에추가적으로 5-methyl-1H-benzotriazole (MBT), 2-mercaptopyridine N-oxide (MPO) 에대해서도정성, 정량분석기술확립하였다. (2) 라만분광법을이용한바이오사이드대상물질의정성분석 라만분광법을이용하여바이오사이드대상물질에대한라만스펙트럼을측정분석하였다. 라만측정결과와이론계산결과를이용하여라만스펙트럼의피크를비교, 분석하였다. 라만스펙트럼측정은유리기판위에고체또는액체시료를올린후, 532 nm, 785 nm 파장의레이저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실제측정시간은시료당 1분이내이므로, 빠르게검출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 7개물질에대한라만스펙트럼을얻고, 그결과정성분 - 238 -

석에활용할수있는데이터베이스를확립하였다. (3) 표면증강라만분광법을이용한바이오사이드물질에대한정량분석법개발 유리모세관에은나노입자와시료를혼합한용액주입후정량하였다. ( 가 ) MBT 정량분석 MBT 농도에따른 MBT의 SERS 라만스펙트럼을측정하였다. 1252 cm -1 피크에대하여정량분석을수행하였고, 1453 cm -1 는용매에의한라만신호로서이를기준으로삼았다. 1252 cm -1 band의농도에따른스펙트럼변화를보여주고있는데. 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함께증가하였다. 20~250 ppm 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였다. R2 값은 0.94805으로계산되었고, 검출한계는 0.09 ppm으로계산되었다. ppb 수준의 MBT를검출하기위해서은나노입자에 0.1 M의 NaCl을넣어서응집을유도하여측정하였다. 1160 cm -1 band의농도에따른라만세기변화를관찰하였고, 용매 peak인 890 cm -1 을기준으로분석하였다. 시료에 NaCl을추가한경우 ppb수준의 MBT를측정할수있다. 1160 cm -1, 1583 cm -1 band에서농도가증가할수록라만세기도증가하였다. 1160 cm -1 band에서는 20~200 ppb의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인다. R 2 은 0.90441로계산되었고, 검출한계는 33.50 ppb으로계산되었다. 1583 cm -1 band에서는마찬가지로 20~200 ppb의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였다. R2은 0.93103으로계산되었다. ( 나 ) MPO 정량분석 MPO 농도에따른 MPO의 SERS 라만스펙트럼을측정하였다. 890 cm -1 는용매에의한라만밴드로이를기준삼아, 582 cm -1 피크에대하여정량분석을수행하였다. 700 cm -1, 582 cm -1 band의농도에따른스펙트럼변화를보여주고있고, 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함께증가한다. 20 ppb에서 80 ppm 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였다. 700 cm -1 band에서는 R2은 0.93801이고 582 cm -1 band 에서는 R2은 0.9398이고검출한계는 0.02 ppm으로계산되었다. ( 다 ) BIT 정량분석 BIT 농도에따른 BIT의 SERS 라만스펙트럼을측정하였다. 1454 cm -1 는용매에의한라만밴드로이를기준삼아, 726 cm -1, 1027 cm -1 피크에대하여정량분석을수행하였다. 726 cm -1, 1027 cm -1 band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함께증가한다는것을보여준다. 0.1 ppm에서 200 ppm 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인다. 726 cm -1 band에서는 R2은 0.96945이고 582 cm -1 band 에서는 R2은 - 239 -

0.97557이고검출한계는 0.06 ppm으로계산되었다. ppb 수준의 BIT를검출하기위해서은나노입자에 0.1 M의 NaCl을넣어서응집을유도해서핫스팟을증가시켜주어측정하였다. 726 cm -1 band에서정량을시도하였고, 용매 peak인 1454 cm -1 을기준으로분석하였다. 5~200 ppb의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인다. R2은 0.98774로계산되었고, 검출한계는 3.62 ppb으로계산되었다. 1334 cm -1, 1169 cm -1 band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함께증가하는데, 0.2~0.9 ppm의농도영역에서농도가증가함에따라라만세기도증가하는양상을보인다. 1334 cm -1 에서 R 2 은 0.99572로계산되었고, 1169 cm -1 에서 R 2 은 0.99405로계산되었고, 검출한계는 0.12 ppm으로계산되었다. ( 라 ) 라만분광법을이용한유통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함유량분석 표면증강라만분광법을이용해서실제유통되고있는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을분석하는경우, 타성분분리과정없이직접제품을은나노입자묽힌용액에바이오사이드함유제품을혼합하여직접표면증강라만분광법을이용하여정성 / 정량분석하였다. 1 MPO 함유제품분석시중에판매되고있는 H사의헤어린스제품에함유된 MPO의성분을확인한결과, 표준물질 MPO와비교해라만스펙트럼이동일하다. 다른성분에의한라만효과는극히미미하여다른성분에의한간섭효과를완전히제거할수있다. MPO 검량곡선을이용해서헤어린스제품에들어있는 MPO의함량을구한결과, 헤어린스제품의 MPO 함량은 34.8 ppm이다. 2 BIT 함유제품분석시중에판매되고있는 A사의탈취제제품에포함된 BIT의성분을확인한결과, BIT 검량곡선을이용해서 A사탈취제제품에들어있는 BIT의양을정량분석한결과로, A 사탈취제의 BIT 함량은 11.4 ppm이다. - 240 -

제 2 절연구개발결과요약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국내외자료조사에근거하여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정책을수립하기위한정책적방안을제안하였다.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법을중점적으로분석하여최근동향을파악하고, 이외에도미국과일본등바이오사이드관리현황을검토하였다. 본과제에서개발한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과연계하여우선관리대상물질목록을제안하였다. 특히국내유통현황을고려하여 Product Type 별로우선관리대상물질을선정하였다. 국내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이화평법하에서관리되므로이에대한몇가지정책적방향을제안하였다. 향후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의위해성평가및심사체계수립을위하여위해성평가지침서를작성하였다. 지침서는기존의위해성평가방법에서크게벗어나지않으므로화평법에서제시하는위해성평가방법을따랐고, 바이오사이드제품의경우는 EU의방법론을분석하여적용하였다. 2.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EU의바이오사이드관리정보를토대로 315종기준물질을작성하고, 조사대상범위의제품에대한제품군분류체계를마련하였다. 3차년에걸쳐온 / 오프라인조사및업체조사를통해 1,810개제품정보를수집하고 315종기준물질에대한국내외자료를통해특성정보를수집하고검토하여 DB로구축하였다. 본격적인바이오사이드제품및물질에대한자료축적및관리시행이전에사전정보공유차원의비교적시범적인성격을갖는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은수집된정보를제공하고, 추가될자료의등록, 관리가용이하도록메뉴구성및기능을설계하고개발하였다.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을통해해당자료를조회할수있으며, 1세부과제의연구성과인노출계수를 DB로구축하고시스템을통해제품별특성에따른시나리오별노출량을평가할수있도록하였다. 한국형 CRS를개량한우선순위산정기법을시스템에서적용하여우선순위를도출할수있다. 그외 2세부과제의연구결과인표준시험법과노출평가지침자료를등록하여공유할수있도록하였다. 3.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본연구에서는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을확립하였다. 전체연구기간에걸쳐서 2 가지각기다른바이오사이드 (PHMG phosphate 및 IPBC) 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을수행하였다. 각각의바이오사이드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및흡입독성평가를수행하기위하여본연구진은먼저두가지바이오사이드에대한발생법을개발하였으며, 확립된발생법을바탕으로급성흡입독성평가및반복흡입독성평가를물질별로진행하였다. PMHG phopshate 은가습기살균제의주원료중하나로이용되었던물질로서본연구진은 PHMG phosphate 에대한흡입독성평가를위하여 PHMG phosphate 가가습기로부터입자화되어 - 241 -

인체에노출되는조건과유사한발생법을도입하여흡입독성평가를위한 PHMG phosphate 입자발생법을정립하였다. 또한에어로졸화된 PHMG phosphate 입자의공기역학적이고형태학적분석을통하여대기중에존재하는 PHMG phosphate 의특성을파악하였다. 다음으로본연구진은실제가습기를이용하여, 가습기로부터발생되는 PHMG phosphate 의노출환경에서의농도수준을평가하고이를흡입독성평가의용량설정을위한자료로활용하였다. PHMG phosphate 에대한급성흡입독성평가결과, 모든노출군 (15, 30 및 60 mg/m 3 의노출용량 ) 에서호흡기질환의특이적일반증상, 체중변화가관찰되었다. 또한부검시폐에대한육안적소견관찰된 H&E 염색을통한조직병리학적검사결과, PHMG phosphate 입자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폐내독성학적영향들이관찰되었다. 이러한독성학적영향들의관찰과더불어서본연구의시험조건에서의 PHMG phosphate 입자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반수치사농도 (LC 50 ) 는암수모두 60 mg/m 3 으로판단되었다. 한편 PHMG phosphate 에대한 13주반복흡입평가결과, 아만성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영향들이관찰되었다. 특히호흡기계통 ( 폐, 기관, 후두및비강 ) 에서 PHMG phosphate 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악영향 (Adverse effect) 들이관찰되었다. 폐의경우는가장심한악영향들이관찰되었으며, 폐에대한추가적인생화학적분석결과에서도폐의염증및손상을확인할수있었다. 본연구의시험조건에서의 PHMG phosphate 입자의 13주반복흡입노출로인한무해독성용량 (NOAEL) 은암수모두 30 μg/m 3 으로판단되었다. PHMG phosphate의기도내점적투여를통한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연구에서도, PHMG phosphate에의한폐내독성학적영향을다시한번확인할수있었는데, 특히폐내섬유증발현과관련된단백질및 RNA 레벨에서의다양한지표분석을통해 PHMG phosphate가폐섬유화증을유도하는것을확인하였다. 또한 PHMG phosphate로인한면역학적영향을분석하기위하여흉선에서 T cell의면역작용에관여하는지표분석을통하여 PHMG phosphate가흉선에도직접적인악영향을끼칠수있음을확인하였다. 다음으로본연구에서는두번째바이오사이드인 IPBC에대한흡입독성평가법확립및흡입독성평가를수행하였다. IPBC의경우앞선 PHMG phosphate와달리물에대한용해도가매우낮아우선적으로흡입독성평가수행을위한부형제를이용한용해도평가를통해최적의부형제를선정한후흡입독성발생법개발을수행하였다. 다양한부형제 (5 종 ) 에대한용해도평가결과 poly(ethylene) glycol이선정되었다. IPBC에대한흡입발생법개발은 PHMG phosphate와동일한방식으로진행되었다. 한편 IPBC의경우부형제인 poly(ethylene) glycol와혼합되어입자화된후실험동물에노출됨에따라서추가적으로 IPBC의유효성분정량분석을위한분석법정립및검증 (Validation) 이진행되었다. 이를통해서 IPBC 흡입평가시실제로실험동물에게노출되는 IPBC 유효성분의노출농도를산출할수있었다. IPBC에대한급성흡입독성평가결과중농도노출군및고농도노출군의대부분의동물들이급성흡입노출후사망하였으며, 호흡기계통의특이적일반증상및체중감소도관찰되었다. 이러한변화들은모두 IPBC 입자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영향들도판단되었으며, 본연구의시험조건에서의 IPBC 입자의급성흡입노출로인한반수치사농도 (LC 50 ) 는수컷, 암컷각각 0.36422 g/m 3, 0.59131 g/m 3 으로판단되었다. - 242 -

IPBC에대한 4주반복흡입독성평가의경우모든노출군에서사망동물및특이적인일반증상과체중변화도관찰되지않았다. 혈액학적검사와부검시육안소견관찰시에도 IPBC 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영향은관찰되지않았다. 한편조직병리학적검사에서는호흡기계통인기관및폐에서반복흡입노출로인한독성학적변화들이관찰되었지만, PHMG phosphate 와간접적으로비교해볼때병변의정도는상대적으로낮았다. 이러한결과들을종합해볼때본연구의시험조건에서의 IPBC의 4주반복흡입노출로인한무해독성용량 (NOAEL) 은암수모두 4.5 mg/m 3 으로판단된다. 본연구에서는 IPBC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를위하여 IPBC의 4 주반복흡입노출시추가적으로노출동물을배치하여, 동일한노출조건에서반복흡입노출후폐세척액을회수하여폐내염증성지표및손상성지표분석을수행하였다. 폐내독성학적영향평가결과에서도 PHMG phosphate와달리 IPBC의반복흡입노출로인한폐의독성학적영향은관찰되지않았다. 4.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기술개발 ( 세부 1과제 ) 가.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및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기술개발의최종성과는바이오사이드성분과바이오사이드함유가능소비자제품에대하여국내제품및소비자특성을반영한노출평가를체계적으로수행할수있는체계를마련하는것이다. 본연구개발에서는이러한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체계를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 라정의하였으며, 노출평가 tool box 는노출평가지침 ( 안 ), 노출계수인벤토리, 노출평가모델로구성하였다. 또한노출평가지침 ( 안 ) 과노출계수인벤토리를바탕으로바이오사이드 315종에대한스크리닝노출평가를실제수행하고그결과활용방안을추가적으로제안하였다. < 그림 2.2.1> 본연구개발의주요성과 - 243 -

(1)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 tool box 제공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 tool box 는바이오사이드제품의인체노출평가를지침에의거하여체계적이며국내제품및사용자의특성을반영한노출평가가누구나손쉽게수행되기위한체계를구축하는목적으로개발되었다.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 tool box 는국내바이오사이드성분및제품에대한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과해설서, 국내제품및소비자의특성을반영한노출계수인벤토리, 지침의방법과노출계수인벤토리에정보를포함하여노출량을산정해주는노출평가모델로구성되었다. < 표 2.2.1>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 tool box 구성 구분목적형태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바이오사이드성분및제품의체계적인문서지침 ( 안 ) 및해설서인체노출평가가이드라인국내제품및소비자특성에대한노출계수인벤토리문서, 엑셀 sheet 노출계수제공노출계수 DB를가지며손쉽게노출량웹프로그램노출평가모델산정 ( 총괄제공 ) (2) 국내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개발 본연구에서제시되는스크리닝인체노출평가지침은국내바이오사이드함유가가능한소비자제품에대한노출평가방법및절차를제시하는것을목적으로하였다. 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의구성은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함유될수있는소비자용품중생활화학용품으로세정제, 물처리제, 방향제, 탈취제, 접착제, 광택제, 물티슈를범위로하였다. < 그림 2.2.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단계별노출평가지침의제품범위 노출평가지침은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중국내다빈도사용물질에대한노출평가사례연구결과및방법을참고해작성되었으며, 지침의구성은아래와같다. - 244 -

< 표 2.2.2>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의구성내용 구분 - 평가범위 1. 범위및목적 - 평가목적 2. 용어정의 - 지침에사용된용어정의 - 노출시나리오선정기준및방법 - 노출알고리즘선정기준및권고노출알고리즘 3. 노출평가절차및방법 - 노출계수파악방법및적용순위 - 노출량산정바이오사이드성분및제품에대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 ( 안 ) 및해설서는부록으로제시하였다. (3) 노출계수인벤토리구축 노출계수인벤토리의주요내용은노출평가기술개발대상제품으로선정된제품에대하여제형및노출시나리오별로지침에제시한노출알고리즘을구성하는노출계수로구성된다. 노출계수는국내제품에대한사용량및피부점착량조사결과와소비자이용행태조사결과를제시하였으며, 측정이어려운노출계수에대해서는국외에서제시한값을차용하였다. 다만, 노출계수인벤토리에서는평가하고자하는물질의종류를알수없기때문에물질의물성과관련한정보는제외하였다. 본연구개발에서작성한노출계수인벤토리는엑셀 sheet 와한글문서형태로제공하였으며, 한글문서형태의노출계수인벤토리는본보고서의부록에제시하였다. (4) 노출평가모델개발 노출평가모델은바이오사이드성분및제품에대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 ( 안 ) 에제시한절차와방법에따라노출평가를수행할때노출량을쉽게도출할수있도록사용자편의를제공하는프로그램이다. 노출평가모델에서는지침에서제공하는노출시나리오별알고리즘과노출계수인벤토리에서제공하는노출계수에대한 DB 를포함시켰다. 따라서사용자가평가물질및제품내바이오사이드의함량만입력하면자동적으로시나리오에대한노출량과노출수준을쉽게파악할수있는결과그래프를제공하도록개발되었다. 노출평가모델의개발은총괄연구에서수행하였으며, 본연구에서는노출평가지침에따른시나리오및알고리즘을 DB화및노출계수 DB화를시켜총괄에제공하였다. 내용 < 그림 2.2.3> 노출평가모델의체계 - 245 -

(5) 바이오사이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결과활용방안제시 본연구개발에서는바이오사이드인체스크리닝노출평가지침 ( 안 ) 과노출계수인벤토리개발결과를이용하여유럽연합에서제공하는바이오사이드 315종유효성분에대하여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하였다. 이러한노출평가결과는사용자에따라서다양하게활용할수있다. 바이오사이드관리기관의경우스크리닝노출평가결과를각물질의독성값과비교하여우선관리바이오사이드성분의목록을도출할수있다. 예를들면, 바이오사이드성분이제품에 1% 또는 0.1% 함유되어있다고가정한후, 여러바이오사이드물질을대상으로스크리닝노출평가를수행한다. 각물질의독성값을이용하여위해도결정을수행하고특정기준을적용하여관리대상또는우선관리대상물질의목록을도출할수있다. 본연구에서는이러한관리방식을사전및사후관리로구분하였으며, 스크리닝노출평가의경우사전제품안전체계구축을위하여활용하며, 사후노출평가는실제대상제품을모니터링하여회수권고등의안전조치를취할수있도록기반자료를만드는데활용될수있다. < 그림 2.2.4> 바이오사이드노출평가활용의예 나.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이함유될수있는생활화학용품중흡입에대한노출시나리오를작성하여제품과제형에맞는흡입노출모형을개발하였다. 단계별흡입노출평가는제품함량및방출량등주요노출인자를국내외보고된자료에서의최대값을적용, 최대함량값을이용한방출량을예측하여평가대상제품및물질스크리닝을위한 1단계흡입노출평가모형과실제제품의함량분석및배출량측정, 에어로졸이방출되는경우입자의크기및분포를실제측정하여실제제품사용시노출농도를예측하는 2단계흡입노출평가모형으로위해우려제품을선정하고제품의안전관리방안마련에활용을목적으로하고있다. 실제챔버등노출환경이설정가능한공간에서방출량의실제측정결과를바탕으로모델을구현한 3단계흡입노출평가모형 ( 안 ) 을개발및제시하였다. - 246 -

< 표 2.2.3> 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비교 단계 I II III 함량정보 국내외자료에서의최댓값 - 247 - 실제제품분석함량 방출량및전이량 형태 Excel sheet Excel sheet Excel sheet 방법 목적 최대함량값을이용한방출량예측 평가대상제품및물질스크리닝 실제제품에서의함량값을이용한방출량예측 위해우려제품선정, 안전관리방안마련 챔버실험을통한방출량실측결과를바탕으로모델구현 실제노출수준파악후노출량예측기법검증 제형별단계별노출평가모형을검증하기위해가습기살균제와수동스프레이, 겔및액상형방향제를이용하여실제방출수준과배출특성, 유효성분의함량등을측정하여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에적용하여노출농도를예측하며, 노출재현실험을통해얻어진실제수준의노출농도와비교하여흡입노출모형을검증하였으며, 보수적으로접근한단계별흡입노출평가모형 ( 안 ) 의적용성이타당하며, 모형의지침과노출인자및노출시나리오에대한지침서를작성하여제시하였다. 흡입노출시나리오중비산에의한흡입과세탁후실내건조시휘발물질흡입등생활화학용품중흡입이가능한제품에대하여추가적으로단계별노출평가모형과지침이제시될필요성이있으며바이오사이드의주요성분인 PHMG, PGH, CMIT/MIT 외고분자화합물인 DDAC, 살균목적성분의 VOCs 성분인폼알데하이드외흡입독성이야기될수있는관심물질에대한단계별노출평가방법의접근과노출시나리오, 흡입노출모형개발등향후연구가필요하다. 5.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측정분석 ( 세부 1 과제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실내공기를포함한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을표준화를목표로연구를수행하였고, 목표수행을위해세부적으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을개발하였고,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다량사용고분자화합물정량분석기술을개발하고, 바이오사이드물질의정성및정량측정분석기술을개발하였다.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환경매체에서의샘플링및분석법개발에서는인체노출을고려한 PHMG의수동채취기를개발하였고, 수동채취기의포집속도를증가시켜포집양이증가함도확인하였다. 그리고액상방향제의 CMIT와 MIT 물질의실내환경중에서의거동을보기위해 CMIT와 MIT의물성을실험하고, 액상방향제안의 CMIT와 MIT 추출법을개발하였으며, 실내거동모델을개발하여공기중농도를예측하였고, 위해성평가를수행하였다. 제품내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 CMIT와 MIT의측정분석기술개발로물티슈와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내 CMIT와 MIT를직접주입법과 ultrasonic associated extraction method(uae) 를사용하여추출하여측정하는기술을개발하였다. 그리고여러물티슈와액체및고체세탁용세제를구매하여분석하였다.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정량분석기술개발로구아니드계고분자화합물인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드 (PHMG) 를이온성액체매트릭스 (Ionic liquid matrix, ILX)

를사용하여정성분석하고, 절대정량을하는 MALDI-TOF에서고분자정량분석을위해서내부표준물질을활용하여상대적인세기와비를측정하여정량분석을가능하게한느분석법을확인하였다. 그리고이분석법을적용하여물티슈내 PHMG를 SPE방법으로추출하여정성및정량분석하였다. 바이오사이드물질의정성및정량측정분석기술개발에서는 PHMG-phosphate, CMIT, MIT, IPBC, BIT, MBT, MPO를대상으로라만분광법을이용하여정성분석을하였다. 또한표면증강라만분광법을이용하여바이오사이드물질에대한정량분석을수행하였다. - 248 -

공백 - 249 -

제 3 장목표달성도및관련분야기여도 - 250 -

공백 - 251 -

제 3 장목표달성도및관련분야기여도 제 1 절연도별연구개발목표의달성도 < 표 3.1.1> 연도별연구개발목표의달성도 구분 1 차년도 주관 1 세부 연구개발의목표연구개발의내용달성도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바이오사이드제품의용도별노출평가기술개발바이오사이드의물리적성상에따른노출평가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중다빈도 / 대량사용고분자화합물에대한노출평가기법개선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물성과제형에따른유효성분측정법개발 - EU를비롯한각국의규제동향분석 - 국내현황분석및사용실태조사 - 국제적위해도우선순위산정방식검토및적용 - 바이오사이드특성및배출데이터베이스구축 - 바이오사이드특성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 - 바이오사이드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구축 - 국제적위해도우선순위산정방식을적용한우선순위목록작성 1. 바이오사이드 A 에대한 - 실제노출을고려한실내환경노출농도평가 - RH 100% 인극한상황에서의노출농도평가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발생법개발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물리적특성분석법개발확립 ( 크기, 모양, 표면전하등 ) - 단회흡입독성평가 Product type 별인체및환경노출시나리오분석및통합노출평가기반구축 바이오사이드의유효성분물성과제형에따른노출평가기반구축 100% 100% 100% 100% 100% PHMG, PGH 등폴리머의흡입노출평가 100% - 국내유통중인제품중함유된바이오사이드주요유효성분선정 ( 총괄과제와연계 ) - 유효성분분석을위한정제및크로마토그래피분석방법선행연구 100% 2 세부 실내공기중유효성분포집 / 측정기술개발 바이오사이드의노출평가를위한고분자의물리화학적특성평가 - 실내공기중바이오사이드 (PHMG) 성분의샘플링을위한기존의 impinger 방법과수동샘플링비교 - 수동샘플링실험을위한시험용쳄버제작완료 - PHMG 의올리고머 (oligomer) 유형별특성파악 - MALDI-TOF 질량분석기를이용한 PHMG 의정성분석기술개발 100% 100% 2 차주관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 - EU 의바이오사이드유해성심사 / 평가체계분석 100% - 252 -

리방안수립 - 바이오사이드스크리닝위해성평가에의한우선관리대상물질선별 년도 3 차년도 1 세부 2 세부 주관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 바이오사이드특성및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확대구축 - 바이오사이드자료관리및인벤토리데이터베이스시스템구축 - Data gap 분석과이에따른독성자료생산 1. 바이오사이드 A에대한 - 반복흡입독성평가 - 폐내독성기전평가 2. 바이오사이드 B에대한 - 실제노출을고려한노출농도평가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발생법개발 - 흡입독성평가를위한 aerosol 물리적특성분석법개발확립 ( 크기, 모양등 ) 100% 100% 바이오사이드 제형 과유효성분에대한국내제품현황에따른인체노출시나리오설정인체노출시나리오 100% 분석 국내노출계수가적국내다빈도사용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단계용된사례연구수행별노출평가 100% 인체노출평가를위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함유가능제품에대한인체스한초기노출평가크리닝노출평가지침작성지침마련 100% DDAC 등 고분자 화합물의흡입노출평가 DDAC 물질의흡입노출평가 100% - 인벤토리구축대상주요성분 (MIT/CMIT) 의전처리및 기기분석법개발및문헌고찰바이오사이드인벤토 - 물티슈에서 MIT/CMIT 를대상으로개발된전처리및기리구축을위한제품기분석법적용가능성확인내유효성분측정분 - 물티슈중 MIT/CMIT 분석관련정도관리수행석 - 물티슈중 MIT/CMIT 분석결과제시 ( 제품대상 ) 100% - BIT/IPBC 등추가가능물질분석법검토 바이오사이드인체노 - 실내공기중양이온성고분자에어로졸의수동채취기 출경로를고려한다개발매체에서의샘플링 - 바이오사이드주요성분인 MIT/CMIT 의제품중변환및 100% 기법개발 안정성확인 PHMG, PGH, DDAC 등폴리머의측정분석을위한최신기법개발 분광학적기술을이용한실시간유효성분측정분석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 - 이온-액체-매트릭스를이용한균일매트릭스결정체형성 - 내부표준물질을이용한 PHMG 정량 MALDI-TOF 분석법개발 - 수분이내분석가능한바이오사이드주요유효성분에대한 Raman shift 라이브러리작성 - 표면증강라만분석법을활용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인 ppb 수준에서의정량분석가능성확인 - 국내실정에맞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과제품에대한위해성심사 / 평가체계제안 - 도출된우선관리대상바이오사이드물질의관리방안제안 100% 100% 100%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 -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완성, 평가 100% - 253 -

1 세부 2 세부 공유시스템개발및운영 바이오사이드흡입독성평가법확립 - 바이오사이드유해정보공유시스템확립및정책적활용방안제안 1. IPBC 에대한 - 단회흡입독성평가 - 반복흡입독성평가 - 폐내독성학적기전평가 100% 노출평가모형개발 - 바이오사이드인체노출평가 tool box 개발및검증 - 스크리닝노출평가 100% 단계별흡입노출평가지침개발 흡입노출평가의초기및상세노출평가지침 ( 안 ) 개발 100% 흡입노출경로에대 한오염원-노출용량단계별흡입노출평가를위한예측및실측방안마련 100% 모형개발 인체초기노출평가바이오사이드통합경로초기노출평가를위한지침 ( 안 ) 지침 ( 안 ) 수정및보수정및보완완 100% - 제품내유효성분측정분석을위한크로마토그래피, MALDI-TOF, 흡광광도법, 표면증강 Raman 분광법확바이오사이드인벤토립리구축을위한제품 - 물티슈등다양한소비자제품중함유된바이오사이드내유효성분측정분유효성분의함유량측정석 - 제품중바이오사이드함량분석을위한표준작업절차 100% 서 3건작성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시료의채취, 보관, 분석에대한 SOP 작성 분광법등을이용한실내공기중유효성분측정법표준화 이오사이드측정분석용포집장치및분석장치개발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간이분석법개발및검증 - 제품중바이오사이드함량분석을위한표준작업절차서 3 건작성 - 실내공기중함유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채취속도표준화 - 실내공기및제품중함유된바이오사이드성분의분석법표준화 - 실내공기중함유된 PHMG 성분의분석을위한수동채취기개발 - 방향제중함유된 CMIT/MIT 성분의시간적농도변화및노출량변화측정장치개발및이를활용한거동분석 - 바이오사이드주요유효성분 6 종에대한 Raman shift 라이브러리작성 - 표면증강라만분석법을활용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인 ppb 수준에서의정량분석기법개발 - 표면증강라만분석법을활용한제품중바이오사이드함량분석 100% 100% 100% 100% - 254 -

제2절관련분야의기술발전기여도 ( 환경적성과포함 ) 1. 기술적측면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물리적특성분석법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 aerosol 발생법구축 - 실제노출환경을고려한 In vivo 동물모델에서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노출법구축 - 폐질환치료제의새로운연구모델제시 - 본연구진이확립한 In vivo 흡입독성시험법을토대로향후노출빈도가높은다양한종류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호흡을통한유해성을규명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 바이오사이드의흡입노출시나리오에대한단계별노출평가지침마련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에대한측정분석법확립을통해표준화된분석법제공 - 바이오사이드관련최고수준학술논문발표를통해바이오사이드관련분야에기여 - 실시간측정분석법확립을통해실내환경오염물질에대한실시간분석법연구촉진 2. 환경적측면 - 위해성이있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사용을제한하여, 대기오염감소 - 미세먼지, aerosol 형태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을줄임으로서주변환경청결,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흡입독성연구결과는사회에유해화학물질에대해무감각해진경각심을일으키게함으로써환경문제를각인시켜줄수있을것으로사료됨. - 측정분석법표준화를통해실내공기질기준등의마련에기여 3. 경제적 산업적측면 - 폐질환치료에소요되는비용감소 & 특허출원으로인한국가경제성장이바지 - 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물리적분석및실제노출환경을고려한흡입독성연구는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사용을사전에제한함으로써인간의질병발생을예방할수있을것이며, 유발된질병및환경오염정화를위한국가적손실액을감소시킬수있을것으로사료됨. 또한본연구진의기술개발로특허출원등을통해국가수입을증가시켜국가경제성장에중요한역할을할수있을것임. - 정부차원의체계적인물질관리의중요성인지및제도적으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위해성물질사용을제한하는시스템확립에기여 - 범국민적으로는생활환경에서노출가능성이다분한유해한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의사용을저감및폐렴, 천식과같은호흡기계질환의사전예방이기대된다. - 이와관련된의료비낭비등경제적인비용절감효과가있을것으로기대된다. - 국가과학기술력을한층더향상시킬것으로기대된다. - 흡입독성시험법구축을위한투자자원확보및인력고용창출 - 255 -

제 4 장연구개발결과의활용계획등 - 256 -

공백 - 257 -

제 4 장연구개발결과의활용계획등 제 1 절연구개발결과의활용계획 환경부에서는국내바이오사이드관리정책을마련하기위해 바이오사이드관리정책로드맵마련연구 ( 캠토피아, 2013년 12월 ) 를통해서기본그림을그린바있으며아래에서보는바와같이, 이과제에서나온결과물들은환경부관리정책에직접적으로활용될것이다. 과제성과물과로드맵과의연관성 1. 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수립성과가. 국내실정에맞는바이오사이드정책및관리방안마련국내현화평법체제에서가능한관리방안제시에중점을두었다. 즉화평법에서관리하는산업용화학물질은물질단위로관리하지만, 바이오사이드는물질및제품을동시에관리해야하는특성이있다. 별도의관리법이필요하지만, EU BPR을기본틀로현단계에서관리가가능하도록방안을제시하여, 현재화평법내에서관리해야하는범위의바이오사이드유효성분및제품관리 ( 위해우려제품관리 ) 에활용할수있다. - 2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