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유윤진 제1저자.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생태공학연구소, y-yjin@hanmail.net 조동길 교신저자.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대표, cdgil@naver.com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



Similar documents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11¹Ú´ö±Ô

04-다시_고속철도61~80p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03-서연옥.hwp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민속지_이건욱T 최종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Æ÷Àå½Ã¼³94š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04±èºÎ¼º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현시대의 인간들은 넘쳐나는 미디어의 영향 속에서 살고 있다. 특히 영상매체인 가 대중문화로써 접 근하는 힘은 여타 다른 매체의 영향력보다 강하며, 그 중에서도 SF는 빠르게 변화하는 이 미래 에 가져올 영향에 대한 인간의 궁금증을

<30362E20C6EDC1FD2DB0EDBFB5B4EBB4D420BCF6C1A42E687770>

44-3대지.08류주현c

<B9AEC8ADC4DCC5D9C3F7BFACB1B82D35C8A32833B1B3292E687770>

Output file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hwp

①국문지리학회지-주성재-OK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Ȳ¿ë¼®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IKC43_06.hwp

Microsoft Word doc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304.fm

04김호걸(39~50)ok

웹진용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03이경미(237~248)ok

30이지은.hwp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C7C1B7A3C2F7C0CCC1EE20B4BABAF1C1EEB4CFBDBA20B7B1C4AA20BBE7B7CA5FBCADB9CEB1B35F28C3D6C1BE292E687770>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139~144 ¿À°ø¾àħ

09È«¼®¿µ 5~152s

27송현진,최보아,이재익.hwp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3. 클라우드 컴퓨팅 상호 운용성 기반의 서비스 평가 방법론 개발.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Àå¾Ö¿Í°í¿ë ³»Áö

<BFACBCBCC0C7BBE7C7D E687770>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Æ÷Àå82š

433대지05박창용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3133B1C732C8A328BCF6C1A4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12È«±â¼±¿Ü339~370

Lumbar spine

02Á¶ÇýÁø

03-ÀÌÁ¦Çö

12Á¶±ÔÈŁ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ë Áö¸®ÇÐȸÁö-¼Û°æ¾ðOK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2014_ pdf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DBPIA-NURIMEDIA

b77¹¼úÁ¤º¸š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07_À±¿ø±æ3ÀüºÎ¼öÁ¤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5차 편집).hwp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국악누리5월호2차내지

퍼스널 토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본문01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10 이지훈KICS hwp

<3136C1FD31C8A320C5EBC7D52E687770>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09권오설_ok.hwp

2. 박주민.hwp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31325F FB1E8B9CCC1A42CBFF8C0B1B0E62CB1E8B9CCC7F62E687770>

50-5대지05장후은.indd

DBPIA-NURIMEDIA

06_À̼º»ó_0929

07ÃÖ°æÈñ

DBPIA-NURIMEDIA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Transcription:

A Study on Comparing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 Garden for Developing Garden Culture of Korea Ryu Yoonjin First Author. NEXUS Eco Institute, y-yjin@hanmail.net Cho Donggil Corresponding Author. NEXUS ECO, cdgil@naver.com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ct on the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s and Gardens was implemented last July, and forest and garden industries have been received the Blue Ocean design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gardens belong to individuals, constructing gardens is directly related to a local society s environmental development. Further, this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rich emotions. In fact, it is the oldest expression method of civilization. The garden in a private residence is an open space the site left after the building site has been excluded;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people s lives. Although a personal garden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dividual s preferences,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standards, methods, and management of garden construction projects.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nstruc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garden in a changing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value and construction method pertaining to gardens of the fu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rends in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in existing gardens. (Method)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on 60 gardens (i.e., 30 traditional gardens and 30 modern gardens) throughout the nation; accordingly,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were analyzed. (Results) In terms of facilities, management facilities, rest facilities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cenery facilities were analyzed; it was noted that modern garden facilities have fewer boundaries and transportation options than traditional gardens. In fact, boundaries decreased by 1.5% for modern gardens, although ratios remained almost the same. Traditional gardens usually have facilities for living, whereas modern gardens have facilities for relaxing or engaging in activities. Regarding plantings, traditional gardens contain more fruit trees, whereas modern gardens incorporate more plants for their appreciation value, related activities, and seasonal events. Concerning space composition, both traditional gardens and modern gardens reflect a preference for flooring, though the amount of flooring decreased by 18.2% in modern gardens. However, the size of plantings increased by 17.3%. (Conclusion) Space composition, facilities, and planting methods that allow various activities in a single space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a garden culture. Regarding space composition, relaxation or orchestration of activities can be encouraged by increasing the size of a lawn or kitchen garden. Concerning planting, trees that can present the changes of seasons should be used to make create sceneries that incorporate benches, pergolas, or swings. Keywords Traditional Korean Gardens, Moden Gardens, Garden Culture, Space ratio, House garden Received Aug. 31. 2015 Reviewed Oct. 02. 2015 Accepted Oct. 12. 2015 ISSN 1976-4405 www.kisd.or.k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0 No.5 113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유윤진 제1저자.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생태공학연구소, y-yjin@hanmail.net 조동길 교신저자.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대표, cdgil@naver.com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정원법) 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 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은 개인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원 조성은 넓은 의미에서 지역 사회의 환경조성과 직결되고, 개인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 된 문명의 표현방법 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개인주택정원은 전체 대지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외한 비건폐지이지만 사 람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곳으로 주거환경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개인주택정원은 개인적 취향에 맞추어 조성되는 것이기는 하나 정원 조성 기준, 방법, 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정원 유형, 가치 등을 반영한 정원 조성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정원이 가지는 공간, 물, 식재 에 대해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정원이 가지는 가치와 조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 총 60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물, 식재,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분석을 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물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 휴식, 농업, 경관 비중이 높아졌으 며 경계, 이동물은 감소하였다. 비율로 분석을 해보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5% 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전통정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은 생활양식에 따른 물이 주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활동, 휴식물 위주로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의 경우 전통정원은 과실수 위주로 조성을 하였으며 현대정원은 감상, 활동,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물로 조성을 하였다. 공간구성의 경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바닥면적은 약 18.2% 감 소하였으며, 식재 면적의 경우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7.3% 증가하였다. (결론)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 동이 나타날 수 있는 공간구성, 물, 식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 오면서 물, 식재, 공간 비율이 활동 위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변화된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정 원 조성이 필요하다. 그 중 공간구성은 잔디밭, 텃밭 면적을 높여 휴식 및 휴게 활동, 생산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식재는 다양한 경관 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절감이 있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물은 벤치, 퍼고라, 그네 등 활동이 나타나는 물 위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전통정원, 현대정원, 정원문화, 공간비율, 주택정원 Received Aug. 31. 2015 Reviewed Oct. 02. 2015 Accepted Oct. 12. 2015 ISSN 1976-4405 www.kisd.or.kr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5호 통권35호 114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이하, 정원법) 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 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 고 있다. 특히, 정원산업은 관광, 교육, 체험 등 6차 산업과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한국농어민신 문, 2015). 정원은 인류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명의 표현 방법 이라 할 만큼 그 문화에 대한 가치 는 역사성을 가지며 인류의 삶을 표방하여 지속하였 다. 산업화 시대를 맞아 정원의 의미는 축소되었다가 다시 현대로 들어서면서 그 의미와 가치가 부활되기 하였으며 부활한 정원의 모습 또한 과거 식물 위주의 소재를 통하여 공간을 구성하는 의미로부터 점차 미적 인 영역과 예술적인 양면으로 확장(Kwon, 2013)되었 다. 이렇듯, 문명의 발달과 정원 문화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최근 정원법 시행에 따라 정원문화는 더욱 활발하게 발달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원의 의미는 동서양 모두 비슷하게 해석이 되고 있는데 Garden(영어), Jardin(프랑스어), Garten(독어) 등 정원을 뜻하는 단어는 모두 담장으로 둘러싸인 폐쇄된 공간 으로 해석이 된다. 한자에서도 원( 圓 ) 도 상형을 풀어보면 큰 입구 ( 口 ), 그 안에 흙 토( 土 ), 작은 입구( 口 ) 그리고 옷 의 ( 衣 )자로 구성이 되는 이 상형을 풀어보면 정원을 담 싸고 있는 담, 대지 혹은 땅의 구성인 흙, 물을 담고 있는 연못, 색상을 띠고 있는 식물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정원의 의미는 담장으로 둘러싸인 폐 쇄된 공간 즉, 담으로 쳐진 공간(Fenced)으로 해석이 된다(O, 2013). 그 중에서도 주택정원은 전체의 대지에서 주택이 차 지하는 부분 외의 비건폐지 만을 뜻하지만 주택이 놓 여진 장소와 그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생활과 관 련되어진 가운데 조성되어진 곳(Hyun, 1994)이라고 할 수 있다. 안봉원 외(1993)에 의하면 전통적으로 주택정원은 한 문화와 시대의 산물이며 식물의 식재 양식은 바로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고 주장하였 다. 뿐만 아니라 Jin, J.Y.(2010)은 주택정원은 개인 의 것이라 할지라도 넓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조 성에 직결되고 가정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Norman K. Booth(2008)는 주택정원은 최상의 애착 과 감각을 가지고 설계됨으로 전체적인 주거환경에서 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충족해야한다고 주 장하였다. 이렇듯, 주택정원은 더 이상 개인의 소유가 아니라 개개인의 정서,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아가 지역사회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그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최근에는 정원에 대한 수요에 대한 관심으로 정원 관련 심포지엄 및 순천만국제정원박람 회, 고양국제꽃박람회 등 공공분야에서의 정원 관련 행사가 개최(Lee, 2015)되고 있으며 법개정에 따라 법적 근거까지 마련되어 국가 및 사회적으로 정원 확 산 및 관심이 향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원에 대한 공공적 확산이 정원 문화 회복 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어떻게 실체로 살려 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미흡(Lee, 2015)하다는 주 장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정원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재정립하기 위해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을 비교 분석하고, 현대사회에서 정원 조성 시 필요한 계획 요 소, 조성 방법 등을 도출하여 앞으로 나아갈 현대정원 으로서의 가치를 모색하여 향후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서 주택정원 조성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주택정원의 정원 구성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국 전통정원 30개소, 현대정원 30개소에 대 한 현장답사를 통해 정원 식재 현황, 물 설치 현 황, 정원 면적에 대해 조사 분석을 하였다. 전통정원은 문화재청 지정 전통 고택 100선 중 현재 거주자가 있 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전통정원을 보유하고 있는 30 개소를 선정하였으며, 현대정원은 문헌, 인터넷 조사 등을 통해 무작위 추출로 30개소를 선정하였다. 현장 조사 방법은 실측을 통해 디지털 도면화를 하여 면적 을 산출하였으며, 실사촬영과 관리자(소유주 등)와의 면담을 통해 정원 도입 물, 식재 선정 및 배치, 정 원형태 등 정원 구성요소와 공간 구조를 도출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는 엑셀(Excel) 프로그램과 오토캐드 (Auto CAD)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디지털 도면 화 및 면적을 산출하였다.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0 No.5 115

연구의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각 전통정원 5개소, 현대정원 5개소 총 60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 사를 실시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정원의 개념 정원을 뜻하는 영어 단어 Garden 은 헤브라이어 gan 과 oden 또는 eden 의 합성어인데 gan 은 울타리 또는 둘러싸인 공간이나 둘러싸는 행 위를 의미하며, oden 은 즐거움이나 기쁨을 의미한 다. 이와 같은 의미를 재해석해보면 둘러싸인 공간에 즐거움과 기쁨이 있는 장소라고 할 수 있는데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 심미적 목적으로 처 리한 뜰이라고 할 수 있다(www.doopedia.co.kr). 또 한, 정원은 주거문화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는데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는 계단, 담과 울타리, 문과 창문, 구조물, 테라스, 건물, 벤치, 수목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대개는 실외에 식물 등 자연을 이용해 조성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 는데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공적으로 조성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 중 한국정원은 정( 庭 ) 과 원( 苑 ) 의 합성 어로서 대산 한사전에서는 <삼재( 三 才 圖 會 )> 그림을 바탕으로 정( 庭 ) 을 뜰 정 이라고 풀이하고 있 다. 뜰 정 은 집채( 堂 )의 계단 앞마당이 이룬 공간 을 뜻하며 원( 園 ) 은 일반 주택의 동산 을 뜻하 면서 나라의 동산을 의미한다(O, 2013). 이와 같은 사전적 의미를 해석해보면 정원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동산과 건축물 그리고 자연적인 지형과 경관요소를 포 괄적으로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정원은 크게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시대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일반 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시대( 時 代 )의 원근( 遠 近 )에 의 한 분류에 따라 고대, 중세, 근대, 현대 4단계로 구 분 1) 을 할 수 있다. 그 중 전통정원은 고대, 중세까지 로 한국은 삼국시대에서부터 까지를 의미하며 현대정 원은 19세기 이후 개항 이후를 의미한다. 시대적으로 전통과 현대로 나누어진 정원의 시대적 분류는 의미상에서도 공원과 의미상의 혼돈이 가중 2) 되고 있다. <표 1>과 같이 정원은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에서 식물, 토석, 물 (조형물을 포함한다) 등을 전시 배치하거나 재배 가 꾸기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공원은 정원의 범위에 포함이 되지만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한 법률 에서는 쾌적 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 함양에 이바지하는 목적으로 공간 또는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정원이 보다 큰 의미로 볼 수 있으며 정원과 공원은 가꾸는 것인가?, 물인가의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표 1> 정원과 공원의 정의 및 범위 관련법 정의 범위 정원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식물, 토석, 물(조형 물을 포함한다) 등을 전 시 배치하거나 재배 가꾸기 등을 통하여 지 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 는 공간 정원, 식물원, 수목원, 도시농업, 커뮤니티 가 든, 공원, 도시숲 등 2.2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특징 2.2.1. 전통정원의 개념 및 특징 공원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 한 법률 제2조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 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 서 함양에 이바지하는 다음 각 목의 공간 또는 도시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 및 저수지 잔디, 나무, 꽃 등 식생 이 자라는 공간 등 정원은 그 시대의 정치적 사상과 문화를 일정한 장 소에 인공적, 자연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사상을 표현 하거나 경관의 형태로 조성된 인문학적인 장소라 할 수 있다. 시대적으로 보았을 때 전통과 현대 정원으로 구분이 되는데 정원을 건축물의 부차적인 조경의 형태 적 결과로 볼 때 전통정원의 역사는 고조선까지 거슬 러 올라갈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정원의 틀을 갖추고 건축공간에 조형적으로 조성되는 시기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O, 2013). 한국의 전통정원 은 서양의 경우처럼 시대에 따른 양식이 확연하게 구 별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시대를 하나의 양식이 대표 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가 변화하고 흘러가면서 여러 내용이 쌓여 혼재(Kang, 2007) 된 것이라 할 수 있 다. <표 2>와 같이 전통정원은 궁궐, 마을 및 읍성 정 주지, 민간정원, 별서정원, 서원 및 향교, 사찰조경이 대표적인 한국 전통정원 형태라 할 수 있는데 자연 순 응적인 원리에 충실한 관계로 정원을 조성하고 있으며 풍수지리사상, 신성사상, 음양오행설 등 자연관 안에서 인간의 위치를 이해(Lee, 2005)하고 조화를 이루며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5호 통권35호 116

정원을 표현하고 있다. <표 2> 전통정원의 특징 및 구성요소 분류 특징 구성요소 궁궐 ( 宮 闕 ) 마을 및 읍성 정주지 민가 서원( 書 院 ) 및 향교( 鄕 校 ) 별서( 別 墅 ) 정원 사찰( 寺 刹 ) 입지와 배치에 있어서 풍 수지리사상과 유교적 지리 석동, 해태상, 다리정자, 관에 의해 설정 굴뚝, 석가산, 치석, 석물, 기본적으로 기하학적 구 방지 및 곡지, 장대석, 화 성을 따르되 지형적 상황을 계, 사고석담, 전담, 화담, 고려하여 자연스런 배치로 장대석, 수로, 수반 등 응용 진산을 북쪽으로 두고 전 면에 경작지를 확보 장승, 초가, 주막, 물레방 정자형의 길에 의한 공간 안, 소나무동산, 목교, 공 구획 풍수지리사상과 유교적 지리관에 의한 배산임수형 지형 공간의 위계성 동마당, 토담, 싸릿담, 계 류, 바위, 그네, 널, 샘, 평상, 우물 등 오성좌 배치 원리에 의해 홍살문, 정자, 굴뚝, 방지 각 지방의 향교의 건물배치 및 곡지, 자연수림, 석물, 와 유사하게 배치 내부공간의 평면은 방형, 장방형이 많음 정원공간이 계류의 동선 에 따라 좌우 배치 장대석, 자연석, 화계, 사 고석담, 전담, 토담, 석축, 석단, 자연석, 계류, 그늘 시렁, 평상, 석상 등 자연환경과의 조화, 계층 당간지주, 문, 굴뚝, 탑, 적 질서의 추구, 공간 상호 비각, 석등, 석물, 토담, 간의 연계성 제고, 인간척 자연석담, 계류, 바위, 석 도의 유지 축, 샘 2.2.2. 현대정원의 개념 및 특징 현대정원에 대한 개념은 명확하게 정의된 바가 없으 나 산업혁명 이후 현대사회라고 칭하는 19세기 이후 의 정원을 현대정원이라 할 수 있다. 19세기 공원의 가치와 변화는 뚜렷하게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중 옴스테드(F.Olmsted)의 센트럴파크를 비롯하여 많은 공원이 자연식 공원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한 편 중소 주택에서도 새로운 경향의 정원이 제안되어 현대정원 발생의 기초가 되었는데 근대 건축식 정원으 로 칭하여 실용적, 기능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산업혁명 이전에는 우아함,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방식 으로 화단, 토피어리 등 정형화된 정원 양식 및 낭만 을 중시한 정원 유형이 나타났으나 산업혁명 이후에는 실용적, 기능적인 면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정원이 변 화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현대정원은 다중의 공적 이용을 목적으 로 공공조경이 주로 나타나 테마식물, 넓은 잔디밭, 호 수, 나무숲 등을 조성하고 있으며 입체적 동선 체계 그리고 텃밭과 화단 등 활동, 휴식이 이루어지는 정원 을 조성하고 있다. 특징적으로 현대정원은 경제적, 실 용적 등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활동이 나 타날 수 있는 정원을 조성하고 있는데 이는 기능성을 살린 정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공목적과 활동에 중 점을 둔 정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대정원은 현실적으로 고층화, 공동주거화, 단지화 되면서 과거 일상적 생활공간을 대표하는 현대 주택정원은 사유공간이라는 점 때문에 공동주택의 외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문적 연구 영역에서 다뤄질 기회가 거의 없었다(Cho, 2007). 그 러나 Cho, D.B(2007) 연구에서는 1980년대 토지구 획정리사업 등에 의해 시가화된 지역에 분포하는 총 13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정원을 분석한 결과 <표 3> 과 같이 투수지반형, 불투수지반형, 밀식형, 공간식재 형으로 정원의 지반과 식재가 구분이 된다고 하였으며 그 중 투수지반형에서는 잔디와 자연석 경계형, 불투 수지반형에서는 화분배치형, 밀식형에서는 중앙형, 공 간식재형에서는 무정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 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정원은 주로 정적이며 관상적인 면에 치중이 되어 있으나 정원을 새롭게 개 조한다면 텃밭과 수경 등을 원하는 실용성 있는 정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정원으로 특징으로 간주해볼 수 있는데 점차 활동 위주의 정원 으로 변화되고 이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으 며 실용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 현대정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표 3> 현대정원의 특징 분류 유형 특징 비고 투수 지반형 불투수 지반형 밀식형 공간 식재형 잔디 위주의 자연지반과 자연석 플랜터와 관목으로 구성 소수의 교목외에는 분재나 화분만으로 정 원 전반을 구성 자연지반이 대부분이며 통로외에는 주정원 전반을 식재공간이 차지함 지피류 및 관목층이 미약하고 전반적으로 관리가 되지 않는 정원 잔디, 자연석 경계 화분배치 중앙형 무정형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을 비교해보면 <표 4>와 같이 감상 및 감성 중시, 자연순응적인 사상에서 실용, 경제 등 기능을 중시한 정원으로 변화하였으며, 계획요소에 있어서도 석조물, 계류 등 경관형성과 감상을 위한 시 설물에서 텃밭, 화단, 파고라 등 직접 정원을 가꾸고 활동할 수 있는 활동 중심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 다. 정원이 개인의 소유물이라 할지라도 사유 조경에 서 다중의 공적 이용이 나타날 수 있도록 활동 위주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보편화된 정원으로 변화하고 있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0 No.5 117

<표 4>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특징 개념 설계 요소 및 기법 특징 전통정원 (~조선시대) 특정한 계층을 대상으로 조성되는 사유(Private) 조경 담장, 계류, 수로, 석조 물, 대문 등 자연 지형을 활용한 정 원 조성 자연순응적, 풍수지리사 상, 유교사상, 음양오행 설 등 중심 왕족 귀족중심(중정식, 화려함) 2.3 선행연구 고찰 현대정원 (현대) 다중의 공적 이용을 전제 로하는 공공(public) 조경 테마식물, 넓은 잔디밭, 호수(pool), 나무숲 등 입체적 동선체계 텃밭, 화단, 파고라 등 경제적, 실용적, 기능 적 동적/생산적 일반대중 중심(공공적, 자연스러움) 본 연구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으로 구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전통정원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진혜영 (2011)은 전통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물을 활용한 연못 및 계류 조성이 전통 성을 나타내는 요소라고 강조하였다. 송정화 외 2인 (2012)은 전통정원 조성 시 전통성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구성과 상징 및 사상적 의미를 가진 식물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오성탁(2013)은 전통정원에 는 지당, 계류, 석지 등이 전통 이미지를 나타내는 요 소로 도출하였고, 현대정원 조성시 전통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계획 요소 도입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 한, 국가건축정책위원회(2014)는 규모별로 평지형, 경 사지형 등으로 구분하여 식재, 공간구성, 물에 대 한 전통정원 표준 모델을 제시하였다. 현대정원의 선행연구에서는 주택정원으로 한정하여 대부분 연구가 진행되어 현대식의 주택정원에 관한 선 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주형 외1인(2011)은 주택정 원의 구성요소는 공간 한정 요소의 변화율이 클수록 공간 수직적 요소의 변화율도 크다는 연구 결과를 도 출하였으며 박은영(2011)은 정원의 실용성을 기반으 로 정원 디자인에 필요한 요소는 화단, 소재, 장식, 소 재의 미적결합, 시각적 특성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동범 외 2인(2007)은 정원은 주로 정적이며 관상적인 면에서 활동성을 갖는 유형으로 정원 문화가 변화하였다고 밝혔으며, 최봉수(2012)는 정원의 효율 적 관리를 위해서는 자가유지관리유형, 전문가 유지관 리유형, 복합유지관리유형으로 구분한 관리방안이 필요 함을 주장하였다. 선행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주로 공간구성, 물, 식재에 대한 내용으로 정원 조성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3가지 주요 요소를 통합한 정원 조성에 대한 연구 내용 은 부재하였다. 또한, 실제 조성되어 있는 대상지에 대 한 조사 분석이 아닌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방식으로 의식, 데이터 분석을 하였으며 현재 대상지가 어떤 형 태로 남아 있으며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미 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조성되어 있는 전통정 원과 현대정원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정원 공간 구성, 물, 식재에 대해 현재 이용되고 있는 형태를 분석하여 차이점을 도출하고 향후 정원 조성시 고려되 어야 하는 사항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3.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변화 추이 분석 3.1 분석의 틀 본 연구는 정원 조성 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도 출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각 30개 소를 대상으로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정원 구성요소(시 설물), 식재방법, 공간비율에 대해 조사 분석을 하였 다. 분석 대상인 물, 식재방법, 공간비율은 선행연 구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가 3 가지로 구분이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표 5>와 같이 전통정원 의 경우 문화재청 지정 전통 고택 100선 중 30개소를 선정하였으며 현대정원은 문헌, 인터넷 조사를 통해 무작위추출방법으로 30개소를 선정하였다. 조사 분석 은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연구방법과 내용을 토대로 총 4단계로 진행하였다. <표 5> 조사대상지 강 원 도 경 기 도 충 청 도 전 라 도 경 상 도 김윤기 가옥 최선평 가옥 김종길 가옥 서계박세당사 랑채 김영구가옥 윤황가옥 윤증고택 외암리마을 이재범가옥 이용욱가옥 이금재가옥 충효당 기천고택 애은당 전통정원 왕곡마을가옥 2 왕곡마을가옥 3 광주이씨원곡댁 백수현가옥궁집 이삼장군고택 외암리 건재고택 홍기헌가옥 홍기응가옥 근암고택 의암고택 현대정원 강원 춘천 2개소 양양 3개소 판교 운중로 1개소 용산 수지 동천동 4개소 서산 당진 3개소 금산 2개소 광주 3개소 목표 2개소 경남 거제 2개소 경남 진해 2개소 김천 1개소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5호 통권35호 118

제 주 도 성읍민속마을 가옥1 성읍민속마을 가옥2 성읍민속마을 가옥 3 김영숙가옥 남문집 제주시 개인주택 5개소 합 30개소 30개소 첫 번째, 전통정원 30개소, 현대정원 30개소를 2015년 1월부터 7월까지 실측, 사진 촬영, 식물동정, 소유주 면담 등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답사 완료된 정원을 대상으로 식재 및 물별 유형 을 구분하고, 면적을 산출하였다. 세 번째, 정원 실측 데이터를 통해 공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uto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식재, 물, 공간 면적 비율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식재, 물, 공간구성 면적 비율을 통해 전통과 현대정원 의 차이점을 도출하고, 향후 현대사회에서의 정원조성 을 위한 효율적인 공간 비율과 식재유형, 물을 제 시하였다. <표 6> 분석의 틀 현 장 조 사 데 이 터 분 석 연구방법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에 대한 현장 조사 정원 실측, 사진촬영, 식물 동정, 소유주 면담 답사 조사 내용을 토대 로 공간 분석 Auto CAD, EXCEL 프 로그램 활용 3.2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비교 분석 3.2.1. 물 연구내용 강원도, 경상도, 전라 도, 경기도, 제주도, 충청 도 지역별 5개소씩 선정하 여 현장 조사 물 유형 : 관리 / 휴식 / 농업 / 경관 / 공간 식재유형 : 교목, 관목 공간유형 : 물, 식 재, 바닥비율 산출 현장조사를 통해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에 설치된 시 설물을 분류해보면 총 103개 물이 나타났으며 이 를 중복물, 유사물 등을 포함하여 분류를 해 보면 <표 7>과 같이 관리, 휴식, 농업, 경 관, 경계, 이동 총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된 다. 관리은 정원 관리를 위한 물을 의미하여 정 원 물빠짐을 위한 배수구, 수도, 물 공급을 위한 우물, 우물터 등으로 구분되었다. 휴식은 정원에서 휴게 및 휴식을 위한 물을 의미하여 파고라, 평상, 벤치, 그네, 의자, 정자 등으로 구분되었다. 농업은 정원에서의 생산활동에 필요한 물을 의미하여 텃 밭, 장독대, 항아리, 맷돌 등으로 구분되었다. 경관 은 정원 경관을 나타내는 물로 자연석, 괴석, 굴 뚝, 조명, 화단, 잔디밭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경계 을 정원 내 외부를 구분하는 물을 의미하여 돌 담, 토석담, 평대문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동은 정 원내 보행을 위한 물을 의미하며 돌다리, 디딤돌 등으로 구분되었다. <표 7> 전통-현대정원 물 분류 구분 관리 휴식 농업 경관 경계 이동 배수구 수도 세부물 우물 창고 우물터 차고 파고라 평상 벤치 그네 정자 테이블 의자 텃밭 장독대 항아리 맷돌 가마솥 자연석 장대석 괴석 /동상 석조물 돌담 솟은대문 돌다리 굴뚝 기왓장 조명등 화단 / 화분 토석담 토담 디딤돌 석등 / 솟대 연못 정원석 잔디밭 평대문 울타리 분류된 정원 물별로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을 비 교해보면 <그림 1>과 같이 나타났으며 전통정원과 현 대정원 모두 경관 위주로 정원을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분석을 해보면 관리, 휴식, 농업, 경관은 현대정원으로 넘어오 면서 더 많이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동, 경계은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는 그 비중이 감 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의 경우 전통정원의 약 15%를 차지했던 관리물이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21%로 약 6% 증가하였다. 세부적으로 전통적원에서는 수도, 우 물, 우물터로 이용된 관리이 현대정원으로 넘어오 면서 차고, 수좃가, 창고 로 변화되었다. 휴식의 경우 전통정원에서는 약 12%를 차지하 였으나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20%로 8% 증가 하였다. 이는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정원에서 휴게 및 휴식을 위한 행위가 많아지고, 요구도도 높아져 그 네, 벤치 등 물 설치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 된다. 농업의 경우 전통정원에서는 약 20%를 차지하 였으나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24%로 약 4% 증가 하였다.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는 않아 전통적으로 정원에서 이루어지는 텃밭, 농업 생산을 위한 장독대, 항아리 등 정원에서의 생산활동 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텃밭의 경우 전통정원에 비해 면적 및 작물수가 증가 함에 따라 여가를 즐기면서 생산활동이 이루어지는 정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0 No.5 119

원형태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되며, 농업이 저장 및 생산을 위한 기능에서 텃밭과 같이 직접 생산이 가 능한 기능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전통정원에서 많이 나타나는 경계과 이동 의 경우 건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 외부와의 경계 물 등 경계를 위한 물이 설치되었으나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외부공간과의 구분이 없애고, 자연스럽게 정원과 외부공간이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조성하는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뿐만 아니 라 외부공간에서도 대지내 정원이 쉽게 보일 수 있도 록 토석담, 돌담 등을 제거하였는데 경관적 측면에서 도 경관 단절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 정원 변화라 할 수 있다. a:전통정원 물 설치현황 b:현대정원 물 설치현황 <그림 1>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물 설치 현황 분석 3.2.2. 식재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에 조성된 수종을 교목, 관목으 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통정원의 경 우 교목 39종, 관목 28종이 확인되었으며 현대정원의 경우 교목 47종, 관목 22종이 확인되었다.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식재된 교목을 분석해보면 <그림 2>와 같이 전통정원의 경우 감나무(77%)가 주 로 식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배롱나무(40%), 매실나 무(37%), 동백나무(33%), 단풍나무(30%) 순으로 나 타났다. 현대정원의 경우 <그림 4>와 같이 소나무 (87%)가 정원에서 주로 식재되는 교목으로 나타났으 며 그 다음으로 단풍나무(70%), 감나무(53%), 배롱 나무(43%), 목련(33%)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정원의 경우 감나무, 매실나무 등 과실수의 재 식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기 이후 풍비하였던 이용후생( 利 用 厚 生 )의 영향으로 풀이할 수 있다(Hu et al., 2009). 또한, 전통정원에서의 과실수는 실용적 목적으로 식재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제사, 약용 등을 목적으로 주로 식재되어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수종이 라 할 수 있다. 현대정원의 경우 소나무, 단풍나무 등 계절감을 느끼면서 활동을 유도하는 식물이 주로 식재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휴식활동을 위한 정원 문화가 활성화 됨에 <그림 2> 전통정원 교목 수종 현황 <그림 3> 전통정원 관목 수종 현황 <그림 4> 현대정원 교목 수종 현황 <그림 5> 현대정원 관목 수종 현황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5호 통권35호 120

따라 정원에서 감상을 즐길 수 있는 수종으로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정원의 관목의 경우 <그림 3> 과 같이 회양목(43%)이 주로 식재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그 다음으로 주목(37%) 3), 모란(33%), 진달래 (33%)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정원의 경우 <그림 5> 와 같이 주목(7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으로 철쭉(63%), 영산홍(50%), 회양목(47%)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정원에 비해 현대정원에서 꽃 감상을 위한 관목이 주로 식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텃밭가꾸기, 휴식 및 휴게 등 활동 위주로 정원이 변 화함에 따라 관목에 있어서도 감상활동을 유도하는 꽃 이 피는 관목이 주로 식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통정원의 경우 회양목, 주목 등 상록관목이 주로 식재되었으나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철쭉, 영 산홍 등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낙엽관목 위주로 식재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상시 푸르름을 느낄 수 있는 식재 유형에서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재 유형 으로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경관형 성 뿐만 아니라 정원 활동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도 록 식재 방법 또한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통정원의 경우 현대정원에 비해 관목 식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음양배합, 풍수지 리 등 전통적 사상이 반영(Shin, 2010)되어 관목보다 는 교목을 많이 식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3.2.3. 공간비율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공간비율을 분석해보면 식재 공간, 물 공간, 바닥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이 3가 지 공간에 대한 면적 비율을 <표 8과>같이 산출하였 으며 그 결과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면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식재, 물 순으 로 나타났다. <표 8>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면적 및 비율 통계량 구분 면적(m2) 비율(%) 총합 M SD 총합 M SD 바닥 19,19 전통 7 640 414 64.3 48 15 정원 식재 7,429 248 108 24.9 20 17 물 3,228 108 174 10.8 7 7 바닥 6,163 205 200 45.8 43 17 현대 식재 5,685 213 110 42.2 40 11 정원 물 1,256 45 33 9.3 11 9 세부적으로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바닥면적을 비교 분석해보면 <그림 6>과 같이 나타났다. 전통정원의 경 우 전체 정원면적 중 바닥면적이 64.3%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45.8%로 그 비율이 약 18.2% 감소 하였다. 이는 전통정원에서 통과 목적, 비어있는 바닥 공간이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다양한 활동이 나타 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어 비어있는 바닥 면적이 감소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바닥면적 중 잔디 면적 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돌, 흙 포장 등 전통적 방식 에서 잔디로 변화된 포장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활동 위주로 정원이 변화된 것을 미루어보았을 때 잔 디에서의 피크닉,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자아낼 수 있도록 바닥 포장 방법이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림 6>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바닥면적비율 비교분석 식재 면적은 <그림 7>과 같이 전통정원의 경우 전 체 정원 면적 중 20%를 차지하였으나 현대로 넘어오 면서 40%로 약 20% 증가하였다. 그 중 특징적으로 텃밭 면적의 경우 전통정원 30개소 중 15개소가 텃밭 을 조성하고 있고, 전체 정원면적(40,131m2) 중 6.15%(2,470m2)가 텃밭 면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대정원은 30개소 중 20개소가 텃밭을 조성하고 있 고, 전체 정원면적(13,463m2) 중 4.5%(607.47m2)가 텃밭 면적인데 면적 비율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에서의 텃밭 면적이 높으나 조성 비율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 이 50%, 현대정원이 67%로 현대정원에서 텃밭을 많 이 조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원에서 직접 식 물을 키우고, 가꾸는 등 생산, 체험 활동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한 정원 조성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텃밭 면 적이 현대정원에서 감소된 이유는 소단위로 작물을 재 배하는 방식으로 정원 생활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 다. <그림 7>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식재면적비율 비교분석 물 면적은 <그림 8>과 같이 전통정원의 경우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0 No.5 121

7% 나타났으며 현대정원은 11%로 약 4% 증가하였 으나 그 비율의 차가 매우 작으므로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의 경우 맷돌, 굴뚝, 돌, 항아리 등 식( 食 ) 관련 물, 대문, 담 등 경계 물 등 생활 양식에 따른 물이 주로 정원에 조성이 되어 있으나 현대 정원의 경우 벤치, 파고라, 그네 등 휴식 및 활동을 위 한 물 면적이 증가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조 성비율로 비교를 해보았을 때 휴식, 농업, 경 관이 현대정원에서 두드러지게 조성된 것으로 나 타났다. 특징적으로 물이 전통정원에서는 장독대, 담 등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그네, 퍼고라 등 휴식물 위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그 동안 주거 내부공간의 연장선상에서 저장장소, 외부와 경계를 짓는 공간으로 활용되었으나 기계, 전기 등 기 술의 발달로 저장, 식 관련 물이 기술에 의존하면 서 정원에는 활동, 휴식 등을 자아낼 수 있는 물 위주로 설치 및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8>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물면적비율 비교분석 4. 결론 최근 수목원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이하, 정원법) 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 에 따라 국내 정원사업은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으 며 정원 산업, 문화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 점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국내 정원이 어떻게 변화 하였고, 현대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정원 유형이 어떠 한 것인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전통정원, 현대정 원 각 30개소 총 60개소를 현장조사하여 물, 식 재, 공간비율에 대해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해 크게 3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물 조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관리, 휴식, 농업, 경관, 경계, 이동 총 6가지로 분류가 되었으며 전통 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경관 위주로 정원을 조성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정원에서 현대정 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6%), 휴식(8%), 농 업(4%), 경관(8%)가 증가하였으며 이동 (12%), 경계(12%)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현대 정원은 경관물 위주로 휴식물, 농 업물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며 휴식을 즐기고, 직접 생산활동을 하는 등 체험과 활동위주의 정원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식재 현황 중 교목과 관목 수종을 분석한 결과 전통정원은 교목 39종, 관목 28종이 확인되었으며 현대정원은 교목 47종, 관목 22 종으로 나타났다. 교목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과실수 (감나무, 매실나무 등)의 재식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 며 현대정원의 경우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단풍나무, 소나무, 감나무, 배롱나무를 많이 식재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전통정원은 음양오행, 이용후생 등 전통적 사 상을 반영한 수종을 많이 식재하고 현대정원의 경우 감상, 활동을 유도하는 수종을 많이 식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정원에서는 계절감을 느끼면서 다양한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수목 선정이 필요하다 고 판단된다. 셋째,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의 공간비율을 바닥, 식 재, 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통정원과 현대 정원 모두 바닥 면적인 각각 48%,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식재, 물 면적으로 나타 났다. 바닥면적의 경우 전통정원에서는 돌, 흙 포장이 주로 나타났으며 현대정원에서는 잔디 면적이 높게 나 타났다. 이는 돌, 흙 포장 위주였던 바닥 포장이 잔디 포장으로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포장 방법이 변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식재 면적은 전통정원에 비해 현대정원에서 텃밭면적이 높게 나타났는데 직접 생산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 위주로 식재 면적이 변화 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물 면적은 경관 물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전통정원에서는 장독대, 대문, 담 등 물이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그네, 퍼고 라 등 정원 활동 위주의 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현대정원은 바닥 포장에 있어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도록 잔디 포장을 권장하며 직접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물 설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통정원과 현대정원을 비교 분석하여 변 화 양상과 변화 요인을 도출하였다는데 점에서 큰 의 미가 있으며 향후 정원 조성 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5호 통권35호 122

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의 방법 및 기간의 제약으로 인해 다음 사항을 향 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첫째, 분석방법으로 실측을 통한 면적을 산출하였으 나 정원면적을 표준화 또는 기준이 될 수 있도록 복잡 한 영향관계를 고려한 정량적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고 판단된다. 둘째, 주택정원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주택, 학교 등 다양한 유형에 따른 정원 분석으로 향후 여러 정원에 대한 조성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향후 연구 과제를 보완한다면 정원 문화 활 성화 및 정원 관련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측면 에서 다양한 대안이 보다 면밀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 이다. References An, B.W., S.J, Kwon., Y.S, Kim., Y.I, Kim., S.B Lim. and K.W, Hwang.(1993). Landscape gyehoekron. Seoul: Munundang. Cho, D.B., S.R, Kim & G.H, Kim.(2007).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Design and Dwellers' Understanding of Garden Maintenance in Single Detached Urban Dwellings. J.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6)., 54-65. / 조동범, 김수란, 김근호, (2007). 도시 단독주택 정원의 공간적 특징과 유지 관리에서 보이는 거주자의 정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54-65. Choi, B.S.,(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Home Garden Components according to Maintenance Types. Hanyang University, Ph.D. Thesis. / 최봉수, (2012). 유지관리유형별 주택정원 구성요소 변화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Hu, J., Min, J. M. & S.Y, Lee. (2009). A Study on Recreating and Utilizing of Traditional Garden Style in a Folk House : Lee Jangwoo`s House in the City of Gwangju. J.Korea Agricultural History Association, 8(3), 111-33. / 허준, 장민, 이시영, (2009). 민가의 전통정원 재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이장우 가옥을 대상으로, 한국농업사학회, 8(3), 111-33. Hyun, Y.J.(1994). New lifestyles and residential landscaping. Lafent, 77(9), 158-161. Jin, H.Y, J.H, Song, & J.H, Shin, (2011). A Study on the Cognition of Design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J.Korean Socirty of Rural Planning, 14(4):53, 51-60. / 진혜영, 송정화, 신지훈, (2011). 전통 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4(4):53, 51-60. Jin, J.Y.(2010). Analysis of type and floral plants in korea home garden-focussed on the metropolitan area. Dankook University, MS Thesis. Kang, C.H.(2007). A Research of Applying Traditional Concept for Consolidating Competitiveness on Outdoor Spaces of Housing Complex. Sangmyung University, Ph.D. Thesis. / 강철현, (2007). 주거단지 옥외공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통개념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논문. Kwon, J.W.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ransparent Materials and Projection in Modern Gardens, J.Korea Society of Basic Design&Art, Vol.14 no.2, 13-23. / 권진욱, (2013). 현대정원에서 투영과 투명성 재료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14 no.2, 13-23. Lee, J.H, & B.S, Choi, (2011). Alteration Analysis of Spatial Components in Different Home Gardens. J.Korean Soc.People Plants Environ, 14(5), 315-329. / 이주형, 최봉수, (2011). 주택정원의 공간 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4(5), 315-329. Lee, N.R.(2015). (A) studies on the change of Rural Home Garden and Residents' Cognitions in the Urban Contex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 이나라, (2015). 도시 내 농촌마을 주택정원의 변화현상과 거주자의 정원인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Lee, S.H.(2005).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design elements in the Korean garden : A case study of overseas traditional gardens. Hanyang University, MS. Thesis. / 이승훈, (2005). 한국정원의 전통설계요소 표현에 관한 연구 :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 사례중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Norman K. Booth & James E. Hiss.(2001). Residential Landscape Architecture. USA: Prentice Hall. / Kim, Y.K. Trans.,(2008). 조경계획과 설계. Seoul: Naeha. O, K.A. (2013). The Discovery of the Garden. Seoul: Kungree. / 오경아 (2013), 정원의 발견, 서울:궁리. O, S.T.(2013). (A)Feng-shui study on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istic application. Hansung University, MS. Thesis. / 오성탁, (2013). 한국전통정원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현대적 응용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논문 Park, E.Y.,(2011).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J.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76. 28-38. / 박은영, (2011).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76. 28-38.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2014). 한국 전통정원활성화를 위한 표준모델 개발 및 지원방안 연구. Shin, J.H., J.H, Song. & H.Y, Jin.(2012). A Study on Planting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0 No.5 123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Vol.15 No.4., 287-299. / 송정화, 진혜영, 신지훈, (2012). 한국 전통정원의 식재 배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식물학회지, Vol.15 No.4., 287-299. Song, S.H., H.Y, Jin & J.H, Shin.(2012), A Study on Planting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5(4):74., 287-299. / 송정화, 진혜영, 신지훈, (2012). 한국 전통정원의 식재 배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식물학회지, 15(4):74., 287-299. 한국농어민신문, (2015, 07, 28). 수목원 정원법 본격 시행, 일자리 창출 블루오션 정원 산업 뜬다. Retrieved from http://agrinet.co.kr. www.doopedia.co.kr(2015.07.22.) Endnotes 1) 정환용(2006)은 시대에 의한 분류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 용하는 시대( 時 代 )의 원근( 遠 近 )에 의한 분류에 따라 고대, 중세, 근대, 현대의 4단계로 나누어 고찰되기도 한다. 고대 ( 古 代 )는 서구에서는 로마시대, 중국은 남북조시대, 한국은 삼국시대까지를 의미한다. 중세( 中 世 )는 6~14세기까지 중국 은 수, 당, 송, 원까지를 한국은 고려시대가 여기에 속한다. 근대( 近 代 )는 15~18세기까지 중국은 명, 청, 한국은 조선시 대가 여기에 해당된다. 현대( 現 代 )는 19세기 이후 중국은 신 해혁명(1911년) 이후, 한국은 해항이후 부터이다. 2) 정원 식물원의 법적 제도적 정착을 위한 인식 및 역사 적 발전에 대한 연구(2013)에서는 정원과 공원이 역할 및 기 능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식물을 기초로 이용하여 공공을 위 한 공간이란 점에서 그 역할이 유사하나 이에 대한 정확한 개념의 이해 없이 무분별하게 혼용되고 있다고 지적 3) 주목의 경우 자연생태계에서 생육상태를 고려했을 때 교 목으로 분류가 되나 일반적인 조경수로 활용되었을 경우에는 대부분 관목형태로 식재가 되고 있어 관목으로 구분하였으며 실제 현장답사 시에도 관목 형태로 나타남.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0권 5호 통권35호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