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 목 차 1. 서론 2. 전통음악의 지속적 성향 3. 외국 댄스음악의 도입과 새로운 조류 1) 외국 댄스음악의 특징 2) 외국 댄스음악이 K-pop에 미친 영향 4. 이종 매체 및 타 장르의 간섭에 의한 변이 1) 뮤직비디오의 출현과 발달 2) 트로트 발라드 록 장르의 간섭 5. 결론 : K-pop의 한국 대중음악사적 의미 1. 서론 K-pop은 댄스음악의 특성을 지닌다. 1) 이때 댄스음악은 춤출 수 있는 * 숭실대학교 1) 이 외에도 K-pop은 한국어와 영어 노랫말의 혼용, 청소년 중심의 아이돌, 한국 매니지먼트사에 의한 생산과 국제적 소비구조, 디지털 미디어 친화적 등의 특성을 지닌다. K-pop의 개념을 넓게 잡아 한국 대중음악 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K-pop이 지칭하는 특정 작품 부류가 용어의 출현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 분명히 존재한다는
354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음악 이라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대중음악이 시작된 이래 다양한 장르의 댄스음악이 나타나고 없어졌다. 이들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또 타 장르나 사회에 영향을 받으며 오늘날에 이르렀다. 그만큼 현재 K-pop의 음악적 특성은 복합적이고 혼종적이다. 그러나 그 와중에서도 댄스음악으로서의 보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는 분명 존재한다. 이는 한 국 전통음악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제의와 관련된 고대의 노래들 로부터 민요에 이르기까지 댄스음악의 핵심인 반복과 리듬감, 율동성은 꾸준히 발현되어왔기 때문이다. 2) 아울러 한국 대중음악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외국 대중음악에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K-pop 역시 리듬 앤 블루스 재즈 훵크 디스코 힙 합 하우스 테크노 일렉트로니카 등 각 시대에 유행한 댄스음악 장르 들의 주요 특징을 고루 가지고 있다. 말하자면 전통의 것이 외래의 것을 만나 새로운 모습을 띠게 된 셈이다. 여기에 뮤직비디오라는 시각매체의 출현과 발달로 그 지위는 보다 공고해졌고, 트로트 발라드 록과 같은 동시대 타 장르의 간섭으로 인한 변이를 겪기도 했다. K-pop의 음악적 특성에 대해 리듬, 가락, 화성 등의 요소로 상세히 분석한 양종모 3) 와 김진이 4) 는 K-pop이 댄스음악의 특성상 리드미컬한 빠른 템포, 짝수 박, 단조, 단음계, 1 2가지 코드패턴의 반복, 동 형 진행, 후크송 등의 특징을 지닌다고 하였다. 강현구 고훈준 5) 의 경우, K-pop의 중요한 음악적 특성으로 후크 점을 감안하면, 이 명칭이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총칭이라기보다는 특정 장르명이라 고 보는 편이 합당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 정의하는 K-pop은 한국 매니지먼트사 에 의해 생산되어 국제적으로 소비되는 아이돌의 댄스음악 이다. 2) 반복은 민요에서뿐만 아니라 고려가요, 더 나아가 고대가요에서도 빈번하게 사용 되는 수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장유정, 2003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 -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제16집, 한국구 비문학회, 80쪽). 3) 양종모, 2011 케이 팝(K-pop)의 학교 음악교육에 수용 탐색을 위한 음악적 특성 분 석, 음악응용연구 제4집, 한국음악응용학회. 4) 김진이, 2013 K-Pop의 형성과 음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55 (Hook) 의 요소를 들어 원더걸스의 Tell Me 이후 모든 아이돌 그룹은 후크송을 기본으로 하는 음악을 사용한다고 하였는데, 정찬중 최성영 배명진 6) 에 따르면 K-pop 후크송은 4/4박자, 평균 123bpm, 평균 41%의 반복구 비율, 평균 31초의 반복구 시작 시간, 3분대의 곡 길이, 평탄한 주파수 특성, 높은 자기상관도(기승전결이 뚜렷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난수 7) 는 후크송의 음악적 특징으로 짧고 매력적인 후렴구의 반복, 솔직하고 간결한 가사, 화려한 군무, 풍부한 사운드 등을 들었다. 이 외 다수의 연구자들이 분석한 후크송의 공통된 특징은 120bpm 이상의 빠 른 빠르기, 짝수 박, 반복, 순환 패턴 등이다. 후킹효과를 사람들을 사로잡는 효과 로 정의한다면 서정환 8) 의 주장처럼 후크는 멜로디뿐 아 니라 댄스, 의상, 외모 등 음악 외적인 부분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어 쨌든 이 후크송의 음악적 특징이 K-pop과 같은 맥락에 있다는 사실만큼 은 확실해 보인다. K-pop의 음악적 특성에 관한 기존 논의들은 모두 K-pop의 댄스음악 적 성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각각 객관적이고 실제적인 방식을 사용 하여 K-pop 작품들을 상세히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아쉬 운 부분은 모두 현상 분석에만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가 보다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려면 K-pop의 이러한 음악적 특성이 어디에 서 비롯되었고, 또 무엇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그래서 K-pop이 대 중음악사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있고,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도 함께 규 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K-pop의 본질을 밝히거나 대중음악시장의 미 5) 강현구 고훈준, 2013 K-POP의 음악 패턴 분석, 디지털정책연구 제11집 제3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6) 정찬중 최성영 배명진, 2010 후크송의 음향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 학회논문지 제35집 제2호, 한국통신학회. 7) 이난수, 2012 K-POP의 감흥( 感 興 ) 에 대한 연구 : 후킹효과(Hooking Effect)를 중심 으로, 인문학연구 제43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8) 서정환, 2011 대중음악의 훅(hook)에 관한 정의와 재해석, 음악학 제21집, 한국음 악학학회.
356 인문과학연구 제34집 래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K-pop은 전통음악으로부터 지속된 특징과 외부의 충격과 간섭에 의 해 변이된 특징 모두를 뚜렷하게 지니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양상을 전통음악, 외국 댄스음악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 또 새로운 전달 매체로서 뮤직비디오가 K-pop에 끼친 영향, 트로트 발라드 록 등의 동시대 타 장르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자 세히 살펴본다. 이를 통해 K-pop이 갖는 한국 대중음악사적 의미를 함 께 규명한다. 2. 전통음악의 지속적 성향 K-pop에 지속되는 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과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 해 먼저 전통음악과 대비되는 개념인 대중음악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대중음악의 정의에 대한 기존 논의들 중, 이영미는 근대 이후 대중매체에 의해 전달되면서 나름의 작품적 관행을 가진 서민의 노래 9) 라 하여 근대적 산물, 대중매체, 오리지널리티, 새로운 작품 관행, 서민문화 등의 특징적 요소들을 지적하였다. 장유정은 애초부 터 작사자와 작곡자가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음반 등의 대중매체를 통 해 유통시킬 목적으로 창작한 작품이자 상품 10) 이라 하였다. 물론 이때 노래의 주된 향유층은 대중 11) 이다. 이외에도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으나 대중음악을 규정짓는 공통적인 요소는 근대, 대 9) 이영미, 2009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4쪽. 10) 장유정, 2006 오빠는 풍각쟁이야-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민음in, 22쪽. 11) 사전적인 정의에 따르면, 대중은 수많은 사람의 무리 를 뜻한다. 그리고 사회적 의미로는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대다수의 사람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대체로 지위, 계급, 학력, 재산 등의 사회적 속성 을 초월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집합체인데, 이들의 특성은 크게 포괄 성, 익명성, 고립성, 비조직성으로 정리되곤 한다. (장유정 서병기, 2015 한국 대중 음악사 개론, 성안당, 37 38쪽).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57 중, 대중매체, 상업성(상품), 도시문화 등이며, 이를 종합하면 근대 이후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이 향유하는 상품으로서의 노래 로 정리할 수 있다. 대중음악을 대중음악이 아닌 것과 구별 짓는 핵심 요소가 창작성 과 상품성 이라면, 12) 그것은 민속음악의 적층성, 클래식(예술)음악의 계 급성 과의 다름을 강조하고, 아울러 음반 악보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 등 대중매체의 역할과 영향을 강조하는 의미일 것이다. 노래가 근대 대중매체의 출현과 발달, 상업문화 도시문화의 성장 등과 관련해 양식상 많은 변화를 겪은 것은 사실이기에 이러한 견해에 이견은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근대 이전의 사람들이 즐겨 불렀던 노래 장르는 무엇인가? 근대 이전의 사람들이 폭넓게 향유했던 노래 중 하나가 바로 민요이 다. 물론 민요 역시 계급성과 무관할 수 없다. 또 궁중음악을 비롯한 지 배층 음악도 민간의 음악과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대중음악 형성 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사람들의 삶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그들 의 사상과 모습을 가장 자연스레 형상화한 것이 민요이고, 특히나 민요 (향토민요)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통속민요, 신민요를 거쳐 대중 음악에 직접적으로 녹아들었기 때문에 K-pop에 앞선 전통음악 장르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13) 민요는 단순성, 지역성, 비고정성, 반복과 변화 라는 음악적 특징 을 지닌다. 단순성은 일상생활 속에서 노동 의식 유희 등을 위해 불린 인위가 최대한 배제된 자연성과 관계되고, 지역성은 한 마을, 한 지역을 기반으로 향유되던 향토성과 관계되고, 비고정성은 박의 길이나 박자, 장단, 음정, 선율의 자유로운 변화와 관계된다. 민요 음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반복과 변화는 각각 통일성, 다양성과 관계된다. 반복은 여러 음 12) 장유정, 2008 한국 대중음악사 기술을 위한 기초 작업-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대중음악 제1호, 한국대중음악학회, 84쪽. 13) 근대 이후 혹은 일제강점기, 민요의 대중음악화 과정에 대해서는 장유정 서병기, 2015 앞 책, 3장 대중음악의 출현과 갈래의 형성(1907 1944) 중 신민요의 형성과 전개(106 111쪽) 부분을 참고할 수 있다.
358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악적 요소의 끊임없는 반복을 통해 노래 전체의 통일감을 주고 이는 다 시 안정감을 주어 조화미를 만들어낸다. 이는 단순 노동의 반복 동작에 기인해 메기고 받는 형식 중 받는 소리의 가락과 사설의 반복으로 잘 나타난다. 변화는 원 가락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변화를 줌으로써 불안 감과 긴장을 낳고 이는 다시 흥미를 유발하여 생동감을 자아낸다. 이 역 시 노동 동작을 바탕으로 한 음악 속도의 변화, 사설에 따른 선율과 리 듬의 변화, 분위기 반전을 위한 청 의 변화로 잘 드러난다. 14) 즉 민요 음악에서는 단순함의 반복과 리듬감, 이를 기본으로 한 다채로운 변화와 생동감이 그 핵심이다. 민요는 본디 악기의 수반을 전제로 하지 않으며, 악기를 사용한다 해도 대 부분 타악기 정도가 고작이다. 타악기 반주, 또는 무반주로 노래할 때는 선율 보다는 리듬이 중시되지만, 현악기와 함께 노래하기 위해서는 리듬은 물론 선율의 미세한 부분까지 관심을 두어야 했다. 그러므로 전자의 경우에는 집 단적인 노래에 알맞다면, 후자의 경우는 개인적인 노래에 알맞다. 그 결과 현 악기는 선율을 발달시키고, 아울러 개인적 서정의 노래를 촉발시켰다. 15) 현악기의 섬세함과 잘 어울렸던 지배층 음악과 달리 민요는 단순하 고 투박했다. 전문 음악인이 아닌 일반 민중에게 악기 연주는 그저 두드 리고 치는 행위가 전부였다. 그마저도 북과 같은 타악기가 있는 경우는 드물었고, 박수치기나 발 구르기 혹은 작업 도구를 이용한 장단 맞추 기 가 주를 이뤘다. 이는 민요가 노동 현장과 같은 일상생활 속에서 주 로 연행되었던 것과 관련이 있는데, 이렇게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노래의 리듬감이 살아나고 또 이 리듬감은 반대로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능을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체 움직 임은 자연스레 흥을 돋우는 춤동작으로 이어졌다. 14) 최헌, 2009 韓 國 民 謠 音 樂 的 特 徵 의 哲 學 的 意 味 硏 究, 한국민요학 제27집, 한국민 요학회, 274 277쪽 참고. 15) 강등학 외, 2005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230쪽.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59 어여라 당겨라 어야디야 잘못 당기면 어야디야 춘풍세월 어야디야 바람때밀려 어야디야 이조기를 어야디야 다놓친다네 어야디야 - 어야디야소리-그물당기는소리 부분 상도리깨가 휘졌거든 에헤루 마뎅이여 곱도리깨는 후레치라 에헤루 마뎅이여 - 중략 - 마뎅이소리 한마디에 에헤루 마뎅이여 수복이 들어옵니다 에헤루 마뎅이여 - 마뎅이소리-도리깨질하는소리 부분 어야디야소리-그물당기는소리 는 조기를 잡을 때 부르던 수산노동요 이다. 선후창 형식으로 소리를 메길 때에는 한 사람이, 받을 때에는 여 러 사람이 제창을 한다. 반복 노동에 맞춰 불렀기 때문에 작업이 이루어 지는 동안에 이 같은 형식으로 계속해서 노래가 반복된다. 마뎅이소리- 도리깨질하는소리 역시 노동요로 규칙적인 반복을 통해 일꾼들의 동작 을 일치시켰다. 일사분란한 동작은 작업을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수행 하기 위한 필수요건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핵심은 작업 동작에 맞춘 반 복과 리듬감이고, 일의 진행 템포에 따라 노래 역시 빨라졌다 느려졌다 를 반복하면서 흥을 돋우고 능률을 높였다. K-pop의 음악 형식과 관련해 후크송 에 주목한 다수의 연구에 의하 면, K-pop은 120bpm 이상의 빠른 빠르기, 짝수 박, 반복, 단순 순환 패턴 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모두 춤, 그리고 흥과 관련이 있다. 흥 겨운 춤을 위해서는 빠른 템포에 최대한 쉬운 음악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야 한다. K-pop의 주요 특징인 집단 군무를 위해서는 더욱 그렇다. 여러 인원이 무대 위에서 일체감 있고 통일된 모습을 보여 줘야하기 때문이 다. K-pop은 리듬이 강조되는 단순한 음악 구조의 반복과 생동성이라는 민요의 음악적 특성을 계승했다. 흑인 노동요가 서양 전통의 클래식음악, 백인의 포크나 컨트리송 등 과 만나 이후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로 변모했듯이, 민요(향토민요) 역시 통속민요, 신민요를 거치며 외부의 다양한 음악 장르와 서로 많은 영향 을 주고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민요의 핵심적인 음악 특징인 반복과 리
360 인문과학연구 제34집 듬감이 재즈송, 16) 트로트, 록, 그리고 여러 댄스음악에 이어지며 오늘날 K-pop에까지 이른 것이다. 그런데 이 반복과 변화, 단순성, 리듬감, 선후 창 내지는 교환창 등의 음악 특징은 흑인 노동요를 근간으로 한 외국 댄스음악에도 나타나는 주요 특징인 바, 이것은 그간 K-pop의 시원 찾 기나 고유성 찾기를 어렵게 한 주요 원인이기도 했다. 현재 K-pop이 외국 댄스음악과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띠고 있다하더 라도 그 속에 지속되고 있는 전통음악의 요소를 잘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K-pop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와 본질을 규명함에 있어 대 단히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K-pop과 전통음악, K-pop 과 외국 댄스음악의 면밀한 비교 분석, 즉 무엇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밝히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악보 1. Stacey Q Two Of Hearts (1986) 부분 작사 작곡: John Mitchell, Tim Greene, Sue Gatlin 16) 이 명칭은 장유정, 2010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 재즈송 을 중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13집, 우리춤연구소에서 사용된 용어이다. 이 에 의하면 재즈송 은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발매된 대중음악의 갈래, 즉 당시 음반 가사지와 음반에 재즈송, 댄스뮤직, 룸바, 블루스 등으로 표기된 것들을 모두 지칭한다.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61 악보 2. 원더걸스 Tell Me (Sampling From Two Of Hearts ) (2007) 부분 작사 작곡: 박진영 / 편곡: 박진영, 이우석 2007년 발표된 원더걸스의 Tell Me 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후크 송의 원조이자 대표 격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tell me 로 반복되는 후렴구가 사람들의 귀를 사로잡아 큰 사랑을 받을 수 있었고, 이 후크적 요소나 후크송은 이후 K-pop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노래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1980년대 발표되었던 미국 가수 Stacey Q의 Two Of Hearts 를 샘플링했다. 원래 샘플링이란 기존 곡의 음원을 그대로 가져와 자신의 곡에 반주 등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일컫 는데, 이 곡의 경우 그보다는 주로 원곡의 멜로디나 이미지, 반주 스타 일을 차용하거나 창작에 참고했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17) 주목할 점 은 음조직이다. 이 노래의 창작자는 복고풍 느낌을 내고자 1980년대 유행했던 디스 코 리듬을 가져왔지만 음조직만큼은 원곡을 따르지 않았다. Two Of Hearts 에서는 3도가 반음 낮아진 블루노트와 블루스 음계가 사용되었 다. 이는 말 그대로 블루스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흑인 댄스음악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반면 Tell Me 는 단조의 라-시-도-레-미-솔 음이 사용되었다. 비록 순차진행의 영향으로 지나가는 음으로 시 가 추가되 17) 텔미 는 테테테테 텔미 라는 후렴구 부분에서 미국 팝가수 스테이시 큐의 Two of hearts 를 샘플링했다. ( 머니투데이, 2007년11월30일자).
362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었지만 근간은 라-도-레-미-솔 음이며, 이는 전 세계 각국 민요에서 두 루 보이는 5음 음계(pentatonic scale), 그중에서도 특히 경기 통속민요의 정격 라선법-반경토리 18) 의 특성을 잇고 있다. 이러한 음조직은 Tell Me 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K-pop 곡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물론 이것이 서양 조성음악에서 영향을 받은 것일 수도 있고, 대중음악 타 장르와 교 섭과정에서 변이를 일으킨 것일 수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흑인 댄스음 악을 분명하게 표방하고 있으면서도 그 특유의 멜로디와 음 구성만큼은 배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악보 3. 젝스키스 학원별곡( 學 園 別 曲 ) (1997) 부분 작사: 박기영 / 작곡 편곡: 이윤상 18)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서울 경기 지역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매우 크다. 이는 한국 대중음악이 형성되던 근대에도 마찬가지여서 이 시기 경기지역 민요의 특징을 살펴본다는 것은 대중음악으로 이어진 전통음악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김영운은 경기지역 향토민요의 음악적 특징에 대해 대부분이 노동요인 향토민요의 가장 보편적인 리듬은 3소박 4박형의 구조이며, 한배가 빨라지 면 2소박 4박형의 리듬도 활용된다. 그러나 한배가 매우 느린 노래는 불규칙한 리듬형 을 보이기도 한다. 고 하였고, 또 경토리(특히 진경토리)만 존재하는 지역은 거의 없이 수심가토리나 메나리토리와 병존하는 바, 그 병존지역조차 그리 넓지 않은 경기 북서부지역에 국한된다. 반면에 흔히 경상도나 강원도의 토리 라 하는 메나리토리의 분포지역은 매우 넓다 고 하고, 바로 이 점이 경기지역을 대표하는 음악적 특징을 향토민요에서 찾기 어렵게 하는 점 이라 하여 통속민요에서 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음악적 특징을 찾고자 했다. 이에 첫 번째로 5음음계를 사용하며, 전통적으로 진경토 리와 반경토리가 활용되었다. 이 중 진경토리는 악학궤범 의 평조( 平 調 )와 같고, 반 경토리는 계면조( 界 面 調 )와 같다. (김영운, 2009 경기 통속민요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 우리춤연구 제10집,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고 정리하였다.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63 1997년 발표된 젝스키스의 학원별곡 은 아리랑 의 노랫말과 모티 프를 차용했다. 원래의 민요들에서 주요 모티프만 따다가 새롭게 조합 하여 현실적 생활감정을 표현한 것도 넓은 의미에서 전통노래의 변이에 해당한다 19) 고 보았을 때, 이 노래는 가장 직접적으로 민요를 수용하고 변이시킨 K-pop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입시지옥의 현실을 고발 비판하는 이 노래는 그만큼 풍자적인 성격 을 띤다. 따라서 이 곡이 아리랑 을 차용한 주된 목적은 웃음을 유발하 기 위해서다. 악보 3은 곡이 전체적으로 무겁고 어둡게 전개되는 가운데 삽입되어 앞뒤와 전혀 어울리지 않고 오히려 코믹하다. 떠는 소리 를 많이 사용하는 보컬의 창법도 이러한 코믹한 이미지를 강화시킨다. 이때 웃음은 유쾌한 웃음이 아니다. 청자로 하여금 쓴웃음을 짓게 한다. 즉 이 작품은 익숙한 설정과 모티프를 가져와 새롭게 패러디해, 냉소 속에 서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 곡에서도 주목할 점 은 역시 음조직이다. 이 곡에서는 내림마단조의 라-시-도-미-파 음계가 사용되었다. 흔히 요나누끼 단음계라고 하는 라-시-도-미-파 단음계는 1930년대 신민요를 거쳐 이후 트로트로 이어졌다. 20) 즉 이 곡은 1990년대 미국에서 유행한 갱스터랩 21) 스타일의 흑인 힙합을 표방하고 있으면서도 가창 부분에서 는 신민요로부터 이어진 전통 음악 형식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K-pop의 반복과 변화, 단순성, 리듬감, 율동성 등의 댄스음악적 특 성은 민요로부터 계승되었다. K-pop이 표현하는 멜로디와 그것이 자아 내는 정조의 경우 더욱 그렇다. K-pop의 고유성은 바로 여기에서 나온 19) 조규익, 2008 구소련 고려인 민요의 전통노래 수용 양상, 동방학 제14호, 한서대 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5쪽. 20) 이소영, 2007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혼종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3-116쪽 참고. 21) 호전적인 랩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갱스터 랩은 도심에 사는 흑인들 중 가장 하류층 인 마약 판매상과 갱들의 폭력적 삶과 야만적인 상황을 그린 랩이다. (이수완, 2014 대중음악 입문 : 문화연구와 만나는 대중음악, 경성대학교 출판부, 160쪽).
364 인문과학연구 제34집 다. 대중음악이 형성되던 근대 한국이 역사적으로 일제강점기 등의 특수 한 상황 속에 있었다하여 전통음악은 완전히 단절되고 현재는 외래의 요소만이 남아 있다고 보는 견해는 타당치 않다. 흑인음악을 동경해 자 신의 디스코그래피 내내 흑인음악에만 천착하고 있는 작곡가 박진영이, 심지어 샘플링 했다고 솔직하게 밝히면서까지 발표한 노래에 흑인음악 특유의 음계는 배제하고 국악의 계면조에 가까운 음계를 사용한 것이 하나의 증거이고, 아리랑 의 노랫말과 모티프를 차용해 새로운 댄스음 악을 만들면서 정통 힙합 스타일을 완전히 따르기보다는 음조직과 창법 등을 민요에서 가져와 풍자성을 극대화시킨 학원별곡 의 사례가 또 하 나의 증거이다. 이는 흑인음악에서는 느낄 수 없는 한국 사람들이 좋아하 고,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한 멜로디가 분명 존재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3. 외국 댄스음악의 도입과 새로운 조류 대중음악의 역사는 20세기 초 대중매체의 발달과 함께 노래가 산업 의 영역에 들어오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기 미국 중심의 외국 대중음악의 주류는 블루스나 재즈로 대표되는 흑인음악으로, 이는 16세기 이래 아프리카 흑인문화와 음악이 서구사회에 유입되어 서양의 전통음악과 혼합되면서 끊임없이 변모해온 결과이다. 이후 변화를 거듭 하며 현재에 이르렀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 대중음악은 이들 노래들을 도입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을 거치며 여러 변이형을 만들었고, 그 결과물 중 하나가 현재의 K-pop인 것이다. 이에 먼저 주요 외국 댄스음악 장르 들의 특징을 통시적으로 간략히 살펴보고, 이들이 한국 대중음악에 도입 되어 어떻게 K-pop으로 표출되고 새롭게 변모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65 1) 외국 댄스음악의 특징 22) 외국 댄스음악, 23) 나아가 외국 대중음악의 근간이 되는 흑인 노예의 노동요에서는 화성이나 멜로디보다는 리듬이나 박자가 중요시되었다. 규 칙적으로 이루어지는 단순 노동의 호흡과 흐름에 노래가 잘 맞아야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과 같은 타악기가 강조되었다. 24) 그런데 실제 현 장에서는 손뼉 치기나 발 구르기가 박자를 맞추는 데 주로 이용되었고, 이러한 움직임은 자연스럽게 춤으로도 연결되었다. 또한 노동요는 선후 창의 콜 앤 리스폰스(Call and Response) 형식을 지녔다. 이때 중요한 것 은 서로 주고받기 쉽도록 짧고 단순한 멜로디를 반복적으로 부른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행의 특징은 대중음악에도 그대로 이어져 악곡 전개의 핵심 모티프 역할을 하는 리프(Riff) 25) 를 형성시켰다. 한편, 지독한 현실 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간절함은 신앙으로까지 이어졌는데, 이들은 현세 에서는 불가능한 자유와 해방을 신앙을 통해 내세에서 이루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흑인 영가(Negro Spirituals)가 생겨났다. 교회를 통해 찬송가 등 서양 전통음악을 접한 흑인들은 음악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기 때문에 악기도 없이 본인들만의 방식으로 찬송가를 불렀다. 당연히 멜로디나 음높이, 박자는 원곡과 맞지 않았고, 끝음처리 도 제각각이었다. 정해진 순서도 없어서 노래는 끝도 없이 반복됐다. 그 22) 이수완, 2014 대중음악 입문 : 문화연구와 만나는 대중음악, 경성대학교 출판부 ; 이에스더, 2012 대중음악과 문화, 계명대학교 출판부 등 참고. 23) 이때 외국 댄스음악 이란 주로 영미지역의 댄스음악을 일컫는다. 대중음악은 영미, 그중에서도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발달되었다. 이에 일반적으로 대중음악 이라하면 영미 대중음악 을 일컫기도 하는데, 본고에서 사용하는 외국 대중음악 이 란 용어는 영미 대중음악 을 뜻하며, 이는 외국 댄스음악 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4) 북은 원래 아프리카 토속 음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북을 치는 행위로 병을 치유하거나 언어를 모방해 재판이나 의사를 전달하는 기능까지 수행했다.(황영순, 2011 미국 흑인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과정, 미국사연구 제34집, 한국미국사 학회, 118-119쪽 참고). 25) 두 소절 또는 네 소절의 짧은 구절을 몇 번이고 되풀이하는 재즈 연주법. 또는 그렇 게 되풀이하는 멜로디. ( 표준국어대사전 ). 리프는 사람들에게 곡의 이미지를 각인 시킨다는 점에서 후크(Hook)와 개념이 유사하다.
366 인문과학연구 제34집 러한 와중에 저마다 즉흥적으로 원곡을 조금씩 변주하기 시작했고, 그러 면서 곡은 보다 다채롭고 풍부해졌다. 감정을 절제시켜 가장 아름답고 정제된 소리를 내는 서양 전통음악의 법칙은 알지도 못했고, 그러한 훈 련을 받지도 않았기에 이들의 노래에는 안타까움이나 한탄, 절망과 같 은 솔직한 감정이 그대로 드러났다. 노래에는 항상 박수와 함께 춤이 동반되었으며, 불안정하고 불분명한 삶의 현실은 장조도 단조도 아닌 모호한 음악 정서를 표출했다. 흑인음악 특유의 블루노트(Blue Note), 26) 싱커페이션(Syncopation), 27) 애드리브(Ad-lib), 28) 비브라토(Vibrato), 29) 벤 딩(Bending) 30) 의 기타 연주법, 미끄러지듯 오르락내리락하는 음정 표현 등은 모두 이러한 것들에서 비롯되었다. 노동요와 흑인 영가의 특징을 이어받은 것은 블루스(Blues)이다. 블루 스는 단순한 화성과 멜로디에 리프가 강조되었다. 또 삶의 애환을 솔직 하게 표출하고 진솔하게 노래했다. 다른 점이 있다면 노동요 흑인 영가 가 공동체적이고 추상적인 주제를 다뤘다면 블루스는 지극히 개인적이 고 현실적인 주제를 다뤘다는 점이다. 이후 블루스는 리듬이 점차 빨라 져 1950년대 이르러 리듬 앤 블루스(Rhythm and Blues, R&B)로 파생되 었다. 리듬 앤 블루스는 블루스에서 리듬이 강조된 음악이다. 템포가 빨라 지고 리듬감이 강화되어 사람들의 흥을 돋우고 몸을 움직이게 한다. 사 26) 블루스 음계의 특징이 된 음이 블루 노트로 각각 반음씩 낮아진 3도와 7도, 그리고 마찬가지로 반음 낮아진 5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 27) 같은 높이의 센 부분과 여린 부분이 이어져서, 여린 부분이 센 부분으로 되거나, 센 부분이 여린 부분으로 되어 셈여림의 위치가 바뀌는 것, 당김음. ( 파퓰러음악용 어사전, 삼호뮤직, 2002). 28) 라틴어 ad libitum에서 유래한 용어로,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라는 의미지만 코드 진행이나 모드를 기본으로 자유롭게 즉흥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 파퓰러음악용어 사전, 삼호뮤직, 2002). 29) 음악 연주에서 목소리나 악기의 소리를 떨리게 하는 기교. ( 두산백과, 두산잡지, 1997). 30) 피킹 후에 누르고 있는 줄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겨서 음정을 변화시키는 것이 다. (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67 람들은 단순한 패턴의 리듬을 반복하고 그것에 맞춰 춤을 추는 과정에 서 아프리카 전통의 이미지를 환기시켰다. 그만큼 베이스나 드럼 같은 리듬악기의 역할이 중요했다. 리듬 앤 블루스는 이후 로큰롤(Rock & Roll)과 소울(Soul)/훵크(Funk)로 나뉘었다. 로큰롤도 처음에는 댄스음악이 었으나 1960년대 이후, 백인 중심의 록(Rock)이 되어 음악정신의 순수성 과 저항성을 강조하며 차차 변모해갔으며, 훵크는 댄스음악의 계보를 이 으며 이후 디스코, 힙합이 생겨나는 데에 큰 기여를 했다. 1970년대 댄스음악은 디스코(Disco)가 주도했다. 디스코는 리듬 앤 블 루스나 훵크보다 훨씬 더 춤추기 쉽게 변했다. 박자는 짝수 박으로 고정 되었고, 신시사이저(Synthesizer) 31) 와 드럼머신(Drum Machine) 32) 을 이용하 여 크게 쿵쿵거리는 단순한 사운드를 만들었다. 록이나 재즈 연주자가 보이는 화려한 기교는 사라지고, 듣는 사람의 춤을 이끌어내는 원초적이 고 육감적인 사운드만이 남게 되었다. 힙합(Hip-Hop) 33) 은 독특한 음악 작법을 가지고 있다. 힙합의 DJ는 디스코텍의 DJ가 음악을 재생하던 것과 유사하게 음악을 만들었다. 이 때 사용된 방식은 기존의 음악을 재료로 하는 창조적 짜깁기 이다. 이 는 전통의 음악 작법과는 완전히 달랐다. 당시 빈곤층 흑인이 음악교 육을 받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악보를 그려 작곡하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낡은 턴테이 블(Turntable) 34) 과 버려진 믹서(Mixer) 35) 등을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시키 는 일뿐이었다. 하지만 단순한 재생 방식은 아니어서 두 음반을 이어 31) 소리를 전자적으로 발생 변경시키는 기계장치. 흔히 디지털 컴퓨터를 사용하며 전자음악 작곡과 라이브 연주(즉흥적 성격이 강한 생음악 연주)에 쓰인다. ( 브리태 니커 사전 ). 32) 타악기의 리듬을 전기적 장치를 통하여 만들어 내는 기계. ( 표준국어대사전 ). 33) 힙합은 1970년대 뉴욕 게토의 흑인과 히스패닉 청소년 사이에서 생겨난 음악 장르이 자 현대 미국 사회의 주변인으로 살아가는 흑인들의 생활양식 그 자체이다. 34) 레코드플레이어에서 음반을 올려놓는 회전반을 말한다. ( 오디오 용어사전, 새녘 출판사, 2013). 35) 두 가지 이상의 음원을 하나의 음으로 합치는 기계 장치. ( 영화사전, propaganda, 2004).
368 인문과학연구 제34집 틀고, 함께 틀고, 여러 번 틀고, 번갈아 틀었다. 그런데 대단히 아마추어 적일 수 있는 이러한 섞는 행위는 오히려 대중음악의 독창적인 기법으 로 발전해갔다. 두 음악을 최대한 자연스레 교차(Cross fade)시키기 위해, 또 흥을 효과적으로 고조시키기 위해 볼륨 페이더와 이퀄라이저(Equalizer) 등의 필터 계열의 이펙터를 기술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한편, 힙합댄스는 남에게 과시하는 춤이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춤 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보다 더 개성 있고 인상적이어야 한다. 그만큼 화려하고 격하다. 뉴욕의 할렘가 아무도 보지 않고 관심두지 않는 곳에 서 추는 춤은 자기들끼리의 즐김 그 이상이었다. 역설적이게도 그것은 자신들의 목소리와 모습을, 사회가 감추려하는 곳을 있는 그대로 봐달라 는 강력한 외침이었다. 이는 몸에도 맞지 않고 어울리지도 않는 옷과 액 세서리를 이것저것 걸치는 패션 방식에서도 드러나고, 껄렁대고 과장된 말투와 걸음걸이, 극단적으로 눈에 띄게 그리는 거리의 낙서에서도 드러 난다. 그것은 사회의 가장 낮고 먼 데 있으면서도 자신감과 자존감을 잃 지 않으려는 자기 과시와 자랑의 방법이었고, 국가와 사회의 관심을 촉 구하는 절박한 행동이었다. 또 자신들을 억압하는 지배 질서에 대한 저 항의 표시였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청소년들이 힙합의 이러한 으스대 고 반항적인 이미지에 열광했다는 점이다. 당시 청소년은 큰 구매력을 가지고 있었고, 힙합의 시장성은 대중음악을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했다. 성공을 위해 가수가 전문적으로 갈고 닦아야 할 요소에 춤이 새롭 게 추가가 된 것이다. 아울러 콘테스트나 페스티벌을 통해 크루(Crew) 대항으로 전문적인 배틀(Battle)이 시작되면서부터 자유로운 스타일이었던 힙합댄스가 점차 형식적으로 변해갔다. 그중에서도 두 사람 이상, 많게는 팀 전체가 모두 행했던 루틴(Routine)댄스는 배틀 전에 미리 합을 맞춰와 보여줌으로써 상대의 기를 죽이고 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 는데, 이러한 춤 형태는 이후 대중음악에서 화려하고 조직적인 군무로 이어졌다.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69 일렉트로니카(Electronica)는 1980년대 중반 등장한 댄스음악이다. 이 역시 흑인음악의 특성을 계승했다. 디스코에서 음악을 재생하는 DJ의 역 할이 중요했던 것처럼 일렉트로니카 역시 신시사이저, 샘플러(Sampler), 36) 이펙터(Effector), 37) 믹서, 턴테이블, 콘트롤러, 컴퓨터 등 미디(MIDI) 38) 기반의 각종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음악을 만드는 DJ, 프로듀서, 엔지 니어의 역할이 핵심이었다. 이때부터 대중음악의 창작은 전적으로 디지 털 미디어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또한 일렉트로니카는 120bpm 이상의 빠른 빠르기, 4분의 4박자, 2비트 드럼의 리듬 패턴, 반복적인 리프의 특 징을 지녔다. 이렇게 댄스음악은 대중음악의 중심에서 긴 세월동안 조금씩 모습과 이름을 달리하며 변화해왔다. 시대마다의 성격에 맞게 적응을 해온 셈인 데, 종적으로나 횡적으로나 장르 간 영향을 끊임없이 주고받으며 오늘날 에 이르렀기에 각각의 음악적 성격을 딱 잘라 규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핵심적인 요소는 분명 존재해 한국 대중음악의 전개과정과 K-pop 형성 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외국 댄스음악이 K-pop에 미친 영향 1980년대 힙합댄스의 세계적인 열풍은 한국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물론 이전 시기인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이금희나 김추자, 김정미가 독특하고 열정적인 댄스를 보여주며 이슈가 된 적은 있으나 댄스음악을 주류로 이끌지는 못했다. 하지만 1980년대는 달랐다. 특히 36) 미리 기억된 자연음을 음원으로 사용하는(샘플링 음원) 악기를 모두 가리키며, 샘 플링 머신이라고도 한다. (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 37) 전기 신호화한 음을 가공하여 원음과는 다른 음으로 변화시키는 일반적인 기기를 가리킨다. (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 38) 전자 음향 합성 장치나 디지털 피아노 따위의 여러 가지 전자적인 음악 장치들을 연결하여 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의 편집이나 특수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 표준국어대사전 ).
370 인문과학연구 제34집 마이클 잭슨과 마돈나의 폭발적인 인기는 한국에서도 댄스음악을 주류 로 올려놓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70년대 말, 디스코풍의 노래를 불렀던 이은하, 나미, 인순이 등을 비롯하여 1980년대 김완선, 박남정, 소방차 등은 댄스가수로 큰 인기를 끌었다. 뿐만 아니라 이주노, 양현석, 박철우 등은 전문 댄서로, 김창환, 최진열, 신철 등은 DJ로 활동하며 이 름을 떨쳤다. 이들은 댄스음악을 한국 대중음악시장의 주류로 만드는 등 K-pop 발생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39) SM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이수만은 1980년대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며 MTV와 마이클 잭슨, 마돈나, 바비 브라운, 뉴 키즈 온 더 블록의 성공을 목격했다. 당시에는 가수의 현란한 춤이 주도하는 댄스음악이 대 유행이었는데, 그는 이를 한국 대중음악에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이미 세계 시장의 주류가 된 댄스음악이 한국의 청소년에게도 큰 호응을 얻 을 것이라 확신했기 때문이다. 댄스음악 가수가 체계적인 춤을 본격적으로 보여주기 시작한 것은 이때부터이다. 이전 시기까지 가수 혹은 뮤지션은 본인이 춤추기보다는 청중이 춤추게 하는 역할에 충실했다. 즉 이전까지의 음악은 수용자의 춤을 위한 음악이었다. 재즈가 그랬고, 리듬 앤 블루스가 그랬고, 로큰롤 이 그랬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훵크와 디스코, 힙합이 유행하고 본격 적인 보는 음악 의 시대를 맞이한 이후부터 댄스음악은 수용자보다는 가수의 춤을 위한 음악이 되었고, 이는 음반 제작 시 필수적으로 고려해 야할 요소가 되었다. 이 때문에 당시 한국에서 댄스음반을 기획하던 SM 엔터테인먼트(당시 SM기획)를 비롯한 여러 음반사나 매니지먼트사에서 는 무엇보다 춤 잘 추는 가수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수만은 댄스음반 제작을 위해 이태원 등지의 클럽에서 DJ로 활동 하고 있던 최진열 40) 을 통해 현진영, 강원래, 구준엽을 소개받았다. 이들의 39) 장유정, 2012 보는 음악, 몸의 음악: 댄스음악,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음), 한울, 338-348쪽 참고. 40) 클럽 DJ 출신으로 SM엔터테인먼트 최초의 매니저. SM엔터테인먼트에서 현진영과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71 가능성을 본 이수만은 현진영과 와와라는 팀을 만들었다. 1990년 New Dance 1 이라는 음반 발표 후 이들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1992), 듀스(1993)가 차례로 나와 댄스음악 열풍을 이끌었다. 1996년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 이후 SM엔터테인먼트는 H.O.T.를 발 빠르게 데뷔시켰다. 1996년 발표된 H.O.T. 1집 타이틀곡인 전사의 후예 는 힙합, 그중에서도 갱스터랩을 표방했다. 우선 어두운 계열의 헐렁하 고 치렁치렁한 옷차림과 도발적이고 격렬한 댄스가 이를 잘 보여준다. 음악적으로는 미국 갱스터랩 그룹인 사이프러스 힐(Cypress Hill)의 I Ain t Going Out Like That 과 베이스 리프와 리듬, 랩 플로우(Flow) 41) 가 유사해 당시 표절시비가 일기도 했지만, 디지털장비를 이용해 만든 무겁 고 강렬한 느낌의 리듬 패턴이 곡 전체에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분노에 차 소리치다가도 체념한 듯 금세 수그러드는 창법과 또 그러한 전개를 통해 학교 폭력에 시달리는 청소년 화자의 심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여기에 날카로운 보컬 톤도 일조했다. 잘 생기고 개성 강한 H.O.T. 다섯 멤버는 금세 청소년의 우상이 되었 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20대의 입장에서 10대를 대변했다면, H.O.T.는 진정한 10대의 대변자로서 한동안 절대적인 인기를 누렸다. H.O.T.는 댄 스음악, 영어 노랫말, 매니지먼트사의 기획 아이돌 등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당대 아이돌 중 가장 먼저 해외에 진출했고, 심지어 1집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1996)의 수록곡과 2집 Wolf And Sheep (1997)의 수록곡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행복 (1998)이 중국과 일본에서 공식 발매된 것을 계기로 K-pop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H.O.T.를 K-pop의 출발점으로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42) 와와의 매니저를 한 뒤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 등 여러 가수의 매니저이자 음반기획 자로 활동하였다. 41) 비트 위에 언어를 어떤 식으로 올리느냐에 따라 생겨나는 흐름, 플로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글자 수, 읽는 속도, 톤, 숨소리, 음, 쉬는 여백, 멜로디 등 정말 다양하다. (김성훈, 2015 랩 창작 방법-라임과 플로우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37쪽).
372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악보 4. 비 It s Raining (2004) 부분 작사 작곡: 박진영 / 편곡: 박진영, 권태은 2004년 발표된 비의 3집 It s Raining 은 일본, 중국, 홍콩, 대만, 태 국,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총 100만 장이 넘게 팔리며 비를 일약 월드스 타로 올려놓았다. It s Raining 은 이 앨범의 동명 타이틀곡이다. 마이클 잭슨, 어셔(Usher) 등의 리듬 앤 블루스 계열 댄스음악에 많은 영향을 받 은 이 곡은 104bpm의 빠르지 않은 미디엄 템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싱커페이션을 사용해 스윙감을 만들어낸다. 이로 인해 비는 본인의 섬세 하고 잘 훈련된 몸동작 하나하나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악보 5. It s Raining 싱커페이션 리듬 반주는 드럼과 베이스 사운드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묵직하고 웅장 하게 구현되며, 특히 시퀀서(Sequencer) 43) 를 이용한 중고음의 리프가 무 42) 이상욱, 2015 K-pop의 노랫말 특성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제16집,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110쪽.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73 한 반복되며 이와 균형을 이룬다. 가상악기(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를 이용한 음악 제작은 일반적인 수준을 넘어 이 곡에서처럼 이제 핵심을 차지하게 되었다. 창법은 리듬 앤 블루스 창법으로 애드리 브가 많이 사용되고, 콜 앤 리스폰스 형식을 사용한다. 특이한 점은 솔 로 가수인 본인이 혼자 매기고 받아야 하는 관계로 실제 라이브 무대에 서는 선창 부분을 미리 녹음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립싱크나 가창 력 논란을 불러 일으켰지만, 격한 댄스로 인해 부족할 수 있는 호흡을 보완하는 데에는 큰 역할을 했다. 또 힙합 식의 브레이크 비트를 간주에 삽입해 백댄서들과 고난도의 춤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방식은 K-pop에 흔히 사용되어 가수의 멋진 댄스를 보여주고 곡을 지루하지 않게 해주 는 기능을 한다. 악보 6. 소녀시대 The Boys (2011) 부분 작사: 유영진 / 작곡 편곡: Teddy Riley, DOM, 김태성, Richard Garcia 43) 신시사이저의 주변 기기로, 자동 연주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 파퓰러음악용어사 전, 삼호뮤직, 2002).
374 인문과학연구 제34집 2011년 소녀시대 3집 타이틀곡 The Boys 는 일렉트로니카 요소가 강한 댄스음악이다. 115bpm 빠르기에 올림바단조의 조성을 가지고 있다. 구조는 ABC 형식이며, 단순한 코드진행에 싱커페이션 드럼 비트가 곡 전체에 반복되어 역동성을 더한다. 리듬 앤 블루스 창법과 랩이 조화를 이루며 흑인 댄스음악 고유의 느낌을 잘 드러낸다. 무엇보다 1990년대 초반 뉴 잭 스윙(New Jack Swing) 44) 의 유행을 주도하며 마이클 잭슨의 프로듀서로도 활약한 테디 라일리가 곡 작업에 직접 참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SM엔터테인먼트가 20년 전 현진영의 음반을 준비할 때 레퍼런스 삼고 영향을 받았던 음악이 뉴 잭 스윙이다. 그런데 이를 주도 한 미국 본토의 프로듀서와 협업까지 시도했다는 점은 그만큼 SM엔터 테인먼트가 이 스타일에 천착해왔음을 의미한다. 악보 7. 싸이 강남스타일 (2012) 부분 작사: 싸이 / 작곡: 싸이, 유건형 / 편곡: 유건형 44)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미국 가수 겸 프로듀서 테디 라일리(Teddy Riley) 가 주도한 댄스음악. 리듬 앤 블루스에 랩을 더해 감미로운 멜로디의 미디엄 템포 곡에서도 역동적인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 바비 브라운, 베이비페이스, 마이클 잭슨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는 주로 랩댄스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SM엔터테인먼트의 첫 댄스음악 작품인 현진영의 슬픈 마네킹 (1990)이 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75 2011년 발표되어 셔플댄스 열풍을 일으킨 미국의 일렉트로니카 그룹 엘엠에프에이오(LMFAO)의 Party Rock Anthem 을 연상시키는 강남스 타일 은 전형적인 일렉트로니카 계열의 댄스음악이다. 여기에 싸이의 투 박하지만 수준 높은 랩과 노래가 더해져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132bpm 빠르기에 2비트의 단순한 리듬패턴과 2마디 리프가 잘 맞물려 반복된다. 나단조의 조성에 코러스는 들어가지 않는다. 가장 주목할 점은 반주 부 분이다. 악보 8. 강남스타일 리프 강남스타일 의 반주는 일렉트로니카의 기법을 그대로 차용해 구현 되었다. 일렉트로니카는 컴퓨터를 비롯한 미디 기반의 신시사이저, 드럼 머신, 샘플러, 이펙터, 턴테이블, 믹서, 콘트롤러 등 각종 디지털 장비와 가상악기를 이용해 음악을 만든다. 클럽의 라이브 현장에서 DJ는 기기 를 조작해 끊임없이 반복 진행되는 비트 위에 여러 사운드 소스를 조 금씩 변형한다. 강남스타일 의 경우도 악보 8의 멜로디 리프가 3 4개 의 다른 음색과 질감으로 변주된다. 악기를 다루고 악보를 그리는 전통적 개념의 작곡가와는 달리 DJ는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음악을 만드는 새로운 형태의 창작자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람들의 춤을 이끌어내는가 이다. 여기에 DJ 의 모든 음악적 감각과 역량이 발휘된다. 이에 일렉트로니카의 핵심 기 법 중 하나는 이퀄라이저 등의 필터 계열 이펙터의 사용에 있다. 필터 이펙터(Filter Effector)는 전기신호로 바뀐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 켜서 음색을 바꾸는 기기이다. 45) 즉 특정 영역의 주파수를 부스트(Boost) 45) 안자이 나오무네, 2014 (연주자와 엔지니어를 위한) 이펙터 교과서, SRM, 47쪽
376 인문과학연구 제34집 하거나 컷오프(Cutoff)해서 사운드를 무겁고 둔탁하거나 가볍고 날카롭게 만드는 것이다. 이는 원래 전기 잡음을 없애거나 레코딩 과정에서 잃어 버린 자연음 느낌을 살리는 데 주로 사용했었다. 그런데 이를 극단적으 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독특한 효과 때문에 음악 제작에 널리 쓰이게 된 것이다. 강남스타일 에서처럼 반주의 사운드가 서서히 커진다거나(인트로 부 분), 노래가 진행되던 중에 갑자기 사운드가 작아졌다가 서서히 커진다 거나(브릿지 부분), 급속도로 사운드가 없어진다거나(후렴 전) 하는 것은 모두 필터 이펙터를 사용한 결과이다. 이때 청자 입장에서 사운드의 레 벨 차가 느껴지는 것은 볼륨의 문제라기보다는 가청 주파수의 문제이다. 둥둥거리는 드럼과 베이스의 저음만 들리는 것은 나가려는(Pass) 고음 부분을 막았기 때문이다. 또 모든 주파수대를 컷오프하면 아무 소리도 안 들린다. 그러다가 서서히 필터를 열어 고음의 영역까지 다 들리게 하 면 곡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고조시킬 수 있다. 필터 이펙터는 음의 높 낮이 조절에도 유용해 이 곡의 경우, 반주 중에 나오는 사이렌 소리에 사용되었다. 이 곡에서는 아니지만 필터 이펙터를 사용하면 바람소리와 같은 사운드 효과도 낼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 지금부터 갈 때까지 가볼까, 옵옵옵옵, eh eh eh eh eh eh 부 분 역시 필터 이펙터를 사용했다. 46) 여기에는 스텝 시퀀서(Step Sequencer) 의 사용이 더해져 특정한 간격으로 규칙적인 소리가 나게 장치했다. 이 것은 드럼의 필인(Fill in)과 같은 효과를 내어 곡의 분위기 전환에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것들은 자연스레 청자의 흥을 돋우어 신나는 춤을 이끌어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K-pop은 댄스음악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빠른 템포, 짝수 박, 단순한 패턴 반복, 멜로디나 화성보다는 리듬이 강 참고. 46)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음악 편집이 자유로워진 지금으로선 이보다 더 쉽게 해당 음절을 단순히 이어붙이는 방법도 가능하다.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77 조되는 K-pop 곡들의 공통된 특징은 모두 이와 관련이 있다. 사실 K-pop을 힙합이나 일렉트로니카 같은 기존 장르 중 하나로 규정지으려 하는 것만큼 무의미한 일이 없다. 대중음악이 오랜 세월동안 변이와 지 속의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그중 댄스음악의 범주에 속하는 일 련의 장르들이 이름을 달리하며 생멸했다면 K-pop은 그와 맥을 같이하 는 또 하나의 장르이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흑인음악이 아메리카 대륙으 로 건너가 수많은 대중음악 장르를 만들어 낸 것과 같은 이치이다. 47) 4. 이종 매체 및 타 장르의 간섭에 의한 변이 1) 뮤직비디오의 출현과 발달 1980년 12월, 컬러TV방송이 한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 혁명적 수 준의 색채 변화는 TV에만 머물지 않고 사람들의 일상에까지 영향을 주 었다. TV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연예인의 화려한 옷과 액세서리, 진한 메이크업은 시청자의 눈을 사로잡았고, 특히 상업 광고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제품 선전은 사람들의 구매욕을 자극해 소비를 촉진시키고, 전통 적인 소비 패턴마저 변화시켰다. 급격히 이룬 경제 성장, 고용의 확대, 탈정치적 문화정책은 한국사회 를 점차 향락적이고 소비 지향적으로 만들었다. TV에 나오는 상품이 엄 청난 판매고를 올리고, 그에 따라 방송사의 광고 단가는 올라갔다. TV 방송은 자본주의 논리 속에 완전히 편입되었고, 보다 많은 수익을 위해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콘텐츠만이 선택되었다. 대중음악 역시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음악순위프로그램이나 버라이어티쇼 무대에 서는 47) 이는 북미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어서 중남미에서는 살사, 콩가, 볼레로, 맘보, 차차, 삼바, 룸바 등과 같은 장르가 파생되었다.
378 인문과학연구 제34집 가수들의 비주얼은 이전보다 훨씬 화려해졌다. 보다 매력적이고 세련된 볼거리를 제공해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아야 했기 때문이다. 이를 기점으 로 대중음악의 패러다임은 듣는 음악 에서 보는 음악 으로 바뀌었다. 이제 사람들은 가수의 노래뿐만 아니라 외모와 의상, 퍼포먼스까지 중요 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 TV 와 대중음악의 상업적 결합인 MTV의 개국이다. 24시간 뮤직비디오를 보여주는 뮤직 텔레비전(Music Television)인 MTV는 1981년 8월 미국에서 개국했다. 영상 세대의 욕구와 감성을 정 확히 파악한 MTV는 라디오와 음반이 들려주던 대중음악에 이미지를 연 결시켜 보다 쉽고 매력적인 방식으로 보여주었다. 경제적 효과가 큰 TV 매체에 대중음악을 결합시키는 MTV의 행보는 사실 예견된 것이었다. 문제는 시각적인 부분이었는데, MTV는 지상파방송 프로그램이 하지 못 하는 다양한 영상 기법을 활용해 파격적인 이미지의 뮤직비디오들을 선 보였다. 마돈나와 마이클 잭슨으로 대표되는 1980년대 미국 대중음악은 댄스 음악이 주류였다. 댄스음악이 록을 제치고 주류가 된 데에는 MTV의 역 할이 크다. 비즈니스-정치적이었던 MTV와 CBS의 관계 48) 를 차치하더라 도, 필연적으로 MTV는 댄스음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은 보 다 현란하고 드라마틱한 볼거리를 원했는데, 악기연주로 한정적이던 록 밴드의 몸동작에 비해 댄스가수의 움직임은 한층 더 역동적이었기 때문 이다. 이 시기 MTV 뮤직비디오에서 댄스가수의 화려한 의상과 춤, 관능 적인 이미지는 각종 첨단 기술과 촬영 편집 기법으로 보다 세련되고 감각적으로 표현되어 청소년 소비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48) 1981년의 MTV한테 흑인 음악은 여전히 충분히 크로스오버하지 않고 메인스트림 과는 거리가 먼 게토로만 간주되었다. 중략 어느 날 CBS-마이클 잭슨은 에픽 레이블을 통해 CBS와 계약 관계에 있었다-의 회장이 화를 내며 계속해서 마이클 잭슨을 거부한다면 CBS의 목록 전부를 걸고 MTV를 보이콧하겠다고 협박했다 중 략 MTV는 록을 버리고 팝과 R&B를 택했다. (프레데릭 마르텔 (권오룡 옮김), 2013 메인스트림, 문학과지성사, 177-178쪽).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79 한국의 경우, 가요 탑 텐 이나 젊음의 행진 과 같은 TV음악프로그 램이 댄스음악의 유행을 주도했다. 오빠부대의 등장과 함께 TV음악프로 그램은 청소년 취향의 댄스가수들이 득세하기 시작했다. 당시의 방송 제 작 관행도 일조했다. 자본주의 논리로는 댄스가수를 방송에 더 많이 출 연시키는 것이 당연했다. 라이브 연주를 위해 대규모의 악기 장비와 인 원이 필요했던 록과 같은 다른 장르보다 녹음된 음원으로 쉽게 반주를 재생할 수 있었던 댄스음악이 훨씬 경제적이었기 때문이다. 또 한정된 방송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가수를 출연시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 켜야 했기 때문에 회전률도 높아야 했다. 빠른 등퇴장은 시간 단축의 핵 심이었고, 출연진의 기동성은 필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이후 심화되어 한 프로그램에 십여 팀의 댄스가수가 빠르게 이어서 출연하는 방식을 낳게 하였다. 이 휴지 없는 생방송 무대 보기는 MTV 뮤직비디오 보기 와 다름이 없었다. MTV 형식의 음악 전문 케이블방송은 1995년 한국에 처음 도입되었 다. 그해 3월 종합유선방송(CATV)이 시작되었는데, 이때 Mnet과 KMTV 라는 2개의 음악 전문 채널이 함께 개국했다. 이중 Mnet은 MTV의 방송 형식을 표방해 국내에서의 성공을 노렸고, KMTV 역시 한국 대중음악의 활성화 세계화를 목표로 야심차게 시작했지만 초창기 방송콘텐츠의 부 족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때만 해도 한국 대중음악에서의 뮤직비디오 제작은 그리 활발하지 않았다. 1980년대 후반부터 간간히 토 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와 같은 TV음악프로그램에서 가수나 음반사 대 신 뮤직비디오를 직접 제작해 주었지만 필요성이 크지 않았고, 자본과 기술력 또한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주로 해외에서 프로그램을 사오 거나 뮤직비디오를 공급받아 방송했는데 이마저도 한계가 있어 1995년 3월부터 8월까지의 재방송 비율은 KMTV가 62 65%, Mnet이 40 46%에 달했다. 49) 이러던 것이 1996년 서태지와 아이들이 Come Back Home 으 49) 김명혜, 1996 MTV 한국 진출의 문화적 의미, 언론과 정보 제2권 제1호, 부산대학 교 언론정보연구소, 64-67쪽 참고.
380 인문과학연구 제34집 로 MTV Video Music Awards에서 Asia Viewer s Choice를 수상한 것을 기점으로, 1996년 한 해 동안 200여 편이 제작되는 등 본격적인 뮤직비 디오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뮤직비디오 제작기술과 관련 시장은 크 게 발달하였고, Mnet과 KMTV는 방송 시장의 확대, 거대 자본의 투자 등으로 성공가도를 달리게 되었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는 한국 대중음악시장 최대의 호황기였다. 1995년 발표된 김건모 3집 잘못된 만남 은 280만 장이 팔려 한국 최 다 판매 앨범 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 김건모, 룰라, 박미경, 박진영, 노이즈, 클론, H.O.T., 젝스키스, S.E.S., god, 유승 준 등 이 시기 대중음악을 주도한 것은 댄스가수와 댄스음악이다. 댄스 음악은 청소년이 된 에코세대(Echo-boomer Generation) 50) 를 타깃으로 화 려하고 감각적인 뮤직비디오를 앞세워 맹위를 떨쳤다. 뮤직비디오 영상 제작에 주로 활용되는 기법은 댄스음악에 최적화되어 있다. 뮤직비디오 영상 제작에는 빠른 속도의 장면 전환, 점프 컷, 무빙 카메라, 몽타주 기법, 그래픽 처리, 사물 움직임의 속도 변형 등이 사용된 다. 51) 많은 쇼트(Shot) 52) 를 이용한 짧고 복잡한 컷 편집 53) 으로 뮤직비디오 속 댄스가수의 움직임을 더욱 역동적이고 화려하게 만든다. 반대로 어떤 동작이나 표정을 부각시키기 위해 화면을 아주 느리게 재생시킨다. 신체 의 섹슈얼한 이미지를 드러내기 위해 여러 상징적 기호들을 교차편집하 거나 컴퓨터그래픽 작업으로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모든 시각적 요소는 단순한 노랫말 음악과 긴밀히 연결 50) 한국전쟁 후 태어난 베이비붐세대의 자녀 세대. 디지털세대 라고도 함(정성호, 2006 20대의 정체성(살림지식총서235), 살림, 45-46쪽 참고). 51) Gershon R. P, 1991 Music Video and Television Commercials : A Comparison of Production Styles, Doctorial Dissertation (Indiana Univ), 35 43쪽 ; 김영식 권중문 지현호, 2000 국내 뮤직비디오의 영상적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연구, AURA 제7 권 제1호, 한국사진학회, 78쪽에서 재인용. 52) 촬영의 기본 단위로서 한 번에 촬영한 장면 ( 영화사전, propaganda, 2004). 53) 컷 편집은 쇼트와 쇼트를 바로 이어붙이는 편집방법 ( 영화사전, propaganda, 2004).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81 되어 반복 제시됨으로써 사람들을 손쉽게 낚아채는 후크가 된다. 그림 1은 비의 It s Raining 뮤직비디오의 한 장면(Scene)이다. 노래 (시간)의 흐름에 따라 2초 정도의 아주 잠깐 동안 이루어지는 춤동작을 최대한 부각시키기 위해 다섯 가지 쇼트를 빠르게 이어 붙였다. 이는 하 나의 쇼트를 통해 고정된 시선으로 춤동작을 바라보는 것보다 훨씬 현 란한 인상을 준다. 또 4와 5는 같은 쇼트인데, 이를 슬로우로 재생시켜 동작과 옆으로 튀기는 물방울을 강조함으로써 가수의 섹시함, 무대 위의 열기와 황홀경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그림 1. 비 It s Raining 뮤직비디오 댄스음악을 중심으로 한 한국 대중음악은 MTV를 통해 중화권에 전 파되었다. 1998년 H.O.T.의 앨범이 중국과 일본에서 정식 출시되고 대성 공을 거두며 본격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때도 뮤 직비디오가 큰 역할을 했다. 이들 소비자에게는 노래의 내용보다는 뮤직 비디오 속 비주얼이 더 유효하고 강력하게 어필되었던 것이다. 이때부터 한국 대중음악의 댄스음악 장르는 K-pop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한편, 뮤직비디오는 2005년 유튜브의 등장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다. K-pop 뮤직비디오가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가진 동영상 서비스 매체 를 통해 유통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기 시작한 것이다. 유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한국 아이돌의 화려한 군무와 외모, 그리고 이를 잘 표현
382 인문과학연구 제34집 한 영상은 해외 소비자들에게 매우 신선하고 매력적인 콘텐츠였다. 이렇 듯 뮤직비디오는 댄스음악을 한국 대중음악의 주류로 만들고, 나아가 K-pop의 주요한 특성이 되게 하였다. 2) 트로트 발라드 록 장르의 간섭 한국 대중음악에서 K-pop 이전 혹은 동시대를 대표하는 장르로 트로 트, 록, 발라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그간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해왔으며 K-pop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들 각각의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장르 간 간섭이 심 하게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지만, 그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 특성과 차이 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트로트는 라-시-도-미-파 다섯 음을 기본으로 하여 특정한 악구를 단순 반복하기보다는 계속 다른 곡조를 붙여 한 절을 이루는 신파조의 진지하고 심각하고 무게감 있는 정서의 음악이다. 54) 발라드는 화려한 멜 로디와 다양한 화성을 구사하여 고급스럽고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주로 피아노 주도의 반주에 현악기가 애절함을 더하는 서양 근대 백인 음악의 특징을 오롯이 드러내는 음악이다. 55) 록은 금속성의 디스토션 기 타가 이끄는 거친 그룹사운드에 강한 백비트 리듬, 공격적인 드럼 연주 와 내지르는 창법이 특징인 음악이다. 56) K-pop은 트로트와 발라드, 그리고 록의 이러한 각기 다른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이를 그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자세히 살펴본다. 54) 이준희, 2012 한국 대중음악의 출발: 트로트와 신민요,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음), 한울, 239-259쪽. 55) 이영미, 2012 한국식 팝의 형성과 변화: 스탠더드 팝과 발라드,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음), 한울, 262-282쪽. 56) 박애경, 2012 한국 포크와 록의 연대기,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음), 한울, 285-310쪽.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83 악보 9. 유승준 가위 (1997) 부분 작사: 이승호 / 작곡: 이윤상 1990년대 들어 힙합이 주류적 위치를 차지함에 따라 미국의 흑인 래 퍼처럼 랩을 할 수 있는 가수의 수요가 많아졌다. 자연스레 재미교포 출 신의 가수가 한국 대중음악계에 속속 데뷔하기 시작했는데, 그중 하나가 유승준이다. 1997년 발표된 1집 West Side 의 타이틀곡 가위 에는 한국에서는 그 간 들을 수 없었던 영어 랩이 인상 깊게 들어가 있다. 이는 앨범의 제목에 서도 알 수 있듯이 미국 서부 힙합 씬의 랩 스타일을 표방한 것이다. 134bpm의 빠른 템포에 일렉트로니카 요소를 지니고 있어 속도감 있는 댄 스음악의 전형을 보여준다. 시원스런 랩과 노래에 인상 깊은 춤까지 더해 져 당시 큰 인기를 얻었다. 특이한 점은 본토 성향 강한 랩과는 달리 가창 부분은 그간 한국 대중음악에서 흔히 볼 수 있던 스타일이라는 것이다.
384 인문과학연구 제34집 힙합, 하우스뮤직, 리듬 앤드 블루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래를 시도했 어요. 제가 하고 싶은 노래 절반과 한국인의 정서에 맞을 만한 노래 절반 정도 였죠. 6개월여 간 작업을 하면서 흑인음악에 녹아 있는 애환과 우리네 정서가 비슷하다는 걸 발견했죠. 그 공통분모를 접목한 게 성공요인인 것 같아요. 57) 데뷔 후 다섯 달 만에 정상에 오르고 가진 유승준의 인터뷰 내용이 다. 1집 앨범을 작업하는 과정에서 흑인 댄스음악에 바탕을 두고 한국인 에게 익숙한 멜로디와 화성 요소를 추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K-pop 과 이전 주류 장르 내지는 전통음악을 잇는 특정한 정서와 음악적 스타 일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악보 10. 원더걸스 Nobody (2008) 부분 작사: 박진영 / 작곡: 이우석, 박진영 / 편곡: 이우석 57) 가위 로 한여름 가요계 강타 유승준 태평양 건너온 스무살 반란, 경향신문, 1997년08월25일자.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85 2008년 JYP엔터테인먼트에서 기획 제작되어 발표된 원더걸스의 Nobody 는 1960년대 미국 모타운 레코드(Motown Records)의 슈프림즈(The Supremes) 를 연상시키는 음악 스타일과 비주얼로 화제를 모았다. 이 곡은 레트로 한 흑인음악 스타일을 표방했지만 창법이나 멜로디, 화성 등은 다분히 한국적이다. 즉 4분의 4박자, 131bpm의 템포, 내림마단조의 조성에 싱커 페이션 리듬을 갖는 등 흑인 댄스음악의 특징을 많이 지니면서도 창법 이나 멜로디는 전통적으로 트로트 등 한국 대중음악에서 흔히 보이는 형식을 사용한다. 주로 라-시-도-미-파 단조의 5음계가 한 옥타브 이내 에서 단순하고 규칙적으로 전개되고, 리듬 앤 블루스의 거칠고 자유로운 창법보다는 오히려 담담하고 깔끔하게 노래한다. 애드립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코드 진행도 익숙하게 반복된다. 곡조에서는 애수의 정조마저 표출 되는데, 이러한 혼종적인 이미지는 원더걸스의 미국 진출에 일조했다. Nobody 는 2008년 9월 22일 한국에서 발매된 지 하루도 지나지 않 아 미국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블로그인 페레즈힐튼닷컴(perezhilton.com) 에 소개되면서 미국시장에 처음 알려졌다. 58) 언론에 따르면, 포스팅 하 루만에 8만여 미국 네티즌과 업계 종사자들이 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 큼 영향력 있는 매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는 것인데 Nobody 뮤직 비디오를 올리며 작성한 이 포스트의 제목은 How The Koreans Do It (한국인이 하는 방식)이었다. 소개 글 중에는 There s even rapping! (심 지어 랩도 있다)이라는 표현도 있다. 미국인에게는 익숙한 흑인음악의 레트로 스타일을 한국식으로 풀어내고, 노래 말미에는 영어로 랩을 한 것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음을 시사한다. 이를 계기로 원더걸스는 미국 활 동을 시작해 Nobody 의 영어 버전의 경우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차 트 핫100의 76위에 올랐다. 이 시기부터 유튜브, 블로그와 같은 SNS가 K-pop 전파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K-pop은 정통 흑인음악과는 또 다른 음악 스타일을 앞세워 세계시장에 효과적으로 어필했던 것이다. 58) 원더걸스 노바디, 美 연예 블로그에 소개, 연합뉴스, 2008년 09월 24일자.
386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악보 11. 거짓말 피아노 리프 2007년 발표된 빅뱅의 거짓말 은 당시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일본, 태국 등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특히 이를 계기로 2008년 미니 앨범 For The World 가 발표되면서 일본에서의 공식적인 활동이 시작되었다. 빠르기 125bpm의 일렉트로니카 요소를 많이 차용한 이 노래는 4박자 하우스풍의 단순한 드럼&베이스 리듬 패턴을 가지고 있다. 쉬운 멜로디 를 리듬 앤 블루스식의 창법으로 노래하고, 코러스와 랩 더블링은 이전 보다 훨씬 전문화되고 견고해졌다. 발표 당시 노래를 작사 작곡한 멤버 G-Dragon의 프로듀싱 능력이 큰 주목을 받았는데, 특히 한국어 랩 라임 (Rhyme, 압운 押 韻 ) 59) 과 플로우의 형식미를 잘 드러낸 랩 메이킹이 돋보 인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4마디의 피아노 리프이다. 이는 현악기(String), 게이트 패드(Gate Pad)와 잘 어우러져 서정적이면서도 경 쾌한 느낌을 주는데 이러한 형식은 발라드에서 흔히 보인다. 이 외에도 K-pop에는 댄스음악임에도 리듬악기보다 피아노와 현악의 반주가 중심 이 되어 화성학적으로 화려하고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곡들이 많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발라드의 영향 때문이며 그로인해 사운드가 한층 유려하고 풍부해졌다. 한마디 예고 없이 잘라버리고 내 인생 좀 바꿔주오 그대들 바라는 것이라면 말 잘 듣는 puppet가 되도 좋아 짜놓은 각본대로 그렇게 어디한번 잘되나 지켜봅시다 Uh! Yeah! Here comes the H.O.T. I m not not not not I m not a fool Sock it H.O.T. 59) 시( 詩 )와 같은 운문에서 행의 처음과 행의 끝, 행간 휴지( 休 止 ) 등에 비슷한 음 혹은 같은 음을 반복해서 문장을 정비하는 수사법. ( 두산백과, 두산잡지, 1997).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87 날 버리겠죠 그렇죠 몽땅 쓸어버리겠죠 한심한 꼬라지들 구제불능아라고 자기들같이 잘난 사람 되라고 어쩌고 저쩌고 지지고 짜지고 떠들어대는 껍데기들 난 그게 싫어 하나도 보고 배울 것이 없는 그대들 재미없어 없어 자신을 바라봐 모두 똑같은 크기의 젓가락 행진일 뿐이야 - H.O.T. 열맞춰! (1998) 부분, 작사: 유영진, Groovie. K / 작곡 편곡: 유영진 1998년 발표된 H.O.T. 3집 Resurrection 의 타이틀곡 열맞춰! 는 빠 른 템포의 격한 군무가 돋보이는 전형적인 댄스음악이다. 하지만 반주는 디스토션 걸린 일렉트릭 기타와 강한 비트감의 드럼이 주도하는 하드록 스타일이다. 퀄리티 있는 록 사운드 표현을 위해 기타리스트 Groovie. K 가 곡 작업에 참여했다. 특히나 영어 노랫말 부분에서는 정통 하드록 장 르에서나 보일법한 고함에 가까운 내지르는 창법이 사용된다. H.O.T.의 경우, 이 곡 말고도 아이야! (1999) 등에서 이러한 록 사운 드를 비중 있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허세 가득하고 권위적인 기성세 대를 향한 저항과 폭력적이고 무책임한 사회에 대한 비판 등 비교적 무 겁고 심각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의도에서다. 서태지와 아이 들에서부터 시작된 이러한 유형은 K-pop 곡들에서 종종 보인다. 이들 모두 록 사운드와 록 장르 자체가 가진 저항적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차 용한 경우로, 해당 곡의 비판적인 메시지를 보다 강하게 어필하려는 목 적에서다. 이상에서 트로트 발라드 록이 K-pop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그것이 어떤 효과를 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 장르는 비교적 동시대에 존재했고, 현재도 한국 대중음악을 구성하는 주요 장르인 만큼 앞으로도 이들 사이의 음악적 간섭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388 인문과학연구 제34집 5. 결론 : K-pop의 한국 대중음악사적 의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K-pop은 전통음악으로부터 지속된 특징 과 외부의 충격과 간섭에 의해 변이된 특징 모두를 뚜렷하게 지니고 있 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K-pop의 한국 대중음악사적 의미와 위치를 엿 볼 수 있다. 한국 대중음악의 작품이나 장르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사 서술을 위 한 전 단계 작업이다. 한국 대중음악사 서술은 결국 한국 대중음악의 개 별 작품과 장르에 대한 연구들을 일정한 체계 속에서 공시적 통시적으 로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간 학계에서는 대중음 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대중음악사 서술에 있어서도 주목할 만한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나름의 성과와 선구적인 지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노정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시 대구분의 문제이다. 한국 대중음악사 서술에 있어서 시대구분은 중요하다. 시대구분이 제 대로 선행되어야만 한국 대중음악의 공시적 통시적인 양상을 정확히 짚어내고, 그 흐름을 옳게 서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대중음악사 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사적 변화만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이 대중음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대중음악의 변화 와 직접적으로 대응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10년 단위로 구분하 는 방식은 서술상의 편의에 불과하다. 올바른 대중음악사 서술을 위해서는 대중음악 자체의 변화에 우선적 으로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대중음악 자체의 변화와 지속의 양상을 먼 저 파악하고, 이것이 사회적 배경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시대 전환의 논 리를 가지면 이를 기준으로 시대구분을 하는 것이 제대로 된 대중음악 사 서술의 출발점인 것이다. 60) 60) 조규익 교수는 문학사 서술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문학사를 서술하기 위해서는 문학사의 시대구분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시대구분은 문학의 변화와 지속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89 그렇다면 시대구분의 기준은 무엇인가? 조규익 교수는 하나의 동질 적인 시간대에서 또 다른 동질적인 시간대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일종의 전환점이 필요하다 61) 고 하면서 바로 이 전환점이 시대구분의 단서가 된다고 하였다. 아울러 우리 시가의 전환은 대체로 그것의 존립 기반이 었던 국어와 음악의 변화에 대응되는 현상이었으리라 추측된다 62) 고 하 며 전환점 설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K-pop은 한국 대중음악사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63) 한국어와 영어 노랫말이 혼용되는 또 하나의 핵심 특성은 차치하고서라 도 K-pop은 민요 등의 한국 전통음악으로부터 지속되는 음악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리듬 앤 블루스나 디스코, 힙합, 일렉트로니카 와 같은 외국 댄스음악에서 영향을 받아 변이된 모습까지 뚜렷하게 보 이기 때문이다. 이는 K-pop만의 독자성을 드러내주며, 일정 부분 간섭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트로트 발라드 록 등 K-pop 발생 이전 장르와 K-pop을 구분 짓게 하는 주요한 특징이기도 한 것이다. 에 대한 파악을 전제로 한다. 문학에서 일어난 구체적인 변화를 매듭삼아 시대구분 을 하되, 그것이 합리성을 얻으려면 변화되지 않고 지속되는 부분에 대한 파악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말하자면 구체적인 변화만을 매듭삼아 시대구분하는 데 그친다면, 기술된 역사가 토막 난 글들의 집합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이다. 외면으로 는 토막 난 글들의 모임이라 할지라도 이면적으로는 부단히 흐르는 연속체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일반 역사의 기술뿐 아니라 문학사의 기술에 있어서도 진( 眞 )이다. (조규익, 1996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 朝 鮮 詩 歌 史 綱 ) 론 : 한국고전시가사 서술 방안(1), 애산학보 19집, 애산학회, 38쪽). 이러한 관점은 대중음악 분야에서도 마 찬가지여서 신현준은 21세기에 접어든 현시점에서 조망할 때 필요한 것은 대중음 악의 역사에서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시기구분으로 보인다. (신현 준, 2015 1970 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 서술의 쟁점: 불확정적 텍스트와 복합적 매개의 난점, 대중음악 제15호, 한국대중음악학회, 98쪽)고 지적한다. 61) 조규익, 2006 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 학고방, 40쪽. 62) 조규익, 2006 앞 책, 49쪽. 63) 박애경은 전환에 대해 가요라는 말에서 K-pop으로의 전환은 일국 내에서 통용되던 대중음악이 지구화시대에 부응하여, 장르적 증식 혹은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 하고, 이것에는 대중음악의 질적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의미도 포함된 다 고 했다. 이때 질적 전환이란 트로트에 기반하고, 선율 중심, 주제 중심으로 이루 어진 노래가 댄스를 전제로 한 음악에 기반하고 비트 중심, 후크 중심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박애경, 2012 가요 개념의 근대화, 식민화, 혼종화, 구비문학연구 제34집, 한국구비문학회, 179쪽)고 했다.
390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참고문헌 강등학 외, 2005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230쪽. 강현구 고훈준, 2013 K-POP의 음악 패턴 분석, 디지털정책연구 제11집 제3 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김명혜, 1996 MTV 한국 진출의 문화적 의미, 언론과 정보 제2권 제1호, 부 산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64 67쪽. 김성훈, 2015 랩 창작 방법-라임과 플로우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37쪽. 김영식 권중문 지현호, 2000 국내 뮤직비디오의 영상적 특성에 따른 유형분 류 연구, AURA 제7권 제1호, 한국사진학회, 78쪽. 김영운, 2009 경기 통속민요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 우리춤연구 제10집,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김진이, 2013 K-Pop의 형성과 음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예술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박애경, 2012 한국 포크와 록의 연대기,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음), 한 울, 285 310쪽. 박애경, 2012 가요 개념의 근대화, 식민화, 혼종화, 구비문학연구 제34집, 한 국구비문학회, 179쪽. 서정환, 2011 대중음악의 훅(hook)에 관한 정의와 재해석, 음악학 제21집, 한 국음악학학회. 신현준, 2015 1970 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 서술의 쟁점: 불확정적 텍스트 와 복합적 매개의 난점, 대중음악 제15호, 한국대중음악학회, 98쪽. 안자이 나오무네, 2014 (연주자와 엔지니어를 위한) 이펙터 교과서, SRM, 47쪽. 양종모, 2011 케이 팝(K-pop)의 학교 음악교육에 수용 탐색을 위한 음악적 특 성 분석, 음악응용연구 제4집, 한국음악응용학회. 이난수, 2012 K-POP의 감흥( 感 興 ) 에 대한 연구 : 후킹효과(Hooking Effect)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43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91 이상욱, 2015 K-pop의 노랫말 특성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제16집, 숭실대학 교 한국문예연구소, 110쪽. 이소영, 2007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혼종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113 116쪽. 이수완, 2014 대중음악 입문 : 문화연구와 만나는 대중음악, 경성대학교 출판 부, 160쪽. 이에스더, 2012 대중음악과 문화, 계명대학교 출판부. 이영미, 2009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4쪽. 이영미, 2012 한국식 팝의 형성과 변화: 스탠더드 팝과 발라드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음), 한울, 262 282쪽. 이준희, 2012 한국 대중음악의 출발: 트로트와 신민요, 대중음악의 이해 (김 창남 엮음), 한울, 239 259쪽. 장유정, 2003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 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제16집, 한국구비문학회, 80쪽. 장유정, 2006 오빠는 풍각쟁이야-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 민음in, 22쪽. 장유정, 2008 한국 대중음악사 기술을 위한 기초 작업-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 로, 대중음악 제1호, 한국대중음악학회, 84쪽. 장유정, 2010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 재즈송을 중 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13집, 우리춤연구소. 장유정, 2012 보는 음악, 몸의 음악: 댄스음악, 대중음악의 이해 (김창남 엮 음), 한울, 338 348쪽. 장유정 서병기, 2015 한국 대중음악사 개론, 성안당, 37 38쪽. 정성호, 2006 20대의 정체성(살림지식총서235), 살림, 45 46쪽. 정찬중 최성영 배명진, 2010 후크송의 음향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통 신학회논문지 제35집 제2호, 한국통신학회. 조규익, 1996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 朝 鮮 詩 歌 史 綱 ) 론 : 한국고전시가사 서술방안(1), 애산학보 19집, 애산학회, 38쪽. 조규익, 2006 고전시가의 변이와 지속, 학고방, 40쪽. 조규익, 2008 구소련 고려인 민요의 전통노래 수용 양상, 동방학 제14호, 한 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5쪽.
392 인문과학연구 제34집 최헌, 2009 韓 國 民 謠 音 樂 的 特 徵 의 哲 學 的 意 味 硏 究 한국민요학 제27집, 한 국민요학회, 274 277쪽. 프레데릭 마르텔 (권오룡 옮김), 2013 메인스트림, 문학과지성사, 177 178쪽. 황영순, 2011 미국 흑인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과정, 미국사연구 제34 집, 한국미국사학회, 118 119쪽. Gershon, R. P : 1991 Music Video and Television Commercials : A Comparison of Production Styles, Doctorial Dissertation (Indiana Univ), 35 43쪽. 경향신문, 1997년08월25일자. 두산백과, 두산잡지, 1997. 머니투데이, 2007년11월30일자. 연합뉴스, 2008년09월24일자. 영화사전, propaganda, 2004. 오디오 용어사전, 새녘출판사, 2013.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 표준국어대사전. 브리태니커 사전.
64) K-pop 음악적 성향의 지속과 변이 이상욱 393 <Abstract> The Continuation and Variation of K-pop Musical Styles Lee, Sang Uk * K-pop has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usic. Whil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uch K-pop show rather complex and hybrid aspect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genres and other exterior factors, core elements as dance music definitely exist. The origins of this can be found in traditional Korean music. From ancient songs related to rituals to folk songs, repetition, rhythm, and simplicity, which are the core of dance music, have been consistently manifested. In particular, the tonal structures and unique sentiments inherited from folk music reveal characteristics that belong solely to K-pop and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oreign dance music. On one hand, K-pop has also been strongly influenced by foreign dance music and it h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genres which were popular in each era such as rhythm and blues jazz funk disco hip hip electronica. On top of thi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new visual medium of music videos made its stance stronger and it also experienced variations due to interference from other genres of the same era such as trot ballad rock. When the turning points that distinguish the main eras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are establish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continuity * Soongsil University
394 인문과학연구 제34집 and discontinuity of popular music must be precisely understood, K-pop, which distinct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ation and variation, is significant as a turning point in Korean popular musical history, dividing that history into before and after its occurrence. 주제어: 케이팝(K-pop), 댄스음악(Dance Music), 민요(Folk Song), 뮤직비디오(Music Video), 대중음악(Popular Music) 투 고 일: 2016년 1월 2일 심사완료일: 2016년 1월 26일 게재확정일: 2016년 2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