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373~377 와점막이상에관하여보고하고자한다. 탁까지를포함하였다. [~λ~ OJ t::jj 닙 ~ Od 7~ E 프 19 89년 6월부터 199 2년 6월까지부비동염이있거나, 의심되어부비동 CT를시행한환자 95명

Similar documents
대한밤사선의학회지 1994; 31( 3): 격으로연속스캔하였고, 관상스캔은환자를복와위로하 여목을과신전시킨후횡단스캔변에수직이되게전두동 전연에서후사골동전연까지는 3mm, 후사골동전연부터 접협동후연까지는 5mm 절펀두께및간격으로연속스 캔하였다. 관상스캔은 OM

뾰π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29(5) : 9DI~9D6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September, 1993 염증성부비동질환의전산화단층촬영상 고려병원진단방사선과 - Abstract- 오원자 윤은경 이영욱 권혜수 Maj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1 ; 27 (5) : 607~612 Table 1. Distribulion of the Pathology 대상및방법 1987 년 10월부터 1990년 8월까지고려병원에내원한만성또는재발성부비통염환자중 CT 를촬영한 108 례를대상으로하였고, 악성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만성부비동염환자에서의 99mTc-MDP 골 SPECT 를이용한골염의연구 장용주 1 구태우 1 박석건 2 정필상 1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

KISEP Rhinology Koean J Otolaryngol 1998;41 12 : 전두개저에대한전사골관의해부학적관계 : 전산화단층촬영에의한사골와의유형별분석 홍순관 1 엄준형 1 변성완 1 김종남 1 김춘동 1 정승용 1 장주애 1 최혜영 1 Ana

ORIGINAL ARTICLE J Rhinol 2018;25(1): pissn / eissn 편측성비부비동염에서최근유병률변

2-1

(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재발성안와주위염및급성누낭염

골화범위의 측정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for division of thyroid lamina and calculation of ossification height in thyroid cartilage. Ossification heigh

CASE REPORT J Rhinol 2016;23(2): pissn / eissn 진균구와동반된상악동에발생한원발

Rhi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7): / pissn / eissn

( ) Jkra076.hwp

황지웅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9): / pissn / eissn

Lumbar spine

04조남훈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2001;44: 비 - 안와 - 두부형모균증 2 예 전은주 박용진 박용수 정일성 Two Cases of Rhino-Orbito-Cerebral Mucormycosis Eun-ju Jeon

Microsoft Word doc

노영남

부산대병원학술지통권제27 호, 2010 부비강병변의자기공명영상소견 부산대병원영상의학과 김학진 MR Imaging Findings of the Sinonasal Lesions Hak Jin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Pusan Nation

비강부비동안와 금속 이물 Fig. 1. Simple paranasal sinus Xray showing two pieces of foreign body. Right one penetrates right ethmoid sinus, septum, and left ethmo

Kbcs002.hwp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49-54)Kjhps004.hwp

139~144 ¿À°ø¾àħ

Microsoft Word doc

김범수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è¹ÎÁö

Trd022.hwp

Microsoft Word doc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CASE REPORT J Rhinol 2017;24(2): pissn / eissn 원발성섬모운동이상증 1 례 고

KISEP Abstract 산탄총에의한두경부손상 1 례 이대원 김종규 김형진 최득록 A Case of Shotgun Wound on Head and Neck Dae Won Lee, M.D., Jong Kyu Kim, M.D., Hyung Jin Ki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2;45: 이개연골과측두근막의자유복합이식을이용한비중격천공의비내재건술 홍순관 1 민양기 2 Repair of Nasal Septal Perforation by Intranasal Appro

대한밤사선의학회지 1994 : 31 ( 3) %(52/ 1472 ) 의발생빈도를보였고이중 4 명 (8. 3% ) 이 양측성 (Fi g. 1) 이어서총 56 예이었다. 각나이군별로의발 생빈도는 30 대와 40 대에서각각 1 6 예로가장많았고 50 대

001-학회지소개(영)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À̱ٿµ

Can032.hwp

online ML Comm Rhi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632-6 / pissn / eissn

REVIEW J Rhinol 2018;25(2): pissn / eissn 부비동내시경수술후후각변화에대한예측인자 대구가


이철희 외 고실 골판의 형태를 분류하고 정상인에서의 분포 및 만성 중 평선에서 두위를 30 숙인 축상면에서 관찰하였고 1 mm 간 이염군 사이의 분포를 알아 봄으로써 전 상고실 골판의 형태 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전형적인 supratubal recess가 잘 관찰 와 특징

이길우외 부비동진균증의 CT 및 MR 소견 시행하였다. 사용된 CT 기종은 Technicare Quantum 과례는원인질환이없었다. 조직학적으로 3 례에서국균증으 Philips tomoscan 3 05 이고 MRI 기종은 0.2T, Hitachi 로, 1 례는모균증으로

ºÎÁ¤¸ÆV10N³»Áö

( )Jkstro011.hwp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 )Kju269.hwp

( )Jksc057.hwp

상악측절치(dh)

09È«¼®¿µ 5~152s

32 J Rhinol 2017;24(1):31-36 된 주요 병태생리로는 기류의 차단으로 인해 후각 점막에 냄새가 도달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전도성 후각장애 와 후각점막의 손상이나 후각전달 신경계통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감각신경성 후각장애 - 로 구분할 수 있다 후각장애의

Microsoft Word - KSR2016S168

대한치과이식(임프란트)학회 학회지 제 27권 1호

±èÇ¥³â

부비동 내시경 수술 후 비용종의 경구용 스테로이드 복용 효과

???춍??숏

제 차 중앙 운영 위원 회의

45-51 ¹Ú¼ø¸¸

Kjhps016( ).hwp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December,

A 617

Ȳ¼º¼ö

012임수진

63-69±è´ë¿µ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7.ƯÁýb71ÎÀ¯È« š

°£´ãÃé99.7-ÁøÂ¥!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À̾Ƹ§

09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WSAVA dental guideline 1차 번역 수정

DBPIA-NURIMEDIA

2005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Microsoft Word doc

04_이근원_21~27.hwp

15강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106월 평가원] 1)심청이 수궁에 머물 적에 옥황상제의 명이니 거행이 오죽 하랴. 2) 사해 용왕이 다 각기 시녀를 보내어 아침저녁으로 문 안하고, 번갈아 당번을 서서 문안하고 호위하며, 금수능라 비


Çмú´ëȸ¿Ï¼º

2012³â8¿ùÈ£˙ȸš


연하곤란

제호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4;47: 정상측두골전산화단층사진상내이구조물의계측 부산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 고의경 1 박성환 1 윤빛나 1 이일우 1 노환중 1 전경명 1 김학진 2 Nor

CASE REPORT J Rhinol 2018;25(2): pissn / eissn 치성낭종으로오인된상악동콜레스테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793-7 / pissn / eissn

γ

<36C8A3B3EDB9AE5B31305B315D2E323020BCF6C1A45D2E687770>

Thieme: Color Atlas of Acupuncture

03-서연옥.hwp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차내지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Transcription: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373~377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May. 1993 전산화단층촬영을이용한 Ostiomeatal unit 에영향을미치는 부비동의해부학적변이에관한연구 한국전력부속한일병원진단방사선과 - Abstract- 최성희 안재원 문정화 강진화 김 옥 Anatomical Variants of Paranasal Sinus Affecting the Ostiomeatal Unit Seong Hee Choi, M.D., Jae Won Ahn, M.D., Jeong Wha Moon, M.D., Jin Wha Kang, M.D., Ok Kim, M.D. Dφa rtment of Radiology, Haη II Hoφ ita l It is well known that anatomic variations affecting the ostiomeatal unit (OMU) become one of the causes of mucosal abnormalities of paranasal sinuses (PNS). Findings of coronal plane CT scans of PNS were an떠yzed in 95 patients with sinusitis or sinusitis-like complaints Anatomical variations were seen in 88 cases of 60 patients. Mucosal abnormalities were seen in 27 of 47 cases with concha bullosa, 23 of 37 cases with en1arged ethmoid bulla, 8 of 33 cases with Agger nasi, 20 of 26 cases with nasoseptal deviation, 7 of 8 cases with Haller cell, 3 of 6 cases with duoble middle turbinate, 4 of 6 cases with medially bent uncinate process, 1 of 1 cases with laterally bent uncinate process, and 33 of 40 cases with mixed variations Mucosal abnormalities in cases with antomical variations were detected in 61 cases, including maxillary sinus (51 cases), anterior ethrnoid sinus (26 cases), fronta1 sinus (4 cases), and mixed (32 cases). Mucosa1 abnorma1ities without anatomica1 variations were detected in 13 cases involving maxillaη smuses (7 cases), anterior ethmoid sinuses (5 cases), and fronta1 sinus (1 case) In conclusion, as corona1 plane CT scan has the capability of delineating anatomica1 variations and mucosal abnormalities of PNS, it is considered useful in eva1uating the treatment and prognosis of chronic or recurrent smusltls. Index Words: Paranasal sinus. sinusitis 23.250 Paranasal sinus. CT 23. 1211 서 료응 '- 이용한부비동의구조에상당한관심이모아지고있다 (1 4). 부비동의전산화단층촬영 ( 이하 CT ) 은부비동의해부 최근에, 비강과부비동의병태생리에대한개념의발학적구조, 변이그리고점막이상을진단하는방법으로 전과비내시경의발달로, 부비동의해부학적변이, 특히알려져있으나, 부비동의해부학적변이로인한점막이 ostiomeatal unit ( OM U ) 에영향을미치는변이가부비상에관한보고는많지않다 (1-8 ). 동점막이상의원인이되고있다고알려짐에따라 CT 를 이에저자들은 OMU 에영향을미치는해부학적변이 이논문은 1992 년 11 월 17 일접수하여 1993 년 2 월 17 일에채택되었음.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373~377 와점막이상에관하여보고하고자한다. 탁까지를포함하였다. [~λ~ OJ t::jj 닙 4 110 ~ Od 7~ E 프 19 89년 6월부터 199 2년 6월까지부비동염이있거나, 의심되어부비동 CT를시행한환자 95명을대상으로하였다. 양성및악성종양과외상이있는경우는제외하였다. 남자 59영, 여자 36명이었으며연령분포는 9세부터 63세까지였다. 사용한 CT 촬영기기는 Hitachi CTW-500 이었고, 부비동부위의관상과횡단주사를시행하였다. 횡단주사는앙와위상태에서하안와 - 외이도선에평행하게경구개로부터전두동상단까지 5mm 절편두께및간격으로연속주사하였다. 관상주사는앙와위또는복와위상태에서, 횡단주사면에수직으로, 전두통전연에서접형동후연까지시행하였으며, OMU 는 3mm ( 48명 ) 혹은 5mm ( 47명 ) 로, 타부위는 5mm 절편두께및간격으로연속주사하였다. 조영제주입후주사를실시하였으며, 연조직 algorithm을사용하였고, OMU 주위를골조직 algorithm 으로재구성하였다. 부비동의점막이상은미세한점막비후부터부비동흔 OMU 에영항을미치는부비동의해부학적변이가 88 례에서보였고, 10 2례에서없었다. 변이의종류와빈도를 보면, 중비갑개봉소 (c oncha bullosa) 47 례 ( Fig_ 1), 사 골포비대 (enlarged ethmoid bulla) 37례, 비제봉소 (Agger nasi) 33례 (Fig_ 2), 비중격만곡 ( naso - septa l deviation) 26 례 (Fig_ 1) 순이었으며, 그밖에 Haller Cell 8 례 (Fig. 3), 이중중비갑개 (double middle turbinate) 6 례 (Fig.4), 역으로굽은중비갑개 (paradoxical middle turbinate) 6 례, 구상돌기 (uncinate process) 내굴 6 례, 구상돌기외굴 l 례였다. 이중 40례에서는 2개이상의해부학적변이를가지고있었다. 해부학적변이를가진경우, 부비동점막이상은 88례중 61례에서보였고, 해부학적변이를가지지않은경우부비동점막이상은 102례중 13례에서보였다. 해부학적변이로인한부비동의점막이상을보면, 중비갑개봉소를가진경우 27례, 사골포비대를가진경우 23 례, 비제용소를가진경우 8례, 비중격만콕을가진경우 20례, Haller Cell을가진경우 7례, 이중중비갑개를가진경우 3례, 구상돌기내굴을가진경우 4례였 q ( Table 1 2 Fig. 1. Coronal OMU CT shows concha bullosa of right middle turbinate (aπow), narrowing of right infundibulum, and nasoseptal deviation to the left (open arrow)_ Fig. 2. Coronal OMU CT shows large Agger nasi in both sides (arrow), and mucosal abnoitl1혀 ity of right forntal recess (open arrow) Fig. 3. Coronal OMU CT shows bilateral Haller cells (arrow) and mucosal abnormality of both infundibulae (open arrow). Fig. 4. Coronal OMU CT shows both duoble rniddle turbinate (arrow) and mucosal abnormalities of both m값iilaη sinuses (open 11 arrow) and right indu 뼈 bulum. 3 4 %

최성희외 : 전산화단층촬영을이용한 Ostiomeatal unit 에영향을미치는부비동의해부학적번이 Table 1. Anatomical Variations Affecting the OMU Type No of cases No of mucosal abnormalities Concha bullosa 47 27 Large ethmoid bulla 37 23 Agger nasi 33 8 N asoseptal deviation 26 20 Haller cell 8 7 Double middle 6 3 turbinate Paradoxical middle 6 0 turbinate Medially bent uncinate 6 4 process Laterally bent uncinate 1 process Mixed 40 33 Table 2. Distribution of Mucosal Abnorm 꾀 ity Location No of cases No of cases with without 없ltOmiG꾀 Fig. 5. Normal anatomy of OMU includes infundibanatomical ulum (small open arrow), hiatus semilunaris (large Cariations vanatlons open arrow), uncinate process (small arrow), middle Ma잉llaη sinus 51 7 turbinate (middle aπow), and middle meatus (large Ant. ethmoid sinus 26 5 arrow). Frontal sinus 4 1 1). 부비동점막이상은상악동 51 례 ( Fig.4 ), 전사골동 26 례, 전두동 4 례 ( Fig.2 ) 이었다. 32 측에서는상악동과 전사골동의점막이상을보였다 ( Table 2). 대부분의점막이상은미세한점막비후로나타났으며 5 측에서부비동혼탁을보였다. 해부학적변이를가지지않으면서부비동점막이상을 보이는경우는상악동 7 례, 전사골동 5 례, 전두동 1 례였 다. 고 *. a 만성혹은재발성부비통염은 OMU 폐색으로인하며, 부비동의해부학적변이가원인이될수있다. OMU 는상악동구 ( maxi l1 ary ostium) 에서사골누두 (infundibulum) 와반월열공 (hiatus semilunaris) 을거 쳐중비도로통하는좁은통로로서, 중비갑개, 중비도, Mixed 32 상악동구, 사골누두, 반월열공, 구상돌기 ( uncinate process), 사골포 ( ethmoid bulla) 로이루어지며, 상악 동전두동전중사골동의정화작용을맡고있다 (Fig.5 ) (2,3,9,1 0) OMU 부위의병변을관찰하는데있어단순부비동촬 영은전사골동, 전두와, 비강의상 2 / 3 가겹쳐져보이며, 단층촬영술은 Phantom artifact 에의해 OMU 를포함 한구조들이불분명해져보여, 제가있다. 이부위를관찰하는데문 이에비해 CT, 특히관상주사는 OMU 를명 료하게보여주어가장좋은방사선학적진단방법이된다 (11-13). OMU 에영향을미치는해부학적변이로는중비갑개 변이, 사골포비대, 비제봉소, 비중격만곡, 구상돌기변 이, Haller cell 등이있다 ( 7, 1 5, 17). 우선중비갑개변이를살펴보면, 중비갑개용소가해부했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373~377 학적변이중가장빈도가높으며 ( 14, 12, 17 ), 함기화된 중비갑개를의미한다, Lothrop 등 (1 6 ) 에의하면 55% 에 서전사골동이중비갑개를함기화시키며, 나머지 45% 에 서는후사골동이중비갑개를함기화시킨다고보고하였 다, Clark 등 (1 8 ) 에의하면해부학적변이로인한점막이 상환자의 33% 에서중비갑개용소가나타난다고보고하 였다. 저자들의경우도, 해부학적변이중 47 례로가장 빈도가높았으며, 중비갑개몽소가있는경우부비동점막 이상을유발한예는 27 례였다. 중비갑개의정상적인노변이외측을향할때역으로굽 은중비갑개라하고, 사골누두병변을유발시킬수있다. 서나타났다 ( 7, 1 5), 이것이구상돌기내굴과동반되어 자자들의경우 6 례에 비제봉소는가장전방에위치하는사골동의일부로서 비외벽에서중비갑개부착부위전상방부에위치하며, 전 두와 (frontal rece ss) 를좁히고, 비전두관 ( n asofrontal du ct ) 의아랫부분을막아전두동점막이상의원인이될 수있다 ( 7, 13, 15), Kennedy 등 (1 9) 에의하면 CT상거의 모든경우에서발견된다고하였으나, 저자들의경우 33 례 에서나타났고부비통점막이상은 8 례에서보였다. 비중격만곡의경우, 만곡으로인해중비갑개를외측으 로밀어서중비도를좁혀부비동점막이상을유발시킬수 있다 ( 7), 저자들의경우 26 례에서나타났고, 점막이상은 20 례에서나타났다. Haller Cell 은전사골동이안와하부로확장된것으로 주위상악동개구부를좁혀재발하는상악동염을일으킬 수있다 ( 7, 1 5 ), Kennedy 등 ( 19) 에의하면 10% 의빈도 를나타냈으며저자들의경우 8 례에서나타났으며, 점막 이상은 7 례에서나타났다. 구상돌기변이를보면, 구상돌기후연이내측으로굽어 서중비갑개와접촉되면, 중비도의입구를좁힐수있다 (7, 15), 또한구상돌기가과대한골비대및전방굴곡을 일으켜이중중비갑개를형성하며, 부에점막접촉을일으킬수있다. 이것이중비도의전방 구상돌기는외측으로 굽어서반월열공이나사골누두를좁혀사골동염을일으킬 수있다. 저자들의경우이중중비갑개 6 례, 내굴 6 례, 외굴 1 례였다. Bolger (1 5) 에의하면부비동염이있거나의심되어 CT 를시행한환자에서점막이상은전사골통 78%, 상악동 69%, 전두동 31% 로, 전사골동의점막이상이가장많았 다. 그리고부비동외질환으로 CT 를시행한환자에서는 상악동점막이상이가장많다고하였다. 저자들의경우 상악동 58 례, 전사골동 3 1 례, 전두동 5 례로상악동이가 장빈번한점막이상을보였다. 이상에서부비동 CT, 특히관상주사는부비동점막이 상을유발시킬수있는원인으로서의해부학적변이를잘 나타내주므로, 만성또는재발성부비동염의치료와예후 에도움을줄것으로사료된다. 참고문헌 l. 이영욱, 윤은경, 이영태등. 만성및재발성부비동염 의전산화단층촬영.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1 ; 27(5) : 607-612 2. 이상덕, 권용욱, 류도환등. 비내시경과부비동 CT 를 이용한 Ostiomeatal Complex 병변의진단. 1991; 34 (1) : 67-74 한이인지 3. Stammberger H, Wolf G. Headache and sinus disease: The endoscopic approach. Supplement 134 1988; 97 (5):3-22 4. Starnmberger H. Endoscopic endonasal surgery Concepts in treatment of recurring rhinosinusitis. Part 1. Anatomic 때 d pathophysioigic considerations. Head and neck surgery 1986; 94: 143-146 5. Zinreich S], Kennedy DW, Rosenbaum AE. et 외. Paranasal sinuses: CT imaging requirements for endoscopic surgery. Radiology 1987; 163:769-775 6. Som PM. CT of the paranasal sinuses. Neuroradiology 1985; 27:189-201 7. Parsons C, Hidson N. Computed tomography of paranas외 sinus tumors. Radiology 1979; 132: 641-645 8. Thawley S, Gado M, Fuller T.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head and neck lesions. Laryngoscope 1978; 88:451-459 9. Kennedy DW, Zinreich S], Rosenbaum AE, ]ohns ME.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γ: Theory and diagnosis. Arch Otolarγngol 1985; 117:576-582 10. Terrier F, Weber W, Ruefenacht D. Anatomy of the ethmoid: CT, endoscopic, and macroscopic. A]R 1985; 144:493-500 11. Bilaniuk LT, Zirnmerman RA. Computed tomography in evaluation of the paranasal sinuses. Radiol Clin North Am 1982; 20:51-66 12. Chakeres DW. Computed tomography of the ethmoid sinus disease. Otolaryngol Clin North m ω

ω최성희외 : 전산화단층촬영을이용한 Ostiomeatal unit OlI 영향을미치는부비동의해부학적번이 Am 1985; 18:29-42 13. Som PM, Lawson W, Biller HF, Lanzieri CF. Ethmoid sinus disease: CT evaluation in 400 cases. Part 1. Nonsurgical pa디 ents. Radiology 1986; 159:591-597 14. Zinreich SJ. Mattox DE, Kennedy DW. Concha bullosa: CT evaluation jcat 1988; 12 (5):778-784 15. Bolger WE, Butzin CA, Parsons DS. Paranasal bony anatomic variations and mucosal abnormalities: CT an꾀ysis for endoscopic sinus surgery. Laryngoscope 1991; 101: 56-64 16. Lothrop HA. The nantomy of the inferior Ethmoidal turbinate bon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ell formation: Surgical importance of such ethmoid cells. Ann surgery 1903; 38:233-255 17. 손영탁, 방성혁, 김중강. 부비동염환자의 Ostiomeatl Unit 병변에관한연구. 한이인지 1991 ; 34 (2) : 263-270 18. Clark ST, Babin RW, Salazar J. the incidence of concha bullosa and its relations to chronic sinunasal disease. Am j Rhinology 1989; 3: 11 12 19. Kennedy DW, Zinreich SJ. Functional endoscopic approach to in f1 ammatoiγ sinus disease: current perspective and technique modifications. AmJ Rhinology 1988; 2:8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