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4 No. 4, 1996 - 한국형유치악용기성트레이의개발에관한연구 원광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송대성ㆍ강석구ㆍ조혜원ㆍ동진근 Ⅰ. 서론 치과임상에서진단모형이나작업모형을제작할목적으로인상을채득하게되는데인상을채득하기위해서는필히트레이를사용해야하며인상의종류에따라적절한크기와형태의트레이를선택하여가능한균일한인상재의두께를부여하는것이인상채득에서가장중요한요소중의하나이다 (1). 인상용트레이는인상재의종류에따라기성트레이와개인트레이가사용되고있으며기성트레이는악궁의상태에따라유치악용, 무치악용, 소아용트레이등으로나누어진다. 고무인상재를위한트레이로는레진으로제작된개인트레이가사용되어왔는데이는인상재의두께를균일하게하여인상재의경화시나타나는크기의변화를최소화하기위함이다 (2, 3, 4). 그러나이러한개인트레이의사용은시간적, 경제적으로부담이많기때문에최근에는진단모형제작만이아니라작업모형의제작을위해정밀인상재를사용하는경우에도기성트레이를많이사용하고있다 (5, 6). 정확한인상채득을위하여 Michell과 Damele (7) 은트레이의형태가탄성인상재의변형에미치는영향에관하여연구하였고 Fusayama와 Nakazato (8) 는유공트레이의구멍의크기, 수, 간격, 면적이인상재의유지력에미치는영향에관하여 Heartwell 등 (9), Mendez (10), Woodward 등 (11) 은유공트레이와림락트레이를이용한인상의정밀도를비교평가하였다. 또한 Valderhaug와 Floystrand (12), Tjan과 Whang (13), Biffar와 Bittner (14) 는기성트레이와개인트레이를사용하여얻은모형의정확도를비교하였으며 Gordon등 (15) 은레진으로제작된개인트레이와기성트레이가고무인상재의정혹성에미치는영향에대하여연구하였다. 국내에있어서도인상재의유동성 (16), 정밀도 (17) 에관한연구와류등 (18) 의인상용트레이가경석고모형의정확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가있었다. 한국인의구강내해부학적구조에대한 1934년박 (19) 이혈액형과치궁형태, 구개용적의상관성에관해연구한이래로최 (20), 차 (21), 이 (22), 유 (23), 김 (24), 이 (25) 등에의해치열궁에관한연구가행해졌다. 이들연구에의하면한국인의악궁형태는서양인과다르며악궁의크기에있어서도서양인에비해견치간거리와구치간거리가큰것으로나타났다 (26). 지금까지의악궁에관한연구는단순히치아의크기나치열궁의형태등에초점을맞추어교정치료나보철치료에도움이되는수준이었고실제보철치료등에서중요한요소인연조직부등의계측은많지않았으며최근에야연조직에대한연구가시작되고있는단계이다. 한편송등 (27) 은국내유치악기성트레이의한국인 755
성인의악궁에대한적합도를연구한결과, 상악에서트레이의크기가대체로작아소형과중형트레이의사용빈도가없었거나낮으며트레이의폭경도상악구치부협측에서특히좁은것으로나타났고또한구개부의인상재두께가너무커트레이의변형이필요하며하악의설소대부위의트레이길이가다소길다고보고하였다. 현재국내에서주로사용되고있는유치악용기성트레이는외국인의구강내해부학적구조물의크기가형태에적합하도록개발된외국제품이거나국내제품도외국제품을모방한제품이다. 이는지금까지국내에선치과임상에서가장기본적이면서도중요한기성트레이의개발을도외시한결과로임상에서적절한트레이의선정에어려움이있고트레이를변형시켜인상을채득해야하는등의어려움을겪고있는것이현실이다. 이러한문제점에따라한국인의악궁에맞는기성트레이가치과임상에서는필수적이며개발이시급한실정에있다. 따라서본연구는한국인의악궁과연조직부에대한계측후그측정치를바탕으로구강내해부학적구조를환자의불편없이정확히인기할수있는한국형유치악용기성트레이를설계및제작하기위하여시행되었다. Ⅱ. 연구대상및방법 1. 연구대상 원광대학교치과대학과원광보건전문대학치위생과학생중에서전신발육상태가양호하고치아배열이비교적정상이며보철치료나교정치료의경험이없는만 19-28세의정상교합자 374명 ( 남 : 204, 여 : 170명 ) 을대상으로하였다. 2. 예비인상채득및모형제작예비인상을채득하기위하여사용한기성트레이는오성트레이 ( 오성산업사, 한국 ) 로상악용은소형, 중형, 대형, 초대형등 4종, 하악용은소형, 중형, 대형등 3종등총 7가지종류로구성되었다. 각각의트레이는 실험의규격화를위하여양측구치부교합면과전치부절단에 3mm 두께의 acrylic stop을부여하였고 stop 이치아와닿도록한후긴밀한부위는트레이를조절하고공간이큰부위는왁스를첨가하여일정한공간을유지하도록하였다. 인상재는비가역성수교성인상재 (Tokuso Al, Type Ⅱ-normal set, Japan) 을이용하여상악의경우피검자의우측후방에서하악은우측전방에서접근하여통법에의한인상을채득하였다. 인상채득후즉시경석고를부여모형을제작하였다. 3. 정밀인상채득및계측모형의제작모형상에서트레이용자가중합아크릴릭레진 (Fastray, Harry J. Bostworth Co., U.S.A) 을이용하여개인트레이를제작하였다. 이때 2mm의공간을유지할수있도록왁스를일차모형에압접시켰으며제 1대구치근심협측교두와전치부절단에 stop을부여하였다. 제작된개인트레이는구강에시적하여조절한후모델링컴파운드를이용하여변연형성을하고트레이를적절히위치시키기위한연습을시행하였다. 정밀인상재는폴리설파이드고무인상재 (Permlastic, Kerr Mfg. Co., U.S.A) 를사용하였고통법에따라상악과하악의최종인상을채득하였다. 채득된인상에경석고를부었으며경화된후모형의기저부가교합평면에평행하고측정이용이하도록계측모형을제작하였다. 4. 모형의계측상악은좌, 우제1, 2대구치접촉점협측치조제기저부간의폭경등 12부위그리고하악은좌, 우제2대구치원심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등 13 부위에대하여계측하였는데계측부위는다음과같다 (Fig 1, 2). 가. 상악모형의계측부위 1) 좌, 우제1, 2대구치접촉점협측치조제기저부간의폭경 (IBM1,2) 2) 좌, 우제 2대구치 원심협측교두정간의거리 (Icm 2 ) 3) 좌, 우제 2소구치협측교두정간의거리 (ICP2) 756
Fig. 1. Upper master model. Fig. 2. Lower master model. 4) 좌, 우제 2소구치협측치조제기저부간의폭경 (IBP2) 5) 좌, 우제 1소구치교두정을연결한선에서의구개깊이 (PVP1) 6) 좌, 우제 2대구치근심설측교두정을연결한선에서구개깊이 (PVM2) 7) 중절치절단과순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 (I- La.F) 8) 견치절단과견치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 (C-La.V) 9) 소구치부교두정과협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 (P-BF) 10) 대구치부교두정과제1 2대구치접촉점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 (M-BV) 11) 좌, 우협소대기시부를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 (I-BF) 12) 좌, 우제 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 (I-M2) 나. 하악모형의계측부위 1) 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 (ILM2) 2) 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교두정간의거리 (Icm 2 ) 3) 좌, 우제 2소구치설측교두정간의거리 (ICP2) 4) 좌, 우제 2소구치설측기저부간의폭경 (ILP2) 5) 중절치절단과설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 (I- Li.F) 6) 제 2소구치교두정과설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 (P-Li.V) 7) 제 2대구치교두정과설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 (M2-La.V) 757
Fig. 3. Measurement of palatal height on master model with digital sliding caliper. Fig. 4. Measurement of arch length on master model with digital sliding caliper. 8) 중절치절단과순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 (I- La.F) 9) 견치절단과견치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 (C-La.V) 10) 소구치부교두정과협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 (P-BF) 11) 대구치부교두정과제1, 2대구치접촉점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 (M2-BV) 12) 좌, 우협소대기시부를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 (I-BF) 13) 좌, 우제 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 (I-M2) 폭경에관한계측은 0.01mm까지측정할수있는디지탈슬라이딩켈리퍼 (Digimatic, CD-15 B, Mitutoyo Co., Japan) 를이용하여계측모형에계측점을표시한후이를측정하였다. 수직적길이에관한계측은특별히고안된 T 자형태의 guide를해당되는계측부위에위치시키고디지탈슬라이딩켈리퍼를수직으로밀착시킨후켈리퍼의 depth gauge로이를측정하였다. 악궁의전, 후길이에관한계측은 T 자형태의 guide를제 2대구치원심면에닿도록한후수직접점부위에서전치절단까지의거리를측정하였다. 또한협소대의전치에서의거리를측정하기위하여협소대기시부에해당하는점을모형을측면에표시하고이곳 에 T 자형태의 guide를위치시킨후접점부위에서전치절단까지의거리를측정하였다 (Fig 3, 4) 5. 통계처리 SAS 통계처리방법을이용하여각계측치의평균, 최소치, 최대치, 표준편차를산출하고각군간에차이에대한유의성검정을위하여 Tukey s test를실시하였다. 6. 트레이의설계각계측항목별계측치중최소치와최대치, 평균치, 범위등을참조하여각모형을크기별로나누어군을설정하고각군의계측치를다시통계처리하였으며인상재가일정한두께를유지할수있도록각계측항목별설계치를부여하고 curve of Spee가상, 하악트레이에반영되도록하였다. 7. 트레이시제품제작각군별로설계치가반영된기준모형을제작하고트레이제조회사에의뢰하여실험용트레이를제작하였는데지름이 1.5mm, 구멍간격이 1.5mm인금속판을이용하여트레이의형태를부여하였으며 1.5mm 철선을트레이의변연부에용접하였다. 제작이완료된트레이는청결성및인상재의제거가용이하도록니켈도금을시행하였다. 758
8. 트레이의적합도검사송등 (27) 의방법에의해구치부와전치부에각각 3mm의 stop을부여하고비가역성수교성인상재를이용하여상악 8부위, 하악 11부위의계측부위에서인상재의수평적두께 ( 폭 ) 및수직적두께 ( 길이 ) 를측정하여기존의유치악용기성트레이와의적합도를비교하였다. Ⅲ. 연구성적 1. 상악모형의계측치상악의계측치중제 1, 2대구치접촉점협측치조제기저부간의폭경의평균은남자 69.47mm, 여자 65.83mm, 전체평균 67.81mm 였으며최소 58.99mm, 최대 77.66mm로나타났다. 전치부와제 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의거리는여자 48.09mm, 남자 49.04mm, 전체평균 48.61mm등으로나타났으며그외의계측치는 Table 1과같다. 2. 하악모형의계측치하악의계측치중좌, 우제 2대구치설측기저부간 폭경의평균은남자 43.18mm, 여자 41.98mm, 전체평균 42.68mm였으며최소 33.09mm, 최대 54.02mm로나타났다. 전치부에서제 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의거리는여자 44.22mm, 남자 45.18mm, 전체평균 44.74mm 등으로나타났으며그외의계측치는 Table 2와같다. 3. 상악모형의분류트레이설계에앞서계측된모형을크기별로분류하였는데상악트레이의경우특히구치부협측에서인상재의공간이부적절한경우가많아좌, 우제 1, 2대구치접촉점협측치조제기저부간의폭경을기준으로모형을크기별로구분하였다. 그리고제 1, 2대구치접촉점최하기저부간의폭경과다른계측부위와의상관성을분석한결과모든계측부위와통계학적상관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는데특히좌, 우제 2대구치원심협측교두정간의거리 (P<0. 001) 에서상관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제 1소구치부구개깊이 (P<0. 05) 와는역상관관계를나타내었다. 좌, 우제 1, 2대구치접촉점협측최하기저부간의폭경 ( 최소 : 58.99mm-최대 : 77.66mm) 은약 20mm 의범위를나타내어양측으로 2.5mm씩전체폭을 Table 1. Measurements of each measuring site in the maxillary cast. 759
5mm간격으로나누어다음과같은 4개군으로구분하였다 (Table 3). 4. 하악모형의분류하악은트레이의설측폭경이너무좁거나넓은경우혀나구강저에눌려서인상채득에장애가되기에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을기준으로계측모형의크기별구분을하였다. 제 2개구치설측기저부간의폭경과다른계측부위와의상관성을분석한결과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교두정간의거리 (P<0. 001), 좌, 우제 2소구치설측교두정간의거리 (P<0. 001) 에서상관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중절치절단과순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 대구치부 협측최하기저부의수직거리, 전치부와협소대간의거리, 악궁의길이에는상관성이없는것으로나타났다. 좌, 우제 2대구치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 ( 최소 : 33.09mm-최대 : 51.02mm) 은약 18mm의범위를나타내어양측으로 3.0mm씩전체폭을 6mm 간격으로나누어다음과같은 3개군으로구분하였다 (Table 4). 5. 상악트레이의설계상악에서는좌, 우제 2대구치협측치조제기저부간의폭경을기준으로구분된 4개군에서각계측부위의중간치, 평균치, 최대치또는최소치를참조하여다음과같은설계치를얻었다. Table 2. Measurements of each measuring site in the maxillary cast. Table 3. Grouping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inter bucco-vestibular distance on the maxillary molar. 760
Table 4. Grouping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inter bucco-vestibular distance on the maxillary 2nd molar. Table 5-1.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bucco-vestibular distance of the maxillary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Table 5-2.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disto-buccal cusp distance of the maxillary 2nd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Table 5-3.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bucco cusp distance of the maxillary 2nd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1) 좌, 우제 1, 2대구치접촉점협측기저부간의폭경과트레이설계치 (Table 5-1) 각군의중간치에트레이와양측으로 3mm의간격을갖도록약 6mm를더한값을트레이의구치부변연폭경으로설정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2) 좌, 우제 2대구치원심협측교두정간의거리 와트레이설계치 (Table 5-2) 각군의평균치에트레이와양측으로 3mm의간격을갖도록약 6mm를더한값을트레이의대구치치아폭경으로설정하였다. Tukey test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3) 좌, 우제 2소구치협측교두정간의거리와트레이설계치 (Table 5-3) 761
각군의평균치에트레이와양측으로 5mm의간격을갖도록약 10mm 더한값을트레이의소구치폭경으로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4) 좌, 우제2소구치협측기저부간의폭경과트레이설계치 (Table 5-4) 각군의평균치에트레이와양측으로 5mm의간격을가지도록약 10mm 더한값을트레이의소구치부변연폭경으로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5) 좌, 우제 1소구치교두정을연결한선에서의 구개깊이과트레이의설계치 (Table 5-5) 각군의평균치에서약 5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6) 좌, 우제 2대구치근심설측교두정을연결한선에서의구개깊이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5-6) 각군의평균치에서약 6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7) 중절치절단과순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설계치 (Table 5-7) Table 5-4.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bucco-vestibular distance of the maxillary 2nd pre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Table 5-6.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palatal height of the 2nd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5-7.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labial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762
각군의최소치에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계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2군이 4군보다크며나머지군에서는차이가없었다 (P<0. 05). 8) 견치절단과견치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5-8) 각군의평균치엣약 4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과 2군에서만차이가없었으며나머지각군에서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9) 소구치교두정과협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5-9) 각군의최소치에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 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이 4군보다크고 2군이 3군과 4군보다큰것으로나타났으며나머지군에서는차이가없었다 (P<0. 05). 10) 대구치부교두정과제1, 2대구치접촉점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5-10) 각군의평균치에서약 4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과 2군에서만차이가없었으며나머지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11) 좌, 우협소대기시부를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5-11) Table 5-8.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buccal vestibular height of the maxillary cenine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5-9.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buccal frenum height of the maxillary pre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5-10.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buccal vestibular height of the maxillary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763
Table 5-11.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distance from Mx. Central incisor to buccal frenum of sagittal plane and newly designed tray length for each group. Table 5-12.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maxillary value of the maxillary arch lengh and newly designed tray length for each group. Table 5-13. The value of newly designed tray for each maxillary group. 각군의평균치를기준으로하였으며양측츠로 5mm의폭을가지도록 10mm의여유를두도록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12) 제 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5-12) 각군의평균치에약 10mm( 전치부 3mm, 구치부 7mm) 를더하여트레이의길이를설정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과 2군, 3군과 4군에서는차이가없었으며나머지군에서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계측치를참조하여설계된각군의트레이의설계치는 Table 5-13과같다. 764
6. 하악트레이의설계하악에서는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을기준으로구분된 3개군의각계측부위의중간치, 평균치, 최대치혹은최소치를참조하여다음과같은설계값을얻었다. 1) 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과트레이의설계치 (Table 6-1) 각군의중간치에서양측으로트레이와 3mm의여유를가지도록 6mm 줄인값을트레이의구치부설측변연폭경으로설정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2) 좌, 우제 2대구치원심설측교두정간의거리와트레이의설계값 (Table 6-2) 각군의평균치에서양측으로트레이와 3mm의여유를가지도록 6mm 줄인값을트레이의구치부설측 치아폭경으로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3) 좌, 우제 2소구치설측교두정간의거리와트레이의설계값 (Table 6-3) 각군의평균치에서양측으로트레이와 3mm의여유를가지도록 6mm 줄인값을트레이의소구치부설측치아폭경으로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4) 좌, 우제 2소구치의설측기저부간의폭경와트레이의설계값 (Table 6-4) 각군의평균치에서양측으로트레이와 4mm의여유를가지도록하여 torus등의영향을적게받도록약 8mm줄인값을트레이의소구치부서리측변연폭경으로하였다. Table 6-1.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linguo-vestibular distance of the mandibular 2nd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Table 6-2.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disto-lingual cusp distance of the mandibular 2nd molar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Table 6-3.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lingual cusp distance of the mandibular 2nd molar molar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765
Table 6-4.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inter linguo-vestibular distance of the mandibular 2nd pre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width for each group. Table 6-5.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lingual frenum height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6-6.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lingual vestibule height of the mandibular 2nd pre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6-7.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lingual vestibule height of the mandibular 2nd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 05). 5) 중절치절단과설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5) 각군의최소치에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이 2군, 3군보다크며 2군과 3 군사이에는차이가없었다 (P<0. 05). 6) 좌, 우제 2소구치교두정과서리측최하기저 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6) 각군의평균치에서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은 2군, 3군보다크며 2군과 3 군사이에는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P<0. 05). 7) 좌, 우제 2대구치교두정과설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7) 각군의평균치에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있었 766
다 (P<0. 05). 8) 중절치절단과순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8) 각군의최소치에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9) 견치절단과견치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수직거리 (Table 6-9) 각군의평균치에약 4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 1군이 2군, 3군보다크며 2군과 3 군사이에는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P<0. 05). 10) 소구치부교정과협소대기시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10) 각군의평균치에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Table 6-8.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labial frenum height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6-9.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buccal vestibule height of the mandibular canine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6-10.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buccal frenum height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Table 6-11.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buccal vestibuleheight of the mandibular molar region and newly designed tray height for each group. 767
11) 대구치부절단과제 1, 2대구치접촉점협측최하기저부간의수직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11) 각군의평균치에서약 3mm의여유를갖도록설계하고 stop의두께인 3mm를보상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12) 좌, 우협소대기시부를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12) 각군의평균치를기준으로하였으며양쪽으로 5mm의폭을가지도록 10mm의여유를두도록하였다.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13) 좌, 우제 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중절치순면과의거리와트레이의설계치 (Table 6-13) 각군의평균치에약 10mm( 전치부 3mm, 구치부 7mm) 를더하여트레이길이를설계하였다. Table 6-12.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from Mn. central to buccal frenum of sagittal plane and newly designed tray length for each group. Table 6-13.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the mandibular maxillary arch lengh and newly designed tray length for each group. Table 6-14. The value of designted tray for each mandibular group. 768
Tukey test 결과각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 (P<0. 05). 계측치를참조하여설계된각군의트레이의설계치는 Table 6-14와같다. 7. 트레이의적합도치아배열이비교적정상이며보철및교정치료를받지않은 19-28세의원광대학교치과대학학생 52명을대상으로송등 (27) 의방법에의한시제품트레이의적합도검사를시행하였다. 각각의트레이는양측구치부교합면과전치부절단에 3mm 두께의 stop을부여하고비가역성수교성인상재 (Tokuso A1, Type Ⅱ normal set, Japan) 를이용하여인상을채득하고상악 8부위, 하악 11부위에서인상재의수평적두께 ( 폭 ) 및수직적두께 ( 길이 ) 를푸르부 (Goldman Fox probe(hu-freidy, U.S.A.) 를자입하여 1mm 단위로측정하였다. 측정한결과, 기존의상악기성초대형트레이는제 1대구치협측변연부에서의인상재폭이 1.7mm이었으나새로운 1군트레이에서인상재폭은 3.3mm로증가하였고소구치협측변연부에서의인 상재폭도상악대형트레이의 2.1mm에서새로운 2군트레이에서는 4.7mm로증가하였으며 2군, 3군, 4군트레이에서도비슷한결과를얻을수있었다.(Table 7-1, 7-2, Fig 5, 6, 7, 9). 한편하악기준의기성대형트레이에서설소대부위에서인상재길이는 1.0mm이었으나새로운하악 1 군트레이에서인상재길이는 5, 6mm로측정되었고제 1대구치합측변연부에서의인상재폭은기존의기 Fig. 5. Newly designed stock tray for Korean. Table 7-1. Comparison of fit of the buccal flange of 1st molar area in conventional upper stock tray and newly designed stock tray. Table 7-2. Comparison of fit of the buccal flange of premolar area in conventional upper stock tray and newly designed stock tray. 769
Fig. 6. Lateral view of newly designed group 3 upper stock tray(lt.) and conventional large stock tray(rt.). Fig. 7. Posterior view of newly esigned group 4 upper stock tray(lt) and conventional extra-large stock tray(rt) Fig. 8. Anterior view of newly designed group 3 lower stock tray(lt) and conventional large stock tray. Fig. 9. Photograph shows different thickness of impression material in upper buccal side of newly designed stock tray(lt) and conentional stock tray(rt). Fig. 10. Photograph shows different fitting of newly designed stock tray(above) and coventional stock tray(below) in lower lingual frenum area. 770
Table 7-3. Comparison of fit of the lingual frenum area in conventional lower stock tray and newly designed stock tray. Table 7-4. Comparison of fit of the buccal flange of 1st molar area in conventional lower stock tray and newly designed stock tray. 성대형트레이는 1.8mm 새로운 1군트레이는 3.6mm로증가하였으며 2군, 3군트레이에서도비슷한인상재두께를얻을수있었다 (Table 7-3, 7-4, Fig. 5, 8, 10). Ⅳ. 총괄및고찰 치과임상에서가장중요한한단계인인상은치아와주위구강조직의형태및해부학적관계를재현할수있는음형을말하는것으로반유동성의물질을넣어그것이경화됨으로써만들어지게된다 (28). 정확한인상은인상재의선택, 인상재의혼합비와혼합시간 (29), 해부학적구조물을찾는인상방법 (30) 과인상재를담을수있는트레이, 인상체의제거법 (31), 인상체의보관시간등의영향을받게되는데성공적인인상이채득되기위해선우선사용되는인상재는임상적으로요구되는경화의특징과정확성, 견고성및영구성을지녀변형이적어야하며경제적으로도합당하고조작이간편해야한다 (32). 인상에영향을주는여러요인중인상재분야의발전이있어인상재료의조작성과정확성은크게향상되 었다. 지금까지의인상정확도에관한연구에트레이내면과인상부위사이의인상재두께가인상체의변형에큰영향을주는것으로알려져있어 (2, 33) 인상재의균일한두께를부여하기위하여주로아크릴릭레진으로개인트레이를제작하지만시간적, 경제적으로많은부담을주고있으며재료자체가경화중변화를일으키거나탄성적인성질때문에인상재의크기안정성을오히려저해할수도있다 (34). 그러므로인상용트레이는열또는외력에의해변형되지않아야하며충분한견고성을지녀야한다. 이에대한연구로는 Reiberg (34) 는개인트레이의가요성 (flexibility) 이인상체의정확도에영향을미친다고생각하여여러가지재료와두께로가요성과온도에따른트레이의형태변화를측정하였는데 2mm 두께의트레이가가장견고하다고하였다. Breeding등 (35) 은자기중합아크릭레진과광중합형레진, 그리고열가소성레진간의물리적성질비교에서광중합형레진이체적변화가가장적었다고보고하였다. 이상적인인상재의두께에관한연구로고무인상재의경우 Eames등 (2) 과 Phillips (36) 은 2mm, Shillingberg (28), Feuerstein (37) 은 2-3mm, Reisbick 771
와 Matyas (33) 는 2-4mm, Asger (38) 는 3-4mm이라고주장하였으며 Nogawa (39) 는 1-5mm 인상재사이에서차이점을발견하지못했다고보고하였다. 비가역성수교성인상재의경우김 ( 4) 은인상재의양이많을수록정확한결과를얻을수있다고, Woodward등 (11) 은2-4mm 정도인상재를유지하는것보다 5-8mm 인상재두께를유지할때변형이적었다고보고하였다. 1980년 Shillingberg 등 (40) 은미국 8개주의임상의를대상으로조사한결과응답자의약 75% 가탄성인상재의트레이로개인트레이보다기성트레이를더선호한다고보고하였다. 1985년 Bomberg 등 (5) 은기성트레이의인상재두께비교측정한연구에서 Rocky Mountain 지역의약 70% 가개인트레이보다기성트레이를사용하며약 40% 는 putty-reline system 을이용한다고하였다. 그리고개인트레이가정확히제작되었을때는장점을발휘하지만반면에트레이제작시 spacer의두께나균일성, occlusal stops, 연장정도에따라많은변형이있을단점이있으며아울러개인트레이나기성트레이의약반정도에서트레이를악궁에정확히맞추지못해균일하지못한인상재두께를유발하며또한트레이의길이가치은쪽이나후방구치부로적절히연장되지않아인상재가트레이의지지를받지못해제거시변형을일으킨다고하였다. 국내에서도송등 (27) 의한국인에대한기성트레이의적합도에관한연구에서상악중형트레이과하악소형트레이가길이가짧아인상재를충분히지지하지못하는것을지적하였는데새로제작된기성트레이는특히중형과소형트레이에서기존기성트레이보다길이가길어이점이보완된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대체적으로개인트레이는악궁에완전히위치시키지못해교합면의인상재가두껍게형성되고반면에기성트레이는과도한압력으로교합면의인상재가얇아지는경향을보인다고하였다. 이렇게임상적으로개인트레이가제대로사용되지못하고있는반면기성트레이는여러가지장점을지니고있는데가장첫번째장점은경제적으로유리하다는것으로아크릭레진으로제작한전악인상용개인트레이의평균비용은 $3.65 이고기성트레이의비용은 $0.30정도로약 12 배저렴한편이라고보고하였다. (5) 두번째장점은편리성으로개인트레이제작을위해선예비모형과기공과정, 기공시간등이필요로하나기성트레이는적합도여부를바로판별하여인상을채득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는것이다. (5) 기성트레이를이용한인상채득과정확도에관한많은연구가있었는데 1975년 Reisbick등 (33) 은기성트레이에서필러를많이함유한실리콘을이용한 putty-wash technique을소개하여개인트레이보다정확도에있어서그차이가없었다고보고하였다. 1984년 Valderhaug 등 (12) 은개인트레이와기성트레이에서 Impregum과 Xantopren을이용하여인상채득후안정성을비교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었으며기성트레이를사용한경우에도 2-9mm 정도의인상재두께만유지한다면개인트레이로채득된인상보다안정성에서차이가없었다고하였다. 반면 Johnson 등 (41) 은부가중합형실리콘인상재를사용하여비교한결과개인트레이가우수한결과를보였다고보고하였다. 국내에서도류등 (18) 에의해트레이에따른모형의정확도를비교한연구가있었는데유공개인트레이가가장우수한크기재현성을보였으며기성트레이와비교시통계적으로매우유의한차이를보였지만기성트레이도 0.3% 이내의변화량을보이므로술자의편의에따라사용할수있다고하였으며비유공림락트레이와유공기성트레이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고보고하였다. 인상채득시인상재가트레이에얼마나견고히유지되느냐에따라모형의정확도에큰영향을미치게되는데 Fusayama (8) 등은트레이에서구멍의크기, 수, 간격, 총면적이비가역성수교성인장재의유지력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에서 2mm크기의구멍을 2mm 간격으로유지하고트레이변연의바깥쪽으로둥근철선을붙였을때유지력이가장좋은설계라고하였는데본연구에서는시제품트레이에대한인상재의유지력을증가시키기위해직경 1.5mm 구멍이 1.5mm 간격으로배열된금속판으로트레이를제작하고변연부의유지력을증가시키기위해변연의바깥쪽에 1.5mm 철서니을용접시켰다. Mitchell 등 (7) 은고 772
무인상재를이용한트레이간의정확도비교에서림락트레이가유공트레이보다변형이적었으며, Heartwell 등 (9) 은유공트레이와비유공트레이를비교시정확도에서차이가없었다고보고하였다. 1985년 Mender (10) 는악궁의길이와폭에관해서는유공트레이가비유공트레이에비해정확하고구개깊이의재현성은림락비유공트레이가우수하다고하였다. Woodward 등 (11) 은비가역성수교성인상재를이용하여비교한결과유공트레이가림락트레이보다우수하였고 2-4mm 정도인상재두께를유지하는것보다 5-8mm 정도인상재두께를유지하는것이변형이적었다고보고하였다. 이렇게기성트레이의사용이점점증가하고있는상황에국내에서유통되고있는기성트레이는외국제품이거나모조품으로임상에서종종어려움을겪고있는현실이다. 1989년송등 (27) 이한국인성인을대상으로기성트레이의적합도에관해조사한바에의하면상악의경우사용된트레이의분포도에서초대형트레이가 53% 를차지하고소형트레이는전혀사용되지못하였으며 4명의경우에선악궁이트레이보다큰이유로인상을채득하지도못하였다. 하악의경우도사용된트레이의분포도에서대형트레이사용이 55% 에이르렀고소형트레이의경우남자에서는전혀사용되지못하였다. 상악트레이에서각계측부위별로특징을살펴보면모든트레이의대구치협측변연부에서인상재의폭이 1mm 내, 외로인상재의공간이부족하였고구개부에서는약 11mm 전, 후로인상재가두꺼운것으로나타났고트레이의설소대부위에서인상재길이가 1-2mm 정도로짧게나타났으며트레이의길이에선중형, 소형트레이에서트레이의길이가다소짧은것으로나타났다. 이렇게인상재가트레이에의해충분히지지를받지못하면구강내에서트레이를제거할때인상체가찢어지거나변형되어질수있는위험이있으며이는트레이의변연부가교합면에수직으로제작되어있기때문이며또한구개부의인상재의두께가 10mm이상나타날경우타부위와의두께차이로인해인상재의수축이커져정확하지않은모형이제작될수있다 (42) 임상적으로과도한공간은유틸리티 왁스를채우는법, 모델링컴파운드를채우고접착제를바르는방법 (43) 등으로인상채득을할수있으나구강에서인상체를제거시인상재가분리될수있는위험이있기에근본적으로트레이의형태를좀더구개부와근접하기위한변형이필요하다고연구되었다. 한국인에맞는기성트레이를개발하기위해선우선한국인의악궁과해부학적구조에대한통계가이루어져야하는데 1934년박 (19) 에의해혈액형과치궁형태및구개용적의상관성에관해연구한이래로 1965년조 (44) 는한국인청년남자의구개및상악치궁에관한연구에서상악치궁형태를 3형으로분류하였을때 O 형이 23.3%, U형이 59.7%, V형이 16.9% 였다고보고하였고, 1974년유 (45) 는한국인치열궁을일본인및대만인과비교할때상악대구치치열궁폭경에서한국인이일본인과대만인에비해약 2mm정도넓으며하악대구치폭경에선일본인에비해약 2mm 정도가넓다고보고하였다. 또한제 2대구치근심협측교두협측면를기준으로할때상악최대치열궁폭경은치열궁장경의약 1.7배였으며, 하악최대치열궁폭경은약 1.8-1.9배이었다고보고하였다. 1995년오 (46) 에의해보철학적관점에서도움이될수있는연조직부위와순측과협, 설측의전장부위까지의길이등은측정되지않았다. 본연구에서는성인정상교합자를대상으로트레이제작에직접도움이되는각부위를측정하여설계치를설정하는데참조하도록하였다. 이때상, 하악에나타나는한계구조에대한해부학적주요부위는다음과같으며의미와측정치를살펴보면 (47) 상악의순소대는정중선에존재하는점막의주름으로대개수직방향으로이행하며독자적인운동은하지않는다. 기시부에서전치절단까지의거리는평균 12.64mm로측정이되었으며각군간의차이는거의없었다. 순측전정은순소대부위에서협소대에이르는범위이며함몰된궁 (arch) 의형태를이루고있는데견치절단에서전장부위까지거리는평균 20.59mm로측정되었으며각군간에는약 1mm 차이가있었다. 그리고협소대는한겹혹은두겹으로넓은부채모양을가지며견치근이바로위에부착되어영향을미치게된다. 소구치교두정 773
에서협소대기시부까지의거리는 13.38mm 였고중절치에서의거리는약 22.00mm로측정되었다. 협측전정은협소대후방부위로대구치교두정에서전정부위최하방까지의수직거리는 15.66mm로측정되었고제 1, 2대구치접촙점협측치조제최대폭경은평균 67.82mm이며여자보다남자가약 3mm정도컸다. 중앙구개부위는절치유두에서경구개의후방경계부에이르는부위로점막은대단히밀접하게부착되어있고얇으며구개융기가흔히존재한다. 대구치교두정에서구개부의깊이는평균 20.59mm이었고각군간에는약 1mm씩차이가있었다. 하악의해부학적구조와측정치를살펴보면순소대는구륜근의부착을도와주는섬유성결체조직대를함유하고있기때문에매우민감하고활동적이다. 전치부절단에서순소대기시부까지의거리는 14.06mm로측정되었으며각군간에차이가없었다. 순측전정은순소대부터양측으로함몰된외형으로견치절단에서전정부위까지의거리는 19.84mm로측정되었다. 협소대는구각부의근결절과연결대를형성하고단발성혹은다발성으로나타나는데소구치교두정에서기시부까지의수직거리는 14.00mm였고전치부에서접선거리로는 11.27mm로측정되었다. 협붕부위는협근이근결절에서익돌하악봉선까지걸쳐있으며대구치교두정에서전정부최하방까지의수직거리는 13.60mm로측정되었다. 그리고설소대는혀가거상될때나타나는점막의주름으로이설골근위에놓이게되는데전치부절단에서기시부까지의수직거리는 13.45mm로측정되었다. 치조설열구는치조제와혀사이에존재하는공간으로인상채득시생리적, 기능적으로허용하는범위내에서최대로인기되는것이중요하다. 그러나이부위는인상채득시혀에영향을많이받는곳으로트레이의폭이좁으면혀가빠져나오지못해눌려서인상이채득된다. 그러므로가능한트레이의설측변연이인상재의공간을유지하면서치조제에긴밀한것이좋다. 하악제 2대구치설측기저부최대폭경은여자가 41.98mm, 남자가 43.13mm, 평균 42.63mm를나타내었다. 트레이를설계하기위해서채득된각모형을크기별 로몇개의군으로구분하는것이우선으로, 상악의경우여러계측항목중제 1, 2 대구치협측치조제최대풍융부간의거리를선택하였다. 그이유는치아와치주조직에 5-7mm를유지하는트레이가적절한선택기준 (48) 이라할때대부분의트레이는전치부나소구치부에서일정한공간을유지하나구치부에서는공간이부적절한것이많았으므로대구치협측치조제최대풍융부에맞추어트레이를설계하는것이정확한것으로생각된다. 하악의경우는치아와치주조직에협, 설측으로 5-7mm를유지하는트레이가적절한선택기준이지만트레이의설측폭경이너무좁은경우혀나구강저가눌려서정확한인상채득이안되는경우 (48) 가많기때문에제 2대구치원심설측교두기저부간의최대폭경을하악모형을각군으로구별할수있는기준으로삼았다. 상악의제 1, 2대구치저비촉점하방협측치조제최대풍융부간의폭경은 58.99mm-77.66mm( 평균 67.82mm) 으로남자 (69.47mm) 가여자 (65.83mm) 보다컸으며 5mm간격으로 4개군으로나눌수있었는데남자는 2군, 여자는 3군에가장높은비율을보였으며전체로는 3군이 44% 로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였다나누어진각군에서각계측항목별통계결과제 1소구치부중앙구개부의깊이, 순소대, 협소대, 전치부에서협소대까지의접선거리등은ㅣ구치부협측치조제최대풍유부간의거리와는관계없이각군간에차이가없었으며전치부순면과제2대구치원심면을연결한선과의접선거리인치열궁장경에서도 1군이 49.45mm, 2군이 49.25mm, 3군이 48.11mm, 4군이 47.43mm로폭경의변화폭에비해길이는거의변하지않는것을특징적으로보여주고있다. 이는기존의기성트레이의접합도검사에서크기가작은트레이일수록트레이가짧았다는것과상용하는결과로새로운트레이에서는이를보완하여트레이의길이가각군간 1mm의차이만있도록하였다. 하악의제 2대구치원심서리측교두기저부간의최대폭경은 33.09mm-54.02mm( 평균 42.61mm) 으로남자 (43.13mm) 가여자 (41.98mm) 보다컸으며 6mm 간격으로 3개군으로나눌수있었는데 2군의경우남, 774
여공히비율이높았으며전체에서 65% 를차지하였다. 계측항목을각군별로다시통계를내본결과설소대, 순소대, 협소대, 제 1대구치교두정에서협측기저부까지의수직거리, 전치부에서협소대까지의접선거리등은제 2대구치설측기저부간의폭경에관계없이각군간에차이가없었으며치열궁장경에서도 1군이 44.85mm, 2군이 44.76mm, 3군이 44.46mm로설측폭경의변화폭에비해길이는차이가없다는것을보여주었다. 이는지금까지사용되고있는하악기성트레이는폭이작을수록길이도짧아지게제작되었다는것이잘못된것임을보여주는데이에따라새로제작된트레이는트레이의폭에관계없이트레이의길이를동일하게부여하였다. 새로운트레이의또다른특징은기존의트레이의교합면이상악의경우편편하게제작되어소구치부에서트레이와밀접하게되는데이를방지하기위하여트레이의교합면이 curve of spee와같이이행될수있도록곡선을이루면서제작되도록하였다. 하악도같은방법으로곡선을부여하여치아와일정한공간이부여되도록하였다. Bomberg 등 (5) 의연구에의하면기성트레이를사용한조사대상의약 50% 에서트레이가교합면쪽으로과도하게눌려인상이채득되어구치부는 1.83mm, 전치부는 2.46mm의인상재두께를나타내었다고보고하였는데본연구에서트레이가교합면쪽으로과도하게눌리는것을방지하기위해전치부, 구치부등 3곳에교합면쪽으로 3mm를유지할수있도록 stop을부여하여조직과일정한간격을유지하도록설계하였다. 제작이완료된시제품트레이가구강내적합도를알아보기위하여송등 (27) 의방법에의해검사한결과상악의트레이의경우 52명의대상자중 2군과 3군트레이를사용한경우가 45명, 1군트레이가 3명, 4군트레이가 4명으로정규분포를보였으며기존기성트레이에서문제점으로지적되었던구치부변연에서의인상재폭도전반적으로 3-4mm로유지할수있었다. 하악트레이의경우 52명의대상자중 1군트레이가 28명, 2군트레이가 20명, 3군트레이가 4명의분포도를보여 3군트레이의사용이상대적으로적었다. 이는하악 트레이의선택시여유가있는트레이를선택하려는마음과하악설측융기의영향이있지않았나생각된다. 기존하악기성트레이의문제점이었던설소대부위의인상재의길이도새로제작된기성트레이는 5m 전후의인상재길이를유지할수가있었다. 본연구의결과로제시된기성트레이는 374명의성인을대상으로하여설계, 제작되었으나연구대상의제한과설계상의오류의가능성으로실제사용상에문제점이될수도있다고생각된다. 이러한문제점은앞으로더많은인원을대상으로적합도를검사와합리적인서례로개선해나가야할것이다. 또한본연구에서는한국형성인유치악용기성트레이만을개발하는데그쳤으나앞으로소아와무치악자를위한기성트레이도개발되어야할것으로생각된다. Ⅴ. 결론 한국형유치악용기성트레이를제작할목적으로 19-28세의정상교합자 374명 ( 남 : 204명, 여 : 170명 ) 을대상으로상, 하악모형을제작하여상악은 12부위, 하악은 13부위를계측하고분석하였다. 상악은제 1, 2대구치접촉점협측최하기저부간의폭경을기준으로 4군의기성트레이를설계, 제작하였다. 1군트레이는구치부협측변연의폭이 82mm 길이는 60mm, 2군트레이는폭이 77mm 길이는 59mm, 3군트레이는폭이 72mm 길이는 58mm, 4 군트레이는폭이 67mm 길이는 57mm이었다. 하악은계측모형은제 2대구치설측기저부간의최대폭경을기준으로 3군으로분류하고각군에맞는기성트레이를설계, 제작하였다. 1군트레이는구치부설측변연의폭은 42mm 길이는 55mm, 2군트레이는폭이 36mm 길이는 55mm, 3군트레이는폭이 30mm 길이는 55mm이었다. 한편정상교합자 52명을대상으로시험, 제작된트레이의적합도를조사한결과, 기존의시판유치악용기성트레이의문제점이개선되었음을알수있었다. 775
Reference 1. Hichy JC, Zarb G.A. Bolender C.L. Boucher s Prosthodontic Tretment for Edentulou Patients, 9th ed., The C.V. Mosby Co., Louis, 150-151, 1985. 2. Eames WB, Sieweke JC, Wallace SW, Rogers LB.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 Effect of bulk on accurcy. J Prosthet Dent 41 : 304-307, 1979. 3. Schenell RJ, Phillips RW. Dimentional stability of rubber base impression and certain other factors affecting accuracy. J Am Dent Assoc 93 : 806, 1958. 4. 김철위 : 치과용앨지네이트와고무인상재의적합정밀도에관한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4(5) : 429-439, 1976. 5. Bomberg TJ, Hatch RA, Hoffaman W. Impression material thickness in stock and custom tray. J Prosthet Dent 54 : 170-172, 1985. 6. Bomberg TJ, Hatch RA, Hoffman W. Impression trays, their selection, and assciated costs. New Mexico Dent J 34 : 10, 1985. 7. Mithell, JV, Damele, JJ. Influence of tray design upon elastic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et Dent 23 : 51-57, 1970. 8. Fusayama T, Nakazato M. The design of stock trays and the retetion of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s. J Prosthet Dent 21 : 136-142, 1969. 9. Heartwell CM, Modjeske PJ, Mullins EE, Strader DH. Comparison of impression made in preforate and nonperforated rimlock trays. J Prosthet Dent 27 : 494-500, 1972. 10. Mendez AJ. The influence of impression trays on the accuracy of stone casts poured from irrer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ns. J Prosthet Dent 54 : 383-388, 1985. 11. Woodward JD, Morris JC, Zafrulla Khan, Accuracy of stone casts prodeced by perforated trays an nonperforated trays. J Prosthet Dent 53 : 347-350, 1985. 12. Valderhaug J, Floystrand F. Dimentional stabilty of elastomeric impression materals in custom-made and stock tray. J Prosthet Dent 52 : 514-517, 1984. 13. Tjan An HL, Whang SB. Comparing effects of tray tretment on the accuracy of deis, J Prosthet Dent 58 : 175-178, 1987. 14. Biffar R, Bittner B. Effects of differed tray types on the resulting impression. Dtsch Zahnartl Z 44(8) : 624-627, 1989. 15. Gordon GE, Jhnson GH, drenon DG. The effect of tray selection on the accuracy of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et Dent 63 : 12-15, 1990. 16. 김인철, 선우양국 : 몇치과인상재의 flow에관한실험적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4(1. : 5, 1963. 17. 이선형 : 고무인상재의정확도에관한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1 : 237-243, 1983. 18. 류수인, 장익태, 김광남 : 전악인상채득시인상용트레이가경석고모형의정확도에미치는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지, 30 : 1-13, 1992. 19. 박명진 : 혈액형, 치궁형구강용적에대한상관관계연구, 경성치과의학잡지, 3 : 116 1934. 20. 최종환 : 한국인의치궁형태와혈액형에관하여. Medical Digest 3 : 245-251, 1961 21. 차문상 : 한국인치궁발육에관한연구. 종합의학 8 : 865-877, 1963. 22. 이한수 : 한국인치궁및구개에관한체질인류학적연구. 최신의학, 7 : 95-111, 1964. 23. 유양석 : 한국인과백인및흑인과의혼혈아의치궁발육에관한연구. 최신의학, 8 : 75-108, 776
1965. 24. 김영해 : 한국인청년남자의치궁에관한계측.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3 : 33-36, 1975. 25. 이종갑 : 한국인소아치열궁및구개에관한통계학적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 : 537-543, 1982. 26. 권용철, 성정옥, 권오원, 성재현 : 정상교합자의치열궁형태.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 : 95-105, 1989. 27. 송대성, 진태호, 동진근 : 한국인성인에대한기성 tray의적합도에관한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7 : 131-140, 1989. 28. Shillingberg HT, Hobo S, Whisett LD. Fundamentals of Fixed Prosthodontics. 2nd. ed., Quintessence Publishing Co., Chicago, 1981. 29. Myers GE, Stockman DG. Factors that affect the accuracy and dimentional stability of the mercaptan rubber-base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et Dent 10 : 525-535, 1960. 30.Stackhouse JA. The accuracy of stone dies made from rubber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et Dent 24 : 337-386, 1970. 31. Shigeto N, Murata H, Hamada T. Evaluation of the methods for dislodging the impression tray affecting the dimentional accuracy of the abutments in a complete dental arch cast. J Prosthet dent 61 : 54-58, 1989. 32. Morrow RW, Brown CE, Powell JM, Rudd KD. Comatibility of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and dental stones. J Prosthet Dent 25 : 556-566, 1971. 33. Reisbick MH, Matyas J. The accuracy of highly filled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J Prosthet Dent 33 : 67-72, 1975. 34.Reihberg HJ. The impression tray-an important factor in impression precision. Int Dent J 27 : 146, 1977. 35. Breeding LC, Dixon DL, Moseley JP. Custom impression trays part 1 : Mechanical properties. J Prosthet Dent 7131-34, 1994. 36.Phillips RW. Pysical properties and manipulationof rubber base impression materials. J Ohio Dent Asso 45 : 236, 1968. 37. Feuerstein RM. Physical properties and use of rubber-base impression material. J Prosthet Dent 10 : 179-189, 1960. 38. Asgar K. Elastic impression materials. Dent Dlin North Am 15 : 81, 1971. 39. Nogawa I. Factors influencing dimentional accuracy of indirect working model. The method by the use of thiokol ruber base and silicone rubber mpression materials. Odontol(Tokyo) 56 : 396, 1968. 40.Shillingberg HT, Hatch RA, Keenan MP, Hemphill MW. Impression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for cast restorations in eight states. J Am Dent Assoc 100 : 696-699, 1980. 41. Johnson GH, Craig RG. Accuracy of addition sillicones as a function of technique. J Prosthet Dent 55 : 197-203, 1986. 42. Rudd KD, Morrow RM, Strunk RR. Accurate alginate impression. J Prosthet Dent 22 : 294-300, 1969. 43. Jeffrey OH, Lewis L, William AK, Mark C. A clinical and laboratory comparision of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techniques. J Prosthet Dent 51 : 304-309, 1984. 44. 조근옥 : 한국인청년남자의구개및상악치궁에관한연구. 종합의학, 11 : 79-84, 1966. 45. 유종덕 : 한국인치열궁에관한인류학적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3 : 533-538, 1975. 777
46. 오유미 : 성인유치악자상악골의악궁과치열궁의형태에관한조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47. 조인호 : 총의치인상.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7(1. : 11-23, 1989. 48.Stewart KL, Rudd KD, Kuebker WA. Clinical removable partial prosthodontics The C.V. Mosby Co., 1983. 778
=Abstract= DEVELOPMENT OF DENTULOUS STOCK TRAYS FOR KOREANS Dae-Sung Song, D.D.S., MAS., Seok-Ku Kang, D.D.S., M.S.D., Hye-Won Cho, D.D.S., M.S.D., PhD., Jin-Keun Dong, D.D.S., M.S.D., Ph.D.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ment of stock tray for Korea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4 persons(male : 204, female : 170) with age 19-28. The study models were made with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 and conventional stock tray. Individual trays were made on the study model and the master molels were made after impression with polysulfide rubber impression material. Each of the master models measured 12 measuring points on the maxillary model and 13 measuring points on the mandibular model with digital sliding caliper. The valu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SAS analysis. The measuring points were analysed and were consult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stock tray for Korean. Maxillary mod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ding to the width between buccal lveolar ridges below the contact point of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The size of new tray of the upper first group was 82mm(width), 60mm(length). That of the upper second group was 77mm(width), 59mm(length). That of the upper third group was 72mm(width), 58mm(length). And that og yhr upprt fourth group was 67mm(width), 57mm(length). Mandibular models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 according to the width between lingual alveolar ridges below the second molar. The size of new tray on lower first group was 40mm(width), 55mm(length). That of the lower second group was 36mm(width), 55mm(length). And that of the third group was 32mm(width), 55mm(length). The author tested the fitness of newly designed stock tray in 52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and obtained good results that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tock tray were worked out. 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