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노은초 *2)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항목및방법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참고문헌 Abstract Effect of self-reflective writing on ballet performance capacity of dance majors Noh, Eun-cho Sookmyung Universit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reflective writing on ballet performance capacity. Total of 34 performance art majors from S university were randomized into experimental group (n=16) and control group (n=16), and were asked to undergo weekly sessions for total of 13 times over 16 weeks duration. For evaluation method, we applied 5 score scale on Moonyoung, Oregina (2012) performance arts capacity assessment scal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one-way ANOVA, paired-samples t-test, independent-samples t-test. Significance level was determined as α=.05. Result showed that the technical (p<0.000) and artistic (p<0.000) component improved in both * 숙명여자대학교강사논문투고일 : 2014. 01. 10. 심사일 : 2014. 02. 10. 게재확정일 : 2014. 03. 01.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69
groups, yet the magnitude of incr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s than control group(p<0.000). Our conclusion showed that self-reflective writing positively improved ballet performance capacity of dance majors. key words: writing, learning ballet, performing arts education, performing arts teaching method 주요어 : 글쓰기, 발레수업, 무용교육, 무용교육방식 Ⅰ. 서론 무용은인간내부의감정과의지를신체의움직임을통하여표현하는예술로시간상에존재하는음악이나공간속에존재하는미술, 문학과는달리시 공간에동시에존재하는장르의특성상이를전달하는과정에있어서다른학문과는다른어려움이있다. 이러한난점을극복하기위하여동작을기록, 표준화, 보편화시키려는노력은예로부터지속적으로시도되어왔으나, 넓은공감을얻지못하여현대에이르러서도무용교육은교사의시범과지시를피교육자가모방, 이행하여이루어지는고식적인도제적방법이주가되고있다. 이러한교육방법의영향으로대학무용교육역시학생들을실기전문인력으로준비시키는것과자유주의예술교육안에서의방대한훈련을제공하려는경향이크다 ( 신은경, 2013). 무용에있어서신체의기능적역할과무용테크닉의강조는교육과정의구성과내용에있어서무용실기및신체기능성에중점을두게된다. 이는무용학과관련된지식의다양성과미적가치의전달이라는무용예술의본질적성격을고려하여본다면편향된교육결과를초래하는것이다 ( 전현주, 오율자, 2012:367). 또한각분야가통합과동시에세분화되면서빠르게발전하는현대사회는무용계에다방면에활용될수있는, 예를들어전문무용수외에도무용교육자, 공연제작, 비평가, 무용치료등다양한인재를요구하고있지만, 현대학무용교육과정의상당부분은무용실기로채워져있으며교수방법도단순모방적인도제식교육을사용하는경우가많아그결과무용전공자는많으나사회에서의경쟁력은오히려떨어지는맹점을안고있다. 김재은, 서예원 (2011:9-10) 은이에대하여이전의교육방법적인측면으로적용하는것에서벗어나서보다근본적인접근이필요하다고주장하고있으며예술정신에입각한, 상상력개발과반성적성찰을위한적용의과정을강조하고있다. 이러한노력의일환으로성찰일지를도입하여그효과에대한연구내용을찾아볼수있는데, 송해덕 (2009:218) 에의하면성찰저널의경우학습 170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과정에서자신이느낀점을기록함으로써학습자들이의식적으로주의를기울이도록제공하여사고과정에있어서체계화및조직화시키는데유리하다고주장하고있으며, 김재은 서예원 (2011:12) 은끊임없는글쓰기훈련을통하여자기의일상을성찰하고반성하는기회를얻게됨과동시에자신의감정을글로표현함으로써표현력의훈련이가능하고문학적감수성을스스로계발하는자세를갖도록도와준다고서술하였다. 그러므로무용교육과인문학의관계는필수불가결한연관성을가진다고볼수있다. 따라서본연구는무용교육의한방편으로성찰일지작성을도입하고객관화된무용수행능력척도를사용하여그효과를계량하여무용수행능력의효율성제고와무용교수법을탐구하고확장시키는데그목적이있으며, 이는타학문과의연결된과정으로발레동작수행에있어서심도깊은교육을이루며무용에대한학문적시야를넓힐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연구는 S대학교무용학과에서발레수업을수강하는 34명가운데중도에탈락하거나포기한학생 2명을제외하고자발적참여자 16명을실험군으로, 비참여자 16명을대조군으로나누어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는모두한국무용혹은현대무용전공자로부전공으로발레수업을수강하는학생으로무용에대한기본적인이해는있으나발레에대한경험이적어수행능력의향상도를연구하는데적합할것으로생각되었으며, 9월첫수업시간에실험군과대조군모두사전검사를실시하여실험군과대조군이동일한성격의집단임을확인하였고 13차시에사후검사를실시하여그향상도를평가하였다. 실험군에게는주 1회, 2시간수업후 30분간성찰일지를작성하도록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수업시간외활동에는참여하지않도록하였다.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 < 표 1> 과같다.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71
표 1. 실험대상의일반적특성 인원수 ( 명 ) 평균연령 ( 세 )± 표준편차발레경력 ( 년 )± 표준편차 실험군 16 20.8±0.39 5.8±1.63 대조군 16 20.8±0.63 4.9±1.69 2. 측정항목및방법 1) 무용수행능력평가척도본연구에서성찰일지작성을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수행능력향상에미치는효과를측정하기위하여사용된도구는문영, 오레지나 (2012) 가개발한무용수행능력평가척도이다. 이척도는무용동작기술성 8문항과무용동작예술성 4문항의총 12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본연구에서는각항목별 5점척도로측정하여연구자료로삼았다. 평가척도의구체적인내용은 < 표 2> 와같다. 표 2. 무용수행능력평가척도 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문항 기술성 순서성 1 1 동작연결순서는정확한가? (N=8) 시제성 1 2 동작의박자와리듬은정확한가? 조형성 2 3, 4 신체각부분의공간상위치, 수준은정확한가? 무대공간을정확하고, 효율적으로사용하는가? 조력성 3 5, 6, 7 신체각부분의힘의배분은적정한가? 동작에너지수준의조절과변화가적정한가? 호흡조절이자연스러운가? 조화성 1 8 동작흐름이자연스럽고안정적인가? 예술성 심미성 1 9 동작이미적상징성과의미를지니는가? (N=4) 표현성 1 10 동작수행시감정표현이적정한가? 독창성 1 11 동작이개인특유의독특한스타일을지니는가? 몰입성 1 12 동작수행에몰입하는가? ( 문영, 오레지나, 2012:209-210) 172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2) 발레수업프로그램본연구를위하여진행된발레수업프로그램에서실험군은연구자에의해학기중에총 9회의성찰일지를쓰도록요구받았으며이과정에서성찰일지작성은학점과의관련성이없다는점을처음부터언급하여본연구에관한자발적인참여를유도하였다. 수업은기본적인동작습득에초점을맞추었으며, 발레수업의차시별주요내용은 < 표 3> 과같다. 매수업시간에다음과같은주제를중점으로하여다양한동작을습득하도록하였다. 표 3. 발레수업의차시별주제 차시수업주제수업내용연구일정 1 Orientation 연구대상자의배경조사자료수집 2 기본적인개념몸의방향, port de bras 6 가지무용수행능력평가 3 점프 (Jump) Ⅰ assemblé, pas ballonné, pas ballotte 성찰일지 1 4 점프 (Jump) Ⅱ sissonne fermée, sissonne ouverte 성찰일지 2 5 점프 (Jump) Ⅲ pas de basque, soubresaut, pas de chat, cabriole 성찰일지 3 6 연결동작 pas de bourrée, passé 성찰일지 4 7 뚜르 (Tour) Ⅰ renverse en dehors, pique pirouette 성찰일지 5 8 뚜르 (Tour) Ⅱ préparation dégagé pique en dehors, chaîne 성찰일지 6 9 뚜르 (Tour) Ⅲ attitude effacé, pirouette fouetté 성찰일지 7 10 뚜르 (Tour) 점프 (Jump) Ⅰ saut de basque 성찰일지 8 11 12 뚜르 (Tour) 점프 (Jump) Ⅱ 뚜르 (Tour) 점프 (Jump) Ⅲ pas emboîte 성찰일지 9 jete en tournant 토의및평가 13 동작총정리지금까지배운발레동작응용무용수행능력평가 3) 성찰일지작성 16명의실험군에게는매수업직후에연습실에서약 30분간성찰일지를작성하도록하였다. 성찰일지는별도의문항을제공하지않는비구조화된형식으로수강생들이스스로자신이습득한발레동작을성찰하여그결과를자유롭게기록할수있도록하였으며,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73
교수자에게보이기위한목적을가진문장과문장내형용사등의꾸미는말은지양하도 록하였다. 수강생들중에서글쓰기작업이낯설어질문을하는경우에는본수업의내용 과연구의목적에맞는방향성을차시별로제시하였으며, 그내용은 < 표 4> 과같다. 표 4. 성찰일지작성의차시별주제 차시 1-3 4-6 7-9 구분 오늘수업을통해배운것을서술발레수업에서좋았던점, 어려웠던점서술 수업에서어려운점이무엇이었는지서술나의부족한점과해결책은무엇이라고생각하는지서술 가장기억에남는지적사항, 교정 (correction) 내용서술오늘수업에있어서의자기성찰및반성적인점을서술 3. 자료처리 본연구를위한자료처리방법은 SPSS/PC+Windows 20.0 통계패키지를이용하였으며, 변인별측정자료로부터평균및표준편차를산출하였다. 두집단의동질성을검증하기위하여일원배치분산분석을실시하였으며, 각집단의측정변인별전 후차이검증을위하여대응표본 t-test와독립표본 t-test를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실험군과대조군의사전검사비교 사전검사에서실험군과대조군의동일성여부를확인하기위하여일원배치분산분석 을실시하였으며, 그결과는 < 표 5> 와같다. 174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표 5. 실험군과대조군의무용수행능력사전검사결과 집단평균표준편차 t p 순서성1 시제성2 조형성3 조형성4 조력성5 조력성6 조화성7 조화성8 심미성9 표현성10 독창성11 몰입성12 무용동작기술성무용동작예술성무용수행능력 실험군 2.38 0.885 대조군 1.63 0.806 실험군 2.13 0.806 대조군 1.63 0.719 실험군 2.19 0.750 대조군 2.19 0.911 실험군 2.31 0.602 대조군 1.94 0.772 실험군 2.06 0.772 대조군 1.94 0.854 실험군 2.00 0.816 대조군 1.81 0.750 실험군 1.88 0.619 대조군 1.63 0.885 실험군 2.06 1.063 대조군 1.50 0.966 실험군 2.25 0.856 대조군 1.88 0.806 실험군 2.31 0.704 대조군 1.75 0.683 실험군 2.19 0.750 대조군 1.94 0.854 실험군 2.81 0.403 대조군 2.38 0.806 실험군 2.1250 0.64226 대조군 1.7813 0.50724 실험군 2.3906 0.56986 대조군 1.9844 0.55878 실험군 2.2135 0.57572 대조군 1.8490 0.50205 6.279 0.018 3.429 0.74 0.000 1.000 0.348 0.136 03189 0.667 0.458 0.504 0.857 0.362 2.455 0.128 1.627 0.212 5.260 0.029 0.774 0.386 3.769 0.062 2.823 0.103 4.146 0.051 3.645 0.066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75
< 표 5> 에서나타난바와같이순서성1, 표현성10에서실험군과대조군사이에차이가존재하나, 각문항을종합하여유의수준 5% 에서검정결과무용동작기술성과무용동작예술성, 무용수행능력모두유의확률이 0.05보다커서실험군과대조군이동일한집단임을알수있다. 2. 실험군과대조군의사전 사후검사비교 1) 실험군의사후검사결과실험군을상대로사전검사와사후검사결과에유의한차이가있는지확인하기위하여대응표본 t-검정을실시하였으며, 그결과는 < 표 6> 와같다. 유의수준 5% 에서검정결과모든문항의유의확률이 0.000으로매우작아서두검사결과의차이가매우유의함을알수있다. 따라서실험군 16명의무용수행능력이수업후에향상되었음을알수있다. 표 6. 실험군의사전 사후결과검정 집단평균표준편차평균차 * t p 순서성1 시제성2 조형성3 조형성4 조력성5 조력성6 조화성7 조화성8 사전 2.38 0.885 사후 4.06 0.443 사전 2.13 0.806 사후 4.13 0.619 사전 2.19 0.750 사후 3.50 0.632 사전 2.31 0.602 사후 4.06 0.443 사전 2.06 0.775 사후 3.56 0.512 사전 2.00 0.816 사후 3.63 0.500 사전 1.88 0.619 사후 3.94 0.443 사전 2.06 1.063 사후 3.75 0.856 1.688 8.510 0.000 2.000 9.798 0.000 1.313 7.456 0.000 1.750 10.247 0.000 1.500 7.348 0.000 1.625 7.344 0.000 2.063 9.661 0.000 1.688 6.654 0.000 176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집단평균표준편차평균차 * t p 심미성9 표현성10 독창성11 몰입성12 무용동작기술성무용동작예술성무용수행능력 사전 2.25 0.856 사후 3.75 0.683 사전 2.31 0.704 사후 3.75 0.447 사전 2.19 0.750 사후 4.31 0.704 사전 2.81 0.403 사후 4.44 0.629 사전 2.1250 0.64226 사후 3.8281 0.39758 사전 2.3906 0.56986 사후 4.0625 0.48734 사전 2.2135 0.57575 사후 3.9063 0.34944 1.500 6.211 0.000 1.438 7.064 0.000 2.125 9.604 0.000 1.625 13.000 0.000 1.70313 11.917 0.000 1.67188 10.955 0.000 1.69271 12.685 0.000 * 평균차 = 사후검사평균 - 사전검사평균 2) 대조군의사후검사결과 대조군을상대로사전검사와사후검사결과에유의한차이가있는지확인하기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실시하였으며, 그결과는 < 표 7> 과같다. 표 7. 대조군의사전 사후결과검정 집단평균표준편차평균차 * t p 순서성1 시제성2 조형성3 조형성4 사전 1.63 0.806 사후 2.38 0.500 사전 1.63 0.719 사후 2.38 0.500 사전 2.19 0.911 사후 2.38 0.619 사전 1.94 0.772 사후 2.56 0.512 0.750 5.196 0.000 0.750 4.392 0.001 0.188 0.716 0.485 0.625 3.478 0.003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77
집단평균표준편차평균차 * t p 조력성5 조력성6 조화성7 조화성8 심미성9 표현성10 독창성11 몰입성12 무용동작기술성무용동작예술성무용수행능력 사전 1.94 0.854 사후 2.38 0.619 사전 1.81 0.750 사후 2.56 0.629 사전 1.63 0.885 사후 2.81 0.544 사전 1.50 0.966 사후 2.13 0.619 사전 1.88 0.806 사후 2.44 0.512 사전 1.75 0.683 사후 2.50 0.516 사전 1.94 0.854 사후 2.44 0.629 사전 2.38 0.806 사후 2.75 0.447 사전 1.7813 0.50724 사후 2.4453 0.29215 사전 1.9844 0.55878 사후 2.5313 0.28687 사전 1.8490 0.50205 사후 2.4740 0.25225 0.438 2.150 0.048 0.750 3.873 0.002 1.188 5.216 0.000 0.625 3.101 0.007 0.563 2.764 0.014 0.750 3.873 0.002 0.500 2.236 0.041 0.375 2.087 0.054 0.66406 6.920 0.000 0.54688 4.289 0.001 0.62500 7.319 0.000 * 평균차 = 사후검사평균 - 사전검사평균 유의수준 5% 에서검정결과유의확률이 0.000 으로매우작아서두검사결과의차이가유의 함을알수있으며, 이에대조군 16 명의무용수행능력이수업후에향상되었음을알수있다. 3) 실험군과대조군간의무용수행능력향상도비교 실험군과대조군간의무용수행능력향상정도의차이가유의한지살펴보기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실시하였으며, 그결과는 < 표 8> 과같다. 178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표 8. 실험군과대조군간의무용수행능력향상도비교 집단평균차 * 표준편차 t p 순서성1 시제성2 조형성3 조형성4 조력성5 조력성6 조화성7 조화성8 심미성9 표현성10 독창성11 몰입성12 무용동작기술성무용동작예술성무용수행능력 실험군 1.6875 0.79320 대조군 0.8750 0.61914 실험군 2.0000 0.81650 대조군 0.8125 0.65511 실험군 1.3125 0.70415 대조군 0.4375 0.89209 실험군 1.7500 0.68313 대조군 0.9375 0.68007 실험군 1.5000 0.81650 대조군 0.6875 0.87321 실험군 1.5625 0.96393 대조군 1.0625 0.85391 실험군 2.0625 0.85391 대조군 1.3125 0.87321 실험군 1.6875 1.01448 대조군 0.7500 0.68313 실험군 1.3750 1.02470 대조군 0.5625 0.81394 실험군 1.4375 0.81394 대조군 0.8125 0.75000 실험군 2.1875 0.91059 대조군 0.5000 0.89443 실험군 1.6875 0.60208 대조군 0.8125 0.83417 실험군 1.6953 0.57729 대조군 0.8594 0.35612 실험군 1.6719 0.62396 대조군 0.6719 0.56803 실험군 1.6875 0.54220 대조군 0.7969 0.35220 10.432 0.003 20.589 0.000 9.484 0.004 11.368 0.002 7.391 0.001 2.412 0.131 6.034 0.020 9.401 0.005 6.168 0.019 5.102 0.031 27.967 0.000 11.575 0.002 24.301 0.000 22.473 0.000 30.360 0.000 * 평균차 = 사후검사평균 - 사전검사평균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79
< 표 8> 에서보는바와같이실험군과대조군모두수업전보다수업후의무용수행능력이향상되었으며, 실험군과대조군의향상도를유의수준 5% 에서검정결과조력성6 문항을제외한모든문항의유의확률이 0.05보다작으며, 종합적으로보았을때실험군이대조군에비해무용수행능력이통계적으로유의하게향상되었음을알수있다. Ⅳ. 논의 성찰은자신이가지고있는인지적, 정의적문제점을발견하고이를능동적으로해결해가는과정이며반성, 반추, 성찰적사고, 반성적사고, 성찰적실천등다양한용어로해석되고있다 ( 서기희, 2004:11). 성찰일지는학습한내용이나실천적행위를통하여습득한지식을다양한맥락에적용해볼수있는기회를제공해주며, 교수-학습과관련한갈등상황을인식하고스스로해결책을찾아보게하고, 지식을재구성하고반성적사고능력을함양하도록하며 ( 엄미리, 박인우 2011:219), 그형식은자서전, 연습문제, 질문-응답형식과같은구조화된형식과시간순서대로사실을기록하는비구조화된형식으로구분할수있다 (Moon, 1999). 본연구에서는학생들이자유롭게서술할수있도록비구조화된형식을채택하였으며, 단순한감상이나수업내용의나열을지양하도록차시별로간략히가이드라인을제시하였는데, 이는서기희 (2004) 의연구에서성찰일지쓰기가성공적으로수행되기위해서는명확한지침과같은교수자의지원이필요하다고주장한내용과맥락을같이한다고할수있다. 성찰일지작성과관련된선행연구를살펴보면, 유정재, 이정화 (2008) 는글쓰기과제를통해안무내용을구체화, 세분화시키며, 수업을이해하는인지적측면과표현력향상, 정서의함양에도움을준다는내용을제시하였고, 박미영 (2010) 은글쓰기의장점으로비판적사고, 자기성찰, 의사소통의표현, 정리를통하여무용장르에서나타나는일회성의난점을극복하는동시에무용발전에일조할것이라는방향성을제시하였다. 또한, 김재은, 서예원 (2011) 은무용과인문학의공통분모적인관계를설명하며무용교육에서인문학적인요소의필요성을주장하였다. 이러한기존연구에서제시된바와같이성찰일지작성은무용수업에있어정서의함양과인문학적소양을고양하는데유용하다할수있으며, 이는급변하는사회에능동적으로대처하고새로운아이디어를창출하기위해필요한다학문간의통합교육 ( 신은경, 2004) 의한부분이될수있을것이라생각된다. 180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
앞서제시된선행연구자료에서볼수있듯이, 무용과글쓰기를포함한인문학적요소의상관관계에대한문헌적연구는이루어지고있으나이에대한양적연구는미흡한실정으로본연구에서는무용수행능력평가척도를도입하여이를실험적으로탐구하고자하였다. 사용된평가척도는기존무용수의실기를평가하는방법이주관적인기준에의존하여객관성이떨어지기때문에이에따르는부작용을최소화하기위하여문영, 오레지나 (2012) 에의해개발된척도로, 본연구에서실험군과대조군의무용수행능력을수치화하여이로써동질성을확인하고실험에따른차이점을객관화하는데효과적인것으로볼수있다. 위의내용을종합하여보면, 무용수행능력평가척도를적용하여실험군, 대조군을사전, 사후검사한결과두집단모두에게유의한향상이나타나한학기간의수업으로학생들의발레수행능력이의미있게발전하였음을알수있었으며, 본연구의주제인성찰일지를작성한실험군이대조군에비하여실력의향상정도가확연하여통계적으로유의함이드러나효율적인발레수업을진행함에있어성찰일지작성이유용한도구임을확인할수있다. 특히성찰일지작성은글쓰기라는인문학적요소를무용에접목함으로현대무용교육의이슈중하나인총체적 다원적접근의필요성을구체적으로실천할수있는한방법이라할수있겠으며, 아울러본연구에서는성찰일지작성의효과를무용수행능력에초점을맞추어연구하였으나글쓰기과제를통하여자기표현능력과의사소통기술이유의하게증가한다는선행연구 ( 박중길, 2008; 김영이, 2005) 를살펴볼때몸짓을언어로사용하는무용에서도성찰일지를통한창의력의향상을기대할수있을것으로보여이에대한후속연구가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Ⅴ. 결론 본연구는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수행능력의향상에효과를미치는지알아보고자하는데그목적이있다. S대학교무용전공자 32명을대상으로실험군 (16명), 통제군 (16명) 으로나누어주 1회, 13차시동안프로그램을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문영, 오레지나 (2012) 의무용수행능력평가척도에 5점척도를적용하여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일원배치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을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설정하였다. 도출된결론은다음과같다.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 25 집제 1 호 ( 통권제 42 호 ) 181
실험군, 대조군두집단모두에서무용동작기술성 (p<.000), 무용동작예술성 (p<.000) 이증가하였으나, 그증가의폭은실험군이대조군보다컸으며, 이는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p<.000). 이와같은결과를볼때, 성찰일지작성은무용전공자들의무용수행능력을향상시키는데효과가있음을알수있었다. 참고문헌 김재은, 서예원 (2011), 무용교육의인문학적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22집 1호, 1-16. 김영이 (2005), 교육방송 VOD 및 ICT를활용한자기표현능력신장방안, 새국어교육 70, 37-72. 문영, 오레지나 (2012a), 무용수행능력검사개발,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23집 1호, 195-212. (2012b), 무용수행능력평가도구활용을위한기초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23집 2호, 199-214. 박미영 (2010), 무용에서철학적글쓰기의즐거움,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제18집 4 호, 233-246. 박중길 (2008), 무용수업에서의글쓰기과제가자기표현능력, 의사소통기술과비판적사고성향에미치는효과, 한국체육학회지제47집 2호, 337-349. 서기희 (2004),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성찰일지쓰기가비판적사고, 학습동기, 학습성과에미치는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송해덕 (2009),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성찰적사고지원요인탐색, 열린교육연구제17집 3호, 215-232. 신은경 (2004), 21C 대학무용교육과정을위한패러다임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제15집 2호, 113-127. (2013), 고등무용교육재구조화를위한반성적과제와전략, 한국무용교육학회제24집 1호, 1-18. 엄미리, 박인우 (2011), e-포트폴리오성찰일지작성활동의학습효과에영향을미치는학습자관련변인탐색, 교육공학연구제27집 1호, 213-246. 유정재, 이정화 (2008), 무용수업에서글쓰기과제경험의교육적의미, 한국무용학회지제8집 2 호, 1-9. 전현주, 오율자 (2012), 무용비평교육의새로운지평, 한국체육학회지제51집 4호, 361-369. Moon, J. (1999), Reflection in Learning & Professional Development, London: Kogan Page. 182 성찰일지를활용한발레수업이무용전공자의수행능력에미치는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