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02D322DBDC4C7B0C0AFC5EBC7D0C8B8C1F62E687770>

Similar documents
untitled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35~55 학술 전력시장가격에대한역사적요인분해 * 35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 요약 > 12 월무역경기확산지수는수출 52.6p, 수입 41.0p 월수출경기확산지수는전월대비 상승한 음영부분은수출경기순환국면의수축국면을의미 확산모습을두드러지게표현하기위하여수출경기확산지수를 개월중심항이동평균함 월수입경기확산지수는전월대비 하락한 음영부분은수입경기순환국면

Ⅰ. 연혁 및 특성32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DBPIA-NURIMEDIA

2015 년 3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 농산물과수산물을중심으로농축수산물수입가격은전년동월대비 하락 년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는 월 전년 동월대비는 하락 전월대비 하락 농산물 견과류를제외한전품목하락으로전년동월대비 하락 전월대비 하락 축산물 전년동월대비 상승 전월대비 하락

<B8F1C2F7BFDC20C0A7BFF82E687770>

에너지경제연구제 16 권제 1 호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6, Number 1, March 2017 : pp. 95~118 학술 탄소은행제의가정용전력수요절감효과 분석 1) 2) 3) * ** *** 95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4D F736F F D20BFF8C8ADB0ADBCBCBFA1B5FBB8A5BBEABEF7BFB5C7E2B9D7BDC3BBE7C1A12E646F63>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태풍영향_과일,채소류(김장채소포함)수출입동향_hwp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유선종 문희명 정희남 - 베이비붐세대 소유 부동산의 강제매각 결정요인 분석.hwp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비상업목적으로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할경우내용의출처를명시하면자유롭게인용할수있으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경제연구실 : 주원이사대우 ( ,

2012 년 9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수입가격모두전년동월대비하락 년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는 월 전년동월대비는 하락 전월대비 하락 농산물 견과류는상승하였으나채소류 과일류 곡물류를중심으로전년동월대비 하락하여 년 월상승이후 개월연속하락 전월대비 하락

2012 년 8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수입가격모두전년동월대비하락 년 월농축수산물수입가격지수는 월 전년동월대비는 하락 전월대비 하락 농산물 견과류는상승하였으나채소류 과일류 곡물류를중심으로전년동월대비 하락하여 년 월상승이후 개월연속하락 전월대비 하락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9, Number 2, September 2010 : pp. 1~18 가격비대칭성검정모형민감도분석 1

C H A P T E R 5 대외거래 01 수출입총괄 02 수출 03 수입 04 무역수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1, Number 2, September 2012 : pp. 1~26 실물옵션을이용한해상풍력실증단지 사업의경제성평가 1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2

소비자물가조사 과장 : 김윤성 ( ) 서기관 : 박은영 ( )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8, Number 1, March 2019 : pp 에너지전환정책및고령화가국민경제에미치는영향 : 확률적중첩세대일반균형모형 (Stochastic Overlapping Genera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 BBF3B9DDB1E2204B444920C0FCB8C12E687770>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1, Number 2, September 2012 : pp. 57~83 발전용유연탄가격과여타상품가격의 동조화현상에대한실증분석 57

SIR Á¦16È£.hwp

1 (%) Composite leading index OECD EM big

hwp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차 례 Ⅰ. 검토배경 1 Ⅱ. 부문별평가 4 1. 소득 4 2. 고용 연관효과 ( 고용제외 ) 경기 21 Ⅲ. 정책과제 27

( ) 현지정보 연준의 2019 년스트레스테스트시행관련주요발표내용 2.5 (CCAR: Comprehensive Capital Analysis and Review) 1. 시나리오에포함되는경제변수및내용 28 o GDP ( ), ( ),, CPI, (3,

2015년 8월 제도변화 내용 1) 8월 11일 중국 인민은행은 위안화의 달러에 대한 매매기준율( 中 間 價 ) 을 전일 6.12 위안에서 1.86% 절하한 6.23 위안으로 고시하는 동시에 위안/달러 매매기준율 고시제도 개선에 관한 성명 을 발표함. - 이후 8월 1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8%) 반도체 (7.0%) 기계류 (9.6%) 등은증가한 반면승용차 ( 14.6%) 의약품 ( 5.5%) 등은감소 ( 소비재 ) 승용차 ( 14.6%) 소고기 ( 3.1%) 등은감소했으나, 의류 (16.4%) 가전제품 (20.7%


공동 보도참고 자료 배포즉시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권혜진 FTA 협상총괄과장 ( ), 이가영사무관 (5753) 최호천국내대책과장 ( ), 주정제사무관 (4143) 농림축산식품부이상만축산정책과장 (

소비자물가조사

Global Market Report Global Market Report 2017 년 1 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 1 -


164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Global FDI Briefing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소준섭

2013 년 11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BAEAB8AEC7C D3037C8A32834BFF93138C0CF292E687770>

제 2 부 경제현안 분석 2. 수출시장점유율과수출품목구성의변동 중국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급증하기 시작한 1993 년을 정점으로 일본의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왔으나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완만한 증가 추세를 유지 1980 년대까지 세계 수출시장을 주도하였던 일본의 시

<5BC6EDC1FD5D20BDC3C0E5B0E6C1A6BFACB1B C1FD2031C8A32E687770>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24.2%) 반도체 (11.9%) 승용차 (52.1%)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9.1%) 의약품 ( 6.2%) 등은감소 ( 소비재 ) 사료 ( 7.3%) 소고기 ( 2.4%) 등은감소했으나, 승용차 (52.1%) 의류 (5.8%)

Microsoft PowerPoint - LN05 [호환 모드]

한국체육학회지.hwp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ÀÌÁÖÈñ.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DBPIA-NURIMEDIA

<3339C8A32DC6EDC1FDC1DF2E687770>

<C7D1B1B9C0C720B3EBB5BFBCF6BFE420B1B8C1B6BFA120B0FCC7D120BFACB1B82DC3D62E687770>

( 수출현황 ) 품목별실적및특징 반도체 수요 서버및스마트폰등 증가지속등 으로 개월연속 억불대기록및 개월연속수출증가세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패널경쟁심화속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수요확대에힘입어 개월만에증가전환 휴대폰 프리미엄스마트폰수출호조등으로 개월 연속수출증가 컴퓨터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경제학석사학위논문 원 / 달러실질환율과한 미무역 2016 년 8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경제학부경제학전공 추동완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3%) 반도체 (17.8%) 기계류 (11.7%)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3.2%) 승용차 ( 10.2%) 등은감소 ( 소비재 ) 의류 ( 1.8%) 승용차 ( 10.2%) 등은감소했으나, 조제식품 (11.9%) 가전 (9.9

IDP www idp or kr IDP 정책연구 한국경제의구조적문제와개혁방향 민주정책연구원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2D3828C8AE29B9DAC3B5B1D42E687770>

<38C8A32DC6EDC1FDC1DF2E687770>

ㅈ Issue Analysis [ 현황 ] 연초위안화환율은중국인민은행의기준환율수준에따라급등락 새해들어외환시장개장전발표되는위안화기준환율이전일시장환율종가를크게벗어나는수준으로고시되면서환율변동성이확대 - `15 년 8/11 일산정방식변경 * 이후소폭에그쳤던기준환율과전일시장종가

요약 WTO 국별수출통계에따르면, 2010 년상반기기준우리나라의세계수출순위가 7위 (2009 년 9위 ) 로상승했을뿐아니라주요수출국가중한국과중국만이금융위기이전수준을초과한것으로나타났다. 우리와수출규모가비슷한이탈리아, 벨기에의상반기수출은 2008 년동기에비해 20% 이상감

untitled

슬라이드 1

<3335C8A32DC6EDC1FDC1DF2E687770>

Microsoft Word - ICT Zoom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30.3%) 반도체 (8.4%) 승용차 (44.3%) 는증가, 석탄 ( 2.0%) 정밀기기 ( 1.9%) 는감소 ( 소비재 : 18.0% 증가 ) 승용차 (44.3%) 가전제품 (22.1%) 등은증가, 사료 ( 3.1


DBPIA-NURIMEDIA

최근전북지역의수출부진현황및시사점 한국은행전북본부

13대 목 216 년 2 월 주력목의 수출 증감 요인 ㅇ 전년 2 월은 고가 해양플랜트가 다수 포함되었으나, 금년 2 월은 상선 위주 수출로 수출 감소 선박류 (-46.%) ㅇ (선가지수) 7 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13 년 발주량 증가로 단 상승, 하지만 14 년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슬라이드 1

<C6F7C4BFBDBA3235C8A32DC6EDC1FDC1DF2E687770>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Transcription: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for Korean Vegetables 이창욱 ** 박재홍 *** 20) Lee, Chang-Uk Park, Jae-Hong 목 차 ABSTRACT Ⅰ. 서론 Ⅱ. 채소수출현황 Ⅲ. 채소실질실효환율추정 Ⅳ. 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환율변동의영향분석 Ⅴ. 요약및결론참고문헌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calculated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reer) for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exchange rate for the price competitiveness and exports of Korean vegetabl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ER index volatility was larger and the competitiveness gap between the vegetable items have increased compared to the period before the financial crisi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REER for export volume after the financial crisis have overall increased than before the financial crisis. Third, the impact of the nominal exchange rate fluctuations on the international price competitiveness of export vegetables was different among items. * 이연구는 2011 년도영남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에의한것임. ** 영남대학교식품산업경제학과박사과정, ( 재 ) 경북농민사관학교책임연구원 *** 교신저자, 영남대학교식품자원경제학과부교수 117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After the financial crisis, such influence have got smaller and the impact of the price competitiveness to the export volume became also weaker.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the export of vegetables, enhancing the product quality, diversifying export product, and solving imbalance of the domestic supply and demand by securing non-price competitiveness is importantly suggested. Key Words vegetables, exchange rate, export,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Ⅰ. 서론 원화가치의변동은수출상품의외화표시가격변동을통해국제시장에서가격경쟁력을변화시킬뿐아니라수입상품의원화표시가격변동을통해국내시장에서국산품의가격경쟁력을변화시킴으로써국내경제에상당한영향을미치게된다. 한편환율변동이수출및수입에미치는영향은각무역상대국과품목별로다르게나타나는것이일반적이다. 이러한환율변동이농산물수출에미치는영향을보다엄밀하게분석하기위해서품목별수준에서실질실효환율에기반한가격경쟁력변화를파악하는것이필요하지만이에대한연구는거의없다고할수있다. 실질실효환율을계산한국내연구는주로전산업을포괄하는단일의실질실효환율을통해외환위기이전과이후기간에대한환율의적정성을평가하는데논의의중심이맞추어져왔다. 이영우 (1999) 는외환위기이전원화환율이약 10% 정도고평가되어있었고외환위기이후에는급격한명목환율의상승으로저평가되었다고평가한반면 Chinn(1998), Goldfain and Baig(1998) 는외환위기이전원화환율이고평가되어있지않았다고주장한바있다. 한편환율변화가산업별또는품목별로어떠한영향을주는지에대한국내연구는주로환율이채산성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환율이수출또는수입가격전가행태에미치는영향에대한연구, 그리고수출에대한환율의영향을분석한연구등으로나누어볼수있다. 이러한기존연구에서는국내수출입의많은부분이미국달러화또는일본엔화로결제된다는점을이유로들면서원 / 달러또는원 / 엔명목환율을모든산업에동일하게 118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적용하였다. 예를들어문우식 이종건 (2003) 은환율절상에따른영업이익률의변화를산업별로추산하면서국내수출입의약 80% 이상이미국달러화로결제된다는점을이유로원 / 달러명목환율을이용하였다. 한편, 강삼모 오영균 (2001) 은환율변동이주요품목별수출입단가및물량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면서원 / 달러명목환율및원 / 엔명목환율을이용하였다. 최요철 김치호 (2001) 도환율변동의수출가격전가도를산업별로추정하면서원 / 달러명목환율을이용하였다. 산업별수출물량에대한환율의영향에관한연구로는한영기외 (1996), 이재열 한희준 (2001) 이있으나이들도명목환율을전산업에동일하게적용하였으며수출에대한각산업별가격경쟁력에대한영향은분석하지못하였다. 그런데최근산업별실질실효환율을통해산업별가격경쟁력변화를살펴볼수있는가능성을제시한연구가등장하였다. Goldberg(2004) 는미국의 20개산업별실질실효환율을계산하고이를산업별가격경쟁력으로해석하였으며이를이용하면환율과기업의수익성과의관계를설명하는데있어전체실질실효환율보다유의한결과를얻을수있다고하였다. 한편산업별실효환율을산업별수입전가도분석에이용한국외연구도있다. Pollard and Coughlin(2006) 은주요교역상대국의통화와미국달러화의환율만을고려하는경우, 미국의수입전가도를추정하는데산업별실효환율을이용하는것이전산업을포괄하는실효환율보다효과적이라고하였으며, Pollard and Coughlin(2004) 은전체산업을포괄하는실효환율을이용하여계산하면미국의수입전가도가미국달러화가절상될때와절하될때에대칭적으로반응하나산업별환율을이용하면비대칭적인반응을나타낸다고하였다. 이러한산업별실질실효환율분석기법을활용하여환율수준의변화가우리나라채소류국제가격경쟁력에어떠한영향을주는지그리고품목별국제가격경쟁력의변화가수출물량의변화에어떠한영향을주는지에대한분석을할수있을것이다. 이에따라본연구에서는국내최초로농산물실질실효환율을시산한후이를바탕으로환율변동의영향이채소류품목별로어떻게나타나고있는지를분석하고자하였다. 특히완만한환율하락기간인금융위기이전과단기간환율이급변한금융위기이후환율이채소류수출입에미치는영향을살펴보고아울러그시사점을찾아보고자하였다. 이를위하여본연구의구성은다음과같이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채소류수출입현황을개괄적으로살펴보았다. Ⅲ장에는 2000년에서 2011년중채소실질실효환율과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을시산하였다. Ⅳ장에서는최근 119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의원화의명목가치상승과하락이각품목의국제가격경쟁력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기위하여 2011년말물가지수및교역량을바탕으로향후원화의명목가치가일정비율상승할경우각품목별실질실효환율의변화그리고품목별로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영향및그변화추이를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본연구의결론및시사점을간략하게기술하였다. Ⅱ. 채소수출현황 2000년대비 2011년채소수출량은 64천톤에서 82천톤으로연평균 2.6% 증가하였다. 동기간채소수출액은 186백만달러에서 283백만달러로연평균 4.7% 증가하였다. 수출액증가가높은원인은채소류수출단가가 2000년 2.90 $/ kg에서 2011년 3.44 $/ kg으로 18.6% 상승하였기때문이다. 동기간수출채소에대한원화수취가격은 3,275원 / kg에서 3,807원 / kg으로 16.3% 증가하였다. 2011년대비 2012년채소수출량은 82천톤에서 88천톤으로 7.2% 증가하고수출액은 283 백만달러에서 331백만달러로 17.1% 증가하였다. 수출단가는 2011년 3.44 $/kg에서 2012년 3.75 $/kg 으로 9.2% 상승하여수출채소에대한원화수취가격 1) 이 3,807원 /kg에서 4.230원 /kg으로 11.1%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주요채소수출품목은김치, 파프리카, 채소종자, 딸기, 고추, 기타채소 6개품목이채소수출액의약 89% 를차지하고있다. 2011년채소수출액 1위는전체채소류수출액의 37.0% 차지하고있는 10년간수출 1등품목인김치이다. 김치는 2000년에서 2011년동안수출이 32.6% 증가하였다. 2위파프리카는 2003년부터수출되기시작하여 2011년수출액의 23.3% 를차지하며, 2003년대비수출액이 171.5% 증가하였다. 채소종자는수출 3위로 2011년수출액의 10.3% 를차지하고있으며단위당가격이 58.8$/ kg으로부가가치가가장높은품목이다. 2011년수출 4위인딸기는수출액점유는 7.3% 수준이나 2011년재배면적감소로국내생산량이감소하면서수출액이전년대비 21.1% 감소하였다. 1) 원화환산환율은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평균환율자료사용 (2011 = 1108.11 원 / $, 2012 = 1126.88 원 /$). 120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이외에토마토는 2000년수출액의 12.3% 를차지하고있었으나국내소비량증가로내수시장이확대되면서수출공급역량이감소했다. 하지만 2009년부터내수시장이정체되면서수출이증가하고있다. 채소주스는 2000년에서 2010년간금액기준으로 60배, 물량기준으로 90배로급증하였다. 하지만 2011년전년대비수출량 78.8%, 수출액 76.0% 감소하였으며, 2012년수출또한 4월까지추이로볼때 2011년보다크게증가할여지는없어보인다. < 표 1> 채소주요품목별수출동향 ( 천달러, 톤, %) 품목 2000(A) 2005 2011(B) 증감율 (B/A) 금액중량금액중량금액중량금액중량 김 치 78,847 23,433 92,965 32,307 104,577 27,429 32.6 17.1 파프리카 24,261* 9,500 53,145 17,845 65,866 16,513 171.5 73.8 채소종자 16,695 435 15,823 399 29,033 494 73.9 13.5 딸 기 273 222 4,406 957 20,606 2,425 116.2 30.1 고추 29,673 8,203 10,386 2,763 15,876 2,924 46.5 64.4 기타채소 9,531 3,470 26,210 9,591 14,694 3,894 120.9 59.6 토마토 6,651 2,439 8,828 4,314 9,652 3,185 57.9 74.9 배추 446 1,002 2,099 3,378 4,769 8,574 1,105.7 1,642.7 멜론 22,949 12,678 4,599 1,703 4,512 1,525 384.5 329.5 채소주스 396 492 2,724 2,931 3,926 4,237 1,336.4 1,808.6 양배추 931 355 3,728 8,131 3,335 6,411 647.8 540.1 기타 19,526 1,960 6,475 4,579 5,948 4,693 69.5 59.0 계 185,918 64,189 231,388 88,898 282,795 82,303 52.1 28.2 주 :* 파프리카는 2000 년수출사례가없으므로 2003 년자료로대체하고, 2000 년계에서파프리카는제외. 자료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무역정보. 채소류수출액은 2000년기준 1억 9천만달러에서 2011년 2억 8천만달러로 52.1% 증가하였다. 채소의주요수출국인일본수출액은 2000년 1억 7천만달러로수출액의 89.0% 에달하였으나 2011년 1억 9천만달러로수출액비중이 22.5% 감소하였다. 채소류의일본에대한수출의존도는 2009년부터 60% 중반대로낮아지고있으며미국, 대만, 중국, 홍콩등으로수출다변화되는경향을보이고있다. 121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 표 2> 채소수출대상국별수출금액및물량동향 수출액 수출량 ( 단위 : 천달러, 톤, %) 국가 2000 2011 증감률국가 2000 2011 증감률일본 165,430 188,106 13.7 일본 57,702 46,455 19.5 미국 5,116 17,218 236.6 대만 1,937 14,974 673.1 대만 1,185 11,712 888.4 러시아 40 4,692 11,630.0 홍콩 2,506 10,721 327.8 미국 2,017 4,433 119.8 중국 3,831 7,704 101.1 홍콩 382 2,029 431.2 싱가포르 238 6,870 2,786.6 캐나다 36 1,295 3,497.2 러시아 39 5,233 13,317.9 싱가포르 52 1,228 2,261.5 호주 217 4,428 1,940.6 중국 729 1,086 49.0 인도 2,582 3,445 33.4 호주 59 1,013 1,616.9 캐나다 108 3,005 2,682.4 필리핀 11 479 4,254.5 기타 4,666 24,353 421.9 기타 1,224 4,619 277.4 계 185,918 282,795 52.1 계 64,189 82,303 28.2 주 : 국가순서는 2011 년수출액및수출량기준순위임. 자료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무역정보. Ⅲ. 채소실질실효환율추정 1. 추정방법 실질실효환율지수의계산식은비교시점 의실질환율을기준시점 0의실질환율에대하여지수화한후가중평균을구한것으로다음과같이표시된다. (1) 여기서 는교역상대국인 국통화 1단위와교환되는원화를표시한환율로서월중평균환율을사용하였다. 는외국과우리나라의소비자물가지수간비율을나타낸다. 첨자 는품목을, 는시간을뜻하는데여기서는월 ( 月 ) 을기본단위로한다. 는국가 채소실질실효환율을품목별로평균하기위한가중치로써월별 품목별로적용된다. 122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시점에서 의실질실효환율 가 1보다크다면실질환율이기준년보다전반적으로상승한것을의미하므로기준시점보다원화의가치가낮아진것을 ( 또는수출시장에서가격경쟁력이개선된것을 ) 의미한다. 만약모든품목, 모든시점에서일물일가의법칙이성립한다면위식의값은각 또는 관계없이 1이될것이다. 2) 가중치 는우리나라와교역상대국과의채소수출금액또는수입금액비중을사용하여산출하였다. 교역상대국시장에서우리나라수출업자와상대국수입대체생산업자와의경쟁관계를나타내는수출가중치, 국내시장에서우리나라수입대체생산업자와상대국수출업자와의경쟁관계를나타내는수입가중치가있으나이를종합적으로반영한무역가중치를적용하였다. 그계산식은다음과같다. 식 (2) 는수출가중치, 식 (3) 은수입가중치, 그리고식 (3) 은무역가중치의계산식을나타낸다. 예를들면, 수출가중치 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채소 (=) 의총수출액 중에서교역상대국 에대한수출 ( ) 비중을의 미한다. 수입가중치 도마찬가지원리로계산한것이며, 무역가중치 는수출가중치 와수입가중치의산술평균이다. (2) (3) (4) 교역상대국별채소수출액, 수입액즉, 은농수산물유통공사의수출입통계를이용하였으며품목별구분은 AG코드기본으로하였고월별자료를이용하였다. 교역대상국은 2000년부터 2011년까지우리나라와교역액이많은순으로 1위부터 3위까지총 3개국을선정하였다. 추정에포함된교역대상 3개국과의총교역은 2000년에서 2011 년중우리나라채소교역액의약 84.1% 에달한다. 또한대일교역에서는흑자이나대중, 대미채소교역은만성적자상태이고수출입가격을살펴보면저가의중국산채소를수 2) 거래비용이없을경우동질의재화를동일화폐단위로평가할때모든재화의가격이같다면모든, 에대하여 가성립한다. 123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입하고중가의국내산채소를일본에수출하는형태이다. < 표 3> 우리나라의주요채소교역상대국 (2000년 2011년 ) 순위국가교역액수입액수출액 ( 만달러, %) USD/ kg수입수출 1 중국 363,094 45.6 355,868 66.9 7,225 2.7 0.59 3.79 2 일본 221,345 27.8 23,454 4.4 197,891 74.8 21.35 2.90 3 미국 85,105 10.7 70,737 13.3 14,368 5.4 1.25 2.38 기타 126,911 15.9 81,986 15.4 44,925 17.0 1.29 1.83 총교역액 796,454 100.0 532,045 100.0 264,409 100.0 0.73 2.62 자료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무역정보. 국별소비자물가지수는 OECD 통계자료를사용하였으며, 기준년도는 OECD의전체소비자물가지수의기준년도인 2005년으로선정하였다. 2005년은경제성장, 물가등측면에서볼때대내의경제성과가우수하였던시기였고경상수지흑자규모가 GDP의 2.2% 라는점에서대내외균형상태라고보는데에는이의가있을수있다. 그러나채소품목간실질실효환율비교분석이라는목적에는기준년도로서크게무리가없을것으로판단된다. < 표 4> 주요경제지표추이 (2005 = 100) ( 백만달러, %) 구 분 1995 2000 2005 2011 실질 GDP 성장률 8.9 8.8 4.0 3.6 생산자물가상승률 4.7 2.0 2.1 6.1 소비자물가상승률 4.5 2.3 2.8 4.0 경상수지 8,012 14,803 18,607 27,655 경상수지 / 명목GDP 1.5 2.8 2.2 2.5 자료 :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2. 추정결과 < 그림 1> 은 2000년부터 2011년까지의채소류실질실효환율지수추이를나타내고있다. 채소류실질실효환율지수의전반적인추이를보면 2001년 1/4분기부터 2007년 4/4분기까지완만하게하락하였다. 2008년 1/4분기부터 2009년 1/4분기까지약 51% 급등하였으며, 124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이후 2010년 2/4분기까지약 20% 하락하였다. 2010년 2/4분기이후최근까지기준년도인 2005년보다높은수준에서등락을거듭하고있다. 2008년금융위기가발생한동안에는원화가치가하락하여수출가격경쟁력이높아졌다. 1.70 1.60 1.50 1.40 1.30 1.20 1.10 1.00 0.90 0.80 0.7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무역가중치 수출가중치 수입가중치 명목환율지수 < 그림 1> 채소실질실효환율추이 (2005=1, 지수상승이국제가격경쟁력상승을의미 ) 먼저무역가중치를이용하여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지수를추정한결과를 < 그림 2> 에나타내었다. 그추이를살펴보면품목별로차이가커지고있는가운데대체로다음과같은특징을보였다. 첫째, 채소의실질실효환율은 2009년을정점으로하락하고있는것으로국제가격경쟁력이낮아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둘째, 2009년이전에는실질실효환율움직임이채소품목간유사하게나타났으나이후품목별격차가확대되는움직임을나타내고있다. 우리나라의수출주력품목인김치와고추의실질실효환율지수는 2010년부터 2011년기간중에명목환율이다소안정세를유지하는가운데에서도상승하였으며이품목들의실질실효환율수준은채소류전체지수보다높은수준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반면에딸기, 채소종자, 특히파프리카와토마토는 2010년이후다른품목에비해지수상승폭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125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1.60 1.50 1.40 채소종자 파프리카 고추 1.30 1.20 토마토 1.10 1.00 김치 0.90 딸기 0.80 0.7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주 : 굵은실선이채소지수임. < 그림 2> 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추이 (2005=1, 지수상승이국제가격경쟁력상승을의미 ) 이와같은특징은주요품목별실질실효환율의변동성을정리한 < 표 5> 를통해다시확인할수있다. 금융위기이전지수사이의변동은음의값을나타내어대외가격경쟁력이감소하였으나금융위기이후채소지수는대체적으로큰폭의상승을보여대외가격경쟁력이크게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품목간지수변동성은금융위기이전보다금융위기이후더커져서품목간경쟁력격차의확대가증대된것으로나타났다. < 표 5> 주요품목별지수의변동 1) 품 목 2001 2007.11 2) 2007.12 2011 2) 평균지수 김 치 0.3058 0.4329 1.2993*** 3) 파프리카 0.1877 0.5103 1.2242*** 딸기 0.3189 0.4143 1.2227*** 고추 0.2961 0.4719 1.3376*** 채소종자 0.2656 0.3024 1.2297*** 토마토 0.3208 0.3695 1.2126*** 전체 0.3030 0.4198 1.2800*** 주 :1) 무역가중치기준. 2) 금융위기전 2001.1 2007.11 기간, 금융위기후 2007.12 2011.12 동안지수간증감임. 파프리카의경우금융위기전 2003 2007(11). 3) *** 는해당품목의지수와전체지수와의차이가 1% 수준에서유의함을의미함. 126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Ⅳ. 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환율변동의영향분석 1. 명목환율과채소품목별가격경쟁력의관계실질실효환율이국제가격경쟁력을반영한다고가정하고원 / 달러명목환율상승즉원화의명목가치상승이채소품목별가격경쟁력에미치는영향을실질실효환율의변화를통해살펴보았다 ( 채소류수출국인일본은가격경쟁력상승, 수입국인미국과중국은가격경쟁력하락을가정 ). 이를위해식 (4) 의채소품목별무역가중치와각국의소비자물가지수는 2011년말과동일하고 3) 원화의미국달러화에대한명목가치만 10% 상승한다고가정한후품목별실질실효환율지수의변화율을산출하여보았다. 실질실효환율 지수변화율 (%) 0.00-0.50-1.00-1.50-2.00-2.50-3.00 채소류김치파프리카딸기고추채소종자토마토 < 그림 3> 달러에대한원화가치 10% 절상의효과 (2011 년 12 월대비 ) 그결과딸기, 토마토의지수가각각 2.85%, 2.37% 하락하여가격경쟁력이약화되는것으로나타났다. 채소종자, 고추, 김치의지수는각각 1.69%, 0.44%, 0.16% 하락하여상대적으로영향이적은것으로나타났다. 3) 환율의변화가소비자물가와가중치인교역량의변화를가져오기전의효과, 즉정태적효과를보았다. 127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달러화에대한원화강세가채소품목별가격경쟁력에미치는영향이다른것은품목별로미국과의교역비중 4) 이다른것에주로기인한다. 교역비중이클수록가중치가높아서원화절상의효과가크게나타난것이다. 2011년수출및수입금액기준으로토마토, 딸기의대미무역비중은각각 15.4%, 33.6% 인반면, 채소종자, 고추, 김치의경우각각 9.3%, 1.2%, 1.2% 에불과하였다. 다음으로엔화절상과관련하여그영향을살펴보았다. 마찬가지로채소품목별무역가중치와소비자물가지수는 2011년말과같고원화의명목가치가일본엔화에대하여향후 10% 정도하락한다는시나리오를가정한후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지수의변화율을산출하여보았다. 그결과실질실효환율지수가파프리카, 딸기, 김치, 토마토순으로각각 9.09%, 4.82%, 4.39%, 4.59% 상승하여가격경쟁력이크게상승될것으로예상되었다. 반면에채소종자와고추는각각 2.93%, 0.05% 상승함으로써상대적으로가격경쟁력개선에미치는영향이작을것으로나타났다. 실질실효환율 지수변화율 (%)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0 채소류김치파프리카딸기고추채소종자토마토 < 그림 4> 엔화에대한원화가치 10% 절하의효과 (2011 년 10 월대비 1) ) 주 :1) 2011 년 11 12 월대일본고추수출입실적없음, 10 월기준 마찬가지로다른것은변화가없고중국위안화에대한원화의명목가치가 2011년말대비 10% 정도상승한다고가정한후채소품목별지수의변화율을산출하여보았다. 4) 여기서교역비중은수출금액비중과수입금액비중의산술평균을의미한다. 128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그결과고추, 채소종자, 김치의품목별지수가각각 10.6%, 7.3%, 5.6% 하락하여큰영향을받을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3> 과 < 그림 5> 를비교해보면평균적으로달러화에대한원화의명목가치상승보다위안화에대한원화의명목가치상승이국내채소국제경쟁력을더약화시키는것으로나타났다. 달러화에대한원화가치의 10% 절상은채소 6개품목의실질실효환율을평균 0.70% 하락시키고, 위안화에대한원화가치의 10% 절상은 6 개품목의실질실효환율을평균 4.9% 하락시키는것으로나타났다. 위안화에대한원화가치절상이가격경쟁력의변화에미치는효과가품목별로차이가나는것도주로품목별대중국교역비중의차이에기인하였다. 실질실효환율 지수변화율 (%) 0.0-2.0-4.0-6.0-8.0-10.0-12.0 채소류김치파프리카딸기고추채소종자토마토 < 그림 5> 위안화에대한원화가치 10% 절상의효과 (2011 년 12 월대비 ) 2. 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과품목별수출물량의관계채소품목별실질실효환율의품목별수출물량에대한효과를분석하기위하여 Rose and Yellen(1989), Rose(1991), 최창규 (1998) 의모형과마찬가지로수출물량에대한수요함수와공급함수로부터도출한다음과같은축약형회귀방정식을설정하였다. (5) 즉, 품목 의수출물량 은해당품목의실질실효환율 및수출대상국가의 129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소득 과관계를갖는것으로설정하였다. 수출물량은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품목별명목수출금액값을사용하였고 은앞장에서식 (4) 의품목별무역가중치와국가별소비자물가지수를이용하여식 (1) 에따라계산한품목별실질실효환율지수이다. 수출상대국의소득지표 로는 GDP가가장적합하지만월단위자료가없으므로대리지표를사용하였는데, 무역협회의월별교역상대국의명목수입금액을관세청에서조사한우리나라의총수출금액중동국가에대한수출비중으로가중평균하는방법으로지수화 ( 수입액지수 ) 하여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예상되는계수의부호는 이다. 분석에앞서각변수의단위근유무, 계절성유무에대한검정을실시하였다. 변수의안정성에대하여 ADF 검정을행한결과대부분의품목에서수출물량, 실질실효환율지수, 상대국소득변수가단위근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이에따라단위근존재에따른가성회귀현상을회피하기위하여 1차차분한값을이용하였으며계절성이있는변수는이를조정하여사용하였다. 또한수출물량과설명변수간의시차 s는각품목별로통계적으로유의한시차로설정 5) 하고오차의자기상관에대하여는 Cochrane-Orcutt 기법을적용하여추정하였다. 또한수출물량과설명변수간의시차는없는것으로설정하고, 회귀분석기간은금융위기전인 2000 2007.11. 전체기간과금융위기후인 2007.12. 2011 기간에대하여각각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 표 6> 에정리하였는데, 음의계수값을보이는품목이다소있어예상과부합되지않는면이나타났다. < 표 6> 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영향 () 구 분 금융위기전 금융위기후 증감 전체 김 치 0.37(0) 0.26(0) 0.09 0.14(2)** 파프리카 2.09(0)*** 0.96(3) 3.05 0.22(1)** 딸기 0.54(0)*** 2.10(2) 1.56 2.21(0)*** 고추 2.22(2)*** 0.33(0) 2.55 1.41(0)*** 채소종자 1.54(0) 1.53(3)* 3.07 0.33(4) 토마토 4.82(1)* 1.04(0)*** 3.78 0.45(0)* 채소전체 0.91(8) 0.88(0)* 1.19 0.53(1)*** 주 :1) 금융위기전 2001.1. 2007.11. 기간 ( 환율은 18.92% 감소 ), 금융위기후 2007.12. 2011.12. 기간 ( 환율은 25.13% 증가 ) 을의미하며전체는 2000.01. 2011.12.( 환율은 1.44% 증가 ) 임. 2) *** 은 1%, ** 은 5%, * 은 10% 유의수준에서유의함을의미함. 5) 실질실효환율의효과가유효하게나타나기시작하는시점을잡기위하여 t 값을기준으로가장유의성이높은시차 s 개월 1 개만을고려하였다. 130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계수의크기와부호및시차효과가품목별로다르고, 금융위기전과후사이에도차이가있었다. 음의계수값을나타낸원인은우리나라채소수출의특징인정책적인변수와국내시장가격의영향이환율에의한가격경쟁력보다더큰변수로작용된것으로추측된다. 분석결과를보다구체적으로살펴보면다음과같다. 첫째, 전체기간에서딸기, 고추가실질실효환율의영향력이높은품목으로나타났으며다음으로토마토, 채소종자, 김치순으로영향을받고있었다. 특히, 파프리카의경우계수가 0.22로나타나서환율에의한가격경쟁력의영향을다소적게받는대표적인전략수출품목인것으로나타났다. 둘째, 금융위기이전과이후를비교해볼때금융위기이후채소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영향력을나타내는계수가금융위기전의 0.53에서금융위기이후 0.88로증가하였으나금융위기전에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었다. 품목별로보면실질실효환율에대한수출물량의영향을나타내는계수값이금융위기이후증가한품목은고추, 채소종자 2 개품목이었다. 또한채소종자는통계적으로유의한수준이되었다. 반면에금융위기이전에비해금융위기이후더많은품목에서실질실효환율의영향이작아졌다. 그중파프리카, 딸기는수출에대한환율의영향이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게나타났다. 셋째, 저장성이떨어지는품목인딸기,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의경우실질실효환율이수출물량에유의한영향을주는시차가 0 1개월이며, 저장성이비교적높은김치와채조종자의경우시차가 2 4개월인것도발견할수있다. Ⅴ. 요약및결론 현재우리나라채소수출동향을보면다음과같은특징을갖는다. 첫째, 신선 / 냉장품과기타가공품중심이다. 기타가공품은김치가대부분이고신선 / 냉장품은파프리카위주이다. 둘째, 파프리카와채소주스등의수출이급성장했지만채소주요수출품목 1위는여전히김치이다. 셋째, 주요수출국은일본이지만 2009년이후미국, 대만, 중국, 홍콩등으로수출다변화가이루어지고있다. 본연구에서는환율변동에따른채소류의가격경쟁력을분석하고자주요교역상대국의소비자물가지수를이용하여우리나라의실질실효환율지수를채소품목별로추정하고이 131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를이용하여품목별가격경쟁력에대한명목환율의영향과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영향을분석하였는데그결과는다음과같았다. 첫째, 금융위기이후환율급상승시기품목별실질실효환율지수는품목별격차가줄어드는동조적움직임이보였으나곧금융위기이전보다품목별지수변동성은더확대되어품목간경쟁력격차가증대되었다. 물론 2007년이후주요채소수출품목은원화에대한주요통화의명목환율상승으로실질실효환율이크게상승이들부문의가격경쟁력이강화된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주요수출채소품목에서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영향은이론적으로예상되는바와달리음의값도나왔지만통계적으로는유의하지않거나금융위기이후변화되는모습을나타내었다. 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영향력은금융위기이전보다금융위기이후에전반적으로상승하였으나금융위기이전에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었다. 셋째, 수출물량에대한실질실효환율변동의효과는채소류전체에대해통계적으로유의하며방향성도일정하게나타났으나주요수출품목에대해서는일정한방향성이나크기를가지지못하였다. 이와같은분석결과는원화의명목환율변동이수출품의국제가격경쟁력에미치는영향이품목별로다른가운데최근우리나라의주요채소수출품목의경우그영향이다른수출품목에비해작고가격경쟁력이수출물량에미치는영향도약하다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수출채소류육성을위해서환율요인보다는생산성제고를통해가격경쟁력을높이고나아가품질제고, 제품의다양화등제품의질적수준향상과국내수급문제해결을통한비가격경쟁력을확보하는것이중요하다는점을시사하고있다. 그리고현재의채소류에한정된분석에서농축수산물또는농산물부류간에대한실질실효환율의효과도분석된다면더욱많은정책적시사점을제시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하지만본연구에서사용한실질실효환율계산과그해석에는몇가지한계가있으며지속적인개선이필요하다. 우선명목환율의변화가가격경쟁력의변화에미치는영향을분석함에있어정태적인효과만을보이고있다. 그러나가격경쟁력의변화가역으로채소류물가수준이나교역량및명목환율에영향을주는동태적효과까지는보이지못하고있어이를고려하기위해서는계량적인개선이필요하다. 또한실질실효환율에큰영향을주는물가지수를비교역재가포함된소비자물가지수로사용하였는데추후연구에서는품목별소비자 ( 생산자 ) 물가지수를이용함으로써품목별가격경쟁력추이를보다현실에가깝게추정하는것도고려할수있을것이다. 게다가환율에의한채소수출의반응이크게나타 132

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수출채소류가격경쟁력분석 이창욱 박재홍 나지않는것은수출물류비지원등정부의다양한보조가큰요인으로작용하고있음으로판단되기때문에향후정부지원정책효과등이고려된분석도필요할것이다. 6) 참고문헌 강삼모 오영균, 환율변동의전가효과, LG경제연구원연구보고서, LG경제연구원, 2001. 문우식 이종건, 원화강세와산업구조의변화 : 기업채산성에미치는효과를중심으로, 한국경제의선택 원화강세에대응한새로운성장패러다임의모색, 함정호편저, 도서출판해남, 2003. 민경삼, 실효환율의추정과행태분석, 통계분석연구 제4권제2호, 통계청, 1999. 이영우, 1990년대원 / 달러실질실효환율측정에관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 겨울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이재랑 이병창, 업종별실질실효환율을이용한우리나라제조업의가격경쟁력분석, 經濟分析 제11권제4호,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 2005. 이재열 한희준, 품목별수출입행태분석과시사점, 조사통계월보 2월호논고, 한국은행, 2001. 최요철 김치호, 원화환율변동의수출가격전가형태분석, 경제분석 제7권제3호, 한국은행특별연구실, 2001. 최창규, 대미 대일실질환율과수출입간의관계분석, 경제분석 제4권제1호,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소, 1998.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무역정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한영기 육승환 조태형, 품목별수출입행태분석및시사점, 조사통계월보 11월호논고, 한국은행, 1996. 6) 2012 년 9 월부터시작된일본양적완화정책으로엔화약세가지속되어대일본농식품수출량은 6.4% 증가하였으나수출액은 2013 년 5 월현재전년동기대비 9.2% 감소하였다. 본논문에서분석한주요수출채소류수출액은김치 13.5%, 파프리카 7.6% 감소하였다. 본논문에서는파프리카가상대적으로환율의영향을더받을것으로예상되었는데환율이외의요인으로김치의수출액감소폭이더크게나타난것으로판단되며이는정부수출지원정책의영향이일부포함된것으로유추할수있을것이다. 133

第 30 卷第 2 號 2013 年 6 月 Chinn, M. D., Before the Fall:Were East Asia Currencies Overvalued?, NBER Working Paper, No. 6591, 1998. Goldberg, L. S., Industry Specific Exchange Rates for the United States,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Economic Policy Review, May 2004. Goldfajin, I. and T. Baig, Monetary Policy in the Aftermath of Currency Crisis:The Case of Asia, IMF Working Papers, WP/98/170, 1998. OECD, Stat Extracts Consumer Price indices(mei) Pollard, P. S. and C. C. Coughlin, Size Matters:Asymmetric Exchange Rate Pass-through at the Industry Level, Working Papers 2003029,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2004. Pollard, P. S. and C. C. Coughlin, Passthrough Estimates and the Choice of an Exchange Rate Index, 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14, No.4, 2006, pp.535 553. Rose, A. K., The Role of Exchange Rates in a Popular Model of International Trade:Does the Marshall-Lerner Condition Hold?,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30, 1991, pp.301 316. Rose, A. K. and J. L. Yellen, Is There a J-Curve?,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24, 1989, pp.53 68. 원고접수일:2013년 04월 06일 1차수정일:2013년 05월 20일 2차수정일:2013년 06월 23일 게재확정일:2013년 06월 24일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