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12DB0F8C1F8BFEB28312D313629BCF6C1A4BBE7C7D7C7A5BDC358362E32372E687770>

Similar documents

untitled

장애인건강관리사업

04_이근원_21~27.hwp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서론 34 2

歯1.PDF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02Á¶ÇýÁø

PERFORMANCE technology the all-new bmw 5 series. dynamic 06 business 14 comfort 20 safety 22 model LineuP 24 TecHnicaL data 26 bmw service 28 bmw kore



* ** *** ****

ad hwp

6À嵶¼º¿¬±¸ºÐ¾ß

8º»¹®-ÃÖÁ¾-¼öÁ¤


Untitled-1

2017 치안정책연구제 31 권제 1 호 Police Science Institute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중증장애인의 현황과 정책방향 (4)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3년을 맞이하여, 전국에 있는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 를 통해 향후 활동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제공기관 측면에서의 과제를 살펴보

약수터2호최종2-웹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A 목차

해양수산관서 언 론 지방해양안전심판원 해양안전심판관리시스템입력 통계생성 대외제공 자체인지


- 2 -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CC hwp

hwp

02_연구보고서_보행자 안전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기획연구( )최종.hwp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BBEAC0E7BAB8C7E820BFE4BEE7A1A4C0E7C8B020BBE7B7CA20BAF1B1B3BFACB1B8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5.명묘희(2차수정)경찰학연구제33호.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_1.hwp

Jkafm09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레이아웃 1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DBPIA-NURIMEDIA

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서론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성인지통계

특집1 국내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과 특징 망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증가(4.9% 5.5%)하 여 사고의 심각성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2%대인 자전거 수단분담률에 비해 전체 교통사고 중 자전거사고가 약 5%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자 전거 안전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 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Microsoft PowerPoint - 1주_ìž¥ìŁ€ê°œë–’ê³¼ 모듸

2003report hwp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II. 기존선행연구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005송영일

DBPIA-NURIMEDIA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2,3,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CD 2117(121130)

13.12 ①초점

CC hwp

이보고서는보건복지부에서주관하는국민건강증진기금에의해수행 된것이며, 이보고서에수록된내용은연구자개인적인의견이며보 건복지부의공식견해가아님을밝혀둡니다.


<31372DB9DABAB4C8A32E687770>

, ( ) * 1) *** *** (KCGS) 2003, 2004 (CGI),. (+),.,,,.,. (endogeneity) (reverse causality),.,,,. I ( ) *. ** ***

2002report hwp

hwp

#Ȳ¿ë¼®

경영학회 내지 최종

DBPIA-NURIMEDIA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쉽게풀어쓴태국의료기기 화장품등록및인증절차 방콕무역관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제 출 문 보건복지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고령친화산업 중장기 실행전략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년 10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 장 이 경 호 연구총괄 : 장 현 숙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진 외부 연구진 최 보 아 (고령보건산업팀

레이아웃 1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80 경찰학연구제 13 권제 2 호 ( 통권제 34 호 ) Ⅱ. 이론적논의와선행연구검토

DBPIA-NURIMEDIA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Transcription: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2, pp. 1~16, 2013.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 공진용 ** < 요약 > 본연구는국내이동보조기기사용자들의안전사고와관련된실태를조사하기위하여실시하였다. 휠체어의사용증가는휠체어안전사고와같은불리한상황의증가도더불어야기하였다. 전국권역 ( 서울, 경기, 부산, 광주, 대전 ) 의장애인복지관과자립생활센터를이용하고있고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를사용하는장애인을대상으로사고와관련된임상적요인, 사고환경, 사용패턴에대해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결과사고원인은주로물리적환경이었으며, 충돌에의해하지및상지가열상과타박상을주로경험하였다. 사고는도로와경사면에서주로발생하였으며, 발생시간은오후와저녁에집중되었다. 사용자의대부분안전벨트를사용하지않고있었으며, 기기에대한사용교육, 정기적관리, 그리고보조공학전문가의서비스등이전혀이뤄지지않았다. 이동보조기기에대한전문가를통한사용패턴교육, 정기적관리체계구축, 그리고사용환경에대한점검및개선을통해안전사고의발생율을감소시킬수있을것이다. 핵심어 : 안전사고, 장애인이동보조기기, 휠체어 * 본연구는 2013년나사렛대학교학술연구지원비에의해수행되었음. ** 나사렛대학교재활공학과부교수 ( 교신저자 : rehabtech@hanmail.net) Professor of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echnology, Korea Nazarene University

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Ⅰ. 서론 장애인의독립적인이동능력의상실은사회생활참여에있어가장큰장애로여겨지고있으며 (Di Marco, Russell, & Masters, 2003), 신체장애를겪고있는장애인이자신의가치있는작업에참여하기위해서는다양한보조기구가반드시필요하며, 이중휠체어는독립적인이동을위해필요한보조기구라고할수있다 ( 권혁철과채수영, 2010). 자립생활패러다임과같은장애관련권리운동, 법률제정, 재활의학등의발달은사회일원으로써장애인의사회적활동을더욱확대시켰으며, 이러한사회적활동의도구로서휠체어를포함한이동보조기기의보급은필수적이라고할수있다. 2005 년건강보험공단의장애인보장구급여품목에기존수동휠체어에이어전동휠체어와전동스쿠터가포함되면서장애인의이동권보장을통한사회활동참여가획기적으로촉진되는계기가되었다. 2005년부터건강보험공단에서 2007년까지보급된이동보조기기는전동휠체어, 수동휠체어, 전동스쿠터를포함하여총 7만 6천대였으며 ( 보건복지부, 2008), 2008년부터 2010 년까지생산된휠체어수량은총 11만 3천대가생산되어판매되었다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2011). 장애인실태조사에서수동휠체어를제외한전동휠체어및전동스쿠터의보유대수가 2011 년현재약 11만대로나타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수동휠체어를포함하면전체보유대수는약 30만대에이를것으로보인다. 향후휠체어의수요는장애인구증가, 빠른고령화, 높은교통사고율등으로인해지속적으로증가할것으로보인다. 이처럼보급된휠체어의대수의증가와함께사회참여의증가는휠체어사용빈도및사용시간의증가를가져왔으나, 휠체어안전사고와같은불리한상황의증가도더불어야기되고있다 (Gaal 등, 1997). 한국소비자원의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에나타난휠체어관련위해사례접수건수는 2011 년상반기에만 36건으로 2010 년 30건, 2009 년 34건을훨씬상회하는등꾸준히증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 2011). 사고의유형은휠체어사용중넘어지거나, 휠체어가전복되어골절, 뇌진탕등을입는것으로나타났다. 외국의사례를살펴보면, Chen 등 (2011) 의연구에의하면대만휠체어사용자의최근 3년동안안전사고율은 54.7% 로대부분찰과상과열상을경험하고있었으며, Xiang, Chany 그리고 Smith(2006) 은 2003 년미국내응급센터에보고된휠체어안전사고가 10만건이상발생하였고, 이는지난 1991 년 5만건에비해 2배이상증가했다고하였다. 특히휠체어관련심각한손상으로의료적처치가필요한경우는약 3만 6천건으로전체휠체어사용자의 2% 정도에서발생하는것으로보고하고있다 (Kirby & Ackroyd-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3 Stolarz, 1995). 이들선행연구에서는사고의원인을분석하기위한다양한역학조사를실시하고있으며, 이들을통해사고를유발하는원인요소로크게사용자특성, 휠체어, 사용환경등으로구분하여실태조사를실시하였다 (Chen 등, 2011; Gaal 등, 1997; Gavin-Dreschnack 등, 2005; Xiang 등, 2006). 실태조사를통해원인을분석하고이에따른안전사고예방을위한휠체어사용패턴, 정기적관리, 올바른처방및교육, 그리고환경개선등의대안을제시하고있다. 이동보조기기관련사고는특정지역에국한된문제가아닌이동보조기기가사용되는모든지역의문제로그에대한실태파악과그에대한대안을마련할필요가있으나, 국내에서는이동보조기기관련안전사고에대한실태파악조차되지않은상황이다. 한국소비자원에서 2011 년휠체어안전사고실태조사를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제보된내용에한정하여제한적으로조사한것이안전사고관련된유일한조사라고할수있다. 이외에구현모등 (2005) 은안전사고에관한조사가아닌사용중실태조사일부분에휠체어로인한신체손상의유형을조사한것이전부라고할수있다. 이에본연구에서는한국소비자원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보고되지않은국내이동보조기기사용자들의안전사고와관련된다양한실태를면밀히조사하고그에따른요인을분석함으로써, 증가되고있는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에대한경각심을일깨우는한편안전사고를예방할수있는사회적대안을제시하고자실시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및연구절차 이동보조기기사용장애인의안전사고실태를조사하기위해 2012 년 9월 17일부터 12 월 14일까지전국권역인서울, 경기, 부산, 광주, 대전에소재한장애인복지관및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이용하고있는이동보조기기사용자를대상으로설문을실시하였고, 표본추출은지역별단순무작위방법을적용하였다. 본연구자는장애인복지관및장애인자립생활센터담당자들에게실태조사가능여부를확인한후협조를얻어연구의목적및방법을충분히설명한뒤설문지, 설문설명서, 정보이용동의서, 회신봉투를동봉하여우편발송하였다.

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조사대상선정기준은다음과같이정하였다. 1 최근 3년이내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를경험한장애인 2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그리고전동스쿠터를사용하는장애인 3 기억에의존하여최근의사고상황을충분히인지하고있는장애인 위대상선정기준에따라총 250부의설문지를배포하였고, 회수된설문지는서울 40 부 ( 회수율 80%), 경기 33부 ( 회수율 70%), 부산 35부 ( 회수율 70%), 광주 41부 ( 회수율 82%), 대전 31부 ( 회수율 62%) 로총 180부 ( 회수율 72.0%) 가회수되었다. 그중에서응답이불분명한 3부, 3년이내사고경험자가아닌경우 2부, 설문지의응답이 1/2 이하인경우 3부, 동의서를미제출한경우 2부, 총 10부를제외한총 170부의설문지만을자료분석에사용하였다. 2. 연구도구 실태조사를위한설문지작성은 Chen 등 (2011) 과 Gavin-Dreschnack 등 (2005) 의선행연구를참고하여설문문항을 1차적으로구성하였다. 본설문전휠체어사용장애인 5인을대상으로사전검사를실시하여질문지를수정하였으며, 보조공학관련전공교수 3인의검증을거쳐최종완성하였다. 최종작성된설문지는크게일반적인상황, 사고임상정보, 사고환경, 사용형태등 4 가지영역으로나누어총 23문항의선택형문항으로구성하였으며 < 표 2-1>, 사고임상정보및사고환경등에대해서는최근 3년이내가장기억에나는안전사고에대해답변하도록하였다. < 표 2-1> 설문지문항구성 영역 설문 내용 문항수 Ⅰ 일반적인사항 성별, 나이, 장애유형, 장애등급 이용시기, 이동보조기기종류 6 Ⅱ 사고임상정보 사고형태, 사고주원인, 손상부위, 손상형태 손상정도, 치료기간, 사고횟수 7 Ⅲ 사고환경 발생장소, 지면상태, 발생시간, 사고시활동형태 4 일 ( 日 ) 사용시간, 현이동보조기기사용연한 Ⅳ 사용형태 안전벨트사용여부, 사용교육여부 6 정기적관리여부, 전문가서비스여부 합계 23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5 사고형태와관련된용어의정의는다음과같다. 넘어짐 / 전도 (tip) : 1개이상의바퀴가지면에서떨어짐으로인해기기에서떨어져넘어진경우 추락 (falls) : 이동보조기기의전도와상관없이활동중기기에서떨어진경우 충돌 : 고정되거나움직이는물체또는사람과부딪친경우 압궤 : 신체일부가물체등에끼이거나눌린경우 3. 자료분석 본연구에서사용된자료분석방법은 SPSS Window Ver, 17.0 통계프로그램을이용하여각항목별로빈도및백분율을기술적통계량을구하는빈도분석을통해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일반특성 조사대상자의성별은남성이 102명 (60%) 으로조사되었으며, 연령은 60대가 42명 (24.7%), 50대 41명 (24.1%), 40대 32명 (18.8%) 으로중장년층이상이전체조사대상자의 75.8% 를차지하였다. 장애유형은뇌병변장애가 98명 (57.6%), 지체장애가 63명 (37.1%), 심장ㆍ호흡기장애가 9명 (5.3%) 을차지하였다. 건강보험공단에서이동보조기기수급대상이지체, 뇌병변, 심장, 호흡기장애로국한되어있어조사대상자의대부분이지체, 뇌병변장애인으로나타났다. 이중지체장애 63명중척수손상이 40명, 절단장애인이 11명, 근육병이 7명, 소아마비가 5명으로구분되었다. 뇌병변장애 98명중뇌졸중이 65 명, 뇌성마비가 33명으로중장년층은뇌졸중으로인한뇌병변장애로인해이동보조기기사용이많은것으로나타났다. 장애등급은 1급이 100명 (58.8%), 2급이 27명 (18.9%), 3 급이 43명 (25.3%) 으로중증장애인들이대부분의수를차지하였다. 장애로인한이동보조기기사용기간은 20년이상이 53명 (31.2%), 10-20 년이 45명 (26.5%), 5년 - 10년이 37명 (21.8%) 순으로나타나대부분이 10년이상장기간이동보조기기를이용하고있었다. 사고시점의이동보조기기의종류로는전동휠체어가 75명 (44.1%), 전동스쿠터 53명 (31.2%), 수동휠체어 42명 (24.7%) 로 < 표 3-1> 와같이나타났다.

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 표 3-1> 조사대상자의일반특성 항목구분빈도 ( 명 ) 비율 (%) 성별연령장애유형장애등급이동보조기기사용기간사고당시이동보조기기종류 남 102 60.0 여 68 40.0 10대미만 10 5.9 20대 16 9.4 30대 15 8.8 40대 32 18.8 50대 41 24.1 60대 42 24.7 70대이상 14 8.2 지체장애 63 37.1 뇌병변장애 98 57.6 심장ㆍ호흡기장애 9 5.3 1급 100 58.8 2급 27 18.9 3급 43 25.3 2년미만 15 8.8 2-5년 20 11.8 5-10년 37 21.8 10-20년 45 26.5 20년이상 53 31.2 수동휠체어 42 24.7 전동휠체어 75 44.1 전동스쿠터 53 31.2 2. 안전사고관련임상적요인 임상적요소인사고형태, 사고원인, 손상부위, 손상형태, 손상정도, 치료기간, 사고횟수에대한분석결과는 < 표 3-2> 와같이나타났다. 사고형태는충돌이 71건 (41.8%), 압궤 35건 (20.6%), 추락 30건 (17.6%), 넘어짐이 22건 (12.9%) 순으로나타나, 대부분충돌또는압궤와같이외부물체등에부딪치거나, 발이나손등이물체에끼이는사고를많이당하는것으로나타났다.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7 사고원인은도로, 지면, 경사면, 턱등의물리적환경이 82건 (48.2%) 으로다수를차지하였고, 사용자의컨트롤러, 핸들, 바퀴손잡이등의조작부주의로 42건 (24.7%), 이동보조기기자체의기기결함으로 31건 (18.2%) 으로나타났다. 신체손상부위는하지인발, 발목, 다리, 무릎등이 82건 (48.2%) 으로가장많은손상을입었고, 다음으로손, 팔, 팔꿈치등의상지가 67건 (39.4%) 으로팔과다리가대부분의손상을입었다. 또한손상의위험도가높은머리, 목등도 25건 (14.7%) 으로나타났다. 손상형태는피부가찢어지는열상이 62건 (36.5%), 부딪혀서발생하는타박상이 55건 (32.4%), 염좌가 20건 (11.8%) 으로사고의대부분을차지하고있었으며, 뇌진탕 12건 (7.1%), 골절 11건 (6.5%) 으로나타났다. 손상의정도는경증이 111건 (65.3%) 으로대부분을차지했으며, 중증도는 42건 (24.7%), 중증은 17건 (10.0%) 으로중등도이상의손상도 34.7% 를차지하고있었다. 손상의정도와더불어치료기간에대한답변에서는 3일 - 1주가량의치료기간을가진경우가 65건 (38.2%) 로가장많았으며, 당일이 45건 (26.5%), 2주가량이 30건 (17.6%) 순이었다. 2 주이상의오랜치료기간을가진경우도 30건 (17.6%) 을차지하고있었다. 지난 3년이내안전사고를경험한경우를조사한결과는 3회가 56명 (32.9%), 2회가 54명 (31.8%) 을차지하였으며, 5회이상의사고를경험한경우도 20명 (11.8%) 가량이었다. < 표 3-2> 안전사고관련임상적요인 임상적요인 사고형태사고원인손상부위손상형태손상정도치료기간사고횟수 넘어짐 / 전도 추락 충돌 압궤 기타 22 30 71 35 12 (12.9) (17.6) (41.8) (20.6) (7.1) 기기결함 물리적환경 조작부주의 외부요인 복합요인 31 82 42 4 11 (18.2) (48.2) (24.7) (2.4) (6.5) 머리 목 몸통 상지 하지 10 15 6 67 82 (5.9) (8.8) (3.5) (39.4) (48.2) 골절 뇌진탕 타박상 열상 염좌 기타 11 12 55 62 20 10 (6.5) (7.1) (32.4) (36.5) (11.8) (5.9) 경증 중증도 중증 111 42 17 (65.3) (24.7) (10.0) 당일 3일-1주 2주 2-4주 1개월이상 45 65 30 14 16 (26.5) (38.2) (17.6) (8.2) (9.4) 1회 2회 3회 4회 5회이상 32 54 56 8 20 (18.8) (31.8) (32.9) (4.7) (11.8)

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3. 안전사고관련사고환경 안전사고관련사고환경요소인사고발생장소, 사고장소의지면상태, 사고발생시간, 사고시수행했던활동에대한분석결과는 < 표 3-3> 와같이나타났다. 사고발생장소는인도또는횡단보도등의도로가 75건 (44.1%), 가정내가 48건 (28.2%), 병원이나복지관또는자립생활센터, 쇼핑몰, 마트등의시설이 47건 (27.6%) 등으로나타났다. 주로가정내보다외부활동중에사고가발생되고있음을할수있었다. 사고장소의지면상태는경사면이 70건 (41.2%) 으로도로나진입로등의경사면에서사고가가장많이발생되었으며, 미끄럽거나젖은지형에서 36건 (21.2%), 고르지못하고울퉁불퉁한거친지형이 32건 (18.8%), 턱과같이지면의높이변화가발생하는곳에서 27건 (15.9%) 으로고르지못한지형에서주로발생하였다. 사고발생시간은오후 (12-18 시 ) 가 71건 (41.8%), 저녁 (18-20 시 ) 이 61건 (35.9%), 야간 (20-24 시 ) 에 15건 (8.8%) 으로사고의대부분이해질무렵이나야간에발생하여시야확보어려움으로인하여사고가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오전 (6-12 시 ) 에 18건 (10.6%) 이발생하였다. 사고시탑승자의활동형태는 89건 (52.4%) 이이동을하는과정에서사고를당하였고, 의자나침대등에서이동보조기기로옮겨타는트랜스퍼동안에 35건 (20.6%) 이발생하였다. 그리고물건을잡거나누르기위해뻗기동작을하는과정에서 21건 (12.4%), 출입문을통과하는과정에서 18건 (10.6%) 이발생되었다. < 표 3-3> 안전사고관련사고환경 가정도로의료복지시설상업시설교육문화시설 발생장소 48 75 22 15 10 (28.2) (44.1) (12.9) (8.8) (5.9) 거친지형미끄러운지형경사면높이변화기타 지면상태 32 36 70 27 5 사고환경 (18.8) (21.2) (41.2) (15.9) (2.9) 새벽 (4-6 시 ) 오전 (6-12 시 ) 오후 (12-18 시 ) 저녁 (18-20 시 ) 야간 (20-24 시 ) 발생시간 5 18 71 61 15 (2.9) (10.6) (41.8) (35.9) (8.8) 트랜스퍼이동뻗기동작출입문기타 사고시활동 35 89 21 18 7 (20.6) (52.4) (12.4) (10.6) (4.1)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9 4. 이동보조기기사용형태 이용자의이동보조기기사용형태로일사용시간, 이동보조기기사용연한, 안전벨트사용여부, 기기사용관련교육여부, 정기적관리여부, 그리고보조공학전문가에의한처방여부를분석한결과는 < 표 3-4> 와같이나타났다. 휠체어하루사용시간은 6-9시간이 81명 (47.6%) 로가장많았고, 9시간이상이 34명 (20.0%) 으로대부분이이동보조기기를장시간사용하는것으로나타났다. 3-6시간이 27 명 (15.9%), 1-3시간이 16명 (9.4%) 순으로나타났다. 사고당시의이동보조기기사용연한은 6년이상이 60대 (35.8%), 4-5년이 55대 (32.4%) 로대부분 4년이상의오랜시간동안사용하고있었던기기에서사고가발생했으며, 3-4년이 35대 (20.6%), 2-3년이 15대 (8.8%) 순으로나타났다. 이동보조기기로이동하는동안안전벨트착용여부를묻는질문에 120명 (70.6%) 이평상시착용하지않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동보조기기구입시사용관련교육을받았는지에대한질문에 115명 (67.6%) 이교육을받지않았다고답변하였다. 이동보조기기에대한정기적인유지관리여부는 25명 (14.7%) 만이관리를하고있다고답변하였고, 이동보조기기관련하여보조공학전문가에의한서비스여부에서는 32명 (18.8%) 만이처방및수리와관련된서비스를받았다고하였다. < 표 3-4> 안전사고관련사용형태 사용형태 일사용시간사고당시이동보조기기사용연한안전벨트사용여부정기적관리여부 1시간미만 1-3시간 3-6시간 6-9시간 9시간이상 12 16 27 81 34 (7.1) (9.4) (15.9) (47.6) (20.0) 2년이내 2-3년 3-4년 4-5년 6년이상 5 15 35 55 60 (2.9) (8.8) (20.6) (32.4) (35.3) 사용 미사용 교육 미교육 50 120 사용교육여부 55 115 (29.4) (70.6) (32.4) (67.6) 관리 미관리 보조공학 처방 미처방 25 145 전문가 32 138 (14.7) (85.3) 서비스여부 (18.8) (81.2)

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Ⅳ. 논의및시사점 본연구는장애인의이동보조기기사용중발생하는안전사고와관련된실태를조사하기위해실시하였다. 해외에서는휠체어관련된안전사고에대한연구가 1990 년에활발하게이뤄져사고의발생율, 사고의원인을분석하기위해다양하게실시되었다 (Calder & Kirby, 1990; Gaal 등, 1997; Gray, Hsu, & Furumasu, 1992; Kirby & Ackroyd-Stolarz, 1995; Ummat & Kirby, 1994). 그러나국내에서는현재까지안전사고와관련된조사연구는 2011 년한국소비자원에서 휠체어안전사고실태조사 라는보고서로발간된것이전부라고해도과언이아닐정도로매우제한적으로이뤄져왔다. 그러나이보고서또한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보고된골절이나뇌진탕등중증에속하는사고에대한분석중심으로이뤄진보고서이기에, 일상생활에서보고되지않고다양하게안전사고를겪고있는불특정장애인의안전사고수준을파악할필요가있어실태조사를실시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의조사연구는연령별, 성별, 사고장소, 위해부위, 위해원인, 위해내용, 치료기간등에대해서만제한적으로분석하고있기에사용자의특성, 휠체어, 휠체어제공자, 휠체어조작기술, 환경등의요소를분석한 Gavin-Dreschnack 등 (2005) 과일반적특성, 임상적정보 ( 장애유형, 사용시작, 종류 ), 사용형태 ( 안전벨트, 전도방지바퀴, 정기적점검등 ) 에대한요소를분석한 Chen 등 (2011) 의연구를참고하여일반특성 ( 장애유형, 사용시기등 ), 임상적요인 ( 사고형태, 원인, 손상관련등 ), 사고환경 ( 발생장소, 지면, 시간등 ), 그리고사용형태 ( 사용시간, 안전벨트, 정기점검, 교육등 ) 등 4가지요소 23개항목에대해설문을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일반특성에서최근 3년내사고를경험한남성이 60% 로여성에비해높게나타났으며, 연령의비율도 10-30 대에비해 40대이상중장년층사용자들의사고비율이 75.8% 로높게나타났다. 전동휠체어와차량과의충돌사고에대한조사를실시한선행연구결과에서도 56세남성에서가장높은사고율을보인다고하였고 (LaBan & Nabity, 2010), 2000 년미국인구조사에서도휠체어사용자의사고비율이 65세이상에서 17.7% 로다른연령대에비해가장높게나타났다고하였다 (Gavin-Dreschnack 등, 2005). 미국의전체인구조사결과와직접비교는어려우나, 본조사의결과도미국의예처럼중장년층의사회활동량에비례한외부활동의결과로사고의비율이남성과중장년층에서높게나타난것으로보인다. 더불어이동보조기기를사용한기간도 10년이상오랜기간동안이동보조기기를사용한경우가 57.7% 로오랜기간동안사용한대상자들에서사고발생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11 사고시점의이동보조기기의종류는전동휠체어가 44.1%, 전동스쿠터가 31.2% 로나타났다. 이동보조기기종류와관련된사고빈도에대한선행연구에서도전동스쿠터가 52.8%, 전동휠체어가 24.6%, 수동휠체어가 22.6% 로나타났는데 (Berg, Hines, & Allen, 2002). 이는수동에비해조작능력이더요구되는전동이동보조기기에서사고율이월등히높은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도조작부주의로인한사고의원인이 24.7% 를차지하고있듯이, 특히전동이동보조기기사용에서주의와사전교육이필요하다고할수있을것이다. 안전사고와관련된임상적요인에대한조사결과에서사고형태는충돌이 41.8%, 압궤가 20.6% 로일상적으로자주접하게되는부딪힘과끼임의사고가자주발생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국내선행조사결과인한국소비자원 (2011) 결과에서는사고형태가주로넘어짐이 58.6%, 추락이 21.6% 로본연구와는다른결과가나왔으나, 이는한국소비자원에보고되는사고의대부분이경증이아닌중증이상의사고에대해서소비자가고발하거나수집된사고를바탕으로한결과이기에보고되지않는안전사고를포함하는본연구결과와는다르게나타난것으로보인다. Xiang 등 (2006) 의연구결과에서도사고자에게가장빈번한손상은찰과상과열상이라고한것과같이, 충돌과압궤가주요한사고의형태인만큼손상형태도대부분이열상 36.5%, 타박상 32.4% 로나타났다. 손상의정도또한경증이 65.3% 로일상생활에서흔하게충돌과끼임같은사고가많이발생하는것으로나타났다. 손상형태에서넘어짐이나추락으로인한경우골절, 뇌진탕등의위험이높다고한국소비자원에서는보고하고있고, Kirby 와 Ackroyd-Stolarz(1995) 의연구에서도넘어짐이나추락을경험한장애인의손상형태는골절 (45.5%), 찰과상 (22.3%), 열상 (20.1%) 이라는결과를보듯이, 본조사결과넘어짐이나추락과같은사고의빈도는낮지만생명과직결될수있는중증의사고로발전할수있기에미연에대책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미국의응급센터에서도전체휠체어사용자의 2% 가매년심각한의료적손상입고있다고보고하고있다 (Kirby & Ackroyd-Stolarz, 1995). 손상부위는주로하지 48.2%, 상지 39.4% 로사고의대부분팔, 다리에서손상을당하는것으로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2011) 의손상부위중가장높은비중을차지한것또한하지로 31.7% 를차지하고있었다. 대부분하반신마비로인해하지의조절능력이다른신체부위에비해저하되어손상의위험이더높게나타난것으로여겨진다. 손상후치료기간은 3일-1주가 38.2%, 당일이 26.5% 로손상정도가경증 (65.3%) 라는결과와유사하게단기간내에치료가이뤄진것으로나타났다. Xiang 등 (2006) 은미국응급센터에방문한휠체어안전사고의 81.8% 는외래형태로병원치료를받고돌아갔으나, 17.2% 는병원에입원할정도로중증의손상을입었다고보고하였다. 본연구에서는

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입원여부를확인하지는못하였으나 2주이상의치료기간을경험한장애인이 17.6% 로사고의심각성에따라장기간의입원치료를받았던것으로나타났다. Gavin-Dreschnack 등 (2005) 은미국내휠체어추락등으로인한의료비지출이외과및재활치료를포함하여약 25,000-75,000 불가량소요된다고보고하였는데, 안전사고는개인이나사회적으로추가비용을유발할수있기에공동의노력으로사전에예방될수있도록해야할것이다. 안전사고관련사고환경요소와관련된결과에서조사대상자의 71.8% 는외부활동중에사고가일어나는것으로나타났다. 외부활동과정에서이동중인도로에서가 44.1% 로가장많고가정내에서가 28.2% 로나타났다. 발생장소의지면상태는경사면이 41.2% 로가장높고, 미끄러운지형이 21.2%, 거친지형이 18.8%, 높이변화가 15.9% 로대부분이평탄한지형이아닌지형의변화로인한곳에서발생하는것으로나타났다. 도로에서장애물이나고르지못한지면이나편의증진법에의한기준에적합하지않은경사면등은사고를유발할수있는대표적인외부환경요인이라고할수있다. Gavin-Dreschnack 등 (2005) 의연구에서도사고의대부분이울퉁불퉁한지형, 계단또는턱과같은지면의변화로인해발생하고있다고한것처럼, 휠체어등이동보조기기의사용에적합한편의시설에서사고의위험이더욱커진다고할수있다. 외부활동뿐만아니라가정내활동중에서도사고빈도가높기에화장실또는욕실과같이바닥이미끄러운곳과의자또는침대등으로트랜스퍼하는동안에발생하기에안전장치및교육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최근일어나고있는베리어프리 (Barrier-free; 장애물없는환경 ) 운동은고령자와지체장애인등의생활을둘러싼건축 인테리어와환경전반에걸쳐서생활하기편하고, 안전하며섬세한배려를갖는편리한시설과환경만들기를의미한것으로, 이동약자인이동보조기기사용장애인을위한환경적배려가확산될때장애물없는환경을통한장애인의자립과삶의질이증진시킬수있을것이다 ( 김상운등, 2009), 사고발생시간은오후 12-18 시가 41.8%, 저녁 18-20 시가 35.9%, 야간 20-24 시가 8.8% 로사고의대부분이해질무렵이나야간에발생하는것으로나타났다. 뇌병변장애를가지고있는장애인의경우시각장애를동반할가능성이높고, 체간의운동기능저하로인한목운동을통한시야확보의어렵기때문에해질무렵이나야간과같이어두운환경에서사고의발생위험이더욱높아진다고할수있다. 휠체어와차량간의교통사고발생율을연구한결과에서도사고의 50% 는해질무렵, 새벽, 밤등시야가확보되지않는야간에주로발생하고있으며사고의 60% 가치명적인손상을당한다고하였다 (LaBan & Nabity, 2010). 이동보조기기를사용하는형태에서일사용시간은 6-9시간이 47.6%, 9시간이상이 20.0% 로하루 6시간이상기기를장시간사용하는장애인에서사고빈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사용시간과사고횟수를비교분석한결과사용시간이많을수록사고의빈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13 도또한높게나타나고있었다. 사고당시이동보조기기의사용연한은 6년이상이 35.3%, 4-5년이 32.4% 로대부분전동휠체어및전동스쿠터의내구연한을넘었거나가까이에있는기기들에서사고발생이높게나타났다. 물론오래사용한기기의감가상각등으로사고의발생위험이높을수있지만, 사고발생율과관련하여 Hansen, Tresse 그리고 Gunnarsson(2004) 은휠체어사용연한과관련있기보다는휠체어의정기적인유지관리가되지않았을때사고의발생율이더욱높아진다고하였다. 조사에서도 85.3% 는정기적인관리를전혀받거나실시하지않고있다고답변하고있는것처럼이동보조기기를정기적으로유지보수를받지않은상황에서내구연한의증가에따른사고발생률의증가는당연한결과라고할수있다. 정기적인유지보수를위한전문적인보조공학서비스여부에서도 18.8% 만이서비스를경험한적이있다고응답하였고, 이동보조기기사용과관련된사전또는사후교육여부에서도 32.4% 만이교육을받은것으로나타났다. 이처럼정기적인관리, 교육, 전문적서비스가부재한상황에서보건복지부에서는시범사업으로전국광역단위별로보조기구센터를구축하기위해현재서울, 경기, 부산, 대전, 광주, 대전, 충북에광역센터를설치하여보조기구수리및맞춤개조서비스등을실시하고있다. 이들센터이외에도민간차원의보조기구센터들이점차설치되어보조기구에대한평가, 대여, 개조, 사후관리등을실시하고있다 ( 안나연과공진용, 2011). 장애당사자의보조공학서비스에대한욕구분석에서도수리등사후관리에대한전문서비스에대한욕구가지체또는뇌병변장애에서높게나타나고있는것처럼 ( 이창희, 2011), 그동안영리기업인보조기구업체에의존하여이동보조기기관련한정보및교육, 관리등을받아왔던전문적인서비스에대한한계를보조공학전문가및전문센터등을통해해결될수있도록빠른시일내에장애인보조기기전달체계의시스템이완비될수있도록해야할것이다. 그리고일반교통사고로인한사망등의손상을경감시키기위해안전벨트착용을법으로강제하고있는상황이지만, 이동보조기기를사용하는장애인의안전벨트착용실태는미착용이 70.6% 로매우높게나타나고있다. 장애인들모두안전벨트의착용의중요성은인식하고있으나, 사용상불편함으로인해착용을등한시하고있는상황이다. 안전사고발생으로이동보조기기에강한충격이전해졌을때안전벨트미착용은체간조절능력이일반인에비해떨어진장애인에게넘어짐과추락의위험을증가시키며또한이차적인손상마저일으키는원인이되기도한다. LaBan 과 Nabity(2010) 는이동보조기기사고를포함한모든이동관련사고들이운전자의자만심과예측되지않는돌발상황으로인해발생되는경우가많기에, 특히이동보조기기사용자들의안전교육및사용패턴에대한교육이반드시필요하다고강조하였다. 설문조사를통해사고와관련된다양한요소들을분석한결과, 안전사고를예방하기위한중재방법을정리하면첫째, 사용자중재로기기에대한매뉴얼및주의사항을반드시

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숙지하도록하며, 안전벨트등안전과관련된사용패턴을익히도록한다. 둘째, 이동보조기기중재로기기를최적의상태로유지하기위해정기적인유지관리를실시하며, 잠금장치, 트랜스퍼보조장치등안전보조장치를적극적으로사용하도록한다. 셋째, 보조공학전문가중재로미흡한서비스전달체계의구축을통해사용자의욕구를반영한전문적인기기처방과교육을실시하여안전을책임지는역할을수행할수있도록해야한다. 마지막으로넷째, 물리적환경중재로베리어프리운동과유니버설디자인이라는사회적관점에서이동보조기기사용자에적합한공공시설개선, 도로정비, 주거환경개선등의환경개선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안전사고로인한손상은개인과사회를포함한시스템내에서위험요소들의상호작용으로인해발생하는것으로위의개별요소에대한중재도중요하지만복수요소들의조정을통한통합적인중재가더필요하다고할수있다. 본연구의제한점은본조사결과가이동보조기기를사용하고있는전체장애인의안전사고관련결과를대표하지못하는한계를갖는다. 또한설문의대상지역이도시지역에국한되어있어농어촌지역의장애인안전사고를나타내지못한한계를갖고있다. 추후연구에서는대상자의모집단을늘려전체이동보조기기를사용하는장애인의안전사고율과원인요소들을분석하여그에대한세부적이며, 구체적인대안을마련할필요가있을것이다. 특히, 안전사고로인해지출되는추가비용에대해개인적또는사회적관점에서연구가필요하리라사료된다. 참고문헌 구현모, 정동훈, 공진용, 채수영 (2005). 지체부자유인의휠체어사용실태및요구조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실천, 6(3), 229-245. 권혁철, 채수영 (2010). 신체장애인의휠체어사용에대한심리사회적영향연구. 장애와고용, 20(1), 35-50. 김상운, 김은경, 박광재, 강병근 (2009). 휠체어를사용하는지체장애인및시각장애인을고려한주택계획의장애요소도출에관한연구. 한국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4), 3-12. 보건복지부 (2008). 장애인보장구급여실적. 서울 : 보건복지부통계포털. 안나연, 공진용 (2011). 보조공학기구및보조공학서비스요구실태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4), 121-142. 이창희 (2011). 보조공학서비스에대한장애당사자의인지와욕구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43-62.

장애인이동보조기기안전사고실태조사 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장애인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소비자원 (2011). 휠체어안전사고실태조사. 서울 : 한국소비자원.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2011). 2006-2010 의료기기실적보고자료. 서울 :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Berg, K., Hines, M., & Allen, S. (2002). Wheelchair users at home: few home modifications and many injurious falls. Am J Public Health, 92(1), 48. Calder, C. J., & Kirby, R. L. (1990). Fatal wheelchair related accidents in the United States. Am J Phys Med Rehabil, 69(4), 184-190. Chen, W. Y., Jang, Y., Wang, J. D., Huang, W. N., Chang, C. C., Mao, H. F., & Wang, Y. H. (2011). Wheelchair-related accidents: relationship with wheelchair-using behavior in active community wheelchair users. Arch Phys Med Rehabil, 92(6), 892-898. Di Marco, A., Russell, M., & Masters, M. (2003). Standards for wheelchair prescription. Aust Occup Ther J, 50(1), 30-39. Gaal, R. P., Rebholtz, N., Hotchkiss, R. D., & Pfaelzer, P. F. (1997). Wheelchair rider injurie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wheelchair design and selection. J Rehabil Res Dev, 34(1), 58-71. Gavin-Dreschnack, D., Nelson, A., Fitzgerald, S., Harrow, J., Sanchez-Anguiano, A., Ahmed, S., & Powell-Cope, G. (2005). Wheelchair related falls: current evidence and directions for improved quality care. J Nurs Care Qual, 20(2), 119-127. Gray, B., Hsu, J. D., & Furumasu, J. (1992). Fractures caused by falling from a wheelchair in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 Dev Med Child Neurol, 34(7), 589-592. Hansen, R., Tresse, S., & Gunnarsson, R. K. (2004). Fewer accidents and better maintenance with active wheelchair check-up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Clin Rehabil, 18(6), 631-639. Kirby, R. L., & Ackroyd-Stolarz, S. A. (1995). Wheelchair safety adverse reports to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m J Phys Med Rehabil, 74(4), 308-312. LaBan, M. M., & Nabity, T. S. (2010). Traffic collisions between electric mobility devices (wheelchairs) and motor vehicles: Accidents, hubris, or self-destructive behavior? Am J Phys Med Rehabil, 89(7), 557-560. Ummat, S., & Kirby, R. L. (1994). Nonfatal wheelchair related accidents reported to the National Electronic Injury Surveillance System. Am J Phys Med Rehabil, 73(3), 163-167. Xiang, H., Chany, M., & Smith, G. A. (2006). Wheelchair related injuries treated in US emergency departments. Inj Prev, 12(1), 8-11.

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2 권제 2 호 ) <Abstract> The Safety Incidents Survey of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s Kong, Jin Y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safety incidents survey of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s. The increase of the use of a mobility assistive device is the main cause of the accident was the mobility assistive device secur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accident environment, clinical factor, device-using behaviors related to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 to use disabled welfare centers and independent living centers nationwide(seoul, Gyeonggi, Busan, Gwangju, Daejeon). The accident suffered mainly physical environment and then a laceration or contusion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upper extremities due to collision. The accident occurred mainly in the road and ramp, the time of occurrence was concentrated in the afternoon and evening. and then the majority of users without the use of a safety belt, and also equipment for educational use, regular maintenance, and professionally prescribed device could not be done at all. Mobility assistive device service usage pattern training, management system regularly by experts and checking and improving for the operating environment will be a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Key Words : Safety Accidents, Mobility Assistive Device, Wheelchair 논문접수 : 2013. 04. 30 / 논문심사일 : 2013. 05. 08 / 게재승인 : 2013. 0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