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개념 : 미숙아, 성숙도, 검사 미숙아에있어 Examination(NBE) 을이용한재태기간사정 이군자* 이명희** 1. 연구의필요성 미숙아란재태기간이 I. 서론 37 주이하인신생아를말하며, 이시기의미숙아는출생과동시에신생아집중치료실에 서호흡유지, 체온유지, 영양공급등의간호를받으면서 모체외부환경에적응하게된다. 이시기에미숙아가외 부에얼마나잘적응하느냐는모체내에서의성숙도와 밀접한관련이있는데, 미숙아의성숙도는출생후성장 발달과발생하기쉬운임상적문제점을예측하고효과적 인예방및관리에임할수있는가장좋은지표로사용 되고있다( 최중환, 김용익, 윤종구, 1981). 과거에도신생아의성숙도는재태기간과관계가있는 것으로생각되어왔으나많은경우에이를알수없을뿐 더러추정할방법도없었기때문에측정이간단한출생 시체중이이를대신하여사용되었다. 그러나저체중아의 1/3이미숙아와는다른특성을지 니는자궁내성장지연으로구분될수있음이알려지면 서부터출생시체중과재태기간을동시에파악하여종합 적인진단이내려져야한다는개념이대두되었다 (Klaus & Fanaroff, 1976). 따라서재태기간의임상적의의는 체중과더불어보다중요하게되었다. 그러나측정이간 단한출생시체중과는달리재태기간은임상적으로신체 적소견과신경근육소견을직접관찰, 종합하여이를 추정하려는시도들이발표되었다 (Ballard, Novak & Driver, 1979). 그러나이들임상적방법도그관찰항 목이많아측정결과를종합하기가어렵다는단점이있었 다. 이에신생아의모체내성숙도에따른재태기간을사 정하는방법으로 Dubowitz 방법(Dubowitz, Dubowitz & Goldberg, 1970) 과이를 Ballard 들이수정보완한신 생아성숙도척도 (Ballard 등, 1979; Ballard, Khoury, Wedig, Wang, Eilers-Walsman & Lipp, 1991) 가 이용되고있다. 안영미와구현영 (1998) 은정상신생아, 안영미와이상미 (2002) 는건강사정의일부로시행되는 고위험신생아의 NBE 를소개하고, NBE에의한재태기 간과어머니의 LMP에의한재태기간간에높은상관관 계가있음은물론, NBE 는신생아의신체, 근육, 신경성 숙도에대한중요한건강정보를주는신체사정역할을 하는도구임을보고하였다. 미숙아의경우정상신생아 에비해상대적으로정확한재태기간에대한정보의중 요도및의존도가높기때문에, 의료인이객관적으로통 제하고유용할수있는재태기간및관련성숙도에대한 정보는매우중요하다. 그러나미숙아출산과관련된임 신, 분만상황은응급이거나, 비정상적과정인경우가많 은데, 이러한부분은 LMP를포함한산과력에대한올바 른정보의확보를어렵게하고, 산모가임신전 12개월내 에피임약을복용하였거나최종출산이후월경없이다시 * 가천길대학간호학과교수( 교신저자 E-mail : kjlee@gcgc.ac.kr) ** 가천길대학간호학과강사 - 391 -
임신되었을경우또는수정된후자궁출혈이있었던경우 등, 정확한 LMP를알수없어재태기간을정확히알수 없는경우가있다. 이에미숙아에게 검사 에의해성숙도및재태기간을추정할수있다면, 그들 을위한보다올바른간호의제공과치료적예후를예측 하는데도움을줄수있을것이다. 그러나현재국내의 경우신생아에게 NBE를통한신체사정과재태기간사 정이표준화되어있으나거의실시하고있지않는실정 이다. 이에본연구는태내성숙도를사정하는 NBE가 임상에서미숙아의재태기간사정에유용한도구인가에 대한검증을반복연구를통해미숙아의재태기간을객관 적으로사정하고그임상적활용도를높이기위한근거 를제공하고자실시되었다. 2. 연구의목적 본연구는 NBE가임상에서미숙아의재태기간사정 에유용한도구인가에대한검증을통해미숙아의재태 기간을객관적으로사정하고그임상적활용도를높이기 위해실시하였으며그구체적목적은다음과같다. 1) NBE 의각영역별성숙정도를조사한다. 2) NBE에의한재태기간과 LMP에의한재태기간과의 상관관계를알아본다. 3) NBE 검사결과와미숙아의일반적특성과의관계를 알아본다. 3. 용어의정의 1) 미숙아성숙도 : 신체전체나부분의크기와수의증 가및구조에대한기능과능력의증가를의미하는데 본연구에서는 Ballard 등(1991) 이개발한 NBE 를사용하여측정된점수의합을의미한다. 2) 재태기간 : 태아가모체내에머무는기간으로주단 위로측정되는데본연구에서는최종월경일을기준 으로계산된어머니의자기기술에의한기간 (GA-LMP) 과 NBE 에의한기간(GA-NBE) 등두 가지이다. 1. 미숙아와재태기간 Ⅱ. 문헌고찰 재태기간이 37주이하에태어난미숙아의경우급변 하는변화에예민하게반응할신체구조가성숙되어있지 않고체내피하지방도부족하여체온조절에어려움이가 증되므로써심각한호흡장애를일으킬수있다. 이미재 태기간에따른미숙아의성숙도를사정하는것은일차적 으로미숙아성숙도의원리를이해하게하며또한출생 후미숙아의적응상태를평가하게한다. 특히통계적으 로미숙아의이환률과사망률은재태기간과밀접한관계 가있다. 태반기능장애로태아의영양부족및여러가지다른 원인들로인해서생기는출생시저체중아중 small for date infant 와미숙아는그원인, 예후, 사망률, 이환 률, 그리고호발질환등이임상적으로현저히달라이들 의구별이중요시되고있다. 즉미숙아는주로호흡곤란 증후군이나뇌실내출혈로사망하는데비하여 small for date infant 는정상신생아보다양수흡입, 혈중산 소감소증, 기흉등으로사망한다. Usher, Kenneth & Scott(1966) 은출생시체중이 2,500gm 이하의신생아중 48% 는재태기간으로보아 서는미숙아가아니었다고하며, 반면에재태기간으로는 미숙아이지만체중은 2,500gm 이상인신생아도 19% 나 되어출생시체중만으로는미숙아로단정하는것은불확 실하다고하였다. 그러므로미숙아와 small for date infant 를구별하는데는출생시체중만으로판단해서는 안되고성숙도및정확한재태기간을추정하여출생후 발생하는질환의진단및예방과관리를할수있고보 다능동적인간호중재를하여이환률과사망률을현저히 감소시킬수있다고생각된다. 2. 성숙도에의한재태기간사정 1) 신체성숙도사정 Farr, Kerridge & Mitchell(1966) 은신생아의특 징적소견중피부감촉, 피부색깔, 피부불투명도, 부종, 솜털, 귀의형태, 귀의단단함, 생식기, 유방크기, 유두 형성, 발바닥주름의 11항목으로재태기간을추정하였 다. Ballard(1979) 는 Farr 등(1966) 과 Dubowitz 등 (1978) 이고안한신체소견을피부, 솜털, 발바닥주름, 유방, 눈/ 귀, 생식기의 6항목의점수를정하고합산한 점수를계산한다음이를성숙도에적용시켜재태기간을 추정하였다. Capurro, Konichezky, Fonseca & Galdeyro-Barcia(1978) 는 Ballard 검사가 26주이하 - 392 -
아동간호학회지제8권제4호 의미숙아나 42주이상의과숙아에게사용하는데문제가 있다고하였다. Constantine, Krammer, Kendall- Tackett, Tackett, Bennett, Tyson & Gross (1987)) 는 Ballard 검사가완전하지는않지만미숙아 에게적용하는것이좋다고하였다. Ballard 등(1991) 이 26주이하의미숙아를사정할 수있는 Score 를개발하여이검사를누 구나수행하는데쉬울만큼간편하면서도정확하게재태 기간을추정할수있으며특히호흡기를달고있는미숙 아에게서검사하기어려운항목을생략했기때문에사용 할수있는장점이있다. 2) 신경근육성숙도사정 Dubowitz 등(1970) 은 10 가지항목( 체위, 팔목각도, 발목배굴, 팔굴곡, 다리굴곡, 무릎대퇴굴곡, 발을같은 방향귀에다댐, 손을반대편어깨에댐, 머리지지, 복면 고정) 의신경학적소견을점수화하여사용하였다. Brazelton(1977) 은 26개의행동목록과 20개의반 사점수를 9개의분야로나누어평가하는방법을고안하 였고, 이를 4 개의범주( 상호과정, 운동과정, 생리적상태 조정, 스트레스반응) 로나누어분석하였다. 그러나검사 하는데시간이너무오래걸리므로연구목적이아닌임 상적용에는활용이어려운것으로지적되었다. Ballard 등(1979) 은 Amiel-Tison(1968) 과 Dubowitz (1970) 가고안한 10가지신경학적소견들중에머리지 지와복면고정은재태기간의추정보다는병의유무를가 리는데더유용하고, 발목배굴은자궁내체위에의해영 향을받는경우가많고, 다리굴곡은둔위인경우에는 전혀사용할수없기때문에이들을검사항목에서제외 하고 6 항목으로요약하여점수를합산한후이를성숙 도에적용시켜재태기간을추정하였다. 1. 연구대상및자료수집 Ⅲ. 연구방법 본연구의대상은인천지역에있는 G 대학병원여성 클리닉신생아집중치료실에입원한미숙아 74명으로남 아 40 명, 여아 34 명이었다. 대상자는비확률편의추출법 에의해 2001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총 11개월간 수집되었다. NBE 의구체적단계는도구의오차를줄이기위해안 영미와구현영 (1998) 이기술한방법에대한기준을검 토한후임상에서실시하고있는 1명의전문간호사와연 구자가사전검사를수행하였을때 inter-rater reliability 는 100% 이었다. 일관성있는자료수집을위 해 NBE 사정및기타자료수집은 1명의신생아전문 간호사에의해수행되었다. 검사를실시하기전에산소 포화도와호흡사정을통해대상자의신체적안정여부를 확인하였으며목욕, 수유, 처치등자극을피하여평균 생후 였다. 12.5시간이지난후에깨어있을때검진을실시하 2. 연구도구 본연구에서는신생아성숙도를사정하고이를근거로 재태기간을측정하기위해 NBE 를사용하였다. 이도구 는총 12항목으로각각 6항목으로구성된신경근육성숙 도와신체성숙도를측정한다. 각항목은 -1 혹은 0 부터 4 혹은 5 까지척도로점수화되며각각의항목은일반적 으로점수가높을수록성숙도가높은것을의미한다. 그 러나지나치게높은점수는과도한성숙을의미하며반 드시좋은건강상태를나타내는것은아니다. 신생아의 성숙도에따라매겨진점수는모두도구에서제시된기 준에의해재태기간을사정하게된다. 검사결과가능한 결과는최소총 -10점의성숙도와이에해당하는재태기 간 20주부터최대총 50점의성숙도와이에따른재태 기간 44 주이다. 검사는출생후 4일까지는어느때나가 능하지만일반적으로신생아가충분히안정되고적응되 는출생후 30-42 시간이가장바람직한검사시기이다 (Ballard 등, 1979). 그러나재태기간이 26주미만의 신생아들은생후 96시간까지도신뢰성있는결과를기 대할수있는것으로보고하였다 (Whaley & Wong, 2001). 3. 자료분석 본연구의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이용하여분석하 였다. 대상자의일반적특성및분만력등은빈도, 백분 율등으로살펴보았고, 검사항목간의관 계및대상자의특성과의관계는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y, ANOVA 로검증하 였다. - 393 -
1. 대상자의특성 Ⅳ. 연구결과 본연구에참여한미숙아의특성은 < 표 1> 에요약되었 다. 대상자의평균재태기간은 33.08 주, 평균출생체중 은 1922.02gm, 평균출생신장은 42.99cm 이었다. 또한 출생시평균두위는 30.37cm, 아프가점수는출생후 1 분에평균 6.90 점, 5분에평균 8.36 점으로나타났다. 각대상자의분만력사항은 < 표 2> 와같다. 연구대 상자의 41.9% 가자연분만으로출생하였는데이중 8.1% 가조기파수의위험가능상황이었으나실제로임상 적문제를야기하지는않았다. 반이상인 58.1% 가제왕 절개술로출생하였는데이는본연구의자료가비표본적 대상을중심으로 3차의료기관에서수집되었다는점을 고려한다하더라도현사회에서제왕절개술이급격히늘 어나고있음을반영한다. 실제로제왕절개술의가장큰 원인으로는쌍태아였고, 또한이전분만의제왕절개술을 이유로현분만시제왕절개술을행한경우도 13.5% 나 되었는데꼭수술을해야하는산과적이유가없다면정 상분만을유도하는것을고려할때역시감소되어져야 하는현상으로사려된다. 2. Examination 결과 어머니의 LMP에따른 NBE 의각항목별점수는 < 표 3> 에제시되어있다. 가장낮은재태기간인 25주에출생 한대상은 12개의항목중 Scarf sign 과솜털, 눈/ 귀에 관한항목을제외한 9개항목에서가장낮은성숙도점 수를나타내었다. 그에비해가장높은재태기간인 37주 < 표 1> 대상장의일반적특성 재태기간 ( 주) 출생체중 (g) 출생신장 (cm) 두위 (cm) Apgar 점수 1분 Apgar 점수 5분 평균 33.08 1,922.02 42.99 30.37 6.90 8.36 표준편차 2.77 480.26 3.61 2.66 2.20 1.66 최소값 25.29 930.00 34.00 18.50 1 2 최대값 36.86 2,880.00 49.00 34.50 9 10 < 표 2> 대상장의분만력 분만질분만제왕절개분만총계형태정상조기파수태아질식쌍태아태위이상반복제왕절개기타실수 (%) 25(33.8) 6(8.1) 3(4.1) 20(27.0) 3(4.1) 10(13.5) 7(9.5) 74(100.0) 계 31(41.9%) 43(58.1%) < 표 3> Examination 의각항목별결과 평균 ( 표준편차 ) 신경근육성숙 신체성숙 GA-LMP( 주) 25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총계 대상자수 1 4 2 3 2 7 7 7 15 9 15 2 74 Posture 1 1.5 1.5 2.3 2.5 2.6 2.7 2.4 2.9 3.2 3.6 3 2.82(0.79) Square window 0 0.8 1.5 0.6 2.5 1.4 1.7 1.6 2.4 2.5 2.5 2.5 2.21(1.10) Arm recoil 1 1.1 2 2 1.5 2.1 2.8 2.6 3.1 3.2 3.0 3 2.65(1.01) Popliteal angle 0 1.3 0.5 2 1 1.9 2.3 2.3 3.1 3.3 3.5 3.5 2.62(1.31) Scarf sign 1 1 0.5 2 2 0.4 1.7 1.6 2.1 2.3 2.6 3 1.87(1.02) Heel to ear 0 0.5 0.5 1 1.5 0.9 1.4 1.6 2.1 2.6 2.7 3 1.86(1.08) 계 3 6.2 6.5 9.9 11 9.3 12.6 12.1 15.7 17.1 17.9 18.0 Skin 0 1 1 1 2.5 2 1.9 2.1 2.2 2.8 2.9 3 2.21(1.10) Lanugo 1 1 1 1.3 2 2 1.8 2 2.3 2.3 2.5 2.5 2.06(0.89) Plantar surface 0 1 0.5 1.3 1 2.3 2.4 2.7 2.3 3.2 2.7 3 2.31(0.99) Breast 0 0.3 1 1 1.5 1.1 1.4 1.9 2.1 2.5 2.4 3 1.84(0.92) Eye/ear 1 1.3 1 1.3 1.5 1.2 1.8 2.3 2.6 2.7 2.7 2.5 2.17(0.87) Genitalia 0 1.3 1.8 0.6 1.5 2.1 1.3 2.4 2 1.9 2.3 2 1.89(0.92) 계 2 5.9 6.3 6.5 10 10.7 10.6 13.4 13.5 15.4 15.5 16 총 계 5 12.1 12.8 16.4 21 20 23.2 25.5 29.2 32.5 33.4 34-394 -
아동간호학회지제8권제4호 에출생한대상은신경근육성숙도에관한 6개항목중 4 개항목에서, 신체성숙도에관한 6개항목중 3개항목 에서가장높은성숙도점수를나타내었다. 특이하게체 위, arm recoil 의두항목의경우모두 25주에서가장 낮은점수를보인반면, 가장높은점수를보인출생재 태기간은각각 36 주, 35 주로나타났다. 전체대상자를 대상으로가장낮은점수를보인것은유방에관한항목 으로평균 1.84 로나타났으며, 가장높은점수를보인 것은체위에관한항목으로평균 2.82 로나타났다. 12 항목중가장낮은점수는 25주된대상자의 square window, popliteal angle, heel to ear, 피부, 발바닥 주름, 유방, genitalia 로나타났고, 가장높은점수는 36 주된대상자의체위로나타났다. 이에 LMP에의한재태기간과 검사점 수에의해산출된재태기간의상관관계또한이들과 검사의각항목별상관관계를 < 표 4> 에서 살펴보았다. 검사의 12항목과 LMP 재태 기간은모두긍정적인상관관계 (.390<r<.736) 를보였 다. 또한 검사의 12항목과 검사재태기간은모두긍정적인상관관계 (.486<r<.817) 를보였다. 그중 genitalia 항목은 LMP 재태기간 과 검사재태기간모두와가장낮은순상 관관계 (r=.390, p=.000, r=.486, p=.000) 를보였 다. 유방항목은 LMP 재태기간과 검사 재태기간모두와가장높은순상관관계 (r=.736, p=.000, r=.817, p=.000) 를보였다. LMP 재태기간과 검사재태기간은모두순상관관계를보였 고, LMP 재태기간보다 검사재태기간이 더높은상관관계를보였다. 또한 < 표 5> 에서보는바와같이 LMP에의한재태기 간은평균 33.08 이었으며, 검사에의한 재태기간은평균 34.60 으로나타났는데이들간은통계 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paired t=7.284, p=.000), 강한순상관관계를보였다 (r=.844, p=.000). 또한 < 표 6> 에제시된바와같이 검사 에의한재태기간은신경근육성숙도, 신체성숙도, 총성숙 도모두에서 관계를보였다. LMP에의한재태기간에비해높은순상관 < 표 4> GA-LMP와 GA-NBE 에따른제태기간의관계 신경근육성숙 신체성숙 문항 GA-LMP GA-NBE r p r p Posture.708.000.760.000 Square window.630.000.725.000 Arm recoil.542.000.673.000 Popliteal angle.620.000.763.000 Scarf sign.532.000.668.000 Heel to ear.693.000.764.000 Skin.551.000.665.000 Lanugo.440.000.623.000 Plantar surface.632.000.678.000 Breast.736.000.817.000 Eye/ear.658.000.705.000 Genitalia.390.000.486.000 < 표 5> GA-LMP와 GA-NBE 에대한재태기간비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Statistics GA-LMP 33.08 2.77 25 37 paired t = 7.284 r =.844 GA-NBE 34.60 3.32 26 43 p =.000 p =.000 < 표 6> NBE에의한성숙도와재태기간과의관계 신경근육성숙 신체성숙 총NBE 점수 r p r p r p GA-LMP.786.000.790.000.848.000 GA-NBE.933.000.918.000.997.000-395 -
검사에의한재태기간과총성숙도점 수는가장높은순상관을보였다 (r=.997, p=.000). 3. 대상자의일반적특성과 NBE < 표 7> 에제시된바와같이대상자의일반적특성중 출생체중, 신장은 검사의신경근육성숙도 와신체성숙도를포함한총점수와비교적강한순상관관 계(.631<r<.799) 를보였다. 출생후 1분과 5분에측정한 아프가점수역시 Ballard 관계(.447<r<.531) 를보였다. 점수들과통계적으로유의한 대상자의분만력에따른 검사점수와의 관계를 < 표 8> 에서살펴보았다. 검사에의 한성숙도는신경근육성숙도, 신체성숙도, 총성숙도모두 에서대상자의분만력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 없었다 (F=1.829, p=.107, F=1.885, p=.096, F=1.905, p=.093). 대상자의분만력중태아질식인경 우가장낮은성숙도를보였고, 태위이상인경우가장 높은성숙도를보였으며, 신경근육성숙도가더높았다. Ⅴ. 논의 본연구에서는 74명의미숙아를대상으로 New Ballard 검사를이용하여그들의성숙도와재태기간을 사정하고이에영향을줄수있는여러가지임상적요 인을분석하였다. 연구결과모성의 LMP에근거한재태 기간과 검사에의해산출된재태기간이 서로높은순상관관계를보였으며, LMP에의한재태기 간에비해 검사에의한재태기간의신경 근육성숙도, 신체성숙도, 그리고총성숙도모두더높은 상관관계를보였다. 또한 LMP에의한평균재태기간이 검사에의한평균재태기간보다낮으며 이들간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으며 (paired t=7.284, p=.000), 강한순상관관계를보였다 (r=.844, p=.000). 안영미와구현영 (1998) 은정상신생 아를대상으로, 안영미와이상미 (2002) 는고위험신생 < 표 7> 대상자의특이사항에따른 GA-LMP와 GA-NBE 와의관계 GA-LMP GA-NBE 신경근육성숙 신체성숙 NBE 점수 출생시체중.788.734.694.673.737 출생시신장.799.722.695.631.719 Apgar 점수 1 분.531.492.466.468.504 Apgar 점수 5 분.509.497.447.500.5.09 p =.000 < 표 8> 분만력에따른 Examination 질분만 제왕절개분만 평균( 표준편차 ) 신경근육성숙 신체성숙 총성숙도 정상 14.56 12.94 27.58 (4.67) (4.44) 8.79 조기파수 12.16 10.83 23.00 (7.25) (7.22) (14.18) 태아질식 10.33 6.66 17.00 (1.15) (4.16) (3.46) 쌍태아 12.15 11.92 24.07 (4.25) (2.99) (6.33) 태위이상 16.50 14.33 30.83 (4.27) (1.52) (5.79) 반복제왕절개 16.80 13.90 30.70 (4.38) (3.66) (7.22) 기타 13.50 14.28 27.78 (3.66) (1.49) (4.45) 계 13.82 12.55 26.40 (4.76) (4.15) (8.31) F 1.829 1.885 1.905 P.107.096.093-396 -
아동간호학회지제8권제4호 아를대상으로 GA-LMP 와 GA-NBE 를비교연구한결 과평균재태기간은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으나강한 순상관관계를보였다. 그러므로 NBE 가정상신생아, 고 위험신생아보다미숙아에게더정확하고신뢰도가높 은 GA 측정도구임을나타내었다. NBE의두영역과 GA간의관계를비교한결과 GA-LMP 인경우신경근육성숙도에비해신체성숙도가, GA-NBE 의경우는그반대로신체성숙도에비해신경 근육성숙도가각각더높은상관관계를나타내었다. 이 는안영미와구현영 (1998) 이정상신생아를대상으로 한연구에서신체성숙도가더높은상관관계를보였다는 결과와상반되나 cord neck, CPD, 둔위등의위험요인 을가진신생아의경우신체성숙도보다신경근육성숙도 점수가더높다는연구결과와, 안영미와이상미 (2002) 가고위험신생아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 GA-NBE 는 신체성숙도에비해신경근육성숙도와더높은상관관계 를보였다고하여본연구결과와일치하였다. Constantine 등(1987), Parkin, Hey & Clowes (1976), Gould, Gluck & Kulovich(1977) 는저출생 체중아의경우임신및분만중의합병증이신생아에게 일종의스트레스로작용하여스스로의신경근육성숙도를 가중할수있다고하였다. 본연구에서도미숙아의경우 신경근육성숙도점수가신체성숙도보다높고, GA - NBE 와신경근육성숙도점수와의상관관계가신체성숙 도의상관관계보다높게나타났다. 이는 NBE가미숙아 에있어가속화된신경근육계의성숙을반영하는도구임 을나타낸다. 이러한점은 SGA(small for gestational age) 신생아나고위험신생아에게검사를실시할때더욱 유의해야할사항으로, 단순히신경근육성숙도에근거하 여재태기간을사정하면실제보다높은재태기간으로추 측할수있으므로신체성숙도와함께정확한검사를적 용해야함을의미한다. 신생아성숙도에관한 NBE의 12항목중정상신생 아의경우순상관관계가나타난항목에대한상관계수가.224 ~.520, 고위험신생아.349 ~.844, 미숙아.390 ~.817 인것으로보아 NBE가정상신생아보다고위험 신생아 ( 미숙아 ) 에게신뢰성이높은도구임을나타낸다. 대상자의특성중출생시체중과신장그리고출생시 1 분, 5분에측정한아프가점수는재태기간및 NBE와 높은상관관계를보였다. 안영미와이상미 (2002) 는대 상자의특성중출생시체중, 신장, 그리고출생 1분에 측정한아프가점수는재태기간및 NBE와높은상관관 계를보였으나출생 와는높은상관관계를보인반면 5분에측정한아프가점수는 NBE GA-LMP 와는상관이 없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는역시 NBE가재태기간을 사정하는데있어 은도구임을지지한다고생각한다. LMP를이용하는것보다신뢰도가높 대상자의분만력에따른 NBE 성숙도는모두통계적 으로유의하지않았으나신경근육성숙도가더높았다. 안영미와구현영 (1998) 은정상신생아를대상으로한연 구에서분만력에따른 NBE 성숙도는모두통계적으로 유의하게나타나본연구결과와상반되고, 안영미와이 상미(2002) 는고위험신생아를대상으로한연구에서기 형, 미숙아, 호흡곤란증후군, 남아에 NBE 중신경근육 성숙도가더높은성숙도를보인다고하였다. 이러한결 과는일종의스트레스가신경근육의성숙을반영하는결 과라고생각된다. 결론적으로신생아집중치료실에있는미숙아는성숙 도가예후를좌우하므로어머니의산과력에근거한 LMP 에만의존하나이는불확실한월경주기나부정확한 기억이나기록에영향을받을수있고, 무엇보다도비전 문인에전적으로의존한다는위험이있다. 특히미숙아 의간호에는정확한재태기간의사정이매우중요한데, 미숙아는일반적이기보다는비정상적혹은다양한형태 의임신, 분만과정과관계가있다. 이에미숙아의경우 모성에의존하기보다는건강전문인에의한객관적인재 태기간뿐아니라신체사정을통한신체성숙도및신경근 육성숙도를사정하여미숙아에대한평가와조기치료를 통하여장애아동의수를최수화할수있으리라생각된 다. 본연구는미숙아를대상으로 NBE를통한신뢰성 있는재태기간사정을제시함으로써그임상적적용을 검증하였다. Ⅵ. 결론및제언 본연구는 Examination 을실시하여 신경근육성숙도, 신체성숙도및전체성숙도를측정하여 이를근거로 NBE가재태기간의사정에유용한도구인 가에대한검증을통해그임상적활용을높이기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01 년 8월부터 2002 년 6월까지 G 대 학병원여성클리닉신생아집중치료실에입원한 미숙아로하였다. 본연구의결론및제언은다음과같다. 74명의 - 397 -
1. NBE 의각영역별성숙도는체위항목이가장높은 점수( 평균 2.82) 를나타낸반면에유방항목이가장 낮은점수( 평균 1.84) 를나타내었다. 2. LMP에의한재태기간과 NBE에의한재태기간은 높은순상관관계를보였다 (r=.844, p=.000). 3. 미숙아에있어 GA-NBE 는신체성숙도에비해신경 근육성숙도가더높은상관관계를보였다 (r=.786 vs r=.933, p<.05) 4. 미숙아의출생체중, 신장, 출생후 1 분, 5분아프가 점수는 NBE 의신경근육성숙도, 신체성숙도및총성 숙도와, GA-LMP 와 GA-NBE 와의순상관관계를보 였다. 5. 미숙아의분만력에의한 NBE 중신경근육성숙도, 신 체성숙도및총성숙도는통계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 본연구결과 NBE는미숙아의성숙도와재태기간을 사정하기에유용한도구로나타났다. 이에신생아간호 과정의필수적인정보인재태기간을예측하는손쉽고도 전문적인도구인 NBE가간호사의독자적이고전문적인 건강사정의일부로사용하여미숙아의생존을증가시키 고질병의조기발견및치료를위한기초자료로서활용 되기를제언한다. 참고 문헌 안영미, 구현영 (1998). 신생아의성숙도평정에의한 재태기간사정. 아동간호학회지, 4(1), 86-95. 안영미, 이상미 (2002). 고위험신생아에있어 New Ballard Examination (NBE) 을이용한재태기간 사정. 대한간호학회지, 32(2), 176-185. 최중환, 김용익, 윤종구 (1981). Ballard's Scoring System 에의한신생아재태기간의임상적추정. 소 아과, 24(11), 26-35. Amiel-Tison, C. (1968). Neurological evaluation of the maturity of newborn infants. Arch.Dis.Child, 43, 89-93. Ballard, J. L., Novak, K. K., & Driver, M. (1979). A Simplified score for assessment of fetal maturation of newly born infants. J.Pediatr, 95(5), 769-774. Ballard, J. L., Khourg, J. C., Wedig, K., Wang, L., Eilers-Walsman, B. L., & Lipp, R. (1991). Score, expanded to include extremely premature infants. J. Pediatr, 119(3), 417-423. Brazelton, T. B., (1977).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 in Clinics in developmental medicine. 50th ed. London, SIMP Heinemann, 1973. cited from Als H, Tronicks E, Lester BM, Brazelton TB: The Brazelton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 (Bnbas). J.Abnor.Child Psychol, 5, 215-231. Capurro, H., Konichezky, S., Fonseca, D. and Galdeyro-Barcia, R. (1978). A simplified method for diagnosis of gestational age in the newborn infant. J. Pediatr, 93, 120-122. Constantine, N. A., Kramer, H. C., Kendall- Tackett, K. A., Bennett, F. C., Tyson, J. E., & Gross, R. T. (1987). Use of physical and neurological observations in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in low birth weight infants. J. Pediatr, 110(6), 921-928. Dubowitz, L. M. S., Dubowitz, V., & Goldberg, C. (1970). Clinical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in the newborn infant. J. Pediatr, 77(1), 1-10. Farr, V., Kerridge, D. F., and Mitchell, R. G. (1966). The value of some external characteristics in the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at birth. Dev. Med. Child. Neurol, 8, 657-668. Gould, J. B., Gluck, L., & Kulovich, M. V. (1977).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lerated pulmonary maturity and accelerated neurological maturity in certainchronically stressted pregnancies. Am. J. Obstet. Gyneclo, 127, 181. Klauss, M., & Fanaroff, A. (1979). Care of the high-risk neonate. 2nd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Parkin, J. M., Hey, E. N., & Clowes, J. S. (1976). Rapid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at birth. Arch. Dis. in Childhood, 51, - 398 -
아동간호학회지제8권제4호 259-263. Usher, R., Kenneth, E., Scott, E. (1966). Judgement of fetalage, Ⅱ. Clinical significance of gestational age and objective method for its assessment. Ped. Clin. N. Amer, 13, 835-845. Whaley, L. F., & Wong, D. (2001).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fren, V. St. Louis : Mosby. - Abstract - Key concept : Premature infants, Maturity, Examination Assessment of Gestational Age using Examination in Premature Infants Lee, Kun-Ja* Lee, Myung-Hee ** Purpose: Knowing the accurate gestational age(ga) is critical in nursing care of premature infants. A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clinical applicability of the examination(nbe) in premature infants. Method: A NBE was performed to measure GA by assessing the neuromuscular and physical maturity in the course of physical examination of a convenient sample of 74 premature infants. Result: 1. The highest item of NBE score was posture (mean=2.82) and the lowest item was breast (mean=1.84). 2. There was a highly correlation between both the GA by LMP(GA-LMP) and GA by NBE (GA-NBE)(r=.844, p=.000). 3. There was a greater positive relationship in neuromuscular maturity than physical maturity in the GA-NBE of the premature infants(r=.786 vs r=.933). 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uromuscular, physical, total maturity, GA-LMP and GA-NBE in the birth weight, length, 1, 5 minute apgar scor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neuromuscular, physical, total maturity in NBE by delivery history. Conclusion: The study supports the reliability a clinical relevance of NBE in assessment of the accurate GA in premature infants. * Professor, Gachongil College, Nursing Dept. ** Instructor, Gachongil College, Nursing Dept. - 3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