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2 pp. 429-435,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2.429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함현청운대학교방송영화영상학과 Television Kitchen Culture: Space Producti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Hyun Hahm Dept. of Broadcasting & Film, Chungwoon University 요약인간의거주환경에있어서공간은매우중요한역할을한다. 공간은단순한거주의공간을벗어나삶의직접적인체험과경험의확장이이루어지는곳이다. 특히생활공간의중요성이인식되는부엌은최근텔레비전프로그램을통해서일상성의문화가부각되고있다. 그로인한일상성의공간을대표하는부엌은매우중요한생산과기능에따른소통의역할을강조하는텔레비전문화를형성하고있다. 부엌은다양한경험이창발하는공간이다. 음식을조리하고, 맛을경험하고, 가족구성원간의소통으로이어지는커뮤니케이션의재매개현상이이루어지는공간이다. 부엌의수용적공간의특성은음식을통해서공간의소통을이끌어내고발전시키는역할을수행한다. 그러므로본연구에서는 tvn 의 < 윤식당1> 의프로그램텍스트분석을통해부엌의생산과기능에따른소통의관계를분석하는데목적을갖고있다. 본연구의분석결과는인간에게있어서부엌의공간이다양한감각기관의반응을이끌어내고문화적할인의격차를최소화하는과정에서새로운경험의확대를이끌어내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공간을통해서다양한문화의공존과시간성이내재되어있는안락함과편안함을제공하는것으로분석된다. Abstract Spac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uman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is where the direct experience of life and expansion of that experience are made out of simple residential space. In particular, kitchen space is where the importance of the living space is perceived and is becoming an everyday part of life through television programs. Thereby, kitchen space is where the culture of everyday life plays a role in communication based on the very important production and function of television culture. The kitchen is where various experiences emerge. It is a space where the phenomena of communicating through cooking, experiencing tastes, and communicating with family members is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in the kitchen through analysis of "Yune Restaurant 1" on tvn chan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uman kitchen space leads to expansion of variou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various cultural discounts. Keywords : Communication, Function, Production, Space, Television Kitchen Culture 1. 서론 일상생활의문화에있어서공간이차지하는비중은중요한역할을수행하고있다. 공간이라는말은 자리를만들어낸다, 비워자유로운공간을만들다, 떠나다, 치우 본논문은 2017년청운대학교학술지원연구비조성으로연구되었음. * Corresponding Author : Hyun Hahm(Chungwoon Univ.) Tel: +82-41-630-3265 e-mail : poparts@chungwoon.ac.kr Received January 15, 2018 Revised January 31, 2018 Accepted February 2, 2018 Published February 28, 2018 다 등의다양한의미의동사 로이멘 에서비롯되었다 [1]. 가정의거주공간에서부터사회문화적으로확산되는공간의특성은구조적으로발전하거나생산과기능의역할을수행하거나소통의창구역할로이어지는특성을나타내고있다. 42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9 권제 2 호, 2018 인간의삶에있어서공간은다양성의의미를내포하고다양한장의문화를형성하고있다. 우리가사용하고있는공간은지속적으로사용하거나, 이동하고옮기거나, 새롭게꾸미거나, 비우거나하는행위들은 로이멘 의의미를충족시키고있다. 다시말해서, 우리가설정한공간의좌표는인간이실제머무르거나, 사용하거나, 위치하거나다양한경계의판타스마고리를형성하고있는것으로표출되고있다. 그러므로공간은그특성과배열, 질서라는고유의성격을고려할때거기서살고체험하고관계를맺는주체의표현방식, 입증방식, 실현방식의의미를살펴볼필요성이요구된다 [2]. 최근들어, 텔레비전프로그램에서공간의기능과역할을중심으로다양한프로그램이확산되고있는추세이다. 새로운거주환경개선을위한집짓기, 거주공간의개선, 부엌의수용적공간으로서의역할등다양한형태로부각되고있는실정이다. 특히, 거주공간에서중요한역할을수행하고있는부엌공간의기능적인역할을통해소통하는삶의모습을부각하는방송프로그램의특징은하나의트렌드로자리매김하고있는실정이다. 그러므로, 본연구에서는텔레비전프로그램에서소개되고있는친숙한부엌공간에서생산되고있는스토리텔링의구조와특성에따른미디어문화의현상에주목하고자한다. 그에따른공간의개념을정립하고체험공간으로확장되는부엌을중심으로행위와상호작용에따른현상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본연구의분석대상은 tvn의 < 윤식당 1> 을연구의대상으로선정하였다. 이프로그램의텍스트분석을통해부엌의공간이미디어를통해서확산되고있는현상을분석하고, 부엌이라는공간을하나의생산물과생산자의역할과인간관계형성의중요한역할을수행하는관점에서공간이차지하고있는일상성의문화의관계를통해서표출되고있는사회문화적현상을살펴보고자한다. 2. 본론 2.1 공간의개념정의인간이문화를형성하는데있어서가장중요한사항중의하나는공간을창출한것이다. 공간창출의대표적인사례는주거공간의건축양식에서비롯되었다. 이러한공간은인간을보호하고, 다양한공간의활용을통해주 거문화의확장성을갖고있다. 더구나공간은인간에게환경의틀을제공함으로써우리의생활속에서행동방식을결정하게만드는물리적인구성체이다 [3]. 이러한물리적구성체계의특징은문화의다양성을연결하는상호작용으로이어진다. 바슐라르의말을빌자면우리는공간속에서보호받고있다. 공간은친숙하고, 친밀하고, 보호받을수있는존재의가치와의미를지니고있다. 그럼에도공간은항상변화를이끌어내고공간과공간을연결하는통로와경계의역할을한다. 또한시간의흐름속에서옛것을보존하고나새로움을창출하는창구의역할을통해다양성의문화를형성한다. 공간과시간은연속성을지니고있다. 공간 속에서의모든변화는시간속에서의변화이다. 시간속에서의모든변화는공간속에서의변화를이끌어낸다 [4]. 그러므로공간은시간의변화에동일시되거나, 분리되거나, 합쳐지는다양한효율성의장소로인식된다. 생활공간의중심적인역할을하는부엌은일상성의문화에서중요한역할을한다. 부엌공간은다양한변화를이끌어내고다양한감각기관의상호작용이일어나는집합소이다. 더불어가사노동과다양한체현의공간으로가족구성원에게있어서가장중요한역할을수행하고있다. 그러므로부엌은 소통 과 배려 의시간성이존재하는일상성의문화에서가족구성원에게가장중요한공간의역할을수행하고있다. 2.2 부엌과체험공간의확장인간의거주공간은시대별로많은차이를보이고있다. 방을구성하는공간과공간의외벽은단절을의미하지만마루의통로는공간을연결하기도한다. 전통적인가옥의부엌을살펴보면, 방을구성하는공간과떨어지거나분리된구조의위치에있었다. 현대거주공간에있어서부엌은방의공간과공간을연결하는중앙통로역할의중심에서중요한공간으로자리매김하고있다. 또한부엌은가족구성원을위한자양분의공급처이며다양한감각기관의체험이발현하는공간으로규정할수있다. 더불어인간이출생하고, 성장하고, 살아가는거주의시간을보내고다양한음식의섭취를통해감각기관을확장하는데있어서부엌은중요한창구의역할을한다. 인간의거주공간에있어서부엌을크기나형태와상 430
관없이필수적인공간으로많은변화의형태와구조로확장되었다. 거주공간에서가장활발한체험이이루어지고있는부엌의공간은하나의체험공간으로인간의삶과연결되어있다. 부엌의공간은인간의삶이진행되는과정에서음식을조리하는공간으로, 맛을경험하는공간으로, 가족의소통이이루어지는공간으로새로움이탄생하고, 가족구성원에게다양한체험의기회가제공되는공간으로음식문화의다양성이확장되는특수성의의미를내포하고있다. 2.3 체험과행위공간의상호작용체험공간은인간의구체적인삶에열려있는공간으로, 단순히경험하거나상상하거나공상으로지어낸것이아니라실제로존재하는곳으로우리의삶이진행되는현실의구체적인공간이다 [5]. 전통주택구조에있어서부엌은음식을조리하는가사노동의공간으로방과부엌의공간과단절된분리의공간이었다. 그러나현대주택구조에있어서부엌은식사를동시에할수있는공간으로확장되었다. 그럼에도과거와현재까지부엌은 도구적 공간의집합체이며불과물의사용과다양한재료들의조합과정의터득을통해서완성되는집합체의체험과행위의상호작용이일어나는공간의특수성을갖고있다. 그러므로공간은우리삶에대한가치와일상생활의아비투스가체현되는장으로본다면부엌은매우독특한의미를가진장소이며, 생존을위한음식을만드는곳이며, 여성의역사를체현하는공간이기도하다 [6]. 현대에와서서구식다이닝키친의도입을통해부엌내식사공간의마련은여성들의가사노종의절감으로가져오기로하지만전통주택에서남성들의출입이금기시되던부엌에서벗어나남성가족의자연스러운진입을유도하고 [7] 가족공동구성원의공동공간으로발전되었다. 부엌은가족구성원의공간으로발전하면서다양한체험과행위가이루어지는의미있는공간으로확장되었다. 부엌은인간이의미있는활동을하면서머무르는공간, 즉일을하거나쉬면서, 넓은의미에서는인간이거주하며머무르는공간으로변화되었다 [8]. 특히다양한주방의도구를활용하는도구적공간으로행위와활동이활발히진행되는공간으로행위의상호작용이이루어지고있다. 부엌은 도구적공간의집합체 로부엌일의시작은모 험과도같다, 불과물의사용과다양한도구들의사용을통해재료를해체하거나봉합하는숙련의과정을통해재생산되는창구의역할과조합과정의반복적인완성이이루어지는곳이다. 부엌은주기적인반복의일상적인공간이지만항상조금씩변화를생산하는공간으로부엌의기능과역할은차이와반복의생산이이루어지는체험공간의역할을수행하고있다. 또한음식을통해서다양한감각기관의경험이이루어지고다양한음식의조리를통해서가족간의상호작용은음식을섭취하기위한단순한욕구충족으로벗어나음식조리의가사노동분업과분담을통해서서로상호작용하는공간의효율성은오래된것과새로움이공존하는특수성을갖고있다. 2.4 공간의사회적상호작용인간삶의공간성과인간이체험하는공간은긴밀한상관관계를맺으며서로대응한다 [9]. 공간은역사성과현재성에비추어볼때다양한기능과역할을통해소통의상호작용이창발하는특성을갖고있다. 특히, 부엌은사회적상호작용으로변화되고있다. 부엌공간의경우를살펴보면요리뿐만아니라육아, 가족의소통, 그리고사회적소통의공간으로변모되고있다 [10]. 또한부엌의공간은중심의공간으로변모하여하고있다. 단순한가사노동의공간을벗어나끊임없이소통하기위한경험과체현의공간으로거듭나고있다. 부엌의공간을통해사회적상호작용이성립하기위한요소는 소통 과 창구 의기능적인역할을위한근접하거나, 가깝거나, 언제나편한그자리에위치한공간의특성에의한밀접한거리의관계를통해친근함의소통이이루어지는사회적상호작용의가치를지니고있다. 짐멜에의한사회적상호작용의성립은사람들이공간속에서만날때의가까움과거리로구분하며, 구성원상호간의거리적가까움에서결속이생기는것에대해단순한사회형태의표시라고구분하고있다 [11]. 이렇듯부엌의공간은음식을조리하거나음식을섭취하기위한인간과의가장밀접하고가까운거리사이의관계형성을통해상호작용하는역할을한다. 인간의다양한경험의구조는장소의특정한공간을통해서확장된다. 최근텔레비전에서부엌의공간활용과음식과관련된프로그램을통해수용자와친숙하게소통하는사회적기능과담론의형성은유행처럼확산되고있다. 특히, 부엌공간을활용한사회문화적담론이형 43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9 권제 2 호, 2018 성하고있는주제는인간의거리적가까움을통해진정한소통의창구역할과열린공간의친숙함으로작용하고있다. 그러므로공간은행동을부르고, 또행동이앞서상상력이활동하는법이다 [12]. 따라서부엌은수많은활동이이루어지는공간으로지속성을유지하고다양한재료들의물질성이집합체로구성되어지속적인행동과상상력의상호작용의특성을갖고있는일상성의중요한공간의역할을한다. 또한부엌은생활공간으로일상성의행위가상호작용하는양면성을갖고있다 3. < 윤식당1> 의텍스트분석 3.1 통합체분석 : 스토리전개구성 tvn < 윤식당1> 의프로그램은발리휴양지에외국관광객을대상으로한식당을오픈하여한국음식을외국관광객을대상으로판매하는스토리구조의전개방식을갖고있다. 복잡한도시를벗어나여유로운휴양지에서펼쳐지는음식을통해관찰형프로그램의기본적인구성형식을통해진정성의모습을담아내는기획의도를갖고있다. 특히외국레스토랑의부엌공간에만들어지는한식의조리과정과외국인들의한국음식으로통해서음식문화의공유와음식을통해소통으로이어지는에피소드의구성전략은공간과장소의경계를허무는특징을갖고있다. 본프로그램의스토리전개구성의특징은발리의평화롭고한적한휴양지에서조금은낯설고서툴지만한국음식을통해서진심을담아내고소통하는일상생활의모습을담아내고있다. 이프로그램의출연진은 4명으로윤여정, 신구, 이서진, 정유미가출연한다. 이프로그램의출연진은음식을만드는셰프의역할, 손님을맞이하는역할, 매니저의역할, 주방보조업무의분업을통해한식레스토랑을운영하고있다. 이프로그램의포맷과구성형식은발리섬의작은레스토랑의주방공간에서음식을조리하고판매하는목적과음식을통해 소통 과 창구 의역할로발전하는상호작용의특징을갖고있다. 음식을통해서손님들과친밀한관계를형성하고, 구성원들의결속력을강화하고, 보이지않은소통의창구역할을하는모습을재조명함으로써공간의사회문화적상호작용의모습을담아내고있다. 3.2 계열체분석 : 등장인물이프로그램은발리의휴양지에서 윤식당 이라는한국레스토랑을오픈하고외국인들을대상으로한국음식을판매 서비스하면서손님들의반응을관찰형제작방식으로스토리텔링을구성하고있다. 이프로그램의주인공은발리에서한국음식을조리하는주방장의역할을담당하는윤여정은한국음식을통해음식문화를전달하는메인역할을한다. 정유미는부엌의보조업무를통해조력자의역할을하며신구는윤식당을찾는손님들을맞이하는아르바이트생의역할을한다. 이서진은윤식당의총괄지배인업무를담당하고있다. 3.3 행동자모델분석이프로그램을분석하기위한그레마스의행동자모델은주체와대상, 발신자와수신자, 보조자와반대자의대립쌍으로행동자모델을구성하고있다. 각각의대립쌍은욕구충족, 선택, 만족의세가지축으로구성되어있다. Fig. 1. The model of behavior of Yune Restaurant 그림 1은 < 윤식당 1> 의프로그램에서분석된행동자모텔의특징이다. 주체는윤식당으로외국인을대상으로한국음식을판매하는것이다. 이프로그램에서발신자와수신자의관계는윤식당과외국인손님으로음식을통해공간의소통이이루어지는결과로표출된다. 보조자와반대자의대립쌍은단순히음식을선택하거나선택하지않은대립쌍의관계를벗어나다양한문화적할인을극복하고선택하는과정의모습은다른음식문화를체험하는상황에서다양한욕구충족이만족으로나타나고있다. 432
3.3.1 주체와대상 < 윤식당 1> 의프로그램에서주체와대상은한국음식을조리해서판매하는주체와그대상으로는외국인손님들이음식점에서한국음식을선택하고맛을즐기는것이다. 외국의이색적인분위기속에서한국의음식을조리하고판매하는상황은외국인들의한국음식을선택하는주체와대상의관계에서특별한공간에서의음식문화체험은 소통 과 창구 의상호작용으로나타나고있다. 발리의작은섬에서펼쳐지고있는한국음식문화의전파를통해서문화적할인의차이를최소화하고있다. 한국음식의맛을통해서전달하고자하는음식문화의다양성을통해서주체와대상의봉합은하나의공간에서다국적문화의동질감이조성되는상호작용의결과로표출되고있다. 3.3.2 발신자와수신자 < 윤식당 1> 의프로그램에서표출되고있는발신자와수신자의관계는한국음식점을운영을통해한식을판매하기위한이미지의전달은발신자의역할을하고있다. 또한외국인들이한국음식점을방문하여한국음식을선택하고즐기는수신자의역할은호기심을통해전달되고있다. 이프로그램에서한국음식을조리하고서비스하는발신자의역할은음식의생산을통해서역할을수행한다. 수신자인손님들은사용자 ( 소비자 ) 의입장에서음식을통해자신의욕구를충족시켜나가는관계로이어진다. 그로인한수신자인외국인손님들은한국음식점을선택하기위한갈등구조를겪고, 한국음식선택의과정과체험을통해그들의합리성과만족감이표출되고있다. 한국음식의문화적할인의차이에따른차이로표출되고있다. 이프로그램에서표출되고있는협조자와반대자의상황은단순한대립의관계가표출되기보다는문화적할인의차이에따른새로운경험의선택적차이로묘사되고있다. 한국음식문화의호기심과경험에의해선택하는협조자와문화적할인의차이에의한선택의반대자의이항대립의구조로표출되고있다. 3.4 기호학적 4각형모델분석이프로그램의외국인들의선택과갈등구조는한국음식점과한식을선택하는모습의표출을통해서공간의시각적경험과맛의경험을통해서기대감과만족감이표출되고있다. 그러나한국음식문화의체험을선택하지않은외국인들의모습을통해서표출되는윤식당직원들의모습을통해서문화적할인의차이에대한다양한경험을통해서식당을단순하게운영하는것이아니라음식문화의가장큰특징인맛의경험을제시하고있다. 또한외국인들의기대와만족감을이끌어내기위해서식당의운영을통해다양성의문화가공존하고상호작용하는역할이묘사되고있다. 이프로그램은외국인손님들에게한국음식을선택을위한의도적인공간의설치와메뉴의공개를통해서관찰형식으로그들의행동과심리를살펴보고있다. 일상의생활에서음식을통해펼쳐지는스토리구조는수용자에게잔잔한재미를주고있으며음식을통해서흥미를유발하는서사구조를표현하고있다. 3.3.3 협조자와반대자발리휴양지에오픈한한국음식점은외국인을대상으로한식의문화를전달하고자하는프로그램의기획의도에따른협조자와반대자의대립구조가표출되고있다. 협조자의경우, 한국음식점의공간에설치된다양한오브제의탐색또는출입문에설치된한식메뉴나안쪽공간의분위기등을통해한식을경험하고그들의만족감이충족된모습들로표출된다. 그러나관망의자세로살펴보고선택하지않은외국인들의결정은반대자로표출되는구조는관찰과탐색의욕구가충족되지못하고, Fig. 2. Semiotic square analysis of Korean food choices by foreigners 43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9 권제 2 호, 2018 반대관계 : S1/S2, -S1/-S2 모순관계 : S1/-S1, S2/-S2 보완 내포관계 : S1/-S2 S2/-S1 S1과 S2의반대관계의특징은문화적할인의격차에의한외국인들의한국음식선택과외국인들에의해선택을받는윤식당의상황적특징이다. S1과 S2의모순관계형성은발리의작은섬에한식당을오픈하여음식을판매하는과정에서반대의관계가성립된다. S1과 S2 의관계는보완및내포의관계로발리의한국음식점에서손님들의선택하거나선택하지않은이중적상황이펼쳐진다. S2와 S2의관계는외국인들의선택과선택하지않는상황의결과가발생하게된다. 4. 결론우리인간에게있어서공간은다양한경험적양식을포괄하고있으며인간의다양한감각기관들의반응을이끌어내는중요한역할을한다. 특히공간과장소에대한다양한경험은공통적이거나특별한경험의장소로발전되고있다. 본연구에서는텔레비전프로그램으로확산되고있는부엌공간의생산과기능에따른다양한소통으로이어지는현상의특성에대해살펴보았다. 본논문의분석의대상인 tvn의 < 윤식당 1> 의프로그램구성과형식은다큐멘터리의전통적인표현방식인관찰자기법을통해현실감을살리고리얼리티를부각하고있다. < 윤식당 1> 의공간의분석결과는그림 3과같이, 경험의공간과탐색의공간인 2개의층위로구성되어있다. 경험적공간의특징은외국인손님들이직접적, 실험적, 능동적으로경험하기위한음식문화의문화적할인의경험을통해체현하고자하는행위로말할수있다. 그러나탐색의공간으로비춰진외국인손님들에게있어서탐색의공간은관망적, 수동적, 무관심의대상으로문화적할인의격차를최소화하지못하는결과로나타난다. Space of experience Direct, Experimental, Active Space of exploration Pervasive, Passive, Indifference Fig. 3. Analysis of two-level space 그러므로이프로그램에서분석된서사구조의특징은문화적관점에서다양성을통해수용자에게다양한경험적관점을제시하고있다. 이프로그램에출현하는외국인들이한국음식문화의경험과감정의교류를통한소통의구조는개별적이거나집단적경험은특정한장소의공간을통해서경험의감각적인영향을행사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프로그램에서관찰된외국인들의모습은한국음식을선택하기위해비춰진갈등구조의상황에따른문화적할인의현상을통해의식화되고구조화된경험의다양성이공존하고있는현상을살펴볼수있었다. 공간과시간의경험은대부분잠재의식적이다 [13]. 인간이공간에서의시간을경험하기위한잠재적의식과시간성의경험이내재되어있는상황에서의경험은안락함과편안함을제공받게된다. 새로움에대한경험의시도특히문화적할인의격차가큰장소와공간의경험확대는다양한체험의기회를통해일상생활의새로움을창조하게될것이다. References [1] Schroer Markus, Rἂume, Orte, Grenzen, Eco-Livres Publishing Co, p.29, 2006. [2] Bollnow Otto Friedrich, Mensch und Raum, Eco-Livres Publishing Co, p.20, 1963. [3] Cho, Haeyoung Jo, Hyunshin, Change of Korean Kitchen Desigh in the Point of Feminist View, Korea Society of Basic and Ar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 13, no. 1, 2012. [4] Schroer Markus, Above the book, p.40, 2006 [5] Bollnow Otto Friedrich, Above the book, pp. 17 19, 1963. [6] Cho, Haeyoung Jo, Hyunshin, Above the paper, p.565, 2012. [7] Yang, Woo-Chang Park, Pyeong_Chun,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Kitchen Design Classified by the Age of our Country, Design Science Research, p.50, 2003. [8] Bollnow Otto Friedrich, Above the book, p.266, 1963 [9] Bollnow Otto Friedrich, Above the book, p24, 1963. [10] Cho, Haeyoung Jo, Hyunshin, Abobe the paper, p.467, 2012 [11] Schroer Markus, Above the book, p.84, 2006. [12] Bachelard Gaston Poetry of Space,,DongMunSun Publishing Co p.88, 1957. [13]Tuan Yi-Fu, Space and Place, DaeYune Publishing Co, p.88, 1995. 434
함현 (Hyun Hahm) [ 종신회원 ] 1997년 9월 :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TV Broadcasting/Film( 예술학사 ) 2001년 2월 : 중앙대학교신문방송학과 ( 언론학석사 ) 2008년 6월 : 고려대학교영상문화학과 ( 박사수료 ) 2002년 3월 ~ 현재 : 청운대학교방송영화영상학과교수 < 관심분야 > 방송, 영상커뮤니케이션, 영상문화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