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育 誌 (Korean J. Breed. Sci.) 40(2) : **~** (2008) 단경 내병 다수성 땅콩 품종 풍산 배석복 * 정영근 2 박장환 이명희 황정동 심강보 정찬식 강철환 박금룡 박충범 최규환 4 이재철 5 김인재 6 김제규 영남농업연구소, 2 호남농업연구소, 작물과학원, 4 전라북도노업기술원, 5 충청남도농업기술원, 6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A New Short Stem, Disease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Peanut Suk-Bok Pae *, Young-Keun Cheong 2,Chang-HwanPark,Myung-HeeLee, Chung-Dong Hwang, Kang-Bo Shim, Chan-Sik Jung, Churl-Whan Kang,Keum-YongPark, Chung-Berm Park, Gyu-Hwan Choi 4,Jae-ChulLee 5,In-JaeKim 6,andJe-KyuKim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Milyang 627-80, Korea 2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ksan 570-080, Korea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Suwon 44-00, Korea 4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ksan 570-704, Korea 5 Chungcheong 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Yesan 40-86, Korea 6 Chu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eongwon 6-88, Korea Abstract : A new peanut variety (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7.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short stem cultivar Satonoka and a high-yielding local cultivar Yecheon. is the Virginia plant type. It has 8 branches per plant and 40 cm of main stem height. Each pod with long-ellipse shaped large kernel has two grains with light-brown testa and 00 seed weight was 95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howed more resistant to web blotch compared with check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was outyielded in grain yield to the check variety by 6% with 4.45 MT/ha for grain. Key words : Peanut variety,, Arachis hypogaea, Virginia type, High yielding variety 땅콩(Arachis hypogaea 서 언 L.) 은 양질의 기름함량이 약 50% 인 유료작물이며 단백질함량이 25% 정도로서 영양면에서도 우수하다. 우리나라는 수입개방 후 저가 농산물의 유입으로 국내 재배면적은,000 ha로 감소하였고 자급율은 20% 정도 이다. 땅콩은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또한 땅콩박 과 가공품등이 수입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농진청 <2008.. 接 受 > 2007). 현재 세계적 곡물가격의 인상으로 국내 시중도매가는 국산과 수입산의 가격차가 많이 줄어들게 되어 국내산 땅콩 의 경쟁력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기상과 소비자 기호에 맞는 조숙 대립 다수성인 신풍초형을 개발함( 이 등 9, 이 등 986) 과 동시 에 용도별 다양한 품종을 개발하였고( 이 등 987, 박 등 995) 비닐피복재배를 통하여 파종기를 앞당기게 됨으로써 재배지역을 넓히고 단위 면적당 수량을 높이는 재배법을 개 발하였으며 최근에는 풋땅콩 품종개발(Pae et al. 2004) 및 작부체계연구 그리고 생산비 절감을 위한 생력재배에도 많은 연구를하고있다(Pae et al. 2002, Pae et al. 2007).
2 韓 育 誌 (Korean J. Breed. Sci.) 40(2), 2008 현재 국내 땅콩 품종개발 및 재배법 연구를 전담하고 있는 영남농업연구소에서 간식에 적합한 대립 땅콩 품종을 육성하 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초형을 단경화하여 도복에 강하고 수량성도 높은 땅콩 신품종 풍산 를 육성하게 되었기에 이 품종의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요약 보고하는 바이다. 재료 및 방법 본시험은 05-07까지 년간 4 개 지역( 수원, 예산, 익산, 밀 양) 에서 수행하여 표준품종 팔광 과 풍산 ( 밀양27 호) 의 생 육특성 및 수량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농진청, 2005, 2006, 2007). 각지역에서시험에공시한품종은 4월 0일에파종 하였다. 시비량은 ha당 N-P 2 O 5 -K 2 O로서 0-00-00 kg 을, 석회와 퇴비는 각각 ton과 0 ton을 전량기비로 시용하였 다. 재식거리는 조간거리 40 cm, 휴간거리 60 cm, 주간거리 는 25 cm로서 즉 ha당 80,000 주로 하였다. 비닐피복은 흑색 유공비닐을 이용하였는데 그 비닐규격은 푹 0 cm, 두께 0.05mm필름위에 조간거리 40cm 주간거리 25cm로 5cm 구멍크기의 비닐을 이용하였다. 재배는 2립 파종하여 출현 후 솎음 작업으로 주 본으로 재배하였다. 땅콩 수확은 개화 후 05 일경에 굴취 하여 다시 햇볕에 충분히 풍건하여 협의 표면에 그물무늬가 뚜렷하여 상품가치가 있는 협을 성 숙협으로 하여 종실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다. 그 외 생육 및 수량특성 조사방법은 지역적응시험 조사기준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 농진청, 2007). 결과및고찰 육성경위 풍산 은 국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간식용 땅콩을 육성코 자 양질 내재해 대립 다수성 품종 육성에 목표를 두고 선발 육성된 신품종으로 단경 품종인 사토노카 을 모본으로 하고 대립 내병성 품종인 예천종 를 부본으로 하여 997년에 인 공교배한 후 계통육성 과정을 거쳐 선발되었다. 200년부터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5부터 년간 밀양27 의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 농촌진흥청 2007) 을 실시하였다 ( 그림). 그결과밀양27호는단경대립다수성으로그우수 성이 인정되어 2007년 2월 농촌진흥청 신품종선정위원회에 서 신품종으로 선정하고 풍산 으로 명명하였다. 주요특성. 고유특성 풍산 의 고유 특성은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광땅콩과 달리 버지니아형으로 다분지형이며 분지에서만 착협한다. 협 당립수는 2 립이고, 종피색은 담갈색이며, 종실형태는 장타원 형이며 대립종에 속한다. Year 97 98 99 00 0 02 0 04 07 06 07 Generation cross F F 2 F F 4 F 5 F 6 F 7 F 8 F 9 F 0 Satonoka.. SP9758 B 8 PYT AYT.. (Milyang 27) Yecheon. 4 42 Procedure Crossing Bulk Line selection PYT & AYT RYT PYT : Preliminary yield trial, AYT : Advanced yield trial, RYT : Regional yield trial Fig.. Pedigree diagram of a new peanut variety
단경 내병 다수성 땅콩 품종 풍산 2. 일반특성 가. 지상부 생육특성 풍산 의 개화기는 6월 일이며, 주경장이 40 cm, 분지장 이 44 cm, 분지수가 8개로서 대광땅콩에 비해 훨씬 단경 초 형임을알수있다표 ( 2). 나. 지하부 특성 풍산 은 성숙협비율, 00립중이 팔광땅콩보다 높아 성숙성 이양호함을알수있고, 00립중이 95 g 인대립종이다( 표 ).. 내재해성 포장조건에서 정도는 표 풍산 의 주요 병해 및 도복에 대한 저항성 4 에서와 같이 갈반병(Cercospora arachidicola) 과 흑반병(Cercospodium personatum) 은 대광과 비슷하고, 그물 무늬병(Phoma arachidicola) 에는 다소 강함을 보였다. 이들 낙엽병류에 대한 저항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확기 의 낙엽정도가 대광땅콩 보다 작아 양호하였다. 문제가 되는 담배거세미등에 대한 충해저항성은 같은 수준이며, 생육후기 의 도복의 저항성은 대광땅콩에 비해 다소 개선되었다( 표 4). 4. 품질특성 풍산의단백질및기름함량은각각 28.%, 48.5% 로서 대광땅콩과 비슷하였다. 지방산조성면에서는 양질불포화 지 방산으로 올레산이 45.0%, 리놀산이 4.% 로서 서로 비슷한 량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 5). Tabl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a new peanut variety Plant type Pod setting Leaf color Virginia Branch Green Shinpung Main stem & Branch Seeds /pot 2 Leaf shape Small Seed shape Long Ellipse Testa color Light Brown Green 2 Large Ellipse Brown Table 2.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 new peanut variety Flowering date June June 0 Main stem height(cm) 40 56 Branch length(cm) 48 65 No. of branch/plant 8 0 Table. Pod and seed characteristics of a new peanut variety No. of pods/plant Matured pods Shelling ratio Matured grains 00 seed wt.(g) Seeds/pod 5 5 84 79 74 76 98 97 95 8.75.78 Nakadeyutaka Satonoka Palggye 92 (Milyang 27) Yecheon Fig. 2. Genealogical diagram of
4 韓 育 誌 (Korean J. Breed. Sci.) 40(2), 2008 수량성 200~2004년까지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표 6에서와 같이 ha당 평균 종실수량은 4.2 ton으로 대광땅 콩 대비 % 증수하였다( 표 6).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개년간 전국 4개 지역에서 실시 된 지역적응시험 결과 ha당 평균 수량성은 4.45ton 정도로서 대광땅콩 대비 각각 6% 높았다. 증수요인으로는 단경으로 도복이 거의 없고 대립이며 00 협중, 성숙협비율등이 높아 등숙이 양호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표 7).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풍산의 적응지역은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 땅콩 재배지이며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대립종의 특성상 초기의 생육과 개화수 를 충분히 확보하고 성숙기의 적습 및 병충해 방제를 철저히 하여 00 립중과 등숙성을 높여야 수량 특성 발휘에 유리하다. 적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인 사토노카 와 대립인 예천 종 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풍산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요 풍산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 Table 4. Resistance to major disease, insect and lodging of (0 9) Disease degree(0~9) Insect C. arachidicola C. personatum P. arachidicola damage (0~9) ~ : 0 ; None, ; ~0%, ; 0.~20%, 5 ; 20.-0%, 7 ; 0.-50%, 9 ; over 50.%. : 0 ; None, ; 0.~2%, ; 20.~5%, 5 ; 5.-0%, 7 ; 0.-0%, 9 ; over 0.%. : 0 ; None, ; under 5%, ; 0-20%, 5 ; 0-40%, 7 ; 50-60%, 9 ; over 70%. Lodging (0~9) 5 Defolia. rate 26 5 Table 5. Oil and protein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ernels of a new peanut variety Protein 28. 27.2 Oil 48.5 49.7 Fatty acid composition Pal. Ste. Ole. Lin. Ara. Beh. 9. 9.2.6 2.9 45.0 55.8 4. 27.6 0.8..7 2.4 Table 6. Preliminary yield trails of a new peanut variety Grain yield(mt/ha) 200 Index 2004 Index Mean Index 4.2.52 7 00 4.79.92 22 00 4.50.72 2 00 Table 7. Grain yield potential of in regional yield trial for years Location (MT/ha A) Index (MT/ha B) 2005 2006 2007 Ane. (A/B) 2005 2006 2007 Ave. Suwon(NICS) 68 450 5 84 04 5 442 28 68 Milyang(YARI) 67 7 449 96 6 28 42 52 Yesan(CNARES) 487 526 5 55 25 56 458 425 4 Iksan(JNARES) 528 479 452 486 2 77 88 44 40 Ave. 48 457 442 445 6 46 404 402 84
단경 내병 다수성 땅콩 품종 풍산 5 장습성은 단경 다분지성이다. 2. 풍산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비율, 00립중등이 높은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00립중이 95 g 인 대립품종이다.. 도복에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 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후기까지 녹 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4. 풍산은 단백질이 28.%, 기름함량이 48.5% 이고 지방산 은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서로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5. 풍산은 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 국평균 4.45MT/ha로 6% 증수되었다. 6. 풍산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 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 성이 높은 품종이다. 인용문헌. 이정일, 박희운, 박용환, 한의동, 함영수, 강광희. 98. 땅콩 직립 고함유 다수성 신품종 신풍땅콩. 농시보고( 작물) 25:90~94. 2. 이정일, 박희운, 한의동, 박내경. 989. 땅콩의 연구 성과와 금후 전약. 유료작물생산과 그 이용. 심포지움 8:7~90.. 이정일, 한의동, 박희운, 박용환, 박내경. 986. 땅콩 조숙 직 립 대립 다수성 신품종 대광땅콩. 농시론문집( 작물) 28(2):97~202. 4. 이정일, 한의동, 박희운, 박용환, 박내경. 987. 땅콩 가공용 소립 다수성 신품종 진풍땅콩. 농시론문집( 작물) 29():26 5~269. 5. 이정일, 허한순, 이승택, 정동희, 채영암, 강광희. 994. 개방 화에 대응한 특용작물의 품질고급화 전략. 한국육종학회지 26( 별책2 호):49~82. 6. 박장환, 박희운, 김석동, 안병옥, 허한순, 이정일, 김윤선. 995. 땅콩 대립 다수성 간식용 신품종 대풍땅콩. 농업론 문집 7():56-60. 7. Pae S.B., C.S. Jung, K.W Oh, J.C. Ko, J.T. Kim, C.B. Park. 2002. The changes of growth habits and pod setting for fresh peanut by seeding dates in southern part of Korea. KJCS 47(5):74-78 8. Pae S.B., Y.K. Cheong, J.T. Kim, K.H. Park, and D.Y. Suh. 2004. A new early maturing, leaf spot resistant and high quality peanut cultiva, "Jakwang". Korean J. Breed. 6(5):75-76 9. Pae S.B., J.T. Kim, K.B.Shim, C.D. Hwang, C.S. Chung, M.H. Lee, and K.Y. Park. 2007. Effects of plant types and cultivars on pod yield in late seeing peanut. KJCS 52():55-59 0. 농촌진흥청. 2007. 2007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사업 과제수행계획서. P:96~204.. 농촌진흥청. 2007. 2007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