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여성 이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 문제 / 박 상 민 제 2세미나실 북한여성 이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 문제 박상민 서울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북한 - 영양상태 - 건강상태 - 보건의료체계 붕괴 - 교육 커리큘럼의 차이 - 다른 이데올로기 북한이주민의 흐름 중국 및 제3국: (국제법 보호 못 받는) 난민 -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불법 체류 - 심리사회적 부담 - 성폭력 -. 용어: 북한이주민 이주의 관점에서 사회적응과 정착지원, 보 건의료지원 등의 관점에서 접근 => 각 이주 단계에 따라 겪게 되는 보건의료문제 를분석 => 각 이주 단계별 적절한 지원체계를 구축 남한 - 건강상태 - 교육에의 적응 -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 다른 이데올로기 - 생소한 문화, 용어, 환경 등 -. 북한에서의 사회 문화적인 경험을 존중하 고 이해한다는 포용성이 전제 => 문화-친화적 보건의료 서비스 체계 필요 북한 및 제3국에서 겪는 보건의료 문제(1) 북한에서 극심한 식량난으로 인해 영양상 태의 불균형을 겪고 있음 - 연변지역 탈북 아동 및 청소년의 체위는 우리나 라 표준발육치의 7-8% 수준 - 청소년의 발육상태가 현저히 떨어져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영양결핍 있음 - 기초체력과 면역력의 저하 => 결핵과 같은 전염 성 질환에 취약하게 됨 북한 및 제3국에서 겪는 보건의료 문제(2): 붕괴한 북한의 의료제도 부족한보건의료자원및예산 1) 의료진이건 환자건 모두 과대 보고 2) 의료진 중 상당수는 시장에서 이 약제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 있음 잘못된 의료이용이 빈번하게 일어남 => 자기 스스로 진단해서 자의로 시장에서 약을 구입해 잘못된 자가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음 예방접종체계의 붕괴 33
11.1 2.2 4. 4.5.3 5. 8.6 1.3 3. 211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 통합학술대회 정착 초기 단계의 보건의료 문제(1): 감염성 질환 HBsAg (+) : B형 간염 보유자 남한 청소년 남한 2대 15 -B형간염면역상태: 7% HBsAg prevalence 1 -북한의 다른 예방접종 실태는? => DPT 백신 보급률 <37.4% 홍역백신 보급률 < 34.4% (1998) 5 Male Female Total 탈북자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예방접종 프로그램 필요 더 근원적인 해결책 : 북한 주민을 위한 예방접종 프로그램 지원 Prevalence of Unhealthy Behavior 1 9 8 7 6 5 4 3 2 1 정착 초기 단계의 보건의료 문제(2): 건강위험행태 55.6 29.4 흡연 6. 2대 61.1 어린 나이에 흡연 시작 => 니코틴 중독 남한 청소년 남한 2대 5. 음주 76.7 2대 Age at Unhealhty Behavior Initiation 2 1 15.5 16.8 흡연시작연령 남한 청소년 남한 2대 18.9 19 2대 스스로 금연 어려움 => 맞춤형 금연프로그램 필요 17.2 17.4 음주시작연령 2대 Height 18 17 16 15 14 이주 후 중장기 보건의료 문제(1): 성장과 비만 164 172.1 Male 173.7 남한 청소년 남한 2대 152.4 158.9 Female 161.4 - 작은 키 1) 초기 영양 상태 및 사회경제적 지위 반영 2) 스티그마 & 심리적 상처 3) 향후 비만이 될 위험인자 - 비만 1) 같은 칼로리를 섭취한다 해도 더 심한 체중증가 가능 2) 불균형한 영양 34
북한여성 이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 문제 / 박 상 민 이주 후 중장기 보건의료 문제: 불균형한 영양 24시간 식이 일지 분석 이주 후 중장기 보건의료 문제: 심리사회적 문제 남한 일반인 1 9 8 7 Prevalnce 6 5 4 3 56.4 남한일반인 29 24.2 32.3 - 특히 초기 정착 단계에서 우울, 불안 정도 심함 - 우울/불안이 미치는 영향 2 1 8.9 9.7 => 조기부터 적절한 선별검사와 중재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 1) 삶의 질 저하 2)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데 부정적 영향 중등도 불안 심한 불안 중등도 우울 심한 우울 35
211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 통합학술대회 생각해 볼 문제 -환자CASE 3세 여자환자가 북한에서 만성 담낭염을 진단받고 지속적인 상 복 부 통증과 오심, 소화불량을 호소하고 담낭이 아프다고 내원함 북한에서는 장마당에서 포도당, 페니실린 등을 자가 투약, 자가 뜸 치료를 하였으며 제3국 체류과정 중 재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서 악화되었다고 생각 대한민국에 가면 나을 수 있을 것 같다는 희망을 가지고 하나원 에 입소함 하나원 입소 후 복부 초음파, 피검사, 이학적 검사상 이상소견 없 어 담낭에는 이상이 없다고 설명하였지만 담낭이 아픈데 어떻게 이상이 없느냐고 화를 내며 추가 검사 원함 제산제 및 소화제를 처방하였지만 효과가 없다고 이야기하며 북 한에서 페니실린 IV후 호전되었다면서 주사 원함 - 특히 초기 정착 단계에서 우울, 불안 정도 심함 => 조기부터 적절한 선별검사와 중재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 Ref> 하나원 정신과 의사 전진용 선생님 자료 생각해 볼 문제 -환자CASE 이 환자의 진단명은? 검사상 이상이 없는 건강한 상태 질병이 있는 상태 신체화 장애(Somatoform disorder) 꾀병(Malingering) 소화불량이나 위염(Gastritis) 담낭염(Cholecystitis) 기타 진단? 검사상 이상이 없다는 것만으로 모든 치료의 끝? 환자는 자신의 진료에 대해 불만족 닥터 쇼핑, 또 다른 검사 시행 민간 요법, 북한에서의 의료 행태를 다시 보임 증상 표현의 특징 1)신체화증상 -검사에서 뚜렷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증상 예> 뇌타박, 방광염 배에 딴딴한 뭔가 만져진다. 목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 까무러친다. 속열이 세다. 손발이 차다. Ref> 하나원 정신과 의사 전진용 선생님 자료 2) 고착화된 증상 -완전히 낫지 않음을 호소함. 예> 완전히 낫지 않아 진단이라도 받아 보고 싶다. 할 수 있는 검사는 다 받 아보고 싶다. 이주 후 중장기 보건의료 문제: 사회문화적 차이 본인의 질병에 대한인지부족 - 본인이 HBsAg carrier 인지 모르는 경우 많음 - 예방/조기검진에 대한 인식도 저하 - 적극적인 만성병 관리에 대한 필요성 인지 부족 Ex)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진단을 받았어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실제 병이 라고 인지하지 못함 => 초기 관리 실패하고 합병증 발생 가능성 높음 왜곡된 의료 이용 - 북한이주민의 과도한 건강염려증 => 잦은 검사 및 과다한 의료이용 - 민간의료보험 환급제도의 과도한 활용 - 일차의료인과 탈북정착주민 간 신뢰관계 형성 어려움 - 체계적인 의료지원체계 부족 => 특히 지속적인 일차의료접근도 36
북한여성 이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 문제 / 박 상 민 북한이주민: 의료사회적 취약 대상자 북한이주민을 위한 보건의료 지원 예 의료 필요성 북한이주민 >> 미충족 수요 지원 의료지원체계 미흡 사회경제적 지위 언어-문화적 차이 의료사회적 취약대상자 의료비 지원 단체 -북한이탈주민후원회 -긴급의료지원(강서구청) -각 병원 사회사업실 활용 -지역 내 병원 협조 -기타: 새생명지원센터, 한국심 장재단, 아름다운재단 등 연계 서울 OO 하나센터 복지관 방문간호실 (보건간호사 상주) 연계 OO병원 -건강검진 -검진 후 유소견 관리 -북한이탈주민 코호트 구축 연계 지역의료기관 활용 정신보건센터 -산모 우울 예방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스크리닝: 신규전입자 위주 보건소 -조기검진, 만성질환관리 -의료비지원 : 암치료비 환급 등 -방문간호 -영유아관리: 필수예방접종, 영 양플러스 -산모도우미: 출산 15일 간 지역 간호사회 -임신 탈북 여성 대상 출산준비교실 및 출산 후 육아교실 지원 조직화된 통합 지원 체계: Architecture (구조) 보건소/ 동사무소 등 지역사회 자원 정보: e-mail, 전화, website + 인적자원 지원 + 재정적 지원 지역 기반의 통합 지원센터(?) Ex: 하나센터 정규 학교 대안 학교 성인교육센터 사회지원체계 하나원 (하나의원) 보건소 일차의료 네트워크 보건의료 지원센터: 정부산하기관, NGO 교육지원체계 교육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교육 관련 국공립의료원, 전문가 단체, 국립대병원 교육지원센터 의사, 간호사, 약사, 사회복지 사, 영양사, 자원봉사자 등 의료지원체계 공리주의 북한이주민 vs 다른 이주민 이성 & 평등 공동체주의 37
211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 통합학술대회 계서적 민족개념 (Hierarchical nationhood) 북한이주민과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정주및고용정책차이 이주노동자 내국인과의 혈연관계, 연고 북한이주민 등록 조선족노동자 (결혼이주민 제외) 등록이주노동자 (조선족, 결혼이 주민 제외) 미등록 이주노동자 조선족 동포 정치경제적 영향력 체류자수(년도) 16,241(29) 313,11(29) 23,59(29) 195,38(29) 새터민 역사적 맥락 법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및정착지원 에관한법률 방문취업제 고용허가제 불법 허용체류기간 정착 및 정주 3년(연장시5년) 3년(연장시5년) 해당없음 한국민 SEOL, SKRENTNY. Ethnic return migration and hierarchical nationhood;ethnicities.21 취업/사업장변경 자유/가능 업종제한/가능 거주지 및 최저 생계비 지원 업종제한/최대 3 회로 제한 해당없음 지원 불가 불가 불가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