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Vol. 10, No. 1, 2004 Fig. 3. Endoscopic findings of esophageal diverticula. Two diverticula with retained food materials are observed at 37 cm (A) and at 45 cm apart from the incisors (B). Fig. 5. Microscopic finding of esophageal diverticulum (H&E stain, 40). The diverticulum consists of muscular wall, submucosa, and squamous epithelium. Severe fibrosis is found in the wall of diverticulum. 인을 방지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수술 후 54일째 경피적 내시경적 위루술을 시행하였다. 경피적 내시경적 위루술과 위장관운동 촉진제, 반좌위 등 폐 흡인 방지를 위한 보존적 치료 후 흡인성 폐렴은 호전되어 기계적 환기에서의 이탈에 Fig. 4. Preoperative (A) and postoperative (B) esophageal manometry findings. Simultaneous contractions mixed with normal peristaltic waves are recorded (A). Normal peristaltic waves with low amplitude of less than 30 mmhg are found (B). 성공하였고 재활치료를 시작하였다. 수술 후 83일째 시행한 식도내압검사 소견은 정상 연동운동이 100%에서 관찰되고, 하부식도괄약근 기저압은 13 mmhg (정상 6~25 mmhg)로 이 상이 없었으나, 하부식도괄약근 3 cm과 8 cm 상부에서 측정 적 환기를 하였다. 이후 일시적으로 호전되어 기계적 환기에 한 원위부 연동운동파의 압력이 각각 15 mmhg와 13 mmhg 서의 이탈에 성공하였으나 검사실에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로 낮게 측정되었다(Fig. 4B). 이후 환자는 경피적 내시경적 을 위해 앙와위를 취하던 중 폐 흡인이 다시 발생하여 수술 위루를 제거하고 퇴원하여 5개월째 재발 없이 추적관찰 중 후 14일째 기계적 환기를 다시 시작하였다. 환자는 식도운동 이다. 기능에만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위 기능 및 장 기능에 있 어서도 마비성 장폐색 소견이 있어 erythromycin을 정주하였 다. 하지만 폐 흡인이 반복되어 비위관이 효과적으로 폐 흡 고 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