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77-84 ISSN 한국판정신장애진단선별질문지의표준화연구 : 최적절단점 계명대학교의과대학동산의료원정

Similar documents
hwp

서론 1. 연구대상 1) 정상군 연구대상및방법 2) 성격장애군 526

012임수진



Lumbar spin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서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1..

03-서연옥.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èÇ¥³â

歯1.PDF

Microsoft Word doc

1. 연구대상 연구방법 2. 측정도구 3. 명상법소개및연구절차 492

139~144 ¿À°ø¾àħ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2):61-71 보험회사의 합리적 선택은 무엇이게 되는가 그리고 그 합리 성을 넘어설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보험을 유지하는 또 다른 요소는 사회적 연대 - 이다 사회적 연대는 합리성과 대척

Microsoft PowerPoint - 04_우조연수_서호석_우울증진단도구 [호환 모드]

(

서론 34 2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3;52: ISSN 한글판우울증선별도구 (Patient Health Qustionnaire-2)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12이문규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DBPIA-NURIMEDIA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DBPIA-NURIMEDIA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Jkcs022(89-113).hwp

A 617

untitled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DBPIA-NURIMEDIA

???? 1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Kbcs002.hwp


04조남훈

DBPIA-NURIMEDIA

<313120B9DABFB5B1B82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 )Kju225.hwp

歯5-2-13(전미희외).PDF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 )Kju269.hwp

<35BFCFBCBA2E687770>

han32p

433대지05박창용

( )Kjhps043.hwp

untitled

DBPIA-NURIMEDIA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745_757특집-안동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9;58(1):47-54 Print ISSN Online ISSN

歯kjmh2004v13n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04_이근원_21~27.hwp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untitled

???춍??숏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DBPIA-NURIMEDIA

Can032.hwp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다문화 가정의 부모

#Ȳ¿ë¼®

ORIGINAL ARTICLE 한국어판단축형성격신념질문지의타당화연구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2): Print ISSN

44-4대지.07이영희532~


도비라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歯14.양돈규.hwp

Transcription: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2;51:77-84 ISSN 115-4817 www.knpa.or.kr 한국판정신장애진단선별질문지의표준화연구 : 최적절단점 계명대학교의과대학동산의료원정신건강의학교실, 1 대구한마음병원, 2 CHA의과학대학교구미차병원정신건강의학교실, 3 동국대학교의과대학경주병원정신건강의학교실, 4 대구가톨릭대학교의과대학의학통계학교실 5 곽재훈 1 김정범 1 최정식 2 김희철 1 정성원 1 이은정 1 성형모 3 사공정규 4 신임희 5 정철호 1 Study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 The Optimal Cutoff Scores Jae-Hoon Kwak, MD 1, Jung-Bum Kim, MD, PhD 1, Jeong-Shik Choi, MD 2, Hee-Cheol Kim, MD, PhD 1, Sung-Won Jung, MD, PhD 1, Eun-Jung Lee, PhD 1, Hyung-Mo Sung, MD, PhD 3, Jung-Kyu Sakong, MD, PhD 4, Im-Hee Shin, PhD 5 and Chul-Ho Jung, MD, PhD 1 1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 Hanmaum Hospital, Daegu, Korea 3 Department of Psychiatry, CHA Gumi Medical Cener, College of Medicine, CHA University, Gumi, Korea 4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guk University Gyeongju Hospital,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yeongju, Korea 5 Department of Biostatistic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Received December, 11 Revised January 23, 12 Accepted January 31, 12 Address for correspondence Chul-Ho Jung,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Dong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56 Dalseong-ro, Jung-gu, Daegu 7-712, Korea Tel +82-53-25-7816 Fax +82-53-25-781 E-mail jung531@dsmc.or.kr Objectives An exact diagnosis and comorbidity analysis are important in psychiatric disorders. The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PDSQ) is both useful as a self-reporting test for screening psychiatric disorders and available for clinical settings due to it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his study, as a part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K-PDSQ), evaluated optimal cutoff scores. Methods The samples were 696 patients in total, who were selected from the psychiatric departments of 3 university hospitals from March 8 to August 11. Diagnosing by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Plus (MINI-Plus), we evaluated sensitivity, specificity, cutoff scores, ROC curve,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of K-PDSQ. SPSS version 12. for Windows and MedCalc version 12.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Results With a cutoff score of 9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K-PDSQ, bo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 The cutoff scores of PTSD, OCD, panic disorder, agoraphobia, psychosis, alcohol related problem, GAD, hypochondriasis, and social phobia of K-PDSQ were 5, 2, 4, 2, 1, 2, 5, 4, and 5, respectively. In most of the subscales, each AUC was above.75. Conclusion By applying the cutoff scores estimated above, we expect K-PDSQ to help provide diagnostic assessments and to grasp comorbidities before a clinical interview in the setting of busy outpatient clinic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2;51:77-84 KEY WORDS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Screening Diagnostic instrument Psychiatric disorder. 서론 정신장애는 진단에 따라 치료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오진이 되는 경우 치료가 어렵고 만성화될 가능성이 있어서 정확한 진단적 평가가 중요하다 정확한 진단적 평가를 위해 반구조화 혹은 구조화된 면담도구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면담도구를 임상에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정신장애 증상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처음으로 표준화된 면담도구는 년 Copyright 12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7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2;51:77-84 등 이 개발한 로서 일반적인 정신상태 검사를 표준화하기 위한 반구조화된 면담이며 비교적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이후로 이하 이하 - 이하 이하 - 이하 - 이하 등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진단도구들 중에서 는 한국판으로 번역되어 진단적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대표적인 구조화된 임상 면담도구로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정신장애에 대한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공존질환의 평가도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공존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고 약물 선택을 비롯하여 치료적 전략에 있어서도 공존질환의 유무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임상의가 공존질환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반구조화 혹은 구조화된 면담도구는 간과하기 쉬운 공존질환을 놓치지 않고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다소의 임상경험을 필요로 하며 상당시간 동안 충분히 훈련을 받은 숙련된 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소 분 이상의 상당히 긴 면담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 바쁜 임상진료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오늘날 임상진료 환경에서는 임상가가 자유롭게 진행하는 임상적 면담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자유로운 임상면담만으로는 신뢰도 높은 진단분류에 한계가 있다 각각의 정신장애 증상들을 체계적으로 알아보기 어렵고 임상가들 간의 면담방법에 의한 차이가 있으며 면담에 따른 소요시간 등의 경제적 손실이 크며 정확한 정신장애의 진단 및 공존질환의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면서도 민감도가 높고 다양한 정신병리에 대하여 포괄적인 접근이 가능하며 간편한 실용적인 진단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년 과 는 정신병리의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공존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정신장애 진단선별질문지 - 이하 를 개발하였다 는 외래진료환경에서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판 - 이하 축 의 장애를 선별하기 위해 고안된 자가보고식 검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 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는 형식이 간략하여 작성시간이 짧고 빠르게 점수화할 수 있어서 외래진료 환경에서 초진 환자의 진단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여러 임상 증상들을 포괄하고 있어 임상적 진단뿐만 아니라 공존질환을 파악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등 은 한국판 정신장애 진단선별질문지 - 이하 를 번역 개발하여 진단적 타당도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우울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알코올관련장애 범불안장애 정신병적 장애 건강염려증에서 와 이하 의 진단 간에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계수 값은 로 나타났으나 각 하위척도 간에 일치도에 있어 계수 값이 주요우울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알코올관련장애 범불안장애 정신증 건강염려증 로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렇게 각 하위척도 간의 진단적 일치도에서 편차가 심하게 나타난 이유는 이 연구에서 과 의 연구에서 적용한 절단점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절단점을 산출하는 표준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로서 임상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 최적 절단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대상연구대상은 년 월부터 년 월 말까지 대구경북 지역의 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의과학대학교 구미 병원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를 방문한 외래환자 명 입원환자 명인 총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정신병적 증상이 현저하거나 인지저하나 신체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가보고식 검사가 어려운 환자들과 문항 누락 혹은 작성이 모호한 경우도 제외하였다 외래환자 명과 입원환자 명을 제외하여 외래환자 명 입원환자 명인 총 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외래환자는 모두 진료 첫날 입원환자는 입원 수일 이내에 - 와 를 실시하였다 는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인과 임상심리사 인에 의해 시행되었고 는 환자가 스스로 작성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 로 구조화된 면담을 하기 전에 를 먼저 작성하였다 78

한국판 PDSQ 의최적절단점 JH Kwak, et al. 도구 K-PDSQ 는 정신건 강의학과 임상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축 의 장애 를 선별하기 위해 고안된 자가보고식 검사로서 년 - 과 가 개발하였다 는 첫 임상면담을 하기 전 진료대기 중에 시행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으며 기분 장애 불안장애 섭식장애 정신병적 장애 신체형 장애 물질 관련장애의 총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각 모듈은 주요 우울장애 문항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문항 폭식장애 문항 강박장애 문항 공황장애 문항 정신병적 장애 문항 광장공포증 문항 사회공포증 문항 알코올남용 의존과 같은 알코올관련장애 문항 약물남용 의존과 같은 약물관 련장애 문항 범불안장애 문항 신체화 장애 문항 건강 염려증 문항으로 총 영역의 장애들의 증상을 평가하는 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 혹은 아니 오 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MINI-Plus 는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otal patients Characteristic Patients (n=696) M±SD or n (%) Age (years) 42.46±16.5 Gender Female 348 (5.) Male 348 (5.) Occupation Regular 97 (13.9) Non-regular 55 (7.9) Unemployed 349 (5.1) Others* 195 (28.) Marital status Never married 236 (33.9) Married 379 (54.5) Separated 9 (1.3) Divorced 34 (4.9) Widowed 3 (4.3) Remarried 8 (1.1) Education <12 years 222 (31.9) High school graduate 258 (37.1) College graduate or higher 216 (31.) Religion Christianity 153 (22.) Catholicism 59 (8.5) Buddhism 5 (29.5) None 267 (38.4) Others 12 (1.7) * : Others could include private businessmen, farmers, free-lancers, students and so on.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n : Number 와 국제질병분류 제 차 개정판 - 이하 의 주요 제 축 정신장애의 진단을 위해 년 미국과 유럽에서 개 발된 구조화된 면담기구로 다기관 임상연구나 역학조사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으며 면 담시간이 평균 분으로 와 에 비해 소요시간이 짧다 국내에서는 년 등 이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한국판으로 표준화하였다 통계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을 사용하여 자료를 평균과 빈도로 요 약하였다 을 사용하여 의 민감도와 특 이도를 구하였다 또한 수용자 작업특성 곡선 - 이하 분석을 통해 민 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가장 높게 유지되는 점수를 절단점으 로 산정하였다 미만의 값을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대상자들의인구학적특성 과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구하였다 표 성 별에서는 남녀 각각 명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 연령은 ± 세였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명 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수준에서는 고등학교 졸업자가 명 Table 2. DSM-IV diagnoses by MINI-Plus DSM-IV diagnoses* n % Major depressive disorder 332 47.7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9 2.7 Eating disorder 4.6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47 6.8 Panic disorder 163 23.4 Agoraphobia 56 8. Psychosis 76 1.9 Alcohol abuse/dependence 51 7.3 Drug abuse/dependence 2.3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41.3 Hypochondriasis 28 4. Social phobia 64 9.2 Somatoform disorder 1 1.4 * : Individuals could be given more than one diagnosis. DSM-IV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ourth edition, MINI-Plus :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Plus, n : Number www.knpa.or.kr 79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2;51:77-84 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자들 중 입원환자는 명 외래환자는 명 이었다 중복진단을 포함한 질환 별 분포는 의 진단에서 주요우울장애가 명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공황장애가 명 범불안장애가 명 순이었다 표 타당도분석표본 수가 매우 적었던 폭식장애 명 약물 의존 남용과 같은 약물관련장애 명 신체화 장애 명 는 다음의 민감도 및 특이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절단점 점이며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였다 광장공포증은 절단점 점이며 민감도는 특이도는 였으며 정신병적 장애는 절단점 점 민감도 특이도 였다 알코올관련장애는 절단점 점이며 이를 본 연구에서 적용했을 때 민감도 특이도 였고 범불안장애는 절단점 점이며 민감도 특이도 였다 건강염려증의 절단점은 점으로 민감도 특이도 였고 사회공포증의 절단점은 점으로 민감도는 특이도는 였다 진단적유용성평가 민감도와특이도 - 의 절단점에 따른 각 하위척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였다 표 절단점이 낮을수록 민감도는 증가하고 특이도는 감소하였다 과 가 산정한 절단점을 본 연구결과에 적용했을 때 주요우울장애는 절단점 점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 였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절단점 점 민감도 특이도 였다 강박장애는 절단점이 점이며 민감도는 특이도는 였고 공황장애는 ROC curve - 가 선별도구로서 유용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를 구하였다 그림 각 하위척도에 해당하는 가 그림의 대각선보다 위쪽에 위치해야 선별도구로서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모든 하위척도 즉 주요우울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정신병적장애 알코올관련장애 범불안장애 건강염려증 사회공포증에서 가 대각선보다 위쪽에 위치하였다 Table 3. and specificity of K-PDSQ subscales at different cutoff scores in 696 psychiatric patients Subscale scores (%)/Specificity (%) MDD PTSD OCD Panic Agor Psychos Alcohol GAD Hypocho Social 1 99/1 89/81 96/66 96/ /57 62/76 9/ 96/25 /44 94/46 2 99/17 84/83 96/81 94/52 96/66 47/88 84/87 93/32 96/61 92/54 3 99/28 84/85 83/9 87/62 88/74 37/95 73/91 91/ 93/72 91/62 4 98/38 84/88 57/97 77/71 79/82 18/98 67/94 89/48 89/ 88/69 5 97/47 84/92 32/99 68/81 63/87 11/99 51/97 82/57 68/88 84/75 6 95/58 79/94 19/ 52/88 5/9 4/ 31/98 74/64 39/96 78/79 7 9/66 79/95 11/ 41/93 43/93 7/7 69/84 8 86/74 79/97 25/96 27/96 59/78 64/87 9 / 74/98 18/97 48/87 55/9 1 73/88 68/99 13/99 3/95 47/92 11 64/91 58/ 5/ 38/94 12 57/93 58/ 31/96 13 5/95 42/ 16/98 14 44/96 32/ 11/99 15 37/97 16/ 6/ 16 29/98 17 22/99 18 14/ 19 8/ 1/ 21 / MDD : Major depressive disorder, PTSD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CD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nic : Panic disorder, Agor : Agoraphobia, Psychos : Psychosis, Alcohol : Alcohol-related problems, GAD :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ypocho : Hypochondriasis, Social : Social phobia, K-PDSQ :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한국판 PDSQ 의최적절단점 JH Kwak, et al. MDD PTSD OCD Panic -specificity -specificity Agoraphobia -specificity Hypochondriasis Social -specificity Psychosis -specificity Alcohol : 79.5 Specificity :.5 Criterion : >8 : 84.2 Specificity : 91.7 Criterion : >4 : 95.7 Specificity :.6 Criterion : >1 : 77.3 Specificity : 7.7 Criterion : >3 -specificity : 96.4 Specificity : 66.4 Criterion : >1 GAD : 61.8 Specificity : 75.8 Criterion : > : 84.3 Specificity : 87.1 Criterion : >1 : 81.6 Specificity : 56.6 Criterion : >4 -specificity -specificity : 89.3 Specificity :.4 Criterion : >3 : 84.4 Specificity : 74.7 Criterion : >4 -specificity -specificity Fig. 1. Receiver operating curves for each of K-PDSQ subscale in 696 psychiatric patients. All curves were significant (p<.1). MDD : Major depressive disorder, PTSD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CD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nic : Panic disorder, Alcohol : Alcohol-related problems, GAD :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 Social phobia, K-PDSQ :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www.knpa.or.kr 8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2;51:77-84 Table 4. Recommended cutoff scores, AUC, 95% confidence interval, and significance level P of each subscale Subscales Cutoff AUC (95% CI) Significance MDD 9.886 (.8-.98) <.1 PTSD 5.9 (.898-.939) <.1 OCD 2.931 (.99-.949) <.1 Panic 4.825 (.795-.853) <.1 Agoraphobia 2.8 (.854-.94) <.1 Psychosis 1.718 (.683-.751) <.1 Alcohol 2.899 (.874-.921) <.1 GAD 5.769 (.735-.799) <.1 Hypocho 4.896 (.871-.918) <.1 Social 5.846 (.817-.872) <.1 AUC : Area under the curve, CI : Confidence interval, MDD : Major depressive disorder, PTSD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CD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nic : Panic disorder, Alcohol : Alcohol-related problems, GAD :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Hypocho : Hypochondriasis, Social : Social phobia Area under the curve( 이하 AUC) 는 수치가 에 가까울수록 검사가 더 욱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되는 경우에는 완벽한 검사 방법이 된다 정신병적 장애를 제외한 주요우울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알코 올관련장애 범불안장애 건강염려증 사회공포증에서 의 값이 이상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표 최적절단점 - 의 각 하위척도에 해당하는 절단점을 산정하였다 표 를 분석하여 가장 좌측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점수를 절단점 으로 산정하였다 하지만 산정된 절단점이 지나치게 낮은 민 감도를 반영하는 경우에는 특이도를 고려하여 재조정하였 다 주요우울장애의 절단점은 점으로 산정하였을 때 민감 도 특이도 였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절단점이 점이고 민감도 특이도 강박장애는 절단점이 점 이고 민감도 특이도 공황장애는 절단점이 점이고 민감도 특이도 광장공포증은 절단점이 점이고 민 감도 특이도 였다 정신병적 장애는 절단점이 점 이고 민감도 특이도 알코올관련장애는 절단점이 점이며 민감도 특이도 범불안장애는 절단점이 점이며 민감도 특이도 건강염려증은 절단점이 점 민감도 특이도 사회공포증은 절단점이 점이 고 민감도 특이도 였다 위의 절단점을 적용하였을 때 민감도는 특이도는 로 평가되었다 고찰 본 연구는 표준화 연구의 일환으로 총 개 모듈의 개 질환 중 개 질환의 민감도 특이도를 평가하여 최적 절단점을 산정하였고 와 를 구하여 진단적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최적 절단점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해당 질환자를 환자군으로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면 진단검사의 민감도를 높이도록 절단점을 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민감도를 높이게 되면 위양성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는 감소하고 음성 예측도는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별검사에서는 높은 민감도가 요구되는데 민감도가 높으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검사에 양성을 보이므로 조기에 질환이 의심되는 자를 선별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의 절단점을 산정하는 과 의 연구에서는 각 하위척도의 절단점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와 음성 예측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가 외래 환자의 진단선별도구임을 전제하고 임상진단 및 공존질환의 발견을 위해서는 민감도가 높아야 함을 강조하여 민감도 부근의 값을 절단점으로 산정하였다 이때 특이도는 평균 였고 양성 예측도는 평균 로 낮았지만 선별도구에서 나타난 위양성 진단들은 임상의가 초진 환자를 진료할 때 좀 더 상세한 면담을 통해 충분히 선별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바쁜 임상 진료 환경에 - 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별도구로서 높은 민감도뿐만 아니라 특이도 또한 충분히 반영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의 경우 일반인을 대상으로 정신장애를 선별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고 외래 혹은 입원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면담 이전에 선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 각 정신장애에 해당하는 최적 절단점을 산정함에 있어서 민감도 특이도를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을 사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동시에 높은 값을 절단점으로 산정하였다 다만 각 하위척도 별로 지나치게 낮은 민감도를 보일 경우에는 특이도를 고려하여 절단점을 재조정하였다 대표적 예로 주요우울장애의 경우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절단점은 점이었다 하지만 이때 민감도는 특이도는 로 특이도에 비해 민감도가 지나치게 낮다고 판단하여 절단점을 점으로 재조정하였다 주요우울장애의 절단점을 점으로 산정하였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모두 로 적절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공황장애의 경우 민감도와 특이도가 동시에 높은 값은 점이었다 이때의 민감도는 특이도 82

한국판 PDSQ 의최적절단점 JH Kwak, et al. 는 로 가 초진환자의 진단선별을 위한 도구임을 감안할 때 지나치게 낮은 민감도를 반영한다고 판단되어 절단점을 점으로 재조정하였고 이때의 민감도는 특이도는 이다 범불안장애도 마찬가지 맥락으로 절단점을 점으로 재조정하였고 이때의 민감도는 특이도는 였다 과 의 연구에서 제안한 절단점은 주요우울장애 점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점 강박장애 점 공황장애 점 광장공포증 점 정신병적 장애 점 알코올관련장애 점 범불안장애 점 건강염려증 점 사회공포증 점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우울장애 점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점 공황장애 점 정신병적 장애 점으로 과 의 연구와 같은 절단점을 산정하였다 하지만 강박장애 점 알코올관련장애 점 건강염려증 점 사회공포증 점으로 과 의 연구보다 높은 절단점을 산정하였다 반면에 광장공포증 점 범불안장애 점으로 과 의 연구보다 낮은 절단점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원인으로는 와 의 어의적 차이 본 연구에서는 가 아닌 를 확진도구로 사용한 점 동일한 질환이더라도 문화 및 지역에 따른 증상의 차이와 유병률의 차이가 있다는 점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혹은 입원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에 의해 산정한 절단점이므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정신장애를 선별하는 경우와 같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좀 더 유연한 절단점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정된 절단점은 진단이나 치료 자체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외래 초진환자의 임상적 면담 이전에 진단 및 공존질환을 선별하는 데 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임상현장에서 보다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정신병적 장애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척도인 주요우울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알코올관련장애 범불안장애 건강염려증 사회공포증 모두에서 값이 이상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과 의 연구에서도 모든 하위척도에서 수용자 작업특성 곡선의 곡선아래 영역 값이 이상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와 마찬가지로 도 정신장애 선별도구로서 정확도가 높은 검사도구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에서 나타나는 각 질환에 대한 정확한 유병률을 측정할 수 없어서 진단에 대한 민감도 및 특이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정상 대조군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모든 입원환자와 외래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입원환자군과 외래환자군의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치료형태에 따른 환자군 특성의 차이를 반영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 제한점은 폭식장애 약물의존 남용과 같은 약물관련장애 신체화장애와 같은 일부 정신장애에 대한 표본 수가 적고 상대적으로 주요우울장애와 불안장애에 대한 표본 수가 많다 이는 약물관련장애 환자들은 상대적으로 국내 대학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적고 약물사용과 관련하여 정확하게 보고하기를 꺼려하며 폭식장애와 신체화 장애는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낮고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상기 정신장애군에서 충분한 표본 수를 확보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네 번째 제한점은 본 연구에서 확진도구로 를 사용하였는데 평가자들 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평가자간 신뢰도 평가와 검사 재검사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는 구조화된 면담도구이나 와 같은 진단도구보다 진단적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섯 번째 제한점은 산정한 절단점을 적용했을 때 양성 예측도가 로 대체로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가 외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면담 이전에 선별적 평가를 위해 제작되었으므로 임상면담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위양성 진단을 배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러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의 각 문항이 한국인의 정신장애 증상들을 적절하게 대표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향후 각 정신장애 항목에 대한 문항분석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산정한 절단점을 적용함으로써 는 대부분의 정신장애에서 이상의 민감도와 이상의 특이도를 반영하여 놓치기 쉬운 진단을 선별해낼 수 있고 진단적 효용성이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바쁜 외래진료 환경에서 를 적용하여 임상면담 이전에 초진환자에 대한 진단적 평가와 공존질환을 파악하고 선별해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심단어 정신장애 진단선별질문지 선별검사 진단도구 정신장애 www.knpa.or.kr 83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2;51:77-84 Acknowledgment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Spitzer RL, Fleiss JL, Burdock EI, Hardesty AS. The mental status schedule: rationale, reliability and validity. Compr Psychiatry 1964;1: 384-395. 2) Wing JK, Birley JL, Cooper JE, Graham P, Isaacs AD. Reliability of a procedure for measuring and classifying present psychiatric state. Br J Psychiatry 1967;113:499-515. 3) Endicott J, Spitzer RL. A diagnostic interview: the 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Arch Gen Psychiatry 1978;35:837-844. 4) Robins LN, Helzer JE, Croughan J, Ratcliff K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Its history, characteristics, and validity. Arch Gen Psychiatry 1981;38:381-389. 5) Spitzer RL, Williams JB, Gibbon M, First MB.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 (SCID). I: History, rationale, and description. Arch Gen Psychiatry 1992;49:624-629. 6) Robins LN, Wing J, Wittchen HU, Helzer JE, Babor TF, Burke J, et al.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An epidemiologic Instrument suitabl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different diagnostic systems and in different cultures. Arch Gen Psychiatry 1988;45:169-177. 7) Wing JK, Babor T, Brugha T, Burke J, Cooper JE, Giel R, et al. SCAN. Schedules for Clinical Assessment in Neuropsychiatry. Arch Gen Psychiatry 199;47:589-593. 8) Lee HY, Song DH. Validity study of Korean version of the 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lifetim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7;26:592-598. 9) Lee MH, Lee HY, Min SK, Kim KH, Kim SY, Song DH,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the NIMH-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and its validity tes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3-313. 1) Hahn OS, Ahn JH, Song SH, Cho MJ, Kim JK, Bae JN,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schedule for DSM-IV axis I disorder: interrater reliabil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362-372. 11) Cho MJ, Hahm BJ, Suh DW, Hong JP, Bae JN, Kim JK, et al.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K-CIDI).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41:123-137. 12) Coryell W, Endicott J, Andreasen NC, Keller MB, Clayton PJ, Hirschfeld RM, et al. Depression and panic attacks: the significance of overlap as reflected in follow-up and family study data. Am J Psychiatry 1988;145:293-3. 13) Coryell W, Noyes R. Placebo response in panic disorder. Am J Psychiatry 1988;145:1138-11. 14) Grunhaus L. Clinical and psych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multaneous panic disorder and major depression. Am J Psychiatry 1988;145: 1214-1221. 15) Keller MB, Klerman GL, Lavori PW, Coryell W, Endicott J, Taylor J. Long-term outcome of episodes of major depression. Clinical and public health significance. JAMA 1984;252:788-792. 16) Noyes R Jr, Reich J, Christiansen J, Suelzer M, Pfohl B, Coryell WA. Outcome of panic disorder. Relationship to diagnostic subtypes and comorbidity. Arch Gen Psychiatry 199;47:9-818. 17) Shear MK, Greeno C, Kang J, Ludewig D, Frank E, Swartz HA, et al. Diagnosis of nonpsychotic patients in community clinics. Am J Psychiatry ;157:581-587. 18) Zimmerman M, Mattia JI. Psychiatric diagnosis in clinical practice: is comorbidity being missed? Compr Psychiatry 1999;:182-191. 19) Spitzer RL, Fleiss JL. A re-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psychiatric diagnosis. Br J Psychiatry 1974;125:341-347. ) Cho MJ, Lee DW. Reliability and validity in psychiatric diagnosis. Kor J Psychopathol 1997;6:177-182. 21) Zimmerman M, Mattia JI. A self-report scale to help make psychiatric diagnoses: the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Arch Gen Psychiatry 1;58:787-794. 22) Zimmerman M, Chelminski I. A scale to screen for DSM-IV Axis I disorders in psychiatric out-patients: performance of the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Psychol Med 6;36:11-1611. 23) Choi JS, Kim HC, Jung SW, Lee EJ, Sung HM, Sakong JK, et al. The diagnostic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Kor J Psychopathol 9;18:57-66. 24) Sheehan DV, Lecrubier Y, Sheehan KH, Amorim P, Janavs J, Weiller E, et al.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psychiatr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 J Clin Psychiatry 1998;59 Suppl :22-33;quiz 34-57. 25) Yoo SW, Kim YS, Noh JS, Oh KS, Kim CH, Namkoong K, et al.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and Mood 6;2:5-55. 26) Zweig MH, Campbell G.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plots: a fundamental evaluation tool in clinical medicine. Clin Chem 1993;39:561-577. 27) Chang SM, Sohn JH, Lee JY, Choi JH, Cho SJ, Jeon HJ, et al. Characteristics of diagnostic criteria for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7;46:447-452. 28) Fairburn CG, Beglin SJ. Studies of the epidemiology of bulimia nervosa. Am J Psychiatry 199;147:1-8. 29) Mai F. Somatization disorder: a practical review. Can J Psychiatry 4; 49:652-662.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