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PDF



Similar documents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ºñÁ¤±ÔħÇغ¸°í¼�.hwp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æÁ¦Àü¸Á-µ¼º¸.PDF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2003report hwp

목차 Ⅰ Ⅱ (2013)

< 차례 > Ⅰ. 조사개요 1 Ⅱ. 통계의작성목적및이용 6 Ⅲ. 조사설계 12 Ⅳ. 자료수집 50 Ⅴ. 행정자료활용 87 Ⅵ. 자료처리 91 Ⅶ. 통계추정및분석 99 Ⅷ. 통계공표관리및이용자서비스 115 Ⅸ. 통계기반및개선 132 Ⅹ. 참고문헌 141

순 서 고용부문잠정결과 종사자동향월말기준 노동이동월중 입직 이직 근로실태부문 월급여계산기간기준 임금 근로시간 월누계근로실태 시계열자료 사업체노동력조사개요

CR hwp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Çʸ§-¾÷¹«Æí¶÷.hwp.hwp

¿¹»ê»ç¾÷Æò°¡(±âŸ)-¼öÁ¤.hwp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2006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hwp


CONTENTS.HWP

INDUS-8.HWP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B8EA20C7E0C1A4C5EBB0E820B0B3B9DF20B0E1B0FA28BEC8295FBAB8B5B5C0DAB7E176362E322E687770>

_1.hwp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untitled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성인지통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ad hwp

세계 비지니스 정보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공공기관기관장의전문성이 조직의성과에미치는영향 년 월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유진아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 C0CEB7C2B5BFC7E220BDC7C5C2C1B6BBE72DB3BBC1F62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MRIO (25..,..).hwp

09³»Áö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Untitled-1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6 연구시설장비 부처별 6T분야별 투자 및 구축현황 27 연구시설장비 부처별 중점투자분야별 투자 및 구축현황 부처별로 투자한 국가연구시설장비의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별 투자액, 구축 수에 대한 통 부처별로 투자한 국가연구시설장비의 중점투자분야별 투자액, 구축수에


- ii - - iii -

CC hwp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II. 기존선행연구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º»ÀÛ¾÷-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Special Theme TV SNS 2015 Spring vol

< >, 2(2012~2013) 8,474( , , ,781). 3,846( , ,615)., (2012 9, ,628) 149 ( 109, 40 ), ( ,99

< 차례 > Ⅰ. 조사개요 1 Ⅱ. 통계의작성목적및이용 4 Ⅲ. 조사설계 9 Ⅳ. 자료수집 25 Ⅴ. 자료처리 46 Ⅵ. 통계추정및분석 52 Ⅶ. 통계공표, 관리및이용자서비스 58 Ⅷ. 통계기반및개선 72 Ⅸ. 참고문헌 76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hwp


13Åë°è¹é¼Ł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ÀåÀÛ¾÷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Contents iii

00-1표지

1. 조사설계 조사대상 2017 년 2 월현재,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표본의크기 조사방법 1,021 명 ( 가중전 1,021 명, 가중후 1,000 명 ) - 가중치를 1,000 명기준으로부여했으나, 보도시표본크기는 1,021 명으로보도해야함. 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한전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임정연 이영민 1) 주저자, 숙명여자대학교인력개발정책학박사과정, 2) 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여성 HRD 대학원부교수,

유아-주요업무내지(1-3)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한국정책학회학회보

ÁÖ5Àϱٹ«Á¦Á¶»ç(03).hwp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우루과이 내지-1

Transcription:

수탁연구 2013-013 2012 이공계인력 육성 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 2012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npower - Survey on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Businesses -

요 약 문 조사목적 이공계인력의 육성 및 활용 현황과 처우 등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여 국가차 원의 이공계인력의 육성 및 지원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함 조사근거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국가승인 일반통계(제10505호, 2006년 6월 26일)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제7조(이공계인력에 대한 실태 조사) 및 동법 시행령 제6조(실태조사의 시기 및 방법 등) 조사주기 : 3년 조사 내용(항목) 기업 실태조사는 이공계인력의 고용현황, 급여수준, 복지제도 및 보상체계, 채용기준, 경로 및 방식, 직무배치 및 순환, 기업인식 및 교육훈련제도, 연구개발직 현황 등 대학 실태조사는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박사과정 학생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등 공공연구기관 실태조사는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등 - i -

<표> 기관유형별 조사 내용 기관유형 기업 대학 공공연구기관 조사내용 정규직 이공계인력 고용현황(학위별, 성별, 임원 비중) 학위별 채용기준 및 방법, 수요 충원 우선순위, 이직율 학위별 급여수준 및 연평균 증가율 학위별 직무배치 및 순환 교육훈련제도 보유여부 및 학위별 주요 교육훈련제도 복지제도 보유여부 및 실행 여부 우수 이공계인력의 보상방법 이공계인력 질적수준, 이 공학간 취업 현황, 이공계 인재 관리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현황(근무기간, 학위취득지, 성별)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채용방법 박사연구원 급여수준 교육, 복지, 연구성과 보상 박사과정학생에 대한 대우 비정규직 석 박사연구원 현황(근무기간, 학위취득지, 성별) 비정규직 석 박사연구원 채용방법 석 박사연구원 급여수준(정규직, 비정규직) 교육, 복지, 연구성과 보상 조사기간 조사 기준시점 : 2011년 12월 31일 현재 조사 대상기간 : 2011년 1월 1일~ 12월 31일(1년간) 조사 실시기간 : 2012년 11월 1일~2013년 3월 31일 조사표본 현황 조사방법 조사표본수 최종유효응답 기업 표본조사 1550개 1317개(유효응답률 : 85.0%) 대학 전수조사 421개 349개(유효응답률 : 82.9%) 공공연구기관 전수조사 469개 401개(유효응답률 : 85.5%) - ii -

C C C C C C C C C 조사기관 조사 주관기관 : 미래창조과학부 조사 전담기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 실사기관 : (주)리서치 앤 리서치(R&R) 조사체계 및 절차 1. 조사 기획 조사 목적을 설정하고, 조사할 내용에 대한 개념 정립 전체 조사일정 및 방법 2. 표본틀 설계 모집단을 규정하고, 표본을 추출할 표본틀 구성 신뢰수준 및 표본오차와 예산을 고려한 적정표본크기 결정 표본추출방법을 정하고, 이에 따른 하위집단의 표본크기를 결 정, 조사대상 선정 3. 조사설계 조사목적에 부합하는 설문지 설계(설문항목에 변수를 지정, 자료분석 방법을 고려한 설계) 4. 사전조사 실제 조사 상황에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문제점을 파악 설문지 수정 및 보강 5. 조사원 교육 조사원을 선정하고 설문지 숙지를 위한 교육 6. 실제조사 조사 실시(전화, 팩스, 이메일 등) 7. 자료 처리 및 분석 설문지의 자료입력 8. 모수 추정 표본조사 자료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모수 추정 9. 보고서작성 자료분석 및 보고서 작성 - iii -

기업 조사결과 10인 이상의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이공계인력은 총 3,129,488명으로 추정됨 산 업 대 분 류 <표> 산업별 계열별 총재직자 현황 (단위 : 명) 이학계 공학계 비 이공계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전체 1,208,019 173,080 1,034,939 1,921,469 1,177,289 1,921,469 4,779,795 3,726,809 4,779,795 A. 농업, 임업 및 어업 4,710 565 4,145 4,713 2,152 4,713 10,068 7,946 10,068 B. 광업 1,120 180 940 1,794 1,023 1,794 8,898 7,268 8,898 C. 제조업 346,612 45,724 300,888 680,445 396,225 680,445 1,334,798 1,043,273 1,334,798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8,427 2,005 6,421 39,873 21,485 39,873 29,098 15,773 29,098 E. 하수 폐기물 처리 등 8,892 20 8,872 5,770 5,641 5,770 33,433 33,342 33,433 F. 건설업 64,871 3,017 61,853 142,778 106,309 142,778 110,683 90,639 110,683 G. 도매 및 소매업 72,778 5,687 67,091 88,084 65,054 88,084 360,515 301,658 360,515 H. 운수업 53,445 3,757 49,688 113,196 89,177 113,196 317,509 258,435 317,509 I. 숙박 및 음식점업 20,914 2,421 18,493 42,535 33,840 42,535 117,771 104,427 117,771 J. 출판,영상,방송통신 등 48,898 13,607 35,291 142,922 100,334 142,922 147,460 92,248 147,460 K. 금융 및 보험업 52,568 7,594 44,975 72,481 33,246 72,481 261,448 197,676 261,448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11,182 485 10,697 22,381 18,982 22,381 89,552 86,050 89,552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1,518 17,798 83,720 194,926 108,134 194,926 175,467 114,613 175,467 N. 사업시설관리 및 서비스 60,668 11,751 48,917 69,114 30,432 69,114 415,197 281,798 415,197 O. 공공행정, 국방 등 111,454 33,754 77,700 169,315 75,530 169,315 350,465 163,327 350,465 P. 교육 서비스업 99,850 474 99,376 41,186 38,295 41,186 449,116 445,809 449,116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115,361 23,197 92,164 47,524 14,677 47,524 430,842 352,849 430,842 R. 예술, 스포츠 서비스 등 8,525 868 7,657 10,451 5,159 10,451 47,921 41,868 47,921 S. 협회 단체, 수리 및 기타 16,227 176 16,051 31,981 31,592 31,981 89,556 87,811 89,556 - 이학계열 전공자 비중이 15.3%, 공학계열 전공자 비중이 24.3%로 현재 대학의 이학, 공학계열별 재학생 비중보다 높게 나타남 - iv -

<표> 2011년 대학 * 계열별 학생 현황 재학생수(명) 비중(%) 이학계열 235,399 10.7 공학계열 495,368 22.4 비이공계 1,476,384 66.9 총합계 2,207,151 100.0 * 전문대학, 산업대학, 방송통신대학, 대학, 기술대학, 교육대학, 각종대학(전문, 일반) 출처 : 교육통계서비스 http://cesi.kedi.re.kr/ - 전체 이공계 전공 종사자 대비 이공계 전공 종사자 비율이 높은 산업 분야는 제조업 (32.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9.5%), 공공행정, 국방 등(9.0%) 순으로 나타남 - 제조업 분야에서 공학계열 전공자의 35.4%가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이학계 열 28.7%, 비이공계열 27.9%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제조업분야 대기업에 근무하는 이학계열 전공자 비중이 13.2%로 공학계열 36.8%, 비이공계열 43.9%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표> 제조업 분야 규모별 계열별 종사자 수 비중 대기업(%) 중소기업(%) 이학계열 13.2 86.8 공학계열 36.8 63.2 비이공계 43.9 56.1 - v -

박사 총원 대비 이공계 박사 비중은 대기업(61.2%)이 중소기업(53.6%)보다 7.6%p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총원 대비 성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기업 남성 이공계 비중(24.7%)이 여성 이공계 비 중(13.3%)보다 11.4%p 크며, 중소기업 남성 이공계 비중(23.6%)도 여성 이공계 비중 (8.9%)보다 14.7%p 커서 이공계인력 성별 비중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 <표> 전체 고용 인력 대비 이공계인력의 비중 전체 (명) 이 학 계 (명) 공 학 계 (명) 비중 (%) 학위별 성별 학사미만 학사 석사 박사 여성 남성 총원(A) 3,073,714 2,554,591 507,832 86,894 2,535,568 5,015,083 대기업(B) 735,520 492,921 169,202 35,919 603,538 1,369,702 중소기업(C) 2,338,193 2,061,670 338,630 50,975 1,932,030 3,645,380 총원( ) 105,743 304,030 43,582 25,530 135,290 261,723 대기업( ) 37,414 47,783 7,137 4,949 37,259 53,025 중소기업( ) 68,328 256,247 36,446 20,581 98,031 208,698 총원( ) 394,942 613,667 92,560 23,773 117,376 936,138 대기업( ) 148,329 155,636 36,962 17,036 43,042 284,714 중소기업( ) 246,613 458,031 55,597 6,737 74,334 651,424 ( )/A 16.3 35.9 26.8 56.7 10.0 23.9 ( )/B 25.3 41.3 26.1 61.2 13.3 24.7 ( )/C 13.5 34.6 27.2 53.6 8.9 23.6 전체임원 대비 이공계인력 임원 비중을 살펴보면, 대기업(38.9%)보다 중소기업 (40.7%)이 다소 높음 - vi -

이공계인력이 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비이공계열보다 학위에 상관없이 임금 수준이 높 지만, 반면에 비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상대적으로 낮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남 <표> 평균 급여 수준 (무경력 신규직원 기준, 연봉 기준) (단위: 만원) 대기업 중소기업 전체 학사 석사 박사 전체 학사 석사 박사 기술부문 이공계 3,209 3,039 3,182 3,406 3,079 2,643 3,228 3,367 비이공계 3,129 3,013 3,101 3,272 2,653 2,540 2,758 2,660 비기술부문 이공계 3,119 3,013 3,159 3,186 2,541 2,497 2,654 2,472 비이공계 3,117 2,957 3,163 3,231 2,516 2,329 2,828 2,390 연구개발직이 비연구개발직에 비해 학 석사는 급여수준이 약간 높지만, 박사의 경우 낮게 나타남 <표> 연구개발직 비연구개발직 학위별 급여 수준 (무경력 신규직원 기준, 연봉 기준) (단위: 만원) 급여수준 구 분 학사 석사 박사 연구개발직 3,547 4,076 4,772 비연구개발직 3,543 3,994 5,485 - vii -

교육훈련, 복지제도가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잘 갖추어진 것으로 나타남 <표> 복지제도 대기업 보유 미보유 (%) (%) 중소기업 보유 미보유 (%) (%) 자기개발비 지원 40.6 59.4 21.8 78.2 문화 체육활동지원 54.6 45.4 23.1 76.9 자녀학자금 지원 66.4 33.6 32.2 67.8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75.5 24.5 62.3 37.7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55.6 44.4 38.9 61.1 금융대출 지원 43.8 56.2 16.1 83.9 육아휴직 지원 71.4 28.6 40.2 59.8 육아비용 지원 34.7 65.3 13.4 86.6 직원복지시설 보유 55.6 44.4 29.0 71.0 여성복지시설 보유 54.2 45.8 21.9 78.1 기타 4.5 95.5 3.2 96.8 <표> 교육제도 대기업 보유 미보유 (%) (%) 중소기업 보유 미보유 (%) (%) 승진 53.3 46.7 39.6 60.4 연봉인상 43.8 56.2 41.6 58.4 성과 인센티브 46.7 53.3 29.0 71.0 스톡옵션 4.1 95.9 1.7 98.3 연구자율성 확대 9.5 90.5 4.3 95.7 교육훈련 지원 33.3 66.7 17.1 82.9 기타 1.4 98.6 0.3 99.7 이공계인력 채용기준 우선 순위는 대기업 학사의 경우 직무능력(25.0%), 직무지식 (16.3%), 전공(14.7%) 순으로 나타났지만, 업무태도(14.7%)로 중요한 요인으로 검토함 <표> 이공계인력 채용기준 우선순위 (사업체규모별): 이공계전공자 대상 (단위: %) 대기업 중소기업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순위 1순위 1+2순위 1순위 1+2순위 1순위 1+2순위 1순위 1+2순위 1순위 1+2순위 출신학교 9.7 1.7 8.3 2.5 8.2 2.2 8.4 1.7 7.7 1.5 8.1 1.0 전공(전공지식) 14.7 16.5 15.0 14.7 15.0 14.7 18.3 10.6 22.2 10.8 18.3 11.1 학점 0.7 1.2 1.6 1.0 0.9 0.5 1.0 1.7 1.5 1.8 2.0 1.0 직무지식(자격증 등) 16.3 15.7 15.3 15.2 16.6 15.2 21.6 18.1 17.6 17.5 16.7 18.6 의사표현능력(발표력 등) 1.6 7.4 1.2 7.6 1.6 8.7 2.1 7.1 1.9 7.8 1.8 7.2 직무능력(논리력 등) 25.0 19.4 29.6 21.3 26.9 20.7 21.8 26.2 24.5 26.2 22.4 26.1 업무태도 14.7 28.1 11.0 29.0 10.8 28.3 16.3 26.9 13.5 25.6 13.4 24.1 외국어 구사능력 0.0 4.1 0.3 2.0 0.0 2.7 0.8 3.7 0.2 4.2 1.0 4.6 연구실적 및 경력 3.4 3.7 5.0 5.6 7.5 6.0 3.1 3.2 4.6 4.5 9.8 5.9 기타 14.0 2.1 12.7 1.0 12.4 1.1 6.4 0.7 6.2 0.0 6.3 0.3 이공계인력 이직율은 9.5%로 비이공계인력 이직율 5.8%에 비해 높지만, 평균 근속년 수는 이공계열인력 9.5년, 비이공계열 9.1년으로 비슷함 - viii -

* 이공계인력의 직무배치 시 전공을 많이 고려(학사 기준 5점 척도 : 이공계 2.95, 비이 공계 2.75)하고, 학위가 높을수록 전공고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공계인력이 비기술부문에서 근무할 시 지원/스텝, 기획 관련직에서 주로 일하는 것 으로 나타남 - 이공계인력이 기술부문에서 비기술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이 비기술부문에서 기술부문 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쉽고, 학위가 높을수록 직무이동이 어려움 - 이공계전공자의 직무전환의 주요 원인은 기업내부 업무조정에 따른 직무전환이 가장 많고, 개인적 희망, 관리자급 승진 순으로 나타남 이공계인력이 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비이공계에 비해 만족도가 높고, 비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비이공계에 비해 만족도가 낮지만, 이공계인력은 직무에 크게 상관없이 만족 도가 비슷함 <표> 신입직원에 대한 직무수행 만족도 직무 학위 전공 계열 만족도(5점 척도 * ) 기술 부문 비기술 부문 학사 석사 박사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2.72 비이공계 2.67 이공계 2.70 비이공계 2.69 이공계 2.72 비이공계 2.71 이공계 2.72 비이공계 2.76 이공계 2.71 비이공계 2.75 이공계 2.72 비이공계 2.75 1점 3점 5점 요구 정도에 크게 못 미친다 요구 정도와 유사하다 요구 정도를 크게 넘는다 - ix -

이공계인력이 타전공자에 비해 5점척도 기준으로 전공지식(3.10)과 인지능력(3.05)이 뛰어나지만, 대인관계 능력(2.98), 조직관련 능력(2.96), 의사소통 능력(2.97), 기업가 정신(2.93)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이공계인력은 학위가 높을수록(5점 척도 기준 : 학사 2.85, 석사 3.04, 박사 3.11) 채 용전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대기업은 자체 연구개발, 대학과의 협력을 선호하고, 중소기업은 자체연구개발, 타 기 업과의 협력을 선호 <표> 연구개발 수행 방법 대기업 중소기업 기업수 비중 (%) 기업수 비중 (%) 자체 연구개발 163 54.9 5,645 46.0 대학과의 협력 49 16.5 1,254 10.2 출연연과의 협력 11 3.7 322 2.6 타 기업과의 협력 13 4.4 2,683 21.9 산학연 컨소시엄 참여 35 11.8 800 6.5 자체개발보다 구입 13 4.4 1,266 10.3 기타 13 4.4 307 2.5 합계 297 100.0 12,277 100.0 - x -

대학 조사결과 정규직 박사는 기타계열, 공학계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비정규직 박사는 공학계 열, 이학계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정규직 박사 여성 비중(36.6%)이 비정규직 박사 여성 비중(28.9%)보다 높고, 정규직 박사 국내학위자 비중(91.7%)이 비정규직 박사 국내학위자 비중(82.8%)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비정규직 정규직 박사 연구원 인원 현황 성별 학위수여 국가별 계열별 비정규직 박사 정규직 박사 인원수(명) 비중(%) 인원수(명) 비중(%) 총원 7,102 100.0 973 100.0 여성 2,054 28.9 356 36.6 남성 5,048 71.1 617 63.4 국내학위 1,816 82.8 892 91.7 해외학위 464 17.2 81 8.3 이학계열 1,972 27.8 198 20.4 공학계열 2,383 33.6 247 25.4 의 약학계열 799 11.3 126 13.0 기타계열 1,949 27.4 400 41.1 대학 이공계 정규직 박사 평균 임금은 2,509만원으로 비정규직 박사 2,371만원에 비 해 크게 높지 않게 나타남 주요한 비정규직 박사 채용방법은 홈페이지 공고, 외부 취업 사이트, 직원 또는 연구 자 추천 순으로 나타남 대학의 비정규직 박사의 평균 재직기간은 24개월 내외이고, 공학계열이 27개월로 다 른 계열에 비해 다소 길게 재직 비정규직 박사의 연구성과 인센티브 수준은 정규직의 72.5% 수준으로 나타남 비정규직 박사의 정규직 전환 사례 기관수는 25개, 전체 보유기관 대비 24.3% 수준으로 나타남 - xi -

대학 정규직박사와 비정규직 박사에 대한 교육훈련 및 복지제도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 지는 않지만, 육아휴직 지원, 자녀학자금 지원 등의 일부제도는 정규직 박사에 집중되어 있음 <표> 복지제도 정규직 박사 보유 미보유 (%) (%) 비정규직 박사 보유 미보유 (%) (%) 자기계발비 지원 31.6 68.4 18.0 82.0 문화 체육활동 지원(동호회 등) 44.4 55.6 29.0 71.0 자녀학자금 지원 44.6 55.4 9.0 91.0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50.5 49.5 30.7 69.3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27.2 72.8 16.8 83.2 금융 대출 지원 13.8 86.2 4.9 95.1 육아휴직 지원 62.5 37.5 29.2 70.8 육아비용 지원(육아원 운영 포함) 27.0 73.0 4.9 95.1 직원복지시설 보유(체력단련실, 휴게실 등) 67.0 33.0 60.9 39.1 여성복지시설 보유 (여직원 휴게실 등) 48.2 51.8 39.5 60.5 기타 5.0 95.0 14.3 85.7 <표> 교육제도 정규직 박사 보유 미보유 (%) (%) 비정규직 박사 보유 미보유 (%) (%) 초청강연 54.7 45.3 62.8 37.2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73.7 26.3 71.0 29.0 학습 동아리 지원 26.0 74.0 18.7 81.3 교내 강좌 개설 45.9 54.1 50.8 49.2 교외 강좌 수강 지원 20.0 80.0 13.9 86.1 단기교육연수 40.6 59.4 21.7 78.3 연구연가 31.6 68.4 8.8 91.2 해외파견 17.1 82.9 3.5 96.5 기타 3.7 96.3 3.5 96.5 계열별로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비중을 살펴보면, 공학계열이 경우 대부분의 박사과 정 학생이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이학, 의 약학계열 순으로 나타남 <표> 계열별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비중 전체 박사과정 재학생 대비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수 비중(%) 총 인원 60.9 이학계열 79.1 공학계열 92.8 의 약학계열 58.5 기타계열 34.6 연구보조원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표> 연구보조원 계열별 평균 연봉 현황 (단위 : 만원) 연구 지원 기능 인력 연구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 전체 비정규직 정규직 비정규직 정규직 이공계열 1,307 1,307 2,875 1,309 2,132 비이공계열 1,300 1,066 3,455 1,378 2,165 - xii -

공공연구기관 조사결과 비정규직 석 박사 전체 인원은 6,901명이고, 공학계열이 전체인원의 절반 수준인 3,487명으로 추정됨 - 비정규 석 박사의 남녀 인원을 살펴보면, 비정규직 석사에서는 남녀 인원차이가 크지 않지만, 비정규직 박사는 남자가 여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음 <표>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의 인원 현황 성별 계열별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수 비정규직 석사 연구원 수 인원수(명) 비중(%) 인원수(명) 비중(%) 전체 1,998 100.0 4,903 100.0 여성 620 31.0 2,345 47.8 남성 1,378 69.0 2,558 52.2 이학계열 717 35.9 1,253 25.6 공학계열 876 43.8 2,611 53.3 의 약학계열 193 9.7 447 9.1 기타계열 212 10.6 591 12.1 정규직 박사 평균 급여는 4,618만원으로 비정규직 박사 평균 급여 3,726만원에 비해 892만원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남 비정규직 석 박사를 채용하는 중요한 방법은 홈페이지 공고나 외부 취업 사이트 순으 로 나타났고, 박사(45.6개월)가 석사(42.2개월)보다 평균 3개월 이상 더 재직하는 것 으로 나타남 비정규직 박사가 연구책임자를 맡는 경우가 34개 기관, 204명으로 나타남 비정규 석 박사 보유 기관 중에 127개(87.0%) 기관이 정규직 전환 사례 존재 - xiii -

정규직 석 박사와 비정규직 석 박사에 대한 교육훈련제도와 복지제도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육아휴직 지원, 자녀학자금 지원 등의 일부 제도는 정규직 석 박사에 집중되어 있음 <표> 복지제도 정규직 석박사 보유 (%) 미보유 (%) 비정규직 석박사 보유 (%) 미보유 (%) 자기계발비 지원 57.0 42.9 41.6 58.4 문화 체육활동 지원 64.6 35.4 59.5 40.5 자녀학자금 지원 69.4 30.5 40.6 59.4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82.2 17.8 71.1 28.9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48.0 52.0 40.2 59.8 금융 대출 지원 26.0 73.9 12.2 87.8 육아휴직 지원 74.5 25.4 55.6 44.4 육아비용 지원 31.4 68.5 20.6 79.4 직원복지시설 보유 59.7 40.3 62.9 37.1 여성복지시설 보유 51.6 48.3 54.0 46.0 기타 5.7 94.3 6.9 93.1 하나이상 보유여부 100.0 0.0 91.8 8.2 <표> 교육제도 정규직 석박사 보유 (%) 미보유 (%) 비정규직 석박사 보유 (%) 미보유 (%) 초청강연 67.6 32.3 69.1 30.8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87.8 12.1 86.3 13.6 학습 동아리 지원 42.1 57.8 42.5 57.4 교내 강좌 개설 32.2 67.7 33.3 66.6 교외 강좌 수강 지원 56.1 43.8 52.2 47.7 단기교육연수 52.5 47.4 41.6 58.3 연구연가 32.5 67.4 15.3 84.6 해외파견 30.9 69.1 16.0 83.9 기타 0.5 99.5 0.7 99.2 하나이상 보유여부 100.0 0.0 84.5 15.5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석 박사의 연구성과 인센티브는 81.2% 수준이고, 연구공간은 87.6% 수준으로 나타남 연구보조원은 이공계열 전공자와 비이공계열 전공자 사이의 임금격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표> 연구보조원 계열별 평균 연봉 현황 (단위 : 만원) 전체 연구 지원 기능 인력 연구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 비정규직 정규직 비정규직 정규직 이공계열 2,225 1,755 2,988 2,129 3,195 비이공계열 2,248 1,893 2,741 2,055 2,898 - xiv -

조사결과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이공계인력이 다른 계열 인력에 비해 급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학계열은 공학계열에 비해 대기업에서 일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이학계 열 전공자에 대한 산학협력 기회 확대 등 산업측면에서 경쟁력 강화지원이 필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이공계열이 임원 비중이 높으므로 이공계열 전공자가 중소 기업에서 좀 더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대학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복지 등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대학에서 이학계열 연구과제 참여 박사 비중이 공학계열 연구과제 참여 박사 비중보다 낮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 공공연구기관에서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종종 있으며, 비정규 직이 연구책임자를 맡는 등 차별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약간의 임금 격차가 존재하 므로 이를 정책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필요 - xv -

일러두기 1 제1부 조사개요 3 Ⅰ. 조사개요 5 1. 조사목적 5 2. 조사연혁 5 3. 조사근거 5 4. 조사 주기 5 5. 조사 대상 6 6. 조사 내용 6 7. 실사 11 8. 자료처리 및 통계 분석 13 9. 용어 설명 13 10. 결과 공표 13 Ⅱ. 표본 설계 14 1. 조사모집단 14 2. 모집단의 근접성 17 3. 표본 설계 방법 17 Ⅲ. 품질관리 및 모수추정방법 24 1. 품질관리 24 2. 무응답 관리 및 대체 25 3. 모수추정 27 4. 모수치 추정에 따른 추정 오차 30 - xvii -

제2부 분석편 31 Ⅰ. 기업체 33 1. 이공계 인력 고용 현황 33 2. 이공계 인력 급여 수준 37 3. 이공계인력 복지제도 및 보상체계 39 4. 이공계 인력 채용기준 및 경로 40 5. 이공계인력 직무배치 및 순환 43 6. 이공계 인력에 대한 기업 인식 및 교육훈련 제도 46 7. 연구개발직 현황 48 Ⅱ. 대 학 49 1.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49 2. 박사과정 학생 현황 53 3. 연구 보조원 현황 55 Ⅲ. 공공연구기관 56 1.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56 2. 연구 보조원 현황 61 Ⅳ. 정책적 시사점 62 1. 기업 62 2. 대학 62 3. 공공연구기관 62 부 록 63 Ⅰ. 용어정의 65 Ⅱ. 모집단 정의 69 Ⅲ. 주요 항목 표본오차 71 Ⅳ. 과학기술인력 관련 통계비교 72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73 별책 : 통계편 - xviii -

일 러 두 기 일러두기 1. 본 통계집은 2006년을 시작으로 3년마다 발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이공계인력의 육성 및 활용 현황과 처우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수록하였다. - 본 통계집에서 사용된 기업 라는 용어는 종사자 수 10명 이상의 민간사업체와 공공사 업체를 모두 지칭한다. - 대학이라는 용어는 2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을 모두 지칭한다. - 공공연구기관이라는 용어는 국공립 연구기관, 정부출연 및 지방자치단체출연 연구기관, 기타 비영리법인 연구기관을 모두 지칭한다. 2. 이공계인력 기관별 실태조사에 수집된 통계는 해당 사업체, 대학, 공공연구기관의 인사담 당자와 총무담당자로부터 수집하였다. 3. 2012년 이공계인력 기관별 실태조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의 해 2012년 1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수행되었다. 4. 2012년 이공계인력 기관별 실태조사 의 통계편 자료는 지역별, 업종 규모별, 조직형태 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통계표는 16개 시도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업종 규 모별 통계표는 19개 업종과 2개 종사자수 규모별 자료를 제공하도 있다. 조직형태별 통계 표는 5개 조직형태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5. 지역별, 조직형태별 통계의 경우 표본 설계시에는 고려하지 않은 변수임에도 통계의 정확성 제고를 위하여 최종 통계산출 과정에서 사후모수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모집단 자료와 동 일한 결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조사 결과를 해석하는데 유의해야 한다. 6. 통계편 자료의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7. 사업체의 모집단 통계는 모수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공공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1

일 러 두 기 기업 모집단 : 2010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통계청)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 모집단 : 2011년 연구개발활동조사(국가과학기술위원회 한 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조사항목에 대한 정의, 조사기준 등 세부사항은 부록편의 용어정의 및 설문지에 기록되어 있다. 9. 통계표에 사용된 부호의 뜻은 다음과 같다. - 조사되었으나 정보가 없는 경우 0 조사 결과값이 0이거나 0의 근사값인 경우 10. 본 조사결과는 미래창조과학부(http://www.msip.go.kr)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http://www.kistep.re.kr)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11. 수록된 자료에 대한 의문이나 궁금하신 점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전략 기반실(02-589-2978, shaqey@kistep.re.kr)로 문의 바랍니다. 2

제1부 조사개요 Ⅰ. 조사개요 Ⅱ. 표본 설계 Ⅲ. 품질관리 및 모수추정방법

Ⅰ. 조사개요 Ⅰ. 조사개요 1. 조사목적 본 조사는 이공계인력의 육성 및 활용 현황과 처우 등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여 국가 차원의 이공계인력 육성 지원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 조사연혁 2006년 처음 실시되었으며, 2012년 세 번째 조사에 이어 향후에도 미래창조과학 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공동으로 3년마다 시행할 예정이다. 2006년 : 이공계인력 기관별 실태조사 최초 실시 2009년 : 조사대상인 사업체기초통계조사 기업 중 상시근로자 5인 이상에서 10인 이상으로 변경 3. 조사근거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국가승인 일반통계(제10505호, 2006년 6월 26일)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제7조(이공계인력에 대한 실태조사) 및 동법 시행령 제6조(실태조사의 시기 및 방법 등) 4. 조사 주기 조사주기는 3년 5

제1부 조사개요 5. 조사 대상 5.1 목표모집단 기업 : 전국의 10인 이상의 모든 사업체 대학 : 2년 이상 교육과정 보유 대학 공공연구기관 : 국공립, 출연(연) 및 지자체 출연 연구기관, 기타 비영리법인 연구기관(박물관, 학회 제외) 5.2 표본추출틀(Sampling Frame) 기업은 통계청, 2011 전국사업체조사 (2010년 12월 31일 기준) 대학과 연구기관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2011년 12월 31일 기준)에 응답한 전수 기관(기업연구소 제외) 5.3 조사모집단 기업 조사모집단은 전국의 종사자수 10명 이상 모든 사업체 대학, 연구기관 조사모집단은 전국의 2년 이상 교육과정 보유 대학과 국공립, 출연(연) 및 지자체 출연 연구기관, 기타 비영리법인 연구기관(박물관, 학회 제외) 이공계연구기관이 아닌 기관은 제외 6. 조사 내용 6.1 지표 구성 기업 실태조사는 이공계인력의 고용현황, 급여수준, 복지제도 및 보상체계, 채 용기준, 경로 및 방식, 직무배치 및 순환, 기업인식 및 교육훈련제도, 연구개발 직 현황 등의 7개 분야별로 세부지표가 구성되었다. 대학 실태조사는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박사과정 학생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등의 3개 분야별로 세부지표가 구성되었다. 6

Ⅰ. 조사개요 공공연구기관 실태조사는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등 2개 분야별로 세부지표가 구성되었다. 6.2 조사대상별 세부지표 기업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고용현황 총재직현황 고위직(임원) 인원 현황 핵심인력 및 발탁승진자 현황 급여수준 신입직원 및 경력 5년차 직원 평균 급여 복지제도 및 보상 체계 채용기준, 경로 및 방식 직무배치 및 순환 기업 인식 및 교육훈련 제도 연구개발직 현황 복지제도 보유여부 이공계가 선호하는 보상 체계 채용 관련 사항 근무기간 관련 사항 직무배치 시 전공 고려 여부 이공계 전공자 직무 현황 직무수행 만족도 교육훈련 채용전망 연구개발직 인원 및 급여 수준 연구개발직 경력 변동 연구수행방법 전공, 학위, 성별 고용현황(명) 직무, 전공, 학위별 고용현황(명) 전공, 학위별 현황(명) 핵심인력 현황(명) 발탁승진자 현황(명) 신입직원 직무, 전공, 학위별 평균 급여(만원) 경력 5년차 직원 직무, 전공, 학위별 평균 급여(만원) 보유 및 선호 복지제도 선택 보유 및 선호 보상 체계 선택 계열별 중요채용기준(선택) 계열별 채용경로(선택) 계열별 충원 형태(선택) 계열별 학위별 1년간 채용 및 퇴직인원 계열별 학위별 평균 근속년수(년) 계열별 신입직원 직무배치시 전공 고려여부 비기술 부문 활용 분야 학위별 기술부문과 비기술부문간 직무이동 원활 여부 직무이동 빈도 직무전환의 이유 신입직원 직무별 학위별 전공별 직무 만족도 이공계인력의 직무기초 능력 비교 직무 관련 기초 능력 유형별 교육 내용 교육 훈련 제도 보유 및 선호 제도 이공계 학위별 인력채용 전망 연구원 수 현황 학위별 연구직 평균 급여 수준 학위별 연구개발직 주요 경력 변동 학위별 연구개발직 경력 변동 시기 학위별 연구개발직 직무전환 빈도 선호하는 연구협력 형태 7

제1부 조사개요 대학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박사과정학생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채용 경로 재직기간 교육훈련제도 복지제도 보상 체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박사연구원 연구성과 연구참여 박사과정 학생 현황 계열별 연구참여 박사과정 학생 성과 연구보조원 현황 학위취득지, 성별, 계열별 박사 연구원 수 계열별 박사 연구원 평균 급여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주요 채용방식 계열별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평균 재직기간(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교육훈련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복지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성과보상 수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여부 신규채용 인원 및 정규직 전환 인원 현황 박사 연구원의 SCI/SSCI급 논문 수 연구참여 박사과정 학생 수 계열별 박사과정 학생 평균 연봉 계열별 박사과정 학생 논문성과 계열별 연구보조원 수(명) 계열별 연구보조원 평균 연봉(만원) 공공연구기관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채용 경로 재직기간 교육훈련제도 복지제도 보상 체계 연구환경 연구책임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신규채용 인원 및 정규직 전환 인원 현황 석 박사연구원 연구성과 연구보조원 현황 학위취득지, 성별, 계열별 석 박사 연구원 수 계열별 석 박사 연구원 평균 급여 비정규직 석 박사연구원 주요 채용방식 계열별 비정규직 석 박사연구원 평균 재직기간(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교육훈련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복지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성과보상 수준(%) 정규직 대비 연구공간(%) 비정규직 연구책임자 수(명)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여부 2012 신규 추가 석 박사 연구원의 SCI급 논문 수 계열별 연구보조원 수(명) 계열별 연구보조원 평균 연봉(만원) 8

Ⅰ. 조사개요 6.3 조사표 변천 이번 조사에서 2009년과 비교해 변경된 항목은 다음과 같으며 조사표(설문지)는 부록에 수록되어 있다. 기업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고용현황 급여수준 복지제도 및 보상 체계 총재직현황 고위직(임원) 인원 현황 핵심인력 및 발탁승진자 현황 신입직원 및 경력 5년차 직원 평균 급여 변경 사항 변경사유 이학, 공학 전공자 수 수정 이공계 내에 이학과 공학 불균형 파악 직무별 재직 인원 현황 수정 이공계 인력의 정확한 활용 실태 파악 임원 비중 증감 정도 삭제 응답자 부담경감 및 조사 실효성 제고 핵심인력 현황(명) 신규 이공계 인력의 미래 지위 예측 발탁승진자 현황(명) 신규 이공계 인력의 현재 지위 파악 신입직원 직무, 전공, 학위별 평균 급여(만원) 경력 5년차 직원 직무, 전공, 학위별 평균 급여(만원) 수정 신규 급여수준의 차이를 %에서 액수로 수정 경력에 따른 임금 증가분 파악 복지제도 보유여부 보유 및 선호 복지제도 선택 수정 이공계인력 선호 제도로 질문 변경 이공계가 선호하는 보상 체계 채용기준, 근무기간 관련 사항 경로 및 방식 직무배치 및 순환 기업 인식 및 교육훈련 제도 연구개발직 현황 이공계 전공자 직무 현황 직무수행 만족도 교육훈련 연구개발직 인원 및 급여 수준 보유 및 선호 보상 체계 선택 수정 이공계인력 선호 제도로 질문 변경 계열별 학위별 1년간 채용 및 퇴직인원 수정 채용과 퇴직 정보 통합 질문 계열별 학위별 평균 근속년수(년) 신규 직업의 안정성 및 만족도 간접 측정 비기술 부문 활용 분야 삭제 다른 항목을 통해 산출 직무전환의 이유 추가 이공계 인력 직무전환 원인 파악 신입직원 직무별 학위별 전공 별 직무 만족도 직무 관련 기초 능력 유형별 교육 내용 교육 훈련 제도 보유 및 선호 제도 추가 수정 수정 이공계 인력에 대한 교육 만족도 간접 측정 transferable skill 측면에서 검토하도록 수정 효과적인 교육제도 운영 여부 파악 연구원 수 현황 수정 인원 증감현황 항목 삭제 9

제1부 조사개요 대학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변경 사항 변경사유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정규직 박사 고용 현황 신규 비정규직과 현황 비교 근무기간 수정 근무기간을 명확히 적도록 개선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재직기간 교육훈련제도 계열별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평균 재직기간(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교육훈련 제도 신규 신규 복지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복지제도 신규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고용 안정성 검토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교육훈련제도 보유 현황 파악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복지제도 보유 현황 파악 보상 체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성과보상 수준(%) 수정 범위 응답을 % 주관식으로 응답하도록 수정 박사연구원 연구성과 박사 연구원의 SCI/SSCI급 논문 수 신규 연구성과평가 박사과정 학생 현황 연구참여 박사과정 학생 현황 연구참여 박사과정 학생 성과 계열별 연구참여 박사과정 학생 수 신규 대학 내 연구 참여 박사과정 학생 인력 현황 파악 계열별 박사과정 학생 평균 연봉 신규 연구 참여 박사과정 경제적 지위 파악 계열별 박사과정 학생 논문성과 신규 연구성과평가 연구보조 원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계열별 연구보조원 수(명) 신규 연구보조원 현황 파악 계열별 연구보조원 평균 연봉 (만원) 신규 연구보조원의 경제적 지위 파악 공공연구기관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변경 사항 변경사유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재직기간 비정규직 석사 고용 현황 신규 전공분류기준 삭제 계열별 비정규직 석 박사연구원 평균 재직기간(년) 신규 연구기관 내에 비정규직 석사 연구원에 대한 실태조사 2009년 조사결과 전공에 따른 급여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삭제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들의 고용 안전성 평가 10

Ⅰ. 조사개요 대항목 세 항목 세부지표 변경 사항 변경사유 교육훈련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교육훈련 제도 신규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교육훈련제도 보유 현황 파악 연구보조 원 현황 복지제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복지제도 신규 보상 체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성과보상 수준(%) 수정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복지제도 보유 현황 파악 범위 응답을 % 주관식으로 응답하도록 수정 연구환경 정규직 대비 연구공간(%) 신규 비정규직 연구원에 대한 연구환경 조사 연구책임자 비정규직 연구책임자 수(명) 신규 비정규직 연구원의 연구기관 내 역할 평가 석 박사연구원 연구성과 석 박사 연구원의 SCI급 논문 수 신규 연구성과평가 연구보조원 현황 계열별 연구보조원 수(명) 신규 연구보조원 현황 파악 계열별 연구보조원 평균 연봉 (만원) 신규 연구보조원의 경제적 지위 파악 7. 실사 7.1 조사기간 1) 조사 기준시점 : 2011년 12월 31일 현재 조사 대상기간 : 2011년 1월 1일~ 12월 31일(1년간) 조사 실시기간 : 2012년 11월 1일~2013년 3월 31일 조사표본 현황 조사방법 조사표본수 최종유효응답 기업 표본조사 1550개 1317개 (유효응답률 : 85.0%) 대학 전수조사 421개 349개 (유효응답률 : 82.9%) 공공연구기관 전수조사 469개 401개 (유효응답률 : 85.5%) 1) 2012년부터 조사시기를 변경하였다. 2009년 2012년 조사 기준시점 조사년도 9월 1일 현재 조사전년도 12월 31일 기준 조사 대상기간 조사전년도 8월 조사년도 9월(1년간) 조사전년도 1월 조사전년도 12월(1년간) 11

C C C C C C C C C 제1부 조사개요 7.2 조사 기관 조사 주관기관 : 미래창조과학부 조사 전담기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 실사기관 : (주)리서치 앤 리서치(R&R) 7.3 조사체계 및 절차 1. 조사 기획 조사 목적을 설정하고, 조사할 내용에 대한 개념 정립 전체 조사일정 및 방법 2. 표본틀 설계 모집단을 규정하고, 표본을 추출할 표본틀 구성 신뢰수준 및 표본오차와 예산을 고려한 적정표본크기 결정 표본추출방법을 정하고, 이에 따른 하위집단의 표본크기를 결 정, 조사대상 선정 3. 조사설계 조사목적에 부합하는 설문지 설계(설문항목에 변수를 지정, 자료분석 방법을 고려한 설계) 4. 사전조사 실제 조사 상황에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문제점을 파악 설문지 수정 및 보강 5. 조사원 교육 조사원을 선정하고 설문지 숙지를 위한 교육 6. 실제조사 조사 실시(전화, 팩스, 이메일 등) 7. 자료 처리 및 분석 설문지의 자료입력 8. 모수 추정 표본조사 자료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모수 추정 9. 보고서작성 자료분석 및 보고서 작성 12

Ⅰ. 조사개요 7.4 조사 방법 인사담당자나 총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원을 대상으로 조사의 취지, 조사 목적, 조사 방법, 유의사항 등 본 조사자료수집에 관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을 통해 조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고 지적함으로써 비표본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8. 자료처리 및 통계 분석 수집된 자료는 자료 내검(에디팅), 부호와(코딩)를 거친 후 컴퓨터에 입력하여 자료파일을 만들고, 입력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1차 검증이 완료된 설문지는 전담입력원이 확인하여 입력하고, 이에 대한 입력 오류를 검토하였다. 각 문항 간 논리적 일관성이 없는 데이터를 추출 및 확인하여 최종 데이터를 확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이전 조사 결과와의 시계열을 비교하여 추가 검증을 진행하였다. 9. 용어 설명 용어에 대한 정의 및 설명은 부록에 별도로 수록하였다. 10. 결과 공표 본 조사의 결과는 보도자료를 통해 공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결과 공표와 함께 최종 결과물을 간행물과 홈페이지를 통해 온 오프라인으로 공시한다. 공표방법 보도자료 및 발간물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 미래창조과학부 : http://www.msip.go.k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http://www.kistep.re.kr 공표주기 3년 주기 발간명 이공계인력 육성 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 기관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npower : Survey on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Businesses) 13

제1부 조사개요 Ⅱ. 표본 설계 1. 조사모집단 1.1 기업 조사모집단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의 기업의 목표모집단은 전국의 상용 근로자 10인 이상 모든 사업 체 중에서 산업대분류의 교육서비스업에서 전문대학, 대학교, 그리고 대학원 인 기업 체를 제외 2) 하였다. 201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전수조사로 실시한 2011 전 국사업체조사 결과에서 해당하는 조사모집단의 전체사업체수는 192,351개로 목표모집단 과 동일하다. 조사모집단-산업별 특성(한국표준산업분류 9차 개정 분류, 2007.12.28) 산업대분류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합계 구성비(%) 합계 구성비(%) 평균 표준편차 총계 192,351 100.0 7,850,835 100.0 40.82 171.95 A.농업,임업및어업 499 0.26 13,913 0.18 27.88 42.29 B.광업 340 0.18 11,018 0.14 32.41 81.65 C.제조업 52,674 27.38 2,355,081 30.00 44.71 265.12 D.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 757 0.39 61,736 0.79 81.55 153.67 E.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1,819 0.95 49,172 0.63 27.03 26.13 F.건설업 13,386 6.96 362,185 4.61 27.06 84.73 G.도매및소매업 20,069 10.43 540,479 6.88 26.93 51.63 H.운수업 8,011 4.16 467,461 5.95 58.35 183.39 I.숙박및음식점업 4,745 2.47 125,541 1.60 26.46 57.90 J.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 7,136 3.71 356,955 4.55 50.02 146.43 K.금융및보험업 11,368 5.91 323,353 4.12 28.44 112.80 L.부동산업및임대업 6,581 3.42 146,990 1.87 22.34 47.22 M.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10,337 5.37 499,837 6.37 48.35 185.86 N.사업시설관리및사업지원서비스업 6,533 3.40 530,727 6.76 81.24 188.03 O.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 7,961 4.14 547,400 6.97 68.76 165.95 P.교육서비스업 16,654 8.66 647,709 8.25 38.89 29.44 Q.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 15,042 7.82 589,352 7.51 39.18 150.01 R.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 2,019 1.05 73,784 0.94 36.54 83.44 S.협회및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6,420 3.34 148,142 1.89 23.08 27.06 2) 제외한 기업체는 대학 조사에서 별도로 조사한다. 14

Ⅱ. 표본 설계 1.2 대학 조사모집단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의 대학의 목표모집단은 2011년 기준 전체 대학 428개 중에서 국 가보안 등을 이유로 전임교원을 파악할 수 없는 대학 7개를 제외한 421개이다. 대학유형별로 4년제, 2년제, 특수대학, 사이버/기타대학으로 분류하였다. 대학 조사모집단 전임 교원수 대학 유형 대학수(개) 전임교원 수(명) 합계 비율 (%) 합계 비율 (%) 전체 421 100.00 82162 100.00 0-4명 2 0.48 1 0.00 5-9명 24 5.70 177 0.22 10-49명 104 24.70 2692 3.28 50-249명 202 47.98 24324 29.60 250-999명 74 17.58 35484 43.19 1000명이상 15 3.56 19484 23.71 소계 239 56.77 67142 81.72 0-4명 0 0.00 0 0.00 5-9명 19 4.51 141 0.17 4년제 대학 전임 10-49명 50 11.88 1171 1.43 교원수 50-249명 82 19.48 11718 14.26 250-999명 73 17.34 34628 42.15 1000명이상 15 3.56 19484 23.71 소계 151 35.87 12979 15.80 0-4명 1 0.24 0 0.00 5-9명 2 0.48 13 0.02 2년제 대학 전임 10-49명 37 8.79 1094 1.33 교원수 50-249명 111 26.37 11872 14.45 250-999명 0 0.00 0 0.00 1000명이상 0 0.00 0 0.00 소계 14 3.33 1557 1.90 0-4명 0 0.00 0 0.00 5-9명 2 0.48 17 0.02 특수 대학 전임 10-49명 5 1.19 132 0.16 교원수 50-249명 6 1.43 552 0.67 250-999명 1 0.24 856 1.04 1000명이상 0 0.00 0 0.00 소계 17 4.04 484 0.59 0-4명 1 0.24 1 0.00 5-9명 1 0.24 6 0.01 사이버/기타 전임 10-49명 12 2.85 295 0.36 교원수 50-249명 3 0.71 182 0.22 250-999명 0 0.00 0 0.00 1000명이상 0 0.00 0 0.00 15

제1부 조사개요 1.3 공공연구기관 조사모집단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의 공공연구기관의 목표모집단은 이공계 연구기관이 아닌 연구기 관을 제외하였다. 전체 모집단의 수는 468개로 정부출연연구기관, 국립연구기관, 전문생 산기술연구소, 기타공공연구기관, 기타로 분류하였다. 기관유형 I 기관유형 II 기관수(개) 종사자수(명) 합계 비율 (%) 합계 비율 (%) 전체(기관유형 I) 54 100.00 15167 100.00 임직원수(기관유형 I) 정부출연 연구기관 국립연구기관 임직원수 임직원수 0-4명 0 0.00 0 0.00 5-9명 0 0.00 0 0.00 10-49명 9 16.67 303 2.00 50-249명 21 38.89 2833 18.68 250명 이상 24 44.44 12031 79.32 소계 25 46.30 9806 64.65 0-4명 0 0.00 0 0.00 5-9명 0 0.00 0 0.00 10-49명 2 3.70 42 0.28 50-249명 8 14.81 1311 8.64 250명 이상 15 27.78 8453 55.73 소계 14 25.93 3658 24.12 0-4명 0 0.00 0 0.00 5-9명 0 0.00 0 0.00 10-49명 1 1.85 48 0.32 50-249명 5 9.26 667 4.40 250명 이상 8 14.81 2943 19.40 소계 15 27.78 1703 11.23 0-4명 0 0.00 0 0.00 전문생산 기술 연구소 임직원수 5-9명 10-49명 0 6 0.00 11.11 0 213 0.00 1.40 50-249명 8 14.81 855 5.64 250명 이상 1 1.85 635 4.19 전체 (기관유형 II) 414 100.00 - - 기타공공 연구기관 소계 110 26.57 - - 기타 소계 304 73.43 - - 16

Ⅱ. 표본 설계 2. 모집단의 근접성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의 기업 목표모집단(2011년 말 기준)과 표본추출을 위한 조사모집 단(전국사업체조사 2010년말 기준) 간에는 1년간의 갭(gap)이 발생한다. 즉 지난 1년간에 발생한 사업체의 생멸관계는 본 조사에 반영되지 않는다. 반면, 대학과 공공연구기관 목표모집단(2011년 말 기준)과 연구개발활동조사 조사모집단 (연구개발활동조사 2011년말 기준)에는 시간적 갭이 발생하지 않는다. 3. 표본 설계 방법 3.1 모집단의 층화 기업 층화지표 : 업종별(산업분류), 규모별(종사자 수) 분류 사용 기업 층화구조 : 38개 층으로 2단계 층화 3.2 적용 분류 기준 기업의 업종과 규모 분류에 있어 업종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9차) 19개의 대분류를 사용 하였고, 규모분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2개로 분류하였다. 업종 분류 기준 한국표준산업분류(9차) 개정 업종 개요 A. 농업, 임업 및 어업 농업, 임업, 어업 및 관련 서비스업 B. 광업 C. 제조업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E.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지하 및 지표에서 고체, 액체 및 기체 상태의 천연광물을 채굴 채취 추출하는 산업활동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 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활동 전력의 발전 및 송 배전사업, 연료가스제조 및 배관공급사업, 증 기, 온수, 냉수, 냉방공기의 생산 공급사업, 상수도 및 산업용수의 집수 정수 및 공급사업 고형 혹은 비고형의 각종 형태의 산업 또는 생활 폐기물의 수집운반 및 처리 활동, 환경 정화 및 복원 활동과 원료재생 활동 F. 건 설 업 계약 또는 자기계정에 의하여 지반조성을 위한 발파 시굴 굴착 정 지 등의 지반공사, 건설용지에 각종 건물 및 구축물을 신축 및 설치, 증축 재축 개축 수리 및 보수 해체 등을 수행하는 산업활동 G. 도매 및 소매업 구입한 각종 신상품 또는 중고품을 변형하지 않고 구매자에게 재 17

제1부 조사개요 한국표준산업분류(9차) 개정 업종 개요 판매하는 도매 및 소매활동, 판매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갖지 않고 구매자와 판매자를 위하여 판매 또는 구매를 대리하는 상품중개, 대리 및 경매활동 H. 운수업 각종 운송시설에 의한 여객 및 화물 운송업, 창고업 및 기타 운송 관련 서비스업을 수행하는 산업활동 I. 숙박 및 음식점업 숙박업과 음식점업 정보 및 문화상품을 생산하거나 공급하는 산업활동; 정보 및 문화상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품을 전송하거나 공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산업활동; 통신서비스 활 동; 정보기술, 자료처리 및 기타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K. 금융 및 보험업 금융업, 보험 및 연금업, 금융 및 보험관련 서비스업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부동산업과 조작자가 없이 각종 기계장비 및 개인 또는 가정용품 을 임대하는 산업활동 다른 사업체를 위하여 전문, 과학 및 기술적 업무를 계약에 의하여 수 행함으로써 경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달성하는 산업 사업시설의 청소, 방제 등을 포함한 사업시설 유지관리활동과 고용 지원 서비스, 보안 서비스, 여행보조 서비스, 사무지원 서비스 등과 같은 사업운영과 관련한 밀접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국가 및 지방 행정기관이 일반대중에게 제공하는 공공행정, 국방, 산업 및 사회보장 행정 업무 교육수준에 따른 초등(학령전 유아 교육기관 포함), 중등 및 고등 P. 교육 서비스업 교육수준의 정규교육기관, 성인교육, 기타 교육기관 및 교육지원 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보건업과 사회복지 서비스 활동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창작, 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과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세탁 및 개인대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 규모 분류 기준 :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중소기업), 상용근로자 300인 이상(대기업) 조사모집단의 업종-규모별 특성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업종 규모 합계 구성비(%) 합계 구성비(%) 평균 표준편차 총계 192,351 100.00 7,850,835 100.00 40.82 171.95 A.농업, 임업 및 어업 중소기업 498 0.26 13,139 0.17 26.38 25.88 대기업 1 0.00 774 0.01 774.00 B.광업 중소기업 335 0.17 7,867 0.10 23.48 19.29 대기업 5 0.00 3,151 0.04 630.20 283.76 C.제조업 중소기업 52,113 27.09 1,719,033 21.90 32.99 37.22 18

Ⅱ. 표본 설계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업종 규모 합계 구성비(%) 합계 구성비(%) 평균 표준편차 대기업 561 0.29 636,048 8.10 1,133.78 2,298.10 D.전기, 가스, 증기 및 중소기업 729 0.38 42,399 0.54 58.16 51.08 수도사업 대기업 28 0.01 19,337 0.25 690.61 437.49 E.하수폐기물 처리, 중소기업 1,818 0.95 48,762 0.62 26.82 24.55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대기업 1 0.00 410 0.01 410.00 F.건설업 중소기업 13,306 6.92 300,903 3.83 22.61 24.34 대기업 80 0.04 61,282 0.78 766.03 748.57 G.도매 및 소매업 중소기업 19,960 10.38 483,053 6.15 24.20 28.31 대기업 109 0.06 57,426 0.73 526.84 306.02 H.운수업 중소기업 7,865 4.09 371,091 4.73 47.18 52.90 대기업 146 0.08 96,370 1.23 660.07 1,155.33 I.숙박 및 음식점업 중소기업 4,716 2.45 108,590 1.38 23.03 26.45 대기업 29 0.02 16,951 0.22 584.52 354.48 J.출판, 영상, 방송통신 중소기업 7,002 3.64 262,081 3.34 37.43 42.72 및 정보서비스업 대기업 134 0.07 94,874 1.21 708.01 780.82 K.금융 및 보험업 중소기업 11,260 5.85 229,746 2.93 20.40 21.67 대기업 108 0.06 93,607 1.19 866.73 765.69 L.부동산업 및 임대업 중소기업 6,563 3.41 135,208 1.72 20.60 20.75 대기업 18 0.01 11,782 0.15 654.56 521.89 M.전문, 과학 및 중소기업 10,126 5.26 331,727 4.23 32.76 39.78 기술서비스업 대기업 211 0.11 168,110 2.14 796.73 1,024.46 N.사업시설관리 및 중소기업 6,186 3.22 303,641 3.87 49.09 55.85 사업지원서비스업 대기업 347 0.18 227,086 2.89 654.43 513.53 O.공공행정, 국방 및 중소기업 7,514 3.91 271,951 3.46 36.19 46.58 사회보장행정 대기업 447 0.23 275,449 3.51 616.22 369.73 P.교육서비스업 중소기업 16,648 8.66 644,774 8.21 38.73 28.13 대기업 6 0.00 2,935 0.04 489.17 92.03 Q.보건업 및 중소기업 14,865 7.73 419,998 5.35 28.25 32.42 사회복지서비스업 대기업 177 0.09 169,354 2.16 956.80 988.65 R.예술, 스포츠 및 여가 중소기업 2,008 1.04 65,292 0.83 32.52 33.59 관련서비스업 대기업 11 0.01 8,492 0.11 772.00 761.85 S.협회 및 단체, 수리 및 중소기업 6,409 3.33 144,053 1.83 22.48 22.69 기타개인서비스업 대기업 11 0.01 4,089 0.05 371.73 77.57 합계 중소기업 189,921 98.74 5,903,308 75.19 31.08 35.76 대기업 2,430 1.26 1,947,527 24.81 801.45 1,286.53 19

제1부 조사개요 3.3 표본수 결정 표본크기는 각 층별 관심변수의 정도 높은 추정량을 생산하기 위해서 층별 목표 오차 또는 목표 상대표준오차(relative standard error)를 통해서 층별 표본크기를 계산하고 각 층에 서 계산된 표본크기의 합을 전체 표본크기로 결정해야 하나 주어진 시간과 예산의 현실적 인 제약으로 어렵다. 따라서 95% 신뢰수준에서 전체 이공계 인력 추정량의 오차한계를 5% 이내로 설정하고 시간과 예산 등을 고려하여 표본크기를 1550개로 정하였다. 대학과 공공 연구기관의 경우는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3.4 표본배분 방법 전체 총 표본수에서 과표본추출수와 전수층의 표본수를 제외한 나머지의 표본을 각 층별 네이만 배분법(층별 크기와 분산 고려)을 이용하여 배분하였다. (가) 표본 배분의 방식의 결정 1 과표본추출(Oversampling) : 층별 최소 표본수 30개 확보 - 최소 표본수를 보장하여 적은 수의 표본이 배분되는 일부 층의 특성을 잘 반영하 면서도 전체 표본의 구성은 크게 다르지 않도록 유지 2 전수조사 : 모집단 빈도가 30인 층은 전수층으로 정의하고 모집단 빈도만큼만 표본을 배분 3 네이만 배분법 : 층별 크기와 분산을 고려하여 배분 전수층 표본수와 각 측의 최소 표본수의 총합을 제외한 나머지 표본수를 네이만 배 분법으로 배분 전체 사업체와 종사자수 비중에 따른 표본 배분 결과 규모별 조사모집단 표본배분(네이만 배분법) 사업체수 구성비(%) 종사자수 구성비(%) 표본수 구성비(%) 총계 192,351 100.00 7,850,835 100.00 570 100.00 중소기업 189,921 98.74 5,903,308 75.19 417 73.16 대기업 2,430 1.26 1,947,527 24.81 153 26.84 (나) 표본 배분 결과 - 전체 총 표본수 1550개에서 980개 기업(과표본추출 870개, 전수층 110개)를 제 20

Ⅱ. 표본 설계 외한 570개의 표본을 각 층에 네이만 배분법을 이용하여 배분함 < 네이만 배분분에 의한 층별 표본크기 공식> - 네이만 배분법은 각 층의 크기는 물론 분산(표준편차)까지 고려하여 모수추정량의 분산을 최초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업체수가 적은 층에서 오히려 더 많은 표본이 배분되 기도 함 최종 표본 배분 현황 종사자수 네이만 배분법 최종 사업체수 업종 규모 합계 평균 표준편차 표본조사 전수조사 표본배분 A.농업, 임업 및 어업 B.광업 C.제조업 D.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E.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F.건설업 G.도매 및 소매업 총계 192,351 7,850,835 40.82 171.95 1440 110 1550 중소기업 498 13,139 26.38 25.88 32 32 대기업 1 774 774.00 1 1 중소기업 335 7,867 23.48 19.29 32 32 대기업 5 3,151 630.20 283.76 5 5 중소기업 52,113 1,719,033 32.99 37.22 182 182 대기업 561 636,048 1,133.78 2,298.10 88 88 중소기업 729 42,399 58.16 51.08 58 58 대기업 28 19,337 690.61 437.49 28 28 중소기업 1,818 48,762 26.82 24.55 31 31 대기업 1 410 410.00 1 1 중소기업 13,306 300,903 22.61 24.34 49 49 대기업 80 61,282 766.03 748.57 39 39 중소기업 19,960 483,053 24.20 28.31 57 57 대기업 109 57,426 526.84 306.02 33 33 H.운수업 I.숙박 및 음식점업 중소기업 7,865 371,091 47.18 52.90 35 35 대기업 146 96,370 660.07 1,155.33 36 36 중소기업 4,716 108,590 23.03 26.45 31 31 대기업 29 16,951 584.52 354.48 29 29 21

제1부 조사개요 종사자수 네이만 배분법 최종 사업체수 업종 규모 합계 평균 표준편차 표본조사 전수조사 표본배분 J.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K.금융 및 보험업 L.부동산업 및 임대업 M.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N.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O.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P.교육서비스업 Q.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R.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서비스업 S.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중소기업 7,002 262,081 37.43 42.72 40 40 대기업 134 94,874 708.01 780.82 38 38 중소기업 11,260 229,746 20.40 21.67 35 35 대기업 108 93,607 866.73 765.69 39 39 중소기업 6,563 135,208 20.60 20.75 66 66 대기업 18 11,782 654.56 521.89 18 18 중소기업 10,126 331,727 32.76 39.78 86 86 대기업 211 168,110 796.73 1,024.46 37 37 중소기업 6,186 303,641 49.09 55.85 34 34 대기업 347 227,086 654.43 513.53 36 36 중소기업 7,514 271,951 36.19 46.58 49 49 대기업 447 275,449 616.22 369.73 73 73 중소기업 16,648 644,774 38.73 28.13 52 52 대기업 6 2,935 489.17 92.03 6 6 중소기업 14,865 419,998 28.25 32.42 50 50 대기업 177 169,354 956.80 988.65 34 34 중소기업 2,008 65,292 32.52 33.59 32 32 대기업 11 8,492 772.00 761.85 11 11 중소기업 6,409 144,053 22.48 22.69 36 36 대기업 11 4,089 371.73 77.57 11 11 3.5 표본추출 배분된 크기의 표본을 추출하기 위하여 층화계통추출법을 사용하였다. 계통추출 시 추출 된 표본의 대표성과 추정량의 효율성을 높이 위해서(내재적 층화효과) 각 층 내에서 기업 체를 산업세분류, 상용근로자수, 지역, 조직형태 그리고 사업체 변수를 사용하여 정렬 하였다. 각 층 내에서 주어진 정렬변수를 이용하여 정렬한 후 배분된 수의 기업체를 계통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22

Ⅱ. 표본 설계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 지역별 표본 분포 모집단 표본 사업체수 종사자수 합계 구성비(%) 합계 구성비(%) 평균 표준편차 사업체수 구성비(%) 전국 192,351 100.0 7,850,835 100.0 40.8-1317 100.0 서울특별시 46,028 23.9 2,197,209 28.0 47.7 164.6 352 26.7 부산광역시 12,189 6.3 464,735 5.9 38.1 86.6 72 5.5 대구광역시 8,176 4.3 294,520 3.8 36.0 75.6 54 4.1 인천광역시 9,878 5.1 370,238 4.7 37.5 137.0 58 4.4 광주광역시 4,985 2.6 197,440 2.5 39.6 132.4 41 3.1 대전광역시 4,696 2.4 207,247 2.6 44.1 114.5 46 3.5 울산광역시 3,906 2.0 229,313 2.9 58.7 541.6 22 1.7 경기도 44,458 23.1 1,651,142 21.0 37.1 193.4 237 18.0 강원도 5,166 2.7 170,451 2.2 33.0 76.4 46 3.5 충청북도 6,313 3.3 245,319 3.1 38.9 96.2 48 3.6 충청남도 7,964 4.1 336,090 4.3 42.2 162.0 54 4.1 전라북도 6,337 3.3 225,665 2.9 35.6 93.4 46 3.5 전라남도 6,267 3.3 224,933 2.9 35.9 114.5 51 3.9 경상북도 10,308 5.4 422,504 5.4 41.0 173.3 79 6.0 경상남도 13,511 7.0 546,486 7.0 40.5 172.6 89 6.8 제주도 2,169 1.1 67,543 0.9 31.1 63.5 22 1.7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 조직형태별 표본 분포 모집단 표본 사업체수 종사자수 합계 구성비(%) 합계 구성비(%) 평균 표준편차 사업체수 구성비(%) 전국 192,351 100.0% 7,850,835 100.0% 40.8 171.95 1,317 100.0% 1. 개인사업자 33,220 17.3% 679,800 8.7% 20.5 25.36 104 7.9% 2. 회사법인 114,508 59.5% 5,128,215 65.3% 44.8 208.43 807 61.3% 3. 회사이외법인 37,546 19.5% 1,913,672 24.4% 51.0 133.22 249 18.9% 4. 비법인단체 7,077 3.7% 129,148 1.6% 18.2 15.73 157 11.9% 23

제1부 조사개요 Ⅲ. 품질관리 및 모수추정방법 1. 품질관리 1.1 조사과정에서의 품질관리 초기 접촉 과정에서의 협조도 제고 전략 - 조사공문과 조사안내 배너를 통해 조사실시를 미리 통보하여 협조를 부탁하였다. 조사 기관 중 협조도 제고 전략 - 조사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직통전화를 통해 문의하도록 연락처를 제공하였다. - 유관기관과 본사의 협조가 필요할 경우 자체적으로 연락망을 형성하여 조사 참여를 유도하였다. 1.2 자료입력 및 검증과정에서의 품질관리 에디팅(Editing)시 오류 발생 최소화 - 실사연구원 및 보조연구원에 의한 이중확인 작업(Double Check System)을 실시하 였다. - 사전에 작성된 지침서에 의한 체계적인 점검을 실시하였다. - 부정확한 응답항목에 대해 응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재확인 후 완성하였다. - 조사의 정확성 제고를 위해 각 조사원별로 완성된 설문지를 사후검증(Quality Control)하였다. 코딩(Coding) 과정의 오류 발생 최소화 - 실태조사 경험이 있는 코딩요원을 선발하였다. - 코딩 지침서에 의한 사전 교육을 실시하였다. - 집단적으로 작업함으로써 협의 과정을 통해 코딩 혼란을 최소화하였다. 펀칭(Punching)과정의 오류 발생 최소화 - 객관식 문항에 대해 스캐닝 펀칭 시스템으로 자동 펀칭하는 체계를 운영하였다. - 무응답 또는 비해당 내용 등의 오류가 객관식 문항에 비해 높은 편인 개방형 문항의 경우, 스캐닝 방식을 활용하되, 스캔 이미지를 전담 입력원이 확인하여 입력하는 방 24

Ⅲ. 품질관리 및 모수추정방법 식으로 펀칭하였다. - 각 문항 간 크로스 체크하여 논리적 일관성이 없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조사표 확인 후 최종 데이터를 확정하였다. 전산처리 과정의 오류 발생 최소화 - 정보 관련 전산요원이 전산처리 지침에 따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작업을 수행하였다. 1.3 모수추정 및 분석과정에서의 품질 관리 통계 전문 연구원이 직접 무응답 대체 및 사후 모수추정 작업을 수행하였다. 2. 무응답 관리 및 대체 표본설계에 의해 최종 결정된 조사대상 표본수인 1,550개 사업체 중 85.0%에 해당하는 1,317개 사업체가 최종 조사 완료되었다. 2.1 조사과정에서의 품질관리(단위 무응답) 조사대상 사업체의 무응답 관리를 위해 조사대상 사업체에 조사에 관한 사전 협조 공문 발송 및 사전조사 안내 연락 등 응답률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1차 거절한 사업체들에 대해 경험이 많은 조사원들로 하여금 재연락하여 응답률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조사 진행과정에서 조사대상 사업체의 응답거절이 있을 경우 원표본에 대한 예비표본을 제공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시작시 원표본을 제공하고 사전 전화컨택 및 조사 진행 과정에서 본표본으로 추출된 사업체의 조사 거절 사유가 분명한 경우, 리스트에 대체사유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예비표본을 제공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25

제1부 조사개요 조사대상 사업체의 무응답 현황 비율(%) 응답 거부 71.4 리스트 이상(결번, 주소 불명 등) 6.51 휴 폐업 2.68 규모 변경 0.24 사업체 이전 0.15 사업체 전환 0.10 기타(담당자 부재 등) 18.9 합계 100.0 예비표본은 1번부터 7번까지 있으며, 1번 대체표본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2번 대체 표본을 조사하고 2번 대체표본이 조사되지 않은 경우 3번 대체표본을 조사하는 순차적인 방식으 로 진행하였다. 조사 완료된 1317개 표본의 본표본과 대체표본의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조사 완료된 표본의 본표본과 대체표본 구성 비율 표본번호 사업체수 비율 본표본 1 383 29.1% 2 255 19.4% 3 164 12.5% 대체표본 4 162 12.3% 5 133 10.1% 6 119 9.0% 7 101 7.7% 합계 1317 100.0% 26

Ⅲ. 품질관리 및 모수추정방법 2.2 조사 응답 사업체의 항목 무응답 현황 조사에 참여하여 설문에 응답한 사업체가 각 항목별로 무응답한 경우가 발생한 경우, 재 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재조사를 통해서도 보완되지 않는 경우 회귀추정을 통해서 보완하였다. 3. 모수추정 본 표본 설계시 고려된 업종과 규모별 층 외에도 지역과 조직형태별 모수추정을 함께 진행 하기 위해 업종과 규모를 모두 고려한 38개 층, 지역, 조직형태의 모집단 자료를 바탕으로 사후 층화 방법인 반복비례가중법을 적용하여 표본 가중치를 생산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2012년 기관별 실태조사 - 기업 업종 규모 층별 평균 가중치 업종 A.농업, 임업 및 어업 B.광업 C.제조업 D.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E.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F.건설업 G.도매 및 소매업 H.운수업 규모 모집단 사업체수 조사 표본수 층별 평균 가중치 총계 192,351 1317 146.1 중소기업 498 30 16.6 대기업 1 1 1.0 중소기업 335 30 11.2 대기업 5 4 1.3 중소기업 52,113 178 292.8 대기업 561 88 6.4 중소기업 729 56 13.0 대기업 28 16 1.8 중소기업 1,818 31 58.6 대기업 1 1 1.0 중소기업 13,306 46 289.3 대기업 80 30 2.7 중소기업 19,960 55 362.9 대기업 109 26 4.2 중소기업 7,865 35 224.7 대기업 146 35 4.2 I.숙박 및 음식점업 중소기업 4,716 24 196.5 27

제1부 조사개요 업종 J.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 비스업 K.금융 및 보험업 L.부동산업 및 임대업 M.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N.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 스업 O.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P.교육서비스업 Q.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R.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S.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규모 모집단 사업체수 조사 표본수 층별 평균 가중치 대기업 29 7 4.1 중소기업 7,002 25 280.1 대기업 134 27 5.0 중소기업 11,260 23 489.6 대기업 108 24 4.5 중소기업 6,563 45 145.8 대기업 18 5 3.6 중소기업 10,126 78 129.8 대기업 211 31 6.8 중소기업 6,186 29 213.3 대기업 347 32 10.8 중소기업 7,514 42 178.9 대기업 447 73 6.1 중소기업 16,648 50 333.0 대기업 6 1 6.0 중소기업 14,865 38 391.2 대기업 177 33 5.4 중소기업 2,008 30 66.9 대기업 11 4 2.8 중소기업 6,409 31 206.7 대기업 11 3 3.7 표본 사업체를 통하여 업종별, 규모별, 지역별, 조직형태별 모집단 특성의 총계 및 모비율에 대해 추정하였다. 28

Ⅲ. 품질관리 및 모수추정방법 (가) 모총계 추정식 기업(사업체)의 경우 무응답하는 경우를 고려하기 위하여, 가중치 는 설계가중치 와 무응답 조정값 을 곱한 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는 h 번째 층의 i 번째 기관을 의미하며, 는 h 층의 모집단 기관수, 는 h층의 표본 기관수, 는 h 층에서 무응답을 제외한 실제 조사 기관수를 의미한다.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총 이공계인력의 추정치 은 다음 식과 같이 추정한다. 여기서, 은 층화의 총수를, 는 조사 기관에서 응답한 이공계인력 수이다. (나) 모비율의 추정식 모총계 추정식에서 전체의 사례수로 나누어 주면 되므로 아래와 같은 식으로 추정한다. 29

제1부 조사개요 4. 모수치 추정에 따른 추정 오차 모두 추정량과 그 특성에 대한 표본의 대표성 정도를 나타내는 추정량의 분산을 추정하는 것으로 표본조사의 경우, 모집단의 총계의 추정량을 산출할 때 추정오차가 발생한다. 추정오차는 각 통계치마다 다른 값을 가지므로 통계편의 통계표 하단에 각각 명시하였다. 또한, 주요 항목에 대한 세부 범부주 오차는 부록편에 수록하였다. (가) 모총계 추정량에 대한 분산 추정(모총계의 추정 오차) 여기서 이고, 는 이다. 단, 가 1인 경우는 제 외한다. 아울러 추정량에 대한 상대표준오차 다음의 식을 통해서 계산한다. (나) 모비율 추정량에 대한 분산 추정(모비율의 추정오차) 여기서 이다. 30

제2부 분석편 Ⅰ. 기업체 Ⅱ. 대 학 Ⅲ. 공공연구기관 Ⅳ. 정책적 시사점

Ⅰ. 기 업 체 Ⅰ. 기업체 1. 이공계 인력 고용 현황 1.1. 총재직자 현황 (단위 : 명) 이학계 공학계 비 이공계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전체 1,208,019 173,080 1,034,939 1,921,469 1,177,289 1,921,469 4,779,795 3,726,809 4,779,795 A. 농업, 임업 및 어업 4,710 565 4,145 4,713 2,152 4,713 10,068 7,946 10,068 B. 광업 1,120 180 940 1,794 1,023 1,794 8,898 7,268 8,898 C. 제조업 346,612 45,724 300,888 680,445 396,225 680,445 1,334,798 1,043,273 1,334,798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8,427 2,005 6,421 39,873 21,485 39,873 29,098 15,773 29,098 E. 하수 폐기물 처리 등 8,892 20 8,872 5,770 5,641 5,770 33,433 33,342 33,433 F. 건설업 64,871 3,017 61,853 142,778 106,309 142,778 110,683 90,639 110,683 산 G. 도매 및 소매업 72,778 5,687 67,091 88,084 65,054 88,084 360,515 301,658 360,515 업 H. 운수업 53,445 3,757 49,688 113,196 89,177 113,196 317,509 258,435 317,509 I. 숙박 및 음식점업 20,914 2,421 18,493 42,535 33,840 42,535 117,771 104,427 117,771 대 J. 출판,영상,방송통신 등 48,898 13,607 35,291 142,922 100,334 142,922 147,460 92,248 147,460 K. 금융 및 보험업 52,568 7,594 44,975 72,481 33,246 72,481 261,448 197,676 261,448 분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11,182 485 10,697 22,381 18,982 22,381 89,552 86,050 89,552 류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1,518 17,798 83,720 194,926 108,134 194,926 175,467 114,613 175,467 N. 사업시설관리 및 서비스 60,668 11,751 48,917 69,114 30,432 69,114 415,197 281,798 415,197 O. 공공행정, 국방 등 111,454 33,754 77,700 169,315 75,530 169,315 350,465 163,327 350,465 P. 교육 서비스업 99,850 474 99,376 41,186 38,295 41,186 449,116 445,809 449,116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115,361 23,197 92,164 47,524 14,677 47,524 430,842 352,849 430,842 R. 예술, 스포츠 서비스 등 8,525 868 7,657 10,451 5,159 10,451 47,921 41,868 47,921 S. 협회 단체, 수리 및 기타 16,227 176 16,051 31,981 31,592 31,981 89,556 87,811 89,556 10인 이상의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이공계인력은 총 3,129,488명으로 추정되었다. 2011년 이학계열 전공자 비중이 15.3%, 공학계열 전공자 비중이 24.3%로 현재의 대학의 이학, 공 학계열별 재학생 비중 3) (각각 10.7%, 22.4%)보다 높게 나타났다. 3) 2011년 대학 * 계열별 학생 현황 33

제2부 분석편 1.2. 전체 고용인력 대비 이공계인력 현황 전체 고용 인력 대비 이공계인력의 비중 전체 (명) 이 학 계 (명) 공 학 계 (명) 비중 (%) 학위별 성별 학사미만 학사 석사 박사 여성 남성 총원(A) 3,073,714 2,554,591 507,832 86,894 2,535,568 5,015,083 대기업(B) 735,520 492,921 169,202 35,919 603,538 1,369,702 중소기업(C) 2,338,193 2,061,670 338,630 50,975 1,932,030 3,645,380 총원( ) 105,743 304,030 43,582 25,530 135,290 261,723 대기업( ) 37,414 47,783 7,137 4,949 37,259 53,025 중소기업( ) 68,328 256,247 36,446 20,581 98,031 208,698 총원( ) 394,942 613,667 92,560 23,773 117,376 936,138 대기업( ) 148,329 155,636 36,962 17,036 43,042 284,714 중소기업( ) 246,613 458,031 55,597 6,737 74,334 651,424 ( )/A 16.3 35.9 26.8 56.7 10.0 23.9 ( )/B 25.3 41.3 26.1 61.2 13.3 24.7 ( )/C 13.5 34.6 27.2 53.6 8.9 23.6 이학계열과 공학계열 박사가 전체 박사인원의 56.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사 총원 대비 박사학위 근무자의 비중은 대기업 61.2%로 중소기업 53.6%보다 7.6%p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원 대비 성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기업 남성 이공계 비중(24.7%)과 여 성 이공계 비중(13.3%)의 차이가 11.4%p인 반면에 중소기업 남성 이공계 비중(23.6%)과 여성 이공계 비중(8.9%)의 차는 14.7%p로 기업규모에 따른 이공계인력 성별 비중의 차이 가 크게 나타났다. 재학생수(명) 비중(%) 공학계열 495,368 22.4 이학계열 235,399 10.7 비이공계 1,476,384 66.9 총합계 2,207,151 100.0 * 주) 전문대학, 산업대학, 방송통신대학, 대학, 기술대학, 교육대학, 각종대학(전문, 일반) 출처 : 교육통계서비스 http://cesi.kedi.re.kr/ 34

Ⅰ. 기 업 체 학위별/성별/기업규모별 이공계인력 비중 (단위: %) 이학계 공학계 비 이공계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총계 대기업 중소기업 학사미만 22.1 38.5 17.9 35.1 41.4 32.2 56.2 59.4 55.6 학사 63.5 49.1 67.2 54.6 43.5 59.7 38.5 36.3 39.0 학위별 석사 9.1 7.3 9.6 8.2 10.3 7.2 4.6 3.6 4.8 박사 5.3 5.1 5.4 2.1 4.8 0.9 0.7 0.7 0.6 총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여성 34.1 41.3 32.0 11.1 13.1 10.2 40.0 34.3 41.1 성별 남성 65.9 58.7 68.0 88.9 86.9 89.8 60.0 65.7 58.9 총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이학계열 종사자 중에서 학사, 석사 비중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높게 나타났고, 반면 에 공학계열 종사자는 석사, 박사 비중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학계 열 종사자 수에서 남성과 여성의 종사자 수가 크게 나지 않는 반면에 공학계열 종사자 수에 서 남성과 여성의 종사자 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

제2부 분석편 산업별/기업규모별 이공계인력 고용비중 산 업 대 분 류 총계 이학계 공학계 비 이공계 소계 대기업 중소 기업 소계 대기업 중소 기업 (단위: %) 소계 대기업 중소 기업 전체 100.0 9.6 2.1 7.5 22.1 7.4 14.7 68.3 13.0 55.2 A. 농업, 임업 및 어업 100.0 24.5 3.1 21.3 24.8 14.1 10.7 50.7 11.7 39.0 B. 광업 100.0 2.7 0.7 2.0 10.5 1.3 9.2 86.7 7.0 79.8 C. 제조업 100.0 6.0 1.4 4.6 28.9 13.4 15.5 65.1 13.5 51.6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100.0 8.8 1.0 7.8 54.8 17.5 37.2 36.4 11.4 25.0 E. 하수 폐기물 처리 등 100.0 5.9 0.1 5.8 11.9 0.5 11.4 82.2 0.4 81.8 F. 건설업 100.0 5.1 0.8 4.3 52.2 14.5 37.8 42.7 5.3 37.4 G. 도매 및 소매업 100.0 2.8 0.7 2.1 13.8 0.8 13.0 83.5 10.7 72.7 H. 운수업 100.0 9.5 5.7 3.8 21.2 4.2 17.0 69.3 11.0 58.4 I. 숙박 및 음식점업 100.0 5.3 0.9 4.3 18.8 0.4 18.4 75.9 5.8 70.1 J. 출판,영상,방송통신 등 100.0 12.4 3.7 8.8 44.5 3.9 40.6 43.1 7.0 36.1 K. 금융 및 보험업 100.0 10.9 0.5 10.4 11.0 0.7 10.4 78.1 10.9 67.2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100.0 3.6 0.1 3.5 17.7 1.7 16.0 78.7 1.2 77.5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0.0 19.9 3.7 16.3 41.4 17.9 23.5 38.7 10.1 28.6 N. 사업시설관리 및 서비스 100.0 8.6 1.3 7.3 7.8 1.6 6.2 83.6 22.6 60.9 O. 공공행정, 국방 등 100.0 15.6 5.2 10.5 15.0 8.0 7.0 69.3 38.1 31.2 P. 교육 서비스업 100.0 10.6-10.6 4.2-4.2 85.1-85.1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100.0 17.8 4.4 13.4 1.9 0.3 1.7 80.3 10.9 69.4 R. 예술, 스포츠 서비스 등 100.0 6.1-6.1 10.1-10.1 83.8 2.1 81.8 S. 협회 단체, 수리 및 기타 100.0 3.2 0.2 3.0 24.5 0.4 24.1 72.3 1.1 71.2 이학계열 종사자 수 비중이 높은 산업은 농업, 임업 및 어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 등으로 나타났고, 공학계열 종사자 수 비중이 높은 산업은 전 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건설업, 출판영상, 방송통신 등,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 분야 대기업 종사 이학계열 전공자의 비중이 13.2%로 공학계열 36.8%, 비이 공계열 43.9%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조업 분야에서 공학계열 전공 자의 35.4%가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이학계열 28.7%, 비이공계열 27.9%에 비 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6

Ⅰ. 기 업 체 1.3 이공계인력 임원 비중 기업규모별 이공계인력 임원비중 대기업 중소기업 임원 총인원(명) 12,557 230,349 임원 중 이공계 전공자(명) 4,884 93,823 임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명) 7,673 136,526 이공계임원 비중(%) 38.9 40.7 이공계인력의 임원 비중이 대기업(38.9%)보다 중소기업(40.7%)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전공자 임원 수 비중을 비교하면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1.8%p 높은 것으로 나타 난다. 2. 이공계 인력 급여 수준 평균 급여 수준 (무경력 신규직원 기준, 연봉 기준) (단위: 만원) 대기업 중소기업 전체 학사 석사 박사 전체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3,209 3,039 3,182 3,406 3,079 2,643 3,228 3,367 기술부문 비이공계 3,129 3,013 3,101 3,272 2,653 2,540 2,758 2,660 이공계 3,119 3,013 3,159 3,186 2,541 2,497 2,654 2,472 비기술부문 비이공계 3,117 2,957 3,163 3,231 2,516 2,329 2,828 2,390 이공계인력의 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비이공계열보다 학위에 상관없이 임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상대적으로 낮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 타났다. 이공계인력이 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학위가 높을수록 임금수준이 높아지는 현상 이 뚜렷하다. 37

제2부 분석편 연구개발직 학위별 급여 수준 (비연구개발직 대비) (단위: 만원) 급여수준(무경력 신규직원) 구 분 학사 석사 박사 연구개발직 3,547 4,076 4,772 비연구개발직 3,543 3,994 5,485 연구개발직이 비연구개발직에 비해 학 석사는 급여수준이 약간 높았지만, 박사의 경우 연 구개발직이 비연구개발직 박사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직 규모별 급여수준(비연구개발직 대비) (단위: 만원) 급여수준(무경력 신규직원) 구 분 중소기업 대기업 전체 연구개발직 3,968 4,313 4,132 비연구개발직 4,461 4,410 4,340 연구개발직이 비연구개발직에 비해 급여수준이 높지 않게 나타났다. 비연구개발직이 약간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8

Ⅰ. 기 업 체 3. 이공계인력 복지제도 및 보상체계 복지제도 현황 (단위: %) 대기업 중소기업 보유업체 미보유업체 보유업체 미보유업체 자기개발비 지원 40.6 59.4 21.8 78.2 문화 체육활동지원 54.6 45.4 23.1 76.9 자녀학자금 지원 66.4 33.6 32.2 67.8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75.5 24.5 62.3 37.7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55.6 44.4 38.9 61.1 금융대출 지원 43.8 56.2 16.1 83.9 육아휴직 지원 71.4 28.6 40.2 59.8 육아비용 지원 34.7 65.3 13.4 86.6 직원복지시설 보유 55.6 44.4 29.0 71.0 여성복지시설 보유 54.2 45.8 21.9 78.1 기타 4.5 95.5 3.2 96.8 복지제도 현황을 살펴보면 대기업의 복지제도가 중소기업보다 잘 갖추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및 육아와 관련된 복지제도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보상체계 현황 (단위: %) 대기업 중소기업 보유업체 미보유업체 보유업체 미보유업체 승진 53.3 46.7 39.6 60.4 연봉인상 43.8 56.2 41.6 58.4 성과 인센티브 46.7 53.3 29.0 71.0 스톡옵션 4.1 95.9 1.7 98.3 연구자율성 확대 9.5 90.5 4.3 95.7 교육훈련 지원 33.3 66.7 17.1 82.9 기타 1.4 98.6 0.3 99.7 보상체계 측면에서도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잘 갖추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9

제2부 분석편 4. 이공계 인력 채용기준 및 경로 이공계인력 채용기준 우선순위 (단위: %) 이공계 비 이공계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 1+2 1+2 1+2 1+2 1+2 1순위 1순위 1순위 1순위 1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출신학교 8.9 1.7 8.0 1.9 8.3 1.4 7.7 1.0 8.1 1.6 7.9 1.8 전공(전공지식) 17.0 12.8 19.7 12.3 17.1 12.4 13.0 12.2 14.8 12.3 13.7 11.9 학점 0.8 1.5 1.5 1.5 1.6 0.8 0.9 1.2 1.3 1.1 1.5 0.8 직무지식(자격증 등) 19.8 17.1 16.7 16.6 16.7 17.4 17.6 14.2 16.4 15.6 17.4 14.4 의사표현능력(발표력 등) 1.9 7.3 1.7 7.7 1.8 7.7 2.7 7.7 2.3 7.8 1.4 8.5 직무능력(논리력 등) 23.0 23.6 26.2 24.3 24.0 24.1 27.9 24.9 29.5 24.4 26.5 24.3 업무태도 15.7 27.4 12.6 26.9 12.6 25.8 17.8 30.7 13.9 28.0 14.1 28.2 외국어 구사능력 0.5 3.9 0.4 3.4 0.6 3.9 0.4 3.0 0.5 4.0 0.4 4.4 연구실적 및 경력 3.3 3.4 4.8 4.9 9.0 5.9 3.4 2.8 4.9 3.6 8.3 4.2 기타 9.2 1.2 8.5 0.4 8.4 0.6 8.6 2.2 8.3 1.5 8.7 1.4 이공계인력은 직무능력, 전공, 직무지식 순으로 채용할 때 우선순위로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순위와 2순위를 합친 것으로 검토하면 업무태도가 중요한 채용기준으로 나타났다. 학위가 높을수록 직무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인력 채용기준 우선순위 (사업체규모별): 이공계전공자 대상 (단위: %) 대기업 중소기업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 1+2 1+2 1+2 1+2 1+2 1순위 1순위 1순위 1순위 1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출신학교 9.7 1.7 8.3 2.5 8.2 2.2 8.4 1.7 7.7 1.5 8.1 1.0 전공(전공지식) 14.7 16.5 15.0 14.7 15.0 14.7 18.3 10.6 22.2 10.8 18.3 11.1 학점 0.7 1.2 1.6 1.0 0.9 0.5 1.0 1.7 1.5 1.8 2.0 1.0 직무지식(자격증 등) 16.3 15.7 15.3 15.2 16.6 15.2 21.6 18.1 17.6 17.5 16.7 18.6 의사표현능력(발표력 등) 1.6 7.4 1.2 7.6 1.6 8.7 2.1 7.1 1.9 7.8 1.8 7.2 직무능력(논리력 등) 25.0 19.4 29.6 21.3 26.9 20.7 21.8 26.2 24.5 26.2 22.4 26.1 업무태도 14.7 28.1 11.0 29.0 10.8 28.3 16.3 26.9 13.5 25.6 13.4 24.1 외국어 구사능력 0.0 4.1 0.3 2.0 0.0 2.7 0.8 3.7 0.2 4.2 1.0 4.6 연구실적 및 경력 3.4 3.7 5.0 5.6 7.5 6.0 3.1 3.2 4.6 4.5 9.8 5.9 기타 14.0 2.1 12.7 1.0 12.4 1.1 6.4 0.7 6.2 0.0 6.3 0.3 사업규모별로 볼 때도 유사하게 직무능력, 직무지식, 전공,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40

Ⅰ. 기 업 체 이공계인력 채용경로 우선순위 이공계 비 이공계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단위: %) 1순위 1+2 순위 자사 홈페이지(공채포함) 40.0 12.5 41.0 11.7 41.5 11.2 38.3 11.1 40.6 11.5 41.0 11.5 대중매체(신문,라디오 등) 5.1 17.7 5.3 19.6 4.6 19.3 4.5 17.1 4.8 18.4 4.6 18.7 민간기관(Head hunter) 3.6 7.9 4.4 7.9 5.2 8.3 3.9 6.5 4.2 7.8 4.9 8.0 외부 취업 사이트 29.2 25.7 26.9 26.5 25.5 26.2 31.1 27.6 27.5 26.4 26.0 26.5 관련 교육기관에 요청 3.4 9.3 3.8 8.5 4.4 9.0 3.6 10.4 3.7 9.8 4.0 8.4 직원 또는 연고자 추천 9.6 19.7 9.5 19.8 9.2 20.0 9.5 19.7 9.7 19.4 9.7 20.1 병역특례 0.3 0.7 0.4 0.0 0.4 0.0 0.7 0.8 0.4 0.0 0.4 0.0 해외모집(리크루팅) 0.2 0.2 0.2 0.4 0.2 0.7 0.3 0.5 0.2 0.4 0.2 0.7 개별접촉 2.5 4.3 3.1 3.8 4.0 3.6 3.1 4.1 3.5 3.7 4.2 4.0 기타 6.1 2.0 5.5 1.7 5.0 1.6 4.9 2.2 5.5 2.5 5.1 2.0 대부분의 이공계인력 채용경로는 자사홈페이지와 외부 취업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직원 또는 연고자 추천도 중요한 채용경로로 나타났다. 이공계인력 채용경로 우선순위 (사업체규모별): 이공계전공자 대상 대기업 중소기업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단위: %) 1순위 1+2 순위 자사 홈페이지(공채포함) 56.2 18.3 57.9 16.7 57.9 16.1 31.5 9.1 31.8 8.8 33.1 8.4 대중매체(신문,라디오 등) 4.4 18.8 3.5 20.1 4.3 21.1 5.6 17.1 6.2 19.4 4.9 18.3 민간기관(Head hunter) 2.1 8.4 2.8 8.6 3.3 9.9 4.3 7.7 5.1 7.4 6.1 7.4 외부 취업 사이트 20.7 31.7 19.0 32.8 17.6 31.1 34.0 22.3 31.3 22.7 29.9 23.6 관련 교육기관에 요청 2.1 6.4 1.9 5.7 2.0 5.6 4.2 10.8 4.9 10.1 5.7 10.9 직원 또는 연고자 추천 5.1 10.9 5.6 10.9 5.4 10.6 12.0 24.8 11.9 25.1 11.2 25.4 병역특례 0.0 0.5 0.0 0.0 0.0 0.0 0.3 0.8 0.4 0.0 0.4 0.0 해외모집(리크루팅) 0.0 0.0 0.0 0.6 0.0 1.2 0.2 0.3 0.2 0.3 0.2 0.4 개별접촉 1.4 1.0 1.6 1.1 2.0 1.2 3.0 6.3 4.1 5.4 4.9 4.9 기타 8.1 4.0 7.8 3.4 7.6 3.1 5.0 0.8 4.1 0.7 3.5 0.7 대부분의 이공계인력이 자사홈페이지나 외부취업사이트를 활용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직원 또는 연고자의 추천이 중요한 채용정보로 나타났다. 41

제2부 분석편 이공계인력 충원방법 우선순위 이공계 비 이공계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단위: %) 1순위 1+2 순위 신입직원의 채용 14.3 2.7 11.7 4.0 11.8 3.5 11.5 2.6 10.2 2.3 11.7 1.5 경력직 채용 21.6 26.7 21.1 23.6 21.7 23.7 25.0 16.2 29.4 16.5 26.4 17.1 재직 근로자의 전환배치 1.0 1.9 2.3 1.6 1.3 0.8 1.4 2.6 2.0 2.7 2.9 1.5 비정규직 활용 24.0 25.4 21.5 24.4 24.0 24.5 29.5 27.7 23.3 26.7 24.1 28.6 외부 협력업체 활용 2.4 12.0 1.7 12.2 2.3 14.0 2.9 10.9 2.5 11.9 2.6 11.1 기타 36.8 31.3 41.7 34.2 38.9 33.4 29.8 40.1 32.5 39.9 32.3 40.2 이공계인력의 충원방법을 살펴보면, 신입직원 채용, 경력직 채용 순으로 나타났고, 학위가 높아질수록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인력 충원방법 우선순위 (사업체규모별) : 이공계전공자 대상 대기업 중소기업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1순위 1+2 순위 (단위: %) 1순위 1+2 순위 신입직원의 채용 71.6 21.9 67.0 24.3 60.9 29.2 56.8 35.0 49.3 37.9 46.3 39.8 경력직 채용 16.8 50.3 23.0 48.2 28.7 43.5 31.8 39.6 39.5 35.7 41.6 33.2 재직 근로자의 전환배치 4.6 16.1 3.6 19.5 3.7 18.9 4.9 12.3 4.7 13.5 4.7 13.6 비정규직 활용 1.4 8.5 0.4 6.1 0.4 5.8 3.7 10.9 3.4 9.9 3.3 9.3 외부 협력업체 활용 0.0 2.1 0.0 1.2 0.0 1.9 0.5 2.2 0.9 2.9 2.2 4.0 기타 5.7 1.1 6.1 0.6 6.3 0.6 2.4 0.0 2.1 0.0 2.0 0.0 이공계인력의 충원방법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신입직원의 채용, 경력직 채용 순으로 나타 나지만, 1+2순위를 합친 결과로 보면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력직 채용 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Ⅰ. 기 업 체 이공계인력의 이직률 이공계 비이공계 총계 전체고용인원 이직율 11년 채용한 총 인원 204,151명 11년 퇴직한 총 인원 113,607명 1,195,428명 9.5% 11년 채용한 총 인원 353,820명 11년 퇴직한 총 인원 213,544명 3,691,783명 5.8% 이공계가 비이공계에 비해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인력의 평균 근속년수 평균 1) 전체 직원의 근속년수 9.1년 2) 전체 직원 중, 이공계 전공자의 근속년수 9.5년 3) 전체 직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의 근속년수 9.1년 이공계와 비이공계의 평균 근속년수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이공계인력 직무배치 및 순환 직무배치 시 전공 고려 정도 이공계(5점 척도 * ) 비 이공계(5점 척도)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전체 2.95 2.96 2.96 2.75 2.80 2.83 대기업 3.23 3.30 3.35 2.99 3.08 3.12 중소기업 2.81 2.77 2.76 2.63 2.65 2.67 1점 3점 5점 * 매우 적다 보통이다 매우 크다 이공계가 비이공계에 비해 직무배치 시 전공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학위가 높아질수록 전공 고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에 서 전공고려를 실제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제2부 분석편 이공계인력 근무분야 비중 (비기술부문) (단위 : %) 대기업 중소기업 학사 석사 박사 학사 석사 박사 기획 관련직 23.9 31.6 33.9 25.2 32.9 35.9 마케팅 4.9 7.2 5.5 4.0 7.9 3.9 영업 16.7 10.8 10.7 21.8 16.7 16.5 지원/스텝(인사, 재무, 구매, 법무 등) 32.2 29.6 26.8 31.7 23.8 24.1 디자인 1.1 0.4 1.2 3.6 5.0 4.7 기타 21.2 20.4 22.0 13.8 13.8 15.0 비기술부문에서 이공계인력이 주로 일하는 분야는 지원/스템, 기획 관련직 순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전공자 기술부문과 비기술부문간 직무이동(기술부문 비기술부문)이 원활 정도 기술부문 비기술부문(5점 척도 * ) 비기술부문 기술부문(5점 척도) 학사이하 석사 박사 학사이하 석사 박사 전체 2.50 2.50 2.48 2.43 2.43 2.42 대기업 2.64 2.64 2.59 2.53 2.50 2.51 중소기업 2.44 2.43 2.42 2.38 2.39 2.38 1점 3점 5점 * 매우 원활하지 않다 보통이다 매우 원활하다 이공계인력이 기술부문에서 비기술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이 비기술부문에서 기술부문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나타났고, 학위가 높을수록 직무이동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44

Ⅰ. 기 업 체 타 전공과 비교시 이공계전공자의 직무이동 정도 이공계(5점 척도 * ) 학사이하 석사 박사 전체 2.30 2.28 2.27 대기업 2.45 2.42 2.38 중소기업 2.23 2.21 2.22 1점 3점 5점 * 매우 드물다 보통이다 매우 빈번하다 이공계인력이 타전공에 비해 직무이동이 어렵고, 학위가 높을수록 직무이동이 어려운 것 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경우 직무이동이 전반적으로 더 어렵게 나타났다. 이공계전공자의 직무전환의 주요한 이유 비중 (단위: %) 대기업 중소기업 전체 기업 내부의 업무조정에 따른 직무전환 57.8 48.8 51.8 관리자급으로 승진 12.6 15.8 14.9 임원으로 승진 1.5 3.5 2.9 개인적 희망 19.9 23.7 22.4 기타 8.4 8.1 8.2 합계 100.0 100.0 100.0 이공계전공자의 직무전환의 주요 원인은 기업내부 업무조정에 따른 직무전환이 가장 많았고, 개인적 희망, 관리자급 승진 순으로 나타났다. 45

제2부 분석편 6. 이공계 인력에 대한 기업 인식 및 교육훈련 제도 신입직원에 대한 직무수행 만족도 * 직무 학위 전공 계열 만족도(5점 척도 * ) 기술 부문 비기술 부문 학사 석사 박사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2.72 비이공계 2.67 이공계 2.70 비이공계 2.69 이공계 2.72 비이공계 2.71 이공계 2.72 비이공계 2.76 이공계 2.71 비이공계 2.75 이공계 2.72 비이공계 2.75 1점 3점 5점 요구 정도에 크게 못미친다 요구 정도와 유사하다 요구 정도를 크게 넘는다 이공계인력이 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비이공계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 기술부문에서 일할 때 비이공계에 비해 만족도가 낮지만, 이공계인력은 직무에 크게 상관 없이 만족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46

Ⅰ. 기 업 체 이공계 인력의 직무 관련 기초능력의 타전공자 대비 우수성 비교 직무 관련 기초 능력 유형 우수성(5점 척도 * ) (1) 대인관계 능력 2.98 (2) 조직관련 능력 2.96 (3) 전공지식 3.10 (4) 인지 능력 3.05 (5) 의사소통 능력 2.97 (6) 기업가 정신 2.93 * 1점 3점 5점 매우 우수하지 않다 유사 수준이다 매우 우수하다 이공계인력이 타전공자에 비해 전공지식과 인지능력이 뛰어나지만, 나머지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제도 현황 (단위 : %) 대기업 중소기업 보유업체 미보유업체 보유업체 미보유업체 초청강연 42.6 57.4 17.4 82.6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29.9 70.1 17.1 82.9 학습동아리 지원 26.5 73.5 8.7 91.3 직장내 강좌 개설 34.2 65.8 12.4 87.6 직장외 강좌 수강 지원 32.7 67.3 15.1 84.9 단기 교육연수 34.0 66.0 18.8 81.2 학위취득 지원 20.9 79.1 6.3 93.7 박사후 연수 5.2 94.8 1.0 99.0 연구연가 4.3 95.7 1.4 98.6 해외파견 17.0 83.0 4.6 95.4 기타 1.1 98.9 0.7 99.3 대기업이 전반적으로 중소기업에 비해 교육훈련제도를 잘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47

제2부 분석편 이공계 인력의 채용 전망 정도 채용전망 정도(5점 척도 * ) 학사 2.85 이공계 전공자 석사 3.04 박사 3.11 * 1점 3점 5점 매우 밝다 그저 그렇다 매우 어둡다 이공계인력의 채용 전망은 학위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7. 연구개발직 현황 연구개발직 보유 현황 전체 대기업 중소기업 연구개발직 보유 기업 수(개) 17,335 520 16,815 전체 기업 수(개) 192,351 2,430 189,921 연구개발직 보유 기관 비중 (%) 9.0 21.4 8.9 연구개발직을 보유한 기업은 전체의 9.0%로 나타났으며, 대기업의 21.4%는 연구개발직을 보유하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수행 방법 대기업 중소기업 업체수(개) 비중 (%) 업체수(개) 비중 (%) 자체 연구개발 163 54.9 5,645 46.0 대학과의 협력 49 16.5 1,254 10.2 출연연과의 협력 11 3.7 322 2.6 타 기업과의 협력 13 4.4 2,683 21.9 산학연 컨소시엄 참여 35 11.8 800 6.5 자체개발보다 구입 13 4.4 1,266 10.3 기타 13 4.4 307 2.5 합계 297 100.0 12,277 100.0 대기업은 자체 연구개발, 대학과의 협력을 선호하고, 중소기업은 자체연구개발과 타 기업 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8

Ⅱ. 대 학 Ⅱ. 대 학 1.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1.1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 연구원 수 현황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보유 대학 현황 정규직 박사 연구원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비정규직 정규직 박사 연구원 보유 대학 수(개) 89 103 73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을 보유한 대학은 103개 대학, 교원 외에 정규직 박사를 보유한 대학 은 89개 대학, 모두를 보유한 대학은 73개 대학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정규직 박사 연구원 인원 현황 성별 학위수여 국가별 계열별 비정규직 박사 정규직 박사 인원수(명) 비중(%) 인원수(명) 비중(%) 총원 7,102 100.0 973 100.0 여성 2,054 28.9 356 36.6 남성 5,048 71.1 617 63.4 국내학위 1,816 82.8 892 91.7 해외학위 464 17.2 81 8.3 이학계열 1,972 27.8 198 20.4 공학계열 2,383 33.6 247 25.4 의 약학계열 799 11.3 126 13.0 기타계열 1,949 27.4 400 41.1 정규직에서는 공학계열, 기타계열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정규직 박사 중에서 공 학계열, 이학계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 박사 여성 비중(36.6%)이 비정규직 박사 여성 비중(28.9%)보다 높고, 정규직 박사 국내학위자 비중(91.7%)이 비정규직 박사 국내학위자 비중(82.8%)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9

제2부 분석편 1.2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 임금 현황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의 계열별 임금 현황 (단위 : 만원) 정규직 박사 연구원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전체평균 2,509 2,371 이학계열 2,421 2,110 공학계열 2,038 2,003 대학 이공계 정규직 박사 평균 임금은 2,509만원으로 비정규직 박사 2,371만원에 비해 크게 임금이 높지 않게 나타났다. 1.3 비정규직 박사 채용, 재직기간 현황 비정규직 박사 채용 방법(1순위) 1순위 1순위+2순위 대학수 전체 대비 비중(%) 대학수 전체 대비 비중(%) 합계 315 100.0 601 100 홈페이지 공고 191 60.6 229 38.1 신문,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 15 4.7 69 11.5 민간취업알선기관(Head Hunter) 3 0.9 13 2.2 외부 취업 사이트(인터넷) 21 6.7 100 16.6 관련 교육기관에 요청 4 1.3 24 4.0 직원 또는 연구자 추천 27 8.6 83 13.8 개별 접촉 38 12.1 66 11.0 기타 16 5.1 17 2.8 주요한 비정규직 박사 채용방법은 홈페이지 공고로 나타났고, 외부 취업 사이트와 직원 또 는 연구자 추천도 중요한 채용 경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50

Ⅱ. 대 학 비정규직 박사 계열별 평균 재직기간 이학계열 공학계열 의 약학계열 기타계열 재직기간 23.0개월 27.0개월 24.0개월 26.0개월 대학의 비정규직 박사의 평균 재직기간은 24개월 내외로 나타났고, 공학계열이 27.0개월로 다른 계열에 비해 다소 길게 재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 비정규직 박사 교육, 복지, 보상 현황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의 교육훈련제도 현황 정규직 박사 비정규직 박사 보유대학(%) 미보유대학(%) 보유대학(%) 미보유대학(%) 초청강연 54.7 45.3 62.8 37.2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73.7 26.3 71.0 29.0 학습 동아리 지원 26.0 74.0 18.7 81.3 교내 강좌 개설 45.9 54.1 50.8 49.2 교외 강좌 수강 지원 20.0 80.0 13.9 86.1 단기교육연수 40.6 59.4 21.7 78.3 연구연가 31.6 68.4 8.8 91.2 해외파견 17.1 82.9 3.5 96.5 기타 3.7 96.3 3.5 96.5 비정규직 박사보다 정규직박사를 대상으로 한 단기교육연수, 연구연가, 해외파견 등의 교 육제도를 보유한 대학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교육제도 등에서는 큰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51

제2부 분석편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의 복지제도 현황 정규직 박사 비정규직 박사 보유대학(%) 미보유대학(%) 보유대학(%) 미보유대학(%) 자기계발비 지원 31.6 68.4 18.0 82.0 문화 체육활동 지원(동호회 등) 44.4 55.6 29.0 71.0 자녀학자금 지원 44.6 55.4 9.0 91.0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50.5 49.5 30.7 69.3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27.2 72.8 16.8 83.2 금융 대출 지원 13.8 86.2 4.9 95.1 육아휴직 지원 62.5 37.5 29.2 70.8 육아비용 지원(육아원 운영 포함) 27.0 73.0 4.9 95.1 직원복지시설 보유(체력단련실, 휴게실 등) 67.0 33.0 60.9 39.1 여성복지시설 보유(여직원 휴게실 등) 48.2 51.8 39.5 60.5 기타 5.0 95.0 14.3 85.7 전반적으로 비정규직 박사에 비해 정규직 박사 대상으로 한 복지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원복지시설 보유, 여성복지시설 보유 등에서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잘 갖추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육아휴직 지원, 자녀학자금 지원 등의 일부제도는 정규직 박사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박사의 연구성과 보상 제도 현황 보유대학 미보유대학 전체 대학수 비중(%) 대학수 비중(%) 연구성과 인센티브 286 147 51.4% 139 48.6% 정규직 박사 대비 비정규직 박사 평균 보상 수준 72.5% 비정규직 박사에게도 연구성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대학은 147개(51.4%)로 나타났고, 평 균 보상 수준은 정규직 대비 72.5% 수준으로 나타났다. 1.5 정규직 전환 사례 비정규직 박사의 정규직 전환 사례 대학 수 현황 비정규직 박사 보유 대학 수 정규직 전환 사례 대학 수 비중(%) 103 25 24.3 비정규직 박사를 보유한 대학 중 24.3%가 정규직으로 전환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2

Ⅱ. 대 학 2. 박사과정 학생 현황 2.1 박사과정 학생 현황 계열별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비중 전체 박사과정 재학생 대비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수 비중(%) 총 인원 60.9 이학계열 79.1 공학계열 92.8 의 약학계열 58.5 기타계열 34.6 계열별로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비중을 살펴보면, 공학계열이 경우 대부분의 박사과정 학생이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이학, 의 약학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계열별 성별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비중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중 여성 비중(%) 총 인원 27.1 이학계열 33.1 공학계열 15.0 의 약학계열 41.9 기타계열 44.7 성별로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중 비중을 살펴보면, 의 약학계열, 이학계열에서 여성 비중이 높고 공학계열의 여성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3

제2부 분석편 2.2 박사과정 학생 연봉 현황 박사과정 학생의 계열별 평균 연봉 현황 (단위 : 만원)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연구과제 미참여 박사과정 학생 전체평균 1,114 486 이학계열 1,323 672 공학계열 1,366 503 연구과제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이 미참여 박사과정 학생보다 600만원 내외로 더 많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박사과정 학생 논문 성과 현황 박사과정 학생의 계열별 1인당 SCI급 또는 SSCI급 논문 수 현황 박사과정 학생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미참여 박사과정 학생 전체 평균 0.12 0.15 0.05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이 미참여 박사과정 학생보다 논문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4

Ⅱ. 대 학 3. 연구 보조원 현황 3.1 연구 보조원 보유 현황 계열별 연구보조원 전체 현황 대학수 연구보조원 수 평균 인원 전체 116 15,649 134.9 이공계열 58 10,767 185.6 비이공계열 52 3,491 67.1 연구보조원을 보유한 대학은 116개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연구보조원이 이공계 열로 나타났다. 3.2 연구 보조원 임금 현황 연구보조원 계열별 평균 연봉 현황 (단위 : 만원) 전체 연구 지원 기능 인력 연구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 비정규직 정규직 비정규직 정규직 이공계열 1,307 1,307 2,875 1,309 2,132 비이공계열 1,300 1,066 3,455 1,378 2,165 연구 지원 기능 인력의 이공계 정규직의 임금이 비정규직에 비해 1,568만원 높았고, 연구 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의 이공계 정규직의 임금은 823만원 높게 나타났다. 55

제2부 분석편 Ⅲ. 공공연구기관 1.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1.1 비정규직 박사 및 석사 연구원 수 현황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보유 기관 현황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비정규직 석사 연구원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보유 기관(개) 106 131 91 비정규직 석사 연구원을 보유한 기관이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을 보유한 기관보다 25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정규직 석박사를 모두 보유한 기관은 91개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의 인원 현황 (단위 : 명)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수 비정규직 석사 연구원 수 인원수 비중(%) 인원수 비중(%) 전체 1,998 100.0 4,903 100.0 여성 620 31.0 2,345 47.8 성별 남성 1,378 69.0 2,558 52.2 이학계열 717 35.9 1,253 25.6 공학계열 876 43.8 2,611 53.3 계열별 의 약학계열 193 9.7 447 9.1 기타계열 212 10.6 591 12.1 비정규직 석 박사 전체 인원은 6,901명으로 나타났고, 공학계열이 전체인원의 절반 수준인 3,487명으로 나타났다. 비정규 석 박사의 남녀 인원을 살펴보면, 비정규직 석사에서는 남녀 인원차이가 크지 않지 만, 비정규직 박사는 남자가 여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6

Ⅲ. 공공연구기관 1.2 비정규직 및 정규직 석 박사 임금 현황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의 계열별 임금 현황 (단위 : 만원) 박사 연구원 석사 연구원 전체 평균 4,292 3,402 비정규직 3,726 2,741 정규직 4,618 3,775 정규직 박사는 비정규직 박사에 비해 임금을 892만원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석사는 비정규직 석사에 비해 1,034만원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석사가 비정 규직 박사보다 정규직 대비 임금 격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 비정규직 석 박사 채용, 재직기간 현황 비정규직 석 박사 채용 방법 1순위 1순위+2순위 건수 전체 대비 비중(%) 건수 전체 대비 비중(%) 합계 418 100.0 723 100.0 홈페이지 공고 207 49.5 250 34.6 신문,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 3 0.8 30 4.1 민간취업알선기관(Head Hunter) 5 1.2 14 2.0 외부 취업 사이트(인터넷) 58 13.9 169 23.4 관련 교육기관에 요청 9 2.2 51 7.1 직원 또는 연구자 추천 13 3.2 47 6.5 개별 접촉 7 1.7 25 3.5 기타 2 0.5 6 0.8 해당 없음 113 0.0 128 17.8 비정규직 석 박사를 채용하는 중요한 방법은 홈페이지 공고나 외부 취업 사이트로 나타났다. 57

제2부 분석편 비정규직 석 박사 계열별 평균 재직기간 박사 석사 재직기간 45.6개월 42.2개월 비정규직 박사(45.6개월)가 비정규직 석사(42.2개월)보다 평균 3개월 이상 더 재직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1.4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 교육, 복지, 보상 현황 비정규직 및 정규직 석박사의 교육훈련제도 현황 정규직 석박사 비정규직 석박사 보유기관 미보유기관 보유기관 미보유기관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초청강연 169 67.6 81 32.3 107 69.1 48 30.8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220 87.8 30 12.1 134 86.3 21 13.6 학습 동아리 지원 105 42.1 145 57.8 66 42.5 89 57.4 교내 강좌 개설 81 32.2 169 67.7 52 33.3 103 66.6 교외 강좌 수강 지원 140 56.1 110 43.8 81 52.2 74 47.7 단기교육연수 131 52.5 119 47.4 65 41.6 90 58.3 연구연가 81 32.5 168 67.4 24 15.3 131 84.6 해외파견 77 30.9 173 69.1 25 16.0 130 83.9 기타 1 0.5 249 99.5 1 0.7 154 99.2 하나이상 보유여부 253 100.0 0 0.0 131 84.5 24 15.5 비정규직과 정규직 석 박사에 대한 교육훈련제도 현황을 살펴보면, 단기교육연수, 연구연 가, 해외파견 등을 제외한 교육훈련제도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석 박사에 대한 교육훈련제도는 적어도 하나 이상 모두 존재하는 반면에 비정규직 석 박사에 대한 교육훈련제도가 없는 기관 비중이 15.5%로 나타났다. 58

Ⅲ. 공공연구기관 비정규직 및 정규직 석박사의 복지제도 현황 정규직 석박사 비정규직 석박사 보유기관 미보유기관 보유기관 미보유기관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자기계발비 지원 159 57.0 120 42.9 66 41.6 92 58.4 문화 체육활동 지원 180 64.6 99 35.4 94 59.5 64 40.5 자녀학자금 지원 194 69.4 85 30.5 64 40.6 94 59.4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229 82.2 50 17.8 112 71.1 46 28.9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134 48.0 145 52.0 63 40.2 94 59.8 금융 대출 지원 73 26.0 206 73.9 19 12.2 139 87.8 육아휴직 지원 208 74.5 71 25.4 88 55.6 70 44.4 육아비용 지원 88 31.4 191 68.5 33 20.6 125 79.4 직원복지시설 보유 166 59.7 112 40.3 99 62.9 59 37.1 여성복지시설 보유 144 51.6 135 48.3 85 54.0 73 46.0 기타 16 5.7 263 94.3 11 6.9 147 93.1 하나이상 보유여부 279 100.0 0 0.0 145 91.8 13 8.2 비정규직과 정규직 석 박사의 복지제도 현황을 살펴보면, 자기계발비,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금융 대출 지원, 육아휴직 지원, 육아비용 지원 등에서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이 복지제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석 박사의 연구성과 보상 제도 현황 전체 보유기관 미보유기관 건 비중(%) 건 비중(%) 연구성과 인센티브 418 173 41.4 245 58.6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석 박사 평균 보상 수준 (무응답 제외) 81.2% 비정규직 석 박사에게 연구성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기관은 173개(41.4%)를 차지하고 보 상수준은 정규직의 81.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59

제2부 분석편 비정규직 석 박사의 연구공간 제공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석 박사 평균 연구공간 수준 (무응답 제외) 87.6% 비정규직은 정규직 대비 87.6% 수준의 연구공간을 제공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박사 연구 책임자 수 기관수 연구책임자 수(명) 기관당 평균 수 34개 204명 6.0 명 비정규 박사가 연구책임자를 맡는 기관은 34개 기관으로 총 204명의 박사가 연구책임자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정규직 전환 사례 비정규직 석 박사의 정규직 전환 사례 기관 수 현황 비정규직 석 박사 보유 기관 수 정규직 전환 사례 기관 수 비중(%) 146 127 87.0 비정규 석 박사 보유 기관 중에 127개(87.0%) 기관이 정규직 전환 사례를 가지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60

Ⅲ. 공공연구기관 2. 연구 보조원 현황 2.1 연구 보조원 보유 현황 계열별 연구보조원 전체 현황 기관 수 연구보조원 수 기관당 평균 인원 전체 168 5,335 31.8 이공계열 87 1,832 21.1 비이공계열 92 1,547 16.8 연구보조원을 보유한 기관은 168개로 나타났으며, 연구보조원 중 이공계열 인원이 비이공 계열보다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연구 보조원 임금 현황 연구보조원 계열별 평균 연봉 현황 (단위 : 만원) 전체 연구 지원 기능 인력 연구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 비정규직 정규직 비정규직 정규직 이공계열 2,225 1,755 2,988 2,129 3,195 비이공계열 2,248 1,893 2,741 2,055 2,898 해당 항목 무응답 대학 제외 연구 지원 기능 인력의 이공계 정규직의 임금이 비정규직에 비해 1,233만원 높았고, 연구 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의 이공계 정규직의 임금은 1,066만원 높게 나타났다. 61

제2부 분석편 Ⅳ. 정책적 시사점 1. 기업 이공계 전공 종사자가 다른 계열 인력에 비해 급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공 계 전공 종사자의 처우가 나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학계열 전공 종사 자는 공학계열 전공 종사자에 비해 대기업에서 일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므로 이학계열 전공자가 산학협력 기획 확대 등의 산업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정책 적인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이공계열이 임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공계열 전공 종사자가 중소기업에서 임원이 되기 위한 경쟁력이 더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향후 중소기업에 우수한 인력이 유입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대학 비정규직과 정규직과의 차별이 중요한 이슈로 현재 대두되고 있지만, 대학에서는 정규 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복지 등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에서 이 학계열 연구과제 참여 박사 비중이 공학계열 연구과제 참여 박사 비중보다 낮으므로 정책 적인 차원에서 이학계열 박사들이 연구과제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기초과학 분야의 육성을 위해서 필요한 정책으로 판단 된다. 3. 공공연구기관 현재 공공연구기관에서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종종 있으며, 비정 규직이 연구책임자를 맡는 등 차별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약간의 임금 격차가 존재하므 로 이를 정책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2

부 록 Ⅰ. 용어 정의 Ⅱ. 모집단 정의 Ⅲ. 주요 항목 표본오차 Ⅳ. 과학기술인력 관련 통계비교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Ⅰ. 용어정의 Ⅰ. 용어정의 1. 기업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舊. 사업체기초통계조사)>에서 인용되었으며, 원래는 영리, 비영리를 불문하고 일정한 물리적 장소에서 단일한 소유권 또는 통제 아래 생산 판매나 서비스 제공 등 산업 활동을 하는 개개의 경영 단위인 사업체를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사업체를 기업으로 정의함 <예시> 본사, 지사, 지점, 공장, 출장소, 영업소, 상점, 은행, 학교, 학원, 개인 교습소, 병원, 여관, 식당, 교회, 사찰, 공공기관, 사회복지시설 등 기업의 조직형태별 분류 개인사업체 개인이 소유 경영하는 사업체를 말하며 법인격을 갖추지 않고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체를 포함 회사법인 상법상의 주식회사, 유한회사, 합자회사, 합명회사를 말함 회사이외법인 민법 또는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회사법인이 아닌 법인을 말함 비법인단체 법인이 아닌 단체를 말하며 국가/지방자치단체, 동창회, 후원회, 문화단체, 노동단체, 종친회, 법인이 아닌 교회 및 암자 등이 있음 2. 연구기관 정출(연) : 과기정출연법 등에 의해 설립된 정출(연)과 특정연구기관육성법, 과학 기술기본법 등에 의해 설립되고 R&D성과평가법 에 의하여 기관평가를 수감하는 출연 기관도 정출(연)으로 통칭 65

부 록 과기정출연법에 의해 설립된 25개 기관(부설기관 5개 포함)과 부처 직할 12개(부설기관 2개 포함) 기관 등 37개 국 공립(연) : 중앙정부(국립(연))와 지방자치단체(공립(연)) 개별 직제에 의해 설립된 연 구기관 (정부 조직) 국립(연) :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전파연구원 등 14개 기관 해당 전문생산(연) : 산업기술촉진법 에 의해 설립된 15개 기관 3. 비정규직 비정규직의 개념에 대해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은 없으나, OECD는 통상 임시직근로자 (temporary worker)를 비정규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임시직근로자에는 유기계약근 로자(worker with fixed-term contract), 파견근로자(temporary agency worker), 계 절근로자(seasonal worker), 호출근로자(on-call worker) 등을 포함 02.7월 노사정위원회 비정규특위에서 비정규직은 고용형태를 기준으로 한시적 근로자 또는 기간제근로자, 시간제근로자 및 비전형근로자로 정의 - 한시적근로자(고용의 지속성):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자(기간제근로자) 또는 정하지 않았으나 계약의 반복갱신으로 계속 일할 수 있는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자 - 시간제근로자(근로시간) : 근로시간이 짧은 파트타임 근로자 - 비전형근로자(근로제공 방식) : 파견 용역근로자 특수고용 종사자 가정 내 근로자(재 택,가내) 일일(호출)근로자 노사정위원회 합의기준에 의한 비정규직의 범위는 외국에 비해 넓은 편으로, 특수형 태근로, 용역근로 등 포함, 기간제근로자 범위도 다소 넓음(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 으나 고용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없는 자 포함) 4. 정규직 2011년 12월 31일 당시 해당 직장의 퇴직금 규정 및 복무규정에 적용을 받고 계속고용이 보장되는 자로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자 66

Ⅰ. 용어정의 5. 이공계인력 이공계인력이란 이학 공학 분야와 이와 관련되는 학제간 융합분야를 전공한 사람으로서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 공계지원 특별법 제2조제1호,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시행령 제2조제1항). - 대학에서 이공계 분야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 - 산업기사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 그 밖에 위의 두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과 같은 수준의 학위 또는 자격을 가지고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전공학과 분류 : 한국교육개발원(KEDI) 전공분류 체계 이학계 공학계 해당계열 전공학과 예 수학/물리/천문/지리 수학, 통계학, 물리ㆍ과학, 천문ㆍ기상학, 지구ㆍ지리학, 교양자연과학 지적학 등 생물/화학/환경 생명과학, 생물학, 동물ㆍ수의학, 자원학, 화학, 환경학 등 농림/수산 농업학, 수산학, 산림ㆍ원예학 등 기타 이학계 기타 (생활과학 - 가정관리학, 식품영양학, 식품ㆍ조리, 의류ㆍ의상학, 교양 생활과학 등 계열은 제외) 건축 건축ㆍ설비공학, 건축학, 조경학 등 토목/도시 토목공학, 도시공학(도시환경공학), 건설공학(건설환경공학) 등 교통/운송 지상교통공학, 항공학, 해양공학 등 기계/금속 기계공학, 금속공학, 자동차 공학 등 전기/전자 전기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등 정밀/에너지 광학공학, 에너지공학(에너지환경공학) 등 소재/재료 반도체ㆍ세라믹공학, 섬유공학, 신소재공학, 재료공학 등 컴퓨터/통신 전산학ㆍ컴퓨터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정보ㆍ통신공학 등 산업 산업공학 등 화공 화학공학(화학환경공학) 등 기타 기타 공학계 (기전공학, 응용공학, 교양공학 등) 67

부 록 6. 기술 부문과 비기술 부문 직무 분류 기준 기술 부문 : 기술 개발 관련직, 기술 서비스 및 영업 관련직, 제조 기술직, 기술기획/ 개발 관리직 등 기술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직무 비기술 부문 : 기획 관련직, 마케팅, 영업, 인사/재무/구매/법무 등의 지원/스텝, 디자인 등 기술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직무 7. 연구개발직 과학기술분야의 지식을 축적하거나 새로운 적용방법을 찾아내기 위하여 축적된 지식을 활용하는 조직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하는 직무 8. 연구보조원 연구보조원은 연구 지원 기능 인력과 연구행정 및 기타 지원인력으로 한다. - 연구 지원 기능 인력 : 연구원은 아니나 연구개발 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도면의 작성,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 등의 연구지원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및 연구개발 보조자 - 연구행정 및 기타 지원인력 : 연구원은 아니나 연구개발 활동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연구행정, 연구회계, 연구지원 사무 등을 포함한 지원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68

Ⅱ. 모집단 정의 Ⅱ. 모집단 정의 기업의 표본조사 결과를 전체 결과로 추정하기 위해 사용된 모수치는 다음과 같다. 사업체 모수치 : 201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조사한 "전국사업체조사( 舊. 사 업체기초통계조사)"의 종사자수 1인 이상 사업체를 조사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지역은 16개 시도, 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9차개정)에 의한 19개 대분류 산업과 2개의 규모에 따라 분류하여 총 192,351개 사업체로 모수를 추정함 69

부 록 사업체수 사업체수 업종 규모 합계 구성비(%) 총계 192,351 전국 192,351 100.0 A.농업, 임업 및 어업 중소기업 498 서울특별시 46,028 23.9 대기업 1 부산광역시 12,189 6.3 B.광업 중소기업 335 대구광역시 8,176 4.3 대기업 5 인천광역시 9,878 5.1 C.제조업 중소기업 52,113 광주광역시 4,985 2.6 대기업 561 대전광역시 4,696 2.4 D.전기, 가스, 증기 및 중소기업 729 울산광역시 3,906 2.0 지역 수도사업 대기업 28 경기도 44,458 23.1 E.하수폐기물 처리, 원 중소기업 1,818 별 강원도 5,166 2.7 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대기업 1 충청북도 6,313 3.3 F.건설업 중소기업 13,306 충청남도 7,964 4.1 대기업 80 전라북도 6,337 3.3 G.도매 및 소매업 중소기업 19,960 전라남도 6,267 3.3 대기업 109 경상북도 10,308 5.4 H.운수업 중소기업 7,865 경상남도 13,511 7.0 대기업 146 제주도 2,169 1.1 중소기업 4,716 I.숙박 및 음식점업 조직 1. 개인사업자 33,220 17.3% 대기업 29 2. 회사법인 114,508 59.5% J.출판, 영상, 방송통신 중소기업 7,002 형태 3. 회사이외법인 37,546 19.5% 및 정보서비스업 대기업 134 별 4. 비법인단체 7,077 3.7% K.금융 및 보험업 중소기업 11,260 대기업 108 L.부동산업 및 임대업 중소기업 6,563 대기업 18 M.전문, 과학 및 기술 중소기업 10,126 서비스업 대기업 211 N.사업시설관리 및 사 중소기업 6,186 업지원서비스업 대기업 347 O.공공행정, 국방 및 중소기업 7,514 사회보장행정 대기업 447 P.교육서비스업 중소기업 16,648 대기업 6 Q.보건업 및 사회복지 중소기업 14,865 서비스업 대기업 177 R.예술, 스포츠 및 여 중소기업 2,008 가 관련서비스업 대기업 11 S.협회 및 단체, 수리 중소기업 6,409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대기업 11 70

Ⅲ. 주요 항목 표본오차 Ⅲ. 주요 항목 표본오차 총 이공계인력 추정량의 표준편차는 220,488명으로 계산되며, 이에 따른 상대표준오차는 7.05%로 5%를 상회하나, 상대표준오차 기준으로 보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 세부 층별로는 상대표준오차가 전체와 대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인원 규모로 세분화하여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크게 발생할 수가 있고, 따라서 세부 층별 독립적인 추정 및 해석은 주의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세부 층별 분석 및 비 교는 지양하고, 다소 총량적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공계인력 추정량 및 표준편차, 상대표준오차 추정량 표준편차 상대표준오차(CV) 전체 3,129,489 220,488 7.05% 대기업 917,261 120,234 13.11% 중소기업 2,212,228 184,821 8.35% 71

부 록 Ⅳ. 과학기술인력 관련 통계비교 과학기술인력과 관련된 대표적인 통계인 연구개발활동조사와 비교하면, 이공계 기관실 태조사는 이공계 출신 인력의 현황을 파악하여 이공계인력의 활용 육성과 관련된 정책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에, 연구개발활동조사는 전공에 대한 은 있지 만, 연구개발인력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공계 기관실태조사와 연구개발활동조사 비교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연구개발활동조사 조사목적 법률근거 조사대상기관 인력관련 조사사항 이공계인력의 육성 및 활동 현황과 복지 실 태 등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시행함 으로써, 국가차원의 이공계인력의 육성 및 지원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 초자료의 생성 및 제공과 분석 통계법 의한 국가승인 일반통계 -승인번호 : 제10505호(2006년)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 원 특별법 제7조 -이공계인력에 대한 실태조사 공공연구기관 2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 기업(10인 이상의 사업체) 공공연구기관 : 비정규직 석 박사 연구원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대학 :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박사과 정 학생 현황, 연구보조원 현황 기업 : 이공계인력의 고용현황, 급여수준, 복지제도 및 보상체계, 채용기준, 경로 및 방식, 직무배치 및 순환, 기업인식 및 교육 훈련제도, 연구개발직 현황 우리나라 연구개발활동(연구개발인력 및 연 구개발비 등)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연구개 발정책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 각계의 전문가들로 하여금 연구개발계 획 등에 참고자료로 제공 통계법에 의한 지정통계 -승인번호 : 제 10501호(1982) 공공연구기관 2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 연구소 및 연구전담부서를 보유한 기업체 병원, 종합병원 등의 의료기관 연구개발관계종사자(조사대상 공통) -연구원, 연구보조원, 실질연구참여인력 (FTE, Full Time Equivalent) -연구원의 학위별 전공별 성별 연령별 현황 72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ID 이 설문에서 얻어진 모든 내용은 통계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비밀이 보호되도록 통계법(제33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12 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A. 기업체 용]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MEST)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국가과학기술경쟁력강화를위한 이공계지원특별법 제7조 제1항 에 근거하여 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과 복지 등의 현황 파악을 위한 기관별 실태조사(이하 이공계인력 실태조사 ) 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본 조사에서는 이공계인력을 채용ㆍ활용하고 있는 관련기관(대학ㆍ연구기관ㆍ기 업)을 대상으로 이공계인력의 채용조건, 급여수준, 종사하는 직무분야, 복지ㆍ교육훈련, 기술ㆍ 연구 성과 등 이공계인력 활용실태와 처우 및 복지현황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자 합 니다. 귀 기관께서 본 설문지에 응답해 주신 내용은 통계적 처리를 거쳐 이공계인력 육성 및 활용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만 사용될 것이며, 정부의 이공계인력 정책 수립에 매우 귀중 한 자료로 활용될 것임을 이해하여 주시고 적극적으로 협조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문 의 사 항] 리서치앤리서치 담당자 김한슬 선임연구원 02) 3484-3070 2012년 11월~1월 (주) 리서치앤리서치 73

부 록 Part A. 이공계 인력 고용 현황 Q01. 귀 기관의 총 재직 인원 현황(정규직, 임원포함)을 11년 말 기준 으로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고용 현황 학위 성별 총계 학사 미만 학사 석사 박사 여자 남자 1)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명 명 2) 총인원 중, 이학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명 명 3) 총인원 중, 공학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명 명 4) 총인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명 명 [참고] : 정규직 및 이공계전공자, 학위 기준 1 [정규직] : 2011년 12월 31일 당시 해당 직장의 퇴직금 규정 및 복무규정에 적용을 받고 계속고용이 보장되는 자로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자 2 [이공계전공자] : 본 설문지의 전공학과 분류는 한국교육개발원(KEDI) 전공분류 체계를 따름 해당계열 전공학과 예 이학계 공학계 수학/물리/천문/지리 수학, 통계학, 물리ㆍ과학, 천문ㆍ기상학, 지구ㆍ지리학, 교양자연과학 지적학 등 생물/화학/환경 생명과학, 생물학, 동물ㆍ수의학, 자원학, 화학, 환경학 등 농림/수산 농업학, 수산학, 산림ㆍ원예학 등 기타 이학계 기타 (생활과학 - 가정관리학, 식품영양학, 식품ㆍ조리, 의류ㆍ의상학, 교양생활과학 등 계열은 제외) 건축 건축ㆍ설비공학, 건축학, 조경학 등 토목/도시 토목공학, 도시공학(도시환경공학), 건설공학(건설환경공학) 등 교통/운송 지상교통공학, 항공학, 해양공학 등 기계/금속 기계공학, 금속공학, 자동차 공학 등 전기/전자 전기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등 정밀/에너지 광학공학, 에너지공학(에너지환경공학) 등 소재/재료 반도체ㆍ세라믹공학, 섬유공학, 신소재공학, 재료공학 등 컴퓨터/통신 전산학ㆍ컴퓨터공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정보ㆍ통신공학 등 산업 산업공학 등 화공 화학공학(화학환경공학) 등 기타 기타 공학계 (기전공학, 응용공학, 교양공학 등) 3 [학사미만] : 2년제 전문대학 교육을 이수하여 전문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고등학교 졸업자 74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Q02. 귀 기관의 총 재직 인원 현황(정규직, 임원포함)을 11년 말 기준 으로 직무별, 전공별로 하여 작성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직무 기술 부문 비기술 부문 고용 현황 전공 학위 총계 학사 미만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비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비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참고] : 기술 부문 vs. 비기술 부문 직무 분류 기준 1 [기술 부문] : 기술 개발 관련직, 기술 서비스 및 영업 관련직, 제조 기술직, 기술기획/개발 관리직 등 기술과 직 간접 적으로 관련되는 직무 2 [비기술 부문] : 기획 관련직, 마케팅, 영업, 인사/재무/구매/법무 등의 지원/스텝, 디자인 등 기술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 되지 않는 직무 Q03. 귀 기관 임원의 총 인원과 이학계 전공자의 고위직(임원) 인원 수는 11년 말 기준 으로 몇 명입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임원 현황 최종 학위 총계 학사 미만 학사 석사 박사 1) 임원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2) 임원 총인원 중, 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3) 임원 총인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참고] : 임원이란, 등기임원, 일반임원 등 이사급 이상을 의미합니다. Q04. 귀사는 업무 분야별 핵심인재 또는 핵심인재 후보자(Pool)에 대한 별도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습니까? 1 예 Q04-1번으로 2 아니오 Q05번으로 Q04-1. [Q04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 핵심인력의 총 인원과 그 중 이공계/비이공계전공자 수는 몇 명 입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핵심인력 현황 최종 학위 총계 학사 미만 학사 석사 박사 1) 핵심인력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2) 핵심인력 총인원 중, 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3) 핵심인력 총인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참고] : 핵심인재란 미래의 경영자 후보, 회사의 핵심 기술 지식을 보유한 직원, 향후 회사의 중요한 사업기회를 창출할 잠재력을 가진 인재 등을 말합니다. 75

부 록 Q05. 귀사에 발탁승진자가 있습니까? 1 예 5-1번 문항으로 2 아니오 Part B. 이공계 인력 급여수준 으로 Q05-1. [Q0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 핵심인력의 총 인원과 그 중 이공계/비이공계전공자 수는 몇 명 입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발탁승진자 현황 최종 학위 총계 학사 미만 학사 석사 박사 1) 발탁승진자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2) 발탁승진자 총인원 중, 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3) 발탁승진자 총인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 명 명 명 명 명 [참고] : 발탁승진이란, 발탁승진은 사원들의 능력발휘를 위해서 근무연한, 해당직급에서의 체류년수나 연령에 관계 없이 능력과 업무성과가 우수한 자를 조기에 승진시키는 것입니다. Part B. 이공계 인력 급여 수준 Q06. 귀 기관의 신입직원의 평균 급여 수준을 기입해 주십시오. 평균 급여는 11년을 기준으로 1인당 총급여 액(연봉)을 직무 전공별 및 학력별로 말씀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직무 기술 부문 비기술 부문 전공 11년도 신입직원 총급여액, 금액(만원)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비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비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참고] : 총 급여액은 평균 근로소득과 특별공제, 세금 및 성과급을 모두 포함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Q07. 귀 기관의 5년차 경력직원의 평균 급여 수준을 기입해 주십시오. 평균 급여는 11년을 기준으로 1인당 총급여액(연봉)을 직무 전공별 및 학력별로 말씀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직무 기술 부문 비기술 부문 전공 11년도 현재 5년 경력직원의 총급여액, 금액(만원)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비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비이공계 만원 만원 만원 76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Part C. 이공계 인력 복지제도 및 보상체계 Q08. 아래 복지제도 중, 귀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복지제도를 전체직원 대상 란에 모두 표시해 주시고, 그 중 이공계 전공자들이 더 선호하는 복지제도가 어떤 것인지 이공계 선호 란에 같은 방식으로 모두 표시 해 주시기 바랍니다(복수 응답 가능). 보유 복지 제도 전체직원 대상 이공계 선호 1 자기계발비 지원 2 문화 체육활동 지원 (동호회 등) 3 자녀학자금 지원 4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5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6 금융 대출 지원 7 육아휴직 지원 8 육아비용 지원 (육아원 운영 포함) 9 직원복지시설 보유 (체력단련실, 휴게실 등) 10 여성복지시설 보유 (여직원 휴게실 등) 기타(제도명: ) 11 ( 상기 제도 이외 보유하고 계신 제도를 기입해 주십시오) 12 해당사항없음 Q09. 아래 보상 방법 중, 귀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보상 방법을 전체직원 대상 란에 모두 표시해 주시고, 그 중 이공계 전공자들이 더 선호하는 보상 방법이 어떤 것인지 이공계 선호 란에 같은 방식으로 모두 표 시해 주시기 바랍니다(복수 응답 가능). 보상 방법 전체직원 대상 이공계 선호 1 승진 2 연봉인상 3 성과에 비례한 인센티브 4 스톡옵션 5 연구자율성 확대 (연구비 지원, 연구팀 구성 권한 등) 6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지원 7 기타(제도명: ) ( 상기 제도 이외 보유하고 계신 제도를 기입해 주십시오) 8 해당사항없음 77

부 록 Part D. 이공계 인력 채용기준, 경로 및 방식 관련 Q10. 귀 기관에서 인력을 채용하실 때 가장 중요시하는 채용기준은 무엇입니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기준을 보기에서 골라 전공 및 학력별 순서대로 1, 2순위를 말씀해주십시오. [ 보 기 ] 1 출신학교 2 전공(전공지식) 3 학점 4 직무지식(직무관련 자격증 등) 5 의사표현능력(발표력, 소통 능력 등)] 6 직무능력(논리력, 문제해결능력 등) 7 업무태도(도전성, 책임감 등) 8 외국어 구사능력 9 연구실적 및 경력 10 기타 ( ) 채용시 중요한 기준 1순위 2순위 이공계 전공자 비이공계 전공자 학사 이하 석사 박사 학사 이하 석사 박사 Q11. 귀 기관에서 인력을 채용하실 때 가장 중요시하는 채용경로는 무엇입니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기준을 보기에서 골라 전공 및 학력별 순서대로 1, 2순위를 말씀해주십시오. [ 보 기 ] 1 자사 홈페이지(공채 포함) 2 신문,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 3 민간취업알선기관(Head Hunter) 4 외부 취업 사이트 (인터넷) 5 관련 교육기관에 요청 6 직원 또는 연고자 추천 7 병역특례 8 해외 모집(리크루팅) 9 개별접촉 10 기타 ( ) 채용시 중요한 방법 1순위 2순위 이공계 전공자 비이공계 전공자 학사 이하 석사 박사 학사 이하 석사 박사 Q12. 귀 기관에서 인원을 충원하실 때 어떤 형태로 충원 하십니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충원형태를 보 기에서 골라 전공 및 학력별 순서대로 1, 2순위를 말씀해주십시오. 1 신입 직원의 채용 2 경력직 채용 3 재직 근로자의 전환배치 [ 보 기 ] 4 비정규직 활용 5 외부 협력업체의 인력 활용 6 기타 ( ) 인력 충원형태 1순위 2순위 이공계 전공자 비이공계 전공자 학사 이하 석사 박사 학사 이하 석사 박사 78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Q13. 귀 기관의 11년, 지난 1년 간 채용 및 퇴직한 총 인원은 몇 명입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11년 채용한 총 인원 11년 퇴직한 총 인원 이공계 전공자 총계 학사 미만 학사 석사 박사 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비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비이공계 명 명 명 명 명 Q14. 귀 기관의 11년 말 기준 직원들의 평균 근속년수는 몇 년입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 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총계 최종 학위 학사미만 학사 석사 박사 1) 전체 직원의 평균 근속년수 년 년 년 년 년 2) 전체 직원 중, 이공계 전공자의 평균 근속년수 년 년 년 년 년 3) 전체 직원 중, 비이공계 전공자의 평균 근속년수 년 년 년 년 년 Part E. 이공계 인력 직무배치 및 순환 Q15. 귀 기관에서 신규직원의 직무배치 시, 해당 직원의 전공이 직무배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 십니까? 이공계 전공자 비이공계 전공자 직무배치 시 전공고려 매우 적다 적은 편이다 보통이다 큰 편이다 매우 크다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 다음은 이공계전공자의 기술부문과 비기술부문에서 근무하는 분야에 대한 질문입니다. Q16. 귀 기관의 이공계전공자가 비기술부문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전공자 학위별로 응 답해 주십시오. 이공계전공자 학사 석사 박사 주요 활용분야 1 기획 관련직 2 마케팅 3 영업 4 지원/스텝 (인사, 재무, 구매, 법무 등) 5 디자인 6 기타 ( ) 79

부 록 Q17. 귀 기관에서 이공계전공자의 기술부문과 비기술부문간 직무이동(기술부문 비기술부문)이 원활하게 이 루어진다고 생각하십니까? 이공계전공자 <직무이동> 기술부문 비기술부문 <직무이동> 비기술부문 기술부문 매우 원활하지 않다 원활하지 않은 편이다 직무이동 원활정도 보통이다 원활한 편이다 매우 원활하다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Q18. 귀 기관에서 타 전공계열과 비교했을 때 이공계전공자의 직무이동이 빈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공계 전공자 직무이동 빈도 매우 드물다 약간 드물다 보통이다 약간 빈번하다 매우 빈번하다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Q19, 귀 기관에서는 이공계전공자의 직무전환의 주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1 기업 내부의 업무조정에 따른 직무전환 2 관리자급으로 승진 3 임원으로 승진 4 개인적 희망 5 기타 ( ) 80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Part F. 이공계 인력에 대한 기업의 인식 및 교육훈련 제도 Q20. 귀 기관에서 선발한 신입 직원들에 대한 직무 수행 관련 만족도에 대한 항목입니다. 직무와 최종 학위 및 계열 별로 평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직무 학위 전공 계열 기술 부문 비기술 부문 학사 석사 박사 학사 석사 박사 요구 정도에 크게 못 미친다 요규 정도에 다소 못 미친다 전반적인 직무 관련 숙련 수준 요구 정도와 유사하다 요구 정도를 다소 넘는다 요구 정도를 크게 넘는다 이공계 1 2 3 4 5 비이공계 1 2 3 4 5 이공계 1 2 3 4 5 비이공계 1 2 3 4 5 이공계 1 2 3 4 5 비이공계 1 2 3 4 5 이공계 1 2 3 4 5 비이공계 1 2 3 4 5 이공계 1 2 3 4 5 비이공계 1 2 3 4 5 이공계 1 2 3 4 5 비이공계 1 2 3 4 5 Q21. 귀 기관의 직원들에 대한 직무 관련 기초 능력에 대한 항목입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세부 내용을 읽고, 제시된 내용을 보면서, 평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 직무 관련 기초 능력의 각 유형(하위영역) 지침 1 [대인관계 능력] : 팀웍능력, 멘토링, 협상 및 네트워크 능력 2 [조직관련 능력] : 프로젝트 및 시간 등의 자원관리 능력, 자기 개발 능력 3 [전공지식] : 전공 관련 지식 (관련 기술의 해 능력 및 적용 능력) 4 [인지 능력] : 창의적/논리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5 [의사소통 능력] : 말과 글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외국어 구사 능력 포함) 6 [기업가 정신] : 기업가 정신(도전 정신), 혁신 직무 관련 기초 능력 유형 매우 우수하지 않다 타전공과 비교하여 이공계 인력은 우수하지 않은 편이다 유사 수준이다 우수한 편이다 매우 우수하다 (1) 대인관계 능력 1 2 3 4 5 (2) 조직관련 능력 1 2 3 4 5 (3) 전공지식 1 2 3 4 5 (4) 인지 능력 1 2 3 4 5 (5) 의사소통 능력 1 2 3 4 5 (6) 기업가 정신 1 2 3 4 5 81

부 록 Q22. 귀 기관에서는 이공계전공자를 대상으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내용의 교육훈련을 중점적으로 시 행하고 있습니까? 직무 관련 기초 능력 유형 마다 해당되는 세부 교육 내용을 각각 선택하여 주십시오. 직무 관련 기초 능력 유형 (1) 대인관계 능력 (2) 조직관련 능력 (3) 전공지식 (4) 인지 능력 (5) 의사소통 능력 (6) 기업가 정신 세부 교육 내용 1 팀웍능력 2 멘토링 3 협상 및 네트워크 능력 4 없음 5 기타 ( ) 1 프로젝트 및 시간 등의 자원관리 능력 2 자기 개발 능력 3 없음 4 기타 ( ) 1 전공 관련 지식 (관련 기술의 해 능력 및 적용 능력) 2 없음 3 기타 ( ) 1 창의적/논리적 사고력 2 문제 해결 능력 3 없음 4 기타 ( ) 1 말과 글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2 외국어 구사 능력 3 없음 4 기타 ( ) 1 기업가 정신(도전 정신) 2 혁신 3 없음 4 기타 ( ) Q23. 아래 교육훈련 중, 귀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교육 훈련 제도를 전체직원 대상 란에 모두 표시하시고, 그 중 이공계 전공자를 대상으로 우선시 하는 교육훈련제도를 이공계 대상 란에 모두 표시해 주세요. 교육 훈련 제도 전체직원 대상 이공계 대상 1 초청강연 2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3 학습 동아리 지원 4 직장 내 강좌 개설 5 직장 외 강좌 수강 지원 6 단기 교육연수 7 학위취득 지원 8 박사후 연수 9 연구연가 10 해외파견 11 기타(제도명: ) ( 상기 제도 이외 보유하고 계신 제도를 기입해 주십시오) 12 해당사항없음 Q24. 귀 기관의 향후 인력 채용 전망에 대해 학위별로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공계 전공자 매우 밝다 대체로 밝은 편이다 인력 채용 전망 그저 그렇다 대체로 어두운 편이다 매우 어둡다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82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Part G 연구개발직 관련 조사 Q25. 귀 기관에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직 종사자(연구원)가 있습니까? 1 예 Q26번으로 [참고] : 연구개발 활동 지침 2 아니오 Part H. 기관 개요 로 [연구개발직] : 과학기술분야의 지식을 축적하거나 새로운 적용방법을 찾아내기 위하여 축적된 지식을 활용하는 조직 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하는 직무 [연구원] : 학사학위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동등 학위 이상의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한 사람 Q26. [Q2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의 연구원 총 인원과 박사학위 소지자 수는 몇 명입니까? 해당사항 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Q26-1. 연구원 총 인원 수 : ( )명 Q26-2. 연구원 중 박사학위 소지자 수 : ( )명 Q27. [Q2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에서는 연구직과 비연구직의 평균 급여 수준을 기입해 주십시오. 평균 급여는 11년을 기준으로 1인당 총급여액(연봉)을 학력별로 말씀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 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999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구 분 급여수준(11년, 신규직원(무경력), 총 급여액), 금액(만원) 학사 석사 박사 연구개발직 만원 만원 만원 비연구개발직 만원 만원 만원 [참고] : 총 급여액은 평균 근로소득과 특별공제, 세금 및 성과급을 모두 포함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Q28. [Q2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의 이공계전공자 중 연구직 종사자의 경우, 주요 경력변동 형태가 어떻습니까? 경력변동 형태 이공계전공자 학사 석사 박사 1 연구개발직 연구관리직(개발PM 등) 2 연구개발직 기술영업/마케팅 3 연구개발직 경영관리직(기획/관리) 4 연구개발직 기타( ) 5 경력변동이 없음 Q29. [Q2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에서 이공계전공자의 연구개발직 비연구개발직 전환이 가장 빈 번한 시기는 언제입니까? 직무전환 시기 이공계전공자 학사 석사 박사 1 3년 미만 2 3년 이상~5년 미만 3 5년 이상~10년 미만 4 10년 이상~15년 미만 5 15년 이상 6 전환 없음 83

부 록 Q30. [Q2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에서 이공계전공자가 연구개발직에서 비연구개발직으로 전환이 빈 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직무전환 빈도 매우 드물다 약간 드물다 보통이다 약간 빈번하다 매우 빈번하다 이공계 전공자 학사 1 2 3 4 5 석사 1 2 3 4 5 박사 1 2 3 4 5 Q31. [Q25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에서 연구개발 수행 방법으로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1 자체 연구개발 2 대학과의 협력 3 출연연과의 협력 4 타 기업과의 협력 5 산학연 다양한 주체들의 컨소시엄 참여 6 자체개발 보다는 구입 7 기타 ( ) 84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Part H. 기관 개요 마지막으로, 귀 기관에 대한 기본정보를 기입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DQ1. 기관형태 1 대기업 2 중소기업 3 벤처기업 DQ2. 기관의 주요 생산품명(또는 영업종목) 1 ( ) 2 ( ) DQ3. 2011년 매출액 백만원 DQ4. 자본금 (2011년 기준) 백만원 DQ5. 2011년 R&D 투자액 백만원 Part I. 응답자 정보 기관명 E-mail 응답자 성명 응답자 직위 기관 주소 시 구 동 연락처 ( ) - 개인정보는 절대 유출되지 않으니 안심하시고 응답해주십시오. 지금까지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85

부 록 ID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 및 제34조에 의거 비밀이 보장되며 통계자료 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조사 응답자의 개인정보는 다음 제시되는 연구 목적을 위해 3년간 보관됩니다. 12 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B. 대학용]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MEST)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국가과학기술경쟁력강화를위한 이공계지원특별법 제7조 제1항 에 근거하여 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과 복지 등의 현황 파악을 위한 기관별 실태조사(이하 이공계인력 실태조사 ) 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본 조사에서는 이공계인력을 채용ㆍ활용하고 있는 관련기관(대학ㆍ연구기관ㆍ기 업)을 대상으로 이공계인력의 채용조건, 급여수준, 종사하는 직무분야, 복지ㆍ교육훈련, 기술ㆍ 연구 성과 등 이공계인력 활용실태와 처우 및 복지현황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자 합 니다. 귀 기관께서 본 설문지에 응답해 주신 내용은 통계적 처리를 거쳐 이공계인력 육성 및 활용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만 사용될 것이며, 정부의 이공계인력 정책 수립에 매우 귀중 한 자료로 활용될 것임을 이해하여 주시고 적극적으로 협조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문 의 사 항] 리서치앤리서치 담당자 김한슬 선임연구원 02) 3484-3070 2012년 11월~1월 (주) 리서치앤리서치 86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Part A.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 Q01. 귀 기관의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 연구원 현황에 대하여 11년 말 기준 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해당 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전임교원을 제 외한 인원에 대한 정보를 말씀해 주십시오. 박사 연구원 현황 학위취득지 성별 총계 국내 국외 여자 남자 1) 비정규직 박사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1-1) 비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이학계열 명 명 명 명 명 1-2) 비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공학계열 명 명 명 명 명 1-3) 비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의 약학계열 명 명 명 명 명 1-4) 비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기타계열 명 명 명 명 명 2) 정규직 박사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2-1) 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이학계열 명 명 명 명 명 2-2) 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공학계열 명 명 명 명 명 2-3) 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의 약학계열 명 명 명 명 명 2-4) 정규직 박사 총인원 중, 기타계열 명 명 명 명 명 [참고]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대학부설연구소 소속 연구원, 연구교수 및 박사후과정(Post-doc), 국책사업단 소속 연구원 및 박사 후 과정 등 비정 규직으로 상근하는 박사 연구원(행정직 제외) Q02. 귀 기관 박사 연구원의 평균 연봉을 계열별로 말씀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 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급여 (단위:만원) 이학계열 공학계열 의 약학계열 기타계열 1) 비정규직 만원 만원 만원 만원 2) 정규직 만원 만원 만원 만원 [작성시 주의사항] 1. 급여기준 : 제 수당 포함 세전 월 평균급여 기준 (1+2+3 포함) 1) 기본연봉 (정액급 + 연구활동비 + 평가성과급 + ) 2) 고정수당 (중식보조, 자가운전비, 가족수당, 학자금, 위험출납, ) 3) 실적수당 (시간외수당, 연월차수당, ) 2. 유의사항 : 정규직은 전임강사 경력 1년차, 비정규직은 박사 연구원 경력 1년차를 기준 Q03. 귀 기관에서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채용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많이 사용하시는 순서대로 두 가지만 말씀해 주십시오. (1 순위), (2 순위) 1 홈페이지 공고 2 신문,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 3 민간취업알선기관(Head Hunter) 4 외부 취업 사이트 (인터넷) 5 관련 교육기관에 요청 6 직원 또는 연고자 추천 7 개별접촉 8 기타 ( ) 87

부 록 Q04. 귀 기관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들의 평균 재직 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 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년 또는 월 중, 한 가지만 작성 시 나머지 하나는 0 으로 작성) 이학계열 공학계열 의 약학계열 기타계열 재직 기간 년 월 년 월 년 월 년 월 Q05. 아래 교육훈련제도 중, 각 대상(비정규직 박사연구원 / 정규직 박사연구원)에 해당되는 귀 기관의 교육 훈련제도의 보유여부를 모두 표시해 주세요. 교육훈련제도 1 초청강연 2 학술세미나 참석지원 3 학습 동아리 지원 4 교내 강좌 개설 5 교외 강좌 수강 지원 6 단기 교육연수 7 연구연가 8 해외파견 기타(제도명: ) 9 ( 상기 제도 이외 보유하고 계신 제도를 기입해주십시오) 10 해당사항없음 (보유한 교육훈련제도 없음)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대상 정규직 박사연구원 대상 Q06. 아래 복지제도 중, 각 대상(비정규직 박사연구원 / 정규직 박사연구원)에 해당되는 귀 기관의 복지제도 보유여부를 표시해 모두 주세요. 복지 제도 1 자기계발비 지원 2 문화 체육활동 지원 (동호회 등) 3 자녀학자금 지원 4 경조금 및 경조휴가 지원 5 휴가시설 및 휴가비 지원 6 금융 대출 지원 7 육아휴직 지원 8 육아비용 지원 (육아원 운영 포함) 9 직원복지시설 보유 (체력단련실, 휴게실 등) 10 여성복지시설 보유 (여직원 휴게실 등) 기타(제도명: ) 11 ( 상기 제도 이외 보유하고 계신 제도를 기입해주십시오) 12 해당사항없음 (보유한 복지제도 없음) 비정규직 박사연구원 대상 정규직 박사연구원 대상 88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Q07. 귀 기관은 연구 성과에 대한 보상(인센티브 지급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까? 1 예 Q07-1번으로 2 아니오 Q08번으로 Q07-1. [Q07번에서 1번 응답자만]귀 귀관은 연구 성과에 대한 보상(인센티브 지급 등)에 있어서, 정규 직을 100으로 했을 때,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에게 어느 수준으로 지급하고 있습니까? ( )% Q08. 귀 기관의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례가 있습니까? 1 예 Q08-1번으로 2 아니오 Q09번으로 Q08-1.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례는 몇 건입니까? 또한, 정규직으로 전환된 연구원은 몇 명입니까? 해당사 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2010년 2011년 1) 정규직 전환 사례 건 건 2) 정규직 전환 총 신규채용 인원 명 명 [참고] 정규직 전환 사례 : 비정규직 연구원이 정규트랙 교원으로 임용되는 경우 Q09. 귀 기관 비정규직 및 정규직 박사 연구원들의 지난 2011년 한 해 동안 SCI급 논문(이학, 공학, 의 약학 계열) 또는 SSCI급 논문(기타계열)은 총 몇 편이나 됩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 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이학계열 공학계열 의 약학계열 기타계열 1) 비정규 박사 연구원 편 편 편 편 2) 정규직 박사 연구원 편 편 편 편 [참고] 비정규직 박사 연구원 대학부설연구소 소속 연구원, 연구교수 및 박사후과정(Post-doc), 국책사업단 소속 연구원 및 박사 후 과정 등 비정 규직으로 상근하는 박사 연구원(행정직 제외) 89

부 록 Part B. 박사과정 학생 현황 Q10. 귀 기관에는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이 있습니까? 1 예 Q11번으로 2 아니오 Part C. 연구 보조원 현황 으로 Q11. [Q10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의 총 박사과정 재학생 수 그리고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의 전체 수와 성별 수에 대하여 작성하여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 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총 박사과정 재학생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총계 남 여 1) 총 인원 명 명 명 명 2) 이학계열 명 명 명 명 3) 공학계열 명 명 명 명 4) 의 약학계열 명 명 명 명 5) 기타계열 명 명 명 명 [참고]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 여러 가지 연구과제에 참여하고 있는 재학 중 또는 수료 이후의 박사과정 학생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지 않은 인 력에 국한함. Q12. [Q10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 박사과정 학생의 평균 연봉을 말씀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이학계열 공학계열 의 약학계열 기타계열 1) 연구과제 참여 박사과정 학생 만원 만원 만원 만원 2) 미참여 박사과정 학생 만원 만원 만원 만원 [작성시 주의사항] 1. 급여기준 : 과제참여 총 참여 인건비 2. 수입 : 대학원생들의 장학금, RA, TA 수당 등 Q13. [Q10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 및 참여하지 않는 박사과정 학생의 지난 2011년 한 해 동안 SCI급 논문(이학, 공학, 의 약학계열) 또는 SSCI급 논문(기타계열)은 총 몇 편이나 됩니까?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 여 주십시오. 이학계열 공학계열 의 약학계열 기타계열 1) 박사과정 학생 총 논문 수 편 편 편 편 2)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과정 학생 편 편 편 편 3) 미참여 박사과정 학생 편 편 편 편 90

Ⅴ. 2012년 이공계 기관 실태조사 설문지 Part C. 연구 보조원 현황 Q14. 귀 기관에는 연구 보조원이 있습니까? (석박사 재학 학생은 제외한 순수한 연구 보조 인력입니다) 1 예 Q15번으로 2 아니오 Part D. 응답자 정보 로 Q15. [Q14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의 연구 보조원 현황에 대하여 11년 말 기준 으로 작성하여 주십시 오.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연구 보조원 현황 연구 지원 기능 인력 연구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 총계 비정규 정규 비정규 정규 1) 연구보조원 총인원 명 명 명 명 명 2) 연구보조원 총인원 중, 이공계열 명 명 명 명 명 3) 연구보조원 총인원 중, 비이공계열 명 명 명 명 명 [작성시 주의사항] 1. 연구 지원 기능 인력 : 연구원은 아니나 연구개발 활동과 관련된 연구용 기자재의 운용, 도면의 작성, 가공 조립, 실험 검사 측정 등의 연구지원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및 연구개발 보조자 2. 연구행정 및 기타 지원인력 : 연구원은 아니나 연구개발 활동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연구행정, 연구회계, 연구지원 사무 등을 포함한 지원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Q16. [Q14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 기관의 연구 보조원의 평균 연봉에 대하여 작성하여 주십시오. 해당사 항이 없을 경우, 0 으로 작성하여 주시고, 모르실 경우에는 -1 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연구 보조원 평균 연봉 (단위, 만원) 연구 지원 기능 인력 연구행정 및 기타지원 인력 비정규 정규 비정규 정규 1) 이공계열 만원 만원 만원 만원 2) 비이공계열 만원 만원 만원 만원 [작성시 주의사항] 1. 급여기준 : 제 수당 포함 세전 월 평균급여 기준 (1+2+3 포함) 1) 기본연봉 (정액급 + 연구활동비 + 평가성과급 + ) 2) 고정수당 (중식보조, 자가운전비, 가족수당, 학자금, 위험출납, ) 3) 실적수당 (시간외수당, 연월차수당, ) 2. 유의사항 : 정규직/비정규직 모두 연구보조원 경력 1년차를 기준 Part D. 응답자 정보 대학명 응답자 성명 E-mail 응답자 직위 대학 주소 시 구 동 연락처 ( ) - 개인정보는 절대 유출되지 않으니 안심하시고 응답해주십시오. 지금까지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91

부 록 ID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 및 제34조에 의거 비밀이 보장되며 통계자료 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조사 응답자의 개인정보는 다음 제시되는 연구 목적을 위해 3년간 보관됩니다. 12 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C. 연구기관용]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MEST)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국가과학기술경쟁력강화를위한 이공계지원특별법 제7조 제1항 에 근거하여 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과 복지 등의 현황 파악을 위한 기관별 실태조사(이하 이공계인력 실태조사 ) 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본 조사에서는 이공계인력을 채용ㆍ활용하고 있는 관련기관(대학ㆍ연구기관ㆍ기 업)을 대상으로 이공계인력의 채용조건, 급여수준, 종사하는 직무분야, 복지ㆍ교육훈련, 기술ㆍ 연구 성과 등 이공계인력 활용실태와 처우 및 복지현황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자 합 니다. 귀 기관께서 본 설문지에 응답해 주신 내용은 통계적 처리를 거쳐 이공계인력 육성 및 활용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만 사용될 것이며, 정부의 이공계인력 정책 수립에 매우 귀중 한 자료로 활용될 것임을 이해하여 주시고 적극적으로 협조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문 의 사 항] 리서치앤리서치 담당자 김한슬 선임연구원 02) 3484-3070 2012년 11월~1월 (주) 리서치앤리서치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