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된 왜당귀 종자를 이용한 최적배양 및 순화 조건 규명

Similar documents
3(2)-04-강영민(왜당귀)

09-감마선(dh)

연구목표 재료및방법 년도시험연구보고서

04조남훈

03-ÀÌÁ¦Çö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Ȳ¿ë¼®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지는 유용한 약용식물이다. 가시오갈피는 다른 오갈피에 비하여 줄기 전체에 가시가 가늘게 털이 난 것처럼 많이 분포되어 있는 특 징이 있다. 이러한 가시오갈피는 다양한 한약재가 많이 거래되는 경동시장에서도 찾기가 힘들 정도로 그 생산량이 적다. 현재 일부 농가에서 소규모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09김정식.PDF

歯kjmh2004v13n1.PDF

139~144 ¿À°ø¾àħ

012임수진

04_이근원_21~27.hwp

(

(....).hwp

DBPIA-NURIMEDIA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 )Kjhps043.hwp

아태연구(송석원) hwp

04서종철fig.6(121~131)ok

γ

DBPIA-NURIMEDIA

한국전지학회 춘계학술대회 Contents 기조강연 LI GU 06 초강연 김동욱 09 안재평 10 정창훈 11 이규태 12 문준영 13 한병찬 14 최원창 15 박철호 16 안동준 17 최남순 18 김일태 19 포스터 강준섭 23 윤영준 24 도수정 25 강준희 26

Lumbar spin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DBPIA-NURIMEDIA

1. 경영대학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example code are examined in this stage The low pressure pressurizer reactor trip module of the Plant Protection System was programmed as subject for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09권오설_ok.hwp

- 1 -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 2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27(12),

< C6AFC1FD28C3E0B1B8292E687770>

(5차 편집).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Crt114( ).hwp

한약재품질표준화연구사업단 작약 ( 芍藥 ) Paeoniae Radix 생약연구과

Microsoft Word - pv_0602.doc

(01) hwp

-, BSF BSF. - BSF BSF ( ),,. BSF -,,,. - BSF, BSF -, rrna, BSF.

탄도미사일 방어무기체계 배치모형 연구 (Optimal Allocation Model for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by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α α α α α

歯1.PDF

강영민. 3P (Paper, Patent, and Product) 분석을통한한약재연구현황 하는것매우중요하다 2,3). 한약재관련연구동향을파악하기위해서 3P분석을통한논문, 특허, 시장조사가필요하다. 이런 3P분석은관련된연구의성숙도를알아보고, 유사연구를수행하는경쟁자의동향을

09È«¼®¿µ 5~152s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PJTROHMPCJPS.hwp

한약재품질표준화연구사업단 고삼 ( 苦參 ) Sophorae Radix 생약연구과

14.531~539(08-037).fm



16_이주용_155~163.hwp

Microsoft Word - KSR2016S168


Development of culture technic for practical cultivation under structure in Gastrodia elate Blume

pdf 16..

untitled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BFACBCBCC0C7BBE7C7D E687770>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03-서연옥.hwp

1..

Intel® Education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Rheu-suppl hwp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한 괄루근(栝樓根, Trichosnathis Radix) 기원식물 하늘타리 부정근 배양에 대한 소고(小考)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2이문규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2-1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정의 2-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특징 2-3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시장 현황 2-4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사례 연구 2-5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

IKC43_06.hwp


국문_0918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미생물유래물질을이용한식물병방제용작물보호제의산업화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석사논문.PDF

(JH)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歯TR PDF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5(3),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Transcription: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5;3(2):33-4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선발된왜당귀종자를이용한최적배양및순화조건규명 최지은 1,2, 1 1 정미랑, 이가연, 문병철, 강영민 1 1,2* 1.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연구단 2. 한국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 한의생명과학전공 Rapid In vitro Propagation and Accumulized of Angelica acutiloba Kitag. Using the Selected Seeds Choi Jieun 1,2, Jeung Mirang 1, Lee Kayoun 1, Moon Byeongcheol 1, Kang Youngmin 1,2* 1. K-herb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305-811, Republic of Korea 2.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UST), Korean Medicine Life Science, Campus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305-811, Republic of Korea Abstract The roots of Angelica acutiloba Kitag. were widely used in herbal medicines and they also used in multi-purpose plants as vegetables and functional foods. Recently,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about medicinal plants in Korean herbal medicine, but the studies about propagation or biomass uptakes of A. acutiloba have not been done, yet.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optimal in vitro culture conditions (stem growth, root growth, and root number) for 4 weeks in 10 different kinds of culture media after seed selection. Then, they were translated to soils for performing of mature plants. The case of stem growth in vitro cultured was positive on WPM (Woody plant Medium) however, the root growth and root number were positive on DJ (De Greef and Jacobs) culture medium. Simply, this study had been identified optimal medium conditions of in vitro cultures and accumulized in soil environments using healthy seeds of A. acutiloba. Thus, this study c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rapid and simple methods of A. acutiloba for multiple propagation. Keywords: Angelica acutiloba Kitag., heatlty seeds, in vitro cultures conditions, WPM, DJ * Correspondence: 강영민 (Kang Youngmin. Tel: +82-42-868-9684 Fax: +82-42-868-9541 E-mail: ymkang@kiom.re.kr) Received 2014-09-10, revised 2014-09-14, accepted 2014-09-20. 33

강영민외. 선발된왜당귀종자를이용한최적배양및순화조건규명 서론 우리나라는한의학에기반을둔천연물및식품의약에관한연구가활발하게진행되어왔으며, 최근 에는합성의약품보다천연의약품의안정성이높아약용식물의재배및기원식물의대량생산관련연 구의중요성이높아지고있다. 1) 동의보감등고문헌의처방에서다수로사용되어왔던한약재 當歸의 경우대한민국약전은 Angelica gigas Nakai( 참당귀= 토당귀), 중화인민공화국약전은 A. sinesis (Oliv.) Diels( 중국당귀= 당당귀), 일본약전의경우는 A. acutiloba Kitag.( 왜당귀= 일당귀) 로표기되 어있으며, 대한약전외한약 ( 생약) 규격집에서도일당귀에대한기원내용이명시되어있다. Table 1. The origin of Angelica root in different countries 국가 출전 약명 생약명 영문명 기원 한국대한민국약전 Angelicae Angelica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당귀 ( 當歸 ) 제11개정 Gigantis Radix Gigas Root ( 산형과) 의뿌리. 대한민국약전 'Angelica acutiloba Kitagawa' 한국 외한약( 생약) Japanese 또는 'Angelica acutiloba Kita 일당귀 ( 日當歸 ) Angelica Root 규격집 Angelicae Radix gawa var. sugiyamae Hikino' 제4개정 ( 산형과) 의뿌리. 중국 중화인민공화산형과식물중국당귀 Angelic Angelicae 국약전当归 ( 당귀) - a sinensis (Oliv.) Diels의뿌 Sinensis Radix 2010년판리를말린것. 왜당귀 Angelica acutiloba Kit agawa 또는홋카이당귀 Angel 일본 일본약국방 Japanese ica acutiloba Kitagawa var. su 当帰 ( 당귀) Angelicae Radix 제16개정 Angelica Root giyamae Hikino ( 산형과) 의 뿌리로서, 일반적으로뜨거운 물에데친것 대만 산형과식물중국당귀 Angelic 대만중약전 Angelicae Chinese 當歸 ( 당귀) a sinensis (Oliv.) Diels의뿌제2판 Sinensis Radix Angelica Root 리를말린것. 북한 조선인민민주당귀 Angelica gigas Nak. ( 미주의공화국당귀, 참당귀 Radix Angelicae - 나리과) 의뿌리. 약전제7판 한의학적으로당귀는맛이달면서쓰고매우며, 보혈활혈( 補血活血 ), 조경지통( 調經止痛 ), 윤장통변 ( 潤腸通便 ) 하며, ferulic acid(c10h 10 O 4 ) 성분은혈액순환에도움을주어, 부인과질환에이용되어왔 다. 2) 식물학적으로왜당귀는산형과(Umbeliferae, Apiaceae) 에속하는다년생초본식물로주로뿌리 를약용부위로이용하고있다. 왜당귀뿌리의주요성분은 bergapten, hydropthalid, valeropehnome, 비타민 B12 등이며, 왜당귀잎은무기물과칼슘함량또한높다. 3,4) 지구온난화와환경변화로인한생태계의변화가일어나고, 이변화는한약자원식물의다양성과분포 지및자생지에막대한피해를주고있다. 식량, 원예, 특용작물의활용가치를높이고우수한한약자원 을생산하는일은미래한약과미래식물자원을개발하고안정적으로공급하는데필요한연구분야로 서식물학자들에게많은관심을받고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현재중국당귀와왜당귀연구는조직배 양및대량번식연구에관한논문이거의발표되어있지않으며, 특히, 건전종자를선발하여우량종자 의대량번식및환경순화를통해증식한연구는전무한수준이다. 특히, 왜당귀는한약으로써뿐만 아니라, 기능성쌈채소로서각광을받고있으며, 대체한약재및유용식물에대한관심도가높아지는 34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5;3(2):33-4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시점에서왜당귀의대량증식관련연구가필요하다. 무병주식물체를생산하는것은병이걸리지않은 (Virus-free) 식물체를생산하는것으로, 우량(Elite) 개체를생산하여대량생산을하기위한첫걸음 이라고할수있다. 또한최근당귀는약용뿐아니라, 기능성채소로도많이이용되고있어, 최적번식 방법및우량개체선발등을통해대량생산이더욱필요하며, 약용으로사용하는부위가뿌리이므로 부위별비대실험및무병주개체생산을통해우수한한약자원식물을생산하는데도움이될것으로 사료된다. 본실험은왜당귀의건전종자선별을통하여무병주우량식물의대량생산을위한기내배양 조건을규명한연구로, 유용한약자원식물의번식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라사료된다. 본론 1. 실험재료 본실험에서사용된왜당귀( 한약명: 일당귀, Angelica acutiloba Kitag.) 는충북농업기술센터작물연 구과특작팀에서 2013년채종원에서채취한종자를 2014 년에분양받아실험에사용하였다. 국제종자 검정협회(ISTA: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규정에따라 4 C에보관해둔종자를실험 전실내에두어실내온도와습도를동일하게맞춘뒤실험재료로사용하였다. Fig 1. The seed morphology of A. acutiloba during TTC(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test 1: The seeds of A. acutiloba, 2: Morphology of the seeds, Bar = 0.2 cm A: None treated seeds, B: TTC treated seeds for 0hr, C: TTC treated seeds for 1hr, D: TTC treated seeds for 2hr, E: TTC treated seeds for 3hr, F: TTC treated seeds for 4hr. 2. 종자외부형태관찰및건전종자선별 왜당귀의건전종자를선별하기에앞서, 광학현미경 (Olympus SZX16 Microscopie with SDF PLAPO 1X PF, Olympus, Japan) 을이용하여종자외부형태( 길이, 폭, 이미지) 를측정하였으며, 종자군집의 30 립을선정하여평균길이를산정하였다. 종자측정이완료된종자는증류수에침적시킨후가라앉은 35

강영민외. 선발된왜당귀종자를이용한최적배양및순화조건규명 종자들을 1 차적으로선발하였다. 종자활력도검증을위하여 1차선발한종자를 TTC(2,3,5-Tripheny l Tetrazolium Chloride) 처리를하여화학적처리에따른색변화도를관찰하였다 ( 그림 1). 이때 TTC 는 0.9078g/0.1L 의 KH 2 PO 4 와 0.9472g/0.1L Na 2 HPO 4 를 2:3 의비율로처리하였고, ph는 6.5-7.5로 조정하여실험에사용하였다. 1차선별된종자를증류수에 24시간침지시켜전처리한후 1%TTC 용액에옮겨상온에서총 5 시간처리하였다. 종자의색변화도는 1 시간간격으로관찰하였으며, 처리 후종자는증류수로 2-3 회수세하여세밀하게관찰하였다. 3. 선발개체의기내최적배양조건규명 종자의비중에따른 1 차선별후무균기내배양을위해, 종자들은 NaClO에 3분간침지후증류수로 수회수세하였고, 이후 70% EtOH에 1분간침지후증류수로 3 회수세하였다. 세척이완료된종자는 filter paper에 1시간건조후 MS(Murashige and Skoog Media, 1962) 5) 배지 (3% Sucrose, w/vit- amines, PH 5.6±0.2) 에치상하였다. 치상된종자는온도 25±1, 5,000Lux 및광주기 16/8 시간( 명/ 암) 으로조정된생육상에서배양하였다. ( 그림 2). Fig 2. Initial in vitro cultures of A. acutiloba A: A sterilized seed on plant medium, B: Initial seedling after inoculated on the MS(Murashige and Skoog, 1962) 5) plant medium for 5days, C: In vitro cultures after 10days. 선발된개체의기내생육최적배지조건을규명하기위하여 10가지의다른조성을가지는배지에 치상하였다. 실험에사용된개체는뿌리가없고잎이줄기와잎에 3개인것을표준으로하여 MS(Murashige and Skoog, 1962), DJ(De Greef and Jacobs, 1979) 6), NN(Nitsch and Nitsch Medium) 7), QL(Quoirin and Lepolvre, 1977) 8), LS(Linsmaier and Skoog 1975) 9), White(White, 1931) 10), WPM(McCown Woody Plant Medium, 1981) 11), B5(Gamborg B5) 12), AR(Anderson s Rhododendron, 1984) 13), CHU(CHU [N6], 1975) 14) 배지의 test tube에각각 3 반복으로치상되었다. 36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5;3(2):33-4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이때의배지조성은각각의기본배지에 3% Sucrose, 0.6% agar 을첨가하였고, 그후 ph를 5.6±0.2 로 조정한후 10ml씩 Test Tube 에분주하였다. 배양조건은온도 25±1, 5,000Lux 및광주기 16/8시간 ( 명/ 암) 으로조정하였다. 배지의무기염조성들에따른뿌리및줄기길이, 뿌리개수를 7일간격으로 총 28 일측정하였다. 4. 기내배양조건에따른환경적응과순화 기내에서자란식물체의순화를위해펄라이트(Hohyunbio, Korea) 와하이상토(Punong, Korea) 를 3:7(v/v) 으로혼합한후직경 7cm 의불투명플라스틱화분에식재하였다. 식재후지상부의건조를 막고뿌리활착을돕기위해 7 일동안비닐백(polyethylene vinyl) 을씌워유지시켰으며 22, 광도 5,000Lux에서 16/8h(light/dark) 광주기로조절된생장상안에서순화시켰다. 개체의크기별로 30개 체를 3반복하여 4 주후생존율을확인하였다. 15) 5. 선별종자의활력검증결과 비중에따라 1차선별된종자를 5시간동안 TTC 처리한후색의변화를관찰한결과, 색의변화가 거의없음을관찰할수있었다. TTC 발색법은종자의세포대사과정에서발생하는이산화탄소에 의해종자내부에위치한배혹은종자표면의색깔이붉은색으로변하는데, 이변화를통해서종자의 활력을구분하는방법이다. 16,17) 왜당귀종자의경우외피부분에 TTC 용액이흡수되기힘들고, 종피의 밀도가높아 CO 2 에대한민감성이저조하여발색이되지않았을것이라사료된다. 내복자( 무의씨) 의 경우 TTC 용액에대한민감성이높아외부종피를파괴하여절단하지않아도염색하기가용이하고 이산화탄소민감성이높은것으로연구보고된바있다. 18) 그러나왜당귀종자의경우민감성과활력도 부분에적용이되지않아추후건전종자를선별하기위한검정방법연구가필요하다고사료된다. Fig 3. Effect of various plant media on the stem growth of A. acutiloba Growth Index = [(Final growth initial growth) / initial growth] 100 LS: Linsmaier and Skooog 1975 9), B5: Gamborg B5 12), DJ: De Greef and Jacobs 1979 6), AR: Anderson s Rhododendron 1984 13), White: White 1931 10), CHU: CHU [N6] 1975 14), WPM: McCown Woody Plant Medium 1981 11), NN: Nitsch and Nitsch Medium 7), QL: Quoirin and Lepolvre 1977 8), MS: Murashige and Skoog 1962 5) 37

강영민외. 선발된왜당귀종자를이용한최적배양및순화조건규명 6. 선발된종자의최적배양조건규명결과 선발된종자들은 MS 배지에치상되어 4주동안기본배지에서기내식물체를만든후종류가다른 10 개의배지(MS, DJ, NN, QL, LS, White, WPM, B5, AR, CHU) 에표준화된개체의상태로치상되어 4 주동안배양되었다 ( 그림 3). GI(Growth Index) 는생장을수치적으로나타낸지표인데, 왜당귀길이 생장의 GI를살펴보면최소생장배지인 NM배지는 10% 인것에반해최대생장배지인 WPM배지는 100% 의수치를나타내약 10 배정도의차이를보였다. 한편뿌리의길이생장과개수의 GI 경우, DJ배 지가다른배지에비해높은수치를보였지만( 표 2, 표 3). WPM 배지에서는낮은수치를보였다. 이러한실험결과를보아쌈채소로쓰이는 4) 왜당귀는줄기생장이좋았던 WPM배지에서의생육이 바람직할것이라사료되며, 개체의대량번식을위해조직배양시뿌리활착또는약용으로의사용을 위해서는 DJ 배지의사용이효과적일것이라사료된다. Table 2. Effect of various plant media on the root growth of A. acutiloba Medium 1 week 2 week 3 week 4 week GI (%) LS 0.4±0.3 0.6±0.5 0.8±0.8 1.7±1.8 768 B5 0.1±0.0 0.4±0.5 1.5±1.7 2.0±1.8 904 DJ 0.5±0.6 1.1±1.2 1.8±1.6 4.1±3.9 1595 AR 0.2±0.1 0.4±0.4 0.7±0.8 1.7±1.3 643 White 0.3±0.3 1.0±1.5 1.3±1.6 2.9±2.2 1365 CHU 0.1±0.0 0.2±0.1 0.5±0.7 1.5±1.4 485 WPM 0.1±0.0 0.1±0.0 0.1±0.0 0.9±1.0 210 NN 0.1±0.0 0.2±0.2 0.4±0.2 1.4±1.3 440 QL 0.1±0.0 0.3±0.4 0.6±0.7 2.1±1.3 650 MS 0.1±0.0 0.2±0.2 0.7±0.6 1.6±1.3 560 Growth Index = [(Final growth initial growth) / initial growth] 100 LS: Linsmaier and Skooog 1975 9), B5: Gamborg B5 12), DJ: De Greef and Jacobs 1979 6), AR: Anderson s Rhododendron 1984 13), White: White 1931 10), CHU: CHU [N6] 1975 14), WPM: McCown Woody Plant Medium 1981 11), NN: Nitsch and Nitsch Medium 7), QL: Quoirin and Lepolvre 1977 8), MS: Murashige and Skoog 1962 5) Table 3. Effect of various plant media on the root number of A. acutiloba Medium 1 week 2 week 3 week 4 week GI (%) LS 1.8±0.4 1.8±0.4 3.2±3.3 5.8±4.5 215 B5 1.8±0.8 1.6±0.5 2.4±0.9 2.8±0.8 115 DJ 2.8±3.0 3.8±4.1 4.8±3.9 6.2±3.7 340 AR 1.4±0.5 2.0±1.0 3.0±2.4 3.8±2.3 155 White 1.6±0.9 2.6±2.6 4.6±3.9 5.6±2.7 260 CHU 1.0±0.0 1.8±1.3 3.2±2.7 3.4±2.2 135 WPM 1.0±0.0 1.0±0.0 1.0±0.0 2.8±1.8 45 NN 1.0±0.0 2.2±1.8 3.8±3.3 4.6±2.9 190 QL 1.0±0.0 1.6±1.3 4.0±3.1 5.6±4.2 205 MS 1.0±0.0 1.6±0.9 2.8±1.9 2.8±1.5 105 Growth Index = [(Final growth initial growth) / initial growth] 100 LS: Linsmaier and Skooog 1975 9), B5: Gamborg B5 12), DJ: De Greef and Jacobs 1979 6), AR: Anderson s Rhododendron 1984 13), White: White 1931 10), CHU: CHU [N6] 1975 14), WPM: McCown Woody Plant Medium 1981 11), NN: Nitsch and Nitsch Medium 7), QL: Quoirin and Lepolvre 1977 8), MS: Murashige and Skoog 1962 5) 38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5;3(2):33-4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7. 기내배양조건에따른환경적응및왜당귀순화결과 기내배양왜당귀식물체는펄라이트와상토가 3:7의비율로혼합된토양으로이식하여환경적응을 한후무병주배양묘를대량생산하였다. 완전히배양된식물체는 7일간비닐백을덮어서습도를 90% 로유지시켜순화시키면서점차덮개를벗긴후 22 생장상에서재배한결과 4주동안의환경적응 후높은생존율을보였으며, 순화된식물체는토양적응성이높게나타났다 ( 그림 4). 토양순화실험에 서는뿌리의생육이좋은개체일수록토양활착이빨랐으며, 기내배양및재분화개체모두토양이식 에쉽게성공함으로써순화과정에서발생하는노동력과비용및시간을절약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 다. Fig 6. Accumulized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in soils after in vitro cultures of A. acutiloba A: Optimized in vitro cultures of A. acutiloba on the test tube, B: Pre-treated test for accumulized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C: Accumulized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after pre-treated test for 2 weeks, D: Accumulized plants after 4 weeks. 39

강영민외. 선발된왜당귀종자를이용한최적배양및순화조건규명 결론 본연구에서는왜당귀의건전종자선별을통한기내배양및순화조건을확립하였다. 1차선별은 종자의비중에따라건전종자와비건전종자를분류하였으며, 건전하다고판단되어진종자는 TTC 활력검증을통해서 2 차선별을하였다. 하지만 TTC 용액에대한왜당귀종자의낮은민감성과외피의 특성으로화학적처리후의변화를확인하기어려웠으며, 추후에우량종자를분류하기위한검증방법 연구가필요하다고사료된다. 이외에도왜당귀의기내배양시최적배양조건을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우량종자와우량수종이확보되었을시, 무병주기내배양체의대량생산에큰도움이될것이라 생각된다. 추후에는식물생장조절제를이용한뿌리비대연구및특정무기염처리를통한생육변화연 구가추가적으로필요할것이다. 결론적으로본연구를통해향후왜당귀식물체를짧은기간안에 기내에서대량증식하고토양이식을통한뿌리의비대로우수한약재및우량개체를생산할수있는 기초자료로사용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감사의글 본연구는한국한의학연구원의한약자원기원검증체계구축및육묘 증식기술개발(K15421) 연구 비를지원받아수행하였습니다. 시료를공급하여주신충북농업기술원김인재연구관및작물연구과 관계자분들과초기무균식물체배양에도움을주신민지윤박사와김미선연구원께깊은감사드립니 다. 참고문헌 1. 조지숙, 김명환, 김지연, 이경선, 전수환, 김익환, 김동일. Angelica gigas Nakai 뿌리배양에의한 decursin 유도체생산증진을위한연구.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0:155-8. 2. 김선애, 오혜경, 김지영, 홍진우, 조수인.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및그구성생화합물의약리작용 에대한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11;32(4):1-24. 3. 황진봉, 양미옥. 토당귀와일당귀의화학성분비교. 한국식품과학회. 1997;29(6):1113-6. 4. 문종옥, 박권우, 강호민. 일당귀발아에미치는광, 온도, 및 Priming 처리의효과. 원예과학기술지. 2003;21(4):434-9. 5. Murashige, T. and F. Skoog.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962;15:473-794. 6. De Greef, W. and M. Jacobs. In virto culture of sugar beet: description of a cell line with high regeneration capacity. Plant Science Letters. 1979;17:55-61. 7. Nitsch, J.P. and C. Nitsch. Haploid plants from pollen grains. Science. 1969;163:85-7. 8. Quoirin, M. and P. Lepoivre. Improved medium for in vitro culture of Prunus sp. Acta. Hort. 1977;78:437-42. 9. Linsmaier, E.M. and F. Skoog. Organic growth factor requirements of tobacco. Physiol. Plant. 1975;18:100-27. 10. White, P.R. Plant tissue culture. The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the problem. Arch. Exp. 40

韓藥情報硏究會誌 (Korean Herb. Med. Inf.) 2015;3(2):33-41.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Zellf. 1931;10:501-18. 11. Lloyd, G., B. MCCown. Commercially-feasible micro-propagation of mountain laurel, Kalmia latifolia, by use of shoot tip culture. Int. Plant Prop. Soc. Proc. 1981;30:421-7. 12. Gamborg, O.L., R.A. Miller, and K. Ojima. Nutrient requirements of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root cells. Exp. Cell Res. 1968;50:151-8. 13. Anderson, W.C. A revised tissue culture medium for shoot multiplication of rhododendron. J. Am. Soc. Hortic. Sci. 1984;109:343-7. 14. Chu, C.C., C.C. Wang, C.S. Sun, C Hsu, K.C. Yin, C.Y., Chu and F.Y. Bi. Establishment of efficient medium for anther culture of rice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on the nitrogen sources. Sci. Sin B. 1975;18:659-83. 15. 강영민, 민지윤, 이가연, 김욱진, 문병철. 대반하[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의최적기내 배양및재분화조건규명을통한대량번식. 농업생명과학연구. 2015;49(3):63-74. 16. 김삼식. 염화트리페닐테트라졸륨에의한종자활력검정에관한연구. 한국임학회지. 1975;26:23-30. 17. Patil V and Dadlani M. Tetrazolium test for seed viability and vigour. Retrieved from http://se ednet.gov.in/material/handbook_of_seed_testing/chapter 14.pdf. 2009;209-41. 18. 이가연, 민지윤, 문병철, 강영민. 약용식물의건전종자선발및발아율검정을위한 Tetrazolium Test 소개. 한약정보연구회지. 2015;3(1):9-12.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