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8) hwp

Similar documents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5차 편집).hw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Contents iii

(..) hwp

untitled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ㅇ ㅇ

ad hwp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04 특집

한국현대치의학의발전 년논문, 증례보고, 종설및학술강연회연제를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dern dentistry in Korea 저자저널명발행기관 NDSL URL 신유석 ; 신재의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B1B3B9DFBFF83330B1C7C1A631C8A35FC6EDC1FDBABB5FC7D5BABB362E687770>

AT_GraduateProgram.key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DBPIA-NURIMEDIA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09콘텐츠산업백서_1 2

세종대 요람

ȲÁø°æ

<313120C8ABBCD2B6F720B9DABCBABFEC2E687770>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CR hwp

DBPIA-NURIMEDIA

ePapyrus PDF Documen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Layout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A Critical Review

216호 전송용_ISSN.ind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歯1.PDF


hwp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Parents Percep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A plan for managing exhibition & education programs in presidential archives 143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2017 치안정책연구제 31 권제 1 호 Police Science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DBPIA-NURIMEDIA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The Participant Exp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DBPIA-NURIMEDIA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ȸ¿ø»ç¸®½ºÆ®

untitled

< D D2D2D2D2D2D2D31372DC3D6BFACC1F82CC1A4BFACB0E62D2D2D2D2D2D2D2D2D2D2D2DC7D0C8B831C2F7BCF6C1A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ePapyrus PDF Document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3635B1E8C1F8C7D02E485750>

DBPIA-NURIMEDIA


001_1장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MakerSprit_MPack제안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2002report hwp

50-5대지05장후은.indd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요 약 제품혁신은 기업 생존의 열쇠이지만, 그 노력에 비해 성과는 미흡하다. 기업의 제품혁 신 노력을 나타내는 R&D 집약도는 한국기업의 경우 2005년 3.2%로 OECD 30개국 중 4위이 지만, 제품혁신 활동을 수행하거나 높은 차원의 혁신제품을 개발하는 기업 비율

PDF_Compass_32호-v3.pdf

UPMLOPEKAUWE.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Transcription: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장윤금 (Yunkeum Chang)*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국내외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동향 4. 연구방법 5. 분석결과 6. 결론및제언 초록 본연구는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및프로그램운영을분석함으로써현재 14 개국내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사례인 무한상상실 프로그램의현황및한계점을도출하고, 향후해외의메이커스페이스와같이확대되고지속가능한모형으로발전하기위한운영방안을제시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해국내외메이커스페이스에관한문헌및사례조사를실시하였고국내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현황조사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의발전과정, 프로그램유형, 지원유형및서비스성과를분석하였다. 아울러국내외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전담사서와의심층인터뷰를진행함으로써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변화,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및향후발전방안등을조사분석하였다. 그결과메이커스페이스의지속가능한운영을위해시급히마련되어야할정책방안으로다양하고안정적인재원확보, 전문인력배치및훈련, 적극적인자원봉사자활용방안, 홍보전략수립, 지역주민이소통하는공간을넘어신기술을통한교육과창조의공간, 지역아카이브생성의 메이킹 공간이되어야한다는것을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It examines the extended and sustainable service outreach strategies of 14 Korean public libraries whose makerspaces were identified as infinite imagination spaces. Through interviews with staff members, the study identifies the needs, effec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makerspaces. The study also evaluates the development, types, funding sources, and outcomes of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The study s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es with stable and varied funding, staffing, and training are crucial to fostering makerspaces that not only become communal gathering spots, but also become gateways to technological tinkering that make spaces for community archives. 키워드 :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무한상상실, 팹랩, 핵커스페이스, 창조공간 Public Libraries, Makerspaces, Infinate Imagination Space, Fab Labs, Fabulous Laboratory, Hackerspaces, Creative Zone * 숙명여자대학교문헌정보학과교수 (yunkeum@sm.ac.kr) 논문접수일자 : 2017 년 2 월 6 일최초심사일자 : 2017 년 2 월 6 일게재확정일자 : 2017 년 2 월 20 일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89-306, 2017. [http://dx.doi.org/10.4275/kslis.2017.51.1.289]

290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1. 서론 메이커스페이스 (Makerspaces) 의개념은 모든연령대를막론하고디지털공간과물리적공간에서사람들이아이디어를탐색하고정보기술을배우며예술, 과학, 공학등다양한분야의새로운창작물을만들어내는비정규교육공간, 디지털자원을활용하여사용자가원하는것을직접만드는 do-it-yourself(diy) 작업공간 ', 테크놀로지를활용한혁신적창의공간, 지역주민들이함께자원과지식을공유하고창작하는협업공간 등으로다양하게정의되고있다 (Bagley 2012; Britton 2012; Dougherty 2012). 메이커스페이스 (Makerspaces) 와유사한개념으로헤커스페이스 (Hackerspaces), 메이커페어 (Maker Fairs), 테크숍 (Tech Shops), 팹렙 (Fab Lab) 등이주로사용되며이러한메이커운동 (maker movement) 은공공도서관서비스에새롭게도입된개념이아닌오래전부터제공되어왔던퀼트, 뜨개질, 공예등의프로그램에컴퓨터, 정보기술, 디지털기술이결합되어하이테크 (high-tech) 서비스로전환되고발전된것으로해석되고있다 (Balas 2012). Britton(2012) 은메이커스페이스의주요성과로지역주민이놀면서탐구하는활동 (play and exploration), 비공식학습 (informal learning) 기회, 지역주민들이서로가르치고협업하는기회, 지역주민의파트너십형성및네트워킹그리고지식의소비 (consuming) 가아닌생산 (making) 으로서의도서관문화확산등을강조하였다. Fourie와 Meyer(2015) 역시이러한메이커스페이스에서의활동은놀이와재미를통한학습이란특성이있어서평생학습에효과적인학습방법임을 지적하였다. 즉이러한메이커운동은도서관의이미지를창조공간으로변화시켰으며사서들은창조, 창의, do-it-yourself(diy) 활동을위해레이저커터 (laser cutter), 3D 프린터, 재봉틀, 자전거수리기구, 마이크로컨트롤러 (microcontrollers), 서킷 (circuits), 점토와도자기등다양한기기를마련하고이를활용한프로그램을개발하였다 (Fourie and Meyer 2015; Pryor 2014). 미국공공도서관에도입된최초의메이커스페이스사례는 2011년뉴욕파예트빌프리공공도서관 (Fayetteville Free Public Library) 에처음으로 3D 프린터가설치되어 Fab Lab (Fabulous Lab) 이만들어진사례이다. 이러한메이커스페이스는지역주민들에게집에서구하기어려운디지털기기혹은공구를사용할수있게해주었고혼자서는작업하기어려운창작작업을공동의관심을가진지역주민들이소통하고협업을하며만드는 (making) 기회를제공해주었다. 한편국내메이커스페이스는 2017년 1월기준 177개가운영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메이크올오픈소스 2017.01). 이는김소영외의연구 (2016) 에나타난 2016년기준 84개에비해두배넘게증가된것으로국내메이커스페이스의급격한확산추세를보여주고있다. 국내공공도서관에 메이커스페이스 개념이도입된것은 2013년미래창조과학부가주최하고한국과학창의재단이주관한 무한상상실 운영이다. 무한상상실은 과학관, 도서관, 주민센터등생활공간에설치되는창의적인공간으로국민의창의성, 상상력, 아이디어를발굴하고, 이러한아이디어를기반으로시험 제작을하거나 UCC제작 스토리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291 창작등을할수있는공간 으로정의되었다 ( 미래창조과학부, 무한상상실홈페이지 ). 하지만우리나라 무한상상실 은해외 메이커스페이스 에비해과학적인재양성에초점을맞춘한계점이있다는지적도나오고있다 ( 홍소람, 박성우 2015). 공공도서관의경우 2013년광진정보화도서관과목포공공도서관두곳이무한상상실시범운영도서관으로최초로선정되었으며, 2016년 12월기준전국 14개공공도서관에서 무한상상실 이운영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전국 56개무한상상실중공공도서관에지원된무한상상실사업은 공방형, 스토리텔링형, 아이디어형 중모두 스토리텔링형 영역에국한되어있고, 운영지원규모역시모두 소규모 로지정되고있어서주제및재정지원이매우제한적이다. 이와더불어최근국가정책의변화로 2017년부터 무한상상실 에대한국가지원금이중단될계획인것으로알려져무한상상실의향후운영에대한심각한문제가거론되고있는현실이다. 본연구는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운영을분석함으로써현재국내에서 무한상상실 로제한되고있는메이커스페이스확대방안및지속가능한운영개선방안을제시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해국내외메이커스페이스와관련된문헌조사및사례조사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의발전과정, 프로그램유형, 지원유형및서비스성과를분석하였다. 특히국내공공도서관에서무한상상실을운영하고있는 14개기관에대한홈페이지, 담당자와전화및이메일을통해무한상상실공간구성, 프로그램및서비스에대한실태조사를실시하였다. 아울러국내외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 ( 무한상상실 ) 전담사서와의심층인터뷰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변화,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및향후발전방안등을조사분석하였다. 2. 선행연구 메이커스페이스의역사, 발전과정, 프로그램성공사례등에대한연구는문헌정보학관련전문학술지논문보다오히려도서관관련발간지, 리포트혹은블로그기사등에서주로찾아볼수있다. Willett(2016) 은문헌정보학관련전문학술지그리고 2011년 - 2014년블로그에올라온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관련기사를조사한결과메이커스페이스에대한접근과연구는 making, maker, makerspaces 등의보다광범위한관점에서접근할필요가있으며, 공공도서관의다양한지역주민에게도서관의정보자원을제공한다는기본사명을원칙으로하는프로그램이되어야한다는것을강조하였다. Fourie와 Meyer(2015) 역시문헌정보학관련학술지에나타난연구논문을분석함으로써지금까지연구는주로메이커스페이스의물리적공간과도구 (tool) 에집중된문제점을제기하고폭넓은주제의연구즉메이커스페이스와도서관정보및정보원을연결시키는 makerlearning' 에대한연구가필요하다고지적하였다. Koh 와 Abbas(2015) 는메이커스페이스의효과적인운영을위한가장중요한요인을담당사서의역량과전문성인것으로보았다. 즉러닝랩 (Learning Labs) 이나메이커스페이스에서효과적인학습이이루어지기위해서는콘텐츠에대한이해, 창의적사고, 문제해결능력, 협업능력과

292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새로운아이디어와도전정신이필요한데이를지도하기위한전문사서의역량이현재공공도서관사서의역량기준에는포함되어있지않다고지적하였다. 또한메이커스페이스담당전문사서는변화하는정보기술환경에대한적응능력, 학습및티칭능력, 협업능력, 홍보및자원을확보하기위한설득능력, 다양한이용자를지원하는능력등의 5가지기술및역량이필요하며이에대한훈련과교육이필요하다고강조하였다. Slatter와 Haward(2013) 는호주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운영담당자세명을대상으로심층인터뷰를진행한결과메이커스페이스설립이후공공도서관이미지가지역사회에서 제 3의장소 즉자원을소비하는곳에서자원을창출하는곳으로변화된것이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토대로메이커스페이스발전을위해서는안정적이고지속적인예산확보가필요하며도서관내부에서나타날수있는저항에대한대비와메이커스페이스운영의타당성에대한입증이필요하다고지적하였다. 메이커스페이스의효과성에대한연구는활동에참여한참여자가프로그램을통해 메이커 (maker) 로의창의성이개발되었는지에대한평가에초점을두고있다 (Bowler and Champagne 2016; Sheridan 외 2014;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Bowler 와 Champagne(2016) 은피츠버그에있는도서관을포함한세곳의메이커스페이스에서진행된청소년프로그램에참여한청소년및성인멘토를대상으로포커스그룹인터뷰, 심층인터뷰및관찰을진행하였다. 연구결과메이커스페이스는비공식학습과정으로정형화된틀이없는학습공간이므로작업에참여하는참여자와멘토의관계및대화과정이프로그램성공의중요한요인 이되는것으로나타났다.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는초등학교 3-6학년학생을대상으로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에서프로그램을실제적으로운영함으로써참여자의창의성향상에대한효과성을조사하였다. 그결과프로그램전과정을통해참여자는주제에대한인식, 문제해결능력, 스토리텔링능력, 자존감이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Sheridan 외 (2014) 는세곳의메이커스페이스프로그램을비교분석함으로써참여자들의학습효과를연구하였다. 그결과세곳모두에서공통적으로참여자들은메이커스페이스란문제인식, 모델구축, 기술습득및활용, 아이디어수정, 새로운지식공유등의과정을경험하였고융복합적주제인식, 창의성개발, 이론이아닌 Making 을통한경험학습등의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국내문헌정보학분야의메이커스페이스와관련된연구는현재까지그수가매우제한적이며국내공공도서관에서이루어진프로그램, 공간분석, 운영모델제한등을 무한창조공간 이란명칭을사용하여진행한것으로나타나고있다 ( 노영희 2014a;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홍소람, 박성우 2015). 노영희 (2014a) 는무한창조공간의역할개념을 사회소통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및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및양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의공간, 창조를위한협력공간, 창조를위한장비체험및활용공간, 이야기가있는스토리텔링공간, 전문가멘토링및컨설팅이있는공간 등의 12가지로구분하였다. 이와관련하여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는무한창조프로그램유형을 스토리창작프로그램, 도서관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293 특성을반영한주제별무한창조프로그램, 전문가멘토링프로그램, 전문가컨설팅프로그램, 각종교육프로그램, 특허출원및창원지원프로그램 등크게 6가지로분류하여제안하였다. 홍소람, 박성우 (2015) 는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의개념을분석하면서상호소통과공유를통한자가생성의관점을강조한 메이커스페이스 보다 코워킹스페이스 관점이도서관의본질적가치와보다일치한다고주장하였다. 노영희 (2014b) 연구에서는미래지향적차세대디지털도서관발전방안을위한핵심적인기술, 개념, 도구에 무한창조공간 이포함되는것으로나타났다. Rowley(2011) 는빠르게변화하는도서관환경과정보기술을반영할수있는혁신적인도서관정책이마련되어야하며이러한혁신적정책은 혁신문화, 혁신리더십, 혁신적이고창의적인팀, 혁신적과정수행, 오픈이노베이션, 혁신에이용자참여, 이노베이션포트폴리오 등이포함되어야한다는것을주장하였다. 3. 국내외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동향 3.1 해외메이커스페이스운영동향 미국공공도서관에최초로메이커스페이스가만들어진사례는 2011년뉴욕북부의 파예트빌프리공공도서관 (Fayetteville Free Public Library) 에 3D 프린터가구축되면서 Fab Lab 이만들어진것이계기가되었다. 파예트빌공공도서관의 Fab Lab 은 70.3평 (2,500 sqft) 규모로국내외연구혹은관련기사에대표적인성공사례로빈번 하게소개되는대표적인메이커스페이스이다 (Britton and Considine 2012; Fallows 2016; Scott 2012;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홍소람, 박성우 2015). 특히파예트빌의메이커스페이스 Fab Lab 은초기설립단계부터뉴욕지역에있는시라큐스대학정보학부 (School of Information Studies) 와밀접한관계를맺고지원을받아오고있다. 시라큐스대학생들은메이커스페이스공간과프로그램에대한아이디어개발과성공적인운영모델구축을위한지원을하고있어서지역의대학과공공도서관산학협력의좋은사례가되고있다. 파예트빌도서관관장인 Sue Considine은성공적인메이커스페이스운영에가장핵심요인은 재정 이아니라 사람 이라고강조하면서전문성과기술을가진자원봉사자를많이확보해서경험이없는프로그램참여자를지원하고협업할수있도록하는것을중요성공요인으로설명하였다 (Belbin and Newcombe 2012). 2011년파예트빌메이커스페이스를시작으로이후코네티컷주 Westport Library (2012), 미시간주 Detroit Public Library (2012), 뉴저지주 Piscataway Public Library (2013), 일리노이주 Chicago Public Library (2013), 오하이오주 Cleveland Public Library (2014) 등미국전역의공공도서관으로확산되었다. 또한공간이름도메이커스페이스 (Makerspaces), 팹랩 (Fab Lab), 헤커스페이스 (Hackerspaces) 와같이도서관의상황및특성에따라다양하다. Burke(2014) 는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현황에대한설문조사를미국 30개주도서관사서 143명을대상으로실시하였다. 주요항목은첫째, 메이커스페이스의주요기술 / 프로그램 (< 표 1> 참조 ), 둘째, 재정지원방법 (< 표 2> 참조 ), 셋째,

294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프로그램운영주관자 (< 표 3> 참조 ) 등의내용이포함되었다. 우선메이커스페이스의주요기술 / 프로그램에대한질문에컴퓨터워크스테이션이 67% 로가장많았으며, 3D 프린팅 (46%), 사진편집 (45%), 비디오편집 (43%), 컴퓨터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 (39) 등의순으로나타났다 (< 표 1> 참조 ). 이와관련하여재정지원방법은도서관의예산을지원받는경우가 36% 로가장많았으며, 지원금이 29%, 기부금이 14%, 소속된기관의추가재정이 11%, 기타가 11% 등의순으로비교적다양한재정지원이이루어지고있으며안정적인지원이이루어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2> 참조 ). 마지막으로워크숍진행, 훈련, 강의는누가담당하고있는지에대해서는사서가담당하는경우가 49%, 자원봉사자담당이 27%, 전문강사 ( 도서관내부가아닌 ) 13%, 기타 12% 의순으로나타났다 (< 표 3> 참조 ). 즉 Burke 의연구 (2015) 는메이커스페이스의운영이프로그램, 재정, 운영주관자등의영역에서모두안정적으로이루어진것을보여주고있다. 메이커스페이스공간에서이루어지는교육과훈련의콘텐츠에대한또다른연구에서는 (Peppler et al. 2015) 메이커스페이스가시작된초기에과학, 기술, 공학및수학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에초점이맞춰질것이란예상과는달리실제청소년대상메이커스페이스프로그램을조사한결과디지털 / 시각예술혹은미디어예술이 70% 이상으로과학, 기술, 공학및수학의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분야보다더많은것으로밝혀졌다. 또한언어, 음악, 드라마, 댄스등다양한주제의프로그램이진행되고있는것으로나타 났다 (< 그림 1> 참조 ). < 표 1> 메이커스페이스프로그램종류 ( 상위 15 위권프로그램 ) 메이커스페이스주요프로그램 비율 (%) 컴퓨터워크스테이션 67 3D 프린팅 46 사진편집 45 비디오편집 43 컴퓨터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 39 미술공예 37 디지털포토스캐닝 36 웹사이트제작 34 디지털음악녹음 33 3D 모델링 31 DIY플랫폼 (Arduino/Raspberry Pi) 30 기타 ( 뜨개질, 레고등 ) 30 애니메이션 28 고품질스캐너 28 팅커링 (Tinkering) 26 ( 출처 : Burke 2013) < 표 2> 메이커스페이스재정지원 재정지원 비율 (%) 도서관예산 (library budgets) 36 지원금 (grants) 29 기부금 (donations) 14 소속기관추가재정 (additional funding from parent organizations) 11 기타 (other) 11 ( 출처 : Burke 2013) < 표 3> 메이커스페이스프로그램운영자 프로그램운영자 비율 (%) 사서 (library staff) 49 자원봉사자 (volunteers) 27 강사 (paid instructors) 13 기타 (Other, IT staff, maker group members, student Geek force) 12 ( 출처 : Burke 2013)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295 * 시각, 공연및미디어예술 ** 과학, 기술, 공학및수학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 언어, 사회연구, 역사, 기타 < 그림 1> 청소년대상메이커스페이스교육의주제영역 ( 출처 : Peppler et al. 2015) 3.2 국내메이커스페이스운영동향국내메이커스페이스는 2013년미래창조과학부와한국과학창의재단이메이커스페이스란이름이아닌 무한상상실 이란명칭으로공모사업을진행한것이시초가되었다. 그리고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사업에광진정보도서관 ( 서울 ) 과목포공공도서관 ( 목포 ) 2개관이선정되어시범적으로운영이되었다. 이후 2014년에당진도서관 ( 충남 ),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 부산 ), 율목도서관 ( 인천 ), 제천기적의도서관 ( 충북 ), 청주기적의도서관 ( 충북 ) 의 5개관에무한상상실을오픈하였다. 2015년에는광양시문예도서관사업소 ( 전남 ), 달서어린이도서관 ( 대구 ), 수성구립범어도서관 ( 대구 ),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 부산 ), 서대문구립이진아도서관 ( 서울 ), 의정부과학도서관 ( 경기 ), 천안시쌍용도서관 ( 충남 ) 등 7개공공 도서관에무한상상실이오픈되어총 14개의무한상상실이운영되어왔다 (< 표 4> 참조 ). 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의지역별분포를보면서울, 부산, 대구, 충북, 충남, 전남이각각 2개관이며, 인천과경기가각각 1개관의무한상상실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에비해전남, 강원, 광주, 제주지역에는공공도서관에무한상상실이설치된곳이현재까지는없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4> 의국내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에대한조사내용은홈페이지, 전화혹은이메일문의를통해서확인하고정리된내용이며, 이중서울에위치한광진정보도서관과서대문구립이진아도서관은직접방문하여자료를수집하였다. 현재국내무한상상실운영은대부분국가재정지원금공모사업비에의존하고있는실정이며장기적이고지속가능한운영및프로그램개발을위해서는안정적인재정지원마련이매우시급하다.

296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 표 4> 국내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지역별현황 1 2 3 4 5 지역도서관명설립연도 서울 부산 대구 전용공간 면적 ( m2 ) 광진정보도서관 2013 전용 90.51 서대문구립이진아기념도서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2015 전용 73.77 2014 전용 140 2015 겸용 - 달서어린이도서관 2015 겸용 - 6 수성구립범어도서관 2015 겸용 - 7 인천율목도서관 2014 겸용 - 8 경기의정부과학도서관 2015 전용 100 9 충북 10 청주기적의도서관 2014 겸용 - 11 제천기적의도서관 2014 전용 241.06 당진도서관 2014 겸용 - 충남 12 천안시쌍용도서관 2015 겸용 - 광양시문예도서관 13 2015 겸용 - 사업소전남 14 목포공공도서관 2013 전용 123.52 규모및형태 주요프로그램 - 웹툰창작, 오토마타 - 드라마작가양성과정 - 자서전, 포토에세이 - 청소년영화학교 - 디지털스토리텔링 - 3D 모델링 - 시니어자서전 - 오토마타 - 컴퓨터코딩을통한아두이노프로그램 - 스토리텔링과로봇제작프로그램 - 3D 프린터교실 - 스마트폰활용단편영화만들기, 미디어활용스토리텔링 - 로봇교실 - 뉴미디어아트실험캠프 - 드론체험교실 - 시나리오, 영화제작 - 자서전글쓰기 - 아이링고블록만들기 - 3D 펜교실, 프린팅등 - 사이언스매직쇼 - 3D 프린터교육 - 문예창작 - 창작글쓰기 - 영상제작 - 책속캐릭터바느질인형만들기 - 시나리오창작 - 그림책만들기 - 단편영화제작교육 - 레고놀이터 - 자연사학교 - 그림책, 전자책제작 - 전각그림책만들기 - 창작별자리애니메이션만들기 - 천체체험 - 드론만들기 - 3D 펜교실 - 그림책만들기 - 아두이노 RC 카만들기 - 3D 프린팅장비작동 - 소프트웨어교육 - 동화책만들기 - 아두이노교육 - 해양과학문예창작 - 레고브릭활용이야기만들기 - 3D 프린터체험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297 특히앞에서도언급한바와같이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은모두소규모형으로지정되었으며이에대한지원금이 3천만원 4 천만원인것으로나타났다. 반면거점지역으로선정된무한상상실은 1억 1 억 5천만원정도의지원금을받고있어서그동안국가재정지원금이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에는매우제한적으로지원된것을알수있다. 이와더불어 2017년부터국가정책의갑작스런변화에따라무한상상실지원사업이중단될예정이라향후무한상상실의지속적인운영이가능할지에대한예측이어려운실정이며이에대한해결책이시급한문제점으로나타나고있다. 국내메이커스페이스의또다른한계점과관련하여홍소람과박성우 (2015) 는해외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경우대부분전용공간이마련되어있는반면우리나라공공도서관은 무한상상실 로국한되어있으며전용공간이없고겸용으로사용하는경우가많은것을지적하였다. 아울러전용공간이마련된경우도프로그램위주로만개방을하고있으며상시개방을하지않고있는것을지적하였다. 아울러전용공간의위치또한 1층에위치하지않는경우가대부분이라접근성이취약하다는것을지적하였다. 또한공공도서관무한상상실프로그램을분석한결과스토리텔링공간 (24%), 인큐베이터로서의공간 (20%), 학습공간 (13%), 창조자원공유공간 (10%), 사회소통공간 (9%), 전문가멘토링및컨설팅공간 (6%), 관심주제탐색공간 (6%), 창조중심협력공간 (6%) 등의순으로공간이활용된것으로나타났다. 즉스토리텔링및인큐베이터공간, 학습공간에치우친프로그램의한계점을알수있다 (< 그림 2> 참조 ). < 그림 2> 국내도서관내무한상상실프로그램분석 ( 출처 : 홍소람, 박성우 2015, 254) 4.1 심층인터뷰대상 4. 연구방법 심층인터뷰대상자는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담당사서및관장을포함한총 5명을선정하였다. 인터뷰대상으로선정된공공도서관은총 4개관으로모두도심에위치하고있으며메이커스페이스전용공간이마련되어있고메이커스페이스관련프로그램을활발히선도적으로운영하는곳을선정하였다. 인터뷰에선정된공공도서관은미국 1개관, 네덜란드 1개관, 한국 2개관이며이중한국 1개관은관장과담당사서두명과심층인터뷰를진행하였다. 인터뷰대상에포함된관장 1명은국내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의사례인 무한상상실 사업지원부터운영까지전체를관여한경우로담당사서와는다른시각에서 무한상상실 을평가할수있을것으로판단되어대상에포함하였다.

2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본연구에포한된미국의공공도서관 1개관은뉴욕공공도서관분관으로어린이, 청소년대상으로메이커스페이스를운영하는사례이다. 네덜란드공공도서관의경우암스테르담에위치한공공도서관으로 2016년새롭게도서관 2층전체를메이커스페이스로리노베이션하여선두적으로메이커스페이스를운영하는사례이다. 국내인터뷰대상공공도서관은서울에위치한공공도서관으로 무한상상실 이란이름으로메이커스페이스를운영하고있으며메이커스페이스전용공간이마련되어있는사례이다. 본연구의인터뷰는 2016년 8월 ( 미국 ), 10월 ( 네덜란드 ), 2017년 1월 ( 국내 ) 에각각의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공간을방문하여인터뷰를진행하였다. 소요시간은 20-40분정도로진행하였고이후추가적인질문등은이메일을통해내용을보완하였다. 본연구에인터뷰대상자가총 5명인것은비교적연구대상이적은정성적연구라는한계점이있다. 하지만 Saltter 와 Howard 연구 (2013) 의경우에서도호주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전담사서 3명을대상으로심층인터뷰를진행하였으며, 그결과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의효과성, 한계점및도전과제를영역별로분석한대표적인사례연구로평가받고있다. 또한본연구에서는미국, 네덜란드, 한국의공공도서관에대한메이커스페이스사례조사를통한메이커스페이스에대한다양한사서들의평가를비교, 조사하고자하였다. 4.2 심층인터뷰절차및내용본연구의인터뷰절차는 Kvale(2007) 의심층 인터뷰 7단계절차를기준으로진행하였다. 즉주제화, 디자인, 인터뷰, 해석, 분석, 검증그리고리포트의 7단계를통해인터뷰항목을선정하고인터뷰절차를디자인하였으며인터뷰분석및검증의절차를진행하였다. Kvale 는심층인터뷰를통해설문에서는알아내기어려운사람들의깊은생각, 감정등을파악하고이를해석하고분석하여영역별로분류할수있는연구방법의중요성을지적하면서특히반구조화된질문을통해질문이확대되어갈수있는특성이있음을설명하였다. 이러한점을반영하여본연구에서도반구조화된개방형질문으로진행하였으며인터뷰에사용한항목은총 6개문항으로 (< 표 5> 참조 ) Slatter 와 Howard 연구 (2013) 에서사용한인터뷰질문 5개문항을참조하고수정, 보완하여총 6개문항을구성하였다. 또한인터뷰를진행하면서 프로그램내용및절차, 재정지원 방안등의추가적인질문도인터뷰항목에추가하여조사하였다. 인터뷰는대략 30분-60분동안메이커스페이스공간에서진행되었다. < 표 5> 인터뷰항목 인터뷰항목 귀하에게메이커스페이스 ( 무한상상실 ) 란무엇입니까? 공공도서관에메이커스페이스 ( 무한상상실 ) 가필요하다고생각하십니까? 이러한공간을제공하는것이이용자에게어떠한점에서유익하다고생각하십니까?( 이용자측면 ) 도서관에서메이커스페이스 ( 무한상상실 ) 를운영함으로써어떠한성과가있다고생각하십니까?( 도서관측면 ) 메이커스페이스 ( 무한상상실 ) 를운영하며힘들었던점이나도전되었던문제는무엇입니까? 향후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 ( 무한상상실 ) 가어떻게발전되어야한다고생각하십니까?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299 5. 분석결과 녹취된인터뷰내용그리고이메일을통해추가로수합된내용은코딩을통해주제별, 영역별로분석되었다. 의콘텐츠를만들수있도록하고도서관은지역사회주민의콘텐츠를보유하는곳이된다. ( 한국-2) 도서관서비스의확대의미이다. ( 한국-3) 5.1 메이커스페이스의의미메이커스페이스의의미에대한질문에공통적으로나온응답은도서관의사명과관련된내용이었다. 즉모든사람에게정보 / 정보원에대한평등한접근을제공한다는공공도서관의사명을생각할때메이커스페이스운영및프로그램은선택이아닌반드시포함되어야할핵심서비스로인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새로운서비스의장을열어주는것, 도서관이생산주체가되고콘텐츠를만드는공간이라는데큰의미를부여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메이커스페이스의의미에대한의견은국외혹은국내를막론하고유사하게나타났다. 도서관사명과관련된평등한접근을위한핵심서비스이다. ( 미국 ) 우리도서관은새로운변화를선도하는역할을해왔으며메이커스페이스는우리도서관의새로운서비스의장을열어줄것이다. ( 네덜란드 ) 메이커스페이스는아카이브센터이다. 즉도서관이생산주체로역할을하도록만들어준다. ( 한국-1)" ( 메이커스페이스는 ) 도서관이용자에게자신 5.2 공공도서관에메이커스페이스의필요성공공도서관에메이커스페이스가필요한가에대한질문에모든응답자가매우필요하다고응답하였고도서관서비스에대한만족도를많이향상시키고새로운창작생산의공간이란의미가있다고응답하였다. 또한새로운이용자계층, 특히젊은이들을도서관으로유인할수있는좋은기회가된다는것을지적하였다. 단국외의경우는저소득층에게최첨단기기를제공함으로서공공도서관에서지역사회주민들에게균등한교육의기회를제공한다는데큰의의를두는것으로나타났다. 우리도서관의사명은양질의서비스를제공하는것이며이는다양한정보원과평생학습기회제공을포함한다. 책을포함한모든정보즉문화, 레크리에이션등을포함하여변화하는지역주민의필요를채워주는역할을해야한다고생각한다. 도서관에 3D 프린터가들어온이후어린이들은이를활용하여상상을자극하는여러가지창작활동을하고있다. ( 미국 ) 메이커스페이스운영으로인해더많은이용자들이 ( 특히젊은이들이 ) 도서관을이용하는기회가마련되었다 ( 네덜란드 )

300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이용자의요구가있었다. 하지만초기에비해이용자의요구도달라지는것같다. 스토리텔링작가양성과정 ( 성인대상 ), 무한상상방송국 ( 어린이대상 ), 3D 프린팅교실 ( 가족단위 ) 등다양한프로그램을이용자요구를반영해서진행한다. ( 한국-1) 필요하다. 지역주민들이자기가도서관을활용하여만든창작물을만들어내고상호발전해가는것을볼수있다. ( 한국-2) 처음에는나자신도이런공간이필요할까? 차별화될까? 생각을했었다. 무한상상실에대한필요를크게느끼지못했던것이사실이다. 하지만지금은반드시필요하다고생각한다. 도서관서비스가확대되고있다고생각하고이용자에게기대이상의서비스가제공되고있다. ( 한국 -3) 5.3 메이커스페이스가이용자에게주는 유익성 ( 이용자측면 ) 메이커스페이스가이용자에게주는유익성으로빈번히나타난단어는 학습능력개발, 창의성개발, 체험, 자기개발, 취업기회 등으로나타났다. 3D 프린터는어린이들에게 STEM 교육에무한한가능성을열어주었다. 어린이들은이러한최첨단기기를활용해서놀고, 배우고, 탐색하게된다. ( 미국 ) 최첨단기기를구글과같은 IT 기업등과의협력하여지원함으로써지역주민들이새로운체험 을하고창작하게해준다. 특히 21 세기첨단기술을모든사람들특히가정에는컴퓨터등의기기를갖지못한사람들에게이러한기술을경험할수있는기회를제공한다. ( 네덜란드 ) 다양한경험... 이전에는전자책경험이도서관의새로운서비스였다면이제는자신의창작물이도서관저장물이되는체험을하게된다. ( 한국-1) 성인대상스토리텔링, 시나리오작가프로그램에참여가많았다. 참여후후속프로그램까지만들어달라는요구가많다. ( 한국-2) 경력단절여성에게코딩강사양성과정을제공해서강사가될수있는기회를제공하고있다. 또한드라마작가양성과정에참여한참여자가드라마공모전최종까지올라가는쾌거를거두었다. 참여자작품이지역방송드라마로나가기도했다. 이제는전문가도도서관프로그램에참여하고싶어한다. ( 한국-3) 5.4 메이커스페이스운영성과 ( 도서관측면 ) 메이커스페이스운영을통해도서관이갖는성과로도서관의위상증진, 도서관서비스확대, 최첨단공간마련, 도서관지역주민의도서관에대한인식이자료를보존하고이용하는곳을넘어창작물이나출간물을만들어내고아카이브하는즉콘텐츠를창조하는공간으로보게된것으로나타났다. 창의적공간확보를마련하게되었다. 공간이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301 있어서프로그램도가능해질수있었다. ( 한국 -1) 도서관서비스확대와도서관이지역주민들에게창작활동공간으로새롭게인식되었다. ( 한국-3) 5.5 메이커스페이스운영의문제점및도전과제운영의문제점에대한질문에대해아직은 3D 프린터의속도가느려서프로그램운영이지연된다는것, 프로그램운영을위해서는최첨단장비관리및프로그램운영을위한전문인력이필요하다는것, 직원은없는데이용자는계속연동프로그램이나다양한프로그램을원해서충분한지원이어려운점, 도서관자체예산이없고공모에의한정부지원금에의존하고있는상황이라지속성에대한불안감등의문제점이지적되었다. 국외의경우는프로그램의운영에대한다양성혹은기기의최신성에대한문제점을주로지적하는반면국내의경우는도서관내에전문인력부족혹은지원금확보에대한지속성에대한문제점을가장주요한문제점으로지적하였다. 3D 프린터속도가아직은매우느려서프로그램의원활한운영이어렵다. ( 미국 ) 있는데도서관에전문성을가진인력이필요하다. ( 한국-1) 직원들이이프로그램을운영하는데너무바쁘다. 2017년에이사업을중단하게된다고하는데다른지원금확보가시급하다. ( 한국-2) 예산이가장큰문제점이다. 전문인력확보도필요하다. 다른사서들이보는시각도굳이이프로그램이필요한가생각하는것같고담당사서가아니면아직은잘모르는것같다. ( 한국-3) 5.6 향후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발전방향메이커스페이스발전방향으로국외의경우는메이커스페이스가지속적으로성장해서새로운정보기술을도서관에서경험하는기회를지역주민에게더많이확대해야한다는응답이공통적이었다면국내의경우는지속적인확대방안을위해서자원확보와인력확보가우선되어야한다는응답이공통적으로나타났다. 또한국내의경우는메이커스페이스의홍보가도서관내에서도다른사서들에게이루어져야할필요성을지적하였다. 모든대상자 (target groups) 에게맞는프로그램을기획하고제공한다는것은매우도전이되는어려운일이다. 지원금이시에서나오고있는데지속적인지원이필요하다. ( 네덜란드 ) 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가전지역으로확대되어지역사회를변화시키며새로운기술을경험하는기회를지역주민에게제공할수있어야한다. ( 미국 ) 영상편집, 장비관리등을외부인력을활용하고 우리도서관의 8 개의지역도서관 (branch libraries)

3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에메이커스페이스가확장신설될예정이다. ( 네덜란드 ) 지속적인재정지원이이루어져야한다. 2017년부터국책지원이없어져서앞으로어떻게프로그램을운영해야할지고민이다. ( 한국-1) 메이커스페이스활용을통해도서관자료도함께찾아보는연결을하는프로그램이필요하다. 전문강사는도서관에대한이해가없고도서관직원은전문프로그램에대한이해가없어서상호이해가필요하다고생각한다. ( 한국-2) 사서들이이런공간과프로그램에대한이해도가부족하다. 나도실무자로일하면서배우게되었다. 대학에서도이런공간에대한사례나접해볼기회가있어야한다고생각한다. 국립중앙과같은국립기관에서시범운영이나운영사업을하면좋겠다. 무에서유를창조해야하는어려움이있다. ( 한국-3) 6. 결론및제언 본연구에서는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운영을분석함으로써현재 14개국내공공도서관에서 무한상상실 로운영되고있는메이커스페이스프로그램의현황및한계점을도출하고향후해외의메이커스페이스와같은확대되고지속가능한모형으로발전하기위한운영방안을제시하고자하였다. 이를위해첫째, 국내외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에관한문헌조사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 발전 과정, 프로그램유형, 지원유형및서비스성과를분석하였다. 둘째, 국내외메이커스페이스현황을비교분석하기위해해외의경우메이커스페이스평가연구및사례연구를조사하였고, 국내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공간인 무한상상실 을운영하는 14개기관의홈페이지분석, 전화확인및이메일을통해담당사서와공간구성및프로그램서비스에대한실태조사를실시하였다. 셋째, 국외공공도서관 2곳과국내공공도서관 2곳의메이커스페이스전담사서및도서관장과심층인터뷰를진행하였다. 인터뷰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및향후발전방안등을조사분석하였다. 넷째, 분석결과를통해국내에서 무한상상실 로운영되는메이커스페이스가해외의메이커스페이스와같이다양한지원정책및운영체제를갖추기위해해결되어야할문제점및운영개선방안을제시하였다. 이러한결과를바탕으로메이커스페이스의지속가능한운영을위해시급히마련되어야할다음의정책방안을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하고안정적인재원확보가필요하다. 해외메이커스페이스의운영은주로도서관의예산을지원받는비중이가장높으며이외의외부지원금, 기부금, 소속된기관의추가재정등의순으로나타나고있어서비교적안정적이고다양한재정지원을확보하고있다. 반면국내의경우현재국가재정지원금공모사업비로운영되고있는 무한상상실 은해외메이커스페이스운영에비해공모사업비형태의단기적인운영에의존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즉장기적이고지속가능한운영및프로그램개발을위해서는안정적인재정지원마련이필요하다. 특히 2017년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303 부터국가정책의갑작스런변화에따라무한상상실지원사업이중단될예정이라향후무한상상실운영이매우어려울것으로예측되며이에대한해결책이시급한문제로대두되고있다. 둘째, 전문인력배치및훈련이필요하다. 메이커스페이스의효율적인프로그램운영을위해서는최첨단장비관리및프로그램운영을위한도서관전문인력이필요한것으로나타났다. 국내무한상상실의경우프로그램운영을전문강사에게주로위탁하고있는실정인데전문강사는도서관에대한이해가없고도서관직원은전문프로그램에대한이해가없어서운영에한계가있다는조사결과가나타났다. 이와관련하여무한상상실프로그램을도서관의다른정보자원이나서비스와연결시키기는어려운실정인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자에대한적극적인활용방안이필요하다. 해외의경우성공적인메이커스페이스운영에가장핵심요인은 재정 이아니라 사람 이라는지적이반복해서나타났다. 즉전문성과기술을가진자원봉사자를많이확보해서경험이없는프로그램참여자를지원하고협업할수있도록메이커스페이스를운영하는것이향후메이커스페이스공간을활성화시킬수있는가장필요한요인으로나타났다. 또한이러한자원 봉사자활용은메이커스페이스를통한지역주민간의협업과의사소통공간으로서의도서관즉호주공공도서관연구에서나타난 제 3의공간 으로서의도서관의새로운서비스영역으로부각될가능성이있다. 넷째, 홍보전략방안이적극적으로이루어져야한다. 메이커스페이스를운영에대해지역사회홍보는물론이고도서관내에서도사서들이이런공간과프로그램에대한이해도가부족한것으로나타나고있어서이에대한적극적인홍보전략이마련되어야한다. 다섯째, 메이커스페이스는지역주민이소통하는공간을넘어신기술을통한교육과창조의공간, 지역아카이브생성의 메이킹 공간이되어야한다. 메이커페이스는단순한기술습득및활용뿐아니라새로운지식을공유하고경험하며이론이아닌 Making 을통한창의공간이되어야하며특히지역주민아카이브를생성함으로써공공도서관이생산주체로서의역할을할수있도록한다. 본연구는국내공공도서관의 무한상상실 이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 의개념으로발전되며 스토리텔링공간 에서 인큐베이터공간 으로확대되기위한정책및운영방안을위한기초자료가될수있을것이다. 참고문헌 [1] 김소영, 정유진, 황연숙. 2016. 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이용실태에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16년 5월 28일, 서울 : 서원대학교 : 203-206. [2] 노영희. 2014a. 도서관무한창조공간구축및운영모형제안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31(1): 53-76. [3] 노영희. 2014b.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발전방향논의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7-40. [4]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프로그램과창의성간의관계에대한평가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6(2): 71-111. [5]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도서관무한창조공간의개념및프로그램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143-171. [6] 홍소람, 박성우. 2015.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6(4): 245-269. [7] Bagley, C. A. 2012. What is a Makerspace? Creativity in the Library. I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2. ALA TechSource: December. [online] [cited 2016. 12. 10.] <http://www.alatechsource.org/blog/2012/12/what-is-a-makerspace-creativity-in-the-libra ry.html> [8] Belbin, N. and Newcombe, P. 2012. Fab Labs at the Library. Education Digest, 78(7): 65-68. [9] Bowler, L. and Champagne, R. 2016. Mindful Makers: Question Prompts to Help Guide Young Peoples' Critical Technical Practices in Maker Spaces in Libraries, Museums, and Community-Based Youth Organizatio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8(2): 117-124. [10] Britton, L. 2012. The Makings of Maker Spaces, Part 1: Space for Creation, Not Just Consumption. New York, NY: Library Journal. [online] [cited 2016. 12. 10.] <http://www.thedigitalshift.com/2012/10/public-services/the-makings-of-maker-spaces-p art-1-space-for-creation-not-just-consumption/> [11] Britton, L. and Considine, S. 2012. The Makings of Maker Spaces, Part 3: A Fabulous Home for Cocreation. New York, NY: Library Journal. [online] [cited 2016. 12. 10.] <http://www.thedigitalshift.com/2012/10/public-services/the-makings-of-maker-spaces-p art-3-a-fabulous-home-for-cocreation/> [12] Burke, J. J. 2014. Makerspace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13] Dougherty, D.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7(3): 11-14. [14] Fallows, D. 2016. How Libraries Are Becoming Modern Makerspaces. Washington, DC: The Atlantic. [online] [cited 2016. 12. 15.] <https://www.theatlantic.com/technology/archive/2016/03/everyone-is-a-maker/473286/> [15] Fourie, I. and Meyer, A. 2015. What to Make of Makerspaces: Tools and DIY only or

공공도서관메이커스페이스구성및프로그램분석연구 305 Is There an Interconnected Information Resources Space? Library Hi Tech, 33(4): 519-525. [16] Koh, K. and Abbas, J. 2015.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Learning Labs and Makerspac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6(2): 114-129. [17] Kvale, S. 2007. Doing Interviews. Thousand Oaks, CA: SAGE Publishing. [18] Peppler, K. et al. 2015. The Maker Ed Open Portfolio Project: Survey of Makerspaces, Part I. San Francisco, CA: The Maker Education Initiative. [online] [cited 2016. 12. 15.] <http://makered.org/wp-content/uploads/2015/02/opp_researchbrief6_surveyofmakersp acespart1_final.pdf> [19] Rowley, J. 2011. Should Your Library Have an Innovation Strategy? Library Management, 32(4/5): 251-265. [20] Scott, S. H. 2012. Making the Case for a Public Library Makerspace. Chicago, IL: Public Libraries Association. [online] [cited 2016. 12. 10.] <http://publiclibrariesonline.org/2012/11/making-the-case-for-a-public-library-makerspace/> [21] Sheridan, K. et al. 2014. Learning in the Mak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Makerspac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05-531. [22] Slatter, D. and Howard, Z. 2013. A Place to Make, Hack, and Learn: Makerspaces in Australian Public Libraries. The Australian Library Journal, 62(4): 272-284. [23] Willett, R. 2016. Making, Makers, and Makerspaces: A Discourse Analysis of Professional Journal Articles and Blog Posts about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e Library Quarterly, 86(3): 313-329. 국문참고자료의영어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s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1] Kim, So-Young, Jung, Yu-Jin and Hwang, Yeon-Sook. 2016.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Maker Space. In Proceeding of 2015 KIID Spring Conference, May 28, 2016, Seoul: Seowon University: 203-206. [2] Noh, Younghee. 2014a.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53-76. [3] Noh, Younghee. 2014b.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7-40. [4] Noh, Younghee, Kang, Jung-A and Jung, Eun-Ji. 2015. A Qualitative Evalua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an Infinite Creative Space Program.

3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 51 권제 1 호 2017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71-111. [5] Ahn, In-Ja, Choi, Sang-Ki and Noh, Younghee.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Creative Zones and Creative Zone Programm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143-171. [6] Hong, So-Ram and Park, Seong-Woo. 2015. A Concept Analysis on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s Co-working Spa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245-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