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 11 No. 2 (2011) pp.111-128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이재정ㆍ김윤희 + ㆍ손민주국민대학교의상디자인학과교수국민대학교의상디자인학과겸임교수 + 국민대학교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패션디자인학과석사과정 요약 20세기에접어들면서민족주의의등장과더불어아시아지역이정치, 경제등세계사적으로중요한위치로부각되기시작하고포스트모더니즘과같은문화요인과결합하면서아시아풍은세계의문화를선도하는하나의문화사조로자리잡게되었다. 이에본연구의목적은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조형적특징을추출하여디자인을개발함으로써아시아지역복식의융합된형태를반영한상품기획에도움이되고자한다. 연구의범위는 16세기말 19세기의아시아민족복식에관한선행논문과문헌자료를통한이론적고찰과 2000년대이후의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안룩의사례를분석하였다. 그결과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조형적특징을첫째, 직선적실루엣의비구조적인평면성둘째, 유기적인율동미셋째, 형태의가변성으로도출하였다. 이러한 3가지조형적특징을토대로형태적접근가능성을모색하여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을응용한 10종의디자인을개발하였다. 본연구결과를통해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을응용한패션디자인작품제작연구결론은다음과같다. 첫째, 평면형의직선적인실루엣을통한공간적인형태미는아시아룩의전통미를표현해주는동시에현대패션의조형적요소로도활용되고있어현대적인재해석을할경우그가능성이무한하다. 둘째,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에서보이는자유로운여밈은다양한비균제적인미를표현하는방법이며특히현대적인이미지로비례, 균형, 율동미등을적절하게표현한다면그가능성을기대할수있을것이다. 셋째, 비구조적인평면성을통해근본적인선을발전변형시킨디자인개발은현대적감각으로재구성이가능하여패션테마의다양성과확대가높다는특징이있다. 주제어 : 아시아지역, 민족복식, 비구조인평면성, 유기적율동미, 형태의가변성 이논문은 2008 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학술진흥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KRF-2008-411-J05001) 접수일 : 2011 년 6 월 4 일, 수정논문접수일 : 2011 년 6 월 17 일, 게재확정일 : 2011 년 6 월 23 일교신저자 : 김윤희, shell62@kookmin.ac.kr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I. 서론 20세기들어서패션이국제사회에서하나의문화로자리잡고포스트모더니즘이후로다원주의와문화적절충주의의성향이짙어졌다. 이로인해다양성을추구하는측면에서현대패션은사회적, 문화적의미의전달자로서하나의양식을중심으로전개되는것이아니라다양한패션의요소와미적개념들이서로절충되어새로운미를제시하고있다. 또한아시아를세계의문화를선도하는하나의문화사조로인정하는인식은패션에서도예외는아니며 20세기를기점으로서구패션에서는동양적이미지가다양성을띄고발전적으로전개되기시작하였다. 그러므로동서양패션문화속에수용되어있는아시안룩의특징을알고세계화를위한적용가능성을모색한다면아시아스스로가주도하는패션문화의창조를위한밑거름과국제화에올바르게대응하는방책이될것이다. 현대사회가글로벌빌리지 (global village) 라는흐름이두드러지게부각되면서아시안룩에서도다차원적으로절충과융합하는경향이계속등장하고있지만이에대한체계적인연구와이론적인정립이부족하다. 그러므로본연구에서는특정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의개념을정립하여응용하는것이아니라아시아전지역의민족복식요소가함께공존하는패션의형태미를분석하여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조형적특징을도출하고자한다. 본연구의목적은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특징과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복식의특징을디자인형태로분석하고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조형적특징을추출하여세계화, 현대화, 생활화할수있는디자인을개발하고자한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선행논문과문헌자료에 나타난 16세기말 19세기의아시아민족복식과 2000년대이후의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안룩을바탕으로형태미를분석하여특징을정리하고, 이를토대로디자인을전개하였다. 구체적인연구내용은첫째, 아시아지역을동부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남부아시아 4 개지역으로구분하여복식디자인을실루엣중심의형태적특성으로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현대패션에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이응용된사례를분석하여현재어떻게수용, 융화되어표출되고있는지분석하였다. 셋째, 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적특징을고찰하고, 이를디자인가이드라인으로정립한후총 10 점의패션디자인을도출하였다. II. 이론적고찰 1.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고찰 1) 동부아시아민족복식우리나라가속한동부아시아의경우북방계호복과남방계포복식이융화된카프탄형의복식형태가특징이며, 이는여름은따뜻하고겨울은춥고습윤한대륙성기후에적응하기위한의복의형태를띠고있다. 도교, 유교, 불교, 한자문화권등종교의문화적전통을공유하고있는지역적특징을반영, 북방계와남방계의복식이융화된형태를보이고있다. 이렇듯동부아시아의민족의상은기후적영향으로평면적구성의넓은깃, 사각형의소매, 허리띠가공통적특징이며동부아시아에속하는국가는한국, 일본, 중국이대표적이다. 한국조선시대의복식은한복의기본형식이성립되고미화현상이현저했던시기이며우리전통복식미를대표할수있는복식이다. 1) 대표적인의상으로는저고리와치마, 바지가있다. 형태면에서 - 112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 그림 1> 고종의면복 ( 출처 : 복식문화, 1996, p.42) < 그림 2> 황원삼 ( 출처 : 복식문화, 1996, p.50) < 그림 3> 조선중기장옷 ( 출처 : 수원박물관특별기획전도록, 2011, p.49) < 그림 4> 조선중기겹저고리 ( 출처 : 수원박물관특별기획전도록, 2011, p.50) 드러난조선후기복식의미적특징은평면적구성의직선재단이지만, 제작자의의도가유입되고, 착장에따라달라지는가변적인선의미가있었다. 한국의복식은자연스러운여유와부드러운느낌을주는한편결정되지않은가변성과풍성함을특징으로하는형태미를갖는다. 2) 유이황외 (1996) 에따르면조선시대신분제도에따라양반계급의여성들은남편의관직에따라그의신분에맞는복식을착용하였으며, 관직을갖지않은반가부녀자의복식도어느면에있어서는격차가있었으나평상복에서는별차이가없었다. 일반반가여인들과서민여성들의평상복은모두고유의저고리와치마를착용하고있었다고밝히고있다. 3) 의복의디테일은저고리에서직선형옷깃인목판깃의길과소매는직선형으로나타났다. 16세기중반까지 H라인을보이며상하의가거의 1:1비율을보이던여성복식은 18세기후반에이르면각종미인도에서볼수있듯이코쿤실루엣 (cocoon silhouette) 로변화하였다. 4) 조선시대왕복에는면복, 조복, 상복, 편복이있다. 5) < 그림 1> 은면복의유물로고종의 9장복이다. 이것은어깨에비해도련의폭이넓은포로소매의폭이포길이의절반에이르는광수포로, 착장했을때양감이풍성하게살아있어군왕의표신이라는용도답게장엄함을주어군왕으로서의위엄을살려주고있다. 그리고의, 상, 중단, 폐슬에는각각선을둘러주어긴선의흐름을강조하면서전체적으로의장에있어통일감을주고있다. 6) 조선시대왕비 및내외명부들이입은대표적인궁중여자예복으로는적의, 원삼, 활옷, 당의등이있다. 이중원삼, 활옷은궁중뿐아니라일반여성들의혼례복으로이용되었다. 7) < 그림 2> 의원삼은여밈이합임으로합임선의수직선은속에무지기치마를입어사선으로넓게퍼진스란치마의선과조화를이룬다. 또한소매끝의색동과백한삼은착용자가손을모아쥐었을때세로로향한시선의움직임을더욱강조해준다. 8) 조선시대서민여자는저고리와적삼, 치마, 단속곳, 바지, 속속곳다리속곳에버선과짚신을기본으로하였다. 장옷은치마저고리를입은후겉에입는조선시대여성의가장대표적인외출복이다. < 그림 3> 은겹장옷으로녹색이뚜렷이남아있다. 섶선안으로들여달린목판깃과겨드랑아래사각접음무가달린것이특징으로길감과다르게자주색연화문단으로장식하고있다. 겨드랑이에서이어지는소매는일자형이며소매끝에흰색거들지를달아줬다. 현재고름은소실돼달려있지않다. < 그림 4> 의저고리는치마와함께입는여성의대표적인웃옷이다. 깃모양이목판당코깃이고소매가겨드랑이에서시작돼소매끝에서완만하게줄어드는모양으로전형적인 17세기중반기여성의저고리양식이며소매끝에흰색의거들지가달려있는것이특징이다. 일본의대표적의상은남녀모두 < 그림 5> 9), < 그림 6> 의기모노로대표되는데그기본형은에도시대이래로변화가없었다. 다만시대에따라 - 113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 그림 5> 기모노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257) < 그림 6> 기모노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255) < 그림 7> 치파오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234) < 그림 8> 포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239) 서옷의폭이나소매폭, 길이, 깃의크기등이달라지며, 특히문양과색의감각이뛰어나다. 10) 기모노는깃, 소맷부리, 옷자락등에개방부분이많은것이특징이다. 또한직선으로재단하여간략하게만드는남방계의복의특징을지니고있다. 11) 기노모의형태적특징은직선의이미지로좁은장식공간과함께규격적인선을표현한다. 12) 직선적인실루엣으로평면구성, 직선형깃과좌우를포개어여미는사선형전개형여밈, 목덜미가보이게옷깃을겹쳐입는착장법과겹쳐입기를들수있으며, 여자의벨트는허리에매는오비 ( 띠 ) 와일본전통종이접기기리카미가패션디자인의기법으로응용되어나타나는것도하나의대표적인형태적특징이다. 13) 남녀모두가착용하는나가기가일본전통을대표하며기모노와동일한개념으로사용되기도한다. 나가기는기본적으로남녀모두동일한형태이다. 하지만여성기모노는파임이크고, 남성용과달리소매옆솔기부분이터져있는것이다르다. 14) 기모노란본래옷을가리키는말이지만, 흔히일본여성이입는나가기만을한정하여기모노라고하기도한다. 기모노를펼쳐놓으면완전직선형평면으로구성되어있고, 소매의겨드랑이부분이트여있다. 기본적으로원피스형태이며, 그위에덧옷을입는구조이다. 고름이나단추없이옷을입고오비라는띠를묶는다. 중국의 16세기말 19세기청은만주의여진족이세운왕조로서복식에있어 남자는청의제도 를따르고, 여자는따르지않아도좋다 는방침을실행하였다. 따라서남자는만주족복식을착용하도록강력하게지시하였으나, 한족여자들은계속한족복식을착용할수있었다. 복식의형태는한족의 < 그림 8> 의포와만주족의괘가기본이되었다. 포는명대에비하여품이줄었고, 옷깃을여밀때띠대신에단추를사용하였다. 15) 청대의포는품이넓은사다리꼴이며, 마제수가달린경우가많았다. 길이는유행에따라서무릎부터발목길이까지다양하게변화하였다. 중국의여성용포는이른바치파오라는이름으로많이알려져있다. 16) 중국여성의대표적의상은원피스형드레스인 < 그림 7> 은치파오로중국적특색을나타내는차이나칼라모양과치마단에슬릿이특징이다. 치파오는넉넉하고허리선이곧고평평한형태로아시아지역에서흔히나타나는직선재단을한평면적인의복이었다. 그러나 1800년대이후허리가꼭맞으며소매통이좁은형태를띠면서점점개량되어전통적인재단법은사라지고원래의고유한특징은깃과트임에만남아있게되었다. 2) 동남아시아민족복식동남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은아열대및열대기후의지역으로한장의천으로만든통치마형태의사롱형의민족의상이특징이다. 습윤열대기후지역에서는재단봉제를하지않은긴천을몸에둘러늘어뜨리는권의형태나허리둘레에천을감 - 114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는요의형태가많았다. 동남아시아에해당하는국가는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등이있다. 17) 태국은동남아시아의여러국가중유럽제국등에식민지화되지않은유일한국가이다. 그런까닭에의복도서양의영향을거의받지않고독자적인형을유지하고있다. 기후상직물이오랫동안남아있기가힘들기때문에, 초기복식형태는석상등을통하여알수있다. 당시에는남녀모두사각형천을몸에두른후허리에서주름을잡거나묶었으며, 형태는짧은로인클로스형, 간단한 < 그림 9> 와같은사롱형, 헐렁한바지형등으로다양하다. 어깨에는천을둘러서가슴을전체적으로가리거나부분적으로드러내며, 관, 목걸이, 팔찌등의장신구를착용하기도하였다. 수코타이왕조이전부터보이는이러한복식형태는후대에도크게변화하지않았다. 18) 의복의종류는 < 그림 10> 의파사바이 (pha sabai), 파사롱 (pha sarong), 파츙카벤 (pha chongkaben), 파신등이있다. 파사바이는어깨에대각선으로두르는천을뜻한다. 가로 30cm, 세로 160cm 정도인사각형태로, 오른쪽에서시작해서몸을한두바퀴감아돌린다음남은부분은왼쪽어깨에걸쳐서뒤로늘어뜨리거나금속장신구를고정시킨다. 파사롱은통형태의남자하의를통칭하는경우가많다. 파사롱은대부분가로는 2미터, 세로는약 1미터이며, 허리에플리츠주름을잡아서고정한다. 파츙카벤은한장의천으로바지처럼입는방법, 또는그러한모양의하의를말한다. 착용방법은인도의도티 (dhoti) 와비슷해서, 허리에감싼다음에남은부분을다리사이로통과시켜서, 앞또는뒤에서주름을잡아서고정한다. 착용할때여유분을가감하여옷의길이를조정할수있다는특징이있다. 19) 일반적으로하의는파능 (phanung) 이라고하는데초기에는봉제하지않은넓은천형태였으나, 차츰그형태가변화하였다. 입을때는몸에꼭맞도록두른다음, 남은부분은앞중심에서두세개 의주름을잡아서정리하고, 허리띠를착용한다. 20) 필리핀의대표적인민족복식은여성들에게가장인기있는바린다와크 (balintawak) 스타일과파다디옹 (patadiong) 이있다. 바린다와크는무릎정도의길이이고흰색의풀스커트 (full-skirt) 이다. 바린다와크는메스티자복 (mestiza) 의한유형이다. 21) 메스티자복의스커트또는드레스를말하는사야 (saya) 는복사뼈까지닿는긴길이의것으로, 보통앞은 1매, 뒤는 2~3매의천을이어다트에의해서모양을만들고허리에묶었다. 성장의경우에는트레인 (train) 을붙이나, 일상복은사야와 < 그림 11> 의타피스 (tapis: 오버스커트 ) 로사용한다. 원래사야는에스파냐의드레스스커트였다. 일찍이필리핀에서는남방계의사롱 (sarong) 이의복의기조였으나한때중국의복의형태를취한이후, 18세기에는에스파냐복의영향을받아사야로변한것이다. 또한 19세기후반에는멕시코와의통상에의하여멕시코복의영향으로타피스를더하여오늘에이르렀다. 22) 인도네시아의민족복식은직사각형의천을접거나몸에두르거나묶어서착용하는형태가대부분이다. 하체에는원통형의사롱이나긴옷감을하체에둘러입으며남녀모두에게가장일반적인형태는지역에따라색상, 디자인그리고소재가다른 < 그림 12> 의카인 (kain) 이라고불리는길고앞이겹쳐져있는스커트이다. 이것은앞쪽에주름을잡거나엇갈리게둘러싸면서입을수있다. 23) < 그림 13> 의사롱은발목길이의원통형치마이며길이는약 107cm, 둘레는 220cm 정도의원통형치마로두개의좁은천을이어서만들거나, 직물의양끝푸서를연결하여만든다. 카인빤장과달리플리츠주름장식이없으며, 옆솔기가막혀있는형태이다. 사롱은머리위부터뒤집어쓴후, 몸에잘맞을때까지안쪽끝을잡아당겨고정한후, 헝겊천으로묶고천으로된허리띠인스타겐 (stagen) 을감아고정한다. 24) 상의를입는경우에 - 115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 그림 9> 사롱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141) < 그림 10> 파사바이 ( 출처 : http://www.seaco m.de/images/cloth01. GIF) < 그림 11> 타피스 ( 출처 : http://www.seaco m.de/images/cloth21. GIF) < 그림 12> 카인 ( 출처 : http://img404.ima geshack.us/img404/8356 /bt2bx0.jpg) < 그림 13> 사롱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205) 도다른아시아지역의복에서도나타나는평면재단형의복식이었다. 여성의상의는크게네가지형태로나눌수있다. 카프탄형태의카바야와바주빤장 (baju panjang), 튜닉형의바주쿠룽 (baju kurung), 판초형의변형으로볼수있는바주보도 (baju bodo), 그리고어깨가노출되거나불리된상의가따로없는원피스형이다. 25) 3) 남부아시아민족복식남부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은여성의경우드레이퍼리 (drapery) 형에속하는사리가대표적으로입혀지고, 남성의경우에는터번이상징적으로씌어졌다. 사리는한곳도재단이나봉제를하지않고기원전부터지금에이르기까지그생명을잃지않고살아남아왔다. 남부아시아에해당하는국가는인도, 네팔, 스리랑카등이있다. 인도의민족복식은드레이퍼리형에속하는사리가대표적으로입혀지고남성의경우머리에는터번이상징적으로씌어졌다. < 그림 14>, < 그림 15> 와같은사리는보통폭은 0.9 1.2m, 길이 4.5 11m로된완전한한장의천으로천끝을감는방법도여러가지이고도티의변형이라고하는사리는한곳도재단이나봉제되지않은천을허리에두르거나가슴을감아주는형식의권의형이다. < 그림 16> 의도티는오랜기원을갖고있는인도남성의대표적인의복으로면직물이나면사와견 사를섞어짠흰색의천을다리와허리에감아바지처럼착용한것이다. 사리는도티와함께그기원이고대까지거슬러올라가는, 아주오랜역사적기원을갖고있는인도여성의대표적인복식이다. 인도대부분의지역에서사리는길고넓은천하나를몸에감아상체와하체모두를가리는방식으로착용된다. 사리는세부분으로구분할때, 사리의세로방향으로원단양쪽끝가장자리선장식, 사리의끝단장식부분, 중심이되는넓은바탕부분으로구성된다. 26) 네팔의민족복식중중간산악지역남자의옷으로상의는보토 (bhoto) 와슈루월 (surwal) 이있다. 보토는원래소매를붙이지않는것이일반적이다. 형태상은깃부터복부에걸친곡선이특징이다. 이위에서민은조끼, 상류계층과왕족계급은뒤가넓은검정색의상의를입는다. 여자복식은 < 그림 17> 의차운반디 (chaunbandi) 로초승달처럼휜앞여밈이있는여성용상의로, 네곳을끝으로묶어고정하는것등모든면에서남성의레베다와거의같지만허리를간신히가릴정도로짧은것이특징이다. 파리야는 40cm 폭에길이가 3m 이상의면직물로만든파투카 (patuka) 라는긴허리띠를여러번감아고정한다. 네팔의북부지역은카프탄형식의투둥 (thedung) 이라는상의와모직으로된바지를입고, 그위에길고헐렁하며긴소매가달린긴외투형, < 그림 18> 의츄바 (chuba) 를덧입 - 116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 그림 14> 사리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109) < 그림 15> 사리 ( 출처 : 아시아전통복식, 1996, p.207) < 그림 16> 도티 ( 출처 : http://www.exoti cindiaart.com/kurtapaja mas/ivory_dhoti_with_z ari_border_yp10.jpg) < 그림 17> 차운반디와파리야차림 ( 출처 : 아시아전통복식, 1996, p.207) < 그림 18> 츄바를입은모습 ( 출처 : 아시아전통복식, 1996, p.209) < 그림 19> 사롱 ( 출처 : 아시아전통복식, 1996, p.210) 는것이다. 츄바는앞여밈을깊숙이겹쳐여민후, 천으로된끝으로허리를고정하여입는데, 이때옷의길이가종아리나무릎길이정도가되도록옷을허리끈위로잡아당겨허리부분이불룩하게되도록입는다. 여자복식은소매가없는길고헐렁한외투처럼생긴안지 (angi) 이다. 안지의여유분은양쪽가장자리부분으로잘정리한후, 마치맞주름을잡듯이뒷중심을향하여접어넘긴후끝으로허리를묶어서고정한다. 스리랑카의민족복식은디자인이간단한형태인데면랩오버 (wrap over) 형태의사롱 (sarong) 이나사리를입는다. < 그림 19> 의사롱은허리에서발목까지의길이이고몸에딱맞고소매가달린블라우스와함께입었다. 사리는블라우스의왼쪽어깨위에늘어진한쪽끝이허리에모아진긴천이다. 남자또한착용자의직업에따라헐렁한흰색셔츠와함께입거나또는위는입지않고면사롱의하의로입었다. 4) 서남아시아민족복식서남아시아지역의여성복식에서는몸전체를감싸는형태가공통적으로나타나는데, 이란여성들은철저하게 < 그림 20> 의차도르 (chador) 를쓴다. 서남아시아의기후는사막성건조기후이므로전신을감싸는옷이주로입혀졌다. 서남아시아에 해당하는국가는이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등이있다. 이란의민족복식중여자의기본의상은아주넓은스커트와바지위에긴소매가달린헐렁한 < 그림 21> 의튜닉이고, 이튜닉은색, 길이, 디자인이다양하다. 16세기경부터착용되기시작한짧은소매에길이와무릎정도길이의커다란직사각형망토형태를보이는남성용외투아바야 (abaya) 를주로남성이착용하지만, 일부이슬람여성들은얇은검은색천으로만든아바야를외투나얼굴을가리는베일과함께장옷처럼뒤집어써서몸전체를가리는데사용한다. 아바야를머리에뒤집어쓰기도하지만대개는어깨에느슨하게걸쳐입는다. 27) 여성의전통적인외출복형태는바지에양말이달려있는착치르 (chakchir) 와머리부터발끝까지완벽하게가릴수있는차도르로구성되었다. 때로는눈을제외한얼굴전체를가리는루밴드 (ruband) 라는베일과차도르를같이착용하기도하였다. 28) 차도르는직경 5 6m의큰반원형보자기로머리에써서얼굴을보이는채로전신을감싸안아턱에서안쪽으로잡아쥐는방식으로발끝까지감춰진다. 아프가니스탄의남자복식은허리에벨트를맨넓적다리길이의긴소매를가진셔츠위에조끼를입고헐렁한바지를입었다. < 그림 22>, < 그림 23> - 117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 그림 20> 차도르 ( 출처 : http://2.bp.blogs pot.com/) < 그림 21> 튜닉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53) < 그림 22> 브르카 ( 출처 : http://upload.wi kimedia.org/wikipedia/c ommons/) < 그림 23> 브르카 ( 출처 : 아시아전통복식, 2004, p.170) < 그림 24> 아바야 ( 출처 : Asian Costumes and Textiles, 2001, p.44) 의브르카 (burka) 는머리부터발목까지전신을풍성한자루로감싼듯한모양의겉옷이며, 눈부분에는망사로가려져있다. 시골여성들은일할때브르카를착용하지않지만낯선사람이나타나면얼굴을가리거나몸을피하고, 엄격한이슬교도이므로여성은신앙에따라전신을검정색계통의베일로덮어쓰고밖으로나가야만했다. 아프가니스탄의북부지방에서는헐렁하고소매없는엉덩이길이의재킷을입거나풍성하고긴줄무늬코트를착용하였다. 남부지방의파키스탄국경지방은길고풍성한바지에카뮤즈와다소유사한긴소매의헐렁한붉은색튜닉드레스를입으며, 주름진머릿수건을착용하였다. 이것은대부분여성의상의기본으로튜닉은길이나디자인이다양하였다. 남성은상의로헐렁하고무릎까지오는긴소매의셔츠인페롱을입고, 자루같이불룩한바지인톰본을입는데허리에서끈으로매는스타일이다. 터번은코파위에감는것으로이를감을때에는끝을약 1m 정도옆이나뒤로늘어뜨려놓았다. 이것은장식적인효과뿐만아니라더위나모래바람을막아주는역할을하며추울때에는입과얼굴을가리는데사용하였다. 이라크의민족복식의형태는다른아랍국가들이입는것과비슷하나명칭과스타일은다르다. 수도바그다드와그부근에서여성들은하쉬미 (hashimi) 라고불리는긴소매가달린헐렁한튜닉 드레스를입었다. 북부의쿠르드인은부족에따라다양한의상을입고있었는데여성의옷은줄무늬가있는유생의면직물로만든길고헐렁한하쉬미를기본으로하고, 벨트나새시를기호에따라착용하였다. 스카프는머리와얼굴주위에늘어뜨리고그위에유색의터번을쓰며, 터번에는술을달거나보석과주화로화려하게장식하였다. 남부와중부지방의여성들은하쉬미를착용하고종종목주위, 앞의아랫부분, 소매의가장자리를은이나금팔찌, 귀걸이발찌, 코걸이, 여러줄의유색구슬로장식하였다. 폭이넓은검은색아바야망토는소녀가일정연령에이르렀을때처음입는것으로의상에서필수적이였다. 여성들은하쉬미밑에발목까지오는폭이넓은바지를착용하였다. 남성의상은기본적인의상위에 < 그림 24> 와같은형태의아바야를착용하는데, 아바야는낙타털로만들어지며흰색, 갈색, 검은색또는무지이고앞의아랫부분과소매트임을끈으로매우정교하게장식되었다. 2. 아시아지역민족복식특징비교및분석동부아시아지역의국가는한국, 일본중국이있으며, 중국에서형성된도교와유교, 불교의수용, 한자문화권이라는공통점에서종교와문화적전통을공유하고있다. 동북아시아의특징은북방 - 118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계와남방계의복식이융화돼나름의독자적인형태가나타난다는점이다. 민족복식은공통적으로카프탄형 (caftan) 으로소매가있는앞트임의전신의를여며입는형태로평면적구성의넓은깃과직선형소매, 허리띠가공통적특징이다. 29) 시대나나라별로옷의폭이나소매폭, 길이등이다양하지만대체로직선형의실루엣과직선재단의평면적의복형태로허리띠나끈을통해몸의실루엣을강조하는복식의형태가나타나고있다. 원칙적으로앞이나누어져있어앞을여미고끈으로매는입는형태적특징으로여유로운실루엣이지만어느정도체형에맞도록구성되어있는것이특징이다. 동남아시아지역의국가는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등이있으며공통적으로발견되는기본적인복식은긴천을허리에두르는요의, 요권의형태이다. 한장의천으로만든통치마형태의사롱형, 허리끈, 숄이공통적특징이다. 가장원시적인형태로는봉제하지않은사각형의넓은천을두른후남은주름을잡아몸에맞도록고정하는방식이며, 특징은하나의봉제선을처음으로원단에재단한사롱형의복이라할수있다. 남부아시아지역의국가는인도, 네팔, 스리랑카등이있으며민족복식은드레이퍼리형의형태와화려한장신구가공통적특징이다. 특이한점은네팔은지역에따라옷의형태가달리나타나는데이는지역에따른기후의차이가복식의형태에큰영향을준다는것을알수있게해준다. 이지역은장방형또는반월형의천을어깨에걸쳐몸을감싸입는의복의형태를이루고있다. 천을둘러서입는옷은체형에관계없이착용할수있는장점이있다. 또한천을느슨하게두르면통풍성이우수하고, 몇겹으로밀착시켜두르면보온성이뛰어난특징이있다. 벗었을때는간단하게접어서부피가크지않게보관할수있는편리함도있다. 의상이인체에붙지않아여유가있어 보이며, 동작에따라서생기는음영이나수직선, 사선등의자연스러운주름으로인해우아하면서도아름다운형태미를연출한다. 서남아시아지역의국가는이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등이있으며민족복식은인체의윤곽선을드러내지않고몸전체를감싸는형태가공통적으로나타났으며, 특히여성의경우는머리부터발끝까지완벽하게가릴수있는형태가특징이다. 본논문에서는아시아지역을 4개로구분하고각나라별디자인의형태적특징을분석해보았다. 그결과옷감을몸에맞도록재단해입는방식이서양의방식이라면아시아지역은옷감그대로의직선적인형태를응용해만드는형태가주를이루고있다. 시대와나라에따라서다양한실루엣과형태적특성을보이고있지만본논문에서는단순한직선형실루엣의형태만을분석하여다음과같이작품제작에표현할아시아지역민족복식형태의공통적특징을두가지로제시한다. 첫째, 직선적인실루엣의평면형으로착용자의바디에의해자연스럽게흐르는실루엣으로착용자에의해다양하게연출되고있다. 둘째, 정형화되지않은비구축적인특징을지니고있어서자연스러운여유와부드러운느낌을주는한편결정되지않은가변성과풍성함이조형적요소로부각되고있다. 아시아지역구분에의한민족복식의형태적특징을분석하면다음 < 표 1> 과같다. III. 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지역민족복식특징 2001 S/S 2011 S/S 컬렉션의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안룩을조형적형태미로분석한결과다음과같이두가지상반된특성으로도출할수있었으며, 다양한패션디자인으로그응용이활발하 - 119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 표 1> 아시아지역민족복식형태적특징 동부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부아시아 서남아시아 국가 한국 일본 중국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네팔 스리랑카 이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대표복식 왕복백복서리복명부복일반복 기모노 포괘치파오 파사바이파사롱파츙카벤파신 형태 평면적구성의직선재단 치마가사선으로넓게퍼진형태미 직선적인실루엣 직선형평면구성 허리선이곧고평평한형태 직선재단의평면적의복 19 세기에는몸에맞는실루엣으로변형 봉제하지않은사각형의넓은천을두른후주름잡음 디테일 어깨에비해도련의폭이넓음 소매의폭이포길이의절반차지 겨드랑이에서이어지는소매는일자형 17 세기중반은소매가겨드랑이에서시작되어서소매끝에서줄어드는모양이특징 시대에따라서옷의폭이나소매폭, 길이, 깃의크기등이변화 개방부분이많음 소매의겨드랑이부분의트임 직선형의깃과좌우를포개어여미는사선형전개형여밈 오비라는허리띠 차이나칼라 치마단슬릿 띠대신단추사용 몸에꼭맞도록두름 남은부분은주름을잡아정리 허리띠 바린다와크 복사뼈까지닿는긴스커트파다디옹 사롱형태, 직사각형의천 천을이어다트에의해서모양을만들고허리에묶음 사롱카인 사리 보토, 슈루월츄바차운반디등 사롱사리 튜닉아바야착치르차도르등 브르카커뮤즈페롱, 톰본등 하쉬미아바야 직사각형의천 평면재단형의복식 드레이퍼리형 재단이나봉제를하지않음 ( 완전한한장의천 ) 긴소매가달린긴외투형 랩오버직사각형의원단 직선형의실루엣 얼굴과전신을감싸는형태 헐렁한실루엣 직사각형의망토형태 발목길이의원통형치마 몸에두르거나묶어서착용 스커트는앞쪽에주름을잡거나엇갈리게둘러싸는형태 허리띠인스타겐으로고정 원단양쪽끝가장자리선장식 사리의끝단장식부분 앞여밈을깊숙이겹쳐여밈 허리띠를사용해고정및실루엣변형 허리에서발목까지의길이의사롱과몸에맞는블라우스착용 왼쪽어깨위에늘어진한쪽끝이허리에모아진긴천 긴소매 커다란직사각형망토형태 바지에양말이달려있는착치르 머리부터발끝까지완벽하게가릴수있는차도르 여성의경우얼굴을가리는베일형태착용 앞의아랫부분과소매의트임끈장식 발목까지오는폭이넓은바지착용 카프탄형 요의형 ( 사롱형 ) 요권의형 ( 드레이퍼리형 ) 몸전체를감싸는형 - 120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 그림 25> 비블로스 2011 S/S ( 출처 : < 그림 26> 로메오질리 2008 F/W ( 출처 : < 그림 27> 랑방 2008 S/S ( 출처 : < 그림 28> 코스튬내셔널 2007 S/S ( 출처 : < 그림 29> 끌로에 2003 S/S ( 출처 : 게시도되고있다. 첫째, 비정형화된형태로장식성의절제미를통해동서양융화적이미지를나타내고있다. 현대패션에반영된복합, 절충적이미지는형태가변형되어나타나는과장된장식을피하고간결하고절제된표현으로직선적구조로표현되고있다. 즉, 자연스러운실루엣을위해단순한표면재질의소재와화려하고복잡한구도의문양을피함으로절제의미를수용하고있다. < 그림 25> 는중국차이나칼라, 중국인노동자들이입는옷을연상시키고전통적인흐름을유지함과동시에서양의느낌을가미하여동서양의적절한융화를보여주고있다. < 그림 26> 은고름디테일을가미하여형태미와재질감을부각시켰다. < 그림 27> 은직선형태의천을두른드레이퍼리형인도풍아시안룩의예로여러해에걸쳐다수나타나고있다. 디자인 의특징역시체형에큰구애를받지않는개방된형태로서모두서구복식의폐쇄적, 곡선적형태와반대되는개념을지닌다할수있다. < 그림 28> 은차이나칼라의형태를응용한합성섬유소재의재킷들은실용적이고차분한느낌을준다. < 그림 29> 는인도의민속복식중허리부분을노출하는짧은상의인쵸리 (choli) 를변형시켜길이를길게표현하였고금색액세서리를사용하여인도풍의이미지를부각시키고있다. 둘째, 과장된왜곡미는아시아복식의외적형식과상징적이미지를유희적특성으로부각시켜서구의시각으로재해석한디자인의특성이라할수있다. 즉, 사상, 종교등의내적의미가사라지고단순하게외적형식의요소만을모방하여절충하는양상으로변화되었다는것이다. < 그림 30> 은힌두교여성들이의례복식으로여긴사리를과장 < 그림 30> 설윤형 2002~2003 F/W ( 출처 : < 그림 31> 존갈리아노 2006 S/S ( 출처 : < 그림 32> 설윤형 2002~2003 F/W ( 출처 : < 그림 33> 존갈리아노 2006 S/S ( 출처 : < 그림 34> 존갈리아노 2003 S/S ( 출처 : - 121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된볼륨감과미스매치된프린트와패턴, 과도한장식적요소들로꾸며아시아풍의문화적요소와감성의절충및혼합을통해창의적인스타일을연출하고있다. < 그림 31> 은얇고가벼운노방을이용하여레이어링하는방법으로독특한색감을느끼게하였다. < 그림 32> 는한국복식소매의배래선을응용한작품으로색동을함께사용하여색채의대비효과를통해유희성을표현하고있다. < 그림 33> 은기모노의실루엣을기본으로일본에대한화려함이강하게표현된종이접기기법, 섬세한자수기법과화려한색채를존갈리아노스타일의부풀어진소매와어깨볼륨감그리고여러겹이겹쳐진드레스로연출하였다. < 그림 34> 는중국풍의상을빅사이즈로형태미를부각시키고일본의조리를응용한샌들을표현하여혼방의문화적요소를표현하고있다. IV. 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디자인특징 아시아지역민족복식형태의특징은직선적인실루엣을위해천을재단과봉재를하지않고착용자의바디에의해자연스럽게흐르도록디자인하였으며착용자에의해다양하게표현되고있다. 또한정형화되지않은비구조적인특징을지니고있어서자연스러운여유와부드러운느낌을주는한편결정되지않은가변성과풍성함이조형적요소로부각되고있다. 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사례를고찰한결과비정형화된형태미로장식성의절제미와과장된왜곡미의두가지상반된양상이표현되고있다. 전통적인아시아지역민족복식에는여러가지내적의미를담고있는반면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지역민족복식에서는내적의미가사라지고단순하게외적형식의요소만을모 방하여절충하는양상으로변화되었다.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을고찰한결과와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사례를통해다음과같이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 3가지조형적특징을도출할수있다. 첫째, 직선적실루엣의비구조적인평면성이다. 인체의곡선을드러내기위한다트나라인등을가지지않는비구조적인평면성은직선적인실루엣으로나타나며 30), 신체와의복사이의일정한공간을부여하여풍성함을특징으로표현한다. 자연스러운여유와직선적인선은형태적특성으로활용되어강조되고인체를구속하지않은사각형패턴의여유, 인체에대한최소의기능성만을고려하여접근할수있다. 이러한형태는서양구성학적인절차를거부함으로써신체의형태를재해석하고인위적인패턴을부정하는동시에모든가능성을모색할수있는순수성을내포하고있다. < 그림 35> 는평면재단과견직물을사용한디자인으로조각보와색동, 흑색기하문을연상시키는패턴을응용하였다. < 그림 36> 은바지의형태를단순하고평면적으로재단하여윗부분을끌어올려허리띠만으로착용이가능하게한작품이다. 또한여유로운상의와의조합으로유연함과자연스러운실루엣의조화를표현하고있다. 둘째, 유기적인율동미는인체에밀착되지않는풍성한형태로여유분이자연스러운실루엣을형성하며유동적인주름이다양한실루엣을유도한다. 평면으로구성되는복식의착장으로획일적이거나인공적이지않는자연스러운주름의형태를형성하고인체의움직임에다양한율동미를부각시킬수있다. 수직, 수평적구성선의거부, 비대칭의원리등균형과대칭의속박에서벗어나형태에새로운생동감과변화를추구하여창작자의신체적움직임에따라유기적인율동미의자연스러운실루엣을표현할수있다. < 그림 37> 은끌어올린치마단의느낌을연출하기위해허리에서끈으 - 122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로여며볼륨감을형성하고비구조적인재단에의한자연스러운유기적인율동미를통해공간감을형성하고있다. < 그림 38> 은평면적재단을통해입체적인면을강조함으로써혼합된미를표현하고인체에의해형성된풍성한주름은면적감을부각시켜하나의조형적형태감을표현하고있다. 셋째, 형태의가변성이주는비균제적인미는현대복식에서많이사용되고있는일정하지않은형태로복식형태의파괴와기존의개념을부정하면서전위적인분위기를연출해내게된다. 31) 이러한형태의가변성은착용자의다양한여밈방식으로불규칙성, 불완전성등을표현할수있다. 옷고름의비대칭은깃과비대칭과함께균형을깨는비균제성의특징으로파격의미를불러일으킨다. 32) 비대칭, 불균형, 부조화를바탕으로인위적이지않고계획되지않은절제의미를보여주며무형식성을통해복식의기본적인목적과기능성을해체할수있다. < 그림 39> 에서보이는바지의풍성한형태는편안함을추구하고허리띠형태는착용자의다양한착장방식에따라풍성한실루엣과허리를강조하는디자인으로변화시킬수있는가변성이있다. < 그림 40> 은한국의전형적인포형태를현대적인감각에어울리게단순화시켰으며정교하게누빈띠를허리에둘러포의평면적인구성을입체적으로연출하는미적특성을보이고있다. V. 작품제작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특징과현대패션에응용된아시아복식의특징을디자인조형요소로분석하고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조형적특징을 3가지로추출하여총 10점의디자인을개발하였다. 작품의전체적인형태는직선적이고비구조적이며평면적인형태를사용함으로써인체와의복간의공간감, 유기적인율동미, 인위적이지않은비구조적인조형미, 형태의가변성으로인한현대적미를표현하였다. 소재는평면적구성에서비롯되는미적특징을효과적으로표현하기위하여실크, 면, 마, 울, 퍼를응용하고공단과캐시미어혼방을사용하였다. 컬러는오렌지, 그린, 블루, 퍼플, 바이올렛, 무채색등을사용하였고문양은현대적이미지로재해석된자연친화적인것을사용하였다. 디테일은인체의흐름에맞는자연스러운주름, 착용과활동에용의하도록트임을만들고비대칭의사선여밈과드레이프성, 전통복식의복잡한착장방식을단순화하여활동성을강조하였다. < 작품Ⅰ> 의형태는서양의볼레로와동양의저고리에서모티브를얻어저고리의깃을없애고옷고름을축소시켰다. 소재는현대패션에자주등장하는시스루룩인노방을사용하여표현하였다. 색채는전체적인무채색에소매부리를노란색으로 < 그림 35> 오은환 2003 S/S ( 출처 : http://www.firstview.com/) < 그림 36> 김삼숙 2003 S/S ( 출처 : http://www.firstview.com/) < 그림 37> 김선자 2002 F/W ( 출처 : http://www.firstview.com/) < 그림 38> 진태옥 2009 F/W ( 출처 : http://www.firstview.com/) < 그림 39> 설윤형 2003 F/W ( 출처 : http://www.firstview.com/) < 그림 40> 이영희 2004 F/W ( 출처 : http://www.firstview.com/) - 123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표현하였고복잡했던전통적인착장방식에서벗어나단순한여밈을통해착장방식을간소화시켜생활화할수있는작품을제작하였다. < 작품 Ⅱ> 는아시아복식의직선적이고비구조적이며평면적인형태를나타내기위하여직사각형의넓은천에옷깃과소매등을덧붙여두루마기형상의를디자인하였다. 사각의천에띠를두르는아주간단한구조로써입었을때일정한형태가없는자연스럽고흘러내리는듯한스타일로써움직임에따라유동적인형태를나타내고있다. 또한복잡한착장방식을단순화하여자유로운여밈의착장이가능하도록하였다. 색채는청색에붉은색이도는투톤원단을사용하여동서양의융화를상징하였고소재는폴리혼방을사용하였다. 디테일은옷고름부분의트임을주어옷고름이자유롭게착장될수있도록표현하였다. < 작품 Ⅲ> 은직선적실루엣의직사각형의넓은천에직선형의소매를붙이고옷깃을없애여밈의착장방식에구애받지않도록디자인하였다. 입체적인부피감을나타내면서이미계획된형태감을강조하도록디자인하였다. 또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공통적인특징중하나인허리띠를디테일포인트로넓게만들어복부를충분히감싸는체형보완과함께자유로운착장이가능하도록하여형태의가변성을주었다. 색채는자주색을사용하였으며소재는자연친화적인문양으로구성된공단을사용하였다. < 작품 Ⅳ> 는평면적이며비대칭의사선여밈을통해유기적인율동미가느껴지는형태의가변성이나타나도록표현하였다. 자연스러운여유와부드러운느낌을주는한편결정되지않는가변성과풍성함을특징으로하는형태미를갖도록디자인하였다. 색채는초록색을사용하였고소재는마를사용하였다. < 작품 Ⅴ> 는장방형의천에소매를붙이고옷깃을넣지않음으로써가변적인형태와깃부분에 자연스럽게흐르는드레이퍼리를표현하였다. 또한다트를잡지않고평면적인형태로인체와의복간의공간감을주었다. 색채는자주색을사용하였고소재는면을사용하였다. < 작품 Ⅵ> 은직선적인형태의재킷으로깃을명확히구분하지않고자연스럽게길과이어지도록하였다. 색채는회색과주황색을사용하였으며소재는실크와면을사용하였다. 디테일은기하학적인문양을주황색의실로마감을하지않은것과옷고름을현대적으로재해석하여착용자의기호에따라다양하게체결할수있도록디자인하였다. < 작품 Ⅶ> 은인체의실루엣을살리지않은직선적인형태로현대적인느낌의라운드네크라인을표현하였다. 색채는검정색을사용하였고소재는천연섬유인면을사용하였다. 디테일은기하학적인문양과작은단추로여밈을표현하고, 밑단에트임을주어활동성을강조하였다. < 작품 Ⅷ> 은직선적인형태의조끼형태로비구조적인조형미와형태의가변성이나타나도록표현하였고유기적인율동미가특징이다. 또한인체의실루엣을부각시키지않는넉넉한품으로인체와의복간의공간감을표현하였다. 소재는부드러운공단과캐시미어혼방을양면으로사용하고, 색채는파란색과아이보리색을사용하였다. 디테일로공단에표현된자연과관련된꽃문양을사용하여상징적의미를표현하고자하였다. < 작품 Ⅸ> 는장방형의천에직선적인실루엣으로축늘어뜨려진선과헐렁한소매로인하여권의의효과도나타내고있으며, 옷의조각들은체형에맞추었다기보다는거의직사각형으로천을똑바로이어맞춤형인혼합형으로디자인하였다. 색채는회색과아이보리, 금색을사용하였으며, 소재는캐시미어혼방과금사로된당초문양을상징적으로표현하였다. < 작품 Ⅹ> 은두루마기형의상의로인체의곡선을살리지않은직선적인형태로인한인체와의 - 124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복사이의공간감을형성하고그로인한유기적인율동미와형태의가변성을표현하였다. 색채는파란색과회색을사용하였고소재는면과실크를사용하였다. 디테일포인트는비대칭의사선여밈이특징이다.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을응용한디자인 10점을디자인의조형요소별구성및특징으로분류하면다음 < 표 2> 와같다. < 표 2> 디자인조형요소별작품의구성및특징 작품 Ⅰ 작품 Ⅱ 작품 Ⅲ 작품 Ⅳ 작품 Ⅴ 사진 형태 색채 소재노방폴리혼방공단마면 디테일 단순한여밈, 소매부리색상 비대칭사선여밈 허리띠 비대칭사선여밈, 드레이퍼리 드레이퍼리 작품 Ⅵ 작품 Ⅶ 작품 Ⅷ 작품 Ⅸ 작품 Ⅹ 사진 형태 색채 소재 실크, 면, 기하학적인문양 면 실크, 퍼 캐시미어혼방, 금사로된당초모양 면, 실크 디테일단순한여밈라운드칼라, 단추 비대칭사선여밈, 드레이퍼리 비대칭사선여밈 비대칭사선여밈 - 125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VI. 결론 서양복식의영향으로인해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은전통의례의예복과축제복으로활용되고있지만최근타문화권에대한긍정적수용과동양적세계관의주목으로인해아시안룩이주목을받고있다. 아시아지역은지역적, 사회적, 경제적교류를통해서로영향을주고받으며복식을발전시켜왔다. 그러므로아시아특정지역에대한고찰이아닌아시아전지역의민족복식에관한연구와현대패션에서응용되고있는아시안룩의형태미를통해복식의융합된형태를반영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을응용한패션디자인을제안하였다. 본연구는먼저아시아지역을동부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남부아시아 4개지역으로구분하고디자인을실루엣중심의형태적특성으로비교분석하였다. 또한현대패션에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이응용된형태적특성을분석하여공통된특징을도출하였다. 분석된결과를통해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적특징을고찰하고, 이를디자인가이드라인으로정립한후 10점의패션디자인을제안하였다. 그결과첫째, 아시아지역민족복식형태는각나라의종교, 사회, 문화등에따라다양한실루엣과형태미를가지고있었다. 이러한특징중보편적으로사용되고있는형태적특성은단순하고직선적인실루엣으로착용자의바디에의해자연스럽게흐르는실루엣으로착용자에의해벨트와끈으로다양하게연출되고있었다. 또한정형화되지않은비구축적인특징을지니고있어서자연스러운여유와부드러운느낌을주는한편결정되지않은가변성과풍성함이조형적요소로부각되고있었다. 둘째, 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룩의이미지를분석한결과비정형화된형태미로장식성의절 제미와과장된왜곡미의두가지상반된양상이표현되고있다. 내적의미보다는외적형식의요소만을응용하여표현하는양상으로변화되고있었다. 셋째,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에서보이는특징과현대패션에나타난아시아복식의특징을디자인인특징으로분석하고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적특징을직선적실루엣의비구조적인평면성, 유기적인율동미, 형태의가변성으로도출하였다. 위의연구결과를통해현대패션에적용가능한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을응용한패션디자인작품제작연구결론은다음과같다. 첫째, 평면형의직선적인실루엣을통한공간적인형태미는아시아룩의전통미를표현해주는동시에현대패션의조형적요소로도활용되고있어현대적인재해석을할경우그가능성이무한하다. 둘째,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에서보이는자유로운여밈은다양한비균제적인미를표현하는방법이며특히현대적인이미지로비례, 균형, 율동미등을적절하게표현한다면그가능성을기대할수있을것이다. 셋째, 비구조적인평면성을통해근본적인선을발전변형시킨디자인개발은현대적감각으로재구성이가능하여패션테마의다양성과확대가높다는특징이있다. 현재와과거는인간중심적이며자연친화적이미지로아시아복식의평면적인형태와다양한색상, 전통성을고수하면서이것을이용하여서양의미와조화시켜복합적이고창조적인패션을보여주는연결고리를가지고있다. 이에본연구는이러한특성을반영하여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을응용한패션디자인을제시하였으며, 이를통해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이세계화, 현대화, 생활화할수있는계기가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 126 -
아시아지역민족복식의형태미를응용한패션디자인연구 본연구의한계점으로는지나치게넓은연구범위설정으로인해각국의민속의상이가지는소재, 문양의고유성이부각되지못한아쉬움이있다. 이에본연구를바탕으로각국의고유성과아시아복식의공통점이융합된발전된디자인개발이있기를기대한다. 29) 안명숙, 장애란. 앞의논문, pp.105-106. 30) 양정숙 (2003). 한국복식의조형성을응용한디자인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112. 31) 위의논문, p.67. 32) 위의논문, p.58. 참고문헌 1) 최세완 (1992). 현대패션에표현된한국복식의전통미,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15. 2)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 열화당, p.33. 3) 유이황, 송은선, 옥영진 (1996). 복식문화, 서울 : 교문사, pp.58-59. 4) 위의책, p.57. 5) 위의책, p.41. 6) 위의책, pp.42-43. 7) 위의책, p.48. 8) 위의책, p.50. 9) Kahlenberg, M. H. (2001). Asian Costumes and Textiles, Itary: skira, p.257. 10) 안명숙, 장애란 (1998). 아시아지역의민족복식연구, 광주대학교민족예술연구소논문집, 7(-), p.92. 11)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2004). 아시아전통복식, 서울 : 교문사, p.51. 12) 하수정 (2004). 현대패션에나타난오리엔탈이미지비교분석 : 동서양패션디자이너를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26. 13) 위의논문, p.29. 14)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앞의책, p.57. 15) 위의책, p.33. 16) 위의책, pp.39-44. 17) 안명숙, 장애란. 앞의논문, p.89. 18)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앞의책, p.79. 19) 위의책, pp.82-85. 20) 위의책, p.84. 21) 안명숙, 장애란. 앞의논문, p.91. 22) 네이버백과사전 ( 검색어 : 사야 ), 자료검색일 2011. 6. 1. http://100.naver.com/100.nhn?docid=83864 23)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앞의책, p.93. 24) 위의책, p.99. 25) 위의책, pp.94-95. 26) 위의책, pp.121-122. 27) 위의책, p.166. 28) 위의책, p.169. - 127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제 11 권 2 호 (2011.6)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Formative Beauty of Ethnic Costumes of Asia Lee, Jae Jung ㆍ Kim, Youn Hee + ㆍ Son, Min Joo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Concurrent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 Master s course, Dept. of Fash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bstract In the 20 th century, Asia started to stand out as an important position historically in terms of politics and the economy, and Asian style surfaced as one of the cultural trends that leads global culture as it combines with cultural factors such as 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id planning of a product that reflects a mixed form of costume history of Asia by developing a design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thnic costumes of the Asian region which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Theoretical examina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cases of Asian style presented in contemporary fashion since the year 2000 and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literature about ethnic costumes of Asia from the end of the 16 th century to 19 th century.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thnic costume of the Asian region that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a plaintive planar characteristic of a linear silhouette, second, organic rhythmical beauty, third, variability of form, and fourth, symbolic expression of external elements. 10 types of designs that applied ethnic costumes of Asia were developed through formative approaches based on the four formative characteristics abov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f fashion design production that applies ethnic costumes of the Asian region to contemporary fashion is as follows: First, the formative beauty of space implemented through a planar straight line is utilized as a sculptural element of contemporary fashion while simultaneously highlighting the features of Asian tradition, and thus offers limitless potential when re-interpreted to a contemporary perspective. Second, the free adjustment in the ethnic costumes of Asia is a way of expressing diverse asymmetric beauties, and if expressed properly with the use of elements such as proportion, balance and motion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presents limitless potential. Third, designs developed through modification of base line on a non-structural plane can be re-organized in a contemporary sense, and can accommodate extensive themes of fashions. Key words: Asia, ethnic costume, plaintive planar characteristic, organic rhythmical beauty, variability of form - 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