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이은우 <<< 장로회신학대학교 강사 / 구약학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마틴 노트를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 노트 이전까지만 해도 신명기는 학계의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학자들은 요시야 왕이 종교개혁 과정에 서 발견한 율법책과 원신명기 의 관계에만 주로 관심을 집중하고 있었 다. 여호수아로부터 열왕기까지 이르는 전기 예언서에 대한 연구도 주 로 오경과 여호수아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여호수아에서 열왕기까지를 하나의 문학 단위로 보려는 경향의 연구에 집중되고 있었다. 그러나 노 트가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를 하나의 통일된 역사로 보고 소위 신명 기 역사 이론을 주장한 이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획기적인 변화가 일 어났다.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65
1. 노트 이론과 발산하는 다양한 보완 이론들 노트는 신명기에서부터 열왕기까지 이르는 책들을 연결시키는 요소들 을 관찰하고, 소위 신명기 사가라는 단일한 저자가 기존의 다양한 자료 를 수집하고, 의도적 계획에 따라 그들을 배열하고, 거기에 통일된 주제를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1) 이후 노트의 주장은 학계의 큰 호응을 얻었으며 신명기 사가 와 신명기 역사 같은 개념과 용어들은 학계는 물론 교회 에서도 큰 문제의식 없이 사용되기에 이른다. 그리고 그의 이론은 요시야 왕 시기와 포로기의 이중편집을 걸쳐(Dtr1, Dtr2) 소위 신명기 역사서가 완성되었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크로스 학파와 2) 기원전 580-560년 사이에 1) M. Noth, Das Buch Josua (HAT 1/7), (Tübingen: J. C. B. Mohr, 1938); idem, Überlieferungsgeschichtliche Studien: Die sammelnden und bearbeiten Geschichtswerke im Alten Testament (Halle: Niemeyer [1943]), translated by E. W. Nichols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JSOTS 15 (Sheffield: JSOT Press, 1981). 마틴 노트, 원진희 역, 전승사적 연구들 (서울: 한우리, 2004); idem. Das Buch Josua (HAT 1/7), (Tübingen: J.C.B. Mohr, 1953 2 ). 2) F. M. Cross,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Essays in the Hi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Nelson, R. D. The Double Redac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Sheffield: JSOT Press, 1981); B. Peckham, The Composi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Atlanta: Scholars Press, 1985); G. N. Knoppers, Two Nations under God: The Deuteronomic History of Solomon and the Dual Monarchies vols. 2 (HSM 52-53), (Atlanta: Scholars Press, 1993-1994). 크로스의 제자 중 로버트 폴진은 러시아의 문학 이 론과 가다머의 해석학적 방법론의 도움으로 본문을 공시적으로 읽고자 하는 신문학 비평 방법론을 제안했다. 그리고 그의 방법론은 D. Hawk, G. Mitchell, N. Winther- Nielsen의 공시적 방법론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위 신명기 역 사서에 나타나는 통시적 연구의 경향만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분야의 공시적 연구 를 위해서는 R. M. Polzin, Moses and the Deuteronomist: A Literary Study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New York: Seabury Press, 1980); idem. Samuel and the Deuteronomist: A Literary Study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1989); idem, David and the Deuteronomist: A Literary Study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idem, Curses and Kings: A Reading of 2 Samuel 15-16, The New Literary Criticism and the Hebrew Bible (1993), 201-26; L. D. Hawk, Every 66 2008년 봄 성서마당
이루어진 세 단계의 편집작업(DtrH, DtrN and DtrP)을 통해 소위 신명 기 역사서가 성립되었다고 주장하는 스멘드 3) 학파에 의해 수정 보완되 었다. 4) 더 나아가 일부 학자들은 신명기 사가적인 편집의 손길을 사경 과 후기 예언서, 즉 예레미야서나 12 소예언서 등에서도 찾아내고 있다. 그러나 적지 않은 학자들은 현대 학계에서 신명기적인 혹은 신명기 사 가적인 이라는 용어에 대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이해나 사용이 갖는 범 신명기 주의 (pan-deuteronomism)의 위험을 지적하며, 이 문제에 대한 더 나은 제한된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5) 현재의 신명기 역사 연구를 둘러싼 당혹스런 상황에 대한 앞의 논점들은 퍼슨의 책, The Deuteronomic School: History, Social Setting and Literature(2002)에서 더욱 심도 있게 다루어졌다. 물 론 이러한 주장들 역시 기존의 신명기(사가)적인 편집작업의 가능성을 인 Promise Fulfilled. Contesting Plots in Joshua (Literary Currents in Biblical Interpretation), (Louisville, KY: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1); G. Mitchell, Together in the Land. A Reading of the Book of Joshua (JSOTS 134), (Sheffield: JSOT Press, 1993); N. Winther- Nielsen, A Functional Discourse Grammar of Joshua: A Computer-assisted Rhetorical Structure Analysis (OTS 40), (Stockholm: Almqvist & Wiksell, 1995)를 참고하라. 3) 스멘드(R. Smend, Jr.)의 이름표기를 독일어 발음 표기에 따라 스멘트로 하는 경우 가 지배적이나 스멘드의 제자인 올드(A.G. Auld)에 따르면 자신을 스멘드로 불렀다 고한다. 따라서 올드의 제안에 따라 이 소논문에서는 스멘드로 표기했다. 4) R. Smend, JR., Das Gesetz und die Völker. Ein Beitrag zur deuteronomistische Redaktionsgeschichte, H. W. Wolff (Hg.), Probleme biblischer Theologie. Gerhard von Rad zum 70. Geburtstag (München: Chr. Kaiser Verlag, 1971), 494-509, 원진희 역, 오경연 구 (서울: 한우리, 2006); idem, Die Entstehung des Alten Testament (Stuttgart: W. Kohlhammer, 1981), 110-25; W. Dietrich, David, Saul und die Prophete (BWANT 7/2), (Stuttgart: W. Kohlhammer, 1987); E. Würthwein, Studien zum deuteronomistiche Geschichtswerk (BZAW 227), (Berlin: Walter de Gruyter, 1994); A. G. Auld, Joshua, Moses and the land: Tetrateuch-Pentateuch-Hexateuch in a generation of study since 1938 (Edinburgh: T&T Clark, 1980); idem, Joshua Retold: Synoptic Perspectives (Edinburgh: T&T Clark, 1998). 스멘드 학파 중 올드는 이 분야에 대한 40년에 가까운 연구 후에 신명기 사 가의 존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5) R. J. Coggins,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 G. Auld, Theolog 9 (1995), 383.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67
정하는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소위 신명기 역사 이론에 대한 도전들 그러나 적지 않은 학자들이 소위 신명기(사가)적인 역사서라는 가설 적 개념이 갖는 문제점과 현대 이 분야의 연구들에 나타나는 너무 많은 신명기 사가들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노트와 그 후손들의 연구가 갖 는 문제점을 비판하고 있다. 6) 이러한 비판들은 적어도 세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일부 학자들은 전기 예언서들(Former Prophets)의집성 안에 있는 6) 여기에 대해서는 C. Westermann, Die Geschichtsbücher des Alten Testaments: Gab es eideuteronomistisches Geschichtswerk? (ThB 87), (Gütersloh: Chr. Kaiser Verlag, 1994); E. Würthwein, Erwägungen zum sog. deuteronomistischen Geschichtswerk, Studien zum deuteronomistischen Geschichtswerk (BZAW, 227), (Berlin: de Gruyte, 1994), 1-11; E. A. Knauf, Does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DH) Exist? de Pury/Römer/Macchi (eds.), Israel constructs its History: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in Recent Research (JSOTSup 306),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 2000), originally published as Israël construit son histoire: L historiographie deutéronomiste à la lumière des recherches récente (Le Monde de la Bible, 34), (Geneva: Labor et Fides, 1996), 388-98을 참조하라. 이들 중 신명기 역사의 존재 를 의심하는 주장들에 대해서는 특히 A. G. Auld, The Former Prophets S. L. McKenzie/W. P. Graham(eds), The Hebrew Bible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1998), 53-68; idem. The Deuteronomist between History and Theology, (Congress Volume: Oslo, 1998/s), 353-67; idem, The Deuteronomist and the Former Prophets, or What Makes the Former Prophets Deuteronomistic? L. S. Schearing/S. L. McKenzie(eds), Those Elusive Deuteronomists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116-26; idem, Samuel, Numbers, and the Yahwist-Question Jan Christian Gertz/K. Schmid/M. Witte (eds), Abschied vom Jahwisten (Berlin; NY: Walter de Gruyter, 2002), 233-46을 참조하라. 국내학자 중에는 오택현이 신명기 역사에 나타난 고대 이스라 엘종교, 구약논단 12집 (2002)에서 범신명기주의 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윌슨의 입장을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R. R. Wilson, Who was the Deuteronomist? (Who was not the Deuteronomist): Reflection on the Pan- Deuteronomism, in Those Elusive Deuteronomists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82를 참조하라. 68 2008년 봄 성서마당
개별 책들(books) 7) 혹은 큰 블록(block) 8) 의 구성 및 편집에 강조점을 두었 다. 이들은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서, 열왕기서 내의 몇몇 본문 들의 두드러진 특징들을 지적하며, 획일적인 혹은 일관된 국가의 역사로 서의 신명기 역사 개념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다른 한편의 학자들은 이 분야 연구에 있어서 본문 비평과 편집 사적 연구 사이의 관계에 대한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특별한 경우에 MT가 LXX보다 더 확장된 본문이고, 본 문의 전승에 있어서 LXX의 기초가 된 히브리어 본문보다 더 후기 단계 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포함한다. 울리히(Ulrich), 토브(Tov), 로페(Rofé), 올드(Auld) 같은 학자들은 문서 비평적인 연구에 본문 비평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는 것의 타당성을 강조했다. 셋째, 또 다른 학자들은 사무엘-열왕기와 역대기서의 관계에 대한 자 료가 다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9) 현대 학계는 사무엘-열왕기 로부터 역대기서로의 변화를 역대기 사가의 신학적 관심과 차이에 기인 한 것으로 여겨 왔다. 10) 그러나 이 상투적인 현대 학계는 1947년과 1956 년 사이에 유대 사막에서 발견된 사해 사본의 증거들에 의해 크게 도전 7) 책들 모델을 위해서는 C. Westermann, 윗글; J. G. McConvill, The Old Testament Historical Books in Modern Scholrship, Themelios 22 (1997), 3-13; P. Guillaume, Waiting for Josiah: The Judges (JSOTSup 385), (London/New York: T&T Clark International, 2004)를 참조하라. 8) 블록 모델을 위해서는 E. Würthwein, 윗글, 1-11; E. Eynikel, The Reform of King Josiah and the Composi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OTS, 33), (Leiden: Brill, 1996)을 참조하라. 9) de Pury, A./Thomas Römer/Jean-Daniel Macchi (eds), Israel Constructs Its History: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in Recent Research (Sheffield Academic Press, 2000), 137-38. 10) K. Peltonen, History Debated: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Chronicles in Pre-Critical and Critical Research (2 vols.; Publications of the Finnish Exegetical Society, 64),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6). 역대기서의 연구사를 위해서는 배희숙, 역대기 연 구사, 성서마당 신창간 14호 (2007 가을), 68-86을 참조하라.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69
을받고있다. 11) 렘케(W. Lemke), 메이시(Macy), 멕켄지(McKenzie)는 사 해 사본과 칠십인경 역본들의 도움으로 사무엘-열왕기와 역대기서의 모 든 차이가 역대기 사가로부터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이 차이가 역대기서 대본(Vorlage)에 이미 나타나고 있었거나 소위 신명기 사가와 역대기 사 가가 사용한 초기의 공통자료에서 서로 발전해 나간 것임을 보여 주었 다. 12) 올드는 이들보다 더 혁신적인 방법으로 소위 신명기(사가)적인 역 11) See F. M. Cross, The History of the Biblical Text in the Light of 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HTR 57 (1964), 294; J. R. Porter, Old Testament Historiography G. W. Anderson (ed.),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Essays by Members of the Society for Old Testament Study (Oxford: Clarendon Press, 1979), 155-56; G. F. Hasel, Books of Chronicles, G. W. Bromiley (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 1: A-D (Grand Rapids: Eerdmans, 1979), 667; H. G. M. Williamson, Introduction in Noth 1987, (1987), 17. 12) W. E. Lemke, Synotic Studies in the Chronicler s History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63); idem. The Synoptic Problem in the Chronicler s History, HTR 58 (1965), 362-63; H. R. Macy, The Sources of the Books of Chronicles: A Reassessment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Havard University, 1975); S. L. McKenzie, The Chronicler s Us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HSM 33), (Atlanta: Scholars Press, 1985). 멕켄지(McKenzie)는그의 1985년의 연구 논문 이후에 그의 입장을 다소 바꿔 왔다. 그의 책, The Trouble with Kings: The Composition of the Book of Kings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VTSup, 42; Leiden: Brill)에서 그는 여전히 요시야 시기에 구성 된 제일 신명기 사가의 관점을 지지하지만, 단일한 저자 혹은 편집자에 의해 씌어 진 이 역사가 후기 신명기 사가의 삽입들에 의해 단지 약간만 수정되었다고 주장한 다. 그러나 그는 이제 노트의 입장을 선호하며, 단일한 역사가에 의해 씌어진 포로 기의 작품으로 신명기 역사를 이해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S. L. McKenzie, Cette royauté qui fait problème, in A. de Pury, T. Römer and J. Macchi (eds.), Israël construit son histoire: L historiographie deutéronomiste à la lumière des recherches récentes (Le Monde de la Bible, 34; Geneva: Labor et Fides, 1996), 267-95 (translated as The Trouble with Kingship in de Pury, Römer and Macchi [eds.] 2000: 286-314); idem. Mizpah of Benjamin and the Dat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in K. Schunck and M. Augustin (eds.), Lasset uns Brücken bauen. Collected Communications to the XV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Cambridge, 1995 (BEATAJ, 42; Frankfurt am Main et al: Peter Lang, 1998), 149-55; idem. Postscript: The Laws of Physics and Pan-Deuteronomism in L. S. Schearing and S. L. McKenzie 70 2008년 봄 성서마당
사 이론에 도전했다. 그에 따르면, 사무엘-열왕기와 역대기서는 공통자 료에 근거해 그들의 두드러진 방식으로 각각 발전해 나갔으며, 13) 사무엘- 열왕기서 안에 소위 신명기 사가를 위한 어떤 특별한 자리도 마련해 두 (eds.), Those Elusive Deuteronomists: The Phenomenon of Pan-Deuteronomism (JSOTSup, 268),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262-72; idem. The Divided Kingdom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and in Scholarship on It in T. Römer (ed.), The Futur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BETL, 147),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 2000), 135-45 를 참조하라. 멕켄지는 신명기 역사는 후기 신명기 사가의 첨가들에 의해 확장 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에 따르면, 이러한 첨가들은 어떤 조직적인 방법으 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의 입장은 신명기 사가를 창조적인 역사가로 간 주하는 반 세터스의 견해와 유사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Van Seters, In Search of History; cf. S. L. McKenzie, The Book of Kings in the Deueronomistic History in S. L. McKenzie and M. P. Graham (eds.), The History of Israel s Traditions: The Heritage of Martin Noth (JSOTSup, 182),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4), 300-02를 참조하라. 13) A. G. Auld, Kings without Privilege (Edinburgh: T&T Clark, 1994); 올드의 주장들에 대한 도전을 위해서는 H. G. M. Williamson, A Response to A. Graeme Auld, JSOT 27 (1983), 33-39; idem.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 G. Auld, VT 46 (1996), 553-55; G. N. Knoppers,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David and Moses in th Story of the Bible s Kings, by A. G. Auld, ATJ 27 (1995), 118-21; R. J. Coggins,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 G. Auld, Theology 98 (1995), 383; W. Johnston,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 G. Auld, SJT 50 (1997), 256-58; S. L. McKenzie, The Chronicler as Redactor, in M. P. Graham and S. L. McKenzie (eds.), The Chronicler as Author: Studies in Text and Texture (JSOTSup, 263),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70-90; Z. Talshir, Textual and Literary Criticism of the Bible in Post-Modern Times: The Untimely Demise of Classical Biblical Philology, Henoch 21 (1999), 249-51; idem., The Reign of Solomon in the Making: Pseudo-connections between 3 Kingdoms and Chronicles, VT 50 (2000), 248 n. 31); G. N. Knoppers, I Chronicles 1-9, 67을 참조하라. 반대 입장에 대한 올 드의 반박과 발전 과정을 위해서는 A. G. Auld, What Was the Main Source of the Books of Chronicles?, in M. P. Graham and S. L. McKenzie (eds.), The Chronicler as Author: Studies in Text and Texture (JSOTSup 263),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91-99; idem, Samuel at the Threshold: Selected Works of Graeme Auld (SOTS; Burlington; Ashgate, 2004); Joshua (ICC, 출판 예정); Samuel (OTL, 출판 예정)을 참 조하라.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71
지 않는다고 말한다. 14) 3. 결론 1938년에 노트에 의해 제기된 소위 신명기 역사 이론은 이 분야 연 구에 새로운 깊이와 다양성을 제공하며 커다란 공헌을 해 왔던 것은 사 실이다. 그러나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의 이론의 영향 아래 너무 획일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 니라 그를 계승한 다양한 학파들의 너무 많은 신명기 사가들 에대한발 산하는 이론들은 이 분야에 대한 교회 공동체의 이해를 더욱 혼란스럽게 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없을 것 같은 (elusive) 신명기 사가에 대한 주장들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통적 개념의 예언서 혹은 전기 예언서 라는 명칭에 주 목하며, 여호수아, 사무엘, 나단, 엘리야, 엘리사 같은 예언자들과 그들에 대한 보도 자료에 대한 연구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해 사본의 발견 이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본문 비평의 연구 결과를 이 분야 연구에 적용하고자 하는 본문과 문서의 역사(textual and literary history)에 대한 탐구는 계속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사해 사본 에 의해 그 권위와 의미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칠십인경과 역대기서에 대한 연구와 그 연구 결과를 소위 신명기 역사서 논쟁에 적용하고자 하 는 시도는 소위 신명기 역사 개념을 유지하고자 하는 학자들에게는 크 고, 강력한 도전이 될 것이다. 신약 성서의 저자들에 의해 권위가 인정되 었고, 교회 공동체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학자들에 의해 소홀히 14) A. G. Auld, The Former Prophets, 53-68; idem. The Deuteronomist between History and Theology (Congress Volume: Oslo, 1998/s), 353-67. 72 2008년 봄 성서마당
여겨졌던 칠십인경에 대한 연구는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 본문에 대한 주석과 교회사적 발전과 정을 이해하는 데에도 크게 공헌하리라 믿는다. 따라서 사본과 본문에 대 한 연구가 부족한 국내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절실 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주요 참고문헌 레이먼드 퍼어슨, 최안나 옮김. 신명기 학파. 서울: 성서와 함께, 2005. 배희숙. 역대기 연구사, 성서마당 신창간 제14호 (2007 가을), 68-86. Ackroyd, P. R. History and Theology in the Writings of the Chronicler, CTM 38 (1967), 501-15. Auld, A. G. Joshua, Moses and the land: Tetrateuch-Pentateuch-Hexateuch in a Generation of Study Since 1938. Edinburgh: T&T Clark, 1980.. Solomo und die Deuteronomisten eine Zukunftsvision? TZ 48 (1992). 345-55.. Kings Without Privilege: David and Moses in the Story of the Bible s Kings. Edinburgh: T&T Clark, 1994.. Joshua Retold: Synoptic Perspectives. Edinburgh: T&T Clark, 1998a.. Former Prophets. S. L. McKenzie/W. P. Graham (eds), The Hebrew Bible. Louisville, KY: Westminster/John Knox, 1998b. 53-68.. Samuel at the Threshold: Selected Works of Graeme Auld. SOTS. Burlington: Ashgate, 2004.. Joshua: Jesus Son of Naue in Codex Vaticanus. Septuagint Commentary Series. Leiden/Boston: Brill, 2005.. A Commentary of the book of Joshua. ICC, 출판예정.. A Commentary of the book of Samuel. OTL, 출판예정.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73
Coggins, R. J.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 G. Auld. Theology 98 (1995), 383. Cross, F. M. The History of the Biblical Text in the Light of 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HTR 57 (1964), 281-99..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Essays in the Hi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Cross, F. M./D. W. Parry/R. J. Saley/E. Ulrich. Discoveries in the Judean Desert XVII: Qumran Cave 4 XII 1-2 Samuel. Oxford: Clarendon Press, 2005. Dietrich, W. David, Saul und die Propheten. BWANT 7/2. Stuttgart: W. Kohlhammer, 1987. Eichhorn, J. G.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Vol. 3. Leipzig: Weidmanns, Erben und Reich, 1787 2. Eynikel, E. The Reform of King Josiah and the Composi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OTS 33. Leiden: Brill, 1996. Guillaume, P. Waiting for Josiah: The Judges, JSOTSup 385. London/New York: T&T Clark International, 2004. Hasel, G. F. Books of Chronicles, G. W. Bromiley(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 1: A D. Grand Rapids: Eerdmans, 1979. 666-73. Hawk, L. D. Every Promise Fulfilled. Contesting Plots in Joshua. Literary Currents in Biblical Interpretation. Louisville, KY: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1. Johnstone, W.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uld(ed.). SJT 50 (1997a), 256-58. Van Keulen, P. S. F. Manasseh through the Eyes of the Deuteronomists. OTS 38. Leiden: E. J. Brill, 1996. Knoppers, G. N. Two Nations under God: The Deuteronomic History of Solomon and the Dual Monarchies Vol. 2. HSM 52-53. Atlanta: Scholars Press, 1993-94.. I Chronicles Vol. 2. AB 12A and 12B. New York: Doubleday, 2004. Lemke, W. E. Synoptic Studies in the Chronicler s History.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63.. The Synoptic Problem in the Chronicler s History. HTR 58 (1965), 74 2008년 봄 성서마당
349-63. Macy, H. R. The Sources of the Books of Chronicles: A Reassessmen.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75. McConville, J. G. The Old Testament Historical Books in Modern Scholarship. Themelios 22. (1997), 3-13. McKenzie, S. L. The Chronicler s Us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HSM, 33. Atlanta: Scholars Press, 1985.. The Trouble with Kings: The Composition of the Book of Kings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VTSup, 42. Leiden: Brill, 1991.. The Books of Kings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S. L. McKenzie/M. P. Graham(eds.). The History of Israel s Traditions: The Heritage of Martin Noth. JSOTSup, 182.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4. 280-307.. Cette royauté qui fait problème. A. de Pury/T. Römer/J. D. Macchi(eds.). Israël construit son histoire: L historiographie deutéronomiste à la lumière des recherches récentes. Le Monde de la Bible, 34. Geneva: Labor et Fides, 1996. 267-95= The Trouble with Kingship, de Pury/Rümer/ Macchi(eds.). JSOTSup 306.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2000. 286-314.. Mizpah of Benjamin and the Dat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K. Schunck/M. Augustin(eds.). Lasset uns Brücken bauen Collected Communications to the XV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Cambridge 1995. BEATAJ, 42.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1998. 149-55.. The Chronicler as Redactor. M. P. Graham/S. L. McKenzie(eds.). The Chronicler as Author: Studies in Text and Texture. JSOTSup 263.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a. 70-90.. Postscript: The Laws of Physics and Pan Deuteronomism. L. S. Schearing/S. L. McKenzie(eds.). Those Elusive Deuteronomists: The Phenomenon of Pan Deuteronomism. JSOTSup 268.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b. 262-71.. The Divided Kingdom i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and in Scholarship on It. T. Römer(ed.). The Future of the Deuteronomistic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75
History. BETL 147.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2000. 135-45.. 1-2 Chronicles. Nashville: Abingdon Press, 2004. Mitchell, G. Together in the Land. A Reading of the Book of Joshua. JSOTS 134. Sheffield: JSOT Press, 1993. Nelson, R. D. The Double Redac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Sheffield : JSOT Press, 1981. Noth, M. Das Buch Josua. HAT 1/7. Tübingen: J.C.B. Mohr, 1938, 1953 2.. Überlieferungsgeschichtliche Studien I. Die sammelnden und bearbeitenden Geschichtwerke im Alten Testament. Halle: Max Niemeyer Verlag, 1st. ed. (1943), 2nd (1957),=E. W. Nicholson(옮김). The Deuteronomistic History. JSOTS 15. Sheffield: JSOT Press, 1981.=원진희 역, 전승사적 연구 들. 서울: 한우리, 2004. Peckham, B. The Composi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Atlanta: Scholars Press, 1985. Peltonen, K. History Debated: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Chronicles in Pre Critical and Critical Research vols. 2. Publications of the Finnish Exegetical Society 64. Gü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6. Person, R. J. Jr. The Deuteronomic School: History, Social Setting, and Literature. SBL Studies in Biblical Literature 2. Atlanta: SBL, 2002. Polzin, R. M. Moses and the Deuteronomist: A Literary Study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New York: Seabury Press, 1980.. Samuel and the Deuteronomist: A Literary Study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1989.. David and the Deuteronomist: A Literary Study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Curses and Kings: A Reading of 2 Samuel 15-16. The New Literary Criticism and the Hebrew Bible. 1993, 201-02. Porter, J. R. Old Testament Historiography. G. W. Anderson(ed.).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Essays by Members of the Society for Old Testament Study. Oxford: Clarendon Press, 1979. 125-62. de Pury, A./T. Römer/J. D. Macchi(eds.). Israel constructs its History: Deuteronomistic Historiography in Recent Research. JSOTSup 306.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2000.=originally published as Israël construit son histoire: 76 2008년 봄 성서마당
L historiographie deutéronomiste à la lumière des recherches récentes. Le Monde de la Bible 34. Geneva: Labor et Fides, 1996. Rezetko, R. C. Dating Biblical Hebrew: Evidence from Samuel Kings and Chronicles. I. Young (ed.). Biblical Hebrew: Studies in Chronology and Typology. JSOTSup 369. London/New York: T&T Clark International, 2003. 215-50. Schearing, L. S./S. L. McKenzie(eds.). Those Elusive Deuteronomists.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Smend, R. JR. Das Gesetz und die Vülker. Ein Beitrag zur deuteronomistischen Redaktionsgeschichte. H. W. Wolff(Hg.). Probleme biblischer Theologie. Gerhard von Rad zum 70. Geburtstag. München: Chr.Kaiser Verlag, 1971. 494-509. 원진희 역, 오경연구 서울: 한우리, 2006.. Die Entstehung des Alten Testaments. Stuttgart: W. Kohlhammer, 1981. 110-25. Talshir, Z. Textual and Literary Criticism of the Bible in Post Modern Times: The Untimely Demise of Classical Biblical Philology. Henoch 21 (1999), 235-52.. The Reign of Solomon in the Making: Pseudo connections between 3 Kingdoms and Chronicles. VT 50 (2000), 233-49. Westermann, C. Die Geschichtsbücher des Alten Testaments: Gab es ein deuteronomistisches Geschichtswerk?. TBü 87. Gütersloh: Chr. Kaiser Verlag, 1994. de Wette, W. M. L. Beiträge zur Einleitung in das Alten Testament vols. 2. Halle: Schimmelpfenning, 1997. Williamson, H. G. M. A Response to A. Graeme Auld. JSOT 27 (1977), 33-9.. Introduction. Noth 1987. 1987a. 11-26.. Review of Kings Without Privilege by A. G. Auld. VT 46 (1996), 553-55. Winther-Nielsen, N. A Functional Discourse Grammar of Joshua: A Computer-assisted Rhetorical Structure Analysis. OTS 40. Stockholm: Almqvist & Wiksell, 1995. Würthwein, E. Studien zum deuteronomistischen Geschichtswerk. BZAW 227. Berlin: de Gruyter, 1994. 최근 성서학 연구동향 신명기와 전기 예언서의 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77
. Erwägungen zum sog. deuteronomistischen Geschichtswerk. Eine Skizze. idem, Studien zum deuteronomistischen Geschichtswerk. BZAW, 227. Berlin: W. de Gruyter, 1994. 1-11. :: 이은우 장로회신학대학교(B.Th., M.Div.)를 나와 영국 에딘버러대학교(Ph.D.)에서 공부했다.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구약학을 강의하고 있다. 78 2008년 봄 성서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