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14일 공보 2016-1-11호 이 자료는 1월 14일 13:30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제 목 : 2016년 경제전망 (붙 임) 참 조 [문의처 : 조사국] 경제성장:조사총괄팀 Tel. 02-759-4202, 지출부문:동향분석팀 Tel. 02-759-4264 고 용:고용재정팀 Tel. 02-759-4241, 물 가:물가분석부 Tel. 02-759-4267 대외거래:국제무역팀 Tel. 02-759-4435, 국외경제:국제경제부 Tel. 02-759-5293 [공보관] 02-759-4015, 4016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 붙 임 ) 2016년 경제전망 2016. 1. 조 사 국
< 차 례 > < 요 약 > Ⅰ. 국내외 경제여건 1 Ⅱ. 경제전망 7 1. 경제성장 8 2. 고 용 8 3. 물 가 9 4. 경상수지 9 Ⅲ. 종합평가 10
요 약 국내외 여건변화 등을 고려하여 금년도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3.0% 로, 내년도는 3.2%로 전망. 성장경로를 보면 금년 상반기중 3.1%, 하 반기중 2.9%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 ㅇ 부문별로는 민간소비가 지난해 가계부문의 실질구매력 개선이 시차 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다만 개별 소비세 인하 종료, 주택매매거래 둔화 등이 소비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ㅇ 설비투자는 대내외 경기여건의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증가폭이 둔 화될 것으로 전망 ㅇ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다만, 주택 공급과잉 우려,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 등에 따른 주택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인해 건설투자 증가세가 제약될 가능성 ㅇ 상품수출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경기가 서서히 회복되면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 그러나 중국 경제구조 변화, 우리 기업의 해외 생산 확대 등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증가세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 한편 소비자물가는 금년중 저유가 및 수요측 하방압력 등에 따라 1.4% 상승할 것으로 전망. 물가경로를 보면 금년 상반기중 1.2% 상승 한 후 하반기에는 1.5%로 상승률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 ㅇ 내년중에는 경기가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가운데 석유류 가격의 소 비자물가 하락효과가 소멸되면서 2.0% 내외로 상승할 전망
Ⅰ. 국내외 경제여건 <국외 여건> 1 세계경제 성장동력이 뚜렷하지 않은 가운데 추세 수준을 밑도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ㅇ (미국) 민간소비와 주택투자의 견조한 증가세 등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 다만, 달러화 강세 지속, 신흥국의 성장 모멘텀 약화 등으로 수출 및 제조업 생산이 부진할 가능성 한편, 미 연준은 노동시장 개선 등으로 2015.12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인상하였으나 향후 금리인상은 완만한 속도로 이루어질 것임을 시사 ㅇ (유로지역)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할 전망 추가 양적완화, 난민유입에 따른 재정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소비 등 내수가 회복세를 견인 미 연준의 과거 금리인상 속도 및 전망 1) 유로 전산업 PMI 및 경기체감지수 주: 1) 최초 금리인상 이후 상승폭 기준 자료: 미 연준 자료: Eurostat - 1 -
ㅇ (일본) 기업부문의 호전에 힘입어 성장률이 다소 높아질 전망이나 회복 모멘텀이 약화된 상황 한편 시장에서는 물가목표(2.0%)의 기한 내(2016년 하반기) 달성이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일본은행의 추가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가 상존 ㅇ (중국) 수출 및 투자 부진 등으로 성장세 감속이 이어질 전망 다만, 정부의 중기 성장률 목표, 서비스 생산 및 소비의 견조한 성장 등을 감안할 때 6%대 중반의 성장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 일본 기대인플레이션 전망 1) 중국 고정투자 및 생산가동률 주: 1) 기업부문 기준 자료: 일본은행 단칸 자료: CEIC ㅇ (기타 신흥국) 성장률이 소폭 높아지겠으나 브라질, 러시아 및 산유국 등 자원수출국은 성장세 부진이 지속될 전망 인도 및 아세안 5개국은 규제 완화 등 투자환경 개선, 공공투자 확대 등이 성장세를 뒷받침 브라질, 러시아 등은 원자재가격 약세, 내수 부진 등으로 금년 에도 마이너스 성장이 지속될 전망 - 2 -
기타 신흥국 경제성장률 전망 (전년대비, %) 인도 1) 브라질 러시아 아세안 5개국 2) 2015 e) 2016 e) 2017 e) 2015 e) 2016 e) 2017 e) 2015 e) 2016 e) 2017 e) 2015 e) 2016 e) 2017 e) IMF(15.10월) 7.3 7.5 7.5-3.0-1.0 2.3-3.8-0.6 1.0 4.6 4.9 5.3 OECD(15.11월) 7.2 7.3 7.4-3.1-1.2 1.8-4.0-0.4 1.7 - - - WB(16.1월) 7.3 7.8 7.9-3.7-2.5 1.4-3.8-0.7 1.3 4.6 4.9 5.0 ADB(15.12월) 7.4 7.8 - - - - - - - 4.7 5.2 - GI(15.12월) 7.3 7.6 7.7-3.6-2.4 1.2-4.0-0.5 1.2 4.6 4.4 4.6 5개 IB(15.12월) 7.5 7.7 7.9-3.6-2.9 1.0-3.7 0.3 1.8 4.6 4.8 5.1 주: 1) 회계연도 기준 2)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의 GDP 가중평균 2 국제유가 이란의 원유수출 재개, 중국 등 신흥국의 수요 부진 등으로 원유의 초과공급이 지속되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저유가 기조가 이어질 전망 ㅇ 유가경로는 OPEC 국가간 시장점유율 경쟁 양상, 이슬람 종파간 갈등의 전개 방향 등에 따라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 국제유가(Brent유 기준) 전망 1) 세계 석유수급 및 유가경로전망 1) 2015 (달러/배럴) 2016 e) 2017 e) 상반 하반 연간 OEF[12.16] 52.7 45.7 48.5 47.1 52.7 CERA[12.10] 53.0 47.4 61.4 54.4 65.4 EIA[12.8] 52.9 53.3 58.2 55.8 - 선물 2) [12.31] - 40.2 44.3 44.3 49.7 주: 1) [ ]내는 전망일자 2) 해당기간의 말월물기준 자료: OEF, CERA, EIA 주: 1) 음영부분은 전망, Brent기준 자료: EIA - 3 -
<국내 여건> 1 민간소비 민간소비는 지난해 실질구매력의 개선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ㅇ 2015년 가계의 실질구매력은 물가안정세에 힘입어 전년대비 3.9% 증가(2014년 3.4%) ㅇ 또한 정부의 사회보장성 예산 확충, 재정 조기집행 등도 소비 증대에 기여 다만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주택매매거래 둔화 등은 소비제약 요인으로 작용 가계 실질구매력 1) 주택거래량과 가구소비 주: 1) 실질임금 취업자수 자료: 한국은행, 고용노동부, 통계청 자료: 국토교통부, 통계청 2 설비투자 금년중 설비투자는 대내외 경기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증가폭이 둔화될 전망 ㅇ 선행지표인 국내기계수주 증가율이 2015년 하반기 이후 축소 다만 정부는 공공기관 투자 확대, 기업투자촉진 프로그램 등을 통해 투자활성화 노력을 지속할 계획 - 4 -
설비투자와 국내기계수주 1) 2016년 주요 투자활성화 정책 공공기관 투자계획 확대(6조원) 민간투자 확대를 통한 SOC 확충 (8.4조원 이상) 통신(5G, UHD) 및 에너지 신산업 투자 유도(5조원) 기업투자촉진 프로그램 잔여분 2016년중 전액 집행(15조원) 한국인프라투자플랫폼(KIIP) 본격 가동(14.5조원) 주: 1) 민간기준, 2000.1/4분기~2015.3/4분기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자료: 기획재정부 3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지식재산생산물 투자는 금년중 낮은 증가에 그칠 전망 ㅇ 글로벌 IT경기 부진, 기업 투자심리 약화 등이 민간 R&D 투자를 제약 정부 R&D투자도 연구개발정책 기조가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증가폭이 축소 (R&D 예산 증가율: 2015년 6.4% 2016년 1.0%) ㅇ 핀테크 등 신산업 분야의 수요 및 정부의 소프트웨어산업 지원 확대로 SW투자는 상당폭 증가 예상 정부 연구개발 혁신방안 국내 SW시장 규모 1) R&D 기획 관리체계 혁신 정부지원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해 성과창출형 평가체계 마련 중소 중견기업 중심 지원체계 구축 장기, 기초연구 및 중소기업 지원집중 대기업 직접 지원 축소 정부 R&D 컨트롤 타워 기능 강화 과학기술전략본부 설치(15.9월) 연구개발 지원체계를 일원화하여 단절 비효율 중복 제거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주: 1) SW 및 IT서비스 기준 자료: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 5 -
4 건설투자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 ㅇ (주거용 건물) 2015년 중 크게 늘어난 주택착공이 금년중 투자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 지난해 분양물량도 과거 평균을 큰 폭 상회 다만 공급과잉 우려, 가계부채 관리 강화에 따른 주택 투자심리 위축은 제약요인으로 작용 ㅇ (비주거용 건물) 2015년 중 수주 및 착공 호조의 영향으로 증가할 전망 다만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대체로 마무리됨에 따라 공공부문 투자는 미약 ㅇ (토목) 정부의 SOC 예산 규모 축소(2015년 26.1조원 2016년 23.7조원)로 부진이 예상 주택 착공호수 비주거용 건물 수주 및 착공 자료: 국토교통부 자료: 국토교통부 - 6 -
Ⅱ. 경제전망 2016년중 세계경제 성장률은 3.2%로 전제<2017년 3.4%> ㅇ 세계교역 신장률은 3.1%로 전제<3.6%> 원유도입단가(기간 평균)는 배럴당 44달러로 전제<52달러> 전망 전제치 2015 e) 2016 e) 2017 e) 상반 하반 연간 세계경제성장률(%) 1) 3.0 3.1 3.3 3.2 3.4 미 국 2.4 2.3 2.4 2.4 2.3 유 로 1.5 1.6 1.9 1.7 1.8 일 본 0.6 0.7 1.2 1.0 0.7 중 국 6.9 6.7 6.6 6.6 6.4 세계교역신장률(%) 1) 2.7 2.8 3.4 3.1 3.6 원유도입단가(달러/배럴) 2) 53 39 49 44 52 기타원자재가격 상승률(%) 1) -17.5 - - -7.5 2.0 주: 1) 전년동기대비 기준 2) 원유도입비중 : 중동산 80%, 여타 20%, 기간 평균, CIF 기준 - 7 -
1. 경제성장 2016년중 GDP성장률은 3.0%(상반 3.1% 하반 2.9%)를 기록할 전망 ㅇ 2017년에는 3.2% 성장할 것으로 예상 경제성장 전망 (전년동기대비, %) 2015 2016 e) 2017 e) 상반 하반 e) 연간 e) 상반 하반 연간 연간 GDP 2.3 2.9 2.6 3.1 2.9 3.0 3.2 민간소비 1.6 2.6 2.1 2.8 2.0 2.4 2.3 설비투자 5.4 4.7 5.1 3.0 4.7 3.8 4.2 지식재산생산물투자 1.3 1.5 1.4 1.2 2.1 1.7 2.3 건설투자 1.2 6.7 4.1 4.8 2.4 3.5 2.8 상품수출 -0.9 1.0 0.1 1.9 2.5 2.2 2.8 상품수입 0.4 2.9 1.6 3.4 0.6 2.0 2.6 2. 고 용 금년중 취업자수는 34만명(상반 34만명 하반 33만명) 내외 증가할 전망(2017년 34만명) ㅇ 실업률은 3.5%, 고용률은 60.4%(OECD기준 66.0%) 수준 고용 전망 (만명, %) 2015 2016 e) 2017 e) 상반 하반 연간 상반 하반 연간 연간 취업자수 33 34 34 34 33 34 34 증감 1) (1.3) (1.3) (1.3) (1.3) (1.3) (1.3) (1.3) 실업률 4.0 3.3 3.6 3.8 3.3 3.5 3.4 (S.A.) 3.7 3.5-3.5 3.5 - - 고용률 2) 59.9 60.7 60.3 60.0 60.8 60.4 60.7 [65.4] [66.1] [65.7] [65.7] [66.3] [66.0] [66.5] 주: 1) 전년동기대비 증감, ( )내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2) 15세 이상, [ ]내는 15~64세(OECD기준) - 8 -
3. 물 가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연평균 기준)은 1.4%로 전망(2017년 2.0%) ㅇ 농산물 석유류 제외지수 및 식료품 에너지 제외지수는 각각 1.8% 및 1.9% 상승 예상 물가 전망 (전년동기대비, %) 2015 2016 e) 2017 e) 상반 하반 연간 상반 하반 연간 연간 소비자물가 0.5 0.9 0.7 1.2 1.5 1.4 2.0 농산물 석유류 제외 2.2 2.2 2.2 1.9 1.8 1.8 1.9 식료품 에너지 제외 2.2 2.6 2.4 2.0 1.8 1.9 1.9 4. 경상수지 금년중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980억달러로 전망 ㅇ 2017년중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820억달러 내외를 보일 전망 경상수지 전망 1) (억달러) 2015 2016 e) 2017 e) 상반 하반 e) 연간 e) 상반 하반 연간 연간 경상수지 503 572 1,075 490 490 980 820 상품수지 579 616 1,195 570 550 1,120 940 수출(통관) 수입(통관) 2,685 2,586 5,272 2,580 2,670 5,250 5,540 (-5.2) (-10.6) (-7.9) (-3.9) (3.2) (-0.4) (5.5) 2,223 2,145 4,368 2,130 2,240 4,370 4,840 (-15.6) (-18.2) (-16.9) (-4.2) (4.4) (0.0) (10.8) 서비스 본원 이전소득 -76-44 -120-80 -60-140 -120 서비스수지 -75-75 -150-90 -80-170 -160 주: 1) ( )내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9 -
Ⅲ. 종합평가 1 경제성장 경제성장률(전년동기대비)은 금년중 3%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ㅇ 내수부문은 소비를 중심으로 개선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대외수요 개선이 늦어지면서 경기회복세는 완만한 모습 2017년에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가 점차 개선되면서 경제성장률이 3% 초반으로 상승할 전망 ㅇ 성장에 대한 지출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내수 기여도가 수출 기여도를 상회할 전망 GDP 전망경로 수출 및 내수의 순성장 기여도 1) 주: 1) I/O표의 수입유발효과를 부문별로 차감 ㅇ 국제유가 등 수입단가 안정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흐름이 지속되면서 국내소득(GDI) 증가율(3.2%)이 GDP 성장률(3.0%)을 소폭 상회할 전망 ㅇ 성장률에서 이월효과 * 를 차감할 경우 금년중 1.8%p 수준으로 지난해보다 소폭 낮은 수준 * 지난해 4/4분기 GDP수준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시산된 성장률 - 10 -
GDI 증가율 및 GDP 성장률 성장률 및 이월효과 2 물 가 금년중 소비자물가는 저유가 및 수요측면에서의 하방압력이 지속되면서 연평균 1%대 중반 수준의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ㅇ 지난해 국제유가의 추가하락 등으로 석유류가격의 소비자물가 하락효과는 금년중에도 지속될 전망 3 경상수지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2015년 7%대 후반에서 2016년 7% 내외로 하락한 이후 2017년에는 5%대 중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 ㅇ 2016년중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980억달러로 예상되며 내년중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라 흑자규모가 감소될 전망 향후 물가경로 경상수지의 對 GDP 비율 - 11 -
향후 성장경로에는 상 하방리스크가 혼재 (상방리스크) 미국 및 유로지역 성장세 확대, 가계부문 실질 구매력 증가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 실시 등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등 (하방리스크) 중국 및 자원수출 신흥국 성장세 둔화 확대, 대내외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구조 개혁 지연에 따른 성장 잠재력 저하 가능성 등 향후 물가경로에는 상 하방리스크가 혼재되어 있으며 전체적 으로는 중립적인 것으로 평가 (상방리스크) 비OPEC 국가들의 감산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농산물가격 및 국제곡물가격 급등 등 (하방리스크) 산유국간 생산경쟁 격화 세계경기 회복지연 등에 따른 국제유가 추가 하락, 내수경기 부진으로 인한 수요측면 에서의 하방압력 확대 등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